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2040A - 보조 엔진오일 탱크를 구비하는 농작업차량 - Google Patents

보조 엔진오일 탱크를 구비하는 농작업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2040A
KR20210092040A KR1020200005525A KR20200005525A KR20210092040A KR 20210092040 A KR20210092040 A KR 20210092040A KR 1020200005525 A KR1020200005525 A KR 1020200005525A KR 20200005525 A KR20200005525 A KR 20200005525A KR 20210092040 A KR20210092040 A KR 20210092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oil
oil
work vehicle
agricultural work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5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철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5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2040A/ko
Publication of KR20210092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20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004Oils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16Controlling lubricant pressure or quant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10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 F01M11/12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concerning lubricant lev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2011/0095Supplementary oil ta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조 엔진오일 탱크를 구비하는 농작업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내연기관에 지속적으로 엔진오일을 보충하여 줄 수 있는 보조 엔진오일 탱크를 구비하는 농작업차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엔진(2)의 오일팬(20)으로 공급하기 위한 엔진오일(50)이 저장된 보조엔진오일탱크(31); 상기 보조엔진오일탱크(31)와 연결되어 엔진오일(50)의 공급을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유류관(32); 상기 유류관(32)을 거쳐 전달된 엔진오일(50)을 상기 오일팬(20)으로 투입하는 엔진오일투입부(33); 및 상기 엔진오일투입부(33)를 통해 유입되는 엔진오일(50)의 유입 여부를 조절하는 개폐부(34);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34)는 상기 엔진오일(50) 보다 낮은 비중을 가지면서 상기 오일팬(20)의 엔진오일(50)의 수위 승강에 따라 이동되어 상기 엔진오일투입부(33)를 통해 유입되는 엔진오일(50)의 투입 여부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엔진오일탱크(31)를 구비하는 농작업차량(1)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보조 엔진오일 탱크를 구비하는 농작업차량 {AGRICULTURAL WORKING VEHICLE WITH AUXILIARY ENGINE OIL TANK}
본 발명은 보조 엔진오일 탱크를 구비하는 농작업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내연기관에 지속적으로 엔진오일을 보충하여 줄 수 있는 보조 엔진오일 탱크를 구비하는 농작업차량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트랙터 등 농작업차량(1)에서는,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엔진(2)의 동력을 이용하여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엔진(2)에서 엔진오일은 윤활, 방청, 냉각, 기밀, 세정 작용을 하게 되며, 이중 윤활 작용은 엔진오일의 핵심 역할이라고 할 수 있다.
만약, 엔진(2)에 엔진오일이 과부족한 상태로 운행을 하게 되면 피스톤 등 부품에 마모가 발생하고 소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엔진오일을 적정하게 유지하는 것은 내연기관의 성능 및 관리에 매우 중요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엔진오일의 소모량은 상기 엔진(2)의 배기량에 따라 비례하게 되며, 상기 엔진(2)을 고속, 과부하상태에서 구동시키게 되면 엔진오일 소모량은 더욱 늘어나게 된다. 특히, 다양한 과부하 조건에서 운행하게 되는 농업용차량(1)의 엔진(2)은 엔진오일 소모량이 크게 늘어나게 되며, 이에 따라 엔진오일을 적정량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관리하고 보충하는 것이 중요하게 된다.
엔진오일 소모량이 많을 경우 엔진(2)의 오일팬 용량을 크게 설계하여 점검 및 보충 주기를 줄일 수 있겠으나, 트랙터 등 농작업차량(1)의 경우 오앨팬 하부에 4륜축이 통과하고 최저 지상고에 대한 제약이 있는 등 오일팬 용량을 늘리는데 많은 제약이 따르게 된다.
