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3316A - 불규칙 육각 단면형 중공의 금속 도파관 필터 - Google Patents

불규칙 육각 단면형 중공의 금속 도파관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3316A
KR20210093316A KR1020217018898A KR20217018898A KR20210093316A KR 20210093316 A KR20210093316 A KR 20210093316A KR 1020217018898 A KR1020217018898 A KR 1020217018898A KR 20217018898 A KR20217018898 A KR 20217018898A KR 20210093316 A KR20210093316 A KR 202100933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veguide
waveguide unit
basic
unit
fundame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8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이클 홀렌벡
로버트 스미스
Original Assignee
옵티시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옵티시스, 엘엘씨 filed Critical 옵티시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10093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33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7Hollow waveguide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7Hollow waveguide filters
    • H01P1/209Hollow waveguide filters comprising one or more branching arms or cavities wholly outside the main wavegui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7Hollow waveguide filters
    • H01P1/208Cascaded cavities; Cascaded resonators inside a hollow waveguide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00Waveguides;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12Hollow waveguides
    • H01P3/123Hollow waveguides with a complex or stepped cross-section, e.g. ridged or grooved waveguides

Landscapes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도파관 피리터는 기본 도파관 유닛을 포함한다. 기본 도파관 유닛은 불규칙 육각형 금속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불규칙 육각형 금속 구조의 하나의 벽은 불규칙 육각형 금속 구조를 가지는 다른 기본 도파관 유닛의 하나 이상의 벽에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기본 도파관 유닛은 전자기 신호를 수신하고 공명 캐비티를 통하여 신호를 전파하는 공명 캐비티를 포함하는 중공의 불규칙 육각형 금속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불규칙 육각 단면형 중공의 금속 도파관 필터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도파관 필터와 그 구조에 관한 시스템, 방법 및 장치,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파관 필터는 전자기파 또는 신호를 수신하고, 전자기파가 일부 주파수에서 또는 일부 주파수 대역 내에서 최소한의 에너지 소실로 도파관을 통하여 전파하는 것을 허용하는 구조일 수 있다. 도파관 필터는 많은 컨텍스트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예시는 안테나, 전자기 필터 및 기타 무선 주파수(RF)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안테나는 현대 사회에서 매우 흔하며, 스마트 장치가 크게 증가하고 무선 연결이 기하급수적으로 더 많은 장치와 플랫폼으로 들어감에 따라, 점점 중요한 기술이 되고 있다. 신호를 두 지점 사이에서 무선으로 전송하고 수신하기 위해 설계된 안테나 구조는 와이어의 길이를 요구되는 신호 주파수의 알려진 파장으로 조정하는 것만큼 단순할 수 있다. 와이어의 특정한 길이에 대한 특정한 파장(광속분의 주파수에 반비례함; λ=c/f)에서, 와이어는 수신된 신호를 "판독" 또는 재구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예측가능한 방식으로 전송된 신호에 노출되는 것에 응답하여 공진할 것이다. 라디오 및 텔레비전과 같은 단순한 장치에 대하여, 와이어 안테나는 충분히 유용하다.
패시브 안테나(passive antenna) 구조는 다양한 응용에서 이용된다. 통신은 가장 잘 알려진 응용이며, 라디오, 텔레비전 및 인터넷과 같은 분야에 적용된다. 레이더는 안테나에 대한 다른 일반적인 응용이고, 통신 안테나와 거의 동등한 패시브 방사 구조를 가질 수 있는, 안테나는 감지 및 탐지에 이용된다. 레이더 안테나가 이용되는 보통의 산업은 기상 감지(weather sensing), 공항 교통 관제(airport traffic control), 해군 군함 탐지(naval vessel detection) 및 저지구 궤도 영상(low earth orbit imaging)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전자전(electronic warfare) 및 ISR(정보, 감시 및 정찰)과 같은 산업 외부에 덜 알려진 안테나에 대한 폭넓은 고성능 응용이 존재한다.
높은 통신 속도(data rate), 원거리(long range) 또는 높은 신호 대 잡음비가 특정한 응용에 대하여 요구되는 경우, 고성능 안테나가 요구된다. 예컨대, 위성 통신(SATCOM) 안테나에서 한 세트의 시스템 요구사항을 만족하도록 안테나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손실원을 감소시키고 안테나로부터 떨어져 특정한 영역을 향하는 에너지의 양("이득(gain)"로 지칭됨)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도전적인 응용에서, 또한 까다로운 환경, 충격 및 진동 조건에서 잔존하면서, 고성능이 달성되어야 한다. 안테나 구조에서의 손실은 물질 특성(유전체에서 손실, 금속에서 전도성), 신호가 패시브 구조에서 이동해야 하는 총 경로 길이(총 손실은 길이당 손실에 총 길이를 곱함), 멀티-피스 제조, 안테나 기하학 등과 같은 다양한 원인 때문일 수 있다. 이는 모두, 사이즈, 무게, 전력 및 비용 성능 메트릭(SWaP-C)의 균형을 유지하는 경우, 안테나 설계자가 해야하는 특정한 설계 및 제조 선택과 관련된다. 안테나 구조의 이득은 안테나의 영역과 동작의 주파수의 함수이다. 고이득 안테나를 생성하는 것은 파장의 수에 대한 총 영역을 증가시키는 것이고, 재료 또는 제조 방법의 잘못된 선택은 패시브 피드(passive feed)와 방사 부분에서 손실을 증가시킴으로써 안테나의 달성된 이득을 빠르게 감소시킬 수 있다.
최저 손실과 최고 성능 RF구조 중 하나는 중공의 금속 도파관이다. 이는 전도성 재료, 일반적으로 구리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에 의해 단면의 에지가 둘러싸인 유전체, 공기 또는 진공의 단면을 가지는 구조이다. 중공의 금속 도파관에 대한 전형적인 단면은 직사각형, 사각형 및 원형을 포함하며, 이들은 19세기와 20세기에 분석 및 제조의 용이성으로 인해 선택되었다. 공기로 찬 중공의 금속 도파관 안테나와 RF 구조는 반사 안테나 피드(reflector antenna feed) 및 안테나 어레이와 같이 가장 까다로운 응용에서 이용된다. 반사 피드 및 안테나 어레이는 파장에 관하여 매우 큰 안테나를 제공하는 이점을 가지며, 따라서 적은 손실과 고이득 성능을 가진다.
모든 물리적 컴포넌트는 컴포넌트를 생성하기 위해 이용되는 제조 방법의 제한을 가지고 설계된다. 안테나와 RF 컴포넌트는 대부분의 중요한 특징이 파츠 내부에 있음에 따라, 제조 방법에 특히 민감하고, 기하학에서 매우 작은 변화는 안테나 성능에서 상당한 변화로 이어질 수 있다. 종래의 제조 프로세스의 제한으로 인해, 중공의 금속 도파관 안테나와 RF 컴포넌트는 다양한 플랜지, 인터페이스 및 이음매(seam)를 가진 멀티-피스 어셈블리로서 조립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왔다. 구조가 멀티-피스 방식으로 함께 조립되는 이음부의 전부는 최종 어셈블리의 사이즈, 무게 및 파츠 총 수를 증가시키는 한편, 동시에 증가된 손실, 경로 길이 및 반사를 통하여 성능을 감소시킨다. 구조의 증가된 복잡성을 가지고 증가된 사이즈, 무게 및 파츠 총 수의 전반적인 트렌드는 사이즈, 무게 및 비용이 전반적인 성능보다 덜 중요한 응용 범위 내에서의 중공의 금속 도파관 안테나와 RF 컴포넌트를 유지했다.
따라서, 종래의 도파관은 도파관에 대한 특정한 구현예를 위에서 설명된 제한을 가지는 표준 직사각형, 사각형 및 원형 단면의 기하학으로 제한하는 종래의 절삭 가공 기법을 이용하여 제조되었다. 부가적층 제조 기법은 다른 RF 컴포넌트를 도파관 구조와 통합하는 것과 같은 기회를 제공하여 복수의 RF 컴포넌트가 향상된 전반적인 성능을 가지고 더 작은 물리적 장치에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부가적층 제조에서 전형적인 직사각형, 사각형 또는 원형 도파관 구조를 제조하는 프로세스는 통합된 도파관 구조에서 차선의 성능과 증가된 총 비용으로 이어진다. 부가적층 제조의 강도의 이점을 취하는 도파관 구조를 위한 새로운 단면은 안테나와 RF 컴포넌트의 향상된 성능을 허용하는 한편, 복합 어셈블리에 대한 총 비용을 감소시킬 것이다.
따라서, 3차원 프린팅 기법(부가적층 제조 기법으로도 알려짐)으로 최적으로 제조될 수 있는 도파관 필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본 개시의 일 목적이다. 다양한 유형의 필터를 생성하도록 연결되는 도파관 필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본 개시의 추가 목적이다. 다른 RF 컴포넌트와 통합되는 도파관 필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본 개시의 추가 목적이다.
기본 도파관 유닛을 포함하는 도파관 필터가 여기에서 개시된다. 기본 도파관 유닛은 불규칙 육각형 금속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불규칙 육각형 금속 구조의 하나의 벽은 불규칙 육각형 금속 구조를 가지는 다른 기본 도파관 유닛의 하나 이상의 벽에 연결될 수 있다.
전자기 신호를 수신하는 공명 캐비티를 포함하고 공명 캐비티를 통하여 신호를 전파하는 중공의 불규칙 육각형 금속 구조를 포함할 수 있는 기본 도파관 유닛이 여기에서 더 개시된다.
