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6056A - 흉터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국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흉터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국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6056A
KR20210096056A KR1020210099631A KR20210099631A KR20210096056A KR 20210096056 A KR20210096056 A KR 20210096056A KR 1020210099631 A KR1020210099631 A KR 1020210099631A KR 20210099631 A KR20210099631 A KR 20210099631A KR 20210096056 A KR20210096056 A KR 20210096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osition
allantoin
scar
dimethic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9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호
정지선
김낙원
이우영
김상린
이병기
김한기
Original Assignee
신신제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신제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신제약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9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6056A/ko
Publication of KR20210096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60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641,3-Diazoles
    • A61K31/41661,3-Diazoles having oxo groups directly attached to the heterocyclic ring, e.g. phenyto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37Sulfated polysaccharides, e.g. chondroitin sulfate, dermatan sulf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15Drug-containing film-forming compositions, e.g. spray-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흉터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흉터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국소용 약학적 조성물 {A topical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scar}
본 발명은 헤파린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헤파리노이드, 덱스판테놀 및 알란토인을 함유하며, 흉터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국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흉터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흉터의 홍반이나 색소침착 예방 및 개선이 가능하다.
흉터는 정상 조직 생존력이 손실되고 피부의 조직 구조 또는 생리학적 기능을 상실한 비정상적인 결함이 있는 피부 조직을 말한다. 흉터 조직은 피부나 진피가 상처를 입는 경우에 우리 몸이 정확하고 신속한 창상 치유반응을 일으켜, 손상된 조직이 재구성되거나 또는 복구 과정의 일부로서 생성된 것이다. 흉터는 상처 또는 상처 표면의 회복 시, 정상적이고 필수적인 생리학적 반응이며, 상처 치유 과정의 결과이다.
깊은 손상을 입은 피부는 진피층(표피 아래의 두꺼운 세포층)의 콜라겐이 과다 증식하여 상처가 치유된 이후에도 얇아진 피부를 밀고 나와 흉터가 남게 된다. 이러한 과정으로 인해 형성된 비정상적인 흉터를 비후성 흉터(hypertrophic scar) 또는 켈로이드(keloid)라 하며, 외관상 정상 피부의 표면보다 올라와 있고, 심하면 가렵거나 아픈 경우도 있다.
비후성 흉터는 상처 부위에 과도하게 흉터가 생기는 현상으로, 시간이 지나면 더 이상 자라지는 않는다. 켈로이드는 창상, 수술, 화상, 염증 등에 의해 형성된 불규칙하며 단단한 섬유종으로써 초기에는 비후성 흉터와 증상이 비슷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처 부위보다 넓게 자라나 정상 피부까지 침범하여 크기가 커지고 표면이 거칠어진다. 이 섬유종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수술의 과정이 필요하며 수술의 반흔에서 재발되는 경우가 많다.
이처럼, 비정상적인 흉터는 둥글게 솟아오르거나 붉은 색을 띠기도 하고, 종종 가려움증이나 통증을 동반하기도 한다. 이러한 비정상적인 흉터는 흉터치료제를 사용하여 크기를 감소시키거나 색을 옅어지게 할 수 있다.
흉터는 피부의 색, 거칠기 또는 유연성 등에서 주변 피부와 차이가 있다. 외관으로 보이는 부위에 흉터가 발생하는 경우, 당사자는 심한 정신적 스트레스를 받으며, 스트레칭이 야기되는 부위에 생긴 흉터는 그 피부 조직을 다시 손상시켜 치료 시간이 길어지게 되고, 스트레칭으로 인한 주변 조직의 수축은 생활의 불편함을 크게 야기한다.
종래에 실리콘 겔 시트나 실리콘 연고를 이용하여 흉터를 예방하거나 개선시키는 방법 등이 개시되었으나, 끈적임 때문에 사용이 불편하고 흉터 치료 효과가 생각보다 크지 않으며, 색소침착이나 홍반 방지 효과가 미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약물요법으로는 헤파린, 덱스판테놀, 양파 추출물, 알란토인 등을 포함하는 복합성분의 겔제가 사용되고 있다.
