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5477A - 자모 인식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자모 교육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모 인식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자모 교육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5477A
KR20210095477A KR1020200009431A KR20200009431A KR20210095477A KR 20210095477 A KR20210095477 A KR 20210095477A KR 1020200009431 A KR1020200009431 A KR 1020200009431A KR 20200009431 A KR20200009431 A KR 20200009431A KR 20210095477 A KR20210095477 A KR 202100954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touch screen
contact
intrinsic
poi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9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5822B1 (ko
Inventor
오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키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키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키즈
Priority to KR1020200009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5822B1/ko
Priority to PCT/KR2021/000096 priority patent/WO2021149944A1/en
Publication of KR20210095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5477A/ko
Priority to KR1020220029414A priority patent/KR1024915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5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5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9Accessories therefor, e.g. mouse pads
    • G06F3/0393Accessories for touch pads or touch screens, e.g. mechanical guides added to touch screens for drawing straight lines, hard keys overlaying touch screens or touch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3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comprising elements to be used without a special suppor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7/00Teaching read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영어 알파벳, 한글 등의 자모 형상을 가지는 자모 블록을 터치스크린에 접촉하여 인식하는 방식으로 자모를 교육하여 영유아의 흥미를 유발하고 자모의 교육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자모 인식, 교육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자모 인식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자모 교육 장치 및 방법{DEVICE FOR RECOGNIZE ALPHABETS AND METHOD THEREOF AND SYSTEM AND METHOD FOR EDUCATION OF ALPHABET}
본 발명은 자모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그리고 자모 교육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모 형상을 가지는 자모 블록을 터치 패널에 접촉하여 인식하는 방식으로 한글 등의 자모를 교육하여 사용자 예를 들어 영유아, 고령자 등의 흥미를 유발하고 자모 교육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자모 교육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유아, 고령자 등을 대상으로 문자 예를 들어 영어 알파벳, 한글 등의 자모(字母)를 교육하기 위한 다양한 교육용 교구가 개발되어 있다. 일 예로, 단말기를 통해 한글 자모에 관한 영상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여 교육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는 청각과 시각을 통한 교육 방식으로, 영유아, 고령자 등의 놀이 행위를 유도하여 흥미를 유발하는데 한계가 있다. 자모 교육용 교구의 다른 예로, 한글 자모 형상을 가지는 블록을 통해 영유아, 고령자 등의 놀이 행위를 유도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영유아가 한글 자모 형상의 블록을 놀이 교구에 마련된 홈에 끼워 맞추는 등의 방법으로 놀이 행위를 통해 흥미를 유발하고 영유아, 고령자 등이 한글 자모의 형상을 시각뿐 아니라 촉각을 통해 인지하도록 하여 한글 자모의 교육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한글 자모는 14개의 자음과 10개의 모음을 포함하여 총 24개의 음소로 이루어져 있어, 한글 자모 블록을 통한 교육 방식을 위해 모든 한글 자모를 삽입할 수 있는 홈을 교구에 마련해야 하고, 이로 인해 놀이 교구의 전체적인 크기가 커지게 되어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고, 교구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영어 알파벳, 한글 등의 문자의 자모 형상을 가지는 자모 블록을 터치 패널에 접촉하여 인식하는 방식으로 자모를 교육하여 영유아, 고령자 등의 흥미를 유발하고 자모의 교육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자모 교육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자모 블록에 마련된 다수의 고유점들 간의 거리 정보를 기반으로 자모 블록을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터치 패널에 접촉되는 자모 블록의 배치 방향을 인식하여 교육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는 자모 교육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자모 인식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자모 인식 방법은:
전자장치의 터치스크린에 접촉된 자모 블록의 고유점들을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상기 고유점들 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상기 고유점들 간의 거리 정보를 각 자모 블록별로 미리 정의된 기준 거리 정보와 비교하여 터치스크린에 접촉된 자모 블록을 인식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자모 인식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자모 인식 장치는:
전자장치의 터치스크린에 접촉된 자모 블록의 고유점들을 검출하는 고유점 검출 모듈;
검출된 상기 고유점들 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하는 거리정보 산출 모듈;
산출된 상기 고유점들 간의 거리 정보를 각 자모 블록별로 미리 정의된 기준 거리 정보와 비교하여 터치스크린에 접촉된 자모 블록을 인식하는 자모 인식 모듈;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제1 양태에 다른 자모 인식 방법을 실행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는 전자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전자장치는: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동작들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동작들은:
전자장치의 터치스크린에 접촉된 자모 블록의 고유점들을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상기 고유점들 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상기 고유점들 간의 거리 정보를 각 자모 블록별로 미리 정의된 기준 거리 정보와 비교하여 터치스크린에 접촉된 자모 블록을 인식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5 양태는 전자장치의 터치스크린에 접촉 및 인식되는 자모 블록들 세트를 제공하며, 각 자모 블록은:
자음들 및 모음들을 포함하는 자모 음소들의 형상에 대응하는 자모 블록 몸체; 그리고,
상기 자모 블록 몸체는 바닥면에 상기 자모 블록 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4개 또는 5개의 전도성의 고유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한글 등의 자모 형상을 가지는 자모 블록을 터치스크린에 접촉하여 인식하는 방식으로 자모를 교육하여 영유아, 고령자 등의 흥미를 유발하고 자모 교육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자모 교육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자모 블록에 마련된 다수의 고유점들 간의 거리들 정보를 기반으로 자모 블록을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에 접촉되는 자모 블록의 배치 방향을 인식하여 교육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문자 인식 및/또는 교육 기술이 채택될 수 있는 예시적인 전자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자모 인식 및/또는 교육 기술의 인식 대상이 되는 한글 자모 블록들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한글 자음 'ㄷ' 자모 블록에 대한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한글 자모 'ㅍ'에 대한 자모 블록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이 채택될 수 있는 전자장치와 자모 블록의 사용환경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모 블록 인식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6의 단계 S2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자모 인식 및/또는 교육 기술의 인식 대상이 되는 한글 자모 블록들 및 기준 거리 정보들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같이 자모 블록이 터치스크린에 다양하게 배향 접촉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모 블록 인식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자모 인식 및/또는 교육 기술의 인식 대상이 되는 한글 자모 블록의 배향 기준선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이 채택될 수 있는 전자장치의 터치스크린에 다양한 배향으로 자모 블록이 접촉하는 사용환경을 도시한다.
