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8642A -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참여가 가능한 카트 경주 중계 장치 및 방법과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참여가 가능한 카트 경주 운영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참여가 가능한 카트 경주 중계 장치 및 방법과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참여가 가능한 카트 경주 운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8642A
KR20210098642A KR1020200012423A KR20200012423A KR20210098642A KR 20210098642 A KR20210098642 A KR 20210098642A KR 1020200012423 A KR1020200012423 A KR 1020200012423A KR 20200012423 A KR20200012423 A KR 20200012423A KR 20210098642 A KR20210098642 A KR 202100986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
offline
online
racing
virt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2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3965B1 (ko
Inventor
김종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에스티일렉트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에스티일렉트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에스티일렉트릭
Priority to KR1020200012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3965B1/ko
Publication of KR20210098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8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3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3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5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automatically by game devices or servers from real world data, e.g. measurement in live racing competi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03Driving vehicles or craft, e.g. cars, airplanes, ships, robots or tan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KRACING; RIDING SPORTS;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 A63K3/00Equipment or accessories for racing or riding s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2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the vehicle or its driving motor to achieve a desired performance, e.g. speed, torque, programmed variation of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80Other vehicles not covered by groups B60Y2200/10 - B60Y2200/60
    • B60Y2200/86Carts; Golf ca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참여가 가능한 카트 경주 중계 장치 및 방법과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참여가 가능한 카트 경주 운영 시스템이 개시되며,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참여가 가능한 카트 경주 중계 장치는, 제1참여자가 실물 카트에 탑승하여 오프라인 트랙을 주행하는 경우, 상기 실물 카트와 연계된 오프라인 주행 데이터를 제1 중계 서버로부터 획득하는 오프라인 주행 데이터 획득부, 제2참여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온라인 트랙에서 가상 카트를 주행하는 경우, 상기 가상 카트와 연계된 온라인 주행 데이터를 제2중계 서버로부터 획득하는 온라인 주행 데이터 획득부, 상기 오프라인 주행 데이터 및 상기 온라인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실물 카트와 상기 가상 카트가 통합된 가상 레이싱 경주와 연계된 종합 레이싱 정보를 생성하는 레이싱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종합 레이싱 정보를 상기 실물 카트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레이싱 정보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참여가 가능한 카트 경주 중계 장치 및 방법과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참여가 가능한 카트 경주 운영 시스템{APPARATUS AND METHOD FOR RELAYING CART RACING PARTICIPATABLE ONLINE OR OFFLINE, SYSTEM FOR MANAGING CART RACING PARTICIPATABLE ONLINE OR OFFLINE}
본원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참여가 가능한 카트 경주 중계 장치 및 방법과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참여가 가능한 카트 경주 운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모터 스포츠(Motorsports)는 엔진모터로 움직이는 차량이나 보트로 속도, 시간, 거리, 성능 등을 겨루는 경주의 총칭으로, 1984년 프랑스 파리에서 첫 자동차 경주가 개최된 이래, 지속적으로 성장하여 전세계적으로 모터 스포츠와 자동차 튜닝 시장은 연간 70조원에 이를 정도로 그 규모가 확대되어 왔다.
그러나, 카 레이싱 등의 모터 스포츠는 전문적인 운전 실력이 갖춰지지 않은 상태에서 참여하기 어려우며 사고 발생 위험성이 높아 일부의 전문 선수나 매니아들 사이에서만 영위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따라, 카 레이싱 입문을 위해 만들어진 소형 경주용차인 카트를 이용한 레포츠가 레저용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카트를 이용한 주행의 경우 운전대와 페달만으로 간단히 조작이 가능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레포츠로 자리잡고 있다.
다만, 국내의 카트 레이싱 경기장의 경우, 저변이 상대적으로 좁고 폐타이어 등을 이용하여 트랙을 구성하는 등 트랙의 크기도 작고 낙후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종래의 내연기관 카트를 이용하는 경우, 매연 발생으로 실내 운용이 어렵고, 소음과 진동이 크고, 지속적인 주유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고, 물리적인 차량 제어를 통해 카트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을 뿐이어서 안전 측면에서도 위험도가 높았다.
