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8387A - 지성 피부 개선을 위한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마이크로니들 - Google Patents

지성 피부 개선을 위한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마이크로니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8387A
KR20210098387A KR1020210013611A KR20210013611A KR20210098387A KR 20210098387 A KR20210098387 A KR 20210098387A KR 1020210013611 A KR1020210013611 A KR 1020210013611A KR 20210013611 A KR20210013611 A KR 20210013611A KR 20210098387 A KR20210098387 A KR 202100983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needle
polypropylene
peg
skin
seb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3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5911B1 (ko
Inventor
김형주
김지은
조정욱
이은빈
양윤정
박기수
오경빈
최용근
전현진
송학진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10098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8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5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5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0Instruments, other than pincettes or toothpicks, for removing foreign bodies from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47Dermatology
    • A61B2017/00761Removing layer of skin tissue, e.g. wrinkles, scars or cancerous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46Solid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53Methods for produc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61M2205/0244Micromachined materials, e.g. made from silicon wafers,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MEMS] or comprising nanotechnolog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er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성 피부 개선을 위한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마이크로니들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마이크로니들은 머리카락보다 얇은 규격의 미세바늘을 탑재한 마이크로니들을 사용하기 때문에 고통이 거의 없고 피부 자극이 적다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유흡착제 소재로 잘 알려진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여 피부 내의 기름 및 피지의 효과적인 제거 가능하고, 250±50 μm 높이의 미세바늘을 탑재하고 있어서 표피층 내부의 블랙헤드 및 피지 제거가 가능하여 기존의 기름종이나 압출기보다 더 효율적인 피지제거제로서의 이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제품의 크기가 작고 사용하기 편리하여 소지, 운반 및 사용의 불편함 최소화하고, 폴리프로필렌은 물은 흡수하지 않고 기름만 흡수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피지만을 효과적으로 제거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성 피부 개선을 위한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마이크로니들{Polypropylene microneedle for oily skin treatment}
본 발명은 지성 피부 개선을 위한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마이크로니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이크로니들(microneedle)은 생체 내 약물, 백신 등의 활성 물질의 전달, 체내 분석물질의 검출 및 생검(biopsy)에 사용된다. 마이크로니들을 이용한 약학적 또는 화장학적 활성 성분의 전달은 혈관 또는 림프관과 같은 생체 순환계가 아닌 피부를 통한 활성 물질의 전달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마이크로니들을 이용하는 방법으로는 마이크로니들이 부착된 롤러(roller) 등의 마이크로니들 장치(device)를 사용하여 피부에 일정 수 이상의 구멍을 형성한 후 약물을 덧바르는 형태, 마이크로니들 표면에 활성성분(유효성분)을 코팅함으로써 피부 천공과 동시에 활성성분이 투여되도록 하는 형태, 고분자(생분해성 고분자 또는 수용성 고분자)를 이용한 마이크로니들로 주사 시 피부 내에서 분해 또는 용해됨으로써 마이크로니들에 포함된 활성물질을 확산시키는 형태 등이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지금까지의 마이크로니들은 경구 투여를 통한 약물 전달 방식이나 주사를 통한 약물 전달 방식을 대체할 수 있는 대안적 약물 투여수단으로, 피부에 분포한 통각 신경을 자극하지 않고 표피를 투과하여 약물을 전달할 수 있는 기기, 즉 일종의 약물 전달체로서 사용되어 왔다.
피지(sebum)는 피부에 있는 피지 선에서 나오는 분비물로서, 피지 선으로부터 분비되는 액상의 지방은 모낭을 거쳐 털구멍에서 배출되어 피부표면의 건조를 방지하며, 두발부, 눈썹부, 비순구(鼻脣溝), 겨드랑이, 흉배부(胸背部), 사타구니 등에 많이 분포되어 있다. 피지는, 특히 사춘기에 분비량이 급증하게 되는데, 사춘기가 되면 남성호르몬이 과잉으로 분비되어 모낭 옆에 붙어있는 피지 선을 자극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피지가 적절히 배출되어 제거되지 못하면, 모공에 쌓여서 공기와 산화되어 검은 덩어리(블랙 헤드)가 피부표면에 나타나게 되고, 이는 외모에 관심이 많고 감수성이 예민한 사춘기 청소년들에게 큰 스트레스가 될 수 있다.
