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9769B1 - 불량판정 합성수지 완제품 재활용 장치 - Google Patents

불량판정 합성수지 완제품 재활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9769B1
KR101999769B1 KR1020180064975A KR20180064975A KR101999769B1 KR 101999769 B1 KR101999769 B1 KR 101999769B1 KR 1020180064975 A KR1020180064975 A KR 1020180064975A KR 20180064975 A KR20180064975 A KR 20180064975A KR 101999769 B1 KR101999769 B1 KR 101999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hamber
hole
air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4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일우
Original Assignee
전일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일우 filed Critical 전일우
Priority to KR1020180064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97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9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9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rushes, or analogous members
    • B08B1/001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rushes, or analogous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5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68Crushing, i.e. disintegrating into small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96Pyrolysing the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 Y02W30/625

Abstract

본 발명은 불량판정 합성수지 완제품 재활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재활용 대상물의 유분 오염 여부를 판단하는 3차원검사부와; 3차원검사를 마친 대상물에 공기를 분사하여, 공기의 압력을 이용해 이물질을 제거하는 풍압처리부와; 상기 풍압처리부에 의한 이물질 제거가 완료된 대상물을 분쇄하는 분쇄부와; 상기 분쇄부로부터 배출되는 분쇄물을 이동시키며 분쇄물에 진동을 가하여 진동이송부와; 상기 진동이송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진공배출부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불량판정 합성수지 완제품 재활용 장치는, 투입전의 폐합성수지와 처리된 후의 분쇄물 상태의 합성수지 자체의 투명성, 칼라, 기계적 물성, 성형성 등의 차이가 거의 없어, 특히 고급 폐합성수지의 재활용에 탁월한 능력을 가진다.

Description

불량판정 합성수지 완제품 재활용 장치{Apparatus for recycling faulty synthetic resin finished product}
본 발명은 불량판정 합성수지 완제품 재활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규 제작공정을 통해 완제품화 되었으나, 제작 과정시 미세한 불량이 발생하여 결국 상품화 되지 못한 불량 판정 합성수지 완제품을 재활용하기 위한 불량판정 합성수지 완제품 재활용장치에 관한 것이다.
합성수지는 성형이 용이하고 가벼우며 깨질 염려가 거의 없다는 특징을 갖는다. 더욱이 내부 조성을 달리하여 다양한 물성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여러 분야에서 중요한 소재로 활용되고 있으며, 그 사용량은 더욱 증가하고 있다. 실생활 주변에서 합성수지, 즉, 플라스틱이 사용되지 않는 곳이 없을 정도이다.
그러나, 지난 몇 십 년 동안의 합성수지의 대량 생산 및 사용은, 최근의 환경 및 사회적인 문제로 이어지고 있다. 분해되지 않고 남아 있는 합성수지 폐기물은, 자연을 크게 훼손시키는 요인이 되며 생태계를 교란하기에 까지 이르렀다.
합성수지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일반적인 방법으로서, 매립, 소각, 재활용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런데, 이러한 처리 방법 중, 매립과 소각 방법은, 2차적인 환경오염을 초래하기 때문에, 그나마 환경부하가 가장 작은 재활용방법이 권장되고 있다.
합성수지 폐기물 중에는 사용되지 않고 버려지는 종류의 것도 포함된다. 이를테면, 정상적인 제작공정을 통해 완제품화 되었으나, 스크레치나 규격미달 등의 미세한 이유로 최종적으로 상품화 되지 못한 채 그대로 폐기되는 제품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폐기 제품에는, 가령, 고급 화장품 용기에서부터 식품용 밀폐용기나 가전제품용 케이스 등이 포함되며, 그 중에는 PCTG(Polycyclohexylene Dimethylene Terephthalate Glycol)나, PETG (Polyethylene Terephthalate Glycol), PMMA(polymethyl methacrylate) 등으로 제조된 것들도 많다. PCTG, PTEG, PMMA 등은 투명성이 높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친환경적이어서 특히 식품용 밀폐용기로도 많이 사용된다.
한편, 상기한 합성수지 폐기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재활용 장치에는 매우 다양한 종류가 있다. 재활용 장치는, 재활용 대상물을 세척하고 분쇄하는 기본 기능을 가진다. 폐기 합성수지 제품을 투입하면 분쇄물로 나오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재활용 장치는,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분쇄물의 품질이 현저히 저하한다는 단점을 갖는다. 즉, 고급재질의 폐합성수지를 투입하더라도 분쇄되어 나오는 합성수지는 고급재질이 아닌 저급재질로 변화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한 번도 사용되지 않았으나 미세한 스크래치가 있어 불량으로 판정된 투명한 합성수지용기를 투입한 경우, 분쇄되어 나오는 분쇄물의 투명도가 애초 합성수지용기의 투명도에 비해 현저히 떨어지는 것이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595155호 (합성수지 폐기물의 분쇄 및 재활용 처리장치)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3673호 (폐합성수지의 재활용을 위한 가공된 합성수지 제품 및 그 제조장치)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투입전의 폐합성수지와 처리된 후의 분쇄물 상태의 합성수지 자체의 품질 차이가 거의 없어 재활용 능력이 탁월한 불량판정 합성수지 완제품 재활용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불량판정 합성수지 완제품 재활용 장치는, 불량 판정 합성수지 완제품을 포함하는 재활용 대상물을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 이송컨베이어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대상물의 유분 오염 여부를 판단하는 유분검사기, 상기 대상물의 높이 정보를 기초로 유분검사기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구비하는 3차원검사부와; 상기 3차원검사부에 의한 유분검사과정을 마친 대상물을 통과시키며, 대상물 표면의 이물질을 닦아내는 스위핑부와; 상기 스위핑부를 통과한 대상물에 공기를 분사하여, 공기의 압력을 이용해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으로서, 처리공간을 제공하는 챔버, 상기 챔버를 통과하며 대상물를 챔버 내부로 통과시키는 메쉬컨베이어, 상기 챔버의 내부에 설치되며 이송 중의 대상물에 공기를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노즐, 상기 분사노즐에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펌프를 포함하는 풍압처리부와; 상기 풍압처리부에 의한 이물질 제거가 완료된 대상물을 공급받는 호퍼, 호퍼의 하부에 설치되며 대상물을 분쇄하는 분쇄날부, 