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2788A - 분배기를 위한 교환 가능 음료 배출구 및 도관 - Google Patents

분배기를 위한 교환 가능 음료 배출구 및 도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2788A
KR20210092788A KR1020217018494A KR20217018494A KR20210092788A KR 20210092788 A KR20210092788 A KR 20210092788A KR 1020217018494 A KR1020217018494 A KR 1020217018494A KR 20217018494 A KR20217018494 A KR 20217018494A KR 20210092788 A KR20210092788 A KR 20210092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it
container
beverage
gas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8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이클 라이더
오토 디런츠
앤드류 에스. 스위지
Original Assignee
코라빈,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라빈, 인크. filed Critical 코라빈, 인크.
Publication of KR20210092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27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4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 B67D1/0412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the whole dispensing unit being fixed to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38Details of the container body
    • B65D83/382Details of the container body with closures that must be perfo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44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Regul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60Contents and propellant separated
    • B65D83/66Contents and propellant separated first separated, but finally mixed, e.g. in a dispensing head
    • B65D83/663Contents and propellant separated first separated, but finally mixed, e.g. in a dispensing head at least a portion of the propellant being separated from the product and incrementally released by means of a pressure regulat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컨테이너-장착형 음료 분배기(1)이며: 분배기를 음료 컨테이너 상에서 지지하기 위해서, 음료 컨테이너(700)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본체(3); 음료를 유지하는 컨테이너 내로 가스를 전달하기 위해서 그리고 컨테이너로부터 음료를 수용하여 음료를 컨테이너의 외부로 전달하기 위해서, 본체(3)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관(200); 음료를 수용하고 음료를 사용자의 컵에 분배하기 위해서, 본체(3)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고 적어도 하나의 도관(200)에 유체적으로 커플링되는 분배 배출구(38); 적어도 하나의 도관을 통한 컨테이너 내로의 가스 유동 또는 컨테이너 외측으로의 음료 유동을 제어하기 위해 본체(3)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밸브(36); 및 적어도 하나의 도관에 유체적으로 커플링된 가압 가스의 공급원(10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분배기를 위한 교환 가능 음료 배출구 및 도관
관련 출원
본원은, 35 U.S.C. § 119(e) 하에서, 전체가 본원에서 참조로 포함되는, 2018년 11월 21일자로 출원된 "REPLACEABLE BEVERAGE OUTLET AND CONDUIT FOR DISPENSER"라는 명칭의 미국 가출원 제62/770320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컨테이너 내로부터 유체를 분배하거나 달리 추출하는 것, 예를 들어 와인 병으로부터 와인을 분배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컨테이너에 클램핑되도록 배열된 장치를 포함하는 음료 분배기가 미국 특허 제9,010,588호 및 제7,712,637호에서 설명되어 있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하나 이상의 실시예는 사용자가, 코르크, 플러그, 탄성중합체 격막 또는 다른 폐쇄부에 의해서 밀봉된 병 내로부터 와인과 같은 음료를, 폐쇄부를 제거하지 않고, 회수하거나 달리 추출할 수 있게 한다. 일부 경우에, 병에 대한 밀봉을 유지하기 위해서 각각의 음료 추출 중에 그리고 추출 후에 폐쇄부가 제 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으면서, 그러한 병으로부터 액체를 제거하는 것이 한 차례 이상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음료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거나 거의 미치지 않으면서, 음료가 병으로부터 다수의 횟수로 분배될 수 있고 각각의 추출 사이에서 긴 기간 동안 저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음료와 반응하는 공기와 같은 가스가, 병으로부터의 음료의 추출 중에 또는 그 이후에, 병 내로 도입되지 않거나 거의 도입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코르크를 제거하거나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그리고 공기 또는 다른 잠재적으로 유해한 가스 또는 액체가 병 내로 진입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으면서, 와인을 와인 병으로부터 회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음료-접촉 구성요소가 분배 동작들 사이에서 교환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교차-오염을 방지하게 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그에 따라 분배된 음료는, 이전에 분배된 음료에 의해서 부정적으로 영향을 받은 맛 또는 외관을 가지지 않는다. 음료 접촉 구성요소의 교환은 또한 사용자가, 막힌 분배 부분, 마모되거나 파괴된 바늘 등과 같은, 다른 문제를 회피하게 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분배기는 특정 유형의 음료와 함께 사용되도록 지정된 분배 구성요소를 가질 수 있고, 사용자는 분배되는 음료의 유형에 따라 구성요소를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료 분배 장치는, 음료 컨테이너로부터 압력 하에서 음료의 유동을 수용하도록 그리고 장치의 분배 배출구에서 음료를 분배하도록 배열된 바늘을 갖춘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늘은, 와인 병과 같은 컨테이너로부터 음료를 압력 하에서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내강 또는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바늘 및 분배 배출구 모두가 교환될 수 있고, 그에 의해서 분배 중에 음료와 접촉되는 분배기의 모든 부분을 교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컨테이너-장착형 음료 분배기는 분배기를 음료 컨테이너 상에서 지지하기 위해서 음료 컨테이너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본체, 및 음료를 유지하는 컨테이너 내로 가스를 전달하기 위해서 그리고 음료를 컨테이너로부터 수용하여 음료를 컨테이너의 외부로 전달하기 위해서 본체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관을 포함한다. 분배 배출구가, 음료를 수용하고 음료를 사용자의 컵에 분배하기 위해서, 본체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고 적어도 하나의 도관에 유체적으로 커플링된다. 적어도 하나의 밸브가 본체에 부착되어, 적어도 하나의 도관을 통해서, 컨테이너 내로의 가스 유동 또는 컨테이너의 외부로의 음료 유동을 제어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음료의 분배를 제어할 수 있고, 가압 가스의 공급원이 적어도 하나의 도관에 유체적으로 커플링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도관 및 분배 배출구는, 분배 중에 음료와 접촉되는 분배기의 유일한 부분이다. 결과적으로, 음료와 접촉되는 분배기의 모든 부분이 교환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음료-접촉 부분이 단일 부품으로서 배열될 수 있거나, 다른 경우에, 둘 이상의 부품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도관은 가스를 컨테이너 내로 전달하고 음료를 컨테이너로부터 수용하기 위한 단일 도관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밸브는 단일 도관 내로의 가스 유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가스 밸브를 포함한다. 단일 도관은 바늘의 원위 단부를 컨테이너의 내측부 공간 내에 배치하기 위해서 컨테이너의 개구부 내의 코르크를 통해서 삽입되도록 배열되는 바늘의 부분이고, 바늘은, 단일 도관과의 유체 연통을 제공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가스를 컨테이너 내로 전달하고 음료를 컨테이너로부터 수용하기 위해서 원위 단부에서 개구부를 가질 수 있다. 다른 배열에서, 적어도 하나의 도관은 가스를 컨테이너에 전달하기 위한 제1 도관 및 음료를 컨테이너로부터 수용하기 위한 제2 도관을 포함한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도관은, 각각 가스 및 음료 유동을 위한 2개의 내강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제1 및 제2 도관은 컨테이너의 개구부 내의 코르크를 통해서 삽입되도록 배열되는 바늘의 부분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분배 배출구는 본체와 제거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도관을 본체에 고정하도록 배열된 캡의 일부로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도관은 가스를 컨테이너 내로 전달하기 위한 제1 도관 및 음료를 컨테이너로부터 수용하기 위한 제2 도관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및 제2 도관은 음료 컨테이너의 개구부 내로 삽입되도록 배열되는 단일 단편으로서 배열될 수 있다. 