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1331A - 차량에 구비되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에 구비되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1331A
KR20210091331A KR1020217020782A KR20217020782A KR20210091331A KR 20210091331 A KR20210091331 A KR 20210091331A KR 1020217020782 A KR1020217020782 A KR 1020217020782A KR 20217020782 A KR20217020782 A KR 20217020782A KR 20210091331 A KR20210091331 A KR 20210091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oc
video data
driv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0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6635B1 (ko
Inventor
박준범
최형규
김성민
최재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091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1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6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6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20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22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for viewing an area outside the vehicle, e.g. the exterior of the vehicle
    • B60R1/23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for viewing an area outside the vehicle, e.g. the exterior of the vehicle with a predetermined field of view
    • B60R1/27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for viewing an area outside the vehicle, e.g. the exterior of the vehicle with a predetermined field of view providing all-round vision, e.g. using omnidirectional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Arrangement of adaptations of instruments
    • B60K35/28
    • B60K35/29
    • B60K35/6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22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located in transportation means, e.g. personal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or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IEEE 1394 or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or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IEEE 1394 or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or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IEEE 1394 or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or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IEEE 1394 or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B60K2360/1438
    • B60K2360/164
    • B60K2360/165
    • B60K2360/176
    • B60K2360/182
    • B60K2360/184
    • B60K35/10
    • B60K35/8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2Seat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1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 B60R2300/102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using 360 degree surveillance camera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2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 B60R2300/207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using multi-purpose displays, e.g. camera image and navigation or video on same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3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image processing
    • B60R2300/301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image processing combining image information with other obstacle sensor information, e.g. using RADAR/LIDAR/SONAR sensors for estimating risk of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4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details of the power supply or the coupling to vehicle components
    • B60R2300/406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details of the power supply or the coupling to vehicle component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4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details of the power supply or the coupling to vehicle components
    • B60R2300/408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details of the power supply or the coupling to vehicle components using a data b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 B60Y2400/3015Optical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Abstract

차량에 구비되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에 구비되는 장치는, 제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1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1 모듈 및 상기 제1 모듈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커넥트 되고, 제1 시점에 상기 제1 비디오 데이터와 동일한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2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모듈은, 예를 들어 상기 제1 시점 이후 제2 시점에 발생한 이벤트에 반응하여, 상기 제1 비디오 데이터와 다른 제2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설계된다.

Description

차량에 구비되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본 발명은 차량에 구비되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차량에 적어도 2개 이상의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경우에 적용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운전석 주변에 설치된 CID(Central Information Display) 및 차량 뒷자리 주변에 설치된 RSE (Rear Seat Entertainment) 등이 차량에 설치된 디스플레이가 될 수 있다.
차량은 전통적으로 사용자의 이동 수단으로 기능하지만,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각종 센서와 전자 장치 등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운전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사용자의 운전 편의를 위한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및 더 나아가 자율주행차량(Autonomous Vehicle)에 대한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 지고 있다.
운전자 보조 시스템 및 자율주행차량은 사용자의 운전 편의뿐만 아니라 승객의 편의를 위한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이를 일컬어 차량 내 엔터테인먼트 (In-car entertainment, ICE) 또는 차량 내 인포테인먼트 (In-vehicle Infotainment, IVI)라고 한다. ICE 또는 IVI는 오디오 또는 비디오 엔터테인먼트를 제공하는 자동차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IVI는 자동차 내비게이션 시스템, 비디오 플레이어, USB 및 Bluetooth 연결, Carputers, 차량 내 인터넷 및 WiFi를 포함한다.
최근에는 고가의 차량 시스템이 아니더라도, 운전석 주변에 하나의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CID)가 설치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 뒷자리 주변(예를 들어, 앞자리 시트의 뒷면)에도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RSE)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종래에는 각각의 디스플레이에서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 각각의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개별 실행하거나 또는 단순 미러링 방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라, CID 및 RSE 에서 동일한 어플리케이션 실행시 각각 개별적으로 프로세싱 처리를 하는 경우, 메모리 리소스 증가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라, 미러링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CID 또는 RSE에 대한 터치 입력에 따라 동일한 화면으로 변경되어, 운전자와 뒷자리에 앉은 동승자의 개별 니즈를 만족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차량내의 CID와 RSE 디스플레이간 데이터를 보다 효율적으로 공유하는 다양한 시나리오를 제공하고자 하며, 특히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을 하나의 프로세스로 개별 실행하여 메모리 리소스를 줄이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CID 및 RSE 디스플레이에서 터치 입력 수신시 동일한 화면으로 변경되는 미러링 현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을 여러개의 디스플레이에서 하나의 프로세싱으로 처리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새롭게 정의하는 프레임 버퍼를 사용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상기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에 구비되는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차량의 대쉬 보드(Dash Board)에 설치된 제1 SoC (System On Chip)에 의해, 제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제1 SoC에 의해,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1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제 SoC에 의해, 상기 제1 비디오 데이터를 위한 프레임 버퍼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SoC에 의해, 상기 생성된 프레임 버퍼를 상기 차량의 앞 자리 시트 뒷면에 설치된 제2 SoC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2 SoC에 의해, 제1 시점에 상기 제1 비디오 데이터와 동일한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제2 SoC에 의해, 상기 제1 시점 이후 제2 시점에 발생한 이벤트에 반응하여, 상기 제1 비디오 데이터와 다른 제2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설계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에 구비되는 장치는, 제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1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1 모듈과, 상기 제1 모듈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커넥트 되고, 제1 시점에 상기 제1 비디오 데이터와 동일한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2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제1 시점 이후 제2 시점에 발생한 이벤트에 반응하여, 상기 제1 비디오 데이터와 다른 제2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차량내의 CID와 RSE 디스플레이간 데이터를 보다 효율적으로 공유하는 다양한 시나리오를 제공하고, 특히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을 하나의 프로세스로 개별 실행하여 메모리 리소스를 줄일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CID 및 RSE 디스플레이에서 터치 입력 수신시 동일한 화면으로 변경되는 미러링 현상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을 여러개의 디스플레이에서 하나의 프로세싱으로 처리할 수 있고, 이를 위해 새롭게 정의하는 프레임 버퍼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 얻은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을 외부의 다양한 각도에서 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오브젝트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 차량내 복수개의 SoC를 제어하는 전반적인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SoC간의 workload 분산 시나리오에서 PCIe interconnection을 기반으로 하는 Cockpit Domain Controller (CDC)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 차량내 복수개의 SoC가 프레임 버퍼를 업데이트 하는 과정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 제1 SoC에서 CID 및 RSE 용 프레임 버퍼를 생성 및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2는 도 11에서 사용되는 프레임 버퍼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제1 SoC 및 제2 SoC 를 개별 구동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4는 도 13에서 사용되는 프레임 버퍼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을 CID 및 RSE 에서 개별 실행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6은 CID 에서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의 프로세스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7은 RSE 에서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의 프로세스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그리고, 도 18은 RSE 의 출력 UI (User Interface)를 별도의 프레임 버퍼(frame buffer)를 사용하여 CID 에 전달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차량(100)은 동력원에 의해 회전하는 바퀴, 차량(100)의 진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조향 입력 장치(51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100)은 자율 주행 차량일 수 있다. 차량(100)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자율 주행 모드 또는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1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메뉴얼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되거나, 자율 주행 모드에서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차량(100)은, 주행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자율 주행 모드 또는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주행 상황 정보는, 차량 외부의 오브젝트 정보, 내비게이션 정보 및 차량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100)은,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에서 생성되는 주행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메뉴얼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되거나, 자율 주행 모드에서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100)은, 통신 장치(400)를 통해 수신되는 주행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메뉴얼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되거나, 자율 주행 모드에서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차량(100)은, 외부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정보, 데이터, 신호에 기초하여 메뉴얼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되거나, 자율 주행 모드에서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차량(100)이 자율 주행 모드로 운행되는 경우 자율 주행 차량(100)은 운행 시스템(700)에 기초하여 운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율 주행 차량(100)은, 주행 시스템(710), 출차 시스템(740), 주차 시스템(750)에서 생성되는 정보, 데이터 또는 신호에 기초하여 운행될 수 있다.
