KR20210098942A - absorbent article - Google Patents

absorbent art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8942A
KR20210098942A KR1020217007689A KR20217007689A KR20210098942A KR 20210098942 A KR20210098942 A KR 20210098942A KR 1020217007689 A KR1020217007689 A KR 1020217007689A KR 20217007689 A KR20217007689 A KR 20217007689A KR 20210098942 A KR20210098942 A KR 20210098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fibers
water
topsheet
absorbent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76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25454B1 (en
Inventor
나츠미 오무라
요스케 소가베
겐이치로 구로다
유키 노다
Original Assignee
유니 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 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유니 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10098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89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5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54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04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2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6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being formed of multiple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2013/5100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with special fibres
    • A61F2013/5101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with special fibres being cellulos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2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61F2013/51147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being polymeric fil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6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being formed of multiple layers
    • A61F2013/5117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being formed of multiple layers with the combination of polymeric fil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 A61F2013/51338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having improved touch or feeling, e.g. smooth film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자의 피부에 불쾌한 자극을 주기 어려운, 감촉이 뛰어난 표면 시트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표면 시트(2)가, 보수성(保水性) 섬유(F1)를 포함하고, 또한, 표면 시트(2)의 피부측의 표면을 형성하는 제 1 섬유층(2a)과, 열가소성 수지 섬유(F2)와 보수성 섬유(F1)를 포함하며, 또한, 제 1 섬유층(2a)의 비(非)피부측에 인접하여 표면 시트(2)의 비피부측의 표면을 형성하는 제 2 섬유층(2b)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섬유층(2a)을 구성하는 섬유 중의 보수성 섬유(F1)의 비율이, 상기 제 2 섬유층(2b)을 구성하는 섬유 중의 보수성 섬유(F1)의 비율보다도 많으며, 상기 제 1 섬유층(2a)에 포함되는 적어도 일부의 상기 보수성 섬유(F1)는, 섬유끼리의 교락(交絡) 부분(PE) 중 적어도 일부의 교락 부분(PE)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섬유(F2)의 용융물(F2M)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 topsheet excellent in feel that is unlikely to cause unpleasant irritation to the wearer's skin. In the absorbent art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psheet 2 includes a water-retaining fiber F 1 , and includes a first fibrous layer 2a forming the skin-side surface of the topsheet 2; , comprising thermoplastic resin fibers (F 2 ) and water-retaining fibers (F 1 ), and forming a non-skin surface of the topsheet 2 adjacent to the non-skin side of the first fibrous layer 2a and a second fiber layer (2b) to the first fiber layer (2a) the rate of water retention fibers (F 1) of the fibers forming said first water holding property and fiber (F of the fiber constituting the second fiber layer (2b) 1 ) and at least the water-holding ability fiber (F 1) of the part contained in the first fibrous layer (2a) often than a ratio of, the inter-woven (交絡) portion between the fibers (P E) bridging portion of the at least a portion (P E) In the above,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 (F 2 ) is coated with a melt (F 2M ).

Description

흡수성 물품absorbent article

본 발명은, 생리용 패드 등의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bsorbent article such as a sanitary pad.

생리용 패드 등의 흡수성 물품에 이용되는 표면 시트로서, 코튼 섬유와 같은 수분을 흡수하고, 보유하는 보수성(保水性) 섬유를 포함하는 시트가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흡수성 물품의 표면재로서 이용할 수 있는 부직포로서, 천연 유지가 부착된 표백면 섬유(코튼 섬유)와, 적어도 섬유 표면이 올레핀계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단섬유로 구성되고, 구성 섬유끼리가 삼차원적으로 교락(交絡)하여 이루어지는 부직포가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부직포에 의하면, 흡수성 물품의 표면재 등의 종래의 탈지면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가 이용되지 않았던 분야에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고 되어 있다.As a topsheet used for absorbent articles such as sanitary pads, a sheet containing water-retaining fibers that absorb and hold moisture such as cotton fibers is known.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n absorbent article. As a nonwoven fabric that can be used as a surface material of A nonwoven fabric is disclosed. According to the nonwoven fabric disclosed in this patent document 1, it is supposed that it can utilize suitably also in the field|area in which the conventional nonwoven fabric which consists of cotton fibers, such as a surface material of an absorbent article, has not been used.

일본국 특개 2005-139594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5-139594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부직포와 같이, 코튼 섬유(보수성 섬유)와 열가소성 단섬유(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교락시킨 것만으로는, 착용자의 고간부(股間部) 및 그 주변부의 피부(즉, 자극을 지각하기 쉬운 부분의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로서 이용했을 때에, 부직포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가 착용자의 피부에 대해 뻣뻣한 감촉이나 따끔따끔한 감촉 등의 불쾌한 자극을 주기 쉽고, 또, 흡수성 물품의 사용 중에, 착용자의 피부와의 마찰 등에 기인하여 섬유끼리의 교락이 풀리거나, 보수성 섬유가 파단하거나 함으로써, 표면 시트의 피부측의 표면에 보수성 섬유의 보풀 일어남이 생기고, 그 보풀 일어남에 의해 착용자의 피부에 불쾌한 자극을 주어 버릴 우려가 있었다.However, as in the nonwoven fabric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only by entangling cotton fibers (water-retaining fibers) and short thermoplastic fibers (thermoplastic resin fibers), the wearer's groin and the skin of its periphery (that is, irritation) When used as a topsheet of an absorbent article that directly comes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of a portion where the In addition, during use of the absorbent article, due to friction with the wearer's skin, etc., the entanglement between the fibers is loosened or the water-retaining fibers are broken, so that fluff of the water-retaining fibers occurs on the skin-side surface of the topsheet, and the fluff There was a fear of giving an unpleasant stimulus to the wearer's skin by rising.

그래서, 본 발명은, 착용자의 피부에 불쾌한 자극을 주기 어려운, 감촉이 뛰어난 표면 시트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n, an object of this invention is to provide the absorbent article containing the topsheet which is hard to give an unpleasant stimulation to a wearer's skin and is excellent in a feel.

본 발명의 일양태(양태 1)는, 표면 시트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One aspect (Aspect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 topsheet,

상기 표면 시트는,The surface sheet,

보수성 섬유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표면 시트의 피부측의 표면을 형성하는 제 1 섬유층과, a first fibrous layer comprising water-retaining fibers and forming a skin-side surface of the topsheet;

열가소성 수지 섬유와 보수성 섬유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제 1 섬유층의 비(非)피부측에 인접하여 상기 표면 시트의 비피부측의 표면을 형성하는 제 2 섬유층을 구비하며,A second fibrous layer comprising thermoplastic resin fibers and water-retaining fibers and adjacent to the non-skin side of the first fibrous layer and forming a non-skin side surface of the topsheet;

상기 제 1 섬유층을 구성하는 섬유 중의 상기 보수성 섬유의 비율은, 상기 제 2 섬유층을 구성하는 섬유 중의 상기 보수성 섬유의 비율보다도 많고,The proportion of the water-retaining fibers in the fibers constituting the first fiber layer is greater than the proportion of the water-retaining fibers in the fibers constituting the second fiber layer,

상기 제 1 섬유층에 포함되는 적어도 일부의 상기 보수성 섬유는, 상기 섬유끼리의 교락(交絡) 부분 중 적어도 일부의 교락 부분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용융물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상기 흡수성 물품이다.At least a portion of the water-retaining fibers contained in the first fiber layer is the absorbent article in which at least some of the interlacing portions of the fibers are covered with the melt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s.

본 양태의 흡수성 물품은, 표면 시트에 있어서의 제 1 섬유층의 보수성 섬유의 비율이 제 2 섬유층의 보수성 섬유의 비율보다도 많게 되어 있는 데다가, 제 2 섬유층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적어도 일부가, 제 1 섬유층에 포함되는 섬유끼리의 교락 부분 중 적어도 일부의 교락 부분에 있어서, 보수성 섬유를 피복하는 용융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표면 시트가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포함하는 것이어도, 열가소성 수지 섬유가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기 어려워, 뻣뻣한 감촉이나 따끔따끔한 감촉 등의 불쾌한 자극을 착용자에게 주기 어렵게 할 수 있다.In the absorbent article of this embodiment, the proportion of water-retaining fibers in the first fibrous layer in the topsheet is greater than the proportion of water-retaining fibers in the second fibrous layer,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s contained in the second fibrous layer is Since at least some of the entangled parts of the fibers included in the fiber layer are molten material covering the water-retaining fibers, even if the top sheet contains thermoplastic resin fibers,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s are not attached to the wearer's skin. It is difficult to touch, and it can make it difficult to give an unpleasant stimulus, such as a stiff touch and a stinging touch, to a wearer.

또한, 본 양태의 흡수성 물품은, 제 1 섬유층에 포함되는 적어도 일부의 보수성 섬유가 섬유끼리의 교락 부분 중 적어도 일부의 교락 부분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용융물로 피복되어 있음으로써, 표면 시트 내의 섬유끼리의 교락이 풀리기 어렵게 되어 있는 동시에, 보수성 섬유가 파단되기 어렵게 되어 있기 때문에, 교락의 풀림이나 보수성 섬유의 파단에 기인하는 보수성 섬유의 보풀 일어남을 생기기 어렵게 할 수 있어, 당해 보풀 일어남에 의한 불쾌한 자극을 착용자에게 주기 어렵게 할 수 있다.Further, in the absorbent article of the present embodiment, at least some water-retaining fibers contained in the first fiber layer are coated with a melt of thermoplastic resin fibers in at least some of the interlacing portions of the fibers, so that the fibers in the topsheet Since the entanglement of the water retention fibers is difficult to unravel and the water retention fibers are difficult to break,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occurrence of fluffing of the water retention fibers due to the breakage of the entanglement or the breakage of the water retention fibers. This may make it difficult to give to the wearer.

따라서, 본 양태의 흡수성 물품은, 착용자의 피부에 불쾌한 자극을 주기 어려운, 감촉이 뛰어난 표면 시트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을 실현할 수 있다.Therefore, the absorbent article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realize an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 topsheet excellent in feel that is unlikely to cause unpleasant irritation to the wearer's skin.

또, 본 발명의 다른 양태(양태 2)에서는, 상기 양태 1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섬유는, 1가닥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가 복수 가닥의 상기 보수성 섬유와 교락하고 있고, 상기 1가닥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와 상기 복수 가닥의 상기 보수성 섬유와의 교락 부분의 각각은, 상기 1가닥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용융물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Further, in another aspect (Aspect 2)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bsorbent article of Aspect 1, in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 one thermoplastic resin fiber is entangled with a plurality of water-retaining fibers, and the one strand is Each of the entangled portions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s and the plurality of water-retaining fibers is covered with the melt of the one-stranded thermoplastic resin fibers.

본 양태의 흡수성 물품은, 1가닥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와 복수 가닥의 보수성 섬유와의 교락 부분의 각각이, 1가닥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용융물에 의해 피복되어 있음으로써, 복수 가닥의 보수성 섬유가 1가닥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개재하여 연결되기 때문에, 상술의 교락의 풀림이나 보수성 섬유의 파단에 기인하는 보풀 일어남을 보다 생기기 어렵게 할 수 있다.In the absorbent article of this embodiment, each of the entangled portions of the single thermoplastic resin fiber and the plurality of water-retaining fibers is coated with the melt of the single thermoplastic resin fiber, so that the plurality of water-retaining fibers is one strand. Since they are connected via a thermoplastic resin fiber of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양태 3)에서는, 상기 양태 1 또는 2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용융물이, 상기 제 1 섬유층의 피부측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지 않다.In another aspect (Aspect 3)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bsorbent article of Aspect 1 or 2, the melt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s is not exposed to the skin-side surface of the first fiber layer.

본 양태의 흡수성 물품은,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용융물이 제 1 섬유층의 피부측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당해 용융물의 존재가 착용자에게 감지되기 어려워, 표면 시트의 양호한 감촉을 보다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In the absorbent article of this embodiment, since the melt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s is not exposed on the skin-side surface of the first fiber layer, the presence of the melt is hardly perceived by the wearer, and a good feel of the topsheet can be more reliably obtained. there is.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양태 4)에서는, 상기 양태 1∼3 중 어느 것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 1 섬유층에 포함되는 상기 보수성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보다도 짧다.In another aspect (Aspect 4)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any one of Aspects 1 to 3, at least the average fiber length of the water-retaining fibers contained in the first fiber layer is the average fiber length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s. shorter than

본 양태의 흡수성 물품은, 제 1 섬유층에 포함되는 보수성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가 제 2 섬유층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보다도 짧음으로써, 제 2 섬유층에 포함되는 1가닥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에 접하는 제 1 섬유층의 보수성 섬유의 수가 많아지기 때문에, 당해 보수성 섬유 1가닥당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용융물의 부착량을 많게 할 수 있어, 상술의 보수성 섬유의 보풀 일어남을 보다 생기기 어렵게 할 수 있다.In the absorbent article of this embodiment, the average fiber length of the water-retaining fibers included in the first fiber layer is shorter than the average fiber length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s included in the second fiber layer, so that the single thermoplastic resin fiber included in the second fiber layer is Since the number of water-retaining fibers in the contacting first fiber layer increases, the amount of adhesion of the melt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s per strand of the water-retaining fibers can be increased, and the above-mentioned water-retaining fibers can be less prone to fluffing.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양태 5)에서는, 상기 양태 1∼4 중 어느 것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 1 섬유층에 포함되는 상기 보수성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가 5mm 이상 35mm 미만이다.In another aspect (Aspect 5)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bsorbent article of any of Aspects 1 to 4, the average fiber length of the water-retaining fibers contained in at least the first fiber layer is 5 mm or more and less than 35 mm.

본 양태의 흡수성 물품은, 제 1 섬유층에 포함되는 보수성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가 상기 특정의 범위 내이기 때문에, 상술의 보수성 섬유의 보풀 일어남을 생기기 어렵게 하면서도, 보수성 섬유의 유연성이나 텍스쳐를 유지하기 쉬워, 결과적으로, 표면 시트의 감촉을 보다 뛰어난 것으로 할 수 있다.In the absorbent article of this embodiment, since the average fiber length of the water-retaining fibers contained in the first fiber layer is within the specified range, it is easy to maintain the flexibility and texture of the water-retaining fibers while making the above-mentioned fluffing of the water-retaining fibers less likely to occur. ,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make the surface sheet feel more excellent.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양태 6)에서는, 상기 양태 1∼5 중 어느 것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섬유가 복합 섬유이고, 상기 복합 섬유는, 융점이 낮은 수지 성분이 상기 복합 섬유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다.In another aspect (Aspect 6)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bsorbent article of any of Aspects 1 to 5,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 is a composite fiber, and the composite fiber has a low melting point resin component on the surface of the composite fiber. is exposed to

본 양태의 흡수성 물품은, 열가소성 수지 섬유가 복합 섬유이기 때문에, 섬유 표면에 노출되는 융점이 낮은 수지 성분(예를 들면, 심초(core-sheath)형 복합 섬유의 경우는 초부(sheath)를 구성하는 수지 성분,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복합 섬유의 경우는 한쪽측의 수지 성분)이 용융하여 보수성 섬유를 피복하는 한편, 융점이 높은 수지 성분(예를 들면, 심초형 복합 섬유의 경우는 심부를 구성하는 수지 성분,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복합 섬유의 경우는 다른쪽측의 수지 성분)이 보수성 섬유나 다른 복합 섬유와 교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표면 시트로서 소정의 부피를 유지할 수 있다.In the absorbent article of this embodiment, since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 is a composite fiber, a resin component with a low melting point exposed on the fiber surface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core-sheath type composite fiber, a sheath constituting the The resin component, or the resin component on one side in the case of a side-by-side type composite fiber, melts to cover the water-retaining fiber, while a resin component with a high melting point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core-sheath type composite fiber, a resin constituting the core) component, in the case of a side-by-side type composite fiber, the resin component on the other side) can maintain a state entangled with the water-retaining fiber or other composite fiber, and a predetermined volume can be maintained as a topsheet.

이것에 의해, 본 양태의 흡수성 물품은, 상술의 보수성 섬유의 보풀 일어남을 생기기 어렵게 하면서도, 표면 시트가 양호한 유연성이나 텍스쳐, 쿠션성 등을 확보하기 쉽게 되어 있다.Thereby, the absorbent article of this aspect makes it easy to ensure the softness|flexibility, texture, cushioning property, etc. with a good surface sheet|seat, while making it hard to produce the fluffing of the water-retaining fiber mentioned above.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양태 7)에서는, 상기 양태 1∼6 중 어느 것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는, 피부측의 표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움푹 패인 압착부를 갖는다.In still another aspect (Aspect 7)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bsorbent article of any of Aspects 1 to 6, the topsheet has a crimping portion recess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from the skin-side surface.

본 양태의 흡수성 물품은, 표면 시트가 엠보스 등에 의해 형성된 압착부를 갖고 있기 때문에, 당해 압착부가 보수성 섬유를 홀딩하여, 상술의 보수성 섬유의 보풀 일어남을 보다 생기기 어렵게 할 수 있다.In the absorbent article of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topsheet has a crimping portion formed by embossing or the like, the crimping portion holds the water-retaining fibers, making it less likely that the above-mentioned water-retaining fibers will fluff.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양태 8)에서는, 상기 양태 1∼7 중 어느 것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또한,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띄우고 위치하는 복수의 볼록부와,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또한, 서로 인접하는 볼록부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오목부를 갖는다.In another aspect (Aspect 8)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bsorbent article of any of aspects 1 to 7, the topsheet ext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bsorbent article, a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absorbent article. It has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bsorbent article and located between the convex portions adjacent to each other.

본 양태의 흡수성 물품은, 표면 시트가 상기 특정의 요철 구조를 갖고 있음으로써, 표면 시트의 피부측의 표면과 착용자의 피부와의 접촉 면적이 작게 되어 있기 때문에, 표면 시트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나 보수성 섬유의 보풀 일어남에 기인하는 불쾌한 자극이 착용자의 피부에 부여될 가능성을 더욱더 저감할 수 있다.In the absorbent article of this aspect, since the surface sheet on the skin side of the topsheet and the wearer's skin have a small contact area because the topsheet has the specific uneven structure,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s contained in the topsheet It is possible to further reduce the possibility that unpleasant irritation due to fluffing of the water-retaining fibers is imparted to the wearer's skin.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양태 9)에서는, 상기 양태 8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표면 시트의 비피부측에 위치하는 보조 시트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표면 시트는, 상기 복수의 오목부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보조 시트와 접합되어 있다.In another aspect (Aspect 9)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bsorbent article of Aspect 8, the absorbent article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sheet positioned on a non-skin side of the topsheet, wherein the topsheet comprises: Each of the plurality of recesses is joined to the auxiliary sheet.

본 양태의 흡수성 물품은, 표면 시트가 복수의 오목부의 각각에 있어서 보조 시트와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보조 시트와의 접합부가 보수성 섬유를 홀딩하여, 상술의 보수성 섬유의 보풀 일어남을 보다 생기기 어렵게 할 수 있다.In the absorbent article of this embodiment, since the topsheet is joined to the auxiliary sheet in each of the plurality of recesses, the joint with the auxiliary sheet holds the water-retaining fibers, making it less likely that the above-mentioned water-retaining fibers will fluff. there is.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양태 10)에서는, 상기 양태 1∼9 중 어느 것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보수성 섬유가 오가닉 코튼이다.In another aspect (Aspect 10) of this invention, in the absorbent article of any one of Aspects 1-9, the said water-retaining fiber is organic cotton.

본 양태의 흡수성 물품은, 보수성 섬유가 유연성이나 텍스쳐 등이 뛰어난 오가닉 코튼이기 때문에, 표면 시트가 양호한 유연성이나 텍스쳐 등을 확보하기 쉬워, 보다 뛰어난 감촉을 실현할 수 있다.In the absorbent article of this aspect, since the water-retaining fiber is organic cotton excellent in flexibility, texture, etc., the topsheet is easy to ensure good flexibility, texture, etc., and can realize a more excellent feel.

또, 표면 시트가 이와 같은 오가닉 코튼을 포함하고 있으면, 흡수성 물품의 착용자에 대해, 표면 시트에 천연 소재를 사용하고 있는 것에 의한 안도감을 양성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Moreover, when the topsheet contains such organic cotton, there is also an advantage that the wearer of the absorbent article can be nurtured with a sense of security by using a natural material for the topsheet.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양태 11)에서는, 상기 양태 1∼10 중 어느 것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제 2 섬유층의 섬유 밀도가, 상기 제 1 섬유층의 섬유 밀도보다도 크다.In another aspect (Aspect 11)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any one of Aspects 1 to 10, the fiber density of the second fiber layer is greater than the fiber density of the first fiber layer.

본 양태의 흡수성 물품은, 제 2 섬유층의 섬유 밀도가 제 1 섬유층의 섬유 밀도보다도 크게 되어 있음으로써, 제 2 섬유층을 구성하는 섬유가 서로 근접하고, 당해 제 2 섬유층에 있어서 모세관 현상을 보다 강하게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표면 시트의 피부측의 표면(즉, 제 1 섬유층의 피부측의 표면)으로 배설된 액상 배설물을 제 2 섬유층으로 재빠르게 끌어들일 수 있고, 또한, 제 2 섬유층으로 끌어들여진 액상 배설물을, 열가소성 수지 섬유에 의해 제 2 섬유층의 비피부측으로 신속하게 이행시킬 수 있다.In the absorbent article of this embodiment, since the fiber density of the second fiber layer is greater than that of the first fiber layer, the fibers constituting the second fiber layer are close to each other, and the capillary phenomenon is more strongly generated in the second fiber layer. Therefore, the liquid excreta excreted on the skin-side surface of the topsheet (that is, the skin-side surface of the first fiber layer) can be quickly drawn into the second fiber layer, and further, the liquid excretion drawn into the second fiber layer. can be rapidly transferred to the non-skin side of the second fiber layer by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s.

이것에 의해, 본 양태의 흡수성 물품은, 표면 시트를 감촉이 뛰어난 것으로 하면서도, 양호한 흡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Thereby, the absorbent article of this aspect can ensure favorable water absorption performance, making a top sheet|seat excellent in a feel.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양태 12)에서는, 상기 양태 1∼11 중 어느 것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제 2 섬유층의 상기 섬유간의 평균 거리가, 상기 제 1 섬유층의 상기 섬유간의 평균 거리보다도 짧다.In another aspect (Aspect 12)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bsorbent article of any of aspects 1 to 11, the average distance between the fibers of the second fibrous layer is shorter than the average distance between the fibers of the first fibrous layer.

본 양태의 흡수성 물품은, 제 2 섬유층의 섬유간의 평균 거리가 제 1 섬유층의 섬유간의 평균 거리보다도 짧게 되어 있음으로써, 제 2 섬유층을 구성하는 섬유가 서로 근접하여, 당해 제 2 섬유층에 있어서 모세관 현상을 보다 강하게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 1 섬유층의 피부측의 표면에 배설된 액상 배설물을 제 2 섬유층으로 재빠르게 끌어들일 수 있고, 또한, 제 2 섬유층으로 끌어들여진 액상 배설물을, 열가소성 수지 섬유에 의해 제 2 섬유층의 비피부측으로 신속하게 이행시킬 수 있다.In the absorbent article of this embodiment, the average distance between the fibers of the second fibrous layer is shorter than the average distance between the fibers of the first fibrous layer, so that the fibers constituting the second fibrous layer are close to each other and capillary phenomenon in the second fibrous layer. can be generated more strongly, so that the liquid excretion excreted on the skin-side surface of the first fiber layer can be quickly drawn into the second fiber layer, and the liquid excretion drawn into the second fiber layer can be absorbed by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 It can be rapidly transferred to the non-skin side of the second fibrous layer.

이것에 의해, 본 양태의 흡수성 물품은, 표면 시트를 감촉이 뛰어난 것으로 하면서도, 양호한 흡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Thereby, the absorbent article of this aspect can ensure favorable water absorption performance, making a top sheet|seat excellent in a feel.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양태 13)에서는, 상기 양태 1∼12 중 어느 것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폭 방향의 양단부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의 피부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사이드 시트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사이드 시트는, 습윤 시의 동마찰(動摩擦) 계수가 상기 표면 시트의 습윤 시의 동마찰 계수보다도 낮다.In another aspect (Aspect 13)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any one of aspects 1 to 12, the absorbent article has a pair of sides located on the skin side of the topsheet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It further includes a sheet, wherein the pair of side sheets has a coefficient of wet dynamic friction lower than that of the top sheet when wet.

본 양태의 흡수성 물품은, 착용자의 다리 주위의 피부에 닿기 쉬운 한 쌍의 사이드 시트가, 감촉이 뛰어난 표면 시트보다도 낮은 동마찰 계수를 갖고 있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으로서 더욱 매끄러운 감촉을 제공할 수 있다.In the absorbent article of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pair of side sheets that are easy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skin around the wearer's legs have a lower coefficient of kinetic friction than the topsheet with excellent feel,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moother feel as an absorbent article.