도 1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이 채택될 수 있는 전자장치의 터치스크린에 정방향으로 자모 블록이 접촉하는 사용환경에서 자모 인식 및 교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이 채택될 수 있는 전자장치의 터치스크린에 정방향에서 벗어나서 자모 블록이 접촉하는 사용환경에서 자모 인식 및 교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대칭되는 형태의 자모를 구별하여 인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자모 인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자모 인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자모 인식 및/또는 교육 기술의 인식 대상이 되는 영어 알파벳 자모 블록의 배향 기준선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만일 정의되지 않더라도,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기술 혹은 과학 용어들을 포함)은 이 발명이 속한 종래 기술에서 보편적 기술에 의해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공지된 구성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구성에 대하여는 가급적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서 일부 구성은 다소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도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부품, 모듈 등과 같은 구성요소를 언급함에 있어서, 그 수량과 관련하여 특별한 언급이 없는 경우 언급되는 대상 구성요소가 하나인 것 뿐만 아니라 복수 개인 것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부품, 모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모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언급된 대상들의 임의의 조합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부' 또는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로서,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할 수 있다. 그렇지만 '~부' 또는 '~모듈'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또는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와 '~부' 또는 '~모듈'에서 제공하는 기능은 복수의 구성요소 및 '~부' 또는 '~모듈'들에 의해 분리되어 수행될 수도 있고, 다른 추가적인 구성요소와 통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모 인식 및 교육 기술은 도전성 고유점들을 구비한 자모 블록이 터치스크린에 접촉될 때 터치스크린이 정전용량 방식으로 해당 자모 블록의 고유점들을 인식하고(터치스크린 상에서의 고유점들의 각 위치를 인식하고), 고유점들 간의 점간 거리를 구하고 구해진 점간 거리들 정보를 각 자모 블록별로 미리 정의된 기준 점간 거리들 정보와 비교하여 터치스크린에 접촉된 자모 블록을 인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상 예를 들어 자모 인식 기술은 예를 들어, 한글의 자모 형상을 가지면서 각 자모별 구별되는 고유점들을 갖는 자모 블록을 터치스크린에 접촉시켜 자모 블록을 인식하고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영유아, 고령자 등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자모를 교육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인식 대상체로서 한글 자모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모 인식 및 교육 기술은 한글 외에 영어 등의 자모(알파벳), 숫자, 기타 도형 등을 인식 및 교육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대상체 인식 및/또는 교육 기술이 채택될 수 있는 예시적인 전자장치(100)의 블록도이다. 예를 들면, 전자장치(100)는 정전 용량식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임의의 전자장치일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의 크기는 적어도 인식 대상체 예를 들어 자모 블록의 접촉이 가능한 크기 이상이어야 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장치(100)는 처리부(110), 메모리부(120), 전원부(130), 출력부(140), 입력부(150), 센서부(160) 및 통신부(170) 중의 하나 이상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부(120)는, 각종 유형의 데이터(예를 들어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 사용자 데이터, 운영체제 등)가 저장되어 있어 전자장치(100)의 조작을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데이터의 예로 전자장치(100)에서 수행되는 임의의 응용 프로그램 또는 방법을 위한 명령(instruction), 사진, 동영상 등이 포함된다.