또한, 엔진오일의 보충 주기를 늘리기 위하여 엔진오일을 엔진오일 주입 상한선 이상으로 주입하여 사용하는 경우, 크랭크 샤프트가 회전하면서 엔진오일에 접촉하게 되어 엔진오일에 공기 입자를 생성시키고, 이로 인해 오일막이 얇아지면서 엔진(2)의 마모를 유발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수시로 엔진오일의 양을 직접 확인하여 적정량으로 보충하여 주는 것이 필요하나, 이는 작업자에게 매우 번거로운 작업이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엔진오일의 점검 및 보충 작업을 누락하는 경우 엔진(2)의 성능 저하 및 손상까지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따르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45751호(2006.05.1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농작업차량(1)에서 엔진(2)의 구동에 따라 소모되는 엔진오일을 자동으로 적정량까지 보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엔진(2)의 마모 및 손상을 방지하고 상기 엔진(2)의 최적 성능을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는 농작업차량(1)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 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엔진오일탱크(31)를 구비하는 농작업차량(1)은, 엔진(2)의 오일팬(20)으로 공급하기 위한 엔진오일(50)이 저장된 보조엔진오일탱크(31); 상기 보조엔진오일탱크(31)와 연결되어 엔진오일(50)의 공급을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유류관(32); 상기 유류관(32)을 거쳐 전달된 엔진오일(50)을 상기 오일팬(20)으로 투입하는 엔진오일투입부(33); 및 상기 엔진오일투입부(33)를 통해 유입되는 엔진오일(50)의 유입 여부를 조절하는 개폐부(34);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34)는 상기 엔진오일(50) 보다 낮은 비중을 가지면서 상기 오일팬(20)의 엔진오일(50)의 수위 승강에 따라 이동되어 상기 엔진오일투입부(33)를 통해 유입되는 엔진오일(50)의 투입 여부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보조엔진오일탱크(31)는, 상기 오일팬(20)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어 중력에 의해 엔진오일(50)을 상기 유류관(32)을 통해 상기 오일팬(20)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34)는, 상기 엔진오일투입부(33)의 내부 공간에 내장되며, 상기 오일팬(20)의 엔진오일(50)의 수위 변경에 따라 상기 내부 공간 내에서 상하 이동하면서 상기 엔진오일투입부(33)를 통해 유입되는 엔진오일(50)의 유입 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엔진오일투입부(33)에는 상기 오일팬(20)의 엔진오일(50)의 수위가 낮아지더라도 상기 개폐부(34)가 상기 내부 공간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35)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엔진오일투입부(33)에는, 상기 오일팬(20)의 엔진오일(50)이 미리 정해진 수위까지 상승하는 경우 상기 개폐부(34)가 상승하면서 접촉하게 되는 제1영역(33a)과, 상기 제1영역(33a)의 종단에 연결되는 제2영역(33b)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영역(33a)은 미리 정해진 각도로 기울어진 테이퍼 형상을 이루어 상기 개폐부(34)가 상기 제1영역(33a)에 고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엔진오일투입부(33)의 내부 공간은 원통형 구조를 이루며, 상기 개폐부(34)는 관통구(34a)를 구비하는 원판형 형상을 이루어, 상기 오일팬(20)의 엔진오일(50)이 미리 정해진 수위까지 상승하는 경우 상기 개폐부(34)가 상승하면서 상기 관통구(34a)가 상기 원통형 구조의 내부 공간 상부에 의해 막혀 상기 엔진오일(50)의 유입이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류관(32)에는 온오프스위치(32a)가 구비되어, 상기 농작업차량(1)의 주행 중에는 상기 엔진오일(50)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농작업차량(1)의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는 기울기센서(40)가 구비되어, 상기 농작업차량(1)이 미리 정해진 기울기 이상의 경사지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엔진오일(50)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엔진오일탱크(31)에는 상기 엔진오일(50)의 잔량을 감지할 수 있는 오일센서(31a)가 구비되어, 상기 보조엔진오일탱크(31)에서 상기 엔진오일(50)의 잔량이 미리 정해진 기준치 이하로 떨어지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엔진오일탱크(31)를 구비하는 농작업차량(1)에서는, 엔진(2)의 구동에 따라 소모되는 엔진오일을 자동으로 적정량까지 보충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가진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엔진오일탱크(31)를 구비하는 농작업차량(1)에서는, 상기 엔진(2)의 마모 및 손상을 방지하고 상기 엔진(2)의 최적 성능을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통상의 농작업차량(1)의 예시도이다.