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4059A - 연결 구축 방법 및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연결 구축 방법 및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4059A
KR20210094059A KR1020217020094A KR20217020094A KR20210094059A KR 20210094059 A KR20210094059 A KR 20210094059A KR 1020217020094 A KR1020217020094 A KR 1020217020094A KR 20217020094 A KR20217020094 A KR 20217020094A KR 20210094059 A KR20210094059 A KR 20210094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cp connection
data transmission
transmission delay
network
termi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0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4305B1 (ko
Inventor
하오 왕
송핑 야오
천런 쉬
판자오 왕
싱민 구오
시양리 리
쥐위 천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페킹 유니버시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페킹 유니버시티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94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4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4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4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04W76/16Involving differ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e.g. a packet-switched [PS] bearer in combination with a circuit-switched [CS] bear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52De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1Setup of application se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4Multichannel or multilink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6Transport layer protocols, e.g. TCP [Transport Control Protocol] over wire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연결 구축 방법 및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이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단말 장치는 먼저 단말 장치와 애플리케이션 서버 사이에 구축된 MPTCP 연결의 이력 데이터를 획득한다. 이력 데이터에는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과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단말 장치는 이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데이터 전송 여부를 결정한다.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지연이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보다 작거나 같으며, 셀룰러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대한 첫 번째 TCP 연결을 구축한다. 첫 번째 TCP 연결이 성공적으로 구축된 후, 단말 장치는 Wi-Fi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대한 두 번째 TCP 연결을 구축한다.

Description

연결 구축 방법 및 단말 장치
본 출원은 2018년 12월 25일에 중국 특허청에 제출된 "연결 구축 방법 및 단말 장치"라는 제목의 중국 특허 출원 번호 201811593656.3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하며, 전체 내용이 여기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 출원은 단말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결 구축 방법 및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중 경로 전송 제어 프로토콜(Multipath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MPTCP)은 TCP의 확장으로, 여러 TCP 연결의 병렬 전송을 사용하여 자원 활용도를 높이고 연결 실패 복구 성능을 향상시킨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동영상을 볼 때 휴대 전화는 Wi-Fi 네트워크와 셀룰러 네트워크에 개별로 대응하는 TCP 연결을 통해 동시에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더 큰 집성된 대역폭을 제공할 수 있고, 다운로드 속도가 더 빨라지고, 프레임 멈춤(freezing)이 줄어들고, 재생이 더 부드러워진다.
현재, MPTCP 구축 방법은 먼저 Wi-Fi 네트워크에서 첫 번째 TCP 연결을 구축한 다음 첫 번째 TCP 연결이 성공적으로 구축된 후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두 번째 TCP 연결을 구축하는 것이다. 그러나 첫 번째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이 매우 큰 경우 두 번째 TCP 연결은 비교적 긴 시간이 지난 후에나 구축되거나; 또는 첫 번째 TCP 연결이 성공적으로 구축되지 않으면 두 번째 TCP 연결도 성공적으로 구축될 수 없다.
본 출원은 종래의 MPTCP에서 첫 번째 TCP 연결의 큰 데이터 전송 지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결 구축 방법 및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제1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연결 구축 방법을 제공하며, 이 방법은 단말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이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단말 장치가 먼저 단말 장치와 애플리케이션 서버 사이에 구축된 MPTCP 연결의 이력 데이터를 획득한다. 이력 데이터에는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과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단말 장치는 이력 데이터에 기초하여셀룰러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지연이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보다 작거나 같은 것으로 결정하면, 셀룰러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대한 첫 번째 TCP 연결을 구축하고, 첫 번째 TCP 연결이 성공적으로 구축된 후, 단말 장치는 Wi-Fi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대한 두 번째 TCP 연결을 구축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이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이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보다 크다고 결정하는 경우, 단말 장치는 Wi-Fi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대한 첫 번째 TCP 연결을 구축하고, 첫 번째 TCP 연결이 성공적으로 구축된 후, 단말 장치는 셀룰러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대한 두 번째 TCP 연결을 구축한다.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는 데이터 전송 지연이 상대적으로 작은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먼저 첫 번째 TCP 연결을 구축하므로 MPTCP 연결에서 첫 번째 TCP 연결을 구축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이로써 재생 시작 지연을 줄이고 사용자 경험을 개선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단말 장치와 애플리케이션 서버 간에 구축된 MPTCP 연결 이력 데이터를 획득한 후, 단말 장치는 수식 1 내지 수식 3에 따라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의 제1 평균값 및 표준 편차, 그리고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의 제2 평균값을 계산한다.
Figure pct00001
인 경우, 단말 장치는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이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보다 작거나 같다고 결정하거나; 또는
Figure pct00002
인 경우, 단말 장치는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이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보다 크다고 결정한다.
Figure pct00003
(수식 1);
Figure pct00004
(수식 2); 및
Figure pct00005
(수식 3)이고,
Figure pct00006
는 제1 평균값,
Figure pct00007
는 제2 평균값,
Figure pct00008
는 표준 편차,
Figure pct00009
내지
Figure pct00010
은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 N은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의 수량,
Figure pct00011
내지
Figure pct00012
는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 M은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의 수량이다.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는 상대적으로 데이터 전송 지연이 적은 TCP 연결을 사용하는 타겟 네트워크를 계산을 통해 정확하게 획득한 다음 상대적으로 작은 데이터 전송 지연을 가진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첫 번째 TCP 연결을 구축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설계에서, 단말 장치는 수식 4에 따라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의 제2 가중 평균 값(
Figure pct00013
)을 더 계산할 수 있다.
Figure pct00014
이면 단말 장치는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이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보다 작거나 같다고 결정하거나; 또는
Figure pct00015
이면 단말 장치는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이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보다 큰 것으로 결정한다.
Figure pct00016
(수식 4),
여기서,
Figure pct00017
내지
Figure pct00018
는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 M은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의 수량,
Figure pct00019
내지
Figure pct00020
는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의 가중치,
Figure pct00021
는 제2 가중 평균값이다.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는 데이터 전송 지연이 상대적으로 작은 TCP 연결을 가진 타겟 네트워크를 다른 방식의 계산을 통해 정확하게 획득한 다음 비교적 작은 데이터 전송 지연을 가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첫 번째 TCP 연결을 구축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이력 데이터가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 셀룰러 네트워크의 식별자 및 Wi-Fi 네트워크의 식별자를 더 포함하는 경우, 단말 장치는, 먼저 이력 데이터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와 동일한 식별자의 타겟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 세트를 결정하고, 그런 다음, 셀룰러 네트워크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 세트로부터 현재 셀룰러 네트워크의 식별자와 동일한 식별자의 제1 데이터 전송 지연을 결정하며, Wi-Fi 네트워크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 세트로부터 현재 Wi-Fi 네트워크의 식별자와 동일한 식별자의 제2 데이터 전송 지연을 결정하고, 상기 제1 데이터 전송 지연 및 상기 제2 데이터 전송 지연에 기초하여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이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보다 작거나 같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이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는 이력 데이터에 있는 데이터를 필터링하고, 동일한 애플리케이션 식별자 및 동일한 액세스 포인트를 갖는 데이터를 선택함으로써 비교적 작은 데이터 전송 지연을 가진 네트워크를 정확하게 결정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단말 장치는 제2 데이터 전송 지연의 제2 가중 평균값을 계산하는데, 여기서 구축 시점이 더 빠른 TCP 연결일수록 더 낮은 제2 데이터 전송 지연의 가중치를 가진다. 제1 평균값과 두 표준 편차의 합이 제2 평균값보다 작거나 같고 제1 평균값과 두 표준 편차의 합이 제2 가중 평균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단말 장치는 Wi-Fi 네트워크를 타겟 네트워크로 결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셀룰러 네트워크를 타겟 네트워크로 결정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단말 장치는 이력 데이터로부터 제1 데이터 전송 지연 및 제2 데이터 전송 지연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결정한다.
Wi-Fi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스와 셀룰러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스를 모두 사용할 수 있는 경우 단말 장치는 셀룰러 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라고 결정한다. LTE 네트워크의 수신 신호 강도 RSSI가 설정 값보다 클 때, 단말 장치는 타겟 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라고 결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타겟 네트워크가 Wi-Fi 네트워크라고 결정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단말 장치는 현재 구축된 두 개의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을 저장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타겟 네트워크는 후속하는 시점에 계산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패킷은 단말 장치에 의해 액세스되는 셀룰러 네트워크의 기지국으로 전송되며, 여기서 패킷은 단말 장치의 셀룰러 네트워크를 활성화하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데이터 전송 지연을 약 200ms까지 줄일 수 있다.
제2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메모리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단말 장치는 전술한 측면 중 어느 하나에서 임의의 가능한 설계로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제3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장치를 더 제공한다. 이 장치는 전술한 측면들 중 임의의 하나에서 임의의 가능한 설계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유닛을 포함한다. 이러한 모듈/유닛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대응하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여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제4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컴퓨터 프로그램이 단말 장치에서 실행될 때, 단말 장치는 전술한 측면들 중 어느 하나에서 임의의 가능한 설계로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제5 측면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더 제공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단말기에서 실행될 때, 단말기 장치는 전술한 측면들 중 어느 하나에서 임의의 가능한 설계로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이러한 측면 또는 다른 측면은 다음 실시예의 설명에서 더 명확하고 이해하기 쉽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MPTCP 애플리케이션의 시스템 아키텍처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네트워크 전개에서의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라 TCP 프로토콜 스택을 MPTCP 프로토콜 스택으로 확장하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MPTCP 구현 프로세스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안드로이드 시스템의 개략적인 아키텍처 다이어그램이다.
