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3549B1 - 절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접촉기 - Google Patents

절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접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3549B1
KR102303549B1 KR1020200003859A KR20200003859A KR102303549B1 KR 102303549 B1 KR102303549 B1 KR 102303549B1 KR 1020200003859 A KR1020200003859 A KR 1020200003859A KR 20200003859 A KR20200003859 A KR 20200003859A KR 102303549 B1 KR102303549 B1 KR 102303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protrusion
fixed contact
insulating member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3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0497A (ko
Inventor
장경훈
김민석
윤덕용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 (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 (주)
Priority to KR1020200003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3549B1/ko
Priority to PCT/KR2020/019406 priority patent/WO2021141320A1/ko
Priority to CN202080092556.1A priority patent/CN114946005A/zh
Publication of KR20210090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0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3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3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01H50/041Details concerning assembly of re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절연 부재 및 전자 접촉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연 부재는 전자 접촉기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절연 부재는 복수 개의 결합 돌기를 포함한다. 결합 돌기는 전자 접촉기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형상 변형되며 탄성력을 저장했다가, 삽입이 완료되면 저장된 탄성력에 의해 형상 복원된다.
이에 따라, 절연 부재가 전자 접촉기에 용이하게 결합되면서도,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절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접촉기{Insulation component and magnetic contactor include the same}
본 발명은 절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접촉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 접촉기에 용이하게 결합되고, 임의로 분리되지 않는 구조의 절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접촉기에 관한 것이다.
전자 접촉기는 전원과 부하 사이에 구비되어, 과전류에 의해 부하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전자 접촉기는 코일 및 가동 코어를 포함한다. 전자 접촉기에 전류가 인가되면, 코일이 형성하는 자기장에 의해 가동 접점을 포함하는 가동 코어가 고정 코어를 향해 흡인된다.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이 접촉되면, 전자 접촉기가 외부와 통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원, 전자 접촉기 및 부하가 통전될 수 있다.
전자 접촉기에는 복수 개의 상의 전류가 통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접촉기에는 U상, V상 및 W상을 포함하는 3상 전류가 통전될 수 있다. 또는, 전자 접촉기에는 R상, S상 및 T상을 포함하는 3상 전류가 통전될 수 있다.
이러한 각 상의 전류는 서로 통전되지 않도록 전기적으로 이격되어야 한다. 각 상의 전류가 서로 전기적으로 간섭될 경우, 합선 등의 안전 사고가 발생될 수 있음에 기인한다.
또한, 전자 접촉기가 구비되는 배선이 복수 개일 경우 전자 접촉기는 복수 개 구비되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황에서, 서로 인접한 전자 접촉기 또한 전기적으로 이격되어야 한다.
어느 하나의 전자 접촉기에 통전되는 전류에 의해, 다른 전자 접촉기에 흐르는 전류가 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094038호는 누전차단기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본체 커버에 상간 배리어를 형성하여, 누전차단기에 통전되는 각 상의 전류 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누전차단기를 개시한다.
그런데, 이러한 유형의 누전차단기는 상간 배리어가 본체 커버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므로, 상간 배리어만을 유지 보수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더욱이, 상기 선행문헌에 따른 누전차단기는 상간 배리어가 본체 커버에 고정되므로, 상간 배리어와 본체 커버 간의 크기가 서로 영향을 받게 되는 구조이다. 이에 따라, 설계의 자유도가 저하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0527823호는 차단기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케이스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절연배리어를 포함하는 차단기를 개시한다.
그런데, 이러한 유형의 누전차단기는 절연배리어가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를 가변하기 위한 방안만을 제시한다는 한계가 있다. 즉, 케이스에 결합된 절연배리어가 결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지 못한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094038호 (2011.12.19.)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0527823호 (2005.11.09.)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구조의 절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접촉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전자 접촉기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는 구조의 절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접촉기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전자 접촉기의 다른 구성 요소가 결합된 이후에도 전자 접촉기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는 구조의 절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접촉기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전자 접촉기에 결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구조의 절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접촉기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전자 접촉기에 통전되는 서로 다른 상의 전류 간에, 전기적인 간섭이 발생되지 않을 수 있는 구조의 절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접촉기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전자 접촉기에 결합된 후, 사용자가 상해를 입지 않을 수 있는 구조의 절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접촉기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판 형으로 형성되는 플레이트부; 상기 플레이트부의 일측 모서리를 형성하는 결합 모서리; 및 상기 결합 모서리에 구비되어, 전자 접촉기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결합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플레이트부의 상기 일측에서 상기 전자 접촉기를 향해 연장되며, 소정의 폭을 갖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위치되며, 상기 전자 접촉기를 향해 연장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의 일측에서 돌출되며, 상기 연장부보다 큰 폭을 갖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절연 부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절연 부재의 상기 플레이트부는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플레이트부의 두께보다 작은 폭을 갖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 부재의 상기 체결부는 상기 플레이트부의 두께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체결부의 일측의 단부는, 상기 플레이트부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플레이트부의 일측의 면보다 더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 부재의 상기 체결부는, 상기 플레이트부의 두께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삽입부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 부재의 상기 삽입부는, 상기 연장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그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연장부와 상기 삽입부가 연속되는 지점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 부재의 상기 결합 돌기는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결합 모서리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 부재의 복수 개의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결합 모서리의 일측에 치우치게 위치되는 제1 결합 돌기; 상기 제1 결합 돌기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결합 모서리의 상기 일측에 반대되는 타측에 치우치게 위치되는 제2 결합 돌기; 및 상기 제2 결합 돌기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결합 모서리의 상기 일측에 치우치게 위치되는 제3 결합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 부재의 상기 제1 결합 돌기의 제1 체결부는, 상기 결합 모서리의 상기 일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 결합 돌기의 제2 체결부는, 상기 결합 모서리의 상기 타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3 결합 돌기의 제3 체결부는, 상기 결합 모서리의 상기 일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 부재의 상기 플레이트부는, 상기 결합 모서리에 반대되는 타측의 모서리의 각 단부가 모따기(taper) 가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 접점; 상기 고정 접점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고정 접점과 접촉되거나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가동 접점; 상기 고정 접점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절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절연 부재는, 판 형으로 형성되는 플레이트부; 상기 플레이트부의 일측 모서리를 형성하는 결합 모서리; 및 상기 결합 모서리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결합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플레이트부의 상기 일측에서 상기 지지 프레임을 향해 연장되며, 소정의 폭을 갖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위치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을 향해 연장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의 일측에서 돌출되며, 상기 연장부보다 큰 폭을 갖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전자 접촉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전자 접촉기의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절연 부재를 향하는 일측 면에서 함몰 형성되는 제1 홈; 및 상기 제1 홈을 양측에서 감싸는 면에서 돌출되며, 서로 마주하는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접촉기의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기 일측 면에서, 상기 절연 부재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홈이 함몰 형성되는 깊이는,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가 연장되는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접촉기의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인 제2 홈; 및 상기 제2 홈과 각각 연통되며, 상기 절연 부재에 반대되는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공간인 수용 홈을 포함하며, 상기 절연 부재의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2 홈에 삽입되고, 상기 절연 부재의 상기 삽입부 및 상기 체결부는 상기 수용 홈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접촉기의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절연 부재가 상기 지지 프레임에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와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접촉기의 상기 고정 접점 및 상기 절연 부재는 각각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상기 절연 부재는, 복수 개의 상기 고정 접점 사이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접촉기의 상기 결합 돌기는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결합 모서리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복수 개의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결합 모서리의 일측에 치우치게 위치되는 제1 결합 돌기; 상기 제1 결합 돌기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결합 모서리의 상기 일측에 반대되는 타측에 치우치게 위치되는 제2 결합 돌기; 및 상기 제2 결합 돌기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결합 모서리의 상기 일측에 치우치게 위치되는 제3 결합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접촉기의 상기 제1 결합 돌기의 제1 체결부는, 상기 결합 모서리의 상기 일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 결합 돌기의 제2 체결부는, 상기 결합 모서리의 상기 타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3 결합 돌기의 제3 체결부는, 상기 결합 모서리의 상기 일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접촉기의 상기 절연 부재와 상기 지지 프레임은 후크(hook)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먼저, 절연 부재는 지지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된다. 지지 프레임에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플레이트 결합부가 구비된다. 절연 부재에는 복수 개의 결합 돌기가 형성된다. 각 결합 돌기는 플레이트 결합부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된다. 결합 돌기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결합 돌기는 플레이트 결합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그 단면적이 감소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결합 돌기는 압축되어 형상이 변형되며 플레이트 결합부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 결합부는 절연 부재를 향하는 지지 프레임의 양측에 형성된다. 플레이트 결합부는 지지 프레임의 상기 양측에서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에 아크 박스가 결합되는 경우에도, 플레이트 결합부는 지지 프레임의 상기 양측에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아크 박스가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었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절연 부재가 플레이트 결합부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결합 돌기는 복수 개 구비되어, 결합 모서리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각 결합 돌기는 결합 모서리에서 연장되는 연장부, 연장부의 단부에 위치되는 삽입부 및 체결부를 포함한다. 체결부는 결합 돌기의 폭 방향으로 돌출된다.
플레이트 결합부는 좁은 폭으로 형성되어 연장부가 관통 삽입되는 제2 홈 및 더 넓은 폭으로 형성되어 삽입부 및 체결부가 삽입되는 수용 홈을 포함한다. 제2 홈의 폭은 연장부의 폭 이상이되, 각 결합 돌기의 각 체결부 사이의 거리 미만으로 형성된다. 수용 홈은 각 결합 돌기의 각 체결부 사이의 거리 이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복수 개의 결합 돌기는 서로를 향해 굽어지도록 형상 변형되며 제2 홈을 통과한다. 복수 개의 결합 돌기가 수용 홈에 수용되면, 형상 변형되며 저장된 복원력에 의해 복수 개의 결합 돌기가 원래 형상으로 복원된다.
이때, 각 체결부는 절연 부재가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플레이트 결합부의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와 겹쳐지게 배치된다. 즉, 결합 돌기와 플레이트 결합부는 후크 결합된다. 따라서, 결합 돌기가 서로를 향해 형상 변형되기 위한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절연 부재는 지지 프레임에서 임의로 인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절연 부재와 지지 프레임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절연 부재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절연 부재는 복수 개의 고정 접점부 사이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절연 부재의 플레이트부는 아크 박스의 상측 면에서 지지 프레임의 하측 단부 사이에서 연장된다.
따라서, 복수 개의 고정 접점부는 물리적, 전기적으로 이격된다. 이에 따라, 전자 접촉기에 통전되는 서로 다른 상의 전류 사이에 전기적인 간섭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또한, 플레이트부의 모서리 중 결합 모서리에 반대되는 일측의 모서리, 즉 외부로 노출되는 모서리는 꼭지점 부분이 모따기 처리된다.
따라서, 전자 접촉기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사용자가, 플레이트부의 날카로운 모서리에 의해 상해를 입지 않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접촉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자 접촉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전자 접촉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전자 접촉기에 구비되는 상부 프레임 및 아크 박스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상부 프레임 및 아크 박스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전자 접촉기에 구비되는 아크 챔버 및 상부 프레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전자 접촉기에 구비되는 상부 프레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상부 프레임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상부 프레임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전자 접촉기에 구비되는 절연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절연 부재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절연 부재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절연 부재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0의 절연 부재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15는 도 7의 상부 프레임과 도 10의 절연 부재가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7의 상부 프레임과 도 10의 절연 부재가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7의 상부 프레임과 도 10의 절연 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연 부재(700)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접촉기(1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일부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1. 용어의 정의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자화(magnetize)"라는 용어는 자기장 안에서 어떤 물체가 자성을 띠게 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통전(electric current)"이라는 용어는, 두 개 이상의 부재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통전은 두 개 이상의 부재 사이에 전류가 흐르거나, 전기적 신호가 전달되는 상태를 의미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좌측", "우측", "상측", "하측", "전방 측" 및 "후방 측"이라는 용어는 도 1에 도시된 좌표계를 참조하여 이해될 것이다.