본 개시의 비제한적이고, 완전하지 않은 구현예는 다음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며, 유사한 참조 번호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다양한 관점 전반에 걸쳐 유사한 부분을 지칭한다. 본 개시의 이점은 다음의 설명과 첨부된 도면에 관하여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불규칙 육각형 도파관 캐비티의 공기 용적의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2는 공명 오목부(resonance indent)가 있는 불규칙 육각형 도파관 캐비티의 공기 용적의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3은 불규칙 육각형 도파관 캐비티의 공기 용적의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4는 불규칙 육각형 도파관 캐비티에 대한 사이드 벽(sidewall) 커플링의 공기 용적의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5는 사이드 커플링이 있는 불규칙 육각형 도파관의 공기 용적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6은 넓은 벽 커플링이 있는 불규칙 육각형 도파관의 공기 용적의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7은 불규칙 육각형 도파관 트리플릿(triplet)의 공기 용적의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8은 제2 불규칙 육각형 도파관 트리플릿의 공기 용적의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9는 제2 트리플릿과 결합된 제1 트리플릿을 포함하는 불규칙 육각형 도파관의 공기 용적의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10은 제조된 밴드패스(bandpass) 트리플릿 필터를 예시한다.
도 11은 제2 트리플릿과 결합된 제1 트리플릿을 포함하는 불규칙 육각형 도파관의 공기 용적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12는 다른 제조된 밴드패스 트리플릿 필터를 예시한다.
도 13는 밴드패스 필터의 그래픽 성능을 예시한다.
도 14는 다른 밴드패스 필터의 그래픽 성능을 예시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한이 아닌 설명의 목적으로, 여기에 개시된 장치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특정한 기법과 구성과 같은 특정한 기법과 실시예가 기재된다. 기법과 실시예가 주로 첨부 도면과 문맥에서 설명될 것인 한편, 당업자는 기법과 실시예가 다른 유사한 장치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는 것을 더 이해할 것이다.
참조는 이제 모범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이루어질 것이며, 그 예시가 첨부된 도면에서 예시된다. 가능하면 어디서든, 동일한 참조 번호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을 지칭하도록 도면 전체에 걸쳐 이용된다. 특정한 실시예에 대해 개시된 요소가 설명되는 실시예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 더 유의된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 또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요소는 다른 실시예 또는 도면에서 도시되거나 설명되었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다른 실시예 또는 도면에 대안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도면의 요소는 도시 여부와 상관없이, 여기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 사이에서 교체가능할 수 있다.
통합 마케팅을 위한 구조,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되고 설명되기 이전에, 구조, 구성, 프로세스 단계 및 재료가 다소 달라질 수 있음에 따라, 본 개시가 여기에 개시된 특정한 구조, 구성, 프로세스 단계 및 재료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여기에 사용된 용어는 오직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용되며, 개시의 범위가 오직 첨부된 청구범위와 그에 상응하는 것에 의해 한정될 것이므로 제한할 의도가 없다는 점도 이해될 것이다.
본 개시의 대상을 설명하고 주장하는 것에서, 다음 용어들은 이하 제시된 정의에 따라 이용될 것이다.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이용된 바와 같이, 단수형태 "a", "an" 및 "the"는 문맥 상 명시적으로 규정되지 않는 한, 복수의 대상(referent)를 포함한다는 점을 유의해야한다.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이, "포함하는(comprising)", "포함하는(including)", "포함하는(containing)", "~에 특징이 있는(characterized by)"이라는 용어 및 그 문법적 등가물은 추가적이고 열거되지 않은 요소 또는 방법 단계를 배제하지 않는 포괄적 또는 개방식 용어이다.
여기서 사용된 바와 같이, "~로 구성되는"이라는 문구와 그 문법적 등가물은 청구범위에 명시되지 않은 임의의 요소 또는 단계를 배제한다.
여기에 이용된 바와 같이, "필수적으로 ~로 구성되는"이라는 문구와 그 문법적 등가물은 청구 범위를 특정된 재료 또는 단계로 한정하고, 청구된 개시의 특성 또는 기본 및 새로운 특성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는다.
여기서 논의된 많은 도면이 도파관, 도파관 컴포넌트 및/또는 도파관 전이의 다양한 구현예의 공기 용적(air volume)을 도시한다는 점이 또한, 주목된다. 다시 말하면, 이러한 공기 용적은 설명된 기능을 구현하는 데 적절하므로, 제조된 요소에 설치된 금속 스킨에 의해 생성되는 제조된 요소 내 컴포넌트의 네거티브 스페이스(negative space)를 예시한다. 다양한 공기 용적에 의해 도시된 네거티브 스페이스를 생성하는 포지티브 구조(positive structure)가 공기 용적에 의해 개시되며 포지티브 구조가 금속 스킨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개시된 부가적층 제조 기술을 이용하여 형성된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금속 부가적층 제조 시스템에 관련되는 이러한 설명의 목적으로, 시간에 따른 증가 방향은 양의 z 축 또는 "천정(zenith)"이라고 불리는 한편, 반대 방향은, 음의 z축 또는 "바닥(nadir)"이다. 바닥 방향은 종종 "하향"으로 지칭되는 경우가 있지만, 중력에 대한 z축 방위는 본 발명의 문맥에서 차이를 만들지 않는다. 임의의 소정의 지점에서 표면의 방향은 그 지점에서 그 표면에 대하여 법선인 벡터에 의해 나타난다. 그 벡터와 음의 z축 사이의 각도는 "오버행각(θ)(“세타”)"이다.
"하향 표면"이라는 용어는 표면 상의 임의의 단일 지점에서 비롯된 두 벡터 사이에서 측정된 오버행각(θ)을 가지는 금속 부가적층 제조 프로세스에서 제조된 물체의 임의의 비수직 표면이다. 두 벡터는 (1) 표면에 수직이고, 공기 용적을 가리키는 벡터 및 (2) 바닥(음의 z축, 빌드의 반대편 또는 천정) 방향을 가리키는 벡터이다. 하향 표면에 대한 오버행각(θ)은 일반적으로 0° ≤ θ < 90° 범위 내에 속할 것이다. 하향 표면에 대한 오버행각(θ)은 이하에서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중공의 금속 도파관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예시된다. 여기서 사용된 바와 같이, 하향 표면은 제조 동안 도파관 내에서 제거 가능한 지지 구조에 의해 지지되지 않으며, 이는 예컨대, 내부 브레이싱(internal bracing)이 하향 표면 또는 빌드 벽을 지지하기 위하여 도파관의 캐비티 내에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되는 도파관 유닛으로 지칭될 수도 있는, 불규칙 육각형 도파관(100)의 단면의 실시예를 예시하고, 다양한 방법은 다른 도파관 유닛과 함께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파관(100)은 복수의 벽 또는 변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파관(100)은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대칭인 제1 벽(105A) 및 제2 벽(105B)을 포함한다. 도파관은 또한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대칭인, 제3 벽(105C) 및 제4벽(105D)을 더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105A-105D) 각각은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대칭이다. 그러나, 벽(105A-105D)은 대칭이거나 동일한 길이를 가질 필요가 없고, 전기적 특성 설계 조건의 특정한 세트에 더 적합하도록 변경되거나 조정될 수 있다. 벽(105A-105D) 각각이 상이한 길이를 가질 수 있거나, 벽(105A-105D)의 일부가 유사한 길이를 가질 수 있는 한편, 벽(105A-105D)의 다른 일부가 상이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파관(100)은 제5 벽(110A) 및 제6 벽(110B)이 벽(105A-105D)과 상이한 길이를 가지므로, 3차원에서 불규칙 육각형으로 지칭된다. 도파관(100)은 단면(예컨대, Y/Z 축을 향하는 단면)으로부터 일부 폭으로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카르트 좌표의 집합의 원점으로부터 x 방향으로) 압출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벽(110A) 및 제6 벽(110B)은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이는 벽(105A-105D)의 길이보다 길다. 그러나, 제5 벽(110A) 및 제6 벽(110B)이 벽(105A-105D)의 길이와 같거나 그보다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는 점이 고려될 수 있다. 제5 벽(110A) 및 제6 벽(110B)이 벽(105A-105D)의 길이와 같은 길이를 가지는 특별한 경우에서, 도파관(100)은 3차원에서 정육각형 도파관일 수 있다는 점이 유의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된 바와 같이, "육각형"이라는 용어는 불규칙 육각형 또는 정육각형 도파관 둘 다를 포함할 수 있는 한편, "불규칙 육각형" 또는 "정육각형 "이라는 용어는 각각, 정육각형 또는 불규칙 육각형을 배제한다.
도파관(100)은 도 1의 예시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단면(115A)에서 시작하고, 단면(115B)에서 끝나는 공명 캐비티를 포함할 수 있다. 도파관(100)은 전자기 신호가 도파관(100)의 길이 내 특정한 중심 주파수에서 공명하도록 하는 공명 캐비티로서 구현될 수 있다. 도파관(100)은 이러한 이유로, 전자 컴포넌트 내에 배치될 수 있는 도파관 캐비티를 고려할 수 있거나, 이하에서 논의될 바와 같이, 도파관 필터의 "기본 도파관 유닛"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도파관(100)은 제1 도파관 모드(예컨대, TE101모드)를 지원한다.
도파관(100)은 종래의 도파관 보다 많은 이점을 가진다. 먼저, 도파관(100)은 예컨대, 종래의 직사각형 도파관과 같이, 비교가능한 주파수, 전력, 전파 손실(transmission loss) 및 기타 전기적 특성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적합한 전기적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도파관(100)은 금속 부가적층 제조 프로세스(예컨대, 3D 금속 프린팅)를 이용하여 예컨대, 종래의 직사각형 도파관 보다 더 쉽게 생성될 수 있다.