또한, 실외 또는 실내 카트 레이싱 경기장 등 오프라인에서 영위되는 카트 레이싱의 경우 공간적인 제약으로 다수의 사람이 참여하기 어렵고, 전문적인 카 레이싱에 비해 소형화되고 안전하다고 하더라도 운전 경험이 없는 사람은 선뜻 참여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게임, 가상현실(VR) 등을 이용한 가상 레이싱 콘텐츠가 제공되고 있으나, 실제 카트를 타는 만큼의 몰입도를 제공하기 어려우며, 온라인 참여자와 오프라인 참여자가 함께 경주를 참여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46129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단말을 통해 레이싱에 온라인으로 참여하는 온라인 참여자와 실제 카트에 탑승하여 카트를 주행하는 오프라인 참여자가 함께 레이싱을 펼칠 수 있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참여가 가능한 카트 경주 중계 장치 및 방법과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참여가 가능한 카트 경주 운영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참여가 가능한 카트 경주 중계 장치는, 제1참여자가 실물 카트에 탑승하여 오프라인 트랙을 주행하는 경우, 상기 실물 카트와 연계된 오프라인 주행 데이터를 제1 중계 서버로부터 획득하는 오프라인 주행 데이터 획득부, 제2참여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온라인 트랙에서 가상 카트를 주행하는 경우, 상기 가상 카트와 연계된 온라인 주행 데이터를 제2중계 서버로부터 획득하는 온라인 주행 데이터 획득부, 상기 오프라인 주행 데이터 및 상기 온라인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실물 카트와 상기 가상 카트가 통합된 가상 레이싱 경주와 연계된 종합 레이싱 정보를 생성하는 레이싱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종합 레이싱 정보를 상기 실물 카트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레이싱 정보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프라인 주행 데이터는, 상기 실물 카트의 속도 정보 및 상기 실물 카트의 상기 오프라인 트랙 내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라인 주행 데이터는, 상기 가상 카트의 속도 정보 및 상기 가상 카트의 상기 온라인 트랙 내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종합 레이싱 정보는, 상기 실물 카트 또는 상기 가상 카트의 상기 가상 레이스 경주에서의 순위 정보, 랩 타임 기록 정보, 주행 동선 정보 및 기록 향상을 위한 코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라인 트랙은 상기 오프라인 트랙의 유형에 부합하도록 상기 오프라인 트랙에 기초하여 가상현실로 구현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물 카트는 전기를 동력으로 하여 주행되는 전기 카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오프라인 주행 데이터 획득부는, 상기 제1 중계 서버로부터 상기 전기 카트의 배터리 잔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참여가 가능한 카트 경주 중계 장치는, 상기 오프라인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실물 카트에서 재생되는 음향 신호를 생성하는 음향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참여가 가능한 카트 경주 운영 시스템은, 오프라인 트랙에서 주행되는 실물 카트와 연계된 오프라인 주행 데이터를 획득하여 카트 경주 중계 장치로 전송하는 제1 중계 서버, 상기 오프라인 트랙의 유형에 부합하도록 상기 오프라인 트랙에 기초하여 생성된 온라인 트랙에서 주행되는 가상 카트와 연계된 온라인 주행 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카트 경주 중계 장치로 전송하는 제2 중계 서버 및 상기 오프라인 주행 데이터 및 상기 온라인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실물 카트와 상기 가상 카트가 통합된 가상 레이싱 경주와 연계된 종합 레이싱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종합 레이싱 정보를 상기 제1 중계 서버 및 상기 제2 중계 서버로 전송하는 카트 경주 중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참여가 가능한 카트 경주 중계 방법은, 제1참여자가 실물 카트에 탑승하여 오프라인 트랙을 주행하는 경우, 상기 실물 카트와 연계된 오프라인 주행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제2참여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온라인 트랙에서 가상 카트를 주행하는 경우, 상기 가상 카트와 연계된 온라인 주행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오프라인 주행 데이터 및 상기 온라인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실물 카트와 상기 가상 카트가 통합된 가상 레이싱 경주와 연계된 종합 레이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종합 레이싱 정보를 상기 실물 카트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을 통해 레이싱에 온라인으로 참여하는 온라인 참여자와 실제 카트에 탑승하여 카트를 주행하는 오프라인 참여자가 함께 레이싱을 펼칠 수 있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참여가 가능한 카트 경주 중계 장치 및 방법과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참여가 가능한 카트 경주 운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참여가 가능한 카트 경주 운영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전기 카트 유형의 실물 카트에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메인 배터리 및 보조 배터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전기 카트 유형의 실물 카트의 보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배터리 충전 장치 및 배터리 충전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태양광 패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참여가 가능한 카트 경주 중계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참여가 가능한 카트 경주 중계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참여가 가능한 카트 경주 중계 장치 및 방법과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참여가 가능한 카트 경주 운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참여가 가능한 카트 경주 운영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참여가 가능한 카트 경주 운영 시스템(1)(이하, '카트 경주 운영 시스템(1)'라 한다.)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참여가 가능한 카트 경주 중계 장치(100), 제1 중계 서버(200) 및 제2 중계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참여가 가능한 카트 경주 중계 장치(100), 제1 중계 서버(200), 제2 중계 서버(300), 실물 카트(10) 및 사용자 단말(20) 상호간은 네트워크(30)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30)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30)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wifi 네트워크,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사용자 단말(20)은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등과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기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참여가 가능한 카트 경주 중계 장치(100)(이하, '카트 경주 중계 장치(100)'라 한다.)는, 오프라인 주행 데이터 및 온라인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실물 카트(10)와 가상 카트가 통합된 가상 레이싱 경주와 연계된 종합 레이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카트 경주 중계 장치(100)는, 실물 카트(10)에 탑승하여 오프라인 트랙을 주행하는 제1참여자(오프라인 참여자)와 사용자 단말(20)을 통해 제공되는 온라인 트랙에서 주행되는 가상 카트를 조작하는 제2참여자(온라인 참여자)가 함께 실물 카트와 가상 카트가 통합된 가상 레이싱 경주를 펼치도록 오프라인에서 수행되는 레이싱 경주와 온라인에서 수행되는 레이싱 경주를 통합하여 중계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종합 레이싱 정보는, 실물 카트(10) 또는 가상 카트의 가상 레이스 경주에서의 순위 정보, 랩 타임 기록 정보, 주행 동선 정보 및 기록 향상을 위한 코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트 경주 중계 장치(100)는, 생성된 종합 레이싱 정보를 제1 중계 서버(200) 및 제2 중계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중계 서버(200)는, 오프라인 트랙에서 주행되는 실물 카트(10)와 연계된 오프라인 주행 데이터를 획득하여 카트 경주 중계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프라인 주행 데이터는, 실물 카트(10)의 속도 정보 및 실물 카트(10)의 오프라인 트랙 내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중계 서버(300)는, 오프라인 트랙의 유형에 부합하도록 오프라인 트랙에 기초하여 생성된 온라인 트랙에서 주행되는 가상 카트와 연계된 온라인 주행 데이터를 획득하여 카트 경주 중계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주행 데이터는, 가상 카트의 속도 정보 및 가상 카트의 온라인 트랙 내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오프라인 트랙의 유형에 부합하도록 온라인 트랙을 생성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 실물 카트(10)가 주행되는 오프라인 트랙의 전체 길이, 트랙의 폭, 코너 구간의 형상 등과 유사하게 가상 카트가 주행되는 온라인 트랙을 구현함으로써 제1참여자와 제2참여자가 최대한 동등한 조건에서 가상 레이스 경주를 펼치도록 트랙을 유사하게 일치시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 카트의 스펙은 실물 카트(10)의 스펙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물 카트(10)의 최대 가속력, 감속 능력, 코너링 시 미끄러짐 정도 등의 스펙에 기초하여 가상 카트의 스펙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물 카트(10)는, 카트 경주 운영 시스템(1)에서 제공하는 가상 레이싱 경주에 오프라인을 통해 참여하는 제1참여자가 탑승하여 주행하는 차량을 의미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실물 카트(10)는 오프라인 트랙 상에서 가상 레이싱 경주에 참여하게 되며, 본원에서의 오프라인 트랙은 실내 레이싱 경기장, 실외 레이싱 경기장, 테마파트, 카트 체험장, 국제 대회 규격 트랙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실물 카트(10)는 전기를 동력으로 하여 주행되는 전기 카트일 수 있다.