헤파린은 산성 다당류의 일종으로서 콜라겐의 구조를 느슨하게 하여 흉터조직 구조를 부드럽게 해주며, 항염증, 항알러지 작용 및 항 팽창작용을 가진다. 또한, 섬유모세포의 과다증식을 억제하며 세포와 조직의 재생을 촉진시킴으로 흉터를 치료한다.
양파 추출물은 다양한 흉터 치료용 연고 제품에 활성성분으로 함유되어 있으며, 항균 및 항염증 작용을 하여 색소 침착을 줄여주고, 섬유모세포의 과다 증식을 억제하여 과도한 흉터조직의 생성을 막는다.
덱스판테놀은 비타민 B5인 판토텐산의 유도체로서 세포 에너지 생성에 도움을 주어 손상된 피부조직을 재생시키고 피부기능을 촉진한다.
알란토인은 흉터조직 구조를 느슨하게 하고 각질 용해 및 상피 형성 작용을 유도하며, 약물 투과성을 높여줌으로써, 염증반응을 억제하고 흉터생성, 피부착색 및 간지럼 증상을 최소화 한다.
헤파린이 함유된 복합 성분의 겔제는 수술이나, 절단, 화상, 사고 후의 비후성 흉터, 켈로이드, 운동 제한성 흉터, 미용 목적의 피부 손상 시 흉터 등의 치료에 사용된다.
그 밖에, 흉터 치료와 관련하여 다양한 활성성분의 활용 및 제형기술을 통해, 흉터치료 효과를 향상시키려는 시도들이 계속되어 왔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76871호에는 실리콘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흉터 치료제가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흉터 치료제 중의 실리콘 수지는 실리콘 엘라스토머, 필름형성제, 실리콘 유체 및 환형 실록산 등의 혼합물이며, 최종 제형 중에 5 내지 7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44831호에는 양파추출물, 알란토인 및 헤파린나트륨을 함유하며 알지네이트 계열, 키토산 계열, 검 계열, 합성고분자 기제, 보존제 및 알카리성 유화제를 혼합하여 계를 안정화시켜 상분리 및 활성성분의 재결정이 없는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 중, 0.3내지 1%의 알라토인, 0.01% 내지 0.03%의 헤파린나트륨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97114호에는 알란토인, 양파추출물 및 헤파린나트륨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난용성 활성성분인 알란토인을 메틸피롤리돈 및 dl-α-토코페롤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가용화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 중, 알란토인, 양파추출물 및 헤파린나트륨의 중량비가 1 : 5~15 : 0.01~0.1 중량부로 혼합되고, 알란토인은 100~500μm의 입자사이즈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개발된 흉터 치료제는 그 효과가 만족스럽지 못하다. 따라서, 활성성분의 흡수를 증가시킴으로써 흉터치료 효과가 극대화되고 흉터의 홍반이나 색소침착을 개선할 수 있는 제형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76871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44831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97114호
본 발명은 활성성분의 흡수를 증가시킴으로 흉터치료 효과가 극대화되고 흉터의 홍반이나 색소침착을 개선할 수 있는 제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조성물의 끈적거림을 감소시켜 사용감을 개선하고 편의성이 증가된 흉터 치료 및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활성성분을 용해 및 분산시켜 혼합함으로써 흉터 치료 효과를 나타내고, 또한 얇은 필름층이 형성됨에 따라 흉터의 홍반이나 색소침착을 예방 및 개선하고, 조성물의 끈적거림을 감소시켜 사용감을 개선시켰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활성성분으로서 (a) 헤파린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예를 들어 헤파린 나트륨) 또는 헤파리노이드; (b) 덱스판테놀; 및 (c) 알란토인을 포함하고, 추가로 실리콘오일을 함유하는, 흉터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a) 상기 헤파린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헤파리노이드의 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7 내지 0.9 중량% (바람직하게는 0.15 내지 0.3 중량%)이고,
상기 덱스판테놀의 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3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4 중량%)이며,
상기 알란토인의 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2 내지 9 중량%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 중량%)이고,