2.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접촉기(10)의 구성의 설명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접촉기(10)는 프레임(100), 구동부(200), 가동 접점부(300), 고정 접점부(400) 및 아크 소호부(500)를 포함한다.
또한, 도 7 내지 도 14를 더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접촉기(10)는 지지 프레임(600) 및 절연 부재(700)를 더 포함한다. 절연 부재(700)는 지지 프레임(6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각 상의 전류 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접촉기(10)의 각 구성을 설명하되, 지지 프레임(600) 및 절연 부재(700)는 별항으로 설명한다.
(1) 프레임(100)의 설명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접촉기(10)는 프레임(100)을 포함한다.
프레임(100)은 전자 접촉기(10)의 외형을 형성한다. 프레임(100)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에는 전자 접촉기(10)가 작동되기 위한 여러 구성 요소들이 실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공간에는 구동부(200)가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100)은 "하우징"으로 지칭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공간은 프레임(100)의 외면에 둘러싸인다. 즉, 상기 공간은 외부와 물리적으로 이격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공간에 수용된 각 구성 요소가 외부로 임의 노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 공간은 외부와 통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간은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공간에 수용된 코일(미도시)에 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프레임(100)은 사각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프레임(100)은 내부에 여러 구성 요소를 수용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00)은 아크 소호부(500)의 하측에 위치된다. 프레임(100)은 지지 프레임(600)에 의해 아크 소호부(500)와 결합된다. 상기 결합을 위해, 나사 부재 등의 체결 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프레임(100)은 지지 프레임(600)의 하측에 위치된다. 프레임(100)은 지지 프레임(600)과 결합된다. 상기 결합을 위해, 나사 부재 등의 체결 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프레임(100)은 베이스부(110) 및 하부 프레임부(12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10)는 프레임(100)의 하측을 형성한다. 베이스부(110)는 프레임(100)이 외부의 환경과 접촉되는 부분이다. 일 실시 예에서, 베이스부(110)는 전자 접촉기(10)가 구비되는 환경의 바닥에 고정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베이스부(110)는 사각의 판 형으로 구비된다. 베이스부(110)는 하부 프레임부(120)를 지지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110)의 상측에는 하부 프레임부(120)가 위치된다.
하부 프레임부(120)는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전자 접촉기(10)의 일부 구성 요소를 수용한다. 일 실시 예에서, 하부 프레임부(120)에는 구동부(200) 등이 수용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부(120)는 베이스부(110)의 상측에 위치된다. 하부 프레임부(120)는 베이스부(110)에 의해 지지된다. 일 실시 예에서, 하부 프레임부(120)는 베이스부(11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부(120)는 지지 프레임(600)의 하측에 위치된다. 하부 프레임부(120)는 지지 프레임(600)을 지지한다. 하부 프레임부(120) 내부의 공간은 지지 프레임(600) 내부의 공간과 연통된다.
하부 프레임부(120)는 나사 부재 등의 체결 부재(미도시)에 의해 지지 프레임(600)과 결합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부(120)의 단면의 형상은 지지 프레임(600)의 단면의 형상과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부 프레임부(120)가 베이스부(110) 및 지지 프레임(600)과 결합되면, 하부 프레임부(120) 내부의 공간이 외부에 임의 노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하부 프레임부(120) 내부의 공간에 수용된 구성 요소의 임의 노출이 방지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하부 프레임부(120)의 내부에는 코일(미도시)과 고정 코어(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코일(미도시)에 전류가 통전되면, 코일(미도시)이 형성하는 자기장에 의해 고정 코어(미도시)가 자화된다.
이에 따라, 가동 코어(212) 및 그에 연결된 가동 접점(320)이 고정 접점(430)과 접촉되어, 전자 접촉기(10)가 통전될 수 있다.
(2) 구동부(200)의 설명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접촉기(10)는 구동부(200)를 포함한다.
구동부(200)는 가동 접점부(300)가 고정 접점부(400)를 향하는 방향 또는 고정 접점부(40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기 위한 구동력을 생성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구동부(200)는 하부 프레임부(120)의 내부 공간에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구동부(200)의 나머지 부분은 아크 소호부(500)의 아크 박스(520)의 내부에 수용된다.
구동부(200)는 하부 프레임부(120) 및 지지 프레임(600)의 내부 공간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다. 구체적으로, 구동부(200)는 하부 프레임부(120) 및 지지 프레임(600)에 승강 가능하게 수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구동부(20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구동부(200)는 크로스바(210) 및 탄성 부재(220)를 포함한다.
크로스바(21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부 프레임부(120) 및 지지 프레임(60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다.
크로스바(210)에는 가동 접점부(300)가 연결된다. 가동 접점부(300)는 크로스바(210)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크로스바(210)의 이동에 의해, 가동 접점부(300)는 고정 접점부(400)를 향하는 방향 또는 고정 접점부(40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크로스바(210)의 하측에는 코일(미도시) 및 고정 코어(미도시)가 구비된다. 코일(미도시)에 전류가 통전되면, 자기장이 형성되어 고정 코어(미도시)가 자화된다.
고정 코어(미도시)가 자화되어 생성하는 자기력은 가동 코어(212)를 흡인한다. 이에 따라, 가동 접점부(300)가 고정 접점부(400)를 향해 이동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크로스바(210)는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판형 부분 및 판형 부분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기둥 부분을 포함한다.
크로스바(210)의 형상은 가동 접점부(300)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크로스바(210)의 상기 판형 부분 및 상기 기둥 부분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상기 판형 부분 및 상기 기둥 부분은 아크 박스(52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크로스바(210)의 상기 판형 부분 및 상기 기둥 부분은 가동 접점부(300) 및 고정 접점부(400)의 개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크로스바(210)는 접점대 연결부(211), 가동 코어(212) 및 고정부(213)를 포함한다.
접점대 연결부(211)에는 가동 접점부(300)의 가동 접점대(310)가 연결된다. 일 실시 예에서, 가동 접점대(310)는 그 연장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접점대 연결부(211)에 연결될 수 있다.
접점대 연결부(211)는 크로스바(210)의 상측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접점대 연결부(211)는 크로스바(210)의 상기 기둥 부분의 상측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접점대 연결부(211)와 상기 판형 부분 사이에는 고정 접점부(400) 및 아크 소호부(500)가 위치된다.
접점대 연결부(211)에 연결된 가동 접점부(300)는 고정 접점부(400)를 향하는 방향 또는 고정 접점부(40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가동 접점(320) 및 고정 접점(430)이 이격되어 발생되는 아크는 아크 소호부(500)로 유입되어 소호될 수 있다.
가동 코어(212)는 고정 코어(미도시)를 향하는 방향 또는 고정 코어(미도시)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크로스바(210) 및 이에 연결된 가동 접점부(300)가 이동될 수 있다.
가동 코어(212)는 자기력에 의해 흡인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동 코어(212)는 도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가동 코어(212)는 전자석 또는 영구 자석으로 구비될 수 있다.
가동 코어(212)는 크로스바(210)의 상기 판형 부분의 하측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가동 코어(212)와 고정 코어(미도시) 사이의 거리가 감소되어 고정 코어(미도시)가 생성하는 자기력이 효과적으로 가동 코어(212)에 전달될 수 있다.
고정부(213)는 크로스바(210)의 상측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고정부(213)는 접점대 연결부(211)보다 크로스바(210)의 상기 기둥 부분의 상측 단부에 더 인접하게 위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부(213)는 크로스바(210)의 상기 기둥 부분의 상측 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고정부(213)는 아크 소호부(500)에 결합된다. 아크 소호부(500)에 결합된 고정부(213)는 전자 접촉기(10)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크로스바(210)가 아크 소호부(5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크로스바(210)가 고정부(213)를 축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탄성 부재(220)는 크로스바(210)가 고정 코어(미도시)에서 멀어지는 방향,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으로 이동되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한다. 탄성 부재(220)는 크로스바(210)의 하측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크로스바(210)는 고정 코어(미도시)가 생성하는 자기력에 의해 고정 코어(미도시)를 향하는 방향, 즉 하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크로스바(210)는 탄성 부재(220)를 가압하며 하측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크로스바(210)가 이동되어 가동 접점(320)과 고정 접점(430)이 접촉된 상태에서, 탄성 부재(220)는 형상 변형에 의해 복원력을 저장한다.
과전류가 유입되어 코일(미도시)에 유입되는 전류가 차단되면, 고정 코어(미도시)의 자화 상태가 해제된다. 이에 따라, 가동 코어(212)에 미치는 자기적 흡인력이 해제된다.
이때, 탄성 부재(220)는 고정 코어(미도시)에서 멀어지는 방향,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을 향하는 방향의 복원력을 크로스바(210)에 인가한다.
이에 따라, 크로스바(210)가 고정 코어(미도시)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가동 접점(320)과 고정 접점(430) 간의 접촉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탄성 부재(220)는 형상이 변형되며 복원력을 저장하고, 저장된 복원력을 다른 부재에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탄성 부재(220)는 코일 스프링(coil spring)으로 구비될 수 있다.
탄성 부재(220)는 제1 탄성 부재(221) 및 제2 탄성 부재(222)를 포함한다.
제1 탄성 부재(221)는 크로스바(210)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제1 탄성 부재(221)는 크로스바(210)의 상기 기둥 부분의 내측에 수용된다.
제2 탄성 부재(222)는 하부 프레임부(120)의 내부 공간에 위치된다. 제2 탄성 부재(222)는 크로스바(210)의 하측에 위치된다. 제2 탄성 부재(222)는 크로스바(210)의 상기 판형 부분을 탄성 지지한다.
제2 탄성 부재(222)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탄성 부재(222)는 전방 측 및 후방 측에 각각 한 개씩 구비된다. 또한, 제2 탄성 부재(222)는 하부 프레임부(12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되어 총 네 개 구비된다. 제2 탄성 부재(222)의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크로스바(210)가 하측으로 이동되면, 제1 탄성 부재(221) 및 제2 탄성 부재(222)는 각각 가압되며 복원력을 저장한다.
이때, 제1 탄성 부재(221) 및 제2 탄성 부재(222)가 저장하는 복원력의 크기는, 고정 코어(미도시)가 가동 코어(212)에 미치는 자기적 흡인력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 코어(미도시)가 자화된 상태, 즉 코일(미도시)에 전류가 통전되는 상태에서, 탄성 부재(220)가 압축되어 복원력을 저장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3) 가동 접점부(300)의 설명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접촉기(10)는 가동 접점부(300)를 포함한다.
가동 접점부(300)는 크로스바(210)와 함께, 고정 접점부(400)를 향하는 방향 또는 고정 접점부(40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가동 접점부(300)는 아크 박스(520) 내부의 공간에 수용된다. 가동 접점부(300)는 아크 박스(520) 내부의 공간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가동 접점부(300)는 크로스바(210)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가동 접점부(300)는 크로스바(210)의 접점대 연결부(2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가동 접점부(300)는 고정 접점부(40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에 위치된다. 가동 접점부(300)가 크로스바(210)와 함께 하측으로 이동되면, 가동 접점부(300)와 고정 접점부(400)가 접촉될 수 있다.
