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3035A - 확장 받침대를 구비한 벌통 - Google Patents

확장 받침대를 구비한 벌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3035A
KR20210093035A KR1020200006724A KR20200006724A KR20210093035A KR 20210093035 A KR20210093035 A KR 20210093035A KR 1020200006724 A KR1020200006724 A KR 1020200006724A KR 20200006724 A KR20200006724 A KR 20200006724A KR 20210093035 A KR20210093035 A KR 202100930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beehive
extension
main body
ent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6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일
Original Assignee
김용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일 filed Critical 김용일
Priority to KR1020200006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3035A/ko
Publication of KR20210093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3035A/ko
Priority to KR1020220004390A priority patent/KR102373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2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frames for honeycomb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7/00Appliances for providing, preventing or catching swarms; Drone-catch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는 확장 받침대를 구비한 벌통은 벌통본체와, 상기 벌통본체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벌통본체의 전방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확장 받침대를 포함하며; 상기 확장 받침대에는 벌통본체의 전방에 형성된 본체출입구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어 받침대출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받침대를 구비한 벌통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확장 받침대를 구비한 벌통{Beehive With An Extension Support Plate}
본 발명은 벌통에 관한 것으로, 분봉 시 벌의 유실을 방지하고, 도봉을 방지할 수 있는 용도로 용이하게 변환 가능한 확장 받침대를 구비한 벌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벌통은 여왕벌이 산란하며 애벌레나 일벌 및 여왕벌의 영양분을 공급하는 꿀을 저장하는 기구로, 도 1은 종래의 벌통을 일예이다. 도 1에서 도면부호 1은 본체출입구, 2는 본체, 3은 걸림턱, 4는 소비, 5는 통풍공, 6은 덮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벌통은 일벌들이 출입을 할 수 있는 본체출입구(1)가 본체(2)의 하부 일측으로 형성되며 본체(2)의 상단에는 걸림턱(3)이 형성된다. 소비(4)는 본체(2)의 걸림턱(3)에 걸쳐진 상태에서 본체(2) 내에 내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덮개(6)는 본체(2)의 상단을 덮는 크기로 본체(2)의 상단을 덮어 구비되며 양측에 통풍공(5)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2)는 측판과 하부의 바닥판으로 이루어져 상향 개구되며, 상부에 구비되는 덮개(6)와 함께 내측에 공간을 형성한다. 도 1에서 도면부호 11은 본체출입구(1)의 전방으로 연장된 발판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발판(11)은 바닥판이 전방의 측판을 지나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분봉할 때 꿀벌들이 기존의 벌통에서 나와 배회하다가 인근 나무 등에 붙거나 때때로 멀리 날아가 버려 적시에 발견하지 않으면 잃어버릴 수 있게 때문에 분봉 시기에는 분봉 시간을 정확히 감시하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에 벌통을 감시하는 인력이 많이 소요되거나, 벌통 출입구에 망을 씌우는 방법에 의하여 분봉하는 벌들은 잡는 등 분봉에 대응하는 방법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으며, 도봉하는 벌들이나 말벌이 벌통으로 본체출입구를 통하여 침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고번호 실1984-0000427 실용신안공보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10-2014-0047755호 공개특허공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확장된 받침대를 가져 분봉 시기에는 분봉틀을 설치하여 용이하게 분봉하는 벌들이 포획되고, 도봉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보온 기능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는 확장 받침대를 구비한 벌통은 벌통본체와, 상기 벌통본체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벌통본체의 전방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확장 받침대를 포함하며; 상기 확장 받침대에는 벌통본체의 전방에 형성된 본체출입구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어 받침대출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받침대를 구비한 벌통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확장 받침대는 후방 단부가 본체출입구가 형성된 쪽으로 벌통본체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벌통본체는 하향 개구된 형태로, 벌통본체가 확장 받침대의 후방 상부에 구비되며, 확장 받침대는 후방 일부가 벌통본체의 바닥부를 형성하고 벌통본체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본체출입구와 받침대출입구 사이의 확장 받침대의 오목한 부분을 덮어, 그 하부로 본체출입구와 받침대출입구를 연통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본체출입구와 받침대출입구 사이의 확장 받침대의 오목한 부분을 덮는 분봉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본봉틀은 하향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받침대출입구는 확장 받침대에 구비된 판상의 받침대출입부재와 확장 받침대의 받침바닥판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받침대출입부재에는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받침대출입구를 개폐하는 보조출입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보조출입부재에는 전후방으로 관통되며 일벌은 출입 가능하고 여왕벌은 출입할 수 없는 크기의 보조출입공이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보조출입부재를 하강시키면 