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6380A - 에어 블로우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에어 블로우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6380A
KR20210096380A KR1020200009753A KR20200009753A KR20210096380A KR 20210096380 A KR20210096380 A KR 20210096380A KR 1020200009753 A KR1020200009753 A KR 1020200009753A KR 20200009753 A KR20200009753 A KR 20200009753A KR 20210096380 A KR20210096380 A KR 202100963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ir
washing
fixing
nozz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9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2538B1 (ko
Inventor
박영호
Original Assignee
박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호 filed Critical 박영호
Priority to KR1020200009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2538B1/ko
Publication of KR20210096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6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2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2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Landscapes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기술은 대상물을 자동을 세척할 수 있는 에어 블로우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에어 블로우 세척장치는 공기를 분사하는 세척부와 구멍을 포함하는 대상물을 지지하되, 상기 구멍으로 상기 분사되는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대상물의 위치를 고정하는 거치부, 상기 분사되는 공기로부터 상기 거치부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되, 상기 거치부가 교환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 상기 세척부와 상기 거치부, 상기 고정부를 고정하되, 한쪽은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도록 마련된 몸체 및 상기 몸체에 마련되어 외부와 연결되되, 상기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서 상기 대상물에서 분리된 이물질을 수집하는 분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에어 블로우 세척장치{AIR BLOW CLEANER}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기술은 에어 블로우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대상물을 자동을 세척할 수 있는 에어 블로우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등록특허공보 제10-1470283호(2014.12.05.자 공고, “갠트리 타입의 에어 분사 및 흡입 혼합형 세척장치”)에는 좌우측 외부에 점검도어와 상측 외부에 자동으로 개폐되는 상부도어와 양측에 구비된 쿨런트 챔버 실린더에 의하여 좌우로 개폐되는 쿨런트 챔버와 상기의 쿨런트 챔버 상부에 위치하며 석션 챔버 실린더에 의하여 좌우로 개폐되는 석션 챔버가 내장되어 있으며 강철 재질의 외벽과 스테인리스 재질의 내벽 사이에 소음재가 구비되는 육면체의 메인 챔버와 피세척물이 고정되는 지그 플레이트와 상기의 지그 플레이트 중앙부가 틸팅축에 고정되며 타단에 틸팅균형추가 구비되어 틸팅모터 또는 실린더에 의하여 90°로 틸팅되는 지그 유닛과 상기의 쿨런트 챔버 내부에 위치하며 다수개의 쿨런트 분사 노즐과 쿨런트 공급관으로 구성되는 쿨런트 분사 유닛과 상기의 석션 챔버 내부에 위치하며 다수개의 에어블로우 및 석션 노즐과 에어 공급관으로 구성되는 석션 유닛 및 상기의 상부도어 개폐와 쿨런트 챔버 개폐, 석션 챔버 개폐, 지그 유닛 틸팅, 쿨런트 분사 유닛과 석션 유닛을 제어하고 각각의 작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조작부로 구성되어 소음을 최소화하는 것은 물론 에어블로우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피세척물의 잔존 쿨런트 및 이물질을 완벽히 제거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70284호(2014.12.08.자 공고, “컨베이어 타입의 에어 분사 및 흡입 혼합형 세척장치”)에는 좌우측 외부에 점검도어와 전면에 위치하는 전면도어와 중간도어 실린더에 의하여 자동으로 개폐되는 중간도어와 석션 챔버 실린더에 의하여 좌우로 개폐되는 석션 챔버가 내장되어 있으며 강철 재질의 외벽과 스테인리스 재질의 내벽 사이에 소음재가 구비되는 육면체의 챔버 유닛과 전면도어를 통하여 이동된 피세척물이 고정되는 지그 플레이트와 상기의 지그 플레이트 중앙부가 틸팅축에 고정되며 틸팅모터 또는 실린더에 의하여 180°로 틸팅되는 지그 유닛과 상기의 석션 챔버 내부에 위치하며 다수개의 에어블로우 및 석션 노즐과 에어 공급관으로 구성되는 석션 유닛 및 상기의 챔버 유닛과 지그유닛 및 석션 유닛을 제어하고 각각의 작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조작부로 구성되어 노즐 간격에 따라 피세척물에 점착되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며 다수 개의 챔버를 구비하여 소음을 최소화하는 것은 물론 에어블로우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62153호(2018.06.08.