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1524A - 개체굴 양성틀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개체굴 양성틀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1524A
KR20210091524A KR1020200004790A KR20200004790A KR20210091524A KR 20210091524 A KR20210091524 A KR 20210091524A KR 1020200004790 A KR1020200004790 A KR 1020200004790A KR 20200004790 A KR20200004790 A KR 20200004790A KR 20210091524 A KR20210091524 A KR 20210091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ole
placeholder
fastening
vert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4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4562B1 (ko
Inventor
장형수
Original Assignee
장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형수 filed Critical 장형수
Priority to KR1020200004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4562B1/ko
Publication of KR20210091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1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4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45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4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bivalves, e.g. oysters or mussels
    • A01K61/55Baske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A01K61/65Connecting or mooring device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rosthese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체굴 양성틀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직사각형의 선분과, 마주보는 꼭짓점을 잇는 대각선으로 이루어진 제 1 틀과, 상기 제 1 틀의 각 꼭짓점에 마련되며, 상기 제 1 틀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제 1 관통공과, 상기 제 1 틀 각 선분의 중앙점에서 바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 1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 1 개체틀과, 상기 제 1 개체틀 하방에 마련되며, 직사각형의 선분과, 마주보는 꼭짓점을 잇는 대각선으로 이루어진 제 2 틀과, 상기 제 2 틀 상면의 각 꼭짓점에서 상방으로 위치하고 상부가 상기 제 1 관통공과 연결되며, 내부에 나사선이 형성된 제 2 관통공이 마련되는 제 1 연결부와, 상기 제 2 틀 하면의 각 꼭짓점에 마련되며, 상기 제 2 틀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제 3 관통공과, 상기 제 2 틀 각 선분의 중앙점에서 바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 2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 2 개체틀과, 상기 제 1 개체틀과 상기 제 2 개체틀 사이에 위치하며 내부에 개체굴이 마련되는 백, 상기 제 1 체결부와 상기 제 2 체결부를 관통하여 제 1 개체틀, 제 2 개체틀을 연결하는 제 1 체결바와, 상기 제 1 관통공, 상기 제 2 관통공 및 상기 제 3 관통공에 결합되도록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외면에 나사선이 마련되는 제 2 체결바와, 상기 제 2 체결바 하단에 너트를 체결하는 너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체굴 양성틀 어셈블리{A Frame Assembly for Cultivating Oyster}
본 발명은 개체굴 양성틀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개체굴 양성틀 어셈블리를 제작하여, 바다의 수심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고 파도나 조류의 영향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해체 및 교환조립이 가능한 개체굴 양성틀 어셈블리를 제작하여, 중간 틀에 녹이 슬거나 파손 되더라도, 손쉽게 중간 틀만 교환 가능한 개체굴 양성틀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굴은 단백질 중에서도 필수 아미노산을 많이 가지고 있어서 바다의 우유라고 불린다. 칼슘과 비타민 A, B, C 등이 풍부해서 희고 매끄러운 피부를 가질 수 있게 해 준다. 게다가 굴을 많이 먹으면 고혈압, 뇌졸증, 동맥경화, 간장병, 암 같은 여러 가지 성인병까지 예방할 수도 있다. 자연산 굴은 갯벌에 소나무 가지를 꽂아 두면 저절로 굴들이 붙어서 자라며 항상 바닷물에 잠겨 있는 것이 아니라 밀물 때만 바닷물에 잠기고 썰물 때는 햇빛에 드러나기 때문에 자라는 속도가 느리고 크기가 작다.
반면, 사람이 키운 양식 굴은 항상 바닷물 속에 잠기게 해두기 때문에 자라는 속도도 빠르고 다 컸을 때의 크기도 자연산 굴보다 훨씬 크다. 모양도 자연산 굴보다는 좀더 넓적하게 생겼고 굴 가장자리의 검은색 부분이 더 많다. 하지만 영양면에서는 자연산 굴과 전혀 차이가 없다. 그렇기 때문에 그 양이 적어서 많은 사람들이 먹기에는 부족한 자연산 굴보다는 사람이 직접 굴을 키우는 양식 굴이 선호되고 있다.
양식 굴의 방법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수하식 양식은, 로프(rope)에 굴을 매달아 양성하는 방법이다. 수하식 양식굴은 1969년 대량생산이 개발되어 현재 산업적으로 비약적으로 발전되어 왔다. 생산량은 경상남도에서 제일 많으며, 그 다음으로 전라남도 순서이다. 남해안은 수심이 깊지 않으며, 리아스식 해안으로 곶과 만이 많아 유속이 완만하기 때문에, 양식 굴을 키우기에 최적의 환경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로프를 이용한 수하식 양식은 태풍과 같은 자연재해 또는 파도 등에 의해 탈락현상이 일어나 손실률이 매우 높다. 그리고 덩이로 양성되어 형태학적 상품성과 영양학적 가치가 낮아 환경적, 경제적으로 많은 문제점이 있다.
반면, 개체굴 양성틀을 이용한 수하식 양식은, 한 마리씩 적정량을 입식하여 양식을 한다. 따라서, 성장률이 빠르고 성숙시 크기나 모양이 일반적인 수하식 양식 굴보다 훨씬 크다. 또한, 자연산 굴과 비교했을 때, 영양학적 면에서 큰 차이가 없고, 덩이굴로 키우는 것보다 경제적인 면에서 우수하기 때문에 개체굴 양성틀을 이용하여 수하식 양식굴을 양성하는 것이 선호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수하식 양식굴에 이용하는 개체굴 양성틀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바다의 수심에 따라 개체굴 양성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없고, 설사 조절할 수 있다고 해도, 조립 해체의 절차가 까다로워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바닷물에 의해 녹이 스는 문제점도 있었다.