또한, 피지 분비량의 급증은 여드름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여드름은 피지 선에 발생한 염증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지 분비량의 급증으로 인해 모낭의 상피가 이각화증(불완전하고 미숙한 각질화를 보이는 비정상적 각질화)을 일으켜 모낭이 막히고, 모낭 내에 살고 있던 세균이 번식하여 염증을 일으킨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여드름은 주로 사춘기에 자주 발생하지만, 20대 혹은 30대에도 발생할 수 있다. 여드름의 정확한 원인은 밝혀져 있지 않으나, 한 가지 원인보다는 남성호르몬의 작용, 유전적 소질, 피로와 스트레스 등의 여러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약물 전달체로서 사용되어 온 마이크로니들을 피부의 피지나 오일 성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마이크로니들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마이크로니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마이크로니들을 포함하는 피지 제거용 패치(patch)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마이크로니들을 포함하는 피지 제거용 롤러(roller)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폴리에틸렌글리콜(PEG-PCL-PEG) 트리블록 공중합체 및 폴리프로필렌(PP)의 혼합물을 마이크로니들 몰드에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마이크로니들 몰드와 상기 혼합물을 분리하여 마이크로니들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마이크로니들(microneedle)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마이크로니들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마이크로니들을 포함하는 피지 제거용 패치(patch)를 제공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마이크로니들을 포함하는 피지 제거용 롤러(roller)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니들은 머리카락보다 얇은 규격의 미세바늘을 탑재한 마이크로니들을 사용하기 때문에 고통이 거의 없고 피부 자극이 적다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유흡착제 소재로 잘 알려진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여 피부 내의 기름 및 피지의 효과적인 제거 가능하고, 250±50 μm 높이의 미세바늘을 탑재하고 있어서 표피층 내부의 블랙헤드 및 피지 제거가 가능하여 기존의 기름종이나 압출기보다 더 효율적인 피지제거제로서의 이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제품의 크기가 작고 사용하기 편리하여 소지, 운반 및 사용의 불편함 최소화하고, 폴리프로필렌은 물은 흡수하지 않고 기름만 흡수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피지만을 효과적으로 제거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마이크로니들의 시스템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마이크로니들의 접촉 시간에 따른 오일 흡수량 측정 실험을 위한 설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마이크로니들의 접촉시간에 따른 오일 흡수량 실험 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마이크로니들의 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좌측 : 마이크로니들 전체 사진, 우측 : 마이크로니들의 미세바늘 확대 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마이크로니들 injection 전/후 광학 현미경 관찰사진이다(좌측 : 마이크로니들 적용 전, 우측 : 마이크로니들 적용 후).
도 6은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마이크로니들 적용 전/후의 오일 성분 분포 비교 사진이다(좌측 : 마이크로니들 적용 전, 우측 : 마이크로니들 적용 후, x100).
도 7은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마이크로니들의 함량별 흡수량 및 독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마이크로니들의 실제 피부 적용 전/후 사진이다(좌측 : 마이크로니들 적용 전, 우측 : 마이크로니들 적용 후).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폴리프로필렌이 탑재된 마이크로니들의 제조
본 발명에서는 폴리프로필렌을 탑재한 마이크로니들을 제조하기 위하여 폴리프로필렌과 PEG-PCL-PEG 폴리머를 혼합공정을 통해 제조하였다. PEG-PCL-PEG 폴리머는 PECE(PEG-PCL-PEG) 중합법을 통해 제조하고, 상기 폴리프로필렌의 함량은 전체 PEG-PCL-PEG 폴리머의 10%에 해당하는 양을 포함하여 제조하였다(도 1).
구체적인 마이크로니들 제조방법은 아래와 같다.
1) ε-caprolactone 50 ml과 poly(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100 g, Sn(Oct)2 750 μl (0.5 wt% of total reactant)를 정량 취하여 130℃에서 13시간동안 1차 중합한다.
2) 1차 중합 후, hexamethylene diisocyannate 16.8 ml을 첨가하여 80℃에서 12시간 동안 2차 중합하여 PEG-PCL-PEG 트리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한다.