허브가 제1 및 제2 도관의 근위 단부에 장착될 수 있고, 허브는 제1 및 제2 도관을 본체에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경우에, 캡은 허브를 본체에 고정하기 위해서 본체에 결합되도록 그리고 분배 배출구를 제2 도관에 유체적으로 연결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일부 구성에서, 분배기는, 적어도 하나의 도관 내의 가스 유동이 음료 컨테이너의 내측부 공간을 가압할 수 있게 적어도 하나의 밸브를 자동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밸브는 가압 가스의 공급원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도관으로의 가스의 유동을 제어하도록 배열된 가스 제어 밸브,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도관으로부터 분배 배출구로의 음료의 유동을 제어하도록 배열된 음료 제어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분배기는 본체에 부착된 클램프를 포함하고, 클램프는 본체를 컨테이너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하도록 배열되고, 그에 따라, 예를 들어, 분배기가 클램프에 의해서 컨테이너 상에서 지지될 수 있다. 본체는, 적어도 하나의 도관을 컨테이너의 내측부 공간 내로 삽입하기 위해서, 클램프에 대해서 이동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도관은, 본체를 클램프에 대해서 하향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컨테이너의 개구부 내의 코르크를 통해서 삽입되도록 배열되는 바늘의 부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컨테이너-장착형 음료 분배기는, 음료를 유지하는 음료 컨테이너 내로 가스를 전달하기 위한 그리고 음료를 컨테이너의 외부로 전달하기 위해서 음료를 컨테이너로부터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도관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도관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배열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내강을 가질 수 있고, 근위 단부에서 허브를 포함할 수 있고, 기타 등등일 수 있다. 분배기의 본체는, 예를 들어 컨테이너 목부와 결합되는 클램프를 이용하여, 분배기를 음료 컨테이너 상에서 지지하기 위해서 음료 컨테이너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체는 적어도 하나의 도관을 수용하여 결합하기 위한 개구부를 가질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도관은, 적어도 하나의 도관의 원위 단부를 개구부 내로 삽입하는 것 그리고 이어서 적어도 하나의 도관의 근위 단부를 개구부에서 본체에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서, 개구부 내로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도관은 근위 단부에서 허브를 가지는 바늘로서 배열될 수 있고, 바늘은, 바늘의 원위 단부를 본체의 개구부 내로 삽입하는 것 그리고 허브가 개구부에서 본체와 결합되도록 바늘을 개구부를 통해서 연장시키는 것에 의해서, 본체와 결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밸브가 본체에 부착되어, 적어도 하나의 도관을 통해서, 컨테이너 내로의 가스 유동 또는 컨테이너의 외부로의 음료 유동을 제어할 수 있고, 가압 가스의 공급원이 적어도 하나의 도관에 유체적으로 커플링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분배 배출구가, 음료를 수용하고 음료를 사용자의 컵에 분배하기 위해서, 본체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도관에 유체적으로 커플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배 배출구는 적어도 하나의 도관을 본체에 고정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일부 구성에서, 분배 배출구는 본체와 제거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도관을 본체에 고정하도록 배열된 캡의 일부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캡이 바늘의 허브 위에서 본체와 결합되어 바늘을 본체의 개구부 내에 가둘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분배기는, 적어도 하나의 도관 내의 가스 유동이 음료 컨테이너의 내측부 공간을 가압할 수 있게 적어도 하나의 밸브를 자동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가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밸브는, 예로서, 가압 가스의 공급원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도관으로의 가스의 유동을 제어하도록 배열된 가스 제어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분배기의 다른 선택적인 특징을 이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장치의 여러 가지 예시적인 실시예가 이하에서 더 도시되고 설명된다.
본 발명의 양태가 다양한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은 음료 병의 폐쇄부를 통해서 도관을 도입하기 위한 준비에서의 음료 분배 장치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의 분배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2의 분배 장치로부터 제거된 분배 배출구를 갖는 캡을 도시한다.
도 4는 캡이 제거된 도 2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의 바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5의 바늘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8의 선 7-7을 따른 도 5의 바늘의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도 5의 상면도이다.
본 발명의 양태가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되나, 본 발명의 양태가 설명된 구체적인 실시예를 고려하여 좁게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양태는 본원에서 설명된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여러 양태가 단독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및/또는 임의의 적합한 서로의 조합으로 이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가 특징부들의 임의의 특별한 조합 또는 조합들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 대신, 설명된 실시예의 하나 이상의 특징이 다른 실시예의 임의의 다른 적합한 특징부와 조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양태를 포함하는 음료 분배 시스템(또는 장치)(1)의 일 실시예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장치(1)는 바늘 또는 다른 도관을 음료 컨테이너(700) 내로 삽입하기 위해서, 도관을 통해서 가스를 컨테이너(700) 내로 주입하기 위해서, 그리고 주입된 가스 또는 컨테이너 내의 다른 압력에 의해서 컨테이너(700)의 외부로 강제되는 음료를 분배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이러한 예시적인 장치(1)는, 압력(예를 들어, 실린더로부터 분배될 때 2600 psi 이하) 하에서 가스를 조절기(600)에 제공하는 (압축 가스 실린더와 같은) 가압 가스의 공급원(100)이 부착된 본체(3)를 포함한다. 이러한 배열에서, 실린더(100)는 나사산형 연결에 의해서 본체(3) 및 조절기(600)에 고정되나, 이하에서 및/또는, 가스 실린더를 실린더 수용부와 결합시키기 위한 메커니즘과 관련된 교시 내용과 관련하여 참조로 본원에 포함되는, US 특허 4,867,209; US 5,020,395; 및 US 5,163,909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다른 구성도 가능하다. 조절기(600)는 개략적으로 그리고 상세 부분이 없이 도시되어 있으나, 가스 압력을 미리-설정된 또는 가변적인 배출구 압력으로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상업적으로 입수가 가능한 또는 다른 단일 또는 다수-스테이지 압력 조절기 중 임의의 조절기일 수 있다. 조절기(600)의 주 기능은, 예를 들어, 컨테이너(700) 내에 형성된 압력이 희망 레벨을 넘지 않도록, (와인 병과 같은) 컨테이너(700)에 전달하기에 적합한 압력 및 유량으로 가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실린더(100)로부터 방출되는 가스의 압력을 조절할 필요가 없고, 그 대신, 미조절 가스 압력이 컨테이너(700)에 전달될 수 있다.
실시예는, 컨테이너(700) 내로의 가스의 유동 및/또는 컨테이너로부터의 음료의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밸브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가스 제어 밸브(36)가 제공되어 가스 공급원(100)으로부터 컨테이너(700)의 내측부와 유체 연통되는 유동 경로까지의 가스의 유동을 제어한다. 선택적으로, 음료 제어 밸브(미도시)가 컨테이너(700)로부터 분배 배출구(38)까지의 음료의 유동을 제어하나,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이용되지 않는다. 다른 배열도 가능하고, 예를 들어 단일 밸브가 (예를 들어, 3-방향 밸브를 이용하여) 가스 및 음료 모두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고, 단일 밸브를 이용하여 음료 유동만을 제어할 수 있다(예를 들어, 가스 공급원(100)으로부터 컨테이너(700)로의 가스 유동이, 컨테이너(700)와 결합된 장치(1)를 이용하여, 항상 개방될 수 있고, 음료 유동은 음료 제어 밸브만을 개방/폐쇄하는 것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다). 가스 제어 밸브(36) 및/또는 다른 밸브(사용되는 경우)가 제어기(34), 즉 제어 회로망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34)는, 예를 들어, 바늘이 코르크를 통해서 삽입된 것 또는 장치 클램프(4)가 컨테이너 목부와 결합되는 것을 검출함으로써, 장치(1)가 컨테이너(700)와 결합되는 때 및/또는 도관이 컨테이너(700)의 내측부 공간과 유체 연통되는 것을 검출될 수 있고, 이어서 그에 따라 밸브(들)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기(34)에 의해서 제어되지 않는 경우에, 가스 제어 밸브(36)가 사용자에 의해서 수동으로 동작될 수 있고, 및/또는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버튼, 터치 스크린 등)를 통해서 제어기(34)에 입력을 제공하여 밸브가 개방 및/또는 폐쇄되게 할 수 있다. 다수의 밸브가 사용되는 다른 선택 사항으로서, 가스 제어 밸브(36)가 개방될 때 음료 제어 밸브가 폐쇄되도록, 그리고 그 반대가 되도록, 또는 하나의 밸브가 개방될 때 다른 밸브도 개방되도록(예를 들어, 2개의 내강의 바늘을 이용할 때) 그에 따라 컨테이너(700)의 내측부 공간에 접근하도록, 밸브들의 동작이, 기계적으로든 또는 전자 제어를 통하든 간에, 함께 연관될 수 있다.
