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2072A - 수문 재생 및 복구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문 재생 및 복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2072A
KR20210092072A KR1020200005595A KR20200005595A KR20210092072A KR 20210092072 A KR20210092072 A KR 20210092072A KR 1020200005595 A KR1020200005595 A KR 1020200005595A KR 20200005595 A KR20200005595 A KR 20200005595A KR 20210092072 A KR20210092072 A KR 202100920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ice gate
elevating
rail
sluic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5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7430B1 (ko
Inventor
박병권
Original Assignee
(주)로터스지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로터스지이오 filed Critical (주)로터스지이오
Priority to KR1020200005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7430B1/ko
Publication of KR20210092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2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7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7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수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수문 및 수문의 승강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을 재생 및 복구하기 위한 것으로, 수문을 보수할 보수용 플레이트에 수로의 바닥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가공선을 작도하기 위한 가공선 작도장치 및 가이드레일의 레일홈을 가공하여 재생 및 복수하기 위한 레일 가공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 재생 및 복구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수문 재생 및 복구 시스템{SYSTEM FOR RECYCLING AND RESTORING FLOODGATE}
본 발명은 수문 재생 및 복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문과 수로 사이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수로를 재생 및 복구할 수 있는 수문 재생 및 복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수로, 댐, 간척지, 강어귀둑은 물론, 도심의 지하수로 등에는 치수의 목적 또는 역류 방지 등의 목적으로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가동되는 여러 가지 형태의 수문이 설치된다.
이러한 수문의 일예로서 등록특허 제10-1057150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수문이 수로의 게이트를 개폐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구성이 일반적이다. 상기 수문의 상하 슬라이딩을 위해서 수로 또는 게이트에는 수문의 상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기 위한 레일이 설치된다.
그리고 수문의 하단은 수로의 바닥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수문의 하단이 수로의 바닥에 밀착될 경우 물을 완전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오랜 시간 수문을 반복하여 사용하다 보면, 수문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에 이물질이 달라붙거나 침식 작용 등에 의해서 가이드레일의 가이드면이 고르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수문의 상하 이동 동작이 불안해지고 안정적으로 동작하지 못하거나, 차단 후에도 기밀성이 떨어져서 물을 완전하게 차단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게이트의 바닥 즉, 수로의 바닥면도 오랜 시간 사용시 침식될 수 있으며, 또한, 수로의 바닥에 닿는 수문의 하단도 침식이나 부식 등의 작용으로 인하여 훼손되어 최초의 형상을 유지하지 못하게 되어, 수로 바닥면과의 기밀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일정 시간이 경화하면 변형된 수문 하단을 수로의 바닥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재생 및 복구하여 기밀성을 유지시킬 필요가 있으며, 수문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 또한 복수 및 재생할 필요성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5715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수문은 물론, 수문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을 재생 및 복구할 수 있는 수문 재생 및 복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문 재생 및 복구 시스템은, 수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수문 및 상기 수문의 승강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을 재생 및 복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수문을 보수할 보수용 플레이트에 상기 수로의 바닥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가공선을 작도하기 위한 가공선 작도장치; 및 상기 가이드레일의 레일홈을 가공하여 재생 및 복수하기 위한 레일 가공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수문과 수문의 가이드레일을 용이하게 재생 및 및 복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공선 작도장치는, 작도장치 본체; 상기 작도장치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보수용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거치부; 상기 작도장치 본체에 수평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평 이동유닛; 상기 수평 이동유닛에 상하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수로 