금속 부가적층 제조는 단일 파츠로서 제조될 복합 통합 구조를 고려하는 제조 방법이다. 그러나, 금속 부가적층 제조의 하나의 고유한 양상은 이러한 복합 통합 구조가 금속의 다른 레이어 상에 놓이는 레이어로서 제조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특정한 파츠 또는 피스의 방위 또는 프린팅 순서는 중공의 금속 도파관 또는 다른 구조가 도파관 내에서 추가적인 빌드 지지 없이 통합된 구조 내에서 형성될 수 있음을 보장하도록 고려되어야한다. 다시 말하면, 금속 부가적층 제조동안, 금속의 제1 레이어만이 바람직하게는 양의 z 방향(예컨대, X-Y 평면에 대해 대략 0° 내지 대략90°)에서, 제1 레이어 밑에 다른 레이어를 가지지 않고 프린트될 수 있다. 이는 전형적인 금속 부가적층 제조 빌드 프로세스에서 바람직하게는 양의 z 방향으로 구조의 빌드를 지지하도록 빌드 플레이트 상에 프린팅함으로써 가능하다. 또한, 금속 부가적층 제조의 다른 제약은 금속 레이어가 금속의 다른 레이어 (또는 제1 금속 레이어의 경우, 빌드 기판) 상에 프린트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일 예시에서, 직사각형 도파관은 네 개의 변, 하부, 두 개의 수직 변 및 상부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직사각형 도파관을 프린트하는 것은, 하부와 수직 변이 쉽게 프린트될 수 있는 한편, 직사각형 도파관의 상부 변은 그 밑에 금속의 레이어 없이 프린트되어야 하므로 어려움이 존재한다. 따라서, 어떠한 새로운 레이어도 직사각형 도파관의 상부 변을 프린트하는 금속 레이어를 가지지 않는다. 상부 표면을 프린트하기 위해, 이전 레이어로부터의 적어도 일부 오버행(overhang)은 최종적으로 상부 변과 수직 변을 연결하도록 직사각형 도파관의 수직 변 사이의 갭을 가로질러 적어도 미크론 수준으로 연장되어야한다. 일부 오버행이 용인되는 한편, 직사각형 도파관에서와 같이, 0°의 오버행 또는 직각은 일반적으로 기계적 결함으로 이어지거나, 제조에 대한 내부 지지 구조를 요구한다.
0° 또는 거의 0°의 각도를 가지는 전이에서의 부가적층 제조 가공의 레이어링 동안 생성된 오버행은 현저한 기계적 결함을 생산할 수 있다. 이러한 오버행은, 제조되는 컴포넌트의 하나 이상의 벽이 빌드 방향으로 상당한 전이(예컨대, 0°에 접근하는 각도)를 마주하는 위치에서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는 제조동안, 빌드 방위 및 선택적인 컴포넌트 정형(shaping)을 통하여 45° +/- 25°의 미리 규정된 범위 내의 상이한 표면 사이의 각도를 유지하는 것에 바람직하다. 도파관(100)은 벽(105A-105D) 중 각 하나와 제5 벽(110A) 및 제6 벽(110B) 사이에 더 많은 중간 전이 각도를 가지는 각도를 가지는 도파관을 제공한다. 제1 벽(105A) 및 제2 벽(105B)이 금속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오직 제3 변(105C) 및 제4 변(105D)이 오버행 변이 되도록 고려된다는 점이 주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여기에 개시된 도파관의 다양한 실시예의 프린트 방위는 일반적으로 양의 z 축 방향을 따르며, 이는 도파관에 대하여 현재의 바람직한 방위이고, 또한 오버행을 최소화하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이, 도파관(100)의 불규칙 육각형 단면은 도파관에 대하여 요구된 전기적 특성뿐만 아니라 부가적층 제조 기술에 의한 프린팅에도 유용한 기하학적 구조이다. 도파관(100)은 45° ± 25°로 제어된 임계적인 오버행각을 유지함으로써 오버행 문제도 감소시키는 한편, 보다 복합적인 도파관 어셈블리의 빌드 용적(build volume)을 최소화한다. 예를 들어, 짧은 벽은 명목상 45° 각도만큼 각 코너 상에서 챔퍼링되어 도파관(100)이 벽(105A-105D) 및 벽(110A-110B) 중 임의의 벽 사이의 지점이 된다. 도파관(100)(상부 및 하부 에지 상의 챔퍼)의 대칭은 향상된 RF 성능 및 라우팅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공명 오목부(220)를 가지는 불규칙 육각형 도파관 캐비티 또는 유닛(200)의 공기 용적의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파관(200)은 복수의 벽 또는 변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파관(200)은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대칭인 제1 벽(205A) 및 제2 벽(205B)을 포함한다. 도파관(200)은 또한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대칭인, 제3 벽(205C) 및 제4벽(205D)을 더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205A-205D) 각각은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대칭이다. 그러나 벽(205A-205D)은 대칭이거나 동일한 길이를 가질 필요가 없고, 전기적 특성 설계 조건의 특정한 세트에 더 적합하도록 변경되거나 조정될 수 있다. 벽(205A-205D) 각각이 상이한 길이를 가질 수 있거나, 벽(205A-205D)의 일부가 유사한 길이를 가질 수 있는 한편, 벽(205A-205D)의 다른 일부는 상이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파관(200)은 제1 도파관 모드(예컨대, TE101모드)를 지원한다.
도파관(200)은 제5 벽(210A) 및 제6 벽(210B)이 벽(205A-205D)과 상이한 길이를 가지므로, 3차원에서 불규칙 육각형으로 지칭된다. 도파관(200)은 단면(예컨대, Y/Z 축을 향하는 단면)으로부터 일부 폭으로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카르트 좌표의 집합의 원점으로부터 X 방향으로) 압출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벽(210A) 및 제6 벽(210B)은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이는 벽(205A-205D)의 길이보다 길다. 그러나, 제5 벽(210A) 및 제6 벽(210B)이 벽(205A-205D)의 길이와 같거나 그보다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는 점이 고려될 수 있다. 제5 벽(210A) 및 제6 벽(210B)이 벽(205A-205D)의 길이와 같은 길이를 가지는 특별한 경우에서, 도파관(200)은 3차원에서 정육각형 도파관일 수 있다는 점이 유의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된 바와 같이, "육각형"이라는 용어는 불규칙 육각형 또는 정육각형 도파관 둘 다를 포함할 수 있는 한편, "불규칙 육각형" 또는 "정육각형 "이라는 용어는 각각, 정육각형 또는 불규칙 육각형을 배제한다.
도파관(200)은 공명 오목부(220)를 더 포함한다. 도 2는 도파관(200)의 금속 구현은 도면에서 도파관의 특징을 모호하게 할 것이므로 도파관(200)의 금속 구현 보다 도파관(200)의 공기 용적을 예시한다는 점이 유의된다. 그러나, 도파관(200)이 금속 스킨에서 구현되는 경우, 예를 들어, 공명 오목부(220)는, 실제로는, 금속에서 돌기 또는 돌출부(outdent)로 구현될 수 있다. "공명 오목부"라는 용어는 물리적 구현예에서의 돌기 및 공기 용적에서의 오목부 둘 다를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명 오목부(220)는 제1 벽(205A) 및 제2 벽(205B)의 대략 중간 지점에서 중심이 되는 제1 벽(205A) 및 제2 벽(205B) 내에 위치된다. 그러나, 공명 오목부(220)는 특별히 의도된 구현예에 적합하도록 제3 벽(205C) 및 제4 벽(205D) 상에 위치될 수 있다. 공명 오목부(220)는, 이하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단면(215A)에서 시작하고 단면(215B)에서 끝나는 공명 캐비티에 의해 정의된 축에 수직인 방식으로 도파관(200)의 사이드 벽에서 노치(notch)로서 동작한다. 공명 오목부(220)는 실질적인 구현예에서, 도파관(200)의 공명 주파수와 동반하는 전계를 증가시킨다. 공명 오목부(220)는 또한 빌드 지지의 이용 없이 금속 부가적층 제조를 통한 형성을 용이하게 하도록 둥근 에지(rounded edge)로 구현될 수 있다.
도파관(200)은 도 2의 예시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단면(215A)에서 시작하고, 단면(215B)에서 끝나는 공명 캐비티를 포함할 수 있다. 도파관(200)은 전자기 신호가 도파관(200)의 길이 내에서 특정한 중심 주파수에서 공명하는 것을 허용하는 공명 캐비티로서 구현될 수 있다. 도파관(200)은 이러한 이유로, 전자 컴포넌트 내에 배치될 수 있는 도파관 캐비티 또는 이하에서 논의될 바와 같이, 도파관 필터의 "기본 도파관 유닛"으로서 고려될 수 있다.
