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4913A - 초음파 진단 장치 및 이에 의한 초음파 영상의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초음파 진단 장치 및 이에 의한 초음파 영상의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4913A
KR20210094913A KR1020200008748A KR20200008748A KR20210094913A KR 20210094913 A KR20210094913 A KR 20210094913A KR 1020200008748 A KR1020200008748 A KR 1020200008748A KR 20200008748 A KR20200008748 A KR 20200008748A KR 20210094913 A KR20210094913 A KR 20210094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ker
probe
type
ultrasound
ultrasound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8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소연
이재성
Original Assignee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8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4913A/ko
Priority to EP20204285.9A priority patent/EP3854309A1/en
Priority to US17/091,301 priority patent/US11779308B2/en
Publication of KR20210094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49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2Details of probe positioning or probe attachment to the patient
    • A61B8/4245Details of probe positioning or probe attachment to the patient involving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probe, e.g. with respect to an external reference frame or to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5215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 A61B8/5223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for extracting a diagnostic or physiological parameter from medical diagnostic da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6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s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8/461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 A61B8/465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adapted to display user selection data, e.g. icons or men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2Details of probe positioning or probe attachment to the patient
    • A61B8/4245Details of probe positioning or probe attachment to the patient involving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probe, e.g. with respect to an external reference frame or to the patient
    • A61B8/4254Details of probe positioning or probe attachment to the patient involving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probe, e.g. with respect to an external reference frame or to the patient using sensors mounted on the pro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6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s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8/461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6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s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8/461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 A61B8/463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characterised by displaying multiple images or images and diagnostic data on one displ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6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s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8/467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s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characterised by special input means
    • A61B8/468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s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characterised by special input means allowing annotation or message recor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54Control of the diagnostic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08Detecting organic movements or changes, e.g. tumours, cysts, swellings
    • A61B8/0825Detecting organic movements or changes, e.g. tumours, cysts, swellings for diagnosis of the breast, e.g. mammograph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 A61B8/4405Device being mounted on a troll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6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s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8/467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s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characterised by special input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529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using additional data, e.g. patient information, image labeling, acquisition parame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ology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Abstract

대상체의 제 1 초음파 영상과 관련된 제 1 타입의 제 1 프로브 마커를 포함하는 바디 마커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대상체의 제 2 초음파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처리부; 및 바디 마커에서 제 2 초음파 영상의 획득에 이용된 프로브의 위치를 식별하고, 제 1 타입의 제 1 프로브 마커의 위치와 식별된 위치의 비교 결과에 따라, 제 1 타입과는 상이한 제 2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를 바디 마커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진단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초음파 진단 장치 및 이에 의한 초음파 영상의 관리 방법{ULTRASOUND DIAGNOSIS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ULTRASOUND IMAGE THEREBY}
본 개시는 초음파 영상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초음파 진단 장치를 통해 획득되는 초음파 영상을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초음파 진단 장치는 프로브(probe)의 트랜스듀서(transducer)로부터 생성되는 초음파 신호를 대상체로 조사하고, 대상체로부터 반사된 신호의 정보를 수신하여 대상체 내부의 부위(예를 들면, 연조직 또는 혈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얻는다.
일반적으로, 초음파 영상에 태깅되는 바디 마커(body marker)는, 초음파 영상이 대상체의 어느 부분에서 촬영된 것인지를 나타내는데 이용된다. 바디 마커에는 초음파 영상의 촬영이 대상체의 어느 부분에 위치하는 프로브에 의해 이루어진 것인지를 나타내기 위한 프로브 마커(probe marker)가 포함된다. 사용자는 초음파 영상과, 바디 마커에 포함된 프로브 마커를 통해 초음파 영상이 대상체의 어떤 부분을, 어느 방향으로 촬영한 것인지를 쉽게 인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진단 장치 및 이에 의한 초음파 영상의 관리 방법은 바디 마커 및 프로브 마커를 통해 초음파 영상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진단 장치 및 이에 의한 초음파 영상의 관리 방법은, 사용자가 바디 마커만으로 병변 가능성이 높은 부위를 쉽게 인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진단 장치 및 이에 의한 초음파 영상의 관리 방법은, 사용자가 병변 가능성이 높은 부위에서 촬영된 초음파 영상들을 쉽게 검색할 수 있게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진단 장치는, 대상체의 제 1 초음파 영상과 관련된 제 1 타입의 제 1 프로브 마커를 포함하는 바디 마커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대상체의 제 2 초음파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처리부; 및 상기 바디 마커에서 상기 제 2 초음파 영상의 획득에 이용된 프로브의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제 1 타입의 제 1 프로브 마커의 위치와 상기 식별된 위치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 1 타입과는 상이한 제 2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를 상기 바디 마커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프로브 마커의 위치와 상기 식별된 위치 사이의 거리가 임계 거리 이하인 경우, 상기 제 2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를 상기 바디 마커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임계 거리는, 사용자의 조작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프로브 마커를 상기 바디 마커에서 삭제할 수 있다.