본 발명에 의하면, 착용자의 피부에 불쾌한 자극을 주기 어려운, 감촉이 뛰어난 표면 시트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ADVANTAGE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this invention, the absorbent article containing a topsheet excellent in a feel which is hard to give an unpleasant stimulation to a wearer's skin can be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생리용 패드(1)를, 전개한 상태에서 표면 시트(2)측으로부터 두께 방향(T)으로 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생리용 패드(1)의 II-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표면 시트(2)에 있어서의 제 1 섬유층(2a)의 요부(要部)를 확대한 모식도이다.
도 4(a)는, 표면 시트(2)의 확대 평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표면 시트(2)의 IVb-IV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표면 시트에 있어서의 제 1 섬유층의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과 비교예 1 및 2와의, 보풀 일어남의 발생 상황을 나타내는 비교 사진이다.
Fig. 1 is a plan view of a sanitary pad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topsheet 2 si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T in an expanded state.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the sanitary pad 1 in FIG. 1 .
FIG. 3 is an enlarged schematic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first fiber layer 2a of the topsheet 2 .
Fig. 4(a) is an enlarged plan view of the topsheet 2, and Fig. 4(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b-IVb of the topsheet 2 in Fig. 4(a).
Fig. 5 is an electron micrograph of the first fiber layer in the topsheet of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6 : is a comparative photograph which shows the generation|occurrence|production situation of fluffing with Example 1 of this invention, and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FIG.

이하,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전개한 상태에서 수평면상에 둔 대상물(예를 들면, 생리용 패드(흡수성 물품) 등)을, 수직 방향의 위쪽측으로부터 대상물의 두께 방향으로 보는 것」을, 단지 「평면시(平面視)」라고 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bsorbent article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in detail, referring drawing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unless otherwise specified, "an object placed on a horizontal surface in an unfolded state (for example, a sanitary pad (absorbent article), etc.) Seeing” is simply called “flat vis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생리용 패드(1)를, 전개한 상태에서 표면 시트(2)측으로부터 두께 방향(T)으로 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생리용 패드(1)의 II-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FIG. 1 is a plan view of a sanitary pad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topsheet 2 si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T in an expanded state. It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II-II line of the sanitary pad 1 .

본 실시 형태의 생리용 패드(1)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직교하는 길이 방향(L), 폭 방향(W) 및 두께 방향(T)을 갖고 있고, 또한, 폭 방향(W)의 중심을 지나고 또한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는 길이 방향 중심선(CL)(가상선)과, 길이 방향(L)의 중심을 지나고 또한 폭 방향(W)으로 연장되는 폭 방향 중심선(CW)(가상선)을 갖고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sanitary pad 1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longitudinal direction L, a width direction W, and a thickness direction T, which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and has a width direction. A longitudinal center line C L (virtual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W)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nd a width direction center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nd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W) (C W ) (virtual line).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생리용 패드(1)의 길이 방향(L)에 있어서, 폭 방향 중심선(CW)에 대해 상대적으로 근위측(近位側)을 길이 방향(L)의 안쪽측이라고 하고, 폭 방향 중심선(CW)에 대해 상대적으로 원위측(遠位側)을 길이 방향(L)의 바깥쪽측이라고 한다. 마찬가지로, 생리용 패드(1)의 폭 방향(W)에 있어서, 길이 방향 중심선(CL)에 대해 상대적으로 근위측을 폭 방향(W)의 안쪽측이라고 하고, 길이 방향 중심선(CL)에 대해 상대적으로 원위측을 폭 방향(W)의 바깥쪽측이라고 한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of the sanitary pad 1, the proximal side relative to the width direction center line C W is called the medial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nd , the distal side relative to the widthwise center line C W is called the out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Similarly, in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sanitary pad (1),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C L) relative to the proximal side and said inn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W), longitudinal center line for (C L) The distal side relatively to the lateral side is referred to as the ou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W).

또, 본 명세서에서는, 길이 방향(L) 및 폭 방향(W)을 포함하는 평면 내의 임의의 방향을 「평면 방향」이라고 한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arbitrary direction in the plane includ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nd the width direction W is called "planar direct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생리용 패드(1)의 두께 방향(T)에 있어서, 생리용 패드(1)의 착용 시에, 착용자의 피부면에 대해 상대적으로 근위측을 피부측이라고 하고, 생리용 패드(1)의 착용 시에, 착용자의 피부면에 대해 상대적으로 원위측을 비피부측이라고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T of the sanitary pad 1, when the sanitary pad 1 is worn, the relatively proximal side with respect to the wearer's skin surface is called the skin side, and the sanitary pad 1 is referred to as the skin side. When the pad 1 is worn, the side relatively distal to the skin surface of the wearer is referred to as the non-skin side.

또한, 이러한 용어의 정의는, 생리용 패드(1)를 구성하는 각종 부재나 생리용 패드(1) 이외의 흡수성 물품에도 마찬가지로 이용된다.In addition, the definition of such a term is similarly used also for the various members which comprise the sanitary pad 1, and absorbent articles other than the sanitary pad 1 .

[생리용 패드][menstrual pad]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생리용 패드(1)(본 발명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일례이다.)는, 평면시에서, 길이 방향(L)으로 길고 폭 방향(W)으로 짧은 대략 직사각형상의 형상으로서, 길이 방향(L)의 양단 가장자리가 길이 방향(L)의 바깥쪽측을 향하여 원호를 그리도록 돌출되는, 세로로 긴 형상을 갖고 있다.As shown in Fig. 1 , a sanitary pad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ample of the "absorbent article" in the present invention) is long and w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in plan view. It i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short in the direction W, and has a longitudinally elongate shape in which the both end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protrude so that an arc may be drawn toward the outer sid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또한, 생리용 패드(1)는,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에 있어서, 생리용 패드(1)의 폭 방향(W)에 있어서의 양단부가, 폭 방향(W)의 바깥쪽측을 향하여 대략 사다리꼴 형상을 형성하도록 돌출된, 한 쌍의 윙부(9, 9)를 갖고 있다.Further,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sanitary pad 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sanitary pad 1 face the ou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W. It has a pair of wing parts 9 and 9 which protrude so as to form a substantially trapezoidal shape toward the.

또한, 생리용 패드(1)의 평면시 형상은, 이와 같은 양태인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길이 방향(L)의 길이가 폭 방향(W)의 길이보다도 긴 세로로 긴 형상이면, 각종 사용 양태 등에 따른 임의의 형상(예를 들면, 장방형, 타원형, 모래시계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또, 윙부(9)의 형상도 상기의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반원 형상이나 반타원 형상 등의 형상이어도 된다.In addition, the planar shape of the sanitary pad 1 is not limited to such an aspect, and as long as th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is longer than the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W, it can be used in various usage modes, etc. Any shape (eg, rectangular, elliptical, hourglass-shaped, etc.) may be employed. Moreover, the shape of the wing part 9 is also not limited to said substantially trapezoidal shape, For example, shapes, such as a semicircle shape and a semi-ellipse shape, may be sufficient.

본 실시 형태의 생리용 패드(1)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께 방향(T)에 있어서, 생리용 패드(1)의 피부측의 표면을 형성하는 표면 시트(2)와, 생리용 패드(1)의 비피부측의 표면을 형성하는 이면 시트(3)와, 이들 양시트의 사이에 배치된 흡수체(4)를 기본 구성으로서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Fig. 2, the sanitary pad 1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topsheet 2 forming the skin-side surface of the sanitary pad 1 in the thickness direction T; A back sheet 3 forming the surface of the pad 1 on the non-skin side and an absorbent body 4 disposed between these two sheets are provided as a basic configuration.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생리용 패드(1)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께 방향(T)에 있어서 표면 시트(2)와 흡수체(4)의 사이에 배치된 보조 시트(5)와, 생리용 패드(1)의 폭 방향(W)의 양단부에 배치된 한 쌍의 사이드 시트(6, 6)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nitary pad 1 is an auxiliary sheet disposed between the topsheet 2 and the absorber 4 in the thickness direction T, as shown in FIGS. 1 and 2 . (5) and a pair of side sheets 6 and 6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sanitary pad 1 in the width direction W are further provided.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한 쌍의 사이드 시트(6, 6)의 각각은, 보조 시트(5)의 폭 방향(W)의 양단부의 각각이 비피부측으로 되접어 꺾여 이루어지는 한 쌍의 루프부(5L, 5L)의 비피부측의 표면에, 각 사이드 시트(6)의 폭 방향(W)의 안쪽측 단부의 피부측의 표면이 겹치도록 접합되어 있는 한편, 각 사이드 시트(6)의 폭 방향(W)의 바깥쪽측의 비피부측의 표면이 이면 시트(3)의 피부측의 표면에 접합되어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each of the pair of side sheets 6 and 6 has a pair of loop portions in which each of both ends of the auxiliary sheet 5 in the width direction W is folded back to the non-skin side. The width of each side sheet 6 is joined so that the skin side surface of the inner side edge part in the width direction W of each side sheet 6 overlaps with the non-skin side surface of 5L, 5L. The non-skin-side surface of the outer side in the direction W is joined to the skin-side surface of the back sheet 3 .

이하, 본 실시 형태의 생리용 패드(1)를 구성하는 각종 부재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various members constituting the sanitary pad 1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여기에서, 도 3은, 표면 시트(2)에 있어서의 제 1 섬유층(2a)의 요부를 확대한 모식도이고, 도 4(a)는, 표면 시트(2)의 확대 평면도이며, 도 4(b)는, 도 4(a)의 표면 시트(2)의 IVb-IV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Here, FIG. 3 is an enlarged schematic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first fiber layer 2a of the topsheet 2, FIG. 4(a) is an enlarged plan view of the topsheet 2, and FIG. 4(b). )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IVb-IVb line of the topsheet 2 in Fig. 4A.

[표면 시트] [Surface sheet]

표면 시트(2)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시에서, 생리용 패드(1)의 앞쪽측의 길이 방향 단부에서부터 뒤쪽측의 길이 방향 단부에 걸쳐 길이 방향(L)으로 연재(延在)하는, 대략 직사각형상의 세로로 긴 평면시 형상을 갖고 있다. 표면 시트(2)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생리용 패드(1)의 두께 방향(T)에 있어서 피부측의 위치에 배치되어, 착용자의 피부에 맞닿을 수 있는 접촉면(즉, 생리용 패드(1)의 피부측의 표면)을 형성하는, 액체 투과성의 시트상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 the topsheet 2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from the front side longitudinal end of the sanitary pad 1 to the rear longitudinal end of the sanitary pad 1 in plan view. ),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in a vertically long plan view. As shown in FIG. 2 , the topsheet 2 is disposed at a position on the skin si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T of the sanitary pad 1 and is a contact surface capable of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wearer's skin (that is, for sanitary use). It is constituted by a liquid-permeable sheet-like member forming the skin-side surface of the pad 1).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생리용 패드(1)의 길이 방향(L)에 있어서, 생리용 패드(1)의 착용 시에 착용자의 복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근위측이 되는 한쪽측을 앞쪽측이라고 하고, 착용자의 복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원위측이 되는 다른쪽측을 뒤쪽측이라고 한다. 이것에 관련하여, 생리용 패드(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 방향(L)에 있어서, 앞쪽측 영역(AF), 중앙 영역(AC) 및 뒤쪽측 영역(AB)을 갖는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of the sanitary pad 1, one side that is relatively proximal to the wearer's abdomen when the sanitary pad 1 is worn is referred to as the front side, The other side, which is distal to the wearer's abdomen, is referred to as the posterior side. In connection thereto, sanitary pad (1), as shown in Figure 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the front-side area (A F), the central area (A C) and the rear-side area (A B) has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표면 시트(2)는, 보수성 섬유(F1)를 포함하고 또한 표면 시트(2)의 피부측의 표면을 형성하는 제 1 섬유층(2a)과, 열가소성 수지 섬유(F2)와 보수성 섬유(F1)를 포함하고 또한 제 1 섬유층(2a)의 비피부측에 인접하여 표면 시트(2)의 비피부측의 표면을 형성하는 제 2 섬유층(2b)을 구비한 2층 구조의 시트상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And, in this embodiment, the topsheet 2, the water holding property and fiber (F 1) comprising the addition to the surface sheet 2, the first fiber layer (2a) which forms the surface of the skin side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s ( A second fibrous layer (2b) comprising F 2 ) and water-retaining fibers (F 1 ) and adjoining the non-skin side of the first fibrous layer (2a) and forming the non-skin-side surface of the topsheet (2). It is comprised by the sheet-like member of a two-layer structure.

또한, 표면 시트(2)는, 제 2 섬유층(2b)의 비피부측에, 1 또는 복수의 섬유층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전체로서 3층 또는 그 이상의 다층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된다.Further, the topsheet 2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fibrous layers on the non-skin side of the second fibrous layer 2b, or may have a multilayer structure of three or more layers as a whole.

(제 1 섬유층)(first fiber layer)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섬유층(2a)은, 보수성 섬유(F1)를 포함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fiber layer 2a contains water-retaining fibers F 1 .

보수성 섬유(F1)는, 수분을 흡수하고, 보유하는 성질(보수성)을 갖는 섬유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계 섬유 등을 들 수 있다.The water- retaining fiber (F 1 )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fiber having a property of absorbing and retaining water (water-retaining property),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cellulosic fibers and the like.

또한, 셀룰로오스계 섬유로는,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섬유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천연 셀룰로오스 섬유나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 정제 셀룰로오스 섬유, 반합성 셀룰로오스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천연 셀룰로오스 섬유로는, 식물 섬유, 예를 들면, 코튼 등의 종자모 섬유, 마 등의 인피(靭皮) 섬유, 마닐라마 등의 엽맥(葉脈) 섬유, 야자 등의 과실 섬유 등을 들 수 있다.Moreover, as a cellulose fiber, it will not restrict|limit especially if it is a fiber containing cellulose, For example, natural cellulose fiber, regenerated cellulose fiber, purified cellulose fiber, semi-synthetic cellulose fiber, etc. are mentioned. Examples of natural cellulose fibers include plant fibers, for example, seed hair fibers such as cotton, bast fibers such as hemp, leaf vein fibers such as manila hemp, and fruit fibers such as palms. .

또, 코튼(섬유)으로는, 예를 들면, 업랜드 코튼 등의 히르수툼종(種) 코튼, 바바덴스종 코튼, 아르보레움종 코튼, 헤르바케움종 코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코튼(섬유)으로는, 오가닉 코튼, 프리오가닉 코튼(상표)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단, 오가닉 코튼은, GOTS(Global Organic Textile Standard)의 인증을 받은 코튼을 의미한다.Moreover, as cotton (fiber), Hirsutum-type cotton, such as Upland cotton, Barbadens-type cotton, Arboreum-type cotton, Herbacheum-type cotton,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Moreover, as cotton (fiber), organic cotton, pre-organic cotton (trademark), etc. can also be used. However, organic cotton means cotton certified by GOTS (Global Organic Textile Standard).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로는, 레이온, 예를 들면, 비스코스로부터 얻어지는 비스코스 레이온이나 폴리노직, 모달, 셀룰로오스의 구리암모니아염 용액으로부터 얻어지는 구리암모니아 레이온(「큐프라」라고도 칭해진다) 등의 섬유를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regenerated cellulose fibers include fibers such as rayon, for example, viscose rayon obtained from viscose, polynosic, modal, and copper ammonia rayon obtained from a copper ammonia salt solution of cellulose (also referred to as “cupra”). .

정제 셀룰로오스 섬유로는, 리오셀, 구체적으로는, 펄프를 N-메틸모르폴린N-옥시드의 수용액에 용해시켜 방사 원액(도프)으로 하고, N-메틸모르폴린N-옥시드의 희박 용액 중에 압출(押出)하여 섬유로 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정제 셀룰로오스는, 예를 들면, 텐셀(상표)로서 시판되고 있다.As the purified cellulose fiber, lyocell, specifically, pulp is dissolved in an aqueous solution of N-methylmorpholine N-oxide to obtain a spinning dope solution, and in a dilute solution of N-methylmorpholine N-oxide. Extruded and made into a fiber, etc. are mentioned. In addition, purified cellulose is marketed as, for example, Tencel (trademark).

반합성 셀룰로오스 섬유로는, 예를 들면, 트리아세테이트나 디아세테이트 등의 아세테이트 섬유 등을 들 수 있다.As a semi-synthetic cellulose fiber, acetate fibers, such as a triacetate and diacetate,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상기한 각종 보수성 섬유 중에서도, 보수성 및 감촉의 관점에서, 보수성 섬유(F1)는, 천연 셀룰로오스 섬유가 바람직하고, 코튼이 보다 바람직하며, 오가닉 코튼이 더욱 바람직하다.Among the various water-retaining fibers described above, natural cellulose fibers are preferred, cotton is more preferred, and organic cotton is still more preferred from the viewpoints of water-retaining properties and texture, as for water-retaining fibers (F 1 ).

보수성 섬유(F1)가 유연성이나 텍스쳐 등이 뛰어난 오가닉 코튼이면, 표면 시트(2)가 양호한 유연성이나 텍스쳐 등을 확보하기 쉬워, 보다 뛰어난 감촉을 실현할 수 있다. 또, 표면 시트(2)가 이와 같은 오가닉 코튼을 포함하고 있으면, 생리용 패드(1)의 착용자에 대해, 표면 시트(2)에 천연 소재를 사용하고 있는 것에 의한 안도감을 양성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If the water-retaining fiber F 1 is organic cotton excellent in flexibility, texture, and the like, the topsheet 2 is easy to ensure good flexibility, texture, and the like, and a more excellent feel can be realized. Moreover, if the topsheet 2 contains such organic cotton, there is also an advantage that the wearer of the sanitary pad 1 can feel a sense of security by using a natural material for the topsheet 2 . .

(제 2 섬유층)(Second Fiber Layer)

상술과 같이 제 2 섬유층(2b)은, 열가소성 수지 섬유(F2)와 보수성 섬유(F1)를 포함하고 있다.A second fibrous layer (2b),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 thermoplastic resin fiber (F 2) and the water holding property and fiber (F 1).

열가소성 수지 섬유(F2)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섬유(일반적으로 소수성의 섬유)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열가소성 수지 섬유(F2)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에틸렌-초산(酢酸)비닐 공중합체(EVA) 등의 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 유산(PLA)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6-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계 수지 등의 공지의 수지를 들 수 있고, 이들 수지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2종류 이상의 수지를 병용해도 된다.The thermoplastic resin fiber (F 2 )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fiber (generally hydrophobic fiber) made of a thermoplastic resin. Examples of the thermoplastic resin forming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 (F 2 ) include olefin resins such as polyethylene (PE), polypropylene (PP),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EVA), and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known resins such as polyester-based resins such as phthalate (PET) and polylactic acid (PLA), and polyamide-based resins such as 6-nylon. You can do it.

또, 열가소성 수지 섬유(F2)의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PET(심부)/PE(초부)나 PP(심부)/PE(초부) 등의 심초형 복합 섬유,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복합 섬유, 해도형(海島型) 복합 섬유 등의 복합 섬유; 중공 타입의 섬유; 편평, Y자형, C자형 등의 이형 단면형 섬유; 잠재권축(潛在捲縮) 또는 현재권축(顯在捲縮)의 입체권축 섬유; 수류(水流), 열, 엠보스 가공 등의 물리적 부하에 의해 분할하는 분할 섬유 등을 들 수 있고, 이러한 구조를 갖는 섬유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2종류 이상의 섬유를 병용해도 된다.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 (F 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PET (core) / PE (sheath) or PP (core) / PE (sheath) core-sheath type conjugated fibers, such as, side-by- Conjugate fibers, such as a side type composite fiber and a sea-island type composite fiber; hollow fiber; irregular cross-sectional fibers such as flat, Y-shaped, and C-shaped; three-dimensional crimped fibers of latent crimping or current crimping; and split fibers divided by physical load such as water flow, heat, and embossing. Fibers having such a structur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ypes of fibers.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생리용 패드(1)에 있어서는, 제 2 섬유층(2b)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F2)는, PP(심부)/PE(초부)의 심초형 복합 섬유이다.In addition, in the sanitary pad 1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s F 2 of the second fiber layer 2b are PP (core)/PE (sheath) core-sheath composite fibers.

또, 제 2 섬유층(2b)에 포함되는 보수성 섬유(F1)에 대해서는, 제 1 섬유층(2a)의 보수성 섬유(F1)와 마찬가지이다.The second is the same as the fibrous layer (2b) water retention fibers (F 1) for, water retention fibers of the first fiber layer (2a) (F 1) that is included in.

그리고, 표면 시트(2)를 구성하는 제 1 섬유층(2a) 및 제 2 섬유층(2b)에 있어서는, 제 1 섬유층(2a)을 구성하는 섬유 중의 보수성 섬유(F1)의 비율이, 제 2 섬유층(2b)을 구성하는 섬유 중의 보수성 섬유(F1)의 비율보다도 많게 되어 있다. 그것에 의해, 표면 시트(2)가 열가소성 수지 섬유(F2)를 포함하는 것이어도, 열가소성 수지 섬유(F2)가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기 어려워, 뻣뻣한 감촉이나 따끔따끔한 감촉 등의 불쾌한 자극을 착용자에게 주기 어렵게 할 수 있다.Further, in the first fiber layer 2a and the second fiber layer 2b constituting the topsheet 2, the ratio of water-retaining fibers F 1 in the fibers constituting the first fiber layer 2a is determined by the second fiber layer. (2b) is larger than the ratio of the water-retaining fibers (F 1 ) in the fibers constituting the fibers. Thereby, the top sheet (2) is a thermoplastic resin fiber (F 2) that even if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s (F 2) is less likely to contact the skin of the wearer including the wearer an unpleasant stimulus, such as a stiff texture or sting irritated feeling It can make it difficult to give

또, 제 1 섬유층(2a)을 구성하는 섬유 중의 보수성 섬유(F1)의 비율은, 표면 시트(2)의 감촉을 높이는 관점에서, 제 1 섬유층(2a)의 전체 구성 섬유(후술하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F2)의 용융물을 제외한다.)의 합계 질량에 대해, 70 질량%∼100 질량%가 바람직하고, 80 질량%∼100 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며, 90 질량%∼100 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보수성 섬유(F1)의 비율을 70 질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착용자가 제 1 섬유층(2a)에 의해 형성되는 표면 시트(2)의 피부측의 표면을, 보수성 섬유(F1)를 포함하는 것으로 인식하기 쉬워져, 닿는 느낌이 좋음을 실감하기 쉬워진다.In addition, the ratio of water-retaining fibers (F 1 ) in the fibers constituting the first fiber layer 2a is, from the viewpoint of enhancing the feel of the topsheet 2, all the constituent fibers of the first fiber layer 2a (a thermoplastic resin to be described later). With respect to the total mass of the fiber (F 2 , excluding the melt), 70 mass % to 100 mass % is preferable, 80 mass % to 100 mass % is more preferable, and 90 mass % to 100 mass % is further desirable. By setting the proportion of water-retaining fibers (F 1 ) to 70 mass% or more, the wearer assumes that the skin-side surface of the topsheet 2 formed by the first fiber layer 2a contains water-retaining fibers (F 1 ). It becomes easy to recognize, and it becomes easy to realize the good feeling of touch.

