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0496A - 커버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접촉기 - Google Patents

커버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접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0496A
KR20210090496A KR1020200003858A KR20200003858A KR20210090496A KR 20210090496 A KR20210090496 A KR 20210090496A KR 1020200003858 A KR1020200003858 A KR 1020200003858A KR 20200003858 A KR20200003858 A KR 20200003858A KR 20210090496 A KR20210090496 A KR 20210090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arc
fixed contact
electromagnetic contacto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3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3548B1 (ko
Inventor
장경훈
김민석
윤덕용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1020200003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3548B1/ko
Priority to PCT/KR2020/019406 priority patent/WO2021141320A1/ko
Priority to CN202080092556.1A priority patent/CN114946005A/zh
Publication of KR20210090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0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3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3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01H50/041Details concerning assembly of re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커버 프레임 및 전자 접촉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버 프레임은 프레임 결합부를 포함한다. 프레임 결합부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및 연장부의 단부에 위치되는 삽입부를 포함한다. 삽입부는 연장부보다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전자 접촉기의 지지 프레임의 커버 결합부는, 커버 프레임을 향하는 일측의 홈의 폭이, 커버 프레임에 반대되는 타측의 홈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커버 결합부에 삽입된 프레임 결합부가 용이하면서도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Description

커버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접촉기{Cover frame and magnetic contactor include the same}
본 발명은 커버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접촉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접촉기에 용이하게 결합되고, 임의로 분리되지 않는 구조의 커버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접촉기에 관한 것이다.
전자 접촉기는 전원과 부하 사이에 구비되어, 과전류에 의해 부하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전자 접촉기는 코일 및 가동 코어를 포함한다. 전자 접촉기에 전류가 인가되면, 코일이 형성하는 자기장에 의해 가동 접점을 포함하는 가동 코어가 고정 코어를 향해 흡인된다.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이 접촉되면, 전자 접촉기가 외부와 통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원, 전자 접촉기 및 부하가 통전될 수 있다.
전자 접촉기에는 복수 개의 상의 전류가 통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접촉기에는 U상, V상 및 W상을 포함하는 3상 전류가 통전될 수 있다. 또는, 전자 접촉기에는 R상, S상 및 T상을 포함하는 3상 전류가 통전될 수 있다.
이러한 각 상의 전류는 서로 통전되지 않도록 전기적으로 이격되어야 한다. 각 상의 전류가 서로 전기적으로 간섭될 경우, 합선 등의 안전 사고가 발생될 수 있음에 기인한다.
또한, 전자 접촉기가 구비되는 배선이 복수 개일 경우 전자 접촉기는 복수 개 구비되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황에서, 서로 인접한 전자 접촉기 또한 전기적으로 이격되어야 한다.
어느 하나의 전자 접촉기에 통전되는 전류에 의해, 다른 전자 접촉기에 흐르는 전류가 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094038호는 누전차단기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본체 커버에 상간 배리어를 형성하여, 누전차단기에 통전되는 각 상의 전류 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누전차단기를 개시한다.
그런데, 이러한 유형의 누전차단기는 상간 배리어가 본체 커버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므로, 상간 배리어만을 유지 보수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더욱이, 상기 선행문헌에 따른 누전차단기는 상간 배리어가 본체 커버에 고정되므로, 상간 배리어와 본체 커버 간의 크기가 서로 영향을 받게 되는 구조이다. 이에 따라, 설계의 자유도가 저하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0527823호는 차단기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케이스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절연배리어를 포함하는 차단기를 개시한다.
그런데, 이러한 유형의 누전차단기는 절연배리어가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를 가변하기 위한 방안만을 제시한다는 한계가 있다. 즉, 케이스에 결합된 절연배리어가 결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지 못한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094038호 (2011.12.19.)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0527823호 (2005.11.09.)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구조의 커버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접촉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전자 접촉기에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는 구조의 커버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접촉기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전자 접촉기에 결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구조의 커버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접촉기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전자 접촉기에 결합된 부재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는 구조의 커버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접촉기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전자 접촉기에 통전되는 서로 다른 상의 전류 간에, 전기적인 간섭이 발생되지 않을 수 있는 구조의 커버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접촉기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전자 접촉기가 복수 개 구비되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경우, 각 전자 접촉기 사이에 전기적인 간섭이 발생되지 않을 수 있는 구조의 커버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접촉기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전자 접촉기에서 발생된 아크에 의해, 사용자가 상해를 입지 않을 수 있는 구조의 커버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접촉기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복수 개의 외면; 복수 개의 상기 외면 사이에 위치되는 리브부; 및 상기 리브부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전자 접촉기에 삽입 결합되는 프레임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결합부는, 상기 리브부의 상기 일측에서 연장되며, 소정의 폭을 갖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위치되며, 상기 연장부보다 큰 폭을 갖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커버 프레임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커버 프레임의 상기 연장부는 상기 리브부의 두께보다 작은 폭을 갖게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는 상기 리브부의 두께보다 큰 폭을 갖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프레임의 상기 삽입부는, 사각 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의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는, 모따기(taper) 가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프레임의 상기 외면은, 일 방향의 길이가 타 방향의 길이보다 긴 판형으로 형성되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의 상기 일 방향의 각 단부에서 연장되며,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2 면 및 제3 면을 포함하며, 상기 리브부는, 상기 제2 면 및 상기 제3 면 사이에서, 상기 제2 면 및 상기 제3 면과 각각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프레임의 상기 제2 면 및 상기 제3 면은, 상기 제1 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리브부는, 상기 제1 면과 연속되며, 상기 제1 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2 면 및 상기 제3 면보다 짧은 길이만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프레임의 상기 프레임 결합부는, 상기 전자 접촉기를 향하는 상기 리브부의 일측 모서리에서, 상기 리브부의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프레임의 상기 제2 면과 상기 리브부 사이 및 상기 리브부와 상기 제3 면 사이에는, 상기 제1 면, 상기 제2 면 및 상기 리브부와, 상기 제1 면, 상기 제3 면 및 상기 리브부에 둘러싸인 아크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아크 공간부는, 상기 전자 접촉기의 아크 배출공과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프레임의 상기 외면은, 상기 제1 면의 상기 타 방향의 단부 중, 상기 전자 접촉기에 반대되는 단부에서 연장되는 제4 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4 면은, 상기 제2 면 및 상기 제3 면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프레임 결합부가 위치되는 상기 리브부의 일측에 반대되는 타측 단부와 연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프레임은, 상기 제1 면의 상기 타 방향의 단부 중, 상기 전자 접촉기를 향하는 일측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전자 접촉기에 삽입 결합되는 아크 박스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아크 박스 체결부는, 상기 제1 면의 상기 일측 단부에서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위치되며, 상기 전자 접촉기에 삽입 결합되는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 접점; 상기 고정 접점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고정 접점과 접촉되거나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가동 접점; 상기 고정 접점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측을 덮는 커버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 프레임은,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복수 개의 외면; 복수 개의 상기 외면 사이에 위치되는 리브부; 및 상기 리브부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에 삽입 결합되는 프레임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결합부는, 상기 리브부의 상기 일측에서 연장되며, 소정의 폭을 갖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위치되며, 상기 연장부보다 큰 폭을 갖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전자 접촉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전자 접촉기의 상기 연장부는 상기 리브부의 두께보다 작은 폭을 갖게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는 상기 리브부의 두께보다 큰 폭을 갖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접촉기의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커버 프레임을 향하는 일측 면에서 함몰 형성되는 제1 홈; 및 상기 제1 홈을 양측에서 감싸는 면에서 돌출되며, 서로 마주하는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접촉기의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기 일측 면에서, 상기 커버 프레임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홈이 함몰 형성되는 깊이는,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가 연장되는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인 제2 홈; 및 상기 제2 홈과 각각 연통되며, 상기 커버 프레임에 반대되는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공간인 수용 홈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결합부의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2 홈에 삽입되고, 상기 프레임 결합부의 상기 삽입부는 상기 수용 홈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접촉기의 상기 프레임 결합부의 상기 삽입부의 높이는, 상기 제1 홈의 높이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접촉기의 상기 제1 홈의 일측은 개방 형성되고, 상기 일측에 반대되는 타측은 폐쇄되며,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1 홈의 상기 타측을 향하는 모서리가 모따기(taper) 가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접촉기의 지지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 접점; 상기 고정 접점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고정 접점과 접촉되거나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가동 접점;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고정 접점 및 상기 가동 접점을 수용하는 공간부 및 상기 공간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아크 배출공을 포함하는 아크 박스; 및 상기 아크 박스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아크 박스의 일측을 덮는 커버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 프레임은, 일 방향의 길이가 타 방향의 길이보다 긴 판형으로 형성되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의 상기 타 방향의 단부 중, 상기 아크 박스를 향하는 일측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아크 배출공에 결합되는 아크 박스 체결부를 포함하는 전자 접촉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전자 접촉기의 상기 아크 박스 체결부는, 상기 제1 면의 상기 일측 단부에서 연장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위치되며, 상기 아크 배출공에 삽입 결합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의 단부에 위치되며, 상기 연장부의 연장 방향에 대해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아크 배출공을 둘러싸는 모서리에 접촉되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먼저, 커버 프레임에는 프레임 결합부가 구비된다. 프레임 결합부는 전자 접촉기의 지지 프레임에 구비되는 커버 결합부에 삽입 결합된다. 또한, 커버 프레임에는 아크 박스 결합부가 구비된다. 아크 박스 결합부는 전자 접촉기의 아크 박스에 형성되는 아크 배출공에 관통 결합된다.
따라서, 커버 프레임은 삽입 및 관통의 형태로 지지 프레임 및 아크 박스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 프레임이 전자 접촉기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결합부는 연장부 및 삽입부를 포함한다. 삽입부는 연장부의 단부에 위치되며, 연장부보다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프레임 결합부가 삽입되는 커버 결합부는 연장부가 삽입되는 제2 홈 및 삽입부가 수용되는 수용 홈을 포함한다. 제2 홈과 수용 홈은 서로 연통되되, 제2 홈의 폭이 수용 홈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수용 홈에 삽입된 삽입부는 제2 홈을 통해 인출되지 않게 되며, 수용 홈 또는 제1 홈의 상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서만 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 프레임이 전자 접촉기에 결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삽입부에는 모따기 가공을 통해 형성되는 테이퍼부가 구비된다. 테이퍼부는 삽입부의 하측, 즉 지지 프레임과 접촉되는 부분의 모서리에 형성된다. 지지 프레임이 요동되어 발생되는 충격은, 보다 넓은 표면적을 갖는 테이퍼부에 의해 분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 결합부에 삽입 결합된 프레임 결합부의 강성이 보강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접촉기가 작동되더라도, 프레임 결합부의 손상 및 파손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커버 결합부는 복수 개의 리브를 포함한다. 커버 결합부가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면, 복수 개의 리브는 복수 개의 고정 접점부 사이에 각각 위치된다. 복수 개의 리브는 절연성 소재로 형성되어, 복수 개의 고정 접점부를 물리적, 전기적으로 이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고정 접점부에 통전되는 서로 다른 상의 전류가, 복수 개의 리브에 의해 물리적, 전기적으로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전류 사이에 전기적인 간섭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또한, 커버 결합부는 외면을 포함한다. 커버 결합부가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면, 상기 외면 중 일부는 지지 프레임의 양 측에서 고정 접점부를 감싸도록 배치된다. 상기 외면은 절연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접촉기가 복수 개 구비되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경우에도, 외면에 의해 각 전자 접촉기가 물리적, 전기적으로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전자 접촉기 사이에 전기적인 간섭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또한, 커버 결합부는 외면 및 외면에 둘러싸여 형성된 공간인 아크 공간부를 포함한다. 아크 공간부는 아크 배출공과 연통되어, 아크 박스의 내부에서 발생된 아크가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아크 배출공에서 배출된 아크의 경로는, 아크 공간부를 감싸는 외면에 의해 차단된다.
