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3226A - Pattern layer manufacturing device with gradaition effect and pattern layer manufacturing method with gradaition effect - Google Patents

Pattern layer manufacturing device with gradaition effect and pattern layer manufacturing method with gradaition effec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3226A
KR20210093226A KR1020210095140A KR20210095140A KR20210093226A KR 20210093226 A KR20210093226 A KR 20210093226A KR 1020210095140 A KR1020210095140 A KR 1020210095140A KR 20210095140 A KR20210095140 A KR 20210095140A KR 20210093226 A KR20210093226 A KR 202100932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soft mold
height
printed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51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영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노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노엑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노엑스
Priority to KR1020210095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3226A/en
Publication of KR20210093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322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02Lithographic processes using patterning methods other than those involving the exposure to radiation, e.g. by stamping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attern layers with gradation effect, which expresses gradation effect in one layer without distinguishing between a color layer and a pattern layer and suppresses occurrence of halftone dots,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o this end, the apparatus comprises: a soft mold in which a pattern part is formed on one surface; a dot printer supplying curable inks with different densities to the one side of the soft mold; and a pressure roller pressing the other surface of the soft mold so that the applied ink come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In addition, the method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moving a soft mold having a pattern portion formed on one surface in one direction; applying a curable ink to the soft mold in which the pattern part is formed through a dot printer; and pressing the applied ink through a pressure roller to com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Description

그라데이션 효과를 갖는 패턴층 제조 장치 및 그라데이션 효과를 갖는 패턴층 제조 방법{PATTERN LAYER MANUFACTURING DEVICE WITH GRADAITION EFFECT AND PATTERN LAYER MANUFACTURING METHOD WITH GRADAITION EFFECT}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patterned layer having a gradation effect,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atterned layer having a gradation effect

본 발명은 그라데이션 효과를 갖는 패턴층 제조 장치 및 그라데이션 효과를 갖는 패턴층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서로 다른 밀도를 갖는 잉크를 패턴부에 직접 인쇄해 색상층과 패턴층이 구분없이 하나의 과정에서 그라데이션 효과를 갖고 망점 형성을 억제할 수 있는 패턴층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pattern layer having a gradation effect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attern layer having a gradation effect. It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patterned layer that has a gradation effect and can suppress the formation of halftone dots in the process.

종래의 그라데이션 효과 및 패턴을 가지는 기판은 원형, 방사형, 사선형 등 다양한 패턴으로 형성되며 동시에 그라데이션 색감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신비롭고 고급스러운 심미감을 준다. 이러한 그라데이션 효과 및 패턴을 가지는 기판은 책상, 의자, 벽 등의 인테리어부터 휴대폰 케이스 등의 악세사리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다.The conventional substrate having a gradation effect and pattern is formed in various patterns such as circular, radial, and oblique patterns, and at the same time can be formed to have a gradation color, thereby giving a mysterious and luxurious aesthetic feeling to the user. A substrate having such a gradation effect and pattern is widely used from interiors such as desks, chairs, and walls to accessories such as cell phone cases.

종래의 그라데이션 효과 및 패턴을 가지는 기판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21995호에서와 같이 그라데이션 잉크 인쇄층과 엠보 등의 패턴이 형성된 패턴층이 별도로 구성되어 공정의 번거로움의 문제가 있었으며, 비용 또한 많이 소모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conventional substrate having a gradation effect and pattern has a problem of cumbersome process, as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21995, a gradation ink printing layer and a pattern layer on which a pattern such as emboss is formed is separately configured, and the cost is also high There was a problem that

또한, DDP(DOT TO DOT PRINT)기법을 통해 그라데이션 효과를 갖도록 인쇄하는 과정에서 도트(DOT)의 밀도가 낮은 부분에서 도트와 도트 사이에 빈공간에 의해 망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printing to have a gradation effect through the DDP (DOT TO DOT PRINT) technique, there was a problem in that halftone dots were generated due to the empty space between the dots in the portion where the density of the dots (DOT) was low.

또한, 패턴층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임프린팅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종래의 임프린팅 공정에 따르면, 기판위에 수지를 도포하고 패턴이 형성된 몰드를 도포된 수지위에 가압한다. 소프트 몰드를 가압한 상태로 수지를 경화시키고, 수지의 경화가 완료되면 소프트 몰드를 제거하여 수지에 패턴을 형성한다. 이러한 종래의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47100호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19040호 등이 있다.In addition, the imprinting method is mainly used to manufacture the pattern lay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imprinting process, a resin is applied on a substrate, and a mold on which a pattern is formed is pressed on the applied resin. The resin is cured while the soft mold is pressed, and when the curing of the resin is completed, the soft mold is removed to form a pattern on the resin. As such prior art, there ar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47100 an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19040.

그러나, 종래의 임프린팅 공정에 따르면 기판의 상면에 수지를 도포한 후,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수지 위에 임프린팅을 하는 과정에서 수지에 기포가 생성되는 문제점이 있다. 수지에 기포가 생성된 상태에서 패턴을 형성하면, 패턴 파손도가 증가하거나, 패턴이 원하는 모양으로 형성되지 않고, 기포가 육안으로 보이는 다양한 문제가 발생한다. 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imprinting process, there is a problem in that bubbles are generated in the resin during the imprinting process on the resin to form a pattern after coating the resi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When a pattern is formed in a state in which air bubbles are generated in the resin, various problems arise in that the degree of pattern breakage increases, the pattern is not formed in a desired shape, and air bubbles are visible to the naked eye.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패턴이 형성된 소프트 몰드의 일면에 도트(DOT)프린터를 통해 밀도가 상이하도록 수지를 공급하고, 수지가 공급된 소프트 몰드를 기판에 가압하여 경화시키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the present invention, a resin is supplied to one surface of a soft mold on which a pattern is formed to have different densities through a dot (DOT) printer, and the soft mold supplied with the resin is pressed against a substrate to harden it. would like to propose

선행문헌1: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21995호 (2008.04.07. 등록)Prior Document 1: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821995 (Registered on April 7, 2008) 선행문헌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47100호 (2018.04.03. 등록)Prior Document 2: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847100 (Registered on Apr. 3, 2018) 선행문헌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19040호 (2012.12.31. 등록)Prior Document 3: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219040 (Registered on December 31, 2012)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그라데이션과 패턴이 하나의 층에서 제공될 수 있는 그라데이션 효과를 갖는 패턴층 제조 장치 및 그라데이션 효과를 갖는 패턴층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patterned layer having a gradation effect in which gradation and a pattern can be provided in one layer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atterned layer having a gradation effec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망점이 제거됨과 동시에 그라데이션 효과를 가지며, 소정의 패턴이 형성된 그라데이션 효과를 갖는 패턴층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technic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ttern layer having a gradation effect in which halftone dots are removed and a gradation effect is formed, and a predetermined pattern is form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도포된 잉크 및 수지에 기포 생성을 방지하며 패턴을 임프린팅 할 수 있는 그라데이션 효과를 갖는 패턴층 제조 장치 및 그라데이션 효과를 갖는 패턴층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technic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pattern layer having a gradation effect capable of imprinting a pattern while preventing the generation of bubbles in the applied ink and resin,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attern layer having a gradation effec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두께 및 형상으로 수지를 도포할 수 있는 그라데이션 효과를 갖는 패턴층 제조 장치 및 그라데이션 효과를 갖는 패턴층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technic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producing a patterned layer having a gradation effect capable of applying a resin in various thicknesses and shapes,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patterned layer having a gradation effect.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두께가 일정하게 수지를 도포할 수 있는 그라데이션 효과를 갖는 패턴층 제조 장치 및 그라데이션 효과를 갖는 패턴층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technic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ttern layer manufacturing apparatus and a pattern layer manufacturing method having a gradation effect having a gradation effect that can apply a resin with a constant thickness.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패턴이 형성되고 그라데이션 효과를가지며, 잉크 및 수지에 기포 생성을 방지하여 불량률이 감소한 패턴층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tterned layer in which a pattern is formed and has a gradation effect, and the defect rate is reduced by preventing the generation of bubbles in ink and resin.

한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예시적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xemplary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일면에 패턴부가 형성되는 소프트 몰드 소프트 몰드의 패턴부가 형성된 일면에 경화성 잉크를 도포하되, 진행 방향에 따라 도포 밀도를 서로 달리 인쇄하는 도트 프린터, 인쇄된 잉크가 기판의 상면에 접하도록 상기 소프트 몰드의 타면을 가압하는 가압롤러를 제공한다. 또한, 일면에 패턴부가 형성된 소프트 몰드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 도트 프린터를 통해 패턴부가 형성된 소프트 몰드에 경화성 잉크를 진행방향에 따라 도포하는 단계, 가압롤러를 통해 도포된 잉크가 기판의 상면에 접하도록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그라데이션 효과를 갖는 패턴층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oft mold in which a pattern portion is formed on one surface, a dot printer that applies a curable ink to one surface of a soft mold on which a pattern portion is formed, and prints the application density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inted ink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To provide a pressure roller for pressing the other surface of the soft mold. In addition, the step of moving in one direction the soft mold having the pattern part formed on one surface, applying the curable ink to the soft mold having the pattern part formed on the dot printer along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ink applied through the pressure roller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It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patterned layer having a gradation effect comprising the step of pressing to do so.

본 발명에 따르면, 잉크의 상면에 패턴이 구비됨으로써, 그라데이션 색상층과 패턴층이 하나의 층으로 제공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attern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k, there is an effect that the gradation color layer and the pattern layer can be provided as one layer.

또한, 도트 프린트를 통해 잉크를 도포하기 전에 수지 공급부를 통해 수지를 먼저 공급하여, 수지의 상면에 잉크를 도포함으로써 잉크의 빈공간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며 망점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efore applying the ink through the dot print, the resin is first supplied through the resin supply unit, and the ink is appli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sin, thereby preventing the generation of empty spaces in the ink and removing the halftone dots.

본 발명에 따르면, 소프트 몰드에 직접 잉크 및 수지를 공급함으로써 잉크 및 수지에 기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upplying the ink and the resin directly to the soft mol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bubbles in the ink and the resin.

또한, 소프트 몰드에 직접 수지를 공급함으로써 종래의 방식대로 기판의 상면에 수지를 스크린 인쇄방식으로 도포함으로써 발생되는 메쉬 자국이 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supplying the resin directly to the soft mold,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mesh marks generated by applying the resin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by screen printing in a conventional manner.

또한, 다양한 사이즈 및 다양한 형상의 슬릿이 형성된 제판에 의해 수지의 공급이 조절되어 다양한 두께 및 형상으로 수지의 도포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supply of the resin is controlled by plate making in which slits of various sizes and shapes are formed, so that the application of the resin to various thicknesses and shapes can be controlled.

또한, 도포롤러에 의해 수지가 일정한 두께로 균일하게 도포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resin can be uniformly applied to a constant thickness by the application roller.

또한, 소프트 몰드의 이동에 의해 그라데이션 효과를 갖고 패턴이 형성된 패턴층을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a pattern layer having a gradation effect and a pattern formed thereon can be continuously manufactured by the movement of the soft mold.