분쇄날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분쇄날부에 의해 분쇄된 분쇄물을 통과시키는 다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다공고정판, 상기 다공고정판의 저면에 면접하며 상기 관통구멍과 대응하는 차단구멍을 가지고 다공고정판에 대한 슬라이딩 운동을 통해 관통구멍을 통과하는 분쇄물의 사이즈를 제한하는 구멍조절판, 필요에 따라 구멍조절판을 슬라이딩운동 시키는 조절판조작부를 구비하는 분쇄부와; 상기 분쇄부로부터 배출되는 분쇄물을 이동시키며 분쇄물에 진동을 가하여 분쇄물로부터 미세분쇄물을 분리하는 진동판을 포함하는 진동이송부와; 상기 진동판의 하부에 설치되며 그 내부 용적이 변화 가능한 신축챔버, 신축챔버의 내부에 진공압력을 가하여 미세분쇄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진공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분검사기는; 상기 대상물을 촬영하되 상이한 촬영 각도를 갖는 다수의 자외선카메라와, 박스의 형태를 취하며 상기 자외선카메라의 상부에 위치하고 그 전면에 디스플레이창과 표시램프와 전원버튼이 배치되어 있는 검사기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수단은;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해 회전력을 출력하는 승강유도모터, 상기 승강유도모터의 구동축에 고정된 구동기어, 상기 검사기본체의 양측부에 수직으로 고정되며 구동기어에 치합하는 한 쌍의 랙기어, 상기 승강유도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측부에는, 이송컨베이어에 올려져 이동하는 각 대상물의 높이를 감지하고, 감지한 높이 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여, 제어부로 하여금 유분검사기의 고도를 조절하게 하는 높이센서가 위치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검사기본체에는, 상기 승강유도모터와 접속되며 승강유도모터에 작동 신호를 보내어 검사기본체의 고도를 수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업다운버튼이 더 구비되고, 검사기본체의 하부에는, 일부 자외선카메라가 재활용 대상물의 수직면을 촬영할 수 있도록 광경로를 굴절시키는 다수의 반사판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풍압처리부에는; 세척용 보조재를 수용하는 보조재공급부와, 상기 보조재를 펌핑하는 펌프와, 상기 챔버의 상부에 설치되며 보조재공급부로부터 펌핑된 보조재를 챔버 내부로 분출하는 보조재분출부가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풍압처리부와 분쇄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분쇄부로 향하는 대상물을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것으로서, 냉풍 또는 온풍을 발생하는 냉온풍기와, 상기 메쉬컨베이어를 그 내부로 통과시키는 열처리챔버와, 상기 열처리챔버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냉온풍기로부터 공급된 냉풍 또는 온풍을 대상물에 인가하는 디퓨져를 구비한 온도조절부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불량판정 합성수지 완제품 재활용 장치는, 불량 판정 합성수지 완제품을 포함하는 재활용 대상물을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측부에 설치되며 이송컨베이어에 올려진 대상물의 높이를 감지하는 높이센서,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이송 중의 대상물 표면의 유분 유무를 판단하는 유분검사기, 상기 유분검사기의 측부에 장착되고 유분검사기와 함께 승강하며 유분검사기로 이동하는 대상물을 촬영하는 광학카메라, 상기 유분검사기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 상기 높이센서 및 광학카메라를 통해 정보를 전달받고 수신정보를 기초로 승강수단을 제어하여 유분검사기를 필요한 높이로 유지시키는 제어부를 갖는 3차원검사부와; 상기 3차원검사부에 의한 유분검사를 마친 대상물을 전달받아 미끄럼 이동시키는 슬라이드와; 상기 슬라이드를 통해 전달된 대상물을 그 사이로 통과시키며 대상물 표면의 이물질을 닦아내는 것으로서, 다수의 극세사천이 외주면에 고정되며 롤러의 형태를 취하고 상호 평행하게 이격 배치된 다수의 수평클리너 및 수직클리너를 포함하는 스위핑부와; 상기 스위핑부에 의한 처리를 마친 대상물을 받아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것으로서, 공기가 통과하는 메쉬벨트로 이루어진 메쉬컨베이어와; 상기 메쉬컨베이어를 그 내부로 통과시키며 처리공간을 제공하는 챔버, 상기 챔버의 내부에 배치되며 이송 중의 대상물을 향하여 공기를 분출하여 공기의 압력을 이용해 이물질을 떼어내는 다수의 분사노즐, 상기 분사노즐에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펌프, 상기 챔버의 상부에 설치되며 분사노즐과 함께 작동하여 챔버 내에 이물질 제거용 보조재를 분출하는 보조재분출부, 보조재분출부에 보조재를 공급하는 보조재공급부가 구비되는 풍압처리부와; 상기 풍압처리부의 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대상물을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것으로서, 냉풍 또는 온풍을 발생하는 냉온풍기, 상기 메쉬컨베이어를 그 내부로 통과시키는 챔버, 상기 챔버의 상측부에 설치되며 상기 냉온풍기로부터 공급된 냉풍 또는 온풍을 챔버 내부로 공급하는 디퓨져가 포함된 온도조절부와; 상기 온도조절부를 통과한 대상물을 넘겨받아 분쇄하는 것으로서, 대상물을 공급받아 하부로 유도하는 호퍼, 상기 호퍼의 하부에 설치되며 개방통로를 통해 전방으로 개방된 케이싱, 상기 개방통로에 고정되어 케이싱의 내부공간을 밀폐하는 밀폐캡, 상기 케이싱 내에 설치되며 호퍼를 통해 내려온 대상물을 분쇄하는 분쇄날부, 상기 분쇄날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분쇄날부에 의해 분쇄된 분쇄물이 통과하는 다수의 관통구멍을 갖는 다공고정판, 다공고정판의 저면에 면접하며 상기 관통구멍과 대응하는 차단구멍을 가지고 상기 케이싱에 지지된 상태로 다공고정판에 대한 슬라이딩 운동을 통해 상기 관통구멍을 부분적으로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차단구멍을 갖는 구멍조절판, 상기 구멍조절판에 고정되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손잡이, 구멍조절판의 측면에 마킹되며 케이싱에 대한 구멍조절판의 인출거리를 알려주는 눈금부를 포함하는 분쇄부와; 상기 분쇄부로부터 배출되는 분쇄물을 이동시키며 진동을 가하여 미세분쇄물을 분리하는 것으로서, 상기 미세분쇄물이 통과할 수 있는 다수의 배출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방향으로 경사진 진동판, 진동판에 진동을 전달하여 분쇄물이 진동판을 타고 내려가도록 하는 진동발생부가 구비된 진동이송부와; 상기 진동판의 하부에 설치되며 밀폐되는 신축챔버, 신축챔버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배출호퍼, 상기 신축챔버에 진공압력을 가하여 미세분쇄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진공펌프를 갖는 진공배출부와; 상기 진공배출부를 통해 배출된 배출물을 원심분리하여 미세분쇄물로부터 분진을 분리하는 원심분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불량판정 합성수지 완제품 재활용 장치는, 투입전의 폐합성수지와 처리된 후의 분쇄물 상태의 합성수지 자체의 투명성, 칼라, 기계적 물성, 성형성 등의 차이가 거의 없어, 특히 고급 폐합성수지의 재활용에 탁월한 능력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량판정 합성수지 완제품 재활용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3차원검사부를 별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풍압처리부의 구성 및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분쇄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에 도시한 구멍조절판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본적으로, 후술할 본 실시예에 따른 불량판정 합성수지 완제품 재활용 장치(10)는, 정상적인 생산라인을 통해 제작되었으나 어떠한 이유로 최종 불량 처리된 완제품을 재활용하기 위한 장치이다. 재활용을 위해 상기 불량 완제품을 분쇄한 후 동일한 제품을 다시 만들 수도 있고, 다른 모델의 제품을 만들 수도 있다.
