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1214A - 차량 동체의 획득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동체의 획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1214A
KR20210091214A KR1020217017289A KR20217017289A KR20210091214A KR 20210091214 A KR20210091214 A KR 20210091214A KR 1020217017289 A KR1020217017289 A KR 1020217017289A KR 20217017289 A KR20217017289 A KR 20217017289A KR 20210091214 A KR20210091214 A KR 202100912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panel
bracket
pillar inner
cross member
windshield 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7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귀욤 카브랄
오헬리엉 픽
Original Assignee
르노 에스.아.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 에스.아.에스. filed Critical 르노 에스.아.에스.
Publication of KR20210091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12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2Side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4Door pillars ; windshield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6Fixed roo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 B62D27/023Assembly of structur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모터 차량인 차량의 측부 프레임(40), 전방 루프 크로스 부재(9) 및 센터 루프 크로스 부재(8)를 구비하는 구성체(50)에 관한 것으로서, 전방 루프 크로스 부재(9) 및 센터 루프 크로스 부재(8)는 횡방향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측부 프레임(50)은 차량 동체의 중심 필라 라이너(7) 및 윈도우 필라 라이너(2)를 포함하고, 구성체(50)는 윈도우 필라 라이너(2) 및 전방 루프 크로스 부재(9)에 부착된 제 1 브래킷(1)을 포함하고, 윈도우 필라 라이너(2)는 길이 방향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상기 동체의 후방을 향하여 센터 필라(31)를 너머서 연장된다.

Description

차량 동체의 획득 방법
본 발명은 차량 동체의 윈드실드 필라 내측 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그러한 윈드실드 필라 내측 패널을 포함하는 구성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그러한 윈드실드 필라 내측 패널 및/또는 그러한 구성체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차량 동체의 측면 프레임을 획득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최종적으로 그러한 구성체를 획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 특히 모터 차량은 항상 동체를 구비한다. 그러한 동체는 일반적으로 좌측 측부 프레임과 우측 측부 프레임을 가진다. 상기 측부 프레임들 각각은 일반적으로 윈드실드 필라 내측 패널을 가지며, 즉, 윈드실드의 측부상에 연장된 벽을 가지는데, 이것은 길이 방향에서 윈드실드를 너머 후방을 향하여 갈 수 있다. 그러한 윈드실드 필라 내측 패널은 일반적으로 보강부 또는 측면 레일을 포함한다. 또한, 측부 프레임은 일반적으로 전방 도어 개구 뒤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치된 센터 필라를 포함한다.
다음에 크로스 부재는 일반적으로 우측 측부 프레임과 좌측 측부 프레임 사이에서 루프를 가로질러 횡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러한 크로스 부재는 일반적으로 센터 필라 내측 패널 또는 윈드실드 필라 내측 패널상의 측부 레일에 고정된다.
크로스 부재와 윈드실드 필라 내측 패널 또는 센터 필라 내측 패널 사이의 조립체는 단점을 가진다. 첫째, 이러한 조립체는 제작이 복잡하고, 둘째, 재료의 불량한 사용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 언급된 결점을 극복하고 종래 기술의 구성체를 개선한 동체의 구성체(arrangement)를 제공하도록 의도된다. 특히, 본 발명은 차량의 상이한 버전(version)과 양립될 수 있는 간단하고 저렴한 구성체를 제안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도록, 본 발명은 특히 모터 차량인, 차량의 측부 프레임, 전방 루프 크로스 부재 및 센터 루프 크로스 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체에 관한 것으로서, 전방 루프 크로스 부재 및 센터 루프 크로스 부재는 횡방향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측부 프레임은 차량 동체의 윈드실드 필라 내측 패널 및 센터 필라 내측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구성체는 윈드실드 필라 내측 패널 및 전방 루프 크로스 부재에 고정된 제 1 브래킷을 포함하고, 윈드실드 필라 내측 패널은 길이 방향 또는 실질적으로 길이 방향에서 센터 필라를 너머 차량 동체의 후방을 향하여 연장된다.
구성체는 센터 루프 크로스 부재, 윈드실드 필라 내측 패널 및, 센터 필라 내측 패널에 고정된 제 2 브래킷을 구비할 수 있다.
측부 프레임은 특히 윈드실드 필라 내측 패널의 후방 단부에 고정된, 후방 측부 레일 내측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체는, 특히 윈드실드 필라 내측 패널의 후방 단부에 고정된 후방 측부 레일 내측 패널 및, 후방 측부 레일 내측 패널과 센터 루프 크로스 부재에 고정된 제 4 브래킷을 구비할 수 있다.
구성체는 센터 필라 내측 패널 및 윈드실드 필라 내측 패널에 고정된 제 3 브래킷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 3 브래킷은 글래스 루프 및/또는 선 루프를 고정하도록 설계된다.
구성체는 글래스 루프 및/또는 선 루프를 고정하도록 설계된 지지 요소를 구비할 수 있고, 특히 지지 요소는 글루 트랙(gluing track)을 포함한다.
