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3902A - 가전 제품의 세정 사이클 동안 얼룩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가전 제품의 세정 사이클 동안 얼룩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3902A
KR20210093902A KR1020217015132A KR20217015132A KR20210093902A KR 20210093902 A KR20210093902 A KR 20210093902A KR 1020217015132 A KR1020217015132 A KR 1020217015132A KR 20217015132 A KR20217015132 A KR 20217015132A KR 20210093902 A KR20210093902 A KR 202100939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agent
cleaning
cycle
cleaning cycle
d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5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른트 케슬러
아네트 디트리히
토마스 유켈
토르슈텐 바슈티카이트
토마스 되링
Original Assignee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filed Critical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Publication of KR20210093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39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21Regulation of operational steps within the washing processe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from the detergent nature or from the condition of the crockery
    • A47L15/0028Washing ph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02Washing processes, i.e. machine working principles characterised by phases or operational steps
    • A47L15/0007Washing ph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55Metering or indication of used products, e.g. type or quantity of detergent, rinse aid or salt; for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product concen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6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internal components of the machin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63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using remote monitoring or controlling of the dishwasher operation, e.g. network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4Devices for adding cleaning agents; Devices for dispensing cleaning agents, rinsing aids or deodorants
    • A47L15/4445Detachable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7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metering of detergents or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1/00Manual input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information entered by a user
    • A47L2301/04Operation mode, e.g. delicate washing, economy washing, reduced time, sterilizing, water softener regenerating, odor eliminating or servi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04Crockery or tableware details, e.g. material, quantity, cond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10Water cloudiness or dirtiness, e.g. turbidity, foaming or level of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12Water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18Air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20Time, e.g. elapsed operating ti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07Consumable products, e.g. detergent, rinse aids or sal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601/00Washing method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treatment
    • A47L2601/02Pressurised cleaning liquid delivered by a pump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12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2Detergent or additive supp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5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 D06F35/006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for washing or rinsing on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4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mounted on the agitator or the rotating drum; Free body dispen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식기세척기와 같은 가전 제품의 세정 사이클 동안 얼룩, 특히 차 얼룩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세정 사이클은 적어도 주요 세척 사이클을 포함한다. 세정제는 주요 세척 사이클 동안 가전 제품 내부의 온도가 40℃보다 더 높은, 예를 들어 55℃보다 더 높은 미리 결정된 온도 임계치를 초과할 때 주요 세척 사이클 동안 방출된다.

Description

가전 제품의 세정 사이클 동안 얼룩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
본 발명은 세정 프로그램의 분야에 관한 것이며, 보다 특히 식기세척기와 같은 가전 제품 내부에 배열된 컵과 같은 물품 상의 얼룩의 최적화된 제거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표백제의 사용을 요구하지 않으면서 컵 상의 차 얼룩을 제거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전형적으로 세탁기 내에서 세정되는 직물, 또는 전형적으로 식기세척기를 사용하여 세정되는 접시, 컵 또는 기타 식기류와 같은 물품 상의 얼룩을 세정하기 위해 가전 제품이 사용된다. 세탁기 및 식기세척기는, 사용자가 수작업적 세척보다 더 환경 친화적 방식으로 만족스러운 청결도 수준을 달성하면서 시간을 절감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매우 편리한 장치이다.
세탁기 내에서 직물을 또는 식기세척기 내에서 식기류를 세정할 때, 사용자는 모든 얼룩이 제거될 것을 기대한다. 전형적으로, 세정하고자 하는 물품의 오염 수준 또는 기계 내부의 총 적재량에 따라 기계에 대해 적절한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식기세척기에서는 집중 세척 프로그램 또는 보다 경제적인 프로그램 사이에서 선택하는 것이 전형적으로 가능하며, 각각의 프로그램은 일반적으로 그 최대 온도, 지속시간, 사용되는 세정제의 양 및 유형이 상이하다.
식기세척기에서 전형적인 세정 사이클은 제1 "주요 세척" 사이클을 포함하며, 이 동안 식기세척기가 물로 충전된 후 처음 수 분 내에 세정제가 방출된다. 온도는 전형적으로 40℃ 넘게 증가된다. 이와 같은 주요 세척 사이클에 이어, 식기세척기 내부의 물품들을 건조한 상태로 남기는 세정 사이클의 종료까지 하나 이상의 헹굼 사이클이 이어진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은 세정제, 예컨대 식기세척 액체, 정제 또는 파우치의 사용을 수반한다. 세정제는, 가전 제품의 일체형 부품인 분배 유닛으로부터 분배될 수 있거나, 또는 가전 제품의 챔버 내부에 배치되고 가전 제품과 독립된 착탈식 장치로부터 분배될 수 있다. 세정 사이클 동안, 주요 세척 사이클의 처음 수 분 내에 제1 효소 상을 분배한 후, 몇 분 후에 알칼리성 작용제를 분배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들 세정제는 전형적으로 세정 사이클의 초기 단계에서 35℃ 미만의 온도에서 투입되므로, 세정 사이클 전반에 걸쳐 오염 및 얼룩을 제거하는데 더 오래 작용할 수 있다. 때로는 마지막 헹굼 사이클 동안 제3 세정제 (일반적으로 피니셔라 불리움)가 추가로 투입된다.
세정 프로그램들은 일반적으로 잘 설정되어 있고 온도, 세정제의 투입량, 및 세정 사이클 지속시간의 조정에 의해 대부분의 얼룩을 제거할 수 있지만, 일부 얼룩은 매우 높은 온도 또는 세정제 용량으로 되돌리지 않으면서 제거하기가 훨씬 더 어렵다. 예를 들어 표백제를 사용할 때 최상의 결과가 얻어지는 세라믹 컵 상의 차 얼룩의 경우에 그러하다. 그러나, 가전 제품 내부에 적재된 다른 품목들과 표백제가 항상 상용가능한 것은 아니다. 더욱이, 액체 표백제-함유 세정제는 일반적으로 안정하지 않고, 가전 제품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으며, 특히 착탈식 또는 비-착탈식 투입 시스템의 카트리지 내에, 또는 파우치 내에 저장되어야 한다.
상기 이유로, 가전 제품의 세정 사이클 동안 얼룩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
상기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가전 제품의 세정 사이클 동안 얼룩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세정 사이클은 적어도 주요 세척 사이클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을 제공한다:
- 주요 세척 사이클 동안 가전 제품 내부의 온도가 미리 결정된 온도 임계치를 초과할 때 주요 세척 사이클 동안 소정량의 주요 세정제를 방출하며, 여기서 미리 결정된 온도 임계치는 40℃보다 더 높은 것인 단계.