가스를 컨테이너(700) 내로 도입하고 음료를 추출하기 위해서, 적어도 하나의 도관이 컨테이너(700)의 내측부와 유체 연통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본체(3)에 부착된 바늘(200)이 컨테이너(700)의 목부에 위치되는 개구부를 밀봉하는 코르크 또는 다른 폐쇄부(730)를 통해서 삽입된다. 이러한 예시적인 장치(1)에서, 바늘(200)은, 바늘 선단부 또는 바늘(200)의 원위 단부 부근에서 바늘의 측벽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바늘 개구부를 가지는 2개의 내강 또는 도관을 포함하고 그에 따라 바늘(200)의 내강(들)과의 유체 연통을 제공한다. 바늘(200)이 상이한 방식들로 코르크 또는 다른 폐쇄부(730) 내로 삽입될 수 있지만, 이러한 실시예에서, 장치(1)는 클램프(4)에 의해서 컨테이너(700)에 고정될 수 있는 기부(2)를 포함한다.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음료 분배 장치가, 예를 들어 장치(1)를 병의 목부에 클램핑하고 그에 따라 장치가 병에서 지지되는 것에 의해서, 장치(1)를 컨테이너(700)와 결합시키도록 구성된 클램프 또는 다른 배열체로부터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장치는, 병과 결합되도록 배열된 기부(2)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클램프 아암(41)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클램프는 컨테이너 목부를 클램프(4)의 수용 공간(44) 내로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클램프 아암(41)(도 1에 하나만이 도시됨)은, 기부(2)에 대해서 이동되어 컨테이너 목부에 결합력을 가하도록 스프링 편향된다. 클램프 결합의 스프링 편향된 특성은 또한 상이한 크기의 컨테이너 목부들을 클램프(4)가 수용하게 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클램프(4)는 다른 방식으로, 예를 들어 래치팅 스트랩(ratcheting strap), 버클, 나사산형 체결구 등을 고정하는 것에 의해서, 기부(2)를 컨테이너 목부에 고정할 수 있다.
본체(3)는 기부(2)에 대해서 이동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본체(3) 상의 레일이 기부(2)의 상응 채널 내에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컨테이너 폐쇄부(730)에 대한 본체(3) 및 부착된 바늘(200)의 이동이 기부(2)에 의해서 안내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본체(3)가 상부 위치와 하부 위치 사이에서 기부(2)에 대해서 활주되어 바늘(200)을 폐쇄부(730)의 내외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바늘(200)의 이동은, 기부(2)에 부착되고 폐쇄부(730) 위에 배치되는 바늘 안내부(202)에 의해서 안내될 수 있다. 폐쇄부(730)를 통해서 바늘(200)을 삽입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기부(2) 및 컨테이너(700)를 서로에 대해서 적어도 어느 정도 정지적으로 유지하면서, 본체(3)를 아래쪽으로 밀 수 있다. 바늘(200)은, 기부(2)에 대한 본체(3)의 안내된 이동에 의해서(예를 들어, 레일 및 채널에 의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동이 안내되면서, 폐쇄부(730)를 통과할 것이다. 본체(3)의 채널 또는 다른 수용부와 결합되는 기부(2) 상에서 하나 이상의 레일을 제공하는 것, 본체 또는 기부 중 다른 하나 상의 상응 특징부(예를 들어, 탭)와 결합되고, 본체와 기부를 함께 연결하고 바늘을 폐쇄부 내로 삽입하기 위한 본체의 이동을 허용하는 링키지가 활주 이동 할 수 있게 하는, 세장형 슬롯, 채널 또는 홈을 본체 또는 기부 상에 제공하는 것과 같은, 기부(2)에 대한 본체(3)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다른 배열이 가능하다.
바늘(200)이 폐쇄부(730)를 통해서 적절히 삽입되면, 바늘(200)의 원위 단부가 폐쇄부(730) 아래에 그리고 컨테이너(700)의 내측부 공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컨테이너(700)의 내측부와 바늘(200)의 하나 이상의 도관 사이의 유체 연통을 가능하게 한다. 바늘(200)이 하나 이상의 내강 또는 도관을 포함하는 실시예에서, 밸브(36)를 제어하여, 가압 가스를 컨테이너(700) 내로 제공할 수 있고 음료가 컨테이너(700)로부터 유동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스가 먼저 단일 바늘 도관을 통해서 컨테이너(700) 내로 도입되어 컨테이너(700) 내에서 가압 조건을 형성할 수 있고, 이어서 가스 유동이 정지되고 가압된 음료가 단일 도관의 외부로 분배 배출구(38)로 유동되게 할 수 있다. 바늘(200)이 2개의 내강 또는 도관을 포함하는 경우에 (또는 둘 이상의 바늘이 사용되는 경우에), 하나 이상의 도관이 컨테이너 내로의 가스 유동을 위해서 지정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다른 도관이 음료 유동을 위해서 지정될 수 있다. 따라서, 가스 제어 밸브(36)는 가스 도관(들) 내로의 가스 유동을 제어할 수 있고, 음료 제어 밸브는 음료 도관(들)로부터의 음료 유동을 제어할 수 있다. 코르크 또는 다른 폐쇄부를 침투할 수 있는 바늘 또는 다른 구조물의 이용이 필수적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 대신, 임의의 적합한 호스, 파이프, 관 또는 다른 도관이 바늘로서 이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코르크가 제거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도관(들)이 통과하여 연장되는 플러그, 정지부 또는 캡에 의해서, 도관이 컨테이너(700)에 유체적으로 커플링될 수 있다. 따라서, 바늘은 병 코르크 또는 다른 폐쇄부를 통해서 침투할 수 있도록 제조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분배 장치는, 제거될 수 있고 다른 구성요소와 교환될 수 있는 음료 접촉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는, 상이한 음료들을 분배할 때, 사용자가 교차 오염을 방지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장치(1)는 교환 가능 바늘(200) 및 분배 배출구(38)를 포함한다. 바늘(200)의 음료 내강(201) 및 분배 배출구(38)가 분배 중에 음료와 접촉되는 장치의 유일한 부분이기 때문에, 희망에 따라, 장치(1)의 모든 음료-접촉 부분이 교환될 수 있다. 비록 바늘(200) 또는 다른 도관 배열체 및 분배 배출구(38)가 상이한 방식들로 장치(1)와 제거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지만, 이러한 실시예에서, 바늘(200)은, 함께 부착되고 본체(3)의 개구부(32) 내에 결합된 허브(206)로부터 연장되는, 내강(201, 203)의 쌍을 포함한다. 바늘(200)을 본체(3)로부터 제거하기 위해서, 캡(35)이 먼저 제거되는데, 이는 캡(35)이 바늘(200)을 본체(3)와 결합되게 고정하는 작용을 하기 때문이다. 캡(35)이 제거되면, 바늘(200)은 본체(32)의 개구부(32)로부터 위쪽으로 이동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허브(206)는 위쪽으로 그리고 개구부(32)의 외부로 이동된다. 바늘(200)은, 바늘(200)의 원위 단부가 개구부(32)를 빠져 나올때까지, 더 회수될 수 있다. 새로운 바늘(200)로 교환하기 위해서, 바늘(200)의 원위 단부가 먼저 개구부(32) 내로 삽입될 수 있고 바늘(200)은, 허브(206)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32)와 결합될(예를 들어, 내에 수용될) 때까지, 개구부(32)를 통해서 연장될 수 있다. 분배 배출구(38)는 또한 개구부와 해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이러한 실시예에서, 분배 배출구(38)는, 바늘(200)의 허브(206) 위에서 본체(3)에 부착될 수 있는 캡(35)의 일부로서 형성된다. 캡(35)과 본체(3)의 결합은, 허브(206)를 개구부(32) 내에 고정하는 것 그리고 분배 배출구(38)를 바늘(200)의 음료 내강(201)과 유체적으로 커플링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몇몇 목적을 위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캡(35)은 상이한 방식들로, 예를 들어 베이요넷 연결부(bayonet connection), 나사산형 연결부, 하나 이상의 나사 또는 다른 체결구, 등에 의해서 본체(3)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비록 바늘(200) 및 캡(35)이 이러한 실시예에서 2개의 분리된 부분으로 배열되지만, 캡(35) 및 바늘(200)은 하나의 단편으로 제조될 수 있고, 그에 따라 1-단편 캡(35) 및 바늘(200)의 결합은, 바늘(200)의 음료-접촉 도관 및 분배 배출구(38)를 하나의 동작으로 본체(3)에 부착한다. 다른 배열에서, 분배 배출구(38)는 바늘(200) 또는 다른 음료 도관(201)과 하나의 단편으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분배 배출구(38)는 캡(35) 또는 다른 유사 구조물의 일부로 제조될 필요가 없다.