최종적으로, 불량률을 최소화하고 양품의 패턴이 형성된 패턴층을 빠른 시간내에 대량생산을 통해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nally, there is an effect that the defect rate can be minimized and the pattern layer with the pattern of good quality can be provided through mass production within a short ti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라데이션 효과를 갖는 패턴층 제조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서 표시된 각 단계에 따른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은 각기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라데이션 효과를 갖는 패턴층 제조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라데이션 효과를 갖는 패턴층 제조 장치의 제 1 경화부(510) 및 제 1 경화부(52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패턴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그라데이션 효과를 갖는 패턴층 제조 장치 또는 방법에서 도포된 잉크를 변형시킴으로써 망점을 제거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그라데이션 효과를 갖는 패턴층 제조 장치 또는 방법에 의해 망점이 제거된 바람직한 그라데이션 효과를 나타낸 패턴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추가적인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라데이션 효과를 갖는 패턴층 제조 장치의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라데이션 효과를 갖는 패턴층 제조 방법을 나타낸 단계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pattern layer having a gradation eff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enlarged views of parts according to each step shown in FIG. 1 .
4 to 7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patterned layer having a gradation effect according to different embodiments.
8 is a view showing a first hardening part 510 and a first hardening part 520 of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patterned layer having a gradation eff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patterned layer manufacture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10 to 12 are views illustrating removal of halftone dots by deforming the applied ink in the apparatus or method for manufacturing a pattern layer having a gradation eff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ttern layer having a desirable gradation effect from which halftone dots are removed by an apparatus or method for manufacturing a pattern layer having a gradation eff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14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patterned layer having a gradation effec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5 is a step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attern layer having a gradation eff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어, 이하에서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or illustrated in the drawings. In additio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symbols in the drawings indic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Object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naturally understood or made clearer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object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only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세한 설명에 앞서, 당업자의 이해의 편의를 위해 도 1을 기준으로 소프트 몰드(110)의 이동 방향(도 1의 상측 방향)을 일방향, 일방향과 대응되는 반대 방향(도 1의 하측 방향)을 타방향으로 정의하고, 각각의 롤러(210, 220, 2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후술될 소프트 몰드(110)가 이동되는 방향(시계 방향)을 일방향으로 정의한다. 또한, 소프트 몰드(110)의 패턴(111)이 형성된 면을 일면, 기판(S)은 도 1을 기준으로 좌측 방향을 상면으로 정의하여 설명하도록 한다.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for the convenience of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moving direction (upper direction in FIG. 1) of the soft mold 110 with reference to FIG. 1 is taken in one direction, and in the opposite direction (lower direction in FIG. 1) corresponding to the one direction. direction, and a direction (clockwise) in which the soft mold 110 to be described later moves as each of the rollers 210 , 220 , 230 rotates clockwise is defined as one direction. In addition, the surface on which the pattern 111 of the soft mold 110 is formed is one surface, and the left direction of the substrate S is defined as the upper surface with reference to FIG. 1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라데이션 효과를 갖는 패턴층 제조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pattern layer having a gradation eff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층 제조 장치는 소프트 몰드(110), 소프트 몰드(110)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준롤러(210), 잉크(120)를 도포하는 도트 프린터(300), 도포된 잉크(120)를 기판(S)에 접하도록 하는 가압롤러(230) 및 경화부(5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pattern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oft mold 110 , a reference roller 210 for moving the soft mold 110 in one direction, and a dot printer for applying ink 120 . 300 , and a pressure roller 230 and a curing unit 500 for bringing the applied ink 120 into contact with the substrate S.

소프트 몰드(110)는 일면에 패턴부(111)가 형성되어 패턴층의 상면에 패턴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 몰드(110)는 하나 이상의 롤러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며, 하나 이상의 롤러에 의해 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된다. 상세하게, 소프트 몰드(110)는 기준롤러(210) 및 가압롤러(230)의 회전에 의해 각각의 롤러의 회전방향에 따라 이동되며, 롤러가 일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함께 일방향으로 이동될 수 잇다. 즉, 소프트 몰드(110)는 일방향으로 전체적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각각의 롤러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일방향으로 회전되며 이동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소프트 몰드(110)의 이동 및 회전에 따라 후술될 각 단계가 순환되며 반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소프트 몰드(110)는 잉크(12)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구성으로, 일면에 음각 또는 양각의 패턴을 구비하는 패턴부(11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프트 몰드(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이 롤러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동 및 회전될 수 있다.The soft mold 110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a pattern portion 111 is formed on one surface to form a patter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ttern layer. The soft mold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provid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one or more rollers, and is continuously moved in one direction by one or more rollers. Specifically, the soft mold 110 is moved according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each roller by the rotation of the reference roller 210 and the pressure roller 230, and may be moved together in one direction as the rollers are moved in one direction. That is, when the soft mold 110 as a whole moves in one direction and each roller rotates in a clockwise direction, it can be rotated and moved in one direction. In more detail, each step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cycled and repeated according to the movement and rotation of the soft mold 110 . Specifically, the soft mold 110 is configured to form a pattern on the ink 12 ,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pattern portion 111 having an intaglio or embossed pattern on one surface is 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oft mold 110 may be moved and rotated in one direction by a roller, respectively, as described above.

기준롤러(210)는 소프트 몰드(110)를 일방향으로 이동 및 회전시킴과 동시에 방향을 바꿔주고, 소프트 몰드(110)가 하측 방향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기준롤러(21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동시에 일방향으로 이동되어 소프트 몰드(110)를 진행방향으로 이동 및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준롤러(21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소프트 몰드(110)가 시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기준롤러(210)가 일방향으로 직선 이동되면, 소프트 몰드(110)도 함께 일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 롤러(210)는 한 개로 구비되었으나, 후술될 다른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경우에 따라서 기준 롤러(210)가 둘 이상 구비될 수도 있다. 소프트 몰드(110)는 기준롤러(210)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동 및 회전되면서 도트 프린터(300)를 지나갈 수 있다.The reference roller 210 is configured to move and rotate the soft mold 110 in one direction and change the direction at the same time, and prevent the soft mold 110 from sagging in the downward direction. In detail, it is preferable that the reference roller 210 rotates clockwise and simultaneously moves in one direction to move and rotate the soft mold 110 in the moving direction. As the reference roller 210 rotates clockwise, the soft mold 110 may move clockwise. Here, when the reference roller 210 is linearly moved in one direc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oft mold 110 is also provided to move in one direction. In FIG. 1 , one reference roller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provided, but referring to other embodiments to be described later, two or more reference rollers 210 may be provided in some cases. The soft mold 110 may pass by the dot printer 300 while being moved and rotated in one direction by the reference roller 210 .

도트 프린터(300)는 소프트 몰드(110)의 패턴부(111)가 형성된 일면에 경화성 잉크(120)를 도포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도트 프린터(300)는 소프트 몰드(110)의 일면에 형성된 패턴부(110)에 잉크(120)를 점(dot) 단위로 공급하는 구성이며, 보다 상세하게, 도트 프린터(300)는 일정 시간동안 잉크(120)를 공급하는 공급 횟수를 달리함으로써 소프트 몰드(110)의 일면에 잉크(120)의 도포 밀도가 상이하게 도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트 프린터(300)는 일정한 속도로 일방향으로 회전 이동되는 소프트 몰드(110)의 일면에 상이한 속도로 잉크(120)를 도포하여 잉크(120)의 소정의 기준 면적을 기준으로 도포 밀도가 서로 다르게 도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소프트 몰드(110)의 일면에 도포되는 잉크(120)의 밀도를 다르게 함으로써 잉크의 밀도가 높은 곳은 진한 색으로 시인되고, 밀도가 낮은 곳은 연한 색으로 시인되어 이를 점진적으로 수행함으로써, 그라데이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서로 다른 밀도로 도포된 잉크(120)는 소프트 몰드(110)의 일방향으로의 이동 및 회전에 의해서 함께 진행방향으로 이동 및 회전될 수 있다.The dot printer 300 is configured to apply the curable ink 120 to one surface on which the pattern portion 111 of the soft mold 110 is formed. In detail, the dot printer 300 is configured to supply the ink 120 to the pattern unit 110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oft mold 110 in units of dots, and in more detail, the dot printer 300 is By varying the number of times the ink 120 is suppli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t is possible to control a different application density of the ink 120 on one surface of the soft mold 110 . Specifically, the dot printer 300 applies the ink 120 at different speeds to one surface of the soft mold 110 that is rotated in one direction at a constant speed so that the application density is determined based on a predetermined reference area of the ink 120 . It can be controlled to be applied differently. By varying the density of the ink 120 applied to one surface of the soft mold 110, a place with a high density of ink is recognized as a dark color, and a place with a low density is recognized as a light color. can provide Ink 120 applied with different densities may be moved and rotated in a moving direction together by movement and rotation of the soft mold 110 in one direction.

가압롤러(230)는 소프트 몰드(110)의 일면에 도포된 잉크(120)가 기판(S)의 상면에 접하도록 소프트 몰드(110)의 이동 방향을 바꿔주며, 소프트 몰드(110)의 타면을 가압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가압롤러(230)에 의해 소프트 몰드(110)의 이동 방향이 전환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잉크(120)가 도포된 일면이 하측 방향으로 구비되도록 소프트 몰드(110)가 이동될 수 있다. 즉, 소프트 몰드(110)의 일면에 도포된 잉크(120)가 기판(S)의 상면과 접할 수 있도록 소프트 몰드(110)의 이동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소프트 몰드(110)의 이동 방향이 전환됨과 동시에 잉크(120)가 기판(S)에 밀착될 수 있도록 가압롤러(230)가 소프트 몰드(110)의 타면을 기판(S)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압롤러(230)는 시계방향으로의 회전 및 일방향으로의 이동과 동시에 기판(S) 방향으로 소프트 몰드(110)의 타면을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롤러(230)에 의해 기판(S)의 상면에 잉크(120)가 접합된 소프트 몰드(110)는 기판(S)과 함께 진행 방향으로 계속해서 이동되어 경화부(500)를 지날 수 있다.The pressure roller 230 changes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soft mold 110 so that the ink 120 applied on one surface of the soft mold 110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S,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soft mold 110 is pressed. It is a pressurized configuration. In detail,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oft mold 110 may be switched by the pressure roller 230 , and thus the soft mold 110 may be moved so that the one surface on which the ink 120 is applied is provided in the downward direction. . That i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oft mold 110 may be switched so that the ink 120 applied on one surface of the soft mold 110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S. In more detail, the pressure roller 230 moves the other surface of the soft mold 110 toward the substrate S so that the ink 120 can adhere to the substrate S at the same time a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oft mold 110 is switched. can be pressurized. 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pressing roller 230 presses the other surface of the soft mold 110 in the direction of the substrate S at the same time as rotation in the clockwise direction and movement in one direction. The soft mold 110 in which the ink 120 is bon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S by the pressure roller 230 may be continuously moved in the moving direction together with the substrate S to pass the curing unit 500 .

경화부(500)는 기판(S)에 접합된 잉크(120)를 소프트 몰드(110)의 가압에 의해 패턴이 형성된 상태로 경화시키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120)는 경화성 수지재질의 잉크로 열 경화성 잉크 또는 UV 경화성 잉크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경화부(500)는 잉크(120)의 종류에 따라 열 경화부 또는 UV 경화부 중 하나일 수 있다. 상세하게, 소프트 몰드(110)에 도포된 잉크(120)가 열 경화성 잉크인 경우, 경화부(500)는 열 경화부로 잉크(120)에 적정 온도의 열을 가하여 경화시킬 수 있다. 또한, UV 경화성 잉크인 경우, 경화부(500)는 UV 경화부로 잉크(120)에 UV를 조사하여 경화시킬 수 있다.The curing unit 500 is configured to cure the ink 120 bonded to the substrate S in a state in which a pattern is formed by pressing the soft mold 110 . Ink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urable resin material, and may be either thermal curable ink or UV curable ink. Also, the curing unit 500 may be either a thermal curing unit or a UV curing unit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ink 120 . In detail, when the ink 120 applied to the soft mold 110 is a thermosetting ink, the curing unit 500 may be cured by applying heat of an appropriate temperature to the ink 120 as a thermal curing unit. In addition, in the case of UV curable ink, the curing unit 500 may be cured by irradiating UV to the ink 120 as a UV curing unit.