이에 따라, 아크 배출공에서 배출된 아크는 아크 공간부에서 소정의 시간 동안 체류된 후 개구부를 통해 배출된다. 따라서, 아크가 온도 및 압력이 충분히 강하된 후 외부 공간으로 배출되므로, 사용자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접촉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자 접촉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전자 접촉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A -A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전자 접촉기에 구비되는 상부 프레임 및 아크 박스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상부 프레임 및 아크 박스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전자 접촉기에 구비되는 아크 챔버 및 상부 프레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전자 접촉기에 구비되는 상부 프레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상부 프레임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상부 프레임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전자 접촉기에 구비되는 커버 프레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커버 프레임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커버 프레임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커버 프레임을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14는 도 10의 커버 프레임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5는 도 7의 상부 프레임과 도 10의 커버 프레임이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7의 상부 프레임과 도 10의 커버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7의 상부 프레임 및 도 10의 커버 프레임에 아크 박스가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버 프레임(700)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접촉기(1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일부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1. 용어의 정의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자화(magnetize)"라는 용어는 자기장 안에서 어떤 물체가 자성을 띠게 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통전(electric current)"이라는 용어는, 두 개 이상의 부재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통전은 두 개 이상의 부재 사이에 전류가 흐르거나, 전기적 신호가 전달되는 상태를 의미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좌측", "우측", "상측", "하측", "전방 측" 및 "후방 측"이라는 용어는 도 1에 도시된 좌표계를 참조하여 이해될 것이다.
2.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접촉기(10)의 구성의 설명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접촉기(10)는 프레임(100), 구동부(200), 가동 접점부(300), 고정 접점부(400) 및 아크 소호부(500)를 포함한다.
또한, 도 7 내지 도 14를 더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접촉기(10)는 지지 프레임(600) 및 커버 프레임(700)을 더 포함한다. 커버 프레임(700)은 지지 프레임(600) 및 아크 소호부(5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각 상의 전류 간의 간섭을 방지하고,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접촉기(10)의 각 구성을 설명하되, 지지 프레임(600) 및 커버 프레임(700)은 별항으로 설명한다.
(1) 프레임(100)의 설명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접촉기(10)는 프레임(100)을 포함한다.
프레임(100)은 전자 접촉기(10)의 외형을 형성한다. 프레임(100)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에는 전자 접촉기(10)가 작동되기 위한 여러 구성 요소들이 실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공간에는 구동부(200)가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100)은 "하우징"으로 지칭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공간은 프레임(100)의 외면에 둘러싸인다. 즉, 상기 공간은 외부와 물리적으로 이격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공간에 수용된 각 구성 요소가 외부로 임의 노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 공간은 외부와 통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간은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공간에 수용된 코일(미도시)에 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프레임(100)은 사각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프레임(100)은 내부에 여러 구성 요소를 수용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00)은 아크 소호부(500)의 하측에 위치된다. 프레임(100)은 지지 프레임(600)에 의해 아크 소호부(500)와 결합된다. 상기 결합을 위해, 나사 부재 등의 체결 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프레임(100)은 지지 프레임(600)의 하측에 위치된다. 프레임(100)은 지지 프레임(600)과 결합된다. 상기 결합을 위해, 나사 부재 등의 체결 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프레임(100)은 베이스부(110) 및 하부 프레임부(12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10)는 프레임(100)의 하측을 형성한다. 베이스부(110)는 프레임(100)이 외부의 환경과 접촉되는 부분이다. 일 실시 예에서, 베이스부(110)는 전자 접촉기(10)가 구비되는 환경의 바닥에 고정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베이스부(110)는 사각의 판 형으로 구비된다. 베이스부(110)는 하부 프레임부(120)를 지지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110)의 상측에는 하부 프레임부(120)가 위치된다.
하부 프레임부(120)는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전자 접촉기(10)의 일부 구성 요소를 수용한다. 일 실시 예에서, 하부 프레임부(120)에는 구동부(200) 등이 수용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부(120)는 베이스부(110)의 상측에 위치된다. 하부 프레임부(120)는 베이스부(110)에 의해 지지된다. 일 실시 예에서, 하부 프레임부(120)는 베이스부(11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부(120)는 지지 프레임(600)의 하측에 위치된다. 하부 프레임부(120)는 지지 프레임(600)을 지지한다. 하부 프레임부(120) 내부의 공간은 지지 프레임(600) 내부의 공간과 연통된다.
하부 프레임부(120)는 나사 부재 등의 체결 부재(미도시)에 의해 지지 프레임(600)과 결합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부(120)의 단면의 형상은 지지 프레임(600)의 단면의 형상과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부 프레임부(120)가 베이스부(110) 및 지지 프레임(600)과 결합되면, 하부 프레임부(120) 내부의 공간이 외부에 임의 노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하부 프레임부(120) 내부의 공간에 수용된 구성 요소의 임의 노출이 방지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하부 프레임부(120)의 내부에는 코일(미도시)과 고정 코어(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코일(미도시)에 전류가 통전되면, 코일(미도시)이 형성하는 자기장에 의해 고정 코어(미도시)가 자화된다.
이에 따라, 가동 코어(212) 및 그에 연결된 가동 접점(320)이 고정 접점(430)과 접촉되어, 전자 접촉기(10)가 통전될 수 있다.
(2) 구동부(200)의 설명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접촉기(10)는 구동부(200)를 포함한다.
구동부(200)는 가동 접점부(300)가 고정 접점부(400)를 향하는 방향 또는 고정 접점부(40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기 위한 구동력을 생성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구동부(200)는 하부 프레임부(120)의 내부 공간에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구동부(200)의 나머지 부분은 아크 소호부(500)의 아크 박스(520)의 내부에 수용된다.
구동부(200)는 하부 프레임부(120) 및 지지 프레임(600)의 내부 공간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다. 구체적으로, 구동부(200)는 하부 프레임부(120) 및 지지 프레임(600)에 승강 가능하게 수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구동부(20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구동부(200)는 크로스바(210) 및 탄성 부재(220)를 포함한다.
크로스바(21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부 프레임부(120) 및 지지 프레임(60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다.
크로스바(210)에는 가동 접점부(300)가 연결된다. 가동 접점부(300)는 크로스바(210)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크로스바(210)의 이동에 의해, 가동 접점부(300)는 고정 접점부(400)를 향하는 방향 또는 고정 접점부(40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크로스바(210)의 하측에는 코일(미도시) 및 고정 코어(미도시)가 구비된다. 코일(미도시)에 전류가 통전되면, 자기장이 형성되어 고정 코어(미도시)가 자화된다.
고정 코어(미도시)가 자화되어 생성하는 자기력은 가동 코어(212)를 흡인한다. 이에 따라, 가동 접점부(300)가 고정 접점부(400)를 향해 이동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크로스바(210)는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판형 부분 및 판형 부분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기둥 부분을 포함한다.
크로스바(210)의 형상은 가동 접점부(300)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크로스바(210)의 상기 판형 부분 및 상기 기둥 부분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상기 판형 부분 및 상기 기둥 부분은 아크 박스(52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크로스바(210)의 상기 판형 부분 및 상기 기둥 부분은 가동 접점부(300) 및 고정 접점부(400)의 개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크로스바(210)는 접점대 연결부(211), 가동 코어(212) 및 고정부(213)를 포함한다.
접점대 연결부(211)에는 가동 접점부(300)의 가동 접점대(310)가 연결된다. 일 실시 예에서, 가동 접점대(310)는 그 연장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접점대 연결부(211)에 연결될 수 있다.
접점대 연결부(211)는 크로스바(210)의 상측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접점대 연결부(211)는 크로스바(210)의 상기 기둥 부분의 상측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접점대 연결부(211)와 상기 판형 부분 사이에는 고정 접점부(400) 및 아크 소호부(500)가 위치된다.
접점대 연결부(211)에 연결된 가동 접점부(300)는 고정 접점부(400)를 향하는 방향 또는 고정 접점부(40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가동 접점(320) 및 고정 접점(430)이 이격되어 발생되는 아크는 아크 소호부(500)로 유입되어 소호될 수 있다.
가동 코어(212)는 고정 코어(미도시)를 향하는 방향 또는 고정 코어(미도시)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크로스바(210) 및 이에 연결된 가동 접점부(300)가 이동될 수 있다.
가동 코어(212)는 자기력에 의해 흡인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동 코어(212)는 도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가동 코어(212)는 전자석 또는 영구 자석으로 구비될 수 있다.
가동 코어(212)는 크로스바(210)의 상기 판형 부분의 하측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가동 코어(212)와 고정 코어(미도시) 사이의 거리가 감소되어 고정 코어(미도시)가 생성하는 자기력이 효과적으로 가동 코어(212)에 전달될 수 있다.
고정부(213)는 크로스바(210)의 상측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고정부(213)는 접점대 연결부(211)보다 크로스바(210)의 상기 기둥 부분의 상측 단부에 더 인접하게 위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부(213)는 크로스바(210)의 상기 기둥 부분의 상측 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고정부(213)는 아크 소호부(500)에 결합된다. 아크 소호부(500)에 결합된 고정부(213)는 전자 접촉기(10)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크로스바(210)가 아크 소호부(5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크로스바(210)가 고정부(213)를 축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탄성 부재(220)는 크로스바(210)가 고정 코어(미도시)에서 멀어지는 방향,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으로 이동되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한다. 탄성 부재(220)는 크로스바(210)의 하측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크로스바(210)는 고정 코어(미도시)가 생성하는 자기력에 의해 고정 코어(미도시)를 향하는 방향, 즉 하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크로스바(210)는 탄성 부재(220)를 가압하며 하측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크로스바(210)가 이동되어 가동 접점(320)과 고정 접점(430)이 접촉된 상태에서, 탄성 부재(220)는 형상 변형에 의해 복원력을 저장한다.
과전류가 유입되어 코일(미도시)에 유입되는 전류가 차단되면, 고정 코어(미도시)의 자화 상태가 해제된다. 이에 따라, 가동 코어(212)에 미치는 자기적 흡인력이 해제된다.
이때, 탄성 부재(220)는 고정 코어(미도시)에서 멀어지는 방향,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을 향하는 방향의 복원력을 크로스바(210)에 인가한다.
이에 따라, 크로스바(210)가 고정 코어(미도시)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가동 접점(320)과 고정 접점(430) 간의 접촉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탄성 부재(220)는 형상이 변형되며 복원력을 저장하고, 저장된 복원력을 다른 부재에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탄성 부재(220)는 코일 스프링(coil spring)으로 구비될 수 있다.
탄성 부재(220)는 제1 탄성 부재(221) 및 제2 탄성 부재(222)를 포함한다.
제1 탄성 부재(221)는 크로스바(210)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제1 탄성 부재(221)는 크로스바(210)의 상기 기둥 부분의 내측에 수용된다.
제2 탄성 부재(222)는 하부 프레임부(120)의 내부 공간에 위치된다. 제2 탄성 부재(222)는 크로스바(210)의 하측에 위치된다. 제2 탄성 부재(222)는 크로스바(210)의 상기 판형 부분을 탄성 지지한다.
제2 탄성 부재(222)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탄성 부재(222)는 전방 측 및 후방 측에 각각 한 개씩 구비된다. 또한, 제2 탄성 부재(222)는 하부 프레임부(12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되어 총 네 개 구비된다. 제2 탄성 부재(222)의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크로스바(210)가 하측으로 이동되면, 제1 탄성 부재(221) 및 제2 탄성 부재(222)는 각각 가압되며 복원력을 저장한다.
이때, 제1 탄성 부재(221) 및 제2 탄성 부재(222)가 저장하는 복원력의 크기는, 고정 코어(미도시)가 가동 코어(212)에 미치는 자기적 흡인력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 코어(미도시)가 자화된 상태, 즉 코일(미도시)에 전류가 통전되는 상태에서, 탄성 부재(220)가 압축되어 복원력을 저장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3) 가동 접점부(300)의 설명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접촉기(10)는 가동 접점부(300)를 포함한다.
가동 접점부(300)는 크로스바(210)와 함께, 고정 접점부(400)를 향하는 방향 또는 고정 접점부(40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가동 접점부(300)는 아크 박스(520) 내부의 공간에 수용된다. 가동 접점부(300)는 아크 박스(520) 내부의 공간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가동 접점부(300)는 크로스바(210)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가동 접점부(300)는 크로스바(210)의 접점대 연결부(2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가동 접점부(300)는 고정 접점부(40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에 위치된다. 가동 접점부(300)가 크로스바(210)와 함께 하측으로 이동되면, 가동 접점부(300)와 고정 접점부(400)가 접촉될 수 있다.
가동 접점부(300)는 고정 접점부(400)와 통전 가능하게 접촉된다. 가동 접점(320)이 고정 접점(430)과 접촉되면, 전자 접촉기(10)는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가동 접점부(30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동 접점부(300)는 세 개 구비된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접촉기(10)에 R상, S상 및 T상 또는 U상, V상 및 W상의 3상 전류가 인가됨에 기인한다.
가동 접점부(300)의 개수는 전자 접촉기(10)에 인가되는 전류의 상의 개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가동 접점부(300)는 가동 접점대(310) 및 가동 접점(320)을 포함한다.
가동 접점대(310)는 가동 접점부(300)의 몸체를 형성한다. 가동 접점대(310)는 일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가동 접점대(310)의 연장 길이는 제1 및 제2 고정 접점(413, 432)이 이격되는 거리에 상응하게 결정될 수 있다.
