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6413A - 공기 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 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6413A
KR20210096413A KR1020200009831A KR20200009831A KR20210096413A KR 20210096413 A KR20210096413 A KR 20210096413A KR 1020200009831 A KR1020200009831 A KR 1020200009831A KR 20200009831 A KR20200009831 A KR 20200009831A KR 20210096413 A KR20210096413 A KR 20210096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air purifier
air
retention space
discharge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9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효석
이수진
손수왕
김민환
성봉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9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6413A/ko
Priority to PCT/KR2021/000889 priority patent/WO2021153948A1/ko
Publication of KR20210096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64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2Cleaning ducts or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Separation Of Particles Using Liquids (AREA)

Abstract

공기 청정기로서, 공기 청정기의 상단부에 위치하고, 공기 배출구를 주변에 형성하는 상부 커버, 상기 공기 배출구로 유입되는 액체가 낙하 가능한 지점에 형성되는 액체 체류 공간부, 상기 액체 체류 공간부와 연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액체 체류 공간부에 포집된 액체가 공기 청정기의 외면으로 배출되도록 구비되는 액체 배출 통로 및 상기 액체 배출 통로와 연결되고, 상기 액체 배출 통로를 통해 배출된 액체가 공기 청정기의 바닥을 향해 이동하도록 상하로 형성되는 배출홈을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공기 청정기 {AIR CLEAN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 청정기는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장치로서 이해된다. 주로 공기 정청기는, 주로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은 실내공간을 정화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종래의 공기 청정기에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송풍장치, 흡입된 공기에서 먼지나 세균 등을 필터링하는 필터 부재가 포함된다.
종래의 공기 청정기와 관련하여, 본 출원인은 아래와 같은 선행문헌을 개시한 바 있다.
1. 공개번호 (공개일자) : 제10-2017-0101093호 (2017. 9. 5.)
2. 발명의 명칭 : 공기 청정기
도 1은 선행문헌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외부 모습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선행문헌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내부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공기 청정기(10)에는, 외면 또는 케이스(11)에 형성된 공기 흡입홀(12)을 통해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인입시키고, 인입된 공기는 필터 부재(30)를 통해 정화되어 공기 배출구(20)로 배출된다. 회전하면서 공기 흐름을 발생시키는 송풍팬(40), 상기 송풍팬(40)에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팬(50) 및 관련 전기부품(60)이 공기 청정기(10)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흡입된 공기를 정화시켜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 배출구(20)가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 공기 배출구(20)를 통해 액체 또는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상황이 빈번한게 발생하고 있다. 공기 배출구(20)를 통해 유입된 액체 등은 내부에 위치한 팬모터(50) 등의 작동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필터 부재(30)에도 침투하여 필터링 기능을 악화시킬 수 있다. 이처럼, 공기 배출구가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 외부로부터 낙하하는 액체 또는 이물질에 따른 기술적 문제가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밖에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누수 또는 이물질 유입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면서 본연의 공기 청정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공기 청정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공기 청정기의 상단부에 위치하고, 공기 배출구를 주변에 형성하는 상부 커버, 상기 공기 배출구로 유입되는 액체가 낙하 가능한 지점에 형성되는 액체 체류 공간부, 상기 액체 체류 공간부와 연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액체 체류 공간부에 포집된 액체가 공기 청정기의 외면으로 배출되도록 구비되는 액체 배출 통로 및 상기 액체 배출 통로와 연결되고, 상기 액체 배출 통로를 통해 배출된 액체가 공기 청정기의 바닥을 향해 이동하도록 상하로 형성되는 배출홈을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액체 배출 통로의 유입홀은, 공기 통로보다 작게 형성되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액체 체류 공간부의 내면에 이르는 반경은, 상기 상부 커버의 외경보다 작게 구성되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액체 배출 통로는,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배출홈은, 공기 청정기의 외면에 형성된 공기 흡입홀과 간섭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누수 또는 이물질 등으로부터 공기 청정기 내부의 전기부품 또는 필터부재를 안전하게 보호하여 누전 등의 안전사고 및 기기 고장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특히 공기 배출구 등이 형성된 공기 청정기의 상부 구조를 통해 유입되는 액체 또는 이물질 등을 차단 내지 포집하여 안정적으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은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공기 청정기의 외부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종래의 공기 청정기의 내부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공기 청정기의 일 실시예에 대해 일부를 절개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공기 청정기의 일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공기 청정기에서 일어나는 공기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공기 청정기에서 일어나는 액체 배출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바탕으로 본 발명인 공기 청정기(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인 공기 청정기의 일 실시예에 대해 일부를 절개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이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인 공기 청정기에서 일어나는 공기 흐름을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인 공기 청정기에서 일어나는 액체 배출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공기 청정기(100)는, 상부 커버(110), 액체 체류 공간부(120), 액체 배출 통로(130) 및 배출홈(140)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커버(110)는, 공기 청정기(100)의 상부에 위치한다. 상기 상부 커버(110)는 공기 청정기(110)의 내부 구조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유지관리 편의를 위해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 공기 청정기(110)의 상부에 부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커버(110)가 분리되도록 구비되는 경우, 후술할 액체 체류 공간부(120) 또는 액체 배출 통로(130)에 유입된 액체 또는 이물질에 대하여 유지관리를 위해 사용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된다.