도 3은 불규칙 육각형 도파관(300)의 공기 용적의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파관(300)은 복수의 벽 또는 변을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파관(300)은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대칭인 제1 벽(305A) 및 제2 벽(305B)을 포함한다. 도파관(300)은 또한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대칭인, 제3 벽(305C) 및 제4 벽(305D)을 더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305A-305D) 각각은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대칭이다. 그러나, 벽(305A-305D)은 대칭이거나 동일한 길이를 가질 필요가 없고, 전기적 특성 설계 조건의 특정한 세트에 더 적합하도록 변경되거나 조정될 수 있다. 벽(305A-305D) 각각이 상이한 길이를 가질 수 있거나, 벽(305A-305D)의 일부가 유사한 길이를 가질 수 있는 한편, 벽(305A-305D)의 다른 일부는 상이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파관(300)은 제5 벽(310A) 및 제6 벽(310B)이 벽(305A-305D)과 상이한 길이를 가지므로, 3차원에서 불규칙 육각형으로 지칭된다. 도파관(300)은 단면(예컨대, Y/Z 축을 향하는 단면)으로부터 일부 폭으로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카르트 좌표의 집합의 원점으로부터 X 방향으로) 압출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파관(300)은 이하에서 논의될 바와 같이, 다른 도파관 모드(예컨대, TE102모드)를 지원하도록 도 1에 도시된 도파관(100) 의 X축으로 대략 두 배 길이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벽(310A) 및 제6 벽(310B)은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이는 벽(305A-305D)의 길이 보다 길다. 그러나, 제5 벽(310A) 및 제6 벽(310B)이 벽(305A-305D)의 길이와 같거나 그보다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는 점이 고려될 수 있다. 제5 벽(310A) 및 제6 벽(310B)이 벽(305A-305D)의 길이와 같은 길이를 가지는 특별한 경우에서, 도파관(300)은 3차원에서 정육각형 도파관일 수 있다는 점이 유의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된 바와 같이, "육각형"이라는 용어는 불규칙 육각형 또는 정육각형 도파관 둘 다를 포함할 수 있는 한편, "불규칙 육각형" 또는 "정육각형 "이라는 용어는 각각, 정육각형 또는 불규칙 육각형을 배제한다.
도파관(300)은 도 3의 예시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단면(315A)에서 시작하고, 단면(315B)에서 끝나는 공명 캐비티를 포함할 수 있다. 도파관(300)은 전자기 신호가 도파관(300)의 길이 내 특정한 중심 주파수에서 공명하도록 하는 공명 캐비티로서 구현될 수 있다. 도파관(300)은 또한 이러한 이유로, 전자 컴포넌트 내에 배치될 수 있는 도파관 캐비티를 고려할 수 있다. 이전에 논의된 바와 같이, 도파관(300)은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도파관(100)의 X방향으로 두 배 길이로 구현될 수 있고, 이는 이하 논의될 바와 같이, 도파관(300)을 두 개의 기본 도파관 유닛(320A 및 320B)으로 분할하는 중심선(325)에 의해 식별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파관(300)은 도파관(300) 전체에 걸쳐 연속적이고, 도파관(300)(예컨대, 도파관(300)의 공명 캐비티)의 길이를 따라 중단되지 않는다.
도파관(300)의 연장된 길이는 도 1에 도시된 도파관(100)에 의해 지원되는 도파관 모드와 상이한, 도파관 모드를 지원한다. 도파관(300)은 도 1에 도시된 도파관(100)과 결합되거나 이를 대신해서 이용되어 설계에 도움을 주거나, 통과 대역 위로부터 통과 대역 아래로의 전송 영점(transmission zero) 위치의 이동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도파관(300)은 이하에서 논의될 트리플릿 또는 필터 구성에서 이용될 수 있고, 전송 영점을 배치하기 위해 필터 설계에서 증가된 유연성과 같은, 추가로 바람직한 전기적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불규칙 육각형 도파관(400)에 대한 사이드 벽 커플링의 공기 용적의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파관(400)은 사이드 벽 연결로 지칭되는 연결에 의해 함께 연결될 수 있는 제1 기본 도파관 유닛(405A)과 제2 기본 도파관 유닛(405B)을 포함하는 캐비티로서 구현될 수 있다. 제1 기본 도파관 유닛(405A)과 제2 기본 도파관 유닛(405B)은 외벽에 관하여 도 1에 도시된 도파관(100)과 유사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기본 도파관 유닛(405A)은 예컨대, 이음부(415)를 통하여 제2 기본 도파관 유닛(405B)으로의 전이(transition)로서 동작하는 내부 벽(410A)을 포함한다. 내부 벽(410A)은 도 1에 도시된, 단면(115B)의 위치와 유사한 위치(position)에서 설치될 수 있는 사이드 벽으로서 설치될 수 있다. 제2 기본 도파관 유닛(405B)은 유사하게 만들어질 수 있지만, 도파관 유닛(405B)의 내부 벽(410B)은 도 1에 도시된 단면(115A)의 위치와 유사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음부(415)는 제1 기본 도파관 유닛(405A)의 내부 벽(410A)과 제2 기본 도파관 유닛(405B)의 내부 벽(410B) 사이에서 구현된다. 이음부(415)는 제1 기본 도파관 유닛(405A)과 제2 기본 도파관 유닛(405B) 사이에서, 아이리스(iris)로도 지칭되는, 전파 채널 애퍼처(425)를 둘러싸는 복수의 둥근 에지 전이(420)로서 설치된다. 전파 채널 애퍼처(425)는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도파관(100)의 전파 채널와 비교하여 감소된 직경에도 불구하고 불규칙 육각형 개구로 구현될 수도 있다. 둥근 에지 전이(420)는 이음부(415)에 의해 정의된 두께만큼 제1 기본 도파관 유닛(405A)을 제2 기본 도파관 유닛(405B)으로부터 분리하는 방식으로 전파 채널 애퍼처(425)의 인접하고, 매끄러운 축소(narrowing)를 제공하도록 동작한다. 둥근 에지 전이(420)는 또한 빌드 지지의 이용 없이 금속 부가적층 제조 가공에 의한 도파관(400)의 제조를 용이하게 한다.
도 5는 불규칙 육각형 도파관(500)에 대한 사이드 벽 커플링의 공기 용적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파관(500)은 사이드 벽 연결로 지칭되는 연결에 의해 함께 연결될 수 있는 제1 기본 도파관 유닛(505A)과 제2 기본 도파관 유닛(505B)을 포함하는 캐비티로서 구현될 수 있다. 제1 기본 도파관 유닛(505A)과 제2 기본 도파관 유닛(505B)은 외벽에 관하여 도 1에 도시된 도파관(100)과 유사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기본 도파관 유닛(505A)은 예컨대, 이음부(515)를 통하여 제2 기본 도파관 유닛(505B)의 내부 벽(510B)으로 전이로서 동작하는 내부 벽(510A)을 포함한다. 내부 벽(510A 및 510B)은 모두 각각 두 개의 섹션에 배치될 수 있고, 그 사이에 배치되는 애퍼처 전파 채널 애퍼처(525)를 가진다. 내부 벽(510A)은 이음부(515)에서 내부 벽(510B)에 연결될 수 있고, 둥근 에지 전이(520)를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이러한 구현예에서, 제1 기본 도파관 유닛(505A)과 제2 기본 도파관 유닛(505B) 사이에 연속적이고 매끄러운 전이를 용이하게 하도록 둥글게 된다. 제1 기본 도파관 유닛(505A)과 제2 기본 도파관 유닛(505B)은 사이드 벽에서 이음부(515)에 의해 연결될 수 있고, 이는 제1 기본 도파관 유닛(505A)에 대하여는 도 1에 도시된 도파관(100)의 벽(105D) 및 제2 기본 도파관 유닛(505B)에 대하여는 도 1에 도시된 도파관(100)의 벽(105A)과 같이 지정된 벽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도파관(100)의 지정된 벽(105A-105D) 중 하나 간의 임의의 사이드 벽 연결은, 제1 기본 도파관 유닛(505A)과 제2 기본 도파관 유닛(505B)으로 도 5에 도시된 방식으로, 도 1에 도시된 도파관(100)의 지정된 벽(105A-105D) 중 다른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음부(515)는 제1 기본 도파관 유닛(505A)의 내부 벽(510A)과 제2 기본 도파관 유닛(505B)의 내부 벽(510B) 사이에서 구현된다. 이음부(515)는 기본 도파관 유닛(510A)과 기본 도파관 유닛(510B) 사이의, 아이리스로도 지칭되는, 전파 채널 애퍼처(525)를 둘러싸는 복수의 둥근 에지 전이(520)로서 설치된다. 전파 채널 애퍼처(525)는 직사각형 개구로 구현될 수 있고, 그 크기는 제1 기본 도파관 유닛(505A)과 제2 기본 도파관 유닛(505B)의 내부 벽(510A 및 510B)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둥근 에지 전이(520)는 이음부(515)에 의해 정의된 두께만큼 제1 기본 도파관 유닛(505A)을 제2 기본 도파관 유닛(505B)으로부터 분리하는 방식으로 전파 채널 애퍼처(525)의 인접하고 매끄러운 축소를 제공하도록 동작한다. 둥근 에지 전이(520)는 또한 빌드 지지의 이용 없이 금속 부가적층 제조 가공에 의한 도파관(500)의 제조를 용이하게 한다.