더욱이, 제1 세정제는 주요 세척 사이클 동안 40℃ 미만의 온도에서 방출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식기세척기에 특히 적합하며, 또한 세라믹 식기류 상에서 전형적으로 형성되는 차 얼룩과 같은 지속적인 얼룩을 제거하는데 효율적이다. 본 발명은 표백제의 사용을 요구하지 않으면서, 또한 세정 사이클 동안 다량의 세정제 또는 매우 높은 온도 (70℃ 초과)를 반드시 사용할 필요도 없이, 그러한 얼룩을 성공적으로 제거한다.
놀랍게도, 차 얼룩과 같이 제거하기 어려운 얼룩을 주요 세척 사이클 동안 보다 높은 온도에서 알칼리 상을 분배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최신 기술의 방법에서, 세정제는 기계 내부의 온도가 겨우 30℃를 넘을 때 주요 세척 시작 시 매우 초기에 주요 세척 사이클 동안 분배된다. 그러나, 세정제가 보다 높은 온도 (40℃ 초과)에서만 투입될 때, 주요 세정제 중에 포함된 활성 성분들의 세정 작용과 온도의 조합 효과가 세정될 물품의 청결도를 증진시킨다.
"주요 세척" 사이클이란, 그 동안 활성 세정제가 방출되는 사이클을 지칭한다. 기타 세정제, 특히 피니셔는 후속 헹굼 사이클 동안 추가로 방출될 수 있다.
제1 세정제, 예를 들어, 효소를 포함하는 세정제를 40℃ 미만의 온도에서 투입하는 것과 조합하여, 예를 들어 알칼리를 포함하는 주요 세정제를 40℃ 초과의 온도에서 투입하면 개선된 세정 효과를 유발한다.
실시양태에 따르면, 미리 결정된 온도 임계치는 하기 값: 50℃, 55℃, 58℃, 60℃, 온도의 감소 전에 주요 세척 사이클 동안 도달된 최대 온도, 세정 사이클 동안 도달된 최대 온도의 95% 중 하나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기재된 효과는 상기 언급된 온도 임계치들에 대해 특히 증진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기계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이 50℃ 초과의 온도에 도달하지 않으면, 기계 내부의 온도가 다시 감소하기 전 그것의 최대값에 도달할 때 주요 세정제를 분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온도의 결정은, 예를 들어 투입 장치 상에 위치하거나 기계 내부의 어딘가에 위치한 온도 센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들 온도에 도달될 시간은, 기계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설명하는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하여 추정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는 제조업체에 의해 제공될 수 있거나, 이전에 실행된 프로그램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거나, 또는 외부 소스, 예를 들어 온라인를 통해 찾을 수 있다.
실시양태에 따르면, 주요 세정제는 알칼리를 포함할 수 있다.
용어 "알칼리"는 pH 값이 7 초과인 세정제를 포괄한다. 보다 특히, 이는 pH가 8 초과인 세정제, 및 바람직하게는 pH가 10 초과인 강알칼리성을 갖는 세정제를 겨냥한다.
실시양태에 따르면, 방법은 하기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 주요 세척 사이클 동안 40℃ 미만의 온도에서 제1 세정제를 방출하는 단계; 및
- 제1 세정제의 방출을 시작한 지 적어도 5분 후에 주요 세정제를 방출하는 단계.
주요 세정제는 보다 낮은 온도에서 주요 세척의 선행 단계에서의 제1 세정제의 분배로부터 추가로 이익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제1 세정제는 전형적으로 효소 상을 포함한다. 알칼리 상의 방출을 지연시킴으로써, 세정 사이클의 효율을 추가로 개선시킬 수 있다. 주요 세정제의 방출 타이밍은 가전 제품 내부의 가열 속도와 상관관계를 가질 수 있다. 제1 세정제의 마지막 분량의 방출이 종료된 지 적어도 2분 후에 주요 세정제의 분배를 시작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실시양태에 따르면, 방법은 하기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 주요 세척 사이클 동안 40℃ 미만의 온도에서 제1 세정제를 방출하는 단계로서, 제1 세정제는 효소를 포함하는 것인 단계; 및
- 제1 세정제의 방출을 시작한 후 제2 세정제를 방출하는 단계.
이러한 경우, 주요 세척 사이클의 선행 단계에서 방출된 유사한 또는 또 다른 세정제의 방출에 추가로, 보다 높은 온도에서 주요 세정제가 방출된다. 이 모드는, 가전 제품, 특히 식기세척기가 사전-저장된 세정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단지, 선택된 사전-저장된 세정 프로그램의 표준 작동에 추가로, 보다 높은 온도에서 소정량의 주요 세정제를 보충 방출하는 것으로 구성된 추가의 단계가 부가될 때에만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세정제 및 제2 세정제 둘 다는 효소, 예를 들어, 세정 사이클의 상이한 시간에 방출되는 동일한 유형의 효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세정제는 세정 사이클의 예비-세척 동안 방출될 수 있는 한편, 제2 세정제는 세정 사이클의 주요 세척 동안 방출될 수 있다.
실시양태에 따르면, 주요 세정제는 적어도 1종의 킬레이트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양태에 따르면, 주요 세정제는 적어도 1종의 제1 킬레이트화제 및 적어도 1종의 제2 킬레이트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킬레이트화제 및 제2 킬레이트화제는 상이한 특성을 갖는다.
킬레이트화제는, 특히 50℃ 초과의 온도에서 차 얼룩과 같은 오염물과 상호작용하여 식기세척기에서 세정 사이클의 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이한 특성을 갖는 2종의 킬레이트화제의 조합 효과, 예를 들어, 메틸글리신디아세트산 (MGDA), 에틸렌디아민-N,N'-디숙신산 (EDDS), 테트라나트륨-N,N-비스(카르복실레이토메틸)-L-글루탐산 또는 N,N-디프로필-2,3디히드록시테레프탈아미드와 같은 또 다른 킬레이트화제의 사용과 조합된 시트레이트, 포스포네이트 또는 타르트레이트와 같은 킬레이트화제는 40℃ 초과의 온도에서 세정 효과를 추가로 강화시킨다.
실시양태에 따르면, 제1 킬레이트화제는 시트레이트, 포스포네이트 또는 타르트레이트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한편, 제2 착물화제는 메틸글리신디아세트산 (MGDA), 에틸렌디아민-N,N'-디숙신산 (EDDS), 테트라나트륨-N,N-비스(카르복실레이토메틸)-L-글루탐산 또는 N,N-디프로필-2,3디히드록시테레프탈아미드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실시양태에 따르면, 제1 세정제는 제2 세정제에 대해 제2 세정제의 양의 0.1배 내지 10배에 포함된 비로 투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세정제 및 제2 세정제 둘 다는 효소일 수 있으나, 전형적으로 반드시 동일한 유형의 효소일 필요는 없다. 제1 세정제는 방출된 효소의 총량의 3/5로 투입될 수 있는 한편, 제2 세정제는 방출된 효소의 총량의 2/5로 투입될 수 있다. 세정 사이클의 2개의 상이한 시간에 효소들을 분배함으로써, 가전 제품에서 세정 사이클의 종료 시 보다 우수한 총 청결도 결과가 관찰된다. 대안적으로, 제1 세정제는 효소일 수 있는 한편, 제2 세정제는 알칼리이다. 주요 세정제의 분배 시 가전 제품 내부의 알칼리도를 조정하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실시양태에 따르면, 방법은 하기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 미리 결정된 온도 임계치의 값에 기반하여 방출될 주요 세정제의 양을 결정하는 단계로서, 주요 세정제의 양은 미리 결정된 온도 임계치가 보다 낮을 때 보다 높은 것인 단계.