상기 실리콘오일의 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3 내지 70 중량% (바람직하게는 3 내지 3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헤파린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헤파리노이드는 상기 약학적 조성물 1g 중에 200 내지 900 IU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a) 헤파린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헤파리노이드 및 상기 (b) 덱스판테놀은 상기 조성물 중에 용해된 상태로 존재하며, 상기 (c) 알란토인은 상기 조성물 중에서 용해 및 입자로 과포화된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알란토인 입자는 60~100um의 d(0.9) 입도, 바람직하게는 60~80um의 d(0.9) 입도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액상 제형, 겔 제형 또는 연고 제형으로서, 국소용 외용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리콘오일로는 디메치콘(Dimethicone), 폴리실리콘-11(Polysilicone-11), 폴리실리콘-15(Polysilicone-15), 폴리실리콘-8(Polysilicone-8), 폴리실리콘-17(Polysilicone-17), 하이드로젠 디메치콘(Hydrogen Dimethicone), 라우릴 디메치콘(Lauryl Dimethicone), 사이클로펜타실록산(Cyclopentasiloxane), 사이클로헥사실록산(Cyclohexasiloxane), 트리실록산(Trisiloxane), 메칠트리메치콘(Methyl Trimethicone), 페닐디메치콘(Phentyl Dimethicone), 디메치콘코폴리올(Dimethicone Copolyol), 디메치콘코폴리올 아세테이트, 실리콘글리콜 코폴리올, 디메치콘올, 메칠폴리실록산, 메칠페닐폴리실록산, 디메치콘코폴리올메칠에테르, 메칠사이클로폴리실록산, 디메칠폴리실록산, 헥사메칠디실록산 및 카프릴릴메칠폴리실록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디메치콘, 디메치콘코폴리올, 디메치콘코폴리올아세테이트, 디메치콘코폴리올. 폴리디메틸실록산 및 메칠폴리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디메틸실록산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추가로 카보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실리콘오일을 함유하기 때문에 피부에 부드럽게 이물감 없이 바를 수 있고, 끈적임이 없어 편리하며, 흉터에 도포하는 경우, 빠르게 건조되면서 얇은 실리콘 막을 형성하여, 흉터를 보호하고 자외선 차단 및 항산화 효능에 의해 흉터의 홍반이나 색소침착 예방 및 개선에 효과가 있어 흉터 치료 및 개선이 증대된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카보폴을 함유하므로, 끈적임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비교예의 조성물에 대한 흉터 비후 지수(scar elevation index(SEI)) 수치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활성성분으로서 (a) 헤파린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예를 들어, 헤파린 나트륨) 또는 헤파리노이드; (b) 덱스판테놀; 및 (c) 알란토인을 포함하고, 추가로 실리콘오일을 함유하는, 흉터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a) 상기 헤파린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예를 들어, 헤파린 나트륨) 또는 헤파리노이드의 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7 내지 0.9 중량% (바람직하게는 0.15 내지 0.3 중량%)이고,
상기 덱스판테놀의 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3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4 중량%)이며,
상기 알란토인의 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2 내지 9 중량%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 중량%)이고,
상기 실리콘오일의 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3 내지 70 중량% (바람직하게는 3 내지 3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 1g은 0.7 내지 9mg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mg)의 헤파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헤파리노이드를 함유한다.
헤파린은 D-글루코사민과 D-글루쿠론산이 α-1,4의 교대결합으로 이루어진 물질로 트롬빈 작용을 억제하여 혈액의 응고를 방지하는데 사용되는 약물이며, 급성관상동맥질환, 심방세동, 심부정맥혈전증 등에 쓰인다. 보통 멍크림에는 400 IU/g이 함유되어 있고, 흉터연고에는 50 IU/g이 함유되어 있다. 저함량의 헤파린은 콜라겐 생성을 감소시켜 상처를 연하게 하고, 항염증 작용으로 섬유아세포의 과다증식을 억제하여 흉터를 억제하고 피부를 부드럽게 함으로써 연고에 포함된 다른 성분들이 피부로 잘 흡수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상처에 의해 생기는 가려움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1g은 30 내지 200mg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40mg)의 덱스판테놀을 함유한다.