운영체제(예를 들어, LINUX, UNIX, OS X, WINDOWS, Chrome, Symbian, WinCE, Windows Mobile, iOS, Android, Tizen, VxWorks, pSOS 또는 기타 임베디드 운영 체제)는 메모리 관리, 전력 관리 등과 같이 시스템 작업들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및/또는 드라이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용 프로그램으로는 운영체제 상에서 실행되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상기 응용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문자 인식 및/또는 교육 기술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부(120)는 임의의 유형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ROM(Read-Only Memory), 자기메모리, 플래시메모리, 하드디스크 또는 광디스크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전원부(130)는 전자장치(100)의 각 구성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전력을 생성, 관리 및 분배하기 위한 기타 부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140)는 오디오 출력부, 비디오 출력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 스피커(141) 및 디스플레이(143)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50)는 터치센서와 같은 입력 모듈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50)는 사용자가 상기 전자장치(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상기 입력부(130)는 터치패드 예를 들어, 저항, 압력, 커패시턴스 등의 변경을 감지하는 터치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터치패드(151)는 디스플레이(143) 상에 레이어 형태로 중첩되어 '터치스크린'(153)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153)은 전기 용량식, 저항식, 적외선 및 표면음향파(surface acoustic wave)와 같은 다양한 터치 기술, 근접 센서 기술 등을 이용하여 접촉(터치) 및 이러한 접촉의 이동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15) 상에 터치패드(151)가 중첩되어 구현된 상기 터치스크린(153)은 복수의 접촉 신호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153)은 후술할 자모 블록의 복수의 고유점(unique points)의 접촉에 의하여 발생하는 접촉 신호들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60)는 전자장치(100)에 여러 측면에서의 상태에 대한 평가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면, 센서부(160)는 전자장치(100)의 온/오프 상태, 전자장치(100) 또는 전자장치(100)의 구성 부품의 위치 변경, 사용자와 전자장치(100) 간의 접촉 여부, 전자장치(100)의 방위 또는 가속/감속 및 전자장치(100)의 온도 변화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60)는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어떤 물리적 접촉이 없는 상태에서 부근 물체의 존재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60)는 영상 적용을 위한 CMOS 또는 CCD 이미지센서 등 광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160)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자기 센서, 압력 센서 또는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70)는 전자장치(100)와 기타 기기 간의 원활한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위한 것으로, 전자장치(100)는 WiFi, 2G, 3G, 4G, 5G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의 통신규격에 기반한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일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170)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 방송 관리 시스템으로부터의 방송 신호 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170)는 단거리 통신을 활성화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NFC) 모듈을 더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면, NFC 모듈은 RFID 기술, IrDA 기술, UWB 기술, 블루투스(BT) 기술 및 기타 기술에 기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처리부(110)는, 일반적으로 전자장치(100)의 전체적인 동작, 조작, 예를 들면, 표시, 데이터 통신, 카메라 조작 및 기록 조작 등에 관련된 조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처리부(110)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111)를 포함하여 명령을 수행함으로써 본 명세서에 개시된 문자 인식 및/또는 교육 방법의 단계 전부 또는 일부를 실행한다. 상기 처리부(110)는 상기 메모리부(12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처리부(110)는 예를 들어 상기 메모리부(12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따라 상기 출력부(140) 또는 상기 입력부(150)에 연결된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처리부(110)는 하나 또는 복수의 모듈을 포함하고 있어 상기 처리부(110)와 구성 부품 간의 상호 작용(interaction)을 원활히 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장치(100)는 하나 또는 복수의 응용 주문형 집적회로(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Digital Signal Processor), 디지털 신호 처리 소자(DSPD,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 설계가능 논리소자(PLD, Programmable Logic Device), 필드-설계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기타 전자소자 등에 의하여 구현되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문자 인식 및/또는 교육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문자 인식 및/또는 교육 기술이 채택되는 전자장치(100)는 터치스크린(153), 처리부(110) 및 메모리부(12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문자 인식 및/또는 교육 기술의 인식 대상이 되는 자모 블록들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다수의 자모 블록(210)은 한글의 자음들 및 모음들을 포함하는 자모 음소들의 형상을 가지는 입체 블록으로 제공될 수 있고(도 3 참조), 자모 음소들은 자음과 모음이 모두 포함될 수도 있고, 자음들만 포함되거나, 모음들만 포함될 수도 있다. 각 자모 블록(210)은 블록 몸체(212)와, 블록 몸체(212)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고유점(214)들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 몸체(212)는 한글의 자음 또는 모음의 입체 형상을 가지도록 제공되고, 고유점(214)들 및 블록 몸체(212)는 도 1의 전자장치(100)의 터치스크린(153)이 정전용량식으로 고유점(214)들의 개수 및 위치(좌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금속 등의 전도성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각 자모 블록(210)이 다른 자모 블록으로부터 식별될 수 있도록, 자모 블록(210)에 형성된 고유점(214)들은 한글 자모 별로 상이한 패턴의 간격으로 분산되어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각 자모 블록(210)의 고유점(214)들 간의 거리값들의 집합이 한글 자모 별로 상이해지도록, 각 자모 블록(210)의 고유점(214)들의 위치가 설정될 수 있다. 각 자모 블록(210)에 형성되는 고유점(214)들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처리해야 하는 데이터가 많아져 비효율적일 수 있으므로, 각 자모 블록(210)에 4개 또는 5개의 고유점(214)이 구비되는 것이 선호된다.
도 2에 도시된 자모 블록들의 실시예에서, 예컨대 자음 'ㄹ', 'ㅈ', 'ㅊ'에 해당하는 자모 블록(210)에는 5개의 고유점(214)들이 구비되고, 나머지 자음과 모음에는 4개의 고유점(214)들이 구비되어 있다.
다수의 자모 블록(210) 중 대칭 형태(회전 대칭 또는 점대칭)를 가지는 일부 자음 또는 모음(예를 들어, 'ㄱ/ㄴ', 'ㅏ/ㅓ', 'ㅑ/ㅕ', 'ㅣ/ㅡ', 'ㅗ/ㅜ', 'ㅛ/ㅠ')은 서로 중복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대칭 형태의 자음들 및/또는 모음들은 자모 블록(210)이 터치스크린(153)에 배치되는 방향(orientation)을 기반으로 상호 간에 구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 후술한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한글 자모 블록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는 한글 자음 'ㄷ' 자모 블록에 대한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자모 블록(210)은 블록 몸체(212)와 그 일면(바닥면)(213)에 형성된 고유점(214)들을 포함한다. 자모 블록(210)의 고유점(214)들이 동시에 터치스크린(153)에 접촉될 수 있도록, 각 자모 블록(210)의 고유점(214)들은 그 하단부 위치가 동일한 평면 상에 높여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모 블록(210)의 바닥면(213)은 평탄하고 고유점(214)들은 그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블록 몸체(212)는, 사용자 예를 들어 영유아가 손쉽게 잡을 수 있도록 그리고 전자장치(100)에 자모 블록(210)의 고유점(214)들을 접촉시 손이 전자장치(100)의 터치스크린(153)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단턱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 몸체(212)는 사용자에 의해 쥐어지는 상부 몸체(211a)와 상부 몸체(211a)에 연결되고 더 넓은 폭의 하부 몸체(211b)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고유점(214)들은 하부 몸체(211b)의 바닥면(213)에 제공된다.