상기 상부 커버(110)가 구비됨으로써, 액체 또는 이물질 등의 유입으로부터 공기 청정기(100)를 일차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된다(본 명세서에서는 공기 청정기로 유입 가능한 액체, 이물질 등을 포함하여 '액체'로 칭하기도 한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 커버(110)는 공기 배출구(2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자세히는, 상기 상부 커버(110)는 공기 배출구(20)를 둘러싸는 외면과 이격하여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상부 커버(110)와 공기 배출구(20)의 외면은 일정한 통로를 마련하여 공기 청정기(10)를 통과한 공기가 방해요소 없이 원활히 배출되도록 기능한다.
상기 액체 체류 공간부(120)는, 외부에서 액체 또는 이물질이 공기 청정기(100)로 낙하 가능한 지점이 포함되도록 형성된다. 자세히는, 상기 액체 체류 공간부(120)는, 외부에서 액체 또는 이물질이 공기 배출구(20)로 유입되어 낙하 가능한 지점이 포함되도록 형성된다. 액체 체류 공간부(120)를 구비함으로써, 갑작스러운 다량 액체 유입에 대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액체 체류 공간부(120)는, 상기 공기 배출구(20)와 대응되도록 상기 공기 청정기(100)의 상부에 형성되되, 상기 상부 커버(10)와 상하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도 6을 참조하면, 이러한 액체 체류 공간부(120)의 구조적 배치에 의해, 공기 청정기(10)로 유입된 공기가 청정 과정을 거친 후 공기 배출구(20)로 향하는 충분한 통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체 체류 공간부(120)는, 공기 배출구(20)를 통해 낙하하는 액체 또는 이물질이 다량으로 유입되더라도 넘치지 않고 포집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도 4를 참조하면, 공기 배출구(20)를 구성하는 공기 청정기(1000의 외면은, 앞서 설명한 것처럼 상부 커버(110)와는 외측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면서, 상기 액체 체류 공간부(120)가 내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동시에, 상기 액체 체류 공간부(120)는 연장된 내측의 단부에 상향 돌출되도록 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가 구비됨으로써, 액체 체류 공간부(120)에는 공기 배출구(20)를 통해 낙하하는 액체 또는 이물질이 다량으로 유입되더라도 넘치지 않고 포집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상기 액체 체류 공간부(120)는, 공기 청정기(100)의 공기 배출부(20)로 낙하하는 액체 등이 충분히 모아질 수 있도록 형성됨으로써, 다량의 액체가 잔류할 수 있는 공기 청정기 내부의 임시 수조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액체 체류 공간부(120)의 내측면에 이르는 제1 반경(R1)이 상부 커버(110)의 외경인 제2 반경(R2)보다 작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액체 체류 공간부(120)가 공기 배출구(20)를 통해 유입되는 액체 또는 이물질 등을 완전히 커버할 수 있게 된다. 즉, 유입 가능한 영역을 결정하는 요소인 제2 반경(R2)보다 실제 유입 방지를 결정하는 요소인 제1 반경(R1)이 작게 형성됨으로써, 상부에서 자연 낙하하는 액체 또는 이물질 뿐만 아니라, 일정한 각도로 분사되거나 경사지도록 낙하하는 액체 또는 이물질 등에 대해서도 그 유입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공기 청정기(100)의 상부면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110)가 일차적으로 액체 또는 이물질 등의 유입을 방지하더라도, 공기 배출구(20)를 통해 유입되는 액체 또는 이물질에 대해서는 액체 체류 공간부(120)에 의해 이차적 내지 보충적으로 차단 내지 포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 