추가적인 일례로, 도 8을 참고하면 경화부(500)는 제 1 경화부(510) 및 제 2 경화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 제 1 경화부(510)는 도트 프린터(300)에서 인쇄된 잉크를 가 경화시키는 구성으로서, 도트 프린터(300)와 가압롤러(23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 2 경화부(520)는 가 경화된 잉크(120)가 가압 롤러(230)에 의해 가압된 다음 패턴층을 이루도록 경화시키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제 1 경화부(510)는 잉크(120)를 가 경화시키는 구성으로서 잉크(120)의 점도를 변화시키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제 1 경화부(510)는 인쇄된 잉크(120)의 점도를 조절해 포개어진 잉크가 무너져 흘러내리거나 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제 1 경화부(510)는 그라데이션 효과를 내기 위해 잉크의 인쇄 밀도를 달리할 때 포개어져 인쇄되는 잉크(120)의 입자가 의도한 위치에 온전히 포개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가 경화시키는 구성이다. 제 1 경화부(510)는 잉크(120)의 성질이나 점도에 따라 인쇄된 잉크(120)의 내부까지 가 경화시키는 구성으로 구비되거나, 잉크(120)의 외면만을 가 경화시키는 구성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As an additional example, referring to FIG. 8 , the hardening part 500 may include a first hardening part 510 and a second hardening part 520 . In detail, the first curing unit 510 is configured to temporarily cure the ink printed by the dot printer 300 , and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dot printer 300 and the pressure roller 230 . The second curing unit 520 is configured to cure the temporarily cured ink 120 to form a pattern layer after being pressed by the pressure roller 230 . In detail, the first curing unit 510 is a configuration for temporarily curing the ink 120 , and is configured to change the viscosity of the ink 120 . In detail, the first curing unit 510 controls the viscosity of the printed ink 120 to prevent the overlapping ink from collapsing and flowing down. In particular, the first curing unit 510 is configured to temporarily harden the particles of the overlapped printed ink 120 to maintain a completely overlapped state at the intended position when the print density of the ink is changed to produce a gradation effect. am. The first curing unit 510 may be provided in a configuration that temporarily cures even the inside of the printed ink 120 according to the nature or viscosity of the ink 120 , or may be provided in a configuration that temporarily cures only the outer surface of the ink 120 . can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패턴층 제조 장치 및 패턴층 제조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서 표시된 각 단계에 따른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Hereinafter, the patterned layer manufacturing apparatus and the patterned laye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 2 and 3 are enlarged views of parts according to each step shown in FIG. 1 .

도 2를 참조하면, 소프트 몰드(110)의 패턴부(111)가 형성된 일면에 도트 프린터(300)에 의해 잉크(120)가 점(dot) 단위로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잉크(120)는 제조하고자 하는 목적물에 따라서 상이한 속도로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소프트 몰드(110)은 일정한 속도로 이동 방향에 따라 계속해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 소프트 몰드(110)가 도트 프린터(300)를 지나 계속해서 일정 속도로 이동되며, 일정 시간동안 잉크(120)가 도포되는 공급 횟수는 달리하여 소프트 몰드(110)의 일면에 도포되는 잉크(120)의 도포 밀도가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소프트 몰드(110)의 일면에 도포된 잉크(120)의 도포 밀도가 높은 부분은 사용자의 눈에 비교적 진한 색으로 시인될 수 있으며, 도포 밀도가 낮은 부분은 사용자의 눈에 비교적 연한 색으로 시인될 수 있다. 즉, 잉크(120)의 도포 밀도에 따라 패턴부(111)가 구비된 소프트 몰드(110)의 일면에 그라데이션 효과를 갖도록 잉크(120)를 도포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it is preferable that the ink 120 is applied in units of dots by the dot printer 300 on one surface on which the pattern portion 111 of the soft mold 110 is formed. At this time, the ink 120 is preferably applied at different speeds depending on the object to be manufactured, and the soft mold 110 is preferably continuously moved along the moving direction at a constant speed. In detail, the soft mold 110 is continuously moved past the dot printer 300 at a constant speed, and the ink applied to one surface of the soft mold 110 by varying the number of times the ink 120 is appli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s different. The application density of 120 can be controlled. Specifically, a portion having a high application density of the ink 120 applied to one surface of the soft mold 110 may be recognized as a relatively dark color to the user's eyes, and a portion having a low application density may be perceived as a relatively light color to the user's eye. can be admitted as That is, the ink 120 may be applied to have a gradation effect on one surface of the soft mold 110 provided with the pattern part 111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density of the ink 120 .

도 3을 참조하면, 잉크(120)가 도포된 소프트 몰드(110)는 이동 방향으로 일정 속도로 계속해서 이동되며, 가압롤러(230)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어 잉크(120)가 도포된 소프트 몰드(110)의 일면이 하측 방향으로 위치하게 된다. 상세하게, 소프트 몰드(110)의 일면에 도포된 잉크(120)는 일방향으로 이동 및 회전되다가 가압롤러(230)에 의해 방향의 전환 및 기판(S) 방향으로 가압됨으로써 기판(S)의 상면에 접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소프트 몰드(110)의 일면에 공급된 잉크(120)가 기판(S)의 상면에 접합되면서 소프트 몰드(110)와 함께 가압롤러(230)에 의해 가압되어 기판(S)의 상면에 패턴이 형성된 잉크(12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기판(S)의 상면에 접합되는 잉크(120)는 소프트 몰드(110)의 가압에 의해 높이가 낮아지고 지름이 커질 수 있다. 이로 인해, 도포시 잉크(120)와 잉크(120) 사이에 존재하였던 빈공간으로 인해 생기는 망점(122)이 제거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0 내지 도 13을 통해 하단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잉크(120)가 공급된 소프트 몰드(110)가 가압롤러(230)에 의해 방향의 전환과 동시에 시계방향으로 회전이동됨에 따라 잉크(120)와 접합된 기판(S)도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즉, 잉크(120)와 소프트 몰드(110)가 기판(S)의 상면에 가압된 상태에서 소프트 몰드(110)와 기판(S)이 동시에 이동되어 패턴이 형성된 잉크(120)가 접합된 기판(S)을 연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소프트 몰드(110)와 기판(S)이 접합되어 이동되는 과정에서 경화부(500)를 통과하여 잉크(120)에 패턴이 형성된 상태로 경화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소프트 몰드(110)와 기판(S)에 의해 가압된 잉크(120)는 도포시 서로 다른 도포 밀도로 도포되어 그라데이션 효과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잉크(120)의 상면에 소프트 몰드(110)에 의해 패턴이 형성되어 패턴과 그라데이션을 동시에 한 층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소프트 몰드(110)에 공급된 잉크(120)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하측 방향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트 프린터(300)와 가압롤러(230) 사이에 별도의 건조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건조부는 잉크(120)를 경화시키는 것은 아니며, 잉크(120)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건조를 하는 구성이다. 잉크(120)의 경화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기판(S)의 상면에 잉크(120)가 접합된 후, 소프트 몰드(110)가 기판(S)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는 상태에서 별도의 경화부(500)를 통해 이루어 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soft mold 110 to which the ink 120 is applied continues to move at a constant speed in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direction is changed by the pressure roller 230 to the soft mold to which the ink 120 is applied. One side of 110 is positioned in the downward direction. In detail, the ink 120 applied to one surface of the soft mold 110 is moved and rotated in one direction, and then the direction is changed by the pressure roller 230 and pr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substrate S, thereby being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S. can be reached In more detail, the ink 120 supplied to one surface of the soft mold 110 is pressed by the pressure roller 230 together with the soft mold 110 while being bon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S,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S. An ink 120 having a pattern formed thereon may be provided. In this case, the height of the ink 120 bon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S may be lowered by the pressure of the soft mold 110 and the diameter may be increased. Due to this, the halftone dots 122 generated due to the empty space existing between the ink 120 and the ink 120 during application may be remove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3 . As the soft mold 110 supplied with the ink 120 is rotated clockwise at the same time as the direction is changed by the pressure roller 230 , the substrate S bonded to the ink 120 may also be moved. 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ink 120 and the soft mold 110 are pres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S, the soft mold 110 and the substrate S are simultaneously moved to form a patterned substrate ( S) may be continuously provided, and the soft mold 110 and the substrate S may pass through the curing unit 500 in the process of bonding and moving, and may be cured in a state in which a pattern is formed in the ink 120 . More specifically, the ink 120 pressed by the soft mold 110 and the substrate S may be applied at different application densities during application to have a gradation effect. In addition, a patter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k 120 by the soft mold 110 to provide the pattern and the gradation in one layer at the same time. At this time, a separate drying unit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dot printer 300 and the pressure roller 230 in order to prevent the ink 120 supplied to the soft mold 110 from flowing down in the process of being moved. there is. Here, the drying unit does not cure the ink 120 , but minimally dries the ink 120 to prevent the ink from flowing down. After the ink 120 is bon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S as described above, the curing of the ink 120 is performed by a separate curing part 500 in a state in which the soft mold 110 is pr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substrate S. ) can be done through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라데이션 효과를 갖는 패턴층 제조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4 내지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라데이션 효과를 갖는 패턴층 제조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추가로 설명하지 않는 부분에 대해서는 상술한 일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부분은 생략하고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pattern layer having a gradation effec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7 . 4 to 7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pattern layer having a gradation effec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Hereinafter, since the parts not further described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same parts will be omitted and only different parts will be described.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이동롤러(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롤러(220)는 소프트 몰드(110)와 도트 프린터(30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소프트 몰드(110)를 이동시키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이동롤러(220)는 도트 프린터(300)의 위치 및 방향에 따라 근접하거나 멀어지도록 소프트 몰드(110)의 타면을 가압하여 도트 프린터(300)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반대로 이동하여 도트 프린터(300)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키는 구성이다. 보다 상세하게, 이동롤러(220)에 의해 소프트 몰드(110)의 타면이 가압됨으로써, 소프트 몰드(110)의 가압된 부분이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며 기울어질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각도가 형성된 부분을 엣지라고 하며, 소프트 몰드(110)의 일면 중 소정의 각도가 형성된 엣지 부분에서 도트 프린터(300)가 잉크(120)를 도포할 수 있다. 이동롤러(220)가 구비됨으로써 도트 프린터(300)와 소프트 몰드(11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며, 점(dot)으로 공급되는 잉크(120)의 양 또는 점의 크기 등에 따라서 미세하게 소프트 몰드(110)의 공급 거리 및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moving roller 220 . The moving roller 220 is configured to move the soft mold 110 so as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soft mold 110 and the dot printer 300 . In detail, the moving roller 220 presses the other surface of the soft mold 110 so as to approach or move away from the dot printer 300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dot printer 300 to move it in the dot printer 300 direction, or to mov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ot printer. It is configured to move away from (300). In more detail, as the other surface of the soft mold 110 is pressed by the moving roller 220 , the pressed portion of the soft mold 110 may be inclined while forming a predetermined angle. Here, a portion formed at a predetermined angle is referred to as an edge, and the dot printer 300 may apply the ink 120 to an edge portion formed at a predetermined angle among one surface of the soft mold 110 . Since the moving roller 220 is provided, the distance between the dot printer 300 and the soft mold 110 can be adjusted, and the soft mold is finely mold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ink 120 supplied as dots or the size of the dots.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upply distance and position of 110 can be adjusted.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도트 프린터(300)는 일 실시예의 도 1에서 각도를 가지고 구비된 것과 달리 평행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기판(S)과 평행하도록 도트 프린터(30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기준롤러(210)가 복수개 구비되어 소프트 몰드(110)의 방향을 복수 전환할 수 있으며, 기준롤러(210)가 복수개 구비됨에 따라 소프트 몰드(110)의 방향을 복수회 전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좁은 공간에서도 소프트 몰드(110)의 길이를 보다 길게 제공할 수 있어 연속공정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dot printer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in parallel, unlike the angle provided in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at is, the dot printer 300 may be provided so as to be parallel to the substrate S. In addition, a plurality of reference rollers 210 may be provided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soft mold 110 in plurality, and as a plurality of reference rollers 210 are provided, the direction of the soft mold 110 may be switched a plurality of times, Due to thi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onger length of the soft mold 110 even in a narrow space, which has an advantageous effect in the continuous process.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도트 프린터(300)는 상기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기판(S)과 도트 프린터(300)가 평행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도트 프린터(300)에 의해 잉크(120)가 도포되는 소프트 몰드(110)와 경화부(500)에 의해 잉크(120)가 경화되는 소프트 몰드(110)는 일직선 상에 위치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dot printer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substrate S and the dot printer 300 in parallel as described in FIG. 5. At this time, the ink ( The soft mold 110 to which the 120 is applied and the soft mold 110 to which the ink 120 is cured by the curing unit 500 may be provided to be positioned on a straight line.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패턴층 제조 장치는 수지 공급부(4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세하게, 소프트 몰드(110)의 이동경로 중 도트 프린터(300) 이전에 수지 공급부(40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수지 공급부(400)에 의해 소프트 몰드(110)의 패턴부(111)가 형성된 일면에 수지(130)가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수지(130)는 연속적으로 일정량 공급되어 소프트 몰드(110)의 일면에 일정한 두께로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 수지(130)가 공급된 소프트 몰드(110)는 수지 공급부(400)를 지나 도트 프린터(300)를 통과하며, 이때 도트 프린터(300)는 소프트 몰드(110)에 공급된 수지(130)의 일면에 잉크(120)를 도포할 수 있다. 소프트 몰드(110)의 일면에 점(dot) 단위의 잉크(120)를 도포하기 이전에 수지(130)를 먼저 공급함으로써 수지(130)에 의해 잉크(120)의 빈공간을 채울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망점(122)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수지(130)는 잉크(120)와 동일한 경화성 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며, 잉크(120)와 다른 색상의 경화성 수지(130)로 구비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patterned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esin supply unit 400 . In detail, the resin supply unit 400 may be provided before the dot printer 300 in the moving path of the soft mold 110 , and the pattern part 111 of the soft mold 110 is formed by the resin supply unit 400 . A resin 130 may be supplied to one surface.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resin 130 is continuously supplied in a predetermined amount and applied to one surface of the soft mold 110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In more detail, the soft mold 110 supplied with the resin 130 passes through the dot printer 300 through the resin supply unit 400, and the dot printer 300 uses the resin supplied to the soft mold 110 ( Ink 120 may be applied to one surface of 130 . By supplying the resin 130 first before applying the ink 120 in a dot unit to one surface of the soft mold 110, the empty space of the ink 120 can be filled with the resin 130, thereby Due to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alftone dots 122 from being generated. At this time, the resin 130 may be provided with the same curable material as the ink 120 , or may be provided with the curable resin 130 of a different color from the ink 120 .