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엔진오일탱크(31)를 구비하는 농작업차량(1)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오일투입부(33) 및 개폐부(34)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엔진오일탱크(31)를 구비하는 농작업차량(1)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오프스위치(32a)를 구비하는 경우의 유압 회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엔진오일탱크(31)를 구비하는 농작업차량(1)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기초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엔진오일탱크(31)를 구비하는 농작업차량(1)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a 및 도 2b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엔진오일탱크(31)를 구비하는 농작업차량(1)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a 및 도 2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엔진오일탱크(31)를 구비하는 농작업차량(1)은, 엔진(2)의 오일팬(20)으로 공급하기 위한 엔진오일(50)이 저장된 보조엔진오일탱크(31), 상기 보조엔진오일탱크(31)와 연결되어 엔진오일(50)의 공급을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유류관(32), 상기 유류관(32)을 거쳐 전달된 엔진오일(50)을 상기 오일팬(20)으로 투입하는 엔진오일투입부(33) 및 상기 엔진오일투입부(33)를 통해 유입되는 엔진오일(50)의 투입 여부를 조절하는 개폐부(3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개폐부(34)는 상기 엔진오일(50) 보다 낮은 비중을 가지면서 상기 오일팬(20)의 엔진오일(50)의 수위 승강에 따라 이동되어 상기 엔진오일투입부(33)를 통해 상기 오일팬(20)으로 유입되는 엔진오일(50)의 유입을 개폐 동작을 통해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엔진오일탱크(31)를 구비하는 농작업차량(1)에서는, 엔진(2)의 구동에 따라 소모되는 엔진오일을 상기 개폐부(34)의 개폐 동작을 통해 자동으로 적정량까지 보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엔진(2)의 마모 및 손상을 방지하고 나아가 상기 엔진(2)의 최적 성능을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엔진오일탱크(31)를 구비하는 농작업차량(1)을 각 구성 요소 별로 나누어 보다 자세하게 살핀다.
먼저, 상기 보조엔진오일탱크(31)에서는 엔진(2)의 오일팬(20)으로 엔진오일(50)을 공급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엔진오일탱크(31)는 상기 엔진오일(50)을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금속 재질,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보조엔진오일탱크(31)는 별도의 구조물로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엔진(2)과 일체형으로 제작되거나 다른 구조물과 일체형으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상기 보조엔진오일탱크(31)는 상기 오일팬(20)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어, 중력에 의해 엔진오일(50)을 상기 유류관(32)을 통해 상기 오일팬(20)으로 공급함으로써 펌프 등 별도의 장치 없이 상기 엔진오일(50)을 상기 오일팬(20)으로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유류관(32)은 상기 보조엔진오일탱크(31)와 연결되어 엔진오일(50)의 공급을 위한 경로를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유류관(32)은 상기 보조엔진오일탱크(31)와 엔진오일투입부(33)를 연결하는 금속 재질, 플라스틱 재질 등의 파이프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상기 유류관(32)의 일부 또는 전부 구간은 드릴 공정 등을 통해 상기 엔진(2)과 일체화 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유류관(32)은 상기 보조엔진오일탱크(31)의 엔진오일(50)을 엔진오일투입부(33)로 공급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엔진오일투입부(33)에서는 상기 유류관(32)을 거쳐 전달된 엔진오일(50)을 엔진(2)의 오일팬(20)으로 투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엔진오일투입부(33)는 상기 엔진(2) 하부의 오일팬(20) 영역 또는 이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엔진(2)의 구동에 따른 기계적, 열적 환경에도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금속 재질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34)는 상기 오일팬(20)의 엔진오일(50)이 미리 정해진 수위에 이르면 상기 엔진오일투입부(33)를 통해 유입되는 엔진오일(50)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폐부(34)는 상기 엔진오일(50) 보다 낮은 비중을 가지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오일팬(20)의 엔진오일(50)의 수위 승강에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엔진오일투입부(33)를 통해 상기 오일팬(20)으로 유입되는 엔진오일(50)의 유입을 개폐 동작을 통해 조절하게 된다.