차량(100)이 메뉴얼 모드로 운행되는 경우, 자율 주행 차량(100)은, 운전 조작 장치(500)를 통해 운전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운전 조작 장치(50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차량(100)은 운행될 수 있다.
전장(overall length)은 차량(100)의 앞부분에서 뒷부분까지의 길이, 전폭(width)은 차량(100)의 너비, 전고(height)는 바퀴 하부에서 루프까지의 길이를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전장 방향(L)은 차량(100)의 전장 측정의 기준이 되는 방향, 전폭 방향(W)은 차량(100)의 전폭 측정의 기준이 되는 방향, 전고 방향(H)은 차량(100)의 전고 측정의 기준이 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차량(1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 통신 장치(400), 운전 조작 장치(500), 차량 구동 장치(600), 운행 시스템(700), 내비게이션 시스템(770), 센싱부(120), 인터페이스부(130), 메모리(140), 제어부(17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차량(100)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구성 요소 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센싱부(120)는, 차량의 상태를 센싱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자세 센서(예를 들면, 요 센서(yaw sensor), 롤 센서(roll sensor), 피치 센서(pitch sensor)), 충돌 센서, 휠 센서(wheel sensor), 속도 센서, 경사 센서, 중량 감지 센서, 헤딩 센서(heading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포지션 모듈(position module), 차량 전진/후진 센서, 배터리 센서, 연료 센서, 타이어 센서, 핸들 회전에 의한 스티어링 센서, 차량 내부 온도 센서, 차량 내부 습도 센서, 초음파 센서, 조도 센서, 가속 페달 포지션 센서, 브레이크 페달 포지션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차량 자세 정보, 차량 충돌 정보, 차량 방향 정보, 차량 위치 정보(GPS 정보), 차량 각도 정보, 차량 속도 정보, 차량 가속도 정보, 차량 기울기 정보, 차량 전진/후진 정보, 배터리 정보, 연료 정보, 타이어 정보, 차량 램프 정보, 차량 내부 온도 정보, 차량 내부 습도 정보, 스티어링 휠 회전 각도, 차량 외부 조도, 가속 페달에 가해지는 압력, 브레이크 페달에 가해지는 압력 등에 대한 센싱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그 외, 가속페달센서, 압력센서, 엔진 회전 속도 센서(engine speed sensor), 공기 유량 센서(AFS), 흡기 온도 센서(ATS), 수온 센서(WTS), 스로틀 위치 센서(TPS), TDC 센서, 크랭크각 센서(CAS),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차량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차량 상태 정보는, 차량 내부에 구비된 각종 센서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 상태 정보는, 차량의 자세 정보, 차량의 속도 정보, 차량의 기울기 정보, 차량의 중량 정보, 차량의 방향 정보, 차량의 배터리 정보, 차량의 연료 정보, 차량의 타이어 공기압 정보, 차량의 스티어링 정보, 차량 실내 온도 정보, 차량 실내 습도 정보, 페달 포지션 정보 및 차량 엔진 온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차량(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부(130)는 이동 단말기와 연결 가능한 포트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포트를 통해, 이동 단말기와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인터페이스부(130)는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한편, 인터페이스부(130)는 연결된 이동 단말기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가 인터페이스부(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인터페이스부(130)는 전원 공급부(190)에서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이동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제어부(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메모리(140)는 유닛에 대한 기본데이터, 유닛의 동작제어를 위한 제어데이터,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다. 메모리(140)는 제어부(17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차량(10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140)는, 제어부(17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제어부(170)의 하위 구성 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차량(100) 내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로 명명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전원 공급부(190)는, 차량 내부의 배터리 등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차량(100)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제어부(17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센싱부(120), 인터페이스부(130), 메모리(140) 전원 공급부(19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 통신 장치(400), 운전 조작 장치(500), 차량 구동 장치(600), 운행 시스템(700) 및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은 개별적인 프로세서를 갖거나 제어부(170)에 통합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차량(100)과 사용자와의 소통을 위한 장치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에게 차량(100)에서 생성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차량(1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를 통해, UI(User Interfaces) 또는 UX(User Experience)를 구현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입력부(210), 내부 카메라(220), 생체 감지부(230), 출력부(250) 및 프로세서(27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의 각 구성요소는 전술한 인터페이스부(130)와 구조적, 기능적으로 분리되거나 통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설명되는 구성 요소 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입력부(21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 입력부(210)에서 수집한 데이터는, 프로세서(270)에 의해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 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입력부(210)는, 차량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210)는,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의 일 영역, 인스투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el)의 일 영역, 시트(seat)의 일 영역, 각 필러(pillar)의 일 영역, 도어(door)의 일 영역, 센타 콘솔(center console)의 일 영역, 헤드 라이닝(head lining)의 일 영역, 썬바이저(sun visor)의 일 영역, 윈드 쉴드(windshield)의 일 영역 또는 윈도우(window)의 일 영역 등에 배치될 수 있다.
입력부(210)는, 음성 입력부(211), 제스쳐 입력부(212), 터치 입력부(213) 및 기계식 입력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입력부(211)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전기적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전환된 전기적 신호는,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에 제공될 수 있다. 음성 입력부(211)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폰을 포함할 수 있다.
제스쳐 입력부(212)는, 사용자의 제스쳐 입력을 전기적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전환된 전기적 신호는,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에 제공될 수 있다. 제스쳐 입력부(212)는, 사용자의 제스쳐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적외선 센서 및 이미지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스쳐 입력부(212)는, 사용자의 3차원 제스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스쳐 입력부(212)는, 복수의 적외선 광을 출력하는 광출력부 또는 복수의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스쳐 입력부(212)는, TOF(Time of Flight) 방식, 구조광(Structured light) 방식 또는 디스패러티(Disparity) 방식을 통해 사용자의 3차원 제스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입력부(213)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전기적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전환된 전기적 신호는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에 제공될 수 있다. 터치 입력부(213)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터치 입력부(213)는 디스플레이부(251)와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차량(100)과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 및 출력 인터페이스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기계식 입력부(214)는, 버튼, 돔 스위치(dome switch), 조그 휠 및 조그 스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기계식 입력부(214)에 의해 생성된 전기적 신호는,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에 제공될 수 있다. 기계식 입력부(214)는,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 센터페시아(center fascia), 센터 콘솔(center console), 콕핏 모듈(cockpit module), 도어 등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앞서 설명한 음성 입력부(211), 제스쳐 입력부(212), 터치 입력부(213) 및 기계식 입력부(214)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반응하여, 차량(100)의 학습 모드를 개시할 수 있다. 학습 모드에서 차량(100)은 차량(100)의 주행 경로 학습 및 주변 환경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학습 모드에 관해서는 이하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 및 운행 시스템(700)과 관련된 부분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내부 카메라(220)는, 차량 내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차량 내부 영상을 기초로, 사용자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차량 내부 영상에서 사용자의 시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차량 내부 영상에서 사용자의 제스쳐를 감지할 수 있다.