가동 접점대(310)는 크로스바(210)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가동 접점대(310)는 크로스바(210)의 접점대 연결부(211)에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가동 접점대(310)는 접점대 연결부(2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가동 접점대(310)는 도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 접점대(410)를 통해 유입된 전류는 가동 접점(320)을 거쳐 가동 접점대(310)로 유입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동 접점대(310)는 철(Fe) 또는 구리(Cu)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가동 접점대(310)가 연장되는 길이 방향의 양측 단부에 인접하게, 가동 접점(320)이 위치된다. 가동 접점대(310)는 가동 접점(320)과 통전된다.
가동 접점(320)은 크로스바(210)의 이동에 따라 고정 접점(430)과 접촉되거나 이격된다. 가동 접점(320)과 고정 접점(430)이 접촉되면, 전자 접촉기(10)가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와 통전될 수 있다.
상기 통전 상태에서 가동 접점(320)이 고정 접점(430)에서 이격되면, 통전되던 전류에 의해 아크가 발생된다. 발생된 아크는 아크 소호부(500)에 의해 소호되며 전자 접촉기(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가동 접점(320)은 가동 접점대(310)에 결합된다. 가동 접점(320)은 가동 접점대(310)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가동 접점(320)은 가동 접점대(310)와 통전된다. 고정 접점(430)에서 가동 접점(320)으로 유입된 전류는 가동 접점대(310)를 통과할 수 있다.
가동 접점(320)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동 접점(320)은 전방 측에 위치되는 제1 가동 접점(321) 및 후방 측에 위치되는 제2 가동 접점(322)을 포함한다.
제1 가동 접점(321)은 가동 접점대(310)가 연장되는 방향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 위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동 접점(321)은 가동 접점대(310)의 전방 측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제2 가동 접점(322)은 가동 접점대(310)가 연장되는 방향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에 위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가동 접점(322)은 가동 접점대(310)의 후방 측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가동 접점(320)의 위치 및 개수는 고정 접점(430)의 위치 및 개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가동 접점부(300)에 전류가 통전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정 접점(430)에서 제1 가동 접점(321) 및 제2 가동 접점(322) 중 어느 하나로 전류가 유입된다. 유입된 전류는 가동 접점대(310)를 통과하여, 제1 가동 접점(321) 및 제2 가동 접점(322) 중 다른 하나를 거쳐 고정 접점(430)으로 유입된다.
이에 따라, 전자 접촉기(10)가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와 통전될 수 있다.
(4) 고정 접점부(400)의 설명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접촉기(10)는 고정 접점부(400)를 포함한다.
고정 접점부(400)는 가동 접점부(300)의 이동에 의해 가동 접점부(300)와 통전 가능하게 접촉되거나 이격된다. 즉,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고정 접점부(400)는 이동되지 않는다.
고정 접점부(400)는 아크 박스(520) 내부의 공간 및 지지 프레임(60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다. 고정 접점부(400)는 아크 박스(520) 내부의 공간 및 지지 프레임(600)의 내부 공간에 고정된다.
고정 접점부(400)는 지지 프레임(600)에 고정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고정 접점부(400)의 고정 접점대(410)는 지지 프레임(600)의 양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및 후방 측에 관통 형성되는 접점대 관통홀에 관통 결합된다.
고정 접점부(400)는 가동 접점부(30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에 위치된다. 가동 접점부(300)가 크로스바(210)와 함께 하측으로 이동되면, 고정 접점부(400)와 가동 접점부(300)가 접촉될 수 있다.
고정 접점부(400)는 가동 접점부(30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고정 접점(430)이 가동 접점(320)과 접촉되면,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고정 접점부(40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고정 접점부(400)는 세 개 구비된다. 각 고정 접점부(400)는 복수 개의 가동 접점부(300)와 각각 접촉되거나 이격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접촉기(10)에 R상, S상 및 T상 또는 U상, V상 및 W상의 3상 전류가 인가됨에 기인한다.
고정 접점부(400)의 개수는 전자 접촉기(10)에 인가되는 전류의 상의 개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고정 접점부(400)는 고정 접점대(410), 고정 접점 블록(420), 고정 접점(430) 및 지지 프레임(600)을 포함한다.
상기 구성 중, 지지 프레임(600)은 고정 접점부(400)를 전자 접촉기(10)에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지지 프레임(600)은 프레임(100)에 포함되는 것으로도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지지 프레임(600)이 고정 접점부(400)에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고정 접점대(410)는 고정 접점부(400)의 몸체를 형성한다. 고정 접점대(410)는 일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고정 접점대(410)의 연장 길이는, 일측이 고정 접점 블록(420)과 통전 가능하게 접촉되고, 타측이 전자 접촉기(10)의 외부에 돌출될 수 있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접점대(410)는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후술될 바와 같이, 고정 접점대(410)는 복수 개 구비된다. 복수 개의 고정 접점대(410) 중 어느 하나에는 전원이, 다른 하나에는 부하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고정 접점대(410)는 지지 프레임(600)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고정 접점대(410)는 지지 프레임(600)의 면 중 서로 마주하는 두 개의 면에 각각 관통 형성된 접점대 관통홀에 관통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 프레임(600)의 전방 측 면 및 후방 측 면에 접점대 관통홀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고정 접점대(410)는 지지 프레임(600)의 전방 측 및 후방 측에 각각 결합된다.
고정 접점대(410)는 도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는 고정 접점대(41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고정 접점대(410)를 통해 유입된 전류는 가동 접점부(300)를 거쳐 전자 접촉기(10)의 외부로 흐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 접점대(410)는 철(Fe) 또는 구리(Cu)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 접점대(41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고정 접점대(410) 중 어느 하나에는 전류가 유입되고, 다른 하나에서는 전류가 유출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고정 접점대(410)는 제1 고정 접점대(411) 및 제2 고정 접점대(412)를 포함하여 두 개 구비된다.
제1 고정 접점대(411)는 크로스바(210)의 상기 기둥 부분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 위치된다. 달리 표현하면, 제1 고정 접점대(411)는 제1 가동 접점(321)의 하측에 대해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 위치된다.
제1 고정 접점대(411)의 연장 방향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은 전자 접촉기(10)의 외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된다. 제1 고정 접점대(411)가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에는 전원 또는 부하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고정 접점대(411)의 연장 방향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은 제1 가동 접점(321)의 하측까지 연장된다. 달리 표현하면, 제1 고정 접점대(411)의 연장 방향의 상기 타측 단부는 크로스바(210)의 상기 기둥 부분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제1 고정 접점대(411)의 상기 타측에는 제1 고정 접점 블록(421)이 안착된다. 제1 고정 접점대(411)는 제1 고정 접점 블록(421)과 통전 가능하게 접촉된다.
제2 고정 접점대(412)는 크로스바(210)의 상기 기둥 부분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에 위치된다. 달리 표현하면, 제2 고정 접점대(412)는 제2 가동 접점(322)의 하측에 대해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에 위치된다.
제2 고정 접점대(412)의 연장 방향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은 전자 접촉기(10)의 외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된다. 제2 고정 접점대(412)가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에는 전원 또는 부하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 고정 접점대(412)의 연장 방향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은 제2 가동 접점(322)의 하측까지 연장된다. 달리 표현하면, 제2 고정 접점대(412)의 연장 방향의 상기 타측 단부는 크로스바(210)의 상기 기둥 부분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제2 고정 접점대(412)의 상기 타측에는 제2 고정 접점 블록(422)이 안착된다. 제2 고정 접점대(412)는 제2 고정 접점 블록(422)과 통전 가능하게 접촉된다.
고정 접점 블록(420)은 고정 접점대(410)와 고정 접점(430) 사이에 위치된다. 고정 접점 블록(420)은 고정 접점대(410)와 고정 접점(430)을 통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또한, 고정 접점 블록(420)은 가동 접점(320)과 고정 접점(430) 사이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즉, 고정 접점 블록(420)의 높이에 따라, 가동 접점(320)과 고정 접점(430) 사이의 거리가 조정될 수 있다.
고정 접점 블록(420)은 고정 접점대(410)의 일측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고정 접점 블록(420)은 크로스바(210)의 상기 기둥 부분을 향하는 고정 접점대(410)의 일측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달리 표현하면, 고정 접점 블록(420)은 복수 개의 고정 접점대(410)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의 각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고정 접점 블록(420)은 고정 접점대(410)의 상측에 위치된다. 고정 접점 블록(420)은 고정 접점대(410)에 안착된다.
고정 접점 블록(420)은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된다. 고정 접점 블록(420)의 연장 길이는 가동 접점(320)과 고정 접점(430) 사이의 거리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고정 접점 블록(420)의 연장 길이는, 크로스바(210)가 승강 가능한 거리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고정 접점 블록(420)의 높이를 조정하여 가동 접점(320)과 고정 접점(430) 사이의 거리가 조정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고정 접점 블록(420)은 고정 접점대(410)와 통전 가능하게 접촉된다. 고정 접점대(410)에 유입된 전류는 고정 접점 블록(420)으로 흐를 수 있다. 또한, 고정 접점 블록(420)에 유입된 전류는 고정 접점대(410)로 흐를 수 있다.
고정 접점 블록(420)은 고정 접점(430)과 통전 가능하게 접촉된다. 고정 접점(430)에 유입된 전류는 고정 접점 블록(420)으로 흐를 수 있다. 또한, 고정 접점 블록(420)에 유입된 전류는 고정 접점(430)으로 흐를 수 있다.
고정 접점 블록(420)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고정 접점 블록(420)은 복수 개의 고정 접점대(410)와 각각 통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고정 접점 블록(420)은 복수 개의 고정 접점(430)과 각각 통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고정 접점 블록(420)은 제1 고정 접점 블록(421) 및 제2 고정 접점 블록(424)을 포함하여, 두 개 구비된다.
제1 고정 접점 블록(421)은 제1 고정 접점대(411)에 통전 가능하게 접촉된다. 구체적으로, 제1 고정 접점 블록(421)은 제1 고정 접점대(411)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제1 고정 접점 블록(421)에는 제1 고정 접점(431)이 안착된다. 제1 고정 접점 블록(421)은 제1 고정 접점(431)과 통전 가능하게 접촉된다.
제2 고정 접점 블록(422)은 제2 고정 접점대(412)에 통전 가능하게 접촉된다. 구체적으로, 제2 고정 접점 블록(422)은 제2 고정 접점대(412)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제2 고정 접점 블록(422)에는 제2 고정 접점(432)이 안착된다. 제2 고정 접점 블록(422)은 제2 고정 접점(432)과 통전 가능하게 접촉된다.
고정 접점(430)은 가동 접점(320)과 접촉되거나 이격된다. 고정 접점(430)이 가동 접점(320)과 접촉되면, 고정 접점부(400)와 가동 접점부(300)가 통전된다. 이에 따라, 전자 접촉기(10)가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와 통전될 수 있다.
고정 접점(430)은 고정 접점 블록(420)의 상측에 위치된다. 고정 접점(430)은 고정 접점 블록(42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면에 안착된다.
고정 접점(430)은 가동 접점부(300)의 하측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고정 접점(430)은 가동 접점(320)의 하측에 위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 접점(430)은 가동 접점(320)의 직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고정 접점(430)은 고정 접점 블록(420)과 통전 가능하게 접촉된다. 고정 접점(430)에 유입된 전류는 고정 접점 블록(420)으로 흐를 수 있다. 또한, 고정 접점 블록(420)에 유입된 전류는 고정 접점(430)으로 흐를 수 있다.
고정 접점(430)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고정 접점(430)은 복수 개의 고정 접점 블록(420)에 각각 위치되어, 각 고정 접점 블록(420)과 통전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고정 접점(430)은 제1 고정 접점(431) 및 제2 고정 접점(432)을 포함하여, 두 개 구비된다.
제1 고정 접점(431)은 제1 고정 접점 블록(421)에 결합된다. 제1 고정 접점(431)은 제1 고정 접점 블록(421)과 통전 가능하게 접촉된다.
제2 고정 접점(432)은 제2 고정 접점 블록(422)에 결합된다. 제2 고정 접점(432)은 제2 고정 접점 블록(422)과 통전 가능하게 접촉된다.
아크 소호부(500)는 가동 접점부(300)와 고정 접점부(400)가 이격되어 발생된 아크를 소호하며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아크 소호부(500)는 지지 프레임(600)의 상측에 위치된다. 아크 소호부(500)는 지지 프레임(6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아크 소호부(500)는 아크 챔버(arc chamber)(510) 및 아크 박스(arc box)(520)를 포함한다.