구성체는 후방 핸들 연결 아치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것은 특히 적어도 하나의 리벳 및/또는 용접에 의해 후방 측부 레일 내측 패널에 고정된다.
구성체는 전방 핸들 연결 아치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것은 특히 적어도 하나의 리벳 및/또는 용접에 의해 윈드실드 필라 내측 패널에 고정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에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구성체를 구비하는, 차량에 관한 것이며, 특히 모터 차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정의된 구성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우측 또는 좌측 각각의 윈드실드 필라 내측 패널 및 우측 또는 좌측 각각의 후방 측부 레일 내측 패널의 제 1 우측 또는 제 1 좌측 각각의 브래킷을 제공하는 단계; 제 1 브래킷 및 후방 측부 레일 내측 패널을 윈드실드 필라 내측 패널에 특히 용접에 의해 고정시키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차량은 핸들이 각각 왼쪽에 있거나(left hand drive) 또는 오른쪽에 있고(right hand drive), 상기 방법은, 우측 또는 좌측 각각의 전방 핸들 연결 아치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연결 아치를 각각 우측 또는 좌측의 윈드실드 필라 내측 패널에, 특히 적어도 하나의 리벳 및/또는 용접에 의해 고정시키는 단계;를 구비한다.
시트 메탈 루프를 수용하도록 설계된 동체의 경우에, 방법은, 각각 제 2 우측 또는 제 2 좌측 브래킷 및 각각 우측 또는 좌측 후방 핸들 연결 아치를 제공하는 단계; 제 2 브래킷을 각각 우측 또는 좌측 윈드실드 필라 내측 패널에 특히 적어도 하나의 리벳 및/또는 용접에 의해 고정시키는 단계; 및,
후방 핸들 연결 아치를 각각 우측 또는 좌측 윈드실드 필라 내측 패널 및 각각 우측 또는 좌측 후방 측부 레일 내측 패널에, 특히 적어도 하나의 리벳 및/또는 용접에 의해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글래스 루프 및/또는 선 루프를 수용하도록 설계된 동체의 경우에, 방법은, 각각 제 3 우측 또는 제 3 좌측 브래킷 및 각각 제 4 우측 또는 제 4 좌측 브래킷을 제공하는 단계; 제 3 브래킷을 윈드실드 필라 내측 패널에 적어도 하나의 리벳 및/또는 용접에 의해 고정시키는 단계 및, 제 4 브래킷을 후방 측부 레일 내측 패널에 특히 적어도 하나의 리벳 및/또는 용접에 의해 고정시키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각각 우측 또는 좌측 센터 필라 내측 패널을 제공하는 단계; 각각 제 2 우측 또는 제 2 좌측 브래킷을 센터 필라 내측 패널에, 특히 몇 개의 두께를 용접함으로써 고정시키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각각 우측 또는 좌측 센터 필라 내측 패널을 제공하는 단계; 각각 제 3 우측 또는 제 3 좌측 브래킷을 센터 필라 내측 패널에, 특히 몇 개의 두께를 용접함으로써 고정시키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각각의 좌측 또는 우측의 보강 링(reinforcement ring), 특히 각각의 우측 또는 좌측 A-필라(pillar) 보강부, 및/또는 각각의 우측 또는 좌측의 전방 측부 레일 보강부, 및/또는 각각의 우측 또는 좌측의 센터 필라 보강부 및/또는 각각의 우측 또는 좌측의 측부 실 보강부(side sill reinforcement)를 포함하는 보강 링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보강 링을 각각의 우측 또는 좌측의 측부 프레임에 특히 용접에 의하여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각각 우측 또는 좌측의 동체 측부 외피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동체 측부 외피를 각각 우측 또는 좌측 측부 프레임에 특히 용접에 의해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글래스 루프(glass roof) 및/또는 선 루프를 고정시키도록 설계된 각각의 우측 또는 좌측의 지지 요소, 특히 글루 트랙(gluing track)을 포함하는 지지 요소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지지 요소를 각각 우측 또는 좌측의 측부 프레임에, 특히 적어도 하나의 리벳 및/또는 용접에 의해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전방 루프 크로스 부재 및 센터 루프 크로스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 특히 제 1 브래킷에 위치된 측부 프레임에 전방 루프 크로스 부재를 고정하는 단계; 전방 루프 크로스 부재를 측부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단계로서, 특히 제 1 브래킷상에 위치시키고 다음에 용접시키는, 단계; 및 센터 루프 크로스 부재를 측부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단계로서, 특히 제 2 브래킷 또는 제 4 브래킷상에 위치시키고 다음에 용접시키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전방 루프 크로스 부재 폐쇄 요소를 제공하는 단계 및 이후에 상기 폐쇄 요소를 전방 루프 크로스 부재에 고정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차량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차체를 내부에서 바라본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체의 횡방향 수직 평면을 따라 취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변형에 따른 차량의 차체를 내부에서 바라본 부분 사시도이다.