청정기(100)는 누수 감지 센서부(미도시)가 구비됨으로써, 액체 등이 공기 배출구(20)로 낙하하는 경우, 공기 청정기(100)의 작동이 즉시 정지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액체 체류 공간부(120)에는 일정 높이에 수분 센서가 구비되어 잔류된 액체의 수위에 해당 수분 센서까지 차오른 경우에는 공기 청정기에 전기 공급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액체 배출 통로(130)는, 상기 액체 체류 공간부(120)와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포집된 액체가 공기 청정기(100)의 외면으로 배출되도록 기능한다. 이처럼, 홀(hole) 구조로 형성된 액체 배출 통로(130)에 의해, 송풍팬(40)을 통과한 청정 공기의 흐름에 방해요소로 작용하지 않으면서도 액체가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액체 체류 공간부(120)에서 포집된 액체가 유입되기 시작하는 부분을 상기 액체 배출 통로(130)에 있어서 유입홀이라 하면, 상기 유입홀은 공기 통로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송풍팬(40)을 통과한 청정 공기가 상기 유입홀이 아닌 의도된 공기 통로로 아무런 방해 없이 흐를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액체 배출 통로(130)는 상기 유입홀로부터 공기 청정기(100)의 외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구비됨으로써, 배출된 액체가 재유입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홈(140)은, 상기 액체 배출 통로(130)와 연결되어 공기 청정기(100)의 외면에 상하로 형성된다. 상기 배출홈(140)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액체 배출 통로(130)를 통해 흘러나온 액체가 재유입되지 않고 공기 청정기(100)의 바닥까지 안정적으로 흘러내릴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배출홈(140)은 공기 청정기(100)의 외면에 마련되는 공기 흡입홀(12) 또는 공기 흡입홀(12) 집단과 간섭되지 않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배출홈(140)이 위치한 부분에는 상기 공기 흡입홀(12)이 마련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 청정기(100)로 유입되는 공기 흐름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동시에 액체 배출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인 공기 청정기(100)의 내부의 공기 흐름 통로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공기 청정기(100)의 외면(11)에 형성된 공기 흡입홀(12)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면서 내측에 구비된 필터 부재(30)를 통과하여 공기 청정기(100)의 내부 중심부로 수렴하게 된다. 수렴된 공기는 송풍팬(40)의 흡입력에 의해 위를 향해 이동하면서 송풍팬 통로(210)를 통과하게 된다. 송풍팬 통로(210)를 통과한 청정 공기는 모터팬(50) 등을 중심에 두는 통로(220)를 통과하게 된다. 위로 상승한 공기는 액체 체류 공간부(120)의 내측 통로(230)를 지나 공기 배출구(20)로 이어지는 통로(240)를 지나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공기 청정기(100)의 액체 배출 통로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공기 배출구(20)로 유입된 액체는 상부 커버(110)와 공기 청정기의 외면(11) 사이의 통로(310) 사이로 낙하하게 된다. 낙하하는 액체는 액체 체류 공간부(120)에 포집하게 된다. 포집된 액체는 액체 체류 공간부(120)와 연통하는 액체 배출 통로(130, 330)를 따라 공기 청정기(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배출된 액체는 외면(11)에 형성된 배출홈(140, 340)을 따라 공기 청정기(100)의 바닥으로 배출된다.