상기 제 1 타입의 제 1 프로브 마커는, 관련 초음파 영상의 개수가 단수임을 나타내고, 상기 제 2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는, 관련 초음파 영상의 개수가 복수임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제 2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는, 상기 제 1 초음파 영상의 개수와 상기 제 2 초음파 영상의 개수를 합한 결과 값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제 1 타입의 제 1 프로브 마커는, 하나의 헤드 부분과 하나의 바디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는, 하나의 헤드 부분, 및 상기 결과 값과 동일한 개수의 바디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는, 상기 결과 값에 해당하는 숫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진단 장치는, 상기 제 2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가 표시된 바디 마커, 및 상기 제 1 초음파 영상과 제 2 초음파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상체에 대한 사용자의 영상 검색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된 바디 마커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바디 마커에서 상기 제 2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제 1 초음파 영상과 상기 제 2 초음파 영상을 관련 초음파 영상으로서 상기 저장부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대상체의 제 3 초음파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디 마커에서 상기 제 3 초음파 영상의 획득에 이용된 프로브의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제 2 타입의 프로브 마커의 위치와 상기 제 3 초음파 영상의 획득에 이용된 프로브의 위치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 2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를 상기 제 2 타입의 제 3 프로브 마커로 변경하며, 상기 제 2 타입의 제 3 프로브 마커는, 상기 결과 값에 1을 더한 값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영상의 관리 방법은, 대상체의 제 1 초음파 영상과 관련된 제 1 타입의 제 1 프로브 마커를 포함하는 바디 마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바디 마커에서 제 2 초음파 영상의 획득에 이용된 프로브의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제 1 타입의 제 1 프로브 마커의 위치와 상기 식별된 위치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 1 타입과는 상이한 제 2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를 상기 바디 마커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를 상기 바디 마커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프로브 마커의 위치와 상기 식별된 위치 사이의 거리가 임계 거리 이하인 경우, 상기 제 2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를 상기 바디 마커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계 거리는, 사용자의 조작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영상의 관리 방법은, 상기 제 1 프로브 마커를 상기 바디 마커에서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타입의 제 1 프로브 마커는, 관련 초음파 영상의 개수가 단수임을 나타내고, 상기 제 2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는, 관련 초음파 영상의 개수가 복수임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제 2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는, 상기 제 1 초음파 영상의 개수와 상기 제 2 초음파 영상의 개수를 합한 결과 값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제 1 타입의 제 1 프로브 마커는, 하나의 헤드 부분과 하나의 바디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는, 하나의 헤드 부분, 및 상기 결과 값과 동일한 개수의 바디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는, 상기 결과 값에 해당하는 숫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영상의 관리 방법은, 상기 제 2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가 표시된 바디 마커, 및 상기 제 1 초음파 영상과 제 2 초음파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대상체에 대한 사용자의 영상 검색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된 바디 마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된 바디 마커에서 상기 제 2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제 1 초음파 영상과 상기 제 2 초음파 영상을 관련 초음파 영상으로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영상의 관리 방법은, 상기 바디 마커에서 제 3 초음파 영상의 획득에 이용된 프로브의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의 위치와 상기 제 3 초음파 영상의 획득에 이용된 프로브의 위치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 2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를 상기 제 2 타입의 제 3 프로브 마커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타입의 제 3 프로브 마커는, 상기 결과 값에 1을 더한 값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진단 장치 및 이에 의한 초음파 영상의 관리 방법에 따르면, 바디 마커 및 프로브 마커를 통해 초음파 영상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진단 장치 및 이에 의한 초음파 영상의 관리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바디 마커만으로 병변 가능성이 높은 부위를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진단 장치 및 이에 의한 초음파 영상의 관리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병변 가능성이 높은 부위에서 촬영된 초음파 영상들을 쉽게 검색할 수 있다.
다만,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진단 장치 및 이에 의한 초음파 영상의 관리 방법이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다음의 자세한 설명과 그에 수반되는 도면들의 결합으로 쉽게 이해될 수 있으며, 참조 번호(reference numerals)들은 구조적 구성요소(structural elements)를 의미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진단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진단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진단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진단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진단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된 제 1 초음파 영상과 바디 마커를 도시하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5는 제 2 초음파 영상과 관련된 제 2 프로브 마커를 바디 마커에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제 2 초음파 영상과 관련된 제 2 프로브 마커를 바디 마커에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제 2 타입의 프로브 마커를 도시하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8은 제 3 초음파 영상과 관련된 제 3 프로브 마커를 바디 마커에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바디 마커를 통해 초음파 영상을 검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제 2 초음파 영상과 관련된 제 2 프로브 마커를 바디 마커에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바디 마커를 통해 초음파 영상을 검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영상의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는 본 개시의 청구항의 권리범위를 명확히 하고, 본 개시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원리를 설명하고, 실시예들을 개시한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part, portion)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가 하나의 요소(unit, element)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가 복수의 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 및 실시예들의 작용 원리에 대해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영상은 자기 공명 영상(MRI) 장치, 컴퓨터 단층 촬영(CT) 장치, 초음파 촬영 장치, 또는 엑스레이 촬영 장치 등의 의료 영상 장치에 의해 획득된 의료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대상체(object)'는 촬영의 대상이 되는 것으로서, 사람, 동물, 또는 그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체는 신체의 일부(장기 또는 기관 등; organ) 또는 팬텀(phanto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초음파 영상'이란 대상체로 송신되고, 대상체로부터 반사된 초음파 신호에 근거하여 처리된 대상체(object)에 대한 영상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초음파 영상', '제 2 초음파 영상' 및 '제 3 초음파 영상'의 제 1, 제 2 및 제 3은 초음파 영상의 획득 순서를 나타낸다. 즉, 제 2 초음파 영상은 제 1 초음파 영상의 획득 이후에 획득되고, 제 3 초음파 영상은 제 2 초음파 영상의 획득 이후에 획득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 1 프로브 마커', '제 2 프로브 마커' 및 '제 3 프로브 마커'의 제 1, 제 2 및 제 3은 바디 마커 상에 프로브 마커가 표시된 순서를 나타낸다. 즉, 제 1 프로브 마커가 바디 마커에 표시된 후, 제 2 프로브 마커가 바디 마커에 표시되고, 제 2 프로브 마커가 바디 마커에 표시된 후, 제 3 프로브 마커가 바디 마커에 표시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진단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진단 장치(100)는 프로브(20), 초음파 송수신부(110), 제어부(120), 영상 처리부(130), 디스플레이부(140), 저장부(150), 통신부(160), 및 입력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진단 장치(100)는 카트형뿐만 아니라 휴대형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휴대형 초음파 진단 장치의 예로는 프로브 및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스마트 폰(smart phone), 랩탑 컴퓨터, PDA, 태블릿 PC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프로브(20)는 복수의 트랜스듀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트랜스듀서들은 송신부(113)로부터 인가된 송신 신호에 따라 대상체(10)로 초음파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복수의 트랜스듀서들은 대상체(10)로부터 반사된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 신호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브(20)는 초음파 진단 장치(100)와 일체형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초음파 진단 장치(100)와 유무선으로 연결되는 분리형으로 구현될수 있다. 또한, 초음파 진단 장치(100)는 구현 형태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브(20)를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프로브(20)에 포함되는 복수의 트랜스듀서들의 위치 및 집속점을 고려하여, 복수의 트랜스듀서들 각각에 인가될 송신 신호를 형성하도록 송신부(113)를 제어한다.