도 5, 6, 7 및 8은 실시예의 변형에 따른 장치의 횡방향 수직 평면을 따라서 취해진 부분 단면도이다.
도 9 및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변형에 따른 장치의 길이 방향 수직 평면을 따라서 취해진 부분 단면도이다.
차량이 직선으로 움직이는 방향을 길이 방향(X)으로 간주한다. 통상적으로, 지면에 평행한 평면에서, 길이 방향(X)에 직각인 방향을 횡단 방향(Y)로 칭한다. 다른 두 방향에 직각인 제 3 방향을 수직 방향(Z)으로 칭한다.
도 1 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으로서, 특히 모터 차량(20)을 도시한다. 모터 차량(20)은 동체(30)를 포함한다. 동체(30)는 좌측 측부 프레임과 우측 측부 프레임을 갖는다. 우측 또는 좌측 측부 프레임(40)은 각각 우측 또는 좌측의 윈드실드 필라 내측 패널(wind shield pillar inner panel, 2)을 각각 포함한다. 각각의 윈드실드 필라 내측 패널은 항상 대응하는 윈드실드 필라(22)에 의해 덮인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윈드실드 필라 내측 패널은 윈드실드(21)의 각각의 측부으로부터 동체(30)의 후방을 향해 연장된다. 우측 또는 좌측 측부 프레임(40)은 또한 우측 또는 좌측의 센터 필라 내측 패널(center pillar inner panel, 7)을 포함한다. 우측 또는 좌측 측면 프레임(40)은 각각 우측 또는 좌측의 후방 측부 레일 내측 패널(rear side rail inner panel, 5)을 포함한다.
특히 도 2 및 4 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윈드실드 필라 내측 패널(2)은 동체 (30)의 후방을 향해 길이 방향 또는 실질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센터 필라(31)를 넘어 연장된다.
모터 차량(20)는 또한 구성체(50)를 포함한다. 구성체(50)는 측부 프레임 (40), 전방 루프 크로스 부재(9) 및 센터 루프 크로스 부재 (central roof cross member, 8)를 포함한다. 전방 루프 크로스 부재(9)는 횡 방향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횡 방향으로 연장된다. 센터 루프 크로스 부재(8)는 또한 횡 방향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횡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체(50)는 제 1 브래킷(1)을 포함한다. 제 1 브래킷(1)은 윈드실드 필라 내측 패널(2) 및 전방 루프 크로스 부재(9)에 고정된다. 이 배열은 바람직하게는 "보통(normal)"의 루프, 즉, 시트 메탈 루프(sheet metal roof, 32)가 설치된 모터 차량(20)에 적용된다. 그러한 루프는 바람직하게는 유리 부분(glazed portion)이 없고, 바람직하게는 시트 메탈(sheet metal)로 만들어진다. 구성체(50)는 또한 제 2 브래킷(4)을 포함한다. 제 2 브래킷(4)은 센터 루프 크로스 부재(8) 및 윈드실드 필라 내측 패널(2) 및 센터 필라 내측 패널(7)에 고정된다. 측면 프레임(40)은 또한 후면 측면 레일 내측 패널(5)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후방 사이드 레일 내측 패널(5)은 윈드실드 필라 내측 패널(2)의 후방 단부(2R)에 고정된다. 유리하게는, 구성체(50)는 아치(arch, 6)를 연결하는 후방 핸들(rear handle)을 포함한다. 연결 아치(6)는 예를 들어 코너를 돌 때, 후방 시트의 승객이 잡는 핸들(handle)을 고정하는데 이용되며, 즉, 루프에 인접하고, 예를 들어 후방 글래스 또는 후방 도어 프레임 위에 있다. 후방 핸들 연결 아치(6)는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리벳 및/또는 용접을 사용하여 후방 사이드 레일 내측 패널(5)에 고정된다. 유리하게는, 연결 아치(6)는 용접되기 전에 2 개의 리벳을 사용하여 미리 배치된다.