고유점(214)들은 블록 몸체(212)의 바닥면(213)에 분산 배치되고 하부 몸체(211a)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블록 몸체(212) 및 고유점(214)들은 전도성 물질로 형성되고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자모 블록(210)을 쥐고 전자장치(100)의 터치스크린(153)에 접촉시 사용자의 전하(정전기)가 고유점(214)들을 통해 터치스크린(153) 측으로 전달되어 터치스크린(153)이 자모 블록(210)의 고유점(214)들의 개수 및 위치(좌표)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 예에서 자모 블록(210)들 중 하나 이상의 자모 블록(210) 예를 들어 'ㅌ', 'ㅍ' 등의 한글 자모 형상을 가지는 자모 블록(210)은 비전도성의 균형점을 바닥면에 구비할 수 있으며 이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을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한글 자모 'ㅍ'에 대한 자모 블록을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모 블록(210)은 그 바닥면(213)에 비전도성의 균형점(216)을 포함할 수 있다.
균형점(216)은 비전도성을 띄어 자모 블록(210)이 터치스크린(153)에 접촉되더라도 인식되지 않으며, 고유점(214)들이 균일하게 터치스크린(153)에 접촉되는 것을 유도하도록 블록 몸체(212)의 바닥면(213)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균형점(216)은 고유점(214)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이 채택될 수 있는 전자장치(100)와 자모 블록(210)의 사용환경을 도시한다.
상기 전자장치(100)는 전면에 터치스크린(153)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적용은 전자장치에 매립되도록 구현된 터치스크린의 경우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장치로 구현되어 전자장치와 연결되어 동작하는 터치스크린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한글 자모 음소들의 형상을 가지는 입체 블록으로 제공되는 자모 블록(210)이 상기 터치스크린(15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자모 블록(210)의 바닥면에는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고유점들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유점들은 상기 자모 블록(210)이 상기 터치스크린(153) 상에 배치되었을 때 상기 터치스크린(153)에 접촉되며, 터치스크린(153)은 정전용량 기반으로 자모 블록(210)의 고유점(214)들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다.
영유아, 고령자 등의 사용자가 자모 블록(210)을 손으로 잡은 상태로 터치스크린(153)에 자모 블록(210)을 접촉시키면, 블록 몸체(212)와 고유점(214)들을 통해 인체의 전하(정전기)가 터치스크린(153) 측으로 전달되고, 터치스크린(153)에 의해 정전 용량의 변화를 인식하여 고유점(214)들의 접촉 위치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 단지 예로써, 전자장치(100)의 한글 자모 블록 인식 및 교육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전자장치(100)는 자모 블록(210)의 고유점(214)들이 터치스크린(153)에 접촉시, 고유점(214)들 간의 거리들을 기반으로 접촉된 자모 블록(210)을 인식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모 블록 인식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모 블록 인식 방법은, 터치스크린에 접촉된 자모 블록의 고유점들의 위치(좌표)를 검출하는 단계(S10), 검출된 고유점들 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20) 및 획득된 고유점들 간의 거리 정보와 기준 거리 정보를 비교 및 판단하는 단계(30)를 포함한다.
단계 S10에서 사용자(예를 들어 영유아, 고령자 등)가 자모 블록(210)을 쥐고 전자장치(100)의 터치스크린(153)에 접촉하면(도 5 참조), 전자장치(100)는 정전용량을 기반으로 터치스크린(153)에 접촉된 자모 블록(210)의 고유점(214)들의 터치스크린(153)에서의 접촉 위치(좌표) 및 개수를 검출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53)에 자모 블록(210)이 접촉시, 블록 몸체(212)와 고유점(214)들을 통해 인체의 정전기가 터치스크린(153) 측으로 전달되며, 터치스크린(153)에 의한 정전용량의 변화를 기반으로 고유점(214)들의 접촉 위치 및 개수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단계 S20에서, 검출된 자모 블록(210)의 고유점(214)들의 접촉 위치로부터 고유점(214)들 간의 거리 정보(240)를 예를 들어 모든 조합에 의한 고유점들 간의 거리값들을 획득한다. 도 7은 단계 S2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한글 자음 'ㄷ'에 대한 자모 블록(210)은 4개의 고유점(214a~214d) 간의 6개의 거리(D1 ~ D6) 값을 획득하며 도면에서는 획득한 거리 값들을 길이로 도시하였다. 한편, 한글 자음 'ㄹ', 'ㅈ', 'ㅊ'에 대한 자모 블록(100)은 5개의 고유점을 구비하므로(도 2 참조) 이들 자모 블록이 터치스크린에 접촉시 6개의 고유점 간의 모든 조합에 의해 10개의 거리 값이 획득된다.
다음 단계 S30에서, 단계 S20에서 획득된 거리 정보와 기준 거리 정보들을 비교하여 접촉된 자모 블록을 확정(인식)한다. 도 8은 자모 블록의 기준 거리 정보(250)들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기준 거리 정보(250)들은 각 자모 블록의 기준 거리 정보의 집합으로서, 각 자모 블록의 기준 거리 정보는 고유점들간의 모든 조합에 의한 고유의 거리값들 (도면에서는 거리 값들을 그에 대응하는 길이로 표시하였음)이다. 각 자모 블록은 고유한 방식으로 배열된 고유점들을 구비하기 때문에, 각 자모 블록은 고유점들간의 고유의 거리값들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획득된 거리 정보(240)를 기준 거리 정보(250)들과 비교함으로써 터치스크린(153)에 접촉된 자모 블록을 정확하게 구별 및 판단할 수 있다.