제어부(120)는 프로브(20)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신호를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하고, 복수의 트랜스듀서들의 위치 및 집속점을 고려하여, 디지털 변환된 수신 신호를 합산함으로써, 초음파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수신부(115)를 제어 한다.
영상 처리부(130)는 초음파 수신부(115)에서 생성된 초음파 데이터를 이용하여, 초음파 영상을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140)는 생성된 초음파 영상 및 초음파 진단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초음파 진단 장치(100)는 구현 형태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40)는 터치패널과 결합하여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초음파 진단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초음파 진단 장치(100)의 내부 구성 요소들 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초음파 진단 장치(100)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입력부(170) 또는 외부 장치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초음파 진단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초음파 진단 장치(100)는 통신부(160)를 포함하며, 통신부(160)를 통해 외부 장치(예를 들면, 서버, 의료 장치, 휴대 장치(스마트폰, 태블릿 PC, 웨어러블 기기 등))와 연결할 수 있다.
통신부(16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60)가 외부 장치로부터 제어 신호 및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신호를 제어부(120)에 전달하여 제어부(120)로 하여금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초음파 진단 장치(100)를 제어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제어부(120)가 통신부(160)를 통해 외부 장치에 제어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외부 장치를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는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외부 장치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외부 장치에는 초음파 진단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는 바, 이 프로그램은 제어부(120)의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은 외부 장치에 미리 설치될 수도 있고, 외부장치의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에는 해당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가 포함될 수 있다.
저장부(150)는 초음파 진단 장치(100)를 구동하고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또는 프로그램, 입/출력되는 초음파 데이터, 획득된 초음파 영상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입력부(170)는, 초음파 진단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입력은 버튼, 키 패드, 마우스, 트랙볼, 조그 스위치, 놉(knop) 등을 조작하는 입력, 터치 패드나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는 입력, 음성 입력, 모션 입력, 생체 정보 입력(예를 들어, 홍채 인식, 지문 인식 등)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진단 장치(100)의 예시는 도 2a, 도 2b, 및 도 2c를 통해 후술된다.
도 2a, 도 2b, 및 도 2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진단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초음파 진단 장치(100a, 100b)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21) 및 서브 디스플레이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디스플레이부(121) 및 서브 디스플레이부(122) 중 하나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인 디스플레이부(121) 및 서브 디스플레이부(122)는 초음파 영상 또는 초음파 진단 장치(100a, 100b)에서 처리되는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메인 디스플레이부(121) 및 서브 디스플레이부(122)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고, GUI 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초음파 진단 장치(100a, 100b)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디스플레이부(121)는 초음파 영상을 표시하고, 서브 디스플레이부(122)는 초음파 영상의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패널을 GUI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서브 디스플레이부(122)는 GUI 형태로 표시된 컨트롤 패널을 통하여, 영상의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초음파 진단 장치(100a, 100b)는 입력 받은 제어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인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된 초음파 영상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초음파 진단 장치(100b)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21) 및 서브 디스플레이부(122) 이외에 컨트롤 패널(16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165)은 버튼, 트랙볼, 조그 스위치, 놉(knop)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초음파 진단 장치(100b)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 패널(165)은 TGC(Time Gain Compensation) 버튼(171), Freeze 버튼(17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GC 버튼(171)은, 초음파 영상의 깊이 별로 TGC 값을 설정하기 위한 버튼이다. 또한, 초음파 진단 장치(100b)는 초음파 영상을 스캔하는 도중에 Freeze 버튼(172) 입력이 감지되면, 해당 시점의 프레임 영상이 표시되는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컨트롤 패널(165)에 포함되는 버튼, 트랙볼, 조그 스위치, 놉(knop) 등은, 메인 디스플레이부(121) 또는 서브 디스플레이부(122)에 GUI로 제공될 수 있다.
도 2c를 참조하면, 초음파 진단 장치(100c)는 휴대형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휴대형 초음파 진단 장치(100c)의 예로는, 프로브 및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스마트 폰(smart phone), 랩탑 컴퓨터, PDA, 태블릿 PC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초음파 진단 장치(100c)는 프로브(20)와 본체(40)를 포함하며, 프로브(20)는 본체(40)의 일측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체(40)는 터치 스크린(145)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45)은 초음파 영상, 초음파 진단 장치에서 처리되는 다양한 정보, 및 GUI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진단 장치(3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초음파 진단 장치(300)는 영상 처리부(310), 디스플레이부(330), 저장부(350) 및 제어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310), 저장부(350) 및 제어부(370) 중 적어도 하나는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영상 처리부(310)는 대상체의 초음파 영상을 획득한다. 도 3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영상 처리부(310)는 초음파 진단 장치(300)의 프로브를 통해 획득되는 반사 신호에 기초하여 초음파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30)는 초음파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330)는 대상체에 대응하는 바디 마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바디 마커는 대상체의 촬영 부위, 예를 들어, 간, 심장, 자궁, 뇌, 유방, 복부 등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대상체의 촬영 부위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의 바디 마커를 미리 저장된 여러 종류의 바디 마커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바디 마커는 프로브 마커를 포함할 수 있는데, 프로브 마커는 초음파 영상의 촬영에 이용된 프로브의 위치 및 방향을 나타낸다. 일 예로, 유방의 니플(nipple)의 좌측 하부에서 초음파 영상의 촬영이 이루어진 경우, 바디 마커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 하부에 프로브 마커가 표시할 수 있다.