가동 접점부(300)는 고정 접점부(400)와 통전 가능하게 접촉된다. 가동 접점(320)이 고정 접점(430)과 접촉되면, 전자 접촉기(10)는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가동 접점부(30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동 접점부(300)는 세 개 구비된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접촉기(10)에 R상, S상 및 T상 또는 U상, V상 및 W상의 3상 전류가 인가됨에 기인한다.
가동 접점부(300)의 개수는 전자 접촉기(10)에 인가되는 전류의 상의 개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가동 접점부(300)는 가동 접점대(310) 및 가동 접점(320)을 포함한다.
가동 접점대(310)는 가동 접점부(300)의 몸체를 형성한다. 가동 접점대(310)는 일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가동 접점대(310)의 연장 길이는 제1 및 제2 고정 접점(413, 432)이 이격되는 거리에 상응하게 결정될 수 있다.
가동 접점대(310)는 크로스바(210)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가동 접점대(310)는 크로스바(210)의 접점대 연결부(211)에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가동 접점대(310)는 접점대 연결부(2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가동 접점대(310)는 도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 접점대(410)를 통해 유입된 전류는 가동 접점(320)을 거쳐 가동 접점대(310)로 유입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동 접점대(310)는 철(Fe) 또는 구리(Cu)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가동 접점대(310)가 연장되는 길이 방향의 양측 단부에 인접하게, 가동 접점(320)이 위치된다. 가동 접점대(310)는 가동 접점(320)과 통전된다.
가동 접점(320)은 크로스바(210)의 이동에 따라 고정 접점(430)과 접촉되거나 이격된다. 가동 접점(320)과 고정 접점(430)이 접촉되면, 전자 접촉기(10)가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와 통전될 수 있다.
상기 통전 상태에서 가동 접점(320)이 고정 접점(430)에서 이격되면, 통전되던 전류에 의해 아크가 발생된다. 발생된 아크는 아크 소호부(500)에 의해 소호되며 전자 접촉기(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가동 접점(320)은 가동 접점대(310)에 결합된다. 가동 접점(320)은 가동 접점대(310)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가동 접점(320)은 가동 접점대(310)와 통전된다. 고정 접점(430)에서 가동 접점(320)으로 유입된 전류는 가동 접점대(310)를 통과할 수 있다.
가동 접점(320)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동 접점(320)은 전방 측에 위치되는 제1 가동 접점(321) 및 후방 측에 위치되는 제2 가동 접점(322)을 포함한다.
제1 가동 접점(321)은 가동 접점대(310)가 연장되는 방향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 위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동 접점(321)은 가동 접점대(310)의 전방 측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제2 가동 접점(322)은 가동 접점대(310)가 연장되는 방향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에 위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가동 접점(322)은 가동 접점대(310)의 후방 측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가동 접점(320)의 위치 및 개수는 고정 접점(430)의 위치 및 개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가동 접점부(300)에 전류가 통전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정 접점(430)에서 제1 가동 접점(321) 및 제2 가동 접점(322) 중 어느 하나로 전류가 유입된다. 유입된 전류는 가동 접점대(310)를 통과하여, 제1 가동 접점(321) 및 제2 가동 접점(322) 중 다른 하나를 거쳐 고정 접점(430)으로 유입된다.
이에 따라, 전자 접촉기(10)가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와 통전될 수 있다.
(4) 고정 접점부(400)의 설명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접촉기(10)는 고정 접점부(400)를 포함한다.
고정 접점부(400)는 가동 접점부(300)의 이동에 의해 가동 접점부(300)와 통전 가능하게 접촉되거나 이격된다. 즉,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고정 접점부(400)는 이동되지 않는다.
고정 접점부(400)는 아크 박스(520) 내부의 공간 및 지지 프레임(60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다. 고정 접점부(400)는 아크 박스(520) 내부의 공간 및 지지 프레임(600)의 내부 공간에 고정된다.
고정 접점부(400)는 지지 프레임(600)에 고정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고정 접점부(400)의 고정 접점대(410)는 지지 프레임(600)의 양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및 후방 측에 관통 형성되는 접점대 관통홀에 관통 결합된다.
고정 접점부(400)는 가동 접점부(30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에 위치된다. 가동 접점부(300)가 크로스바(210)와 함께 하측으로 이동되면, 고정 접점부(400)와 가동 접점부(300)가 접촉될 수 있다.
고정 접점부(400)는 가동 접점부(30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고정 접점(430)이 가동 접점(320)과 접촉되면,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고정 접점부(40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고정 접점부(400)는 세 개 구비된다. 각 고정 접점부(400)는 복수 개의 가동 접점부(300)와 각각 접촉되거나 이격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접촉기(10)에 R상, S상 및 T상 또는 U상, V상 및 W상의 3상 전류가 인가됨에 기인한다.
고정 접점부(400)의 개수는 전자 접촉기(10)에 인가되는 전류의 상의 개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고정 접점부(400)는 고정 접점대(410), 고정 접점 블록(420), 고정 접점(430) 및 지지 프레임(600)을 포함한다.
상기 구성 중, 지지 프레임(600)은 고정 접점부(400)를 전자 접촉기(10)에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지지 프레임(600)은 프레임(100)에 포함되는 것으로도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지지 프레임(600)이 고정 접점부(400)에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고정 접점대(410)는 고정 접점부(400)의 몸체를 형성한다. 고정 접점대(410)는 일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고정 접점대(410)의 연장 길이는, 일측이 고정 접점 블록(420)과 통전 가능하게 접촉되고, 타측이 전자 접촉기(10)의 외부에 돌출될 수 있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접점대(410)는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후술될 바와 같이, 고정 접점대(410)는 복수 개 구비된다. 복수 개의 고정 접점대(410) 중 어느 하나에는 전원이, 다른 하나에는 부하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고정 접점대(410)는 지지 프레임(600)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고정 접점대(410)는 지지 프레임(600)의 면 중 서로 마주하는 두 개의 면에 각각 관통 형성된 접점대 관통홀에 관통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 프레임(600)의 전방 측 면 및 후방 측 면에 접점대 관통홀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고정 접점대(410)는 지지 프레임(600)의 전방 측 및 후방 측에 각각 결합된다.
고정 접점대(410)는 도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는 고정 접점대(41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고정 접점대(410)를 통해 유입된 전류는 가동 접점부(300)를 거쳐 전자 접촉기(10)의 외부로 흐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 접점대(410)는 철(Fe) 또는 구리(Cu)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 접점대(41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고정 접점대(410) 중 어느 하나에는 전류가 유입되고, 다른 하나에서는 전류가 유출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고정 접점대(410)는 제1 고정 접점대(411) 및 제2 고정 접점대(412)를 포함하여 두 개 구비된다.
제1 고정 접점대(411)는 크로스바(210)의 상기 기둥 부분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 위치된다. 달리 표현하면, 제1 고정 접점대(411)는 제1 가동 접점(321)의 하측에 대해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 위치된다.
제1 고정 접점대(411)의 연장 방향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은 전자 접촉기(10)의 외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된다. 제1 고정 접점대(411)가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에는 전원 또는 부하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고정 접점대(411)의 연장 방향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은 제1 가동 접점(321)의 하측까지 연장된다. 달리 표현하면, 제1 고정 접점대(411)의 연장 방향의 상기 타측 단부는 크로스바(210)의 상기 기둥 부분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제1 고정 접점대(411)의 상기 타측에는 제1 고정 접점 블록(421)이 안착된다. 제1 고정 접점대(411)는 제1 고정 접점 블록(421)과 통전 가능하게 접촉된다.
제2 고정 접점대(412)는 크로스바(210)의 상기 기둥 부분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에 위치된다. 달리 표현하면, 제2 고정 접점대(412)는 제2 가동 접점(322)의 하측에 대해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에 위치된다.
제2 고정 접점대(412)의 연장 방향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은 전자 접촉기(10)의 외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된다. 제2 고정 접점대(412)가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에는 전원 또는 부하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 고정 접점대(412)의 연장 방향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은 제2 가동 접점(322)의 하측까지 연장된다. 달리 표현하면, 제2 고정 접점대(412)의 연장 방향의 상기 타측 단부는 크로스바(210)의 상기 기둥 부분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제2 고정 접점대(412)의 상기 타측에는 제2 고정 접점 블록(422)이 안착된다. 제2 고정 접점대(412)는 제2 고정 접점 블록(422)과 통전 가능하게 접촉된다.
고정 접점 블록(420)은 고정 접점대(410)와 고정 접점(430) 사이에 위치된다. 고정 접점 블록(420)은 고정 접점대(410)와 고정 접점(430)을 통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또한, 고정 접점 블록(420)은 가동 접점(320)과 고정 접점(430) 사이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즉, 고정 접점 블록(420)의 높이에 따라, 가동 접점(320)과 고정 접점(430) 사이의 거리가 조정될 수 있다.
고정 접점 블록(420)은 고정 접점대(410)의 일측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고정 접점 블록(420)은 크로스바(210)의 상기 기둥 부분을 향하는 고정 접점대(410)의 일측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달리 표현하면, 고정 접점 블록(420)은 복수 개의 고정 접점대(410)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의 각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고정 접점 블록(420)은 고정 접점대(410)의 상측에 위치된다. 고정 접점 블록(420)은 고정 접점대(410)에 안착된다.
고정 접점 블록(420)은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된다. 고정 접점 블록(420)의 연장 길이는 가동 접점(320)과 고정 접점(430) 사이의 거리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고정 접점 블록(420)의 연장 길이는, 크로스바(210)가 승강 가능한 거리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고정 접점 블록(420)의 높이를 조정하여 가동 접점(320)과 고정 접점(430) 사이의 거리가 조정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고정 접점 블록(420)은 고정 접점대(410)와 통전 가능하게 접촉된다. 고정 접점대(410)에 유입된 전류는 고정 접점 블록(420)으로 흐를 수 있다. 또한, 고정 접점 블록(420)에 유입된 전류는 고정 접점대(410)로 흐를 수 있다.
고정 접점 블록(420)은 고정 접점(430)과 통전 가능하게 접촉된다. 고정 접점(430)에 유입된 전류는 고정 접점 블록(420)으로 흐를 수 있다. 또한, 고정 접점 블록(420)에 유입된 전류는 고정 접점(430)으로 흐를 수 있다.
고정 접점 블록(420)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고정 접점 블록(420)은 복수 개의 고정 접점대(410)와 각각 통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고정 접점 블록(420)은 복수 개의 고정 접점(430)과 각각 통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고정 접점 블록(420)은 제1 고정 접점 블록(421) 및 제2 고정 접점 블록(424)을 포함하여, 두 개 구비된다.
제1 고정 접점 블록(421)은 제1 고정 접점대(411)에 통전 가능하게 접촉된다. 구체적으로, 제1 고정 접점 블록(421)은 제1 고정 접점대(411)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제1 고정 접점 블록(421)에는 제1 고정 접점(431)이 안착된다. 제1 고정 접점 블록(421)은 제1 고정 접점(431)과 통전 가능하게 접촉된다.
제2 고정 접점 블록(422)은 제2 고정 접점대(412)에 통전 가능하게 접촉된다. 구체적으로, 제2 고정 접점 블록(422)은 제2 고정 접점대(412)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제2 고정 접점 블록(422)에는 제2 고정 접점(432)이 안착된다. 제2 고정 접점 블록(422)은 제2 고정 접점(432)과 통전 가능하게 접촉된다.
고정 접점(430)은 가동 접점(320)과 접촉되거나 이격된다. 고정 접점(430)이 가동 접점(320)과 접촉되면, 고정 접점부(400)와 가동 접점부(300)가 통전된다. 이에 따라, 전자 접촉기(10)가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와 통전될 수 있다.
고정 접점(430)은 고정 접점 블록(420)의 상측에 위치된다. 고정 접점(430)은 고정 접점 블록(42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면에 안착된다.