도 2는 전기 카트 유형의 실물 카트에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메인 배터리 및 보조 배터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기 카트 유형의 실물 카트(10)는 메인 배터리(11) 및 보조 배터리(12)를 내장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보조 배터리(12)는 패키지(또는 팩) 형태로 복수 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특히, 보조 배터리(12)는 전기 카트 유형의 실물 카트(1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도 3은 전기 카트 유형의 실물 카트의 보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배터리 충전 장치 및 배터리 충전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태양광 패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기 카트 유형의 실물 카트(10)의 보조 배터리(12) 중 방전된 일부의 보조 배터리(12)는 실물 카트(10)로부터 분리되어 배터리 충전 장치(40)에 삽입되어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배터리 충전 장치(40)는 오프라인 트랙과 인접한 소정의 영역에 마련되는 것일 수 있다. 배터리 충전 장치(40)는 복수의 보조 배터리(12)를 수용하도록 복수의 수용 공간(충전 공간)이 형성되고, 보조 배터리(12) 각각은 실물 카트(10) 전체에 대하여 호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보조 배터리(12)의 충전이 필요한 실물 카트(10)는, 배터리 충전 장치(40)에 기 충전된 보조 배터리(12)가 있는 경우, 충전이 필요한 보조 배터리를 배터리 충전 장치(40)에 제공하고 기 충전된 보조 배터리(12)를 공급받는 방식(달리 말해, 배터리 스와핑 방식)으로 신속한 배터리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배터리 충전 장치(40)는 전력 공급을 위한 태양광 패널(41)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태양광 패널(41)은 태양광이 입사하기 용이하도록 배터리 충전 장치(40)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실물 카트(10)가 전기 카트인 경우, 카트 경주 중계 장치(100)는 제1 중계 서버(200)로부터 전기 카트의 배터리 잔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카트 경주 중계 장치(100)는 전기 카트의 배터리 잔량 정보에 기초하여 전기 카트의 배터리가 기 설정된 임계 수준 이하인 경우, 전기 카트의 배터리 충전이 필요하다는 정보를 제1 중계 서버(200)를 통하여 전기 카트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은, 카트 경주 운영 시스템(1)에서 제공하는 가상 레이싱 경주와 연계된 컴퓨터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등이 설치된 단말로서, 가상 레이싱 경주에 온라인을 통해 참여하는 제2참여자가 온라인 상에서 구현되는 가상 카트를 주행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을 입력하고 가상 레이싱 경주와 연계된 화상, 음향 등을 출력하는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트 경주 운영 시스템(1)에서 제공하는 가상 레이싱 경주에 온라인을 통해 참여하는 제2참여자의 경우,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VR),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혼합 현실(Mixed Reality) 등의 유형으로 제공되는 가상 레이싱 경주와 연계된 화상을 출력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 22)를 착용할 수 있다. 또한, 가상 레이싱 경주에서 가상 카트를 주행하기 위하여 연동된 핸들(21)을 조작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2참여자는 실물 카트(10)의 운전석과 유사한 형상의 좌석에 착석한 상태로 가상 카트의 가속 또는 감속을 위하여 좌석에 마련된 가속 페달 모듈(미도시) 및 감속 페달 모듈(미도시)을 조작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중계 서버(200)는 오프라인 트랙과 연계된 환경 정보를 획득하여 카트 경주 중계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오프라인 트랙과 연계된 환경 정보는 오프라인 트랙의 강수 정보, 온도 정보, 습도 정보, 풍향 정보 등 실물 카트(10)의 주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환경적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중계 서버(200)는 오프라인 트랙과 연계하여 별도로 구비된 환경 센서(예를 들면, 온도계, 습도계, 풍향계 등)로부터 상기 오프라인 트랙과 연계된 환경 정보를 획득하거나 후술할 실물 카트(10)에 구비된 센서부로부터 상기 오프라인 트랙과 연계된 환경 정보를 획득하는 것일 수 있다.
카트 경주 중계 장치(100)는 제1 중계 서버(200)로부터 획득한 오프라인 트랙과 연계된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온라인 트랙의 환경 정보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트 경주 중계 장치(100)는 오프라인 트랙과 연계된 환경 정보에 대한 분석 결과, 오프라인 트랙에 비가 오고 있어 트랙 지면이 미끄러운 상태인 경우, 온라인 트랙 구축을 위한 온라인 트랙 지면 상의 마찰 계수를 조정하고, 온라인 트랙을 표시하는 화상에 비가 내리는 표시를 추가하여 온라인 트랙을 구축할 수 있다. 이렇게 오프라인 트랙과 연계된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조정된 온라인 트랙 조정 결과는 카트 경주 중계 장치(100)로부터 제2 중계 서버(300)로 전송되어 사용자 단말(20)에서 반영되어 제공될 수 있다.