자 공개, “가공칩에 잔존하는 절삭유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절삭유 제거방법”)에는 금속 또는 비철금속을 가공하는 공정 중에 발생되는 가공칩을 모아 저장하는 투입호퍼; 상기 투입호퍼르로부터 배출되는 가공칩을 분쇄하는 해머 크러셔; 상기 해머 크러셔에서 제공되는 가공칩을 입자 크기 별로선별하는 원형선별기; 상기 원형선별기에서 제공되는 가공칩을 가열하여 가공칩에 잔존하는 절삭유를 연소시키는 로터리 드라이어; 상기 로터리 드라이어에서 배출되는 유해가스를 재가열시켜 배출가스에 포함되는 유해물질 및 냄새입자를 연소시키는 연소로; 및 상기 연소로에서 발생되는 폐열을 회수하여 상기 로터리 드라이어로 순환시키는 폐열회수부를 포함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대상물의 종류에 따라서 범용적으로 자동세척이 가능한 에어 블로우 세척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에어 블로우 세척장치가 개시(disclosure)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에어 블로우 세척장치는 공기를 분사하는 세척부(100)와 구멍(11)을 포함하는 대상물(10)을 지지하되, 상기 구멍(11)으로 상기 분사되는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대상물(10)의 위치를 고정하는 거치부(200), 상기 분사되는 공기로부터 상기 거치부(200)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되, 상기 거치부(200)가 교환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300), 상기 세척부(100)와 상기 거치부(200), 상기 고정부(300)를 고정하되, 한쪽은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도록 마련된 몸체(600) 및 상기 몸체(600)에 마련되어 외부와 연결되되, 상기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서 상기 대상물(10)에서 분리된 이물질을 수집하는 분리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세척부(100)는 상기 거치부(200)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대상물(10)의 하부를 향해서 공기를 분사하는 하부 세척부(110)와 상기 거치부(200)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대상물(10)의 측면과 상부를 향해서 공기를 분사하는 상부 세척부(120) 및 상기 하부 세척부(110) 또는 상부 세척부(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동시켜 상기 하부 세척부(110)와 상부 세척부(120) 사이의 공간이 개방되도록 하는 세척 이동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300)에 마련되어 상기 하부 세척부(120)와 상기 상부 세척부(130) 사이의 열린 공간으로 상기 고정부(300)를 외부로 이동시키는 교환 이동부(5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몸체(600)는 상기 세척부(100)와 상기 거치부(200), 상기 고정부(300) 및 상기 분리부(400)를 고정하는 프레임(610) 및 상기 프레임(610) 하부에 지면과 접하도록 마련되되, 외부의 힘에 의해서 회전하는 프레임 이동부(62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세척부(120)는 공기가 분사되는 복수의 노즐(101)을 포함하고, 상기 대상물(10)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구멍(11)을 통과한 공기의 흐름을 감지하는 센서부(7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 세척부(1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8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복수의 노즐(101)별 개별적인 공기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센서부(700)에서 감지한 공기의 흐름 값을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노즐(101)을 분류하며, 상기 복수의 노즐(101)에서 상기 분류에 따라서 서로 순차적으로 공기가 분사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에어 블로우 세척장치는 복수의 노즐(101)을 통해서 배출되는 공기가 대상물(10)의 표면 및 대상물(10)이 포함하는 구멍(11) 내부로 이동함으로써, 대상물(10) 및 대상물(10)이 포함하는 구멍(11)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세척부(100)와 분리부(400)를 통해서 완전히 분리시켜 대상물(10)을 세척할 수 있다. 에어 블로우 세척장치는 거치부(200)의 교환만으로 다른 종류의 대상물(10)의 표면 및 대상물(10)이 포함한 구멍(11)을 세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에어 블로우 세척장치는 교환 이동부(500)를 통해서 대상물(10)을 세척부(100)에 넣거나 빼는 공정을 자동화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에어 블로우 세척장치는 대상물(10)의 종류가 변경되더라도 별도의 조작을 실행하지 않고도 대상물(10)에 적합한 세척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에어 블로우 세척장치는 대상물(10)의 표면에 공기가 분사되어 분리된 이물질이 대상물(10)에 포함된 구멍(11)에 잔류하더라도 기준 값 이상일 때의 상부 세척부(120)의 동작에 따라서 세척되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내용은 이후에 보다 자세하게 기술되는 사항에 대해 간략화된 형태로 선택적인 개념만을 제공한다. 본 내용은 특허 청구 범위의 주요 특징 또는 필수적 특징을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를 제한할 의도로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에어 블로우 세척장치의 일 실시 예를 부분 투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거치부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거치부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에어 블로우 세척장치의 다른 일 실시 예를 부분투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에어 블로우 세척장치의 또 다른 일 실시 예를 부분투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제어부의 동작 관계를 도시한 플로어차트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문에서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도면의 유사한 참조번호들은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도면들 및 청구항들에서 상술하는 예시적인 실시 예들은 한정을 위한 것이 아니며, 다른 실시 예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개시되는 기술의 사상이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른 변경들도 가능하다. 