생체 감지부(23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생체 감지부(23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하고,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지문 정보, 심박동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생체 정보는 사용자 인증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출력부(250)는, 디스플레이부(251), 음향 출력부(252) 및 햅틱 출력부(25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다양한 정보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터치 입력부(213)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HUD(Head Up Display)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가 HUD로 구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51)는 투사 모듈을 구비하여 윈드 쉴드 또는 윈도우에 투사되는 이미지를 통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는 윈드 쉴드 또는 윈도우에 부착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는 소정의 투명도를 가지면서, 소정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는, 투명도를 가지기 위해, 투명 디스플레이는 투명 TFEL(Thin Film Electroluminescent), 투명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투명 LCD(Liquid Crystal Display), 투과형 투명디스플레이, 투명 LED(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의 투명도는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251a 내지 251g)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스티어링 휠의 일 영역, 인스투루먼트 패널의 일 영역(251a, 251b, 251e), 시트의 일 영역(251d), 각 필러의 일 영역(251f), 도어의 일 영역(251g), 센타 콘솔의 일 영역, 헤드 라이닝의 일 영역, 썬바이저의 일 영역에 배치되거나, 윈드 쉴드의 일영역(251c), 윈도우의 일영역(251h)에 구현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252)는,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로부터 제공되는 전기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해, 음향 출력부(252)는, 하나 이상의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출력부(253)는, 촉각적인 출력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면, 햅틱 출력부(253)는, 스티어링 휠, 안전 벨트, 시트(110FL, 110FR, 110RL, 110RR)를 진동시켜, 사용자가 출력을 인지할 수 있게 동작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복수의 프로세서(270)를 포함하거나, 프로세서(27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에 프로세서(270)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차량(100)내 다른 장치의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로 명명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차량(100) 외부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이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오브젝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오브젝트 정보는, 오브젝트의 존재 유무에 대한 정보, 오브젝트의 위치 정보, 차량(100)과 오브젝트와의 거리 정보 및 차량(100)과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오브젝트는, 차량(100)의 운행과 관련된 다양한 물체들일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오브젝트(O)는, 차선(OB10), 타 차량(OB11), 보행자(OB12), 이륜차(OB13), 교통 신호(OB14, OB15), 빛, 도로, 구조물, 과속 방지턱, 지형물, 동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선(Lane)(OB10)은, 주행 차선, 주행 차선의 옆 차선, 대향되는 차량이 주행하는 차선일 수 있다. 차선(Lane)(OB10)은, 차선(Lane)을 형성하는 좌우측 선(Line)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타 차량(OB11)은, 차량(100)의 주변에서 주행 중인 차량일 수 있다. 타 차량은, 차량(100)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차량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타 차량(OB11)은, 차량(100)보다 선행 또는 후행하는 차량일 수 있다.
보행자(OB12)는, 차량(100)의 주변에 위치한 사람일 수 있다. 보행자(OB12)는, 차량(100)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사람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보행자(OB12)는, 인도 또는 차도상에 위치하는 사람일 수 있다.
이륜차(OB13)는, 차량(100)의 주변에 위치하고, 2개의 바퀴를 이용해 움직이는 탈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륜차(OB13)는, 차량(100)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2개의 바퀴를 가지는 탈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륜차(OB13)는, 인도 또는 차도상에 위치하는 오토바이 또는 자전거일 수 있다.
교통 신호는, 교통 신호등(OB15), 교통 표지판(OB14), 도로 면에 그려진 문양 또는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빛은, 타 차량에 구비된 램프에서 생성된 빛일 수 있다. 빛은, 가로등에서 생성된 빛을 수 있다. 빛은 태양광일 수 있다. 도로는, 도로면, 커브, 오르막, 내리막 등의 경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조물은, 도로 주변에 위치하고, 지면에 고정된 물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구조물은, 가로등, 가로수, 건물, 전봇대, 신호등, 다리를 포함할 수 있다. 지형물은, 산, 언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오브젝트는, 이동 오브젝트와 고정 오브젝트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오브젝트는, 타 차량, 보행자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 오브젝트는, 교통 신호, 도로, 구조물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카메라(310), 레이다(320), 라이다(330), 초음파 센서(340), 적외선 센서(350) 및 프로세서(370)를 포함할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의 각 구성요소는 전술한 센싱부(120)와 구조적, 기능적으로 분리되거나 통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설명되는 구성 요소 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카메라(310)는, 차량 외부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카메라(310)는, 모노 카메라, 스테레오 카메라(310a), AVM(Around View Monitoring) 카메라(310b) 또는 360도 카메라일 수 있다.
카메라(310)는, 다양한 영상 처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오브젝트의 위치 정보, 오브젝트와의 거리 정보 또는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310)는, 획득된 영상에서, 시간에 따른 오브젝트 크기의 변화를 기초로, 오브젝트와의 거리 정보 및 상대 속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310)는, 핀홀(pin hole) 모델, 노면 프로파일링 등을 통해, 오브젝트와의 거리 정보 및 상대 속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310)는, 스테레오 카메라(310a)에서 획득된 스테레오 영상에서 디스패러티(disparity) 정보를 기초로 오브젝트와의 거리 정보 및 상대 속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310)는, 차량 전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실내에서, 프런트 윈드 쉴드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카메라(310)는, 프런트 범퍼 또는 라디에이터 그릴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310)는, 차량 후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실내에서, 리어 글라스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카메라(310)는, 리어 범퍼, 트렁크 또는 테일 게이트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310)는, 차량 측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실내에서 사이드 윈도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카메라(310)는, 사이드 미러, 휀더 또는 도어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310)는, 획득된 영상을 프로세서(370)에 제공할 수 있다.
레이다(320)는, 전자파 송신부,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이다(320)는 전파 발사 원리상 펄스 레이다(Pulse Radar) 방식 또는 연속파 레이다(Continuous Wave Radar)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레이다(320)는 연속파 레이다 방식 중에서 신호 파형에 따라 FMCW(Frequency Modulated Continuous Wave)방식 또는 FSK(Frequency Shift Keying)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레이다(320)는 전자파를 매개로, TOF(Time of Flight) 방식 또는 페이즈 쉬프트(phase-shift) 방식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의 위치,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레이다(320)는, 차량의 전방, 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라이다(330)는, 레이저 송신부,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이다(330)는, TOF(Time of Flight) 방식 또는 페이즈 쉬프트(phase-shift)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라이다(330)는, 구동식 또는 비구동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동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라이다(330)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차량(100) 주변의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비구동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라이다(330)는, 광 스티어링에 의해, 차량(100)을 기준으로 소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차량(100)은 복수의 비구동식 라이다(330)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이다(330)는, 레이저 광 매개로, TOF(Time of Flight) 방식 또는 페이즈 쉬프트(phase-shift) 방식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의 위치,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라이다(330)는, 차량의 전방, 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초음파 센서(340)는, 초음파 송신부,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340)은, 초음파를 기초로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의 위치,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340)는, 차량의 전방, 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적외선 센서(350)는, 적외선 송신부,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센서(340)는, 적외선 광을 기초로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의 위치,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적외선 센서(350)는, 차량의 전방, 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카메라(310, 레이다(320), 라이다(330), 초음파 센서(340) 및 적외선 센서(350)에 의해 센싱된 데이터와 기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거나 분류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획득된 영상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트래킹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영상 처리 알고리즘을 통해, 오브젝트와의 거리 산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산출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70)는, 획득된 영상에서, 시간에 따른 오브젝트 크기의 변화를 기초로, 오브젝트와의 거리 정보 및 상대 속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70)는, 핀홀(pin hole) 모델, 노면 프로파일링 등을 통해, 오브젝트와의 거리 정보 및 상대 속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70)는, 스테레오 카메라(310a)에서 획득된 스테레오 영상에서 디스패러티(disparity) 정보를 기초로 오브젝트와의 거리 정보 및 상대 속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송신된 전자파가 오브젝트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 전자파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트래킹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전자파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와의 거리 산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산출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송신된 레이저가 오브젝트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 레이저 광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트래킹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레이저 광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와의 거리 산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산출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송신된 초음파가 오브젝트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 초음파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트래킹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초음파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와의 거리 산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산출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송신된 적외선 광이 오브젝트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 적외선 광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트래킹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적외선 광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와의 거리 산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산출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입력부(210)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반응하여 차량(100)의 학습 모드가 개시되면, 프로세서(370)는 카메라(310), 레이다(320), 라이다(330), 초음파 센서(340) 및 적외선 센서(350)에 의해 센싱된 데이터를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 있다.
저장된 데이터의 분석을 기초로 한 학습 모드의 각 단계와 학습 모드에 후행하는 동작 모드에 대해서는 이하 운행 시스템(700)과 관련된 부분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실시예에 따라,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복수의 프로세서(370)를 포함하거나, 프로세서(37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310), 레이다(320), 라이다(330), 초음파 센서(340) 및 적외선 센서(350) 각각은 개별적으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에 프로세서(370)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차량(100)내 장치의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통신 장치(400)는,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이다. 여기서, 외부 디바이스는, 타 차량, 이동 단말기 또는 서버일 수 있다. 통신 장치(400)는,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송신 안테나, 수신 안테나, 각종 통신 프로토콜이 구현 가능한 RF(Radio Frequency) 회로 및 RF 소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장치(400)는, 근거리 통신부(410), 위치 정보부(420), V2X 통신부(430), 광통신부(440), 방송 송수신부(450),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통신부(460) 및 프로세서(47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통신 장치(400)는, 설명되는 구성 요소 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410)는,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유닛이다. 근거리 통신부(410)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410)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형성하여, 차량(100)과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 사이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 정보부(420)는, 차량(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유닛이다. 예를 들면, 위치 정보부(42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V2X 통신부(430)는, 서버(V2I : Vehicle to Infra), 타 차량(V2V : Vehicle to Vehicle) 또는 보행자(V2P : Vehicle to Pedestrian)와의 무선 통신 수행을 위한 유닛이다. V2X 통신부(430)는, 인프라와의 통신(V2I), 차량간 통신(V2V), 보행자와의 통신(V2P) 프로토콜이 구현 가능한 RF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광통신부(440)는, 광을 매개로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유닛이다. 광통신부(440)는,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전환하여 외부에 발신하는 광발신부 및 수신된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전환하는 광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광발신부는, 차량(100)에 포함된 램프와 일체화되게 형성될 수 있다.