3) PEG-PCL-PEG 트리블록 공중합체와 폴리프로필렌을 80℃ 이상에서 중량비 10 : 1 비율로 혼합한다.
4) 마이크로니들 몰드에 용액을 분주하고 원심분리(3500rpm, 2분)시킨다.
5) 원심분리한 마이크로니들은 탈포기에서 20분간 기포를 제거시킨다.
6) 기포 제거가 완료된 마이크로니들은 냉동 보관한다.
제조된 마이크로니들은 도 4에 나타내었으며, 제조된 마이크로니들은 표면에 미세바늘이 형성 되었으며, 길이가 약 250 μm 로서 약 200 ~ 300μm 높이의 미세바늘이 형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1> In vitro 적용 실험 1
마이크로니들의 미세바늘 부분만이 오일 성분인 식용유에 닿을 수 있게 300 μm 깊이의 구조물을 제작하여 오일에 각 1분, 5분, 15분간 적용 후, 적용 전 무게와 적용 후의 무게 측정하여 접촉시간에 따른 흡수량을 계산하였다(도 2참조).
그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이크로니들이 oil에 1분간 접촉될 경우, 약 0.4mg에 해당하는 oil이 흡수되었으며, 마이크로니들이 oil에 5분간 접촉될 경우, 약 0.8mg에 해당하는 oil이 흡수되었다. 또한, 마이크로니들이 oil에 15분간 접촉될 경우, 약 1.1mg에 해당하는 oil이 흡수되었다.
따라서,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마이크로니들과 oil성분의 접촉 시간이 증가할수록 흡수되는 oil의 양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하루 평균 피지 분비량이 74μg/cm2인 점을 고려한다면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마이크로니들의 oil 흡수 효과가 in vitro상에서 유효한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예 2> In vitro 적용 실험 2
인공 피부 (Franz-cell membrane)의 각질층에 기름성분인 식용유를 바르고 충분히 스며들 수 있도록 30분간 유지하고, Sudan black B로 기름 성분 염색하였다. 그 후, 마이크로니들을 인공 피부에 5 분간 적용 후 제거한 뒤, 광학 현미경을 통해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마이크로니들의 적용 전과 후의 기름 성분 분포 정도를 촬영 및 비교하였다.
그 결과,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이크로니들 적용 후, Sudan black B에 의해 진한 검정색으로 염색되었던 oil성분이 마이크로니들 적용 후에 표피층 주변의 색이 옅어졌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마이크로니들이 기름 성분 흡수에 의한 제거 효과를 나타낸다고 판단된다.
별도로 인공 피부에 마이크로니들 5분간 적용한 후, 파라핀 블록을 제작하고 masson's trichrome staining (MT staining)을 통해 마이크로니들의 침윤 깊이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이크로니들 적용 전(좌)과 후(우)를 비교하였을 때, 마이크로니들이 표피층에 충분히 침윤되었음을 확인 (red: 표피층 / blue: 진피층)하였으며, 상기 실험결과를 통해 마이크로니들이 각질층을 충분히 뚫을 수 있을 만큼의 강도를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표피층까지 충분히 도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In vitro 적용 실험 3
피부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6주령 마우스 모델의 피부 실험을 진행 하였다.
마우스는 대한바이오링크(충청북도, 한국)에서 구입한 생후 6주령된 암컷 18 마리를 이용하였다. 마우스는 실험동물실(온도 23 ± 2 ℃, 습도 55 ± 5%, 12 hr/12 hr dark-light cycle)에서 1 주일 동안 상기 마우스를 안정화시킨 후 등을 제모하여 본 실험에 이용하였다.
마이크로니들은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하였으며, 폴리프로필렌의 함량을 전체 PEG-PCL-PEG 폴리머의 5%, 10%, 15%, 20% 및 30% 로 함유시켜 마이크로니들을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대조군으로 폴리프로필렌이 무처리된 마이크로니들을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제모된 마우스의 등에 부착하고, 3분, 5분 또는 15분 동안 방치 후 피부의 발진 발생 여부를 확인하였다.
또한, 각 제조된 마이크로니들을 미세바늘 부분만이 오일 성분인 식용유에 닿을 수 있게 300 μm 깊이의 구조물을 제작하여 오일에 각 3분, 5분, 15분간 적용 후, 적용 전 무게와 적용 후의 무게 측정하여 접촉시간에 따른 흡수량을 계산하였다(도 7).