아크 챔버(510)는 가동 접점부(300)와 고정 접점부(400)가 이격되어 발생된 아크를 소호한다. 아크 챔버(510)는 고정 접점부(400)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아크 챔버(510)는 각 고정 접점(431, 432)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이에 따라, 가동 접점부(300)가 고정 접점부(400)와 접촉되었다가 이격되면, 발생된 아크는 아크 챔버(510)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아크 챔버(510)를 향해 연장된 아크는, 아크 챔버(510)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그리드(grid)를 따라 신장되며 소호될 수 있다.
아크 챔버(51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아크 챔버(510)는 전후 방향으로 두 개, 좌우 방향으로 세 쌍 구비되어 총 여섯 개 구비된다.
아크 챔버(510)의 개수는 가동 접점부(300) 및 고정 접점부(400)의 개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아크 챔버(510)는 아크 박스(520)의 내부에 수용된다. 또한, 아크 챔버(510)는 아크 박스(520)에 결합된다.
아크 박스(520)는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아크 챔버(510), 가동 접점부(300) 및 고정 접점부(400)를 수용한다. 또한, 아크 박스(520)는 상기 공간에, 전자 접촉기(10)가 작동되기 위한 다양한 구성 요소를 수용할 수 있다.
즉, 아크 박스(520)는 일종의 하우징으로 기능된다.
아크 박스(520)는 지지 프레임(600)의 상측에 위치된다. 아크 박스(520)는 지지 프레임(600)과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아크 박스(520)는 지지 프레임(600)과 별도의 체결 부재(미도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아크 박스(520)는 사각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사각기둥 형상이다. 아크 박스(520)의 형상은 지지 프레임(600)과 결합되고, 내부에 전자 접촉기(10)의 작동을 위한 구성 요소를 실장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아크 박스(520)는 절연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아크 박스(520) 내부의 구성 요소가 외부와 임의 통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일 실시 예에서, 아크 박스(520)는 합성 수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아크 박스(520)는 강성이 높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아크 박스(520) 내부에서 발생된 고온 고압의 아크에 의해, 아크 박스(52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일 실시 예에서, 아크 박스(520)는 강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크 박스(520)는 커버부(521), 아크 배출공(522) 및 프레임 결합부(523)를 포함한다.
커버부(521)는 아크 박스(520)의 외측을 형성한다. 달리 표현하면, 커버부(521)는 아크 박스(520)가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아크 박스(520)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구비된다.
이에 따라, 커버부(521)는 하측에 개방된 부분을 제외한 5개소, 즉 상측, 전방 측, 후방 측, 좌측 및 우측에 위치되는 면을 포함한다.
커버부(521)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및 후방 측에는 아크 배출공(522)이 관통 형성된다.
아크 배출공(522)은 아크 박스(520)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된 아크가 아크 챔버(510)를 통해 소호되며, 아크 박스(520)의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이다. 아크 배출공(522)은 아크 박스(520)의 면 중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면 및 후방 측 면에 각각 관통 형성된다.
아크 배출공(522)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아크 배출공(522)은 각 상의 전류가 통전되는 위치마다 세 개씩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접촉기(10)는 세 개의 서로 다른 상의 전류가 통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크 배출공(522)은 전방 측에 9개, 후방 측에 9개가 형성되어 총 18개 형성된다. 아크 배출공(522)의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아크 배출공(522)은 아크 박스(520)의 내부 공간과 아크 박스(520)의 외부를 연통한다. 이에 따라, 발생된 아크는 아크 박스(52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후술될 바와 같이, 아크 박스(520)에는 커버 프레임(700)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아크 배출공(522)은 커버 프레임(700)의 아크 공간부(730)와 연통된다.
이에 따라, 소호되며 배출된 아크는 아크 박스(520)의 외부 공간으로 직접 배출되지 않고, 아크 공간부(730)를 통과한 후 배출된다.
결과적으로, 발생된 아크가 외부 공간으로 배출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되므로, 아크가 충분히 소호된 후 외부의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프레임 결합부(523)는 아크 박스(520)가 지지 프레임(600)과 결합되는 부분이다. 프레임 결합부(523)는 지지 프레임(600)의 아크 박스 결합부(610)와 맞춰질 수 있다.
프레임 결합부(523)는 별도의 체결 부재(미도시)에 의해 아크 박스 결합부(610)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레임 결합부(523)는 아크 박스 결합부(610)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 결합부(523)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프레임 결합부(523)는 아크 박스(520)의 좌측 및 우측 면의 전방 측 및 후방 측 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총 네 개 구비된다. 프레임 결합부(523)의 개수는 아크 박스 결합부(610)의 개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3.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 프레임(600)의 설명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접촉기(10)는 지지 프레임(600)을 포함한다. 지지 프레임(600)은 고정 접점부(400)를 고정 지지하여, 전자 접촉기(10)가 외부와 통전되는 동안 고정 접점부(400)가 임의로 요동되지 않게 한다.
이하,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 프레임(600)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지지 프레임(600)에는 고정 접점부(400)가 결합된다. 고정 접점부(400)는 지지 프레임(60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600)은 고정 접점부(400)를 하측에서 지지한다.
지지 프레임(600)은 아크 소호부(500)를 지지한다. 지지 프레임(600)의 상부 공간과 아크 소호부(500)의 내부 공간은 연통된다. 이에 따라, 아크 소호부(50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가동 접점부(300)는 고정 접점부(400)를 향하는 방향 또는 고정 접점부(40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600)의 하측에는 프레임(100)이 위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 프레임(600)과 프레임(100)은 나사 등의 결합 부재(미도시)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600)의 상측에는 아크 소호부(500)가 위치된다. 지지 프레임(600)은 아크 박스(52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지지 프레임(600)의 아크 박스 결합부(610)와 아크 박스(520)의 프레임 결합부(523)가 서로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 프레임(600)은 사각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사각 기둥 형상이다. 지지 프레임(600)의 형상은 아크 박스(520)의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600)은 아크 박스 결합부(610), 고정 접점 수용부(620), 격벽부(630) 및 커버 결합부(640)를 포함한다.
아크 박스 결합부(610)는 지지 프레임(600)이 아크 박스(52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아크 박스 결합부(610)는 프레임 결합부(523)와 맞춰질 수 있다
아크 박스 결합부(610)는 별도의 체결 무재(미도시)에 의해 프레임 결합부(523)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아크 박스 결합부(610)는 프레임 결합부(523)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아크 박스 결합부(61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아크 박스 결합부(610)는 지지 프레임(600)의 전방 측의 좌측 및 우측, 후방 측에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형성되어, 총 네 개 구비된다. 아크 박스 결합부(610)의 개수는 프레임 결합부(523)의 개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각 아크 박스 결합부(610)는 전방 측의 양측 단부 및 후방 측의 양측 단부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전방 측에 위치되는 두 개의 아크 박스 결합부(610) 및 후방 측에 위치되는 두 개의 아크 박스 결합부(610)는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전방 측의 두 개의 아크 박스 결합부(610) 사이에는 커버 결합부(640)가 위치된다. 후방 측에 위치되는 두 개의 아크 박스 결합부(610) 사이에도 커버 결합부(640)가 위치된다.
고정 접점 수용부(620)는 고정 접점부(400)가 수용되는 공간이다. 고정 접점부(400)는 고정 접점 수용부(620)에 수용된 후, 체결 부재(미도시)에 의해 지지 프레임(60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아크 챔버(510)는 아크 박스(520)에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 접점 수용부(620)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고정 접점 수용부(620)는 아크 박스(520)를 향하는 일측에서 함몰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고정 접점 수용부(620)는 지지 프레임(600)의 상측에서 함몰 형성된다.
고정 접점 수용부(620)는 고정 접점대(410)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고정 접점 수용부(62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달리 표현하면, 고정 접점 수용부(620)는 전후 방향의 길이가, 좌우 방향의 폭보다 길게 형성된다.
고정 접점 수용부(620)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접촉기(10)는 각 상마다 두 개의 고정 접점부(40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고정 접점 수용부(620)는 전방 측 및 후방 측에 각각 한 개씩 형성된다.
더 나아가, 고정 접점 수용부(620)는 각 상의 전류가 통전되는 고정 접점부(400)마다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 접점 수용부(620)는 총 여섯 개 형성된다. 고정 접점 수용부(620)의 개수는 통전되는 전류의 상의 개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폭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고정 접점 수용부(620) 사이에는 격벽부(630)가 위치된다.
격벽부(630)는 각 고정 접점부(400) 사이에 위치되어, 각 고정 접점부(400)를 물리적으로 이격시킨다. 격벽부(630)가 구비됨에 따라, 각 가동 접점부(300) 및 고정 접점부(400)에 통전되는 서로 다른 상의 전류는 물리적, 전기적으로 이격될 수 있다.
격벽부(630)는 절연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서로 인접하게 위치되는 가동 접점부(300) 및 고정 접점부(400) 사이에 전기적인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일 실시 예에서, 격벽부(630)는 합성 수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격벽부(630)는 고정 접점대(410) 또는 고정 접점 수용부(620)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격벽부(63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접촉기(10)는 각 상마다 두 개의 고정 접점부(40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격벽부(630)는 전방 측 및 후방 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격벽부(630)의 전방 측 단부는 지지 프레임(600)의 전방 측 면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격벽부(630)의 후방 측 단부는 지지 프레임(600)의 후방 측 면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격벽부(63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접촉기(10)는 서로 다른 세 개의 상의 전류가 통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격벽부(630)는 두 개 구비되어, 폭 방향으로 세 개 배치되는 고정 접점 수용부(620) 사이에 위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격벽부(630)를 연장한 가상의 선 상에는 커버 프레임(700)의 리브부(720) 및 프레임 결합부(750)가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로 다른 각 상의 전류가 전기적으로 간섭받지 않게 된다.
일 실시 예에서, 격벽부(630)를 연장한 가상의 선 상에는 커버 결합부(640)가 위치될 수 있다.
커버 결합부(640)는 커버 프레임(700)이 지지 프레임(600)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커버 결합부(640)에는 지지 프레임(600)이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커버 결합부(640)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커버 결합부(640)는 좌측에 위치되는 제1 커버 결합부(640a) 및 우측에 위치되는 제2 커버 결합부(640b)를 포함하여, 총 두 개 구비된다.
제1 커버 결합부(640a)와 제2 커버 결합부(640b)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 커버 결합부(640a) 및 제2 커버 결합부(640b)에는 커버 프레임(700)의 프레임 결합부(750)가 각각 삽입 결합된다.
제1 커버 결합부(640a) 및 제2 커버 결합부(640b)는 배치되는 위치에 차이가 있고, 기타 형상 및 구조는 동일하다. 이에, 제1 커버 결합부(640a) 및 제2 커버 결합부(640b)를 커버 결합부(640)로 통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커버 결합부(640)는 지지 프레임(600)이 서로 마주하는 양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커버 결합부(640)는 서로 마주하는 지지 프레임(600)의 전방 측 면 및 후방 측 면에 각각 형성된다.
이에 따라, 커버 결합부(640)는 총 네 개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 방향은 전방 측에 위치되는 커버 결합부(640)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커버 결합부(640)에는 프레임 결합부(750)가 삽입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커버 결합부(640)에는 프레임 결합부(750)가 상하 방향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커버 결합부(640)에는 프레임 결합부(750)가 전후 방향으로 삽입된 후, 상하 방향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커버 결합부(640)는 제1 홈(641), 제2 홈(642), 제1 돌출부(643), 제2 돌출부(644) 및 수용 홈(645)을 포함한다.
제1 홈(641)은 프레임 결합부(750)가 삽입되는 공간이다. 제1 홈(641)은 커버 프레임(700)을 향하는 지지 프레임(600)의 일측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면에서 함몰 형성된다.
제1 홈(641)이 함몰되는 거리는, 후술될 연장부(751)가 연장되는 길이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레임 결합부(750)는 삽입부(752)가 수용 홈(645)에 도달될 때까지 제1 홈(641)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홈(641)의 일측은 개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크 박스(520)를 향하는 제1 홈(641)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은 개방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홈(641)은 지지 프레임(600)의 상측에서 함몰 형성된다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1 홈(641)은 소정 길이만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홈(641)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는, 프레임 결합부(750)의 삽입부(752)의 높이(즉, 상하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홈(641)의 타측은 폐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크 박스(520)에 반대되는 제1 홈(641)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은 폐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홈(641)에 삽입된 프레임 결합부(750)는 제1 홈(641)의 상기 타측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제1 홈(641)의 다른 타측은 폐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 프레임(700)에 반대되는 제1 홈(641)의 다른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은 폐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레임 결합부(750)가 제1 홈(641)에 삽입되는 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
즉, 제1 홈(641)은, 커버 프레임(700)을 향하는 일측(즉, 전방 측) 및 아크 박스(520)를 향하는 타측(즉, 상측)이 개방 형성된다. 또한, 제1 홈(641)은, 커버 프레임(700)에 반대되는 다른 타측(즉, 후방 측) 및 아크 박스(520)에 반대되는 또다른 타측(즉, 하측)이 폐쇄된다.