또한, 제 1 섬유층(2a)을 구성하는 섬유 중, 보수성 섬유(F1) 이외의 섬유는, 액체 투과성을 갖는 층을 형성 가능한 섬유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제 2 섬유층(2b)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F2)와 마찬가지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In addition, among the fibers constituting the first fibrous layer 2a, fibers other than the water-retaining fibers F 1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y are fibers capable of forming a layer having liquid permeability, for example, the second fibrous layer 2b) The same thermoplastic resin fibers as those contained in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s (F 2 ) may be included.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섬유층(2a)은, 보수성 섬유(F1)의 비율이 100 질량%이고, 당해 보수성 섬유(F1) 이외의 섬유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fiber layer 2a has a ratio of water-retaining fibers (F 1 ) of 100 mass% and contains no fibers other than the water-retaining fibers (F 1 ).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 2 섬유층(2b)의 보수성 섬유(F1)의 평균 섬유 길이가, 제 1 섬유층(2a)의 보수성 섬유(F1)의 평균 섬유 길이보다도 짧게 되어 있다. 그것에 의해, 적어도 제 2 섬유층(2b)을 구성하는 섬유가 서로 근접하기 쉬워(즉, 섬유간 거리가 짧아지기 쉬워), 모세관 현상이 보다 강하게 발생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경혈이나 소변 등의 액상 배설물을 제 2 섬유층(2b)으로 보다 강하게 끌어들일 수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verage fiber length of the water-retaining fibers F 1 of the second fibrous layer 2b is shorter than the average fiber length of the water-retaining fibers F 1 of the first fibrous layer 2a. As a result, at least the fibers constituting the second fibrous layer 2b are more likely to come close to each other (that is, the distance between the fibers is likely to be shortened) and capillary action is more likely to occur. It can be drawn more strongly into the second fibrous layer 2b.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섬유층(2a)에 포함되는 적어도 일부의 보수성 섬유(F1)는, 섬유끼리의 교락 부분(PE) 중 적어도 일부의 교락 부분(PE)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 섬유(F2)의 용융물(F2M)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3, the at least a portion of the water holding property and fiber (F 1) included in the first fiber layer (2a), in the bridging portion between the fibers (P E) bridging portion of the at least a portion (P E), thermoplastic It is coated with a melt F 2M of resin fibers F 2 .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생리용 패드(1)는, 표면 시트(2)에 있어서의 제 1 섬유층(2a)의 보수성 섬유(F1)의 비율이 제 2 섬유층(2b)의 보수성 섬유(F1)의 비율보다도 많게 되어 있는 데다가, 제 2 섬유층(2b)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F2)의 적어도 일부가, 제 1 섬유층(2a)에 포함되는 섬유끼리의 교락 부분(PE) 중 적어도 일부의 교락 부분(PE)에 있어서, 보수성 섬유(F1)를 피복하는 용융물(F2M)로 되어 있기 때문에, 표면 시트(2)가 열가소성 수지 섬유(F2)를 포함하는 것이어도, 열가소성 수지 섬유(F2)가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기 어려워, 뻣뻣한 감촉이나 따끔따끔한 감촉 등의 불쾌한 자극을 착용자에게 주기 어렵게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sanitary pad 1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ratio of water-retaining fibers (F 1 ) of the first fiber layer (2a) in the topsheet (2) is equal to that of the water-retaining fibers (F) of the second fiber layer (2b). foresight, which is larger than the ratio of 1), the second fiber layer (2b) entangled portion (P E) of the fibers contained in at least a portion of thermoplastic resin fibers (F 2), a first fiber layer (2a) included in one may be those including, water retention fibers (F 1) the melt because it is a (F 2M), the top sheet (2) is a thermoplastic resin fiber (F 2) for covering at least in part bridging portion (P E)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 (F 2 ) is difficult to contact with the wearer's skin, and may make it difficult to give an unpleasant stimulus such as a stiff touch or a stinging touch to the wearer.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생리용 패드(1)는, 제 1 섬유층(2a)에 포함되는 적어도 일부의 보수성 섬유(F1)가 섬유끼리의 교락 부분(PE) 중 적어도 일부의 교락 부분(PE)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 섬유(F2)의 용융물(F2M)로 피복되어 있음으로써, 표면 시트(2) 내의 섬유끼리의 교락이 풀리기 어렵게 되어 있는 동시에, 보수성 섬유(F1)가 파단되기 어렵게 되어 있기 때문에, 교락의 풀림이나 보수성 섬유(F1)의 파단에 기인하는 보수성 섬유(F1)의 보풀 일어남을 생기기 어렵게 할 수 있어, 당해 보풀 일어남에 의한 불쾌한 자극을 착용자에게 주기 어렵게 할 수 있다.Further, in the sanitary pad 1 of the present embodiment, at least a part of the water-retaining fibers F 1 included in the first fiber layer 2a is at least a part of the entangling part P among the entangling parts P E between the fibers. In E ), by being coated with the melt F 2M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s F 2 , the entanglement between the fibers in the topsheet 2 is difficult to unravel, and the water-retaining fibers F 1 are less likely to break. , can be less likely to develop a magnetic brush rise of conservatism fiber (F 1) resulting from the breaking of the bridging loosening or water retention fibers (F 1), it is possible to art fluff difficult give unpleasant irritation by occurs to the wearer because it is .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생리용 패드(1)는, 착용자의 피부에 불쾌한 자극을 주기 어려운, 감촉이 뛰어난 표면 시트(2)를 포함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Accordingly, the sanitary pad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he topsheet 2 having an excellent feel that is unlikely to cause unpleasant irritation to the wearer's skin.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교락 부분은, 섬유끼리가 교락하고 있는 부분을 가리키며, 교락점 및 당해 교락점의 주변을 포함하는 부분이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bridging part refers to the part where fibers are entangled, and is a part including the junction point and the periphery of the said junction point.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용융물은, 용융 상태를 거쳐 응고한 상태인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a molten material means that it is a solidified state through a molten state.

또, 상술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표면 시트(2)의 제 2 섬유층(2b)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F2)로서, 심초형 복합 섬유가 이용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표면 시트(2)는, 심초형 복합 섬유의 융점이 낮은 수지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초부가 용융하여 보수성 섬유(F1)를 피복하는 한편, 융점이 높은 수지로 이루어지는 심부가 보수성 섬유(F1)나 다른 심초형 복합 섬유(열가소성 수지 섬유(F2))와 교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표면 시트로서 소정의 부피를 유지할 수 있다.Further,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a core-sheath type composite fiber is used as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 F 2 contained in the second fiber layer 2b of the topsheet 2 . As a result, in the topsheet 2, the core sheath type composite fiber made of a resin component with a low melting point melts to cover the water-retaining fiber (F 1 ), while the core portion composed of a resin with a high melting point melts the water-retaining fiber (F). 1 ) or another core-sheath type composite fiber (thermoplastic resin fiber (F 2 )) and entangled state can be maintained, and a predetermined volume can be maintained as a topsheet.

또한, 열가소성 수지 섬유로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복합 섬유와 같은, 융점이 낮은 수지 성분이 복합 섬유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는 복합 섬유를 이용한 경우도, 상기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Also, when a composite fiber having a low melting point resin component exposed on the surface of the composite fiber, such as a side-by-side composite fiber, is used as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 the same effects as described above can be exhibited.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술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F2)는, 1가닥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F2)가 복수 가닥의 보수성 섬유(F1)와 교락하고 있고, 또한, 당해 1가닥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F2)와 복수 가닥의 상기 보수성 섬유(F1)와의 교락 부분(PE)의 각각은, 당해 1가닥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F2)의 용융물(F2M)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above-described thermoplastic resin fiber (F 2 ), one thermoplastic resin fiber (F 2 ) is entangled with a plurality of water-retaining fibers (F 1 ), and the one strand each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 (F 2) and entangled portions (P E) with the water holding property and fiber (F 1) of a plurality of strands, is covered with a molten material (F 2M)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 (F 2) of that first strand there is.

이와 같이, 1가닥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F2)와 복수 가닥의 보수성 섬유(F1)와의 교락 부분(PE)의 각각이, 1가닥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F2)의 용융물(F2M)에 의해 피복되어 있으면, 복수 가닥의 보수성 섬유(F1)가 1가닥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F2)를 개재하여 연결되기 때문에, 상술한 교락의 풀림이나 보수성 섬유(F1)의 파단에 기인하는 보풀 일어남을 보다 생기기 어렵게 할 수 있다.Thus, the melt of the first strand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 (F 2) and a plurality of strands of conservatism fiber (F 1) between the bridging portion, first strand thermoplastic resin fibers (F 2) for each (P E) (F 2M) When coated with, since a plurality of water-retaining fibers (F 1 ) are connected via a single thermoplastic resin fiber (F 2 ), the above-mentioned annealing of the entanglement or breakage of the water-retaining fibers (F 1 ) It can make fluffing more difficult to occur.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용융물이 제 1 섬유층의 피부측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용융물이 제 1 섬유층의 피부측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지 않으면, 당해 용융물의 존재가 착용자에게 감지되기 어려워, 표면 시트의 양호한 감촉을 보다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melt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s is not exposed to the skin-side surface of the first fiber layer. If the melt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s is not exposed on the skin-side surface of the first fiber layer, the presence of the melt is hardly perceived by the wearer, and a good feel of the topsheet can be obtained more reliably.

제 1 섬유층(2a)의 보수성 섬유(F1)의 섬유 길이(평균 섬유 길이)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적어도 제 1 섬유층(2a)에 포함되는 보수성 섬유(F1)의 평균 섬유 길이가, 열가소성 수지 섬유(F2)의 평균 섬유 길이보다도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섬유층(2a)에 포함되는 보수성 섬유(F1)의 평균 섬유 길이가 제 2 섬유층(2b)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F2)의 평균 섬유 길이보다도 짧으면, 제 2 섬유층(2b)에 포함되는 1가닥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F2)에 접하는 제 1 섬유층(2a)의 보수성 섬유(F1)의 수가 많아지기 때문에, 당해 보수성 섬유 1가닥당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F2)의 용융물(F2M)의 부착량을 많게 할 수 있어, 상술한 보수성 섬유(F1)의 보풀 일어남을 보다 생기기 어렵게 할 수 있다.The fiber length (average fiber length) of the water-retaining fibers (F 1 ) of the first fibrous layer 2a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mpaired, but at least the water-retaining fibers contained in the first fibrous layer 2a ( the average fiber length of the F 1), is preferably shorter than the average fiber length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 (F 2). If the average fiber length of the water-retaining fibers (F 1 ) included in the first fiber layer (2a) is shorter than the average fiber length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s (F 2 ) included in the second fiber layer (2b), the second fiber layer (2b) Since the number of water-retaining fibers (F 1 ) of the first fiber layer (2a) in contact with the contained one strand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 (F 2 ) increases, the melt (F)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s (F 2 ) per one strand of the water-retaining fiber (F 2 ).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dhesion amount of 2M), can make it difficult to occur than a magnetic brush occurs for the above-mentioned water retention fibers (F 1).

또한, 제 1 섬유층(2a)에 포함되는 보수성 섬유(F1)의 구체적인 평균 섬유 길이로는, 예를 들면, 5mm∼80mm(즉 5mm 이상 80mm 이하)의 평균 섬유 길이를 들 수 있다. 보수성 섬유(F1)의 평균 섬유 길이가 5mm 이상이면, 보수성 섬유(F1)의 유연성이나 텍스쳐를 유지하기 쉬운 데다가, 섬유끼리가 교락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충분한 강도가 얻어지기 쉬워진다. 한편, 보수성 섬유(F1)의 평균 섬유 길이가 80mm 이하이면, 일부의 보수성 섬유(F1)가 생리용 패드(1)의 폭 방향(W)의 바깥쪽측으로 연장되어 나오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당해 폭 방향(W)의 바깥쪽측으로 연장되어 나온 보수성 섬유(F1)를 타고 액상 배설물이 생리용 패드(1)의 폭 방향(W)으로부터 새어 나오는 것을 발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a specific average fiber length of the water-retaining fiber F 1 contained in the 1st fiber layer 2a, the average fiber length of 5 mm - 80 mm (that is, 5 mm or more and 80 mm or less) is mentioned, for example. Since the fiber is water-holding ability of the average fiber length (F 1) at least 5mm, water retention foresight fiber (F 1) easy to maintain the flexibility and texture of fibers is easily entangled, it is likely that sufficient strength is obtained. On the other hand, an average fiber length of the water holding property and fiber (F 1) becomes difficult to come out is less than 80mm, a part of water retention fibers (F 1) is extended toward the outside in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sanitary pad (1), the art It can be difficult to occur that the liquid excrement leaks from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sanitary pad (1) on the water-retaining fiber (F 1 ) extending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W).

또한, 제 1 섬유층(2a)에 포함되는 보수성 섬유(F1)의 평균 섬유 길이는, 5mm 이상 6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mm 이상 35mm 미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 1 섬유층(2a)에 포함되는 보수성 섬유(F1)의 평균 섬유 길이가 5mm 이상 35mm 미만이면, 상술의 보수성 섬유(F1)의 보풀 일어남을 생기기 어렵게 하면서도, 보수성 섬유(F1)의 유연성이나 텍스쳐를 유지하기 쉬워, 결과적으로, 표면 시트(2)의 감촉을 보다 뛰어난 것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verage fiber length of the water-retaining fibers F 1 contained in the first fiber layer 2a is preferably 5 mm or more and 60 mm or less, and more preferably 5 mm or more and less than 35 mm. If the average fiber length of the water-retaining fibers (F 1 ) included in the first fiber layer (2a) is 5 mm or more and less than 35 mm, it is difficult to cause fluffing of the water-retaining fibers (F 1 ) described above, but the flexibility of the water-retaining fibers (F 1 ) However, it is easy to maintain the texture, and as a result, the feel of the topsheet 2 can be made more excellent.

또한, 제 1 섬유층(2a)에 있어서의 보수성 섬유(F1) 이외의 섬유에 있어서의 섬도(纖度), 평균 섬유 길이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보수성 섬유(F1)의 감촉에의 영향 등을 고려하여, 보수성 섬유(F1)와 동일한 정도(0.5배∼2배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술과 같이 제 1 섬유층(2a)은, 보수성 섬유(F1) 이외의 섬유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In addition, although fineness, average fiber length, etc. in fibers other than the water-retaining fibers (F 1 ) in the first fiber layer (2a)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effect of the water-retaining fibers (F 1 ) on the feel Considering the like, it is preferable to have the same degree as the water-retaining fiber (F 1 ) (within the range of 0.5 to 2 times).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fiber layer 2a does not contain fibers other than the water-retaining fibers F 1 .

제 2 섬유층(2b)을 구성하는 섬유 중의 보수성 섬유(F1)의 비율은, 제 1 섬유층(2a)의 보수성 섬유(F1)의 비율보다도 적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제 2 섬유층(2b)의 보수성 섬유(F1)의 비율로는, 예를 들면, 제 2 섬유층(2b)의 전체 구성 섬유의 합계 질량에 대해, 50 질량%∼90 질량%를 들 수 있다. 보수성 섬유(F1)의 비율이 50 질량% 이상이면, 두께 방향(T)으로 압력이 가해진 상태에서의 닿는 느낌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고, 보수성 섬유(F1)의 비율이 90 질량% 이하이면, 열가소성 수지 섬유(F2)의 용융물(F2M)에 의한 보풀 일어남을 방지하는 효과가 보다 안정적으로 발휘된다. The proportion of the water-retaining fibers (F 1 ) in the fibers constituting the second fibrous layer (2b)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less than the proportion of the water-retaining fibers (F 1 ) of the first fibrous layer (2a). The ratio of the water-retaining fibers F 1 in the second fiber layer 2b is, for example, 50 mass% to 90 mass% with respect to the total mass of all constituent fibers of the second fiber layer 2b. When the proportion of the water-retaining fibers (F 1 ) is 50 mass% or more, the contact feeling in a state in which pressure is appli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T) can be made good, and when the proportion of the water-retaining fibers (F 1 ) is 90 mass% or less , the effect of preventing fluffing by the melt (F 2M )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 (F 2 ) is more stably exhibited.

또한, 이 제 2 섬유층(2b)의 보수성 섬유(F1)의 비율은, 60 질량%∼85 질량%가 바람직하고, 70 질량%∼80 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그것에 대응하여, 제 2 섬유층(2b)에 있어서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F2)의 비율은, 예를 들면, 제 2 섬유층(2b)의 전체 구성 섬유의 합계 질량에 대해 10 질량%∼50 질량%를 들 수 있고, 15 질량%∼40 질량%가 바람직하며, 20 질량%∼30 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Moreover, 60 mass % - 85 mass % are preferable, and, as for the ratio of the water-retaining fiber (F 1) of this 2nd fiber layer 2b, 70 mass % - 80 mass % are more preferable. Correspondingly, the proportion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s (F 2 ) in the second fibrous layer 2b is, for example, 10% by mass to 50% by mass relative to the total mass of all constituent fibers of the second fibrous layer 2b. These are mentioned, 15 mass % - 40 mass % are preferable, and 20 mass % - 30 mass % are more preferable.

또한, 제 2 섬유층(2b)은, 보수성 섬유(F1) 및 열가소성 수지 섬유(F2) 외에, 제 3 섬유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In addition, the second fiber layer 2b may contain a third fiber in addition to the water-retaining fiber (F 1 ) and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 (F 2 ).

또한, 제 2 섬유층(2b)에 포함되는 보수성 섬유(F1)의 섬도는, 제 1 섬유층(2a)에 포함되는 보수성 섬유(F1)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the fiber fineness of the water-holding ability (F 1) contained in the second fibrous layer (2b) is also preferably the same as the first fibrous water retention fibers (F 1) contained in (2a).

제 2 섬유층(2b)의 보수성 섬유(F1)의 섬유 길이(평균 섬유 길이)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상술의 제 1 섬유층(2a)과 마찬가지로, 열가소성 수지 섬유(F2)의 평균 섬유 길이보다도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보수성 섬유(F1)의 평균 섬유 길이가 열가소성 수지 섬유(F2)의 평균 섬유 길이보다도 짧으면, 1가닥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F2)에 접하는 보수성 섬유(F1)의 수가 많아지기 때문에, 당해 보수성 섬유 1가닥당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F2)의 용융물(F2M)의 부착량을 많게 할 수 있어, 상술한 섬유끼리의 교락의 풀림이나 보수성 섬유(F1)의 파단을 보다 생기기 어렵게 할 수 있다.The fiber length (average fiber length) of the water-retaining fibers F 1 of the second fiber layer 2b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mpaired, but similarly to the above-described first fiber layer 2a, the thermoplastic resin It is preferably shorter than the average fiber length of the fibers (F 2 ). Since the water holding property and fiber (F 1) the average fiber length is the number of thermoplastic resin fibers (F 2) water-holding ability fiber (F 1) in contact with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 (F 2) of the average shorter than the fiber length, one strand of many of the ar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dhesion amount of the melt (F 2M )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s (F 2 ) per one strand of the water-retaining fibers, and it is possible to make it more difficult to produce the above-described entanglement between the fibers or breakage of the water-retaining fibers (F 1 ). .

또한, 제 2 섬유층(2b)에 포함되는 보수성 섬유(F1)의 구체적인 평균 섬유 길이로는, 예를 들면, 3mm∼40mm의 평균 섬유 길이를 들 수 있다. 보수성 섬유(F1)의 평균 섬유 길이가 3mm 이상이면, 보수성 섬유(F1)의 유연성이나 텍스쳐를 유지하기 쉬운 데다가, 섬유끼리가 교락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충분한 강도가 얻어지기 쉬워진다. 한편, 보수성 섬유(F1)의 평균 섬유 길이가 40mm 이하이면, 제 2 섬유층(2b)의 제조 중에 웹 상태의 섬유의 동적 자유도가 높고, 보수성 섬유(F1)가 열가소성 수지 섬유(F2)의 사이의 틈으로 들어가기 쉬워지기 때문에, 제 2 섬유층(2b)에 있어서의 섬유간 거리가 짧아지기 쉽고, 나아가서는 제 2 섬유층(2b)의 섬유 밀도가 높아지기 쉬워진다. In addition, as a specific average fiber length of the water-retaining fiber F 1 contained in the 2nd fiber layer 2b, the average fiber length of 3 mm - 40 mm is mentioned, for example. Since the fiber is water-holding ability of the average fiber length (F 1) at least 3mm, water retention foresight fiber (F 1) easy to maintain the flexibility and texture of fibers is easily entangled, it is likely that sufficient strength is obtained. On the other hand, if the average fiber length of the water-retaining fibers (F 1 ) is 40 mm or less, the dynamic freedom of the fibers in the web state during the production of the second fiber layer (2b) is high, and the water-retaining fibers (F 1 ) are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s (F 2 ) Since it is easy to enter the gap between the fibers, the distance between fibers in the second fibrous layer 2b is likely to be shortened, and further, the fiber density of the second fibrous layer 2b is likely to increase.

또한, 제 2 섬유층(2b)에 포함되는 보수성 섬유(F1)의 평균 섬유 길이는, 상술의 제 1 섬유층(2a)의 보수성 섬유(F1)와 마찬가지로,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5mm 이상 35mm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섬유층(2b)에 포함되는 보수성 섬유(F1)의 평균 섬유 길이가 이와 같은 범위 내에 있으면, 보수성 섬유(F1)의 유연성이나 텍스쳐를 유지하기 쉬워, 결과적으로, 표면 시트(2)의 감촉을 보다 뛰어난 것으로 할 수 있다.In the second as in the fiber layer (2b) water retention fibers (F 1) mean fiber length, water retention fibers (F 1) of the first fiber layer (2a) of the above in included in, but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5mm or more 35mm It is preferably less than. If the average fiber length of the water- retaining fibers F 1 included in the second fiber layer 2b is within such a range, it is easy to maintain the flexibility and texture of the water-retaining fibers F 1 , as a result, the surface sheet 2 The feel can be made more excellent.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적어도 제 2 섬유층(2b)에 포함되는 보수성 섬유(F1)로서, 평균 섬유 길이가 다른 2종류 이상의 보수성 섬유를 혼합한 혼합 보수성 섬유를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보수성 섬유는, 평균 섬유 길이가 긴 보수성 섬유로서, 평균 섬유 길이가 15mm∼40mm(바람직하게는, 20mm∼35mm)인 보수성 섬유와, 평균 섬유 길이가 짧은 보수성 섬유로서, 평균 섬유 길이가 3mm∼25mm(바람직하게는, 5mm∼20mm)인 보수성 섬유를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혼합 보수성 섬유를 제 2 섬유층(2b)의 보수성 섬유(F1)로서 이용하면, 평균 섬유 길이가 긴 보수성 섬유에 의해 제 2 섬유층(2b)의 보수성이나 감촉을 높이면서, 평균 섬유 길이가 짧은 보수성 섬유에 의해 제 2 섬유층(2b)의 섬유간 거리를 단축할 수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water-retaining fibers F 1 contained in at least the second fiber layer 2b, a mixed water-retaining fiber obtained by mixing two or more types of water-retaining fibers having different average fiber lengths may be used. For example, the water-retaining fibers are water-retaining fibers having a long average fiber length, and are water-retaining fibers having an average fiber length of 15 mm to 40 mm (preferably 20 mm to 35 mm), and water-retaining fibers having a short average fiber length, the average fiber length It is possible to mix and use water-retaining fibers of 3 mm to 25 mm (preferably 5 mm to 20 mm). When such a mixed water-retaining fiber is used as the water-retaining fiber (F 1 ) of the second fiber layer (2b), the water-retaining property and texture of the second fiber layer (2b) are increased by the water-retaining fiber having a long average fiber length, while the average fiber length is increased. The distance between the fibers of the second fibrous layer 2b can be shortened by the short water-retaining fibers.

또한, 제 2 섬유층(2b)이, 비피부측에 1 또는 복수의 섬유층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즉, 표면 시트(2)가 전체로서 3층 또는 그 이상의 다층 구조를 갖고 있는 경우, 액체 투과성을 보다 높이는 관점에서, 표면 시트(2)의 비피부측의 표면에 가까운 섬유층일수록, 보수성 섬유(F1)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고, 또한, 보수성 섬유(F1)의 평균 섬유 길이가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second fibrous layer 2b includes one or more fibrous layers on the non-skin side, that is, when the topsheet 2 has a multilayer structure of three or more layers as a whole, the liquid permeability is reduced. from the viewpoint than the height, the shorter the distance from the fibrous layer to the surface of the non-skin side of the top sheet 2, a water holding property and fiber (F 1) a relatively low proportion of the addition, the water holding property and fiber (F 1) preferably have a short average fiber length of do.

제 2 섬유층(2b)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F2)와 제 1 섬유층(2a)의 주요한 구성 섬유인 보수성 섬유(F1)의 서로 얽힘(絡合) 용이성, 즉, 제 1 섬유층(2a)으로부터의 액상 배설물의 이행의 용이성이나, 제 1 섬유층(2a)과 제 2 섬유층(2b) 사이의 층간 박리를 방지하는 관점에서, 제 2 섬유층(2b)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F2)의 섬도는, 제 1 섬유층(2a)의 보수성 섬유(F1)의 섬도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Ease of entanglement between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s (F 2 ) of the second fiber layer (2b) and the water-retaining fibers (F 1 ), which are the main constituent fibers of the first fiber layer (2a), that is, from the first fiber layer (2a) From the viewpoint of ease of transfer of the liquid excreta of the second fiber layer 2a and preventing delamination between the second fiber layer 2b, the fineness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s F 2 of the second fiber layer 2b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fineness of the water-retaining fibers F 1 of the first fibrous layer 2a is smaller than that of the water-retaining fibers F 1 .

또, 제 2 섬유층(2b)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F2)의 섬유 길이(평균 섬유 길이)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10mm∼80mm를 들 수 있다. 단, 제 2 섬유층(2b)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F2)와 제 1 섬유층(2a)의 주요한 구성 섬유인 보수성 섬유(F1)의 서로 얽힘 용이성, 즉, 제 1 섬유층(2a)으로부터의 액상 배설물의 이행의 용이성이나, 제 1 섬유층(2a)과 제 2 섬유층(2b) 사이의 층간 박리를 방지하는 관점에서, 제 2 섬유층(2b)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F2)의 평균 섬유 길이는, 제 1 섬유층(2a) 및 제 2 섬유층(2b)의 보수성 섬유(F1)의 평균 섬유 길이와 비교하여 긴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15mm∼100mm의 평균 섬유 길이를 들 수 있다.In addition, the fiber length (average fiber length)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s (F 2 ) of the second fiber layer 2b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mpaired, for example, 10 mm to 80 mm can be mentioned. there is. However, the ease of entanglement between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s (F 2 ) of the second fiber layer ( 2b ) and the water-retaining fibers ( F 1 ), which are the main constituent fibers of the first fiber layer ( 2a ), that is, the liquid phase from the first fiber layer ( 2a ) The average fiber length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s (F 2 ) of the second fiber layer (2b) is, It is preferable to be longer than the average fiber length of the water-retaining fibers F 1 of the first fiber layer 2a and the second fiber layer 2b, for example, an average fiber length of 15 mm to 100 mm is mentioned.