좌측-핸드-드라이브 모터 차량(20)의 경우, 즉, 스티어링 휠과 같은 조향 수단이 예를 들어 전방 승객 구획부의 좌측에 배치되는 경우에, 구성체(50)는 우측에 전방 핸들 연결 아치(3)를 포함한다. 연결 아치(3)는 예를 들어 코너를 돌 때 전방 시트 승객이 잡는 핸들을 고정하는데 사용되며, 즉, 루프에 인접하고, 예를 들어 전방 승객 도어 프레임 위에 있다. 전방 핸들 연결 아치(3)는 우측 윈드실드 필라 내측 패널(2)상에 배치된다. 전방 핸들 연결 아치(3)는 적어도 하나의 리벳 및/또는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유리하게는, 연결 아치(3)는 용접되기 전에 2 개의 리벳을 사용하여 미리 배치된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에 따르면, 구성체(50)는 측면 프레임 (40), 전방 루프 크로스 부재(13) 및 센터 루프 크로스 부재(14)를 포함한다. 이러한 변형예는 바람직하게는 글래스 루프 및/또는 선 루프(33)가 설치된 모터 차량(20)에 적용된다. 전방 루프 크로스 부재(13) 및 센터 루프 크로스 부재(14)는 횡 방향 또는 실질적으로 횡 방향으로 연장된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측부 프레임 (40)은 센터 필라 내측 패널(7), 후방 측부 레일 내측 패널(5) 및 윈드실드 필라 내측 패널(2)을 포함한다. 이러한 변형예에서, 장치(50)는 또한 제 1 브래킷(1)을 포함한다. 제 1 브래킷(1)은 윈드실드 필라 내측 패널(2) 및 전방 루프 크로스 부재 (13)에 고정된다. 구성체(50)는 또한 제 4 브래킷(12)을 포함한다. 제 4 브래킷 (12)은 후방 측부 레일 내측 패널(5) 및 센터 루프 크로스 부재(14)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구성체(50)는 또한 제 3 브래킷(11)을 포함한다. 제 3 브래킷(11)은 센터 필라 내측 패널(7) 및 윈드실드 필라 내측 패널(2)에 고정된다. 따라서 제 3 브래킷(11)은 글래스 루프(glass roof) 및/또는 선 루프(33)를 고정하는 것을 보조하도록 설계된다. 유리하게는, 이러한 변형예에서, 장치(50)는 또한 지지 요소(10)를 포함한다. 지지 요소(10)는 글래스 루프 및/또는 선 루프(33)를 고정하는 것을 보조하도록 설계된다. 측방향 지지 요소(10)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지지 요소(10)가 예를 들어 스폿 용접에 의해 조립되기 전에 리벳팅에 의해 미리 배치 될 수 있도록, 두 개의 펀치를 사용하여 동체 측부상에 두 개의 구멍을 형성해야 한다. 측방향 지지 요소(10)는 시트 메탈 루프(32)가 있는 버전(version)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설치될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연결 아치(3)는 시트 메탈 루프(sheet metal roof, 32) 또는 글래스 루프 및/또는 선 루프(33) 상에 배치 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도 6, 7 및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요소(10)는 윈드실드 필라(22)의 가장자리(22') 상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스타틱 글래스 루프(static glass roof) 또는 선 루프(33)를 연결하는 측방향 지지 요소(10)는 글루 트랙 기능(gluing track function)을 포함한다. 지지 요소(10)상에 루프의 유리 부분(glazed portion)을 유지하도록 설계된, 예를 들어 글루 비드(glue bead, S)와 같은 글루를 수용하는 표면 설계인 글루 트랙(gluing track)이 제공된다. 글루 트랙은 스타틱 글래스 루프의 글레이징 창유리(glzaing pane)를 고정하거나 선루프의 전방 측방향 스타틱 부분(front lateral static portion)을 고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루 트랙은 센터 루프 크로스 부재(14)까지 지지 요소(10)상에서 제 3 브래킷(11)에 배치된다. 따라서 접착 트랙은 정적 글래스 루프의 유리창을 고정하거나 선루프의 후방 측부 고정 부분을 고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 부재 폐쇄 요소(39)가 제공되는데, 이것은 일측에서 제 1 브래킷(1)상에 배치되고, 다른 측에서 지지 요소(10)상에 배치된다는 점이 주목된다. 지지 요소(10)와 같이, 크로스 부재 폐쇄 요소(39)는 윈드실드 필라(22)의 에지(22')상에 배치된다. 제 1 브래킷(1)은 크로스 부재 폐쇄 요소(39)의 추가적인 두께를 수용하도록 기하학적으로 설계된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그러나, "보통(normal)" 또는 시트 메탈 루프(32)의 경우에도, 제 1 브래킷(1)은 적절하다.
이는 특히 윈드실드 필라 내측 패널(2) 및 후방 측부 레일 내측 패널(5)과 관련하여, 재료의 조립 및 사용 용이성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된다.
실제로, 도 2 및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메탈 루프(32)의 경우에, 제 1 브래킷(1) 및 제 2 브래킷(4)은 전방 루프 크로스 부재(9) 및 센터 루프 크로스 부재(8)와 윈드실드 필라 내측 패널(2)과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인터페이스(interface)를 형성한다.
구성체(50)는 또한 또한 보강 링(34)을 포함한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이 보강 링(34)은 예를 들어 A- 필라 보강부 및/또는 전방 측부 레일 보강부 및/또는 센터 필라 보강부 및/또는 측부 실 보강부(side sill reinforcement)를 포함한다. 도 3, 5, 6, 7 및 10 에 도시 된 바와 같이, 보강 링(34)은 윈드실드 필라 내측 패널(2)의 하부 측방향 가장자리(2')의 상부에 배치된다. 보강 링(34)은 또한 측부 레일 내측 패널(5)에 고정되고, 특히 수직 단부 부분에서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 링(34)의 하부 가장자리는 측부 레일 내측 패널의 내측면에 대해 지지하도록 측부 레일 내측 패널(5)의 평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에 놓인다.