당업자는 본 개시의 구성요소들, 즉 여기서 일반적으로 기술되고, 도면에 기재되는 구성요소들을 다양하게 다른 구성으로 배열, 구성, 결합, 도안할 수 있으며, 이것들의 모두는 명백하게 고안되며, 본 개시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여러 층(또는 막), 영역 및 형상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또는 형상 등은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배치"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배치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형성"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형성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결합"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결합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본 명세서 첨부된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에어 블로우 세척장치의 일 실시 예를 부분 투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거치부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거치부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에어 블로우 세척장치의 다른 일 실시 예를 부분투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에어 블로우 세척장치의 또 다른 일 실시 예를 부분투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제어부의 동작 관계를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우선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세척 대상물(10)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에어 블로우 세척장치의 용이한 설명을 위해서 오일펌프 하우징을 한정하여 설명한다. 물론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에어 블로우 세척장치의 세척 대상물(10)은 다이캐스팅 또는 주물 또는 CNC장비를 통해서 제작된 물품을 실시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세척 대상물(10)은 오일이 통과할 수 있는 다수의 구멍(11)을 포함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에어 블로우 세척장치에 실시되는 세척 대상물(10)은 적어도 대상물(10)을 관통하는 구멍(11)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에어 블로우 세척장치는 대략적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세척부(100)와 구멍(11)을 포함하는 대상물(10)을 지지하되, 상기 구멍(11)으로 상기 분사되는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대상물(10)의 위치를 고정하는 거치부(200), 상기 분사되는 공기로부터 상기 거치부(200)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되, 상기 거치부(200)가 교환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300), 상기 세척부(100)와 상기 거치부(200), 상기 고정부(300)를 고정하되, 한쪽은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도록 마련된 몸체(600) 및 상기 몸체(600)에 마련되어 외부와 연결되되, 상기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서 상기 대상물(10)에서 분리된 이물질을 수집하는 분리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세척부(100)는 상기 거치부(200)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대상물(10)의 하부를 향해서 공기를 분사하는 하부 세척부(110)와 상기 거치부(200)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대상물(10)의 측면과 상부를 향해서 공기를 분사하는 상부 세척부(120) 및 상기 하부 세척부(110) 또는 상부 세척부(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동시켜 상기 하부 세척부(110)와 상부 세척부(120) 사이의 공간이 개방되도록 하는 세척 이동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300)에 마련되어 상기 하부 세척부(120)와 상기 상부 세척부(130) 사이의 열린 공간으로 상기 고정부(300)를 외부로 이동시키는 교환 이동부(5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몸체(600)는 상기 세척부(100)와 상기 거치부(200), 상기 고정부(300) 및 상기 분리부(400)를 고정하는 프레임(610) 및 상기 프레임(610) 하부에 지면과 접하도록 마련되되, 외부의 힘에 의해서 회전하는 프레임 이동부(62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세척부(120)는 공기가 분사되는 복수의 노즐(101)을 포함하고, 상기 대상물(10)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구멍(11)을 통과한 공기의 흐름을 감지하는 센서부(7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 세척부(1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8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복수의 노즐(101)별 개별적인 공기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센서부(700)에서 감지한 공기의 흐름 값을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노즐(101)을 분류하며, 상기 복수의 노즐(101)에서 상기 분류에 따라서 서로 순차적으로 공기가 분사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에어 블로우 세척장치는 크게 세척부(100)와 거치부(200), 고정부(300), 몸체(600) 및 분리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부(100)는 공기를 분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세척부(100)는 대상물(10)에 존재하는 통상의 칩 등의 가공 이물질 등을 분사되는 공기(AIR BROW)로 털어내는 것이다.