고정 접점(430)은 가동 접점부(300)의 하측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고정 접점(430)은 가동 접점(320)의 하측에 위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 접점(430)은 가동 접점(320)의 직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고정 접점(430)은 고정 접점 블록(420)과 통전 가능하게 접촉된다. 고정 접점(430)에 유입된 전류는 고정 접점 블록(420)으로 흐를 수 있다. 또한, 고정 접점 블록(420)에 유입된 전류는 고정 접점(430)으로 흐를 수 있다.
고정 접점(430)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고정 접점(430)은 복수 개의 고정 접점 블록(420)에 각각 위치되어, 각 고정 접점 블록(420)과 통전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고정 접점(430)은 제1 고정 접점(431) 및 제2 고정 접점(432)을 포함하여, 두 개 구비된다.
제1 고정 접점(431)은 제1 고정 접점 블록(421)에 결합된다. 제1 고정 접점(431)은 제1 고정 접점 블록(421)과 통전 가능하게 접촉된다.
제2 고정 접점(432)은 제2 고정 접점 블록(422)에 결합된다. 제2 고정 접점(432)은 제2 고정 접점 블록(422)과 통전 가능하게 접촉된다.
아크 소호부(500)는 가동 접점부(300)와 고정 접점부(400)가 이격되어 발생된 아크를 소호하며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아크 소호부(500)는 지지 프레임(600)의 상측에 위치된다. 아크 소호부(500)는 지지 프레임(6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아크 소호부(500)는 아크 챔버(arc chamber)(510) 및 아크 박스(arc box)(520)를 포함한다.
아크 챔버(510)는 가동 접점부(300)와 고정 접점부(400)가 이격되어 발생된 아크를 소호한다. 아크 챔버(510)는 고정 접점부(400)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아크 챔버(510)는 각 고정 접점(431, 432)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이에 따라, 가동 접점부(300)가 고정 접점부(400)와 접촉되었다가 이격되면, 발생된 아크는 아크 챔버(510)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아크 챔버(510)를 향해 연장된 아크는, 아크 챔버(510)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그리드(grid)를 따라 신장되며 소호될 수 있다.
아크 챔버(51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아크 챔버(510)는 전후 방향으로 두 개, 좌우 방향으로 세 쌍 구비되어 총 여섯 개 구비된다.
아크 챔버(510)의 개수는 가동 접점부(300) 및 고정 접점부(400)의 개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아크 챔버(510)는 아크 박스(520)의 내부에 수용된다. 또한, 아크 챔버(510)는 아크 박스(520)에 결합된다.
아크 박스(520)는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아크 챔버(510), 가동 접점부(300) 및 고정 접점부(400)를 수용한다. 또한, 아크 박스(520)는 상기 공간에, 전자 접촉기(10)가 작동되기 위한 다양한 구성 요소를 수용할 수 있다.
즉, 아크 박스(520)는 일종의 하우징으로 기능된다.
아크 박스(520)는 지지 프레임(600)의 상측에 위치된다. 아크 박스(520)는 지지 프레임(600)과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아크 박스(520)는 지지 프레임(600)과 별도의 체결 부재(미도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아크 박스(520)는 사각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사각기둥 형상이다. 아크 박스(520)의 형상은 지지 프레임(600)과 결합되고, 내부에 전자 접촉기(10)의 작동을 위한 구성 요소를 실장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아크 박스(520)는 절연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아크 박스(520) 내부의 구성 요소가 외부와 임의 통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일 실시 예에서, 아크 박스(520)는 합성 수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아크 박스(520)는 강성이 높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아크 박스(520) 내부에서 발생된 고온 고압의 아크에 의해, 아크 박스(52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일 실시 예에서, 아크 박스(520)는 강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크 박스(520)는 커버부(521), 아크 배출공(522) 및 프레임 결합부(523)를 포함한다.
커버부(521)는 아크 박스(520)의 외측을 형성한다. 달리 표현하면, 커버부(521)는 아크 박스(520)가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아크 박스(520)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구비된다.
이에 따라, 커버부(521)는 하측에 개방된 부분을 제외한 5개소, 즉 상측, 전방 측, 후방 측, 좌측 및 우측에 위치되는 면을 포함한다.
커버부(521)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및 후방 측에는 아크 배출공(522)이 관통 형성된다.
아크 배출공(522)은 아크 박스(520)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된 아크가 아크 챔버(510)를 통해 소호되며, 아크 박스(520)의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이다. 아크 배출공(522)은 아크 박스(520)의 면 중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면 및 후방 측 면에 각각 관통 형성된다.
아크 배출공(522)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아크 배출공(522)은 각 상의 전류가 통전되는 위치마다 세 개씩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접촉기(10)는 세 개의 서로 다른 상의 전류가 통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크 배출공(522)은 전방 측에 9개, 후방 측에 9개가 형성되어 총 18개 형성된다. 아크 배출공(522)의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아크 배출공(522)은 아크 박스(520)의 내부 공간과 아크 박스(520)의 외부를 연통한다. 이에 따라, 발생된 아크는 아크 박스(52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프레임 결합부(523)는 아크 박스(520)가 지지 프레임(600)과 결합되는 부분이다. 프레임 결합부(523)는 지지 프레임(600)의 아크 박스 결합부(610)와 맞춰질 수 있다.
프레임 결합부(523)는 별도의 체결 부재(미도시)에 의해 아크 박스 결합부(610)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레임 결합부(523)는 아크 박스 결합부(610)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 결합부(523)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프레임 결합부(523)는 아크 박스(520)의 좌측 및 우측 면의 전방 측 및 후방 측 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총 네 개 구비된다. 프레임 결합부(523)의 개수는 아크 박스 결합부(610)의 개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3.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 프레임(600)의 설명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접촉기(10)는 지지 프레임(600)을 포함한다. 지지 프레임(600)은 고정 접점부(400)를 고정 지지하여, 전자 접촉기(10)가 외부와 통전되는 동안 고정 접점부(400)가 임의로 요동되지 않게 한다.
이하,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 프레임(600)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지지 프레임(600)에는 고정 접점부(400)가 결합된다. 고정 접점부(400)는 지지 프레임(60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600)은 고정 접점부(400)를 하측에서 지지한다.
지지 프레임(600)은 아크 소호부(500)를 지지한다. 지지 프레임(600)의 상부 공간과 아크 소호부(500)의 내부 공간은 연통된다. 이에 따라, 아크 소호부(50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가동 접점부(300)는 고정 접점부(400)를 향하는 방향 또는 고정 접점부(40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600)의 하측에는 프레임(100)이 위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 프레임(600)과 프레임(100)은 나사 등의 결합 부재(미도시)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600)의 상측에는 아크 소호부(500)가 위치된다. 지지 프레임(600)은 아크 박스(52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지지 프레임(600)의 아크 박스 결합부(610)와 아크 박스(520)의 프레임 결합부(523)가 서로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 프레임(600)은 사각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사각 기둥 형상이다. 지지 프레임(600)의 형상은 아크 박스(520)의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600)은 아크 박스 결합부(610), 고정 접점 수용부(620), 격벽부(630) 및 플레이트 결합부(640)를 포함한다.
아크 박스 결합부(610)는 지지 프레임(600)이 아크 박스(52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아크 박스 결합부(610)는 프레임 결합부(523)와 맞춰질 수 있다
아크 박스 결합부(610)는 별도의 체결 무재(미도시)에 의해 프레임 결합부(523)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아크 박스 결합부(610)는 프레임 결합부(523)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아크 박스 결합부(61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아크 박스 결합부(610)는 지지 프레임(600)의 전방 측의 좌측 및 우측, 후방 측에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형성되어, 총 네 개 구비된다. 아크 박스 결합부(610)의 개수는 프레임 결합부(523)의 개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각 아크 박스 결합부(610)는 전방 측의 양측 단부 및 후방 측의 양측 단부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전방 측에 위치되는 두 개의 아크 박스 결합부(610) 및 후방 측에 위치되는 두 개의 아크 박스 결합부(610)는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전방 측의 두 개의 아크 박스 결합부(610) 사이에는 플레이트 결합부(640)가 위치된다. 후방 측에 위치되는 두 개의 아크 박스 결합부(610) 사이에도 플레이트 결합부(640)가 위치된다.
고정 접점 수용부(620)는 고정 접점부(400)가 수용되는 공간이다. 고정 접점부(400)는 고정 접점 수용부(620)에 수용된 후, 체결 부재(미도시)에 의해 지지 프레임(60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아크 챔버(510)는 아크 박스(520)에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 접점 수용부(620)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고정 접점 수용부(620)는 아크 박스(520)를 향하는 일측에서 함몰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고정 접점 수용부(620)는 지지 프레임(600)의 상측에서 함몰 형성된다.
고정 접점 수용부(620)는 고정 접점대(410)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고정 접점 수용부(62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달리 표현하면, 고정 접점 수용부(620)는 전후 방향의 길이가, 좌우 방향의 폭보다 길게 형성된다.
고정 접점 수용부(620)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접촉기(10)는 각 상마다 두 개의 고정 접점부(40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고정 접점 수용부(620)는 전방 측 및 후방 측에 각각 한 개씩 형성된다.
더 나아가, 고정 접점 수용부(620)는 각 상의 전류가 통전되는 고정 접점부(400)마다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 접점 수용부(620)는 총 여섯 개 형성된다. 고정 접점 수용부(620)의 개수는 통전되는 전류의 상의 개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폭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고정 접점 수용부(620) 사이에는 격벽부(630)가 위치된다.
격벽부(630)는 각 고정 접점부(400) 사이에 위치되어, 각 고정 접점부(400)를 물리적으로 이격시킨다. 격벽부(630)가 구비됨에 따라, 각 가동 접점부(300) 및 고정 접점부(400)에 통전되는 서로 다른 상의 전류는 물리적, 전기적으로 이격될 수 있다.
격벽부(630)는 절연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서로 인접하게 위치되는 가동 접점부(300) 및 고정 접점부(400) 사이에 전기적인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일 실시 예에서, 격벽부(630)는 합성 수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격벽부(630)는 고정 접점대(410) 또는 고정 접점 수용부(620)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격벽부(63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접촉기(10)는 각 상마다 두 개의 고정 접점부(40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격벽부(630)는 전방 측 및 후방 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격벽부(630)의 전방 측 단부는 지지 프레임(600)의 전방 측 면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격벽부(630)의 후방 측 단부는 지지 프레임(600)의 후방 측 면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격벽부(63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접촉기(10)는 서로 다른 세 개의 상의 전류가 통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격벽부(630)는 두 개 구비되어, 폭 방향으로 세 개 배치되는 고정 접점 수용부(620) 사이에 위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격벽부(630)를 연장한 가상의 선 상에는 절연 부재(700)의 플레이트부(710)가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로 다른 각 상의 전류가 전기적으로 간섭받지 않게 된다.
일 실시 예에서, 격벽부(630)를 연장한 가상의 선 상에는 플레이트 결합부(640)가 위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 결합부(640)는 절연 부재(700)가 지지 프레임(600)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플레이트 결합부(640)에는 지지 프레임(600)이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될 수 있다.
플레이트 결합부(640)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플레이트 결합부(640)는 좌측에 위치되는 제1 플레이트 결합부(640a) 및 우측에 위치되는 제2 플레이트 결합부(640b)를 포함하여, 총 두 개 구비된다.
제1 플레이트 결합부(640a)와 제2 플레이트 결합부(640b)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 플레이트 결합부(640a) 및 제2 플레이트 결합부(640b)에는 절연 부재(700)의 제1 내지 제3 결합 돌기(730, 740, 750)가 각각 삽입 결합된다.