가전 제품의 세정 사이클 동안 세정된 물품의 청결도와 주요 세정제의 방출량 간에 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 미리 결정된 온도 임계치가 55℃를 초과하여 설정된 경우에는, 주요 세정제의 투입량이 보다 낮은 값, 예를 들어, 15 그램 내지 25 그램으로 설정될 수 있다. 미리 결정된 온도 임계치가 40℃로 설정된 경우에는, 주요 세정제의 투입량이 유리하게는 보다 높은 값, 예를 들어, 25 그램 내지 40 그램으로 설정될 수 있다.
실시양태에 따르면, 방출될 주요 세정제의 양은 3 그램 내지 40 그램일 수 있다.
실시양태에 따르면, 방법은 하기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 세정 사이클의 상이한 시간에서 가전 제품 내부의 온도에 관한 정보를 얻는 단계.
가전 제품 내부의 온도는 기계가 실행중인 세정 프로그램에 대한 온도 편차의 추정치들에 기반하여 또는 센서로 규칙적 시간 간격에서 측정될 수 있다. 이 정보는 반드시 온도 자체일 필요는 없으나, 기계 내부의 온도를 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관련 매개변수일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기계 내부의 가열 유닛의 설정, 이러한 가열 유닛에서 측정된 장력 또는 전류, 외부 센서에 의해 제공된 정보, 또는 사용자에 의해 수작업으로 제공되거나 원격 소스, 예를 들어, 온라인으로부터 얻은 정보일 수 있다. 가전 제품, 식기세척기는 또한, 예를 들어 가전제품 내부에서 이루어진 온도 측정치를 "API"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plications Programming Interface)")를 통해 투입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실시양태에 따르면, 세정 사이클의 상이한 시간에서 가전 제품 내부의 온도에 관한 정보는 온도 센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실시양태에 따르면, 세정 사이클의 상이한 시간에서 가전 제품 내부의 온도에 관한 정보는 가전 제품에 의해 실행된 프로그램의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온도와 관련된 정보의 이와 같은 쿼링 (또는 단지 그의 수신)의 샘플 속도는, 예를 들어 0.01 Hz 내지 1 kHz 범위의 주파수로 발생할 수 있다.
실시양태에 따르면, 방법은 하기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 가전 제품 내부에 위치한 착탈식 투입 장치로부터 소정량의 주요 세정제를 방출하는 단계.
착탈식 투입 장치는, 예를 들어, 제어된 시간에서 제어된 양의 세정제를 방출할 수 있는 분배 유닛, 및 상이한 세정제들로 충전된 카트리지들을 포함하는 자동화 유닛일 수 있다. 사용자가 작동할 수 있는 데이터 프로세싱 유닛, 가전 제품 또는 모바일 장치 또는 서버와 같은 외부 장치와 소통을 위해 또는 세정제의 분배를 제어하기 위해, 상이한 유형의 하드웨어가 투입 장치의 일부일 수 있다.
실시양태에 따르면, 방법은 하기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 가전 제품에서 세정제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구획으로부터 소정량의 주요 세정제를 방출하는 단계.
실시양태에 따르면, 방법은 하기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 가전 제품 내부에 배열된 물품들 사이의 차 얼룩의 존재와 관련된 정보를 얻는 단계.
예를 들어, 기계 내부의 적재 과정 동안 특정 진동 시그니처에 기반하여 기계 내부의 머그잔 또는 컵의 존재를 평가할 수 있다. 세정 사이클 동안 물의 탁도, 또는 바이오센서에 의해 식별가능한 특정 마커를 사용하여 차 얼룩의 존재를 결정할 수도 있다. 달리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가전 제품을 매개변수화하는 프로그램 내에서 특수 프로그램 또는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선택은 또한 "차 얼룩의 존재와 관련된 정보" 또는 그의 가정으로서 간주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기계 상의 버튼을 누름으로써 선택될 수 있거나, 또는 가전 제품 상에서 프로그램을 설정할 수 있는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또는 기계 상에서 선택가능한 메뉴 내에서 선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앱"에서 모바일 장치 또는 서버를 통해 또는 가전 제품으로부터 현재 선택된 프로그램에 대해 "차 얼룩" 세정 옵션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하기를 포함하는, 가전 제품의 세정 사이클 동안 얼룩을 제거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세정 사이클은 적어도 주요 세척 사이클을 포함하는 것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 세정 사이클의 상이한 시간에서 가전 제품 내부의 온도에 관한 정보를 얻도록 구성된 비-일시적 데이터 프로세싱 유닛;
- 주요 세정제를 함유하고 비-일시적 데이터 프로세싱 유닛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투입 장치로서, 투입 장치는 주요 세척 사이클 동안 40℃ 미만의 온도에서 제1 세정제를 방출하고 비-일시적 데이터 프로세싱 유닛에 의해 제공된 시간에서 주요 세척 사이클 동안 소정량의 주요 세정제를 방출하도록 구성되고, 시간은 미리 결정된 온도 임계치를 초과하는 주요 세척 사이클 동안의 가전 제품 내부의 온도와 연관되며, 여기서 미리 결정된 온도 임계치는 40℃보다 더 높은 것인 투입 장치.
이러한 시스템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비-일시적 데이터 프로세싱 유닛은 투입 장치 상에 배치된 전용 하드웨어의 단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투입 장치가 가전 제품 내부에 배치될 착탈식 자동 투입 장치인 경우). 그것은 또한, 가전 제품 내부에 또는 그의 외부에 착탈식으로 배치되거나 가전 제품에 통합된 별도의 장치일 수 있다. 비-일시적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는 또한,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서버와 같은 또 다른 장치의 일부일 수 있다.
실시양태에 따르면, 투입 장치는 가전 제품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착탈식 투입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가전 제품의 세정 사이클 동안 얼룩을 제거하기 위한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방법의 실행을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은 또한, 가전 제품의 세정 사이클 동안 얼룩을 제거하기 위한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방법의 실행을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본 개시내용을 하기 도면과 함께 기재할 것이며, 여기서 유사한 번호는 유사한 요소를 가리키고:
도 1은 예시적 실시양태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장치들의 세트를 제시하고;
도 2는 실시양태에 따른 시스템의 일부일 수 있는 구성요소들의 개략도를 제시하고;
도 3은 예시적 실시양태에 따른 방법의 단순화된 작업흐름을 제시하고;
도 4-8은 세정 프로그램 동안 시간의 함수로서 식기세척기 내부의 온도의 변화의 그래프에 대한 5개의 예를 제시한다.