도 7은 현 기술에 따른 MPTCP 구축 프로세스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MPTCP 구축 프로세스의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구축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 1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구축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 2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구축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다음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을 설명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의 설명에서, 아래에 언급된 "제1" 및 "제2"라는 용어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해당 기술적 특징의 상대적 중요성의 표시 또는 함축 또는 수량의 암시적 표시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따라서, "제1" 또는 "제2"에 의해 제한되는 기능은 명시적으로 또는 묵시적으로 하나 이상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의 설명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는 둘 이상을 의미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제공되는 연결 구축 방법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에 적용될 수 있다. 데이터 수신단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 및 코어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단과 데이터를 교환하며, 데이터 전송단과 데이터 수신단의 사이에는 전송 제어 프로토콜(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연결이 추가로 구축될 수 있고, 데이터는 TC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전송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장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데이터를 교환한다. 단말 장치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RAN에 연결되고 코어 네트워크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연결된다. 단말과 RAN 사이의 네트워크는 무선 네트워크라고 할 수 있고, RAN과 애플리케이션 서버 사이의 네트워크는 유선 네트워크라고 할 수 있다. TCP 연결이 구축되고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단말 간에 데이터 전송이 수행된다.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서버 클러스터의 서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 애플리케이션의 서로 다른 비디오 세그먼트가 서로 다른 서버에 배포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서버일 수도 있다.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통신 네트워크가 함께 배치되는 통신 아키텍처로 발전했다. 단말은 통신을 위해 하나 이상의 통신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가 근거리 통신망인 경우, 통신 네트워크는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네트워크,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지그비(ZigBee) 네트워크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NFC) 네트워크와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가 광역 네트워크인 경우, 통신 네트워크는 3세대 이동 통신 기술(3G) 네트워크, 4세대 이동 통신 기술(4G) 네트워크, 5세대 이동 통신 기술(5G) 네트워크, 미래 진화된 공중 지상 이동 네트워크(PLMN) 또는 인터넷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Wi-Fi 네트워크와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가 전개된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은 Wi-Fi 네트워크에 액세스하여 진화된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Evolved Packet Data Gateway, ePDG) 또는 트러스티드 게이트웨이(trusted gateway, TGW)를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거나; 또는 LTE 네트워크에 액세스하여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 SGW) 또는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Packet Data Network Gateway, PGW)를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종 네트워크의 전개는 다중 경로 데이터 전송 서비스의 개발을 촉진한다. 현재는 TCP 프로토콜을 확장하여 MPTCP 프로토콜을 얻었으며, MPTCP 프로토콜은 서비스가 다중 경로 네트워크 리소스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휴대 전화는 Wi-Fi 네트워크 리소스와 LTE 네트워크 리소스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도 3은 TCP 프로토콜 스택을 MPTCP 프로토콜 스택으로 확장하는 개략도이다. TCP 프로토콜 스택에서는 하나의 TCP 연결을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계층의 데이터 스트림이 전송된다. MPTCP 프로토콜 스택에서 전송 계층은 MPTCP 계층과 TCP 계층의 두 개의 하위 계층으로 나뉘며, 애플리케이션 계층의 데이터 스트림은 MPTCP 계층에 의해 분해된 두 개의 TCP 연결을 사용하여 전송된다.
도 4는 MPTCP의 사용 시나리오의 개략도이다. 도 4에서, 단말 장치와 애플리케이션 서버 간에 두 개의 TCP 연결이 구축된다. 하나의 TCP 연결은 Wi-Fi 네트워크 리소스를 사용하고 다른 TCP 연결은 LTE 네트워크 리소스를 사용한다.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MPTCP 계층은 TCP 흐름을 두 개의 TCP 하위 흐름으로 분할한 다음 두 개의 TCP 연결을 사용하여 두 개의 TCP 하위 흐름을 단말 장치로 개별적으로 보낸다. 두 개의 TCP 하위 흐름을 수신한 후 단말 장치는 두 개의 하위 흐름을 결합한 다음 두 개의 하위 흐름을 애플리케이션 계층으로 보낸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도 1에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 장치는 개인용 디지털 어시스턴트 기능 및/또는 음악 재생 기능과 같은 다른 기능을 더 포함하는, 휴대 전화, 태블릿 컴퓨터와 같은 휴대용 단말 장치이거나,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진 웨어러블 장치(예컨대 스마트 워치)일 수 있다. 휴대용 단말 장치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iOS®, Android®, Microsoft® 또는 다른 운영 체제를 사용하는 휴대용 단말 장치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휴대용 단말 장치는 다른 휴대용 단말 장치, 예를 들어 터치 감응 표면을 갖는 랩톱(노트북) 컴퓨터(예를 들어, 터치 패널)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는 대안적으로 터치 감응 표면(예를 들어, 터치 패널)을 갖는 데스크톱 컴퓨터일 수 있지만 휴대용 단말 장치는 아닐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는 휴대 전화일 수 있다. 다음은 이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휴대 전화를 예로 사용한다.
휴대 전화는 프로세서(110), 외부 메모리 인터페이스(120), 내부 메모리(121), USB 인터페이스(130), 충전 관리 모듈(140), 전력 관리 모듈(141), 배터리(142), 안테나 1, 안테나 2, 이동 통신 모듈(150), 무선 통신 모듈(160), 오디오 모듈(170), 스피커(170A), 전화 수신기(170B), 마이크(170C), 헤드셋 인터페이스(170D), 센서 모듈(180), 키(190), 모터(191), 인디케이터(192), 카메라(193), 표시 화면(194), SIM 카드 인터페이스(19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180)은 압력 센서(180A), 자이로 센서(180B), 기압 센서(180C), 자기 센서(180D), 가속도 센서(180E), 거리 센서(180F), 광 근접 센서(180G), 지문 센서(180H), 온도 센서(180J), 터치 센서(180K), 주변 광 센서(180L), 골전도 센서(180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 도시된 구조는 휴대 전화에 대한 특정 제한을 구성하지 않음을 이해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 휴대 전화는 도면에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적은 구성 요소를 포함하거나, 일부 구성 요소를 결합하거나, 일부 구성 요소를 분할하거나, 다른 구성 요소 배열을 가질 수 있다. 도면에 표시된 구성 요소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하나 이상의 처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모뎀 프로세서, 그래픽 처리 유닛(GPU),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ISP), 컨트롤러, 메모리, 비디오 코덱,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기저대역 프로세서 및/또는 신경망 처리 장치(Neural-network Processing Unit, NPU)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처리 장치는 독립적인 구성 요소이거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 있다.
컨트롤러는 휴대 전화의 신경 센터 및 명령 센터일 수 있다. 컨트롤러는 명령 읽기 및 명령 실행의 제어를 완료하기 위해 명령 연산 코드 및 시간 시퀀스 신호에 기초하여 연산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에는 메모리가 더 배치될 수 있으며,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0)의 메모리는 고속 캐시 메모리이다. 메모리는 프로세서(110)에 의해 방금 사용되거나 주기적으로 사용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가 명령어 또는 데이터를 다시 사용해야 하는 경우, 프로세서(110)는 메모리로부터 명령어 또는 데이터를 직접 호출할 수 있다. 이는 반복적인 액세스를 방지하고 프로세서(110)의 대기 시간을 줄여 시스템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0)는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인터-통합 회로(inter-integrated circuit, I2C) 인터페이스, 인터-통합 회로 사운드(inter-integrated circuit sound, I2S) 인터페이스, 펄스 코드 변조(pulse code modulation, PCM) 인터페이스, 범용 비동기 수신기/송신기(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nasmitter, UART) 인터페이스, 모바일 산업 프로세서 인터페이스(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 MIPI), 범용 입/출력(general-purpose input/output, GPIO) 인터페이스, 가입자 식별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인터페이스,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인터페이스, 및/또는 기타를 포함할 수 있다.
I2C 인터페이스는 양방향 동기화 직렬 버스이며 직렬 데이터 라인(serial data line, SDA) 및 직렬 클록 라인(serial clock line, SCL)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0)는 복수의 I2C 버스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서로 다른 I2C 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터치 센서(180K), 충전기, 플래시, 카메라(193) 등에 개별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I2C 인터페이스를 통해 터치 센서(180K)와 연결되어, 프로세서(110)는 I2C 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터치 센서(180K)와 통신하여 휴대 전화의 터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I2S 인터페이스는 오디오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0)는 복수의 I2S 버스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I2S 버스를 통해 오디오 모듈(170)에 연결되어 프로세서(110)와 오디오 모듈(170) 간의 통신을 구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오디오 모듈(170)은 블루투스 헤드셋을 이용하여 전화를 받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I2S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선 통신 모듈(160)로 오디오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PCM 인터페이스는 오디오 통신을 수행하고 아날로그 신호를 샘플링, 양자화 및 코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오디오 모듈(170)은 PCM 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선 통신 모듈(160)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오디오 모듈(170)은 블루투스 헤드셋을 사용하여 호출에 응답하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PCM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선 통신 모듈(160)로 오디오 신호를 대안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I2S 인터페이스와 PCM 인터페이스 모두 오디오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UART 인터페이스는 범용 직렬 데이터 버스이며 비동기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버스는 양방향 통신 버스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UART 인터페이스는 일반적으로 프로세서(110)를 무선 통신 모듈(160)에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블루투스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UART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선 통신 모듈(160) 내의 블루투스 모듈과 통신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오디오 모듈(170)은 블루투스 헤드셋을 이용하여 음악 재생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UART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선 통신 모듈(160)로 오디오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MIPI 인터페이스는 프로세서(110)를 표시 화면(194) 또는 카메라(193)와 같은 주변 부품에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MIPI 인터페이스는 카메라 직렬 인터페이스(camera serial interface, CSI), 디스플레이 직렬 인터페이스(display serial interface, DSI) 등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0)는 휴대 전화의 촬영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CSI 인터페이스를 통해 카메라(193)와 통신한다. 프로세서(110)는 DSI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 화면(194)과 통신하여 휴대 전화의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현한다.
GPIO 인터페이스는 소프트웨어를 통해 구성할 수 있다. GPIO 인터페이스는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GPIO 인터페이스는 프로세서(110)를 카메라(193), 표시 화면(194), 무선 통신 모듈(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80) 등에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GPIO 인터페이스는 대안적으로 I2C 인터페이스, I2S 인터페이스, UART 인터페이스, MIPI 인터페이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USB 인터페이스(130)는 USB 표준 사양을 따르는 인터페이스로, 구체적으로 미니 USB 인터페이스, 마이크로 USB 인터페이스, USB Type-C 인터페이스 등이 될 수 있다. USB 인터페이스는 충전기에 연결하여 휴대 전화를 충전하거나, 휴대 전화와 주변 장치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하거나 헤드셋을 연결하여 헤드셋을 사용하여 오디오를 재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대안으로, 인터페이스는 AR 장치와 같은 다른 단말 장치에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 도시된 모듈들 간의 인터페이스 연결 관계는 단지 설명을 위한 예시일 뿐이며, 휴대 전화의 구조에 대한 제한을 구성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의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 휴대 전화는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 인터페이스 연결 방식을 대안적으로 사용하거나 복수의 인터페이스 연결 방식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충전 관리 모듈(140)은 충전기로부터 충전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충전기는 무선 충전기 또는 유선 충전기 일 수 있다. 유선 충전의 일부 실시예에서, 충전 관리 모듈(140)은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유선 충전기의 충전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무선 충전의 일부 실시예에서, 충전 관리 모듈(140)은 휴대 전화의 무선 충전 코일을 이용하여 무선 충전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충전 관리 모듈(140)은 배터리(142)를 충전하면서 전력 관리 모듈(141)을 이용하여 단말 장치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력 관리 모듈(141)은 배터리(142) 및 충전 관리 모듈(140)을 프로세서(110)에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전력 관리 모듈(141)은 배터리(142) 및/또는 충전 관리 모듈(140)로부터 입력을 받아 프로세서(110), 내부 메모리(121), 외부 메모리, 표시 화면(194), 카메라(193), 무선 통신 모듈(160) 등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력 관리 모듈(141)은 배터리 용량, 배터리 사이클 카운트 및 배터리 상태(누전 또는 임피던스)와 같은 파라미터를 모니터링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 전력 관리 모듈(141)은 대안적으로 프로세서(110)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 전력 관리 모듈(141) 및 충전 관리 모듈(140)은 대안적으로 동일한 장치에 배치될 수 있다.