등록특허 제 10-1464243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다의 수심에 따라 개체굴 양성틀의 높이를 조절하여 원하는 높이의 개체굴 양성틀을 조립할 수 있고 파도나 조류의 영향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바닷물에 의해 녹이 슬더라도, 간단한 해체 및 교환조립이 가능한 개체굴 양성틀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인 개체굴 양성틀 어셈블리는, 직사각형의 선분과, 마주보는 꼭짓점을 잇는 대각선으로 이루어진 제 1 틀과, 상기 제 1 틀의 각 꼭짓점에 마련되며, 상기 제 1 틀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제 1 관통공과, 상기 제 1 틀 각 선분의 중앙점에서 바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 1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 1 개체틀과, 상기 제 1 개체틀 하방에 마련되며, 직사각형의 선분과, 마주보는 꼭짓점을 잇는 대각선으로 이루어진 제 2 틀과, 상기 제 2 틀 상면의 각 꼭짓점에서 상방으로 위치하고 상부가 상기 제 1 관통공과 연결되며, 내부에 나사선이 형성된 제 2 관통공이 마련되는 제 1 연결부와, 상기 제 2 틀 하면의 각 꼭짓점에 마련되며, 상기 제 2 틀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제 3 관통공과, 상기 제 2 틀 각 선분의 중앙점에서 바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 2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 2 개체틀과, 상기 제 1 개체틀과 상기 제 2 개체틀 사이에 위치하며 내부에 개체굴이 마련되는 백, 상기 제 1 체결부와 상기 제 2 체결부를 관통하여 제 1 개체틀, 제 2 개체틀을 연결하는 제 1 체결바와, 상기 제 1 관통공, 상기 제 2 관통공 및 상기 제 3 관통공에 결합되도록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외면에 나사선이 마련되는 제 2 체결바와, 상기 제 2 체결바 하단에 너트를 체결하는 너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개체틀과 상기 제 2 개체틀 사이에는, 직사각형의 선분과, 마주보는 꼭짓점을 잇는 대각선으로 이루어진 제 3 틀과, 상기 제 3 틀 상면의 각 꼭짓점에서 상방으로 위치하고 상부가 상기 제 1 관통공과 연결되며, 내부에 나사선이 형성된 제 4 관통공이 마련되는 제 2 연결부와, 상기 제 3 틀 하면의 각 꼭짓점에 마련되며, 상기 제 3 틀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제 5 관통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 3 개체틀이 추가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개체틀 하방에, 상기 제 3 개체틀, 상기 제 2 개체틀이 반복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부는, 상기 제 2 틀 상면의 각 꼭짓점에 위치하는 기둥형상의 제 1 고정부와, 상기 제 1 고정부의 상면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관통공 하부의 외주면과 같은 크기를 갖는 기둥형상의 제 2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해수면에 부력체가 위치하고, 일단은 상기 부력체의 하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 2 체결바의 상단에 연결되는 로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개체굴 양성틀 어셈블리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바다의 수심에 따라 개체굴 양성틀의 높이를 조절하여 원하는 높이로 조절할 수 있어 파도나 조류의 영향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바닷물에 의해 녹이 슬더라도, 간단한 해체 및 교환조립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개체굴 양성틀 어셈블리.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제 3 개체틀이 추가된 개체굴 양성틀 어셈블리.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제 3 개체틀과 제 2 개체틀이 반복되는 개체굴 양성틀 어셈블리.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제 1 개체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제 2 개체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제 3 개체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제 1 개체틀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제 2 개체틀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제 3 개체틀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도 1에서 부력체, 로프부 및 백을 제외한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도 7의 A-A'를 절단하여 나타낸 제 1 개체틀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도 8의 B-B'를 절단하여 나타낸 제 2 개체틀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도 10의 C-C'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제 2 체결바.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개체굴 양성틀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개체굴 양성틀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직사각형의 선분과, 마주보는 꼭짓점을 잇는 대각선으로 이루어진 제 1 틀(1100)과, 상기 제 1 틀(1100)의 각 꼭짓점에 마련되며, 상기 제 1 틀(1100)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제 1 관통공(1300)과, 상기 제 1 틀(1100) 각 선분의 중앙점에서 바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 1 체결부(1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 1 개체틀(1000)과, 상기 제 1 개체틀(1000) 하방에 마련되며, 직사각형의 선분과, 마주보는 꼭짓점을 잇는 대각선으로 이루어진 제 2 틀(2100)과, 상기 제 2 틀(2100) 상면의 각 꼭짓점에서 상방으로 위치하고 상부가 상기 제 1 관통공(1300)과 연결되며, 내부에 나사선이 형성된 제 2 관통공(2230)이 마련되는 제 1 연결부(2200)와, 상기 제 2 틀(2100) 하면의 각 꼭짓점에 마련되며, 상기 제 2 틀(2100)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제 3 관통공(2300)과, 상기 제 2 틀(2100) 각 선분의 중앙점에서 바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 2 체결부(2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 2 개체틀(2000)과, 상기 제 1 개체틀(1000)과 상기 제 2 개체틀(2000) 사이에 위치하며 내부에 개체굴이 마련되는 백(3000), 상기 제 1 체결부(1400)와 상기 제 2 체결부(2400)를 관통하여 제 1 개체틀(1000), 제 2 개체틀(2000)을 연결하는 제 1 체결바(4000)와, 상기 제 1 관통공(1300), 상기 제 2 관통공(2230) 및 상기 제 3 관통공(2300)에 결합되도록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외면에 나사선이 마련되는 제 2 체결바(5000)와, 상기 제 2 체결바(5000) 하단에 너트를 체결하는 너트부(60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개체굴 양성틀 어셈블리에는 제 1 개체틀(1000)이 마련된다. 상기 제 1 개체틀(1000)은 본 발명인 개체굴 양성틀 어셈블리의 몸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개체굴 양성틀 어셈블리의 상단에 위치한다.