이하, 도 9을 참조하여 상술한 패턴층 제조 장치에 의해 제조된 일 실시예의 패턴층을 설명한다. 도 9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패턴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Hereinafter, a patterned layer manufactured by the above-described patterned layer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 9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patterned layer manufacture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9을 참조하면, 상술한 패턴층 제조 장치에 의해 제조된 패턴층은 기판(S)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잉크(120)의 서로 다른 밀도에 의해 그라데이션 효과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동시에 잉크(120)에 직접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잉크(120)의 상면에 패턴(121)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패턴(121)의 형상은 어느 하나에 제한되지 않으며, 소프트 몰드(110)에 형성된 패턴부(111)의 형상에 따라 음각 또는 양각으로 구비될 수 있고, 나선형, 원형, 방사형, 사선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패턴(121)은 규칙적인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 불규칙적인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9은 실제 사용자에게 시인되는 패턴층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며, 이를 매우 크게 확대하면 도 13에서와 같이 도트 단위의 형상으로 잉크가 인쇄된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3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특징 중 하나인 망점(122)이 제거되는 과정 및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9 , the pattern layer manufactured by the above-described pattern layer manufacturing apparatus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S, and may be provided to have a gradation effect due to different densities of the ink 120 . At the same time, the pattern 121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k 120 by directly forming the pattern on the ink 120 . At this time, the shape of the pattern 121 is not limited to any one, and may be provided in an intaglio or embossed shap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pattern part 111 formed in the soft mold 110 , and may be provided in various shapes such as spiral, circular, radial, and oblique shapes. It may be provided in a shape. In addition, the pattern 121 may be provided in a regular shape, but may also be provided in an irregular shape in some cases. 9 shows an embodiment of a pattern layer visually recognized by a real user, and when it is greatly enlarged, ink is printed in a dot unit shape as shown in FIG. 13 . Hereinafter, a process and method of removing the halftone dots 122, which are one of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3 .

패턴부(111)에 초기 인쇄된 잉크(120)는 작업자에 의해 미리 의도된 소정의 기준 높이나 지름을 갖도록 함으로써 잉크 간의 간격에 빈 공간(M)이 생기거나, 연한 색의 잉크를 사용했을 때 잉크의 두께가 얇게 형성됨으로써 발생하는 망점(122)을 제거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다만, 잉크(120)가 도트 프린터(300)에 의해 인쇄되는데, 이 때 소정의 기준 높이나 소정이 기준 지름을 갖지 않는 잉크(120)가 발생하여 망점(122)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트 프린터(300)에 의해 도포된 잉크(120)를 가압함으로써 잉크의 높이나 지름을 변형시켜 망점(122)을 제거 또는 감소시키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하게, 도트 프린터(300)에 의해 도포된 잉크(120)는 초기 제 1 높이(H1)와 제 1 지름(D1)을 갖는다. 여기서, 가압롤러(230) 또는 기판(S) 등을 통해 잉크(120)를 가압함으로써 높이를 낮추고, 지름을 크게 변형시킴으로써, 망점(122)을 제거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망점(122)을 제거 또는 감소시키기 위해 가압롤러(230)와 기판(S)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이 외의 잉크를 가압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 등이 더 추가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도 10의 <a>를 참고하면, 인쇄된 잉크(120)의 제 1 높이(H1) 및 제 1 지름(D1)을 갖는데, 이를 가압롤러(230) 또는 기판(S) 등을 통해 잉크(120)를 가압함으로써 도 10의 <b>와 같이 제 1 높이(H1)보다 낮은 높이의 제 2 높이(H2)를 갖도록 변형시킬 수 있다. 제 1 높이(H1)를 갖는 잉크(120)를 제 2 높이(H2)를 갖도록 가압해 변형시키는 경우 지름이 제 1 지름(D1)에서 제 1 지름(D1)보다 큰 크기의 제 2 지름(D2)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이렇게 상기와 같이 변형된 잉크(120)는 복수 회 반복 도포되어 인쇄되는 과정에서 복수 개의 잉크(120) 간의 빈 공간(M)이나 옅은 공간을 매꾸워 줌으로써 망점(122)을 제거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망점(122)을 제거 또는 감소시키기 위해 잉크(120)를 가압할 때, 잉크(120)가 진행 방향에 따라 순차적으로 인쇄 밀도를 변화시켜 그라데이션 효과를 주는 경우, 잉크(120)의 밀도가 서로 다르게 된다. 즉, 잉크(120) 간의 포개어지는 두께가 일 방향과 타 방향의 두께가 서로 다르다. 이러한 경우 가압롤러(230) 및 기판(S)이나 그 밖의 가압 구성은 잉크(120)가 포개어져 서로 다른 두께에 대응하여 각 위치 마다 다른 두께로 가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3는 망점(122)이 제거 또는 감소되도록 잉크(120)가 가압되어 그라데이션 효과를 나타낸 것을 표현한 도면이다.When the ink 120 initially printed on the pattern part 111 has a predetermined reference height or diameter previously intended by the operator, an empty space M is created in the interval between the inks, or when a light-colored ink is used. It is possible to remove or reduce the halftone dots 122 generated by the thin thickness of the . However, the ink 120 is printed by the dot printer 300 . At this tim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ink 120 not having a predetermined reference height or a predetermined reference diameter is generated, thereby generating halftone dots 122 .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alftone dots 122 are removed or reduced by changing the height or diameter of the ink by pressing the ink 120 applied by the dot printer 300 . In detail, the ink 120 applied by the dot printer 300 has an initial first height H1 and a first diameter D1. Here, the halftone dots 122 may be removed or reduced by lowering the height and greatly changing the diameter by pressing the ink 120 through the pressure roller 230 or the substrate S. Although the pressure roller 230 and the substrate S have been described as the basis for removing or reducing the halftone dots 122 , various configurations capable of pressing other inks may be further added. In more detail, referring to <a> of FIG. 10 , the printed ink 120 has a first height H1 and a first diameter D1, which is a pressure roller 230 or a substrate S, etc. By pressing the ink 120 through the ink 120 , it can be deformed to have a second height H2 that is lower than the first height H1 as shown in <b> of FIG. 10 . When the ink 120 having the first height H1 is deformed by pressurizing it to have the second height H2, the second diameter D2 is larger than the first diameter D1 from the first diameter D1. ) can be transformed into In this way, the modified ink 120 is repeatedly applied a plurality of times and filled in the empty space M or the light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inks 120 in the process of printing, thereby removing or reducing the halftone dots 122. . On the other hand, when the ink 120 is pressed to remove or reduce the halftone dots 122 , when the ink 120 sequentially changes the print density according to the traveling direction to give a gradation effect, the density of the ink 120 is become different That is, the overlapping thickness between the inks 120 is different from the thickness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direction. In this case, the pressing roller 230 and the substrate S or other pressing components may be configured to press the ink 120 to a different thickness at each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t thicknesses overlapping each other. 13 is a view illustrating that the ink 120 is pressed so that the halftone dots 122 are removed or reduced to show a gradation effect.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라데이션 효과를 갖는 패턴층 제조 방법을 나타낸 단계도이다.15 is a step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attern layer having a gradation eff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패턴층 제조 장치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층 제조 방법은 일면에 패턴부(111)가 형성된 소프트 몰드(110)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 도트 프린터(300)를 통해 패턴부(111)가 형성된 소프트 몰드(110)에 경화성 잉크(120)를 진행방향에 따라 도포하되, 도포 밀도를 서로 달리하는 인쇄하는 단계, 가압롤러(230)를 통해 도포된 잉트(120)가 기판(S)의 상면에 접하도록 가압하는 단계 및 기판(S)에 접한 잉크(120)를 경화부(500)를 통해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순차적으로 패턴층의 제조가 진행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 , as described above in the process of describing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patterned layer, i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patterned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ft mold 110 having a patterned portion 111 formed on one surface is formed in one direction. moving to, applying the curable ink 120 to the soft mold 110 in which the pattern part 111 is formed through the dot printer 300 in the moving direction, but printing with different application densities from each other, pressure roller Sequential including the step of pressing the ink 120 applied through the 230 to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S and curing the ink 120 in contact with the substrate S through the curing unit 500 As a result, the pattern layer may be manufactured.

일면에 패턴부(111)가 형성된 소프트 몰드(110)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는, 일면에 패턴부(111)가 형성된 소프트 몰드(110)가 롤러 등을 통해 일방향으로 연속 진행되는 과정이다. 여기서, 소프트 몰드(110)가 연속 진행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소프트 몰드(110)는 제조하려는 패턴층의 크기에 따라 순차적으로 턴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step of moving the soft mold 110 having the pattern part 111 formed on one surface in one direction is a process in which the soft mold 110 having the pattern part 111 formed on one surface continuously proceeds in one direction through a roller or the like. Here, although the description has been made based on the continuous operation of the soft mold 110 , the soft mold 110 may be sequentially moved in a turn manner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attern layer to be manufactured.

도트 프린터(300)를 통해 패턴부(111)가 형성된 상기 소프트 몰드(110)에 경화성 잉크(120)를 진행방향에 따라 도포하되, 도포 밀도를 서로 달리하는 인쇄하는 단계는, 전 단계에서 이동되는 소프트 몰드(110)에 도트 프린터(300)를 통해 잉크를 도포하되, 도포된 잉크의 도포 밀도를 서로 달리 함으로써 그라데이션 효과를 주도록 인쇄하는 과정이다.The curable ink 120 is applied to the soft mold 110 in which the pattern part 111 is formed through the dot printer 300 in the direction of progress, but the printing step with different application densities is moved in the previous step It is a process of applying ink to the soft mold 110 through the dot printer 300, but printing so as to give a gradation effect by varying the application density of the applied ink.

인쇄된 잉크(120)가 기판(S)의 상면에 접하도록 소프트 몰드(110)를 가압하는 단계는 소프트 몰드(110)를 기판(S)의 상면에 접하도록 가압함으로써 소프트 몰드(110)에 인쇄된 잉크(120)를 가압 및 고정하는 과정이다.The step of pressing the soft mold 110 so that the printed ink 120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S is printed on the soft mold 110 by pressing the soft mold 110 to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S. This is a process of pressurizing and fixing the ink 120 .

또한, 인쇄된 잉크(120)는 제 1 높이(H1) 및 제 1 직경(D1)을 갖도록 도포된다. 이때, 인쇄된 잉크(120)가 기판(S)의 상면에 접하도록 소프트 몰드(110)를 가압하는 단계에서, 잉크(120)의 높이가 소프트 몰드(110)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상기 제 1 높이(H1)보다 낮은 제 2 높이(H2)로 변형되고, 제 1 직경(D1)보다 작은 제 2 직경(D2)로 변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도 10 내지 도 13에서의 설명과 같이 복수 개의 잉크(120) 간의 간격에서 빈 공간(M)으로 발생되는 망점(122)을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inted ink 120 is applied to have a first height H1 and a first diameter D1. At this time, in the step of pressing the soft mold 110 so that the printed ink 120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S, the first height of the ink 120 is pressed by the soft mold 110 . It may be deformed to a second height H2 lower than (H1) and to be deformed to a second diameter D2 smaller than the first diameter D1. In this case,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3 , the halftone dots 122 generated as empty spaces M in the intervals between the plurality of inks 120 may be removed.