앞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을 한 자모 블록 인식 방법에서 자모 블록의 고유점들 간의 거리값들의 비교에 따라 자모 블록을 인식하므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모 블록이 터치스크린에 정방향으로 배향 접촉된 경우(도 9의 좌측)와 정방향에서 벗어나(오방향으로) 배향 접촉된 경우(도 9의 우측) 모두 도 6의 단계 S20에서 획득되는 고유점들 간의 거리 정보는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영유아, 고령자 등의 교육 목적을 위해서는 터치스크린에 대한 자모 블록의 배향 접촉이 올바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위와 같은 상황을 감안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모 블록 인식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자모 블록 인식 방법은 도 6의 자모 블록 인식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자모 블록이 터치스크린에 정방향으로 배향되어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0)와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S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40에서, 터치스크린(153)에 접촉된 자모 블록(210)의 고유점들 중 미리 선정된 2개의 고유점에 의한 배향 기준선이 터치스크린(153)의 미리 선정된 판단 기준선(수평선 혹은 수직선)과 평행 하는지 여부와 배향 기준선과 다른 고유점과의 위치 관계로서 자모 블록(210)이 정방향으로 접촉되는지를 판단한다. 각 자모 블록별로 배향 기준선을 정의하는 2개의 고유점은 미리 결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자모 블록의 배향 기준선을 정의하는 2개의 고유점은 자모 블록이 정방향으로 놓인 상태에서 가장 긴 수평선 혹은 수직선을 정의하는 2개의 고유점일 수 있다. 도 11은 각 자모 블록의 배향 기준선(260)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12를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을 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ㄷ' 자모 블록(210)의 배향 기준선(260)은 4개의 고유점(214a~214d) 중에서 수평 방향으로 가장 긴 선분을 정의하는 2개의 고유점(214a, 214b)에 의해 미리 정의된다. 한편, 'ㄷ' 자모 블록(210)에 대한 판단 기준선은 터치스크린의 수평선(X)으로 미리 정의된다. 도 12와 같이 'ㄷ' 자모 블록(210)이 터치스크린(153)에 배향 접촉될 경우, 그 배향 기준선(260)은 터치스크린(153)의 판단 기준선인 수평선(X선)과 평행하고, 배향 기준선(260)을 정의하지 않는 다른 고유점들(214c, 214d)은 배향 기준선(260)의 위쪽에 위치한다. 따라서 이 경우 단계 S40에서 'ㄷ' 자모 블록(210)이 정방향으로 터치스크린(153)에 접촉한 것으로 판단된다.
일 실시 예에서 자모 블록(210)의 배향 기준선(260)이 터치스크린(153)의 판단 기준선에 대해 정확하게 정방향으로 배향되지 않고 좌우로 약간 기울어져 접촉되는 경우에도 교육 목적에는 크게 영향이 없으므로 자모 블록(210)이 정방향으로 터치스크린(153)에 접촉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모 블록(210)의 배향 기준선(260)이 터치스크린(153)의 판단 기준선에 대해 약 ±15도 까지 기울어진 경우에도 자모 블록(210)이 정방향으로 배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도 13은 'ㄷ' 자모 블록(210)이 도 12의 배향에서 대략 180도 좌측으로 회전되어 터치스크린(153)에 접촉된 예이다. 도 13의 경우 배향 기준선(260)은 도 12와 같이 터치스크린(153)의 판단 기준선(X)과 평행하지만, 배향 기준선(260)을 정의하지 않는 고유점들(214c, 214d)은 도 12와 달리 배향 기준선(260)의 아래쪽에 위치하므로, 도 12의 배향과 구별된다. 따라서 도 13의 경우 단계 S40에서 'ㄷ' 자모 블록은 정방향에서 벗어난 방향으로 터치스크린(153)에 접촉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 'ㄷ' 자모 블록(210)이 도 14에서와 같이 도시된 방향으로 터치스크린(153)에 접촉될 경우, 접촉된 상태에서의 2개의 고유점(214a, 214b)에 의해 정의되는 배향 기준선(260)은 터치스크린(153)의 판단 기준선(X)에 평행하지 않으며 즉 수직이다. 이 경우에는 배향 기준선(260)이 판단 기준선(X)과 평행하지 않으므로, 배향 기준선(260)을 정의하지 않는 고유점들(214c, 214d)과 배향 기준선(260)과의 위치 관계를 추가로 판단할 필요 없으며, 단계 S40에서 'ㄷ' 자모 블록은 정방향에서 벗어난 방향으로 터치스크린(153)에 접촉한 것으로 판단한다.