제1 홈(641)은 소정의 폭(즉, 좌우 방향의 길이)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1 홈(641)의 폭의 길이는 프레임 결합부(750)의 삽입부(752)의 폭의 길이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홈(641)의 폭의 길이는 삽입부(752)의 폭의 길이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홈(641)의 내부에는 제2 홈(642) 및 수용 홈(645)이 형성된다. 또한, 제1 홈(641)의 내부에는 제1 돌출부(643) 및 제2 돌출부(644)가 구비된다.
제2 홈(642)은 프레임 결합부(750)의 연장부(751)가 삽입되는 공간이다. 제2 홈(642)은 커버 프레임(700)을 향하는 지지 프레임(600)의 일측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면에서 함몰 형성된다.
제2 홈(642)이 함몰되는 거리는, 제1 홈(641)이 함몰되는 거리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홈(642)이 함몰되는 거리와 수용 홈(645)의 폭(즉, 전후 방향의 길이)의 합은, 제1 홈(641)이 함몰되는 거리와 같을 수 있다.
제2 홈(642)은 제1 홈(641)의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홈(642)은 제1 홈(641) 중, 제1 돌출부(643) 및 제2 돌출부(644)에 둘러싸인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홈(642)의 좌측 및 우측은 각각 제1 돌출부(643) 및 제2 돌출부(644)에 둘러싸인다.
이에 따라, 제2 홈(642)의 폭(즉, 좌우 방향의 길이)은 제1 홈(641)의 폭(즉, 좌우 방향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제2 홈(642)의 폭의 길이는, 프레임 결합부(750)의 폭의 길이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 홈(642)의 폭의 길이는, 연장부(751)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홈(642)의 폭의 길이는, 삽입부(752)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프레임 결합부(750)가 커버 결합부(640)에 삽입 결합되면, 삽입부(752)가 제2 홈(642)을 통해 인출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지지 프레임(600)과 커버 프레임(700)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제1 돌출부(643) 및 제2 돌출부(644)는 제1 홈(641)을 폭 방향,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에서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제1 돌출부(643) 및 제2 돌출부(644)는 제1 홈(641)을 폭 방향에서 둘러싸는 각 면에서 서로를 향해 돌출 형성된다.
제1 돌출부(643)와 제2 돌출부(644)가 서로 마주하는 면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이격에 의해, 제1 돌출부(643)와 제2 돌출부(644)의 각 면 사이의 공간인 제2 홈(642)이 정의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제1 돌출부(643)와 제2 돌출부(644)는 커버 프레임(700)을 향하는 지지 프레임(600)의 일측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면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또한, 제1 돌출부(643)와 제2 돌출부(644)는 지지 프레임(600)의 상기 일측 면에서, 커버 프레임(70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돌출부(643)와 제2 돌출부(644)가 커버 프레임(700)을 향해 연장되는 길이에 따라, 제2 홈(642)의 깊이(즉, 전후 방향의 길이)가 결정될 수 있다. 즉, 제2 홈(642)의 깊이는, 제1 돌출부(643)와 제2 돌출부(644)가 커버 프레임(700)을 향해 연장되는 길이와 같을 수 있다.
제1 돌출부(643)와 제2 돌출부(644)의 높이(즉, 상하 방향의 길이)는 제1 홈(641)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레임 결합부(750)가 삽입된 후 하측으로 이동되어 제2 홈(642) 및 수용 홈(645)에 수용될 수 있다.
커버 프레임(700)에 반대되는 제1 돌출부(643)와 제2 돌출부(644)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에는 수용 홈(645)이 위치된다.
수용 홈(645)은 프레임 결합부(750)의 삽입부(752)가 수용되는 공간이다. 수용 홈(645)은 제1 홈(641)이 구획된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용 홈(645)은 제1 홈(641)이 형성하는 공간 중, 제2 홈(642), 제1 돌출부(643) 및 제2 돌출부(644)가 점유하는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의 일부 또는 전부로 정의될 수 있다.
수용 홈(645)은 제1 홈(641)과 연통된다. 상기 실시 예는 수용 홈(645)이 제1 홈(641)이 형성하는 공간 중, 제2 홈(642), 제1 돌출부(643) 및 제2 돌출부(644)가 점유하는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의 일부인 경우임이 이해될 것이다.
수용 홈(645)은 제2 홈(642)과 연통된다. 따라서, 프레임 결합부(750)의 삽입부(752)와 연속되는 연장부(751)는 제2 홈(642)이 수용될 수 있다.
수용 홈(645)은 제1 홈(641)을 커버 프레임(700)에 반대되는 일측에서 감싸는 면과, 제1 돌출부(643) 및 제2 돌출부(644) 사이의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수용 홈(645)은 제1 홈(641)의 좌측, 우측, 후방 측 및 하측의 면과, 제1 및 제2 돌출부(643, 644)의 후방 측 면에 둘러싸인 공간이다.
수용 홈(645)은 제2 홈(642)에 비해 커버 프레임(700)에서 더 멀도록 위치된다. 즉, 수용 홈(645)은 제2 홈(642)보다 후방 측에 위치된다.
수용 홈(645)은 소정의 폭(즉, 좌우 방향의 길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용 홈(645)의 폭은 제2 홈(642)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수용 홈(645)의 폭은 삽입부(752)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수용 홈(645)의 폭은 제1 홈(641)의 폭과 같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수용 홈(645)에는 프레임 결합부(750)의 삽입부(752)가 용이하게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수용 홈(645)에 삽입된 삽입부(752)는 제2 홈(642)을 통해 인출되지 않게 된다.
커버 결합부(640)에 프레임 결합부(750)가 삽입 결합되어, 지지 프레임(600)과 커버 프레임(700)이 결합되는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4.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버 프레임(700)의 설명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접촉기(10)는 커버 프레임(700)을 포함한다.
커버 프레임(700)은 아크 소호부(500) 및 지지 프레임(600)과 결합된다. 커버 프레임(700)의 양측은 폐쇄되어, 다른 전자 접촉기(10)와의 전기적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커버 프레임(700)은 아크 소호부(500)의 아크 배출공(522)을 덮도록 배치되어, 아크 배출공(522)에서 배출되는 아크를 소정의 시간 동안 수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생된 아크가 사용자에게 직접 배출되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커버 프레임(700)은 전자 접촉기(10)에 통전되는 서로 다른 상의 전류를 전기적으로 이격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서로 다른 상의 전류 간의 간섭이 방지되어, 전기적 사고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버 프레임(700)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커버 프레임(700)은 지지 프레임(600)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된다. 상기 결합은 커버 프레임(700)의 프레임 결합부(750)가 지지 프레임(600)의 커버 결합부(640)에 삽입 결합되어 달성된다.
커버 프레임(700)은 아크 박스(5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결합은 커버 프레임(700)의 아크 박스 체결부(740)가 아크 배출공(522)에 체결되어 달성된다.
커버 프레임(700)이 아크 박스(520) 및 지지 프레임(600)에 결합되는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커버 프레임(700)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전자 접촉기(10) 간의 전기적인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커버 프레임(700)은 각 전자 접촉기(10)를 전기적으로 이격시킬 수 있다. 상기 이격은 커버 프레임(700)에 구비되는 외면(710)에 의해 달성된다.
커버 프레임(700)은 전자 접촉기(10)에 통전되는 복수 개의 상의 전류 간의 전기적인 간섭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차단은 커버 프레임(700)에 구비되는 리브부(720)에 의해 달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커버 프레임(700)은 아크 박스(520) 또는 지지 프레임(600)을 향하는 방향(즉, 전후 방향)의 길이가, 폭 방향(즉, 좌우 방향)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달리 표현하면, 커버 프레임(700)은 전후 방향의 길이가 좌우 방향의 길이보다 짧은 사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커버 프레임(700)의 폭 방향 길이, 즉 좌우 방향의 길이는, 아크 박스(520) 및 지지 프레임(600)의 폭 방향의 길이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 프레임(700)은 높이 방향,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에 따라, 커버 프레임(700)의 전체적인 형상은, 사각기둥 형상이다.
커버 프레임(700)의 형상은 아크 박스(520) 또는 지지 프레임(6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고정 접점부(400) 및 아크 배출공(522)을 덮을 수 있는 임의의 형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커버 프레임(700)은 절연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전자 접촉기(10)에 통전되는 서로 다른 상의 전류 간의 전기적인 간섭을 배제하기 위함이다. 또한, 복수 개의 전자 접촉기(10)가 구비되는 경우, 인접하게 배치되는 전자 접촉기(10) 간의 전기적인 간섭을 배제하기 위함이다.
커버 프레임(700)은 고강성 및 고내열성을 갖는 소지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 프레임(700)이 아크 배출공(522)에서 배출되는 아크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일 실시 예에서, 커버 프레임(700)은 합성 수지 또는 강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 프레임(700)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커버 프레임(700)은 아크 박스(520) 및 지지 프레임(60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커버 프레임(700)은 한 개 구비되어 아크 박스(520) 및 지지 프레임(600)의 전방 측에 위치된다.
다만, 아크 박스(520)의 일측 및 타측,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및 후방 측은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지지 프레임(600)의 일측 및 타측,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및 후방 측은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 프레임(700)은 두 개 구비되어, 아크 박스(520) 및 지지 프레임(600)의 전방 측 및 후방 측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아크 박스(520) 및 지지 프레임(600)의 전방 측에 커버 프레임(700)이 결합됨을 전제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커버 프레임(700)은 외면(710), 리브부(720), 아크 공간부(730), 아크 박스 체결부(740) 및 프레임 결합부(750)를 포함한다.
외면(710)은 커버 프레임(700)의 외측 면을 형성한다. 외면(710)은 커버 프레임(700)의 각 구성 요소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외면(710)에 둘러싸인 공간에는 리브부(720) 및 아크 공간부(730)가 위치될 수 있다.
외면(710)은 제1 면(711), 제2 면(712), 제3 면(713) 및 제4 면(714)을 포함한다.
제1 면(711)은 커버 프레임(700)의 일측의 외면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면(711)은 커버 프레임(700)의 상측 면으로 구비된다.
제1 면(711)은 제2 면(712), 제3 면(713) 및 제4 면(714)과 연속된다. 제2 면(712), 제3 면(713) 및 제4 면(714)은 제1 면(711)에서 멀어지는 방향,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1 면(711)은 리브부(720)와 연속된다. 리브부(720)는 제1 면(711)에서 멀어지는 방향,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1 면(711)은 아크 공간부(730)를 덮도록 구성된다. 달리 표현하면, 제1 면(711)은 아크 공간부(730)의 상측에 위치되어, 아크 공간부(730)의 상측 경계를 형성한다.
제1 면(711)은 일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1 면(711)은 아크 박스(520)를 향하는 방향, 즉 전후 방향의 길이가 연장 형성되는 방향, 즉 좌우 방향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달리 표현하면, 제1 면(711)은 서로 마주하는 전후 방향의 모서리의 길이가, 서로 마주하는 좌우 방향의 모서리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면(711)의 전후 방향의 모서리의 길이는, 아크 박스(520) 또는 지지 프레임(600)의 폭 방향(즉, 좌우 방향)의 길이와 같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 프레임(700)이 아크 박스(520) 또는 지지 프레임(600)에 결합되더라도, 커버 프레임(700)은 과다하게 돌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전자 접촉기(10)가 커버 프레임(700)을 구비하는 경우에도, 점유하는 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다.
아크 박스(520) 또는 커버 프레임(700)을 향하는 제1 면(711)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에는 아크 박스 체결부(740)가 구비된다.
제1 면(711)의 길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의 단부에서는 제2 면(712) 및 제3 면(713)이 연장 형성된다. 제1 면(711)의 폭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의 단부에서는 제4 면(714)이 연장 형성된다.
또한, 아크 공간부(730)를 향하는 제1 면(711)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에는 리브부(720)가 연장 형성된다.
제2 면(712)은 커버 프레임(700)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의 외면이다.