특히, 완제품이 갖는 기본 물성, 즉 투명성, 칼라, 선명성, 물리화학적 물성, 성형성 등의 관련 물성은, 재활용 장치(10)를 통해 분쇄된 분쇄물에서도 동일하게 유지된다. 보통 종래의 재활용 장치는, 처리 중의 압력이나 온도 및 분진 등의 영향 때문에 투명도나 칼라의 선명도가 현저히 떨어져, 말하자면, 동등한 등급, 즉 재활용을 위해 분쇄하기 전의 제품과 같은 등급의 물건을 다시 만들 수는 없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재활용 장치는, 분쇄 전의 폐합성수지와 처리된 후의 분쇄물 상태의 합성수지 자체의 투명성, 칼라, 기계적 물성, 성형성 등의 차이가 거의 없어, 특히 고급 폐합성수지의 재활용에 탁월한 능력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량판정 합성수지 완제품 재활용 장치(10)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또한, 도 2는 도 1의 유분검사기(21)를, 도 3은 도 1의 풍압처리부(40)를 별도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분쇄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5 및 도 6은 도 4에 도시한 구멍조절판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불량판정 합성수지 완제품 재활용 장치(10)는, 3차원검사부(20), 슬라이드(32), 스위핑부(30), 풍압처리부(40), 온도조절부(60), 분쇄부(70), 진동이송부(80), 원심분리부(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각 구성요소는 하나의 라인을 이루며, 3차원검사부(20)로 투입된 재활용 대상물을 이송시키며 분쇄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언급되는 대상물은, 불량 판정 합성수지 완제품을 포함하는 재활용 대상물이다.
먼저, 3차원검사부(20)는, 외부로부터 투입된 재활용 대상물을 이송시키며 대상물 표면이 유분(油分)에 오염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기능을 한다. 유분은 대상물의 재활용시 투명성이나 칼라의 선명성을 떨어뜨리는 작용을 한다. 고품질의 재활용물을 얻기 위해서는, 유분이 있는 대상물은 따로 분류하여 유분을 먼저 제거한 후 재활용 처리해야 하는 것이다.
상기 3차원검사부(20)는, 이송컨베이어(26), 유분검사기(21), 높이센서(27), 승강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승강수단에는 높이센서(27)와 연결된 제어부(28)가 포함된다.
이송컨베이어(26)는 외부로부터 투입된 재활용 대상물(A)을 수평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재활용 대상물(A)은 이송컨베이어(26)에 올려진 상태로 이송되며 유분검사기(21)의 하부를 통과한다. 유분검사 검사 결과 유분이 없는 경우, 대상물(A)은 호퍼(31)를 통해 다음 장치로 넘어가고, 유분이 발견된 경우에는 작업자에 의해 별도로 수거된다. 수거된 대상물은 1차선별품(B)으로 분류된다. 참고로 1차선별품(B)은 저급의 합성수지제품의 주원료나 부원료로 재활용 될 수 있다.
상기 높이센서(27)는, 이송컨베이어(26)에 놓인 대상물(A)의 높이를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이송컨베이어의 이송면(26a)에 대한 대상물(A)의 높이를 감지하고 감지한 내용을 제어부(28)로 전송한다.
제어부(28)는 높이센서(27)로부터 송신한 정보를 기초로 유분검사기(21)의 검사기본체(도 2의 22) 및 촬영부(25)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으로서, 도 2에 도시한 승강유도모터(24a)를 제어한다.
검사기본체(22)는, 검사기본체의 하부를 통과하는 대상물(A)의 높이에 따라 그 고도(高度)가 변경된다. 이와 같이 고도를 변경시키는 것은, 대상물(A)을 최대한 근접 촬영하기 위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높이가 높은 대상물이 투입되었다면 촬영부(25)를 상승시켜 대상물이 유분검사기(21)의 촬영부(25)에 걸리지 않게 하고, 납작한 대상물이 투입된 경우에는 촬영부(25)를 하강시켜 자외선카메라(25a)가 대상물에 최대한 근접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28)는 유분검사기(21)를 제어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내장된 노트북 컴퓨터 일 수 있다.
상기 유분검사기(21)를 도 2에 보다 자세히 도시하였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유분검사기(21)는, 박스의 형태를 취하는 검사기본체(22)와, 검사기본체(22)의 하부에 설치되는 촬영부(25)를 구비한다.
상기 검사기본체(22)는, 별도의 프레임(미도시)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며, 그 전면에 디스플레이창(22a), 표시램프(22b), 전원버튼(22c), 업다운버튼(22d)를 갖는다. 디스플레이창(22a)은 유분검사와 관련된 사항을 디스플레이 하거나, 필요한 내용을 입력할 수 있는 터치패널이다. 필요한 내용에는, 유분 검사 기준치나. 작업날짜 및 작업시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표시램프(22b)는, 검사를 완료한 대상물(A)에서 유분이 허용치 이상 발견된 경우 점등 또는 점멸되는 경고등이다. 작업자는 표시램프(22b)를 보고 불량 대상물(A)을 집어 외부로 배출하여 1차선별품(B)으로 분류한다.
전원버튼(22c)은 검사기본체(22)를 온오프 시키는 버튼이다. 전원버튼(22c)을 통해 유분검사기(21)를 기동시키거나 정지시키는 것이다.
또한 업다운버튼(22d)은 검사기본체(22)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기 위한 수동 스위치이다. 가령, 작업자가 업다운버튼(22d)을 조작해 검사기본체(22)를 위로 올리거나 하부로 내릴 수 있는 것이다. 업다운버튼(22d)은 승강유도모터(24a)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촬영부(25)는 검사기본체(22)의 하부에 고정된 다수의 자외선카메라(25a)를 포함한다. 자외선카메라(25a)는 대상물(A)의 평면과 수직면을 촬영하여 해당 면에 유분이 도포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자외선카메라를 통한 유분의 촬영 자체는 일반적인 사항이다.