다음 단계 50에 대해서 설명을 한다. 단계 40의 판단 결과에 따라 즉 자모 블록의 정방향 접촉 여부에 따라 단계 50의 디스플레이는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먼저, 단계 S40에서 도 9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 자모 블록(210)이 터치스크린(153)에 올바르게 배향되어 접촉되었다고 판단되면 도 15의 모식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단계 S50에서 디스플레이 된다. 도 15를 참조하면, 자모 블록(210)이 정방향으로 접촉되었다고 판단되면, 단계 S50에서 해당 자모 블록 'ㄷ'의 이름과 쓰는 방법 등이 음성 및 동영상으로 각각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음성 출력으로서 교육 효과를 높이기 위해 "참 잘했어요" 등이 더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단계 S40에서 도 9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 자모 블록(210)이 터치스크린(153)에 정방향에서 벗어나 접촉되었다고 판단되면 도 16의 모식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단계 S50에서 디스플레이 된다. 도 16을 참조하면, 자모 블록(210)이 정방향에서 벗어나 접촉되었다고 판단되면, 단계 S60에서 자모 블록을 다시 접촉시키는 지시와 관련한 음성 출력 및 이를 동영상으로 보여주는 동영상 출력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을 한 바와 같이, 대칭 형태(회전 대칭 또는 점대칭)를 가지는 일부 자음 또는 모음(예를 들어, 'ㄱ/ㄴ', 'ㅏ/ㅓ', 'ㅑ/ㅕ', 'ㅣ/ㅡ', 'ㅗ/ㅜ', 'ㅛ/ㅠ')은 동일한 자모 블록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같은 실시 예에서 대칭 형태의 자모를 구별하는 방법을 이하에서 설명을 한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대칭되는 형태의 자모 예를 들어 'ㅏ'와 'ㅓ'를 구별하여 인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하기에서 설명하는 대칭되는 형태의 자모들을 구별하여 인식하는 단계는 도 10의 S40 단계에서 수행되거나 별도의 단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모음 'ㅏ'와 모음 'ㅓ'를 위한 자모 블록(210)은 4개의 고유점(214e, 214f, 214g, 214h)을 구비하며, 이중 고유점(214e, 214f) 간의 거리 값이 가장 길고 이들 고유점(214e, 214f)이 정의하는 수직선이 배향 기준선(260)을 정의한다. 한편, 모음 'ㅏ'와 모음 'ㅓ'를 위한 자모 블록(210)을 위한 터치스크린(153)의 판단 기준선은 수직선(X)일 것이다. 모음 'ㅏ'와 모음 'ㅓ'를 위한 자모 블록(210)에서 배향 기준선(260)을 정의하지 않는 고유점(214g)은 배향 기준선(260)이 수직으로 배향될 경우, 배향 기준선(260)의 좌측 혹은 우측에 위치할 것이다. 따라서 모음 'ㅏ'와 모음 'ㅓ'를 위한 자모 블록(210)의 경우 배향 기준선(260)에 대한 고유점(214g)의 배향에 따라 'ㅏ' 와 'ㅓ'를 구별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고유점(114g)이 배향 기준선(260)의 우측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모음 'ㅏ'로, 이와 달리,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유점(114g)이 배향 기준선(260)의 좌측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ㅓ'로 인식된다. 즉, 자모 블록(210) 하나를 사용하여 모음 'ㅏ'와 모음 'ㅓ'를 구별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모음 'ㅗ'와 모음 'ㅜ'를 위한 자모 블록(210)도 하나의 자모 블록을 사용해도 서로 구별될 수 있다. 이 경우 배향 기준선은 수평선일 것이며, 모음 'ㅗ'와 모음 'ㅜ'를 위한 자모 블록에서 배향 기준선을 정의하지 않는 고유점이 수평선인 배향 기준선의 위쪽 혹은 아래쪽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각각 'ㅗ'와 'ㅜ'로 인식될 것이다.
더 나아가서 서로 회전 대칭인 모음 'ㅏ', 'ㅓ','ㅗ' 및 'ㅜ'는 하나의 자모 블록을 사용하여 구별할 수 있다. 즉, 배향 기준선(260)(수직선)에 대해 고유점(114g)가 어디에 위치하는 지에 따라 즉 좌, 우, 상, 하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각각 'ㅓ', 'ㅏ', 'ㅗ', 'ㅜ'로 구별 가능하다. 이와 동일하게 더 나아가서 서로 회전 대칭인 모음 'ㅑ', 'ㅕ','ㅛ' 및 'ㅠ'도 하나의 자모 블록을 사용하여 구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모 인식 방법에 의하면, 한글 자모 형상을 가지는 자모 블록(210)을 터치스크린(153)에 접촉하여 인식하는 방식으로 한글 자모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고 영유아, 고령자 등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한글 자모의 교육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자모 블록(210)에 마련된 고유점(214)들 간의 거리 정보를 기반으로 자모 블록(210)을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모 인식 방법에 의하면, 고유점(214)들 간의 거리 정보뿐만 아니라 자모 블록(210)의 고유점들 중 미리 설정된 두 고유점에 의해 결정되는 배향 기준선(260)을 활용하여 터치스크린(153)에 접촉되는 자모 블록(210)의 인식뿐 아니라 배치 방향까지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고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피드백함으로써 자모 교육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모 인식 방법에 의하면, 배향 기준선(260)과 고유점(배향 기준선을 정의하지 않는 고유점) 간의 관계(위치 및 방향)를 기반으로, 터치스크린(153)에 접촉되는 자모 블록(210)의 배치 방향을 보다 정확하게 판단하거나, 대칭되는 자모들 중 어느 자모에 해당하는지를 정확하게 구별하여 식별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을 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자모 인식 방법에 상응하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은 자모 인식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자모 형상을 가지는 자모 블록(210)을 터치스크린(153)에 접촉하여 인식하는 방식으로 자모를 교육하여 영유아, 고령자 등의 흥미를 유발하고 자모의 교육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자모 블록(210)에 마련된 다수의 고유점(214)들 간의 거리들의 패턴을 기반으로 자모 블록(210)을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153)에 접촉되는 자모 블록(210)의 배치 방향을 인식하여 교육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전술한 자모 인식 방법을 구현하는 자모 인식 장치를 제공한다. 도 19는 도 7의 자모 인식 방법을 구현하는 자모 인식 장치(300)를 도시하며, 각각 도 7의 단계 S10, S20 및 S30을 구현하는 검출 모듈(310), 거리 정보 산출 모듈(320) 및 자모 인식 및 판정 모듈(330)을 포함한다.