방송 송수신부(450)는, 방송 채널을 통해,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거나, 방송 관리 서버에 방송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유닛이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ITS 통신부(460)는, 교통 시스템과 정보, 데이터 또는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ITS 통신부(460)는, 교통 시스템에 획득한 정보,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ITS 통신부(460)는, 교통 시스템으로부터, 정보,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ITS 통신부(460)는, 교통 시스템으로부터 도로 교통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17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ITS 통신부(460)는, 교통 시스템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70) 또는 차량(100) 내부에 구비된 프로세서에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470)는, 통신 장치(400)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통신 장치(400)는, 복수의 프로세서(470)를 포함하거나, 프로세서(47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통신 장치(400)에 프로세서(470)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통신 장치(400)는, 차량(100)내 다른 장치의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한편, 통신 장치(4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와 함께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텔레 매틱스(telematics) 장치 또는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로 명명될 수 있다. 통신 장치(40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운전 조작 장치(500)는, 운전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장치이다. 메뉴얼 모드인 경우, 차량(100)은, 운전 조작 장치(500)에 의해 제공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운행될 수 있다. 운전 조작 장치(500)는, 조향 입력 장치(510), 가속 입력 장치(530) 및 브레이크 입력 장치(570)를 포함할 수 있다.
조향 입력 장치(510)는, 사용자로부터 차량(100)의 진행 방향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조향 입력 장치(510)는, 회전에 의해 조향 입력이 가능하도록 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조향 입력 장치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가속 입력 장치(530)는, 사용자로부터 차량(100)의 가속을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브레이크 입력 장치(570)는, 사용자로부터 차량(100)의 감속을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가속 입력 장치(530) 및 브레이크 입력 장치(570)는, 페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가속 입력 장치 또는 브레이크 입력 장치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운전 조작 장치(50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차량 구동 장치(600)는, 차량(100)내 각종 장치의 구동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장치이다. 차량 구동 장치(600)는, 파워 트레인 구동부(610), 샤시 구동부(620), 도어/윈도우 구동부(630), 안전 장치 구동부(640), 램프 구동부(650) 및 공조 구동부(66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차량 구동 장치(600)는, 설명되는 구성 요소 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차량 구동 장치(600)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구동 장치(600)의 각 유닛은, 각각 개별적으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파워 트레인 구동부(610)는, 파워 트레인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파워 트레인 구동부(610)는, 동력원 구동부(611) 및 변속기 구동부(612)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611)는, 차량(100)의 동력원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석 연료 기반의 엔진이 동력원인 경우, 동력원 구동부(610)는, 엔진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엔진의 출력 토크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611)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엔진 출력 토크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기 에너지 기반의 모터가 동력원인 경우, 동력원 구동부(610)는, 모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61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모터의 회전 속도, 토크 등을 조정할 수 있다.
변속기 구동부(612)는, 변속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변속기 구동부(612)는, 변속기의 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변속기 구동부(612)는, 변속기의 상태를, 전진(D), 후진(R), 중립(N) 또는 주차(P)로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엔진이 동력원인 경우, 변속기 구동부(612)는, 전진(D) 상태에서, 기어의 물림 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샤시 구동부(620)는, 샤시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샤시 구동부(620)는, 조향 구동부(621), 브레이크 구동부(622) 및 서스펜션 구동부(623)를 포함할 수 있다.
조향 구동부(621)는, 차량(100) 내의 조향 장치(steering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조향 구동부(621)는, 차량의 진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브레이크 구동부(622)는, 차량(100) 내의 브레이크 장치(brake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퀴에 배치되는 브레이크의 동작을 제어하여, 차량(100)의 속도를 줄일 수 있다.
한편, 브레이크 구동부(622)는, 복수의 브레이크 각각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브레이크 구동부(622)는, 복수의 휠에 걸리는 제동력을 서로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서스펜션 구동부(623)는, 차량(100) 내의 서스펜션 장치(suspension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스펜션 구동부(623)는 도로 면에 굴곡이 있는 경우, 서스펜션 장치를 제어하여, 차량(100)의 진동이 저감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서스펜션 구동부(623)는, 복수의 서스펜션 각각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어/윈도우 구동부(630)는, 차량(100) 내의 도어 장치(door apparatus) 또는 윈도우 장치(window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어/윈도우 구동부(630)는, 도어 구동부(631) 및 윈도우 구동부(63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구동부(631)는, 도어 장치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어 구동부(631)는, 차량(100)에 포함되는 복수의 도어의 개방,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도어 구동부(631)는, 트렁크(trunk) 또는 테일 게이트(tail gate)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도어 구동부(631)는, 썬루프(sunroof)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윈도우 구동부(632)는, 윈도우 장치(window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차량(100)에 포함되는 복수의 윈도우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안전 장치 구동부(640)는, 차량(100) 내의 각종 안전 장치(safety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안전 장치 구동부(640)는, 에어백 구동부(641), 시트벨트 구동부(642) 및 보행자 보호 장치 구동부(643)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백 구동부(641)는, 차량(100) 내의 에어백 장치(airbag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백 구동부(641)는, 위험 감지시, 에어백이 전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시트벨트 구동부(642)는, 차량(100) 내의 시트벨트 장치(seatbelt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트벨트 구동부(642)는, 위험 감지 시, 시트 벨트를 이용해 탑승객이 시트(110FL, 110FR, 110RL, 110RR)에 고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보행자 보호 장치 구동부(643)는, 후드 리프트 및 보행자 에어백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행자 보호 장치 구동부(643)는, 보행자와의 충돌 감지 시, 후드 리프트 업 및 보행자 에어백 전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램프 구동부(650)는, 차량(100) 내의 각종 램프 장치(lamp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공조 구동부(660)는, 차량(100) 내의 공조 장치(air conditioner)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조 구동부(660)는, 차량 내부의 온도가 높은 경우, 공조 장치가 동작하여, 냉기가 차량 내부로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차량 구동 장치(600)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구동 장치(600)의 각 유닛은, 각각 개별적으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구동 장치(60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운행 시스템(700)은, 차량(100)의 각종 운행을 제어하는 시스템이다. 운행 시스템(700)은, 자율 주행 모드에서 동작될 수 있다.
운행 시스템(700)은, 주행 시스템(710), 출차 시스템(740) 및 주차 시스템(750)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운행 시스템(700)은, 설명되는 구성 요소 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운행 시스템(700)은,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운행 시스템(700)의 각 유닛은, 각각 개별적으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운행 시스템(700)은 학습에 기초한 자율 주행 모드의 운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학습 모드 및 학습이 완료됨을 전제로 한 동작 모드가 수행될 수 있다. 운행 시스템(700)의 프로세서가 학습 모드(learning mode) 및 동작 모드(operating mode)를 수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이하 설명하도록 한다.
학습 모드는 앞서 설명한 메뉴얼 모드에서 수행될 수 있다. 학습 모드에서 운행 시스템(700)의 프로세서는 차량(100)의 주행 경로 학습 및 주변 환경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주행 경로 학습은 차량(100)이 주행하는 경로에 대한 맵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운행 시스템(700)의 프로세서는 차량(100)이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 주행하는 동안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를 통해 검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맵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주변 환경 학습은 차량(100)의 주행 과정 및 주차 과정에서 차량(100)의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운행 시스템(700)의 프로세서는 차량(100)의 주차 과정에서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를 통해 검출된 정보, 예를 들면 주차 공간의 위치 정보, 크기 정보, 고정된(또는 고정되지 않은) 장애물 정보 등과 같은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100)의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분석할 수 있다.