도트 프린터(300)를 통해 패턴부(111)가 형성된 소프트 몰드(110)에 경화성 잉크(120)를 진행방향에 따라 도포하되, 도포 밀도를 서로 달리하는 인쇄하는 단계에서, 이동롤러(220)를 통해 소프트 몰드(110)와 도트 프린터(30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urable ink 120 is applied in the moving direction to the soft mold 110 in which the pattern part 111 is formed through the dot printer 300, but in the step of printing with different application densities, the moving roller 220 The step of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soft mold 110 and the dot printer 300 may be further included.

한편, 가압롤러(230)를 통해 인쇄된 상기 잉크(120)가 기판(S)의 상면에 접하도록 가압하는 단계 이후, 기판(S)에 접한 잉크(120)를 경화부(500)를 통해 경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기판에(S)에 접해 고정 이동되는 잉크(120)를 경화시키는 과정으로써, 경화부는 UV 경화부 또는 열 경화부 등 다양한 경화부가 사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잉크(120)도 대응되어 경화되도록 UV 경화성 잉크 또는 열 경화성 잉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UV 경화성 잉크 및 UV 경화부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UV 경화부를 통해 UV 경화성 잉크(120)를 경화시키는 경우 잉크(120)에 UV가 도달할 수 있도록 기판 또는 소프트 몰드(110)는 투명 또는 반 투명 재질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after the step of pressing the printed ink 120 through the pressure roller 230 to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S, the ink 120 in contact with the substrate S is cured through the curing unit 500 . It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making As a process of curing the ink 120 that is fixedly moved in contact with the substrate S, various curing parts such as a UV curing part or a thermal curing part may be used for the curing part, and thus the ink 120 is UV curable so that the ink 120 is also cured accordingly. Ink or thermosetting ink may be used, but it is most preferable to use UV curable ink and UV curing unit. In addition, when curing the UV curable ink 120 through the UV curing unit, it is preferable that the substrate or the soft mold 110 be made of a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material so that UV can reach the ink 120 .

여기서, 추가적인 일례로서, 상기 경화부(500)를 통해 잉크(120)를 경화시키는 단계는 제 1 경화부(510)를 통해 잉크(120)를 가 경화시키는 단계 및 제 2 경화부(520)를 통해 (120)잉크를 경화시키는 단계로 구체화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 1 경화부(510)를 통해 잉크(120)를 가 경화시키는 단계는, 도트 프린터(300)를 통해 패턴부(110)에 잉크(120)를 인쇄하는 단계 이후 수행된다. 상세하게, 제 1 경화부(510)를 통해 잉크(120)를 가 경화시키는 단계는, 도트 프린터(300)를 통해 잉크(120)를 인쇄하는 단계와 가압 롤러(230)를 통해 잉크(120)를 가압하는 단계 사이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 1 경화부(510)는 도트 프린터(300)에서 인쇄된 잉크를 가 경화 시키는 구성으로서, 도트 프린터(300)와 가압롤러(23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 2 경화부(520)는 가 경화된 잉크(120)가 가압 롤러(230)에 의해 가압된 다음 패턴층을 이루도록 경화시킨다. 제 1 경화부(510)를 통해 잉크(120)를 가 경화시키는 단계에서는 인쇄된 잉크(120)의 점도를 조절해 포개어진 잉크가 무너져 흘러 내리거나 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제 1 경화부(510)는 그라데이션 효과를 내기 위해 잉크의 인쇄 밀도를 달리할 때 포개어져 인쇄되는 잉크(120)의 입자가 의도한 위치에 온전히 포개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가 경화 시킨다. 제 1 경화부(510)는 잉크(120)의 성질이나 점도에 따라 인쇄된 잉크(120)의 내부까지 가 경화시키거나, 잉크(120)의 외면만을 가 경화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 다음, 제 2 경화부(520)를 통해 잉크(120)를 완전 경화시킴으로써 그라데이션 효과를 갖는 패턴부를 형성할 수 있다.Here, as an additional example, the curing of the ink 120 through the curing unit 500 includes the steps of temporarily curing the ink 120 through the first curing unit 510 and the second curing unit 520 . It can be embodied as a step of curing the ink through (120). In detail, the step of temporarily curing the ink 120 through the first curing unit 510 is performed after the step of printing the ink 120 on the pattern unit 110 through the dot printer 300 . In detail, the step of temporarily curing the ink 120 through the first curing unit 510 includes the step of printing the ink 120 through the dot printer 300 and the ink 120 through the pressure roller 230 . It is preferably carried out between the steps of pressing. That is, the first curing unit 510 is configured to temporarily cure the ink printed by the dot printer 300 , and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dot printer 300 and the pressure roller 230 . The second curing unit 520 cures the temporarily cured ink 120 to form a pattern layer after being pressed by the pressure roller 230 . In the step of temporarily curing the ink 120 through the first curing unit 510 , the viscosity of the printed ink 120 is adjusted to prevent the overlapping ink from collapsing and flowing down. In particular, the first curing unit 510 is temporarily cured so that the particles of the overlapping printed ink 120 can be maintained at the intended position when the print density of the ink is changed to produce a gradation effect. The first curing unit 510 may be configured to temporarily harden to the inside of the printed ink 120 or to temporarily cure only the outer surface of the ink 120 according to the properties or viscosity of the ink 120 . Then, a pattern part having a gradation effect may be formed by completely curing the ink 120 through the second curing part 520 .

도 14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라데이션 효과를 갖는 패턴층 제조 장치는 상기한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층 제조 장치와 유사하나 연속 공정이 아닌, 시트 방식의 순차 공정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롤러를 통해 연속 또는 지속 이동되어 진행되는 공정이 아닌, 소정 크기의 시트 단위로 수행되는 공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면에 패턴부(111)가 형성되는 몰드(100), 패턴부(111)의 일면 상에서 경화성 잉크(120)를 이동하며 도포하되, 이동 방향에 따라 도포 밀도를 서로 달리 인쇄하는 도트 프린터(300) 및 인쇄된 잉크(120)가 기판(S)에 접하도록 몰드(100)를 가압하는 가압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patterned layer having a gradation effec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ilar to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patterned layer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ut is configured in a sequential process method of a sheet method rather than a continuous process can be That is, it may be configured as a process performed in units of sheets of a predetermined size, rather than a process continuously or continuously moved through a roller. To this end, the mold 100 on which the pattern portion 111 is formed on one surface, the curable ink 120 is moved and applied on one surface of the pattern portion 111, but a dot printer that prints the application density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movement direction ( 300) and a pressing means for pressing the mold 100 so that the printed ink 120 is in contact with the substrate S.

도 14의 <a>와 같이 몰드에는 소정의 패턴부(111)가 형성된다. 몰드는 상기한 일 실시예의 경우 롤러를 통해 연속 이동되기 때문에 소프트 몰드(111)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해당 실시예의 경우 시트 형식의 순차적으로 공정에 적용되기 때문에 소프트 몰드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몰드는 하드 몰드 또는 소프트 몰드 사용할 수 있다. 다만, 후술하는 가압 수단에 의해 가압할 때 기판과 수지 사이의 기포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소프트 몰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a> of FIG. 14 , a predetermined pattern part 111 is formed in the mold. In the ca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since the mold is continuously moved through the rollers, the soft mold 111 has been described as a reference, but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since the sheet is sequentially applied to the process, it is not limited to the soft mold. That is, the mold may be a hard mold or a soft mold. However, it is preferable to use a soft mold in order to suppress the generation of bubbles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resin when pressing by a pressing means to be described later.

도 14의 <b>와 같이 도트 프린터(300)는 패턴부(111)의 일면에 위치되어 경화성 잉크를 도포한다. 상세하게, 도트 프린터(300)는 패턴부(111)의 일면 상에 위치되어 사용자가 표현하려는 색상 또는 그라데이션 효과를 감안하여 미리 저장한 작업 기준을 기초로 패턴부의 일면 상에서 이동되며 잉크를 도포하며 인쇄한다. 보다 상세하게, 도트 프린터(300)는 이동 방향에 따라 도포 밀도를 서로 달리하며 인쇄한다. 상기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의 도트 프린터는 몰드가 이동되기 때문에 도트 프린터가 고정되어 인쇄하는 방식이였으나, 시트 방식으로 제조되는 경우 시트가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도트 프린터(300)가 몰드 또는 패턴부 상에서 이동되며 잉크(120)를 인쇄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트 프린터(300)가 고정되고 몰드가 이동되며 잉크가 인쇄도도록 구성할수도 있다.As shown in <b> of FIG. 14 , the dot printer 300 is positioned on one surface of the pattern part 111 to apply curable ink. In detail, the dot printer 300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pattern unit 111 and moves on one side of the pattern unit based on the pre-stored work standard in consideration of the color or gradation effect that the user wants to express, applies ink, and prints do. In more detail, the dot printer 300 prints with different application densities depending on the moving direction. The dot printer of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was a method in which the dot printer was fixed and printed because the mold was moved. However, when the dot printer is manufactured in a sheet method, it is preferable that the sheet is fixed, so the dot printer 300 is a mold or It is preferable to be configured to move on the pattern portion and print the ink 120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dot printer 300 may be fixed, the mold may be moved, and ink may be printed.

도 14의 <c>, <d> 및 <e>와 같이 가압 수단은 패턴부에 인쇄된 잉크를 기판(s)에 접하도록 가압하는 구성이다. 도면에서는 몰드가 반전되어 아래 방향으로 기판(s)에 가압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반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가압 수단을 통해 가압된 잉크는 소정의 제 1 높이(h1)에서 소정의 제 2 높이(h2)로 높이가 낮아진다. 또한, 가압 수단에 의해 가압된 잉크(122)는 소정의 제 1 지름(D1)에서 소정의 제 2 지름(D2)으로 지름이 커지게 된다. 이는 상기 언급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에서 가압 롤러 구성과 동일한 구성이다. 한편, 몰드의 경우 하드 몰드 및 소프트 몰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소프트 몰드가 사용되는 경우 가압 수단은 가압 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 가압롤러의 경우 소프트 몰드를 가압할 때 소프트 몰드의 타면을 일 끝단에서 타 끝단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가압함으로써 잉크(122)와 기판(s) 사이에 발생하는 기포를 제거할 수 있다.As shown in <c>, <d> and <e> of FIG. 14 , the pressing means is configured to press the ink printed on the pattern portion to be in contact with the substrate s.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in the drawings that the mold is inverted and pressed to the substrate s in the downward direction, it may be configured to be reversed. On the other hand, the ink pressurized through the pressing means is lowered in height from a first predetermined height h1 to a predetermined second height h2. In addition, the diameter of the ink 122 pressed by the pressing means increases from a predetermined first diameter D1 to a predetermined second diameter D2. This i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pressure roller configuration in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Meanwhile, in the case of the mold, a hard mold, a soft mold, etc. may be used, but when a soft mold is used, the pressing means may include a pressing roller. In the case of the pressure roller, when the soft mold is pressed, air bubbles generated between the ink 122 and the substrate s can be removed by sequentially pressing the other surface of the soft mold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추가적으로, 몰드가 기판(s) 방향으로 가압된 다음, 경화부를 통해 잉크(120)를 경화시킴으로써 그라데이션 또는 색상이 적용된 패턴부를 형성할 수 있다.Additionally, a pattern portion to which a gradation or color is applied may be formed by pressing the mold in the direction of the substrate s and then curing the ink 120 through the curing por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라데이션 효과를 갖는 패턴층 제조 방법은 도트 프린터(300)를 통해 몰드(100)에 형성된 패턴부(111)의 일면 상에서 경화성 잉크(120)를 이동하며 도포하되, 도포 밀도를 서로 달리하는 인쇄하는 단계 및 가압 수단을 통해 인쇄된 잉크(120)가 기판(S)에 접하도록 몰드(110)를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pattern layer having a gradation effec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rable ink 120 is moved and applied on one surface of the pattern part 111 formed in the mold 100 through the dot printer 300, It may include the step of printing with different densities and pressing the mold 110 so that the printed ink 12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ubstrate S through a pressing means.