상기 제 1 개체틀(1000)에는 제 1 틀(1100)이 마련된다. 상기 제 1 틀(1100)은 직사각형 골격에 마주보는 꼭짓점을 잇는 대각선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는 하기에서 설명될 개체굴이 든 백(3000)의 상면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 1 틀(1100)의 각 꼭짓점에는 제 1 관통공(1300)이 마련된다. 상기 제 1 관통공(1300)은 상기 제 1 틀(1100)의 꼭짓점을 수직으로 관통한다. 상기 제 1 관통공(1300)은 상기 제 1 틀(1100)의 일측 상단 꼭짓점에 위치한 제 1-1 관통공(1301), 상기 제 1 틀(1100)의 타측 상단 꼭짓점에 위치한 제 1-2 관통공(1302), 상기 제 1 틀(1100)의 일측 하단 꼭짓점에 위치한 제 1-3 관통공(1303), 상기 제 1 틀(1100)의 타측 하단 꼭짓점에 위치한 제 1-4 관통공(1304)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제 1 관통공(1300)에는 하기에서 설명될 제 2 체결바(5000)와 대응되는 나사선이 형성된다. 이는 제1 관통공(1300)과 하기에서 설명될 제 2 체결바(5000)이 결합되기 위함이다.
상기 제 1 틀(1100)의 각 선분의 중앙점에는, 바깥으로 돌출되는 제 1 체결부(1400)가 마련된다. 상기 제 1 틀(1100)은 상기 제 1 틀(1100) 전방에 마련된 선분의 중앙점에 위치하는 제 1-1 체결부(1401), 상기 제 1 틀(1100) 일측에 마련된 선분의 중앙점에 위치하는 제 1-2 체결부(1402), 상기 제 1 틀(1100) 후방에 마련된 선분의 중앙점에 위치하는 제 1-3 체결부(1403), 상기 제 1 틀(1100) 타측에 마련된 선분의 중앙점에 위치하는 제 1-4 체결부(1404)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제 1 체결부(1400)는 반원 형태 또는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 1 체결부(1400)에 하기에서 설명될 제 1 체결바(4000)가 관통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개체굴 양성틀 어셈블리에는 제 2 개체틀(2000)이 마련된다. 상기 제 2 개체틀(2000)은 본 발명인 개체굴 양성틀 어셈블리의 몸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개체굴 양성틀 어셈블리의 하단에 위치한다.
상기 제 2 개체틀(2000)에는 제 2 틀(2100)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틀(2100)은 직사각형의 골격에 마주보는 꼭짓점을 잇는 대각선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는 하기에서 설명될 개체굴이 든 백(3000)의 하면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 2 틀(2100) 상면의 각 꼭짓점에는 상방으로 세워지는 제 1 연결부(2200)가 마련된다. 상기 제 1 연결부는(2200) 상기 제 2 틀(2100) 상면의 일측 상단 꼭짓점에 위치하는 제 1-1 연결부(2201), 상기 제 2 틀(2100) 상면의 타측 상단 꼭짓점에 위치하는 제 1-2 연결부(2202), 상기 제 2 틀(2100) 상면의 일측 하단 꼭짓점에 위치하는 제 1-3 연결부(2203), 상기 제 2 틀(2100) 상면의 타측 하단 꼭짓점에 위치하는 제 1-4 연결부(2204)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부(2200)는 기둥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상기 백(3000)을 보호하기 위함이며, 상기 제 1 개체틀(1000)에 연결되기 위함이다.
상기 제 1 연결부(2200)에는 제 1 고정부(2210)가 마련된다. 상기 제 1 고정부(2210)는 상기 제 1 연결부(2200)의 하부 몸체를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제 1 고정부(2210)는 상기 제 2 틀(2100) 상면의 각 꼭짓점에 위치한다. 덧붙여, 상기 제 1 고정부(2210)는 기둥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하기에서 설명될 백(3000)의 옆면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 1 연결부(2200)에는 제 2 고정부(2220)가 마련된다. 상기 제 2 고정부(2220)는 상기 제 1 연결부(2200)의 상부 몸체를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제 2 고정부(2220)는 상기 제 1 고정부(2210)의 상면에 위치한다. 상기 제 2 고정부(2220)는 상기 제 1 관통공(1300)의 하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제 1 연결부(2200)가 상기 제 1 개체틀(1000)에 연결되기 위함이다.