한편 도 20은 도 10의 방법을 구현하는 자모 인식 장치(400)를 도시하며, 이는 도 19의 자모 인식 장치에 도 10의 단계 S40를 구현하는 자모 블록 접촉 방향 판단 모듈(340)을 더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을 한 기술은 도 21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영어 알파벳의 자모 블록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2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자모 인식 및/또는 교육 기술의 인식 대상이 되는 알파벳 자모 블록 및 배향 기준선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21을 참조하면, 영어 알파벳 자모 블록은, 한글 자모 블록과 마찬가지로, 4개 혹은 5개의 고유점을 구비하며 그 중 2개의 고유점은 접촉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배향선 기준선을 정의한다. 도 21의 영어 알파벳의 자모 블록은, 자모 블록의 형상이 다른 것을 제외하고는, 고유점 개수 및 배향 기준선에서 전술한 한글 자모 블록과 동일하므로, 도 21의 영어 알파벳 자모 블록의 인식 및 교육 방법은 전술한 한글 자모 블복의 인식 및 교육 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이 한글 자모, 영어(로마자) 알파벳 자모 뿐만 아니라, 아라비아 숫자, 로마숫자 등의 각종 숫자, 기타 대상체의 인식 및/또는 교육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통상의 기술자는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 중 적어도 일부는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SRAM(Static RAM), DRAM(Dynamic RAM), SDRAM(Synchronous DRAM) 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lectrically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 장치, PRAM(Phase-change RAM), MRAM(Magnetic RAM), RRAM(Resistive RAM), FRAM(Ferroelectric RAM)과 같은 불휘발성 메모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광학적 판독 매체 예를 들어 시디롬, 디브이디 등과 같은 형태의 저장매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상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으며,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가능한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의 문언적 기재 그 자체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으로는 기술적 가치가 균등한 범주의 발명까지 미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19)

  1. 전자장치의 터치스크린에 접촉된 자모 블록의 고유점들을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상기 고유점들 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상기 고유점들 간의 거리 정보를 각 자모에 대해 미리 정의된 기준 거리 정보와 비교하여 터치스크린에 접촉된 자모 블록을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모 인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검출된 상기 고유점들의 위치들을 기초로 터치스크린에 접촉된 자모 블록의 4개의 고유점들 간의 6개의 거리값을 산출하거나,
    터치스크린에 접촉된 자모 블록의 5개의 고유점들 간의 10개의 거리값을 산출하는,
    자모 인식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모 블록을 인식하는 단계는:
    각 자모에 대해 미리 정의된 기준 거리 정보 중에서 산출된 상기 6개의 거리값 또는 상기 10개의 거리값과 일치하는 기준 거리 정보를 갖는 자모를 터치스크린에 접촉된 자모 블록의 자모로 판정하는,
    자모 인식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자모 블록의 접촉 방향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모 인식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방향 판단 단계는:
    터치스크린에 접촉된 자모 블록의 고유점들 중 미리 선정된 2개의 고유점에 의한 배향 기준선이 터치스크린의 미리 선정된 판단 기준선과 평행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을 포함하는,
    자모 인식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방향 판단 단계 또는 상기 자모 인식 방법은, 상기 배향 기준선에 대한 상기 배향 기준선을 정의하지 않는 다른 고유점과의 위치 관계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모 인식 방법.
  7. 전자장치의 터치스크린에 접촉된 자모 블록의 고유점들을 검출하는 고유점 검출 모듈;
    검출된 상기 고유점들 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하는 거리정보 산출 모듈;
    산출된 상기 고유점들 간의 거리 정보를 각 자모 블록별로 미리 정의된 기준 거리 정보와 비교하여 터치스크린에 접촉된 자모 블록을 인식하는 자모 인식 모듈;
    을 포함하는,
    자모 인식 장치.
  8. 전자장치의 터치스크린에 접촉된 자모 블록의 고유점들을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상기 고유점들 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상기 고유점들 간의 거리 정보를 각 자모에 대해 미리 정의된 기준 거리 정보와 비교하여 터치스크린에 접촉된 자모 블록을 인식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자모 블록의 접촉 방향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방향을 판단하는 단계는, 터치스크린에 접촉된 자모 블록의 고유점들 중 미리 선정된 2개의 고유점에 의한 배향 기준선이 터치스크린의 미리 선정된 판단 기준선과 평행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방향 판단 단계 또는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배향 기준선에 대한 상기 배향 기준선을 정의하지 않는 다른 고유점과의 위치 관계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
  12.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동작들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동작들은:
    전자장치의 터치스크린에 접촉된 자모 블록의 고유점들을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상기 고유점들 간의 거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상기 고유점들 간의 거리 정보를 각 자모 블록별로 미리 정의된 기준 거리 정보와 비교하여 터치스크린에 접촉된 자모 블록을 인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들은,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자모 블록의 접촉 방향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방향을 판단하는 단계는, 터치스크린에 접촉된 자모 블록의 고유점들 중 미리 선정된 2개의 고유점에 의한 배향 기준선이 터치스크린의 미리 선정된 판단 기준선과 평행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을 포함하는,
    전자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방향 판단 단계 또는 상기 동작들은, 상기 배향 기준선에 대한 상기 배향 기준선을 정의하지 않는 다른 고유점과의 위치 관계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
  16. 전자장치의 터치스크린에 접촉 및 인식되는 자모 블록들 세트로서, 각 자모 블록은,
    자음들 및 모음들을 포함하는 자모 음소들의 형상에 대응하는 자모 블록 몸체; 그리고,
    상기 자모 블록 몸체는 바닥면에 상기 자모 블록 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4개 또는 5개의 전도성 고유점을 포함하는,
    자모 블록들 세트.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점들 중 2개는 상기 한글 자모 블록이 터치스크린에 접촉되는 방향을 결정하데 사용되는 배향 기준선을 정의하도록 상기 자모 블록의 상기 바닥면의 가로 방향 혹은 세로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자모 블록들 세트.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점들 중 상기 배향 기준선을 정의하는 2개의 고유점을 제외한 나머지 고유점들은, 자모 블록들 간의 구별이 가능하도록, 상기 2개의 고유점에 의한 배향 기준선에 대해서 서로 다르게 배열되는,
    자모 블록들 세트.