도 2 내지 도 4는, 도 1의 특징을 포함하는 분배 장치(1)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체(3)는, 상하 방향으로, 기부(2)에 대해서 수직으로, 예를 들어, 바늘(200)의 길이를 따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그에 따라 기부(2)에 대한 본체(3)의 이동은 바늘(200)을 컨테이너(700)의 폐쇄부(730) 내로 그리고 통해서 삽입할 수 있다. 도 2는 또한, 이러한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장치(1)가 컨테이너(700) 상에서 완전히 지지되고 매달리도록, 컨테이너 목부를 수용하여 그와 결합될 수 있는 클램프(4)의 2개의 클램프 아암(41)을 도시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아암들(41) 사이에 배치된 병의 목부를 클램핑하기 위해서, 아암들(41)이 정상 상태에서(normally) 서로를 향해서 이동되게 편향되도록, 클램프 아암(41)이 기부(2)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러나, 클램프 아암(41)은 다른 방식으로, 예를 들어 링키지, 리빙 힌지, 및 기타에 의해서 기부(2)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아암이 기부에 고정될 수 있는 한편, 다른 아암은 이동 가능할 수 있다(그러나, 이러한 실시예에서, 아암들이 여전히 서로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비틀림 또는 다른 스프링을 이용하여 편향력(제공되는 경우)을 클램프 아암(41)에 제공할 수 있다. 클램프 아암(41)의 클램핑력은, 장치(1)를 병(700) 상에서 지지할 수 있을 정도로, 또는 심지어 사용자가 장치(1)를 파지하고 조작하는 것에 의해서 병(700)을 들어 올리고 병으로부터 음료를 유출시킬 수 있게 할 정도로 충분히 강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클램프 아암(41)은, 컨테이너 목부와 접촉될 수 있고 클램프(4)가 컨테이너 목부와 결합되는 것을 도울 수 있는 결합 표면(43)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아암(41)은 아암들(41) 사이에 수용 공간(44)을 형성하고, 그러한 수용 공간에 컨테이너 목부가 수용되고 클램프(4)에 의해서 결합된다. 아암(41)은 클램프(4)의 하단 단부에서 진입 개구부(46)를 형성하고(도 2 참조), 이는 아암(41)이 컨테이너 목부 상으로 아래쪽으로 강제될 수 있도록, 컨테이너 목부의 상단부가 아암들(41) 사이에 도입될 수 있게 허용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결합 표면(43)은 예를 들어 립(702)에서 컨테이너 목부와 접촉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컨테이너 목부가 수용 공간(44) 내로 진입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결합 표면(43)은, 예를 들어 수용 공간(44) 내로 이동하는 컨테이너 목부의 이동을 안내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서, 각각의 클램프 아암(41) 상에서 수직으로 연장된다. 결합 표면(43)은 비교적 경질의 저마찰 표면을 가질 수 있고, 그에 따라 목부가 클램프 아암(41)에 대한 제 위치로 이동될 수 있게 하면서 클램프 아암(41)이 목부와 결합할 수 있게 도움을 줄 수 있다. 결합 표면의 하부 부분(43b)은 수용 공간(44)에 대해서 내측으로 그리고 위쪽으로 경사질 수 있고, 컨테이너 목부와 접촉하여 아암들(41)을 서로로부터 멀리 이동시켜 수용 공간(44)을 확대할 수 있고 컨테이너 목부가 수용 공간(44) 내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하부 부분(43b)의 경사진 특성은 클램프(4)가 상이한 크기 및 형상의 컨테이너 목부들을 수용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컨테이너 목부가 수용될 때 아암들(41)을 함께 압박하는 스프링 편향에 대항하여 클램프 아암들(41)이 서로 멀어지는 비교적 점진적인 이동을 제공할 수 있다. 앞서 주목한 바와 같이, 아암들(41)은 스프링의 비교적 큰 힘에 의해서 서로를 향해서 편향될 수 있다. 그러나, 결합 표면(43)의 경사진 배열은, 아암들(41)을 이격시키고 컨테이너 목부를 수용 공간(44) 내에 안착시키기 위해서 클램프(4)를 아래쪽으로 누르는 사용자에게 적절한 기계적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컨테이너 목부는, 컨테이너 목부가 수용 공간(44) 내로 추가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바늘 안내부(202) 또는 다른 정지부와 접촉될 때까지 수용될 수 있다. 결합 표면(43)은, 수용 공간(44)에 대해서 위쪽 및 외측으로 경사지거나 기울어진 상부 부분(43a)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은 적어도 2개의 기능, 즉 수용 공간(44) 내에 완전히 수용된 위치에서 안착된 컨테이너 목부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는 기능 및/또는 클램프(4)를 컨테이너 목부로부터 제거할 때 도움을 주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수용 공간(44) 내에 완전히 수용된 위치에서 안착된 컨테이너 목부를 유지하기 위해서, 상부 부분(43a)은 예를 들어 립(702)에서 컨테이너 목부 상에 반경방향 내향 및 상향 힘(또는 컨테이너의 기준점으로부터, 그 클램프 아암(41) 상에 반경방향 외측 및 상향 힘)을 가할 수 있고, 이는 컨테이너 목부가 바늘 안내부(202) 또는 다른 정지부와 접촉되어 유지되는 것을 돕는다. 즉, 상부 부분(43a) 및 하부 부분(43b) 모두가 컨테이너 목부 상으로 반경방향 내향 힘을 인가할 수 있지만, 상부 부분(43a)이, 수용 공간(44)에 대해서 위쪽 및 외측으로 경사지는 것으로 인해서, 컨테이너 목부 상으로 상향 힘을 인가할 수 있다. 이는, 컨테이너 목부가 클램프(4)에 대해서 위쪽으로 이동되도록 압박하는데 (또는 기준 프레임에 따라 클램프(4)가 컨테이너(700)에 대해서 아래쪽으로 이동되도록 압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클램프(4)의 제거에 도움을 주기 위해서, 상부 부분(43a)은, 클램프(4)를 컨테이너(700)에 대해서 단순히 위쪽으로 당기는 것에 의해서, 클램프(4)가 컨테이너 목부로부터 제거되게 할 수 있다. 클램프(4)를 컨테이너 상으로 아래쪽으로 가압하는 것에 의해서 컨테이너 목부를 수용 공간(4) 내로 수용하는 것을 하부 부분(43b)이 보조할 수 있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상부 부분(43a)은 목부를 수용 공간(44)으로부터 제거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부분(43a)은 컨테이너 목부의 립(702)과 접촉할 수 있고, 클램프(4)가 컨테이너(700)에 대해서 위쪽으로 이동될 때, 아암이 외측으로 그리고 컨테이너 목부로부터 멀리 이동하도록 압박할 수 있다.