상기 제 1 연결부(2200)의 내부에는 제 2 관통공(2230)이 마련된다. 상기 제 2 관통공(2230)은 상기 제 1 연결부(2200)의 내부를 수직으로 관통한다. 상기 제 2 관통공(2230)은 제 1-1 연결부(2201) 내부에 위치하는 제 2-1 관통공(2231), 상기 제 1-2 연결부(2202) 내부에 위치하는 제 2-2 관통공(2232), 상기 제 1-3 연결부(2203) 내부에 위치하는 제 2-3 관통공(2233), 상기 제 1-4 연결부(2204) 내부에 위치하는 제 2-4 관통공(2234)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제 2 관통공(2230)은 하기에서 설명될 제 2 체결바(5000)와 대응되는 나사선이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제 2 관통공(2230)에 하기에서 설명될 제 2 체결바(5000)가 결합되기 위함이다.
상기 제 2 틀(2100)의 각 꼭짓점에는 제 3 관통공(2300)이 마련된다. 상기 제 3 관통공(2230)은 상기 제 2 틀(2100)의 꼭짓점을 수직으로 관통한다. 상기 제 3 관통공(2230)은 상기 제 2 틀(2100)의 일측 상단 꼭짓점에 위치하는 제 1-1 관통공(1301), 상기 제 2 틀(2100)의 타측 상단 꼭짓점에 위치하는 제 1-2 관통공(1302), 상기 제 2 틀(2100)의 일측 하단 꼭짓점에 위치하는 제 1-3 관통공(1303), 상기 제 2 틀(2100)의 타측 하단 꼭짓점에 위치하는 제 1-4 관통공(1304)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관통공(2300)의 상부는 하기에서 설명될 제 2 체결바(5000)와 대응되는 나사선이 형성된다. 이는 하기에서 설명될 제 2 체결바(5000)와 결합되기 위함이다. 상기 제 3 관통공(2300)의 하부는 하기에서 설명될 제 2 연결부(7200)의 상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제 3 관통공(2300)의 하부와 하기에서 설명될 제 3 개체틀(3000)이 연결되기 위함이다.
상기 제 2 틀(2100)의 각 선분의 중앙점에는 바깥으로 돌출되는 제 1 체결부(1400)가 마련된다. 상기 제 1 체결부(1400)는 상기 제 2 틀(2100) 전방에 마련되는 선분의 중앙점에 위치하는 제 2-1 체결부(2401), 상기 제 2 틀(2100) 일측에 마련되는 선분의 중앙점에 위치하는 제 2-2 체결부(2402), 상기 제 2 틀(2100) 후방에 마련되는 선분의 중앙점에 위치하는 제 2-3 체결부(2403), 상기 제 2 틀(2100) 타측에 마련되는 선분의 중앙점에 위치하는 제 2-4 체결부(2404)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제 2 체결부(2400)는 반원 형태 또는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 2 체결부(2400)를 하기에서 설명될 제 1 체결바(4000)가 관통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제 2 틀(2100) 내부에 백(3000)이 마련된다. 상기 백(3000)은 원형의 그물망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백(3000)의 내부에는 개체굴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체결부(1400)과 상기 제 2 체결부(2400)를 관통하는 제 1 체결바(4000)가 마련된다. 상기 제 1 체결바(4000)는, 상기 제 1-1 체결부(1401)와 상기 제 2-1 체결부(2401)를 관통하는 제 1 체결바(4100), 상기 제 1-2 체결부(1402)와 상기 제 2-2 체결부(2402)를 관통하는 제 2 체결바(4200), 상기 제 1-3 체결부(1403)와 상기 제 2-3 체결부(2403)를 관통하는 제 3 체결바(4300), 상기 제 1-4 체결부(1404)와 상기 제 2-4 체결부(2404)를 관통하는 제 4 체결바(4400)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제 1 체결바(4000)의 하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 1 체결부(1400)와 상기 제 2 체결부(2400)를 관통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 1 체결바(4000)의 상부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 1 체결바(4000)가 상기 제 1 체결부(1400)에 연결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 1 체결바(4000)에 의해 상기 백(3000)이 노출되거나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 1 관통공(1300)과 상기 제 2 관통공(2230) 및 상기 제 3 관통공(2300)에 결합되는 제 2 체결바(5000)가 마련된다. 상기 제 2 체결바(5000)는, 상기 제 1-1 관통공(1301), 상기 제 2-1 관통공(2231) 및 상기 제 3-1 관통공(2301)을 관통하는 제 2-1 체결바(5100), 상기 제 1-2 관통공(1302), 상기 제 2-2 관통공(2232) 및 상기 제 3-2 관통공(2302)을 관통하는 제 2-1 체결바(5200), 상기 제 1-3 관통공(1303), 상기 제 2-3 관통공(2233) 및 상기 제 3-3 관통공(2303)을 관통하는 제 2-3 체결바(5300), 상기 제 1-4 관통공(1401), 상기 제 2-4 관통공(2234) 및 상기 제 3-4 관통공(2304)을 관통하는 제 2-4 체결바(5400)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제 2 체결바(5000)의 하부는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체결바(5000) 하부의 외면에는 상기 제 1 관통공(1300), 상기 제 2 관통공(2230) 및 상기 제 3 관통공(2300)과 대응되는 나사선이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제 1 개체틀(1000)과 상기 제 2 개체틀(2000)을 연결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 2 체결바(5000)의 상부는 도넛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하기에서 설명될 로프부(9000)와 연결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제 2 체결바(5000)의 하단에 너트부(6000)가 체결된다. 상기 너트부(6000)의 상부가 상기 제 2 틀(2100)의 하면에 닿을 때까지 상기 너트부(6000)를 조여준다. 상기 너트부(6000)는 제 2-1 체결바(5100) 하단에 마련되는 제 1 너트부(6100), 상기 제 2-2 체결바(5200) 하단에 마련되는 제 2 너트부(6200), 상기 제 2-3 체결바(5300) 하단에 마련되는 제 3 너트부(6300), 상기 제 2-4 체결바(5400) 하단에 마련되는 제 4 너트부(6400)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너트부(6000)는 상기 제 2 체결바(5000)의 나사선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상기 너트부(6000)가 상기 제 2 체결바(5000)의 하단에서 결합되어 본 발명인 개체굴 양성틀 어셈블리가 흔들리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 1 개체틀(1000)과 상기 제 2 개체틀(2000) 사이에는, 직사각형의 선분과, 마주보는 꼭짓점을 잇는 대각선으로 이루어진 제 3 틀(7100)과, 상기 제 3 틀 상면의 각 꼭짓점에서 상방으로 위치하고 상부가 상기 제 1 관통공(1300)과 연결되며, 내부에 나사선이 형성된 제 4 관통공(7230)이 마련되는 제 2 연결부(7200)와, 상기 제 3 틀(7100) 하면의 각 꼭짓점에 마련되며, 상기 제 3 틀(7100)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제 5 관통공(73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 3 개체틀(7000)이 추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체굴 양성틀 어셈블리에는 제 3 개체틀(7000)이 마련된다. 상기 제 3 개체틀(7000)은 개체굴 양성틀 어셈블리의 몸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제 1 개체틀(1000) 하방에 위치한다.