동작 모드는 앞서 설명한 자율 주행 모드에서 수행될 수 있다. 학습 모드를 통하여 주행 경로 학습 또는 주변 환경 학습이 완료된 것을 전제로 동작 모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동작 모드는 입력부(210)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반응하여 수행되거나, 학습이 완료된 주행 경로 및 주차 공간에 차량(100)이 도달하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동작 모드는 운전 조작 장치(500)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을 일부 요구하는 반-자율 동작 모드(semi autonomous operating mode) 및 운전 조작 장치(500)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을 전혀 요구하지 않는 완전-자율 동작 모드(fully autonomous operating mode)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운행 시스템(700)의 프로세서는 동작 모드에서 주행 시스템(710)을 제어하여 학습이 완료된 주행 경로를 따라 차량(100)을 주행시킬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운행 시스템(700)의 프로세서는 동작 모드에서 출차 시스템(740)을 제어하여 학습이 완료된 주차 공간으로부터 주차된 차량(100)을 출차 시킬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운행 시스템(700)의 프로세서는 동작 모드에서 주차 시스템(750)을 제어하여 현재 위치로부터 학습이 완료된 주차 공간으로 차량(100)을 주차 시킬 수 있다.한편, 실시예에 따라, 운행 시스템(700)이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는 경우, 제어부(170)의 하위 개념일 수도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운행 시스템(7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70),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 및 통신 장치(400), 운전 조작 장치(500), 차량 구동 장치(600), 내비게이션 시스템(770), 센싱부(120) 및 제어부(1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주행 시스템(710)은, 차량(100)의 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 주행 시스템(710)은,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으로부터 내비게이션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
주행 시스템(710)은,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로부터 오브젝트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 주행 시스템(710)은, 통신 장치(400)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
주행 시스템(71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70),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 및 통신 장치(400), 운전 조작 장치(500), 차량 구동 장치(600), 내비게이션 시스템(770), 센싱부(120) 및 제어부(1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차량(100)의 주행을 수행하는 시스템 개념일 수 있다. 이러한, 주행 시스템(710)은, 차량 주행 제어 장치로 명명될 수 있다.
출차 시스템(740)은, 차량(100)의 출차를 수행할 수 있다. 출차 시스템(740)은,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으로부터 내비게이션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출차를 수행할 수 있다.
출차 시스템(740)은,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로부터 오브젝트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출차를 수행할 수 있다.
출차 시스템(740)은, 통신 장치(400)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출차를 수행할 수 있다.
출차 시스템(74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70),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 및 통신 장치(400), 운전 조작 장치(500), 차량 구동 장치(600), 내비게이션 시스템(770), 센싱부(120) 및 제어부(1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차량(100)의 출차를 수행하는 시스템 개념일 수 있다.
이러한, 출차 시스템(740)은, 차량 출차 제어 장치로 명명될 수 있다.
주차 시스템(750)은, 차량(100)의 주차를 수행할 수 있다. 주차 시스템(750)은,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으로부터 내비게이션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차를 수행할 수 있다.
주차 시스템(750)은,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로부터 오브젝트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차를 수행할 수 있다.
주차 시스템(750)은, 통신 장치(400)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차를 수행할 수 있다.
주차 시스템(75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70),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 및 통신 장치(400), 운전 조작 장치(500), 차량 구동 장치(600), 내비게이션 시스템(770), 센싱부(120) 및 제어부(1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차량(100)의 주차를 수행하는 시스템 개념일 수 있다.
이러한, 주차 시스템(750)은, 차량 주차 제어 장치로 명명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은, 내비게이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정보는, 맵(map) 정보, 설정된 목적지 정보, 상기 목적지 설정 따른 경로 정보, 경로 상의 다양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 차선 정보 및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은, 메모리,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내비게이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은, 통신 장치(400)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기 저장된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의 하위 구성 요소로 분류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 차량내 복수개의 SoC를 제어하는 전반적인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이전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이하 후술할 도 8 내지 도 18을 보충 해석 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차량의 대쉬 보드(Dash Board)에 설치된 제1 SoC (System On Chip)에 의해, 제1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810). 상기 제1 SoC에 의해,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1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S820).
상기 제1 SoC에 의해, 상기 제1 비디오 데이터를 위한 프레임 버퍼를 생성하고(S830), 상기 제1 SoC에 의해, 상기 생성된 프레임 버퍼를 상기 차량의 앞 자리 시트 뒷면에 설치된 제2 SoC에 전송한다(S840). 여기서의 제1 SoC 는 예를 들어, CID 에 해당하거나 CID 를 제어하는 모듈 또는 칩에 해당하고, 제2 SoC 는 예를 들어, RSE 에 해당하거나 RSE 를 제어하는 모듈 또는 칩에 해당한다.
상기 제2 SoC에 의해, 제1 시점에 상기 제1 비디오 데이터와 동일한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고(S850), 상기 제2 SoC에 의해, 상기 제1 시점 이후 제2 시점에 발생한 이벤트에 반응하여, 상기 제1 비디오 데이터와 다른 제2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S860). 따라서, 차량내 CID 및 RSE에 동일한 화면을 제공하다가, 특정 트리거 조건(예를 들어, 터치 입력)에 따라 각각 다른 화면으로 전환되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는 점에서, 기존 단순 미러링 대비 진보하다.
나아가, 상기 제1 SoC에 의해, 상기 이벤트(예를 들어, 터치 입력)가 발생하기 전까지는, 상기 제1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제2 SoC로 그대로 전송한다.
다만, 상기 제2 SoC에 의해, 상기 이벤트에 반응하여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과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따라서,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제1 SoC에 의해,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기 전까지, 상기 제1 비디오 데이터를 위한 프레임 버퍼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프레임 버퍼를 상기 제2 SoC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SoC에 의해,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이후에는, 상기 제1 비디오 데이터를 위한 프레임 버퍼의 생성을 중단함으로써, 불필요한 프레임 버퍼 생성으로 인한 리소스 낭비를 줄일 수 있는 기술적 효과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SoC에 의해, 상기 제2 시점 이후 제3 시점에 발생한 제1 특정 타입의 이벤트에 대해서만 반응하여, 상기 특정 타입의 이벤트 관련 커맨드를 상기 제1 SoC에 전송하며, 상기 제2 SoC에 의해, 상기 제3 시점 이후 제4 시점에 발생한 제2 특정 타입의 이벤트에 대해서만 반응하여,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중지하고, 상기 제1 SoC로부터 상기 제1 비디오 데이터를 다시 수신한다. 이와 관련해서는, 이하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도 8에서 도시한 복수의 SoC들간 워크로드 분산을 위한 솔루션은 이하 도 9에서 후술하겠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SoC간의 workload 분산 시나리오에서 PCIe interconnection을 기반으로 하는 Cockpit Domain Controller (CDC)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CDC 시스템은 PCIe Switch (930)와 PCIe 인터페이스 (931, 932, 933, 934)를 갖는 복수의 SoC (910, 920), GPU (Graphics Processing Unit, 940), NVMe (Non-Volatile Memory express, 950), FPG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Device (미도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SoC (910, 920)는 각각 복수 개의 Display를 제어할 수 있고, CPU, Cache, Memory, Host-PCI Bridge, PCI device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이 생략될 수 있으며, 도시되지 않은 구성이 SoC (910, 920)에 추가될 수 있다.
PCI Switch (930)는 복수 개의 PCI-PCI Bridge로 구성되며, SoC (910, 920), External GPU (940) 및 NVMe (950)과 복수의 PCIe interface (931, 932, 933, 934)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PCIe interface (931, 932, 933, 934)는 유선 인터페이스 일 수 있으나, 반드시 유선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CDC 시스템에 따르면, 계산 성능 (Computing Performance) 증대 또는 스토리지 (Storage) 확장과 같은 새로운 Feature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Grade별 성능 요구 사항은 PCIe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각각 Device를 Attach 함으로써 만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GPU 성능이 모자라는 경우 SoC 업그레이드 또는 GPU 추가 장착으로 성능 요구 사항 만족이 가능하다.