일례로, 세척부(100)는 크게 통상의 송풍팬(103)과 통상의 노즐(NOZZLE)(101) 및 노즐 결합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101)은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노즐 결합부(102)는 판으로 마련되어 복수의 노즐(101)을 결합한다. 복수의 노즐(101)은 노즐 결합부(102)의 한쪽 방향을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세척부(100)는 통상의 에어 블로워(AIR BLOWER)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거치부(200)는 구멍(11)을 포함하는 대상물(10)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거치부(200)는 대상물(100)에 형성된 구멍(11)으로 세척부(100)에서 분사되는 공기가 유입되도록 대상물(10)의 위치를 고정한다.
일례로, 거치부(200)는 판체로 마련될 수 있다. 거치부(200)는 대상물(10)이 관통할 수 있도록 대상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거치부(200)는 대상 구멍의 중심으로 돌출된 지지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거치부(200)는 지지 돌기를 통해서 대상물(10) 대상물(10)의 일부 하부 면을 지지한다. 지지 돌기는 대상물(10)의 특정 위치를 지지하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대상물(10)에 형성된 볼트 홈에 대응하는 볼트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지지 돌기의 위치는 지지하고자 하는 대상물(10)의 형상과 대상물(10)에 포함된 구멍(11)의 위치를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거치부(200)가 상기에서 설명된 세척부(100)에 위치할 경우, 세척부(100)에 포함된 노즐(101)과 대상물(10)의 구멍(11)이 일치 또는 유사하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즉, 거치부(200)는 대상물(10)에 포함된 구멍(11)으로 세척부(100)에서 분사되는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된 거치부(200)는 대상물(10)의 종류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형된 것을 다수 개로 실시된다. 결국, 거치부(200)의 교체만으로 다양한 대상물(10)을 세척할 수 있는 것이다.
고정부(300)는 거치부(200)를 고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고정부(300)는 상기에서 설명된 세척부(100)에 의해서 거치부(200)에 거치되 대상물(10)이 세척될 수 있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고정부(300)는 세척부(100)에서 분사되는 공기로부터 거치부(200)를 안정적으로 고정한다. 고정부(300)는 거치부(200)가 분리될 수 있도록 마련한다. 고정부(300)는 거치부(200)가 용이하게 교환 될 수 있도록 한다.
일례로, 고정부(300)는 통상의 사각 봉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300)는 두 개의 사각 봉을 포함한다. 고정부(300)는 상기에서 설명된 세척부(100)의 양 측면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고정부(300)와 거치부(200)는 탈부착이 용이한 볼트를 통해서 결합될 수 있다.
몸체(600)는 통상의 프레임(610)과 면 부재들로 마련될 수 있다. 몸체(600)는 상기에서 설명된 세척부(100)와 상기에서 설명된 거치부(200), 상기에서 설명된 고정부(300) 및 분리부(400)가 고정되도록 한다. 몸체(600)의 한쪽은 통상의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는 문을 포함한다. 몸체(600)는 세척부(100)가 작동할 때에는 폐쇄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프레임(610) 하부에 지면과 접하도록 마련되되, 외부의 힘에 의해서 회전하는 통상의 바퀴로 마련된 프레임 이동부(6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분리부(400)는 세척부(100)에서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서 대상물(10)에서 분리된 이물질을 수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분리부(400)는 대상물(10)에서 분리된 통상의 칩 등의 이물질이 다시 대상물(10)에 잔류하지 않도록 수거하는 것이다.
일례로, 분리부(400)는 통상의 호퍼로 마련될 수 있다. 분리부(400)는 고정부(300)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분리부(400)의 한쪽은 몸체(600)를 관통하여 외부와 연결된다. 분리부(400)는 대상물(10)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모집되어 한쪽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한편, 분리부(400)는 통상의 집진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집진기는 몸체(600) 외부에 노출된 한쪽에 설치된다.