클램프(4)를 컨테이너(700) 상으로 아래쪽으로 누르는 것에 의해서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의 클램프(4)의 결합을 돕기 위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걸쇠(9)가 제공되어 본체(3)를 기부(2)에 대한 상부 위치에서 록킹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본체(3)를 파지하게 할 수 있고, 바늘(200)을 폐쇄부(730) 내로 삽입하지 않고, 클램프(4)를 컨테이너(700)와 결합시키기 위해서 아래쪽으로 누르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걸쇠(9)는 이동 가능한 걸쇠 볼트(92)에 의해서 구현되고, 그러한 걸쇠 볼트는 기부(2)에 장착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가 기부(2)에 대한 상부 위치에 있을 때, 스프링 편향 하에서 좌측으로 이동하여 본체(3) 내의 걸쇠 슬롯(93)과 결합될 수 있다. 걸쇠 활주부(91)가 기부(2)에 장착되고 도 1에 도시된 위치로 하향 이동되어 볼트(92)가 우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스프링 편향된다. 따라서, 볼트(92)가 슬롯(93)과 결합되어 있는 한 본체(3)는 기부(2)에 대해서 이동될 수 없고, 활주부(91)는 볼트(92)가 우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는, 사용자가 본체(3)를 파지하고 클램프(4)를 컨테이너 목부 위로 아래쪽으로 가압할 수 있게 하고, 그에 따라,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결합 표면(43)에 의해서 안내됨에 따라, 컨테이너 목부가 수용 공간(44) 내로 수용된다. 클램프(4)와 컨테이너의 결합은, 본체(3)를 기부(2)에 대해서 아래쪽으로 이동시키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그러나, 컨테이너 목부의 상단부가 클램프(4)의 수용 공간(44) 내로 완전히 수용될 때, 컨테이너 목부의 상단부가 활주부(91)와 접촉하도록 그리고 스프링 편향에 대항하여 활주부(91)를 위쪽으로 이동시키도록, 활주부(91)가 배열된다. 이는 활주부(91) 내의 노치를 볼트(92)와 정렬시켜, 볼트(92)가 우측으로 이동될 수 있게 한다. 활주부(91)의 상부 배치가 컨테이너 센서(81)에 의해서 검출될 수 있고, 컨테이너 센서는, 활주부(91)의 상향 배치에 의해서 작동되는(폐쇄 또는 개방되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활주부(91)의 노치가 볼트(92)와 정렬된 상태에서, 기부(2)에 대해서 본체(3)에 가해지는 하향 힘은 본체(3)의 일부가 볼트(92)의 단부 상의 램프(ramp)와 접촉하게 하여, 볼트(92)를 우측으로 그리고 활주부(91)의 노치 내로 강제한다. 이는 걸쇠(9)를 제거하고(clear), 본체(3)는 기부(2)에 대해서 계속 하향 이동할 수 있고, 그에 의해서, 바늘 안내부(202)에 의해서 안내됨에 따라, 바늘(200)을 컨테이너의 폐쇄부(730) 내로 삽입할 수 있다. 본체(3)가 기부(2)에 대해서 그 하부 위치에 배치될 때, 바늘(200)은 완전히 삽입되고, 바늘 센서(82)는, 예를 들어 기부(2)와의 접촉에 의해서 작동되는 스위치에 의해서, 본체(3)가 그 하부 위치에 있다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제어기(34)는 컨테이너 센서(81) 및 바늘 센서(82)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그에 응답하여 희망 행동, 예를 들어 분배 동작의 시작, 가스 제어 밸브(36)의 수동적인 또는 자동적인 동작의 허용, 등을 할 수 있다.
클램프 아암들(41)이 멀리 이동되도록 편향되거나 전혀 편향되지 않는 배열에서, 로킹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클램프 아암(41)을 병에 결합시킬 수 있다. 즉, 클램프 아암(41)이 스프링 편향되거나 그렇지 않거나 간에, 아암들의 이동이, 로킹 메커니즘에 의해서 소정 방식으로 제한되거나 달리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램프 아암들(41)이 서로를 향해서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허용하나, 멈춤쇠가 톱니바퀴로부터 먼저 제거되지 않는 한, 아암들(41)이 서로로부터 멀리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톱니바퀴 및 멈춤쇠 메커니즘에 의해서, 아암들(41)이 함께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은, 사용자가, 사용자가 멈춤쇠를 해제할 때까지 아암들(41)이 서로로부터 멀리 이동되어 목부를 해제하지 않도록 보장하는 톱니바퀴 및 멈춤쇠로 아암(41)을 병의 목부 상에 확실하게 클램핑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아암들(41)은, (스트랩이 하나의 아암(41)에 고정되고 버클이 다른 아암(41)에 고정되는) 버클 및 스트랩, (나사가 하나의 아암(41)과 결합되고 너트가 다른 아암(41)과 결합되며, 나사 및 너트가 서로 나사산식으로 결합되어 아암들(41)을 함께 고정하는) 나사 및 너트, 그 원위 단부에서 아암들(41)을 가로질러 걸쳐지는 후크-및-루프 폐쇄부 요소, 또는 아암(41)을 병(700)과 결합시키는데 적합한 다른 배열체에 의한 것과 같은, 대안적인 방식으로 서로 멀리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도 3은 도 1 내지 도 4의 분배 장치(1)의 캡(35)을 도시하고, 도 4는 캡(35)이 본체(3)로부터 제거된 장치(1)를 도시한다. 캡(35)이 제거되면, 바늘(200)을 수용하는 본체(3)의 개구부(32)가 노출된다. 이는, 사용자가 바늘(200)을 본체(3)에 대해서 위쪽으로 이동시켜 바늘(200)을 장치(1)로부터 제거할 수 있게 한다. 사용된 바늘(200)이 제거되면, 바늘(200)의 원위 단부를 개구부(32) 내로 삽입하고 허브(206)가 개구부(32) 내에 수용될 때까지 바늘(200)을 계속 삽입하는 것에 의해서, 다른 교환 바늘(200)이 개구부(32) 내로 삽입될 수 있다. 그 후에, 교환 캡(35)(또는 이전에 사용된 캡(35))이 본체(3)와 결합되어, 캡(35) 및 바늘(200) 모두를 제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다. 도 3은, 이러한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베이요넷 특징부를 개구부(32)에 위치되는 상응 결합 특징부와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서, 캡(35)을 본체(3)에 고정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캡(35)의 베이요넷 연결부(351)를 도시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캡(35)은 캡(35) 상에서 피벗될 수 잇는 핸들(352)을 포함하고 핸들(352)을 도 3의 위치로부터 위쪽으로 플립이동시킨다. 이는, 캡(35)을 비틀어 베이요넷 특징부(351)를 개구부(32)와 결합시키기 위해서 사용자가 핸들(352)을 파지하게 할 수 있다. 캡(35)과 본체(3)의 결합 후에, 핸들(352)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위치로 다시 아래쪽으로 접힐 수 있다. 캡(35)과 본체(3)의 결합은 바늘(200)을 본체(3)에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배 배출구(38)를 바늘(200)의 음료-이송 내강과 유체적으로 커플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배 배출구(38)의 일부가 허브(206)의 개구부 내로 삽입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분배 배출구(38)와 허브(206)를 밀봉 가능하게 결합시키며, 그에 따라 음료가 바늘(200)로부터 분배 배출구(38)로 전달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은,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와 함께 이용될 수 있는 바늘(200)을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바늘(200)은, 근위 단부로부터 원위 단부까지 연장되고 원위 단부에서 제1 및 제2 개구부(204, 205)를 각각 가지는, 제1 내강(201) 및 제2 내강(203)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내강(201)은 제1 개구부(204)에서 수용된 음료 액체의 유동을, 제1 내강(201)을 통해서, 그리고 추출 장치(1)의 분배 배출구(38)로 이송하도록 배열된다. 제2 내강(203)은, 예를 들어 가스를 전달하여 컨테이너(700)의 내측부를 가압하기 위해서, 가압 가스의 유동을 가스 공급원(100)으로부터 제2 개구부(205)로 이송하도록 배열된다. 제1 내강(201)이 액체의 유동을 이송하도록 배열되기 때문에, 제1 내강(201)이, 가스의 유동을 이송하는 제2 내강(203)보다 큰 횡방향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횡단면은 바늘(200)의 길이에 수직인 평면 내에서 취해진다). 제1 내강(201)의 큰 횡방향 단면적은 액체의 유동에 대한 저항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고, 그에 따라, 더 작은 횡방향 단면적을 갖는 내강에 비해서, 더 큰 유량을 지원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러나, 제1 및 제2 내강(201, 203)이 반드시 상이한 횡방향 단면적 또는 다른 크기를 가질 필요는 없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허브(206)가 제1 및 제2 내강(201, 203)의 근위 단부에 부착된다. 허브(206)는, 장치(1)의 상응 유동 채널 또는 도관에 대한 제1 및 제2 내강(201, 203)의 연결 또는 다른 커플링을 촉진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경우에, 허브(206)는 가스 포트(62)를 갖는 본체(61)를 포함하고, 그러한 가스 포트는 본체(61)를 통해서 연장되고 제2 내강(203)과 유체적으로 연통된다. 