도 4 내지 8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스타틱 글래스 루프 및/또는 선 루프 (33)의 경우, 제 1 브래킷(1)은 전방 루프 크로스 부재(13)와 윈드실드 필라 내측 패널(2)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인터페이스를 형성한다. 제 4 브래킷(12)은 센터 루프 크로스 부재(14)와 후방 측부 레일 내측 패널(5)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인터페이스를 형성한다. 제 3 브래킷(11)은 예를 들어 윈드실드 필라 내측 패널(2)과 루프(33)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형성하고, 요소(10)를 유지하도록 돕는다.
주목될 바로서, 후방 측부 레일 내측 패널(5)은, 시트 메탈 루프(32)를 포함하는 버젼에서 후방 승객을 위한 핸들을 고정시키는 연결 아치(6), 또는 스타틱 글래스 루프 또는 선 루프를 포함하는 버젼에서 센터 루프 크로스 부재(14)를 고정시키는 제 4 브래킷(12)을 수용하도록 의도된 고정 인터페이스(fastening interface)를 구비한다. 대안으로서, 후방 측부 레일 내측 패널(5)은 예를 들어 스타틱 글래스 루프 또는 선 루프를 포함하는 버젼에서 연결 아치(6) 및 제 4 브래킷(12)을 수용할 수 있다.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연결 또는 고정 브래킷에 의해 형성된 고정 수단은 윈드실드 필라 내측 패널(2)에 돌출부가 없거나 거의 없는 보다 균일한 형상을 제공한다. 즉, 도 3, 5, 6 및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것의 가장자리(2")는 기하학적 사고(geometric accident)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즉, 형상의 변화가 없거나 거의 없다. 이러한 규칙성(regularity)은 성능을 향상시키며, 특히 충격시에 안정성 및 거동(behavior)을 향상시키고, 특히 정면 충돌에서 그러하다. 더욱이, 윈드실드 필라 내측 패널(2)의 규칙성은 스탬핑(stamping)에 의해 윈드실드 필라 내측 패널을 획득하는 단계를 용이하게 한다.
마지막으로, 기하학적 부합성(compliance), 즉, 윈드실드 필라 내측 패널의 기하학적 목표를 쉽게 달성할 수 있다.
더욱이, 윈드실드 필라 내측 패널(2)은 길이 방향에서 가장 길다. 실제로, 윈드실드 필라 내측 패널(2)은 센터 필라(23)를 넘어 차량의 후방을 향하여 연장된다. 이는 윈드실드 필라 라인(windshiled pillar line)상의 구조적 연속성을 보장하는데 도움이 되고, 불균일한 형상들의 존재를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되는데, 불균일 형상들은 정면 충돌시에 하중을 받는 동안 국부적인 버클링(local buckling)과 같은 불안정성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생산에 필요한 소재의 양과 최종적인 윈드실드 필라 내측 패널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소재의 양 사이의 비율을 최적화한다.
따라서, 제 1 브래킷(1), 윈드실드 필라 내측 패널(2), 후방 측부 레일 내측 패널(5) 및 센터 필라 내측 패널(7)은, 루프 유형, 즉, 스타틱 글래스 루프 및/또는 선 루프(33) 또는 시트 메탈 루프(32)에 무관하게 동일하다. 즉, 제 2, 제 3 및 제 4 부착 브래킷(4, 11, 12)은, 전방 루프 크로스 부재(9,13)에 대하여 제 1 연결 브래킷(1), 윈드실드 필라 내측 패널(2), 후방 측부 레일 내측 패널(5), 센터 필라 내측 패널(7)이 단일의 기준을 공유하도록, 전반적으로 취급되기 때문에 부품들 사이의 다양성(diversity)은 감소된다. 당연히, 도킹 영역(docking zone)의 배치와 적재 조립(stack assembly)은 그에 따라 처리된다. 이러한 표준화는 특히 번거로운, 표준적인 윈드실드 필라 내측 패널(2)과 관련된 저장 공간과 관련하여, 상당한 절감 효과를 제공한다. 실제로, 주어진 차량 모델에 대하여, 루프 유형 및 스티어링 손잡이(steering handedness)에 관계없이, 우측 윈드실드 필라 내측 패널과 좌측 윈드실드 필라 내측 패널을 생산하기에 충분하다.
요컨대, 제 2 브래킷(4)은 시트 메탈 루프(32)에 사용된다. 글래스 루프(33)는 제 2 브래킷(4)을 필요로 하지 않지만, 제 3 브래킷(11)과 제 4 브래킷(12)을 필요로 한다.
모터 차량(20)의 차체(30)의 우측 프레임(40)을 획득하기 위한 방법의 실행 수단은 아래에서 설명된다.
이 방법은 제 1 브래킷(1), 후방 측부 레일 내측 패널(5) 및 윈드실드 필라 내측 패널(2)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후에, 바람직하게는 용접에 의하여, 제 1 브래킷(1) 및 후방 측부 레일 내측 패널(5)을 윈드실드 필라 내측 패널(2)에 고정하는 단계가 이어진다.