상기에서 설명된 에어 블로우 세척장치는 복수의 노즐(101)을 통해서 배출되는 공기가 대상물(10)의 표면 및 대상물(10)이 포함하는 구멍(11) 내부로 이동함으로써, 대상물(10) 및 대상물(10)이 포함하는 구멍(11)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세척부(100)와 분리부(400)를 통해서 완전히 분리시켜 대상물(10)을 세척할 수 있다. 에어 블로우 세척장치는 거치부(200)의 교환만으로 다른 종류의 대상물(10)의 표면 및 대상물(10)이 포함한 구멍(11)을 세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세척부(100)는 다른 일례로 크게 하부 세척부(110)와 상부 세척부(120) 및 세척 이동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세척부(110)는 상기 일 실시 예에서 설명된 통상의 송풍팬(103)과 상기 일 실시 예에서 설명된 통상의 노즐(NOZZLE)(101) 및 상기 일 실시 예에서 설명된 노즐 결합부(102)를 포함하는 상기 일 실시 예에서 설명된 하나의 세척모듈을 거치부(200) 하부에 마련된다. 하부 세척부(110)는 대상물(10)의 하부를 향해서 노즐(101)이 향하도록 마련된다. 하부 세척부(110)는 대상물(10)의 하부를 향해서 공기를 분사한다.
상부 세척부(120)는 상기 일 실시 예에서 설명된 통상의 송풍팬(103)과 상기 일 실시 예에서 설명된 통상의 노즐(NOZZLE)(101) 및 상기 일 실시 예에서 설명된 노즐 결합부(102)를 포함하는 상기 일 실시 예에서 설명된 하나의 세척모듈을 복수 개로 마련된다. 복수 개의 세척모듈은 한쪽이 개방된 사각형의 상자 모양으로 서로 결합한다. 상부 세척부(120)는 사각형의 상자 내부로 공기가 분사되도록 한다. 상부 세척부(120)는 거치부(200) 상부에 마련되어 대상물(10)의 측면과 상부를 향해서 공기를 분사한다.
세척 이동부(130)는 통상의 실린더로 마련될 수 있다. 세척 이동부(130)는 하부 세척부(110) 또는 상부 세척부(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동시킨다. 세척 이동부(130)는 하부 세척부(110)와 상부 세척부(120) 사이의 공간이 개방되도록 한다. 구체적인 하나의 예로써 세척 이동부(130)는 상부 세척부(120)에 설치될 수 있다. 세척 이동부(130)는 상부 세척부(120)를 상부와 하부로 이동시킨다.
상기 하나의 예로써 설명된 세척부(100)는 세척 이동부(130)에 의해서 상부 세척부(120)가 상부로 이동하여 상부 세척부(120)와 하부 세척부(110) 사이의 공간을 개방한다. 이때 대상물(10)이 안치된 거치부(200)를 하부 세척부(110) 상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 세척부(100)는 세척 이동부(130)에 의해서 상부 세척부(120)가 하부로 이동하여 상부 세척부(120)와 하부 세척부(110) 사이의 공간을 폐쇄한다. 세척부(100)는 대상물(10)이 안치된 거치부(200)를 수용한 채로 고압의 공기를 대상물(10)을 향해서 분사한다. 세척부(100)는 세척 이동부(130)를 통해서 대상물(10)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세척 이동부(130)는 통상의 리드 스크류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세척 이동부(130)는 하부 세척부(130)에 설치될 수도 있고, 각각의 세척모듈에 설치될 수도 있다.
다른 일 실시 예를 참조한 에어 블로우 세척장치는 교환 이동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일 실시 예에서의 고정부(300)의 사각 파이프를 따라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고정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고정부(300)는 통상의 레일 구조로 마련되는 것이다. 고정 가이드 상부에 거치부(200)가 위치하여 볼트로 체결될 수 있다.
교환 이동부(500)는 고정부(300)에 마련될 수 있다. 교환 이동부(500)는 이동부(130)에 의해서 세척부(120)와 상부 세척부(130) 사이의 열린 공간으로 고정부(300)를 몸체(600) 외부로 이동시킨다.
일례로 교환 이동부(500)는 통상의 실린더로 마련될 수 있다. 교환 이동부(500)는 몸체(600)에 설치되어 고정부(300) 한쪽에 연결될 수 있다. 교환 이동부(500)가 전진하면 고정부(300)를 밀어내어 몸체(600) 외부로 거치부(200) 및 대상물(10)을 이동시킨다. 교환 이동부(500)가 후퇴하면 고정부(300)를 당겨서 몸체(600) 내부로 거치부(200) 및 대상물(10)을 이동시킨다. 교환 이동부(500)의 동작은 몸체(600)의 문이 개방되고 세척 이동부(130)의 작동에 의해서 상부 세척부(120)가 상부로 이동된 상태일 때에 동작한다.