상기 제 3 개체틀(7000)에는 제 3 틀(7100)이 형성된다. 상기 제 3 틀(7100)은 직사각형의 골격에 마주보는 꼭짓점을 잇는 대각선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는 하기에서 설명될 개체굴이 든 백(3000)의 하면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 3 틀(7100) 상면의 각 꼭짓점에는, 상방으로 세워지는 제 2 연결부(7200)가 마련된다. 상기 제 2 연결부(7200)는, 상기 제 3 틀(7100) 상면의 일측 상단 꼭짓점에 위치한 제 2-1 연결부(7201), 상기 제 3 틀(7100) 상면의 타측 상단 꼭짓점에 위치한 제 2-2 연결부(7202), 상기 제 3 틀(7100) 상면의 일측 하단 꼭짓점에 위치한 제 2-3 연결부(7203), 상기 제 3 틀(7100) 상면의 타측 하단 꼭짓점에 위치한 제 2-4 연결부(7204)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연결부(7200)는 기둥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상기 백(3000)을 보호하기 위함이며, 상기 제 1 개체틀(1000)에 연결되기 위함이다.
상기 제 2 연결부(7200)에는 제 3 고정부(7210)가 마련된다. 상기 제 3 고정부(7210)는 상기 제 2 연결부(7200)의 하부 몸체를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제 3 고정부(7210)는 상기 제 3 틀(7100) 상면의 각 꼭짓점에 위치한다. 상기 제 3 고정부(7210)는 기둥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하기에서 설명될 백(3000)의 옆면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 2 연결부(7200)에는 제 4 고정부(7220)가 마련된다. 상기 제 4 고정부(7220)는 상기 제 2 연결부(7200)의 상부 몸체를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제 4 고정부(7220)는 상기 제 3 고정부(7210)의 상면에 위치한다. 상기 제 2 고정부(2220)는 상기 제 1 관통공(1300)의 하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제 2 고정부(2200)가 상기 제 1개체틀(1000)에 연결되기 위함이다.
상기 제 2 연결부(7200)의 내부에는 제 4 관통공(7230)이 마련된다. 상기 제 4 관통공(7230)은 상기 제 1 연결부(2200)의 내부를 수직으로 관통한다. 상기 제 2 연결부(7200)는, 상기 제 2-1 연결부(7201) 내부에 위치하는 제 4-1 관통공(7231), 상기 제 2-2 연결부(7202) 내부에 위치하는 제 4-2 관통공(7232), 상기 제 2-3 연결부(7203) 내부에 위치하는 제 4-3 관통공(7233), 상기 제 2-4 연결부(7204) 내부에 위치하는 제 4-4 관통공(7234)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제 4 관통공(7230)은 상기 제 2 체결바(5000)와 대응되는 나사선이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제 2 체결바(5000)와 결합되기 위함이다.