제 1 섬유층(2a) 및 제 2 섬유층(2b)의 각각의 두께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0.05mm∼4mm의 두께를 들 수 있으며, 0.1mm∼3mm의 두께가 바람직하고, 0.2mm∼2mm의 두께가 보다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each of the first fibrous layer 2a and the second fibrous layer 2b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mpaired, and for example, a thickness of 0.05 mm to 4 mm is mentioned, and 0.1 mm The thickness of -3 mm is preferable, and the thickness of 0.2 mm-2 mm is more preferable.

단, 제 1 섬유층(2a)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껍고, 제 2 섬유층(2b)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경우는, 제 1 섬유층(2a)의 감촉을 양호하게 하고, 착용자의 피부로의 리웨트 백을 억제하기 쉬워지며, 또, 제 1 섬유층(2a)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고, 제 2 섬유층(2b)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운 경우는, 제 1 섬유층(2a)의 보수성 섬유(F1)가, 제 2 섬유층(2b)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F2)의 용융물(F2M)에 의해 피복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상술의 보수성 섬유(F1)에 의한 보풀 일어남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However, when the thickness of the first fibrous layer 2a is relatively thick a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fibrous layer 2b is relatively thin, the first fibrous layer 2a can feel good and the wearer's skin is rewetted. It is easy to suppress the bagging, and when the thickness of the first fiber layer 2a is relatively thin a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fiber layer 2b is relatively thick, the water-retaining fibers (F 1 ) of the first fiber layer 2a are relatively thick. Since it is easy to be coated with the melt F 2M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s F 2 of the second fiber layer 2b, fluffing caused by the water-retaining fibers F 1 can be more reliably suppressed. .

또, 표면 시트(2)의 두께(즉, 각 섬유층의 합계 두께)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0.1mm∼5mm의 두께를 들 수 있으며, 0.4mm∼4mm의 두께가 바람직하고, 0.8mm∼3mm의 두께가 보다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topsheet 2 (that is, the total thickness of each fiber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mpaired, and for example, a thickness of 0.1 mm to 5 mm is mentioned, and 0.4 The thickness of mm - 4 mm is preferable, and the thickness of 0.8 mm - 3 mm is more preferable.

여기에서, 섬유층과 같은 시트에 있어서의 섬유 종류의 비율은, 다음과 같이 하여 측정할 수 있다.Here, the ratio of the fiber types in the sheet such as the fiber layer can be measured as follows.

즉, 이하의 순서에 따라, 보수성 섬유 및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각각 다른 색으로 착색함으로써, 섬유 종류의 비율을 측정할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following procedure, by coloring the water-retaining fiber and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 in different colors, the ratio of the fiber type can be measured.

(1) 표면 시트(2)를 70mm×70mm의 크기로 잘라내어 시료로 한다.(1) The topsheet 2 is cut out to a size of 70 mm x 70 mm to be a sample.

(2) 시약 카야스테인Q(KayastainQ)(가부시키가이샤 시키센샤)로 착색 처리를 행함으로써, 보수성 섬유만 청색으로 염색하고, 열가소성 수지 섬유만 황색으로 착색한다.(2) By performing a coloring treatment with reagent KayastainQ (Shikisen, Inc.), only the water-retaining fibers are dyed blue, and only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s are colored yellow.

(3) 가부시키가이샤 키엔스 제조의 디지털 마이크로스코프 VHX-100으로, 시료의 피부측의 표면(제 1 섬유층(2a))에서 보았을 때의 청색과 황색의 비율을 50mm×50mm의 범위에서 측정하는 것으로, 제 1 섬유층(2a)에 있어서의 섬유 종류의 비율로 한다. 한편, 비피부측의 표면(제 2 섬유층(2b))에서 보았을 때의 청색과 황색의 비율을 50mm×50mm의 범위에서 측정하는 것으로, 제 2 섬유층(2b)에 있어서의 섬유 종류의 비율로 한다.(3) By measuring the ratio of blue to yellow when viewed from the skin-side surface (first fiber layer 2a) of the sample in the range of 50 mm x 50 mm with a digital microscope VHX-100 manufactured by Keyence Corporation. , the ratio of the types of fibers in the first fiber layer 2a. On the other hand, the ratio of blue and yellow when viewed from the surface of the non-skin side (second fiber layer 2b) is measured in the range of 50 mm x 50 mm, and the ratio of fiber types in the second fiber layer 2b is taken as .

또한, 섬유 종류의 비율의 대소 관계의 판단에 있어서는, 상기 청색과 황색의 비율의 대소 관계가 겉보기로 명확한 경우는, 그 겉보기로 판단할 수 있지만, 상기 청색과 황색의 비율의 대소 관계가 겉보기만으로 판단할 수 없는 경우는, 각각의 색으로 착색된 섬유의 가닥 수를 세어, 그 가닥 수와 각 섬유의 구조 특성(예를 들면, 섬유 길이나 섬도 등의 섬유의 사이즈, 비중 등)으로부터 각각의 섬유의 합계 질량을 산출하여, 그 합계 질량을 비교함으로써 판단할 수 있다.In judging the magnitude relationship of the ratio of fiber types, when the magnitude relationship of the ratio of blue and yellow is apparent, it can be judged by the appearance, but the magnitude relationship of the ratio of blue and yellow is only apparent. If it cannot be determined, count the number of strands of the fibers colored in each color, and determine the number of strands from the number of strands an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each fiber (for example, the size and specific gravity of fibers such as fiber length and fineness). It can be judged by calculating the total mass of a fiber and comparing the total mass.

또, 섬유층과 같은 시트에 있어서의 구성 섬유간의 거리는, 이하의 측정 방법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tance between constituent fibers in the same sheet|seat as a fiber layer can be measur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measuring method.

(1) 표면 시트(2)를 10mm×10mm의 크기로 잘라내어 시료로 한다.(1) The topsheet 2 is cut out to a size of 10 mm x 10 mm to be a sample.

(2) 가부시키가이샤 키엔스 제조의 디지털 마이크로스코프 VHX-100(렌즈 VH-Z20R+가변 조명 어태치먼트 VH-K20)을 사용하여, 촬영 배율: 200배, 측정 면적: 세로 1300㎛×가로 1735㎛으로, 표면 시트(2)의 피부측의 표면(제 1 섬유층(2a)) 및 비피부측의 표면(제 2 섬유층(2b))의 각각의 화상을 촬영한다. 그때, 피부측의 표면 및 비피부측의 표면의 각각에 대해, 깊이 0㎛∼100㎛의 범위에서, 깊이 20㎛마다 합계 5회, 화상을 촬영한다.(2) Using a digital microscope VHX-100 (lens VH-Z20R + variable illumination attachment VH-K20) manufactured by Keyence Corporation, photographing magnification: 200 times, measurement area: 1300 µm long × 1735 µm wide, the surface The respective images of the skin-side surface (the first fibrous layer 2a) and the non-skin-side surface (the second fibrous layer 2b) of the sheet 2 are taken. In that case, an image is image|photographed 5 times in total for every 20 micrometers in depth in the range of 0 micrometers - 100 micrometers in depth with respect to each of the surface on the skin side and the surface on the non-skin side.

(3) 얻어진 각 화상으로부터, 섬유가 존재하지 않는 부위의 면적을 구한다. 그때, 얻어진 각 화상에 있어서의 각 화소에서의 휘도가 소정의 휘도(역치)보다도 낮은지 높은지에 따라, 당해 화소에서의 섬유의 유무를 판정하고, 각 화상에서의 촬영 영역 내의 섬유의 유무를 판정한다. 단, 섬유가 존재하지 않는 부위만을 광이 투과하여 밝아지기 때문에(즉, 휘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그것을 이용하여 촬영 영역 내의 섬유가 존재하지 않는 부위의 면적을 구한다.(3) From each obtained image, the area of a site|part where a fiber does not exist is calculated|required. At that time, depending on whether the luminance in each pixel in each obtained image is lower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luminance (threshold),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fiber in the pixel is determined,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fiber in the photographing area in each image is determined. do. However, since only a portion in which no fibers are present is transmitted and brightened (that is, luminance is increased), the area of a portion in which no fibers are present in the imaging area is obtained using this.

(4) 구한 섬유가 존재하지 않는 부위의 면적을 촬영 영역의 면적(측정 면적)으로부터 감산하고, 또한 촬영 영역의 면적(측정 면적)으로 제산(除算)함으로써, 공극률을 산출한다. 이와 같은 계산을 깊이 20㎛마다의 화상에서 행하여, 5개의 공극률을 산출한다.(4) The porosity is calculated by subtracting the obtained area of the site in which fibers do not exist from the area (measured area) of the imaging region and dividing by the area (measured area) of the imaging region. Such a calculation is performed on the image of every 20 micrometers in depth, and five porosity is computed.

(5) 각각 산출한 5개의 공극률의 평균치를, 표면 시트(2)의 피부측의 표면(제 1 섬유층(2a)) 및 비피부측의 표면(제 2 섬유층(2b))의 각각의 공극률로 한다. 이 공극률의 대소를 비교함으로써, 섬유간 거리의 대소를 판단할 수 있다. 즉, 공극률이 큰 경우, 섬유간 거리가 크다는 것이 된다. 예를 들면, 표면 시트(2)의 피부측의 표면(제 1 섬유층(2a): 예를 들면 코튼 섬유(보수성 섬유) 100%의 표면)에서는, 공극률이 25.4%이고, 비피부측의 표면(제 2 섬유층(2b): 예를 들면 코튼 섬유(보수성 섬유) 60% 및 열가소성 수지 섬유 40%의 표면)에서는, 공극률이 24.5%이다.(5) The average of the five porosity values calculated respectively is the porosity of the skin-side surface (first fibrous layer 2a) and non-skin-side surface (second fibrous layer 2b) of the topsheet 2 do. By comparing the magnitude of this porosity, the magnitude of the distance between fibers can be judged. That is, when the porosity is large, the distance between fibers is large. For example, in the skin-side surface of the topsheet 2 (first fiber layer 2a: for example, a surface of 100% cotton fiber (water-retaining fiber)), the porosity is 25.4%, and the non-skin surface ( Second fiber layer 2b: For example, in the surface of 60% of cotton fibers (water-retaining fibers) and 40% of thermoplastic resin fibers), the porosity is 24.5%.

또, 섬유층과 같은 시트의 섬유의 섬유 길이(평균 섬유 길이)는, JIS L 1015:2010의 부속서 A의 「A7.1 섬유 길이의 측정」의 「A7.1.1 A법(표준법) 눈금이 붙은 유리판 상에서 개개의 섬유의 길이를 측정하는 방법」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1981년에 발행된 ISO 6989에 상당하는 시험 방법이다.In addition, the fiber length (average fiber length) of the fibers of the same sheet as the fiber layer is "A7.1.1 A method (standard method) scaled glass plate" of "A7.1 fiber length measurement" of Annex A of JIS L 1015:2010 It can be measured according to "Method for Measuring the Length of Individual Fibers in Phase". In addition, the said method is a test method equivalent to ISO 6989 issued in 1981.

또, 섬유층과 같은 시트의 평량(坪量)은, 이하의 측정 방법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즉, 1층분의 섬유층을 제작하고, 그 섬유층을 5cm×5cm의 크기로 잘라내어 시료로 하고, 100℃ 이상의 분위기하에서 건조 처리를 행한 후, 시료의 질량을 측정한다. 이어서, 측정한 질량을 시료의 면적으로 제산하여, 시료의 평량을 산출한다. 10개의 시료의 평량을 평균한 값을, 시트의 평량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asis weight of a sheet|seat like a fiber layer can be measur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measuring method. That is, a fibrous layer for one layer is prepared, the fibrous layer is cut into a size of 5 cm x 5 cm to be a sample, and after drying in an atmosphere of 100° C. or higher, the mass of the sample is measured. Next, the measured mass is divided by the area of the sample to calculate the basis weight of the sample. Let the value obtained by averaging the basis weights of ten samples be the basis weight of the sheet.

또, 섬유층과 같은 시트의 두께는, 이하의 측정 방법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즉, 가부시키가이샤 키엔스 제조의 디지털 마이크로스코프 VHX-100을 사용하여, 표면 시트(2)의 절단면에 대해 수직 방향에서의 확대 화상을 촬영한다. 이때, 확대 화상은, 표면 시트(2)의 두께 방향(T)의 전체가 촬영 가능하게 되는 바와 같은 배율로 확대된 화상이며, 확대 배율은, 예를 들면, 20배∼50배이다. 얻어진 확대 화상(3차원 화상)을 2차원 화상으로 변환하고, 그 2차원 화상에 있어서 각 섬유층의 두께를 측정한다. 개개의 3개소의 절단면에서 측정한 두께의 평균치를, 표면 시트(2)의 두께로 한다.In addition, the thickness of a sheet|seat like a fiber layer can be measur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measuring method. That is, an enlarged image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ut surface of the topsheet 2 is photographed using a digital microscope VHX-100 manufactured by Keyence Corporation. At this time, the enlarged image is an image enlarged at a magnification such that the entire thickness direction T of the topsheet 2 can be photographed, and the magnification is, for example, 20 to 50 times. The obtained enlarged image (three-dimensional image) is converted into a two-dimensional image, and the thickness of each fiber layer is measured in the two-dimensional image. Let the average value of the thicknesses measured at each of the three cut surfaces be the thickness of the topsheet 2 .

또, 상술의 실시 형태의 생리용 패드(1)에 있어서는, 제 2 섬유층(2b)의 구성 섬유간의 평균 거리가, 제 1 섬유층(2a)의 구성 섬유간의 평균 거리보다도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섬유층(2b)의 구성 섬유간의 평균 거리가 제 1 섬유층(2a)의 구성 섬유간의 평균 거리보다도 짧게 되어 있으면, 제 2 섬유층(2b)을 구성하는 섬유가 서로 근접하여, 당해 제 2 섬유층(2b)에 있어서 모세관 현상을 보다 강하게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 1 섬유층(2a)의 피부측의 표면에 배설된 액상 배설물을 제 2 섬유층(2b)으로 재빠르게 끌어들일 수 있고, 또한, 제 2 섬유층(2b)으로 끌어들여진 액상 배설물을, 열가소성 수지 섬유(F2)에 의해 제 2 섬유층(2b)의 비피부측으로 신속하게 이행시킬 수 있다.Further, in the sanitary pad 1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average distance between the constituent fibers of the second fibrous layer 2b is shorter than the average distance between the constituent fibers of the first fibrous layer 2a. If the average distance between the constituent fibers of the second fibrous layer 2b is shorter than the average distance between the constituent fibers of the first fibrous layer 2a, the fibers constituting the second fibrous layer 2b are close to each other, and the second fibrous layer ( Since capillary action can be generated more strongly in 2b), the liquid excreta excreted on the skin-side surface of the first fibrous layer 2a can be quickly drawn into the second fibrous layer 2b, and further, the second fibrous layer The liquid excrement drawn in in (2b) can be rapidly transferred to the non-skin side of the second fiber layer 2b by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s F 2 .

따라서, 이러한 구성을 구비한 생리용 패드(1)는, 표면 시트(2)를 감촉이 뛰어난 것으로 하면서도, 양호한 흡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anitary pad 1 having such a configuration can ensure good absorption performance while making the topsheet 2 excellent in feel.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생리용 패드(1)에 있어서는, 제 2 섬유층(2b)의 섬유 밀도가, 제 1 섬유층(2a)의 섬유 밀도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 1 섬유층(2a)으로부터 제 2 섬유층(2b)을 향해 섬유 밀도가 높아지도록, 섬유 밀도의 구배가 표면 시트(2)의 두께 방향(T)으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sanitary pad 1 of this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fiber density of the second fibrous layer 2b is greater than that of the first fibrous layer 2a.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a gradient of fiber density exists in the thickness direction T of the topsheet 2 so that the fiber density increases from the first fiber layer 2a to the second fiber layer 2b.

이와 같이, 제 2 섬유층(2b)의 섬유 밀도가 제 1 섬유층(2a)의 섬유 밀도보다도 크게 되어 있으면, 제 2 섬유층(2b)을 구성하는 섬유가 서로 근접하여, 당해 제 2 섬유층(2b)에 있어서 모세관 현상을 보다 강하게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표면 시트(2)의 피부측의 표면(즉, 제 1 섬유층(2a)의 피부측의 표면)에 공급된 액상 배설물을 제 2 섬유층(2b)으로 재빠르게 끌어들일 수 있고, 또한, 제 2 섬유층(2b)으로 끌어들여진 액상 배설물을, 열가소성 수지 섬유(F2)에 의해 제 2 섬유층(2b)의 비피부측으로 신속하게 이행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ber density of the second fiber layer 2b is greater than that of the first fiber layer 2a, the fibers constituting the second fiber layer 2b are close to each other and form the second fiber layer 2b. Since capillary action can be generated more stro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quid excreta supplied to the skin-side surface of the topsheet 2 (that is, the skin-side surface of the first fiber layer 2a)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fiber layer 2b. It can be quickly drawn in, and the liquid excrement drawn into the second fiber layer 2b can be quickly transferred to the non-skin side of the second fiber layer 2b by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s F 2 .

따라서, 이러한 구성을 구비한 생리용 패드(1)는, 표면 시트(2)를 감촉이 뛰어난 것으로 하면서도, 양호한 흡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anitary pad 1 having such a configuration can ensure good absorption performance while making the topsheet 2 excellent in feel.

단, 제 2 섬유층(2b)의 비피부측의 표면에 1 또는 복수의 섬유층을 추가로 구비하는 경우, 즉, 표면 시트(2)가 3층 또는 그 이상의 다층 구조를 갖고 있는 경우에는, 표면 시트(2)의 비피부측의 표면에 가까운 섬유층일수록, 섬유 밀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것에 의해, 상대적으로 피부측에 위치하는 섬유층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비피부측에 위치하는 섬유층으로의 액체 투과성을 보다 높일 수 있어, 액상 배설물을 보조 시트(5)나 흡수체(4)에 의해 안정적으로 이행시킬 수 있다.However, when one or more fibrous layers are additional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fibrous layer 2b on the non-skin side, that is, when the topsheet 2 has a multilayer structure of three or more layers, the topsheet It is preferable that the fiber layer closer to the surface of the non-skin side of (2) has a relatively high fiber density. Thereby, the liquid permeability from the fibrous layer relatively located on the skin side to the fibrous layer relatively located on the non-skin side can be further increased, and liquid excretion can be stably transferred by the auxiliary sheet 5 or the absorbent body 4 . can

또한, 섬유층과 같은 시트의 섬유 밀도는, 이하의 측정 방법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ber density of a sheet|seat like a fiber layer can be measur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measuring method.

(1) 표면 시트(2)를 10mm×10mm의 크기로 잘라내어 시료로 한다.(1) The topsheet 2 is cut out to a size of 10 mm x 10 mm to be a sample.

(2) 시료의 두께 방향(T)에 평행한 절단면을, 주사 전자현미경(니혼덴시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JCM-5100)을 이용하여, 확대 관찰한다. 배율은, 30가닥∼60가닥의 섬유의 단면을 1획면 내에 계측할 수 있는 배율(예를 들면, 150배∼500배)로 한다.(2) The cross section parallel to the thickness direction T of the sample is magnified and observed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manufactured by Nippon Electronics Co., Ltd.: JCM-5100). The magnification is a magnification (for example, 150 to 500 times) that can measure the cross section of 30 to 60 fibers within one plane.

(3) 관찰 영역을 두께 방향(T)에 있어서 피부측의 층, 중간의 층, 비피부측의 층으로 3등분하여, 피부측의 층을 제 1 섬유층(2a)으로 하고, 비피부측의 층을 제 2 섬유층(2b)으로 한 다음, 각 섬유층에 있어서의 섬유의 단면의 수를 측정한다. 즉, 소정 면적의 절단면에 있어서, 절단되어 있는 섬유의 단면의 개수를 센다.(3) The observation area is divided into three equal parts in the thickness direction T, the skin-side layer, the intermediate layer, and the non-skin layer, the skin-side layer being the first fibrous layer 2a, and the non-skin layer After taking the layer as the second fibrous layer 2b, the number of cross-sections of fibers in each fibrous layer is measured. That is, in a cut surface of a predetermined area, the number of cross-sections of the cut fibers is counted.

(4) 얻어진 섬유의 단면의 개수를 1㎟당의 섬유의 단면의 개수로 환산하고, 이것을 섬유 밀도(가닥/㎟)로 한다. 측정은 3개소에서 행하고, 측정치의 평균치를 그 시료의 섬유 밀도로 한다. 즉, 섬유 밀도로서, 섬유 가닥 수의 밀도를 이용한다. 환언하면, 섬유 밀도로서, 두께 방향(T)에 평행한 단면에 있어서의 단위 면적당의 섬유의 가닥 수를 이용한다.(4) The number of cross-sections of the obtained fiber is converted into the number of cross-sections of fibers per mm 2 , and this is referred to as the fiber density (strand/mm 2 ). The measurement is performed at three places,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measured values is taken as the fiber density of the sample. That is, as the fiber density, the density of the number of fiber strands is used. In other words, as the fiber density, the number of fibers per unit area in a cross section parallel to the thickness direction T is used.

또한, 섬유 밀도로는, 단위 체적당의 섬유의 가닥 수를 이용해도 된다. 단위 체적당의 섬유의 가닥 수는, 예를 들면, X선 CT에 의한 해석으로 구할 수 있다. 단위 면적당의 섬유 밀도와 단위 체적당의 섬유 밀도에서는, 섬유 밀도의 수치는 다르지만, 섬유층간에서의 섬유 밀도의 상대적인 비교(예를 들면, 대소의 비교)에서는 같은 결과가 된다.In addition, as a fiber density, you may use the number of fiber strands per unit volume. The number of fiber strands per unit volume can be calculated|required by analysis by X-ray CT, for example. In the fiber density per unit area and the fiber density per unit volume, the numerical values of the fiber densities are different, but the relative comparison of the fiber densities between fiber layers (for example, comparison of large and small) results in the same result.

또,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 2 섬유층(2b)에 포함되는 일부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F2)는, 서로 열 융착하고 있다. 즉, 일부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F2)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끼리가 서로 접하는 개소에서 열 융착에 의해 서로 접합하고 있고, 제 2 섬유층(2b) 내에 있어서, 일종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F2)의 매트릭스를 형성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Further, as shown in FIG. 3 , in the present embodiment, some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s F 2 included in the second fiber layer 2b are thermally fused to each other. That is, some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s (F 2 ) are joined to each other by thermal fusion at a location where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in the second fiber layer (2b), a kind of a matrix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s (F 2 ) It can be seen that forming

그와 같은 구성을 구비한 생리용 패드(1)는, 제 2 섬유층(2b)에 있어서, 서로 열 융착한 일부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F2)에 의해, 제 2 섬유층(2b)의 형상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제 2 섬유층(2b)에 포함되는 보수성 섬유(F1)의 평균 섬유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아도, 보수성 섬유(F1)를 열가소성 수지 섬유(F2) 사이의(매트릭스 내)에 치우침 없이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 형태의 생리용 패드(1)는, 제 2 섬유층(2b)으로 끌어들여진 액상 배설물을 치우침 없이 안정적으로 흡수체(4)(및 보조 시트(5))로 이행시킬 수 있어, 뛰어난 흡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In the sanitary pad 1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n the second fiber layer 2b, the shape of the second fiber layer 2b is stabilized by a portion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s F 2 that are heat-sealed to each other. Since it can be maintained as , even if the average fiber length of the water-retaining fibers (F 1 ) included in the second fiber layer (2b) is relatively short, the water-retaining fibers (F 1 ) are interposed between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s (F 2 ) (in the matrix) It can be maintained stably without bias. Thereby, the sanitary pad 1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stably transfer the liquid excrement drawn into the second fiber layer 2b to the absorbent body 4 (and the auxiliary sheet 5) without bias. Excellent absorption performance can be exhibited.

또한, 생리용 패드(1)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F2)는, 이와 같이 서로 열 융착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In addition,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s F 2 of the sanitary pad 1 need not be thermally fused to each other in this way.

또,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 2 섬유층(2b)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F2)의 적어도 일부가, 제 1 섬유층(2a)의 피부측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다. 즉, 제 2 섬유층(2b)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F2)는, 제 2 섬유층(2b)의 형상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그 적어도 일부가 제 2 섬유층(2b)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제 1 섬유층(2a)의 내부로 들어가고, 더 나아가 그들이 제 1 섬유층(2a)의 피부측의 표면에까지 도달하고 있다.Further, as shown in FIG. 4 , in the present embodiment, at least a part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s F 2 of the second fiber layer 2b is exposed on the skin-side surface of the first fiber layer 2a. That is,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s F 2 of the second fibrous layer 2b stably maintain the shape of the second fibrous layer 2b,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fibrous layer 2a continuously from the second fibrous layer 2b. ), and further they reach the skin-side surface of the first fibrous layer 2a.