보조출입공과 받침대출입공이 오버랩되어, 여왕벌은 출입 가능하지 않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분봉틀의 측면은 여왕벌이 출입할 수 없는 크기의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분봉틀망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분봉틀에는 분봉틀망체의 상부로 외부와 시각적으로 차단된 하향 개구된 공간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덮개로 덮인 오목부에는 본체출입구와 받침대출입구 사이에 미로를 형성하는 미로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확장 받침대를 구비한 벌통은 확장된 받침대를 가져 보온성을 높이며, 도봉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분봉 시기에 분봉틀을 설치하여 분봉하는 벌들을 용이하게 포획하여 벌 손실 없이 벌들을 분봉을 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벌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확장 받침대를 구비한 벌통과 덮개 및 분봉틀을 함께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확장 받침대를 구비한 벌통의 사용 예로서 도시한 덮개를 제외한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확장 받침대를 구비한 벌통에 분봉틀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확장 받침대를 구비한 벌통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확장 받침대를 구비한 벌통과 덮개 및 분봉틀을 함께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확장 받침대를 구비한 벌통의 사용 예로서 도시한 덮개를 제외한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확장 받침대를 구비한 벌통에 분봉틀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에서, 도 2의 "A"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B" 방향을 폭 방향으로, "C"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하며, 도 2에서 벌통본체(110)로부터 확장 받침대(120)가 연장되는 방향을 "전방"으로 하고, 그 반대 방향을 "후방"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확장 받침대를 구비한 벌통(100)은 벌통본체(110)와 확장 받침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벌통본체(110)는 중공체로 구비된다. 상기 벌통본체(110)는 직육면체 형태의 중공체로 형성된다.
상기 확장 받침대(120)는 벌통본체(110)의 전방으로 돌출 구비된다. 상기 확장 받침대(120)는 받침대프레임(121)과 받침바닥판(1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대프레임(121)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태이며, 벌통본체(110)의 전방으로 구비된다. 상기 받침대프레임(121)은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된다. 상기 받침대프레임(121)에는 제3 삽입부(121-5)와, 제1 삽입부(121-1)와, 제2 삽입부(121-3)가 형성된다.
상기 제3 삽입부(121-5)는 상기 받침대프레임(121)의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내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슬릿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3 삽입부(121-5)에는 판상이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받침바닥판(123)이 슬라이딩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받침대바닥판(123)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제3 삽입부(121-5)로 삽입 설치된다. 상기 받침바닥판(123)은 받침대프레임(121)에 구비되어 하면을 형성한다.
상기 제1 삽입부(121-1)는 벌통본체(110)의 전방으로 벌통본체(110)의 전면 패널에 접하여 형성된다. 상기 받침대프레임(121)의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내면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슬릿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삽입부(121-1)에는 판상인 본체출입부재(113)가 슬라이딩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본체출입부재(113)는 판상이며, 하단부 일부가 제거되어 전후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본체출입부재(113)가 상기 제1 삽입부(121-1)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상기 받침바닥판(123)과 본체출입부재(113) 사이로 본체출입구(113-1)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출입부재(113)를 구비하지 않고, 벌통본체(110)의 전면 패널의 하단부 일부가 제거되어 전면 패널과 받침바닥판(123) 사이에 본체출입구(113-1)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삽입부(121-3)는 상기 제1 삽입부(121-1)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 삽입부(121-3)는 상기 받침대프레임(121)의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내면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슬릿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삽입부(121-1)에는 판상인 받침대출입부재(127)가 슬라이딩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받침대출입부재(127)는 판상이며, 하단부 일부가 제거되어 전후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받침대출입부재(127)가 상기 제2 삽입부(121-3)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상기 받침바닥판(123)과 받침대출입부재(127) 사이로 받침대출입구(127-1)가 형성된다.
상기 받침대출입부재(127)에는 안내부재(128)와, 상기 받침대출입구(127-1)를 개폐하는 보조출입부재(129)가 더 구비된다.
상기 안내부재(128)는 상기 받침대출입구(127-1)의 폭 방향 양측에 구비된다. 상기 안내부재(128)는 상기 받침대출입부재(127)의 전방으로 구비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안내부재(128)는 받침대출입부재(127)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단부가 폭 방향 내측으로 절곡되어 단부가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보조출입부재(129)는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보조출입부재(129)는 상기 받침대출입부재(127)와 안내부재(128) 사이에 형성된 틈새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보조출입부재(129)는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받침대출입구(127-1)를 개폐한다.