그 결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이크로니들의 oil 흡수량은 접촉 시간이 증가할수록, 폴리프로필렌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흡수되는 oil의 양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폴리프로필렌 5% 농도인 경우 15분 이상으로 이용하였을 때 0.3mg 으로 다소 낮게 측정되었고, 10% 농도 이상을 이용한 경우 5분을 이용하였을 때 0.6mg 이상으로 나타났다.
동물 모델에서 적용한 결과 폴리프로필렌이 고 함유된 20% 이상에서는 마우스 피부에서 5분 이상에서 피부 발진이 나타났으며, 접촉 시간이 증가할수록 발진 정도가 증가되었다.
그리고 폴리프로필렌이 15% 농도 인 경우 15분에서 피부 발진이 발생하였으며, 10% 미만 폴리프로필렌인 경우 발진이 발생되지 않았다.
따라서 폴리프로필렌의 함량에 대하여 피부 독성에서 5 ~ 15% 의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하는 경우 독성이 발생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oil 흡수량은 10% 이상에서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10 ~ 20%에서는 5분 이상에서 oil 흡수 효과가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4> In vivo 적용 실험
실험 조건은 세안 후 6시간 이상 경과한 상태에서 피지선이 발달되어있는 T존을 대상으로 15분간 마이크로니들 적용하고, 마이크로니들 적용 전/후의 피부 상태를 촬영하여 효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이크로니들 적용 전(좌)과 후(우)를 비교했을 때, 피지샘이 발달되어있는 T존의 기름 성분 제거 효과가 나타났다고 판단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히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폴리에틸렌글리콜(PEG-PCL-PEG) 트리블록 공중합체 및 폴리프로필렌(PP)을 포함하는, 피부 피지 제거용 마이크로니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피비 제거용 마이크로니들은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폴리에틸렌글리콜(PEG-PCL-PEG) 트리블록 공중합체 총 중량 대비 폴리프로필렌이 중량비로 5 ~ 30% 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피지 제거용 마이크로니들.
  3. 제1항에 있어서,
    마이크로니들은 피부 유분을 흡유하는 폴리프로필렌이 함유된 200 ~ 300μm 높이의 미세바늘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피지 제거용 마이크로니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에 어느 한 항의 마이크로니들을 포함하는 피지 제거용 패치.
  5.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폴리에틸렌글리콜(PEG-PCL-PEG) 트리블록 공중합체 및 폴리프로필렌(PP)의 혼합물을 마이크로니들 몰드에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마이크로니들 몰드와 상기 혼합물을 분리하여 마이크로니들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마이크로니들(microneedle)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니들 몰드에 주입하는 단계는
    1) ε-caprolactone 50 ml과 poly(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100 g, Sn(Oct)2 750 μl (0.5 wt% of total reactant)를 정량 취하여 130℃에서 13시간동안 1차 중합하는 단계;
    2) 1차 중합 후, hexamethylene diisocyannate 16.8 ml을 첨가하여 80℃에서 12시간 동안 2차 중합하여 PEG-PCL-PEG 트리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3) PEG-PCL-PEG 트리블록 공중합체에 폴리프로필렌을 80℃ 이상에서 중량비 5 ~ 30% 비율로 혼합하는 단계; 및,
    4) 마이크로니들 몰드에 용액을 분주하고 원심분리(3500rpm, 2분)시키고, 탈포기에서 20분간 기포를 제거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마이크로니들의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니들은 피부 유분을 흡유하는 폴리프로필렌이 함유된 200 ~ 300μm 높이의 미세바늘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니들의 제조방법.
  8. 제5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마이크로니들.