그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생리용 패드(1)는, 제 2 섬유층(2b)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F2)가 제 1 섬유층(2a)의 내부까지 연속적으로 연재하고 있음으로써, 제 1 섬유층(2a)의 보수성 섬유(F1)를 열가소성 수지 섬유(F2) 사이에 안정적으로 홀딩할 수 있기 때문에, 제 1 섬유층(2a)의 구성 섬유간의 평균 거리가 상대적으로 길고, 제 1 섬유층(2a)의 강도가 상대적으로 약한 것과 같은 경우라도, 주저앉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제 1 섬유층(2a)의 보수성 섬유(F1)가 열가소성 수지 섬유(F2) 사이에 홀딩되고, 또한, 그 열가소성 수지 섬유(F2)의 용융물(F2M)에 의해 피복됨으로써, 보수성 섬유(F1)의 파단에 의한 보풀 일어남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In the sanitary pad 1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s F 2 of the second fibrous layer 2b are continuously extend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fibrous layer 2a, so that the first fibrous layer 2a ), since the water-retaining fiber (F 1 ) can be stably held between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s (F 2 ), the average distance between the constituent fibers of the first fiber layer (2a) is relatively long, and the first fiber layer (2a) Even in the case where the strength is relatively weak,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collapse. Also, the water holding property and fiber (F 1) of the first fiber layer (2a) being held between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 (F 2), Further, by being covered with a molten material (F 2M)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 (F 2), water-holding ability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uppress the occurrence of fluffing due to the breakage of the fibers (F 1 ).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을 구비한 생리용 패드(1)는, 표면 시트(2)의 제 1 섬유층(2a)의 감촉을 보다 뛰어난 것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anitary pad 1 having such a configuration can make the first fibrous layer 2a of the topsheet 2 more excellent in feel.

또한, 제 2 섬유층(2b)의 보수성을 갖지 않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F2)의 일부가, 제 1 섬유층(2a) 내에 존재함으로써, 열가소성 수지 섬유(F2)를 개재하여 제 1 섬유층(2a)으로부터 제 2 섬유층(2b)으로의 액상 배설물의 이행을 촉진할 수 있기 때문에, 액상 배설물을 흡수체(4)(및 보조 시트(5))로 안정적으로 이행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 part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s (F 2 ) that do not have the water retention properties of the second fiber layer (2b) is present in the first fiber layer (2a), so that the first fiber layer (2a) through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s (F 2 ) Since it is possible to promote the transfer of the liquid excreta from the to the second fiber layer 2b, the liquid excretion can be stably transferred to the absorber 4 (and the auxiliary sheet 5).

또한, 생리용 패드(1)의 제 2 섬유층(2b)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F2)는, 제 1 섬유층(2a)의 피부측의 표면에 노출되지 않아도 된다. In addition,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s F 2 of the second fiber layer 2b of the sanitary pad 1 need not be exposed to the skin-side surface of the first fiber layer 2a.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표면 시트(2)를 구성하는 섬유는, 표면 시트(2)의 폭 방향(W)의 양단부에 존재하는 섬유가, 표면 시트(2)의 폭 방향(W)의 중앙부에 존재하는 섬유보다도, 표면 시트(2)의 길이 방향(L)으로 배향하고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의 표면 시트(2)에 있어서는, 폭 방향(W)의 중앙부에 존재하는 섬유는, 길이 방향(L)의 배향이 상대적으로 작고, 폭 방향(W)의 양단부에 존재하는 섬유는, 길이 방향(L)의 배향이 상대적으로 크게 되어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for the fibers constituting the topsheet 2 , the fibers present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topsheet 2 are in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topsheet 2 . The fibers present in the central portion are orien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of the topsheet 2 . That is, in the topsheet 2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bers present in the central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W have a relatively small orienta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nd fibers present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W. , the orientation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is relatively large.

그와 같은 구성을 구비한 생리용 패드(1)는, 표면 시트(2)의 폭 방향(W)의 중앙부에 있어서는 섬유 배향이 비교적 랜덤이 되기 때문에, 액상 배설물을 대략 동심원상으로 확산시킬 수 있는 데다가, 표면 시트(2)의 폭 방향(W)의 양단부에 있어서는 섬유 배향이 길이 방향(L)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당해 양단부에 도달한 액상 배설물을 길이 방향(L)으로 확산시킬 수 있다. 즉, 생리용 패드(1)를 평면 방향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보다 뛰어난 흡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 표면 시트(2)의 폭 방향(W)의 양단부에서는, 단(端) 가장자리로부터 노출되는 섬유 가닥 수가 적게 되기 때문에, 착용자의 피부에의 마찰이 저감되어, 감촉을 보다 매끄럽게 할 수 있다.In the sanitary pad 1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fiber orientation becomes relatively random in the central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topsheet 2, so that liquid excretion can be diffused substantially concentrically. In addition, since the fiber orientation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t both ends of the topsheet 2 in the width direction W, the liquid excreta reaching the both ends can be diffu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That is, the sanitary pad 1 can be used as a whole in the planar direction, so that more excellent absorption performance can be exhibited. In addition, at both ends of the topsheet 2 in the width direction W, the number of fiber strands exposed from the edge of the topsheet 2 decreases, so that friction against the wearer's skin is reduced and the feel can be made smoother.

또한, 생리용 패드(1)의 표면 시트(2)의 섬유 배향은, 폭 방향(W)의 양단부에 있어서 길이 방향(L)의 배향이 상대적으로 크지 않아도 된다.In addition, as for the fiber orientation of the topsheet 2 of the sanitary pad 1, the orienta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W does not need to be relatively large.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생리용 패드(1)는, 평면시에서, 길이 방향(L)의 중앙부의 약간 앞쪽 근처의 위치이고 폭 방향(W)의 중앙부의 위치에, 배설구 맞닿음 영역(XA)이 설정되어 있다. 배설구 맞닿음 영역(XA)은, 생리용 패드(1)의 착용 시에, 착용자의 배설구에 대향 또는 맞닿는 영역이고, 일반적으로, 흡수성 물품의 종류나 용도에 따라 설정되는 것이다. 배설구 맞닿음 영역(XA)은, 예를 들면, 길이 방향(L)에 있어서 흡수체(4)의 중앙부의 약간 앞쪽 근처의 위치에, 흡수체(4)의 길이 방향(L)의 전체 길이의 약 1/4∼1/2의 길이이고, 폭 방향(W)에 있어서 흡수체(4)의 대략 중앙부의 위치에, 흡수체(4)의 폭 방향(W)의 전체 길이의 약 1/2∼1/3의 폭으로 설정된다.As shown in Fig. 1, the sanitary pad 1 is located at a position slightly forward of the central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nd at the central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W, in the plan view, in the excretory orifice abutment area XA. ) is set. The excretory opening abutting area XA is a region facing or in contact with the wearer's excretory opening when the sanitary pad 1 is worn, and is generally set according to the type or use of the absorbent article. The excretory opening abutting region XA is, for example, at a position slightly near the front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absorbent body 4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nd is approximately 1 of the total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of the absorbent body 4 . It has a length of /4 to 1/2, and is approximately 1/2 to 1/3 of the total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absorber 4 at the position of the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of the absorber 4 in the width direction W. is set to the width of

또한, 상술의 생리용 패드(1)와 같이, 흡수성 물품이 윙부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배설구 맞닿음 영역은, 윙부와 폭 방향으로 중복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예를 들면, 배설구 맞닿음 영역은, 당해 배설구 맞닿음 영역의 길이 방향의 중심 위치가 윙부의 길이 방향의 중심 위치와 폭 방향으로 대략 중복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Further, as in the case of the sanitary pad 1 described above, when the absorbent article is provided with a wing portion, it is common that the excretory opening abutting region is set to overlap the wing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for example, the excretory opening abutting region. can be set so that the longitudinal center position of the excretory orifice abutting region substantially overlaps with the longitudinal central position of the wing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압착부)(compression part)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생리용 패드(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설구 맞닿음 영역(XA)에 대해 폭 방향(W)의 양바깥쪽측에 위치하고 또한 길이 방향(L)으로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연재하는 한 쌍의 압착부(압착홈)(12, 12)를 구비하고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1 , the sanitary pad 1 is positioned on both outer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W with respect to the excretory orifice abutting area XA and is continuous or continuou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 pair of crimping portions (compression grooves) 12 and 12 that extend intermittently are provided.

또,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생리용 패드(1)는, 한 쌍의 압착부(12, 12)의 각각의 길이 방향(L)의 뒤쪽측에 위치하고 또한 길이 방향(L)으로 연재하는 한 쌍의 압착부(압착홈)(13, 13)와, 배설구 맞닿음 영역(XA)에 대해 길이 방향(L)의 앞쪽측 및 뒤쪽측의 각각에 위치하고 또한 하트형의 환상(環狀) 형상을 갖는 압착부(압착홈)(11, 14)와, 배설구 맞닿음 영역(XA) 내에 있어서 점상(點狀)의 복수의 압착부(15)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1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nitary pad 1 is located on the rear side of each of the pair of crimping portions 12 and 1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 a pair of crimping portions (compression grooves) 13 and 13, and a heart-shaped annular ( Further, there are provided crimping portions (compression grooves) 11 and 14 having a crimp shape and a plurality of point crimping portions 15 in the excretory opening abutting region XA.

이들 압착부(11∼15)는, 엠보스 등의 가공 수단에 의해, 표면 시트(2) 및 흡수체(4)가 두께 방향(T)으로 압착되어 형성되어 있다. 즉, 표면 시트(2)와 보조 시트(5)와 흡수체(4)(구체적으로는, 흡수체(4)의 피부측의 코어 랩(4b) 및 흡수성 코어(4a))가 두께 방향(T)으로 압착되어 형성되어 있다. 각 압착부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약하게 압착되어, 표면 시트(2)의 피부측의 표면에서부터의 깊이가 얕은 위치에 형성되고 또한 섬유 밀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저밀도부(LPA)와, 강하게 압착되어, 표면 시트(2)의 피부측의 표면에서부터의 깊이가 깊은 위치에 형성되고 또한 섬유 밀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고밀도부(HPA)를 갖고 있다. 이들 저밀도부(LPA) 및 고밀도부(HPA)는, 각 압착부에 있어서의 깊이가 얕은 위치의 저부(底部) 및 깊이가 깊은 위치의 저부라고 할 수도 있다.These crimping portions 11 to 15 are formed by crimping the topsheet 2 and the absorber 4 in the thickness direction T by a processing means such as embossing. That is, the top sheet 2, the auxiliary sheet 5, and the absorbent body 4 (specifically, the core wrap 4b and the absorbent core 4a on the skin side of the absorbent body 4) in the thickness direction T It is formed by pressing. As shown in Fig. 2, each of the crimped portions is lightly compressed and formed at a position shallow in depth from the skin-side surface of the topsheet 2 and includes a low-density portion (LPA) having a relatively low fiber density, and strongly compressed. Thus, the topsheet 2 has a high-density portion (HPA) formed at a position deep from the skin-side surface and having a relatively high fiber density. These low-density portions LPA and high-density portions HPA may be referred to as a bottom portion at a shallow position and a bottom portion at a deep position in each crimping portion.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착부(11∼15)의 저밀도부(LPA) 및 고밀도부(HPA)는, 흡수성 코어(4a) 내에 위치하고 있지만, 고밀도부(HPA)는, 비피부측의 코어 랩(4b)에 도달하고 있어도 된다.As shown in Fig. 2, the low-density portion LPA and the high-density portion HPA of the crimping portions 11 to 15 are located in the absorbent core 4a, but the high-density portion HPA is a core wrap on the non-skin side. (4b) may be reached.

또한, 압착부(11∼15)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원하는 액체 확산성이나 변형 유도성, 강도 등에 따른 임의의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The shape of the crimping portions 11 to 15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shape according to the desired liquid diffusivity, deformation inducibility, strength, and the like can be adopted.

또, 생리용 패드(1)는, 이와 같은 압착부(11∼15)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되지만, 압착부(11∼15) 중 적어도 하나의 압착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anitary pad 1 does not need to be provided with such crimping portions 11 to 15, but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t least one crimping portion among the crimping portions 11 to 15.

생리용 패드(1)(보다 구체적으로는, 표면 시트(2))가, 피부측의 표면으로부터 두께 방향(T)으로 움푹 패인 압착부를 갖고 있으면, 당해 압착부가 표면 시트(2) 내의 보수성 섬유(F1)를 홀딩하여, 상술의 보수성 섬유(F1)의 보풀 일어남을 보다 생기기 어렵게 할 수 있다.If the sanitary pad 1 (more specifically, the topsheet 2) has a crimping portion recessed from the skin-side surface in the thickness direction T, the crimping portion contains the water-retaining fibers ( to the F 1) holds, it can be difficult to occur than the magnetic brush rise of conservatism fiber (F 1) of the above.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 2 섬유층(2b)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F2)의 적어도 일부가, 압착부(11∼15) 중 적어도 하나의 압착부에 있어서, 당해 압착부의 내측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다. 생리용 패드(1)가 이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고 있으면, 열가소성 수지 섬유(F2)가 압착부의 내측의 표면에 노출되도록 제 1 섬유층(2a) 내에 존재함으로써, 압착부 내에 있어서도 제 1 섬유층(2a)의 보수성 섬유(F1)를 열가소성 수지 섬유(F2) 사이에 안정적으로 홀딩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압착부 내에 있어서도 보수성 섬유(F1)에 의한 보풀 일어남을 생기기 어렵게 할 수 있어, 압착부 내의 제 1 섬유층(2a)의 감촉을 보다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2 섬유층(2b)의 보수성을 갖지 않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F2)의 일부가 압착부 내의 제 1 섬유층(2a) 내에 존재함으로써, 당해 열가소성 수지 섬유(F2)를 개재하여 압착부 내의 제 1 섬유층(2a)으로부터 제 2 섬유층(2b)으로의 액상 배설물의 이행을 촉진할 수 있기 때문에, 액상 배설물을 흡수체(4)(및 보조 시트(5))로 보다 안정적으로 이행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at least a part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s F 2 of the second fiber layer 2b is appli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rimping section in at least one of the crimping sections 11 to 15. is exposed When the sanitary pad 1 has such a configuration,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s F 2 are present in the first fiber layer 2a so as to be expos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mpression part, and thus the first fiber layer 2a also in the compression part. ) of the water-retaining fibers (F 1 ) can be stably held between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s (F 2 ). Thereby, fluffing due to the water-retaining fibers F 1 can be made less likely to occur even in the crimping section, and the feel of the first fiber layer 2a in the crimping section can be improved. In addition, since a part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s F 2 that do not have the water retention properties of the second fiber layer 2b is present in the first fiber layer 2a in the compression section,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s F 2 are interposed therebetween in the compression section. Since the transfer of liquid excreta from the first fibrous layer 2a to the second fibrous layer 2b can be promoted, the liquid excretion can be more stably transferred to the absorber 4 (and the auxiliary sheet 5).

또한, 생리용 패드(1)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F2)가 압착부의 내측의 표면에 노출되지 않아도 된다.In addition, in the sanitary pad 1 ,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s F 2 do not need to be ex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rimping part.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 2 섬유층(2b)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F2)의 적어도 일부는, 압착부(11∼15) 중 적어도 하나의 압착부에 있어서, 당해 압착부의 저밀도부(LPA)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다. 생리용 패드(1)가 이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고 있으면, 열가소성 수지 섬유(F2)가 저밀도부(LPA)의 표면에 노출되도록 제 1 섬유층(2a) 내에 존재함으로써, 저밀도부(LPA) 내의 제 1 섬유층(2a)의 보수성 섬유(F1)를, 열가소성 수지 섬유(F2) 사이에 안정적으로 홀딩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저밀도부(LPA) 내에 있어서도 보수성 섬유(F1)에 의한 보풀 일어남을 생기기 어렵게 할 수 있어, 저밀도부(LPA) 내의 제 1 섬유층(2a)의 감촉을 보다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2 섬유층(2b)의 보수성을 갖지 않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F2)의 일부가 저밀도부(LPA) 내의 제 1 섬유층(2a) 내에 존재함으로써, 당해 열가소성 수지 섬유(F2)를 개재하여 저밀도부(LPA) 내의 제 1 섬유층(2a)으로부터 제 2 섬유층(2b)으로의 액상 배설물의 이행을 촉진할 수 있기 때문에, 액상 배설물을 흡수체(4)(및 보조 시트(5))로 보다 안정적으로 이행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at least a portion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s F 2 of the second fiber layer 2b is a low-density portion (LPA) of the crimping portion in at least one of the crimping portions 11 to 15. ) is exposed on the surface. If the sanitary pad 1 has such a configuration,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s F 2 are present in the first fiber layer 2a so as to be exposed to the surface of the low-density portion LPA, and thus the first in the low-density portion LPA. The water-retaining fibers (F 1 ) of the single fiber layer (2a) can be stably held between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s (F 2 ). Thereby, fluffing due to the water-retaining fibers F 1 can be made less likely to occur even in the low-density portion LPA, and the feel of the first fiber layer 2a in the low-density portion LPA can be improved. In addition, since a part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 F 2 that does not have the water retention properties of the second fiber layer 2b is present in the first fiber layer 2a in the low-density part LPA,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 F 2 is interposed therebetween. Since it is possible to promote the transfer of liquid excreta from the first fibrous layer 2a to the second fibrous layer 2b in the low-density portion LPA, the liquid excretion into the absorber 4 (and the auxiliary sheet 5) is more stable. can be implemented with

또한, 생리용 패드(1)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F2)가 저밀도부(LPA)의 표면에 노출되지 않아도 된다.In addition, in the sanitary pad 1 ,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 F 2 does not need to be exposed on the surface of the low-density portion LPA.

(요철 구조) (Concave-convex structure)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표면 시트(2)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요철 구조를 갖고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opsheet 2 has an uneven structure as shown in FIG. 4 .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섬유층(2a)은, 두께 방향(T)의 상측(피부측)의 제 1 상면(2aE)과 하측(비피부측)의 제 1 하면(2aF)을 갖고, 제 2 섬유층(2b)은, 두께 방향(T)의 상측의 제 2 상면(2bE)과 하측의 제 2 하면(2bF)을 갖고 있다. 제 1 섬유층(2a)의 제 1 하면(2aF)과 제 2 섬유층(2b)의 제 2 상면(2bE)은, 양섬유층 사이의 가상적인 경계이지만, 양섬유층의 섬유의 일부가 교락에 의해 서로 다른 섬유층에 들어가 있기 때문에, 엄밀한 경계는 아니다.As shown in Fig. 4(b), the first fibrous layer 2a has a first upper surface 2aE on the upper side (skin side) and a first lower surface 2aF on the lower side (non-skin si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T. , and the second fiber layer 2b has an upper second upper surface 2bE and a lower second lower surface 2bF in the thickness direction T. The first lower surface 2aF of the first fibrous layer 2a and the second upper surface 2bE of the second fibrous layer 2b are an imaginary boundary between the sheepskin layers, but some of the fibers of the sheepskin layer differ from each other due to entanglement. Since it is in the fibrous layer, it is not a strict boundary.

그리고, 제 1 섬유층(2a)은, 길이 방향(L)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되고 또한 폭 방향(W)으로 소정의 간격을 띄우고 배치된, 제 1 상면(2aE)이 상측(피부측)으로 돌출되어 이루어지는 복수의 볼록부(21)와, 길이 방향(L)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되고 또한 서로 이웃하는 볼록부(21) 사이에 배치된, 제 1 상면(2aE)이 하측(비피부측)으로 움푹 패어 이루어지는 복수의 오목부(22)를 갖고 있다.In addition, the first fiber layer 2a has a first upper surface 2aE, which extends continuous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nd is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width direction W, protrudes upward (skin side). A first upper surface 2aE arranged between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21 formed as It has a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22 that are recessed.

표면 시트(2)가, 이와 같은 복수의 볼록부(21)와 복수의 오목부(22)를 구비한 특정의 요철 구조를 갖고 있으면, 표면 시트(2)의 피부측의 표면과 착용자의 피부와의 접촉 면적이 작아지기 때문에, 표면 시트(2)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F2)나 보수성 섬유(F1)의 보풀 일어남에 기인하는 불쾌한 자극이, 착용자의 피부에 부여될 가능성을 더욱더 저감할 수 있다.When the topsheet 2 has a specific concave-convex structure including such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21 and a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22, the skin-side surface of the topsheet 2 and the wearer's skin Since the contact area of the surface sheet 2 becomes small, the possibility that unpleasant irritation caused by fluffing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s (F 2 ) and water-retaining fibers (F 1 ) contained in the topsheet 2 is given to the wearer's skin is further reduced can do.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복수의 볼록부(21)의 각각은,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실(中實) 구조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볼록부(21)의 각각이 중실 구조를 갖고 있으면, 각 볼록부(21)가 찌부러지기 어려워지는 동시에, 착용자의 신체에 닿기 쉬운 각 볼록부(21)로부터 흡수체(4)로의 액체 이행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각 볼록부(21)의 표면의 드라이성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each of the some convex part 21 has a solid structure, as shown to FIG.4(b). In this way, when each of the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21 has a solid structure, each convex portion 21 is less likely to be crushed, and the liquid from each of the convex portions 21 that is easy to contact with the wearer's body to the absorbent body 4 . Since it is excellent in transferability, the dryness of the surface of each convex part 21 can be improved.

한편, 제 2 섬유층(2b)은, 압착에 의해 형성되는 후술의 패임부(23)를 제외하고, 대략 평탄한 구조를 갖고 있다. 단, 제 2 섬유층(2b)의 제 2 상면(2bE)은, 볼록부(21)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 두께 방향(T)의 상향으로 약간 솟아올라 있어도 된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fibrous layer 2b has a substantially flat structure except for the dimples 23 formed by compression to be described later. However, the second upper surface 2bE of the second fiber layer 2b may slightly rise upward in the thickness direction 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vex portion 21 .

또한, 제 2 섬유층(2b)은, 제 1 섬유층(2a)과 마찬가지로(단, 두께 방향(T)의 역방향(逆向)으로), 길이 방향(L)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되고 또한 폭 방향(W)으로 소정의 간격을 띄우고 배치된, 제 2 하면(2bF)이 하측(비피부측)으로 돌출되어 이루어지는 복수의 볼록부와, 길이 방향(L)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되고 또한 서로 이웃하는 볼록부 사이에 배치된, 제 2 하면(2bF)이 상측(피부측)으로 움푹 패어 이루어지는 복수의 오목부를 갖고 있어도 된다. 그 경우, 제 1 섬유층(2a)의 볼록부(21) 및 오목부(22)의 위치와, 제 2 섬유층(2b)의 볼록부 및 오목부의 위치가, 두께 방향(T)에 있어서 대응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the second fibrous layer 2b, like the first fibrous layer 2a, extends continuous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thickness direction T), and extends in the width direction W ),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in which the second lower surface 2bF protrudes downward (non-skin side), arranged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therebetween, and convex portions extending continuous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nd adjacent to each other The second lower surface 2bF disposed therebetween may have a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dented upward (skin side). In that case, the positions of the convex portions 21 and the concave portions 22 of the first fibrous layer 2a correspond to the positions of the convex and concave portions of the second fibrous layer 2b in the thickness direction T. it is preferable

제 1 섬유층(2a)과 제 2 섬유층(2b)은, 교락에 의해 서로 접합되어 있다. 교락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스펀레이스법 또는 워터제트법을 들 수 있다. 단, 교락 방법은 이 예로 제한되지 않고, 다른 교락 방법, 예를 들면 에어스루법을 이용해도 된다.The first fibrous layer 2a and the second fibrous layer 2b are joined to each other by entanglement. The entangling method includes, for example, a spunlace method or a water jet method. However, the entangling method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and another entangling method, for example, an air-through method may be used.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볼록부(21)의 꼭대기부(頂部)(21T)의 섬유 밀도를 S1, 오목부(22)의 저부(22B)의 섬유 밀도를 S2 및, 볼록부(21)의 꼭대기부(21T)와 오목부(22)의 저부(22B)와의 사이의 영역(MP)의 섬유 밀도를 S3으로 했을 때, S1<S3<S2의 관계를 만족시키고 있다.Moreover, in this embodiment, the fiber density of the top part 21T of the convex part 21 is S1, the fiber density of the bottom part 22B of the recessed part 22 is S2, and the fiber density of the convex part 21 is S2. When the fiber density of the region MP between the top portion 21T and the bottom portion 22B of the concave portion 22 is S3, the relationship S1 < S3 < S2 is satisfied.