좌측 핸들 차량의 경우, 전방 핸들 연결 아치(3)를 제공하는 단계에 이어 전방 핸들 연결 아치(3)를 우측 윈드실드 필라 내측 패널(2)에 고정하는 단계가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연결 아치(3)를 고정하는 상기 단계는 두 단계로 실행된다. 실제로, 연결 아치(3)는 먼저 두 개의 리벳을 사용하여 사전 배치되고, 다음에 연결 아치(3)는 윈드실드 필라 내측 패널 (2)에 용접된다.
당연히 좌측 프레임을 획득하는 방법에서, 좌측 핸들의 경우, 전방 핸들 연결 아치가 제공되거나 고정되지 않는다. 반대로, 좌측 측부 프레임을 획득하는 방법에서, 우측 핸들의 경우, 전방 핸들 연결 아치는 좌측 윈드실드 필라 내측 패널에 고정된다. 마지막으로 우측 측부 프레임의 획득 방법에서, 우측 핸들의 경우, 전방 핸들 연결 아치가 제공되거나 고정되지 않는다.
시트 메탈 루프(32)를 수용하도록 설계된 동체(30)의 경우에, 방법은 제 2 브래킷(4) 및 후방 핸들 연결 아치(6)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어서 제 2 브래킷(4)을 윈드실드 필라 내측 패널(2)에 고정하는 단계 및 후방 핸들 연결 아치(6)를 후방 측부 레일 내측 패널(5)에, 잠재적으로는 윈드실드 필라 내측 패널(2)에 고정하는 단계가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고정 단계는 두 단계로 실행된다. 실제로, 제 2 브래킷(4)은 먼저 2 개의 리벳을 사용하여 사전 배치되고, 다음에 제 2 브래킷(4)은 윈드실드 필라 내측 패널 (2)에 용접된다. 유사하게, 후방 핸들 연결 아치(6)는 먼저 두 개의 리벳을 사용하여 사전 배치되고, 다음에 연결 아치(6)는 후방 측부 레일 내측 패널(5)에, 잠재적으로는 윈드실드 필라 내측 패널(2)에 용접된다. 리벳을 이용하는 상기 사전 배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벳을 수용하도록 미리 존재하는 구멍(16)을 필요로 한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이어서 센터 필라 내측 패널(7)을 제공하는 단계에 이어, 제 2 브래킷(4)을 센터 필라 내측 패널(7)에 고정하는 단계가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이 고정 단계는 몇개의 두께를 용접함으로써 실행된다. 예를 들어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 필라 내측 패널(7)의 두께를 제 2 브래킷(4)의 두께와 용접함으로써 이루어지고, 잠재적으로는 윈드실드 필라 내측 패널(2)의 두께와 용접함으로써 실행된다.
대안으로서, 글래스 및/또는 선 루프(33)를 수용하도록 설계된 유형의 동체(30)의 경우, 상기 방법은 제 3 브래킷(11) 및 제 4 브래킷(12)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어서, 제 3 브래킷(11)을 윈드실드 필라 내측 패널(2)에 고정하는 단계 및 제 4 브래킷(12)을 후방 측부 레일 내측 패널(5)에 고정하는 단계가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고정 단계는 두 단계로 실행된다. 실제로, 제 3 브래킷(11)은 먼저 2 개의 리벳을 사용하여 미리 배치되고, 다음에 제 3 브래킷(11)은 윈드실드 필라 내측 패널(2)에 용접된다. 유사하게, 제 4 브래킷(12)은 먼저 2 개의 리벳을 사용하여 사전 배치되고, 다음에, 제 4 브래킷(12)은 후방 측부 레일 내측 패널(5)에 용접된다. 리벳을 이용한 이러한 사전 배치는 리벳을 수용하도록 미리 존재하는 구멍(도시되지 않음)이 필요하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이어서 센터 필라 내측 패널(7)을 제공하는 단계 및, 다음에 제 3 브래킷(11)을 센터 필라 내측 패널(7)에 고정하는 단계가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이 고정 단계는 몇개의 두께를 용접함으로써 실행된다. 예를 들어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 필라 내측 패널(7)의 두께를 제 3 브래킷(11)의 두께와 용접함으로써 이루어지고, 잠재적으로는 윈드실드 필라 내측 패널(2)의 두께와 용접함으로써 실행된다.
루프 유형 및 스티어링 손잡이(steering handness)에 관계없이,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보강 링(34)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보강 링(34)을 측부 프레임(40)에 고정하는 단계가 이어진다. 이러한 고정 단계는 바람직하게 용접에 의해 실행된다.
상기 방법은 또한 특히 도 3 및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체 측 외피(41)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스럽게는, 우측 또는 좌측 동체 측 외피(41)는 각각 우측 또는 좌측 윈드실드 필라(22)를 각각 포함한다. 이어서, 동체 측 외피 (41)를 측부 프레임(40)에 고정하는 단계가 이어진다. 이러한 고정 단계는 또한 바람직하게 용접에 의해 실행된다.