상기 보조출입부재(129)에는 전후방으로 관통되며 일벌은 출입 가능하고 여왕벌은 출입할 수 없는 크기의 보조출입공(129-1)이 하나 이상 형성된다. 상기 보조출입부재(129)를 하강시키면 상기 보조출입공(129-1)과 받침대출입공(127-1)이 오버랩되어, 일벌은 출입 가능하나 여왕벌은 출입 가능하지 않게 된다.
상기 벌통본체(110)에는 상기 본체출입구(113-1)의 하부에 폭 방향으로 연장되며 전방으로 돌출된 발판(11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판(111)이 더 구비된 경우, 상기 받침대프레임(121)의 후방 단부에는 오목한 받침대결합부(121a-1)가 형성된다. 상기 받침대프레임(121)은 상기 받침대결합부(121a-1)에 상기 발판(111)이 삽입되며 설치된다.
상기 벌통본체(110)는 하향 개구된 중공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벌통본체(110)가 하향 개구된 형태로 구비된 경우, 상기 확장 받침대(120)는 후방으로 확장된 형태로 형성되어 벌통본체(110)의 바닥부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벌통본체(110)의 바닥부를 이루는 확장 받침대(120)는 후방에서 폭 방향으로 연장된 후방프레임(121b)이 구비되며, 후방프레임(121b)의 폭 방향 양측 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측방프레임(121a)으로 이루어져 'ㄷ'자 형태를 형성하는 받침대프레임(121)과, 받침대프레임(121)에 구비되어 하면을 형성하는 판상의 받침바닥판(1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향 개구된 벌통본체(110)는 후방의 받침대프레임(121)에 올려놓아 설치되며, 상기 받침대프레임(121)과 받침바닥판(123)의 후방 부분은 벌통본체(110)의 바닥부를 형성한다.
상기 제3 삽입부(121-5)는 벌통본체(110)가 올려진 후방의 받침대프레임(121)까지 연장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바닥판(123)은 전방에서 제3 삽입부(121-5)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받침대프레임(121)에는 받침대바닥판(123)의 하부로 받침망체(12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받침망체(126)를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받침대바닥판(123)을 빼면 받침망체(126)만 남게 되어 벌통본체(110)의 하부로 통풍이 잘된다. 따라서 여름에는 받침대바닥판(123)을 빼주어 벌통본체(110)의 내부가 통풍이 잘 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벌통본체(110)의 전방으로 위치하는 확장 받침대(120)에는 상기와 같은 제1 삽입부(121-1)가 삽입되어 본체출입부재(113)가 결합되고, 제2 삽입부(121-3)가 형성되어 받침대출입부재(127)가 결합되어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벌통(100)에는 상기 벌통본체(110)의 전방으로 확장 받침대(120)의 상부로 덮개(1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덮개(130)는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덮개(130)는 상기 본체출입구(113-1)와 받침대출입구(127-1) 사이의 확장 받침대(120)의 오목한 부분을 덮도록 구비된다. 상기 덮개(130)가 상기 확장 받침대(120)의 오목한 부분을 덮으면, 그 하부로 본체출입구(113-1)와 받침대출입구(127-1)를 연통하는 통로가 형성된다.
상기 벌통본체(110)의 전방으로 형성된 오목부에 구비된 덮개(130)는 동절기에 본체출입구(113-1)가 직접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벌통본체(110) 내의 보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130)로 덮인 오목부에는 본체출입구(113-1)와 받침대출입구(127-1) 사이에 미로(153)를 형성하는 미로부(1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미로(153)는 복수의 미로부재(151)에 의하여 형성된다.
상기 미로부재(151)는 폭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태로 구비된다. 복수의 미로부재(151)는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서로 엇갈리도록 구비된다. 상기 미로부재(151)의 상단은 상기 받침대프레임(121)의 상단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한다. 따라서 미로부재(151)와 받침대프레임(121)의 상부로 덮개(130)가 덮여짐으로써 받침대프레임(121)의 내부에는 미로(153)가 형성된다.