이처럼, 앞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 및 그 유기적 결합에 의해 누수 또는 이물질 등으로부터 공기 청정기 내부의 전기부품 또는 필터부재를 안전하게 보호하여 누전 등의 안전사고 및 기기 고장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동시에, 공기 청정기의 본연의 청정 기능이 유지되도록 공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부 구조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100 : 공기청정기
20 : 공기 배출구
30 : 필터 부재
40 : 송풍팬
50 : 팬모터
60 : 전기부품
11 : 외면, 케이스
12 : 공기 유입홀
110 : 상부 커버
120 : 액체 체류 공간부
130 : 액체 배출 통로
140 : 배출홈
210, 220, 230, 240 : 공기 흐름 통로
310, 320, 330, 340 : 액체 배출 통로

Claims (5)

  1. 공기 청정기의 상단부에 위치하고, 공기 배출구를 주변에 형성하는 상부 커버;
    상기 공기 배출구로 유입되는 액체가 낙하 가능한 지점에 형성되는 액체 체류 공간부;
    상기 액체 체류 공간부와 연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액체 체류 공간부에 포집된 액체가 공기 청정기의 외면으로 배출되도록 구비되는 액체 배출 통로; 및
    상기 액체 배출 통로와 연결되고, 상기 액체 배출 통로를 통해 배출된 액체가 공기 청정기의 바닥을 향해 이동하도록 상하로 형성되는 배출홈을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배출 통로의 유입홀은,
    공기 통로보다 작게 형성되는 공기 청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체류 공간부의 내면에 이르는 반경은,
    상기 상부 커버의 외경보다 작게 구성되는 공기 청정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배출 통로는,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공기 청정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홈은,
    공기 청정기의 외면에 형성된 공기 흡입홀과 간섭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공기 청정기.
KR1020200009831A 2020-01-28 2020-01-28 공기 청정기 KR2021009641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831A KR20210096413A (ko) 2020-01-28 2020-01-28 공기 청정기
PCT/KR2021/000889 WO2021153948A1 (ko) 2020-01-28 2021-01-22 공기 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831A KR20210096413A (ko) 2020-01-28 2020-01-28 공기 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6413A true KR20210096413A (ko) 2021-08-05

Family

ID=77079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9831A KR20210096413A (ko) 2020-01-28 2020-01-28 공기 청정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096413A (ko)
WO (1) WO2021153948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188Y1 (ko) * 2011-12-29 2013-07-29 (주)금화 자연 가습장치
US9943794B2 (en) * 2016-02-26 2018-04-17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KR20180056988A (ko) * 2016-11-21 2018-05-30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CN107062496B (zh) * 2017-01-15 2022-01-28 广东德尔玛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净化装置的加湿器
KR102053227B1 (ko) * 2018-05-31 2019-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53948A1 (ko) 2021-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12619C1 (ru) Аппарат для удаления пыли с помощью влаги, имеющий множество механизмов действия,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циркуляции воды и способ удаления пыли
JP2018516754A (ja) 湿式型空気清浄器
KR101881667B1 (ko) 가습청정장치
KR101628076B1 (ko) 미세먼지 제거장치
JP6638021B2 (ja) 煙霧フィルター方式の空気清浄装置
US7591885B2 (en) Wet type air cleaner
KR101609512B1 (ko) 습식집진기
SG185349A1 (en) Collecting device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KR20180138247A (ko) 상이한 토출 방향의 양방향 팬들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
US20060096460A1 (en) Wet type air cleaner
JP2006289171A (ja) 空気清浄機
KR200492136Y1 (ko) 차량 도장부스의 방지시설
KR101915659B1 (ko) 소형 에어워셔 가습기
CN109789366B (zh) 防尘和防溅过滤器
CN216754365U (zh) 用于清洁装置的回水箱和清洁装置
KR20210096413A (ko) 공기 청정기
CN202192967U (zh) 一种紧凑型空气净化器风道结构
KR101963797B1 (ko) 습식집진기
JP3614653B2 (ja) エアクリーナの水抜き構造
KR101633498B1 (ko) 음이온 발생 공기 청정기
KR102350889B1 (ko) 공기청정기
KR101542876B1 (ko) 습식형 가습 공기청정기
CN112789098B (zh) 一种空气净化装置
KR20200053977A (ko) 공기 청정 장치
KR102474775B1 (ko) 가습공기청정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