카트 경주 중계 장치(100)는 실물 카트(10) 또는 가상 카트의 가상 레이스 경주에서의 순위 정보를 포함하는 종합 레이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순위 정보는 가상 레이스 경주에 참여한 전체 실물 카트(10) 및 전체 가상 카트에 대하여 매겨지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레이스 경주에서의 순위 정보는 레이싱 경주가 진행되는 동안 기 설정된 주기마다 실물 카트(10) 및 사용자 단말(20)로 제공되거나 가상 레이스 경주가 종료된 후 실물 카트(10) 및 사용자 단말(20)로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카트 경주 중계 장치(100)는 소정의 실물 카트(10)의 오프라인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실물 카트(10)가 가상 레이스 경주 동안 주행한 오프라인 트랙 상에서의 주행 동선 정보를 포함하는 종합 레이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주행 동선 정보는 오프라인 트랙에 대한 이미지(예를 들면, 상측에서 바라본 평면도 등)에 해당 실물 카트(10)가 주행한 동선을 오버랩하여 표시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주행 동선 정보는 가상 레이스 경주의 랩(Lap) 별로 구분되어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카트 경주 중계 장치(100)는 소정의 가상 카트의 온라인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가상 카트가 가상 레이스 경주 동안 주행한 온라인 트랙 상에서의 주행 동선 정보를 포함하는 종합 레이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주행 동선 정보는 온라인 트랙에 대한 이미지(예를 들면, 상측에서 바라본 평면도 등)에 해당 가상 카트가 주행한 동선을 오버랩하여 표시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주행 동선 정보는 가상 레이스 경주의 랩(Lap) 별로 구분되어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카트 경주 중계 장치(100)는 소정의 실물 카트(10) 또는 가상 카트에 대한 기록 향상을 위한 코칭 정보를 포함하는 종합 레이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기록 향상을 위한 코칭 정보는 오프라인 주행 데이터 또는 온라인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참여자 또는 제2참여자에게 제공되는 주행 시간 단축을 위한 경로 설정, 가감속 패턴 등에 대한 코칭 정보(원포인트 팁)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록 향상을 위한 코칭 정보는 오프라인 트랙 또는 이에 대응하는 온라인 트랙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최적 주행 경로('레코드 라인'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와 해당 실물 카트(10) 또는 가상 카트의 주행 동선 정보를 비교하여 최적 주행 경로로부터 소정 이상 벗어난 지점을 추출하여 해당 지점에서의 올바른 최적 주행 경로를 안내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트 경주 중계 장치(100)는 오프라인 주행 데이터 및 온라인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실물 카트(10)의 화상과 가상 카트의 화상이 통합된 가상 레이싱 경주 진행 화면을 실물 카트(10) 및 가상 카트 각각에 대하여 생성할 수 있다. 즉, 카트 경주 중계 장치(100)는 실물 카트(10)의 속도 정보 및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실물 카트(10)의 오프라인 주행 데이터가 반영된 온라인 트랙 상에서 주행되는 가상 카트를 생성하여 가상 레이싱 경주 진행 화면을 구축할 수 있다. 여기서, 가상 레이싱 경주 진행 화면은 실물 카트(10) 및 가상 카트 각각에 대하여 생성되어 실물 카트(1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재생되어 제1참여자에게 제공되거나 사용자 단말(20)의 화면 상에서 재생되어 제2참여자에게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제2참여자가 가상 레이싱 경주를 진행하면서 시청하는 화면에는 제2참여자의 가상 카트와 소정 이상 근접하여 주행하는 제1참여자의 실물 카트(10)가 다른 가상 카트와 동일한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제1참여자가 오프라인 트랙을 주행하면서 실물 카트(10) 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시청하는 화면에는 제1참여자의 실물 카트(10)와 소정 이상 근접하여 주행하는 제2참여자의 가상 카트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카트 경주 중계 장치(100)는 오프라인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실물 카트(10)에 대한 중앙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오프라인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파악된 실물 카트(10)의 속도 정보 및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실물 카트(10)의 사고 발생 위험성을 산출하고 산출된 사고 발생 위험성이 미리 설정된 임계 위험 수준 이상인 경우, 실물 카트(10)를 감속하기 위한 중앙 제어 신호, 실물 카트(10)를 안전 구역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중앙 제어 신호 등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중앙 제어 신호는 제1 중계 서버(200)를 통해 실물 카트(10)로 전송되어 실물 카트(10)가 중앙 제어됨으로써 레이싱 경주에 참여하는 동안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상황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카트 경주 중계 장치(100)는 오프라인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실물 카트(10)에서 재생되는 음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음향 신호는 실물 카트(10)에 전송되어 실물 카트(10)에 구비된 음향 재생 장치에서 재생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생성된 음향 신호는 실물 카트(10)에 착석한 제1참여자가 착용하는 헬멧에 마련된 음향 재생 장치로 전송되어 재생되는 것일 수 있다.