가스 포트(62)는, 장치(1)의 상응 포트 또는 다른 구조물과 커플링되어 가스 공급원을 제2 내강(203)과 유체적으로 연결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허브(206)는 가스 포트(62)의 근위에 배치되는 제1 가스켓(63) 및 가스 포트(62)의 원위에 배치되는 제2 가스켓(64)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제1 및 제2 가스켓(63, 64)이 개구부(32)와 밀봉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허브(206)가 본체(3)의 개구부(32) 내에 수용될 수 있게 한다. 결과적으로, 가스 포트(62)는, 가스 공급원과 유체적으로 커플링되는 개구부(32) 내의 공간과 유체적으로 커플링된다. 물론, 허브(206)가 추출 장치(1)에 의해서 수용될 때 상응 포트 또는 다른 개구부와 밀봉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스 포트(62)의 개구부 주위에 배치되는 o-링 또는 다른 가스켓, 장치(1)에 대한 허브(206)의 나사산형 연결, 및 기타와 같은, 가스 포트(62)를 가스 공급원에 유체적으로 커플링시키기 위한 다른 배열도 가능하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허브(206)는 또한, 제1 및 제2 내강(201, 203)의 길이에 수직인 방향으로 또는 달리 횡방향으로 서로로부터 멀리 연장되는 제1 및 제2 탭(65, 66)을 포함한다. 이러한 탭(65, 66)은, 예를 들어 바늘(200)의 길이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하는 장치(1)에 대한 바늘(200)의 회전 또는 바늘의 길이를 따른 방향과 같은 바늘(200)의 다른 이동을 저지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서, 허브(206)가 장치(1)와 결합될 때, 본체(3)의 개구부(32) 내의 상응 슬롯과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탭(65, 66)은, 적어도 하나의 운동 범위에서 허브(206) 그리고 그에 따라 바늘(200)을 장치(1)에 록킹(lock)하는 역할에 도움을 주는, 베이요넷-유형의 결합 특징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탭(65)은 제2 탭(66)보다 길다. 이러한 특징부는, 바늘(200)이 장치(1)와 결합될 때 허브(206)가 장치(1)에 대해서 특정 방식으로 배치되도록 보장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1)의 개구부(32)는, 제1 및 제2 탭(65, 66)을 각각 수용하고 그와 결합되는 제1 및 제2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슬롯은 제2 슬롯보다 길 수 있고, 그에 따라 허브(206)는 제1 슬롯 내의 제1 탭(65)만으로 수용될 수 있다. 탭(65, 66)과 슬롯의 결합은 장치(1)에 대한 허브(206)의 회전을 저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2 탭(66)은 제1 탭(65)보다 넓고, 이러한 특징부는 또한 허브(206)와 장치(1)의 적절한 배향을 보장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허브(206)는 또한 제1 내강(201)과 유체 연통되는 본체(61)의 근위 단부에 위치되는 개구부(67)를 포함한다. 본체(61) 및 개구부(67)는, 제1 내강(201)과 장치(1)의 분배 배출구(38)의 유체 커플링을 촉진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캡(35)과 본체(3)의 결합은, 캡의 분배 배출구(38)를 허브(206)의 개구부(67)와 유체적으로 커플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캡(35) 내의 관의 단부는 허브(206)와 밀봉 결합되도록 개구부(67) 내에 피팅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1 내강(201)을 빠져 나오는 음료가 캡의 분배 배출구(38)에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본체(61)는, 개구부(67)(예를 들어, 관)와 결합되는 분배 배출구 도관의 부분이 바늘(200)의 길이에 횡방향인 방향으로 허브(206)로부터 멀리 연장될 수 있게 하는 노치(68)를 포함한다. 이는 캡의 전체 높이를 줄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나, 요구되는 특징부는 아니다.
바늘(200)의 다른 특징은, 바늘(200)이 허브(206)에 의해서만 지지되는 동안 제1 및 제2 내강(201, 203)의 원위 단부를 코르크를 통해서 삽입하는 것에 의해서 와인 병의 코르크(또는 음료 컨테이너의 다른 폐쇄부)를 통해서 침투하게 제1 및 제2 내강(201, 203)을 지지하도록 허브(206)가 구성되고 배열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허브(206)는 장치(1)와 결합될 수 있고, 제1 및 제2 내강(201, 203)은 장치(1)로부터 멀리 연장될 수 있고, 제1 및 제2 내강(201, 203)이 컨테이너 내측부에 접근하기 위해서 코르크 또는 다른 폐쇄부를 통해서 삽입될 수 있도록, 적절히 지지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바늘(200)의 원위 단부가 코르크 또는 다른 폐쇄부를 통과하는 것은, 제1 및 제2 내강(201, 203)이 제1 및 제2 개구부(204, 205)를 통해서 컨테이너 내측부와 유체 연통되게 할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뽀족한 단부가 제1 및 제2 내강(201, 203)의 원위 단부에 제공되어, 코르크 또는 다른 폐쇄부를 침투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매끄러운 벽의 외측부 및 연필 포인트(pencil point) 또는 후버 포인트(Huber point)를 가지는 바늘(200)이 와인 병 코르크 또는 다른 폐쇄부를 통해서 효과적으로 침투할 수 있는 한편, 음료 추출 중에 가스 또는 유체의 진입 또는 진출을 방지하기 위해서 코르크와 함께 효과적으로 밀봉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그러한 바늘은, 바늘의 회수 후에, 코르크가 재밀봉될 수 있게 하고, 그에 따라 (예를 들어, 불활성 또는 달리 적합한 비-반응성 또는 저-반응성 가스가 분배 중에 컨테이너 내로 주입될 때) 컨테이너 및 임의의 남은 음료가, 음료 풍미의 비정상적인 변화 없이, 몇 달 또는 몇 년 동안 저장될 수 있게 한다. 다수의 바늘 게이지가 작동할 수 있지만, 16 내지 22 게이지(즉, 1.65 mm 내지 0.91 mm의 외부 치수) 범위의 (예를 들어, 바늘의 횡단면 주 축을 다른 치수에 상응하는) 바늘 게이지가 바람직하고, 일부 실시예에서 최적의 바늘 게이지는 17 내지 20 게이지(즉, 1.47 mm 내지 1.07 mm의 외부 치수)이다. 이러한 바늘 게이지는, 반복적인 삽입 및 뽑기 후에도 수용 가능하게 작은 코르크에 대한 손상을 제공하면서, 컨테이너 내측의 최소 압력으로 최적의 유체 유동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바늘은, 와인 병 및 다른 컨테이너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호일 커버 또는 다른 랩핑에 침투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바늘은 폐쇄부뿐만 아니라 호일 커버 또는 다른 요소에 침투할 수 있고, 음료 추출 전에 호일 또는 다른 랩핑을 제거할 임의의 필요성을 제거한다. 다른 바늘 프로파일 및 게이지가 또한 시스템과 함께 이용될 수 있다. 일부 배열에서, 제거 후에 코르크 재밀봉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바늘이 배열될 필요는 없다. 그 대신, 바늘은, 너무 커서 코르크가 재밀봉될 수 없게 하는 코르크 내의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적절한 역할을 하도록 다수의 바늘 길이들이 적용될 수 있으나, 표준 와인 병 코르크를 통과하는데 있어서 약 1.5 인치의 최소 바늘 길이가 일반적으로 필요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9 인치 정도로 긴 바늘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일부 실시예를 위한 최적의 길이 범위는 2 내지 2.6 인치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바늘 길이는, 폐쇄부를 침투하도록 및/또는 폐쇄부를 통한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바늘 안내부와 접촉되도록 동작될 수 있는 바늘의 길이이다.) 2개 이상의 바늘이 이용될 때, 바늘 길이들이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0.25 인치 내지 10 인치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합한 가스 압력이 컨테이너 내로 도입되어 음료를 컨테이너으로부터 추출한다. 예를 들어, 일부 와인 병에서, 비록 약 15 내지 30 psi의 압력이 양호하게 작용한다는 것이 발견되었지만, 약 40 내지 50 psi의 최대 압력이, 코르크에서의 누출 위험이 없이 또는 코르크가 빠질 위험이 없이, 병 내로 도입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압력은, 코르크 빠짐 또는 코르크에 의한 액체 또는 가스의 통과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심지어 병 개구부에 위치되는 코르크-대-병 밀봉부의 가장 약한 부분도 양호하게 견딜 수 있고, 비교적 신속한 음료 추출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와인 추출 중의 컨테이너 내의 낮은 압력 한계가 약 0 내지 20 psi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병으로부터 음료를 적절히 빨리 추출하기 위해서, 약 0 내지 20 psi의 압력이 병 내에서 필요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하나의 예에서, 30 psi의 압력을 이용하여 와인 병 내의 초기 압력을 형성하였고, 내부 압력이 약 15 내지 20 psi로 떨어지면서 신속한 와인 추출이 발생되었다.