상기 제 3 틀(7100)의 각 꼭짓점에는 제 5 관통공(7300)이 마련된다. 상기 제 5 관통공(7300)은 상기 제 3 틀(7100)의 꼭짓점을 수직으로 관통한다. 상기 제 5 관통공(7300)은 상기 제 3 틀(7100)의 일측 상단 꼭짓점에 위치한 제 5-1 관통공(7301), 상기 제 3 틀(7100)의 타측 상단 꼭짓점에 위치한 제 5-2 관통공(7302), 상기 제 3 틀(7100)의 일측 하단 꼭짓점에 위치한 제 5-3 관통공(7303), 상기 제 3 틀(7100)의 타측 하단 꼭짓점에 위치한 제 5-4 관통공(7304)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5 관통공(7300)의 상부는 상기 제 2 체결바(5000)와 대응되는 나사선이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제 5 관통공(7300)의 상부와 상기 제 2 체결바(5000)가 결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 5 관통공(7300)의 하부는 상기 제 1 연결부(2200)의 상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제 5 관통공(7300)의 하부와 상기 제 2 개체틀(2000)을 연결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백(3000)은 상기 제 1 개체틀(1000)과 상기 제 3 개체틀(7000) 사이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 3 개체틀(7000)과 상기 제 2 개체틀(2000) 사이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개체틀(1000) 하방에, 상기 제 3 개체틀(7000), 상기 제 2 개체틀(2000)이 반복되어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와 같이 본 발명인 개체굴 양성틀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개체틀(1000) 하방에 상기 제 3 개체틀(7000)이 위치하고, 상기 제 3 개체틀(7000) 하방에 상기 제 2 개체틀(2000)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수심이 깊은 바다라면, 도 3과 같이 본 발명인 개체굴 양성틀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개체틀(1000) 하방에 상기 제 3 개체틀(7000)이 위치하고, 상기 제 3 개체틀(7000) 하방에 상기 제 2 개체틀(2000)이 위치한다. 상기 제 2 개체틀(2000) 하방에, 상기 제 3 개체틀(7000)과 상기 제 2 개체틀(2000)이 계속 반복하여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인 개체굴 양성틀 어셈블리는, 상기 제 1 개체틀(1000), 상기 제 2 개체틀(2000), 상기 제 3 개체틀(7000) 중, 반드시 상기 제 2 개체틀(2000)이 최하단에 위치하도록 하여야 한다. 즉, 상기 제 1 체결바(4000)가 최종적으로 상기 제 2 체결부(2400)을 관통하여야 한다. 이는 상기 제 1 개체틀(1000)과, 최하단에 위치하는 상기 제 2 개체틀(2000) 사이에 위치하는 백(3000)들이 노출되거나 유실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위와 같이 원하는만큼의 높이 조절을 함으로써, 본 발명인 개체굴 양성틀 어셈블리는 남해의 수하식 개체굴 양성 뿐 아니라 서해의 반수하식 개체굴 양성 또한 가능하다.
다음으로, 해수면에 부력체(8000)가 위치하고, 일단은 상기 부력체(8000)의 하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 2 체결바(5000)의 상단에 연결되는 로프부(90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인 개체굴 양성틀 어셈블리는 해수면에 부력체(8000)가 마련된다. 상기 부력체(8000)의 하면은 하기에서 설명될 로프부(9000)와 연결된다. 이는 본 발명인 개체굴 양성틀 어셈블리가 바다 속에 드리워질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부력체(8000)의 하면에는 로프부(9000)가 연결된다. 상기 로프부(9000)는 일단에서 상기 부력체(8000)의 하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 2 체결바(5000)의 상부에 연결된다. 상기 로프부(9000)는, 상기 제 2-1 연결바(4100)와 연결되는 제 1 로프(9100), 상기 제 2-2 연결바(4200)와 연결되는 제 2 로프(9200), 상기 제 2-3 연결바(4300)와 연결되는 제 3 로프(9300), 상기 제 2-4 연결바(4400)와 연결되는 제 4 로프(9400)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로프부(9000)는, 상기 제 1 개체틀(1000), 상기 제 3 개체틀(7000), 상기 제 2 개체틀(2000), 상기 백(3000), 상기 제 1 체결바(4000), 상기 제 2 체결바(5000) 및 상기 너트부(9000)가 상기 부력체(8000)와 연결되게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에서, 본 발명의 개체굴 양성틀 어셈블리의 작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과 같이, 상기 제 1 개체틀(1000)과 상기 제 2 개체틀(2000)만으로 본 발명인 개체굴 양성틀 어셈블리를 조립할 경우, 상기 제 2 개체틀(2000) 내부에 상기 백(3000)을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개체틀(2000) 상부에 상기 제 1 개체틀(1000)을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제 1 관통공(1300)에 상기 제 1 연결부(2200)를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체결바(5000)를 상기 제 1 관통공(1300), 상기 제 2 관통공(2230), 상기 제 3 관통공(2300)에 결합시킨다. 상기 제 2 체결바(5000)와 상기 제 1 관통공(1300), 상기 제 2 관통공(2230), 상기 제 3 관통공(2300)은 동일한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어 결합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너트부(6000)를 상기 제 2 체결바(5000) 하단에서 체결하여, 상기 제 2 틀(2100) 하면에 닿을 때 까지 조여준다.
다음으로, 상기 제 1 체결바(4000)를 상기 제 1 체결부(1400), 상기 제 2 체결부(2400)에 관통시킨다. 상기 제 1 체결바(4000)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1 체결부(1400), 상기 제 2 체결부(2400)는 반원 형태 또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 1 체결부(1400)에 상기 제 1 체결바(400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로프부(9000)의 일단은 상기 부력체(8000)에 연결하고, 타단은 상기 제 2 체결바(5000)의 상부에 묶어준다.
다음으로, 결합이 완료된 본 발명인 개체굴 양성틀 어셈블리를 바다에 드리운다.
도 2와 같이, 상기 제 1 개체틀(1000)과 상기 제 2 개체틀(2000) 사이에 상기 제 3 개체틀(3000)이 위치하도록 하여 본 발명인 개체굴 양성틀 어셈블리를 조립할 경우, 상기 제 3 개체틀(3000) 내부에 상기 백(3000)을 위치시키며, 상기 제 2 틀(2000) 내부에 상기 백(3000)을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제 1 개체틀(1000) 하부에 상기 제 3 개체틀(3000)을 위치시키고, 상기 제 3 개체틀(3000) 하부에 상기 제 2 개체틀(2000)을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제 1 관통공(1300)에 상기 제 2 연결부(7200)를 연결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5 관통공(7300)에 상기 제 1 연결부(2200)를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체결바(5000)를 상기 제 1관통공, 상기 제 4 관통공(7230), 상기 제 5 관통공(7300), 상기 제 2 관통공(2230) 및 상기 제 3 관통공(2300)에 결합시킨다. 상기 제 2 체결바(5000)와, 상기 제 1 관통공(1300), 상기 제 4 관통공(7230), 상기 제 5 관통공(7300), 상기 제 2 관통공(2230) 및 상기 제 3 관통공(2300)은 동일한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어 결합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너트부(6000)를 상기 제 2 체결바(5000) 하단에서 체결하여, 상기 제 2 틀(2100) 하면에 닿을 때 까지 조여준다.