나아가, 상기 개폐부(34)는, 도 2a 및 도 2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엔진오일투입부(33)의 내부 공간에 내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오일팬(20)의 엔진오일(50)의 수위 변경에 따라 상기 내부 공간 내에서 상하 이동하면서(도 2a의 (M)) 상기 엔진오일투입부(33)를 통해 유입되는 엔진오일(50)의 투입 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오일팬(20)의 엔진오일(50)의 수위(도 2a의 (H1))가 미리 정해진 수위(예를 들어, 엔진오일(50) 허용 범위의 최대치, 도 2a의 (H0)) 보다 낮은 경우, 상기 엔진오일투입부(33)에는 상기 보조엔진오일탱크(31)로부터 공급된 엔진오일(50)이 유입될 수 있는 충분한 경로가 확보되어 엔진오일(50)이 원활하게 상기 오일팬(20)으로 투입될 수 있다.
이어서, 도 2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엔진오일(50)의 투입으로 상기 오일팬(20)의 엔진오일(50)의 수위가 미리 정해진 수위(도 2a의 (H0))까지 상승하는 경우, 부력에 의해 상기 개폐부(34)도 상승하면서 상기 엔진오일투입부(33)에서 상기 엔진오일(50)이 유입될 수 있는 경로를 차단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엔진(2)의 오일팬(20)에는 엔진오일(50) 허용 범위에서 자동적으로 엔진오일(50)이 보충될 수 있게 되고, 허용 범위까지 자동적으로 엔진오일(50)이 보충된 경우, 상기 개폐부(34) 상승으로 인해 엔진오일투입부(33)의 경로 또한 자동 차단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엔진(2)의 구동에 따라 상기 오일팬(20)의 엔진오일(50)의 수위가 낮아지면, 상기 개폐부(34)가 상기 엔진오일투입부(33)의 하측 방향으로 개방되면서 상기 엔진오일(50)이 다시 상기 오일팬(20)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위에서는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치로서 상기 엔진오일(50) 허용 범위의 최대치를 사용하는 경우를 들고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치로서 상기 엔진오일(50) 허용 범위 중 최적치 등을 사용하거나, 작업 환경 등에 따라 상기 기준치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엔진오일투입부(33)에는,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오일팬(20)의 엔진오일(50)의 수위가 낮아지더라도 상기 개폐부(34)가 상기 내부 공간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35)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오일팬(20)의 엔진오일(50)의 수위가 상당히 낮아지는 경우에도 상기 개폐부(34)는 상기 엔진오일투입부(33)의 내부 공간에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3에서는 망 구조물을 사용하여 상기 이탈방지부(35)를 구성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엔진오일투입부(33)에 구비되는 돌출 구조 등을 이용하여 상기 개폐부(34)가 상기 내부 공간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탈방지부(35)를 구성하는 등 다양한 구조로 상기 이탈방지부(35)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엔진오일탱크(31)를 구비하는 농작업차량(1)에서 상기 엔진오일투입부(33)에는, 상기 오일팬(20)의 엔진오일(50)이 미리 정해진 수위까지 상승하는 경우 상기 개폐부(34)가 상기 엔진오일투입부(33) 내에서 상대적으로 상측 방향으로 상승하면서 접촉하게 되는 제1영역(33a)과, 상기 제1영역(33a)의 종단에 연결되는 제2영역(33b)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1영역(33a)은 미리 정해진 각도로 기울어진 테이퍼 형상을 이루어 상기 개폐부(34)가 상기 제1영역(33a)에 고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오일팬(20)의 엔진오일(50)의 수위가 낮은 경우에는 상기 개폐부(34)가 상기 제2영역(33b)에 위치하면서 측방으로 여유 공간을 갖추어(도 4의 (A)) 상기 엔진오일(50)이 유입될 수 있는 충분한 경로를 제공하게 되며, 반면 상기 오일팬(20)의 엔진오일(50)의 수위가 미리 정해진 기준치까지 상승하는 경우에는 상기 개폐부(34)가 상기 제1영역(33a) 방향으로 이동하면서(도 4의 (B)) 상기 제1영역(33a)와 접촉하여 유입되는 엔진오일(50)을 차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영역(33a)은 미리 정해진 각도(도 4의 θ1)로 기울어진 테이퍼 형상을 이루어, 상기 개폐부(34)가 상기 제1영역(33a)에 고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제1영역(33a)의 각도(도 4의 θ1)가 큰 경우에는 상기 개폐부(34)가 상측 방향으로 힘을 받으면서 상기 제1영역(33a)에 끼여 고정되는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나, 