가압 수단을 통해 인쇄된 잉크(120)가 기판(S)에 접하도록 몰드(110)를 가압하는 단계 이전의 인쇄된 잉크(120)는 제 1 높이(H1) 및 제 1 지름(D1)을 갖고, 가압 수단을 통해 인쇄된 잉크(120)가 기판(S)에 접하도록 몰드(110)를 가압하는 단계에서, 잉크(120)는 몰드(110)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제 1 높이(H1)보다 낮은 제 2 높이(H2) 및 제 1 지름(D1)보다 큰 제 2 지름(D2)으로 변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지름(D1) 및 제 1 높이(H1)을 갖는 잉크(120)가 제 2 지름(D2) 및 제 2 높이(H2)로 변형됨으로써 복수 회 도트 인쇄된 잉크(120) 간의 망점(122)이 제거 또는 감소된다. The printed ink 120 before the step of pressing the mold 110 so that the printed ink 120 is in contact with the substrate S through the pressing means has a first height H1 and a first diameter D1, , In the step of pressing the mold 110 so that the printed ink 120 is in contact with the substrate S through the pressing means, the ink 120 is pressed by the mold 110 and is higher than the first height H1. It may be deformed to a lower second height H2 and a second diameter D2 larger than the first diameter D1. In this case, the halftone dots between the ink 120 dotted multiple times by the ink 120 having the first diameter D1 and the first height H1 being transformed to the second diameter D2 and the second height H2. (122) is removed or reduced.

추가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잉크(120)를 도포하는 단계 이전에 수지 공급부(400)를 통해 소프트 몰드(110)의 패턴부(111)가 형성된 일면에 수지(130)를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패턴부(111)에 공급된 수지(130)의 일면에 잉크(120)를 도포하여 망점(1220)이 제거된 패턴층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dditional embodiment, before the step of applying the ink 120, the step of supplying the resin 130 to the one surface on which the pattern part 111 of the soft mold 110 is formed through the resin supply part 400 further include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attern layer from which the halftone dots 1220 are removed by applying the ink 120 to one surface of the resin 130 supplied to the pattern unit 111 .

이하, 상기 도 7에서 상술한 수지 공급부(400)의 여러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이전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생략하며,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resin supply unit 400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7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Her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configuration described in the previous embodiment will be omitted, and different part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소프트 몰드(110)와 수지 공급부(400) 사이에 별도의 제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 제판은 소정 영역이 개구된 슬릿을 구비할 수 있으며, 수지 공급부(400)로부터 슬릿 사이로 수지(130)가 공급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판의 소정 영역 개구된 슬릿을 통해 수지 공급부(400)로부터 공급되는 수지(130)를 소정의 양만큼 조절하여 소프트 몰드(110)에 공급할 수 있다. 상세하게, 슬릿은 제판에 구비되는 개구된 빈 공간이며, 제판은 단단한 경질의 재질로 구비될 수도 있으나, 휘어질 수 있는 연질의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제판에 슬릿이 형성됨으로써 수지 공급부(400)로부터 공급되는 수지(130)가 슬릿의 개구된 영역에 의해 일정량 조절되어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슬릿의 크기 및 형상에 의해 소프트 몰드(110)에 공급되는 수지(130)의 두께가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슬릿은 일자의 막대 형상으로 개구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패턴의 형상에 따라 수지를 도포하기 위한 수지 영역에 대응되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 separate plate making may be further included between the soft mold 110 and the resin supply unit 400 . In detail, the plate making may include a slit in which a predetermined region is opened, and the resin 130 may be supplied from the resin supply unit 400 to between the slits. In more detail, the resin 130 supplied from the resin supply unit 400 through the slit opened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plate making may be supplied to the soft mold 110 by adjusting a predetermined amount. In detail, the slit is an open empty space provided in the plate making, and the plate making may be made of a hard and hard material, but it is more preferable to 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hat can be bent. Specifically, since the slit is formed in the plate mak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resin 130 supplied from the resin supply unit 400 may be adjusted and supplied by the open region of the slit. Accordingly, the thickness of the resin 130 supplied to the soft mold 110 may be uniformly supplied accor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slit. Basically, the slit is preferably provided to be opened in a straight bar shape, but may be provided in various shapes to correspond to the resin area for applying the resin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pattern.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제판은 슬릿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 슬릿의 개구된 크기는 서로 다르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슬릿의 형상 또한 상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제판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슬릿은 서로 간격 또는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이하도록 구비되며, 소프트 몰드(110)의 일면에 수지(130)를 공급할 때 복수개의 슬릿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다양한 두께 또는 형상으로 수지(130)를 도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판에 구비된 복수개의 슬릿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수지를 공급할 수 있도록 길리 방향으로 제판을 이동시키는 이동 구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이동 구성은 레일, 롤러 등 연질 또는 경질의 제판을 이동하여 슬릿을 교체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 plurality of slits may be formed in the plate making. At this time, the opening size of each slit may be provided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shape of the slit may also be provided to be different. In detai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plurality of slits provided in the plate making are provided so that at least one of an interval or a shape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when the resin 130 is supplied to one surface of the soft mold 110 , the plurality of slits By selecting any one, the resin 130 may be applied in various thicknesses or shapes. Specifically, a moving configuration for moving the plate making in the Gili direction to select any one of a plurality of slits provided in the plate making and supply the resin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is case, the moving configuration can be any configuration that can replace the slit by moving a soft or hard plate making, such as rails and rollers.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제판의 슬릿에는 격자 형상의 메쉬망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메쉬망이 소프트 몰드(110)에 근접하도록 메쉬망의 일 영역을 가압하는 날개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슬릿의 형상은 제한이 없으며, 제 1 실시예 또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판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상세하게, 제 3 실시예에 따른 제판의 슬릿은 비교적 간격이 넓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 슬릿에 격자 형상의 메쉬망이 구비되어 메쉬망의 격자 사이로 수지(130)가 공급될 수 있다. 이때, 날개부가 구비되어 메쉬망의 일 영역을 가압함으로써 메쉬망의 일 영역만이 소프트 몰드(110)에 근접하게 되고, 이를 통해 소프트 몰드(110)의 일면에 수지(130)를 도포할 수 있다. 날개부는 메쉬망과 접한 상태로 일방향으로 스퀴지되며 이동될 수 있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날개부는 메쉬망과 접한 상태로 소프트 몰드(110) 방향으로 가압하며 이동되지 않고, 소프트 몰드(110) 및 메쉬망이 일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수지(130)가 도포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a grid-shaped mesh network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slit of the plate making, and a wing portion for pressing a region of the mesh network to be close to the soft mold 110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is case, the shape of the slit is not limited, and all of the plate making method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r the second embodiment are applicable. In detail, it is preferable that the slits of the plate making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are provided with relatively wide intervals. In more detail, a grid-shaped mesh network is provided in the slit so that the resin 130 may be supplied between the grids of the mesh network. At this time, only one area of the mesh network is brought into proximity to the soft mold 110 by being provided with a wing and pressing one area of the mesh network, and the resin 130 can be applied to one surface of the soft mold 110 through this. . The wing portion may be moved while being squeegeeed in one direction while in contact with the mesh network, but more preferably the wing portion is pressed in the soft mold 110 direction while in contact with the mesh network and does not move, the soft mold 110 and the mesh network By moving in this one direction, the resin 130 may be applied.

제 4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실시예 내지 제 3 실시예에서 설명한 제판 대신에 소프트 몰드(110)의 일면에 원통형으로 구비되는 격자 형상의 제 2 메쉬망을 구비하고,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운동하는 회전메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 2 메쉬망의 내측에는 소프트 몰드(110)가 재 2 메쉬망에 근접하도록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소프트 몰드(110)를 가압하는 제 2 날개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날개부는 제 3 실시예의 날개부와 동일한 역할을 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제 4 실시예에 따르면, 원통 형상의 메쉬로 구성된 제 2 메쉬망은 소프트 몰드(110)의 일면에 근접하도록 구비되되, 소프트 몰드(110)의 타면을 수지 공급부(400)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롤러(220)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 제 2 메쉬망의 내측에 위치한 수지 공급부(400)는 제 2 메쉬망의 내주면에 수지(130)를 공급하고, 제 2 메쉬망의 내측에 도포된 수지(130)는 제 2 날개부의 가압에 의해 소프트 몰드(110)의 상면에 도포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회전메쉬는 제 2 메쉬망의 양 끝단에 구비된 링 형상의 고정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부재는 경질의 재질로 구비되어 제 2 메쉬망이 원통 형상으로 유지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회전메쉬는 이동롤러(220)와 대응되는 소프트 몰드(110)의 일면에 위치되며, 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 회전메쉬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지속적으로 회전되도록 구비되며, 제 2 메쉬망의 내측에 수지 공급부(400)가 구비되어, 제 2 메쉬망의 내측에서 바깥쪽으로 수지(130)를 방출하며 소프트 몰드(110)의 일면에 방출된 수지(130)를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제 2 메쉬망의 내측에서 제 2 메쉬망의 소정 영역을 가압하는 제 2 날개부에 의해 수지 공급부(400)로부터 공급된 수지가 제 2 메쉬망의 바깥쪽으로 방출되어 소프트 몰드(110)의 일면에 도포될 수 있다. 이때, 제 2 날개부가 가압하는 제 2 메쉬망의 소정 영역은 이동롤러(220)와 대응되는 영역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 이동롤러(220)가 소프트 몰드(110)의 타면을 가압함으로써 소프트 몰드(110)가 제 2 메쉬망와 근접할 수 있으며, 제 2 메쉬망의 내측에 구비된 제 2 날개부의 끝단은 이동롤러(220)가 가압한 소프트 몰드(110)위치의 일면에 접하도록 제 2 메쉬망를 내측에서 바깥쪽으로 가압할 수 있다. 회전메쉬가 구비되어 일방향으로 회전메쉬가 지속적으로 회전됨에 따라, 판 형상의 메쉬의 이동에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제 2 메쉬망을 통해 배출되는 수지(130)의 양을 조절할 수 있어 소프트 몰드(110)에 일정 두께로 균일하게 수지(130)가 도포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nstead of the plate making described in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a second mesh network having a lattice shap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soft mold 110, and is rotated about the central axis. A rotating mesh that moves may be provided. In addition, a second wing portion for pressing the soft mold 110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direction so that the soft mold 110 is close to the second mesh network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second mesh network. Here, the second wing portion is configured to play the same role as the wing portion of the third embodiment. In detail,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the second mesh network composed of a cylindrical mesh is provided to be close to one surface of the soft mold 110 ,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soft mold 110 is moved toward the resin supply unit 400 . It is preferable to be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oving roller 220 . In detail, the resin supply unit 400 located inside the second mesh network supplies the resin 130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mesh network, and the resin 130 applied to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mesh network is the second wing portion. It may be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oft mold 110 by pressing. In more detail, the rotating mesh may further include a ring-shaped fixing member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mesh. The fix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hard material and serves to support the second mesh so that it can be rotated while being maintain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rotating mesh is positioned on one surface of the soft mold 110 corresponding to the moving roller 220 and is preferably provided to rotate in one direction. More specifically, the rotating mesh is provided to rotate continuously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a resin supply unit 400 is provided inside the second mesh network, and the resin 130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mesh network. It is preferable to apply the released resin 130 on one surface of the soft mold 110 while releasing the resin. Specifically, the resin supplied from the resin supply unit 40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mesh by the second wing portion pressing a predetermined area of the second mesh from the inside of the second mesh to the soft mold 110 . It can be applied to one side of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predetermined area of the second mesh that the second wing presses is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moving roller 220 . In detail, the moving roller 220 presses the other surface of the soft mold 110 so that the soft mold 110 may come close to the second mesh network, and the end of the second wing part provided inside the second mesh network is moved The second mesh may be pressed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so that the roller 220 is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pressed soft mold 110 position. As the rotating mesh is provided and the rotating mesh is continuously rotated in one direction, the space required for movement of the plate-shaped mesh can be minimized, and the amount of the resin 130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mesh can be adjusted, so that the soft The resin 130 may be uniformly applied to the mold 110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제 5 실시예에 따르면, 소프트 몰드(110)와 수지 공급부(400) 사이에 별도의 도포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포롤러는 수지(130)를 공급받아 회전함으로써 소프트 몰드(110)에 수지(130)를 일정량씩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도포롤러에 구비된 수지(130)는 도포롤러가 회전함으로써 소프트 몰드(110)에 공급될 수 있다. 이때, 도포롤러와 소프트 몰드(110)의 일면은 서로 접하도록 구비되어 도포롤러의 외주면에 공급된 수지(130)가 직접적으로 소프트 몰드(110)에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포롤러에 의해 수지(130)가 도포됨으로써 소프트 몰드(110)의 일면에 수지(130)가 균일하게 도포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a separate application roller may be further included between the soft mold 110 and the resin supply unit 400 . The application roller is configured to continuously supply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resin 130 to the soft mold 110 by receiving the resin 130 and rotating it. The resin 130 provided in the application roller may be supplied to the soft mold 110 by rotating the application roller.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one surface of the application roller and the soft mold 110 are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resin 130 suppli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pplication roller is directly applied to the soft mold 110 . Since the resin 130 is applied by the application roller, the resin 130 may be uniformly applied to one surface of the soft mold 110 .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도면은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는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상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The above-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s and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addi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changes and additions shall be deem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bove claims.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since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it's not going to be