바닥의 형태에 따라 승강 이동되며, 상단에 필기도구가 장착되어 이동시 상기 보수용 플레이트의 전면에 가공선을 작도하는 승강 작도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작도장치 본체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 각각의 상부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프레임; 상기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연결하여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자세를 조정하는 각도 조절부;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어 지지면에 대한 수평을 조절하여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로써, 상기 현장에서 작도장치를 안정적으로 배치하여 수문의 재생 및 복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 이동유닛은,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전면에 배치되어 수평이동 가능한 이동 브라켓; 상기 이동브라켓을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수평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이동 브라켓을 자동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로써, 승강 작도유닛을 수평으로 용이하게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승강 작도유닛은, 상기 이동 브라켓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 모듈; 상기 승강 모듈에 클램핑되어 결합되어 수로 바닥을 따라 이동되는 감지모듈; 및 상기 승강 모듈에 설치되는 필기구 클램퍼;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로써, 수로 바닥의 높낮이 구조를 보수용 플레이트의 일면에 동일하게 작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레일 가공장치는, 가공장치 본체; 상기 가공장치 본체에 수평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 블록; 상기 슬라이딩 블록에 자세 변경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 가이더; 상기 승강 가이더의 자세를 조정하는 자세 조정부; 상기 승강 가이더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수문 레일 가공모듈; 및 상기 수문 레일 가공모듈을 승강 구동시키는 모듈 승강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로써, 수문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을 현장에서 용이하게 재생 및 복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문 레일 가공모듈은, 상기 승강 가이더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 프레임; 및 상기 승강프레임의 하단에 교차하도록 설치되며, 구동툴을 회전 구동시키는 툴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로써, 가이드레일의 레일홈을 용이하게 가공하여 재생 및 복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문 재생 및 복구시스템에 따르면, 수문의 하단부를 재생하기 위한 보수용 플레이트를 수로의 바닥지형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가공할 수 있는 가공선을 보수용 플레이트에 정확하고 용이하게 작도할 수 있다.
따라서, 수문을 수로 바닥의 형상에 대응되게 재생 및 복구하여 수문을 닫을 때 수로와의 기밀성을 높여서 수로를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문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레일은 별도의 레일 가공장치를 현장에서 사용하여, 가이드레일을 자동으로 재생 및 복구할 수 있다. 따라서, 수문의 상하 운동 즉, 개폐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수문의 작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문 재생 및 복구시스템을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 및 도 4 각각은 도 1에 도시된 가공선 작도장치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가공선 작도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가공선 작도장치를 수로 상에 배치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상태를 보인 우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10은 재생한 수문을 나타내 보언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수문을 나타내 보인 우측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 각각은 도 1에 도시된 레일 가공장치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레일 가공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2에 도시된 레일 가공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6은 도 12에 도시된 레일 가공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17은 도 12에 도시된 레일 가공장치를 수로 상에 배치하여 가이드레일을 가공하는 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문 재생 및 복구시스템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문 재생 및 복구시스템은, 수문(10)의 하단에 결합할 보수용 플레이트(20)를 상기 수문(10)이 설치되는 수로(30)의 바닥(31)의 지형을 따라 가공할 수 있도록 절단선(21)을 작도하는 가공선 작도장치(100)와, 상기 수문(1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40)의 가이드면을 상하로 면 가공하기 위한 레일 가공장치(200)를 구비한다.
상기 가공선 작도장치(100)는 작도장치 본체(110)와, 작도장치 본체(110)에 설치되어 보수용 플레이트(20)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거치부(120)와, 상기 작도장치 본체(110)에 수평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평 이동유닛(130), 상기 수평 이동유닛(130)에 상하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수로 바닥(31)의 형태에 따라 승강 이동되는 승강 작도유닛(140)을 구비한다.