제1 플레이트 결합부(640a) 및 제2 플레이트 결합부(640b)는 배치되는 위치에 차이가 있고, 기타 형상 및 구조는 동일하다. 이에, 제1 플레이트 결합부(640a) 및 제2 플레이트 결합부(640b)를 플레이트 결합부(640)로 통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플레이트 결합부(640)는 지지 프레임(600)이 서로 마주하는 양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플레이트 결합부(640)는 서로 마주하는 지지 프레임(600)의 전방 측 면 및 후방 측 면에 각각 형성된다.
이에 따라, 플레이트 결합부(640)는 총 네 개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 방향은 전방 측에 위치되는 플레이트 결합부(640)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플레이트 결합부(640)에는 제1 내지 제3 결합 돌기(730, 740, 750)가 삽입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플레이트 결합부(640)에는 제1 내지 제3 결합 돌기(730, 740, 750)가 전후 방향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플레이트 결합부(640)는 제1 홈(641), 제2 홈(642), 제1 돌출부(643), 제2 돌출부(644) 및 수용 홈(645)을 포함한다.
제1 홈(641)은 제1 내지 제3 결합 돌기(730, 740, 750)가 삽입되는 공간이다. 제1 홈(641)은 절연 부재(700)를 향하는 지지 프레임(600)의 일측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면에서 함몰 형성된다.
제1 홈(641)이 함몰되는 거리는, 후술될 제1 내지 제3 결합 돌기(730, 740, 750)가 연장되는 길이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내지 제3 결합 돌기(730, 740, 750)는 각 삽입부(732, 742, 752) 및 각 체결부(733, 743, 753)가 수용 홈(645)에 도달될 때까지 제1 홈(641)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홈(641)의 일측은 개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크 박스(520)를 향하는 제1 홈(641)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은 개방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홈(641)은 지지 프레임(600)의 상측에서 함몰 형성된다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1 홈(641)은 소정 길이만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홈(641)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는, 절연 부재(700)의 제1 결합 돌기(730)의 상측 단부에서 제3 결합 돌기(750)의 하측 단부 사이의 거리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홈(641)의 타측은 폐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크 박스(520)에 반대되는 제1 홈(641)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은 폐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홈(641)에 삽입된 제1 내지 제3 결합 돌기(730, 740, 750)는 제1 홈(641)의 상기 타측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제1 홈(641)의 다른 타측은 폐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절연 부재(700)에 반대되는 제1 홈(641)의 다른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은 폐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내지 제3 결합 돌기(730, 740, 750)가 제1 홈(641)에 삽입되는 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
즉, 제1 홈(641)은, 절연 부재(700)를 향하는 일측(즉, 전방 측) 및 아크 박스(520)를 향하는 타측(즉, 상측)이 개방 형성된다. 또한, 제1 홈(641)은, 절연 부재(700)에 반대되는 다른 타측(즉, 후방 측) 및 아크 박스(520)에 반대되는 또다른 타측(즉, 하측)이 폐쇄된다.
제1 홈(641)은 소정의 폭(즉, 좌우 방향의 길이)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1 홈(641)의 폭의 길이는 제1 내지 제3 결합 돌기(730, 740, 750)의 제1 체결부(733) 또는 제3 체결부(753)의 우측 단부와 제2 체결부(743)의 좌측 단부 사이의 거리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제1 홈(641)의 폭의 길이는 제1 체결부(733) 또는 제3 체결부(753)의 우측 단부와 제2 체결부(743)의 좌측 단부 사이의 거리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달리 표현하면, 제1 홈(641)의 폭의 길이는, 좌우 방향을 따라 제1 체결부(733) 또는 제3 체결부(753)와 제2 체결부(743) 사이의 최장 거리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홈(641)의 내부에는 제2 홈(642) 및 수용 홈(645)이 형성된다. 또한, 제1 홈(641)의 내부에는 제1 돌출부(643) 및 제2 돌출부(644)가 구비된다.
제2 홈(642)은 제1 내지 제3 결합 돌기(730, 740, 750)의 제1 내지 제3 연장부(731, 741, 751)가 삽입되는 공간이다. 제2 홈(642)은 절연 부재(700)를 향하는 지지 프레임(600)의 일측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면에서 함몰 형성된다.
제2 홈(642)이 함몰되는 거리는, 제1 홈(641)이 함몰되는 거리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홈(642)이 함몰되는 거리와 수용 홈(645)의 폭(즉, 전후 방향의 길이)의 합은, 제1 홈(641)이 함몰되는 거리와 같을 수 있다.
제2 홈(642)은 제1 홈(641)의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홈(642)은 제1 홈(641) 중, 제1 돌출부(643) 및 제2 돌출부(644)에 둘러싸인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홈(642)의 좌측 및 우측은 각각 제1 돌출부(643) 및 제2 돌출부(644)에 둘러싸인다.
이에 따라, 제2 홈(642)의 폭(즉, 좌우 방향의 길이)은 제1 홈(641)의 폭(즉, 좌우 방향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제2 홈(642)의 폭의 길이는, 제1 내지 제3 연장부(731, 741, 751)의 폭의 길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제2 홈(642)의 폭의 길이는, 제1 내지 제3 연장부(731, 741, 751)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홈(642)의 폭의 길이는, 제1 체결부(733) 또는 제3 체결부(753)의 우측 단부와 제2 체결부(743)의 좌측 단부 사이의 거리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달리 표현하면, 제2 홈(642)의 폭의 길이는, 좌우 방향을 따라 제1 체결부(733) 또는 제3 체결부(753)와 제2 체결부(743) 사이의 최장 거리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 내지 제3 결합 돌기(730, 740, 750)가 플레이트 결합부(640)에 삽입 결합되면, 각 삽입부(732, 742, 752) 및 각 체결부(733, 743, 753)가 제2 홈(642)을 통해 인출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지지 프레임(600)과 절연 부재(700)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제1 돌출부(643) 및 제2 돌출부(644)는 제1 홈(641)을 폭 방향,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에서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제1 돌출부(643) 및 제2 돌출부(644)는 제1 홈(641)을 폭 방향에서 둘러싸는 각 면에서 서로를 향해 돌출 형성된다.
제1 돌출부(643)와 제2 돌출부(644)가 서로 마주하는 면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이격에 의해, 제1 돌출부(643)와 제2 돌출부(644)의 각 면 사이의 공간인 제2 홈(642)이 정의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제1 돌출부(643)와 제2 돌출부(644)는 절연 부재(700)를 향하는 지지 프레임(600)의 일측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면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또한, 제1 돌출부(643)와 제2 돌출부(644)는 지지 프레임(600)의 상기 일측 면에서, 절연 부재(70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돌출부(643)와 제2 돌출부(644)가 절연 부재(700)를 향해 연장되는 길이에 따라, 제2 홈(642)의 깊이(즉, 전후 방향의 길이)가 결정될 수 있다. 즉, 제2 홈(642)의 깊이는, 제1 돌출부(643)와 제2 돌출부(644)가 절연 부재(700)를 향해 연장되는 길이와 같을 수 있다.
제1 돌출부(643)와 제2 돌출부(644)의 높이(즉, 상하 방향의 길이)는 제1 홈(641)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돌출부(643)와 제2 돌출부(644)의 높이는 제1 홈(641)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와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절연 부재(700)에 반대되는 제1 돌출부(643)와 제2 돌출부(644)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에는 수용 홈(645)이 위치된다.
수용 홈(645)은 제1 내지 제3 결합 돌기(730, 740, 750)의 제1 내지 제3 삽입부(732, 742, 752) 및 제1 내지 제3 체결부(733, 743, 753)가 수용되는 공간이다. 수용 홈(645)은 제1 홈(641)이 구획된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용 홈(645)은 제1 홈(641)이 형성하는 공간 중, 제2 홈(642), 제1 돌출부(643) 및 제2 돌출부(644)가 점유하는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의 일부 또는 전부로 정의될 수 있다.
수용 홈(645)은 제1 홈(641)과 연통된다. 상기 실시 예는 수용 홈(645)이 제1 홈(641)이 형성하는 공간 중, 제2 홈(642), 제1 돌출부(643) 및 제2 돌출부(644)가 점유하는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의 일부인 경우임이 이해될 것이다.
수용 홈(645)은 제2 홈(642)과 연통된다. 따라서, 제1 내지 제3 결합 돌기(730, 740, 750)의 제1 내지 제3 체결부(733, 743, 753)와 연속되는 제1 내지 제3 연장부(731, 741, 751)는 제2 홈(642)이 수용될 수 있다.
수용 홈(645)은 제1 홈(641)을 절연 부재(700)에 반대되는 일측에서 감싸는 면과, 제1 돌출부(643) 및 제2 돌출부(644) 사이의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수용 홈(645)은 제1 홈(641)의 좌측, 우측, 후방 측 및 하측의 면과, 제1 및 제2 돌출부(643, 644)의 후방 측 면에 둘러싸인 공간이다.
수용 홈(645)은 제2 홈(642)에 비해 절연 부재(700)에서 더 멀도록 위치된다. 즉, 수용 홈(645)은 제2 홈(642)보다 후방 측에 위치된다.
수용 홈(645)은 소정의 폭(즉, 좌우 방향의 길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용 홈(645)의 폭은 제2 홈(642)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수용 홈(645)의 폭은 제1 체결부(733) 또는 제3 체결부(753)의 단부와 제2 체결부(743)의 단부 사이의 거리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수용 홈(645)의 폭은 제1 홈(641)의 폭과 같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수용 홈(645)에는 제1 내지 제3 결합 돌기(730, 740, 750)의 제1 내지 제3 삽입부(732, 742, 752) 및 제1 내지 제3 체결부(733, 743, 753)가 용이하게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수용 홈(645)에 삽입된 제1 내지 제3 체결부(733, 743, 753)는 제2 홈(642)을 통해 인출되지 않게 된다.
플레이트 결합부(640)에 제1 내지 제3 결합 돌기(730, 740, 750)가 삽입 결합되어, 지지 프레임(600)과 절연 부재(700)가 결합되는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4.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연 부재(700)의 설명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접촉기(10)는 절연 부재(700)를 포함한다.
절연 부재(700)는 전자 접촉기(10)에 통전되는 서로 다른 상의 전류 사이에 전기적인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절연 부재(700)는 지지 프레임(6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연 부재(700)는 별도의 체결 부재 없이도 지지 프레임(6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연 부재(700)는 지지 프레임(600)에 결합된 후, 지지 프레임(600)에 결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연 부재(70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절연 부재(700)는 지지 프레임(600)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된다. 상기 결합은 절연 부재(700)의 제1 내지 제3 결합 돌기(730, 740, 750)가 지지 프레임(600)의 플레이트 결합부(640)에 삽입 결합되어 달성된다. 상기 결합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절연 부재(700)는 전자 접촉기(10)에 통전되는 복수 개의 상의 전류 간의 전기적인 간섭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차단은 절연 부재(700)의 플레이트부(710)가, 복수 개의 고정 접점부(400) 사이에 위치되어 달성된다.
절연 부재(700)는 높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절연 부재(700)는 아크 박스(520)의 상측 면과 지지 프레임(600)의 하측 면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절연 부재(700)의 상측 단부는 아크 박스(520)의 상측 면과 같은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절연 부재(700)의 하측 단부는 지지 프레임(600)의 하측 면과 같은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절연 부재(700)는 지지 프레임(600)을 향하는 방향 및 지지 프레임(600)에서 멀어지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또한, 절연 부재(700)는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절연 부재(700)는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을 지나는 면을 단면으로 하고, 좌우 방향을 높이로 하는 판형이다.