휴대 전화의 무선 통신 기능은 안테나 모듈 1, 안테나 모듈 2, 이동 통신 모듈(150), 무선 통신 모듈(160), 모뎀 프로세서, 기저대역 프로세서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안테나 1 및 안테나 2는 전자기파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다. 휴대 전화의 각 안테나는 하나 이상의 통신 대역을 커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안테나 활용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다른 안테나가 추가로 다중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룰러 네트워크 안테나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다이버시티 안테나로 다중화될 수 있다.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 안테나는 튜닝 스위치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150)은 2G/3G/4G/5G 등을 포함하고 휴대 전화에 적용되는 무선 통신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150)은 적어도 하나의 필터, 스위치, 전력 증폭기,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 LNA)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150)은 안테나 1을 통해 전자파를 수신하고, 수신된 전자파에 대해 필터링 또는 증폭과 같은 처리를 수행하고, 처리된 전자파를 모뎀 프로세서로 전송하여 복조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150)은 모뎀 프로세서에 의해 변조된 신호를 더 증폭하고, 신호를 안테나 1을 통해 방사하기 위해 전자기파로 변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동 통신 모듈(150)의 적어도 일부 기능 모듈은 프로세서(110)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동 통신 모듈(150)의 적어도 일부 기능 모듈 및 프로세서(110)의 적어도 일부 모듈은 동일한 장치에 배치될 수 있다.
모뎀 프로세서는 변조기와 복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변조기는 전송될 저주파 기저대역 신호를 중간 또는 고주파 신호로 변조하도록 구성된다. 복조기는 수신된 전자기파 신호를 저주파 기저대역 신호로 복조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면 복조기는 복조를 통해 얻은 저주파 기저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프로세서로 전송하여 처리한다. 저주파 기저대역 신호는 기저대역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된 다음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로 전송된다.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오디오 장치(스피커(170A), 수신기(170B) 등에 한정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음향 신호를 출력하거나, 표시 화면(194)을 이용하여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표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모뎀 프로세서는 독립적인 구성 요소일 수 있다.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 모뎀 프로세서는 프로세서(110)와 독립적일 수 있고, 이동 통신 모듈(150) 또는 다른 기능 모듈과 동일한 장치에 배치된다.
무선 통신 모듈(160)은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 블루투스(Bluetooth, BT), 글로벌 내비게이션 위성 시스템(GNSS), 주파수 변조(FM), 근거리 통신(NFC), 적외선(IR) 기술 등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에 휴대 전화에 적용된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60)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 처리 모듈에 통합된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일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60)은 안테나 2를 통해 전자기파를 수신하고, 전자기파 신호에 대해 주파수 변조 및 필터링 처리를 수행하고 처리된 신호를 프로세서(110)로 전송한다. 무선 통신 모듈(160)은 또한 프로세서(110)로부터 송신될 신호를 수신하고, 그 신호에 대해 주파수 변조 및 증폭을 수행하고, 그 신호를 안테나 2를 통해 방사하기 위해 전자기파로 변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휴대 전화의 안테나 1 및 이동 통신 모듈(150)이 결합되고, 휴대 전화의 안테나 2 및 무선 통신 모듈(160)이 결합되어, 휴대 전화가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및 다른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기술은 이동 통신을 위한 글로벌 시스템(GSM),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PRS),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WCDMA), 시분할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TD-SCDMA), 장기 진화(LTE), BT, GMS, WLAN, NFC, FM, IR 기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GNSS는 글로벌 위치 시스템(GPS), 글로벌 내비게이션 위성 시스템(GLONASS), BeiDou 내비게이션 위성 시스템(BDS), 의사 제니스 위성 시스템(QZSS) 및/또는 위성 기반 증강 시스템(SBA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휴대 전화는 GPU, 표시 화면(194),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등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현한다. GPU는 영상 처리를 위한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표시 화면(194)과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를 연결한다. GPU는 수학적 및 기하학적 계산을 수행하고 이미지를 렌더링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110)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생성 또는 변경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GPU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화면(194)은 이미지, 동영상 등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표시 화면(194)은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은 LCD, OLED, 액티브 매트릭스 유기 발광 다이오드 또는 액티브 매트릭스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플렉시블 발광 다이오드(FLED), 미니 LED, 마이크로 LED, 마이크로 OLED, 양자점 발광 다이오드(QLED)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휴대 전화는 하나 또는 N개의 표시 화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N은 1보다 큰 양의 정수이다.
휴대 전화는 ISP, 카메라(193), 비디오 코덱, GPU, 표시 화면(194),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등을 이용하여 촬영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ISP는 카메라(193)에 의해 피드백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촬영 중에 셔터를 누르면 빛이 렌즈를 통해 카메라의 감광 소자로 전달된다. 광 신호는 전기 신호로 변환되고, 카메라의 감광 소자는 처리를 위해 전기 신호를 ISP로 전송하여 전기 신호를 가시적 이미지로 변환한다. ISP는 이미지의 노이즈, 밝기 및 안색에 대한 알고리즘 최적화를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ISP는 촬영 시나리오의 노출 및 색 온도와 같은 파라미터를 추가로 최적화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ISP는 카메라(193)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193)는 정적 이미지 또는 비디오를 캡처하도록 구성된다. 렌즈를 통해 물체의 광학 이미지가 생성되어 감광 소자에 투사된다. 감광 소자는 전하 결합 소자(CCD) 또는 상보성 금속 산화물 반도체(CMOS) 광전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감광 소자는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한 다음 전기 신호를 ISP로 전송하여 전기 신호를 디지털 이미지 신호로 변환한다. ISP는 처리를 위해 디지털 이미지 신호를 DSP로 출력한다. DSP는 디지털 이미지 신호를 RGB 형식, YUV 형식 등의 표준 이미지 신호로 변환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휴대 전화는 하나 또는 N 개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N은 1보다 큰 양의 정수이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성되며, 디지털 이미지 신호 외에 다른 디지털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전화가 주파수를 선택하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는 주파수 에너지 등에 대한 푸리에 변환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비디오 코덱은 디지털 비디오를 압축 또는 압축 해제하도록 구성된다. 휴대 전화는 하나 이상의 비디오 코덱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휴대 전화는 MPEG1, MPEG2, MPEG3, MPEG4와 같은 복수의 코딩 포맷으로 비디오를 재생 또는 녹화할 수 있다.
NPU는 신경망( NN) 컴퓨팅 프로세서이다. NPU는 인간 뇌 뉴런 간의 전달 모드와 같은 생물학적 신경망의 구조를 참조하여 입력 정보를 신속하게 처리하고 지속적으로 자가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이미지 인식, 얼굴 인식, 음성 인식, 텍스트 이해와 같은 휴대 전화의 지능형 인식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은 NPU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외부 메모리 인터페이스(120)는 마이크로 SD 카드와 같은 외부 저장 카드와 연결되어 휴대 전화의 저장 용량을 확장할 수 있다. 외부 저장 카드는 외부 메모리 인터페이스(120)를 통해 프로세서(110)와 통신하여 데이터 저장 기능을 구현한다. 예를 들어, 음악 및 비디오와 같은 파일은 외부 저장소 카드에 저장된다.
내부 메모리(121)는 컴퓨터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에는 명령이 포함되어 있다. 프로세서(110)는 내부 메모리(121)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여 휴대 전화의 다양한 기능 응용 및 데이터 처리를 실행한다. 메모리(121)는 프로그램 저장 영역 및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저장 영역은 운영 체제, 적어도 하나의 기능(예: 사운드 재생 기능 또는 이미지 재생 기능)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 영역은 휴대 전화 사용시 생성된 데이터(예: 오디오 데이터 또는 주소록)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21)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또는 범용 플래시 스토리지(Universal Flash Storage, UFS)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휴대 전화는 오디오 모듈(170), 스피커(170A), 수신기(170B), 마이크(170C), 헤드셋 인터페이스(170D),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등을 이용하여 음악 재생 또는 녹음과 같은 오디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디지털 오디오 정보를 출력을 위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아날로그 오디오 입력을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오디오 모듈(170)은 또한 오디오 신호를 코딩 및 디코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오디오 모듈(170)은 프로세서(110)에 배치될 수 있거나, 오디오 모듈(170)의 일부 기능 모듈은 프로세서(110)에 배치될 수 있다.
"혼(horn)"이라고도 불리는 스피커(170A)는 오디오 전기 신호를 사운드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휴대 전화는 스피커(170A)를 이용하여 음악을 듣거나 핸즈프리 통화를 할 수 있다.
"이어피스(earpiece)"라고도하는 수신기(170B)는 오디오 전기 신호를 사운드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휴대 전화를 이용하여 전화를 받거나 음성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기(170B)를 사람의 귀에 가까이 대고 음성을들을 수 있다.
"마이크"라고도 불리는 마이크로폰(170C)은 사운드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는 전화를 걸거나 음성 정보를 보낼 때 마이크(170C)에 사람의 입을 가까이 이동시켜 소리를 내고 마이크(170C)에 사운드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휴대 전화에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폰(170C)이 배치될 수 있다.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 사운드 신호를 수집하고 소음 감소 기능을 추가로 구현하기 위해 두 개의 마이크로폰이 휴대 전화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 3개, 4개 또는 그 이상의 마이크로폰은 대안적으로, 사운드 신호를 수집하고, 노이즈를 감소시키고, 사운드 소스를 추가로 식별하고, 방향성 녹음 기능을 구현하는 등을 위해 휴대 전화에 배치될 수 있다.