본 발명은 표백제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세라믹 (컵) 상에서 전형적으로 발견될 수 있는 차 얼룩과 같은 지속적 얼룩을 제거하는 보다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수단을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가전 제품의 주요 세척 사이클 동안 세정제의 분배를 온도가 미리 결정된 온도 임계치에 도달할 때까지 지연시킨다.
이 방법은 모든 종류의 가전 제품에 적용될 수 있으나, 특히 식기세척기의 세정 사이클 동안 얼룩을 제거하기에 효과적이다.
도 1은, 가전 제품(300)이 가전 제품의 세정 사이클 동안 세정제를 분배하도록 구성된 투입 장치(200)로부터 분배된 세정제를 수용할 수 있는 환경(1)을 나타낸다. 모바일 장치(400), 예컨대 모바일 폰, 태블릿, 또는 임의의 다른 컴퓨터 또는 동화 장치가 투입 장치(200) 및/또는 가전 제품(300)과 추가로 상호작용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400)는, 예를 들어 세정제의 분배를 위한 매개변수를 설정하기 위해 또는 가전 제품(300) 상에서 실행가능한 프로그램으로부터 세정 프로그램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모바일 장치(400)는 추가로, 투입 장치(200) 및/또는 가전 제품(300)에 정보를 전송하거나 그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는, 가전 제품(300) 내부에 삽입된 물품들의 상태, 예컨대 이들 물품의 성질, 얼룩, 예를 들어, 차 얼룩의 존재, 얼룩의 유형, 및 삽입된 물품들의 오염 수준과 관련된 정보를 가전 제품(300) 및/또는 투입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다.
투입 장치(200)는, 상이한 세정제 (예를 들어, 효소 함유 액체, 알칼리 함유 액체 및 피니셔)를 갖는 수 개의 카트리지, 및 카트리지와 커플링된 분배 유닛을 포함하는 도 1 상에 제시된 바와 같은 별도의 장치일 수 있다. 투입 장치는 또한, 가전 제품(300)의 일체형 부품, 예를 들어 그의 투입 구획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시스템(22)을 개략적으로 제시한다. 이 시스템은, 도 1과 관련하여 이미 기재된 투입 장치(200), 및 비-일시적 데이터 프로세싱 유닛(20)을 포함한다. 비-일시적 데이터 프로세싱 유닛(20)은 가전 제품(300) 내부의 온도와 관련된 정보를 프로세싱하고 투입 장치(200)와 소통하여, 소정량의 주요 세정제 또는 임의의 다른 세정제가 분배될 시기를 명령한다. 비-일시적 데이터 프로세싱 유닛(20)은 투입 장치(200)에 의해 방출될 세정제의 양을 추가로 명령할 수 있다. 비-일시적 데이터 프로세싱 유닛(20)은 투입 장치(200)의 일체형 부품일 수 있거나 또는 별도의 요소일 수 있다. 비-일시적 데이터 프로세싱 유닛(20)은, 예를 들어 또한, 모바일 장치(400) 내부의 가전 제품(300)의 일부일 수 있거나, 또는 투입 장치(200)와 소통할 수 있는 또 다른 요소의 일부일 수 있다.
비-일시적 데이터 프로세싱 유닛(20)은 전형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2), 저장 요소(211) (예를 들어, 하드 드라이브 또는 휘발성 메모리, 예컨대 랜덤 액세스 메모리),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거나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213), 및 임의로 센서(214)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요소(211)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로부터 정보를 다운로드하고, 인터페이스(213)를 통해 수신된 정보 또는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400)에 의해 전송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것은 또한, 예를 들어 가전 제품(300)에 의해 실행된 프로그램에 관한 사전-저장된 정보, 특히, 시간의 함수로서 가전 제품(300) 내부의 온도의 변화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되거나 이미 저장된 정보는 저장 요소(211) 내에 보관될 수 있다. 센서(214)는 세정 사이클 동안 가전 제품(300) 내부의 온도를 결정할 수 있는 온도 센서와 같은 장치일 수 있다. 비-일시적 데이터 프로세싱 유닛(20)은 다른 센서 (온도 센서 대신에 또는 그에 추가로), 예를 들어 타이머, 가속도계, 분광계, pH-계측기, 전도도 측정 센서, 탁도 측정 센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가전 제품(300) 내부의 온도에 관한 정보는, 세정 사이클의 상이한 시간에서 가전 제품(300) 내부의 온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액세스를 통해, 또는 가전 제품(300) 내에 위치한 외부 센서와 같은 외부 소스를 통해 비-일시적 데이터 프로세싱 유닛(20)과 소통할 수 있다.
정보는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비-일시적 데이터 프로세싱 유닛(20)과 투입 장치(200) 및/또는 가전 제품(300) 및/또는 모바일 장치(400) 간에 전달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라디오 주파수 식별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근접장 통신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스레드(Thread), 지그비(Zigbee)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기재된 시스템(20)은 전형적으로 본 발명의 개선된 얼룩 제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얼룩 제거 방법은, 전형적으로 알칼리 액체를 포함하는 주요 세정제가 가전 제품(300)의 세정 사이클의 주요 세척 사이클 동안 분배되는 시간을 지연시키는 것으로 구성된다. 최대 효율은, 주요 세정제가 주요 세척 사이클이 시작될 때 분배되기보다는, 미리 결정된 온도 임계치 (예를 들어, 40℃보다 높은 온도 임계치)를 초과할 때 분배되는 경우에 관찰되었다.
도 3은, 세정 사이클의 상이한 시간에서 가전 제품(300) 내부의 온도와 관련된 정보를 얻는 것(31)으로 구성된, 가전 제품의 세정 사이클 동안 얼룩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30)의 예를 제시한다. 상기 정보는 센서(214)에 의해 제공될 수 있거나, 또는 시간의 함수로서 가전 제품(300) 내부의 온도 변화의 기록치 또는 추정치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로 판독될 수 있다.
방법은, 전형적으로 효소를 포함하는 제1 세정제를 전형적으로 30℃보다 낮은 가전 제품(300) 내부의 온도에서 주요 세척 사이클의 초기 단계에서 방출하는 것(32)에 의해 진행된다.
그런 다음, 방법은, 가전 제품(300) 내부의 온도가 40℃를 초과할 때 주요 세정제, 전형적으로, 알칼리를 포함하는 세정제의 소정량을 방출하는 것(33)에 의해 진행된다. 이러한 조건이 충족되는 순간은, 시간의 함수로서 가전 제품 내부의 온도의 변화에 대한 지식에 기반한 추정치를 통해, 또는 측정된 온도를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방출량은, 미리 결정된 온도 임계치가 40℃에 보다 가까울 때 증가될 수 있으며, 미리 결정된 온도 임계치가 55℃에 보다 가까우면, 유리하게는 58℃를 넘으면 감소될 수 있음을 참고해야 한다.