도 6은 불규칙 육각형 도파관(600)에 대한 넓은 벽 커플링의 공기 용적의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파관(600)은 넓은 벽 연결로 지칭되는 연결에 의해 함께 연결될 수 있는 제1 기본 도파관 유닛(605A)과 제2 기본 도파관 유닛(605B)을 포함하는 캐비티로서 구현될 수 있다. 제1 기본 도파관 유닛(605A)과 제2 기본 도파관 유닛(605B)은 외벽에 관하여 도 1에 도시된 도파관(100)과 유사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기본 도파관 유닛(605A)은 예컨대, 이음부(615)를 통하여 제2 기본 도파관 유닛(605B)으로 전이로서 동작하는 내부 벽(610A)을 포함한다. 이음부(615)는 도 1에 도시된 도파관(100)의 벽(110A) 및 벽(110B) 중 하나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고, 또한, 제1 기본 도파관 유닛(605A)의 넓은 벽으로 지칭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기본 도파관 유닛(605A)의 넓은 벽의 내부 벽(610A)은 제1 기본 도파관 유닛(605A)에서 이음부(615)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기본 도파관 유닛(605B)은 유사하게 만들어질 수 있지만, 제2 기본 도파관 유닛(605B)의 내부 벽(610B)은 도 1에 도시된 도파관(100)의 벽(110A) 및 벽(110B) 중 하나를 통하여 이음부(615)에 연결될 수 있고, 또한 기본 도파관 유닛(610B)의 넓은 벽으로 지칭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음부(615)는 제1 기본 도파관 유닛(605A)의 내부 벽(610A)과 제2 기본 도파관 유닛(610B)의 내부 벽(610B) 사이에서 구현된다. 이음부(615)는 기본 도파관 유닛(610A)과 기본 도파관 유닛(610B) 사이의, 아이리스로도 지칭되는, 전파 채널 애퍼처(625)를 둘러싸는 복수의 둥근 에지 전이(620)로 설치된다. 전파 채널 애퍼처(625)는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도파관(100)의 전파 채널와 비교하여 감소된 직경이기는 하지만 불규칙 육각형 개구로 구현될 수도 있다. 둥근 에지 전이(620)는 제1 기본 도파관 유닛(605A)을 이음부(615)에 의해 정의된 두께만큼 제2 기본 도파관 유닛(605B)으로부터 분리하는 방식으로 전파 채널 애퍼처(625)의 인접하고 매끄러운 축소를 제공하도록 동작한다. 둥근 에지 전이(620)는 또한 빌드 지지의 이용 없이 금속 부가적층 제조 가공에 의해 도파관(600)의 제조를 용이하게 한다.
도 7은 불규칙 육각형 도파관 트리플릿(700)의 공기 용적의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파관 트리플릿(700)은 제1 기본 도파관 유닛(705A), 제2 기본 도파관 유닛(705B) 및 제3 기본 도파관 유닛(705C)을 포함하는 세 개의 공명 캐비티의 세트로서 구현될 수 있고, 이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퍼처(725) 주위의 전이(720)를 이용하여 위에서 설명된 연결을 이용하여 함께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본 도파관 유닛(705A)은 도 6의 요소(615)에 대하여 도시되고 설명된 넓은 벽 이음부(715)에 의해 제2 기본 도파관 유닛(705B)에 연결될 수 있고, 도 5의 요소(515)에 대하여 도시되고 설명된 사이드 벽 이음부(710A)에 의해 제3 기본 도파관 유닛(705C)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기본 도파관 유닛(705B)은 또한 사이드 벽 이음부(710B)에 의해 제3 기본 도파관 유닛(705C)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기본 도파관 유닛(705A), 제2 기본 도파관 유닛(705B) 및 제3 기본 도파관 유닛(705C)의 사용은 세 개의 사이드 벽 또는 넓은 벽 애퍼처와 연결된 세 개의 별개의 캐비티, 하나의 비공명 캐비티와 두 개의 공명 캐비티(또는 세 개의 공명 캐비티)의 사용으로 인해 "트리플릿"으로 지칭될 수 있다. 트리플릿(700)을 생성하는 것은 특정한 신호에서 일부 범위의 주파수가 계속 전파하도록 허용하는 한편, 다른 범위의 주파수가 전자기 신호 필터에 의해 차단되거나 저지되도록 하는 전자기 신호 필터를 생성하는 데 더 기여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리플릿(700)은 통과 대역 아래에서 전송 영점을 제공한다. 다시 말하면, 트리플릿(700)은 트리플릿(700)을 통하여 전파하도록 허용되는 통과 대역에서의 주파수의 특정 범위 아래에서 발생하는 신호의 주파수에 대한 향상된 필터 저지 성능을 가지는 필터이다.
여기에 개시된 도파관 트리플릿(700) 및 다른 구조는 금속 부가적층 제조 프로세스와 같은 3차원 프린팅 기법을 이용하여 프린트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파관 트리플릿(700)은 데카르트 좌표계의 X/Y축에 배치되는 빌드 플레이트로부터 + z 방향으로 레이어 상에 프린트된 레이어일 수 있다. 도파관 트리플릿(700) 및 여기에서의 다른 구조는 빌드 지지 없이 구조의 제조에 도움을 주도록 지향된다.
도 8은 제2의 불규칙 육각형 도파관 트리플릿(800)의 공기 용적의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파관 트리플릿(800)은 제1 기본 도파관 유닛(805A), 제2 기본 도파관 유닛(805B) 및 제3 기본 도파관 유닛(805C)을 포함하는 세 개의 공명 캐비티의 세트로서 구현될 수 있고, 이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퍼처(825) 주위의 전이(820)를 이용하여 위에서 설명된 연결을 이용하여 함께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본 도파관 유닛(805A)은 제1 유형의 사이드 벽 이음부(810A)에 의해 제2 기본 도파관 유닛(805B)에 연결될 수 있고, 제1 유형의 두번째 것의 사이드 벽 이음부(810B)에 의해 제3 기본 도파관 유닛(805C)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유형의 사이드 벽 이음부(810A 및 810B)는 도 5에 대하여 도시되고 설명된 이음부(515)에 대한 구현예에서 설명이 유사할 수 있다. 제2 기본 도파관 유닛(805B)은 또한 제2 유형의 사이드 벽 이음부(815)에 의해 제3 기본 도파관 유닛(805C)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유형의 사이드 벽 이음부(815)는 도 4에 대하여 도시되고 설명된 이음부(415)에 대한 구현예와 설명이 유사할 수 있다. 제1 기본 도파관 유닛(805A)은 공명 오목부(83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는 도 2에 대하여 도시되고 설명된 공명 오목부(220)에 대한 구현예와 설명이 유사할 수 있다.
제1 기본 도파관 유닛(805A), 제2 기본 도파관 유닛(805B) 및 제3 기본 도파관 유닛(805C)의 사용은 세 개의 사이드 벽 또는 넓은 벽 애퍼처와 연결된 세 개의 별개의 캐비티, 하나의 비공명 캐비티와 두 개의 공명 캐비티(또는 세 개의 공명 캐비티)의 사용으로 인해 "트리플릿"으로 지칭될 수 있다. 트리플릿(800)을 생성하는 것은 특정한 신호에서 임의의 범위의 주파수가 계속 전파하도록 하는 한편, 다른 범위의 주파수가 전자기 신호 필터에 의해 차단되거나 저지되도록 하는 전자기 신호 필터를 생성하는 데 더 기여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리플릿(800)은 통과 대역 위에서 전송 영점을 제공한다. 다시 말하면, 트리플릿(800)은 트리플릿(800)을 통하여 전파하도록 허용되는 통과 대역에서의 주파수의 특정 범위 위에서 발생하는 신호의 주파수에 대한 향상된 필터 저지 성능을 가지는 필터이다.
마지막으로, 도 7 및 도 8에 대하여 도 7과 도8 각각에 도시된 트리플릿(700)과 트리플릿(800)은 기법, 이음부, 특징 및 여기에 개시된 다른 요소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는 트리플릿의 단지 두 개의 예시적인 구현예라는 점이 유의된다. 별개의 트리플릿에서 다양한 유형의 넓은 벽 및 사이드 벽 이음부를 이용하는 트리플릿의 매우 다양한 유형이 고려된다. 그러나, 위의 개시에 기초하여, 당업자는 다양한 유형의 연결로 다양한 트리플릿의 상당한 수의 반복이 가능하고, 실제로 많은 목적 추구 응용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는 점을 인정할 것이다.
도 9는 제2 트리플릿(910B)과 결합된 제1 트리플릿(910A)을 포함하는, 불규칙 육각형 도파관(900)의 공기 용적의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파관(900)은 필터의 입력과 출력인 도파관(905A) 및 도파관(905F)을 포함한다. 따라서, 도파관(905A)과 도파관(905F)은 공명 캐비티가 아니므로, 기본 도파관 유닛보다 긴 도파관 섹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파관(900)은 제1 기본 도파관 유닛(905B), 제2 기본 도파관 유닛(905C), 제3 기본 도파관 유닛(905D) 및 제4 기본 도파관 유닛(905E)을 더 포함한다. 제1 트리플릿(910A)은 도파관(905A), 제1 기본 도파관 유닛(905B) 및 제2 기본 도파관 유닛(905C)을 포함한다. 제2 트리플릿(910B)은 도파관(905F), 제3 기본 도파관 유닛(905D) 및 제4 기본 도파관 유닛(905E)을 포함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파관(905A)은 전자기 신호에 대한 입력으로서 역할할 수 있는 한편, 도파관(905F)은 필터링된 전자기 신호에 대한 출력으로서 역할할 수 있어, 도파관(900)은 통과 대역 아래에서 두 개의 전송 영점을 달성하도록 두 개의 트리플릿 필터로 동작한다. 대안적으로, 도파관(905F)은 전자기 신호에 대한 입력으로서 역할할 수 있는 한편, 도파관(905A)은 필터링된 전자기 신호에 대한 출력으로서 역할할 수 있다. 도 9에 더 도시된 것은 다양한 도파관(905A-905F) 사이의 복수의 연결이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트리플릿(910A)은 제1 기본 도파관 유닛(905B)과 제2 기본 도파관 유닛(905C)으로 구현되는 두 개의 공명 캐비티와 도파관(905A)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파관(905A)과 기본 도파관 유닛(905B 및905C)은 위에서 설명된 연결을 이용하여 함께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파관(905A)은 도 5의 요소(515)에 대하여 도시되고 설명된 사이드 벽 이음부(915A)에 의해 제1 기본 도파관 유닛(905B)에 연결될 수 있고, 도 6의 요소(616)에 대하여 도시되고 설명된 넓은 벽 이음부(915B)에 의해 제2 기본 도파관 유닛(905C)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기본 도파관 유닛(905B)은 또한 사이드 벽 이음부(915C)에 의해 제3 기본 도파관 유닛(905C)에 연결될 수 있다. 도파관(905A), 제2 기본 도파관 유닛(905B) 및 제3 기본 도파관 유닛(905C)의 사용은 두 개의 공명 캐비티를 가진 도파관의 사용으로 인해 "트리플릿"으로 지칭될 수 있다.