상기 작도장치 본체(110)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11), 양단이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11) 각각의 상부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프레임(113)과, 가이드프레임(113)과 베이스 프레임(111)을 연결하여 가이드프레임(113)의 자세를 조정하는 각도 조절부(115) 및 베이스 프레임(111)에 설치되어 지지면에 대한 수평을 조절하여 지지하는 지지부(117)를 구비한다.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11)은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 프레임(113)에 의해 연결된다. 베이스 프레임(111) 각각의 양단부에는 상기 지지부(117)가 설치되어 지지면에 대해 안정된 자세로 유지될 수 있다. 지지부(117)는 베이스 프레임(111)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높이 조절용 스크류(117a)와, 높이 조절용 스크류(117a)의 하단에 설치되는 수평 받침대(117b) 및 높이 조절용 스크류(117a)의 상부에 설치되는 회전손잡이(117c)를 구비한다. 이러한 지지부(117)가 각 베이스 프레임(111)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됨으로써, 각각의 지지부(117)의 높이를 조절하여 작업위치에서 가공선 작도장치(100)의 수평을 조절하여 배치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프레임(113)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틀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하단의 양측이 베이스 프레임(111)에 대해서 흰지(114)에 의해 회동되어 각도 조절될 수 있게 연결된다.
상기 각도 조절부(115)는 한 쌍이 구비되며, 각 각도 조절부(115)는 베이스 프레임(111)과 가이드 프레임(113)의 양측 후면의 상부를 연결하여, 가이드 프레임(113)을 베이스 프레임(111)에 대해서 각도 조절하여 자세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각도 조절부(115)는 가이드 프레임(113)에 링크 연결되는 제1링크바(115a)와, 베이스 프레임(111)에 링크 연결되는 제2링크바(115b)와, 제1 및 제2링크바(115a,115b)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15c)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링크바(115a,115b)는 연결부재(115c)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연결부재(115c)는 제1 및 제2링크바(115a,115b)와 스크류 결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연결부재(115c)를 회전시켜서 슬라이딩 위치를 변경하여 가이드 프레임(113)의 설치 각도를 조정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도 조절부(115)를 조절하여 베이스 프레임(111)에 대한 가이드프레임(113)의 자세를 조절하고, 자세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보수용 플레이트(20)를 플레이트 거치부(130)에 거치할 때에는 가이드 프레임(113)을 베이스 프레임(111) 쪽으로 기울인 자세로 변경함으로써, 보수용 플레이트(20)를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거치부(120)는 가이드 프레임(113)에 설치되는 다수의 클램핑모듈(121)과, 가이드 프레임(113)의 상단에 설치되어 보수용 플레이트(20)의 하부를 지지하는 걸림턱(123)을 구비한다.
상기 클램핑 모듈(121)은 가이드 프레임(113)의 상단에 걸쳐진 상태로 배치되는 보수용 플레이트(20)의 후면과 상단을 접촉하여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클램핑 모듈(121)은 가이드 프레임(113)에 결합되어 가이드 프레임(113)의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고정프레임(121a)과, 상기 고정프레임(121a)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 프레임(121b)과, 승강 프레임(121b)의 상단에서 절곡 연장되어 보수용 플레이트(20)의 상단을 접촉 지지하는 클램핑부재(121c)와, 클램핑부재(121c)에 설치되어 보수용 플레이트(20)를 가압하여 승강 프레임(121b)에 대해 밀착시켜 고정하는 조임부재(121d)를 구비한다.
상기 걸림턱(123)은 가이드 프레임(113)의 상단에 돌출되게 설치되고, 고정 프레임(121a)과는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보수용 플레이트(20)의 하단을 걸림턱(123)과 고정 프레임(121a) 사이에 위치하도록, 보수용 플레이트(20)를 가이드프레임(113)의 상단에 올려서 거치한다. 이때 보수용 플레이트(20)의 승강 프레임(121b)을 보수용 플레이트(20)의 높이만큼 이동시킨 상태에서 클램핑부재(121c)가 보수용 플레이트(20)의 상단을 접촉하여 감싸도록 위치시킨다. 그리고 나서, 조임부재(121d)를 조여주면, 보수용 플레이트(20)의 후면이 클램핑 모듈(121)에 밀착되어 안정적인 자세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평 이동유닛(130)은 가이드 프레임(113)의 전면에 배치되어 수평이동 가능한 이동 브라켓(131)과, 이동브라켓(131)을 가이드 프레임(113)을 따라 수평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가이드부(133)와, 이동 브라켓(131)을 자동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구동부(135)를 구비한다.