생리용 패드(1)가 이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고 있으면, 표면 시트(2)에 있어서, 성긴(저밀도) 섬유 밀도 S1을 갖는 볼록부(21)의 꼭대기부(21T)로부터, 중위(중밀도)의 섬유 밀도 S3를 갖는 영역(MP)을 개재하여, 조밀한(고밀도) 섬유 밀도 S2를 갖는 오목부(22)의 저부(22B)를 향하여 모세관 현상이 작용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표면 시트(2)의 가장 피부측의 표면(즉, 볼록부(21)의 꼭대기부(21T) 또는 그 근방)에 배설된 액상 배설물을, 표면 시트(2)의 비피부측의 표면의 근방에 위치하는 오목부(22)의 저부(22B)로, 보다 끌어들이기 쉽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표면 시트(2)의 피부측의 표면으로부터 표면 시트(2)의 비피부측의 표면을 개재하여 흡수체(4)(및 보조 시트(5))로, 액상 배설물을 보다 안정적으로 이행시킬 수 있다.If the sanitary pad 1 has such a configuration, in the topsheet 2, from the top portion 21T of the convex portion 21 having the coarse (low density) fiber density S1, the median (medium density) Since the capillary action tends to act toward the bottom 22B of the recess 22 having a dense (high density) fiber density S2 through the region MP having a fiber density S3 of The liquid excrement excreted on the most skin-side surface (ie, the top portion 21T of the convex portion 21 or its vicinity) is placed in a concave portion ( 22), it can be made easier to draw in with the bottom part 22B. Thereby, liquid excretion is more stably transferred from the skin-side surface of the topsheet 2 to the absorber 4 (and the auxiliary sheet 5) via the non-skin-side surface of the topsheet 2 can do it

또, 표면 시트(2)는, 상기의 섬유 밀도 구배(S1<S3<S2)에 의해, 일단 흡수한 액상 배설물의 액체 역류를 발생하기 어렵게 할 수 있고, 또한, 볼록부(21)의 섬유 밀도가 낮음으로써, 착용자에게 부드러운 감촉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표면 시트(2)는, 감촉을 양호하게 하면서도, 흡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 the topsheet 2 can make it difficult to generate a liquid backflow of the liquid excrement once absorbed by the above-mentioned fiber density gradient (S1 < S3 < S2), and the fiber density of the convex portion 21 . Sinc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oft feel to the wearer by having a low value, the topsheet 2 can improve the water absorption performance while making the feel good.

또한, 생리용 패드(1)는, 표면 시트(2)에 상기의 요철 구조를 갖고 있지 않아도 되고, 또한 상기의 섬유 밀도 구배를 갖고 있지 않아도 된다.In addition, the sanitary pad 1 does not need to have the above-mentioned concave-convex structure on the topsheet 2, nor does it need to have the above-mentioned fiber density gradient.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표면 시트(2)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오목부(22)의 각각에 있어서, 제 1 섬유층(2a)과 제 2 섬유층(2b)이 엠보스 등의 가공 수단에 의해 두께 방향(T)으로 압착되어 이루어지는, 복수의 패임부(23)를 갖고 있다. 복수의 패임부(23)는, 각 오목부(22)에 있어서 길이 방향(L)을 따라 간헐적으로, 또한, 등간격 또는 비(非)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topsheet 2, as shown in Fig. 4, in each of the plurality of recesses 22, the first fiber layer 2a and the second fiber layer 2b are embossed. It has the some recessed part 23 formed by crimping|bond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T by processing means, such as. The plurality of recesses 23 are intermittently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in each of the recesses 22 at equal or non-equal intervals.

또한, 패임부(23)는, 폭 방향(W)으로 서로 이웃하는 오목부(22)에 있어서, 길이 방향(L)으로 동일 직선상에 늘어서는 위치여도 되고, 동일 직선상에 늘어서지 않는 위치여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패임부(23)는,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22)에 관하여 바둑판 무늬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복수의 패임부(23)의 개개의 평면시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본 실시 형태와 같이 타원상이어도, 그 외의 임의의 형상이어도 된다.In addition, in the recessed part 22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W, the position in which the recessed part 23 is lined up on the same straight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may be sufficient, and the position which does not line up on the same straight line may be In this embodiment, the some recessed part 23 is arrange|positioned in checkerboard pattern with respect to the recessed part 22, as shown to Fig.4 (a). Moreover, the shape in particular of each planar view of the several recessed part 23 is not restrict|limited, It may be an oval shape like this embodiment, or other arbitrary shapes may be sufficient.

생리용 패드(1)가 이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고 있으면, 복수의 패임부(23)의 각각에 있어서, 제 1 섬유층(2a)과 제 2 섬유층(2b)이 압착에 의해 두께 방향(T)으로 고정됨(즉, 제 1 섬유층(2a)의 보수성 섬유(F1)가 압축되어 있음)으로써, 보수성 섬유(F1)에 의한 보풀 일어남이 보다 생기기 어려워져, 표면 시트(2)의 감촉을 더욱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When the sanitary pad 1 has such a configuration, in each of the plurality of recesses 23, the first fibrous layer 2a and the second fibrous layer 2b are compress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T by compression. By being fixed (that is, the water-retaining fibers F 1 of the first fibrous layer 2a are compressed), fluffing by the water-retaining fibers F 1 is less likely to occur, and the feel of the topsheet 2 is further improved. can keep it

또한, 생리용 패드(1)는, 표면 시트(2)에 이와 같은 복수의 패임부(23)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In addition, the sanitary pad 1 does not need to include such a plurality of recesses 23 in the topsheet 2 .

(보조 시트) (Secondary seat)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보조 시트(5)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시에서, 생리용 패드(1)의 앞쪽측의 길이 방향 단부에서부터 뒤쪽측의 길이 방향 단부에 걸쳐 길이 방향(L)으로 연재하는, 대략 직사각형상의 세로로 긴 평면시 형상을 갖고 있다. 보조 시트(5)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생리용 패드(1)의 두께 방향(T)에 있어서, 표면 시트(2)와 흡수체(4)의 사이에 배치되고, 표면 시트(2)를 투과해 온 액상 배설물을, 비피부측의 흡수체(4)로 이행시키는, 액체 투과성의 시트상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1 , the auxiliary sheet 5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of the sanitary pad 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front side longitudinal end to the rear side longitudinal end in plan view. ) and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in a vertically long plan view. As shown in FIG. 2 , the auxiliary sheet 5 is disposed between the topsheet 2 and the absorber 4 in the thickness direction T of the sanitary pad 1 , and the topsheet 2 is It is constituted by a liquid-permeable sheet-like member for transferring the liquid excrement that has passed through to the absorbent body 4 on the non-skin side.

보조 시트(5)로서 이용할 수 있는 액체 투과성의 시트상 부재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액체 투과성의 부직포나 직포, 이들이 적층된 복합 시트 등을 들 수 있다.The liquid-permeable sheet-like member that can be used as the auxiliary sheet 5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mpair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a liquid-permeable nonwoven fabric or woven fabric, and a composite sheet laminated therewith. can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표면 시트(2)의 비피부측에 위치하는 보조 시트(5)는, 표면 시트(2)의 상기 복수의 오목부(22)의 각각과(보다 구체적으로는, 오목부(22)의 각각에 대응하는 제 2 하면(2bF)과), 접착제나 열 융착 수단 등의 임의의 접합 수단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보조 시트(5)와 표면 시트(2)가, 표면 시트(2)의 복수의 오목부의 각각에 있어서 서로 접합되어 있으면, 보조 시트(5)와 표면 시트(2)의 접합부가 보수성 섬유(F1)를 홀딩하여, 상술의 보수성 섬유(F1)의 보풀 일어남을 보다 생기기 어렵게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uxiliary sheet 5 positioned on the non-skin side of the topsheet 2 includes each of the plurality of recessed portions 22 of the topsheet 2 (more specifically, the recessed portion). The second lower surface 2bF corresponding to each of (22)) is joined to each other by any bonding means such as an adhesive or thermal fusion means. In this way, when the auxiliary sheet 5 and the topsheet 2 are bonded to each other in each of the plurality of recesses of the topsheet 2, the joint between the auxiliary sheet 5 and the topsheet 2 is a water-retaining fiber. (F 1 ) is held, and fluffing of the water-retaining fiber (F 1 ) described above can be made more difficult to occur.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보조 시트(5)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 시트(2)에 비해 폭 방향(W)으로 약간 큰 형상을 갖고 있고, 폭 방향(W)의 양단부에 있어서 한 쌍의 루프부(5L, 5L)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루프부(5L, 5L)는, 보조 시트(5)의 폭 방향(W)의 양단부가 각각 보조 시트(5)의 폭 방향(W)의 안쪽측 또한 비피부측(두께 방향(T)의 하측)으로 루프상으로 되접어 꺾임으로써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 the auxiliary sheet 5 in this embodiment has a slightly larger shape in the width direction W than the topsheet 2, and is formed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W. In this case, a pair of loop portions 5L and 5L are formed. The pair of loop portions 5L and 5L has both ends of the auxiliary sheet 5 in the width direction W, respectively, on the inner side and the non-skin side (thickness direction T) of the auxiliary sheet 5 in the width direction W, respectively. ) below) and is formed by folding it back into a loop shape.

되접어 꺾인 보조 시트(5)의 양단부는, 표면 시트(2)와 한 쌍의 사이드 시트(6, 6)의 사이에 끼이고, 한 쌍의 사이드 시트(6, 6)가 서로 마주 보는 한 쌍의 안쪽측 단부와, 길이 방향(L)을 따라 간헐적 또는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접착부(도시하지 않음)를 개재하여 서로 접합되어 있다. 또한, 루프부(5L)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Both ends of the folded auxiliary sheet 5 are sandwiched between the top sheet 2 and the pair of side sheets 6 and 6, and the pair of side sheets 6 and 6 face each other. is bonded to each other via a pair of bonding portions (not shown) extending intermittently or continuous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with the inner end of the . In addition, the loop part 5L does not contain an elastic member.

또, 되접어 꺾인 보조 시트(5)의 양단부의 각각은, 루프부(5L)의 내면끼리(즉, 되접어 꺾기 전의 보조 시트(5)에 있어서의 비피부측의 표면끼리)가 길이 방향(L)을 따라 간헐적 또는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접착부를 개재하여 서로 접합되어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both ends of the folded auxiliary sheet 5 has the inner surfaces of the loop portion 5L (that is, the surfaces on the non-skin side of the auxiliary sheet 5 before fol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y are bonded to each other via a pair of bonding portions extending intermittently or continuously along L).

통상, 보수성 섬유를 많이 포함하는 표면 시트에서는, 그 단 가장자리가 문질러지면, 그 단 가장자리로부터 보수성 섬유가 풀려서 탈락하기 쉬워지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조 시트(5)의 폭 방향(W)의 치수가, 표면 시트(2)의 폭 방향(W)의 치수보다도 크게 되어 있고, 즉, 평면시에 있어서, 보조 시트(5)에 있어서의, 표면 시트(2)의 폭 방향(W)의 양단 가장자리보다도 바깥쪽측의 부분이 폭 방향(W)의 바깥쪽측으로 연장되어 나와, 한 쌍의 연출부(延出部)를 형성하고 있고, 또한, 그 한 쌍의 연출부로서, 보조 시트(5)의 폭 방향(W)의 양단부에 상술한 한 쌍의 루프부(5L, 5L)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생리용 패드(1)가 착용자의 대퇴부로부터 받는 힘을 한 쌍의 루프부(5L, 5L)(한 쌍의 연출부)에서 받아낼 수 있고, 표면 시트(2)의 폭 방향(W)의 양단 가장자리와 대퇴부를 문질러지기 어렵게 할 수 있어, 상술의 보수성 섬유(F1)가 표면 시트(2)의 폭 방향(W)의 양단 가장자리로부터 풀려서 탈락하는 것을 발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Usually, in a topsheet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water-retaining fibers, when the edge thereof is rubbed, the water-retaining fibers come loose from the edge and fall off easily. In this embodiment, the auxiliary sheet 5 has a dimension in the width direction W is larger than the dimension in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topsheet 2, that is, both ends of the auxiliary sheet 5 in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topsheet 2 in plan view. A more outer portion extends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W to form a pair of extension portions, and as the pair of extension portion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auxiliary sheet 5 . Since the above-described pair of loop portions 5L and 5L are formed at both ends of (W), the pair of loop portions 5L and 5L (one pair of loop portions 5L and 5L) pair of extensions), and it is possible to make it difficult to rub both ends and thighs in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topsheet 2 , so that the water-retaining fibers F 1 described above are the width of the topsheet 2 . It can make it difficult to generate|occur|produce that it loosens from the both ends of the direction W, and falls off.

또한, 한 쌍의 연출부로서 상술의 한 쌍의 루프부(5L, 5L)를 이용하면, 생리용 패드(1)가 착용자의 대퇴부로부터 받는 힘을, 한 쌍의 루프부(5L, 5L)의 쿠션 작용으로 부드럽게 받아낼 수 있어, 착용자에게 주는 촉감을 보다 양호하게 할 수 있다. 특히, 보수성 섬유(F1)가 코튼 섬유인 경우에는, 그러한 효과가 현저하다.In addition, when the pair of loop portions 5L and 5L described above are used as the pair of extension portions, the force that the sanitary pad 1 receives from the wearer's thighs is applied to the cushion of the pair of loop portions 5L and 5L. It can be received softly by the action, and the tactile feeling given to the wearer can be made better. In particular, when the water-retaining fiber (F 1 ) is a cotton fiber, such an effect is remarkable.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보조 시트(5)는, 제 2 섬유층(2b)의 섬유 밀도보다도 높은 섬유 밀도를 갖고 있다. 생리용 패드(1)가 이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고 있으면, 제 2 섬유층(2b)으로 끌어들여진 액상 배설물을, 모세관 현상에 의해, 보조 시트(5)로 더욱 안정적으로 이행시킬 수 있기 때문에, 표면 시트(2)로부터 보조 시트(5)를 개재하여 흡수체(4)로, 액상 배설물을 보다 안정적으로 이행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표면 시트(2)의 감촉을 양호하게 하면서, 흡수 성능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auxiliary sheet 5 has a fiber density higher than that of the second fiber layer 2b. If the sanitary pad 1 has such a configuration, the liquid excrement drawn into the second fibrous layer 2b can be more stably transferred to the auxiliary sheet 5 by capillary action, so that the topsheet Liquid excretion can be more stably transferred from (2) to the absorber 4 via the auxiliary sheet 5, and as a result, the absorption performance can be improved while improving the feel of the topsheet 2 there is.

또한, 생리용 패드(1)는, 보조 시트(5) 또는 루프부(5L)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In addition, the sanitary pad 1 does not need to be provided with the auxiliary sheet 5 or the loop part 5L.

또, 보조 시트(5)가 표면 시트(2)에 대응하여 보수성 섬유(F1)를 포함하고, 표면 시트(2)가 셀룰로오스계 섬유(바람직하게는, 코튼 섬유)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보조 시트(5)는, 셀룰로오스계 섬유(바람직하게는, 코튼 섬유)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리용 패드(1)가 그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고 있으면, 액체 확산성이 높은 보수성 섬유(F1), 바람직하게는 셀룰로오스계 섬유, 더욱 바람직하게는 코튼 섬유가, 표면 시트(2)의 제 1 섬유층(2a)으로부터 제 2 섬유층(2b)을 개재하여 보조 시트(5)까지 연이어 통하도록 존재하게 되기 때문에, 그들 섬유에 의한 액상 배설물의 액체 확산을 이용함으로써, 표면 시트(2)로부터 보조 시트(5)를 개재하여 흡수체(4)로, 액상 배설물을 보다 안정적으로 이행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표면 시트(2)의 감촉을 양호하게 하면서, 흡수 성능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auxiliary sheet 5 contains water-retaining fibers F 1 corresponding to the top sheet 2 and the top sheet 2 contains cellulosic fibers (preferably cotton fibers), the auxiliary The sheet 5 preferably contains cellulosic fibers (preferably cotton fibers). When the sanitary pad 1 has such a structure, the water-retaining fiber F 1 having high liquid diffusivity, preferably a cellulosic fiber, and more preferably a cotton fiber, is made of the topsheet 2 Since the first fibrous layer 2a to the auxiliary sheet 5 through the second fibrous layer 2b continuously communicates with each other, by utilizing the liquid diffusion of liquid excretion by these fibers, the auxiliary sheet from the topsheet 2 is Liquid excretion can be more stably transferred to the absorber 4 via (5), and as a result, the topsheet 2 can feel good while the absorption performance can be further improved.

또한, 생리용 패드(1)는, 보조 시트(5)가 보수성 섬유, 셀룰로오스계 섬유 또는 코튼 섬유를 포함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그 경우, 보조 시트(5)로는, 예를 들면, 열가소성 수지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를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anitary pad 1, the auxiliary sheet 5 does not need to contain water-retaining fibers, cellulosic fibers, or cotton fibers. In that case, as the auxiliary sheet 5, for example, a nonwoven fabric made of thermoplastic resin fibers can be used.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보조 시트의 치수 형상이나 두께 등은,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원하는 흡수 성능이나 유연성 등에 따른 임의의 치수 형상이나 두께 등을 채용할 수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mensional shape or thickness of the auxiliary shee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mpaired, and any dimensional shape or thickness according to the desired absorption performance or flexibility, etc. may be employed. .

(흡수체)(absorber)

상술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흡수체(4)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시에서, 생리용 패드(1)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 중심선(CL) 및 폭 방향 중심선(CW)의 각각에 걸쳐 각각 길이 방향(L) 및 폭 방향(W)의 광범위로 연재하는 동시에, 길이 방향(L)의 양단부가 각각 길이 방향(L)의 바깥쪽측을 향해 원호를 그리도록 돌출된 세로로 긴 평면시 형상을 갖고 있다. 이러한 흡수체(4)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생리용 패드(1)의 두께 방향(T)에 있어서 표면 시트(2)와 이면 시트(3)의 사이(보다 구체적으로는, 보조 시트(5)와 이면 시트(3)의 사이)에 배치되어, 표면 시트(2)를 투과해 온 경혈 등의 액상 배설물을 흡수하여 보유할 수 있는, 소정의 액체 흡수 성능 및 액체 보유 성능을 구비한 흡수성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s shown in FIG. 1 , the absorbent body 4 has a longitudinal center line C L and a width direction center line C W of the sanitary pad 1 in plan view, respectively. A longitudinally long plane extending in a wide rang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nd in the width direction (W) over the has the shape of a city. As shown in Fig. 2, the absorbent body 4 is disposed between the top sheet 2 and the back sheet 3 in the thickness direction T of the sanitary pad 1 (more specifically, the auxiliary sheet ( 5) disposed between the back sheet 3) and capable of absorbing and retaining liquid excrement such as menstrual blood that has passed through the top sheet 2, and having a predetermined liquid absorption performance and liquid retention performance formed by members.

본 발명에 있어서, 흡수체로서 이용할 수 있는 흡수성 부재는, 적어도 경혈 등의 액상 배설물을 흡수하여 보유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당분야에 있어서 공지의 임의의 흡수성 부재를 채용할 수 있다. 그와 같은 흡수성 부재의 예로는, 임의의 흡수성 재료에 의해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흡수 코어를, 친수성을 갖는 티슈 등의 코어 랩 시트로 덮은 것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에서, 흡수 코어를 구성하는 흡수성 재료로는, 예를 들면, 친수성 섬유나 고흡수성 폴리머 등을 들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분쇄 펄프, 코튼, 레이온, 아세테이트 등의 셀룰로오스계 섬유; 아크릴산 나트륨 코폴리머 등의 고흡수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입상물(粒狀物); 및 이들을 임의로 조합한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bsorbent member that can be used as the absorb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absorb and hold at least liquid excretion such as menstrual blood, and any absorbent member known in the art can be employed. Examples of such an absorbent member include one in which at least one absorbent core made of any absorbent material is covered with a core wrap sheet such as a tissue having hydrophilicity. Here, the absorbent material constituting the absorbent core includes, for example, hydrophilic fibers and super absorbent polymers, and more specifically, cellulose fibers such as pulverized pulp, cotton, rayon, and acetate; granular materials made of a superabsorbent polymer such as sodium acrylate copolymer; and mixtures of any combination thereof.

상술의 실시 형태에서는, 흡수체(4)는, 흡수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흡수성 코어(4a)와, 그것을 피복하는 코어 랩(4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In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the absorbent body 4 is comprised by the absorbent core 4a which consists of an absorbent material, and the core wrap 4b which coat|covers it.

또한, 표면 시트(2)가 셀룰로오스계 섬유(바람직하게는, 코튼 섬유)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흡수체(4)는, 표면 시트(2)에 대응하여 셀룰로오스계 섬유(바람직하게는, 코튼 섬유)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경우, 표면 시트(2)에 포함되는 셀룰로오스계 섬유의 일부는, 흡수체(4)에 포함되는 셀룰로오스계 섬유와 접촉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리용 패드(1)가 그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고 있으면, 액체 확산성이 높은 셀룰로오스계 섬유가, 표면 시트(2)의 제 1 섬유층(2a)으로부터 제 2 섬유층(2b)을 개재하여(경우에 따라서는, 보조 시트(5)를 개재하여) 흡수체(4)까지 연이어 통하도록 존재하게 되기 때문에, 셀룰로오스계 섬유에 의한 액상 배설물의 액체 확산을 이용함으로써, 표면 시트(2)로부터 흡수체(4)로, 액상 배설물을 직접 확산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흡수 성능을 더욱 높일 수 있다.Further, when the topsheet 2 contains cellulosic fibers (preferably cotton fibers), the absorbent body 4 corresponds to the topsheet 2 with cellulosic fibers (preferably cotton fibers). It is preferable to include In that case, it is preferable that some of the cellulosic fibers contained in the topsheet 2 are in contact with the cellulosic fibers contained in the absorber 4 . When the sanitary pad 1 has such a configuration, cellulosic fibers with high liquid diffusivity are interposed from the first fibrous layer 2a to the second fibrous layer 2b of the topsheet 2 (in the case In some cases, it exists so as to continuously communicate to the absorber 4 (via the auxiliary sheet 5), so by using the liquid diffusion of liquid excreta by cellulosic fibers, from the top sheet 2 to the absorber 4 Thus, the liquid excrement can be directly diffused, and as a result, the absorption performance can be further improved.

또한, 생리용 패드(1)는, 흡수체(4)가 셀룰로오스계 섬유 또는 코튼을 포함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In addition, in the sanitary pad 1, the absorbent body 4 does not need to contain cellulosic fibers or cotton.

본 발명에 있어서, 흡수체의 평면시 형상이나 각종 치수, 평량 등은, 흡수성 물품의 흡수체로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원하는 흡수 성능, 유연성, 강도 등에 따른 임의의 평면시 형상(예를 들면, 장방형, 타원형, 모래시계형 등)이나 각종 치수, 평량 등을 채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nar view shape, various dimensions, basis weight, etc. of the absorbent body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be used as the absorbent body of the absorbent article, and any planar view shape (for example, , rectangle, oval, hourglass shape, etc.), various dimensions, basis weight, etc. can be adopted.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흡수성 물품이, 흡수체 이외의 구성 부재(예를 들면, 표면 시트 등)에 의해, 흡수성 물품 전체로서 소정의 흡수 성능을 갖고 있는 경우에는, 흡수성 물품은, 반드시 이와 같은 흡수체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Moreover, in this invention, when an absorbent article has predetermined|prescribed water absorption performance as a whole absorbent article by structural members other than an absorber (for example, a top sheet etc.), an absorbent article must necessarily be such an absorber. does not need to be provided.

(사이드 시트)(side seat)

상술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한 쌍의 사이드 시트(6, 6)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시에서, 생리용 패드(1)의 폭 방향(W)의 양단부에 있어서 길이 방향(L)으로 연재하는, 한 쌍의 띠상의 형상을 갖고 있다. 한 쌍의 사이드 시트(6, 6)는, 생리용 패드(1)의 폭 방향(W)의 양단부에 있어서 표면 시트(2)의 비피부측에 위치하고, 표면 시트(2)의 피부측의 표면에 공급된 액상 배설물을, 생리용 패드(1)의 폭 방향(W)의 바깥쪽측으로 누출하지 않도록 막으면서, 길이 방향(L)으로 확산시키도록 기능하는, 친수성 또는 발수성의 시트상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as shown in Fig. 1 , the pair of side sheets 6 and 6 are arranged at both ends of the sanitary pad 1 in the width direction W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in a plan view. ), and has a pair of band-like shapes. The pair of side sheets 6 and 6 are located on the non-skin side of the topsheet 2 at both ends of the sanitary pad 1 in the width direction W, and are located on the skin side of the topsheet 2 . By a hydrophilic or water-repellent sheet-like member functioning to diffuse the liquid excrement supplied to the sanitary pad 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while preventing it from leaking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sanitary pad 1 is formed

사이드 시트(6)로서 이용할 수 있는 친수성 또는 발수성의 시트상 부재는, 사이드 시트로서 기능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친수성 또는 발수성을 갖는 섬유에 의해 구성된 부직포, 친수화 처리 또는 발수 처리를 실시한 부직포, 통기성을 갖는 합성 수지 필름 등을 들 수 있다.The hydrophilic or water-repellent sheet-like member that can be used as the side sheet 6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function as a side sheet, for example, a nonwoven fabric composed of fibers having hydrophilicity or water repellency, a hydrophilic treatment or Nonwoven fabrics subjected to water-repellent treatment, and synthetic resin films having air permeability, and the like are mentioned.