실물 카트(10)가 전술한 전기 카트인 경우, 주행 시 발생하는 소음이 적다는 장점이 있으나, 주행자(제1참여자)에게 가상 레이싱 경주를 펼치는 동안 역동적인 느낌을 주기 위해서는 실물 카트(10)의 엔진음 등을 구현하여 제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카트 경주 중계 장치(100)는 오프라인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실물 카트(10)가 출발하는 경우, 가속하는 경우, 감속하는 경우, 코너링을 하는 경우 등의 실물 카트(10)의 주행 상태를 파악하여 주행 상태에 부합하는 음향 신호를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역동적인 느낌을 줄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트 경주 중계 장치(100)가 생성하는 음향 신호는 미리 설정된 특정 자동차 브랜드의 엔진음 등을 활용하여 생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트 경주 중계 장치(100)는 제1참여자로부터 특정 자동차 브랜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에 부합하는 자동차 브랜드의 엔진음 등을 활용하여 음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실물 카트(10)는, 종합 레이싱 정보 또는 음향 신호의 출력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음향 재생 장치를 내장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실물 카트(10)의 대시보드(Dashboard) 상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음향 재생 장치는 실물 카트(10)의 대시보드(Dashboard) 상에 구비되거나 실물 카트(10)에 탑승한 제1참여자가 착용하는 헬맷에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실물 카트(10)의 음향 재생 장치는 카트 경주 중계 장치(100)에 의해 생성되어 전송된 위험 상황 안내, 랩 카운트 안내 정보 등을 포함하는 안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음향 재생 장치 및 마이크 장치를 통해 다른 실물 카트(10)에 탑승한 다른 제1참여자와 레이싱 과정에서 소통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실물 카트(10)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참여자가 착용하는 헬멧의 전면(달리 말해, 제1참여자가 바라보는 면)에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헬멧에 구비된 카메라 모듈에 의해 획득된 화면에 종합 레이싱 정보를 반영하여 실물 카트(10)와 인접하여 주행 중인 가상 카트의 화상을 겹쳐서 표시한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AR) 방식의 화상이 헬멧의 전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여 출력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트 경주 중계 장치(100)는 실물 카트(10) 각각에 대한 전원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전원 제어 신호는 제1중계 서버(200)를 통해 실물 카트(10) 각각에 전송되고, 실물 카트(10)에 구비된 전원 제어 장치(미도시)는 전송된 전원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전술한 메인 배터리(11) 및 보조 배터리(12)에 의해 공급되는 전력(전원)을 실물 카트(10)에 내장된 각종 전력 소모 장치에 분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물 카트(10)의 전원 제어 장치(미도시)가 전원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실물 카트(10)에 내장된 구동부, 전장부 및 공조부를 포함하는 각종 전력 소모 장치에 전원을 분배하는 방식에 대해 상세히 서술하도록 한다.
전원 제어 장치는 메인 배터리(11) 및 보조 배터리(12)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바탕으로, 실물 카트(10)의 전력 소모 대상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전력 소모 대상은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부, 전장부 및 공조부를 의미한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부는 실물 카트(10)의 모터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동부는 실물 카트(10)의 브레이크, 변속기 등 실물 카트(10)의 거동과 관련된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장부는 전조등, 후미등, 실내등 등 실물 카트(10)에 구비된 등화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조부는 실물 카트(10)의 내부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 필요한 기구 또는 파트로서, 예시적으로, 공조부는 에어컨 및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실물 카트(10)는 전력 상태 정보 또는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는 메인 배터리(11) 및 보조 배터리(12)의 전력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실물 카트(10)에 대한 환경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경 정보는 센서부에서 수집된 실물 카트(10)의 내부 온도 및 외부 온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제어 장치는 메인 배터리 및 보조 배터리에서 전력 소모 대상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전력 소모의 용도에 따라 제어하거나, 메인 배터리 및 보조 배터리의 상태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먼저, 용도에 따른 제어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 제어 장치는 메인 배터리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구동부에 우선하여 공급하고, 보조 배터리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전장부 및 공조부에 우선하여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배터리의 용량은 100km 주행거리를 기준으로 72V, 120Ah일 수 있고, 보조 배터리는 휴대 가능한 크기로 구비될 수 있으므로, 72V, 20Ah의 용량을 가질 수 있다. 실물 카트(10)의 구동에서 전력 소모 대상 중 상대적으로 소모 비중이 높은 부분은 구동부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전력 소모 대상에 비해 구동부에서 소모하는 단위시간 당 전력량이 상대적으로 높다고 할 수 있다. 즉, 실물 카트(10)의 주행 가능 거리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대용량의 메인 배터리(11)의 전원을 구동부에 집중하고, 실물 카트(10)의 구동을 제외한 나머지 요구 전력(구동부를 제외한 전력 소모 대상)은 보조 배터리의 전원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원 제어 장치는 구동부에 필요한 전력에 대해 메인 배터리의 전원을 우선하도록 전원 공급을 제어하고, 전장부 및 공조부에 필요한 전력에 대해 보조 배터리의 전원을 우선하도록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 제어 장치는 스위칭 방식을 통해 메인 배터리와 보조 배터리를 이용한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배터리 및 보조 배터리의 상태에 따른 전원 제어 장치의 전원 공급 제어에 대해 살펴보면, 전원 제어 장치는 전력 상태 정보에 따른 메인 배터리의 전력량 또는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보조 배터리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전력 소모 대상으로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제어 장치는 전력 상태 정보에 따른 메인 배터리(11)의 전력량이 미리 설정된 전력량 미만인 경우, 보조 배터리(12)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구동부로 공급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미리 설정된 