다음으로, 상기 제 1 체결바(4000)를 상기 제 1 체결부(1400), 상기 제 2 체결부(2400)에 관통시킨다. 상기 제 1 체결바(4000)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1 체결부(1400), 상기 제 2 체결부(2400)는 반원 또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 1 체결부(1400) 및 상기 제 2 체결부(2400)에 상기 제 1 체결바(400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로프부(9000)의 일단은 상기 부력체(8000)에 연결하고, 타단은 상기 제 2 체결바(5000)의 상부에 묶어준다.
다음으로, 결합이 완료된 본 발명인 개체굴 양성틀 어셈블리를 바다에 드리운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한다.
1000 : 제 1 개체틀 1100 : 제 1 틀
1300 : 제 1 관통공 1301 : 제 1-1 관통공
1302 : 제 1-2 관통공 1033 : 제 1-3 관통공
1304 : 제 1-4 관통공 1400 : 제 1 체결부
1401 : 제 1-1 체결부 1402 : 제 1-2 체결부
1403 : 제 1-3 체결부 1404 : 제 1-4 체결부
2000 : 제 2 개체틀 2100 : 제 2 틀
2200 : 제 1 연결부 2201 : 제 1-1 연결부
2202 : 제 1-2 연결부 2203 : 제 1-3 연결부
2204 : 제 1-4 연결부 2210: 제 1 고정부
2220 : 제 2 고정부 2230: 제 2 관통공
2231 : 제 2-1 관통공 2232 : 제 2-2 관통공
2233 : 제 2-3 관통공 2234 : 제 2-4 관통공
2300 : 제 3 관통공 2301 : 제 3-1 관통공
2302 : 제 3-2 관통공 2303 : 제 3-3 관통공
2304 : 제 3-4 관통공 2400 : 제 2 체결부
2401 : 제 2-1 체결부 2402 : 제 2-2 체결부
2403 : 제 2-3 체결부 2404 : 제 2-4 체결부
3000 : 백 4000 : 제 1 체결바
4100 : 제 1-1 체결바 4200 : 제 1-2 체결바
4300 : 제 1-3 체결바 4400 : 제 1-4 체결바
5000 : 제 2 체결바 5100 : 제 2-1 체결바
5200 : 제 2-2 체결바 5300 : 제 2-3 체결바
5004 : 제 2-4 체결바 6000 : 너트부
6100 : 제 1 너트부 6100 : 제 2 너트부
6300 : 제 3 너트부 6400 : 제 4 너트부
7000 : 제 3 개체틀 7100 : 제 3 틀
7200 : 제 2 연결부 7201 : 제 2-1 연결부
7202 : 제 2-2 연결부 7203 : 제 2-3 연결부
7204 : 제 2-4 연결부 7210 : 제 3 고정부
7220 : 제 4 고정부 7230 : 제 4 관통공
7231 : 제 4-1 관통공 7232 : 제 4-2 관통공
7233 : 제 4-3 관통공 7234 : 제 4-4 관통공
7300 : 제 5 관통공 7301 : 제 5-1 관통공
7302 : 제 5-2 관통공 7303 : 제 5-3 관통공
7304 : 제 5-4 관통공 8000 : 부력체
9000 : 로프부 9100: 제 1 로프
9200 : 제 2 로프 9300 : 제 3 로프
9400 : 제 4 로프

Claims (5)

  1. 직사각형의 선분과, 마주보는 꼭짓점을 잇는 대각선으로 이루어진 제 1 틀과, 상기 제 1 틀의 각 꼭짓점에 마련되며, 상기 제 1 틀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제 1 관통공과, 상기 제 1 틀 각 선분의 중앙점에서 바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 1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 1 개체틀;
    상기 제 1 개체틀 하방에 마련되며, 직사각형의 선분과, 마주보는 꼭짓점을 잇는 대각선으로 이루어진 제 2 틀과, 상기 제 2 틀 상면의 각 꼭짓점에서 상방으로 위치하고 상부가 상기 제 1 관통공과 연결되며, 내부에 나사선이 형성된 제 2 관통공이 마련되는 제 1 연결부와, 상기 제 2 틀 하면의 각 꼭짓점에 마련되며, 상기 제 2 틀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제 3 관통공과, 상기 제 2 틀 각 선분의 중앙점에서 바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 2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 2 개체틀;
    상기 제 1 개체틀과 상기 제 2 개체틀 사이에 위치하며 내부에 개체굴이 마련되는 백;
    상기 제 1 체결부와 상기 제 2 체결부를 관통하여 제 1 개체틀, 제 2 개체틀을 연결하는 제 1 체결바;
    상기 제 1 관통공, 상기 제 2 관통공 및 상기 제 3 관통공에 결합되도록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외면에 나사선이 마련되는 제 2 체결바; 및
    상기 제 2 체결바 하단에 너트를 체결하는 너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체굴 양성틀 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개체틀과 상기 제 2 개체틀 사이에는,
    직사각형의 선분과, 마주보는 꼭짓점을 잇는 대각선으로 이루어진 제 3 틀과, 상기 제 3 틀 상면의 각 꼭짓점에서 상방으로 위치하고 상부가 상기 제 1 관통공과 연결되며, 내부에 나사선이 형성된 제 4 관통공이 마련되는 제 2 연결부와, 상기 제 3 틀 하면의 각 꼭짓점에 마련되며, 상기 제 3 틀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제 5 관통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 3 개체틀이 추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체굴 양성틀 어셈블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개체틀 하방에,
    상기 제 3 개체틀, 상기 제 2 개체틀이 반복되어 설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체굴 양성틀 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부는,
    상기 제 2 틀 상면의 각 꼭짓점에 위치하는 기둥형상의 제 1 고정부;
    상기 제 1 고정부의 상면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관통공 하부의 외주면과 같은 크기를 갖는 기둥형상의 제 2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체굴 양성틀 어셈블리.