또, 본 실시 형태의 생리용 패드(1)에 있어서는, 한 쌍의 사이드 시트(6, 6)는, 습윤 시의 동마찰 계수가 표면 시트(2)의 습윤 시의 동마찰 계수보다도 낮게 되어 있다. 착용자의 다리 주위의 피부에 닿기 쉬운 한 쌍의 사이드 시트(6, 6)가, 감촉이 뛰어난 상술의 표면 시트(2)보다도 낮은 동마찰 계수를 갖고 있음으로써, 생리용 패드(1)로서 더욱 매끄러운 감촉을 제공할 수 있다.Moreover, in the sanitary pad 1 of this embodiment, the coefficient of kinetic friction of the pair of side sheets 6 and 6 when wet is lower than that of the topsheet 2 when wet. . The pair of side sheets 6 and 6, which are easy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skin around the wearer's leg, have a lower coefficient of kinetic friction than the above-mentioned top sheet 2 which is excellent in feel, so that it is smoother as the sanitary pad 1 It can provide a feel.

여기에서, 습윤 시의 동마찰 계수는, 이하의 방법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Here, the kinetic friction coefficient at the time of wet can be measur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method.

(1)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와 사이드 시트를 절단하고, 폭 방향 40mm, 길이 방향 80mm의 샘플을 절취(切取)한다. 또한, 핫멜트(HMA)형 접착제 등의 접착제에 의해 이들 시트를 분리할 수 없는 경우에는, 톨루엔을 이용하여 접착제를 씻어낸 다음, 24시간 대기중에서 건조시킨다.(1) The top sheet and the side sheet of the absorbent article are cut, and a sample of 40 mm in the width direction and 80 m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cut out. In addition, when these sheets cannot be separated by an adhesive such as a hot melt (HMA) adhesive, the adhesive is washed with toluene and then dried in the air for 24 hours.

(2) 각 샘플의 길이 방향의 단부 10mm를, 수평한 판에 검 테이프(아스쿨 가부시키가이샤:「현장의 힘」직물 테이프 0.26mm 두께 폭 50mm×길이 25m 롤)를 이용하여 고정한다.(2) The end 10 m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sample is fixed to a horizontal board using a gum tape (Aschool Co., Ltd.: "force on the field" fabric tape 0.26 mm thick 50 mm wide x 25 m long roll).

(3) 각 샘플 상에, 디지털 포스 게이지(니혼 덴산 심포 가부시키가이샤, FGP-0.5(FGP-2))와 단부 10mm를 전면(全面) 접합한 금건(金巾; canequim)(50mm×40mm, JIS L 0803 준거 염색 견뢰도 시험용 첨부 백포(白布), 일반재단법인 일본 규격 협회, 단일 섬유포)을 설치한다. 또한, 그 위에서 저면 35mm×25mm의 직방체인 525g의 추를 얹는다.(3) On each sample, a digital force gauge (Nippon Densan Shimpo Co., Ltd., FGP-0.5 (FGP-2)) and a gold canequim (50 mm × 40 mm, JIS) in which an end of 10 mm was joined to the entire surface Attached white cloth for testing fastness to dyeing conforming to L 0803, Japan Standards Association, single fiber cloth) is installed. Furthermore, a weight of 525 g, which i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with a bottom surface of 35 mm x 25 mm, is placed on it.

(4) 소정량의 이온 교환수로 대략 평균적으로 습윤시킨 금건을, 100mm/분의 속도로, 시트 상을 30mm 이동시키고, 그때 표시되는 최대치를 동마찰 계수로 한다. 이때, 각 샘플의 피부측의 표면에 금건을 대도록 한다.(4) The gold gun wetted on average with a predetermined amount of ion-exchanged water is moved 30 mm on the sheet at a speed of 100 mm/min, and the maximum value displayed at that time is used as the coefficient of kinetic friction. At this time, the gold key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skin side of each sample.

이 측정 방법에 있어서는, 금건을 적심에 따라, 착용자의 젖은 피부를 재현하고 있고, 또한, 재현하는 피부 수분량으로는, 습윤 시의 60%를 기준으로 한다.In this measurement method, the wet skin of the wearer is reproduced by wetting the gold key, and 60% of the wet skin is taken as a reference as the amount of skin moisture reproduced.

따라서, 이온 교환수의 소정량은, 금건의 질량에 대해 60 질량%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40mm×50mm의 금건이 50g/㎡인 경우에는, 0.06mL(50g/㎡×0.04m×0.05m×60%)로 한다.Therefore, the predetermined amount of ion-exchanged water is 60 mass % with respect to the mass of the gold key. Specifically, when the gold key of 40 mm x 50 mm is 50 g/m 2 , it is set to 0.06 mL (50 g/m 2 x 0.04 m x 0.05 m x 60%).

또한, 시트를 상기의 폭 치수로 채취할 수 없는 경우에는, 채취할 수 있는 최대폭으로 샘플을 채취하여, 측정한다. 그 다음 시트 면적 내에 들어가고, 또한 30g/㎠가 되는 추와, 추 폭+10mm(디지털 포스 게이지의 접속 부분)의 금건을 얹어, 100mm/분의 속도로, 시트 상을 최대 거리 이동시키고, 그때 표시되는 최대치를 동마찰 계수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sheet cannot be sampled with the above width dimension, a sample is taken with the maximum width that can be taken for measurement. Then, a weight that enters the sheet area and becomes 30 g/cm 2 and a gold key of weight width + 10 mm (connection part of the digital force gauge) are placed on the sheet, and the sheet is moved the maximum distance at a speed of 100 mm/min. Let the maximum value be the coefficient of kinetic friction.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표면 시트(2)의 습윤 시의 동마찰 계수는, 0.80이고, 사이드 시트(6)의 습윤 시의 동마찰 계수는, 0.49이다. 또, 표면 시트(2)의 동마찰 계수와 사이드 시트(6)의 동마찰 계수의 차는, 예를 들면, 0.1 이상 0.25 이하로 할 수 있다. 동마찰 계수의 차가 이와 같은 범위 내에 있으면, 표면 시트(2)와 사이드 시트(6)의 표면 특성의 차이를 착용자가 느끼기 쉬워진다.Moreover, in this embodiment, the dynamic friction coefficient at the time of wet of the topsheet 2 is 0.80, and the dynamic friction coefficient at the time of wet of the side sheet 6 is 0.49. Moreov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dynamic friction coefficient of the top sheet 2 and the dynamic friction coefficient of the side sheet 6 can be made into 0.1 or more and 0.25 or less, for example. When the difference in the coefficient of kinetic friction is within such a range, the wearer is likely to feel the difference in the surface properties between the topsheet 2 and the sidesheet 6 .

또, 이와 같은 동마찰 계수가 낮은 한 쌍의 사이드 시트(6, 6)는, 당해 사이드 시트(6, 6)를 형성하는 재료(예를 들면, 부직포의 구성 섬유 등)로서 저마찰성 재료를 이용함으로써, 또는, 사이드 시트로서 이용되는 공지의 시트상 부재의 피부측의 표면에, 저마찰성 재료를 피복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for the pair of side sheets 6 and 6 having such a low coefficient of dynamic friction, a low friction material is used as a material for forming the side sheets 6 and 6 (eg, constituent fibers of a nonwoven fabric). Alternatively, it can be formed by coating the skin-side surface of a known sheet-like member used as a side sheet with a low-friction material.

또한, 사이드 시트에 이용할 수 있는 저마찰성 재료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 실리콘 수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등의 불소 수지 등의 마찰 계수가 낮은 수지, 또는 이들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등을 들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 friction material that can be used for the side sea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an olefin resin such as polyethylene or polypropylene, a silicone resin, a fluororesin such as polytetrafluoroethylene, etc. Low resin, or a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these resins, etc. are mentioned.

또한, 한 쌍의 사이드 시트(6, 6)는, 습윤 시의 동마찰 계수가 표면 시트(2)의 습윤 시의 동마찰 계수보다도 낮지 않아도 된다.Further, the pair of side sheets 6 and 6 need not have a coefficient of wet dynamic friction lower than that of the topsheet 2 when wet.

본 발명에 있어서, 한 쌍의 사이드 시트의 각각의 평면시 형상이나 각종 치수 등은, 흡수성 물품의 사이드 시트로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원하는 방루(防漏) 성능이나 흡수 성능 등에 따른 임의의 평면시 형상이나 각종 치수 등을 채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nar view shape, various dimensions, etc. of each of the pair of side sheets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y can be used as side sheets of the absorbent article, and are arbitrary depending on the desired anti-rust performance, water absorption performance, etc. of the planar view shape, various dimensions, and the like can be employed.

또, 흡수성 물품이 이와 같은 한 쌍의 사이드 시트를 구비하는 것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는 필수의 구성 요건이 아니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은, 이와 같은 한 쌍의 사이드 시트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Moreover, since it is not an essential structural requirement in the absorbent article of this invention that an absorbent article is equipped with such a pair of side sheets, an absorbent article does not need to be equipped with such a pair of side sheets.

(이면 시트)(back sheet)

상술의 실시 형태의 생리용 패드(1)에 있어서, 이면 시트(3)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시에서, 생리용 패드(1)의 앞쪽측의 길이 방향 단부에서부터 뒤쪽측의 길이 방향 단부에 걸쳐 길이 방향(L)으로 연재하는 동시에, 생리용 패드(1)의 폭 방향(W)에 있어서의 한쪽측의 폭 방향 단부에서부터 다른쪽측의 폭 방향 단부에 걸쳐 폭 방향(W)으로 연재하는, 세로로 긴 평면시 형상을 갖고 있다. 이러한 이면 시트(3)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생리용 패드(1)의 두께 방향(T)에 있어서 비피부측의 위치에 배치되고, 흡수체(4)를 투과하여 또는 흡수체(4)로부터 배어 나온 액상 배설물이 생리용 패드(1)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기능하는, 액체 불투과성의 시트상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In the sanitary pad 1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back sheet 3 has a length from the front longitudinal end of the sanitary pad 1 to the rear side in a plan view, as shown in FIG. 1 . Whil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over the sanitary pad 1, in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sanitary pad 1, from one side end in the width direction to the width direction end at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W It has a longitudinally elongated planar view shape. As shown in FIG. 2 , such a back sheet 3 is disposed at a position on the non-skin si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T of the sanitary pad 1 , and passes through the absorbent body 4 or the absorbent body 4 . It is constituted by a liquid-impermeable sheet-like member that functions to prevent leakage of liquid excrement from the sanitary pad 1 to the outside.

이면 시트(3)로서 이용할 수 있는 액체 불투과성의 시트상 부재는, 착용자로부터 배출되는 경혈 등의 액상 배설물의 투과를 방지하고, 당해 액상 배설물이 착용자의 착의 등으로 새어 나오지 않도록 기능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임의의 소수성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예를 들면, PE, PP 등의 폴리올레핀계 섬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심초형 복합 섬유 등의 각종 복합 섬유 등)에 의해 형성된 소수성 부직포; PE나 PP 등의 소수성의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형성된 유공(有孔) 또는 무공(無孔)의 수지 필름; 해당 수지 필름에 부직포를 첩합(貼合)한 적층체; SMS 부직포 등의 적층 부직포 등의 임의의 액체 불투과성의 시트상 부재를 이용할 수 있다.A liquid-impermeable sheet-like member that can be used as the backsheet 3 can function to prevent penetration of liquid excrement such as menstrual blood discharged from the wearer and prevent the liquid excretion from leaking through the wearer's clothing, etc. ,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any hydrophobic thermoplastic resin fibers (for example, polyolefin fibers such as PE and PP, polyester fibers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core sheath type composite fibers, etc.) hydrophobic nonwoven fabric formed by various composite fibers, etc.); a porous or non-porous resin film formed of a hydrophobic thermoplastic resin such as PE or PP; laminated body which bonded nonwoven fabric to the said resin film; Any liquid-impermeable sheet-like member, such as laminated nonwoven fabrics, such as SMS nonwoven fabric, can be used.

또한, 이면 시트(3)의 평면시 형상이나 각종 치수, 평량 등은, 이면 시트로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원하는 방루 성능이나 통기성, 강도 등에 따른 임의의 평면시 형상이나 각종 치수, 평량 등을 채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anar view shape, various dimensions, and basis weight of the backsheet 3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y can be used as the backsheet, and any planar view shape, various dimensions, and basis weight according to the desired anti-rust performance, air permeability, strength, etc. etc. can be employed.

또, 본 실시 형태의 생리용 패드(1)에 있어서는, 표면 시트(2)가, 접착제 등(예를 들면, 핫멜트형 접착제 등)에 의해 보조 시트(5)에 접합되고, 보조 시트(5) 및 한 쌍의 사이드 시트(6, 6)의 각각에 있어서의 흡수체(4)에 대향하는 부분이, 접착제 등에 의해 흡수체(4)에 접합되어 있으며, 또한, 한 쌍의 사이드 시트(6, 6) 및 흡수체(4)의 각각에 있어서의 이면 시트(3)에 대향하는 부분이, 접착제 등에 의해 이면 시트(3)에 접합되어 있다.Further, in the sanitary pad 1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topsheet 2 is bonded to the auxiliary sheet 5 with an adhesive or the like (eg, a hot melt adhesive or the like), and the auxiliary sheet 5 is and a portion of each of the pair of side sheets 6 and 6 facing the absorber 4 is joined to the absorber 4 with an adhesive or the like, and further, the pair of side sheets 6 and 6 and a portion of each of the absorbent members 4 facing the backsheet 3 is joined to the backsheet 3 with an adhesive or the like.

(점착부)(adhesive part)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생리용 패드(1)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면 시트(3)의 비피부측의 표면에 있어서, 착용자의 착의(예를 들면, 속옷 등)에 생리용 패드(1)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점착부(7) 및 한 쌍의 점착부(8, 8)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2 , the sanitary pad 1 is attached to the wearer's clothing (eg, underwear, etc.) on the non-skin side surface of the back sheet 3 . A plurality of adhesive portions 7 and a pair of adhesive portions 8 and 8 for fixing (1) are further provided.

복수의 점착부(7)는, 흡수체(4)와 두께 방향(T)으로 겹쳐지도록 이면 시트(3)의 비피부측의 표면에 배치되어 있고, 길이 방향(L)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고 또한 폭 방향(W)으로 간헐적으로 늘어서는 복수 가닥의 스트라이프상(복수 가닥의 대략 직사각형상)의 평면시 형상을 갖고 있다.The plurality of adhesive portions 7 are disposed on the non-skin side surface of the backsheet 3 so as to overlap the absorber 4 in the thickness direction T, and extend continuous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nd have a width It has a planar view shape of a plurality of stripes intermittently arranged in the direction W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of a plurality of strands).

또, 한 쌍의 점착부(8, 8)는, 한 쌍의 윙부(9, 9)와 두께 방향(T)으로 겹쳐지도록 이면 시트(3)의 비피부측의 표면에 배치되어 있고, 길이 방향(L)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대략 직사각형상의 평면시 형상을 갖고 있다.Further, the pair of adhesive portions 8 and 8 are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non-skin side of the back sheet 3 so as to overlap the pair of wing portions 9 and 9 in the thickness direction 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nar view shape continuously extending to (L).

또한, 이들 점착부(7, 8)는, 각각 생리용 패드(1)를 착용자의 착의에 고정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스티렌계 폴리머 등의 임의의 점착제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se adhesive portions 7 and 8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sanitary pad 1 can be fixed to the wearer's clothing, respectively, and may be formed of any adhesive such as a styrenic polymer. can

또, 흡수성 물품이 이와 같은 점착부를 구비하는 것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는 필수의 구성 요건이 아니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은 이와 같은 점착부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Moreover, since it is not an essential structural requirement in the absorbent article of this invention that an absorbent article is equipped with such an adhesive part, an absorbent article does not need to be equipped with such an adhesive part.

[제조 방법] [Manufacturing method]

다음으로, 상술의 실시 형태에 관한 생리용 패드(1)의 표면 시트(2)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한다.Next,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topsheet 2 of the sanitary pad 1 which concerns on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is demonstrated by way of example.

(제 2 섬유 웹 형성 공정)(Second fiber web forming process)

우선, 제 2 섬유층(2b)을 형성하기 위한 보수성 섬유(F1) 및 열가소성 수지 섬유(F2)가, 제 1 카드기(예를 들면, 싱글 카드 또는 더블 카드를 사용한 건식의 롤러 카드)에 공급되어, 제 2 섬유층(2b)에 대응하는 제 2 섬유 웹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 2 섬유 웹은, 반송(搬送) 장치에 의해 반송 방향(MD)으로 반송된다. First, the water-retaining fibers (F 1 ) and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s (F 2 ) for forming the second fiber layer 2b are applied to the first card machine (for example, a dry roller card using a single card or a double card). fed, a second fibrous web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ibrous layer 2b is formed. This second fibrous web is conveyed in the conveying direction MD by a conveying device.

(제 1 섬유 웹 형성 공정)(first fiber web forming process)

다음으로, 제 1 섬유층(2a)을 형성하기 위한 보수성 섬유(F1)가, 제 2 카드기(제 1 카드기와 마찬가지의 건식의 롤러 카드)에 제공되어, 제 1 섬유층(2a)에 대응하는 제 1 섬유 웹이 형성된다. Next, water-retaining fibers F 1 for forming the first fiber layer 2a are provided to the second card machine (a dry roller card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card machine), which corresponds to the first fiber layer 2a. A first fibrous web is formed.

(섬유 웹 적층 공정)(Fiber web lamination process)

형성된 제 1 섬유 웹은, 반송 장치로 반송 중인 제 2 섬유 웹 상에 적층된다. 이것에 의해, 제 1 섬유 웹과 제 2 섬유 웹이 적층된 2층 구조의 복합 섬유 웹이 형성된다.The formed first fibrous web is laminated on the second fibrous web being conveyed to a conveying device. Thereby, the composite fiber web of the two-layer structure in which the 1st fibrous web and the 2nd fibrous web were laminated|stacked is formed.

또한, 각 섬유 웹에 있어서의 각 섬유의 비율은, 각 카드기에 공급하는 원료 섬유의 비율로 제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ratio of each fiber in each fiber web is controllable by the ratio of the raw material fiber supplied to each card machine.

(교락 공정)(bridging process)

다음으로, 2층 구조를 갖는 복합 섬유 웹은, 워터제트 처리기에 의해 워터제트 처리가 실시되어, 복합 섬유 웹 내의 섬유끼리가 수류 교락된다. 이것에 의해, 복합 섬유 시트(스펀레이스 부직포)가 형성된다.Next, the composite fiber web having a two-layer structure is subjected to a water jet treatment by a water jet treatment machine, so that the fibers in the composite fiber web are entangled in water flow. Thereby, a composite fiber sheet (spunlace nonwoven fabric) is formed.

이와 같이, 복합 섬유 웹 내의 섬유끼리가 수류 교락에 의해 전체적으로 교락됨으로써, 코튼 섬유 등의 보수성 섬유(F1)가 풀려서 빠지는 것과 같은 일이 생기기 어려워지는 데다가, 양호한 감촉도 얻어지기 쉬워진다.In this way, when the fibers in the composite fiber web are entangled as a whole by water flow entanglement, it becomes difficult to cause the water-retaining fibers (F 1 ) such as cotton fibers to loosen and fall out, and a good feel is also easily obtained.

여기에서, 상술의 워터제트 처리는,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메시 벨트 상에 얹어진 복합 섬유 웹에 대해, 상면측으로부터 고압 제트 수류가 분사되고, 당해 수류의 작용에 의해 복합 섬유 웹 내의 섬유끼리가 교락되는 것이다.Here, in the water jet treatment described above, a high-pressure jet water stream is sprayed from the upper surface side to the composite fiber web mounted on a continuously moving mesh belt, and the fibers in the composite fiber web are entangled by the action of the water flow. will become

또한, 워터제트 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복합 섬유 시트의 성질은, 각 섬유 웹의 질량, 분사 노즐의 구멍 지름, 분사 노즐의 구멍 수(피치), 섬유 웹의 이동 속도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perties of the composite fiber sheet obtained by the water jet treatment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mass of each fiber web, the hole diameter of the spray nozzle, the number of holes (pitch) of the spray nozzle, the moving speed of the fiber web, and the like.

또한, 각 섬유층에 대응하는 섬유 웹의 형성 방법은, 상기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습식법 등을 채용해도 된다. 또, 웹의 결합 방법도, 상술의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에어스루법(즉, 복합 섬유 웹을 가열 장치로 반송하고, 당해 가열 장치 내에서, 가열 공기에 의해 복합 섬유 웹 내의 섬유끼리를 교락시키는 방법)이나 니들 펀치법 등을 채용해도 된다.In addition, the formation method of the fiber web corresponding to each fiber layer is not limited to the said method, For example, a wet method etc. may be employ|adopted. Moreover, the web bonding method is also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method, either, For example, an air-through method (that is, conveying a composite fiber web to a heating apparatus, in the said heating apparatus, inside a composite fiber web by heating air) A method of entangling fibers), a needle punch method, or the like may be employed.

(건조 공정)(drying process)

워터제트 처리기를 통과한 복합 섬유 시트는, 건조기(가열식 열풍 오븐)로 반송되어, 열풍에 의해 건조된다.The composite fiber shee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water jet processing machine is conveyed to a dryer (heated hot air oven) and dried by hot air.

(가열 처리 공정)(Heat treatment process)

또한, 건조된 복합 섬유 시트는, 가열 처리 장치(가열식 열풍 오븐)로 반송되어, 소정 온도의 열풍에 의해 가열 처리된다. 이 가열 처리에 의해, 복합 섬유 시트 내의 적어도 일부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F2)가 용융하고, 그 용융물(F2M)이 복합 섬유 시트 내를 흘러, 제 1 섬유층(2a)에 대응하는 부분에 존재하는 보수성 섬유(F1)나 복합 섬유 시트 내의 교락 부분(PE)에 있어서의 보수성 섬유(F1) 등에 부착한다. 이것에 의해, 적어도 제 1 섬유층(2a)에 대응하는 부분에 포함되는 적어도 일부의 보수성 섬유(F1)가, 섬유끼리의 교락 부분(PE) 중 적어도 일부의 교락 부분(PE)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 섬유(F2)의 용융물(F2M)에 의해 피복된다.Moreover, the dried composite fiber sheet is conveyed to a heat processing apparatus (heating type hot air oven), and is heat-processed by the hot air of a predetermined temperature. By this heat treatment, at least a part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s F 2 in the composite fiber sheet melt, and the melt F 2M flows through the composite fiber sheet and is present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fiber layer 2a. attached to the water holding property and fiber (F 1) or the water holding property and fiber (F 1) of the inter-woven part (P E) in the composite fiber sheet to be. As a result, in at least the bridging portion of the at least a portion of the water holding property and fiber (F 1), between the fibers contained in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fiber layer (2a) (P E) bridging portion of the at least a portion (P E) , covered by a melt (F 2M ) of thermoplastic resin fibers (F 2 ).

또한, 가열 처리의 조건은, 열가소성 수지 섬유(F2)가 용융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열가소성 수지 섬유(F2)가 심초형 복합 섬유나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복합 섬유 등의 복합 섬유인 경우는, 복합 섬유의 표면에 노출되는 융점이 낮은 수지 성분(예를 들면, 심초형 복합 섬유인 경우는 초부를 구성하는 수지 성분,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복합 섬유인 경우는 한쪽측의 수지 성분)만이 용융하는 온도 조건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conditions of the heat treatment,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 (F 2) is as long as it can be molte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 (F 2) is a composite fiber such as a core-sheath type conjugated fiber or side-by-side-type conjugated fiber In this case, only the resin component with a low melting point exposed on the surface of the composite fiber (for example, the resin component constituting the sheath in the case of a core-sheath type composite fiber, and the resin component on one side in the case of a side-by-side type composite fiber) It is preferable to employ a melting temperature condition.

또, 상술의 워터제트 처리 후의 건조와, 그 후의 가열 처리에 이용되는 장치(즉, 건조기와, 가열 처리 장치)는, 병용해도 된다.Moreover, you may use together the apparatus (namely, a dryer and a heat processing apparatus) used for the drying after the above-mentioned water jet treatment, and the heat processing after that.

(부형(賦形) 공정)(Shaping process)

다음으로, 가열 처리 후의 복합 섬유 시트는, 반송 방향(MD)으로 반송되면서, 부형 장치에 공급된다. 여기에서, 부형 장치는, 외주면에 있어서 둘레방향으로 연이어 설치되고, 서로 맞물리는 오목부와 볼록부를 갖는 한 쌍의 부형 롤을 구비하고 있으며, 가열 처리 후의 복합 섬유 시트는, 한 쌍의 부형 롤의 오목부와 볼록부의 사이에 협지(挾持)되어, 반송 방향(MD)으로 연장되는 상기 특정의 요철 구조가 부형된다.Next, the composite fiber sheet after heat treatment is supplied to the shaping apparatus while being conveyed in the conveyance direction MD. Here, the shaping apparatus is provided with a pair of shaping rolls which are provided consecutivel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have concave and convex portions engaged with each other, and the composite fiber sheet after heat treatment is formed of the pair of shaping rolls. The specific concave-convex structure that is sandwiched between the concave portion and the convex portion and extends in the conveyance direction MD is shaped.

또한, 표면 시트(2)가 이와 같은 특정의 요철 구조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는, 부형 공정을 생략해도 된다.In addition, when the topsheet 2 does not have such a specific uneven structure, you may abbreviate|omit a shaping process.