미리 결정된 온도 임계치는 고정 값 (예를 들어, 40℃, 50℃, 55℃, 58℃ 또는 60℃)으로 설정될 수 있거나, 또는 세정 사이클 동안 관찰된 사건과 동적으로 연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전 제품(300) 내부의 온도가 최대 값에 도달하여 감소하기 시작할 때 주요 세정제의 분배를 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데이터베이스가 시간의 함수로서 가전 제품(300) 내부의 예상 또는 예측 온도 변화를 함유하는 경우, 주요 세정제의 분배를 위한 조건을, 주요 세척 사이클 동안 최대 온도의 특정 백분율, 예를 들어 최대 온도 값의 80% 또는 90% 또는 95%에 상응하는 온도를 초과하는 것으로서 또는 그러한 온도가 예상되는 예측 시간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와 같은 경우, 타이머를 사용하여 주요 세정제의 분배를 촉발시킬 수 있다. 또 다른 가능성은, 주요 세정제의 방출로부터 주요 사이클의 시작을 분리하는 시간을 추가로 설정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주요 세정제의 방출 전에 주요 세척 사이클 동안 제1 세정제의 분배가 시작된 후 5 또는 10분, 또는 주요 세척 사이클의 시작 후 5 또는 10분을 기다리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주요 세척 사이클 동안 주요 세정제의 방출량은 3 그램 내지 40 그램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양은 가전 제품(300) 내부의 물품들의 오염 수준 및 적재량, 뿐만 아니라 선택되는 미리 결정된 온도 임계치에 좌우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정규 세정 사이클 외에, 가전 제품(300) 내부의 온도가 미리 결정된 온도 임계치를 초과할 때 소정량의 주요 세정제를 분배하는 것이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효소 상을 전형적으로 포함하는 제1 세정제가 주요 세척 사이클의 처음 수 분 내에 분배될 수 있고, 이어서 다음 10분 이내에, 온도가 여전히 40℃보다 낮을 때 알칼리를 전형적으로 포함하는 제2 세정제의 방출이 이어질 수 있다. 그런 다음, 가전 제품 내부의 40℃ 초과의 보다 높은 온도에서 상기 기재된 예보다 실질적으로 더 적을 수 있는 양의 주요 세정제가 분배될 수 있다.
상기 기재된 방법은 가전 제품(300)의 세정 프로그램 내에 저장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 준비될 수 있다. 그것은 또한, 특히 식기세척기에서의 차 얼룩을 제거하기에 특히 적합한, 가전 제품의 임의의 프로그램에 부가되는 옵션으로서, 예를 들어 얼룩 제거 옵션으로서 이용가능할 수 있다. 상기한 방법을 포함하는 세정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결정은 사용자가 취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가전 제품(300) 상에서 또는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400) 상의 임의의 다른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와 같은 특수 프로그램 또는 옵션을 선택한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결정은, 예를 들어 차 얼룩과 같은 제거하기 어려운 얼룩의 존재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비-일시적 데이터 프로세싱 유닛(22) 또는 투입 장치(200)가 취할 수 있다.
제거하기 더 어려운 얼룩의 존재의 결정 시에 또는 그러한 얼룩이 존재할 수 있다는 사용자와 같은 외부 소스에 의한 명령 시 세정 전략을 적합화하는 것이 추가로 가능하다. 미리 선택된 프로그램이 40℃ 초과의 온도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 주요 세척 사이클을 온도가 40℃, 유리하게는 55℃ 이상을 초과하는 짧은 시간 프레임을 포함하도록 적합화하여, 주요 세정제를 상기와 같은 보다 높은 온도에서 분배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기재된 방법을 사용한 가전 제품의 제어는, 가전 제품과 소통하고 그의 프로그래밍을 업데이트할 수 있는 임의의 전자 장치 내로 적재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예를 들어 모바일 폰 상의 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4 내지 8은, 상기 기재된 얼룩을 세정하기 위한 방법으로부터 이익을 얻는 상이한 식기세척기들 내부의 세정 사이클의 5개의 예를 제공한다. 하기 제공된 예에서, 모든 종류의 품목 및 오염 유형을 포함하는 102개의 물품이 식기세척기 내부에 배치된다.
물품은 나이프, 차 스푼, 대형 스푼, 샐러드 보울, 팬, 컵, 머그잔, 받침접시, 플레이트, 체, 주걱, 국자, 캔, 유리 보울, 도마, 포크 및 냄비를 포함한다.
이들 물품은 식기세척기에 의해 세정된 품목에서 발견될 수 있는 표면들의 유형의 좋은 예를 제공한다. 이들 102개의 품목 상에서 발견된 얼룩들의 유형은 하기와 같았다: 달걀 노른자, 시금치, 차 얼룩, 우유 얼룩, 다진 고기, 귀리 플레이크, 달걀, 탄 라자냐.
품목 및 오염의 분포는 세정 프로그램의 효율을 시험하기 위해 확립된 유럽 기준 EN 50242와 일치한다. 이 기준에 의해 설정된 한도에 추가로, 상이한 유형의 재료, 예컨대 유리, 세라믹 또는 플라스틱 품목, 예컨대 플라스틱 캔이 식기세척기 내에 적재되었다.
채택된 세정 전략의 효율을 시험하기 위해, 차 얼룩을 포함하는 컵들의 청결도를 0에서부터 10까지 등급화하였으며, 10은 완벽하게 깨끗한 결과와 연관된다. 하기 예에서, 차 얼룩에 대해 제공된 등급은 식기세척기 내로 삽입된 6개의 컵에 대해 얻은 평균 값이다. 모든 품목의 총 청결도는 0에서부터 5까지 등급으로 지정하였으며, 5는 완벽하게 세정된 품목들의 세트와 연관된다. 세정된 품목 상의 액적의 존재를 카운팅하는 것으로 구성된 방법을 사용하여 액적의 존재를 또한 등급으로 지정하였다. 등급은 0 (액적이 발견되지 않음)에서부터 6 (6개 이상의 액적이 발견됨)까지이다.
도 4는 밀레(MIELE) G6730SC 식기세척기의 세정 사이클 전반에 걸쳐 시간의 함수로서 온도의 변화를 제시한다. 도 4 상에 나타나 있는 선택된 프로그램은 "퀵 파워 세척 60℃"로 표지되어 있다. 도 4의 다이어그램은 수직 온도 축(408) 및 수평 시간 축(409)을 포함한다. 세정 프로그램은 하기의 6개의 사이클로 분해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를 물로 충전(401), 주요 세척 사이클(402), 제1 물 교환 사이클(403), 제1 헹굼 사이클(404), 제2 물 교환 사이클(405) 및 최종 헹굼 사이클(406).