전력량은 메인 배터리(11)의 전체 전력량의 20%로 설정될 수 있으며, 실물 카트(10)의 구동에 의해 메인 배터리(11)의 잔여 전력량이 20%인 경우, 전원 제어 장치는 보조 배터리(12)의 전원이 구동부로 제공되도록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실물 카트(10)의 구동 중 메인 배터리(11)의 전력량이 부족하더라도 보조 배터리(12)의 전원을 통해 구동부가 동작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 제어 장치는 메인 배터리(11) 및 보조 배터리(12)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구동부, 전장부 및 공조부에 공급하되, 구동부로 전원이 공급될 때의 메인 배터리(11) 및 보조 배터리(12)의 기여도와 전장부 및 공조부로의 전원이 공급될 때의 메인 배터리(11) 및 보조 배터리(12)의 기여도가 상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전원 제어 장치는 각 전력 소모 대상에 대해 메인 배터리(11)의 전원과 보조 배터리(12)의 전원을 함께 공급하도록 제어하되, 구동부의 경우, 전원 제어 장치는 메인 배터리(11)에서 공급되는 전원의 비율을 보조 배터리(12) 보다 상대적으로 높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전원 제어 장치는 구동부로 제공되는 메인 배터리(11)와 보조 배터리(12)의 전원의 비율 7:3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동부에 대한 메인 배터리(11)의 전원 공급의 기여도를 보조 배터리(12)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함으로써, 구동부에 의한 전력 소모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주된 전원은 메인 배터리(11)로부터 공급받되, 일부 전원을 보조 배터리(12)로부터 공급 받아 보조 배터리(12)의 전원을 보조 전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전장부 또는 공조부의 경우, 전원 제어 장치는 전장부 또는 공조부로 제공되는 메인 배터리(11)와 보조 배터리(12)의 전원의 비율 3:7로 설정하여, 전장부 및 공조부를 구동시키는 주된 전원을 보조 배터리(12)로부터 공급 받도록 기여도를 상대적으로 높게 하여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 제어 장치는 메인 배터리(11) 및 보조 배터리(12)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구동부, 전장부 및 공조부에 공급하되, 메인 배터리(11) 및 보조 배터리(12)에 포함된 각 보조 배터리팩의 잔여 전력량 및 전력 소모 대상의 전력 소모 량에 따라, 구동부, 전장부 및 공조부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제어 장치는, 메인 배터리(11) 및 보조 배터리(12)에 포함된 각 보조 배터리팩 중 잔여 전력량이 가장 많은 배터리부(메인 배터리부 및 복수의 보조 배터리팩 중 어느 하나)가 구동부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고, 다음으로 잔여 전력량이 많은 배터리부가 공조부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고, 그 다음으로 잔여 전력량이 많은 배터리부가 전장부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 제어 장치는 메인 배터리(11)와 보조 배터리(12)의 제공 가능한 전류량(Ah)이 상이한 경우, 메인 배터리(11)와 보조 배터리(12)의 위상차를 보상하여 전력 소모 대상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 제어 장치는 메인 배터리(11)와 보조 배터리(12)의 전류량의 총합에 기초하여 전력 소모 대상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메인 배터리(11)의 전류량이 120Ah이고, 4개의 보조 배터리(12)의 전류량이 각각 20Ah인 경우, 전원 제어 장치는 메인 배터리(11)와 보조 배터리(12)의 위상차를 보상하여, 메인 배터리(11)와 보조 배터리(12)를 하나의 배터리팩 즉, 200Ah의 배터리팩으로써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보조 배터리(12)의 배터리셀 각각의 전류량이 상이하거나 메인 배터리(11)와 보조 배터리(12)의 전류량이 상이하더라도, 위상차의 보상을 통해 하나의 배터리팩으로 간주하여 활용할 수 있으므로, 보조 배터리(12)의 사용성이 증가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기 장착된 보조 배터리(12)의 배터리셀과 전류량이 상이한 배터리셀이 추가 장착되더라도, 전원 제어 장치에 의한 위상차 보상을 통해 추가 배터리셀의 활용이 가능하므로, 배터리 활용의 확장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부는 내부 온도 센서와 외부 온도 센서 및 전력량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온도 센서는 실물 카트(10)의 내부 온도를 측정할 수 있고, 외부 온도 센서는 실물 카트(10)의 외부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환경 정보는 내부 온도 센서에서 측정된 내부 온도 및 외부 온도 센서에서 측정된 외부 온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력량 센서는 메인 배터리(11) 및 보조 배터리(12) 각각의 전력량을 포함하는 전력 상태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전원 제어 장치는 전력량 센서로부터 측정된 전력 상태 정보를 통해 전술한 메인 배터리(11) 및 보조 배터리(12)의 상태에 따른 전원 공급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 제어 장치는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1온도 이상이거나, 외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2온도 미만인 경우, 보조 배터리(12)의 전원을 우선하여 전장부 또는 공조부로 우선하여 공급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온도가 27도로 설정되고 내부 온도가 제1온도 이상이거나 초과하는 경우, 실물 카트(10)의 탑승자는 공조부 즉 에어컨을 가동할 확률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이때, 메인 배터리(11)가 구동부와 공조부 모두에게 전원을 공급할 경우, 구동부에 대한 전원 공급의 효율이 감소할 수 있으므로, 전원 제어 장치는 메인 배터리(11)의 전원이 구동부에 집중할 수 있도록, 보조 배터리(12)의 전원을 공조부에 우선하여 공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온도가 0도로 설정되고, 외부 온도가 제2온도 미만인 경우, 전기 카트로 구비되는 실물 카트(10)의 특성상 낮은 온도에 의해 배터리 효율이 감소할 수 있다. 미국 자동차 협회(AAA, American Automobile Association)는 전기 차량에 대한 혹한 테스트를 수행한 바 있다. 혹한 테스트는 다이나모 계측기를 사용해 단순 정속 주행이 아닌 미국 환경 보호국의 연비 테스트와 같은 시가지, 고속도로, 복합 모드에서의 주행거리를 측정하였다. 미국 자동차 협회는 테슬라 모델 S 75D, 닛산 리프, BMW i3, 쉐보레 볼트(BOLT) 및 폭스바겐 e 골프를 포함한 5종의 전기 차량의 혹한 테스트를 수행하였으며, 테스트 결과에 따르면 외부 온도가 -7도인 환경에서 히터를 작동시킨 경우, 외부 온도가 24도일 때보다 주행 가능 거리가 평균 40% 이상 짧아졌고 히터를 동작시키지 않은 경우에는 평균 12%이상 짧아졌다. 즉, 실물 카트(10)의 배터리는 외부 온도에 의해 성능 측면에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또한, 밤 시간의 경우, 외부 온도가 낮아질 뿐만 아니라 실물 카트(10) 전조등, 안개등, 실내등 등의 등화류를 동작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많은 전력을 소모하게 된다. 따라서, 전원 제어 장치는 이러한 전력 소모 효율의 저하를 최소화 하기 위해, 메인 배터리(11)의 전원이 구동부에 집중할 수 있도록, 보조 배터리(12)의 전원을 전장부 또는 공조부 에 우선하여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실물 카트(10)는 운행 기록 수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운행 기록 수집부는 실물 카트(10)의 운행 시간대 및 운행 시 환경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기록을 수집할 수 있다. 