나아가, 도 9에 도시된 각각의 SoC 들은 본 발명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CID 및 RSE 각각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 차량내 복수개의 SoC가 프레임 버퍼를 업데이트 하는 과정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우선, 제1 SoC 및 제2 SoC 에서 하나의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01). 상기 판단 결과, 동일한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지 않으면, 그래픽 쉐어링(공유) 동작을 수행한다(S1002). 즉, 제1 SoC에서 실행된 화면을 제2 SoC에 전송하거나 또는 제2 SoC에서 실행된 화면을 제1 SoC로 전송한다.
나아가, 상기 판단 결과, 동일한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경우에는, 각각 독립적인 개별 컨트롤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003). 상기 판단 결과 개별 컨트롤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그래픽 쉐어링(공유) 동작을 수행한다(S1004). 즉, 제1 SoC에서 실행된 화면을 제2 SoC에 전송하거나 또는 제2 SoC에서 실행된 화면을 제1 SoC로 전송한다.
상기 판단 결과 개별 컨트롤 상태인 경우에는, 터치 입력을 수신 및 디텍트 하고(S1005), 제1 SoC에서 발생한 터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006). 상기 판단 결과 제1 SoC에서 발생한 터치인 경우에는, 도 10에 도시된 프레임 버퍼(S1050)를 업데이트 하고(S1007), 추가적으로 터치가 인식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08).
상기 판단 결과 추가적인 터치 인식이 없는 경우에는, 제1 SoC에서 제2 SoC로의 쉐어링 동작 필요성을 판단한다(S1009). 상기 판단 결과 쉐어링이 필요 없는 경우에는, 대기상태를 유지하며(S1010), 상기 판단 결과 쉐어링이 필요한 경우에는 프레임 버퍼를 업데이트 하고(S1011), 백업용 프레임 버퍼(FB2(Backup))를 제1 SoC에서 제2 SoC로 전송한다(S1012).
한편, 상기 판단 결과(S1006) 제1 SoC에서 인식된 터치가 아닌 경우에는, 제2 SoC는 제1 SoC로 터치 관련 좌표값(Coordinate)을 전송하고(S1013), 프레임 버퍼를 업데이트 하며(S1014), 오리지날 프레임 버퍼(FB2(Original))를 제1 SoC에서 제2 SoC로 전송한다(S1015).
나아가, 추가적으로 터치가 인식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16). 상기 판단 결과 추가적인 터치 인식이 없는 경우에는, 제2 SoC에서 제1 SoC로의 쉐어링 동작 필요성을 판단한다(S1017). 상기 판단 결과 쉐어링이 필요 없는 경우에는, 현재 화면을 유지하며(S1018), 상기 판단 결과 쉐어링이 필요한 경우에는 프레임 버퍼를 업데이트 하고(S1019), 백업용 프레임 버퍼(FB1(Backup))를 제1 SoC에서 제2 SoC로 전송한다(S1020).
즉, 도 10 및 다른 도면들을 토대로 본 발명을 정리해 보면, 제1 SoC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다른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제2 SoC)에 전달시, 제2 SoC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받아 별도로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수신한 시점부터, 제2 SoC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은 제1 SoC와 개별 구동된다. 이와 같은 개별 구동 조건으로서, 본 발명은 CID(제1 SoC)에서 어플리케이션 전송시 선택하거나 또는 RSE (제2 SoC)가 전달 받은 어플리케이션의 타입에 따라, 또는 RSE에 터치 입력이 인식됨에 따라, 자동으로 개별 구동되는 상황을 제안한다.
나아가, 제2 SoC에서 입력되는 입력 결과값(예를 들어, 특정 터치)에 따라, 제2 SoC의 입력 결과를 제1 SoC으로 전달하고, 제2 SoC의 입력 결과만 제1 SoC에서 출력하거나 또는 해당 화면을 전송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제1 SoC가 전달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제2 SoC (RSE)에서도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제2 SoC (RSE)에서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없는 어플리케이션 타입인 경우에는, 제1 SoC에서 실행된 화면을 그대로 제2 SoC에서 미러링 하여 출력한다.
반면, 상기 판단 결과 제2 SoC (RSE)에서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타입인 경우에는, 프레임 버퍼를 백업용으로 분리하고, 백업용 프레임버퍼를 제2 SoC (RSE)에서 출력한다. 그리고, 제2 SoC (RSE)에서는 RSE 용 UI(예를 들어, POI(Point Of Interest))을 함께 합성하여 출력한다.
한편, 상기 RSE 용 UI에 대해서는, 별도의 프레임 버퍼를 구성하여 출력할 수도 있고, RSE 용 UI를 제2 SoC에서 제공하는 것(부분미러링)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며, 보다 상세한 실시예에 대해서는 이하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후술하겠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 제1 SoC에서 CID 및 RSE 용 프레임 버퍼를 생성 및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2는 도 11에서 사용되는 프레임 버퍼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도 11을 요약 설명하면, 제1 SoC에서 제2 SoC로 전송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타입이, 제2 SoC에서도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인 경우에 해당한다. 이 때, 제1 SoC에서는 CID(제1 SoC) 및 RSE(제2 SoC) 각각을 위한 프레임 버퍼를 생성하고 출력한다.
즉, 프레임 버퍼를 백업용으로 분리하고, 백업 화면을 RSE(제2 SoC)에 출력한다. 나아가, 제1 SoC에서 CID 및 RSE 를 위한 화면을 모두 구성하여 출력하고, RSE 전용 출력 UI(EX: POI)는 제1 SoC 또는 제2 SoC 둘 중 하나를 통해 별도의 부분 미러링이 이루어 진다. 그리고, 제2 SoC(RSE) 입력값에 대한 터치 좌표를 제1 SoC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SoC(SOC#1)는 클러스터 및 CID 를 관리하고, 제2 SoC(SOC#2)는 RSE 를 관리한다. 상기 클러스터는 주행 속도 및 주유 거리, 주유량 등의 기본 정보(1110)를 표시하고, CID는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네비게이션)(1120)을 디스플레이 하며,RSE 역시 상기 CID와 동일한 화면(1130)을 표시한다.
다만, 이와 같은 미러링 상황에서, 종래 기술과 달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목적지 설정’ 관련 터치(1131)가 인식된 경우, 제2 SoC(RSE)는 관련 요청(request) 신호를 CID를 관리하는 제1 SoC에 전송한다(1132).
이 때, 종래 기술과 달리, 미러링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RSE 에서는 목적지 설정을 CID에 요청 중이라는 메시지(1133)가 디스플레이 되고, CID 에서는 목적지 설정 요청이 전송되었다는 메시지(1134)가 디스플레이 된다. 그리고, 응답 신호(1135)가 제1 SoC로부터 제2 SoC로 수신된 경우, 확인 컨펌 메시지(1136)를 디스플레이 한다. 따라서, CID와 가까운 운전자가 네비게이션 실행 중 직접 목적지를 설정할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처리 속도가 개선되고 운전의 안정성도 제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11을 구현하기 위한 프레임 버퍼를 구성하는 실시예는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CID 및 RSE를 위한 일반적인 프레임버퍼는 모두 제1 SoC에서 생성되는 반면, 부분 미러링(ex: POI)을 위한 프레임 버퍼는 제1 SoC 또는 제2 SoC 에서 생성될 수 있다. 상기 부분 미러링 이라 함은, 연결된 디바이스의 일부 화면만 제1영역에 그대로 출력하고, 다른 제2영역에서는 해당 디바이스 고유의 화면을 출력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13은 제1 SoC 및 제2 SoC 를 개별 구동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4는 도 13에서 사용되는 프레임 버퍼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도 13을 요약 설명하면, 제1 SoC에서 제2 SoC로 전송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타입이, 제2 SoC에서도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인 경우에 해당한다. 다만, 도 13과 달리, 터치 입력시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을 제1 SoC 및 제2 SoC에서 개별 구동하게 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제1 SoC에서 구동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제2 SoC에서도 백그라운드로 동시에 구동한다. RSE(제2 SoC)에서 터치 입력을 감지한 시점부터 백그라운드로 구동되던 어플리케이션을 전환하여 출력한다(즉,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을 각각의 SoC에서 개별 구동함).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RSE에서 CID로 정보를 송신하는 경우(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실행 중 목적지 전달), 제2 SoC의 입력 결과를 제1 SoC로 전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SoC(SOC#1)는 클러스터 및 CID 를 관리하고, 제2 SoC(SOC#2)는 RSE 를 관리한다. 상기 클러스터는 주행 속도 및 주유 거리, 주유량 등의 기본 정보(1310)를 표시하고, CID는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네비게이션)(1320)을 디스플레이 하며,RSE 역시 상기 CID와 동일한 화면(1330)을 표시한다.