식기세척기 내부의 온도는 주요 세척 사이클 동안 거의 65℃까지 상승한다. 세정제의 분배는 하기를 포함한다: 주요 세척 사이클이 시작될 때 제1 세정제(410)의 방출, 최종 헹굼 사이클에서 피니셔(430)의 방출, 및 주요 세척 사이클 동안 주요 세정제(420)의 방출.
도 4는 주요 세정제(420)의 방출을 위한 4개의 상이한 타이밍 (참조 번호 2a-2d로 지칭됨)을 예시한다. 주요 세정제(420)의 이와 같은 분배는, 제1 세정제(410)의 분배 후 10분 초과의 지연 후에 발생한다. 이론적으로, 약 7분의 지연(440)이 또한 만족스러운 결과로 이어질 수 있었다.
제1 시험은 식기세척기의 전통적인 "퀵 파워 세척 60℃" 사이클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상기 정규 사이클은, 제1 세정제(410)를 분배한 지 2분 후에 주요 세정제를 방출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하기 제시된 표 1에는, 상기 정규 세정 사이클 후 관찰된 결과들이 요약되어 있다. 이를 상이한 투입량의 제1 세정제 (효소 상), 주요 세정제 (알칼리 상) 및 피니셔로 2회 반복하였다.
Figure pct00001
표 1
표 1 상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식기세척기의 정규 세정 사이클은 만족스러운 수준의 차 얼룩 제거에 도달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높은 투입량의 세정제에서, 결과는 9 미만으로 유지된다 (9는 만족스러운 등급으로 간주되며, 그를 넘으면 사용자가 컵 상의 차 얼룩을 전혀 인지하지 못함).
하기 제시된 표 2는, 제1 세정제(410)를 분배한 지 10분 초과 후에 보다 높은 온도에서 주요 세정제(420)가 분배될 때 관찰된 결과를 제공한다. 시험 4 및 5 둘 다는 60℃ 초과의 온도 T에서 주요 세정제의 분배로 수행되었다. 시험 4는 정규 투입량의 주요 세정제로 수행된 한편, 시험 5는 시험 4보다 더 높은 투입량의 세정제로 수행되었다.
Figure pct00002
표 2
표 2는, 정규 투입으로 55℃ 초과의 온도에서 주요 세정제(420)를 분배하면 차 얼룩의 완벽한 제거가 가능함을 보여준다. 이는 추가로, 주요 세정제의 분배를 위한 온도 임계치가 55℃를 넘으면 투입량이 청결도 결과에 어떠한 유의한 역할도 하지 못하는 것으로 제시한다.
추가 시험들은 이러한 관찰을 입증하는 경향이 있다.
도 5는, 60분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AEG FS56302WO 식기세척기의 세정 사이클 전반에 걸쳐 시간의 함수로서 온도의 변화를 제시한다. 도 5의 다이어그램은 수직 온도 축(408) 및 수평 시간 축(409)을 포함한다. 세정 프로그램은 하기의 4개의 사이클로 분해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를 물로 충전(501), 주요 세척 사이클(502), 제1 물 교환 사이클(503) 및 최종 헹굼 사이클(504).
세정제의 분배는 하기를 포함한다: 주요 세척 사이클이 시작될 때 제1 세정제(510)의 방출, 최종 헹굼 사이클에서 피니셔(530)의 방출, 및 주요 세척 사이클 동안 주요 세정제(520)의 방출.
도 5는 주요 세정제(520)의 방출을 위한 4개의 상이한 타이밍 (참조 번호 2, 2a-2c로 지칭됨)을 예시한다. 주요 세정제의 분배를 위한 "전통" 또는 "정규" 타이밍은 참조 번호 2에 상응하고, 번호 550으로 지칭된다. 주요 세정제(520)의 분배는 제1 세정제(510)의 분배 후 10분 초과의 지연 후에 발생한다. 이론적으로, 약 7분의 지연(540)이 또한 만족스러운 결과로 이어질 수 있었다.
하기 제시된 표 3은, 도 5 상에 나타낸 상이한 시간 2, 2a-2c에서 주요 세정제(520)가 방출될 때 관찰된 결과를 제공한다. 방출 시간 2 및 2c의 경우, 정규 및 더 높은 투입량의 세정제를 시험하였다.
Figure pct00003
표 3
이 표는 도 4와 관련하여 이루어진 관찰을 입증한다. 더욱이, 표 3 상에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55℃ 미만이나 40℃ 초과인 보다 낮은 온도에서도 주요 세정제의 분배량의 증가는 또한, 높은 청결도 등급과 함께 차 얼룩의 매우 만족스러운 제거로 이어질 수 있다.
도 6은, 1시간 건조 사이클과 함께 짧은 1시간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보쉬(Bosch) SMS68TW06E 식기세척기의 세정 사이클 전반에 걸쳐 시간의 함수로서 온도의 변화를 제시한다. 도 6의 다이어그램은 수직 온도 축(408) 및 수평 시간 축(409)을 포함한다. 세정 프로그램은 하기의 6개의 사이클로 분해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를 물로 충전(601), 주요 세척 사이클(602), 제1 헹굼 사이클(603), 최종 헹굼 사이클(604), 제올라이트 건조 사이클(605) 및 건조 사이클(606).
세정제의 분배는 하기를 포함한다: 주요 세척 사이클이 시작될 때 제1 세정제(610)의 방출, 및 주요 세척 사이클 동안 주요 세정제(620)의 방출.
도 6은 주요 세정제(620)의 방출을 위한 3개의 상이한 타이밍 (참조 번호 2, 2a 및 2b로 지칭됨)을 예시한다. 주요 세정제의 분배를 위한 "전통" 또는 "정규" 타이밍은 참조 번호 2에 상응하고, 번호 650으로 지칭된다.
하기 제시된 표 4는, 도 6 상에 나타낸 상이한 시간 2, 2a-2b에서 주요 세정제(620)가 방출될 때 관찰된 결과를 제공한다.
Figure pct00004
표 4
이 표는 도 4 및 5와 관련하여 이루어진 관찰을 입증한다. 더욱이, 표 4 상에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이로부터, 40℃에서 주요 세정제의 분배량의 증가는 또한, 높은 청결도 등급과 함께 차 얼룩의 매우 만족스러운 제거로 이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7은 1시간 건조 사이클과 함께 긴 2시간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보쉬 SMS68TW06E 식기세척기의 세정 사이클 전반에 걸쳐 시간의 함수로서 온도의 변화를 제시한다. 도 7의 다이어그램은 수직 온도 축(408) 및 수평 시간 축(409)을 포함한다. 세정 프로그램은 하기의 5개의 사이클로 분해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를 물로 충전(701), 주요 세척 사이클(702), 제1 헹굼 사이클(703), 최종 헹굼 사이클(704) 및 건조 사이클(706).
세정제의 분배는 하기를 포함한다: 주요 세척 사이클이 시작될 때 제1 세정제(710)의 방출, 및 주요 세척 사이클 동안 주요 세정제(720)의 방출.