프로브 마커는 초음파 영상의 획득 전 또는 획득 후에, 바디 마커 상에서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브의 위치 추적이 가능한 경우, 바디 마커 중 프로브의 추적된 위치에 대응하는 지점에 프로브 마커가 자동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저장부(350)는 대상체에 대한 촬영이 종료되면, 대상체의 초음파 영상과 바디 마커를 저장한다. 바디 마커는 대상체의 초음파 영상의 검색 및 초음파 영상의 촬영 위치를 식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제어부(370)는 영상 처리부(310), 디스플레이부(330) 및 저장부(35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370)는 디스플레이부(330)를 통해 대상체의 초음파 영상 및 바디 마커를 디스플레이한다. 제어부(370)는 초음파 영상과 관련된 프로브 마커를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수동적으로 바디 마커에 표시하거나, 프로브의 위치를 추적함으로써 자동적으로 바디 마커에 프로브 마커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70)는 바디 마커에 표시될 프로브 마커의 형태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브 마커는 제 1 타입과 제 2 타입을 가질 수 있는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370)는 소정 기준에 따라 제 1 타입의 프로브 마커와 제 2 타입의 프로브 마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형태의 프로브 마커를 바디 마커에 표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타입의 프로브 마커는, 관련 초음파 영상의 개수가 단수임을 나타내고, 제 2 타입의 프로브 마커는 관련 초음파 영상의 개수가 복수임을 나타낸다. 다시 말하면, 제 1 타입의 프로브 마커는, 바디 마커 내 제 1 타입의 프로브 마커의 위치에서 한 번의 초음파 영상의 촬영이 이루어졌다는 것을 의미하고, 제 2 타입의 프로브 마커는, 바디 마커 내 제 2 타입의 프로브 마커의 위치에서 복수 회의 초음파 영상의 촬영이 이루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인근 지점에서 복수의 초음파 영상이 획득되었다는 것은, 해당 지점이 병변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사용자는 바디 마커에 표시된 제 2 타입의 프로브 마커를 보고 대상체 내 병변 가능 위치를 쉽게 인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70)는 대상체의 초음파 영상과 바디 마커를 저장부(350)에 저장한 후, 사용자의 대상체에 대한 영상 검색 요청에 따라, 바디 마커를 디스플레이부(33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바디 마커에서 프로브 마커를 선택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프로브 마커와 관련된 초음파 영상을 디스플레이부(33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초음파 진단 장치(300)가 바디 마커에 프로브 마커를 표시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디스플레이부(330)를 통해 디스플레이된 제 1 초음파 영상(410)과 바디 마커(430)를 도시하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초음파 진단 장치(300)는 대상체의 제 1 초음파 영상(410)을 디스플레이부(33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330)에는 대상체의 촬영 부위에 대응하는 바디 마커(430)가 더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초음파 진단 장치(300)는 제 1 초음파 영상(410)의 획득 전 또는 획득 후에, 제 1 초음파 영상(410)의 획득에 이용된 프로브의 위치를 바디 마커(430) 상에서 식별하고, 식별된 위치에 제 1 타입의 제 1 프로브 마커(440)를 표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타입의 제 1 프로브 마커(440)는, 제 1 프로브 마커(440)와 관련된 초음파 영상, 즉, 제 1 초음파 영상(410)의 개수가 1개임을 나타낸다.
제 1 타입의 제 1 프로브 마커(440)는 헤드 부분(441)과 바디 부분(443)을 포함할 수 있다. 헤드 부분(441)은 프로브의 트랜스듀서들 중 특정 트랜스듀서, 예를 들어, 첫 번째 트랜스듀서의 위치를 나타내고, 바디 부분(443)은 프로브의 트랜스듀서들 중 특정 트랜스듀서 이외의 트랜스듀서들의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헤드 부분(441)과 바디 부분(443)을 포함하는 제 1 프로브 마커(440)의 방향에 따라 프로브의 트랜스듀서들이 어떤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었는지가 확인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제 1 타입의 제 1 프로브 마커(440)의 형상은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구현예에 따라, 헤드 부분(441)이 삼각형, 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또는, 제 1 타입의 제 1 프로브 마커(440)가 하나의 바디 부분(443)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설정 바(450)가 디스플레이부(33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설정 바(450)는 임계 거리의 설정에 이용될 수 있는데, 임계 거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사용자는 설정 바(450)의 조절을 통해 임계 거리를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설정 바(450) 대신 증가/감소 버튼을 통해 또는 수치 값을 입력함으로써 임계 거리를 설정할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은 제 2 초음파 영상과 관련된 제 2 프로브 마커를 바디 마커(430)에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 1 타입의 제 1 프로브 마커(440)가 바디 마커(430)에 표시된 후, 대상체의 제 2 초음파 영상이 획득되면, 초음파 진단 장치(300)는 제 2 초음파 영상과 관련된 제 2 프로브 마커를 바디 마커(430)에 표시된다. 이때, 초음파 진단 장치(300)는 제 1 타입 및 제 2 타입 중 어느 하나의 타입을 소정 기준에 따라 선택하고, 선택된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를 바디 마커(430)에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초음파 진단 장치(300)는 제 2 초음파 영상의 획득에 이용된 프로브의 위치(P)를 바디 마커(430) 상에서 식별하고, 식별된 위치(P)와 제 1 프로브 마커(440)의 위치 사이의 거리를 확인한다. 상기 식별된 위치(P)는 제 2 초음파 영상의 획득에 이용된 프로브의 트랜스듀서들 중 특정 트랜스듀서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고, 제 1 프로브 마커(440)의 위치는 헤드 부분(441)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초음파 진단 장치(300)는 제 2 초음파 영상의 획득에 이용된 프로브의 트랜스듀서들 중 특정 트랜스듀서의 위치와 제 1 프로브 마커(440)의 헤드 부분(441)의 위치 사이의 거리를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식별된 위치(P)와 제 1 프로브 마커(440)의 위치 사이의 거리를 확인하는 하나의 예시일 뿐, 거리를 측정하는 다양한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초음파 진단 장치(300)는 제 1 프로브 마커(440)의 위치와 프로브의 위치(P) 사이의 거리를 임계 거리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제 2 프로브 마커를 제 1 타입 또는 제 2 타입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초음파 진단 장치(300)는 제 1 프로브 마커(440)의 위치와 프로브의 위치(P) 사이의 거리가 임계 거리 이하이면, 제 2 프로브 마커의 타입을 제 2 타입으로 결정하고, 제 1 프로브 마커(440)의 위치와 프로브의 위치(P) 사이의 거리가 임계 거리보다 크면, 제 2 프로브 마커의 타입을 제 1 타입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바디 마커(430) 상에서 식별된 프로브의 위치(P)와 제 1 프로브 마커(440)의 위치 사이의 거리가 임계 거리보다 크면, 도 5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 진단 장치(300)는 제 1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540)를 바디 마커(430)에 표시한다. 제 2 프로브 마커(540)가 제 1 타입이라는 것은, 제 2 프로브 마커(540)와 관련된 초음파 영상, 즉 제 2 초음파 영상의 개수가 1개라는 것을 나타낸다.