110: 소프트 몰드 120: 잉크
130: 수지
210: 기준롤러 220: 이동롤러
230: 가압롤러
300: 도트 프린터 400: 수지 공급부
500: 경화부
S: 기판
110: soft mold 120: ink
130: resin
210: reference roller 220: moving roller
230: pressure roller
300: dot printer 400: resin supply unit
500: hardening part
S: substrate

Claims (22)

일면에 패턴부(111)가 형성되는 소프트 몰드(110);
상기 소프트 몰드(110)의 상기 패턴부(111)가 형성된 일면에 경화성 잉크(120)를 도포하되, 진행 방향에 따라 도포 밀도를 서로 달리 인쇄하는 도트 프린터(300);
인쇄된 상기 잉크(120)가 기판(S)의 상면에 접하도록 상기 소프트 몰드(110)의 타면을 가압하는 가압롤러(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데이션 효과를 갖는 패턴층 제조 장치.
a soft mold 110 in which a pattern portion 111 is formed on one surface;
a dot printer 300 for applying a curable ink 120 to one surface of the soft mold 110 on which the pattern portion 111 is formed, and printing different application densities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travel;
and a pressure roller (230) for pressing the other surface of the soft mold (110) so that the printed ink (120)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 몰드(110)의 일면에 인쇄된 상기 잉크(120)는 제 1 높이(H1)를 갖고, 상기 기판(S)의 상면에 접하도록 상기 소프트 몰드(110)가 가압됨에 따라 상기 잉크(120)의 높이가 상기 제 1 높이(H1)보다 낮은 제 2 높이(H2)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데이션 효과를 갖는 패턴층 제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ink 120 printed on one surface of the soft mold 110 has a first height H1, and as the soft mold 110 is press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S, the ink 120 ) of the pattern layer manufacturing apparatus having a gradation effect,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is transformed to a second height (H2) lower than the first height (H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 몰드(110)의 일면에 인쇄된 상기 잉크(120)는 제 1 지름(D1)을 갖고, 상기 잉크(120)의 높이가 제 2 높이(H2)로 변형됨에 따라 상기 제 1 지름(D1)이 상기 제 1 지름(D1)보다 큰 제 2 지름(D2)으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데이션 효과를 갖는 패턴층 제조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ink 120 printed on one surface of the soft mold 110 has a first diameter D1, and as the height of the ink 120 is transformed to a second height H2, the first diameter D1 ) is transformed into a second diameter (D2) larger than the first diameter (D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120)는 도트 단위로 복수 회 인쇄되고,
상기 제 1 높이(H1) 및 상기 제 1 지름(D1)을 갖는 상기 잉크(120)가 상기 제 2 높이(H2) 및 상기 제 2 지름(D2)로 변형되어 복수 회 도트 인쇄된 상기 잉크(120) 간의 망점이 제거 또는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데이션 효과를 갖는 패턴층 제조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ink 120 is printed a plurality of times in units of dots,
The ink 120 having the first height H1 and the first diameter D1 is deformed to the second height H2 and the second diameter D2 and dot-printed a plurality of times. ) A pattern layer manufacturing apparatus having a gradation effect, characterized in that the halftone dots are removed or reduc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 몰드(110)와 상기 도트 프린터(30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소프트 몰드(110)의 타면을 가압하여 상기 도트 프린터(300)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롤러(2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데이션 효과를 갖는 패턴층 제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oft mold 110 and the dot printer 300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pressing the other surface of the soft mold 110, the moving roller 220 for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dot printer 300; further includes A pattern layer manufacturing apparatus having a gradation effect, characterized in that.
제 4 항에 있어서,
이동롤러(220)에 의해 상기 소프트 몰드(110)의 타면이 가압됨으로써, 상기 소프트 몰드(110)가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여 기울어지며, 상기 소정의 각도가 형성된 엣지 부분에서 상기 도트 프린터(300)가 상기 잉크(120)를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데이션 효과를 갖는 패턴층 제조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s the other surface of the soft mold 110 is pressed by the moving roller 220, the soft mold 110 is inclined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dot printer 300 is located at the edge portion where the predetermined angle is formed. A pattern layer manufacturing apparatus having a gradation effect, characterized in that printing the ink (1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 몰드(110)의 상기 패턴부(111)가 형성된 일면에 수지(130)를 공급하는 수지 공급부(400)가 더 구비되고,
상기 도트 프린터(300)는 상기 공급된 수지(130)의 일면에 상기 잉크(120)를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데이션 효과를 갖는 패턴층 제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resin supply unit 400 for supplying a resin 130 to one surface on which the pattern unit 111 of the soft mold 110 is formed is further provided,
The dot printer 300 is an apparatus for producing a pattern layer having a gradation effect, characterized in that the ink 120 is printed on one surface of the supplied resin 130 .
그라데이션 효과를 갖는 패턴층 제조 방법에 있어서,
일면에 패턴부(111)가 형성된 소프트 몰드(110)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
도트 프린터(300)를 통해 상기 패턴부(111)가 형성된 상기 소프트 몰드(110)에 경화성 잉크(120)를 진행방향에 따라 도포하되, 도포 밀도를 서로 달리하는 인쇄하는 단계; 및
인쇄된 상기 잉크(120)가 기판(S)의 상면에 접하도록 상기 소프트 몰드(110)를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데이션 효과를 갖는 패턴층 제조 방법.
In the method for producing a pattern layer having a gradation effect,
moving the soft mold 110 in which the pattern part 111 is formed on one surface in one direction;
Applying the curable ink 120 to the soft mold 110 on which the pattern part 111 is formed through the dot printer 300 along the progress direction, and printing with different application densities; and
and pressing the soft mold 110 so that the printed ink 120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S.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된 상기 잉크(120)가 상기 기판(S)의 상면에 접하도록 상기 소프트 몰드(110)를 가압하는 단계 이전의 인쇄된 상기 잉크(120)는 제 1 높이(H1)를 갖고,
상기 인쇄된 상기 잉크(120)가 상기 기판(S)의 상면에 접하도록 상기 소프트 몰드(110)를 가압하는 단계에서,
상기 잉크(120)의 높이가 상기 소프트 몰드(110)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상기 제 1 높이(H1)보다 낮은 제 2 높이(H2)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데이션 효과를 갖는 패턴층 제조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printed ink 120 before the step of pressing the soft mold 110 so that the printed ink 120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S has a first height H1,
In the step of pressing the soft mold 110 so that the printed ink 120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attern layer having a gradation effect, characterized in that the ink 120 is deformed to a second height H2 lower than the first height H1 as the height of the ink 120 is pressed by the soft mold 110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된 상기 잉크(120)가 상기 기판(S)의 상면에 접하도록 상기 소프트 몰드(110)를 가압하는 단계 이전의 상기 잉크(120)는 제 1 지름(D1)을 갖고,
상기 인쇄된 상기 잉크(120)가 상기 기판(S)의 상면에 접하도록 상기 소프트 몰드(110)를 가압하는 단계에서,
상기 잉크(120)가 상기 제 2 높이(H2)로 변형됨에 따라 상기 잉크(120)의 상기 제 1 지름(D1)이 상기 제 1 지름(D1)보다 큰 제 2 지름(D2)으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데이션 효과를 갖는 패턴층 제조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ink 120 before the step of pressing the soft mold 110 so that the printed ink 120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S has a first diameter D1,
In the step of pressing the soft mold 110 so that the printed ink 120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S),
As the ink 120 is deformed to the second height H2, the first diameter D1 of the ink 120 is deformed to a second diameter D2 larger than the first diameter D1. A method for producing a patterned layer having a gradation effect, characterized in that.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도트 프린터(300)를 통해 상기 패턴부(111)가 형성된 상기 소프트 몰드(110)에 경화성 잉크(120)를 진행방향에 따라 도포하되, 도포 밀도를 서로 달리하는 인쇄하는 단계에서 상기 잉크(120)는 도트 단위로 복수 회 인쇄되고,
상기 제 1 지름(D1) 및 상기 제 1 높이(H1)을 갖는 상기 잉크(120)가 상기 제 2 지름(D2) 및 상기 제 2 높이(H2)로 변형됨으로써 복수 회 도트 인쇄된 상기 잉크(120) 간의 망점(122)이 제거 또는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데이션 효과를 갖는 패턴층 제조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In the step of applying the curable ink 120 to the soft mold 110 on which the pattern part 111 is formed through the dot printer 300 in a moving direction, and printing with different application densities, the ink 120 ) is printed multiple times in dot units,
The ink 120 having the first diameter D1 and the first height H1 is deformed to the second diameter D2 and the second height H2, so that the ink 120 is dot-printed a plurality of times. )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attern layer having a gradation effect, characterized in that the halftone dots 122 are removed or reduced.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도트 프린터(300)를 통해 상기 패턴부(111)가 형성된 상기 소프트 몰드(110)에 경화성 잉크(120)를 진행방향에 따라 도포하되, 도포 밀도를 서로 달리하는 인쇄하는 단계에서,
이동롤러(220)를 통해 상기 소프트 몰드(110)와 상기 도트 프린터(30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데이션 효과를 갖는 패턴층 제조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In the printing step of applying the curable ink 120 to the soft mold 110 on which the pattern part 111 is formed through the dot printer 300 in the direction of progress, but with different application densities from each other,
Controlling the distance between the soft mold 110 and the dot printer 300 through the moving roller 220;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attern layer having a gradation effec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도트 프린터(300)를 통해 상기 패턴부(111)가 형성된 상기 소프트 몰드(110)에 경화성 잉크(120)를 진행방향에 따라 도포하되, 도포 밀도를 서로 달리하는 인쇄하는 단계 이전에,
수지 공급부(400)를 통해 상기 소프트 몰드(110)의 상기 패턴부(111)가 형성된 일면에 수지(130)를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공급된 상기 수지(130)의 일면에 상기 잉크(120)가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데이션 효과를 갖는 패턴층 제조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curable ink 120 is applied in the moving direction to the soft mold 110 on which the pattern part 111 is formed through the dot printer 300, but before the printing step with different application densities from each other,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supplying the resin 130 to the one surface on which the pattern part 111 of the soft mold 110 is formed through the resin supply part 400,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attern layer having a gradation effect, characterized in that the ink 120 is printed on one surface of the supplied resin 130 .
제 8 항에 있어서,
인쇄된 상기 잉크(120)가 상기 기판(S)의 상면에 접하도록 가압하는 단계 이후,
상기 기판(S)에 접한 상기 잉크(120)를 경화부(500)를 통해 경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데이션 효과를 갖는 패턴층 제조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After the step of pressing the printed ink 120 to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S),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pattern layer having a gradation effec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curing the ink (120) in contact with the substrate (S) through a curing unit (500).
제 1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도트 프린터(300)는,
상기 패턴부(111)에 상기 잉크(120)를 도트 단위로 공급하되, 진행 방향에 따라 도포 횟수를 달리함으로써 그라데이션을 형성하고, 그라데이션이 형성된 상기 잉크(120)의 일면에 패턴(1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데이션 효과를 갖는 패턴층 제조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1 or 8,
The dot printer 300,
The ink 120 is supplied to the pattern unit 111 in units of dots, and a gradation is formed by varying the number of times of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progress. A pattern layer manufacturing method having a gradation effect, characterized in that it becomes.
일면에 패턴부(111)가 형성되는 몰드(110);
상기 패턴부(111)의 일면 상에서 경화성 잉크(120)를 이동하며 도포하되, 이동 방향에 따라 도포 밀도를 서로 달리 인쇄하는 도트 프린터(300);
인쇄된 상기 잉크(120)가 기판(S)에 접하도록 상기 몰드(110)를 가압하는 가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데이션 효과를 갖는 패턴층 제조 장치.
a mold 110 in which a pattern portion 111 is formed on one surface;
a dot printer 300 that moves and applies the curable ink 120 on one surface of the pattern part 111 and prints different application densities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and a pressing means for pressing the mold 110 so that the printed ink 120 is in contact with the substrate S.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110)의 일면에 인쇄된 상기 잉크(120)는 제 1 높이(H1)를 갖고, 상기 가압 수단에 의해 기판(s)에 가압됨에 따라 상기 잉크(120)의 높이가 상기 제 1 높이(H1)보다 낮은 제 2 높이(H2)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데이션 효과를 갖는 패턴층 제조 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ink 120 printed on one surface of the mold 110 has a first height H1, and as the ink 120 is pressed to the substrate s by the pressing means, the height of the ink 120 increases to the first height. A pattern layer manufacturing apparatus having a gradation effec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formed to a second height (H2) lower than (H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110)의 일면에 인쇄된 상기 잉크(120)는 제 1 지름(D1)을 갖고, 상기 잉크(120)의 높이가 제 2 높이(H2)로 변형됨에 따라 상기 제 1 지름(D1)이 상기 제 1 지름(D1)보다 큰 제 2 지름(D2)으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데이션 효과를 갖는 패턴층 제조 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ink 120 printed on one surface of the mold 110 has a first diameter D1, and as the height of the ink 120 is transformed to a second height H2, the first diameter D1 The pattern layer manufacturing apparatus having a gradation effec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formed to a second diameter (D2) larger than the first diameter (D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120)는 도트 단위로 복수 회 인쇄되고,
상기 제 1 높이(H1) 및 상기 제 1 지름(D1)을 갖는 상기 잉크(120)가 상기 제 2 높이(H2) 및 상기 제 2 지름(D2)로 변형되어 복수 회 도트 인쇄된 상기 잉크(120) 간의 망점이 제거 또는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데이션 효과를 갖는 패턴층 제조 장치.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ink 120 is printed a plurality of times in units of dots,
The ink 120 having the first height H1 and the first diameter D1 is deformed to the second height H2 and the second diameter D2 and dot-printed a plurality of times. ) A pattern layer manufacturing apparatus having a gradation effect, characterized in that the halftone dots are removed or reduced.
그라데이션 효과를 갖는 패턴층 제조 방법에 있어서,
도트 프린터(300)를 통해 몰드(110)에 형성된 패턴부(111)의 일면 상에서 경화성 잉크(120)를 이동하며 도포하되, 도포 밀도를 서로 달리하는 인쇄하는 단계; 및
가압 수단을 통해 인쇄된 상기 잉크(120)가 기판(S)에 접하도록 상기 몰드(110)를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데이션 효과를 갖는 패턴층 제조 방법.
In the method for producing a pattern layer having a gradation effect,
Moving and applying the curable ink 120 on one surface of the pattern portion 111 formed in the mold 110 through the dot printer 300, printing with different application densitie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attern layer having a gradation effect, comprising: pressing the mold 110 so that the printed ink 120 is in contact with the substrate S through a pressing means.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수단을 통해 인쇄된 상기 잉크(120)가 기판(S)에 접하도록 상기 몰드(110)를 가압하는 단계 이전의 인쇄된 상기 잉크(120)는 제 1 높이(H1) 및 제 1 지름(D1)을 갖고,
상기 가압 수단을 통해 인쇄된 상기 잉크(120)가 기판(S)에 접하도록 상기 몰드(110)를 가압하는 단계에서,
상기 잉크(120)는 상기 몰드(110)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상기 제 1 높이(H1)보다 낮은 제 2 높이(H2) 및 상기 제 1 지름(D1)보다 큰 제 2 지름(D2)으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데이션 효과를 갖는 패턴층 제조 방법.
21. The method of claim 20,
The printed ink 120 before the step of pressing the mold 110 so that the printed ink 120 is in contact with the substrate S through the pressing means has a first height H1 and a first diameter ( D1),
In the step of pressing the mold 110 so that the ink 120 printed through the pressing means is in contact with the substrate S,
The ink 120 is deformed to a second height H2 lower than the first height H1 and a second diameter D2 larger than the first diameter D1 as the ink 120 is pressed by the mold 110 A method for producing a patterned layer having a gradation effect, characterized in that.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트 프린터(300)를 통해 몰드(100)에 형성된 패턴부(111)의 일면 상에서 경화성 잉크(120)를 이동하며 도포하되, 도포 밀도를 서로 달리하는 인쇄하는 단계에서 상기 잉크(120)는 도트 단위로 복수 회 인쇄되고,
상기 제 1 지름(D1) 및 상기 제 1 높이(H1)을 갖는 상기 잉크(120)가 상기 제 2 지름(D2) 및 상기 제 2 높이(H2)로 변형됨으로써 복수 회 도트 인쇄된 상기 잉크(120) 간의 망점(122)이 제거 또는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데이션 효과를 갖는 패턴층 제조 방법.
22. The method of claim 21,
The curable ink 120 is moved and applied on one surface of the pattern part 111 formed in the mold 100 through the dot printer 300, but in the step of printing with different application densities, the ink 120 is a dot printed multiple times as a unit,
The ink 120 having the first diameter D1 and the first height H1 is deformed to the second diameter D2 and the second height H2, so that the ink 120 is dot-printed a plurality of times. )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attern layer having a gradation effect, characterized in that the halftone dots 122 are removed or reduced.
KR1020210095140A 2018-11-23 2021-07-20 Pattern layer manufacturing device with gradaition effect and pattern layer manufacturing method with gradaition effect KR2021009322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5140A KR20210093226A (en) 2018-11-23 2021-07-20 Pattern layer manufacturing device with gradaition effect and pattern layer manufacturing method with gradaition effe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46786 2018-11-23
KR1020180158658A KR102360816B1 (en) 2018-11-23 2018-12-10 Pattern layer manufacturing device with gradaition effect and pattern layer manufacturing method with gradaition effect
KR1020210095140A KR20210093226A (en) 2018-11-23 2021-07-20 Pattern layer manufacturing device with gradaition effect and pattern layer manufacturing method with gradaition effect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8658A Division KR102360816B1 (en) 2018-11-23 2018-12-10 Pattern layer manufacturing device with gradaition effect and pattern layer manufacturing method with gradaition effec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3226A true KR20210093226A (en) 2021-07-27