도 7은 주요 세정제(720)의 방출을 위한 2개의 상이한 타이밍 (참조 번호 2 및 2a로 지칭됨)을 예시한다. 주요 세정제의 분배를 위한 "전통" 또는 "정규" 타이밍은 참조 번호 2에 상응하고, 번호 750으로 지칭된다.
하기 제시된 표 5는, 도 7 상에 나타낸 상이한 시간 2 및 2a에서 주요 세정제(720)가 방출될 때 관찰된 결과를 제공한다. 시험 1 및 2는 정규 투입량의 세정제로 수행된 한편, 시험 3 및 4는 시험 1 및 2보다 더 높은 투입량의 세정제로 수행되었다.
Figure pct00005
표 5
이 표는 도 4, 5 및 6과 관련하여 이루어진 관찰을 입증한다. 더욱이 이로부터, 세정제의 투입량이 차 얼룩의 제거에 대해 작용하는 제2 수단이며, 그 결과, 알칼리 주요 세정제(720)가 분배되는 온도와 상승작용적으로 조합됨을 알 수 있다.
도 7 상에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효소 상의 분배를 2개의 별도의 상으로 분할함으로써 총 청결도를 추가로 개선시킬 수 있음이 추가로 관찰되었다. 효소 상의 제1 분량, 예를 들어, 총 효소 상의 3/5은 세정 사이클이 시작될 때, 즉, 예비-세척 사이클 동안 또는 주요 세척 사이클의 처음 수 분 동안 분배될 수 있다. 효소 상의 제2 양, 예를 들어, 효소 상의 총량의 2/5는 세정 사이클의 후반 단계에서, 예를 들어, 제1 양을 분배한 지 약 10분 후에 분배될 수 있다.
도 8은 건조 사이클과 함께 짧은 집중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바우크네흐트(Bauknecht) BFE 2B19 식기세척기의 세정 사이클 전반에 걸쳐 시간의 함수로서 온도의 변화를 제시한다. 도 8의 다이어그램은 수직 온도 축(408) 및 수평 시간 축(409)을 포함한다. 세정 프로그램은 하기의 6개의 사이클로 분해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를 물로 충전(801), 주요 세척 사이클(802), 제1 헹굼 사이클(803), 제2 헹굼 사이클(804), 최종 헹굼 사이클(805) 및 건조 사이클(806).
세정제의 분배는 하기를 포함한다: 주요 세척 사이클이 시작될 때 제1 세정제(810)의 방출, 및 주요 세척 사이클 동안 주요 세정제(820)의 방출.
도 8은 주요 세정제(820)의 방출을 위한 2개의 상이한 타이밍 (참조 번호 2 및 2a로 지칭됨)을 예시한다. 주요 세정제의 분배를 위한 "전통" 또는 "정규" 타이밍은 참조 번호 2에 상응하고, 번호 850으로 지칭된다.
하기 제시된 표 6은, 도 8 상에 나타낸 상이한 시간 2 및 2a에서 주요 세정제(820)가 방출될 때 관찰된 결과를 제공한다.
Figure pct00006
표 6
이 표는 도 4-7과 관련하여 이루어진 관찰을 입증한다. 이로부터 추가로, 투입량만으로 차 얼룩의 완벽한 제거를 달성하기에 충분하지 않지만, 주요 세정제(820)의 분배 타이밍 및 세정제의 투입량의 상승작용적 효과로 달성될 수 있음이 증명된다.
상기 실시예들에서 나타나 있지는 않지만, 주요 세정제를 계산된 양으로 2회 분배하는 것, 즉 세정제의 "정규" 방출에 따라 주요 세척 사이클이 시작될 때 1회에 이어, 보다 높은 온도에서 주요 세정제의 제2 분배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상기 기재된 실시예들 및 실시양태들의 단계들은 컴퓨터와 같은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상에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한 방법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상이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들 상에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은, 예를 들어 프로세서 또는 칩, FPGA (field programable gate array: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 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칩을 포함하는 전자 회로, 하드 드라이브, 플래시 또는 SD 카드, USB 스틱, CD-ROM 또는 DVD-ROM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 또는 디스켓 216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 실시양태가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제시되어 있지만, 많은 수의 변형양태가 존재함을 인지하여야 한다. 또한, 예시적 실시양태 또는 예시적 실시양태들은 단지 예이며, 어떠한 식으로든 다양한 실시양태의 범주, 이용가능성 또는 구성을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음을 인지하여야 한다. 그보다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원에 고려된 바와 같은 예시적 실시양태의 구현을 위한 편리한 로드맵을 제공할 것이다.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술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양태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예시적 실시양태에 기재된 요소들의 기능 및 배열에서 다양한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한다.

Claims (15)

  1.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가전 제품(300)의 세정 사이클 동안 얼룩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30)으로서, 세정 사이클은 적어도 주요 세척 사이클(402, 502, 602, 702, 802)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 주요 세척 사이클 동안 40℃ 미만의 온도에서 제1 세정제(410, 510, 610, 710, 810)를 방출하는 단계; 및
    - 주요 세척 사이클 동안 가전 제품 내부의 온도가 미리 결정된 온도 임계치를 초과할 때 주요 세척 사이클 동안 소정량의 주요 세정제(420, 520, 620, 720, 820)를 방출하며, 여기서 미리 결정된 온도 임계치는 40℃보다 더 높은 것인 단계.
  2. 제1항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온도 임계치가 하기 값: 50℃, 55℃, 58℃, 60℃, 온도의 감소 전에 주요 세척 사이클 동안 도달된 최대 온도, 세정 사이클 동안 도달된 최대 온도의 95% 중 하나 중에서 선택되는 것인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주요 세정제가 시트레이트, 포스포네이트, 타르트레이트, 메틸글리신디아세트산 (MGDA), 에틸렌디아민-N,N'-디숙신산 (EDDS), 테트라나트륨-N,N-비스(카르복실레이토메틸)-L-글루탐산 또는 N,N-디프로필-2,3디히드록시테레프탈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킬레이트화제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기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 제1 세정제의 방출을 시작한 지 적어도 5분 후에 주요 세정제를 방출하는 단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기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 주요 세척 사이클 동안 40℃ 미만의 온도에서 제1 세정제를 방출하는 단계로서, 제1 세정제는 효소를 포함하는 것인 단계; 및
    - 제1 세정제의 방출을 시작한 후에 제2 세정제(450, 550, 650, 750, 850)를 방출하는 단계.
  6. 제5항에 있어서, 제1 세정제가 제2 세정제에 대해 제2 세정제의 양의 0.1배 내지 10배에 포함된 비로 투입되는 것인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기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 방출될 주요 세정제의 양을 미리 결정된 온도 임계치의 값에 기반하여 결정하는 단계로서, 주요 세정제의 양은 미리 결정된 온도 임계치가 보다 낮을 때 보다 높은 것인 단계.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방출될 주요 세정제의 양이 3 그램 내지 40 그램인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기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 세정 사이클의 상이한 시간에서 가전 제품 내부의 온도에 관한 정보를 얻는 단계.