글래스 루프 및/또는 선 루프(33)를 가진 동체(30)의 경우에, 상기 방법은 또한 글래스 루프 및/또는 선 루프(33)를 고정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설계된 지지 요소(10)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어서, 지지 요소(10)를 측부 프레임(40)에 고정하는 단계가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고정 단계는 또한 두 단계로 실행된다. 실제로, 지지 요소(10)는 먼저 두 개의 리벳을 사용하여 사전에 배치되고, 다음에 지지 요소(10)는 측부 프레임(40)에 용접된다. 리벳을 이용한 이러한 사전 배치는 리벳을 수용하도록 미리 존재하는 구멍(도시되지 않음)이 필요하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지지 요소(10)는 바람직하게는 동체 측 외피(41)에 고정되고, 보다 상세하게는 윈드실드 필라(22)의 에지(22')에 고정된다.
모터 차량(20)의 동체(30)의 구성체(50)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수단이 아래에 설명된다.
구성체(50)를 획득하는 방법은 측부 프레임(40)을 획득하기 위한 방법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어서 전방 루프 크로스 부재(9, 13) 및 센터 루프 크로스 부재(8, 14)를 제공하는 단계가 이루어진다. 크로스 부재들은 유리하게는 개별의 브래킷 상에 단순히 배치되며, 이는 자연스럽게 상기 크로스 부재를 쐐기 고정(wedge)한다.
바람직하게는 그리고 특히 도 3 및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유지 후크(retaining hook, 17)는 각 브래킷으로부터 돌출되고, 대응하는 크로스 부재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오리피스(18)에 삽입되도록 설계된다. 오리피스(18)와 관련된 유지 후크(17)는 크로스 부재의 과도한 수직 이동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그러한 움직임은 특히 크로스 부재를 고정하기 전의 이송 중에 크로스 부재가 개별의 안착 영역(seating zone) 외부로 움직일 수 있게 한다.
이후에, 제 1 브래킷(1)에 배치된 전방 루프 크로스 부재(9, 13)를 고정하는 단계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단계는 제 2 브래킷(4) 또는 제 4 브래킷(12)에 배치된 센터 루프 크로스 부재(8, 14)를 고정하는 단계에 선행되거나 또는 후행된다. 유리하게는, 제 1 브래킷(1)은 전방 루프 크로스 부재(9, 13)에 용접된다. 유리하게는, 제 2 브래킷(4) 또는 제 4 브래킷(12)은 대응하는 센터 루프 크로스 부재(8, 14)에 용접된다.
글래스 루프(33)의 경우, 전면 루프 크로스 부재(13)의 폐쇄 요소(39)를 제공하는 단계가 이어진다. 그 다음에는 이러한 폐쇄 요소(39)를 전방 루프 크로스 부재(13)에 고정하고, 바람직하게는 지지 요소 (10)에 고정하는 단계가 이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해법은 재료의 사용을 최적화하면서 윈드실드 필라 내측 패널 및 루프 크로스 부재의 조립을 단순화하려는 소망의 목적을 달성하고, 다음과 같은 이점을 제공한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특정 구성 요소의 표준화의 결과로서 해법(solution)은 저렴하다.
-그 어떤 유형의 모터 차량 동체에도 이러한 해법은 적합화될 수 있다.
2. 윈드실드 필라 패널 8. 중심 루프 크로스 부재
20. 모터 차량 30. 동체
40. 좌측 측부 프레임 50. 구성체

Claims (10)

  1. 특히 모터 차량(20)인, 차량의 측부 프레임(40), 전방 루프 크로스 부재(9;13) 및 센터 루프 크로스 부재(8;14)를 포함하는 구성체(50)로서,전방 루프 크로스 부재(9;13) 및 센터 루프 크로스 부재(8;14)는 횡방향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측부 프레임(40)은 차량 동체(30)의 윈드실드 필라 내측 패널(2) 및 센터 필라 내측 패널(7)을 포함하고, 상기 구성체(50)는 윈드실드 필라 내측 패널(2) 및 전방 루프 크로스 부재(9;13)에 고정된 제 1 브래킷(1)을 포함하고,윈드실드 필라 내측 패널(2)은 길이 방향 또는 실질적으로 길이 방향에서 센터 필라(31)를 너머 차량 동체(30)의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체(50).
  2. 전기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체(50)는 센터 루프 크로스 부재 (8), 윈드실드 필라 내측 패널 (2) 및 센터 필라 내측 패널(7)에 고정된 제 2 브래킷 (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체(50).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측부 프레임 (40)은, 특히 윈드실드 필라 내측 패널(2)의 후방 단부 (2R)에 고정된, 후방 측부 레일 내측 패널(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체 (50).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체(50)는, 특히 윈드실드 필라 내측 패널 (2)의 후방 단부(2R)에 고정된 후방 측부 레일 내측 패널(5) 및, 후방 측부 레일 내측 패널(5)과 센터 루프 크로스 부재(14)에 고정된 제 4 브래킷 (1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체(50).