상기 이동 브라켓(131)은 판 구조를 가지며, 가이드 프레임(113)의 전면에 마주하여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부(133)는 적어도 한 쌍이 이동브라켓(131)과 가이드 프레임(113) 사이에 상하로 설치된다. 이러한 가이드부(133)는 가이드 프레임(113)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133a)과 제1가이드 레일(133a) 각각에 구름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가이드롤러(133b)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가이드부(133)에 의해 이동브라켓(131)이 수평으로 자연스럽게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구동부(135)는 가이드 프레임(113)의 전면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랙기어(135a)와, 상기 랙기어(135a)에 기어 연결되는 구동기어(135c)를 정방향 및 역방향 각각으로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135b)를 구비한다. 구동모터(135b)는 이동브라켓(131)에 설치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구동모터(135b)의 구동에 의해서 이동브라켓(131)을 수평방향으로 자동으로 이동시키고, 복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승강 작도유닛(140)은 이동 브라켓(131)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 모듈(141)과, 승강 모듈(141)에 클램핑되어 결합되어 수로 바닥을 따라 이동되는 감지모듈(143)과, 상기 승강 모듈(141)에 설치되는 필기구 클램퍼(145)를 구비한다.
상기 승강모듈(141)은 이동 브라켓(131)에 설치되는 복수의 가이드롤러(141a)와, 가이드롤러(141a)에 대해 승강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블록(141b)과, 승강블록(141b)에 설치되어 감지모듈(143)을 클램핑하는 감지모듈 클램퍼(141c)를 구비한다. 승강블록(141b)은 상하로 긴 각지 파이프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양측면에는 가이드롤러(141a)에 연결되는 가이드리브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승강블록(141a)의 전면에는 상하 복수 위치에 감지모듈 클램퍼(141c)가 설치되어 감지모듈(143)을 클램핑하여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감지모듈(143)은 상하로 길게 형성된 감지바(143a)와, 감지바(143a)의 하단에 설치되는 접촉롤러(143b)를 가진다. 감지바(143a)는 상기 클램퍼(141c)에 결합되어 고정되어, 승강모듈(111)과 일체로 승강 이동된다. 감지바(143a)의 하단에 설치된 접촉롤러(143b)는 수로의 바닥면에 닿아서 구름 운동하면서 수로 바닥의 형상(높낮이)에 따라서 감지모듈(143)이 승강 이동되면서 수평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감지바(143a)는 수문의 크기(깊이)에 따라서 다양한 사이즈가 준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모듈(141)의 상부에는 필기구 클램퍼(145)가 설치된다. 필기구 클램퍼(145)에는 수평 이동시 보수용 플레이트(20)의 전면에 수로(30) 바닥형상(높낮이 구조)에 대응되는 가공선을 작도하는 필기구(147)가 장착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가공선 작도장치(10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구할 수문이 설치된 수로(30)의 상부 즉, 수로를 구성하는 수로 블록(콘크리트 블록) 상에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수문(20)에 결합하여 보수하기 위한 보수용 플레이트(20)를 플레이트 거치부(120)에 장착한다. 그리고 승강 작도유닛(140)이 수로(30)의 수문 결합구(35)를 통과시켜서 수로(30) 내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그러면, 승강모듈(141)은 하중에 의해 하강하여 접촉롤러(143b)가 수로(30)의 바닥(31)에 접촉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수평 이동유닛(130)을 이동시키면, 바닥(31)의 구조(높낮이)에 따라서 승강모듈(141)이 상하로 이동되면서 수평 이동된다. 이때, 승강모듈(141)의 상부에 장착된 필기구(147)에 의해서 보수용 플레이트(20)의 전면에 가공선(21)이 수로(30)의 바닥(31)과 동일한 구조로 작도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보수용 플레이트(20)에 가공선(21)을 작도한 후에, 보수용 플레이트(20)를 분리하여 가공선(21)을 따라서 절단하여 가공한다. 그리고 가공선(21)을 따라 절단된 보수용 플레이트(20')를 도 10 및 도 11과 같이 수문(10)의 하단에 연결부재(15)를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써, 수문(10)을 수로(30)의 바닥(31) 형상에 대응되는 하단형상을 가지도록 보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수문(10)을 폐쇄시 수로(30)와 수문(10) 간의 기밀성을 높여서 물이 새나가는 것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도 1, 도 12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레일 가공장치(200)는 가공장치 본체(210)와, 가공장치 본체(210)에 수평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 블록(220)과, 슬라이딩 블록(220)에 자세 변경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 가이더(230), 승강 가이더(230)의 자세를 조정하는 자세 조정부(240), 승강 가이더(24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수문 레일 가공모듈(250), 수문 레일 가공모듈(250)을 승강 구동시키는 모듈 승강유닛(260)을 구비한다.