운행 시간대는 실물 카트(10)의 운행 시작 시간과 운행 종료 시간을 포함하며, 운행 시 환경 정보는 센서부로부터 수집된 운행 시의 내부 온도 및 외부 온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행 기록 수집부는 운행 시작 시간과 운행 종료 시간을 통해, 실물 카트(10)의 실제 운행 시간을 파악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 제어 장치는 운행 기록에 기초하여 메인 배터리(11)와 보조 배터리(12)의 전력 사용 용도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제어 장치는 운행 기록의 운행 시간대를 통해 운전자의 운전 시간 이력을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운행 시간대 중 밤 시간대의 운전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실물 카트(10)의 경우, 전장부가 작동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전원 제어 장치는 보조 배터리(12)의 전원이 전장부에 공급되도록 보조 배터리(12)의 전원 량을 확보하고,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참여가 가능한 카트 경주 중계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카트 경주 중계 장치(100)는, 오프라인 주행 데이터 획득부(110), 온라인 주행 데이터 획득부(120), 레이싱 정보 생성부(130), 레이싱 정보 송신부(140) 및 음향 생성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오프라인 주행 데이터 획득부(110)는, 제1참여자가 실물 카트(10)에 탑승하여 오프라인 트랙을 주행하는 경우, 실물 카트(10)와 연계된 오프라인 주행 데이터를 제1 중계 서버(20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온라인 주행 데이터 획득부(120)는, 제2참여자가 사용자 단말(20)을 통해 온라인 트랙에서 가상 카트를 주행하는 경우, 가상 카트와 연계된 온라인 주행 데이터를 제2중계 서버(30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레이싱 정보 생성부(130)는, 오프라인 주행 데이터 및 온라인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실물 카트(10)와 상기 가상 카트가 통합된 가상 레이싱 경주와 연계된 종합 레이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레이싱 정보 송신부(140)는, 생성된 종합 레이싱 정보를 실물 카트(10) 및 사용자 단말(2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싱 정보 송신부(140)는 생성된 종합 레이싱 정보를 실물 카트(10)로 전송하기 위하여 종합 레이싱 정보를 제1 중계 서버(20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레이싱 정보 송신부(140)는 생성된 종합 레이싱 정보를 사용자 단말(20)로 전송하기 위하여 종합 레이싱 정보를 제2 중계 서버(300)에 전달할 수 있다.
음향 생성부(150)는, 오프라인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실물 카트(10)에서 재생되는 음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에 자세히 설명된 내용을 기반으로, 본원의 동작 흐름을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참여가 가능한 카트 경주 중계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참여가 가능한 카트 경주 중계 방법은 앞서 설명된 카트 경주 중계 장치(10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카트 경주 중계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참여가 가능한 카트 경주 중계 방법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S510에서 오프라인 주행 데이터 획득부(110)는, 제1참여자가 실물 카트(10)에 탑승하여 오프라인 트랙을 주행하는 경우, 실물 카트(10)와 연계된 오프라인 주행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520에서 온라인 주행 데이터 획득부(120)는, 제2참여자가 사용자 단말(20)을 통해 온라인 트랙에서 가상 카트를 주행하는 경우, 가상 카트와 연계된 온라인 주행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530에서 레이싱 정보 생성부(130)는, 오프라인 주행 데이터 및 온라인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실물 카트(10)와 가상 카트가 통합된 가상 레이싱 경주와 연계된 종합 레이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540에서 레이싱 정보 송신부(140)는, 생성된 종합 레이싱 정보를 실물 카트(10) 및 사용자 단말(2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510 내지 S540는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참여가 가능한 카트 경주 중계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전술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참여가 가능한 카트 경주 중계 방법은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참여가 가능한 카트 경주 운영 시스템
100: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참여가 가능한 카트 경주 중계 장치
110: 오프라인 주행 데이터 획득부
120: 온라인 주행 데이터 획득부
130: 레이싱 정보 생성부
140: 레이싱 정보 송신부
150: 음향 생성부
200: 제1 중계 서버
300: 제2 중계 서버
10: 실물 카트
11: 메인 배터리
12: 보조 배터리
20: 사용자 단말
30: 네트워크

Claims (10)

  1.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참여가 가능한 카트 경주 중계 장치에 있어서,
    제1참여자가 실물 카트에 탑승하여 오프라인 트랙을 주행하는 경우, 상기 실물 카트와 연계된 오프라인 주행 데이터를 제1 중계 서버로부터 획득하는 오프라인 주행 데이터 획득부;
    제2참여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온라인 트랙에서 가상 카트를 주행하는 경우, 상기 가상 카트와 연계된 온라인 주행 데이터를 제2중계 서버로부터 획득하는 온라인 주행 데이터 획득부;
    상기 오프라인 주행 데이터 및 상기 온라인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실물 카트와 상기 가상 카트가 통합된 가상 레이싱 경주와 연계된 종합 레이싱 정보를 생성하는 레이싱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종합 레이싱 정보를 상기 실물 카트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레이싱 정보 송신부,
    를 포함하는, 카트 경주 중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 주행 데이터는,
    상기 실물 카트의 속도 정보 및 상기 실물 카트의 상기 오프라인 트랙 내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온라인 주행 데이터는,
    상기 가상 카트의 속도 정보 및 상기 가상 카트의 상기 온라인 트랙 내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카트 경주 중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종합 레이싱 정보는,
    상기 실물 카트 또는 상기 가상 카트의 상기 가상 레이스 경주에서의 순위 정보, 랩 타임 기록 정보, 주행 동선 정보 및 기록 향상을 위한 코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카트 경주 중계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트랙은 상기 오프라인 트랙의 유형에 부합하도록 상기 오프라인 트랙에 기초하여 가상현실로 구현되는 것인, 카트 경주 중계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물 카트는 전기를 동력으로 하여 주행되는 전기 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 경주 중계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 주행 데이터 획득부는,
    상기 제1 중계 서버로부터 상기 전기 카트의 배터리 잔량 정보를 더 획득하는 것인, 카트 경주 중계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실물 카트에서 재생되는 음향 신호를 생성하는 음향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카트 경주 중계 장치.