특히 자외선카메라(25a)의 촬영 각도는 상이하여, 이른바 3차원 촬영이 가능하다. 이를테면 대상물(A)이 사각의 투명 용기라면, 바닥면 및 내벽과 외벽의 동시 촬영이 가능한 것이다.
더욱이 촬영부(25)의 둘레에는 반사판(25b)이 배치된다. 반사판(25b)은 자외선카메라(25a)의 촬영범위를 확장시키는 것으로서, 자외선카메라(25a)의 촬영 광경로를 굴절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반사판(25b)을 적용함으로써, 가령, 이송면(26a)에 대해 수직한 수직면에 대한 촬영도 가능해진다.
도면부호 23은 광학카메라이다. 광학카메라(23)는 촬영부(25)의 하부로 진입하는 대상물(A)을 촬영하고 촬영한 내용을 제어부(28)로 전달한다. 제어부(28)의 모니터를 통해 대상물(A)을 식별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승강수단은, 승강유도모터(24a), 구동기어(24b), 랙기어(24c), 제어부(28)를 포함한다. 제어부(28)는 높이센서(27)를 통해 전달받은 정보를 기초로 승강유도모터(24a)를 구동하는 역할을 한다.
승강유도모터(24a)는 별도의 프레임에 고정된 것으로서, 상기 제어부(28)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받아 회전력을 출력한다. 승강유도모터(24a)의 구동축은 수평을 유지하며 구동기어(24b)와 결합한다.
구동기어(24b)는 승강유도모터(24a)의 구동축에 고정된 상태로 승강유도모터(24a)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여 시계방향이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랙기어(24c)는, 검사기본체(22)의 양측부에 수직으로 고정되며 구동기어에 치합한다. 승강유도모터(24a)의 회전력이 구동기어(24b)와 랙기어(24c)를 통해 검사기본체(22) 및 촬영부(25)에 전달되어 검사기본체(22) 및 촬영부(25)를 승강시킴은 물론이다.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검사기본체(22) 및 촬영부(25) 고도의 높낮이는 제어부(28)에 의해 제어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3차원검사부(20)를 통과한 재활용 대상물(A)은 호퍼(31)로 유입된 후 슬라이드(32)를 타고 미끄러져 스위핑부(30)로 이동한다. 슬라이드(32)는 대상물(A)에 운동에너지를 부여하여 대상물(A)이 수평클리너(33)의 사이로 원활하게 진입하게 한다.
스위핑부(30)는, 3차원검사부(20)에 의한 유분검사과정을 마친 대상물(A)을 통과시키며, 대상물 표면의 이물질을 닦아내는 것으로서, 한 쌍의 수평클리너(33), 한 쌍의 수직클리너(34), 구동모터(35)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수평클리너(33)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상호 평행하게 이격된 롤의 형태를 취하고 그 외주면에 다수의 극세사천(33a)을 갖는다. 극세사천(33a)은 대상물(A)의 표면을 물리적으로 닦아내는 기능을 한다. 대상물(A)의 표면에 붙어 있는 오염물질은 수평클리너(33)의 사이를 통과하며 제거된다.
또한 수직클리너(34)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상호 평행하게 이격된 롤형 부재로서, 그 외주면에 다수의 극세사천(34a)을 갖는다. 대상물(A)은 수직클리너(34)의 사이를 통과하며 닦인다.
수평클리너(33) 및 수직클리너(34)의 회전속도는 구동모터(35)에 의해 제어된다. 아울러 필요에 따라, 별도의 액츄에이터(미도시)를 적용하여, 수평클리너(33)의 상호간격과, 수직클리너(34)의 상호 간격을 적절히 조절하게 구성 할 수도 있다. 상기 수평클리너(33) 및 수직클리너(34)는, 마치 자동세차장에서의 세차롤을 연상 하게 한다.
상기 스위핑부(30)를 통과한 대상물(A)은 메쉬컨베이어(51)에 올라가 수평 이송된다. 메쉬컨베이어(51)는 순환운동 하는 메쉬벨트(51a)를 갖는 이송수단이다. 메쉬벨트(51a)는 메쉬 구조를 갖는 벨트로서 그 두께 방향으로 공기를 통과시킨다. 메쉬컨베이어(51)에 올려 있는 대상물(A)의 아래 위에서 대상물(A)에 공기를 공급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풍압처리부(40)는, 메쉬컨베이어(51)를 그 내부로 통과시키는 챔버(41), 챔버 내부의 분사노즐(42c), 에어펌프(42a), 보조재분출부(43), 보조재공급부(44), 펌프(45) 등을 포함한다.
상기 에어펌프(42a)는 분사노즐(42c)로 공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에어펌프(42a)로부터 발생하는 공기는 에어덕트(42b)를 거쳐 분사노즐(42c)을 통해 분사된다. 도 3에 상기 풍압처리부(40)를 보다 자세히 도시하였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풍압처리부(40)는, 메쉬컨베이어(51)를 그 내부로 통과시키며 처리공간(41a)을 제공하는 챔버(41)를 갖는다. 챔버(41)는 박스의 형태를 취하며 양측에 입구(41b)와 출구(41c)를 갖는다. 대상물(A)은 입구(41b)를 통해 처리공간(41a) 내부로 진입한 상태로 공기압 처리된 후, 출구(41c)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 분사노즐(42c)은 처리공간(41a)의 내부에 배치되며, 대상물(A)을 향하여 공기를 분출한다. 특히 일부 분사노즐은 챔버(41)의 내벽면에 고정된 상태로 공기를 하향 분출하고, 또 다른 분사노즐은 메쉬벨트(51a)의 하부에서 공기를 상향 분출한다. 분사노즐(42c)로부터 분출되는 공기는 대상물(A)의 구석구석에 도달하여 공기의 운동에너지를 전달한다. 즉, 대상물(A)의 표면에 붙어 있는 이물질은 공기의 압력을 받아 표면으로부터 박리 또는 분리된다.