상기 가공장치 본체(210)의 하부에는 바퀴(211)와, 작업위치에서 수평상태를 유지하여 고정하기 위한 수평 지지부(213)가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딩 블록(220)은 가공장치 본체(210)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221)에 수평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가공장치 본체(210)에는 슬라이딩 블록(220)을 수평으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223)가 설치된다.
상기 승강 가이더(230)는 하단부 또는 중앙 부분이 슬라이딩 블록(22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단부는 상기 자세 조정부(240)에 의해 슬라이딩 블록(220)대해 자세 조정 가능하게 연결되다. 이러한 승강 가이더(230)는 상하 수직으로 배치되어 수문 레일 가공모듈(25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한다.
상기 자세 조정부(240)는 슬라이딩 블록(220)에 설치되어 승강 가이더(230)의 상단부를 밀거나 잡아당기도록 설치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자세 조정부(240)는 양단이 슬라이딩 블록(220)과 승강 가이더(230)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자세 조정부(240) 즉, 액추에이터의 구동시 승강 가이더(230)를 밀거나 당기는 동작을 통해 자세를 조정하여 작업을 위한 최적의 자세, 예를 들어 수직자세로 조정할 수 있다.
수문 레일 가공모듈(250)은 승강 가이더(230)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 프레임(251)과, 상기 승강프레임(251)의 하단에 교차하도록 설치되는 툴 구동부(253)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툴 구동부(253)는 승강 프레임(251)의 하단에 수평자세 즉, 승강 프레임(251)에 직교하는 자세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동축에 설치된 가공툴(253a)을 회전구동시킴으로써, 수문(30)의 가이드레일(40)의 내측 가이드면을 가공하여, 보수 내지 복구할 수 있다.