  5. 전기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체(50)는 센터 필라 내측 패널 (7) 및 윈드실드 필라 내측 패널 (2)에 고정된 제 3 브래킷(11)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브래킷(11)은 글래스 루프 및/또는 선 루프 (33)를 고정하도록 설계된, 구성체(50).
  6. 제 4 항 또는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체(50)는 글래스 루프 및/또는 선 루프 (33)를 고정하도록 설계된 지지 요소 (10)를 구비하고, 특히 지지 요소(10)는 글루 트랙(gluing track)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체(50).
  7.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체(50)는 적어도 하나의 리벳 및/또는 용접에 의해 특히 후방 측부 레일 내측 패널 (5)에 고정되는 후방 핸들 연결 아치 (a rear handle connecting arch, 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체(50).
  8.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체 (50)는 적어도 하나의 리벳 및/또는 용접에 의해 특히 윈드실드 필라 내측 패널 (2)에 고정되는 전방 핸들 연결 아치 (front handle connecting arch, 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체(50).
  9.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구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특히 모터 차량(20).
  10. 제 1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성체(50)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우측 또는 좌측 각각의 윈드실드 필라 내측 패널(2) 및 우측 또는 좌측 각각의 후방 측부 레일 내측 패널(5)의 제 1 우측 또는 제 1 좌측 각각의 브래킷(1)을 제공하는 단계;
    제 1 브래킷(1) 및 후방 측부 레일 내측 패널(5)을 윈드실드 필라 내측 패널(2)에 특히 용접에 의해 고정시키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차량은 핸들이 각각 왼쪽에 있거나(left hand drive) 또는 오른쪽에 있고(right hand drive),
    상기 방법은,우측 또는 좌측 각각의 전방 핸들 연결 아치(3)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연결 아치(3)를 각각 우측 또는 좌측의 윈드실드 필라 내측 패널(2)에, 특히 적어도 하나의 리벳 및/또는 용접에 의해 고정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는,구성체(50)를 제공하는 방법.

KR1020217017289A 2018-11-06 2019-11-05 차량 동체의 획득 방법 KR202100912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860186 2018-11-06
FR1860186A FR3088049B1 (fr) 2018-11-06 2018-11-06 Procede d'obtention d'une caisse de vehicule
PCT/EP2019/080157 WO2020094597A1 (fr) 2018-11-06 2019-11-05 Procédé d'obtention d'une caisse de véhicu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1214A true KR20210091214A (ko) 2021-07-21

Family

ID=65685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7289A KR20210091214A (ko) 2018-11-06 2019-11-05 차량 동체의 획득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877239B1 (ko)
KR (1) KR20210091214A (ko)
FR (1) FR3088049B1 (ko)
WO (1) WO2020094597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87843B1 (fr) * 2005-06-30 2007-09-28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Element de carrosserie pour la toiture d'un arc de pavillon et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de tels elements de carrosserie
CN103764487B (zh) * 2011-08-31 2016-03-30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车体上部构造
JP6128558B2 (ja) * 2013-09-30 2017-05-17 株式会社Subaru 車体上部構造
JP6079743B2 (ja) * 2014-10-15 2017-02-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上部構造
JP6481700B2 (ja) * 2017-02-21 2019-03-13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上部車体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77239B1 (fr) 2024-04-17
FR3088049B1 (fr) 2020-10-23
EP3877239A1 (fr) 2021-09-15
WO2020094597A1 (fr) 2020-05-14
FR3088049A1 (fr) 2020-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11230B1 (en) Vehicle pillar structure and vehicle side portion structure
US9592856B2 (en) Upper vehicle-body structure of vehicle
GB2548457A (en) Motor vehicle rear
US8177292B1 (en) Vehicle structural arrangement for enhanced roof strength
US9266411B2 (en) Vehicle door frame structure
US11192593B2 (en) Vehicle body structure of vehicle
US20150054309A1 (en) Rear Body Section Of A Motor Vehicle Having a Reinforcing Structure
US9718497B2 (en) Vehicle body side reinforcement members and vehicles incorporating the same
CN111791955B (zh) 车辆的侧部车身结构
KR101637303B1 (ko) 자동차용 도어구조
JP2016511187A (ja) 窓ガラス昇降システム用の取付機構を備えた、ドア用のプラスチック製補強パネル
CN109109979B (zh) 车辆前部结构及车身模块结构
US10286963B2 (en) Structural nodes for a motor vehicle bodywork
EP1101688B1 (en) Upper body structure for a vehicle
JP5387323B2 (ja) 車両の車体構造
CN109562794B (zh) 车身构造
RU2756730C1 (ru) Конструкция каркас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112896323B (zh) 车身笼形骨架结构
US11400984B2 (en) Vehicle body side part structure
JP2011088493A (ja) 車両の車体構造
US9085325B2 (en) Vehicle body side structure
CN112092913B (zh) 上部车身构造
JP2011088495A (ja) 車両の車体構造
KR20210091214A (ko) 차량 동체의 획득 방법
KR20200092526A (ko) 차량용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