가압 가스의 공급원은, 다양한 비-반응성 가스 중 임의의 가스로 충진된 다양한 조절되는 또는 조절되지 않는 가압 가스 컨테이너 중 임의의 컨테이너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가스 실린더는 약 2000 내지 3000 psi의 초기 압력의 가스를 포함한다. 이러한 압력은, 하나의 비교적 작은 압축 가스 실린더(예를 들어, 약 3 인치 길이 및 0.75 인치 직경)를 이용하여 몇 개의 와인 병의 내용물을 완전히 추출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다수의 가스가 긴 저장 기간에 걸쳐 성공적으로 테스트되었고, 바람직하게 이용되는 가스는 컨테이너 내의 음료, 예를 들어 와인과 비-반응적이고, 음료 산화 또는 다른 손상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적합한 가스는 질소, 이산화탄소, 아르곤, 헬륨, 네온 및 기타를 포함한다. 가스의 혼합물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아르곤 및 다른 더 가벼운 가스의 혼합물이 아르곤 내에서 와인 또는 다른 음료를 덮을 수 있는 한편, 더 가벼운 가스는 병 내의 부피를 차지할 수 있고 아마도 가스의 전체적인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2개의 내강을 갖는 하나의 바늘을 이용하여 가스를 병 내로 도입하고 음료를 병으로부터 추출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둘 이상의 바늘, 예를 들어 가스 전달을 위한 하나의 바늘 및 음료 추출을 위한 하나의 바늘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하나의 또는 양 바늘이 교환 가능하게 제조될 수 있다. 바늘들이 동일한 또는 상이한 직경들 또는 0.25 내지 10 인치의 동일하거나 상이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스를 전달하는 하나의 바늘 또는 도관이 병으로부터 와인을 추출하는 다른 바늘보다 길 수 있다. 대안적으로, 2개 내강의 바늘이 이용될 수 있고, 여기에서 가스가 하나의 내강 내에서 이동되고 음료가 다른 내강 내에서 이동된다. 각각의 내강이 독립적인 입구 및 출구를 가질 수 있고, 가스의 순환을 방지하기 위해서 출구들이 병 내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시스템의 제어는 제어기(34)의 임의의 적합한 제어 회로망에 의해서 실시될 수 있고, 제어기는, 적절한 소프트웨어 또는 다른 운영 명령어와 함께, 프로그래밍된 범용 컴퓨터 및/또는 다른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 (소프트웨어 및/또는 다른 운영 명령어를 저장할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 매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제어 회로망 및/또는 다른 시스템 구성요소를 위한 전원, 온도 및 액체 레벨 센서, 압력 센서, (영숫자 문자, 바코드, 보안 잉크 등을 판독하고 인지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RFID 판독 장치 또는 다른 기계적 판독 가능 표시 판독기, (예를 들어, 정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고 및/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같은) 입/출력 인터페이스, 통신 버스 또는 다른 링크, 디스플레이, 스위치, 릴레이, 트라이액, 모터, 기계적 링키지 및/또는 작동기, 또는 희망 입/출력 또는 다른 기능을 실시하는데 필요한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태가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포함되는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도, 형태 및 상세 부분의 다양한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36)

  1. 컨테이너-장착형 음료 분배기이며:
    상기 분배기를 음료 컨테이너 상에서 지지하기 위해서, 음료 컨테이너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본체;
    음료를 유지하는 컨테이너 내로 가스를 전달하기 위해서 그리고 상기 컨테이너로부터 음료를 수용하여 상기 음료를 상기 컨테이너의 외부로 전달하기 위해서, 상기 본체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관;
    상기 음료를 수용하고 상기 음료를 사용자의 컵에 분배하기 위해서, 상기 본체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관에 유체적으로 커플링되는 분배 배출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관을 통한 상기 컨테이너 내로의 가스 유동 또는 상기 컨테이너 외측으로의 음료 유동을 제어하기 위해서 상기 본체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밸브;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관에 유체적으로 커플링된 가압 가스의 공급원을 포함하는, 음료 분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관 및 분배 배출구는 분배 중에 음료와 접촉되는 상기 분배기의 유일한 부분인, 음료 분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관은 가스를 상기 컨테이너 내로 전달하고 음료를 상기 컨테이너로부터 수용하기 위한 단일 도관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브는 상기 단일 도관 내로의 가스 유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가스 밸브를 포함하는, 음료 분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도관은 바늘의 원위 단부를 상기 컨테이너의 내측부 공간 내에 배치하기 위해서 상기 컨테이너의 개구부 내의 코르크를 통해서 삽입되도록 배열되는 바늘의 부분이고, 상기 바늘은, 상기 단일 도관과의 유체 연통을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원위 단부에서 개구부를 가지는, 음료 분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관은 가스를 상기 컨테이너 내로 전달하기 위한 제1 도관 및 음료를 상기 컨테이너로부터 수용하기 위한 제2 도관을 포함하는, 음료 분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도관은 상기 컨테이너의 개구부 내의 코르크를 통해서 삽입되도록 배열되는 바늘의 부분인, 음료 분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관 및 상기 분배 배출구가 단일 단편으로 형성되는, 음료 분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관은 가스를 상기 컨테이너 내로 전달하기 위한 제1 도관 및 음료를 상기 컨테이너로부터 수용하기 위한 제2 도관을 포함하는, 음료 분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도관은 상기 음료 컨테이너의 개구부 내로 삽입되도록 배열된 단일 단편으로 배열되는, 음료 분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배출구는 상기 본체와 제거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관을 본체에 고정하도록 배열된 캡의 일부로서 형성되는, 음료 분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관은 가스를 상기 컨테이너 내로 전달하기 위한 제1 도관 및 음료를 상기 컨테이너로부터 수용하기 위한 제2 도관을 포함하는, 음료 분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도관은 상기 음료 컨테이너의 개구부 내로 삽입되도록 배열된 단일 단편으로 배열되는, 음료 분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관은 상기 제1 및 제2 도관의 근위 단부에 장착된 허브를 포함하고, 상기 허브는 상기 제1 및 제2 도관을 상기 본체에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음료 분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허브를 상기 본체에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본체에 결합되도록 그리고 상기 분배 배출구를 상기 제2 도관에 유체적으로 연결하도록 배열되는, 음료 분배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관 내의 가스 유동이 상기 음료 컨테이너의 내측부 공간을 가압할 수 있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브를 자동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음료 분배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브는 상기 가압 가스의 공급원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관으로의 가스의 유동을 제어하도록 배열된 가스 제어 밸브를 포함하는, 시스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관으로부터 상기 분배 배출구로의 음료의 유동을 제어하도록 배열된 음료 제어 밸브를 포함하는, 시스템.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부착된 클램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는 상기 본체를 상기 컨테이너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하도록 배열되는,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관을 상기 컨테이너의 내측부 공간 내로 삽입하기 위해서, 상기 클램프에 대해서 이동될 수 있는,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관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관을 상기 컨테이너의 내측부와 유체 연통시키기 위해서 상기 컨테이너의 개구부 내의 코르크를 통해서 삽입되도록 배열되는 바늘의 부분인, 시스템.