제2 면(712)은 제1 면(711)이 연장되는 일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단부에서 연장 형성된다. 제2 면(712)은 제1 면(711)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제1 면(711)에서 멀어지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면(712)은 제1 면(711)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 면(712)은 제1 면(711)에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면(712)이 연장되는 길이는 제3 면(713)이 연장되는 길이와 같을 수 있다. 또한, 제2 면(712)이 연장되는 길이는 리브부(720)가 연장되는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면(712)은,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제2 면(712)의 하측 단부가 고정 접점부(40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즉, 제2 면(712)은 고정 접점부(400)를 측면에서 덮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제2 면(712)은 고정 접점부(400)와 인접하게 위치되는 다른 전자 접촉기(10)의 고정 접점부(400) 사이에 전기적인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면(712)은 제3 면(713)과 이격되어, 제3 면(713)을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2 면(712)은 리브부(720) 및 아크 공간부(730)를 사이에 두고 제3 면(713)을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면(712)과 제3 면(713)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면(712)은 제4 면(714)과 연속된다. 구체적으로, 아크 박스(520)에 반대되는 제2 면(712)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우측 단부는 제4 면(714)의 좌측 단부와 연속된다.
제2 면(712)은 아크 공간부(730)를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구체적으로, 제2 면(712)은 인접하게 형성되는 제1 아크 공간부(731)를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제2 면(712)은 제1 개구부(731a)를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구체적으로, 제2 면(712)은 제1 개구부(731a)의 좌측 경계를 형성한다.
커버 프레임(700)이 아크 박스(520) 및 지지 프레임(600)에 결합되면, 제2 면(712)은 아크 박스(520) 및 지지 프레임(60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을 덮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전자 접촉기(10)와, 전자 접촉기(10)의 좌측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전자 접촉기(10) 사이에 전기적인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제3 면(713)은 커버 프레임(700)의 다른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우측의 외면이다.
제3 면(713)은 제1 면(711)이 연장되는 타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우측 단부에서 연장 형성된다. 제3 면(713)은 제1 면(711)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제1 면(711)에서 멀어지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면(713)은 제1 면(711)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3 면(713)은 제1 면(711)에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면(713)이 연장되는 길이는 제2 면(712)이 연장되는 길이와 같을 수 있다. 또한, 제3 면(713)이 연장되는 길이는 리브부(720)가 연장되는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면(713)은,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제3 면(713)의 하측 단부가 고정 접점부(40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즉, 제3 면(713)은 고정 접점부(400)를 측면에서 덮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제3 면(713)은 고정 접점부(400)와 인접하게 위치되는 다른 전자 접촉기(10)의 고정 접점부(400) 사이에 전기적인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 면(713)은 제2 면(712)과 이격되어, 제2 면(712)을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3 면(713)은 리브부(720) 및 아크 공간부(730)를 사이에 두고 제2 면(712)을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면(713)과 제2 면(712)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 면(713)은 제4 면(714)과 연속된다. 구체적으로, 아크 박스(520)에 반대되는 제3 면(713)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단부는 제4 면(714)의 우측 단부와 연속된다.
제3 면(713)은 아크 공간부(730)를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구체적으로, 제3 면(713)은 인접하게 형성되는 제3 아크 공간부(733)를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제3 면(713)은 제3 개구부(733a)를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구체적으로, 제3 면(713)은 제3 개구부(733a)의 좌측 경계를 형성한다.
커버 프레임(700)이 아크 박스(520) 및 지지 프레임(600)에 결합되면, 제3 면(713)은 아크 박스(520) 및 지지 프레임(60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을 덮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전자 접촉기(10)와, 전자 접촉기(10)의 좌측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전자 접촉기(10) 사이에 전기적인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제4 면(714)은 커버 프레임(700)의 또다른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의 외면이다.
제4 면(714)은 제1 면(711)의 폭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단부에서 연장 형성된다. 제4 면(714)은 제1 면(711)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제1 면(711)에서 멀어지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4 면(714)은 제1 면(711)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4 면(714)은 제1 면(711)에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4 면(714)이 연장되는 길이는 제2 면(712) 및 제3 면(713)이 연장되는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또한, 제4 면(714)이 연장되는 길이는 리브부(720)가 연장되는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4 면(714)은, 그 하측 단부가 아크 배출공(522)의 하측 단부보다 하측에 위치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즉,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제4 면(714)은 아크 배출공(522)을 완전히 덮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크 배출공(522)에서 배출된 아크가 바로 외부의 공간으로 유동되지 않게 된다. 결과적으로, 전자 접촉기(10)에 인접하게 위치된 사용자의 상해가 방지될 수 있다.
제1 면(711)에 반대되는 제4 면(714)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는, 제2 면(712), 제3 면(713) 및 리브부(720)의 하측 단부보다 상측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제4 면(714)의 하측 단부를 상측의 경계로 하는 복수 개의 개구부(731a, 732a, 733a)가 정의될 수 있다.
제4 면(714)은 제2 면(712) 및 제3 면(713) 사이에서 연속된다. 구체적으로, 제2 면(712)을 향하는 제4 면(714)의 일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단부는 제2 면(712)과 연속된다. 또한, 제3 면(713)을 향하는 제4 면(714)의 타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우측 단부는 제3 면(713)과 연속된다.
제4 면(714)은 제2 면(712) 및 제3 면(713)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4 면(714)은 제2 면(712) 및 제3 면(713)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아크 박스(520) 또는 지지 프레임(600)을 향하는 제4 면(714)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에는 리브부(720)가 연속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4 면(714)과 리브부(720)는 서로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4 면(714)은 아크 공간부(730)를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구체적으로, 제4 면(714)은 후방 측에 형성되는 제1 내지 제3 아크 공간부(731, 732, 733)의 전방 측을 둘러싼다.
제4 면(714)은 제1 내지 제3 개구부(731a, 732a, 733a)를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구체적으로, 제4 면(714)은 제1 내지 제3 개구부(731a, 732a, 733a)의 상측 경계를 형성한다.
커버 프레임(700)이 아크 박스(520) 및 지지 프레임(600)에 결합되면, 제4 면(714)은 아크 박스(520) 및 지지 프레임(600)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을 덮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4 면(714)은 아크 배출공(522)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에 따라, 아크 배출공(522)에서 배출된 아크가 직진하여 배출되지 않게 되어, 사용자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리브부(720)는 복수 개의 고정 접점부(400)를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이격시킨다. 리브부(720)에 의해, 복수 개의 고정 접점부(400)에 통전되는 서로 다른 상의 전류가 서로 전기적으로 간섭받지 않게 된다.
또한, 리브부(720)는 외면(710)과 각각 연속되어, 커버 프레임(700)의 강성을 보강한다. 일 실시 예에서, 리브부(720)는 판 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리브부(72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사각판형으로 형성된다.
리브부(720)는 아크 공간부(730)를 향하는 제1 면(711)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에서 연장 형성된다. 리브부(720)는 제1 면(711)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제1 면(711)에서 멀어지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리브부(720)는 제1 면(711)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리브부(720)는 제1 면(711)에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리브부(720)는 제2 면(712) 및 제3 면(713)보다 짧은 길이만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리브부(720)는 제4 면(714)보다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리브부(720)는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리브부(720)의 하측 단부가 고정 접점부(40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즉, 리브부(720)는 고정 접점부(400)를 측면에서 덮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리브부(720)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고정 접점부(400) 사이에 전기적인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리브부(720)는 제2 면(712)과 제3 면(713) 사이에 위치된다. 달리 표현하면, 리브부(720)는 제2 면(712)과 제3 면(713)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인 아크 공간부(730)에 위치된다. 리브부(720)는 아크 공간부(730)를 복수 개로 구획한다.
일 실시 예에서, 리브부(720)는 제2 면(712) 및 제3 면(713)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리브부(720)는 제4 면(714)과 연속된다. 구체적으로, 제4 면(714)을 향하는 리브부(720)의 일측 모서리,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모서리는 제4 면(714)과 연속된다. 일 실시 예에서, 리브부(720)는 제4 면(714)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아크 박스(520) 또는 지지 프레임(600)을 향하는 리브부(72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 모서리에는 프레임 결합부(750)가 구비된다. 일 실시 예에서, 프레임 결합부(750)는 리브부(720)의 후방 측 모서리에서, 하측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리브부(72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리브부(720)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리브부(720)는 제1 리브(721) 및 제2 리브(722)를 포함하여, 두 개 구비된다.
이에 따라, 리브부(720)는 아크 공간부(730)는 제1 내지 제3 아크 공간부(731, 732, 733)로 구획된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접촉기(10)에 서로 다른 세 개의 상의 전류가 통전됨에 기인한다.
제1 리브(721)는 제2 면(712)을 향하는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에 위치된다.
제1 리브(721)는 제1 아크 공간부(731) 및 제2 아크 공간부(732)를 구획한다. 제1 리브(721)는 제1 아크 공간부(731) 및 제2 아크 공간부(732)를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구체적으로, 제1 리브(721)는 제2 면(712)에 반대되는 제1 아크 공간부(731)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우측을 둘러싼다. 또한, 제1 리브(721)는 제3 면(713)을 향하는 제2 아크 공간부(732)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을 둘러싼다.
제1 리브(721)는 제1 개구부(731a)와 제2 개구부(732a)를 구획한다. 제1 리브(721)는 제1 개구부(731a) 및 제2 개구부(732a)를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구체적으로, 제1 리브(721)는 제2 면(712)에 반대되는 제1 개구부(731a)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우측을 둘러싼다. 또한, 제1 리브(721)는 제3 면(713)을 향하는 제2 개구부(732a)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을 둘러싼다.
제2 리브(722)는 제3 면(713)을 향하는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우측에 위치된다.
제2 리브(722)는 제2 아크 공간부(732) 및 제3 아크 공간부(733)를 구획한다. 제2 리브(722)는 제2 아크 공간부(732) 및 제3 아크 공간부(733)를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구체적으로, 제2 리브(722)는 제1 리브(721)에 반대되는 제2 아크 공간부(732)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우측을 둘러싼다. 또한, 제2 리브(722)는 제3 면(713)에 반대되는 제3 아크 공간부(733)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우측을 둘러싼다.
제2 리브(722)는 제2 개구부(732a)와 제3 개구부(733a)를 구획한다. 제2 리브(722)는 제2 개구부(732a) 및 제3 개구부(733a)를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구체적으로, 제2 리브(722)는 제1 리브(721)에 반대되는 제2 개구부(732a)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을 둘러싼다. 또한, 제2 리브(722)는 제3 면(713)에 반대되는 제2 개구부(732a)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을 둘러싼다.
제1 리브(721)와 제2 리브(722)는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 리브(721)와 제2 리브(722)는 제2 아크 공간부(732)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리브(721)와 제2 리브(722)는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리브(721)와 제2 리브(722)는 그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아크 공간부(732)에, 가운데 배치되는 고정 접점부(400)가 수용될 수 있을 만큼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 공간부(730)는 아크 배출공(522)에서 배출된 아크가 외부의 공간으로 배출되기 전 체류되는 공간이다. 이에 따라, 배출된 아크가 직접 외부의 공간으로 유동되지 않게 된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아크의 온도 또는 압력에 의해 상해를 입지 않을 수 있다.
아크 공간부(730)는 아크 배출공(522)과 연통된다. 아크 배출공(522)에서 배출된 아크는 아크 공간부(730)로 유입될 수 있다.
아크 공간부(730)는 개구부(731a, 732a, 733a)와 연통된다. 아크 공간부(730)에 유입된 아크는 개구부(731a, 732a, 733a)를 통해 외부로 유동될 수 있다.
아크 공간부(730)는 외면(710) 및 리브부(720)에 둘러싸인 공간으로 정의된다. 구체적으로, 아크 공간부(730)의 전방 측, 좌측 및 우측은 외면(710)에 둘러싸인다. 또한, 아크 공간부(730)는 리브부(720)에 의해 복수 개로 구획되어, 구획된 아크 공간부(731, 732, 733)가 각각 리브부(720)에 둘러싸일 수 있다.
또한, 아크 박스(520)를 향하는 아크 공간부(73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은 개방 형성된다. 이에 따라, 아크 박스(520)의 내부 공간, 아크 배출공(522) 및 아크 공간부(730)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아크 공간부(730)의 상측에는 제1 면(711)이 위치된다. 제1 면(711)은 아크 공간부(730)의 상측 경계를 형성한다.
아크 공간부(730)의 좌측 및 우측에는 제2 면(712) 및 제3 면(713)이 각각 위치된다. 제2 면(712) 및 제3 면(713)은 각각 아크 공간부(730)의 좌측 및 우측 경계를 형성한다.
아크 공간부(730)의 전방 측에는 제4 면(714)이 위치된다. 제4 면(714)은 아크 공간부(730)의 전방 측 경계를 형성한다.