제2 트리플릿(910B)은 제3 기본 도파관 유닛(905D)과 제4 기본 도파관 유닛(905E)으로 구현되는 두 개의 공명 캐비티와 도파관(905F)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파관(905F)과 기본 도파관 유닛(905D 및 905E)은 위에서 설명된 연결을 이용하여 함께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파관(905F)은 도 5의 요소(515)에 대하여 도시되고 설명된 사이드 벽 이음부(915D)에 의해 제3 기본 도파관 유닛(905D)에 연결될 수 있고, 도 6의 요소(616)에 대하여 도시되고 설명된 넓은 벽 이음부(915E)에 의해 제4 기본 도파관 유닛(905E)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기본 도파관 유닛(905D)은 또한 사이드 벽 이음부(915F)에 의해 제4 기본 도파관 유닛(905E)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기본 도파관 유닛(905A), 제2 기본 도파관 유닛(905B) 및 제3 기본 도파관 유닛(905C)의 사용은 두 개의 공명 캐비티를 가진 도파관의 사용으로 인해 "트리플릿"으로 지칭될 수 있다.
제1 트리플릿(910A)과 제2 트리플릿(910B)은 추가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파관(905A)은 다양한 방법으로 제2 트리플릿(910B)과 연결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기본 도파관 유닛(905C)은 사이드 벽 이음부(915G)로 제1 기본 도파관 유닛(905E)에 연결되고, 이는 도 4에 대하여 도시되고 설명된 이음부(415)에 대한 구현예와 설명이 유사할 수 있다.
이음부(915A-915G) 중 임의의 것은 도파관(900)의 임의의 특정 구현예를 용이하게 하도록 위에서 설명된 넓은 벽 이음부 또는 사이드 벽 이음부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파관(900)은 통과 대역 아래에서 두 개의 전송 영점을 제공한다. 다시 말하면, 도파관(900)은 도파관(900)을 통하여 전파하도록 허용되는 통과 대역에서의 주파수의 특정 범위 아래에서 발생하는 신호의 주파수에 대한 향상된 필터링 성능을 가지는 필터이다. 제1 트리플릿(910A)과 제2 트리플릿(910B)을 구현하는 것은 통과 대역 아래에 두 개의 전송 영점을 제공하여, 특정한 저지 대역 내 주파수가, 전송 영점에 의해 설정되는 두 개의 미리 정해진 주파수에서의 전자기에너지의 완전한 제거로 인해, 증가된 저지를 가지는 것을 보장한다.
도 10은 제조된 컴포넌트로서 도파관(900)을 효과적으로 구현하는 제조된 밴드패스 트리플릿 필터(1000)를 예시한다. 필터(1000)는 필터 섹션(1010)에서 구현되는 복수의 도파관을 가지는 도파관 입력(1005A)과 도파관 출력(1005B)을 포함한다. 필터 섹션(1010)은 예컨대, 도 9에 도시된 도파관(905B-905E)을 포함할 수 있고, 필터 섹션(1010)에서 도파관(905B-905E)에 대한 미세 튜닝 조정을 하도록 도파관(905B-905E) 각각에 튜닝 오리피스(1015A-1015D)와 튜닝 스크류(1020A-1020D)를 제공할 수 있다.
필터(1000)는 통과 대역 아래에 두 개의 전송 영점을 제공한다. 다시 말하면, 필터(1000)는 필터(1000)를 통하여 전파하도록 허용되는 통과 대역에서 주파수의 특정 범위 아래에서 발생하는 신호의 주파수를 필터링한다. 필터(1000) 내에서 도 9에 도시된 제1 트리플릿(910A) 및 제2 트리플릿(910B)을 각각 구현하는 것은 통과 대역 아래에 두 개의 전송 영점을 제공하여, 특정 저지 대역 내 주파수가, 전송 영점에 의해 설정되는 두 개의 미리 정해진 주파수에서의 전자기에너지의 완전한 제거로 인해, 증가된 저지를 가지는 것을 보장한다.
도 11은 제2 트리플릿(1110B)과 결합된 제1 트리플릿(1110A)을 포함하는, 불규칙 육각형 도파관(1100)의 공기 용적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파관(1100)은 필터의 입력과 출력인 도파관(1105A) 및 도파관(1105G)을 포함한다. 도파관(1105A 및 1105G) 둘 다는 도파관으로 구현되고 공명 캐비티로 구현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파관(1100)은 도 8에 도시된 도파관 트리플릿(800) 중 두 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파관(1100)은 제1 기본 도파관 유닛(1105B), 제2 기본 도파관 유닛(1105C), 제3 기본 도파관 유닛(1105D), 제4 기본 도파관 유닛(1105E) 및 제5 기본 도파관 유닛(1105F)을 더 포함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파관(1105A)이 전자기 신호에 대한 입력으로서 역할할 수 있는 한편, 도파관(1105G)은 필터링된 전자기 신호에 대한 출력으로서 역할할 수 있어, 도파관(1100)은 통과 대역 위에서 두 개의 전송 영점을 달성하도록 두 개의 트리플릿 필터로 동작한다. 대안적으로, 도파관(1105G)은 전자기 신호에 대한 입력으로서 역할할 수 있고, 도파관(1105A)은 필터링된 전자기 신호에 대한 출력으로서 역할할 수 있다. 도 11에 더 도시된 것은 다양한 도파관(1105A-1105G) 사이의 복수의 연결이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트리플릿(1110A)은 제3 기본 도파관 유닛(1105D)과 제1 기본 도파관 유닛(1105B)으로 구현되는 두 개의 공명 캐비티와 도파관(1105A)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파관(1105A)과 기본 도파관 유닛(1105D 및 1105B)은 위에서 설명된 연결을 이용하여 함께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파관(1105A)은 도 5에 대하여 도시되고 설명된 사이드 벽 이음부(515)에 대한 구현예와 설명이 유사할 수 있는, 사이드 벽 이음부(1115A)에서 제1 기본 도파관 유닛(1105B)에 연결될 수 있고, 위에서 도 4에 대하여 도시되고 설명된 사이드 벽 이음부(415)에 대한 구현예와 설명이 유사할 수 있는 사이드 벽 이음부(1115B)에 의해 제3 기본 도파관 유닛(1105D)에 더 연결될 수 있다. 제3 기본 도파관 유닛(1105D)은 사이드 벽 이음부(1115C)에 의해 제1 기본 도파관 유닛(1105B)에 더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트리플릿(1110A)은 이음부(1115A, 1115B 및 1115C)의 각각에서 세 개의 애퍼처를 포함한다.
제2 트리플릿(1110B)은 제4 기본 도파관 유닛(1105E)과 제5 기본 도파관 유닛(1105F)으로 구현되는 두 개의 공명 캐비티과 도파관(1105G)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파관(1105G)과 기본 도파관 유닛(1105E 및 1105F)은 위에서 설명된 연결을 이용하여 함께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파관(1105G)은 도 5에 대하여 도시되고 설명된 사이드 벽 이음부(515)에 대한 구현예와 설명이 유사할 수 있는 사이드 이음부(1115E)에서 제4 기본 도파관 유닛(1105E)에 연결될 수 있고, 도 4에 대하여 도시되고 설명된 사이드 벽 이음부(415)에 대한 구현예와 설명이 유사할 수 있는 사이드 이음부(1115F)에 의해 제5 기본 도파관 유닛(1105F)에 더 연결될 수 있다. 제4 기본 도파관 유닛(1105E)은 사이드 벽 이음부(1115G)에 의해 제5 기본 도파관 유닛(1105F)에 더 연결될 수 있고, 사이드 벽 이음부는 위에서 도 5에 대하여 도시되고 설명된 이음부(515)에 대한 구현예와 설명이 유사할 수 있다. 도파관(1105G), 제4 기본 도파관 유닛(1105E) 및 제5 기본 도파관 유닛(1105F)의 사용은 두 개의 공명 캐비티를 가진 도파관의 사용으로 인해 "트리플릿"으로 지칭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트리플릿(1110B)은 이음부(1115E, 1115F 및 1115G)의 각각에서 세 개의 애퍼처를 포함한다.
제1 트리플릿(1110A)과 제2 트리플릿(1110B)은 추가로 상호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파관(1105C)은 다양한 방법으로 제1 트리플릿(1110A)과 제2 트리플릿(1110B)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기본 도파관 유닛(1105C)은 사이드 벽 이음부(1115D)로 제1 기본 도파관 유닛(1105B)에 연결되고, 사이드 벽 이음부(1115H)로 제4 기본 도파관 유닛(1105E)에 연결된다. 사이드 벽 이음부(1115C 및 1115D)는 도 4에 대하여 도시되고 설명된 이음부(415)에 대한 구현예와 설명이 유사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음부(1115A-1115G)의 각각은 제1 유형 또는 제2 유형의 사이드 벽 이음부로 구현되지만, 이음부(1115A-1115G) 중 임의의 것은 도파관(1100)의 임의의 특정 구현예를 용이하게 하도록 위에서 설명된 넓은 벽 이음부 또는 사이드 벽 이음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파관(1100)은 통과 대역 위에서 두 개의 전송 영점을 제공한다. 다시 말하면, 도파관(1100)은 도파관(1100)을 통하여 전파하도록 허용되는 통과 대역에서 특정 범위의 주파수 위에서 발생하는 신호에서의 주파수에 대한 향상된 필터링 성능을 가지는 필터이다. 트리플릿(1110A) 및 트리플릿(1110B)을 구현하는 것은 통과 대역 아래에 두 개의 전송 영점을 제공하여, 특정한 저지 대역 내 주파수가 전송 영점에 의해 설정되는 두 개의 미리 정해진 주파수에서 전자기에너지의 완전한 제거로 인한 증가된 저지를 가지는 것을 보장한다. 또한 제1 기본 도파관 유닛(1105B)과 제4 기본 도파관 유닛(1105E)은 각각 공명 오목부(1120A 및 1120B)를 포함할 수 있고, 이는 도 2에 대하여 위에서 도시되고 설명된 공명 오목부(220)에 대한 구현예와 설명이 유사할 수 있다는 점 유의되어야 한다.