한편, 교환 이동부(500)는 통상의 리드 스크류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된 교환 이동부(500)는 대상물(10)을 세척부(100)에 넣거나 빼는 공정을 자동화 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를 참조한 에어 블로우 세척장치는 상기에서 설명된 세척부(100)와 거치부(200), 고정부(300), 몸체(600) 및 분리부(400)를 포함하되, 교환 이동부(500)와 센서부(700) 및 제어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세척부(100)는 크게 하부 세척부(110)와 상부 세척부(120) 및 세척 이동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세척부(110)는 상기 일 실시 예에서 설명된 통상의 송풍팬(103)과 상기 일 실시 예에서 설명된 통상의 노즐(NOZZLE)(101) 및 상기 일 실시 예에서 설명된 노즐 결합부(102)를 포함하는 상기 일 실시 예에서 설명된 하나의 세척모듈을 거치부(200) 하부에 마련된다. 하부 세척부(110)는 대상물(10)의 하부를 향해서 노즐(101)이 향하도록 마련된다. 하부 세척부(110)는 대상물(10)의 하부를 향해서 공기를 분사한다. 이때 노즐(101)은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일부의 노즐(101)은 대상물(10)에 포함된 구멍(11)을 향하여 공기가 분사되도록 하고, 나머지 복수 개의 노즐(101)은 구멍(11)을 포함하는 한쪽 면에 공기가 분사되도록 한다.
상부 세척부(120)는 상기 일 실시 예에서 설명된 통상의 송풍팬(103)과 상기 일 실시 예에서 설명된 통상의 노즐(NOZZLE)(101) 및 상기 일 실시 예에서 설명된 노즐 결합부(102)를 포함하는 상기 일 실시 예에서 설명된 하나의 세척모듈을 복수 개로 마련된다. 복수 개의 세척모듈은 한쪽이 개방된 사각형의 상자 모양으로 서로 결합한다. 상부 세척부(120)는 사각형의 상자 내부로 공기가 분사되도록 한다. 상부 세척부(120)는 거치부(200) 상부에 마련되어 대상물(10)의 측면과 상부를 향해서 공기를 분사한다. 이때 노즐(101)은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일부의 노즐(101)은 대상물(10)에 포함된 구멍(11)을 향하여 공기가 분사되도록 하고, 나머지 복수 개의 노즐(101)은 구멍(11)을 포함하는 한쪽 면에 공기가 분사되도록 한다.
세척 이동부(130)는 통상의 실린더로 마련될 수 있다. 세척 이동부(130)는 하부 세척부(110) 또는 상부 세척부(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동시킨다. 세척 이동부(130)는 하부 세척부(110)와 상부 세척부(120) 사이의 공간이 개방되도록 한다. 구체적인 하나의 예로써 세척 이동부(130)는 상부 세척부(120)에 설치될 수 있다. 세척 이동부(130)는 상부 세척부(120)를 상부와 하부로 이동시킨다.
거치부(200)의 상세한 설명은 앞서 상술한바 설명의 편의상 생략한다.
고정부(300)의 상세한 설명은 앞서 상술한바 설명의 편의상 생략한다.
고정부(300)의 상세한 설명은 앞서 상술한바 설명의 편의상 생략한다.
몸체(600)의 상세한 설명은 앞서 상술한바 설명의 편의상 생략한다.
분리부(400)의 상세한 설명은 앞서 상술한바 설명의 편의상 생략한다.
교환 이동부(500)의 상세한 설명은 앞서 상술한바 설명의 편의상 생략한다.
센서부(700)는 대상물(10)의 하부에 마련되어 대상물(10)에 포함된 구멍(11)을 통과한 공기의 흐름을 감지하도록 마련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센서부(700)는 통상의 유량센서 또는 유속센서 또는 에어플로우센서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센서부(700)는 대상물(10)이 안치된 거치부(200)의 하부에 위치한 분리부(400)에 마련될 수 있다. 센서부(700)는 분리부(400)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감지한다.