상기 보조재분출부(43)는 분사노즐(42c)을 통한 에어샤워가 진행되는 동안 필요한 보조재를 분출하여 대상물(A)에 대한 클리닝 효율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보조재분출부(43)는 펌프(45) 및 보조재공급부(44)와 연결되어 있다. 보조재공급부(44)는 사용할 보조재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조재에는, 희석된 알코올 또는 순수 또는 증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코올은 분사되는 공기의 운동에너지를 받아 대상물(A)의 표면에 가해져, 악취를 제거한다거나 부착이물질의 박리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순수는 보조재분출부(43)를 통과하며 미스트 형태로 변환되며 챔버(41) 내부의 분진이나 먼지를 가라앉히는 역할을 한다. 증기는 대상물의 표면에 가해져 부착이물질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고 챔버내 분진이나 먼지를 가라앉힌다. 대상물(A)에 대한 풍압처리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보조재의 종류는 다양하게 선택 될 수 있다.
한편, 온도조절부(60)는 풍압처리부(40)의 측부에 설치되며, 분쇄를 앞둔 대상물을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온도조절부(60)는, 메쉬컨베이어(51)를 그 내부로 통과시키는 박스형 챔버(61)와, 챔버(61)의 상측부에 설치되는 디퓨져(62), 디뷰져(62)에 냉풍 또는 온풍을 공급하는 냉온풍기(63)를 포함한다. 디퓨져(62)는 냉온풍기(63)로부터 전달된 냉풍 또는 온풍을 처리공간(61a) 내부로 분출하여 대상물(A)에 가함으로써 대상물을 가열 또는 냉각시킨다.
대상물(A)에 냉풍이나 온풍을 가하여, 대상물 자체의 온도를 조절하는 이유는, 분쇄를 용이하게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가령, 뜨거운 여름철에는 대상물을 냉각시켜 대상물이 어느 정도의 취성을 가지도록 하고, 겨울철에는 대상물을 가열하여 대상물이 너무 잘게 바스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혹서기에는 합성수지 재질의 대상물이 늘어져, 분쇄시, 늘어나기 때문에 쉽게 분쇄되지 않을 수 있어 온도를 낮추는 것이다. 또한 혹한기에는 대상물이 얼어 취성이 과도히 상승하여, 원하는 사이즈 보다 작게 분쇄될 수 있기 때문에 온도를 올려주는 것이다. 디퓨져(62)를 통한 냉풍이나 온풍의 온도 조건은 대상물(A)의 재질이나 이송 속도에 따라 달라진다.
상기 온도조절부(60)를 통과한 대상물은 상향컨베이어(53)를 통해 분쇄부(70)로 이송된다.
분쇄부(70)는 상향컨베이어(53)를 타고 넘어온 대상물을 그 내부로 통과시키며 적절한 사이즈로 분쇄하여 분쇄물(D)을 얻는 장비로서, 호퍼(71)와 분쇄기(72)를 갖는다.
분쇄기(72)는 호퍼(71)로부터 내려온 대상물을 분쇄하는 것으로서, 케이싱(73), 밀폐캡(도 4의 73b), 분쇄날부(75), 다공고정판(74), 구멍조절판(77)을 구비한다.
도 4에 상기 분쇄기(72)의 구조를 보다 자세히 도시하였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73)은, 전방에 개방통로(73c)와 조절판통로(73d)가 형성되어 있는 육면체의 형태를 취하며 내부에 분쇄공간(73a)을 갖는다. 상기 개방통로(73c)는 케이싱(73) 내부의 유지 보수를 위해 마련한 점검구로서 밀폐캡(73b)에 의해 차단된다. 밀폐캡(73b)을 개방하여 케이싱(73) 내부의 분쇄날부(75), 다공고정판(74), 구멍조절판(77) 등에 대한 정비를 할 수 있다.
또한, 조절판통로(73d)는 후술할 구멍조절판(77)이 끼워지는 구멍으로서, 다공고정판(74)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다. 조절판통로(73d)에 구멍조절판(77)을 끼우면,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공고정판(74) 저면에 구멍조절판(77)이 면접하게 된다.
상기 분쇄날부(75)는 분쇄공간(73a) 내에 설치된 상태로 호퍼(71)를 통해 내려온 대상물을 분쇄한다. 분쇄날부(75)의 구조나 분쇄 방식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상기 다공고정판(74)은 일정두께를 갖는 강철판을 벤딩시켜 제작한 곡면판으로서 다수의 관통구멍(74a)을 갖는다. 관통구멍(74a)은 분쇄물이 하부로 빠져나가는 구멍이다. 다공고정판(74)은 분쇄날부(75)의 하부에서 수평으로 고정되며 분쇄물(B)을 하부로 통과시킨다. 다공고정판(74)을 지지하기 위한
또한 구멍조절판(77)은, 다공고정판(74)과 같은 곡률을 갖는 곡면판으로서 조절판통로(73d)를 통해 케이싱(73)의 내부에 삽입된다. 필요에 따라 구멍조절판(77)을 케이싱(73)의 외부로 인출하여 빼 낼 수도 있다. 케이싱(73)의 내부에 삽입된 구멍조절판(77)은 다공고정판(74)의 저면에 면접 밀착한다.
구멍조절판(77)에는 다수의 차단구멍(77a)이 형성되어 있다. 차단구멍(77a)은 다공고정판의 관통구멍(74a)과 동일한 간격을 가지는 사각 구멍으로서, 관통구멍(74a) 보다 상대적으로 큰 관통면적을 가진다. 이를테면, 도 5a에 도시한 것처럼, 차단구멍(77a)과 관통구멍(74a)을 겹친 상태에서, 관통구멍(74a)이 차단구멍(77a)의 내부 영역에 포함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구멍조절판(77)의 선단부에는 손잡이(77b)가 구비된다. 손잡이(77b)는 구멍조절판(77)을 슬라이딩운동 시키는 조절판조작부이다. 작업자가 손잡이(77b)를 잡고, 구멍조절판(77)을 케이싱(73)으로 밀어 넣거나 외부로 인출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77b)를 잡고 구멍조절판(77)을 도 6의 화살표 a방향으로 당기면, 관통구멍(74a)이 점차 차단된다. 구멍조절판(77)을, 관통구멍(74a) 직경의 절반만큼 이동시키면, 관통구멍(74a)의 절반이 차단될 것이고, 관통구멍(74a)의 직경만큼 이동시키면 관통구멍이 완전히 차단된다.
아울러, 구멍조절판(77)의 외측면 일단부에는 눈금부(77c)가 위치한다. 눈금부(77c)는 구멍조절판(77)의 측면에 마킹되며 케이싱에 대한 구멍조절판의 인출거리를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눈금부에 표시된 'Full'은 관통구멍(74a)이 완전히 개방되었고, '1/2'는 관통구멍(74a)이 (도 6a와 같이) 절반, '1/3'은 1/3만큼 개방되었음을 나타낸 눈금이다. 사용자는 눈금부(77c)를 통해 케이싱(73) 내부의 관통구멍(74a)의 개방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관통구멍(74a)의 개방정도 조절을 통해 낙하하는 분쇄물의 사이즈를 결정할 수 있다.