헤드셋 인터페이스(170D)는 유선 헤드셋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헤드셋 인터페이스는 USB 인터페이스이거나 3.5mm 개방형 모바일 단말 장치 플랫폼(open mobile terminal platform, OMTP) 표준 인터페이스 또는 미국 셀룰러 통신 산업 협회(CTIA) 표준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압력 센서(180A)는 압력 신호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며, 압력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압력 센서(180A)는 표시 화면(194)에 배치될 수 있다. 압력 센서(180A)는 예를 들어 저항성 압력 센서, 유도성 압력 센서, 용량성 압력 센서와 같은 복수 유형이 있다. 용량성 압력 센서는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적어도 2개의 평행 판을 포함할 수 있다. 압력 센서(180A)에 힘이 가해지면 전극 사이의 정전 용량이 변한다. 휴대 전화는 정전 용량의 변화에 따라 압력 강도를 결정한다. 표시 화면(194)에서 터치 조작이 수행되면, 휴대 전화는 압력 센서(180A)를 이용하여 터치 조작의 강도를 감지한다. 휴대 전화는 압력 센서(180A)의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위치를 계산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동일한 터치 위치에서 수행되지만 상이한 터치 조작 강도를 갖는 터치 조작은 상이한 조작 명령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시지 아이콘에 대해 터치 조작 강도가 제1 압력 임계값 미만인 터치 조작이 수행되면 SMS 메시지 보기 명령이 실행된다. 메시지 아이콘에서 터치 조작 강도가 제1 압력 임계값 이상인 터치 조작이 수행되면 새 SMS 메시지 작성 명령이 실행된다.
자이로 센서(180B)는 휴대 전화의 이동 자세를 판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자이로 센서(180B)를 사용하여 3개의 축(즉, x, y 및 z축) 주위의 휴대 전화의 각속도가 결정될 수 있다. 자이로 센서(180B)는 촬영 중에 손떨림 보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180B)는 셔터를 눌렀을 때 휴대 전화가 흔들리는 각도를 감지하여 그 각도에 따른 계산을 통해 렌즈 모듈이 보정해야 하는 거리를 구하여 이미지 안정화를 구현하기 위해 렌즈가 반전 모션을 통해 휴대 전화의 지터를 상쇄할 수 있도록 한다. 자이로 센서(180B)는 내비게이션 및 모션 센싱 게임 시나리오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기압 센서(180C)는 기압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휴대 전화는 위치 결정 및 탐색을 돕기 위해 기압 센서(180C)에 의해 측정된 기압을 사용하여 고도를 계산한다.
자기 센서(180D)는 홀 센서를 포함한다. 휴대 전화는 자기 센서(180D)를 이용하여 플립형 스마트 커버의 개폐를 감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휴대 전화가 클램쉘(clamshell) 전화인 경우, 휴대 전화는 자기 센서(180D)에 기초하여 플립 커버의 개방/폐쇄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플립 커버의 자동 잠금 해제와 같은 기능은 감지된 스마트 커버의 개폐 상태 또는 감지된 플립 커버의 개폐 상태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가속도 센서(180E)는 휴대 전화의 다양한 방향(주로 3축)의 가속도 값을 검출할 수 있다. 휴대 전화가 가만히 있으면 값과 중력의 방향이 감지될 수 있다. 가속도 센서(180E)는 단말 장치의 자세를 식별할 수 있도록 더 구성될 수 있으며, 가로 모드와 세로 모드 간 전환 또는 만보계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에 적용될 수 있다.
거리 센서(180F)는 거리를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휴대 전화는 적외선이나 레이저를 통해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촬영 시나리오에서, 휴대 전화는 빠른 초점을 구현하기 위해 거리 센서(180F)를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광 근접 센서(180G)는 발광 다이오드(LED) 및 광 검출기(예: 포토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는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다. 휴대 전화는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적외선을 방출한다. 휴대 전화는 포토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주변 물체의 적외선 반사광을 감지한다. 반사광이 충분히 감지되면 휴대 전화 주변에 물체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사광이 부족하면 휴대 전화 주변에 물체가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휴대 전화는 광 근접 센서(180G)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휴대 전화를 귀에 가까이 대고 전화를 걸고 있음을 감지하여 절전을 위해 화면을 자동으로 끌 수 있다. 광 근접 센서(180G)는 스마트 커버 모드 또는 포켓 모드로도 사용되어 화면을 자동으로 잠금 해제하거나 잠글 수 있다.
주변 광 센서(180L)는 주변 광의 밝기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휴대 전화는 감지된 주변 광의 밝기에 따라 표시 화면(194)의 밝기를 적응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주변 광 센서(180L)는 촬영 중에 화이트 밸런스를 자동으로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주변 광 센서(180L)는 또한 광 근접 센서(180G)와 협력하여 우발적인 터치를 방지하기 위해 휴대 전화가 주머니에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지문 센서(180H)는 지문을 수집하도록 구성된다. 휴대 전화는 수집된 지문의 특징을 이용하여 지문 잠금 해제, 애플리케이션 접근 잠금, 지문 촬영, 지문 통화 응답 등을 구현할 수 있다.
온도 센서(180J)는 온도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휴대 전화는 온도 센서(180J)에 의해 검출된 온도에 기초하여 온도 처리 정책을 실행한다. 예를 들어, 온도 센서(180J)에 의해 보고된 온도가 임계값을 초과하면 휴대 전화는 온도 센서(180J) 근처의 프로세서 성능을 저하시켜 열 보호를 위한 전력 소비를 줄이다.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 온도가 다른 임계값 미만일 때, 휴대 전화는 저온으로 인해 휴대 전화가 비정상적으로 종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터리(142)를 가열한다.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 온도가 또 다른 임계값 미만일 때, 휴대 전화는 저온으로 인한 비정상적인 셧다운을 피하기 위해 배터리(142)의 출력 전압을 부스트한다.
터치 센서(180K)는 "터치 패널"이라고도 하며, 표시 화면(194)에 배치될 수 있다. 터치 센서(180K)는 터치 센서(180K)에서 또는 그 근처에서 수행되는 터치 동작을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터치 센서(180K)는 감지된 터치 동작을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로 전달하여 터치 이벤트의 종류를 결정하고, 표시 화면(194)을 이용하여 대응하는 시각적인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 터치 센서(180K)는 대안적으로 휴대 전화의 표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표시 화면(194)과 다른 위치에 있을 수 있다.
골전도 센서(180M)는 진동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골전도 센서(180M)는 인간 성대의 진동 뼈의 진동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골전도 센서(180M)는 또한, 인간의 맥박과 접촉하여 혈압 박동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골전도 센서(180M)는 또한 헤드셋에 배치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음성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성대의 진동 뼈의 진동 신호에 기초하여 골전도 센서(180M)에 의해 획득된 진동 신호에 기초하여 파싱을 통해 음성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골전도 센서(180M)에서 획득한 혈압 박동 신호에 기초하여 심박수 정보를 파싱하여 심박수 감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버튼(190)은 전원 버튼, 볼륨 버튼 등을 포함한다. 버튼은 기계식 버튼이거나 터치 버튼 일 수 있다. 휴대 전화는 버튼 입력을 수신하고, 휴대 전화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와 관련된 버튼 신호 입력을 생성한다.
모터(191)는 진동 프롬프트를 생성할 수 있다. 모터(191)는 착신 진동 프롬프트 및 터치 진동 피드백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애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촬영 애플리케이션 및 오디오 재생 애플리케이션)에서 수행되는 터치 조작은 서로 다른 진동 피드백 효과에 대응할 수 있다. 모터(191)는 또한 표시 화면(194)의 서로 다른 영역에서 수행되는 터치 동작에 대한 서로 다른 진동 피드백 효과에 대응할 수 있다. 상이한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예를 들어, 시간 리마인더, 정보 수신, 알람 시계, 게임 등)는 또한 상이한 진동 피드백 효과에 대응할 수 있다. 터치 진동 피드백 효과를 추가로 커스터마이즈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192)는 인디케이터 라이트일 수 있으며, 충전 상태 및 전력 변경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거나, 메시지, 부재중 전화, 알림 등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SIM 카드 인터페이스(195)는 가입자 식별 모듈(SIM)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SIM 카드는 SIM 카드 인터페이스에 삽입되거나 SIM 카드 인터페이스에서 뽑혀서 휴대 전화와의 접촉 또는 분리를 구현할 수 있다. 휴대 전화는 하나 또는 N개의 SIM 카드 인터페이스를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N은 1보다 큰 양의 정수이다. SIM 카드 인터페이스(195)는 나노 SIM 카드, 마이크로 SIM 카드, SIM 카드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복수의 카드가 동일한 SIM 카드 인터페이스에 동시에 삽입될 수 있다. 복수의 카드는 동일한 유형이거나 다른 유형일 수 있다. SIM 카드 인터페이스(195)는 또한, 상이한 유형의 SIM 카드와 호환될 수 있다. SIM 카드 인터페이스(195)는 또한 외부 저장 카드와 호환될 수 있다. 휴대 전화는 SIM 카드를 사용하여 네트워크와 상호 작용하여 통화 및 데이터 통신과 같은 기능을 구현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휴대 전화는 eSIM, 즉 임베디드 SIM 카드를 사용한다. eSIM 카드는 휴대 전화에 내장되어있을 수 있으며 휴대 전화에서 분리할 수 없다. 휴대 전화의 소프트웨어 시스템은 계층 구조, 이벤트 중심 구조, 마이크로 커널 구조, 마이크로 서비스 구조 또는 클라우드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계층화된 아키텍처를 갖는 안드로이드 시스템은 휴대 전화의 소프트웨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로서 사용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의 소프트웨어 구조의 블록도이다.
계층화된 아키텍처에서 소프트웨어는 여러 계층으로 나뉘며 각 계층에는 명확한 역할과 작업이 있다. 계층은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통신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안드로이드 시스템은 위에서 아래로 4개의 계층, 즉 애플리케이션 계층,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계층, 안드로이드 런타임 및 시스템 라이브러리, 및 커널 계층으로 나뉜다.