이와 같이 하여, 표면 시트(2)용의 복합 섬유 부형 시트가 형성된다. 또한, 복합 섬유 부형 시트는, 생리용 패드(1)의 다른 구성 부재용의 시트상 부재와 적층된 후, 생리용 패드(1)의 형상으로 절단되어, 표면 시트(2)가 된다.In this way, the composite fiber shaping sheet for the topsheet 2 is formed. In addition, the composite fiber shaping sheet is laminated with the sheet-like members for other constituent members of the sanitary pad 1 , and then cut into the shape of the sanitary pad 1 to form a topsheet 2 .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의 생리용 패드 외에, 예를 들면, 팬티 라이너, (경)실금 패드, 일회용 기저귀 등의 다양한 흡수성 물품에 적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상술한 실시 형태나 후술하는 실시예 등으로 제한되는 일 없이, 본 발명의 목적,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적절히 조합이나 대체, 변경 등이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absorbent articles, such as panty liners, (trans)incontinence pads, and disposable diapers, in addition to the sanitary pad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Moreover, the absorbent article of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the Example mentioned later, etc., within the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objective and meaning of this invention, a combination, substitution, a change, etc. are possible as appropriate.

또한,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에 이용되는, 제 1 섬유층과 제 2 섬유층을 구비한 부직포는, 사용자의 피부에 불쾌한 자극을 주기 어려워, 감촉이 뛰어난 부직포이기 때문에, 양호한 감촉이 요구되는 다른 시트상 부재(예를 들면, 사이드 시트나 외장 시트 등)에의 적용도 가능하고, 더 나아가서는, 흡수성 물품 이외의 위생 용품(예를 들면, 마스크나 오염 닦아냄용 시트, 페이스 마스크, 화장용 시트, 퍼프(예를 들면 코튼 퍼프) 등)에 이용되는 부직포에의 적용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nonwoven fabric having the first fiber layer and the second fiber layer, used for the topsheet of the absorbent art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nonwoven fabric having excellent feel and hardly giving unpleasant irritation to the user's skin. Application to sheet-like members (for example, side sheets, exterior sheets, etc.) is also possible, and furthermore, hygiene products other than absorbent articles (for example, masks, stain-wiping sheets, face masks, cosmetic sheets, Application to nonwoven fabrics used in puffs (for example, cotton puffs) is also possible.

이와 같은 부직포에 적용한 경우, 당해 부직포는, 제 1 면 및 제 2 면을 갖는 부직포로서,When applied to such a nonwoven fabric, the nonwoven fabric is a nonwoven fabric having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당해 부직포는,The nonwoven fabric is

보수성 섬유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부직포의 상기 제 1 면을 형성하는 제 1 섬유층과, A first fiber layer comprising water-retaining fibers and forming the first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열가소성 수지 섬유와 보수성 섬유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제 1 섬유층의 제 2 면측에 인접하여 상기 부직포의 상기 제 2 면을 형성하는 제 2 섬유층을 구비하고, A second fiber layer comprising a thermoplastic resin fiber and a water-retaining fiber, and adjacent to the second face side of the first fiber layer, forming the second face of the nonwoven fabric;

상기 제 1 섬유층을 구성하는 섬유 중의 상기 보수성 섬유의 비율은, 상기 제 2 섬유층을 구성하는 섬유 중의 상기 보수성 섬유의 비율보다도 많으며,The proportion of the water-retaining fibers in the fibers constituting the first fiber layer is greater than the proportion of the water-retaining fibers in the fibers constituting the second fiber layer,

상기 제 1 섬유층에 포함되는 적어도 일부의 상기 보수성 섬유는, 상기 섬유끼리의 교락 부분 중 적어도 일부의 교락 부분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용융물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상기 부직포가 된다.At least some of the water-retaining fibers included in the first fiber layer become the nonwoven fabric covered with the melt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s in at least some of the interlacing portions of the fibers.

실시예Example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예시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y way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ese examples.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이용할 수 있는 표면 시트(실시예)와, 본 발명의 구성 요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표면 시트(비교예)를 제작하여, 그들의 보풀 일어남의 발생 상황에 대하여 검증했다.A topsheet (Example) that can be used for the absorbent art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topsheet (Comparative Example) that do not satisfy the structural requir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ere produced, and the occurrence of fluff was verified.

실시예 1Example 1

우선, 제 2 섬유층을 형성하기 위한 보수성 섬유 및 열가소성 수지 섬유로서, 각각 코튼 섬유(섬유 길이 5mm∼35mm, 평량 16g/㎡) 및 심초형 복합 섬유(심부: PP, 초부: PE, 섬유 길이 38mm, 평량 4g/㎡)를 준비하고, 이들 섬유를 제 1 카드기에 공급하여, 제 2 섬유층에 대응하는 제 2 섬유 웹을 형성했다(제 2 섬유 웹 형성 공정). 이 제 2 섬유 웹에 있어서의 코튼 섬유와 심초형 복합 섬유의 혼합비(질량비)는, 코튼 섬유:심초형 복합 섬유=60:40으로 했다.First, as water-retaining fibers and thermoplastic resin fibers for forming the second fiber layer, respectively, cotton fibers (fiber length 5 mm to 35 mm, basis weight 16 g/m2) and core-sheath composite fibers (core: PP, sheath: PE, fiber length 38 mm; basis weight of 4 g/m 2) was prepared, and these fibers were supplied to the first card machine to form a second fibrous web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ibrous layer (second fibrous web forming step). The mixing ratio (mass ratio) of the cotton fibers and the core-sheath composite fibers in this second fiber web was set to be cotton fibers:core-sheath composite fibers = 60:40.

이어서, 제 1 섬유층을 형성하기 위한 보수성 섬유로서 코튼 섬유(섬유 길이 20mm∼35mm, 평량 10g/㎡)만을 준비하고, 이러한 코튼 섬유를 제 2 카드기에 제공하여, 제 1 섬유층에 대응하는 제 1 섬유 웹을 형성했다(제 1 섬유 웹 형성 공정).Next, only cotton fibers (fiber length 20 mm to 35 mm, basis weight 10 g/m 2 ) are prepared as water-retaining fibers for forming the first fiber layer, and these cotton fibers are supplied to a second card machine, so that the first fibers corresponding to the first fiber layer A web was formed (first fiber web forming process).

그리고, 형성한 제 1 섬유 웹을, 반송 장치로 반송 중인 제 2 섬유 웹 상에 적층함으로써, 제 1 섬유 웹과 제 2 섬유 웹이 적층된 2층 구조의 복합 섬유 웹을 형성한(섬유 웹 적층 공정) 후, 이러한 복합 섬유 웹에 대해, 워터제트 처리기에 의해 워터제트 처리를 실시해, 복합 섬유 웹 내의 섬유끼리를 수류 교락시켜, 복합 섬유 시트(스펀레이스 부직포)를 얻었다(교락 공정).Then, by laminating the formed first fibrous web on the second fibrous web being transported by a conveying device, a composite fiber web having a two-layer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fibrous web and the second fibrous web are laminated is formed (fiber web lamination) After the step), the composite fiber web was subjected to a water jet treatment with a water jet treatment machine to entangle the fibers in the composite fiber web with water flow to obtain a composite fiber sheet (spunlace nonwoven fabric) (interlacing step).

워터제트 처리기를 통과한 복합 섬유 시트를, 건조기(가열식 열풍 오븐)로 반송하여, 70℃의 열풍에 의해 건조했다(건조 공정).The composite fiber sheet which passed through the water jet processing machine was conveyed to the dryer (heating type hot air oven), and it dried with 70 degreeC hot air (drying process).

또한, 건조한 복합 섬유 시트를, 가열 처리 장치(가열식 열풍 오븐)로 반송하고, 130℃의 열풍에 의해 가열 처리하여, 코튼 섬유를, 섬유끼리의 교락 부분에 있어서, 심초형 복합 섬유의 용융물(구체적으로는, 초부의 PE의 용융물)에 의해 피복했다(가열 처리 공정).Further, the dried composite fiber sheet is conveyed to a heat treatment device (heating hot air oven) and heat-treated with hot air at 130° C. to convert cotton fibers into a melt of core-sheath composite fibers (specifically As a result, it coat|covered with the PE molten material of a sheath part (heat treatment process).

이어서, 가열 처리 후의 복합 섬유 시트를, 서로 맞물리는 오목부와 볼록부를 갖는 한 쌍의 부형 롤을 구비한 부형 장치에 공급하고, 한 쌍의 부형 롤의 오목부와 볼록부의 사이에 협지하여, 반송 방향(MD)으로 연장되는 요철 구조를 부형했다(부형 공정).Next, the heat-treated composite fiber sheet is fed to a shaping device provided with a pair of shaping rolls having concave and convex portions that engage with each other, sandwiched between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s of the pair of shaping rolls, and conveyed The uneven structure extending in the direction MD was shaped (shaping process).

이와 같이 하여 요철 구조가 부형된 복합 섬유 부형 시트를, 소정의 형상으로 절단하여, 실시예 1의 표면 시트를 얻었다.The composite fiber shaping sheet in which the concave-convex structure was shaped in this way was cut into a predetermined shape to obtain the topsheet of Example 1.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가열 처리 공정 및 부형 공정을 행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비교예 1의 표면 시트를 얻었다.A topsheet of Comparative Example 1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heat treatment step and the shaping step were not performed.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표면 시트를 형성하기 위한 섬유로서 코튼 섬유(섬유 길이 20mm∼35mm, 평량 30g/㎡)만을 이용한 것(즉, 표면 시트를, 제 2 섬유층이 없는 단층 구조의 섬유층(코튼 섬유층)으로 한 것), 그리고 가열 처리 공정 및 부형 공정을 행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비교예 2의 표면 시트를 얻었다.What used only cotton fibers (fiber length 20 mm to 35 mm, basis weight 30 g/m 2 ) as fibers for forming the topsheet (that is, the topsheet was a single-layer fibrous layer (cotton fiber layer) without a second fibrous layer); And except not having performed the heat treatment process and the shaping process, it carried out similarly to Example 1, and obtained the topsheet of Comparative Example 2.

실시예 1의 표면 시트에 대해, 제 1 섬유층 내의 모습을 주사형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코튼 섬유(보수성 섬유(F1))가 섬유끼리의 교락 부분(PE)에 있어서 심초형 복합 섬유(열가소성 수지 섬유(F2))의 용융물(구체적으로는, 초부의 PE의 용융물)(F2M)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것을 확인했다. 그 확인 결과(즉, 실시예 1의 표면 시트에 있어서의 제 1 섬유층의 전자현미경 사진)를 도 5에 나타낸다.Exemplary core-sheath type composite fiber in for the top sheet of Example 1, the first to observe in the fiber layer wit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cotton fibers (water retention fibers (F 1)) the inter-woven part (P E) between the fibers ( melt (specifically,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 (F 2)) has confirmed that, is coated with a melt of the sheath of PE) (F 2M). The confirmation result (that is, the electron micrograph of the 1st fiber layer in the topsheet of Example 1) is shown in FIG.

또한,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각 표면 시트에 대해, 이하의 < 마찰 견뢰도 시험에 의한 보풀 일어남의 평가 방법>에 따라, 각 표면 시트의 보풀 일어남의 발생 상황을 비교 평가했다. 그 평가 결과(즉, 실시예 1, 비교예 1 및 2의 보풀 일어남의 발생 상황을 나타내는 비교 사진)를 도 6에 나타낸다.In addition, for each topsheet of Example 1, Comparative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2, according to the following <Evaluation method for fluffing by a friction fastness test>, the occurrence status of fluffing of each topsheet was comparatively evaluated. . The evaluation result (that is, the comparative photograph which shows the generation|occurrence|production state of fluffing of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is shown in FIG.

<마찰 견뢰도 시험에 의한 보풀 일어남의 평가 방법><Evaluation method of fluffing by friction fastness test>

(1) 표면 시트를 구성하는 부직포로부터, 측정 대상 영역을 소정 사이즈(예를 들면, 80mm×40mm)로 잘라내어, 측정용 샘플을 얻는다.(1) From the nonwoven fabric constituting the topsheet, a measurement target region is cut out to a predetermined size (eg, 80 mm×40 mm) to obtain a measurement sample.

(2) 측정용 샘플을, 염색물 마찰 견뢰도 시험기((주)다이에이 가가쿠 세이키 세이사쿠쇼 제조)의 측정용 스테이지 상에 고정한다.(2) The measurement sample is fixed on the measurement stage of a dyed material friction fastness testing machine (made by Daiei Chemical Seiki Seisakusho).

(3) 염색부 마찰 견뢰도 시험기의 마찰 단자의 상면에 200g의 추를 부착하는 동시에, 하면에 마찰면을 형성하는 직물 테이프를 첩부한다.(3) A weight of 200 g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riction terminal of the dyeing part friction fastness tester, and a fabric tape forming a friction surface is affixed to the lower surface.

(4) 측정용 스테이지 상에 고정된 측정 샘플의 표면을, 상술한 마찰 단자에 있어서의 마찰면으로 문지른다. 이때, 마찰 단자의 왕복 횟수는 100회와 200회, 마찰 단자의 이동 범위(왕복 폭)는 60mm이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0T」, 「100T」 및 「200T」라는 항목은, 마찰 견뢰도 시험(FF)에 있어서의 마찰 단자의 왕복 횟수가, 각각 「0회」, 「100회」 및 「200회」인 것을 의미한다.(4) The surface of the measurement sample fixed on the stage for measurement is rubbed with the friction surface in the friction terminal mentioned above. At this time, the number of reciprocation of the friction terminal is 100 and 200 times, and the movement range (reciprocation width) of the friction terminal is 60 mm. In addition, in the items of "0T", "100T", and "200T" shown in FIG. 6, the number of reciprocations of the friction terminal in the friction fastness test (FF) is "0", "100" and "200, respectively. It means "time".

(5) 마찰 단자로 문지른 후의, 측정 샘플의 표면의 보풀 일어남 상태를 관찰한다.(5) After rubbing with a friction terminal, the state of fluffing on the surface of the measurement sample is observed.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열 처리가 실시되어, 코튼 섬유가 섬유끼리의 교락 부분에 있어서 심초형 복합 섬유의 용융물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실시예 1의 표면 시트는, 마찰 단자로 200회 문지른 후라도, 보풀 일어남이 거의 발생하고 있지 않아, 감촉이 뛰어난 것을 알 수 있다(도 6에 있어서의 A란의 사진을 참조).As shown in FIG. 6 , the topsheet of Example 1, in which heat treatment was performed and the cotton fibers were coated with a melt of core-sheath composite fibers in the entangling portions of the fibers, even after rubbing 200 times with a friction terminal, It turns out that fluffing hardly generate|occur|produced and it was excellent in a feel (refer the photograph of column A in FIG. 6).

한편, 가열 처리가 실시되어 있지 않은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표면 시트는, 마찰 단자로 100회 문지른 것만으로도, 보풀 일어남이 발생하고 있어, 감촉이 저하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도 6에 있어서의 B란(비교예 1) 및 C란(비교예 2)의 사진을 참조).On the other hand, in the topsheets of Comparative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2, which were not subjected to heat treatment, fluffing occurred only by rubbing 100 times with a friction terminal, and it was found that the feel was decreased (Fig. 6). Refer to the photograph of column B (comparative example 1) and column C (comparative example 2) in ).

1: 생리용 패드(흡수성 물품의 일례) 2: 표면 시트
2a: 제 1 섬유층 2b: 제 2 섬유층
3: 이면 시트 4: 흡수체
5: 보조 시트 6: 사이드 시트
F1: 보수성 섬유 F2: 열가소성 수지 섬유
F2M: 용융물
1: sanitary pad (an example of an absorbent article) 2: top sheet
2a: first fibrous layer 2b: second fibrous layer
3: back sheet 4: absorbent body
5: Secondary seat 6: Side seat
F 1 : water-retaining fiber F 2 : thermoplastic resin fiber
F 2M : melt

Claims (13)

표면 시트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표면 시트는,
보수성(保水性) 섬유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표면 시트의 피부측의 표면을 형성하는 제 1 섬유층과,
열가소성 수지 섬유와 보수성 섬유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제 1 섬유층의 비(非)피부측에 인접하여 상기 표면 시트의 비피부측의 표면을 형성하는 제 2 섬유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섬유층을 구성하는 섬유 중의 상기 보수성 섬유의 비율은, 상기 제 2 섬유층을 구성하는 섬유 중의 상기 보수성 섬유의 비율보다도 많고,
상기 제 1 섬유층에 포함되는 적어도 일부의 상기 보수성 섬유는, 상기 섬유끼리의 교락(交絡) 부분 중 적어도 일부의 교락 부분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용융물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상기 흡수성 물품.
An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 topsheet, comprising:
The surface sheet,
a first fibrous layer comprising water-retaining fibers and forming a skin-side surface of the topsheet;
A second fibrous layer comprising thermoplastic resin fibers and water-retaining fibers and adjacent to the non-skin side of the first fibrous layer and forming a non-skin side surface of the topsheet;
The proportion of the water-retaining fibers in the fibers constituting the first fiber layer is greater than the proportion of the water-retaining fibers in the fibers constituting the second fiber layer,
The absorbent article,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water-retaining fibers contained in the first fiber layer is coated with the melt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s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entangled portions of the fiber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섬유는, 1가닥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가 복수 가닥의 상기 보수성 섬유와 교락하고 있고,
상기 1가닥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와 상기 복수 가닥의 상기 보수성 섬유와의 교락 부분의 각각은, 상기 1가닥의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용융물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 one thermoplastic resin fiber is entangled with a plurality of water-retaining fibers,
The absorbent article, wherein each of the entangled portions of the single thermoplastic resin fiber and the plurality of water-retaining fibers is coated with a melt of the single thermoplastic resin fibe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용융물이, 상기 제 1 섬유층의 피부측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지 않은, 흡수성 물품.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absorbent article, wherein the melt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s is not exposed on the skin-side surface of the first fiber layer.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 1 섬유층에 포함되는 상기 보수성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보다도 짧은, 흡수성 물품.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absorbent article, wherein the average fiber length of the water-retaining fibers contained in at least the first fiber layer is shorter than the average fiber length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s.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 1 섬유층에 포함되는 상기 보수성 섬유의 평균 섬유 길이가 5mm 이상 35mm 미만인, 흡수성 물품.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absorbent article, wherein the average fiber length of the water-retaining fibers contained in at least the first fibrous layer is 5 mm or more and less than 35 mm.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섬유가 복합 섬유이고,
상기 복합 섬유는, 융점이 낮은 수지 성분이 상기 복합 섬유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thermoplastic resin fiber is a composite fiber,
The said composite fiber is an absorbent article in which the resin component with a low melting|fusing point is exposed on the surface of the said composite fiber.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는, 피부측의 표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움푹 패인 압착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The absorbent article, wherein the topsheet has a crimping portion recess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from the skin-side surface.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또한,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띄우고 위치하는 복수의 볼록부와,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또한, 서로 인접하는 볼록부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오목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The surface sheet,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bsorbent articl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absorbent article;
An absorbent article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bsorbent article and having a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positioned between convex portions adjacent to each other.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표면 시트의 비피부측에 위치하는 보조 시트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표면 시트는, 상기 복수의 오목부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보조 시트와 접합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9. The method of claim 8,
The absorbent article further comprises an auxiliary sheet positioned on a non-skin side of the topsheet,
The absorbent article, wherein the topsheet is joined to the auxiliary sheet in each of the plurality of recesses.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수성 섬유가 오가닉 코튼인, 흡수성 물품.
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The absorbent article, wherein the water-retaining fiber is organic cotton.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섬유층의 섬유 밀도가, 상기 제 1 섬유층의 섬유 밀도보다도 큰, 흡수성 물품.
11.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The absorbent article, wherein the fiber density of the second fibrous layer is greater than the fiber density of the first fibrous layer.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섬유층의 상기 섬유간의 평균 거리가, 상기 제 1 섬유층의 상기 섬유간의 평균 거리보다도 짧은, 흡수성 물품.
12.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The absorbent article, wherein the average distance between the fibers of the second fibrous layer is shorter than the average distance between the fibers of the first fibrous layer.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폭 방향의 양단부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의 피부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사이드 시트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사이드 시트는, 습윤 시의 동마찰(動摩擦) 계수가 상기 표면 시트의 습윤 시의 동마찰 계수보다도 낮은, 흡수성 물품.
13.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2,
The absorbent article further includes a pair of side sheets positioned on the skin side of the topsheet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The said pair of side sheets has a wet dynamic friction coefficient lower than the wet dynamic coefficient of the said topsheet.
KR1020217007689A 2018-11-30 2019-09-24 absorbent article KR10262545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225586 2018-11-30
JP2018225586A JP7271150B2 (en) 2018-11-30 2018-11-30 absorbent article
PCT/JP2019/037386 WO2020110439A1 (en) 2018-11-30 2019-09-24 Absorbent art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8942A true KR20210098942A (en) 2021-08-11
KR102625454B1 KR102625454B1 (en) 2024-01-15

Family

ID=68611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7689A KR102625454B1 (en) 2018-11-30 2019-09-24 absorbent articl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7271150B2 (en)
KR (1) KR102625454B1 (en)
CN (1) CN112912045B (en)
TW (1) TWI814914B (en)
WO (1) WO2020110439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83471A (en) * 2019-11-25 2021-06-03 花王株式会社 Sanitary napki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9594A (en) 2003-11-10 2005-06-02 Unitika Ltd Non-woven fabric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15204983A (en) * 2014-04-18 2015-11-19 ダイワボウ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Surface sheet for absorbent article, and absorbent article including the same
JP2016220986A (en) * 2015-05-29 2016-12-2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
EP3216435A1 (en) * 2016-03-08 2017-09-13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 topsheet/acquisition layer laminate
JP2017205143A (en) * 2016-05-16 2017-11-24 ユニチカ株式会社 Surface sheet of absorbent articl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93935B1 (en) * 1996-05-28 2001-09-25 Kao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with liquid shrinkable elements
JP3258909B2 (en) * 1996-06-28 2002-02-1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Disposable body fluid absorbent articles
JP3442943B2 (en) * 1996-10-23 2003-09-02 花王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s
JP4118640B2 (en) * 2002-09-17 2008-07-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Absorbent composite sheet and absorbent article using the same
JP3886466B2 (en) * 2003-03-13 2007-02-28 花王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 surface sheet
JP4145203B2 (en) * 2003-06-17 2008-09-03 花王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s
JP4090411B2 (en) * 2003-09-19 2008-05-28 花王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 surface sheet
JP4683957B2 (en) * 2005-02-25 2011-05-18 花王株式会社 Non-woven
JP4804337B2 (en) * 2006-12-27 2011-11-02 花王株式会社 Top sheet for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PL3210583T3 (en) * 2011-12-27 2018-11-30 Sumitomo Seika Chemicals Co., Ltd. Water-absorbent sheet composite
JP6141042B2 (en) * 2013-02-15 2017-06-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Disposable urine pad with pressure ulcer prevention function
WO2015159978A1 (en) * 2014-04-18 2015-10-22 ダイワボウ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Composite short fibers for absorbent article, process for producing same, thermally bonded nonwoven fabric for absorbent article, surface sheet for absorbent article, and absorbent articl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9594A (en) 2003-11-10 2005-06-02 Unitika Ltd Non-woven fabric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15204983A (en) * 2014-04-18 2015-11-19 ダイワボウ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Surface sheet for absorbent article, and absorbent article including the same
JP2016220986A (en) * 2015-05-29 2016-12-2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
CN107613925A (en) * 2015-05-29 2018-01-19 尤妮佳股份有限公司 Absorbent commodity
EP3216435A1 (en) * 2016-03-08 2017-09-13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 topsheet/acquisition layer laminate
JP2017205143A (en) * 2016-05-16 2017-11-24 ユニチカ株式会社 Surface sheet of absorbent art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912045B (en) 2023-06-09
CN112912045A (en) 2021-06-04
JP2019198620A (en) 2019-11-21
TWI814914B (en) 2023-09-11
TW202022187A (en) 2020-06-16
KR102625454B1 (en) 2024-01-15
JP7271150B2 (en) 2023-05-11
WO2020110439A1 (en) 202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7595B1 (en) absorbent article
JP5184623B2 (en) Nonwoven materials used as body facing sheets in absorbent articles
CN109328050B (en) Absorbent article
CN108366885B (en) Absorbent commodity
JP2004073759A (en) Absorptive article
CN112839616B (en) Absorbent article
JP2012120584A (en) Absorbent article
JP4925867B2 (en) Absorbent articles
JP6261838B1 (en) Absorbent articles
KR101927109B1 (en) Absorbent article
JP7190883B2 (en) absorbent article
KR102625454B1 (en) absorbent article
JP7337494B2 (en) Liquid-permeable sheet for absorbent articles
JP7224157B2 (en) absorbent article
TWI763882B (en) Non-woven fabrics and non-woven fabric rolls for liquid-permeable sheets of absorbent articles
JP7325179B2 (en) absorbent article
KR20010021423A (en) An absorptive article
JP5938138B1 (en) Absorbent articles
JP2021083950A (en) Absorbent article
JP2021083939A (en) Absorbent article
JP2017113512A (en) Absorbent art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