말하자면, 관통구멍(74a)을 완전히 개방해 놓은 경우, 하부로 배출되는 분쇄물(D)의 사이즈는 관통구멍(74a)의 내경보다 작을 것이고, 1/2만큼 개방한 경우에는 보다 작은 사이즈의 분쇄물(D)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분쇄공간(73a) 내부에서 분쇄되는 대상물이, 관통구멍(74a)을 통과할 수 있는 크기가 될 때까지 계속적으로 분쇄되므로, 상기한 배출구멍의 사이즈 조절을 통한 분쇄물의 크기 제어가 가능한 것이다.
도 5a,5b 및 도 6a,6b은 도 4에 도시한 구멍조절판(77)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상기 구멍조절판(77)이 케이싱(73)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와 같이 구멍조절판(77)이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관통구멍(74a)은 차단구멍(77a)의 내부 영역에 포함되어 있다. 즉 관통구멍(74a)이 완전히 개방되어 있는 것이다. 이 때,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눈금부(77c)의 'Full'이 개방통로(73c)에 걸려 있게 됨은 물론이다.
도 6a 및 6b는, 도 5a와 같이 케이싱(73)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어 있는 구멍조절판(77)을 화살표 a방향으로 당겨, 눈금부(77c)의 '1/2'부분이 개방통로(73c)의 테두리부에 걸쳐지게 조절한 모습이다. 이 때 관통구멍(74a)이, 구멍조절판(77)에 의해 절반만큼 차단됨은 상기한 바와 같다.
여하튼, 필요한 크기로 조절된 관통구멍(74a)을 통과한 분쇄물(D)은 도 1에 도시한 진동이송부(80)로 낙하하여 하부로 이동한다.
진동이송부(8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향 경사지며 다수의 배출구멍(81a)이 형성되어 있는 진동판(81)과, 진동판(81)은 진동시키는 진동발생부(82)를 구비한다.
진동판(81)으로 낙하한 분쇄물(D)은, 진동판(81)의 진동에 따라 진동하며 하부로 이동하고, 그동안 분쇄물(D)에 혼합되어 있는 미세분쇄물(D)과 분진은 배출구멍(81a)을 통해 하부로 빠진다. 진동판(81)을 전후좌우상하 방향으로 진동시킬 수 있는 한, 진동발생부(82)의 방식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상기 배출구멍(81a)의 내경은 경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미세분쇄물은 분쇄물(D)로부터 재활용분쇄물(Z)이 분리된 작은 크기의 분쇄물로서, 애초 투입된 재활용 대상물(A)과 거의 동일한 품질의 재활용품을 만들 정도는 아니나, 가령, 파이프나 바닥재 또는 화분 정도의 품질은 맞출 수 있다. 공지의 사실과 같이, 분쇄물의 입도가 미세할수록 재활용된 제품의 투명도나 표면 질감이 떨어지고 변색현상이 발생하기 마련이다.
여하튼 상기 진동판(81)을 타고 이동하는 분쇄물(D)에서 미세 분쇄물(C)이 빠져나간 후의 재활용분쇄물(Z)은 수거통에 모아져 재활용 공장으로 납품된다.
상기 진동판(81)의 하부에는 진공배출부(83)가 설치된다. 진공배출부(83)는 신축챔버(83a)와 배출호퍼(83b)와 진공펌프(83c)를 갖는다. 신축챔버(83a)는 진동판(81)의 하부공간을 밀폐하는 부재로서 마치 주름관의 형태를 취하며 내부 용적의 변화가 가능하다. 진동판(81)의 진동이 신축챔버(83a)에서 모두 흡수됨은 물론이다.
배출호퍼(83b)는 진동판(81)의 하부로 낙하한 미세분쇄물(C)과 분진을 한 곳으로 모으는 역할을 한다. 진공펌프(83c)는 배출호퍼(83b)에 모인 미세분쇄물(C)과 분진을 원심분리부(90)로 전달한다.
원심분리부(90)는 진공펌프(83c)를 통해 전달받은 미세분쇄물(C)과 분진을 원심 분리시켜, 분진으로부터 미세분쇄물(C)을 분리한다. 분진은 분진배기구(90b)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미세분쇄물(C)은 원심분리부(90) 하단의 배출구(90a)를 통해 하부로 빠져 수거된다. 수거된 미세분쇄물은 상기한 용도로 재활용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불량판정 합성수지 완제품 재활용장치(10)의 작동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재활용할 대상물(A)을 이송컨베이어(26)에 로딩하면, 대상물(A)은 이송컨베이어(26)에 의해 일정 속도로 이송한다. 이 때 유분검사기(21)가 작동하여 대상물(A) 표면의 유분 오염 여부를 판단한다. 유분이 허용치 이상으로 묻어 있다면, 해당 대상물을 수거하여 1차선별품(B)으로 분류한다.
상기 3차원검사부(20)를 통과한 대상물(A)은 스위핑부(30)를 통과하며 표면의 오염물질이 제거된 상태로 풍압처리부(40)와 온도조절부(60)를 차례로 통과한다. 풍압처리부(40)는 공기의 분출압력을 이용해 대상물의 표면에 붙어 있는 오염물질을 제거하며, 온도조절부(60)는 대상물의 온도를 적절히 낮추거나 높여 이어질 분쇄효율을 높이는 것이다.
상기 온도조절부(60)에 의해 적절한 온도로 맞추어진 대상물(A)은 분쇄부(70)의 호퍼(71)를 통과하여 분쇄기(72) 내에서 분쇄된다. 분쇄크기는 구멍조절판(77)의 위치 조절을 통해 결정된다.