반대로, 바디 마커(430) 상에서 식별된 프로브의 위치(P)와 제 1 프로브 마커(440)의 위치 사이의 거리가 임계 거리 이하이면, 도 6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 진단 장치(300)는 제 2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640)를 바디 마커(430)에 표시한다. 도 5와 비교하면, 제 2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640)가 바디 마커(430)에 표시됨에 따라 제 1 타입의 제 1 프로브 마커(440)는 바디 마커(430)에서 삭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제 2 프로브 마커(640)가 제 2 타입이라는 것은, 제 2 프로브 마커(640)와 관련된 초음파 영상의 개수가 복수 개라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제 1 타입의 제 1 프로브 마커(440)가 삭제됨에 따라, 제 1 초음파 영상과 제 2 초음파 영상이 제 2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640)와 관련된 초음파 영상인 것으로 결정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초음파 진단 장치(300)는 제 1 프로브 마커(440)의 위치와 제 2 초음파 영상의 획득에 이용된 프로브의 위치(P)가 동일한 경우에 제 2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640)를 바디 마커(430)에 표시하고, 반대로, 제 1 프로브 마커(440)의 위치와 제 2 초음파 영상의 획득에 이용된 프로브의 위치(P)가 상이한 경우에는 제 1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540)를 바디 마커(430)에 표시할 수도 있다.
제 2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640)는, 하나의 헤드 부분(641)과 복수의 바디 부분(643)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바디 부분(643)들의 개수는, 제 2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640)와 관련된 초음파 영상들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즉, 제 2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640)와 관련된 초음파 영상이 제 1 초음파 영상과 제 2 초음파 영상이라면, 2개의 바디 부분(643)들이 제 2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640)에 포함된다. 사용자는 제 2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640)의 바디 부분(643)들의 개수만 보고도, 해당 위치에서 몇 장의 초음파 영상들이 촬영되었는지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도 7은 제 2 타입의 프로브 마커를 도시하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제 2 타입의 프로브 마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타입의 프로브 마커는 원 형태의 헤드 부분과 직선 형태의 바디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타입의 프로브 마커는 삼각형 형태의 헤드 부분과 직선 형태의 바디 부분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7의 (a) 및 (b)는 바디 부분들이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바디 부분들 각각은 초음파 영상의 획득 시의 프로브의 트랜스듀서들의 방향과 동일하게 배열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타입의 프로브 마커는 숫자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숫자는 제 2 타입의 프로브 마커와 관련된 초음파 영상의 개수를 나타낸다. 즉, 제 2 타입의 프로브 마커와 관련된 초음파 영상이 제 1 초음파 영상과 제 2 초음파 영상이라면, 제 2 타입의 프로브 마커에는 2가 포함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제 2 타입의 프로브 마커들의 형태는 일 예시일 뿐이며, 제 2 타입의 프로브 마커는, 관련 초음파 영상의 개수가 1개임을 나타내는 제 1 타입의 프로브 마커와 구분되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8은 제 3 초음파 영상과 관련된 제 3 프로브 마커(840)를 바디 마커(430)에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 2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640)가 바디 마커(430)에 표시된 후, 제 3 초음파 영상이 획득되면, 초음파 진단 장치(300)는 제 3 초음파 영상의 획득에 이용된 프로브의 위치를 바디 마커(430)상에서 식별하고, 식별된 위치와 제 2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640)의 위치 사이의 거리가 임계 거리 이하인지 판단할 수 있다.
초음파 진단 장치(300)는 식별된 위치와 제 2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640)의 위치 사이의 거리가 임계 거리보다 크다면, 제 1 타입의 제 3 프로브 마커를 바디 마커(430)에 표시하고, 반대로, 식별된 위치와 제 2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640)의 위치 사이의 거리가 임계 거리 이하라면, 제 2 타입의 제 3 프로브 마커(840)를 바디 마커(430)에 표시한다.
제 2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640)는, 제 2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640)와 관련된 초음파 영상의 개수에 1을 더한 값을 나타내는 제 2 타입의 제 3 프로브 마커(840)로 변경된다. 도 8의 우측을 참조하면, 제 2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640)에 포함된 2개의 바디 부분들이, 제 2 타입의 제 3 프로브 마커(840)에서는 3개로 변경된 것을 알 수 있다. 즉, 제 1 초음파 영상, 제 2 초음파 영상 및 제 3 초음파 영상이 제 2 타입의 제 3 프로브 마커(840)와 관련된 초음파 영상으로 결정된다.
사용자는 바디 마커(430)에 표시된 제 2 타입의 제 3 프로브 마커(840)를 통해, 제 2 타입의 제 3 프로브 마커(840)의 위치에서 3번의 초음파 영상의 촬영이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9는 바디 마커(430)를 통해 초음파 영상을 검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대상체에 대한 촬영이 종료되면, 초음파 진단 장치(300)는 대상체의 초음파 영상들과 바디 마커(430)를 저장한다. 이후, 사용자가 대상체에 대한 영상 검색 요청을 하면, 대상체와 관련된 바디 마커(430)를 디스플레이부(330)에 디스플레이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 마커(430)는 제 2 타입의 제 3 프로브 마커(840) 이외에도 제 1 타입 및 제 2 타입의 프로브 마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바디 마커(430)에 포함된 프로브 마커들 중 제 2 타입의 제 3 프로브 마커(840)를 선택하면, 초음파 진단 장치(300)는 대상체의 초음파 영상들 중 제 2 타입의 제 3 프로브 마커(840)와 관련된 초음파 영상들을 저장부(350)로부터 획득하고, 획득한 초음파 영상들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8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 2 타입의 제 3 프로브 마커(840)와 관련된 초음파 영상들이 제 1 초음파 영상(410), 제 2 초음파 영상(510) 및 제 3 초음파 영상(610)이라면, 초음파 진단 장치(300)는 제 2 타입의 제 3 프로브 마커(840)와 관련된 초음파 영상으로서, 제 1 초음파 영상(410), 제 2 초음파 영상(510) 및 제 3 초음파 영상(610)을 디스플레이부(33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는 대상체의 바디 마커(430)에 포함된 프로브 마커들로부터 어느 위치에서 다수의 촬영이 이루어졌는지를 쉽게 인지할 수 있고, 다수의 촬영이 이루어진 것으로 확인되는 프로브 마커를 선택함으로써 여러 초음파 영상들을 쉽게 검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초음파 진단 장치(300)는 프로브를 통한 초음파 영상의 획득이 이루어질 때, 프로브의 자세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프로브의 자세 정보는 6자유도 중 프로브의 좌우 회전 각도, 전후 회전 각도 및 상하 회전 각도를 포함할 수 있다. 좌우 회전 각도는 롤(roll) 회전 각도로, 전후 회전 각도는 피치(pitch) 회전 각도로, 그리고, 상하 회전 각도는 요(yaw) 회전 각도로 참조될 수도 있다.