덱스판테놀은 비타민 B5의 일종인 판토텐산(Pantothennic acid)의 유도체로서, 비타민 B5의 프로비타민이라 불리며 안전성이 높다. 덱스판테놀은 피부 조직 재생, 각질층에의 수분 공급 및 염증 완화 효과를 일으켜 상처치료를 촉진하고, 손상된 피부 조직을 재생시키고, 흉터 부위의 착색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알란토인 성분이 피부에 흡수되는 것을 도와 흉터 치료 효과를 높인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1g은 20 내지 90mg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mg)의 알란토인을 함유한다.
알란토인은 포유동물의 요막(allantois)에 존재하는 요산(uric acid)의 산화에 의하여 생기는 물질로서, 화학식명으로는 (2,5-다이옥소-4-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이고,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알란토인은 흉터조직 구조를 부드럽게 해주며, 각질 용해 및 상피 형성 작용으로 흉터 치유 효과가 있고, 간지러움을 완화시킨다. 또한, 약물 투과성을 상승시킴으로써 염증반응을 억제하고 피부착색 및 흉터생성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1g은 30 내지 700mg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300mg)의 실리콘오일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실리콘오일을 포함함으로써, 흉터를 은폐하는 효과 및 흉터를 예방 또는 치료하는 효과를 모두 가질 수 있다. 실리콘오일은 인체에 무해한 생체 적합성 원료로서 안전하고, 피부에 부드럽게 도포될 수 있으며, 끈적임이 없어 편리하고, 흉터에 도포되는 경우에 빠르게 건조되면서 얇은 실리콘 막을 형성하여 흉터 보호 및 수분환경을 조성하여 적절한 압력을 제공하고, 이로 인하여 약물의 투과성이 증가하고, 콜라겐 침적이 감소되어 흉터가 크게 개선된다. 또한, 자외선 차단 및 항산화 효능에 의하여 흉터의 홍반이나 색소침착 예방 및 개선에 효과가 있어 흉터 예방, 치료 및 개선의 효과를 증진시키며, 또한 유연성, 방수성 및 보습성이 우수한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적량의 카보폴(carbopol)을 함유할 수 있다. 카보폴은 점증제로서의 역할을 하고, 또한 현탁액이나 에멀젼에서 불용성 성분의 방출 조절 및 생물학적 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생물학적 접착제(Bioadhesion)로 작용되는 물질이다. 샴푸, 스타일링 겔(styling gel), 무스 등과 같은 헤어(hair) 제품이나 크림, 로션, 썬블록, 샤워젤, 제모제 등과 같은 스킨 제품에 많이 사용된다. 대표적인 카보폴로는 카보머(Carbomer) 940과 카보머 941 등이 있다.
카보머 940은 아크릴산이 가교결합된 높은 분자량의 폴리머로서, 80℃에서 1시간동안 진공상태에서 건조시키며 56 ~ 68%의 카르복실산 그룹(-COOH)를 포함하며, 0.5%의 카보머 940(물)의 점도는 40,000 - 60,000 cps이다.