상기 제1영역(33a)의 각도(도 4의 θ1)를 작게 구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개폐부(34)가 상측 방향으로 힘을 받더라도 상기 개폐부(34)가 상기 제1영역(33a)에 고정되는 것을 방지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조엔진오일탱크(31)를 구비하는 농작업차량(1)이 보다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엔진오일탱크(31)를 구비하는 농작업차량(1)에서, 상기 엔진오일투입부(33)의 내부 공간은 원통형 구조를 이루고, 상기 개폐부(34)는 관통구(34a)를 구비하는 원판형 형상을 이루어, 상기 오일팬(20)의 엔진오일(50)이 미리 정해진 수위까지 상승하는 경우 상기 개폐부(34)가 상승하면서 상기 관통구(34a)가 상기 원통형 구조의 내부 공간 상부에 의해 막혀 상기 엔진오일(50)의 유입이 차단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오일팬(20)의 엔진오일(50)의 수위가 낮은 경우에는 상기 개폐부(34)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도 5의 (D)) 상기 개폐부(34)에 구비되는 관통구(34a)를 통해 엔진오일(50)이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으나, 상기 오일팬(20)의 엔진오일(50)의 수위가 미리 정해진 기준치까지 상승하는 경우에는 상기 개폐부(34)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도 5의 (C)) 상기 관통구(34a)가 상기 원통형 구조의 내부 공간 상부(도 5의 (E))에 의해 막혀 상기 엔진오일(50)의 유입이 차단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개폐부(34)는 상기 오일팬(20)의 엔진오일(50)의 수위 승강에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보조엔진오일탱크(31)로부터 유입되는 엔진오일(50)을 안정적으로 개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엔진오일탱크(31)를 구비하는 농작업차량(1)에서, 상기 유류관(32)에는 온오프스위치(32a)가 구비되어, 상기 농작업차량(1)의 주행 중에는 상기 엔진오일(50)의 공급을 차단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트랙터 등 농작업차량(1)의 경우 경사도가 급격하게 변화하는 경사지 등 험지에서의 작업이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바, 경사지 등에서의 주행 중에는 상기 오일팬(20)의 엔진오일(50) 수위도 크게 변동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유류관(32)에 온오프스위치(32a)를 구비하여, 상기 농작업차량(1)의 주행 중에는 상기 엔진오일(50)의 공급을 차단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농작업차량(1)의 주행 여부는 속도 센서 등을 사용하거나 속도계 등으로부터 산출되는 데이터를 사용하여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엔진오일탱크(31)를 구비하는 농작업차량(1)에서는 농작업차량(1)의 주행 상태 여부를 고려하여 상기 엔진오일(50)의 공급을 제어하여 줌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오일팬(20)의 엔진오일(50) 수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도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엔진오일탱크(31)를 구비하는 농작업차량(1)에는 상기 농작업차량(1)의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는 기울기센서(40)가 구비되어, 상기 농작업차량(1)이 미리 정해진 기울기 이상의 경사지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엔진오일(50)의 공급을 차단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농작업차량(1)이 경사지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농작업차량(1)이 정지 상태에 있더라도 상기 오일팬(20)의 엔진오일(50) 수위도 기울어지면서 상기 보조엔진오일탱크(31)로부터 과도하게 엔진오일(50)이 공급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기울기센서(40)를 이용하여 상기 농작업차량(1)이 경사지에 위치하는 경우를 감지하여 상기 엔진오일(50)의 공급을 차단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엔진오일탱크(31)를 구비하는 농작업차량(1)에서는 농작업차량(1)의 기울기 상태를 고려하여 상기 엔진오일(50)의 공급을 제어하여 줌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오일팬(20)의 엔진오일(50) 수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엔진오일탱크(31)를 구비하는 농작업차량(1)에서, 상기 보조엔진오일탱크(31)에는 상기 엔진오일(50)의 잔량을 감지할 수 있는 오일센서(31a)가 구비되어, 상기 