  19.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모 블록 몸체는 상기 고유점들이 제공되는 바닥면을 구비하는 하부 몸체 및 상기 하부 몸체에 연속하며 상기 하부 몸체보다 폭이 좁은 상부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몸체와 상기 상부 몸체는 단턱 구조를 형성하는,
    자모 블록들 세트.
KR1020200009431A 2020-01-23 2020-01-23 자모 인식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자모 교육 장치 및 방법 KR102375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431A KR102375822B1 (ko) 2020-01-23 2020-01-23 자모 인식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자모 교육 장치 및 방법
PCT/KR2021/000096 WO2021149944A1 (en) 2020-01-23 2021-01-06 Device for recognize alphabets and method thereof and system and method for education of alphabet
KR1020220029414A KR102491568B1 (ko) 2020-01-23 2022-03-08 자모 인식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자모 교육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431A KR102375822B1 (ko) 2020-01-23 2020-01-23 자모 인식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자모 교육 장치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9414A Division KR102491568B1 (ko) 2020-01-23 2022-03-08 자모 인식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자모 교육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5477A true KR20210095477A (ko) 2021-08-02
KR102375822B1 KR102375822B1 (ko) 2022-03-18

Family

ID=7699177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9431A KR102375822B1 (ko) 2020-01-23 2020-01-23 자모 인식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자모 교육 장치 및 방법
KR1020220029414A KR102491568B1 (ko) 2020-01-23 2022-03-08 자모 인식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자모 교육 장치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9414A KR102491568B1 (ko) 2020-01-23 2022-03-08 자모 인식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자모 교육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375822B1 (ko)
WO (1) WO2021149944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3577A (ko) * 2012-04-06 2013-10-16 최지현 학습 제공 장치 및 기록 매체
KR20150125250A (ko) * 2014-04-30 2015-11-09 이광용 터치스크린상에 배치된 피스와 전자 장치 사이의 접촉 신호를 통한 상호 작용
KR101961817B1 (ko) * 2018-08-06 2019-03-25 (주)아이땅 놀이 기구용 태그의 인식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255B1 (ko) * 2008-07-01 2010-07-06 이병진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접촉카드 인식 시스템 및 인식 방법
KR20130053196A (ko) * 2011-11-15 2013-05-23 주식회사 그린몬스터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스크린과 전도체를 이용한 인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07317B1 (ko) * 2012-03-26 2014-06-13 차웅걸 한글 인식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3577A (ko) * 2012-04-06 2013-10-16 최지현 학습 제공 장치 및 기록 매체
KR20150125250A (ko) * 2014-04-30 2015-11-09 이광용 터치스크린상에 배치된 피스와 전자 장치 사이의 접촉 신호를 통한 상호 작용
KR101961817B1 (ko) * 2018-08-06 2019-03-25 (주)아이땅 놀이 기구용 태그의 인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1568B1 (ko) 2023-01-26
KR102375822B1 (ko) 2022-03-18
WO2021149944A1 (en) 2021-07-29
KR20220034096A (ko) 2022-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06474B2 (en) Touch screen finger tracing device
KR102133702B1 (ko) 제스처 인식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
KR101686741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2015027758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JP6341294B2 (ja) 触感提供システム、及び、触感提供装置
US10564760B2 (en) Touch system, touch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021975A (ko) 전자 디바이스용 입력 방법 및 입력 디바이스,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명령이 저장되어 있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JP2013045310A (ja) 表示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40240234A1 (en) Input Device
JP6021729B2 (ja) 入力デバイス及びタッチパネル表示システム
JP4761523B2 (ja) 筆記練習システムおよび筆記練習プログラム
KR102375822B1 (ko) 자모 인식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자모 교육 장치 및 방법
US9679493B2 (en) Drawing toy with stylus detection
KR20150002178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터치 감지 방법
JP2014186530A (ja) 入力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
KR20150022089A (ko) 스마트 모바일기기의 시각장애인용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2482445B1 (ko) 자모 교육 방법에 사용되는 자모 블록 및 그 제조 방법
KR20230110914A (ko) 자모 교육 방법에 사용되는 자모 블록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016780A (ko) 사용자 접근에 따라 터치영역을 활성화하는 전자칠판, 이를 이용한 전자칠판 터치영역 활성화 방법
US20190250731A1 (en) Electronic device validating multiple finger touch detection through donut shaped touch islands, and related methods
US20160110011A1 (en) Display apparatus, controll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system
KR20140086805A (ko)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TWI706287B (zh) 滑動解鎖方法、系統及電子裝置
JP2018018474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4504193A (ja) 筆跡消去方法、装置、インタラクティブタブレット、及び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