프로브의 자세 정보의 획득을 위해, 프로브에는 자이로 센서가 내장될 수 있다. 초음파 진단 장치(300)는 대상체의 초음파 영상이 획득되면, 해당 초음파 영상의 획득시의 프로브의 자세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자세 정보를 초음파 영상에 매핑시켜 저장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프로브 마커의 선택을 통해 초음파 영상을 검색할 때, 초음파 진단 장치(300)는 검색된 초음파 영상과 해당 초음파 영상에 매핑된 프로브의 자세 정보도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프로브의 상하 회전 각도가 변경되는 경우, 프로브 마커의 방향도 달라지므로, 바디 마커에 포함된 프로브 마커를 통해 프로브의 상하 회전 각도의 확인이 가능하지만, 프로브의 좌우 회전 각도 또는 전후 회전 각도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바디 마커 내 프로브 마커의 방향이 달라지지 않는다. 따라서, 초음파 진단 장치(300)는 초음파 영상이 획득될 때, 프로브의 자세 정보, 구체적으로는 좌우 회전 각도 및 전후 회전 각도를 확인하고, 확인된 자세 정보를 초음파 영상에 매핑시켜 저장할 수 있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 2 타입의 프로브 마커에 포함된 여러 바디 부분들을, 프로브의 자세 정보에 따라 서로 상이하게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2 타입의 프로브 마커가 3개의 바디 부분들을 포함하고, 3개의 바디 부분들 각각에 대응하는 초음파 영상의 획득시 프로브의 자세가 서로 달랐다면, 어느 하나의 바디 부분은 실선으로, 다른 하나의 바디 부분은 점선으로, 또 다른 바디 부분은 일점쇄선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도 10은 제 2 초음파 영상과 관련된 제 2 프로브 마커를 바디 마커(430)에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앞서서는, 제 2 초음파 영상의 획득시의 프로브의 위치(P)와 바디 마커(430)에 포함된 제 1 프로브 마커(440)의 위치 사이의 거리가 임계 거리 이하인 경우, 제 2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640)가 바디 마커(430)에 표시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구현예에 따라서는, 제 1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1040)를 바디 마커(430)에 표시하되, 제 1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1040)와 제 1 타입의 제 1 프로브 마커(440)를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즉, 도 10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초음파 영상의 획득시의 프로브의 위치(P)와 바디 마커(430)에 포함된 제 1 프로브 마커(440)의 위치 사이의 거리가 임계 거리 이하인 경우에도, 제 1 타입의 제 1 프로브 마커(440)의 인근에 제 1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1040)가 표시된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제 1 타입의 제 1 프로브 마커(440)와 제 1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1040)는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되었으므로, 하나의 그룹에 해당한다는 것을 나타내도록 제 1 타입의 제 1 프로브 마커(440)와 제 1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1040)의 색상이, 그룹에 포함되지 않은 다른 프로브 마커의 색상과 상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룹에 해당하지 않는 프로브 마커의 색상이 청색이라면, 그룹에 포함된 제 1 타입의 제 1 프로브 마커(440)와 제 1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1040)는 적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바디 마커(430)를 통해 초음파 영상을 검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대상체에 대한 촬영이 종료되면, 초음파 진단 장치(300)는 대상체의 초음파 영상들과 바디 마커(430)를 저장한다. 이후, 사용자가 대상체에 대한 영상 검색 요청을 하면, 대상체와 관련된 바디 마커(430)를 디스플레이부(330)에 디스플레이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 마커(430)는 그룹으로 설정된 제 1 타입의 제 1 프로브 마커(440), 제 1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1040) 및 기타 다른 프로브 마커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룹에 해당하는 제 1 프로브 마커(440)와 제 2 프로브 마커(1040)의 색상은, 그룹에 해당하지 않는 프로브 마커의 색상과 상이할 수 있다.
사용자가 바디 마커(430)에 포함된 프로브 마커들 중 제 1 프로브 마커(440) 또는 제 2 프로브 마커(1040)를 선택하면, 초음파 진단 장치(300)는 대상체의 초음파 영상들 중 제 1 프로브 마커(440)와 관련된 제 1 초음파 영상(410)과 제 2 프로브 마커(1040)와 관련된 제 2 초음파 영상(51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영상의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S1210 단계에서, 초음파 진단 장치(300)는 대상체의 제 1 초음파 영상과 관련된 제 1 타입의 제 1 프로브 마커를 포함하는 바디 마커를 디스플레이한다.
초음파 진단 장치(300)는 제 1 초음파 영상의 획득 전 또는 획득 후에 제 1 타입의 제 1 프로브 마커를 바디 마커에 표시할 수 있다. 제 1 타입의 제 1 프로브 마커는, 제 1 프로브 마커와 관련된 초음파 영상, 즉 제 1 초음파 영상의 개수가 1개라는 것을 나타낸다.
S1220 단계에서, 초음파 진단 장치(300)는 대상체의 제 2 초음파 영상을 획득한다. 사용자가 대상체의 일부분에 프로브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프리즈 버튼을 선택함에 따라 초음파 진단 장치(300)는 대상체의 제 2 초음파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S1230 단계에서, 초음파 진단 장치(300)는 제 2 초음파 영상의 획득에 이용된 프로브의 위치를 바디 마커 상에서 식별한다. 초음파 진단 장치(300)는 바디 마커 중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를 프로브의 위치로 식별할 수 있고, 또는, 제 1 초음파 영상의 획득시의 프로브의 위치를 추적하고, 추척한 위치에 대응하는 지점을 바디 마커에서 식별할 수도 있다. 제 2 초음파 영상의 획득에 이용된 프로브의 위치는 프로브의 트랜스듀서들 중 특정 트랜스듀서의 위치일 수 있다.