도 12는 제조된 컴포넌트로 도파관(1100)을 효과적으로 구현하는, 제조된 밴드패스 트리플릿 필터(1200)를 예시한다. 필터(1200)는 필터 섹션(1210)에서 구현된 복수의 도파관을 가지고 도파관 입력(1205A) 및 도파관 출력(1205B)을 포함한다. 필터 섹션(1210)은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도파관(1105B-1105F)을 포함할 수 있고, 필터 섹션(1210)에서 도파관에 대한 미세 튜닝 조정을 하도록 도파관(1105B-1105F)의 각각에 튜닝 오리피스(1215A-1215E)와 튜닝 스크류(1220A-1220E)를 제공할 수 있다.
필터(1200)는 통과 대역 아래에 두 개의 전송 영점을 제공한다. 다시 말하면, 필터(1200)는 필터(1200)를 통하여 전파하도록 허용되는 통과 대역에서 주파수의 특정 범위 아래에서 발생하는 신호의 주파수를 필터링한다. 필터(1200) 내에서 도 11에 도시된 트리플릿(1110A) 및 트리플릿(1110B)을 각각 구현하는 것은 통과 대역 아래에 두 개의 전송 영점을 제공하여, 특정 저지 대역 내에서 주파수가, 전송 영점에 의해 설정되는 두 개의 미리 정해진 주파수에서의 전자기에너지의 완전한 제거로 인하여, 증가된 저지를 가지는 것을 보장한다.
도 13은 밴드패스 필터(1300)의 그래픽 성능을 예시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1300)는 통과 대역(1315) 아래에 두 개의 영점을 가지는 밴드패스 필터의 전자기 응답을 보여주고, 이는 도 9에 대해 도시되고 설명된 도파관(900)과 도 10에 대해 도시되고 설명된 필터(1000)와 유사할 수 있다. 그래프(1305)는 GHz의 단위로 도시된 수평 축(주파수)과 데시벨의 단위로 도시된 수직 축(S-파라미터)을 포함한다. 그래프(1305)의 삽입 손실(insertion loss)(S21)(1310)은 곡선의 급격한 딥(sharp dip)에 의해 도시된 우수한 제거를 가지고 1320A 및 1320B에서 영점을 보여주는 한편, 요구되는 통과 대역(1315) 보다 낮은 삽입 손실(0 dB 근처의 S21)도 제공한다. 또한, 붉은색의 반사 손실(S11)은 통과 대역(1315) 보다 좋은 성능(-20 dB 이하의 S11)을 보여준다. 따라서, 밴드패스 필터(1300)는 특정한 통과 대역과 저지 대역 아래에서 우수한 전기적 필터링 능력을 제공한다. 저지 대역은, 그래프(1305)의 삽입 손실 (S21)(1310)이 도 1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통과 대역(1315) 아래에서 특정한 주파수 대역을 넘어서 -60dB인 정의된 값 아래에서 유지되는, 지점일 수 있다는 점도 유의된다. 저지 대역에서 영점(1320A 및 1320B)을 구현함으로써, 영점(1320B)과 통과 대역(1315)의 하부 사이의 S21의 롤오프(roll off)는 더 저조한 저지 성능을 가지고 훨씬 더 느릴 것이다.
도 14는 밴드패스 필터(1400)의 그래픽 성능을 예시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1400)는 통과 대역(1415) 위에 두 개의 영점을 가지는 밴드패스의 전자기 응답을 보여주고, 이는 도 11에 대하여 설명되고 도시된 도파관(1100) 및 도 12에 대하여 설명되고 도시된 필터(1200)와 유사할 수 있다. 그래프(1405)는 GHz의 단위로 도시된 수평 축(주파수)과 데시벨의 단위로 도시된 수직 축(S-파라미터)을 포함한다. 그래프(1405)의 삽입 손실(S21)(1410)은 곡선의 급격한 딥(sharp dip)에 의해 도시된 우수한 제거를 가지고 1420A 및 1420B에서 영점을 보여주는 한편, 요구되는 통과 대역(1415) 보다 낮은 삽입 손실(0 dB 근처의 S21)도 제공한다. 또한, 붉은색의 반사 손실(S11)은 통과 대역(1415) 보다 좋은 성능(-20 dB 이하의 S11)을 보여준다. 따라서, 밴드패스 필터(1400)는 특정한 통과 대역과 저지 대역 위에서 우수한 전기적 필터링 능력을 제공한다. 저지 대역은, 그래프(1405)의 삽입 손실(S21)(1410)이 도 1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통과 대역(1415) 위에서 특정한 주파수 대역을 넘어서 -60dB인 정의된 값 아래에서 유지되는, 지점일 수 있다는 점도 유의된다. 저지 대역에서 영점(1420A 및 1420B)을 구현함으로써, 영점(1420B)과 통과 대역(1415)의 상부 사이의 S21의 롤오프는 더 저조한 저지 성능을 가지고 훨씬 더 느릴 것이다.
예시:
다음의 예시는 추가 실시예의 특징과 관련된다.
예시 1은 기본 도파관 유닛을 포함하는 기본 도파관 필터이고, 기본 도파관 유닛은 불규칙 육각형 금속 구조를 가지고 상기 불규칙 육각형 금속 구조의 하나 이상의 벽을 따라 불규칙 육각형 금속 구조를 가지는 적어도 다른 기본 도파관 유닛에 연결을 형성한다.
예시 2는 예시 1의 도파관이고, 연결은 넓은 벽 연결(broadwall connection)이다.
예시 3은 예시 1의 도파관이고, 연결은 사이드 벽 연결이다.
예시 4는 예시 3의 도파관 필터이고, 사이드 벽 연결은 육각형 애퍼처를 포함한다.
예시 5는 예시 3의 도파관 필터이고, 사이드 벽 연결은 직사각형 애퍼처를 포함한다.
예시 6은 예시 1의 도파관 필터이고, 연결은 애퍼처를 포함한다.
예시 7은 예시 1의 도파관 필터이고, 연결은 기본 도파관 유닛과 적어도 다른 기본 도파관 유닛 사이의 둥근 전이(rounded transition)를 포함한다.
예시 8은 예시 1의 도파관 필터이고, 기본 도파관 유닛은 공명 오목부(resonance indent)를 포함한다.
예시 9는 예시 1의 도파관 필터이고, 하나 이상의 벽 중 다른 하나는 상기 기본 도파관 유닛과 도파관 사이에서 연결을 형성한다.
예시 10은 예시 9의 도파관이고, 도파관은 기본 도파관 유닛보다 길다.
예시 11은 예시 9-10의 도파관이고, 기본 도파관 유닛, 적어도 다른 기본 도파관 유닛 및 도파관은 제3 기본 도파관 유닛에 연결된다.
예시 12는 예시 9-11의 도파관이고, 제3 기본 도파관 유닛은 제4 기본 도파관 유닛에 연결된다.
예시 13은 예시 9-12의 도파관이고, 제4 기본 도파관 유닛은 제2 도파관에 연결된다.
예시 14는 예시 9-13의 도파관이고, 제4 기본 도파관 유닛은 제5 기본 도파관 유닛에 연결된다.
예시 15는 예시 9-13 및 예시14의 도파관이고, 제5 기본 도파관 유닛은 제2 도파관에 연결된다.
예시 16은 예시 1의 도파관이고, 기본 도파관 유닛 및 적어도 다른 기본 도파관 유닛 중 하나 이상은 튜닝 오리피스(tuning orifice) 및 튜닝 스크류(tuning screw)를 포함한다.
예시 17은 예시 1의 도파관이고, 하나 이상의 벽 중 다른 하나는 기본 도파관 유닛과 도파관 사이에서 연결을 형성하고, 도파관은 기본 도파관 유닛의 두 배 길이이다.
예시 18은 기본 도파관 유닛이고, 전자기 신호를 수신하는 공명 캐비티를 포함하고 공명 캐비티를 통하여 신호를 전파하는 중공의 불규칙 육각형 금속 구조를 포함한다.
예시 19는 예시 18의 기본 도파관 유닛이고, 중공의 불규칙 금속 구조의 공명 캐비티는 다른 기본 도파관 유닛의 다른 공명 캐비티에 연결된다.
예시 20은 예시 18-19의 기본 도파관 유닛이며, 육각형 금속 구조의 공명 캐비티는 도파관의 전파 채널에 연결된다.
전술한 설명은 예시의 목적으로 나타난다. 이는 완전하지 않고, 개시된 실시예 또는 정확한 형태로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수정과 조정(adaptation)이 개시된 실시예의 실시와 명세서의 고려사항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어, 여기에 개시된 컴포넌트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또는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또는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거되거나 다른 컴포넌트가 추가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가 여기에 개시된 개시의 실시 및 명세서의 고려사항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명세서 및 예시는 오직 예시적인 것으로 의도되며,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와 사상은 이하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낸다.