제어부(800)는 상부 세척부(12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마련된다. 제어부(800)는 통상의 컴퓨터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800)는 상부 세척부(120)와 연결되고 센서부(700)의 흐름(감지) 값을 수신한다. 제어부(800)는 센서부(700)의 감지 값에 따라서 세척부(100)의 세척 동작을 제어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어부(800)는 크게 복수의 노즐(101)별 개별적인 공기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분사 체크 과정을 포함한다. 제어부(800)는 센서부(700)에서 감지한 공기의 흐름 값을 기준으로 복수의 노즐(101)을 분류하는 노즐 분류 과정을 포함한다. 복수의 노즐(101)에서 상기 분류에 따라서 서로 순차적으로 공기가 분사되도록 하는 세척 제어 과정을 포함한다.
분사 체크 과정은 복수의 노즐(101)별 개별적인 공기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부 세척부(120)를 제어하여 복수의 노즐(101)들이 개별적으로 공기가 분사되도록 한다.
노즐 분류 과정은 센서부(700)에서 감지한 공기의 흐름 값을 기준으로 복수의 노즐(101)을 분류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노즐 분류 과정은 기준 값이 설정되어 있다. 노즐 분류 과정은 분사 체크 과정에서 각각의 노즐(101)에서 공기가 분사되는 시점의 센서부(700)에서 감지된 값을 수신한다. 노즐 분류 과정은 각각의 노즐(101)에서 분사된 공기의 흐름 값을 정리하고 기준 값 이하의 노즐(101)과 기준 값 이상의 다른 노즐(101)을 분류한다.
세척 제어 과정은 복수의 노즐(101)에서 노즐 분류 과정에 따라서 서로 순차적으로 공기가 분사되도록 하는 세척 제어 과정을 포함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세척 제어 과정은 기준 값 이하의 복수의 노즐(101)을 우선 동작하도록 하고, 그 다음 기준 값 이상의 복수의 노즐(101)이 동작하도록 하는 순서로 상부 세척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된 에어 블로우 세척장치는 대상물(10)의 종류가 변경되더라도 별도의 조작을 실행하지 않고도 대상물(10)에 적합한 세척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 설명된 에어 블로우 세척장치는 대상물(10)의 표면에 공기가 분사되어 분리된 이물질이 대상물(10)에 포함된 구멍(11)에 잔류하더라도 기준 값 이상일 때의 상부 세척부(120)의 동작에 따라서 세척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세척 제어 과정은 기준 값 이하 또는 이상일 때의 상부 세척부(120)의 동작 제어와 함께 모든 노즐(101)에서 공기가 분사되도록 하는 동작 제어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하부 세척부(110)를 포함하여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로부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예시를 위해 기술되었으며, 아울러 본 개시의 범주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가능한 다양한 변형 예들이 존재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개시되고 있는 상기 다양한 실시 예들은 본 개시된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진정한 사상 및 범주는 하기의 청구항으로부터 제시될 것이다.
10 : 대상물
11 : 구멍
100 : 세척부
101 : 노즐
102 : 노즐 결합부
103 : 송풍팬
110 : 하부 세척부
120 : 상부 세척부
130 : 세척 이동부
200 : 거치부
300 : 고정부
400 : 분리부
500 : 교환 이동부
600 : 몸체
610 : 프레임
620 : 프레임 이동부
700 : 센서부
800 : 제어부

Claims (7)

  1. 공기를 분사하는 세척부;
    구멍을 포함하는 대상물을 지지하되, 상기 구멍으로 상기 분사되는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대상물의 위치를 고정하는 거치부;
    상기 분사되는 공기로부터 상기 거치부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되, 상기 거치부가 교환 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
    상기 세척부와 상기 거치부, 상기 고정부를 고정하되, 한쪽은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도록 마련된 몸체; 및
    상기 몸체에 마련되어 외부와 연결되되, 상기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서 상기 대상물에서 분리된 이물질을 수집하는 분리부;
    를 포함하는 에어 블로우 세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상기 거치부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대상물의 하부를 향해서 공기를 분사하는 하부 세척부;
    상기 거치부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대상물의 측면과 상부를 향해서 공기를 분사하는 상부 세척부; 및
    상기 하부 세척부 또는 상부 세척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동시켜 상기 하부 세척부와 상부 세척부 사이의 공간이 개방되도록 하는 세척 이동부;
    를 포함하는 에어 블로우 세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세척부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과 연결된 복수의 노즐; 및
    상기 복수의 노즐을 결합하는 노즐 결합부;
    를 포함하는 에어 블로우 세척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 마련되어 상기 하부 세척부와 상기 상부 세척부 사이의 열린 공간으로 상기 고정부를 외부로 이동시키는 교환 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에어 블로우 세척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세척부와 상기 거치부, 상기 고정부 및 상기 분리부를 고정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 하부에 지면과 접하도록 마련되되, 외부의 힘에 의해서 회전하는 프레임 이동부;
    를 포함하는 에어 블로우 세척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세척부는 공기가 분사되는 복수의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대상물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구멍을 통과한 공기의 흐름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 세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에어 블로우 세척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노즐별 개별적인 공기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한 공기의 흐름 값을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노즐을 분류하며, 상기 복수의 노즐에서 상기 분류에 따라서 서로 순차적으로 공기가 분사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에어 블로우 세척장치.