카보머 941은 아크랄산이 가교결합된 높은 분자량의 폴리머로서, 80℃에서 1시간동안 진공상태에서 건조시키며 56 - 68%의 카르복실산 그룹(-COOH)를 포함하며, 0.5%의 카보머 941(물)의 점도는 4,000 - 11,000 cps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알란토인의 입도(입자 크기)는 공지의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차적으로 생산된 비교적 큰 입자의 알란토인을 볼 밀(Ball mill), 비드 밀(Bead mill), 롤 밀(Roll mill), 로터 밀(Rotor mill), 제트 밀(Zet mill), 피츠 밀(Fitz mill)과 같은 밀링기를 이용하여 원료를 밀링함으로써 입자를 작게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밀링은 건식 공정 또는 습식 공정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분쇄 속도, 시간, 압력 등으로 입자의 평균 입경 및 입도 분포도를 조절하여 최종적인 입도가 본 발명에 따른 범위(예를 들어, 60~100㎛, 바람직하게는 60~80㎛, d(0.9)) 안에 존재할 수 있도록 입자경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입도 크기 d(0.9)는, 전체 입도 분포곡선에서 입자 지름이 작은 쪽의 입자로부터 누적하여 전체 부피의 90%에 이르는 점의 입자의 지름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위의 활성성분의 약효를 극대화하고 투여가 용이하도록 추가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겔제, 크림제, 액제, 연고제 등의 다양한 약학적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첨가제로서, 점증제, 기제, 용제, 보존제, pH조절제, 착향제, 보습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흉터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카보폴을 용매 또는 분산매(예를 들어, 정제수 또는 알콜과 정제수의 혼합물)에 용해 또는 분산시키는 단계(a);
헤파린나트륨 또는 그의 염 또는 헤파리노이드, 덱스판테놀 및 알란토인을 상기 단계 (a)에서 제조된 용액 또는 분산액에 넣고 분산시키는 단계(b);
상기 단계 (b) 제조된 분산액과 실리콘오일을 혼합하는 단계(c).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추가로 첨가제를 추가하여 혼합하는 단계(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4: 실리콘오일의 종류에 따른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 및 함량으로 실시예 1 내지 4의 조성물을 하기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15g의 정제수에 카보폴을 분산 또는 용해시키고, 헤파린나트륨 및 덱스판테놀을 넣어 용해시킨 다음, 알란토인을 상기 혼합물에 넣고 용해 또는 분산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여기에 실리콘오일을 종류별로 추가하고, 이후 파라옥시벤조산프로필, 폴리소르베이트 80, 농글리세린, 향료, 트롤아민과 같은 첨가제를 넣었다. 이후, 조성물의 총 중량이 100g이 되도록 정제수를 추가한 후, 교반하여 실시예 1 내지 4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함량
(g/100g)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헤파린나트륨
(200IU/mg)
0.25
(50,000IU)
0.25
(50,000IU)
0.25
(50,000IU)
0.25
(50,000IU)
알란토인 5 5 5 5
덱스판테놀 10 10 10 10
디메치콘 10
디메치콘코폴리올 10
폴리디메칠실록산 10
페닐디메치콘 10
폴리소르베이트80 3.7 3.7 3.7 3.7
농글리세린 20 20 20 20
카보폴 0.7 0.7 0.7 0.7
향료 0.1 0.1 0.1 0.1
파라옥시벤조산프로필 0.1 0.1 0.1 0.1
트롤아민 0.8 0.8 0.8 0.8
정제수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총량 100g 100g 100g 100g
실시예 5-9: 실리콘오일의 사용량에 따른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2에 기재된 조성 및 함량으로 실시예 5 내지 9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방법은 실시예 1-4의 제조방법에 준한다.
함량
(g/100g)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헤파린나트륨(200IU/mg) 0.25
(50,000IU)
0.25
(50,000IU)
0.25
(50,000IU)
0.25
(50,000IU)
0.25
(50,000IU)
알란토인 5 5 5 5 5
덱스판테놀 10 10 10 10 10
디메치콘코폴리올 1 5 10 20 30
폴리소르베이트80 3.7 3.7 3.7 3.7 3.7
농글리세린 20 20 20 20 20
카보폴 0.7 0.7 0.7 0.7 0.7
향료 0.1 0.1 0.1 0.1 0.1
파라옥시벤조산프로필 0.1 0.1 0.1 0.1 0.1
트롤아민 0.8 0.8 0.8 0.8 0.8
정제수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총량 100g 100g 100g 100g 100g
실시예 10-11: 알란토인의 입자에 따른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3에 기재된 조성 및 함량으로 실시예 10 및 11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방법은 실시예1-4의 제조방법에 준한다.