절연 부재(700)의 형상은 지지 프레임(6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복수 개의 고정 접점부(40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절연 부재(700)는 절연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전자 접촉기(10)에 통전되는 서로 다른 상의 전류 간의 전기적인 간섭을 배제하기 위함이다.
절연 부재(700)는 고강성 및 고내열성을 갖는 소지로 형성될 수 있다. 절연 부재(700)가 아크 배출공(522)에서 배출되는 아크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일 실시 예에서, 절연 부재(700)는 합성 수지 또는 강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절연 부재(70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절연 부재(700)는 지지 프레임(60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절연 부재(700)는 제1 절연 부재(700a) 및 제2 절연 부재(700b)를 포함하여 두 개 구비된다.
제1 절연 부재(700a)는 제1 플레이트 결합부(640a)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된다. 또한, 제2 절연 부재(700b)는 제2 플레이트 결합부(640b)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된다.
제1 절연 부재(700a)와 제2 절연 부재(700b)는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절연 부재(700a)와 제2 절연 부재(700b)는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절연 부재(700a)와 제2 절연 부재(700b)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 절연 부재(700a)와 제2 절연 부재(700b) 사이에는 복수 개의 고정 접점부(400) 중 중앙에 위치되는 고정 접점부(400)가 위치된다.
다시 도 4를 참조하여, 제1 절연 부재(700a) 및 제2 절연 부재(700b)와 복수 개의 고정 접점부(400) 사이의 위치 관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절연 부재(700a)는 제2 절연 부재(700b)의 우측에 위치된다. 제1 절연 부재(700a)는 가장 좌측에 위치되는 고정 접점부(400) 및 중앙에 위치되는 고정 접점부(400) 사이에 위치된다.
제2 절연 부재(700b)는 제1 절연 부재(700a)의 좌측에 위치된다. 제2 절연 부재(700b)는 중앙에 위치되는 고정 접점부(400) 및 가장 우측에 위치되는 고정 접점부(400) 사이에 위치된다.
따라서, 절연 부재(7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전자 접촉기(10)를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고정 접점부(400), 제1 절연 부재(700a), 고정 접점부(400), 제2 절연 부재(700b) 및 고정 접점부(400) 순서로 배치된다.
즉, 제1 절연 부재(700a) 및 제2 절연 부재(700b)는 전자 접촉기(10)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고정 접점부(400) 사이에 각각 위치된다. 이에 따라, 각 고정 접점부(400) 사이에서 전기적인 간섭이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지지 프레임(600)의 일측 및 타측,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및 후방 측은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절연 부재(700)는 두 쌍으로 구비되어, 지지 프레임(600)의 전방 측 및 후방 측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즉, 절연 부재(700)는 총 네 개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지지 프레임(600)의 전방 측에 절연 부재(700)가 결합됨을 전제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1 절연 부재(700a) 및 제2 절연 부재(700b)는 제1 플레이트 결합부(640a) 및 제2 플레이트 결합부(640b)에 결합된다는 차이가 있되, 구조는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1 절연 부재(700a) 및 제2 절연 부재(700b)를 절연 부재(700)로 통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절연 부재(700)는 플레이트부(710), 결합 모서리(720), 제1 결합 돌기(730), 제2 결합 돌기(740) 및 제3 결합 돌기(750)를 포함한다.
플레이트부(710)는 절연 부재(700)의 몸체를 형성한다. 플레이트부(710)에는 결합 모서리(720)가 구비된다. 또한, 플레이트부(710)에는 제1 내지 제3 결합 돌기(730, 740, 750)가 결합된다.
플레이트부(710)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고정 접점부(400) 사이를 물리적, 전기적으로 이격시키도록 구성된다.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플레이트부(710)는 판 형으로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플레이트부(71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마주보는 모서리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마주보는 모서리를 각 변으로 하는 사각 판형으로 형성된다. 플레이트부(710)는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
플레이트부(710)의 상기 소정의 두께는, 제1 내지 제3 결합 돌기(730, 740, 750)의 배치 방식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레이트부(710)의 두께는, 제1 연장부(731)의 외측(즉, 좌측)의 면 또는 제3 연장부(751)의 외측(즉, 좌측)의 면과, 제2 연장부(741)의 외측(즉, 우측)의 면 사이의 좌우 방향의 거리와 같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부(710)의 전방 측의 상측 및 하측의 모서리가 모따기(taper) 가공된다. 즉, 플레이트부(710)가 외부로 돌출되는 각 모서리는 모따기 가공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플레이트부(710)의 모서리에 의해 상해를 입지 않게 된다.
플레이트부(710)는 소정의 길이만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플레이트부(710)는 아크 박스(520)의 상측 면과 지지 프레임(600)의 하측 단부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플레이트부(710)의 상측 단부는 아크 박스의 상측 면과 같은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부(710)의 하측 단부는 지지 프레임(600)의 하측 단부와 같은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레이트부(710)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고정 접점부(400)를 물리적, 전기적으로 이격시킬 수 있다.
지지 프레임(600)을 향하는 플레이트부(71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의 모서리는 결합 모서리(720)로 정의된다.
결합 모서리(720)는 절연 부재(700)가 지지 프레임(600)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모서리이다. 일 실시 예에서, 결합 모서리(720)는 결합 모서리(720)를 마주하는 지지 프레임(600)의 일측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면에 접촉될 수 있다.
결합 모서리(720)에는 제1 내지 제3 결합 돌기(730, 740, 750)가 연속된다. 구체적으로, 제1 내지 제3 결합 돌기(730, 740, 750)는 결합 모서리(720)의 하측으로 치우쳐 위치된다.
제1 내지 제3 결합 돌기(730, 740, 750)는 절연 부재(700)가 지지 프레임(600)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제1 내지 제3 결합 돌기(730, 740, 750)는 플레이트 결합부(640)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된다.
대안적으로, 결합 돌기(730, 740, 750)는 세 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어떠한 경우라도, 결합 돌기(730, 740, 750)는 플레이트 결합부(64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개수로 구비되면 족하다.
제1 내지 제3 결합 돌기(730, 740, 750)는 결합 모서리(720)에서 지지 프레임(600)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 제1 내지 제3 결합 돌기(730, 740, 750)는 결합 모서리(720)의 하측에 치우치게 위치된다.
제1 내지 제3 결합 돌기(730, 740, 750)는 플레이트부(710)가 서로 인접하게 위치되는 복수 개의 고정 접점부(40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는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결합 돌기(730, 740, 750)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후술될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결합 돌기(730, 740, 750)가 플레이트 결합부(640)에 삽입될 때, 소정의 형상 변형을 수반하며 삽입됨에 기인한다.
또한, 제1 내지 제3 결합 돌기(730, 740, 750)의 삽입이 완료되면, 제1 내지 제3 결합 돌기(730, 740, 750)는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며 플레이트 결합부(640)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1 내지 제3 결합 돌기(730, 740, 750)는 결합 모서리(720)의 상하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 내지 제3 결합 돌기(730, 740, 750)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하 방향을 따르는 제1 결합 돌기(730)와 제3 결합 돌기(750)의 최장 거리는 제2 홈(642)의 높이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결합 돌기(730)의 상측 단부와, 제3 결합 돌기(750)의 하측 단부 사이의 거리는 제2 홈(642)이 상측에서 하측을 향해 함몰된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내지 제3 결합 돌기(730, 740, 750)가 제2 홈(642)에 관통 삽입되어, 플레이트 결합부(64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결합 돌기(730, 740, 750)는 결합 모서리(720)에서 지지 프레임(600)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 제1 내지 제3 결합 돌기(730, 740, 750)가 연장 형성되는 길이는, 지지 프레임(600)의 전방 측면에서 수용 홈(645)을 후방에서 감싸는 면 사이의 거리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내지 제3 결합 돌기(730, 740, 750)가 연장되는 길이는, 제1 홈(641)의 전후 방향의 길이와 같을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제1 내지 제3 결합 돌기(730, 740, 750)가 연장되는 길이는, 제2 홈(642) 및 수용 홈(645)의 전후 방향의 길이의 합과 같을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제1 내지 제3 결합 돌기(730, 740, 750)가 제2 홈(642) 및 수용 홈(645)에 삽입되면, 결합 모서리(720)는 지지 프레임(600)의 전방 측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접촉기(10)가 작동되는 경우에도 절연 부재(700)의 요동이 최소화되어, 절연 부재(700)가 지지 프레임(6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내지 제3 결합 돌기(730, 740, 750)는 결합 모서리(720)가 연장되는 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제2 결합 돌기(740)의 높이가 제1 및 제3 결합 돌기(730, 750)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제1 및 제3 결합 돌기(730, 750)의 높이가 제2 결합 돌기(740)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내지 제3 결합 돌기(730, 740, 750)의 높이는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 돌기(730)는 제1 내지 제3 결합 돌기(730, 740, 750) 중 가장 상측에 위치된다. 제1 결합 돌기(730)는 제2 결합 돌기(740)와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 결합 돌기(730)는 결합 모서리(720)에서 지지 프레임(600)을 향해 연장된다. 제1 결합 돌기(730)는 플레이트 결합부(640)에 삽입 결합된다.
제1 결합 돌기(730)는 외력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며 복원력을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결합 돌기(730)는 제2 홈(642)을 통과할 때 결합 모서리(720)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형상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 돌기(730)의 삽입이 완료되면, 제1 결합 돌기(730)는 저장된 복원력에 의해 원래 형상으로 복귀된다.
이에 따라, 제1 결합 돌기(730)는 제1 돌출부(643) 또는 제2 돌출부(644)에 걸리게 되어, 제1 결합 돌기(730)가 수용 홈(645)에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제1 결합 돌기(730)는 결합 모서리(720)의 두께 방향(즉, 좌우 방향)에서 일측으로 치우쳐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결합 돌기(730)는 결합 모서리(720)의 좌측에 치우쳐 위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결합 돌기(730)가 치우쳐 위치되는 방향은 제2 결합 돌기(740)가 치우쳐 위치되는 방향과 반대될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 돌기(730)가 치우쳐 위치되는 방향은 제3 결합 돌기(750)가 치우쳐 위치되는 방향과 같을 수 있다.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결합 돌기(730) 및 제3 결합 돌기(750)는 결합 모서리(720)의 좌측에 치우쳐 위치된다. 또한, 제2 결합 돌기(740)는 결합 모서리(720)의 우측으로 치우쳐 위치된다.
제1 결합 돌기(730)는 제1 연장부(731), 제1 삽입부(732) 및 제1 체결부(733)를 포함한다.
제1 연장부(731)는 제1 결합 돌기(730)와 결합 모서리(720)가 연속되는 부분이다. 제1 연장부(731)는 결합 모서리(720)에서 지지 프레임(600)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
제1 연장부(731)는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장부(731)의 두께(즉, 좌우 방향 길이)는 제2 홈(642)의 폭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제1 연장부(731)의 두께는 제1 돌출부(643)와 제2 돌출부(644)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폭(즉, 좌우 방향 길이)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연장부(731)는 제2 홈(642)의 전방 측에서 제2 홈(642)을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600)을 향하는 제1 연장부(731)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 단부에는 제1 삽입부(732) 및 제1 체결부(733)가 연속된다.