S1240 단계에서, 초음파 진단 장치(300)는 바디 마커에 표시된 제 1 타입의 제 1 프로브 마커의 위치와 S1230 단계에서 식별된 위치 사이의 거리를 확인하고, 확인된 거리와 임계 거리를 비교한다.
초음파 진단 장치(300)는 제 2 초음파 영상의 획득에 이용된 프로브의 트랜스듀서들 중 특정 트랜스듀서의 위치와 제 1 프로브 마커의 헤드 부분의 위치 사이의 거리를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식별된 프로브의 위치와 제 1 프로브 마커의 위치 사이의 거리를 확인하는 하나의 예시일 뿐, 거리를 측정하는 다양한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초음파 진단 장치(300)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임계 거리를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도 있다.
S1250 단계에서, 초음파 진단 장치(300)는 S1240 단계에서의 비교 결과에 따라 제 2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를 바디 마커에 표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초음파 진단 장치(300)는 제 1 프로브 마커의 위치와 프로브의 위치 사이의 거리가 임계 거리보다 크면, 제 1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를 바디 마커에 표시한다. 제 2 프로브 마커가 제 1 타입이라는 것은, 제 2 프로브 마커와 관련된 초음파 영상, 즉 제 2 초음파 영상의 개수가 1개라는 것을 나타낸다.
반대로, 초음파 진단 장치(300)는 바디 마커 상에서 식별된 프로브의 위치와 제 1 프로브 마커의 위치 사이의 거리가 임계 거리 이하이면, 제 2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를 바디 마커에 표시한다. 제 2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가 바디 마커에 표시됨에 따라 제 1 타입의 제 1 프로브 마커는 바디 마커에서 삭제될 수 있다. 제 2 프로브 마커가 제 2 타입이라는 것은, 제 2 프로브 마커와 관련된 초음파 영상의 개수가 복수 개라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초음파 진단 장치(300)는 제 1 프로브 마커의 위치와 제 2 초음파 영상의 획득에 이용된 프로브의 위치가 동일한 경우에 제 2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를 바디 마커에 표시하고, 반대로, 제 1 프로브 마커의 위치와 제 2 초음파 영상의 획득에 이용된 프로브의 위치가 상이한 경우에는 제 1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를 바디 마커에 표시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초음파 진단 장치(300)는 제 1 프로브 마커의 위치와 제 2 초음파 영상의 획득에 이용된 프로브의 위치 사이의 거리가 임계 거리 이하인 경우, 제 1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를 바디 마커에 표시하되, 제 1 타입의 제 1 프로브 마커와 제 1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를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다.
대상체에 대한 촬영이 종료되면, 초음파 진단 장치(300)는 대상체의 초음파 영상들과 바디 마커를 저장한다. 이후, 사용자가 대상체에 대한 영상 검색 요청을 하면, 대상체와 관련된 바디 마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바디 마커에 포함된 프로브 마커들 중 제 2 타입의 프로브 마커를 선택하면, 초음파 진단 장치(300)는 제 2 타입의 프로브 마커와 관련된 초음파 영상들을 저장부(350)로부터 획득하고, 획득한 초음파 영상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소정의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명령어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개시된 실시예들의 소정의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300: 초음파 진단 장치
310: 영상 처리부
330: 디스플레이부
350: 저장부
370: 제어부

Claims (20)

  1. 대상체의 제 1 초음파 영상과 관련된 제 1 타입의 제 1 프로브 마커를 포함하는 바디 마커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대상체의 제 2 초음파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처리부; 및
    상기 바디 마커에서 상기 제 2 초음파 영상의 획득에 이용된 프로브의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제 1 타입의 제 1 프로브 마커의 위치와 상기 식별된 위치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 1 타입과는 상이한 제 2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를 상기 바디 마커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초음파 진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프로브 마커의 위치와 상기 식별된 위치 사이의 거리가 임계 거리 이하인 경우, 상기 제 2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를 상기 바디 마커에 표시하는, 초음파 진단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 거리는,
    사용자의 조작에 기반하여 설정되는, 초음파 진단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프로브 마커를 상기 바디 마커에서 삭제하는, 초음파 진단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입의 제 1 프로브 마커는, 관련 초음파 영상의 개수가 단수임을 나타내고,
    상기 제 2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는, 관련 초음파 영상의 개수가 복수임을 나타내는, 초음파 진단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는,
    상기 제 1 초음파 영상의 개수와 상기 제 2 초음파 영상의 개수를 합한 결과 값을 나타내는, 초음파 진단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입의 제 1 프로브 마커는,
    하나의 헤드 부분과 하나의 바디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는,
    하나의 헤드 부분, 및 상기 결과 값과 동일한 개수의 바디 부분들을 포함하는, 초음파 진단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는,
    상기 결과 값에 해당하는 숫자를 포함하는, 초음파 진단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대상체의 제 3 초음파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디 마커에서 상기 제 3 초음파 영상의 획득에 이용된 프로브의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제 2 타입의 프로브 마커의 위치와 상기 제 3 초음파 영상의 획득에 이용된 프로브의 위치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 2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를 상기 제 2 타입의 제 3 프로브 마커로 변경하며,
    상기 제 2 타입의 제 3 프로브 마커는, 상기 결과 값에 1을 더한 값을 나타내는, 초음파 진단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진단 장치는,
    상기 제 2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가 표시된 바디 마커, 및 상기 제 1 초음파 영상과 제 2 초음파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상체에 대한 사용자의 영상 검색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된 바디 마커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바디 마커에서 상기 제 2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제 1 초음파 영상과 상기 제 2 초음파 영상을 관련 초음파 영상으로서 상기 저장부로부터 획득하는, 초음파 진단 장치.