보조엔진오일탱크(31)에서 상기 엔진오일(50)의 잔량이 미리 정해진 기준치 이하로 떨어지는지 여부를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엔진오일탱크(31)를 구비하는 농작업차량(1)에서는, 상기 보조엔진오일탱크(31)의 엔진오일(50) 잔량이 미리 정해진 기준치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운전자에게 알람을 제공하여 엔진오일(50)을 보충하도록 하거나, 상기 온오프스위치(32a)를 제어하여 상기 오일팬(20)으로 엔진오일(50)이 공급되는 공급량을 제한하거나 공급시간을 한정함으로써, 상기 보조엔진오일탱크(31)의 엔진오일(50)이 완전히 고갈되는 시점을 지연시키도록 조절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엔진오일탱크(31)를 구비하는 농작업차량(1)에서는, 엔진(2)의 구동에 따라 소모되는 엔진오일을 자동으로 적정량까지 보충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엔진(2)의 마모 및 손상을 방지하고, 나아가 상기 엔진(2)의 최적 성능을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농작업차량 2 : 엔진
20 : 오일팬
31 : 보조엔진오일탱크 31a : 오일센서
32 : 유류관 32a : 온오프스위치
33 : 엔진오일투입부 33a : 제1영역
33b : 제2영역 34 : 개폐부
34a : 관통구 35 : 이탈방지부
40 : 기울기센서 50 : 엔진오일

Claims (9)

  1. 엔진(2)의 오일팬(20)으로 공급하기 위한 엔진오일(50)이 저장된 보조엔진오일탱크(31);
    상기 보조엔진오일탱크(31)와 연결되어 엔진오일(50)의 공급을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유류관(32);
    상기 유류관(32)을 거쳐 전달된 엔진오일(50)을 상기 오일팬(20)으로 투입하는 엔진오일투입부(33); 및
    상기 엔진오일투입부(33)를 통해 유입되는 엔진오일(50)의 유입 여부를 조절하는 개폐부(34);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34)는 상기 엔진오일(50) 보다 낮은 비중을 가지면서 상기 오일팬(20)의 엔진오일(50)의 수위 승강에 따라 이동되어 상기 엔진오일투입부(33)를 통해 유입되는 엔진오일(50)의 투입 여부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엔진오일탱크(31)를 구비하는 농작업차량(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엔진오일탱크(31)는,
    상기 오일팬(20)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어 중력에 의해 엔진오일(50)을 상기 유류관(32)을 통해 상기 오일팬(20)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엔진오일탱크(31)를 구비하는 농작업차량(1).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34)는,
    상기 엔진오일투입부(33)의 내부 공간에 내장되며,
    상기 오일팬(20)의 엔진오일(50)의 수위 변경에 따라 상기 내부 공간 내에서 상하 이동하면서 상기 엔진오일투입부(33)를 통해 유입되는 엔진오일(50)의 유입 여부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엔진오일탱크(31)를 구비하는 농작업차량(1).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오일투입부(33)에는 상기 오일팬(20)의 엔진오일(50)의 수위가 낮아지더라도 상기 개폐부(34)가 상기 내부 공간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3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엔진오일탱크(31)를 구비하는 농작업차량(1).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오일투입부(33)에는,
    상기 오일팬(20)의 엔진오일(50)이 미리 정해진 수위까지 상승하는 경우 상기 개폐부(34)가 상승하면서 접촉하게 되는 제1영역(33a)과, 상기 제1영역(33a)의 종단에 연결되는 제2영역(33b)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영역(33a)은 미리 정해진 각도로 기울어진 테이퍼 형상을 이루어 상기 개폐부(34)가 상기 제1영역(33a)에 고정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엔진오일탱크(31)를 구비하는 농작업차량(1).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오일투입부(33)의 내부 공간은 원통형 구조를 이루며,
    상기 개폐부(34)는 관통구(34a)를 구비하는 원판형 형상을 이루어,
    상기 오일팬(20)의 엔진오일(50)이 미리 정해진 수위까지 상승하는 경우 상기 개폐부(34)가 상승하면서 상기 관통구(34a)가 상기 원통형 구조의 내부 공간 상부에 의해 막혀 상기 엔진오일(50)의 유입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엔진오일탱크(31)를 구비하는 농작업차량(1).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류관(32)에는 온오프스위치(32a)가 구비되어,