상기 벌통본체(110)의 본체출입구(113-1) 전방으로 미로(153)가 형성됨으로써 받침대출입부(127-1)를 통해 다른 벌들이 유입되는 경우 미로(153)에서 효율적으로 공격이 가능하며, 다른 벌들의 도봉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벌통본체(110)의 전방으로 확장 받침대(120)의 상부에는 분봉틀(14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봉틀(140)은 하향 개구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분봉틀(140)은 상기 본체출입구(113-1)가 형성된 본체출입부재(113)와 받침대출입구(127-1)가 형성된 받침대출입부재(127) 사이의 확장 받침대(120)의 오목한 부분을 덮도록 구비된다. 상기 본체출입부재(113)와 받침대출입부재(127)는 분봉틀(140)의 측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분봉틀(140)은 분봉틀프레임(141)과, 분봉틀망체(145)와, 분봉틀패널(143)로 이루어진다.
상기 분봉틀프레임(141)은 복수의 막대로 이루어져, 직육면체 형태인 프레임이 형성된다. 상기 분봉틀프레임(141)으로 형성된 분봉틀(140)의 측면에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분봉틀망체(145)가 감싸져 구비된다. 상기 분봉틀망체(145)에 형성된 통공의 크기는 여왕벌이 출입할 수 없는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분봉틀프레임(141)의 상부에는 하향 개구된 중공체인 분봉틀패널(143)이 구비된다. 상기 분봉틀패널(143)은 상기 분봉틀망체(145)의 상부로 구비된다. 상기 분봉틀패널(143)의 내부에는 외부와 시각적으로 차단되며 하향 개구된 공간(S)이 형성된다.
상기 분봉틀(140)은 벌의 분봉 시기에 설치된다. 상기 분봉틀(140) 설치시 받침대출입공(127-1)에 설치되는 보조출입부재(129)를 하강시켜 보조출입공(129-1)을 통해 일벌은 출입 가능하나 여왕벌은 출입 가능하지 않게 한다.
상기 벌통본체(110)로부터 나온 여왕벌은 외부와 시각적으로 차단된 분봉틀패널(143)의 공간(S)에서 안정감을 얻게 되어 상기 공간(S)에 자리를 잡게 된다. 그리고 여왕벌을 따라나온 일벌도 분봉틀(140)로 이동하여 상기 공간(S)에 자리 잡게 된다. 양봉업자는 분봉틀(140)의 측면에 설치된 분봉틀망체(145)를 통해 분봉이 이루어진 정도를 가늠할 수 있다.
따라서, 분봉 시기에 양봉업자가 여왕벌이 벌통본체(110)로부터 나오는 것을 계속 지켜보고 있지 않아도 되며, 직접 여왕벌을 잡아 분봉시키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이 있다.
100: 확장 받침대를 구비한 벌통
110: 벌통본체 113: 본체출입부재
113-1: 본체출입부 120: 확장 받침대
121: 받침대프레임 121-1: 제1 삽입부
121-3: 제2 삽입부 121-5; 제3 삽입부
123: 받침바닥판 126: 받침망체
127: 받침대출입부재 127-1: 받침대출입부
128: 안내부재 129: 보조출입부재
129-1: 보조출입공 130: 덮개
140: 분봉틀 141: 분봉틀프레임
143: 분봉틀패널 145: 본봉틀망체

Claims (8)

  1. 벌통본체(110)와, 상기 벌통본체(110)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벌통본체(110)의 전방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확장 받침대(120)를 포함하며; 상기 확장 받침대(120)에는 벌통본체(110)의 전방에 형성된 본체출입구(113-1)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어 받침대출입구(127-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받침대를 구비한 벌통(100).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받침대(120)는 후방 단부가 본체출입구(113-1)가 형성된 쪽으로 벌통본체(110)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받침대를 구비한 벌통(100).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벌통본체(110)는 하향 개구된 형태로, 벌통본체(110)가 확장 받침대(120)의 후방 상부에 구비되며, 확장 받침대(120)는 후방 일부가 벌통본체(110)의 바닥부를 형성하고 벌통본체(11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받침대를 구비한 벌통(100).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출입구(113-1)와 받침대출입구(127-1) 사이의 확장 받침대(120)의 오목한 부분을 덮어, 그 하부로 본체출입구(113-1)와 받침대출입구(127-1)를 연통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덮개(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받침대를 구비한 벌통.