  8.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참여가 가능한 카트 경주 운영 시스템에 있어서,
    오프라인 트랙에서 주행되는 실물 카트와 연계된 오프라인 주행 데이터를 획득하여 카트 경주 중계 장치로 전송하는 제1 중계 서버;
    상기 오프라인 트랙의 유형에 부합하도록 상기 오프라인 트랙에 기초하여 생성된 온라인 트랙에서 주행되는 가상 카트와 연계된 온라인 주행 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카트 경주 중계 장치로 전송하는 제2 중계 서버; 및
    상기 오프라인 주행 데이터 및 상기 온라인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실물 카트와 상기 가상 카트가 통합된 가상 레이싱 경주와 연계된 종합 레이싱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종합 레이싱 정보를 상기 제1 중계 서버 및 상기 제2 중계 서버로 전송하는 카트 경주 중계 장치,
    를 포함하는, 카트 경주 운영 시스템.
  9.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참여가 가능한 카트 경주 중계 방법에 있어서,
    제1참여자가 실물 카트에 탑승하여 오프라인 트랙을 주행하는 경우, 상기 실물 카트와 연계된 오프라인 주행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제2참여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온라인 트랙에서 가상 카트를 주행하는 경우, 상기 가상 카트와 연계된 온라인 주행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오프라인 주행 데이터 및 상기 온라인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실물 카트와 상기 가상 카트가 통합된 가상 레이싱 경주와 연계된 종합 레이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종합 레이싱 정보를 상기 실물 카트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카트 경주 중계 방법.
  10. 제9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기키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200012423A 2020-02-03 2020-02-03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참여가 가능한 카트 경주 중계 장치 및 방법과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참여가 가능한 카트 경주 운영 시스템 KR102323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423A KR102323965B1 (ko) 2020-02-03 2020-02-03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참여가 가능한 카트 경주 중계 장치 및 방법과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참여가 가능한 카트 경주 운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423A KR102323965B1 (ko) 2020-02-03 2020-02-03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참여가 가능한 카트 경주 중계 장치 및 방법과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참여가 가능한 카트 경주 운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8642A true KR20210098642A (ko) 2021-08-11
KR102323965B1 KR102323965B1 (ko) 2021-11-09

Family

ID=77314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2423A KR102323965B1 (ko) 2020-02-03 2020-02-03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참여가 가능한 카트 경주 중계 장치 및 방법과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참여가 가능한 카트 경주 운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39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8653B1 (ko) * 2022-01-06 2022-06-16 주식회사 제이에프파트너스 운전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2670133B1 (ko) * 2023-12-21 2024-05-29 비케이종합마케팅협동조합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온라인 및 오프라인을 통합하는 골프 대회를 운영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2558A (ko) * 2001-09-11 2003-03-17 정화진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결합한 이동체 게임 제공 시스템 및그 방법
KR20180064142A (ko) * 2016-12-05 2018-06-14 우현권 온라인 및 오프라인을 연계한 스크린게임 방법 및 스크린게임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2558A (ko) * 2001-09-11 2003-03-17 정화진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결합한 이동체 게임 제공 시스템 및그 방법
KR20180064142A (ko) * 2016-12-05 2018-06-14 우현권 온라인 및 오프라인을 연계한 스크린게임 방법 및 스크린게임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8653B1 (ko) * 2022-01-06 2022-06-16 주식회사 제이에프파트너스 운전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2670133B1 (ko) * 2023-12-21 2024-05-29 비케이종합마케팅협동조합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온라인 및 오프라인을 통합하는 골프 대회를 운영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3965B1 (ko) 2021-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3965B1 (ko)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참여가 가능한 카트 경주 중계 장치 및 방법과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참여가 가능한 카트 경주 운영 시스템
Fuhs Hybrid vehicles: and the future of personal transportation
Mom The electric vehicle: Technology and expectations in the automobile age
TW201803755A (zh) 用於車輛平台的設備以及方法
Vynakov et al. Modern electric cars of Tesla Motors company
CN108376492A (zh) 交通器模拟方法及系统
Sternal et al. Electric vehicle for the students’ shell eco-marathon competition. design of the car and telemetry system
Tielert et al. Can V2X communication help electric vehicles save energy?
CN103446756A (zh) 一种车载娱乐平台及车载娱乐平台控制方法
Fortino et al. Acoustic vehicle alerting systems (AVAS)-regulations, realization and sound design challenges
US20210074048A1 (e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CN106202972B (zh) 一种循环工况下确定电动汽车动力电池能量的方法
McKenzie Insane Mode: How Elon Musk's Tesla Sparked an Electric Revolution to End the Age of Oil
Bentley Autopia: The Future of Cars
Zacharof et al. A simulation model of the real-world fuel and energy consumption of light-duty vehicles
CN112473152B (zh) 信息提供装置、信息提供方法及存储介质
Chang et al. Designing and manufacturing of Formula SAE-Hybrid racecar for a new engineering education program
Hristov et al. An educational system for real-time monitoring and evaluation of the parameters of electric vehicles
Cernohorsky et al. Sustainable electromobility in the Liberec Region and in the middle Europe in general
Wager Energy efficiency of electric vehicles and recharging technologies under consideration of usage profiles.
Doyle et al. A case study for Northern Europe
Baxter et al. The cost and efficiency impact of powertrain sizing for passenger cars
US20230382409A1 (en) System for enabling a vehicle to perform a circuit mode
Motavalli High Voltage: The Fast Track to Plug In the Auto Industry
Wlodzimierz et al. Vehicle Dynamics and Green Electronic Differential for eKa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