상기 분쇄기(72)를 통해 하부로 낙하하는 분쇄물(D)은 진동판(81)을 타고 하향 이동하며, 목적하는 사이즈의 재활용분쇄물(Z)은 따로 수거된다. 미세한 사이즈의 미쇄분쇄물(C)은 배출호퍼(83b)에 모아진 상태로 진공펌프(83c)에 의해 펌핑되어 원심분리부(90)로 보내어진 후 분진과 분리된 상태로 회수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재활용장치 20:3차원검사부 21:유분검사기
22:검사기본체 22a:디스플레이창 22b:표시램프
22c:전원버튼 22d:업다운버튼 23:광학카메라
24a:승강유도모터 24b:구동기어 24c:랙기어
25:촬영부 25a:자외선카메라 25b:반사판
26:이송컨베이어 26a:이송면 27:높이센서
28:제어부 30:스위핑부 31:호퍼
32:슬라이드 33:수평클리너 33a:극세사천
34:수직클리너 34a:극세사천 35:구동모터
40:풍압처리부 41:챔버 41a:처리공간
41b:입구 41c:출구 42a:에어펌프
42b:에어덕트 42c:분사노즐 43:보조재분출부
44:보조재공급부 45:펌프 51:메쉬컨베이어
51a:메쉬벨트 53:상향컨베이어 60:온도조절부
61:챔버 61a:처리공간 62:디퓨져
63:냉온풍기 70:분쇄부 71:호퍼
72:분쇄기 73:케이싱 73a:분쇄공간
73b:밀폐캡 73c:개방통로 73d:조절판통로
74:다공고정판 74a:관통구멍 75:분쇄날부
77:구멍조절판 77a:차단구멍 77b:손잡이
77c:눈금부 80:진동이송부 81:진동판
81a:배출구멍 82:진동발생부 83:진공배출부
83a:신축챔버 83b:배출호퍼 90:원심분리부
90a:배출구 90b:분진배기구

Claims (7)

  1. 불량 판정 합성수지 완제품을 포함하는 재활용 대상물을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 이송컨베이어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대상물의 유분 오염 여부를 판단하는 유분검사기, 상기 대상물의 높이 정보를 기초로 유분검사기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구비하는 3차원검사부와;
    상기 3차원검사부에 의한 유분검사과정을 마친 대상물을 통과시키며, 대상물 표면의 이물질을 닦아내는 스위핑부와;
    상기 스위핑부를 통과한 대상물에 공기를 분사하여, 공기의 압력을 이용해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으로서, 처리공간을 제공하는 챔버, 상기 챔버를 통과하며 대상물를 챔버 내부로 통과시키는 메쉬컨베이어, 상기 챔버의 내부에 설치되며 이송 중의 대상물에 공기를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노즐, 상기 분사노즐에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펌프를 포함하는 풍압처리부와;
    상기 풍압처리부에 의한 이물질 제거가 완료된 대상물을 공급받는 호퍼, 호퍼의 하부에 설치되며 대상물을 분쇄하는 분쇄날부, 분쇄날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분쇄날부에 의해 분쇄된 분쇄물을 통과시키는 다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다공고정판, 상기 다공고정판의 저면에 면접하며 상기 관통구멍과 대응하는 차단구멍을 가지고 다공고정판에 대한 슬라이딩 운동을 통해 관통구멍을 통과하는 분쇄물의 사이즈를 제한하는 구멍조절판, 필요에 따라 구멍조절판을 슬라이딩운동 시키는 조절판조작부를 구비하는 분쇄부와;
    상기 분쇄부로부터 배출되는 분쇄물을 이동시키며 분쇄물에 진동을 가하여 분쇄물로부터 미세분쇄물을 분리하는 진동판을 포함하는 진동이송부와;
    상기 진동판의 하부에 설치되며 그 내부 용적이 변화 가능한 신축챔버, 신축챔버의 내부에 진공압력을 가하여 미세분쇄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진공배출부를 포함하는 불량판정 합성수지 완제품 재활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분검사기는;
    상기 대상물을 촬영하되 상이한 촬영 각도를 갖는 다수의 자외선카메라와, 박스의 형태를 취하며 상기 자외선카메라의 상부에 위치하고 그 전면에 디스플레이창과 표시램프와 전원버튼이 배치되어 있는 검사기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수단은;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해 회전력을 출력하는 승강유도모터, 상기 승강유도모터의 구동축에 고정된 구동기어, 상기 검사기본체의 양측부에 수직으로 고정되며 구동기어에 치합하는 한 쌍의 랙기어, 상기 승강유도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불량판정 합성수지 완제품 재활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측부에는, 이송컨베이어에 올려져 이동하는 각 대상물의 높이를 감지하고, 감지한 높이 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여, 제어부로 하여금 유분검사기의 고도를 조절하게 하는 높이센서가 위치하는 불량판정 합성수지 완제품 재활용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기본체에는, 상기 승강유도모터와 접속되며 승강유도모터에 작동 신호를 보내어 검사기본체의 고도를 수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업다운버튼이 더 구비되고,
    검사기본체의 하부에는, 일부 자외선카메라가 재활용 대상물의 수직면을 촬영할 수 있도록 광경로를 굴절시키는 다수의 반사판이 구비된 불량판정 합성수지 완제품 재활용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풍압처리부에는;
    세척용 보조재를 수용하는 보조재공급부와,
    상기 보조재를 펌핑하는 펌프와,
    상기 챔버의 상부에 설치되며 보조재공급부로부터 펌핑된 보조재를 챔버 내부로 분출하는 보조재분출부가 더 포함되는 불량판정 합성수지 완제품 재활용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풍압처리부와 분쇄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분쇄부로 향하는 대상물을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것으로서,
    냉풍 또는 온풍을 발생하는 냉온풍기와,
    상기 메쉬컨베이어를 그 내부로 통과시키는 열처리챔버와,
    상기 열처리챔버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냉온풍기로부터 공급된 냉풍 또는 온풍을 대상물에 인가하는 디퓨져를 구비한 온도조절부가 더 구비되는 불량판정 합성수지 완제품 재활용 장치.