제1 삽입부(732)는 제1 결합 돌기(730)의 부분 중 수용 홈(645)에 수용되는 부분이다. 제1 삽입부(732)는 제2 홈(642)을 관통하여 수용 홈(645)에 삽입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삽입부(732)는 제1 연장부(73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그 단면적이 감소되도록 형성된다. 달리 표현하면, 제1 연장부(731)에 연결되는 제1 삽입부(732)의 일측 단부의 단면적은, 지지 프레임(600)을 향하는 타측 단부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삽입부(732)는 작은 단면적으로 형성되는 부분이 제2 홈(642)에 먼저 삽입된다. 따라서, 제1 삽입부(732)가 제2 홈(642)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제1 삽입부(732)와 제1 연장부(731)가 연속되는 부분에는, 제1 체결부(733)가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에 따라, 제1 삽입부(732)는 제1 연장부(731)보다 큰 폭으로 형성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삽입부(732)의 일측에는 제1 체결부(733)가 위치된다.
제1 체결부(733)는 수용 홈(645)에 삽입된 제1 결합 돌기(730)가 임의로 인출되지 않게 한다. 제1 체결부(733)는 제1 삽입부(732)와 함께 수용 홈(645)에 수용된다.
제1 체결부(733)는 제1 삽입부(732)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체결부(733)는 제1 연장부(731)와 제1 삽입부(732)가 연속되는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체결부(733)는 제1 삽입부(732)의 측면에서 방사상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체결부(733)는 제1 결합 돌기(730)가 결합 모서리(720)에 치우친 방향인 좌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제1 체결부(733)는 제1 삽입부(732)의 일 측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체결부(733)는 제1 삽입부(732)의 측면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삽입부(732)에 반대되는 제1 체결부(733)의 일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단부는 플레이트부(710)의 면보다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전방 측에서 바라보았을 때, 제1 체결부(733)의 상기 일측 단부는 플레이트부(710)의 면보다 더 좌측에 위치된다.
제1 체결부(733)는 제1 연장부(731)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제1 삽입부(732)의 단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제1 체결부(733)는 지지 프레임(600)을 향하는 방향(즉, 전방 측)을 따라 제1 삽입부(732)의 단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체결부(733)는 제1 연장부(731)에서 멀어질수록 그 단면적이 감소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1 결합 돌기(730)는 상측에서 바라보았을 때, 지지 프레임(600)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화살표, 또는 후크(hook)의 형상이다.
이에 따라, 제1 결합 돌기(730)는 플레이트 결합부(640)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 돌기(730)가 플레이트 결합부(640)에 삽입되면, 제1 체결부(733)가 제1 돌출부(643) 및 제2 돌출부(644)와 접촉된다. 이에 따라, 제1 결합 돌기(730)가 플레이트 결합부(640)에서 임의로 인출되지 않게 된다.
제2 결합 돌기(740)는 제1 결합 돌기(730) 및 제3 결합 돌기(750)의 사이에 위치된다. 제2 결합 돌기(740)는 제1 결합 돌기(730) 및 제3 결합 돌기(750)와 각각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2 결합 돌기(740)는 결합 모서리(720)에서 지지 프레임(600)을 향해 연장된다. 제2 결합 돌기(740)는 플레이트 결합부(640)에 삽입 결합된다.
제2 결합 돌기(740)는 외력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며 복원력을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결합 돌기(740)는 제2 홈(642)을 통과할 때 결합 모서리(720)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형상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제2 결합 돌기(740)의 삽입이 완료되면, 제2 결합 돌기(740)는 저장된 복원력에 의해 원래 형상으로 복귀된다.
이에 따라, 제2 결합 돌기(740)는 제1 돌출부(643) 또는 제2 돌출부(644)에 걸리게 되어, 제2 결합 돌기(740)가 수용 홈(645)에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제2 결합 돌기(740)는 결합 모서리(720)의 두께 방향(즉, 좌우 방향)에서 일측으로 치우쳐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결합 돌기(740)는 결합 모서리(720)의 우측에 치우쳐 위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결합 돌기(740)가 치우쳐 위치되는 방향은 제1 결합 돌기(730) 및 제3 결합 돌기(750)가 치우쳐 위치되는 방향과 반대될 수 있다.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결합 돌기(740)는 결합 모서리(720)의 우측에 치우쳐 위치된다. 또한, 제1 결합 돌기(730) 및 제3 결합 돌기(750)는 결합 모서리(720)의 좌측에 치우쳐 위치된다.
제2 결합 돌기(740)는 제2 연장부(741), 제2 삽입부(742) 및 제2 체결부(743)를 포함한다.
제2 연장부(741)는 제2 결합 돌기(740)와 결합 모서리(720)가 연속되는 부분이다. 제2 연장부(741)는 결합 모서리(720)에서 지지 프레임(600)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
제2 연장부(741)는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장부(741)의 두께(즉, 좌우 방향 길이)는 제2 홈(642)의 폭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제2 연장부(741)의 두께는 제1 돌출부(643)와 제2 돌출부(644)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폭(즉, 좌우 방향 길이)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연장부(741)는 제2 홈(642)의 전방 측에서 제2 홈(642)을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600)을 향하는 제2 연장부(741)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 단부에는 제2 삽입부(742) 및 제2 체결부(743)가 연속된다.
제2 삽입부(742)는 제2 결합 돌기(740)의 부분 중 수용 홈(645)에 수용되는 부분이다. 제2 삽입부(742)는 제2 홈(642)을 관통하여 수용 홈(645)에 삽입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삽입부(742)는 제2 연장부(74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그 단면적이 감소되도록 형성된다. 달리 표현하면, 제2 연장부(741)에 연결되는 제2 삽입부(742)의 일측 단부의 단면적은, 지지 프레임(600)을 향하는 타측 단부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2 삽입부(742)는 작은 단면적으로 형성되는 부분이 제2 홈(642)에 먼저 삽입된다. 따라서, 제2 삽입부(742)가 제2 홈(642)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제2 삽입부(742)와 제2 연장부(741)가 연속되는 부분에는, 제2 체결부(743)가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에 따라, 제2 삽입부(742)는 제2 연장부(741)보다 큰 폭으로 형성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제2 삽입부(742)의 일측에는 제2 체결부(743)가 위치된다.
제2 체결부(743)는 수용 홈(645)에 삽입된 제2 결합 돌기(740)가 임의로 인출되지 않게 한다. 제2 체결부(743)는 제2 삽입부(742)와 함께 수용 홈(645)에 수용된다.
제2 체결부(743)는 제2 삽입부(742)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체결부(743)는 제2 연장부(741)와 제2 삽입부(742)가 연속되는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체결부(743)는 제2 삽입부(742)의 측면에서 방사상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체결부(743)는 제2 결합 돌기(740)가 결합 모서리(720)에 치우친 방향인 우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제2 체결부(743)가 돌출되는 상기 방향은 제1 체결부(733)가 돌출되는 방향과 반대됨이 이해될 것이다.
제2 체결부(743)는 제2 삽입부(742)의 일 측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우측 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체결부(743)는 제2 삽입부(742)의 측면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제2 삽입부(742)에 반대되는 제2 체결부(743)의 일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우측 단부는 플레이트부(710)의 면보다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전방 측에서 바라보았을 때, 제2 체결부(743)의 상기 일측 단부는 플레이트부(710)의 면보다 더 우측에 위치된다.
제2 체결부(743)는 제2 연장부(741)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제2 삽입부(742)의 단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제2 체결부(743)는 지지 프레임(600)을 향하는 방향(즉, 전방 측)을 따라 제2 삽입부(742)의 단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체결부(743)는 제2 연장부(741)에서 멀어질수록 그 단면적이 감소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2 결합 돌기(740)는 상측에서 바라보았을 때, 지지 프레임(600)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화살표, 또는 후크(hook)의 형상이다.
이에 따라, 제2 결합 돌기(740)는 플레이트 결합부(640)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2 결합 돌기(740)가 플레이트 결합부(640)에 삽입되면, 제2 체결부(743)가 제1 돌출부(643) 및 제2 돌출부(644)와 접촉된다. 이에 따라, 제2 결합 돌기(740)가 플레이트 결합부(640)에서 임의로 인출되지 않게 된다.
제3 결합 돌기(750)는 제1 내지 제3 결합 돌기(730, 740, 750) 중 가장 하측에 위치된다. 제3 결합 돌기(750)는 제2 결합 돌기(740)와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3 결합 돌기(750)는 결합 모서리(720)에서 지지 프레임(600)을 향해 연장된다. 제3 결합 돌기(750)는 플레이트 결합부(640)에 삽입 결합된다.
제3 결합 돌기(750)는 외력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며 복원력을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결합 돌기(750)는 제2 홈(642)을 통과할 때 결합 모서리(720)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형상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제3 결합 돌기(750)의 삽입이 완료되면, 제3 결합 돌기(750)는 저장된 복원력에 의해 원래 형상으로 복귀된다.
이에 따라, 제3 결합 돌기(750)는 제1 돌출부(643) 또는 제2 돌출부(644)에 걸리게 되어, 제3 결합 돌기(750)가 수용 홈(645)에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제3 결합 돌기(750)는 결합 모서리(720)의 두께 방향(즉, 좌우 방향)에서 일측으로 치우쳐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3 결합 돌기(750)는 결합 모서리(720)의 우측에 치우쳐 위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결합 돌기(750)가 치우쳐 위치되는 방향은 제1 결합 돌기(730) 및 제3 결합 돌기(750)가 치우쳐 위치되는 방향과 반대될 수 있다.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3 결합 돌기(750)는 결합 모서리(720)의 우측에 치우쳐 위치된다. 또한, 제1 결합 돌기(730) 및 제3 결합 돌기(750)는 결합 모서리(720)의 좌측에 치우쳐 위치된다.
제3 결합 돌기(750)는 제3 연장부(751), 제3 삽입부(752) 및 제3 체결부(753)를 포함한다.
제3 연장부(751)는 제3 결합 돌기(750)와 결합 모서리(720)가 연속되는 부분이다. 제3 연장부(751)는 결합 모서리(720)에서 지지 프레임(600)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
제3 연장부(751)는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3 연장부(751)의 두께(즉, 좌우 방향 길이)는 제2 홈(642)의 폭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제3 연장부(751)의 두께는 제1 돌출부(643)와 제2 돌출부(644)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폭(즉, 좌우 방향 길이)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연장부(751)는 제2 홈(642)의 전방 측에서 제2 홈(642)을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600)을 향하는 제3 연장부(751)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 단부에는 제3 삽입부(752) 및 제3 체결부(753)가 연속된다.
제3 삽입부(752)는 제3 결합 돌기(750)의 부분 중 수용 홈(645)에 수용되는 부분이다. 제3 삽입부(752)는 제2 홈(642)을 관통하여 수용 홈(645)에 삽입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3 삽입부(752)는 제3 연장부(75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그 단면적이 감소되도록 형성된다. 달리 표현하면, 제3 연장부(751)에 연결되는 제3 삽입부(752)의 일측 단부의 단면적은, 지지 프레임(600)을 향하는 타측 단부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3 삽입부(752)는 작은 단면적으로 형성되는 부분이 제2 홈(642)에 먼저 삽입된다. 따라서, 제3 삽입부(752)가 제2 홈(642)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제3 삽입부(752)와 제3 연장부(751)가 연속되는 부분에는, 제3 체결부(753)가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에 따라, 제3 삽입부(752)는 제3 연장부(751)보다 큰 폭으로 형성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제3 삽입부(752)의 일측에는 제3 체결부(753)가 위치된다.
제3 체결부(753)는 수용 홈(645)에 삽입된 제3 결합 돌기(750)가 임의로 인출되지 않게 한다. 제3 체결부(753)는 제3 삽입부(752)와 함께 수용 홈(645)에 수용된다.
제3 체결부(753)는 제3 삽입부(752)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체결부(753)는 제3 연장부(751)와 제3 삽입부(752)가 연속되는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제3 체결부(753)는 제3 삽입부(752)의 측면에서 방사상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3 체결부(753)는 제3 결합 돌기(750)가 결합 모서리(720)에 치우친 방향인 좌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제3 체결부(753)가 돌출되는 상기 방향은 제1 체결부(733)가 돌출되는 방향과 같음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제3 체결부(753)가 돌출되는 상기 방향은 제2 체결부(743)가 돌출되는 방향에 반대됨이 이해될 것이다.