상기 모듈 승강유닛(260)은 슬라이딩 블록(220)에 설치되는 와이어 구동모터(261)와, 일단은 승강 프레임(251)의 하단에 연결되어 와이어 구동모터(261)에 의해 권취되는 구동와이어(263)을 구비한다. 승강 프레임(251)의 상단부에는 구동와이어(263)의 주행을 가이드하는 와이어 가이드풀리(265)가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와이어 구동모터(261)의 구동에 의해 구동와이어(263)가 권취되어 당겨지면 승가프레임(251)이 상승하게 된다. 반대로 와이어 구동모터(261)가 구동와이어(263)를 서서히 풀어주면, 승강 프레임(251)은 하중에 의해 하강하게 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레일 가공장치(200)는 수문(10)의 승강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레일(40)의 가이드면을 보수 또는 복구하기 위한 것으로서, 작업시 도 1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로의 상부로 이동되어 작업위치에서 수평 지지부(213)에 의해 안정된 자세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슬라이딩 블록(220)의 수평 위치를 미세 조정하고, 수문 레일 가공모듈(250)의 자세를 자세 조정부(240)를 이용하여 미세 조정함으로써, 가공툴(253a)이 가이드레일(40)의 가이드레일면 즉, 레일홈 내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모듈 승강유닛(260)을 구동하여 승강프레임(251)을 승강 이동시키면서, 툴 구동부(253)를 구동시키면, 가공툴(253a)에 의한 가이드레일(40)의 보수 또는 복수 가공공정이 이루어진다. 이때, 가공툴(253a)을 이용하여 가이드레일(40)의 레일홈을 한쪽을 우선적으로 가공한 후, 가공툴(253a)을 이동시켜서 다른 면을 차례로 가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가공툴(263a)에 의해서 불균일하거나 변형된 가이드레일(40)의 레일홈을 수문(10)이 용이하게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복수 및 복구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문 재생 및 복구장치에 의하면, 수문(10)을 수로(30)의 바닥(3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정확하게 재생 및 복구할 수 있도록 보수용 플레이트(20)에 가공선(21)을 정확하게 작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도된 보수용 플레이트(20)의 가공선(21)을 절취한 뒤, 절취된 보수용 플레이트(20')를 수문(10)에 결합함으로써 수문(10)을 수로(30)에 형상에 대응되게 재생 및 복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레일 가공장치(200)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수문(1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40)을 절삭 등의 방법으로 가공함으로써, 오랜 시간 사용시 변형되고 이물질이 달라붙는 등의 현상으로 인하여 수문(10)의 자연스러운 승강 이동을 방해하는 부분을 제거하여, 수문(10)이 자연스럽게 승강 이동될 수 있도록 재생 및 복구할 수 있게 된다. 즉, 가이드레일(40)의 레일홈에 모래, 돌 등이 끼어서 수문의 정상적이 이동을 방해할 수 있고, 파손이나 변형 등에 의해서 가이드레일(40)의 수직 가이드면이 불균일해질 수 있는데, 이러한 문제점들은 본원의 레일 가공장치(200)를 이용하여 해결함으로써, 수문(10)의 정상적인 개폐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수문 20..보수용 플레이트
30..수로 40..가이드레일
100..가공선 작도장치 110..작도장치 본체
120..플레이트 거치부 130..수평 이동유닛
140..승강 작도유닛 200..레일 가공장치
210..가공장치 본체 220..스라이딩 블록
230..승강 가이더 240..자세 조정부
250..수문 레일 가공모듈 260..모듈 승강유닛

Claims (7)

  1. 수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수문 및 상기 수문의 승강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을 재생 및 복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수문을 보수할 보수용 플레이트에 상기 수로의 바닥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가공선을 작도하기 위한 가공선 작도장치; 및
    상기 가이드레일의 레일홈을 가공하여 재생 및 복수하기 위한 레일 가공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 재생 및 복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선 작도장치는,
    작도장치 본체;
    상기 작도장치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보수용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거치부;
    상기 작도장치 본체에 수평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평 이동유닛;
    상기 수평 이동유닛에 상하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수로 바닥의 형태에 따라 승강 이동되며, 상단에 필기도구가 장착되어 이동시 상기 보수용 플레이트의 전면에 가공선을 작도하는 승강 작도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 재생 및 복구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도장치 본체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 각각의 상부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프레임;
    상기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연결하여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자세를 조정하는 각조 조절부;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어 지지면에 대한 수평을 조절하여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 재생 및 복구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이동유닛은,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전면에 배치되어 수평이동 가능한 이동 브라켓;
    상기 이동브라켓을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수평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이동 브라켓을 자동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 재생 및 복구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승강 작도유닛은,
    상기 이동 브라켓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 모듈;
    상기 승강 모듈에 클램핑되어 결합되어 수로 바닥을 따라 이동되는 감지모듈; 및
    상기 승강 모듈에 설치되는 필기구 클램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 재생 및 복구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가공장치는,
    가공장치 본체;
    상기 가공장치 본체에 수평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 블록;
    상기 슬라이딩 블록에 자세 변경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 가이더;
    상기 승강 가이더의 자세를 조정하는 자세 조정부;
    상기 승강 가이더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수문 레일 가공모듈; 및
    상기 수문 레일 가공모듈을 승강 구동시키는 모듈 승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 재생 및 복구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문 레일 가공모듈은,
    상기 승강 가이더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 프레임; 및
    상기 승강프레임의 하단에 교차하도록 설치되며, 구동툴을 회전 구동시키는 툴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 재생 및 복구시스템.