함량
(g/100g)
실시예 10 실시예 11
헤파린나트륨
(200IU/mg)
0.25
(50,000IU)
0.25
(50,000IU)
알란토인 5(100um) 5(75um)
덱스판테놀 20 20
디메치콘코폴리올 3 5
폴리소르베이트80 3.7 3.7
농글리세린 20 20
카보폴 0.7 0.7
향료 0.1 0.1
파라옥시벤조산프로필 0.1 0.1
트롤아민 0.8 0.8
정제수 적량 적량
총량 100g 100g
비교예 1-2: 시판 중인 흉터치료용 겔
비교예 1 및 2로는 각각 현재 시판 중인 흉터치료용 겔인 더마틱스울트라 및 콘트락투벡스를 사용하였다.
실험예 1: 흉터모델을 사용한 SEI 평가
SD 래트(rat)의 등 부위를 제모하고, 마리당 2군데(좌,우)에 Ø10의 크기(직경 10mm)로 상피 및 진피 전층을 결손시킨다. 창상을 발생시키고 나서 4주 후에 상피화가 완료되면 비교예 1, 2 및 실시예 1, 실시예2, 실시예5, 실시예 8, 실시예 10의 조성물을 각각 래트 66 마리에 4주간 상처 부위에 처치하고, 조직학적 평가를 통해 흉터 비후 지수(Scar Elevation Index: SEI)를 측정한다. 이를 도 1에 도시하였다.
도 1에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비교예 1 및 2와 대비할 때 흉터의 크기가 작다.

Claims (11)

  1. 헤파린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헤파리노이드;
    덱스판테놀;
    알란토인; 및
    실리콘오일을 함유하는 흉터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로서,
    상기 헤파린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느 염 또는 헤파리노이드의 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7 내지 0.9 중량%이고,
    상기 덱스판테놀의 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3 내지 20 중량%이며,
    상기 알란토인의 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2 내지 9 중량%이고,
    상기 실리콘오일의 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3 내지 70 중량%인, 흉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란토인 입자는 60~100um의 d(0.9) 입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란토인 입자는 60~80um의 d(0.9) 입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오일은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3~30 중량%를 갖는 약학적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액상 제형, 겔 제형 또는 연고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오일은 디메치콘(Dimethicone), 폴리실리콘-11(Polysilicone-11), 폴리실리콘-15(Polysilicone-15), 폴리실리콘-8(Polysilicone-8), 폴리실리콘-17(Polysilicone-17), 하이드로젠 디메치콘(Hydrogen Dimethicone), 라우릴 디메치콘(Lauryl Dimethicone), 사이클로펜타실록산(Cyclopentasiloxane), 사이클로헥사실록산(Cyclohexasiloxane), 트리실록산(Trisiloxane), 메칠트리메치콘(Methyl Trimethicone), 페닐디메치콘(Phentyl Dimethicone), 디메치콘코폴리올(Dimethicone Copolyol), 디메치콘코폴리올 아세테이트, 실리콘글리콜 코폴리올, 디메치콘올, 메칠폴리실록산, 메칠페닐폴리실록산, 디메치콘코폴리올메칠에테르, 메칠사이클로폴리실록산, 디메칠폴리실록산, 헥사메칠디실록산 및 카프릴릴메칠폴리실록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오일은 디메치콘, 디메치콘코폴리올, 디메치콘코폴리올아세테이트, 디메치콘코폴리올. 폴리디메틸실록산 및 메칠폴리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오일은 폴리디메틸실록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헤파린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헤파리노이드가 상기 약학적 조성물 1g 중에 200 내지 900 IU로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헤파린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헤파리노이드 및 상기 (b) 덱스판테놀은 상기 조성물 중에 용해된 상태로 존재하며,
    상기 (c) 알란토인은 상기 조성물 중에서 용해 및 입자로 과포화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카보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KR1020210099631A 2019-06-13 2021-07-29 흉터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국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100960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631A KR20210096056A (ko) 2019-06-13 2021-07-29 흉터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국소용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239A KR102285696B1 (ko) 2019-06-13 2019-06-13 흉터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국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210099631A KR20210096056A (ko) 2019-06-13 2021-07-29 흉터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국소용 약학적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0239A Division KR102285696B1 (ko) 2019-06-13 2019-06-13 흉터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국소용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6056A true KR20210096056A (ko) 2021-08-04

Family