KR1020200009753A 2020-01-28 2020-01-28 에어 블로우 세척장치 KR102402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753A KR102402538B1 (ko) 2020-01-28 2020-01-28 에어 블로우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753A KR102402538B1 (ko) 2020-01-28 2020-01-28 에어 블로우 세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6380A true KR20210096380A (ko) 2021-08-05
KR102402538B1 KR102402538B1 (ko) 2022-05-25

Family

ID=77316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9753A KR102402538B1 (ko) 2020-01-28 2020-01-28 에어 블로우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25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35194A (zh) * 2022-03-02 2022-05-27 镇江昊通电气有限公司 一种用于电气设备用材料的生产设备
KR102563093B1 (ko) 2022-02-11 2023-08-03 주식회사 유에이티코리아 에어 블로우 세척용 분사노즐 구조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953B1 (ko) * 2007-08-29 2009-04-22 (주) 에스디씨 기계부품용 세척장치
KR20150093375A (ko) * 2014-02-07 2015-08-18 김연일 부품용 세척 장치
KR20160068397A (ko) * 2014-12-05 2016-06-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부품의 자동화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953B1 (ko) * 2007-08-29 2009-04-22 (주) 에스디씨 기계부품용 세척장치
KR20150093375A (ko) * 2014-02-07 2015-08-18 김연일 부품용 세척 장치
KR20160068397A (ko) * 2014-12-05 2016-06-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부품의 자동화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3093B1 (ko) 2022-02-11 2023-08-03 주식회사 유에이티코리아 에어 블로우 세척용 분사노즐 구조체
CN114535194A (zh) * 2022-03-02 2022-05-27 镇江昊通电气有限公司 一种用于电气设备用材料的生产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2538B1 (ko) 2022-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2538B1 (ko) 에어 블로우 세척장치
JP2006007012A (ja) 除電除塵装置
KR101194110B1 (ko) 자동차 엔진 실린더블록의 쿨런트 및 에어블로우 간이세척기
JP6090216B2 (ja) スクラップのシュレッダー設備並びに同設備における破砕用ハンマーの交換方法及び設備内部の点検方法
JP5392538B2 (ja) 穀物選別機
CN105744710A (zh) 除尘除静电设备
JP5605172B2 (ja) ユニット型色彩選別機
KR19980064139A (ko) 집진장치를 구비한 곡립등을 위한 색선별기
JPH0615570A (ja) 平面研磨機
KR100597683B1 (ko) 대형 공작기계용 가공칩 처리 시스템
US403345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shredded scrap
JP5960026B2 (ja) 熱切断機
CN217093665U (zh) 一种可进行筛选的选矿用破碎设备
CN215617446U (zh) 一种汽车零部件加工用抛丸机
US7524348B2 (en) Device for collecting and removing gaseous media, especially air, containing solid and/or liquid contaminants
CN209317451U (zh) 一种可在线检修的一体化烟气除尘脱硝装置
KR101057489B1 (ko) 카트리지필터를 구비한 건식 에어샤워장치
JP7007427B2 (ja) 工作機械の給排気システム
CN205461585U (zh) 一种自检型木工中央粉尘处理装置
KR100885907B1 (ko) 에어 크린룸용 에어 크리닝 유니트
KR101999769B1 (ko) 불량판정 합성수지 완제품 재활용 장치
KR101515734B1 (ko) 엘리베이터의 냉각장치
CN112845525B (zh) 一种玻璃回收系统
JP4728885B2 (ja) 脱ぷロール内の残留除去装置
KR200255191Y1 (ko) 집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