애플리케이션 계층은 일련의 애플리케이션 패키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패키지는 "카메라", "갤러리", "달력", "통화", "지도", "내비게이션", "WLAN", "블루투스", "음악", "비디오", 및 "SMS 메시지"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계층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및 애플리케이션 계층의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프로그래밍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계층에는 몇 가지 사전 정의된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계층은 윈도우 매니저, 컨텐츠 제공자, 뷰 시스템, 폰 매니저, 리소스 매니저, 알림 매니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저는 윈도우 프로그램을 관리하도록 구성된다. 윈도우 매니저는 디스플레이 크기 획득, 상태 표시 줄 유무, 화면 잠금, 스크린 샷 촬영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자는 데이터를 저장 및 확보하고 애플리케이션에서 데이터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데이터는 비디오, 이미지, 오디오, 발신 및 수신 통화, 검색 기록 및 북마크, 전화 번호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뷰 시스템은 텍스트를 표시하는 컨트롤과 그림을 표시하는 컨트롤과 같은 시각적 컨트롤을 포함한다. 뷰 시스템은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시지 알림 아이콘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텍스트 디스플레이 뷰 및 사진 디스플레이 뷰를 포함할 수 있다.
폰 매니저는 예를 들어, 통화 상태(응답 또는 거절 포함) 관리와 같은 휴대 전화의 통신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리소스 매니저는 지역화된 문자열, 아이콘, 그림, 레이아웃 파일 및 비디오 파일과 같은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다양한 리소스를 제공한다.
알림 매니저는 애플리케이션이 상태 표시 줄에 알림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며 알림 메시지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알림 매니저는 사용자 상호 작용없이 잠시 멈춘 후 자동으로 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림 매니저는 다운로드 완료 알림, 메시지 알림 제공 등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알림 매니저는 그래프 또는 스크롤 막대 텍스트의 형태로 시스템의 상단 상태 표시 줄에 표시되는 알림 일 수 있다(예: 백그라운드에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알림 또는 화면에 대화창 형태로 표시되는 알림). 예를 들어, 상태 표시 줄에 텍스트 정보가 표시되고 프롬프트 신호음이 울리거나 단말 장치가 진동하거나 표시등이 깜박인다.
안드로이드 런타임은 커널 라이브러리와 가상 머신을 포함한다. Android 런타임은 Android 시스템의 일정 및 관리를 담당한다.
커널 라이브러리에는 자바 언어로 호출해야 하는 함수와 안드로이드의 커널 라이브러리의 두 부분이 포함된다.
애플리케이션 계층과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계층은 가상 머신에서 실행된다. 가상 머신은 애플리케이션 계층과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계층에서 자바 파일을 바이너리 파일로 실행한다. 가상 머신은 개체 수명주기 관리, 스택 관리, 스레드 관리, 보안 및 예외 관리, 가비지 수집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시스템 라이브러리는 표면 매니저(surface manager), 미디어 라이브러리(Media Libraries), 3D 그래픽 처리 라이브러리(예: OpenGL ES) 및 2D 그래픽 엔진과 같은 복수의 기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예: SGL).
표면 매니저는 디스플레이 하위 시스템을 관리하고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2D 및 3D 층의 융합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미디어 라이브러리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복수의 오디오 및 비디오 형식, 정적 이미지 파일 등의 재생 및 기록을 지원한다. 미디어 라이브러리는 MPEG4, H.264, MP3, AAC, AMR, JPG 및 PNG와 같은 복수의 오디오 및 비디오 코딩 형식을 지원할 수 있다.
3차원 그래픽 처리 라이브러리는 3차원 그래픽 그리기, 이미지 렌더링, 구성, 레이어 처리 등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2D 그래픽 엔진은 2D 드로잉을 위한 드로잉 엔진이다.
커널 계층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사이의 계층이다. 커널 계층은 적어도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카메라 드라이버, 오디오 드라이버 및 센서 드라이버를 포함한다.
도 7은 종래의 MPTCP 구축 프로세스의 예의 개략도이다. Wi-Fi 네트워크의 신호가 약한 경우 휴대 전화와 애플리케이션 서버 간의 정보 전송 1회에 필요한 데이터 전송 지연이 200ms라고 가정한다. 또는 LTE 네트워크의 신호가 강할 때 휴대 전화와 애플리케이션 서버 간에 한 번의 정보 전송에 필요한 데이터 전송 지연은 20ms이라고 가정한다. 도 7에서, 단계 a1에서 휴대 전화가 Wi-Fi 네트워크에 있는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3방향 핸드셰이크(3-way handshake)를 수행하여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첫 번째 TCP 연결 구축을 완료하는 데 600ms가 걸린다. 단계 b1: 첫 번째 TCP 연결이 성공적으로 구축되면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첫 번째 TCP 연결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휴대 전화로 보낸다. 단계 c1: 휴대 전화는 첫 번째 TCP 연결을 사용하여 제2 IP 주소가 추가된 패킷을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전송한다. 이 프로세스에는 200ms가 걸린다. 단계 d1: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제2 IP 주소를 사용하여 LTE 네트워크의 휴대 전화로 확인 정보를 전송한다. 즉, 휴대 전화와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제2 IP 주소를 사용하여 LTE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두 번째 TCP 연결을 구축한다. 이 프로세스는 20ms가 걸린다. 마지막으로 휴대 전화는 두 개의 TCP 연결을 동시에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MPTCP 구축 과정이 동영상의 재생 시작 시간에 발생하면 600ms 동안 동영상 스트림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는데, 재생 시작 지연이 상대적으로 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휴대 전화에 연결된 라우터의 신호가 불안정하고 휴대 전화가 인터넷에 액세스할 수 없는 경우 첫 번째 TCP 연결이 구축되지 않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MPTCP 구축이 실패하고 비디오가 제대로 재생되지 않는다. 즉, 기존의 MPTCP 구축 방식에서 첫 번째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이 상대적으로 긴 문제가 있다.
전술한 MPTCP 구축 방식의 문제점에 대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연결 구축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도 7의 MPTCP 구축 방식을 최적화한다. 예를 들어, 최적화된 MPTCP 구축 방식이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단계 a2에서 휴대 전화는 먼저 LTE 네트워크의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3방향 핸드셰이크를 수행하므로 LTE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첫 번째 TCP 연결 구축을 완료하는 데 60ms 밖에 걸리지 않는다. 단계 b2: 첫 번째 TCP 연결이 성공적으로 구축된 후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첫 번째 TCP 연결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휴대 전화로 보낸다. 단계 c2: 휴대 전화는 첫 번째 TCP 연결을 사용하여 제2 IP 주소가 추가된 패킷을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보낸다. 이 프로세스에는 20ms가 걸린다. 단계 d2: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제2 IP 주소를 사용하여 Wi-Fi 네트워크에 있는 휴대 전화로 수신확인 정보를 전송한다. 즉, 휴대 전화와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제2 IP 주소를 사용하여 Wi-Fi 네트워크 대응하는 두 번째 TCP 연결을 구축한다. 이 프로세스는 200ms가 걸린다. 마지막으로 휴대 전화는 두 개의 TCP 연결을 동시에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도 8에서 첫 번째 TCP 연결은 구축에 60ms만 필요하며, 이는 도 7의 600ms에 비해 540ms를 절약하고, 재생 시작 지연을 단축하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즉, 본 출원의 실시예는 연결 구축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단말기 장치가 Wi-Fi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스와 셀룰러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스를 모두 사용할 수 있음을 감지하면(예: 셀룰러 네트워크와 Wi-Fi 네트워크의 기능 스위치가 모두 켜져 있음), 단말 장치는 데이터 전송 지연이 비교적 작은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먼저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대한 첫 번째 TCP 연결을 구축할 수 있다. 첫 번째 TCP 연결이 성공적으로 구축되면 단말 장치는 다른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대한 두 번째 TCP 연결을 구축한다. 구체적으로, 단말 장치는, 이력 데이터에 기록된, MPTCP의 각 TCP 연결에 대한 데이터 전송 지연에 기초하여, 상대적으로 데이터 전송 지연이 적은 타겟 네트워크를 결정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먼저 타겟 네트워크에서 첫 번째 TCP 연결을 구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력 데이터에 기록된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의 제1 평균값과 두 표준 편차의 합이 LTE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의 제2 평균값보다 작을 때, 단말은 먼저 Wi-Fi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대한 첫 번째 TCP 연결을 구축한다. 첫 번째 TCP 연결이 성공적으로 구축되면 LTE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두 번째 TCP 연결이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대해 구축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 및 응용 시나리오를 참조하여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구축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구축 방법의 절차의 예를 나타낸다. 이 방법은 단말 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이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301: 단말 장치는 단말 장치와 애플리케이션 서버 사이에 구축된 MPTCP 연결의 이력 데이터를 획득한다.
이력 데이터는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과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휴대 전화가 현재 화웨이 비디오 애플리케이션에서 비디오를 재생하는 과정에서 Wi-Fi 네트워크와 LTE 네트워크에 동시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휴대 전화는 비디오의 10분 재생 시간 동안 마지막 1분에서 휴대 전화 및 화웨이 비디오 애플리케이션 서버 사이에 구축된 세 개의 MPTCP에 대한 이력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세 개의 MPTCP의 이력 데이터의 구체적인 내용은 표 1에 나와 있다.
[표 1]
Figure pct00022
단계 302: 단말 장치는 이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Wi-Fi 네트워크 및 셀룰러 네트워크로부터 비교적 작은 데이터 전송 지연을 갖는 TCP 연결을 갖는 타겟 네트워크를 결정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이 정규 분포를 따르는 경우 단말 장치는 수식 1, 수식 2 및 수식 3에 따라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의 제1 평균값과 표준 편차, 그리고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의 제2 평균값을 계산할 수 있다.
Figure pct00023
(수식 1);
Figure pct00024
(수식 2);
Figure pct00025
(수식 3);
Figure pct00026
는 제1 평균값,
Figure pct00027
는 제2 평균값,
Figure pct00028
는 표준 편차,
Figure pct00029
내지
Figure pct00030
은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 N은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의 수량,
Figure pct00031
내지
Figure pct00032
는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 M은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의 수량이다.
Figure pct00033
이면, 단말 장치가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이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보다 작거나 같다고 결정하거나; 또는
Figure pct00034
이면, 단말 장치가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이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보다 크다고 결정한다.
표준 편차는 주로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의 지터(jitter)를 반영한다. Wi-Fi 네트워크에서 Wi-Fi 네트워크의 패킷 손실률은 공동 채널 간섭, 액세스 사용자 수 및 속도 제한으로 인해 높을 수 있으며 데이터 전송 지연은 순간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따라서 타겟 네트워크를 선택할 때 단말 장치는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의 평균값을 고려해야 하며, 표준 편차를 참조하여 포괄적인 결정을 더 수행해야 한다. 셀룰러 네트워크의 지터가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의 표준 편차는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고려되지 않을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휴대 전화는 표 1의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3개의 데이터 전송 지연 중 제1 평균값
Figure pct00035
을 수식 1에 따라 계산하고, 수식 2에 따라 표준 편차
Figure pct00036
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수식 2에 따라 LTE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3개의 데이터 전송 지연의 제2 평균값
Figure pct00037
를 계산한다.