    상기 농작업차량(1)의 주행 중에는 상기 엔진오일(50)의 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엔진오일탱크(31)를 구비하는 농작업차량(1).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농작업차량(1)의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는 기울기센서(40)가 구비되어,
    상기 농작업차량(1)이 미리 정해진 기울기 이상의 경사지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엔진오일(50)의 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엔진오일탱크(31)를 구비하는 농작업차량(1).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엔진오일탱크(31)에는 상기 엔진오일(50)의 잔량을 감지할 수 있는 오일센서(31a)가 구비되어,
    상기 보조엔진오일탱크(31)에서 상기 엔진오일(50)의 잔량이 미리 정해진 기준치 이하로 떨어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엔진오일탱크(31)를 구비하는 농작업차량(1).
KR1020200005525A 2020-01-15 2020-01-15 보조 엔진오일 탱크를 구비하는 농작업차량 KR202100920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525A KR20210092040A (ko) 2020-01-15 2020-01-15 보조 엔진오일 탱크를 구비하는 농작업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525A KR20210092040A (ko) 2020-01-15 2020-01-15 보조 엔진오일 탱크를 구비하는 농작업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2040A true KR20210092040A (ko) 2021-07-23

Family

ID=77155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5525A KR20210092040A (ko) 2020-01-15 2020-01-15 보조 엔진오일 탱크를 구비하는 농작업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9204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0773A (ko) 2022-10-12 2024-04-19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농업용 작업 차량의 오일팬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5751A (ko) 2004-04-16 2006-05-17 보그워너 인크. 엔진 윤활 시스템으로부터 기계적 일을 위한 유압을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5751A (ko) 2004-04-16 2006-05-17 보그워너 인크. 엔진 윤활 시스템으로부터 기계적 일을 위한 유압을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0773A (ko) 2022-10-12 2024-04-19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농업용 작업 차량의 오일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97461B1 (en) A lubrication system for a gear system for a wind turbine
KR20210092040A (ko) 보조 엔진오일 탱크를 구비하는 농작업차량
US20180288968A1 (en) Water regulation system
KR20180022960A (ko) 연료 전지 시스템 및 연료 전지 시스템의 제어 방법
JP4918923B2 (ja) 潤滑装置
CN113728192A (zh) 轴承润滑系统及其控制方法
CA2755406A1 (en) Specific gravity valve for a production tank
KR101679804B1 (ko) 가변오일펌프 컨트롤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가변오일펌프 컨트롤 밸브
KR102031674B1 (ko) 연료유 이송 시스템
JP7383527B2 (ja) オイル調整装置
JP5369631B2 (ja) 変速機における油面レベルの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US20240026964A1 (en) Apparatus
US1017189A (en) Lubricating system for engines.
JP4900324B2 (ja) 故障判定装置
JP2008169873A (ja) 変速機の油面調整装置
JP2021008830A (ja) エンジンオイル供給装置
CN215862813U (zh) 一种供油装置
KR20140131404A (ko) 무동력 공급액체 정량 주입장치
US5425432A (en) Oil addition device
JP3106924U (ja) 自動補給水装置
KR20190026353A (ko) 변속기용 오일레벨 제어장치
JP2017201188A (ja) デファレンシャル装置の潤滑システム
KR100262865B1 (ko) 엔진오일 보충용 보조 탱크가 설치된 엔진의 윤활유 공급장치
KR100409570B1 (ko) 엔진오일의 보충장치
KR20170138254A (ko) 연료탱크 리저버의 연료공급 안정화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