다만, 이와 같은 미러링 상황에서, 종래 기술과 달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목적지 설정’ 관련 터치(1331)가 인식된 경우, 제2 SoC(RSE)는 관련 요청(request) 신호를 CID를 관리하는 제1 SoC에 전송한다(1332).
이 때, 종래 기술과 달리, 미러링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RSE 에서는 목적지 설정을 CID에 요청 중이라는 메시지(1333)가 디스플레이 되고, CID 에서는 목적지 설정 요청이 전송되었다는 메시지(1334)가 디스플레이 된다. 그리고, 응답 신호(1335)가 제1 SoC로부터 제2 SoC로 수신된 경우, 확인 컨펌 메시지(1336)를 디스플레이 한다. 따라서, CID와 가까운 운전자가 네비게이션 실행 중 직접 목적지를 설정할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처리 속도가 개선되고 운전의 안정성도 제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점에서는 도 11의 실시예와 유사해 보이지만, 도 13의 실시예는 RSE에서의 터치 감지전과 터치 감지후에 따라 사용되는 프레임 버퍼가 달라진다.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RSE에서 터치 감지 되기 전에는 CID 및 RSE를 위한 일반적인 프레임버퍼는 모두 제1 SoC에서 생성되는 반면, 제2 SoC에서는 백업용 프레임 버퍼만을 생성한다. 다만, RSE에서 터치가 감지된 이후에는, 제1 SoC에서는 CID 용 프레임 버퍼만을 사용하고, 제2 SoC에서는 RSE 용 프레임 버퍼만을 사용하여, 각각 개별적인 동작 관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5는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을 CID 및 RSE 에서 개별 실행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우선, 도 15를 요약 설명하면,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을 CID 및 RSE에서 개별 실행하는 과정으로서, 제2 SoC (RSE)는 제1 SoC(CID)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의 다양한 정보(메타데이터 등등)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 자체를 수신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만약, 제2 SoC가 제1 SoC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할 경우, RSE는 수신한 어플리케이션으로 업데이트 된다. 이후에, 제1 SoC 및 제2 SoC는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을 개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SoC(CID)는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1501). 이 때, 제2 SoC(RSE)는 다른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S1502).
그리고, 제1 SoC는 어플리케이션 관련 각종 정보(예를 들어, 앱 타입, 앱 사이즈 등)를 제2 SoC에 전송하고(S1503), 상기 제2 SoC는 제1 SoC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으로 스윗칭할지 여부를 판단한다(S1504). 스윗칭 하지 않기로 판단한 경우(S1505), 상기 제2 SoC는 현재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유지한다(S1507).
반면, 스윗칭 하기로 판단된 경우(S1505), 어플리케이션 요청 신호를 제2 SoC에서 제1 SoC로 전송한다(S1506). 이에 반응하여, 제1 SoC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제2 SoC로 전송한다(S1509). 이에 반응하여, 제2 SoC는 현재 실행 중이던 RSE 어플리케이션을 CID 어플리케이션으로 변경한다(S1508).
한편, 제2 SoC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1510), 수신된 경우 그래픽 공유 여부를 판단한다(S1511). 그래픽 공유가 선택된 경우, 제2 SoC는 해당 그래픽 데이터를 제1 SoC로 전송하고(S1512), 제1 SoC는 이를 디스플레이 한다(S1513).
도 16은 CID 에서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의 프로세스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우선, 도 16을 요약 설명하면, 메모리 리소스를 줄이기 위하여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을 프레임 버퍼에 복사(copy)한 후, 터치에 반응하여 CID 및 RSE가 별도로 분리 제어된다. 이를 위하여, 제1 SoC가 제어할 프레임 버퍼를 모두 초기화 한 후, 실행할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을 프레임 버퍼에 모두 카피(copy) 한다. 도 16에 도시된 프레임 버퍼(S1650)에서, FB1(Origin) 및 FB2(Origin)은 동일 어플리케이션을 개별로 동작하기 위한 버퍼이며, FB1(Backup) 및 FB2(Backup)은 FB1(Origin) 및 FB2(Origin)의 컨텐츠를 공유(sharing)하기 위한 버퍼이다.
제1 SoC에서 터치가 감지된 경우, CID 를 업데이트 하고, 이를 공유할 경우 FB1(Origin)의 컨텐츠를 FB2(Backup) 버퍼에 업데이트 한 후, RSE 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SoC는 프레임버퍼를 초기화 한다(S1601). 그리고, 실행할 모든 어플리케이션을 프레임 버퍼에 카피한다(S1602).
그리고, 임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S1603), 터치가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604). 상기 판단 결과(S1604), 터치가 감지된 경우 CID 를 업데이트 하고, 터치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 RSE(제2 SoC)와의 공유 여부를 판단한다(S1605).
상기 판단 결과 공유로 결정된 경우, 현재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터치를 요구하는 어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606). 상기 판단 결과 터치를 요구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아닌 경우에는, S1650에 도시된 프레임 버퍼 중 FB2(Backup)를 제2 SoC에 전송하고, 상기 제2 SoC는 단순 미러링 화면을 디스플레이 한다(S1608). 반면, 상기 판단 결과 터치를 요구하는 어플리케이션인 경우에는, 프레임 버퍼를 업데이트 하고(S1611), S1650에 도시된 프레임 버퍼 중 FB2(Backup)를 제2 SoC에 전송하고, 상기 제2 SoC는 단순 미러링 화면이 아닌 개별 어플리케이션을 출력하고(S1609), 따라서 개별 제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7은 RSE 에서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의 프로세스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이전 도 16이 제1 SoC(CID)에서 터치가 감지된 경우를 가정한 실시예인 반면, 도 17은 제2 SoC(RSE)에서 터치가 감지된 경우를 가정한 실시예이다.
우선, 도 17을 요약 설명하면, 메모리 리소스를 줄이기 위하여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을 프레임 버퍼에 복사(copy)한 후, 터치에 반응하여 CID 및 RSE가 별도로 분리 제어된다. 이를 위하여, 제1 SoC는, 제2 SoC에서 발생한 터치 ID 및 좌표값(Coordinate)을 수신한다. 상기 제1 SoC는 수신한 터치가 제1 SoC에서 발생하였는지 또는 제2 SoC에서 발생하였는지 ID를 기초로 판단한다. 만약, 터치가 제1 SoC에서 발생한 경우, CID를 업데이트 한다. 반면, 제2 SoC에서 발생한 경우에는, FB2(Origin) 버퍼를 업데이트 한 후, 제2 SoC로 전송하여 RSE 를 업데이트 한다. 이 후, RSE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전술한 과정을 반복한다. 한편, 공유를 하고자 할 경우에는, FB2(Origin)의 컨텐츠를 FB1(Backup) 버퍼에 업데이트 한 후, CID를 업데이트 한다.
예를 들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SoC에서 터치 이벤트가 감지된 경우(S1709), 터치 ID 및 좌표값(Coordinate)을 제1 SoC로 전송한다(S1706). 이에 반응하여, 제1 SoC는 터치 ID를 디텍트 하고(S1701), 터치 ID가 제1 SoC에서 발생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702). 상기 판단 결과, 제1 SoC에서 발생한 터치로 인식된 경우에는 이전에 설명한 도 16의 플로우 차트로 리턴한다.
반면, 상기 판단 결과, 제1 SoC에서 발생한 터치가 아닌 경우에는, 프레임 버퍼를 업데이트 하고, 도 17에 도시된 프레임 버퍼(S1750) 중 FB2(Origin)을 제2 SoC로 전송한다(S1707). 이에 반응하여, 제2 SoC는 RSE 디스플레이를 업데이트 하고(S1710), 다시 터치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S1711).