Figure pct00038
+2×
Figure pct00039
가 제2 평균값
Figure pct00040
보다 작거나 같으면 휴대 전화는 Wi-Fi 네트워크가 타겟 네트워크라고 결정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휴대 전화는 LTE 네트워크가 타겟 네트워크라고 결정한다.
Figure pct00041
(수식 1);
Figure pct00042
(수식 2);
Figure pct00043
(수식 3).
가능한 설계에서, 단말 장치는 다른 순간들에 구축된 MPTCP 연결들의 가중치 값들을 설정할 수도 있다.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에서 초기에 구축된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은 가중치가 낮다. 이와 같이, 단말 장치는 수식 4에 따라 이력 데이터에서 LTE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의 제2 가중 평균값을 더 계산할 수 있다.
Figure pct00044
(수식 4),
Figure pct00045
는 제2 가중 평균값,
Figure pct00046
내지
Figure pct00047
는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의 가중치,
Figure pct00048
내지
Figure pct00049
는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 M은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의 수량이다.
이 경우,
Figure pct00050
이면, 단말 장치가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이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보다 작거나 같다고 결정하거나; 또는
Figure pct00051
이면, 단말 장치가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이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보다 크다고 결정한다.
예를 들어, 표 1에서,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에서 b1, b2, b3의 가중치 값이 각각
Figure pct00052
,
Figure pct00053
,
Figure pct00054
이라고 가정하면, 단말 장치는 다음 수식 4에 따라 LTE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3개의 데이터 전송 지연의 제2 가중 평균값
Figure pct00055
를 더 계산할 수 있다.
Figure pct00056
+2×
Figure pct00057
가 제2 평균값
Figure pct00058
보다 작거나 같고,
Figure pct00059
+2×
Figure pct00060
가 제2 가중 평균값
Figure pct00061
보다 작거나 같으면, 휴대 전화는 Wi-Fi 네트워크가 타겟 네트워크라고 결정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휴대 전화는 LTE 네트워크가 타겟 네트워크라고 결정한다.
Figure pct00062
(수식 4)
단계 303: 타겟 네트워크를 결정한 후, 단말 장치는 타겟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대한 첫 번째 TCP 연결을 구축하고, 첫 번째 TCP 연결이 성공적으로 구축된 후, 단말 장치는 다른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대한 두 번째 TCP 연결을 구축한다.
즉, 단말 장치는 Wi-Fi 네트워크가 타겟 네트워크라고 결정한 후 먼저 Wi-Fi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첫 번째 TCP 연결을 구축한 다음 LTE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대한 두 번째 TCP 연결을 구축한다. 다르게는, 단말 장치는 셀룰러 네트워크가 타겟 네트워크라 결정한 후 먼저 셀룰러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대한 첫 번째 TCP 연결을 구축한 다음, 첫 번째 TCP 연결이 성공적으로 구축된 후 Wi-Fi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대한 두 번째 TCP 연결을 구축한다.
이력 데이터가 서로 다른 애플리케이션의 MPTCP 연결 이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단말 장치의 위치가 이동하면 현재 단말 장치가 액세스한 기지국은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로 액세스한 기지국과 다를 수 있고, 이것이 이력 데이터에 있다. 다르게는, 현재 단말 장치가 액세스하고 있는 SSID는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로 액세스한 SSID와 다르며, 이것이 이력 데이터에 있으므로,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이 불가능할 수 있다. 이력 데이터에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 셀룰러 네트워크의 식별자 및 Wi-Fi 네트워크의 식별자가 더 포함된 경우, 가능한 설계에서, 단계 302를 수행할 때 단말 장치는 먼저 이력 데이터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와 동일한 식별자의 타겟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 세트를 결정할 수 있다. 그 다음, 단말 장치는 타겟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 세트로부터 현재 셀룰러 네트워크의 식별자와 동일한 식별자를 갖는 제1 데이터 전송 지연을 결정하고, Wi-Fi 네트워크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타겟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 세트로부터 현재 Wi-Fi 네트워크의 식별자와 동일한 식별자를 갖는 제2 데이터 전송 지연을 결정한다. 단말 장치는 제1 데이터 전송 지연 및 제2 데이터 전송 지연을 기초로 수식 1 내지 수식 4에 따라 제1 평균값, 표준 편차, 제2 평균값 및 제2 가중 평균값을 계산한다.
예를 들어, 휴대 전화가 현재 화웨이 비디오 애플리케이션에서 비디오를 재생하는 과정에서 Wi-Fi 네트워크와 LTE 네트워크에 동시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휴대 전화는 비디오의 10분 재생 기간 동안 마지막 1분에서 휴대 전화와 화웨이 비디오 애플리케이션 서버 간에 구축된 세 개의 MPTCP에 대한 이력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세 개의 MPTCP의 이력 데이터의 구체적인 내용은 표 2에 나와 있다.
[표 2]
Figure pct00063
현재 휴대 전화에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가 001, 현재 액세스된 SSID가 myhome, 셀 ID가 100이라고 가정하면, 휴대 전화는 a1, a2, b1 및 b2만 사용하여 제1 평균값, 표준 편차, 제2 평균값, 제2 가중 평균값을 계산할 수 있다. 구체적인 계산 방식은 전술한 공식에 나타나 있으며 세부 사항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다른 가능한 설계에서, 단말 장치는 에이징 시간을 설정하여 현재 순간부터 지정된 기간 이전에 발생한 이력 데이터를 지우고 최근 MPTCP 연결의 이력 데이터만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는 현재 시점으로부터 1분 전의 MPTCP 연결 기록 데이터를 지우고 현재 시점으로부터 1분 이내의 MPTCP 연결 기록 데이터만 유지한다. 이러한 기록 데이터는 Wi-Fi 네트워크 및 셀룰러 네트워크의 TCP 연결에 대한 데이터 전송 지연 크기를 정확하게 반영하고 타겟 네트워크를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단말 장치의 위치가 변경되거나 단말이 두 셀의 중요한 위치에 있는 경우, 단말 장치가 현재 액세스하고 있는 셀룰러 기지국 또는 무선 라우터의 액세스 포인트가 변경된다. 즉, 현재 액세스하고 있는 셀룰러 네트워크와 Wi-Fi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스는 이력 데이터에서 MPTCP 연결의 인터페이스와 다르다. 이 경우 현재 액세스한 셀룰러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제1 데이터 전송 지연 및 현재 액세스한 Wi-Fi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제2 데이터 전송 지연 및 제1 애플리케이션 식별자 및 제1 애플리케이션 식별자는 이력 데이터에서 찾을 수 없다. 이 경우, 단말 장치는, Wi-Fi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스와 셀룰러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스가 모두 사용 가능한 경우, 현재 액세스한 셀룰러 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인지 여부와 신호 세기가 지정된 임계값보다 큰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두 조건이 모두 충족되면 단말 장치는 타겟 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인 것으로 결정하고 먼저 LTE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대한 첫 번째 TCP 연결을 구축한다. 그렇지 않으면 단말 장치는 먼저 Wi-Fi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대한 첫 번째 TCP 연결을 구축한다. 현재 LTE 네트워크는 2G 네트워크 및 3G 네트워크에 비해 상대적으로 데이터 전송 지연이 적기 때문에 셀룰러 네트워크의 LTE 네트워크가 먼저 선택된다.
단말 장치가 셀룰러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 서버와의 첫 번째 TCP 연결을 구축할 때, 셀룰러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 서버와의 첫 번째 TCP 연결을 구축하기 전에 단말 장치가 셀룰러 네트워크를 활성화하는 데 200ms가 소요될 수 있음을 고려하여, 단말 장치는 먼저 단말 장치의 셀룰러 네트워크를 활성화하기 위해 단말 장치에 의해 액세스된 셀룰러 기지국에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이는 단말 장치의 셀룰러 네트워크가 셀룰러 네트워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슬립 상태에 있고 웨이크업 프로세스에 약 200ms의 지속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단말 장치가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을 구축하기 전에 패킷이 생성되면 미리 셀룰러 네트워크를 깨워 약 200ms를 절약할 수 있다. 실제 설계에서 단말 장치가 보내는 패킷은 UDP 패킷일 수 있으며, 셀룰러 기지국은 패킷을 수신한 후 정보를 리턴할 필요가 없다. 또한, 패킷에 대응하는 목적지 IP 주소는 셀룰러 네트워크 활성화에 사용된 패킷이 공격 패킷으로 식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존재하지 않는 수신자의 IP 주소일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방법 흐름도를 참조하면, 이하에서 이동 전화가 비디오 애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의 스트리밍 미디어를 재생할 때 MPTCP를 구축하는 예를 이용하여, 도 9에 도시된 연결 구축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계 401: 휴대 전화는 화웨이 비디오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의 조작 명령에 응답하여 화웨이 비디오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대한 네트워크 연결을 구축한다. 휴대 전화는 현재 Wi-Fi 네트워크와 LTE 네트워크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지 확인한다. Wi-Fi 네트워크와 LTE 네트워크가 동시에 이용 가능하지 않은 경우, 단계 402가 수행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403이 수행된다.
단계 402: 휴대 전화가 현재 하나의 네트워크만 이용 가능하다고 결정하면, 휴대 전화는 TCP 연결을 생성하기 위해 네트워크를 직접 선택한다.
단계 403: 휴대 전화가 Wi-Fi 네트워크와 LTE 네트워크 모두 현재 이용 가능하다고 결정하면, 휴대 전화는 이력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예를 들어 과거에 확립된 MPTCP의 데이터가 이전 1분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이력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으면 단계 404a가 수행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404b가 수행된다.
단계 404a: 휴대 전화의 위치가 변경되면, 셀과 동일한 이력 데이터 및 현재 액세스된 SSID가 없다. 이 경우 휴대 전화는 현재 액세스 중인 셀룰러 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인지 판단한다. 현재 액세스된 셀룰러 네트워크가 LTE 네트워크인 경우, 단계 405a가 수행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408a가 수행된다.
단계 405a: 휴대 전화는 LTE 네트워크의 RSSI가 설정값보다 큰지 여부를 결정한다. LTE 네트워크의 RSSI가 설정값보다 크면, 단계 406a가 수행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408a가 수행된다.