KR1020210013611A 2020-01-30 2021-01-29 지성 피부 개선을 위한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마이크로니들 KR1026259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902 2020-01-30
KR20200010902 2020-0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8387A true KR20210098387A (ko) 2021-08-10
KR102625911B1 KR102625911B1 (ko) 2024-01-18

Family

ID=77316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3611A KR102625911B1 (ko) 2020-01-30 2021-01-29 지성 피부 개선을 위한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마이크로니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591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0598B1 (ko) 2015-09-21 2016-04-07 비엔엘바이오테크 주식회사 잇몸 굴곡에 맞게 유연하며 치과용 물질 전달을 위한 마이크로 니들 및 그 제작방법
KR101728526B1 (ko) * 2016-06-23 2017-04-19 주식회사 쿼드메디슨 마이크로 니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45682B1 (ko) * 2017-01-05 2017-06-09 주식회사 쿼드메디슨 마이크로 니들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마이크로 니들
KR101956444B1 (ko) * 2016-03-07 2019-03-0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자가 조립 나노입자 방출형 용해성 마이크로니들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60516A (ko) * 2017-11-24 2019-06-03 주식회사 스몰랩 마이크로 니들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90123642A (ko) * 2018-04-24 2019-11-01 주식회사 엠씨넷 피부투과성이 우수한 다층 마이크로니들, 이를 포함하는 패치 및 패치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0598B1 (ko) 2015-09-21 2016-04-07 비엔엘바이오테크 주식회사 잇몸 굴곡에 맞게 유연하며 치과용 물질 전달을 위한 마이크로 니들 및 그 제작방법
KR101956444B1 (ko) * 2016-03-07 2019-03-0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자가 조립 나노입자 방출형 용해성 마이크로니들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728526B1 (ko) * 2016-06-23 2017-04-19 주식회사 쿼드메디슨 마이크로 니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45682B1 (ko) * 2017-01-05 2017-06-09 주식회사 쿼드메디슨 마이크로 니들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마이크로 니들
KR20190060516A (ko) * 2017-11-24 2019-06-03 주식회사 스몰랩 마이크로 니들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90123642A (ko) * 2018-04-24 2019-11-01 주식회사 엠씨넷 피부투과성이 우수한 다층 마이크로니들, 이를 포함하는 패치 및 패치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5911B1 (ko) 2024-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madon et al. Enhancement strategies for transdermal drug delivery systems: Current trends and applications
CN107375008B (zh) 用于美白的可溶性微针贴片及其制备方法
CN107184417B (zh) 可溶性微针贴片及其制备方法
Juntanon et al. Electrically controlled release of sulfosalicylic acid from crosslinked poly (vinyl alcohol) hydrogel
RU2719943C2 (ru) Способы улучшенной доставки активных средств в опухоли
CN108451837A (zh) 一种美白液晶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40048024A (ko) 피부 치료용 미세침 집적형 제제
CN111278503B (zh) 离子电渗微针装置
CN101346134B (zh) 聚氨酯类成膜毛发护理聚合物的用途以及含有这些聚合物的药物制剂和贴剂
EA002067B1 (ru) Чрескожная терапевт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CN103520006A (zh) 一种柔性纳米脂质体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3520007A (zh) 皮肤活性因子类柔性纳米脂质体及其制备方法和应用
Kang et al. Combinatorial application of dissolving microneedle patch and cream for improvement of skin wrinkles, dermal density, elasticity, and hydration
Su et al. Efficient delivery of nanoparticles to deep skin layers using dissolvable microneedles with an extended-length design
Yang et al. Two‐phase delivery using a horse oil and adenosine‐loaded dissolving microneedle patch for skin barrier restoration, moisturization, and wrinkle improvement
CN108524916A (zh) 一种载中华眼镜蛇神经毒素的可溶性微针的制备方法
CN108464967A (zh) 一种用于皮下药物可控释放的生物针及其制备方法
Lv et al. Collagen‐based dissolving microneedles with flexible pedestals: A transdermal delivery system for both anti‐aging and skin diseases
CN104958257B (zh) 一种隐丹参酮皮肤角质类脂体制剂及其制备方法
KR102234446B1 (ko) 피부투과성 재조합 뉴로펩타이드 콤플렉스가 함유된 용해성 마이크로니들 패치
KR20210098387A (ko) 지성 피부 개선을 위한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마이크로니들
CN111329837A (zh) 一种褪黑素柔性脂质体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7595766B (zh) 一种利多卡因微乳凝胶及其制备方法
CN114642733B (zh) 一种治疗雄激素源性脱发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Jeon et al. Micro-pillar tunnel stamp for enhanced transdermal delivery of topical drug formul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