  10. 제9항에 있어서, 세정 사이클의 상이한 시간에서 가전 제품 내부의 온도에 관한 정보가 가전 제품에 의해 실행가능한 프로그램의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제공되는 것인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기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 가전 제품 내부에 위치한 착탈식 투입 장치(200)로부터 소정량의 주요 세정제를 방출하는 단계.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기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 가전 제품 내부에 배열된 물품들 사이의 차 얼룩의 존재와 관련된 정보를 얻는 단계.
  13. 하기를 포함하는, 가전 제품(300)의 세정 사이클 동안 얼룩을 제거하기 위한 시스템(22)으로서, 세정 사이클은 적어도 주요 세척 사이클(402, 502, 602, 702, 802)을 포함하는 것인 시스템:
    - 세정 사이클의 상이한 시간에서 가전 제품 내부의 온도에 관한 정보를 얻도록 구성된 비-일시적 데이터 프로세싱 유닛(20);
    - 주요 세정제(420, 520, 620, 720, 820)를 함유하고 비-일시적 데이터 프로세싱 유닛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투입 장치(200)로서, 투입 장치는 주요 세척 사이클 동안 40℃ 미만의 온도에서 제1 세정제(410, 510, 610, 710, 810)를 방출하고 비-일시적 데이터 프로세싱 유닛에 의해 제공된 시간에서 주요 세척 사이클 동안 소정량의 주요 세정제를 방출하도록 구성되고, 시간은 미리 결정된 온도 임계치를 초과하는 주요 세척 사이클 동안의 가전 제품 내부의 온도와 연관되며, 여기서 미리 결정된 온도 임계치는 40℃보다 더 높은 것인 투입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투입 장치가 가전 제품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착탈식 투입 장치인 시스템.
  15. 가전 제품의 세정 사이클 동안 얼룩을 제거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의 실행을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217015132A 2018-11-23 2019-11-21 가전 제품의 세정 사이클 동안 얼룩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 KR202100939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208126.5A EP3656272A1 (en) 2018-11-23 2018-11-23 Method for removing stains during a cleaning cycle of a household appliance
EP18208126.5 2018-11-23
PCT/EP2019/082134 WO2020104611A1 (en) 2018-11-23 2019-11-21 Method for removing stains during a cleaning cycle of a household applian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3902A true KR20210093902A (ko) 2021-07-28

Family

ID=64456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5132A KR20210093902A (ko) 2018-11-23 2019-11-21 가전 제품의 세정 사이클 동안 얼룩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000329A1 (ko)
EP (2) EP3656272A1 (ko)
KR (1) KR20210093902A (ko)
CN (1) CN113164003A (ko)
WO (1) WO20201046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537336A (ja) 2020-08-04 2023-08-31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自動食器洗浄方法及びパック
EP4108150A1 (en) * 2021-06-22 2022-12-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 method of treating dishware in a domestic automatic dishwash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71734B2 (en) * 2005-01-20 2009-08-11 General Electric Company Fluid dispensing system for a washing device
DE102006043913A1 (de) * 2006-09-19 2008-03-2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artusche für ein wasserführendes Haushaltsgerät mit einem Reinigungsmitteldosiersystem
DE102006043916A1 (de) * 2006-09-19 2008-03-2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Wasserführendes Haushaltsgerät mit einem Reinigungsmitteldosiersystem sowie Kartusche hierfür
DE102006043914A1 (de) * 2006-09-19 2008-03-2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wasserführenden Haushaltsgeräts
DE102006043915A1 (de) * 2006-09-19 2008-03-2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Wasserführendes Haushaltsgerät mit einem Reinigungsmitteldosiersystem sowie Kartusche hierfür
US8047024B2 (en) * 2007-05-07 2011-11-01 Whirlpool Corporation Control and wash cycle for activation and deactivation of chemistry in the wash bath of an automatic washer
US20110000511A1 (en) * 2009-07-01 2011-01-06 General Electric Company Deep clean cycle
EP2494018A1 (de) * 2009-10-30 2012-09-05 Henkel AG & Co. KGaA Maschinelles reinigungsverfahren
US8529705B2 (en) * 2009-12-17 2013-09-10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of controlling the release of cleaning agents into a dishwasher cycle
DE102010027993A1 (de) * 2010-04-20 2012-05-31 Henkel Ag & Co. Kgaa Dosiersystem für ein wasserführendes Haushaltsgerät
DE102010028482A1 (de) * 2010-05-03 2011-11-03 Henkel Ag & Co. Kgaa Maschinelles Geschirrspülverfahren
US8337628B2 (en) * 2010-11-23 2012-12-25 Whirlpool Corporation Non-integrated bulk dispenser and method of operating a dishwasher having same
GB2496857A (en) * 2011-11-22 2013-05-29 Reckitt & Colman Overseas A method and device for dispensing detergent in a washing machine
CN105534439A (zh) * 2016-01-22 2016-05-04 宁波欧琳厨具有限公司 一种水槽式清洁设备的双洗清洁方法
CN105942943A (zh) * 2016-04-01 2016-09-21 宁波欧琳厨具有限公司 一种净化水槽的双洗清洁方法
CN106758010A (zh) * 2016-11-30 2017-05-31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外挂式液体投放盒装置、洗涤系统的洗涤剂投放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00329A1 (en) 2022-01-06
WO2020104611A1 (en) 2020-05-28
EP3883448A1 (en) 2021-09-29
CN113164003A (zh) 2021-07-23
EP3656272A1 (en) 2020-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022314A1 (en) Processes
RU2748747C2 (ru) Способ управляемого дозированного введения обрабатывающих композиций в моечных машинах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20210093902A (ko) 가전 제품의 세정 사이클 동안 얼룩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
ES2396474T3 (es) Máquina lavavajillas y procedimiento de funcionamiento de una máquina lavavajillas empleando un preparado combinado con varias sustancias activas
US11076742B2 (en) Dishwash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dishwasher
US20100269863A1 (en) Dish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the operation thereof
US11291346B2 (en) Device, water-conducting household appliance and method for customizing a washing program
US20180325346A1 (en) Water-conducting domestic applian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water-conducting domestic appliance
CN112790693A (zh) 一种洗碗机的控制方法及洗碗机
EP2756789A2 (en) Method of washing dishes
EP2028991A2 (en) Household washing machine, in particular a dishwash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said washing machine
WO2018001850A1 (en) A dishwasher
CN106460297B (zh) 具有碱液容器的家用器具
US8343285B2 (en) Method for carrying out a rinsing programme
CA2896395A1 (en) Single phase automatic dishwashing detergent composition
AU2011368660B2 (en) Cleaning method for machine dishwashing
WO2017141015A1 (en) Water softening com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