  21. 컨테이너-장착형 음료 분배기이며:
    음료를 유지하는 음료 컨테이너 내로 가스를 전달하기 위한 그리고 음료를 상기 컨테이너의 외부로 전달하기 위해서 상기 컨테이너로부터 음료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도관으로서, 근위 단부에 대향되는 원위 단부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도관;
    상기 분배기를 상기 음료 컨테이너 상에서 지지하기 위해서 상기 음료 컨테이너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본체로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관을 수용하고 그와 결합되는 개구부를 가지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관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관의 원위 단부를 상기 개구부 내로 삽입하는 것 그리고 이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관의 근위 단부를 상기 개구부에서 상기 본체에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서, 상기 개구부 내로 수용될 수 있는, 본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관을 통한 상기 컨테이너 내로의 가스 유동 또는 상기 컨테이너 외측으로의 음료 유동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밸브;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관에 유체적으로 커플링된 가압 가스의 공급원을 포함하는, 음료 분배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를 수용하고 상기 음료를 사용자의 컵에 분배하기 위해서, 상기 본체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관에 유체적으로 커플링되는 분배 배출구를 더 포함하는, 음료 분배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배출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관을 상기 본체에 고정하도록 배열되는, 음료 분배기.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관은 가스를 상기 컨테이너 내로 전달하기 위한 제1 도관 및 음료를 상기 컨테이너로부터 수용하기 위한 제2 도관을 포함하는, 음료 분배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도관은 상기 컨테이너의 개구부 내의 코르크를 통해서 삽입되도록 배열되는 바늘의 부분인, 음료 분배기.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관은 상기 제1 및 제2 도관의 근위 단부에 부착된 허브를 포함하는, 음료 분배기.
  2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제거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관을 상기 본체에 고정하도록 배열된 캡을 더 포함하는, 음료 분배기.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관은 가스를 상기 컨테이너 내로 전달하기 위한 제1 도관 및 음료를 상기 컨테이너로부터 수용하기 위한 제2 도관을 포함하는, 음료 분배기.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도관은 상기 음료 컨테이너의 개구부 내로 삽입되도록 배열된 단일 단편으로 배열되는, 음료 분배기.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관은 상기 제1 및 제2 도관의 근위 단부에 장착된 허브를 포함하고, 상기 허브는 상기 제1 및 제2 도관을 상기 본체에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음료 분배기.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를 상기 본체에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캡이 상기 본체와 결합되도록 배열되는, 음료 분배기.
  3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관 내의 가스 유동이 상기 음료 컨테이너의 내측부 공간을 가압할 수 있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브를 자동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음료 분배기.
  3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브는 상기 가압 가스의 공급원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관으로의 가스의 유동을 제어하도록 배열된 가스 제어 밸브를 포함하는, 시스템.
  3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부착된 클램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는 상기 본체를 상기 컨테이너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하도록 배열되는, 시스템.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관을 상기 컨테이너의 내측부 공간 내로 삽입하기 위해서, 상기 클램프에 대해서 이동될 수 있는, 시스템.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관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관을 상기 컨테이너의 내측부와 유체 연통시키기 위해서 상기 컨테이너의 개구부 내의 코르크를 통해서 삽입되도록 배열되는 바늘의 부분인, 시스템.
KR1020217018494A 2018-11-21 2019-11-20 분배기를 위한 교환 가능 음료 배출구 및 도관 KR202100927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770320P 2018-11-21 2018-11-21
US62/770,320 2018-11-21
PCT/US2019/062406 WO2020106834A1 (en) 2018-11-21 2019-11-20 Replaceable beverage outlet and conduit for dispens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2788A true KR20210092788A (ko) 2021-07-26

Family

ID=68841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8494A KR20210092788A (ko) 2018-11-21 2019-11-20 분배기를 위한 교환 가능 음료 배출구 및 도관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046502B2 (ko)
EP (1) EP3883881A1 (ko)
JP (1) JP7372323B2 (ko)
KR (1) KR20210092788A (ko)
CN (1) CN113439066A (ko)
AU (1) AU2019384541A1 (ko)
CA (1) CA3120126A1 (ko)
WO (1) WO202010683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87240A1 (ko) 2021-07-15 2023-01-1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95046B2 (en) 2015-11-25 2023-10-24 Coravin, Inc. Beverage dispenser with container engagement features
CA3005355A1 (en) * 2015-11-25 2017-06-01 Coravin, Inc. Beverage extractor with controller
CN112918920A (zh) * 2021-03-11 2021-06-08 盈加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用于酒类保鲜装置的中空针头插入结构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7782A (en) * 1983-05-02 1986-03-25 The Cornelius Company Beverage dispensing station
US4856680A (en) * 1985-10-09 1989-08-15 Sitton Robert E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beverages
US5020395A (en) 1987-01-13 1991-06-04 Mackey Edward R Pressurized cork-removal apparatus for wine bottles and other containers
US4867209A (en) 1987-10-29 1989-09-19 United Soda, Inc. Portable hand holdable carbonating apparatus
US4984711A (en) * 1989-10-23 1991-01-15 Ellis Charles V Wine dispenser
US5163909A (en) 1991-01-28 1992-11-17 Alan E. Jordan Medical fluid delivery system
FR2787731B1 (fr) * 1998-12-29 2002-01-18 Oreal Tete de distribution demontable
NL1020651C2 (nl) * 2002-05-22 2003-11-25 Heineken Tech Services Drankcontainer voorzien van afgifteventiel met verbeterd bedieningsmiddel en antidruppel middelen.
DE10234930A1 (de) * 2002-07-31 2004-02-19 Poulten & Graf Gmbh Flüssigkeitsdispenser, Ausgabekanülen-Baukastensystem hierfür und Ausgabekanüle
WO2005058744A2 (en) * 2003-12-11 2005-06-30 Gregory Lambrecht Wine extraction and preservation device and method
DE202006004758U1 (de) * 2006-03-24 2006-06-08 Heineken Supply Chain B.V. Getränkespendeeinrichtung und Behälter für ein Getränk und getränkespendende Leitung
JP5048968B2 (ja) * 2006-05-08 2012-10-17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構造
JP4519197B2 (ja) * 2007-06-04 2010-08-04 亮 西野 飲料サーバーシステム
JP2009057054A (ja) * 2007-08-29 2009-03-19 Fusako Takayanagi ディスペンスヘッド
WO2009068054A2 (en) * 2007-11-28 2009-06-04 Jacques Valere Vandaele Apparatus for serving by-the-glass wine from a bottle, or other liquid that can be affected by oxygen
US8272538B2 (en) * 2008-07-08 2012-09-25 Morgan William Weinberg Wine bottle sealing and dispensing device
ITMI20090240U1 (it) * 2009-07-20 2011-01-21 De Longhi Appliances Srl Macchina da caffe' combinata con un dispositivo schiumatore di latte
US20110204093A1 (en) * 2010-02-21 2011-08-25 Nathan Tyler Lee Wine Dispensing Device
EP2562129A1 (en) * 2011-08-23 2013-02-27 Anheuser-Busch InBev S.A. Roving beverage dispensing unit
US9010588B2 (en) * 2012-05-02 2015-04-21 Coravi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ngaging a beverage extraction device with a container
US8910829B2 (en) * 2012-10-09 2014-12-16 Coravi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everage extraction needle guiding
US9016517B2 (en) * 2012-11-07 2015-04-28 Coravi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everage extraction needle force indication
US9139411B2 (en) * 2013-03-11 2015-09-22 Coravi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everage extraction with a multi-function valve
US9758362B2 (en) * 2015-07-01 2017-09-12 Coravin, Inc. Method for extracting beverage from a bottle
JP6449733B2 (ja) * 2015-07-30 2019-01-09 キリン株式会社 飲料注出装置
CA3005355A1 (en) * 2015-11-25 2017-06-01 Coravin, Inc. Beverage extractor with controll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87240A1 (ko) 2021-07-15 2023-01-1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046502B2 (en) 2021-06-29
WO2020106834A1 (en) 2020-05-28
JP2022507639A (ja) 2022-01-18
WO2020106834A9 (en) 2020-07-02
AU2019384541A1 (en) 2021-06-10
EP3883881A1 (en) 2021-09-29
CA3120126A1 (en) 2020-05-28
JP7372323B2 (ja) 2023-10-31
CN113439066A (zh) 2021-09-24
US20200156858A1 (en) 2020-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92788A (ko) 분배기를 위한 교환 가능 음료 배출구 및 도관
US942214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gaging a beverage extraction device with a container
EP296989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everage extraction with a multi-function valve
US10875757B2 (en) Beverage extractor for sparkling beverages
KR20200100174A (ko) 컨테이너 결합 특징부를 갖는 음료 분배기
KR20210091283A (ko) 도관 퍼지 특징부를 갖는 음료 분배기
US10850965B2 (en) Needle for accessing a beverage in container
US10301163B2 (en) Beverage extractor with container disengagement fe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