ID=7408925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0239A KR102285696B1 (ko) 2019-06-13 2019-06-13 흉터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국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210099631A KR20210096056A (ko) 2019-06-13 2021-07-29 흉터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국소용 약학적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0239A KR102285696B1 (ko) 2019-06-13 2019-06-13 흉터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국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856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2537B1 (ko) * 2022-10-28 2022-12-30 주식회사 코빌드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82402B (zh) * 2024-01-18 2024-03-19 内蒙古奕宏医学研究有限公司 一种含白细胞提取物的凝胶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831B1 (ko) 2007-02-16 2008-07-08 보람제약주식회사 알칼리 유화에 의해 안정화된 피부 외용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397114B1 (ko) 2012-06-21 2014-05-19 동성제약주식회사 흉터 치료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80076871A (ko) 2016-12-28 2018-07-06 주식회사 제네웰 실리콘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흉터 치료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1532621A (zh) * 2013-04-22 2015-09-01 Neocutis Sa 抗氧化劑組成物及其使用方法
KR101894521B1 (ko) * 2017-03-31 2018-09-04 동아제약 주식회사 흉터치료를 위한 국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90013101A (ko) * 2017-07-31 2019-02-11 이호석 흉터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831B1 (ko) 2007-02-16 2008-07-08 보람제약주식회사 알칼리 유화에 의해 안정화된 피부 외용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397114B1 (ko) 2012-06-21 2014-05-19 동성제약주식회사 흉터 치료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80076871A (ko) 2016-12-28 2018-07-06 주식회사 제네웰 실리콘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흉터 치료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2537B1 (ko) * 2022-10-28 2022-12-30 주식회사 코빌드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4090820A1 (ko) * 2022-10-28 2024-05-02 주식회사 코빌드 창상 피복용 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2844A (ko) 2020-12-23
KR102285696B1 (ko) 2021-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56126B1 (en) Film-forming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wound healing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1872429B1 (ko) 항산화 조성물
KR101221734B1 (ko) 동결건조 방식으로 제조된 2제식 다공성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
MXPA04000002A (es) Agente con un contenido de gasa (aceite), que contiene un extracto de cebolla su preparacion y su utilizacion para el cuidado, la prevencion o el tratamiento de un tejido cutaneo danado, en particular de cicatrices.
KR20210096056A (ko) 흉터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국소용 약학적 조성물
JP5897164B2 (ja) 外用組成物
EA032439B1 (ru) Композиции и способы для лечения поверхностных ран
WO2006109734A1 (ja) 創傷治療用外用剤
US20110301118A1 (en) Methods of treatment utilising glucan formulations
US8426384B2 (en) Wound-healing pharmaceutical compositions in the form of a sterile powder based on amino acids and sodium hyaluronate
CN111569137B (zh) γ-聚谷氨酸生物敷料及其制备方法
KR20190013101A (ko) 흉터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20150128481A (ko) 세포외기질 및 온도감응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생체 피부용 조성물
WO2020141986A1 (en) Silicone gel composition containing hyaluronic acid and/or its salt for prevention and repair of skin scars
KR101894521B1 (ko) 흉터치료를 위한 국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10075051A (ko) 하이드로젤 패치를 포함하는 상처 또는 흉터 치료용 조성물
EP2306999B1 (en) Compositions for treating rosacea comprising chitosan and a dicarboxylic acid amide
Brocario et al. Assessment of wound healing efficacy and tolerability using Cicatryl™ cream based on a suction blister model in healthy subjects
KR102113317B1 (ko) 흉터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2205025B1 (ko) 흉터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US11497765B1 (en) Thioctamer expedites wound healing
CN110840894B (zh) 一种复合抗疤痕硅酮喷雾剂及其制备方法
EP2883541A1 (en) Composition for topical use comprising hyaluronic acid
RU2458694C1 (ru) Стабилизированная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лечения заболеваний, обусловленных венозной недостаточностью
WO2017188844A1 (ru) Лечебно-космет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при комплексном лечении дерматоз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