아크 공간부(730)의 전방 측에서, 제4 면(714)의 하측에는 개구부(731a, 732a, 733a)가 위치된다. 아크 공간부(730)와 개구부(731a, 732a, 733a)는 서로 연통된다.
아크 공간부(730)는 제2 면(712) 및 제3 면(713) 사이에 형성된다. 아크 공간부(730)는 리브부(720)에 의해 복수 개로 구획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아크 공간부(730)는 제2 면(712)과 제1 리브(721) 사이에 위치되는 제1 아크 공간부(731), 제1 리브(721)와 제2 리브(722) 사이에 위치되는 제2 아크 공간부(732) 및 제2 리브(722)와 제3 면(713) 사이에 위치되는 제3 아크 공간부(733)로 구획된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접촉기(10)에 서로 다른 세 개의 상의 전류가 통전됨에 기인한다. 즉, 각 아크 공간부(731, 732, 733)에는 각 상의 전류가 통전되는 고정 접점부(400)에서 발생되어 각 아크 배출공(522)을 통과한 아크가 유입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아크 공간부(730)는 외면(710) 및 리브부(720)에 둘러싸인다. 이에 따라, 아크 배출공(522)을 통과한 아크는 소정의 시간 동안 아크 공간부(730)에서 체류된 후, 외부 공간으로 배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배출되는 아크에 의해 상해를 입지 않을 수 있다.
아크 공간부(730)는 개구부(731a, 732a, 733a)와 각각 연통된다. 개구부(731a, 732a, 733a)는 각 아크 공간부(731, 732, 733)가 외부와 연통되는 통로로 기능된다.
구체적으로, 제1 아크 공간부(731)는 제1 개구부(731a)와 연통된다. 제1 아크 공간부(731)에 유입된 아크는 제1 개구부(731a)를 통해 외부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제2 아크 공간부(732)는 제2 개구부(732a)와 연통된다. 제2 아크 공간부(732)에 유입된 아크는 제2 개구부(732a)를 통해 외부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제3 아크 공간부(733)는 제3 개구부(733a)와 연통된다. 제3 아크 공간부(733)에 유입된 아크는 제3 개구부(733a)를 통해 외부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개구부(731a, 732a, 733a)는 외면(710) 및 리브부(720)에 부분적으로 둘러싸인다.
구체적으로, 제1 개구부(731a)는 제2 면(712), 제4 면(714) 및 제1 리브(721)에 둘러싸인다. 제2 개구부(732a)는 제4 면(714), 제1 리브(721) 및 제2 리브(722)에 둘러싸인다. 제3 개구부(733a)는 제3 면(713), 제4 면(714) 및 제2 리브(722)에 둘러싸인다.
아크 박스 체결부(740)는 커버 프레임(700)이 아크 박스(520)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아크 박스 체결부(740)는 외면(710)에서 아크 박스(520)를 향해 연장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아크 박스 체결부(740)는 아크 박스(520)를 향하는 제1 면(711)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에서 아크 박스(520)를 향해 연장 형성된다.
아크 박스 체결부(740)는 아크 배출공(522)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된다. 아크 박스 체결부(740)가 아크 배출공(522)에 삽입되면, 체결부(743)에 의해 아크 박스 체결부(740)가 임의로 인출되지 않게 된다.
아크 박스 체결부(74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아크 박스 체결부(740)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아크 박스 체결부(740)는 제1 아크 공간부(731)의 상측에 한 개, 제2 아크 공간부(732)의 상측에 두 개 및 제3 아크 공간부(733)의 상측에 한 개 형성되어, 총 네 개 구비된다.
아크 박스 체결부(740)는 커버 프레임(700)과 아크 박스(520)가 안정적으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임의의 개수 및 배치 방식에 따라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크 박스 체결부(740)는 아크 배출공(522)의 위치 및 개수에 상응하게 배치 및 구비될 수 있다.
아크 박스 체결부(740)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크 박스 체결부(740)는 아크 배출공(522)에 삽입될 때 하측으로 가압될 수 있다. 또한, 삽입부(742) 및 체결부(743)의 삽입이 완료되면 상측으로 형상 복원되어, 체결부(743)가 아크 배출공(522)을 둘러싸는 면에 후크 결합될 수 있다.
아크 박스 체결부(740)는 연장부(741), 삽입부(742) 및 체결부(743)를 포함한다.
연장부(741)는 아크 박스 체결부(740)가 제1 면(711)과 연속되는 부분이다. 달리 표현하면, 연장부(741)는 아크 박스(520)를 향하는 제1 면(711)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에서 아크 박스(520)를 향해 연장 형성된다.
제1 면(711)에 반대되는 연장부(741)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 단부에는 삽입부(742) 및 체결부(743)가 위치된다.
삽입부(742)는 아크 박스 체결부(740)가 아크 배출공(522)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삽입부(742)는 아크 배출공(522)에 관통되어 삽입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삽입부(742)는 연장부(74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그 단면적이 감소되도록 형성된다. 달리 표현하면, 아크 박스(520)를 향하는 삽입부(742)의 일측 단부의 단면적은, 연장부(741)에 결합되는 타측 단부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삽입부(742)는 작은 단면적으로 형성되는 부분이 아크 박스(520)에 먼저 삽입된다. 따라서, 삽입부(742)가 아크 배출공(522)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삽입부(742)는 연장부(741)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만곡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삽입부(742)는 상측으로 만곡 형성된다.
삽입부(742)의 상측에는 체결부(743)가 위치된다.
체결부(743)는 아크 배출공(522)에 삽입된 아크 박스 체결부(740)가 아크 배출공(522)에서 임의로 인출되지 않게 한다. 체결부(743)는 삽입부(742)와 함께 아크 배출공(522)에 관통되어 삽입된다.
체결부(743)는 삽입부(742)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체결부(743)는 연장부(741)와 삽입부(742)가 연속되는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체결부(743)는 삽입부(742)의 측면에서 방사상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제1 면(711)을 향하는 체결부(743)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은 삽입부(742)의 측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체결부(743)는 삽입부(742)의 측면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체결부(743)는 제1 면(711)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삽입부(742)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체결부(743)는 아크 박스(520)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삽입부(742)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체결부(743)는 제1 면(711)에서 멀어질수록 그 단면적이 감소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아크 박스 체결부(740)는 전체적으로 후크(hook)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아크 박스 체결부(740)는 아크 배출공(522)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아크 박스 체결부(740)가 아크 배출공(522)에 관통 삽입되면, 체결부(743)가 아크 배출공(522)을 둘러싸는 아크 박스(520)의 면(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면)에 접촉된다.
이에 따라, 아크 박스 체결부(740)가 아크 배출공(522)에서 임의로 인출되지 않게 된다.
프레임 결합부(750)는 커버 프레임(700)이 지지 프레임(600)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프레임 결합부(750)는 리브부(720)에서 지지 프레임(600)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프레임 결합부(750)는 지지 프레임(600)을 향하는 리브부(72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에서 지지 프레임(600)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
프레임 결합부(750)는 커버 결합부(640)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된다. 프레임 결합부(750)가 커버 결합부(640)에 삽입되면, 삽입부(752)에 의해 커버 프레임(700)이 임의로 인출되지 않게 된다.
프레임 결합부(75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프레임 결합부(750)는 제1 프레임 결합부(750a) 및 제2 프레임 결합부(750b)를 포함하여 총 두 개 구비된다.
제1 프레임 결합부(750a) 및 제2 프레임 결합부(750b)는 각각 제1 리브(721) 및 제2 리브(722)에서 연장된다. 제1 프레임 결합부(750a) 및 제2 프레임 결합부(750b)는 제1 리브(721) 및 제2 리브(722)의 후방 측 모서리의 하측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프레임 결합부(750)는 다양한 방향으로 커버 결합부(640)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레임 결합부(750)는 커버 결합부(640)의 상측에 위치된 후 하측으로 이동되어 커버 결합부(640)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프레임 결합부(750)는 후측으로 수평하게 이동되어 제1 홈(641)에 수용된 후, 하측으로 이동되어 커버 결합부(640)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프레임 결합부(750)는 연장부(751), 삽입부(752) 및 테이퍼부(753)를 포함한다.
연장부(751)는 프레임 결합부(750)가 리브부(720)와 연속되는 부분이다. 달리 표현하면, 연장부(751)는 지지 프레임(600)을 향하는 리브부(72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에서 지지 프레임(600)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
연장부(751)는 커버 결합부(640)의 제2 홈(642)에 삽입된다. 연장부(751)는 제2 홈(642)의 상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제2 홈(642)에 수용될 수 있다.
연장부(751)가 지지 프레임(600)을 향해 연장되는 길이,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의 길이는 제2 홈(642)의 전후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장부(751)가 제2 홈(642)에 삽입되면 연장부(751)의 단부에 위치되는 삽입부(752) 및 테이퍼부(753)가 수용 홈(645)에 수용될 수 있다.
연장부(751)의 폭 방향(즉, 좌우 방향)의 길이는 제2 홈(642)의 좌우 방향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연장부(751)의 폭 방향의 길이는 제1 돌출부(643)와 제2 돌출부(644)가 서로 이격되는 거리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장부(751)는 제2 홈(642)의 상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제2 홈(642)에 용이하게 삽입 및 수용될 수 있다.
삽입부(752)는 프레임 결합부(750)가 커버 결합부(640)의 수용 홈(645)에 삽입, 수용되는 부분이다.
삽입부(752)는 연장부(751)와 연속된다. 삽입부(752)는 리브부(720)에 반대되는 연장부(751)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 단부에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삽입부(752)는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판형으로 구비된다. 삽입부(752)는 수용 홈(645)에 삽입되어, 제1 돌출부(643) 및 제2 돌출부(644)에 걸릴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삽입부(752)의 폭 방향(즉, 좌우 방향)의 길이는 수용 홈(645)의 폭 방향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삽입부(752)의 두께(즉, 전후 방향의 길이)는 수용 홈(645)의 두께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삽입부(752)는 수용 홈(645)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삽입부(752)의 폭 방향(즉, 좌우 방향)의 길이는 연장부(751)의 폭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삽입부(752)의 폭 방향(즉, 좌우 방향)의 길이는 제2 홈(642)의 좌우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삽입부(752)의 폭 방향의 길이는 제1 돌출부(643)와 제2 돌출부(644)가 서로 이격되는 거리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용 홈(645)에 수용된 삽입부(752)는 제2 홈(642)을 통해 임의 인출되지 않게 된다.
테이퍼(taper)부(753)는 삽입부(752)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구성된다. 테이퍼부(753)는 삽입부(752)의 모서리가 모따기 가공되어 형성된다.
테이퍼부(753)는 삽입부(752)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에 형성된다. 이는, 삽입부(752)의 하측 모서리가 수용 홈(645)을 하측에서 감싸는 지지 프레임(600)의 일면에 접촉됨에 기인한다.
테이퍼부(753)가 형성됨에 따라, 지지 프레임(600)의 상기 일면으로부터 삽입부(752)에 가해지는 충격량이 분산되어, 삽입부(752)의 강성이 보강될 수 있다.
테이퍼부(753)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테이퍼부(753)는 삽입부(752)의 각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테이퍼부(753)는 삽입부(752)의 하측의 좌측 및 우측 모서리에 각각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테이퍼부(753)는 삽입부(752)의 상측의 좌측 및 우측 모서리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5.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버 프레임(700)이 결합되는 과정의 설명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접촉기(10)는 커버 프레임(700)을 포함한다. 커버 프레임(700)은 아크 박스(520) 및 지지 프레임(600)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발생된 아크가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후 배출되어 사용자가 상해를 입지 않게 된다. 또한, 전자 접촉기(10)에 통전되는 서로 다른 상의 전류 사이의 전기적인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전자 접촉기(10) 간의 전기적인 간섭 또한 방지될 수 있다.
이하,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버 프레임(700)이 아크 박스(520) 및 지지 프레임(600)에 결합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커버 프레임(700)이 지지 프레임(6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과정이 도시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커버 프레임(700)은 지지 프레임(600)의 상측에서 하측을 향해 이동되어 지지 프레임(6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됨이 이해될 것이다.
먼저, 프레임 결합부(750)가 커버 결합부(640)에 수직한 상측에 위치되도록 배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커버 결합부(640)는 제1 커버 결합부(640a) 및 제2 커버 결합부(640b)를 포함한다. 또한, 프레임 결합부(750)는 제1 프레임 결합부(750a) 및 제2 프레임 결합부(750b)를 포함한다.
따라서, 프레임 결합부(750)는 제1 프레임 결합부(750a) 및 제2 프레임 결합부(750b)가 각각 제1 커버 결합부(640a) 및 제2 커버 결합부(640b)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배치된다.