상기 판단 결과 터치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 CID로의 공유 여부를 판단한다(S1712). CID 로 공유하지 않는 경우, 현재 화면을 유지한다(S1713). 반면, 상기 판단 결과 CID로 공유가 결정된 경우에는, 공유 요청 신호를 제1 SoC 로 전송한다(S1708). 이에 반응하여, 제1 SoC는 프레임 버퍼를 업데이트 하고(S1704), CID 디스플레이를 업데이트 한다(S1705).
그리고, 도 18은 RSE 의 출력 UI (User Interface)를 별도의 프레임 버퍼(frame buffer)를 사용하여 CID 에 전달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우선, 도 18을 요약 설명하면, RSE에서의 출력을 위한 UI(User Interface)를 별도의 프레임버퍼를 사용하여 CID 에 전달하는 것이다. 직전에 설명한 도 17의 실시예와 유사하며, 다만 차이점은 오버레이 되는 UI 를 위해서(부분 미러링), FB1(UI) 및 FB2(UI) 버퍼를 추가적으로 정의한다는 점이다. 또한, 부분 미러링 관련해서는 이전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보충 해석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SoC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S1808), 부분 미러링을 위한 POI 등의 터치가 감지된 경우(S1809), 터치 ID 및 좌표값(Coordinate)을 제1 SoC로 전송한다(S1803). 이에 반응하여,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던 제1 SoC(S1801)는 프레임 버퍼를 업데이트 하고(S1802), 도 18에 도시된 프레임 버퍼(S1850) 중 FB2(UI) 를 제2 SoC에 전송한다(S1804).
이에 반응하여, 상기 제2 SoC는 RSE 디스플레이를 업데이트 하고(S1810), 미러링 여부의 필요성을 판단한다(S1811). 상기 판단 결과 미러링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현재 화면을 유지하는 반면(S1812), 미러링이 필요한 경우에는 미러링 요청 신호를 제1 SoC에 전송한다(S1805). 이에 반응하여, 제1 SoC는 프레임 버퍼를 업데이트 하고(S1806), CID 디스플레이를 업데이트 하도록 설계된다(S1807).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명세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그리고 당해 명세서에서는 물건 발명과 방법 발명이 모두 설명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양 발명의 설명은 보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발명의 실시를 위한 다양한 형태는, 이전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에서 상세히 서술하였다.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된 다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SoC 칩 등에 모두적용 가능한 바,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인정된다.

Claims (15)

  1. 차량에 구비되는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대쉬 보드(Dash Board)에 설치된 제1 SoC (System On Chip)에 의해, 제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제1 SoC에 의해,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1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 SoC에 의해, 상기 제1 비디오 데이터를 위한 프레임 버퍼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SoC에 의해, 상기 생성된 프레임 버퍼를 상기 차량의 앞 자리 시트 뒷면에 설치된 제2 SoC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SoC에 의해, 제1 시점에 상기 제1 비디오 데이터와 동일한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2 SoC에 의해, 상기 제1 시점 이후 제2 시점에 발생한 이벤트에 반응하여, 상기 제1 비디오 데이터와 다른 제2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구비되는 장치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SoC에 의해,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기 전까지, 상기 제1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제2 SoC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구비되는 장치의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SoC에 의해, 상기 이벤트에 반응하여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과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구비되는 장치의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SoC에 의해,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기 전까지, 상기 제1 비디오 데이터를 위한 프레임 버퍼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프레임 버퍼를 상기 제2 SoC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구비되는 장치의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SoC에 의해,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이후에는, 상기 제1 비디오 데이터를 위한 프레임 버퍼의 생성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구비되는 장치의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SoC에 의해, 상기 제2 시점 이후 제3 시점에 발생한 제1 특정 타입의 이벤트에 대해서만 반응하여, 상기 특정 타입의 이벤트 관련 커맨드를 상기 제1 SoC에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구비되는 장치의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SoC에 의해,
    상기 제3 시점 이후 제4 시점에 발생한 제2 특정 타입의 이벤트에 대해서만 반응하여,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중지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SoC로부터 상기 제1 비디오 데이터를 다시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구비되는 장치의 제어 방법.
  8. 차량에 구비되는 장치에 있어서,
    제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1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1 모듈; 그리고
    상기 제1 모듈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커넥트 되고, 제1 시점에 상기 제1 비디오 데이터와 동일한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2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제1 시점 이후 제2 시점에 발생한 이벤트에 반응하여, 상기 제1 비디오 데이터와 다른 제2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차량에 구비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듈은 상기 차량의 대쉬 보드(Dash Board)에 설치된 SoC (System On Chip)에 해당하고,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차량의 앞 자리 시트 뒷면에 설치된 SoC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구비되는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듈은,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기 전까지, 상기 제1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제2 모듈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구비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이벤트에 반응하여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과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구비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듈은,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기 전까지, 상기 제1 비디오 데이터를 위한 프레임 버퍼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프레임 버퍼를 상기 제2 모듈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구비되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듈은,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이후에는, 상기 제1 비디오 데이터를 위한 프레임 버퍼의 생성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구비되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제2 시점 이후 제3 시점에 발생한 제1 특정 타입의 이벤트에 대해서만 반응하여, 상기 특정 타입의 이벤트 관련 커맨드를 상기 제1 모듈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구비되는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제3 시점 이후 제4 시점에 발생한 제2 특정 타입의 이벤트에 대해서만 반응하여,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중지하고, 상기 제1 모듈로부터 상기 제1 비디오 데이터를 다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구비되는 장치.
KR1020217020782A 2019-01-30 2019-01-30 차량에 구비되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6266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01246 WO2020158969A1 (ko) 2019-01-30 2019-01-30 차량에 구비되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1331A true KR20210091331A (ko) 2021-07-21
KR102626635B1 KR102626635B1 (ko) 2024-01-18

Family

ID=71841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0782A KR102626635B1 (ko) 2019-01-30 2019-01-30 차량에 구비되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118913A1 (ko)
EP (1) EP3920540A4 (ko)
KR (1) KR102626635B1 (ko)
WO (1) WO2020158969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9121A (ko) * 2013-07-15 2015-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160063947A1 (en) * 2014-09-02 2016-03-03 Quanta Storage Inc.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ng multi-screen in a ca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57839B2 (en) * 2010-01-07 2013-06-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ulti-display vehicle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US9179182B2 (en) * 2011-04-12 2015-11-03 Kenneth J. Huebner Interactive multi-display control systems
US9513702B2 (en) * 2013-07-15 2016-12-06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for vehicular display system with gaze detection
US9340155B2 (en) * 2013-09-17 2016-05-17 Toyota Motor Sales, U.S.A., Inc. Interactive vehicle window display system with user identific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9121A (ko) * 2013-07-15 2015-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160063947A1 (en) * 2014-09-02 2016-03-03 Quanta Storage Inc.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ng multi-screen in a c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18913A1 (en) 2022-04-21
WO2020158969A1 (ko) 2020-08-06
EP3920540A1 (en) 2021-12-08
KR102626635B1 (ko) 2024-01-18
EP3920540A4 (en) 2022-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71076B1 (en) Electronic device and vehicle
KR102275507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US10366610B2 (en) Vehicle control device mounted at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EP3281833B1 (en) Regenerative braking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s
CN109895788B (zh) 安装在车辆上的车辆控制装置以及用于控制车辆的方法
US10378943B2 (en) Vehicle control device mounted o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KR101957796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2037324B1 (ko) 자율주행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US10474163B2 (en) Vehicle control device mounted o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KR102333765B1 (ko) 자율 주행 시스템 및 차량
KR102049863B1 (ko) 자율주행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102201757B1 (ko) 자율주행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101949352B1 (ko) 자율 주행 차량 및 자율 주행 차량의 동작 방법
KR20190009204A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2387614B1 (ko)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차량
US11279367B2 (en) Vehicle control device provided in vehicle and vehicle control method
KR102025809B1 (ko) 차량 주행 제어 장치 및 차량 주행 방법
KR20190041173A (ko) 자율주행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101916728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US11390296B2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provided in vehicle and control method of vehicle
KR20180106227A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650436B1 (ko) 차량 제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KR20210104186A (ko) 자율 주행 차량의 제어 권한 이양 장치 및 방법
KR101951424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626635B1 (ko) 차량에 구비되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