  5.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출입구(113-1)와 받침대출입구(127-1) 사이의 확장 받침대(120)의 오목한 부분을 덮는 분봉틀(14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본봉틀(140)은 하향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받침대출입구(127-1)는 확장 받침대(120)에 구비된 판상의 받침대출입부재(127)와 확장 받침대(120)의 받침바닥판(123)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받침대출입부재(127)에는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받침대출입구(127-1)를 개폐하는 보조출입부재(129)가 구비되고, 상기 보조출입부재(129)에는 전후방으로 관통되며 일벌은 출입 가능하고 여왕벌은 출입할 수 없는 크기의 보조출입공(129-1)이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보조출입부재(129)를 하강시키면 보조출입공(129-1)과 받침대출입공(127-1)이 오버랩되어, 여왕벌은 출입 가능하지 않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받침대를 구비한 벌통(100).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분봉틀(140)의 측면은 여왕벌이 출입할 수 없는 크기의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분봉틀망체(145)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받침대를 구비한 벌통(100).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분봉틀(140)에는 분봉틀망체(145)의 상부로 외부와 시각적으로 차단된 하향 개구된 공간(S)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받침대를 구비한 벌통(100).
  8.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130)로 덮인 오목부에는 본체출입구(113-1)와 받침대출입구(127-1) 사이에 미로(153)를 형성하는 미로부(15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받침대를 구비한 벌통(100).
KR1020200006724A 2020-01-17 2020-01-17 확장 받침대를 구비한 벌통 KR2021009303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6724A KR20210093035A (ko) 2020-01-17 2020-01-17 확장 받침대를 구비한 벌통
KR1020220004390A KR102373654B1 (ko) 2020-01-17 2022-01-12 확장 받침대를 구비한 벌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6724A KR20210093035A (ko) 2020-01-17 2020-01-17 확장 받침대를 구비한 벌통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4390A Division KR102373654B1 (ko) 2020-01-17 2022-01-12 확장 받침대를 구비한 벌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3035A true KR20210093035A (ko) 2021-07-27

Family

ID=7712545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6724A KR20210093035A (ko) 2020-01-17 2020-01-17 확장 받침대를 구비한 벌통
KR1020220004390A KR102373654B1 (ko) 2020-01-17 2022-01-12 확장 받침대를 구비한 벌통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4390A KR102373654B1 (ko) 2020-01-17 2022-01-12 확장 받침대를 구비한 벌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1009303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0427A (ko) 1981-06-18 1984-02-22 죤 엘머 마우러 리본 절단 방법 및 장치
KR20140047755A (ko) 2012-10-12 2014-04-23 노태원 분봉열 억제가 가능한 소상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1254Y1 (ko) * 2001-07-27 2001-11-22 장봉환 환기창 겸용 분봉방지기
KR200478892Y1 (ko) * 2014-08-08 2015-11-26 이천호 벌통용 꿀벌보호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0427A (ko) 1981-06-18 1984-02-22 죤 엘머 마우러 리본 절단 방법 및 장치
KR20140047755A (ko) 2012-10-12 2014-04-23 노태원 분봉열 억제가 가능한 소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0762A (ko) 2022-01-26
KR102373654B1 (ko) 2022-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94026A (en) Beehive
CA1055313A (en) Bee hive
KR101068412B1 (ko) 꿀벌보호장치
US20110306272A1 (en) Bottom board for a beehive
KR101259018B1 (ko) 1군으로 2왕벌을 키우는 벌통
US20160227745A1 (en) Beehive system
US6450858B1 (en) Beehive movable top entrance
KR102373654B1 (ko) 확장 받침대를 구비한 벌통
KR100388837B1 (ko) 토종벌통 및 토종벌통을 이용한 침입 벌 퇴치 및 토종벌인공분봉방법
KR200491209Y1 (ko) 양봉 및 토봉 겸용 보온성 호환벌통
KR101934779B1 (ko) 토종벌통의 토종벌 출입문
JP4191367B2 (ja) 養蜂用の巣箱
KR200495848Y1 (ko) 장착 방향에 따라 벌통의 출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는 양봉용 소문
US4267612A (en) Beehives
KR20110015488A (ko) 이중바닥 벌통
US11547096B2 (en) Insertable beehive entrance device
CN105900862B (zh) 卧放式树干蜜蜂蜂箱
HU223065B1 (hu) Kaptár és eljárás kaptárak és méhek atkamentesítésére
RU2156570C2 (ru) Секционный улей пчеловода-любителя
WO2008087398A1 (en) Apparatus for a hive
GB2094608A (en) Improved pollen trap
GB2586263A (en) Beehive entrance apparatus
CA1185122A (en) Apparatus for collecting and distributing pollen
KR20210091418A (ko) 토종벌 보호를 위한 양봉 포획 장치
KR200282594Y1 (ko) 벌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