커버 프레임(700)이 하측으로 이동되면, 각 프레임 결합부(750a, 750b)가 각 커버 결합부(640a, 640b)에 삽입된다.
이때, 프레임 결합부(750)의 연장부(751)는 제2 홈(642)의 상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과하여 제2 홈(642)에 삽입된다. 또한, 프레임 결합부(750)의 삽입부(752)는 제1 홈(641)의 상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과하여 수용 홈(645)에 삽입된다.
도 16을 참조하면, 커버 프레임(700)과 지지 프레임(600)이 결합된 상태가 도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연장부(751)는 삽입부(752)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2 홈(642)은 제1 홈(641) 또는 수용 홈(645)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프레임 결합부(750)가 커버 결합부(640)에 수용되면, 프레임 결합부(750)는 삽입부(752)가 제2 홈(642)을 통과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으로 인출되지 않게 된다.
제2 홈(642)을 제외하면, 커버 결합부(640)는 그 상측에만 개구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커버 프레임(700)이 상측으로 가압되지 않는 한, 프레임 결합부(750)는 커버 결합부(640)에서 임의로 인출되지 않는다.
도 17을 참조하면, 커버 프레임(700)과 아크 박스(520)가 결합되는 과정이 도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아크 박스(520)는 지지 프레임(600)에 의해 지지된다. 아크 박스(520)와 지지 프레임(600)의 결합은 프레임 결합부(523)와 아크 박스 결합부(610)가 결합되어 형성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커버 프레임(700)의 아크 박스 체결부(740)는 아크 박스(520)에 삽입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아크 박스 체결부(740)는 아크 박스(520)의 전방 측면에 관통 형성된 아크 배출공(522)에 관통 삽입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아크 박스 체결부(740)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아크 박스 체결부(740)는 상측으로 돌출되는 체결부(743)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아크 박스 체결부(740)는 하측을 향하도록 형상 변형되며 아크 배출공(522)에 관통 삽입된다. 삽입부(742) 및 체결부(743)의 삽입이 완료되면, 아크 박스 체결부(740)는 다시 상측으로 형상 복원된다.
이때, 체결부(743)의 일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 면은 아크 배출공(522)을 둘러싸는 면과 접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은 후크 결합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 프레임(700)이 아크 박스(520) 및 지지 프레임(600)과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과정이 역으로 수행되어 커버 프레임(700)이 아크 박스(520) 및 지지 프레임(600)에서 분리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전자 접촉기
100: 프레임
110: 베이스부
120: 하부 프레임부
200: 구동부
210: 크로스바
211: 접점대 연결부
212: 가동 코어
213: 고정부
220: 탄성 부재
221: 제1 탄성 부재
222: 제2 탄성 부재
300: 가동 접점부
310: 가동 접점대
320: 가동 접점
321: 제1 가동 접점
322: 제2 가동 접점
400: 고정 접점부
410: 고정 접점대
411: 제1 고정 접점대
412: 제2 고정 접점대
420: 고정 접점 블록
421: 제1 고정 접점 블록
422: 제2 고정 접점 블록
430: 고정 접점
431: 제1 고정 접점
432: 제2 고정 접점
500: 아크 소호부
510: 아크 챔버(arc chamber)
520: 아크 박스(arc box)
521: 커버부
522: 아크 배출공
523: 프레임 결합부
600: 지지 프레임
610: 아크 박스 결합부
620: 고정 접점 수용부
630: 격벽부
640: 커버 결합부
640a: 제1 커버 결합부
640b: 제2 커버 결합부
641: 제1 홈
642: 제2 홈
643: 제1 돌출부
644: 제2 돌출부
645: 수용 홈
700: 커버 프레임
710: 외면
711: 제1 면
712: 제2 면
713: 제3 면
714: 제4 면
720: 리브부
721: 제1 리브
722: 제2 리브
730: 아크 공간부
731: 제1 아크 공간부
731a: 제1 개구부
732: 제2 아크 공간부
732a: 제2 개구부
733: 제3 아크 공간부
733a: 제3 개구부
740: 아크 박스 체결부
741: 연장부
742: 삽입부
743: 체결부
750: 프레임 결합부
750a: 제1 프레임 결합부
750b: 제2 프레임 결합부
751: 연장부
752: 삽입부
753: 테이퍼부

Claims (18)

  1.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복수 개의 외면;
    복수 개의 상기 외면 사이에 위치되는 리브부; 및
    상기 리브부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전자 접촉기에 삽입 결합되는 프레임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결합부는,
    상기 리브부의 상기 일측에서 연장되며, 소정의 폭을 갖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위치되며, 상기 연장부보다 큰 폭을 갖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커버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리브부의 두께보다 작은 폭을 갖게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는 상기 리브부의 두께보다 큰 폭을 갖게 형성되는,
    커버 프레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사각 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의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는, 모따기(taper) 가공되는,
    커버 프레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면은,
    일 방향의 길이가 타 방향의 길이보다 긴 판형으로 형성되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의 상기 일 방향의 각 단부에서 연장되며,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2 면 및 제3 면을 포함하며,
    상기 리브부는,
    상기 제2 면 및 상기 제3 면 사이에서, 상기 제2 면 및 상기 제3 면과 각각 이격되게 배치되는,
    커버 프레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면 및 상기 제3 면은,
    상기 제1 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리브부는,
    상기 제1 면과 연속되며, 상기 제1 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2 면 및 상기 제3 면보다 짧은 길이만큼 연장 형성되는,
    커버 프레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결합부는,
    상기 전자 접촉기를 향하는 상기 리브부의 일측 모서리에서, 상기 리브부의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커버 프레임.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면과 상기 리브부 사이 및 상기 리브부와 상기 제3 면 사이에는,
    상기 제1 면, 상기 제2 면 및 상기 리브부와, 상기 제1 면, 상기 제3 면 및 상기 리브부에 둘러싸인 아크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아크 공간부는, 상기 전자 접촉기의 아크 배출공과 연통되는,
    커버 프레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의 상기 타 방향의 단부 중, 상기 전자 접촉기에 반대되는 단부에서 연장되는 제4 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4 면은,
    상기 제2 면 및 상기 제3 면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프레임 결합부가 위치되는 상기 리브부의 일측에 반대되는 타측 단부와 연속되는,
    커버 프레임.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의 상기 타 방향의 단부 중, 상기 전자 접촉기를 향하는 일측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전자 접촉기에 삽입 결합되는 아크 박스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아크 박스 체결부는,
    상기 제1 면의 상기 일측 단부에서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위치되며, 상기 전자 접촉기에 삽입 결합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커버 프레임.
  10. 고정 접점;
    상기 고정 접점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고정 접점과 접촉되거나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가동 접점;
    상기 고정 접점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측을 덮는 커버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 프레임은,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복수 개의 외면;
    복수 개의 상기 외면 사이에 위치되는 리브부; 및
    상기 리브부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에 삽입 결합되는 프레임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결합부는,
    상기 리브부의 상기 일측에서 연장되며, 소정의 폭을 갖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위치되며, 상기 연장부보다 큰 폭을 갖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전자 접촉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리브부의 두께보다 작은 폭을 갖게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는 상기 리브부의 두께보다 큰 폭을 갖게 형성되는,
    전자 접촉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커버 프레임을 향하는 일측 면에서 함몰 형성되는 제1 홈; 및
    상기 제1 홈을 양측에서 감싸는 면에서 돌출되며, 서로 마주하는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전자 접촉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기 일측 면에서, 상기 커버 프레임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홈이 함몰 형성되는 깊이는,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가 연장되는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전자 접촉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인 제2 홈; 및
    상기 제2 홈과 각각 연통되며, 상기 커버 프레임에 반대되는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공간인 수용 홈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결합부의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2 홈에 삽입되고,
    상기 프레임 결합부의 상기 삽입부는 상기 수용 홈에 삽입되는,
    전자 접촉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결합부의 상기 삽입부의 높이는,
    상기 제1 홈의 높이 이하로 형성되는,
    전자 접촉기.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홈의 일측은 개방 형성되고, 상기 일측에 반대되는 타측은 폐쇄되며,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1 홈의 상기 타측을 향하는 모서리가 모따기(taper) 가공되는,
    전자 접촉기.
  17. 지지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 접점;
    상기 고정 접점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고정 접점과 접촉되거나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가동 접점;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고정 접점 및 상기 가동 접점을 수용하는 공간부 및 상기 공간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아크 배출공을 포함하는 아크 박스; 및
    상기 아크 박스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아크 박스의 일측을 덮는 커버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 프레임은,
    일 방향의 길이가 타 방향의 길이보다 긴 판형으로 형성되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의 상기 타 방향의 단부 중, 상기 아크 박스를 향하는 일측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아크 배출공에 결합되는 아크 박스 체결부를 포함하는,
    전자 접촉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 박스 체결부는,
    상기 제1 면의 상기 일측 단부에서 연장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위치되며, 상기 아크 배출공에 삽입 결합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의 단부에 위치되며, 상기 연장부의 연장 방향에 대해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아크 배출공을 둘러싸는 모서리에 접촉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전자 접촉기.
KR1020200003858A 2020-01-10 2020-01-10 커버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접촉기 KR1023035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3858A KR102303548B1 (ko) 2020-01-10 2020-01-10 커버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접촉기
PCT/KR2020/019406 WO2021141320A1 (ko) 2020-01-10 2020-12-30 전자 접촉기
CN202080092556.1A CN114946005A (zh) 2020-01-10 2020-12-30 电磁接触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3858A KR102303548B1 (ko) 2020-01-10 2020-01-10 커버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접촉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0496A true KR20210090496A (ko) 2021-07-20
KR102303548B1 KR102303548B1 (ko) 2021-09-17

Family

ID=77127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3858A KR102303548B1 (ko) 2020-01-10 2020-01-10 커버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접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354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7854A (ja) * 1997-12-04 1999-06-22 Mitsubishi Electric Corp 端子カバー付き電磁接触器
JP2000011836A (ja) * 1998-06-22 2000-01-14 Fuji Electric Co Ltd 電気機器
KR20000005638U (ko) * 1998-08-10 2000-03-25 다쯔타 도키오 전자접촉기
KR200200492Y1 (ko) * 2000-05-10 2000-10-16 엘지산전주식회사 단독 취부장치와 안전 덮개를 구비한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JP3360771B2 (ja) * 1994-02-08 2002-12-24 富士電機株式会社 電磁接触器
KR100527823B1 (ko) 2003-01-22 2005-11-09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차단기
KR101094038B1 (ko) 2009-11-13 2011-12-19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누전차단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60771B2 (ja) * 1994-02-08 2002-12-24 富士電機株式会社 電磁接触器
JPH11167854A (ja) * 1997-12-04 1999-06-22 Mitsubishi Electric Corp 端子カバー付き電磁接触器
JP2000011836A (ja) * 1998-06-22 2000-01-14 Fuji Electric Co Ltd 電気機器
KR20000005638U (ko) * 1998-08-10 2000-03-25 다쯔타 도키오 전자접촉기
KR200200492Y1 (ko) * 2000-05-10 2000-10-16 엘지산전주식회사 단독 취부장치와 안전 덮개를 구비한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KR100527823B1 (ko) 2003-01-22 2005-11-09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차단기
KR101094038B1 (ko) 2009-11-13 2011-12-19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누전차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3548B1 (ko) 2021-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32762B2 (ja) 気中遮断器
CN106971882B (zh) 电路中断设备、灭弧装置及相关方法
JP7432760B2 (ja) アーク消弧部、及びこれを含む気中遮断器
KR102303548B1 (ko) 커버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접촉기
KR102303549B1 (ko) 절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접촉기
JP7399308B2 (ja) 気中遮断器
KR102349754B1 (ko) 아크 박스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접촉기
KR102275001B1 (ko) 아크를 효과적으로 소호할 수 있는 전자 접촉기
JP5288083B1 (ja) 開閉器
KR20220061718A (ko) 아크 소호부 및 이를 포함하는 기중 차단기
CN114946005A (zh) 电磁接触器
JP7432761B2 (ja) アーク消弧部、及びこれを含む気中遮断器
EP4339981A1 (en) Arc extinguishing unit, interruption unit, and air circuit breaker comprising same
CN117280435A (zh) 电弧熄灭部及包括其的空气断路器
KR20210105744A (ko) 아크 챔버 및 이를 포함하는 배선용 차단기
CN117321718A (zh) 电弧熄灭部、断路部及包括其的空气断路器
KR20230087979A (ko) 직류 릴레이
CN117280434A (zh) 断路部及包括其的空气断路器
CN116918022A (zh) 断路部及包括其的空气断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