  7. 불량 판정 합성수지 완제품을 포함하는 재활용 대상물을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측부에 설치되며 이송컨베이어에 올려진 대상물의 높이를 감지하는 높이센서,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이송 중의 대상물 표면의 유분 유무를 판단하는 유분검사기, 상기 유분검사기의 측부에 장착되고 유분검사기와 함께 승강하며 유분검사기로 이동하는 대상물을 촬영하는 광학카메라, 상기 유분검사기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 상기 높이센서 및 광학카메라를 통해 정보를 전달받고 수신정보를 기초로 승강수단을 제어하여 유분검사기를 필요한 높이로 유지시키는 제어부를 갖는 3차원검사부와;
    상기 3차원검사부에 의한 유분검사를 마친 대상물을 전달받아 미끄럼 이동시키는 슬라이드와;
    상기 슬라이드를 통해 전달된 대상물을 그 사이로 통과시키며 대상물 표면의 이물질을 닦아내는 것으로서, 다수의 극세사천이 외주면에 고정되며 롤러의 형태를 취하고 상호 평행하게 이격 배치된 다수의 수평클리너 및 수직클리너를 포함하는 스위핑부와;
    상기 스위핑부에 의한 처리를 마친 대상물을 받아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것으로서, 공기가 통과하는 메쉬벨트로 이루어진 메쉬컨베이어와;
    상기 메쉬컨베이어를 그 내부로 통과시키며 처리공간을 제공하는 챔버, 상기 챔버의 내부에 배치되며 이송 중의 대상물을 향하여 공기를 분출하여 공기의 압력을 이용해 이물질을 떼어내는 다수의 분사노즐, 상기 분사노즐에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펌프, 상기 챔버의 상부에 설치되며 분사노즐과 함께 작동하여 챔버 내에 이물질 제거용 보조재를 분출하는 보조재분출부, 보조재분출부에 보조재를 공급하는 보조재공급부가 구비되는 풍압처리부와;
    상기 풍압처리부의 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대상물을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것으로서, 냉풍 또는 온풍을 발생하는 냉온풍기, 상기 메쉬컨베이어를 그 내부로 통과시키는 챔버, 상기 챔버의 상측부에 설치되며 상기 냉온풍기로부터 공급된 냉풍 또는 온풍을 챔버 내부로 공급하는 디퓨져가 포함된 온도조절부와;
    상기 온도조절부를 통과한 대상물을 넘겨받아 분쇄하는 것으로서, 대상물을 공급받아 하부로 유도하는 호퍼, 상기 호퍼의 하부에 설치되며 개방통로를 통해 전방으로 개방된 케이싱, 상기 개방통로에 고정되어 케이싱의 내부공간을 밀폐하는 밀폐캡, 상기 케이싱 내에 설치되며 호퍼를 통해 내려온 대상물을 분쇄하는 분쇄날부, 상기 분쇄날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분쇄날부에 의해 분쇄된 분쇄물이 통과하는 다수의 관통구멍을 갖는 다공고정판, 다공고정판의 저면에 면접하며 상기 관통구멍과 대응하는 차단구멍을 가지고 상기 케이싱에 지지된 상태로 다공고정판에 대한 슬라이딩 운동을 통해 상기 관통구멍을 부분적으로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차단구멍을 갖는 구멍조절판, 상기 구멍조절판에 고정되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손잡이, 구멍조절판의 측면에 마킹되며 케이싱에 대한 구멍조절판의 인출거리를 알려주는 눈금부를 포함하는 분쇄부와;
    상기 분쇄부로부터 배출되는 분쇄물을 이동시키며 진동을 가하여 미세분쇄물을 분리하는 것으로서, 상기 미세분쇄물이 통과할 수 있는 다수의 배출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방향으로 경사진 진동판, 진동판에 진동을 전달하여 분쇄물이 진동판을 타고 내려가도록 하는 진동발생부가 구비된 진동이송부와;
    상기 진동판의 하부에 설치되며 밀폐되는 신축챔버, 신축챔버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배출호퍼, 상기 신축챔버에 진공압력을 가하여 미세분쇄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진공펌프를 갖는 진공배출부와;
    상기 진공배출부를 통해 배출된 배출물을 원심분리하여 미세분쇄물로부터 분진을 분리하는 원심분리부를 포함하는 불량판정 합성수지 완제품 재활용 장치.
KR1020180064975A 2018-06-05 2018-06-05 불량판정 합성수지 완제품 재활용 장치 KR101999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975A KR101999769B1 (ko) 2018-06-05 2018-06-05 불량판정 합성수지 완제품 재활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975A KR101999769B1 (ko) 2018-06-05 2018-06-05 불량판정 합성수지 완제품 재활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9769B1 true KR101999769B1 (ko) 2019-07-12

Family

ID=67254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4975A KR101999769B1 (ko) 2018-06-05 2018-06-05 불량판정 합성수지 완제품 재활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97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3003B1 (ko) * 2020-03-20 2020-11-02 한국원자력연구원 미세분말 집진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2474A (ja) * 1995-03-16 1996-10-01 Kubota Corp 破砕機
KR200403673Y1 (ko) 2005-09-23 2005-12-13 민병창 폐합성수지의 재활용을 위한 가공된 합성수지 제품 및 그 제조장치
KR101595155B1 (ko) 2013-08-21 2016-02-17 고영재 합성수지 폐기물의 분쇄 및 재활용 처리장치
KR101857119B1 (ko) * 2017-03-14 2018-05-11 정경호 폐합성수지 출처 정보 및 설비 데이터를 활용한 폐합성수지 선별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2474A (ja) * 1995-03-16 1996-10-01 Kubota Corp 破砕機
KR200403673Y1 (ko) 2005-09-23 2005-12-13 민병창 폐합성수지의 재활용을 위한 가공된 합성수지 제품 및 그 제조장치
KR101595155B1 (ko) 2013-08-21 2016-02-17 고영재 합성수지 폐기물의 분쇄 및 재활용 처리장치
KR101857119B1 (ko) * 2017-03-14 2018-05-11 정경호 폐합성수지 출처 정보 및 설비 데이터를 활용한 폐합성수지 선별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3003B1 (ko) * 2020-03-20 2020-11-02 한국원자력연구원 미세분말 집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68612B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disposing waste
EP1454673B1 (en) A device for crushing plastic products and/or semi-manufactured products in particular for the purpose of their recycling
CN104138851B (zh) 基于振动给料与成像识别的大颗粒物料分选系统及方法
US6742529B2 (en) Resin recycling system
JP3647799B2 (ja) 使用済みボトルの色別・材質別選別装置
CN202909963U (zh) 一种光谱分选机
CN106140680B (zh) 一种双重传动的多级食品分拣设备
KR101999769B1 (ko) 불량판정 합성수지 완제품 재활용 장치
CN202006177U (zh) 色彩选别机上的取样装置
KR101077101B1 (ko) 폐기물 재활용 폐회로 내부순환 풍력 선별장치
JP2008284789A (ja) 粉砕プラスチックの選別装置及び選別方法
CN208018980U (zh) 一种基于近红外光谱的自动化材料分选系统
CN110480871A (zh) 一种塑料制品自动筛选处理流水线及处理方法
KR101835031B1 (ko) 풍력을 이용한 선별 시스템
KR102295856B1 (ko) 공기 순환형 골재 내 이물질 선별 장치
CN213915370U (zh) 一种玻璃棒料吹吸一体式除尘装置
KR200387219Y1 (ko) 재활용품 풍력선별장치
US11400494B2 (en) System for processing objects with particulate contaminants
CN220946204U (en) PVC color film residue recycling device
CN206614713U (zh) 一种薄膜废料循环利用装置
CN102091698A (zh) 色彩选别机上的取样装置
CN216465762U (zh) 一种加热压缩成型一体塑料制杯机
CN219503256U (zh) 一种单开口塑料件尺寸检测设备
CN216233188U (zh) 全自动处理烟支包装机剔除残烟的装置
JP4728885B2 (ja) 脱ぷロール内の残留除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