단계 406a: 휴대 전화는 휴대 전화에 의해 액세스되는 LTE 네트워크의 기지국에 UDP 패킷을 전송하고, 여기서 UDP 패킷은 LTE 네트워크를 활성화하기 위해 사용된다.
단계 407a: 휴대 전화는 LTE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첫 번째 TCP 연결을 구축하고, 첫 번째 TCP 연결이 성공적으로 구축되면 Wi-Fi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대한 두 번째 TCP 연결을 구축한다.
단계 408a: 휴대 전화가 현재 액세스된 셀룰러 네트워크가 2G 네트워크 또는 3G 네트워크인 것으로 결정하거나, 휴대 전화가 현재 액세스 중인 LTE 네트워크의 수신 신호 강도 표시기(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가 설정값(예: 신호 막대의 개수가 3개 이하) 이상인 경우, 휴대 전화는 Wi-Fi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첫 번째 TCP 연결을 구축한다. 첫 번째 TCP 연결이 성공적으로 구축되면 휴대 전화는 셀룰러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대한 두 번째 TCP 연결을 구축한다.
단계 404b: 이력 데이터에 셀과 동일한 이력 데이터 및 현재 휴대 전화가 액세스하고 있는 SSID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휴대 전화는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 및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을 획득한다.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이 정규 분포에 부합하면 휴대 전화는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왕복 시간(Round-Trip Time, RTT) 지연의 제1 평균값과 표준 편차를 계산하고,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RTT의 제2 가중 평균값 및 제2 평균값을 계산한다.
단계 405b: 휴대 전화는 제1 평균값이 제2 평균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결정하고, 제1 평균값이 제2 평균값보다 작은 경우, 단계 406b가 수행된다. 그렇지 않으면, 단계 408b가 수행된다.
단계 406b: 휴대 전화는 제1 평균값과 2개의 표준 편차의 합이 제2 가중 평균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결정하고, 그 합이 제2 가중 평균값보다 작은 경우, 단계 407b가 수행된다. 그렇지 않으면, 단계 408b가 수행된다.
단계 407b: 휴대 전화는 LTE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첫 번째 TCP 연결을 구축하고, 첫 번째 TCP 연결이 성공적으로 구축되면 Wi-Fi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 서버와의 두 번째 TCP 연결을 구축한다.
단계 408b: 휴대 전화는 셀룰러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첫 번째 TCP 연결을 구축하고, 첫 번째 TCP 연결이 성공적으로 구축된 후, 휴대 전화는 Wi-Fi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대한 두 번째 TCP 연결을 구축한다.
마지막으로, 휴대 전화는 두 개의 TCP 연결을 구축하는 데 사용되는 RTT를 기록한 다음 RTT를 후속 MPTCP 구축을 위한 이력 데이터로 저장한다.
결론적으로, 단말 장치는 MPTCP 구축 후 매번 MPTCP의 각 TCP 연결에 대한 데이터 전송 지연을 기록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 장치는 과거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 정보를 얻기 위해 지연 감지 수단을 사용하거나 다른 패킷을 보낼 필요가 없으며 가용성이 상대적으로 높다. 또한, 단말 장치는 데이터 전송 지연이 상대적으로 작은 네트워크에서 먼저 첫 번째 TCP 연결을 구축하여 재생 시작 지연을 크게 줄일 수 있다. 테스트를 통해, 영상을 재생하기 위해 이동 전화가 iQIYI를 시작하는 경우, 휴대 전화가 현재 액세스하고 있는 LTE 네트워크와 Wi-Fi 네트워크의 신호가 상대적으로 양호하면, 본 출원에서, 종래의 MPTCP 구축 방식에 비해 약 0.32초의 재생 시작 지연이 감소될 수 있고, 또는 이동 전화가 현재 액세스하고 있는 LTE 네트워크이 신호는 상대적으로 강하지만 Wi-Fi 네트워크의 신호는 상대적으로 약하면, 본 출원에서, 약 0.25초의 재생 시작 지연이 감소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방법은 단말 장치에 의해 완전히 수행될 수 있으며, 서비스 측으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할 필요가 없다. 즉, 최적화는 단말 측에서만 수행된다. 따라서 최적화 비용이 상대적으로 낮다.
이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컴퓨터 프로그램이 단말 장치에서 실행될 때, 단말 장치는 전술한 연결 구축 방법의 가능한 모든 구현을 수행할 수 있다.
이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더 제공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단말 장치에서 실행될 때, 단말 장치는 전술한 연결 구축 방법의 모든 가능한 구현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연결 구축 장치를 개시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전송 장치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서 기재된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되고, 처리 모듈(1101) 및 트랜시버 모듈(1102)을 포함한다. 처리 모듈(1101)은 도 9의 단계 301 내지 단계 303, 및 도 10a 및 도 10b의 단계 401 내지 단계 408b를 수행하도록 단말 장치를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트랜시버 모듈(1102)은 단말 장치의 셀룰러 네트워크를 활성화하기 위해 액세스된 셀룰러 네트워크의 기지국으로 패킷을 전송할 때 단말 장치를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방법 실시예의 단계의 모든 관련 내용은 대응하는 기능 모듈의 기능 설명에 인용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단말 장치를 개시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201), 메모리(1202), 디스플레이(1203),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도시되지 않음) 및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1204)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 요소는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1205)를 사용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1204)은 메모리(1202)에 저장되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201)에 의해 실행된다.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1204)은 명령을 포함하고, 이 명령은 도 9, 도 10a, 도 10b에서의 단계들 및 대응하는 실시예를 실행하는 데 사용된다.
구현에 관한 전술한 설명은 편리하고 간단한 설명을 위해 전술한 기능 모듈의 분할이 예시를 위한 예로서 취해진 것을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할 수 있다. 실제 적용에서는 전술한 기능을 서로 다른 모듈에 할당하여 요구 사항에 따라 구현할 수 있다. 즉,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서로 다른 기능 모듈로 구분하여 전술한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를 구현할 수 있다. 전술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상세한 작업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의 해당 프로세스를 참조하고, 여기서는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으로 통합될 수 있거나, 각각의 유닛은 물리적으로 단독으로 존재할 수 있거나, 둘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으로 통합될 수 있다. 통합 유닛은 하드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거나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통합 유닛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되어 독립적인 제품으로 판매 또는 사용되는 경우, 통합 유닛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초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 또는 종래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 또는 기술적 솔루션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저장 매체에 저장되며 컴퓨터 장치(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장치일 수 있음) 또는 프로세서에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방법의 모든 단계 또는 일부 단계를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여러 명령을 포함한다. 전술한 저장 매체는 플래시 메모리, 이동식 하드 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 랜덤 액세스 메모리,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와 같은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있는 모든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설명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특정 구현일 뿐이며, 본 출원의 실시예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범위 내의 모든 변경 또는 대체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한다. 따라서, 본 출원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의 보호 범위에 따라야 한다.

Claims (17)

  1. 연결 구축 방법으로서,
    단말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와 애플리케이션 서버 간에 구축된 다중 경로 전송 제어 프로토콜(MPTCP) 연결의 이력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이력 데이터는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과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을 포함함 -;
    상기 이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이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보다 작거나 같다고 결정하면, 상기 단말 장치가, 셀룰러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대한 첫 번째 TCP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 및
    상기 첫 번째 TCP 연결이 성공적으로 구축된 후, 상기 단말 장치가, Wi-Fi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두 번째 TCP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연결 구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이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보다 크다고 결정하는 때, 상기 단말 장치가, Wi-Fi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대한 첫 번째 TCP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 및
    상기 첫 번째 TCP 연결이 성공적으로 구축된 후, 상기 단말 장치가 셀룰러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대한 두 번째 TCP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연결 구축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와 애플리케이션 서버 사이에 구축된 MPTCP 연결의 이력 데이터를 획득한 후,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이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식 1 내지 수식 3에 따라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의 제1 평균값과 표준 편차 및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의 제2 평균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Figure pct00064
    이면, 상기 단말 장치가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이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보다 작거나 같다고 결정하거나; 또는
    Figure pct00065
    이면, 상기 단말 장치가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이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보다 크다고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식 1 내지 수식 3은 다음과 같고:
    Figure pct00066
    (수식 1);
    Figure pct00067
    (수식 2);
    Figure pct00068
    (수식 3);
    Figure pct00069
    는 제1 평균값,
    Figure pct00070
    는 제2 평균값,
    Figure pct00071
    는 표준 편차,
    Figure pct00072
    내지
    Figure pct00073
    은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 N은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의 수량,
    Figure pct00074
    내지
    Figure pct00075
    는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 M은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의 수량인,
    연결 구축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와 애플리케이션 서버 간에 구축된 MPTCP 연결의 이력 데이터를 획득한 후,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이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식 1, 수식 2 및 수식 3에 따라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의 제2 가중 평균값과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의 제1 평균값과 표준 편차를 계산하는 단계; 및
    Figure pct00076
    이면, 상기 단말 장치가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이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보다 작거나 같다고 결정하거나; 또는
    Figure pct00077
    이면, 상기 단말 장치가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이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보다 크다고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식 1, 수식 2 및 수식 4는 다음과 같고:
    Figure pct00078
    (수식 1);
    Figure pct00079
    (수식 2);
    Figure pct00080
    (수식 4),
    여기서,
    Figure pct00081
    는 제1 평균값,
    Figure pct00082
    는 제2 가중 평균값,
    Figure pct00083
    는 표준 편차,
    Figure pct00084
    내지
    Figure pct00085
    은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 N은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의 수량,
    Figure pct00086
    내지
    Figure pct00087
    는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 M은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의 수량,
    Figure pct00088
    내지
    Figure pct00089
    는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의 가중치이고, 더 일찍 구축된 TCP 연결일수록 더 낮은 제2 데이터 전송 지연의 가중치를 가지는,
    연결 구축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력 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 셀룰러 네트워크의 식별자 및 Wi-Fi 네트워크의 식별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구축 방법은: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이력 데이터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와 동일한 식별자의 타겟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 세트로부터 현재 셀룰러 네트워크의 식별자와 동일한 식별자의 제1 데이터 전송 지연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Wi-Fi 네트워크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 세트로부터 현재 Wi-Fi 네트워크의 식별자와 동일한 식별자의 제2 데이터 전송 지연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데이터 전송 지연 및 상기 제2 데이터 전송 지연에 기초하여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이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보다 작거나 같다고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연결 구축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는 LTE 네트워크인, 연결 구축 방법.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Wi-Fi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두 번째 TCP 연결을 구축한 후,
    상기 단말 장치가 현재 구축된 두 개의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연결 구축 방법.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첫 번째 TCP 연결을 구축하기 전에,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액세스된 셀룰러 네트워크의 기지국으로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패킷은 상기 단말 장치의 셀룰러 네트워크를 활성화하는 데 사용되는, 연결 구축 방법.