Claims (20)

  1. 기본 도파관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기본 도파관 유닛은 불규칙 육각형 금속 구조를 가지고 상기 불규칙 육각형 금속 구조의 하나 이상의 벽을 따라 불규칙 육각형 금속 구조를 가지는 적어도 다른 기본 도파관 유닛에 연결을 형성하는, 도파관 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은 넓은 벽 연결(broadwall connection)인, 도파관 필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은 사이드 벽 연결인, 도파관 필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벽 연결은 육각형 애퍼처를 포함하는, 도파관 필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벽 연결은 직사각형 애퍼처를 포함하는, 도파관 필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은 애퍼처를 포함하는, 도파관 필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은 상기 기본 도파관 유닛과 상기 적어도 다른 기본 도파관 유닛 사이의 둥근 전이(rounded transition)를 포함하는, 도파관 필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도파관 유닛은 공명 오목부(resonance indent)를 포함하는, 도파관 필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벽 중 다른 하나는 상기 기본 도파관 유닛과 도파관 사이에서 연결을 형성하는, 도파관 필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도파관은 기본 도파관 유닛보다 긴, 도파관 필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도파관 유닛, 상기 적어도 다른 기본 도파관 유닛 및 상기 도파관 중 하나 이상은 제3 기본 도파관 유닛에 연결되는, 도파관 필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기본 도파관 유닛은 제4 기본 도파관 유닛에 연결되는, 도파관 필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기본 도파관 유닛은 제2 도파관에 연결되는, 도파관 필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기본 도파관 유닛은 제5 기본 도파관 유닛에 연결되는, 도파관 필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5 기본 도파관 유닛은 제2 도파관에 연결되는, 도파관 필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도파관 유닛 및 상기 적어도 다른 기본 도파관 유닛 중 하나 이상은 튜닝 오리피스(tuning orifice) 및 튜닝 스크류(tuning screw)를 포함하는, 도파관 필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벽 중 다른 하나는 상기 기본 도파관 유닛과 도파관 사이에서 연결을 형성하고, 상기 도파관은 기본 도파관 유닛의 두 배 길이인, 도파관 필터.
  18. 전자기 신호를 수신하는 공명 캐비티를 포함하고 상기 공명 캐비티를 통하여 상기 신호를 전파하는 중공의 불규칙 육각형 금속 구조를 포함하는, 기본 도파관 유닛.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의 불규칙 육각형 금속 구조의 상기 공명 캐비티는 다른 기본 도파관 유닛의 다른 공명 캐비티에 연결되는, 기본 도파관 유닛.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의 불규칙 육각형 금속 구조의 상기 공명 캐비티는 도파관의 전파 채널에 연결되는, 기본 도파관 유닛.
KR1020217018898A 2018-11-19 2019-11-19 불규칙 육각 단면형 중공의 금속 도파관 필터 KR202100933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769505P 2018-11-19 2018-11-19
US62/769,505 2018-11-19
PCT/US2019/062295 WO2020106774A1 (en) 2018-11-19 2019-11-19 Irregular hexagon cross-sectioned hollow metal waveguide filte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3316A true KR20210093316A (ko) 2021-07-27

Family

ID=70774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8898A KR20210093316A (ko) 2018-11-19 2019-11-19 불규칙 육각 단면형 중공의 금속 도파관 필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233304B2 (ko)
EP (1) EP3884541A4 (ko)
KR (1) KR20210093316A (ko)
WO (1) WO20201067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96600B2 (en) 2018-11-14 2024-05-28 Optisys, Inc. Hollow metal waveguides having irregular hexagonal cross sections with specified interior angles
US11211680B2 (en) 2018-11-14 2021-12-28 Optisys, LLC Hollow metal waveguides having irregular hexagonal cross-sections formed by additive manufacturing
KR20210093316A (ko) 2018-11-19 2021-07-27 옵티시스, 엘엘씨 불규칙 육각 단면형 중공의 금속 도파관 필터
FR3117276A1 (fr) * 2020-12-03 2022-06-10 Swissto12 Sa Filtre à guide d’onde en peigne
US20220352614A1 (en) * 2021-04-28 2022-11-03 Optisys, Inc. Evanescent mode waveguide filter
CH719745A1 (fr) * 2022-06-02 2023-12-15 Swissto12 Sa Filtre à guide d'ondes en peigne à résonateurs omnidirectionnels.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77286A (en) 1972-08-07 1973-12-04 Hughes Aircraft Co Die cast waveguide low pass filter
DE2904054C2 (de) * 1979-02-02 1983-02-03 Spinner-GmbH Elektrotechnische Fabrik, 8000 München 3dB-Richtungskoppler in Hohlleiterbauweise
US4467294A (en) * 1981-12-17 1984-08-21 Vitalink Communications Corporation Waveguide apparatus and method for dual polarized and dual frequency signals
GB2275454B (en) * 1993-02-27 1997-02-12 British Aerospace An apparatus for reducing wave energy in a fluid
US6018315A (en) 1998-05-04 2000-01-25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attitude sensing using monopulse GPS processing
US6198730B1 (en) 1998-10-13 2001-03-06 Motorola, Inc. Systems and method for use in a dual mode satellite communications system
US6137450A (en) 1999-04-05 2000-10-24 Hughes Electronics Corporation Dual-linearly polarized multi-mode rectangular horn for array antennas
US6501434B1 (en) 2001-11-15 2002-12-31 Space Systems/Loral, Inc. Multi-band corrugated antenna feed horn with a hexagonal aperture and antenna array using same
JP3750856B2 (ja) 2002-07-12 2006-03-01 三菱電機株式会社 導波管
US7480435B2 (en) 2005-12-30 2009-01-20 Intel Corporation Embedded waveguide printed circuit board structure
JP2012175232A (ja) * 2011-02-18 2012-09-10 Sony Corp 導波装置、通信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JP5930517B2 (ja) 2011-08-02 2016-06-08 日本電産エレシス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
US9253925B1 (en) 2013-01-11 2016-02-02 L-3 Communications Corp. Panel for enhancing thermal conduction in an electronic assembly
EP3055871A1 (en) 2013-10-07 2016-08-17 Koninklijke Philips N.V. Precision batch produc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ferrite rods
US10170833B1 (en) 2014-12-19 2019-01-01 L-3 Communications Corp. Electronically controlled polarization and beam steering
FR3048556B1 (fr) 2016-03-04 2018-03-02 Swissto 12 Sa Procede de fabrication additive d'un guide d'onde ainsi que dispositifs a guide d'onde fabriques selon ce procede
JPWO2017203568A1 (ja) 2016-05-23 2018-06-07 三菱電機株式会社 導波管装置の製造方法
FR3051924B1 (fr) 2016-05-30 2020-04-10 Swissto 12 Sa Guide d'ondes comprenant une couche conductrice epaisse
US9742069B1 (en) 2016-10-17 2017-08-22 Optisys, LLC Integrated single-piece antenna feed
US10481253B1 (en) 2016-11-02 2019-11-19 L-3 Communications Corp. Low-profile monopulse tracker
JP6312910B1 (ja) * 2017-04-28 2018-04-18 株式会社フジクラ フィルタ
US10680341B1 (en) 2018-01-10 2020-06-09 L3 Technologies, Inc. Multifunction additive antenna array
FR3087954B1 (fr) 2018-10-31 2021-12-17 Thales Sa Guide d'onde obtenu par fabrication additive
US11211680B2 (en) 2018-11-14 2021-12-28 Optisys, LLC Hollow metal waveguides having irregular hexagonal cross-sections formed by additive manufacturing
KR20210093316A (ko) 2018-11-19 2021-07-27 옵티시스, 엘엘씨 불규칙 육각 단면형 중공의 금속 도파관 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84541A4 (en) 2022-08-24
WO2020106774A9 (en) 2020-06-25
WO2020106774A1 (en) 2020-05-28
US20200194855A1 (en) 2020-06-18
EP3884541A1 (en) 2021-09-29
US11233304B2 (en) 2022-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93316A (ko) 불규칙 육각 단면형 중공의 금속 도파관 필터
KR102577948B1 (ko) 불규칙 육각형 단면을 가지는 중공의 금속 도파관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2594157B1 (ko) 다중층 도파관, 다중층 도파관 구성체 및 이들의 제조 방법
Li et al. Three-dimensional bandpass frequency-selective structures with multiple transmission zeros
WO2015100597A1 (zh) 一种介质谐振器、介质滤波器及通信设备
US8912867B2 (en) Waveguide filter having coupling screws
US7388457B2 (en) Dielectric resonator with variable diameter through hole and filter with such dielectric resonators
CA2251891A1 (en) High performance microwave filter with cavity and conducting or superconducting loading element
US20230223671A1 (en) Multi-layer waveguide with metasurface, arrangement,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US10950918B1 (en) Dual-mode monoblock dielectric filter
JP2005260570A (ja) マイクロストリップ線路導波管変換器
US6538527B2 (en) Resonator, filter, duplexer, and communication device
US10381700B2 (en) Dielectric filter
EP3667811B1 (en) Dielectric filter, array antenna device
US11996600B2 (en) Hollow metal waveguides having irregular hexagonal cross sections with specified interior angles
CN216563467U (zh) 介质滤波器
US9673500B2 (en) Artificial dielectric resonator and artificial dielectric filter using the same
US11121443B2 (en) Bandpass filter
CN107994305B (zh) 一种拼装结构的超导微波滤波器
WO2013139656A1 (en) Folded waveguide resonator
CN113131110B (zh) W波段e面波导滤波器
CN110676545B (zh) 一种多枝节滤波器
US20220352615A1 (en) Evanescent mode waveguide filter
GB2570765A (en) Resonator apparatus and method of use thereof
CN112436252A (zh) 一种介质波导滤波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