  5. 제 1 항에 있어서,
    해수면에 부력체가 위치하고,
    일단은 상기 부력체의 하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 2 체결바의 상단에 연결되는 로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체굴 양성틀 어셈블리.
KR1020200004790A 2020-01-14 2020-01-14 개체굴 양성틀 어셈블리 KR102424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790A KR102424562B1 (ko) 2020-01-14 2020-01-14 개체굴 양성틀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790A KR102424562B1 (ko) 2020-01-14 2020-01-14 개체굴 양성틀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1524A true KR20210091524A (ko) 2021-07-22
KR102424562B1 KR102424562B1 (ko) 2022-07-25

Family

ID=77158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4790A KR102424562B1 (ko) 2020-01-14 2020-01-14 개체굴 양성틀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456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21200A (en) * 1975-08-08 1977-02-17 Nichimo Kk Method of operation of loading and unloading captured fish
KR20030069410A (ko) * 2002-02-20 2003-08-27 세기건설 주식회사 패류양식장치
KR20110095457A (ko) * 2010-02-19 2011-08-25 김대웅 패류 양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패류 양식 어셈블리
KR101464243B1 (ko) 2013-11-20 2014-11-28 대한민국 수하식 개체굴 양성장치
KR101541110B1 (ko) * 2015-02-11 2015-07-31 주식회사 하나로클린 수하식 개체굴 양성장치
KR20170074342A (ko) * 2015-12-22 2017-06-30 정재진 해상용 수하식 개체굴 양성장치
KR101799763B1 (ko) * 2016-11-29 2017-11-22 대한민국 수납케이스 개별 교체식 개체굴 사육용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21200A (en) * 1975-08-08 1977-02-17 Nichimo Kk Method of operation of loading and unloading captured fish
KR20030069410A (ko) * 2002-02-20 2003-08-27 세기건설 주식회사 패류양식장치
KR20110095457A (ko) * 2010-02-19 2011-08-25 김대웅 패류 양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패류 양식 어셈블리
KR101464243B1 (ko) 2013-11-20 2014-11-28 대한민국 수하식 개체굴 양성장치
KR101541110B1 (ko) * 2015-02-11 2015-07-31 주식회사 하나로클린 수하식 개체굴 양성장치
KR20170074342A (ko) * 2015-12-22 2017-06-30 정재진 해상용 수하식 개체굴 양성장치
KR101799763B1 (ko) * 2016-11-29 2017-11-22 대한민국 수납케이스 개별 교체식 개체굴 사육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4562B1 (ko) 2022-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1860B1 (ko) 김 굴 복합양식장치와 이를 이용한 김 굴 복합양식방법
CN107361001B (zh) 三疣梭子蟹一年两茬的养殖方法
CN107864904A (zh) 生态浮岛式粘性卵人工鱼巢
KR20130087945A (ko) 복합양식용 쉘터 구조물
CN112042576B (zh) 一种提升牡蛎外壳品质的方法
KR102424562B1 (ko) 개체굴 양성틀 어셈블리
CN107683819A (zh) 一种龟鳖的繁育方法
CN208402793U (zh) 一种羊栖菜与牡蛎轮养装置
CN106135083A (zh) 螃蟹的养殖方法
JP2003047363A (ja) 藻場増殖礁
CN106614163B (zh) 日本海神蛤人工苗种繁育方法
KR101402670B1 (ko) 갯벌참굴 양성망 거치대용 참굴 유생 채묘판
CN209995165U (zh) 一种立体式饲料
KR200491524Y1 (ko) 부침식 가리비 대량 양식장치
CN1208552A (zh) 海洋植生物人工养殖场
KR101981486B1 (ko) 전복 해상가두리 중간 육성용 기능성 쉘터
CN110476854A (zh) 原塘直放抱卵虾繁育青虾虾苗的网箱装置及繁育方法
CN104429915A (zh) 一种坛紫菜养殖设备及养殖方法
JP7240055B1 (ja) 木造人工島の海産物農業
KR101437469B1 (ko) 하이브리드 갯벌참굴 양성기
CN108849721A (zh) 一种娃娃鱼的养殖方法
CN108812292B (zh) 一种羊栖菜与牡蛎轮养装置及其使用方法
Lightfoot VII. An account of some minute British shells, either not duly observed, or totally unnoticed by authors. In a letter to Sir Joseph Banks, Bart. PRS by the Rev. John Lightfoot, MAFRS
CN217657718U (zh) 一种克氏原螯虾立体养殖系统
CN209120995U (zh) 克氏原螯虾人工立体附着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