Family

ID=71090921

Famil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4026A KR20200061268A (en) 2018-11-23 2018-12-03 Imprinting machine and imprinting method
KR1020180155571A KR20200061269A (en) 2018-11-23 2018-12-05 Pattern layer manufacturing device with gradaition effect and pattern layer manufacturing method with gradaition effect
KR1020180158657A KR102360807B1 (en) 2018-11-23 2018-12-10 Imprinting machine and imprinting method
KR1020180158658A KR102360816B1 (en) 2018-11-23 2018-12-10 Pattern layer manufacturing device with gradaition effect and pattern layer manufacturing method with gradaition effect
KR1020210095115A KR20210093224A (en) 2018-11-23 2021-07-20 Imprinting machine and imprinting method
KR1020210095140A KR20210093226A (en) 2018-11-23 2021-07-20 Pattern layer manufacturing device with gradaition effect and pattern layer manufacturing method with gradaition effect

Family Applications Before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4026A KR20200061268A (en) 2018-11-23 2018-12-03 Imprinting machine and imprinting method
KR1020180155571A KR20200061269A (en) 2018-11-23 2018-12-05 Pattern layer manufacturing device with gradaition effect and pattern layer manufacturing method with gradaition effect
KR1020180158657A KR102360807B1 (en) 2018-11-23 2018-12-10 Imprinting machine and imprinting method
KR1020180158658A KR102360816B1 (en) 2018-11-23 2018-12-10 Pattern layer manufacturing device with gradaition effect and pattern layer manufacturing method with gradaition effect
KR1020210095115A KR20210093224A (en) 2018-11-23 2021-07-20 Imprinting machine and imprinting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6) KR20200061268A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995B1 (en) 2000-07-07 2008-04-14 엔이씨 엘씨디 테크놀로지스, 엘티디. Light conducting plate unit and back lighting device
KR101219040B1 (en) 2005-07-26 2013-01-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of liquid crystal display
KR101847100B1 (en) 2017-01-02 2018-04-09 박승환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transparent light emitting apparatus using an imprinting technique and manufactur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6586A (en) * 2001-08-24 2003-03-05 Tsuchiya Co Ltd Sheet having dot pattern and method of forming dot pattern
KR20080037812A (en) * 2006-10-27 2008-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of manufacturing light pl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860476B1 (en) * 2007-07-04 2008-09-26 코닉시스템 주식회사 Dual dispensing method of resin for imprinting
KR100957626B1 (en) * 2008-03-17 2010-05-13 황춘섭 Producing method of electrode
KR102279275B1 (en) * 2014-11-24 2021-07-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Patterns Using the Same
TW201718228A (en) * 2015-09-17 2017-06-01 Soken Chemical & Engineering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mold for imprinting
KR101695389B1 (en) * 2015-09-18 2017-01-12 (주) 나인테크 The imprinting apparatus
KR101951997B1 (en) * 2016-11-09 2019-02-25 한국광기술원 Method for manufacturing large-size micro lens arra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995B1 (en) 2000-07-07 2008-04-14 엔이씨 엘씨디 테크놀로지스, 엘티디. Light conducting plate unit and back lighting device
KR101219040B1 (en) 2005-07-26 2013-01-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of liquid crystal display
KR101847100B1 (en) 2017-01-02 2018-04-09 박승환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transparent light emitting apparatus using an imprinting technique and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270A (en) 2020-06-02
KR20200061268A (en) 2020-06-02
KR102360816B1 (en) 2022-02-09
KR20200061269A (en) 2020-06-02
KR20200061271A (en) 2020-06-02
KR20210093224A (en) 2021-07-27
KR102360807B1 (en) 2022-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03012B2 (en) Methods for applying foil, application equipment and printing equipment
US11161367B2 (en)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products having a surface provided with embossments, and products obtained thereby
CN104707756B (en) Coating apparatus and coating method
CN106687269A (en) Finishing system for 3d printed components
JP6472261B2 (en) Printing apparatus and printing method
KR102360816B1 (en) Pattern layer manufacturing device with gradaition effect and pattern layer manufacturing method with gradaition effect
KR102064353B1 (en) Manufacturing apparatus of floor decoration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3103674A (en) Embossed sheet,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embossed sheet manufacturing apparatus
KR102223213B1 (en) Braille print manufacturing method
KR20170069659A (en) Manufacturing apparatus of floor decoration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WI586554B (en) Blanket, printing device, printing method, and blanket manufacturing method
JP2017007330A (en) Intermediate transfer body, method for producing intermediate transfer body, and image forming method
JPH04219168A (en) Device for producing film having rugged surface
EP3867073B1 (en) A method and machine for the digital printing of glass
JP2011020410A (en) Printing plate, method for manufacturing printing plate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rinting plate
JP6483462B2 (en) Printing method and printing apparatus
JP2007092196A (en) Mold release paper for embossing
JPH0299168A (en) Method for molding decorative film and stamping apparatus
JP2020054950A (en) Inkjet printed matte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KR20180012022A (en) Method for forming printed pattern
JP2005296418A (en) Part for game machi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998905B2 (en) Transfer foi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H05238196A (en) Shaped sheet and production thereof
TW201604031A (en) Digital inkjet printing method capable of imparting transparent color to UV-curable transparent ink
KR20100036767A (en) Making apparatus of arbitrary side shape of t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