  11. 대상체의 제 1 초음파 영상과 관련된 제 1 타입의 제 1 프로브 마커를 포함하는 바디 마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바디 마커에서 제 2 초음파 영상의 획득에 이용된 프로브의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제 1 타입의 제 1 프로브 마커의 위치와 상기 식별된 위치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 1 타입과는 상이한 제 2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를 상기 바디 마커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음파 영상의 관리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를 상기 바디 마커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프로브 마커의 위치와 상기 식별된 위치 사이의 거리가 임계 거리 이하인 경우, 상기 제 2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를 상기 바디 마커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음파 영상의 관리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 거리는,
    사용자의 조작에 기반하여 설정되는, 초음파 영상의 관리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영상의 관리 방법은,
    상기 제 1 프로브 마커를 상기 바디 마커에서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초음파 영상의 관리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입의 제 1 프로브 마커는, 관련 초음파 영상의 개수가 단수임을 나타내고,
    상기 제 2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는, 관련 초음파 영상의 개수가 복수임을 나타내는, 초음파 영상의 관리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는,
    상기 제 1 초음파 영상의 개수와 상기 제 2 초음파 영상의 개수를 합한 결과 값을 나타내는, 초음파 영상의 관리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입의 제 1 프로브 마커는,
    하나의 헤드 부분과 하나의 바디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는,
    하나의 헤드 부분, 및 상기 결과 값과 동일한 개수의 바디 부분들을 포함하는, 초음파 영상의 관리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는,
    상기 결과 값에 해당하는 숫자를 포함하는, 초음파 영상의 관리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영상의 관리 방법은,
    상기 바디 마커에서 제 3 초음파 영상의 획득에 이용된 프로브의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의 위치와 상기 제 3 초음파 영상의 획득에 이용된 프로브의 위치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 2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를 상기 제 2 타입의 제 3 프로브 마커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타입의 제 3 프로브 마커는, 상기 결과 값에 1을 더한 값을 나타내는, 초음파 영상의 관리 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영상의 관리 방법은,
    상기 제 2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가 표시된 바디 마커, 및 상기 제 1 초음파 영상과 제 2 초음파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대상체에 대한 사용자의 영상 검색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된 바디 마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된 바디 마커에서 상기 제 2 타입의 제 2 프로브 마커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제 1 초음파 영상과 상기 제 2 초음파 영상을 관련 초음파 영상으로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초음파 영상의 관리 방법.
KR1020200008748A 2020-01-22 2020-01-22 초음파 진단 장치 및 이에 의한 초음파 영상의 관리 방법 KR2021009491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748A KR20210094913A (ko) 2020-01-22 2020-01-22 초음파 진단 장치 및 이에 의한 초음파 영상의 관리 방법
EP20204285.9A EP3854309A1 (en) 2020-01-22 2020-10-28 Ultrasound diagnosis apparatus and method of managing ultrasound image obtained thereby
US17/091,301 US11779308B2 (en) 2020-01-22 2020-11-06 Ultrasound diagnosis apparatus and method of managing ultrasound image obtained thereb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748A KR20210094913A (ko) 2020-01-22 2020-01-22 초음파 진단 장치 및 이에 의한 초음파 영상의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4913A true KR20210094913A (ko) 2021-07-30

Family

ID=73037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8748A KR20210094913A (ko) 2020-01-22 2020-01-22 초음파 진단 장치 및 이에 의한 초음파 영상의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779308B2 (ko)
EP (1) EP3854309A1 (ko)
KR (1) KR20210094913A (ko)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0684A (ja) 1995-04-18 1996-10-29 Fujitsu Ltd 超音波診断装置
JP2000254125A (ja) 1999-03-05 2000-09-19 Hitachi Medical Corp 超音波診断装置
US6675038B2 (en) * 2001-05-14 2004-01-06 U-Systems, Inc. Method and system for recording probe position during breast ultrasound scan
JP4490715B2 (ja) 2004-03-25 2010-06-30 株式会社東芝 超音波診断装置
JP4969956B2 (ja) 2006-09-11 2012-07-04 株式会社東芝 超音波診断装置及び超音波診断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2008104551A (ja) 2006-10-24 2008-05-08 Toshiba Corp 超音波診断装置
JP2014064637A (ja) 2012-09-25 2014-04-17 Fujifilm Corp 超音波診断装置
JP5958290B2 (ja) 2012-11-07 2016-07-27 富士通株式会社 コミュニケーション支援プログラム、コミュニケーション支援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JP6011378B2 (ja) 2013-02-05 2016-10-19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超音波画像診断装置
JP6488716B2 (ja) * 2015-01-21 2019-03-27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超音波診断装置
KR20180096342A (ko) * 2017-02-21 2018-08-29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초음파 영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9000315A (ja) * 2017-06-14 2019-01-10 キヤノン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超音波診断装置、及び医用画像処理装置
JP6538130B2 (ja) 2017-09-01 2019-07-03 キヤノン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779308B2 (en) 2023-10-10
EP3854309A1 (en) 2021-07-28
US20210219946A1 (en) 2021-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95032B2 (en) Medical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US20230062672A1 (en)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US11793482B2 (en) Ultrasound imag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11317895B2 (en) Ultrasound diagnosis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7442600B2 (ja) ガイダンス信号の決定及び手持ち式超音波トランスデューサのためのガイダンス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
US11696744B2 (en) Ultrasound imaging apparatus for registering ultrasound image with image from another modality and method of operating ultrasound imaging apparatus
KR102593439B1 (ko) 초음파 진단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초음파 진단 장치
KR102656563B1 (ko) 초음파 진단 장치 및 초음파 진단 장치의 제어 방법
US11096667B2 (en) Ultrasound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210094913A (ko) 초음파 진단 장치 및 이에 의한 초음파 영상의 관리 방법
US20190388061A1 (en) Ultrasound diagnosis apparatus displaying shear wave data for object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US1176623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ultrasound image providing orientation of fe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KR102608820B1 (ko) 초음파 진단 장치 및 그 표시 방법
KR20210098243A (ko) 초음파 영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10056884A (ko) 의료 영상 출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의료 영상 출력 방법
US20240023939A1 (en) Ultrasound diagnostic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US11419574B2 (en) Ultrasound imag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KR20200140683A (ko) 초음파 영상과 3차원 의료 영상의 정렬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210219959A1 (en) Ultrasound diagnosis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2023543010A (ja) ツール追跡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KR20170126773A (ko) 초음파 영상을 출력하는 방법 및 초음파 진단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