KR1020200005595A 2020-01-15 2020-01-15 수문 재생 및 복구 시스템 KR102367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595A KR102367430B1 (ko) 2020-01-15 2020-01-15 수문 재생 및 복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595A KR102367430B1 (ko) 2020-01-15 2020-01-15 수문 재생 및 복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2072A true KR20210092072A (ko) 2021-07-23
KR102367430B1 KR102367430B1 (ko) 2022-02-24

Family

ID=77155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5595A KR102367430B1 (ko) 2020-01-15 2020-01-15 수문 재생 및 복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743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8342Y1 (ko) * 2003-10-18 2004-04-28 김미 수로개폐용 수문
JP2008075258A (ja) * 2006-09-19 2008-04-03 Yamaguchi Univ 整流装置
KR101057150B1 (ko) 2010-12-30 2011-08-17 덕상이엔지 주식회사 유압식 수문 개폐 장치
KR20120133108A (ko) * 2011-05-30 2012-12-10 현대제철 주식회사 레일용 연마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8342Y1 (ko) * 2003-10-18 2004-04-28 김미 수로개폐용 수문
JP2008075258A (ja) * 2006-09-19 2008-04-03 Yamaguchi Univ 整流装置
KR101057150B1 (ko) 2010-12-30 2011-08-17 덕상이엔지 주식회사 유압식 수문 개폐 장치
KR20120133108A (ko) * 2011-05-30 2012-12-10 현대제철 주식회사 레일용 연마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7430B1 (ko) 2022-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68566C (zh) 在轧制线或输送线上横向切割板带材时更换剪切机的方法和装置
KR102148916B1 (ko) 샤시 용접장치 및 그 용접방법
US5704959A (en) Device for dividing laminated glass
GB2337015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work operations on a surface of one or more lenses
KR102367430B1 (ko) 수문 재생 및 복구 시스템
GB2429180A (en) Work piece clamp device
KR20040007222A (ko) 글래스의 가공장치
KR101307837B1 (ko) 플레이트 상하부 모서리의 동시 면취가공이 가능한 면취장치
JPH06315842A (ja) 鋼管加工装置の補助保持装置
KR102463799B1 (ko) 슬라이드식 방재용 차수문
DE19632143A1 (de) Maschine zum Schleifen von Holzrahmen
CN208162229U (zh) 一种iphone内屏清洗机的清洗机构
CN210847003U (zh) 一种涂层机的刮浆装置
CN209868734U (zh) 一种裁切机用可调式定位机构
GB2084923A (en) Horizontal bandsaw machines
KR101606114B1 (ko) 베드 청소 장치
CN109396650A (zh) 一种两工位切换的侧围流水槽激光焊夹具
KR200279434Y1 (ko) 판금가공기계용 자동 백게이지장치
JP4249209B2 (ja) 鋼材のリブ板切断痕切削装置
US2233437A (en) Straightening machine
US11845152B2 (en) Workpiece support system for rotary machine
SU1323683A1 (ru) Штукатурна машина
JPS599779Y2 (ja) 切断機における束ねバイス装置
CN218080742U (zh) 一种门窗用型材夹持机构
KR102657808B1 (ko) 경사형 자외선 소독설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