  9.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로서,
    상기 메모리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단말 장치는 다음 단계들:
    상기 단말 장치와 애플리케이션 서버 간에 구축된 다중 경로 전송 제어 프로토콜(MPTCP) 연결의 이력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이력 데이터는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과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을 포함함 -;
    상기 이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이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보다 작거나 같다고 결정하면, 셀룰러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대한 첫 번째 TCP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 및
    상기 첫 번째 TCP 연결이 성공적으로 구축된 후, Wi-Fi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두 번째 TCP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
    을 수행하는, 단말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단말 장치는 또한 다음 단계들:
    상기 이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이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보다 크다고 결정하는 때, Wi-Fi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대한 첫 번째 TCP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 및
    상기 첫 번째 TCP 연결이 성공적으로 구축된 후, 셀룰러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대한 두 번째 TCP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
    을 수행하는, 단말 장치.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단말 장치는 또한 다음 단계들:
    상기 이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식 1 내지 수식 3에 따라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의 제1 평균값과 표준 편차 및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의 제2 평균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Figure pct00090
    이면,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이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보다 작거나 같다고 결정하거나; 또는
    Figure pct00091
    이면,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이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보다 크다고 결정하는 단계
    를 수행하고, 상기 수식 1 내지 수식 3은 다음과 같고:
    Figure pct00092
    (수식 1);
    Figure pct00093
    (수식 2);
    Figure pct00094
    (수식 3);
    Figure pct00095
    는 제1 평균값,
    Figure pct00096
    는 제2 평균값,
    Figure pct00097
    는 표준 편차,
    Figure pct00098
    내지
    Figure pct00099
    은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 N은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의 수량,
    Figure pct00100
    내지
    Figure pct00101
    는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 M은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의 수량인,
    단말 장치.
  12.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단말 장치는 또한 다음 단계들:
    상기 이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식 1, 수식 2 및 수식 3에 따라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의 제2 가중 평균값과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의 제1 평균값과 표준 편차를 계산하는 단계; 및
    Figure pct00102
    이면,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이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보다 작거나 같다고 결정하거나; 또는
    Figure pct00103
    이면,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이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보다 크다고 결정하는 단계
    를 수행하고, 상기 수식 1, 수식 2 및 수식 4는 다음과 같고:
    Figure pct00104
    (수식 1);
    Figure pct00105
    (수식 2);
    Figure pct00106
    (수식 4),
    여기서,
    Figure pct00107
    는 제1 평균값,
    Figure pct00108
    는 제2 가중 평균값,
    Figure pct00109
    는 표준 편차,
    Figure pct00110
    내지
    Figure pct00111
    은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 N은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의 수량,
    Figure pct00112
    내지
    Figure pct00113
    는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 M은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의 수량,
    Figure pct00114
    내지
    Figure pct00115
    는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의 가중치이고, 더 일찍 구축된 TCP 연결일수록 더 낮은 제2 데이터 전송 지연의 가중치를 가지는,
    단말 장치.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력 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 셀룰러 네트워크의 식별자 및 Wi-Fi 네트워크의 식별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단말 장치는 또한 다음 단계들:
    상기 이력 데이터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와 동일한 식별자의 타겟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 세트로부터 현재 셀룰러 네트워크의 식별자와 동일한 식별자의 제1 데이터 전송 지연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Wi-Fi 네트워크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 세트로부터 현재 Wi-Fi 네트워크의 식별자와 동일한 식별자의 제2 데이터 전송 지연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데이터 전송 지연 및 상기 제2 데이터 전송 지연에 기초하여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이 Wi-Fi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보다 작거나 같다고 결정하는 단계
    를 수행하는, 단말 장치.
  14.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는 LTE 네트워크인, 단말 장치.
  15.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단말 장치는 또한 다음 단계:
    현재 구축된 두 개의 TCP 연결의 데이터 전송 지연을 저장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단말 장치.
  16.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단말 장치는 또한 다음 단계: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첫 번째 TCP 연결을 구축하기 전에,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액세스된 셀룰러 네트워크의 기지국으로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패킷은 상기 단말 장치의 셀룰러 네트워크를 활성화하는 데 사용되는,
    단말 장치.
  17.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단말 장치에서 실행될 때, 상기 단말 장치는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연결 구축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0217020094A 2018-12-25 2019-11-30 연결 구축 방법 및 단말 장치 KR1025243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1593656.3 2018-12-25
CN201811593656.3A CN111372329B (zh) 2018-12-25 2018-12-25 一种连接建立方法及终端设备
PCT/CN2019/122230 WO2020134868A1 (zh) 2018-12-25 2019-11-30 一种连接建立方法及终端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4059A true KR20210094059A (ko) 2021-07-28
KR102524305B1 KR102524305B1 (ko) 2023-04-20

Family

ID=71127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0094A KR102524305B1 (ko) 2018-12-25 2019-11-30 연결 구축 방법 및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997736B2 (ko)
EP (1) EP3883331B1 (ko)
JP (1) JP7193647B2 (ko)
KR (1) KR102524305B1 (ko)
CN (1) CN111372329B (ko)
AU (1) AU2019416232B2 (ko)
WO (1) WO20201348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33690B (zh) * 2020-11-13 2022-08-1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装置、存储介质、终端及网络接入点设备
CN112954765B (zh) * 2021-02-24 2022-12-09 四川速宝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网络状态监控的动态算子选路方法
CN116667875B (zh) * 2022-09-29 2024-03-08 荣耀终端有限公司 上网通路的切换方法、装置和终端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70699A (ja) * 2017-03-30 2018-11-01 Kddi株式会社 通信端末、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通信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44366A1 (ja) * 2008-10-15 2010-04-22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基地局装置とその電源制御方法
EP2738995A1 (en) * 2012-11-30 2014-06-04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multi-homed equipment for establishing a multipath connection
US9456464B2 (en) * 2013-06-06 2016-09-27 Apple Inc. Multipath TCP subflow establishment and control
BR112016004142B1 (pt) 2013-08-29 2022-05-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étodo, programador de protocolo de controle de transmissão de múltiplos trajetos, proxy de protocolo de controle de transmissão de múltiplos trajetos, rede de comunicação, e, meio legível por computador
US10362148B2 (en) * 2014-01-27 2019-07-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ath selection using TCP handshake in a multipath environment
CN103905463B (zh) 2014-04-21 2017-02-15 北京邮电大学 一种适用于多路径传输的连接管理与控制方法
CN109921988B (zh) * 2014-07-21 2021-08-03 华为技术有限公司 链路控制节点、链路控制方法及通信系统
CN104702527B (zh) * 2015-03-24 2018-06-19 大连理工大学 多路径tcp中面向多优先级连接的拥塞时间窗控制方法
WO2016169050A1 (zh) * 2015-04-24 2016-10-27 华为技术有限公司 Mptcp子流的建立方法及设备
CN104994036B (zh) 2015-06-09 2018-04-24 北京邮电大学 一种多路径传输协议中的动态数据调度方法
CN105656875A (zh) * 2015-10-21 2016-06-08 乐卡汽车智能科技(北京)有限公司 基于mptcp的主流连接建立方法及装置
CN105873097B (zh) * 2016-03-28 2019-06-11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终端设备及数据传输控制方法
CN107071834A (zh) * 2016-12-28 2017-08-18 山东省计算中心(国家超级计算济南中心) 基于多路径可靠传输的农机高精度定位通讯方法
JP6882673B2 (ja) * 2017-06-02 2021-06-02 富士通株式会社 通信経路管理プログラム、通信経路管理方法、および通信経路管理装置
US20180352057A1 (en) * 2017-06-05 2018-12-06 Smartiply, Inc. Application-Level Mechanism for Multi-Path Transport
KR101914391B1 (ko) 2017-09-22 2018-11-0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Mptcp에서 통신 경로 선택을 위한 rtt 측정 주기 변경 장치 및 방법과 이에 관한 기록매체
CN108696449B (zh) * 2018-05-09 2020-10-09 清华大学 一种数据调度方法及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70699A (ja) * 2017-03-30 2018-11-01 Kddi株式会社 通信端末、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通信プログラム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김진영. 통계 개념들. tistory 블로그, [online], 2013년 3월, 인터넷:<https://snowall.tistory.com/3309>* *
다내노. 가중평균이란 무엇인가. 네이버 블로그, [online], 2017년 5월, 인터넷:<https://m.blog.naver.com/gggg0714/221014608547>*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372329A (zh) 2020-07-03
US11997736B2 (en) 2024-05-28
AU2019416232A1 (en) 2021-07-01
JP7193647B2 (ja) 2022-12-20
JP2022515446A (ja) 2022-02-18
EP3883331A4 (en) 2022-01-19
CN111372329B (zh) 2022-08-19
AU2019416232B2 (en) 2022-11-10
WO2020134868A1 (zh) 2020-07-02
US20220094748A1 (en) 2022-03-24
EP3883331A1 (en) 2021-09-22
EP3883331B1 (en) 2024-05-29
KR102524305B1 (ko) 2023-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30358B2 (en) Frequency adjustment method and apparatus applied to terminal, and electronic device
JP7235871B2 (ja) データ伝送方法と電子デバイス
CN115696483B (zh) 基于电子设备状态的网络链路切换方法和电子设备
KR102524305B1 (ko) 연결 구축 방법 및 단말 장치
US11665274B2 (en) Call method and apparatus
KR102491006B1 (ko) 데이터 송신 방법 및 전자 기기
WO2022062796A1 (zh) 一种网络控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11792631B2 (en) Emergency call method and user terminal
WO2020124447A1 (zh) 面向多卡的网络管理
EP4293997A1 (en) Display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ystem
WO2022152167A1 (zh) 一种网络选择方法及设备
WO2021218544A1 (zh) 一种提供无线上网的系统、方法及电子设备
WO2024001773A1 (zh) 一种数据迁移方法、电子设备和组网系统
EP4287014A1 (en) Display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ystem
WO2022206769A1 (zh) 一种拼接内容的方法、电子设备和系统
WO2023280160A1 (zh) 一种通道切换方法及装置
CN116938950A (zh) 一种数据传输的方法、电子设备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