제3 체결부(753)는 제3 삽입부(752)의 일 측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체결부(753)는 제3 삽입부(752)의 측면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제3 삽입부(752)에 반대되는 제3 체결부(753)의 일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단부는 플레이트부(710)의 면보다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전방 측에서 바라보았을 때, 제3 체결부(753)의 상기 일측 단부는 플레이트부(710)의 면보다 더 좌측에 위치된다.
제3 체결부(753)는 제3 연장부(751)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제3 삽입부(752)의 단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제3 체결부(753)는 지지 프레임(600)을 향하는 방향(즉, 전방 측)을 따라 제3 삽입부(752)의 단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3 체결부(753)는 제3 연장부(751)에서 멀어질수록 그 단면적이 감소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3 결합 돌기(750)는 상측에서 바라보았을 때, 지지 프레임(600)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화살표, 또는 후크(hook)의 형상이다.
이에 따라, 제3 결합 돌기(750)는 플레이트 결합부(640)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3 결합 돌기(750)가 플레이트 결합부(640)에 삽입되면, 제3 체결부(753)가 제1 돌출부(643) 또는 제2 돌출부(644)와 접촉된다. 이에 따라, 제3 결합 돌기(750)가 플레이트 결합부(640)에서 임의로 인출되지 않게 된다.
5.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연 부재(700)가 결합되는 과정의 설명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접촉기(10)는 절연 부재(700)를 포함한다. 절연 부재(700)는 지지 프레임(6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절연 부재(700)는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고정 접점부(400) 사이에 각각 위치된다.
이에 따라, 전자 접촉기(10)에 통전되는 서로 다른 상의 전류 사이의 전기적인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연 부재(700)가 지지 프레임(600)에 결합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절연 부재(700)는 제1 절연 부재(700a) 및 제2 절연 부재(700b)를 포함하여 두 개 구비된다. 제1 절연 부재(700a) 및 제2 절연 부재(700b)는 지지 프레임(600)의 전방 측에 형성되는 제1 플레이트 결합부(640a) 및 제2 플레이트 결합부(640b)에 각각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600)은 전후 방향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 프레임(600)의 후방 측에도 제1 플레이트 결합부(640a) 및 제2 플레이트 결합부(640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절연 부재(700)는 지지 프레임(600)의 후방 측에도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 절연 부재(700a)는 후방 측의 제1 플레이트 결합부(640a)에, 제2 절연 부재(700b)는 후방 측의 제2 플레이트 결합부(640b)에 결합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절연 부재(700)가 지지 프레임(600)의 전방 측에 결합되는 과정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과정은, 절연 부재(7000가 지지 프레임(600)의 후방 측에 결합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절연 부재(700)가 지지 프레임(600)에 결합되는 과정이 사시도로 도시된다.
절연 부재(700)는 지지 프레임(600)의 전방 측에 배치된다. 절연 부재(700)는 지지 프레임(600)을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을 향해 이동된다.
이때, 절연 부재(700)는 제1 절연 부재(700a) 및 제2 절연 부재(700b)를 포함하여, 두 개 구비된다. 제1 절연 부재(700a) 및 제2 절연 부재(700b)는 각각 제1 플레이트 결합부(640a) 및 제2 플레이트 결합부(640b)를 향해 이동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절연 부재(700)의 제3 결합 돌기(750)의 하측 단부는, 제1 홈(641) 및 제2 홈(642)을 하측에서 감싸는 면과 같은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제3 결합 돌기(750)의 하측 단부는 상기 면에 안착되며 플레이트 결합부(640)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절연 부재(700)가 지지 프레임(600)에 결합되는 과정이 평면도로 도시된다.
절연 부재(700)의 제1 내지 제3 결합 돌기(730, 740, 750)는 플레이트 결합부(640)에 삽입된다.
구체적으로, 제1 내지 제3 결합 돌기(730, 740, 750)의 각 삽입부(732, 742, 752) 및 각 체결부(733, 743, 753)가 먼저 제2 홈(642)에 삽입된다.
이때, 제1 내지 제3 결합 돌기(730, 740, 750)는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어, 소정의 형상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폭 방향(즉, 좌우 방향)을 따라 각 삽입부(732, 742, 752) 사이의 최장 거리 및 각 체결부(733, 743, 753) 사이의 최장 거리는 제2 홈(642)의 폭보다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1 내지 제3 결합 돌기(730, 740, 750)는 서로를 향해 굽어져 형상이 변형되며 제2 홈(642)에 삽입된다.
구체적으로, 결합 모서리(720)의 좌측에 치우치게 위치되는 제1 결합 돌기(730) 및 제3 결합 돌기(750)는 우측, 즉 제2 결합 돌기(740)가 치우친 방향을 향해 굽어지며 형상이 변형된다.
또한, 결합 모서리(720)의 우측에 치우치게 위치되는 제2 결합 돌기(740)는 좌측, 즉 제1 결합 돌기(730) 및 제3 결합 돌기(750)가 치우친 방향을 향해 굽어지며 형상이 변형된다.
상기 형상 변형에 의해, 각 삽입부(732, 742, 752) 사이의 최장 거리 및 각 체결부(733, 743, 753) 사이의 최장 거리는 제2 홈(642)의 폭 이하로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내지 제3 결합 돌기(730, 740, 750)는 제2 홈(642)을 관통하여 수용 홈(645)까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삽입 과정에서, 절연 부재(700)는 각 삽입부(732, 742, 752) 및 각 체결부(733, 743, 753)의 최외측이 제1 돌출부(643) 및 제2 돌출부(644)에 접촉되며 이동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제1 내지 제3 결합 돌기(730, 740, 750)는 제1 돌출부(643) 및 제2 돌출부(644)에 의해 가압되며 제2 홈(642) 및 수용 홈(645)에 삽입 결합된다.
도 17을 참조하면, 절연 부재(700)가 지지 프레임(600)에 결합된 상태가 평면도로 도시된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제1 내지 제3 결합 돌기(730, 740, 750)는 플레이트 결합부(640)에 결합된다.
결합이 완료되면, 각 연장부(731, 741, 751)는 제2 홈(642)에 관통 삽입된다. 또한, 각 삽입부(732, 742, 752) 및 각 체결부(733, 743, 753)는 수용 홈(645)에 수용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결합 돌기(730, 740, 750)는 형상이 변형되며 복원력을 저장한다. 또한, 수용 홈(645)은 제2 홈(642)보다 넓은 폭(즉, 좌우 방향)을 갖도록 형성된다.
더 나아가, 수용 홈(645)은 제1 내지 제3 결합 돌기(730, 740, 750)가 형상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서, 좌우 방향을 따라 제1 내지 제3 결합 돌기(730, 740, 750)의 최장 거리 이상의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1 내지 제3 결합 돌기(730, 740, 750)는 저장된 복원력에 의해 원래 형상으로 복원된다. 즉, 제1 및 제3 결합 돌기(730, 750) 및 제2 결합 돌기(740)는 서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굽어진다.
달리 표현하면, 제1 및 제3 결합 돌기(730, 750)는 결합 모서리(720)에 치우치게 위치되는 방향인 좌측을 향해 굽어진다. 또한, 제2 결합 돌기(740)는 결합 모서리(720)에 치우치게 위치되는 방향인 우측을 향해 굽어진다.
이에 따라, 각 삽입부(732, 742, 752) 및 각 체결부(733, 743, 753)는 수용 홈(645)의 폭 방향으로 전개된다.
이때, 각 체결부(733, 743, 753)는 제1 및 제2 돌출부(643, 644) 및 수용 홈(645)을 후방 측에서 감싸는 면 사이에 위치된다. 즉, 각 체결부(733, 743, 753)는 절연 부재(700)가 삽입되는 방향(즉, 전방 측)을 따라 제1 및 제2 돌출부(643, 644)와 겹쳐진다.
구체적으로, 제1 체결부(733) 및 제3 체결부(753)는 제1 돌출부(643)와 전후 방향으로 겹쳐진다. 또한, 제2 체결부(743)는 제2 돌출부(644)와 전후 방향으로 겹쳐진다.
즉, 각 체결부(733, 743, 753)는 플레이트 결합부(640)에 스냅 체결 또는 후크 결합된다.
따라서, 절연 부재(700)에 지지 프레임(600)에서 멀어지는 방향,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을 향하는 힘을 인가하여도, 각 체결부(733, 743, 753)와 각 돌출부(643, 644)가 접촉되어 절연 부재(700)가 지지 프레임(600)이 분리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절연 부재(700)와 지지 프레임(600)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각 결합 돌기(730, 740, 750)가 서로를 향해 가압된 후, 플레이트 결합부(640)에서 분리됨으로써 절연 부재(700)가 지지 프레임(600)에서 분리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더 나아가,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아크 박스(520)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절연 부재(700)가 지지 프레임(600)에 결합된다. 대안적으로, 지지 프레임(600)에 아크 박스(520)가 결합된 상태에서도 절연 부재(700)가 결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도 4 참조).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전자 접촉기
100: 프레임
110: 베이스부
120: 하부 프레임부
200: 구동부
210: 크로스바
211: 접점대 연결부
212: 가동 코어
213: 고정부
220: 탄성 부재
221: 제1 탄성 부재
222: 제2 탄성 부재
300: 가동 접점부
310: 가동 접점대
320: 가동 접점
321: 제1 가동 접점
322: 제2 가동 접점
400: 고정 접점부
410: 고정 접점대
411: 제1 고정 접점대
412: 제2 고정 접점대
420: 고정 접점 블록
421: 제1 고정 접점 블록
422: 제2 고정 접점 블록
430: 고정 접점
431: 제1 고정 접점
432: 제2 고정 접점
500: 아크 소호부
510: 아크 챔버(arc chamber)
520: 아크 박스(arc box)
521: 커버부
522: 아크 배출공
523: 프레임 결합부
600: 지지 프레임
610: 아크 박스 결합부
620: 아크 챔버 수용부
630: 격벽부
640: 플레이트 결합부
640a: 제1 플레이트 결합부
640b: 제2 플레이트 결합부
641: 제1 홈
642: 제2 홈
643: 제1 돌출부
644: 제2 돌출부
645: 수용 홈(진짜 끼워지는 부분)
700: 절연 부재
700a: 제1 절연 부재
700b: 제2 절연 부재
710: 플레이트부
720: 결합 모서리
730: 제1 결합 돌기
731: 제1 연장부
732: 제1 삽입부
733: 제1 체결부
740: 제2 결합 돌기
741: 제2 연장부
742: 제2 삽입부
743: 제2 체결부
750: 제3 결합 돌기
751: 제3 연장부
752: 제3 삽입부
753: 제3 체결부

Claims (18)

  1. 판 형으로 형성되는 플레이트부;
    상기 플레이트부의 일측 모서리를 형성하는 결합 모서리; 및
    상기 결합 모서리에 구비되어, 전자 접촉기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결합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플레이트부의 상기 일측에서 상기 전자 접촉기를 향해 연장되며, 소정의 폭을 갖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위치되며, 상기 전자 접촉기를 향해 연장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의 일측에서 돌출되며, 상기 연장부보다 큰 폭을 갖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돌기는 복수 개 구비되며,
    복수 개의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결합 모서리의 일측에 치우치게 위치되는 제1 결합 돌기;
    상기 제1 결합 돌기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결합 모서리의 상기 일측에 반대되는 타측에 치우치게 위치되는 제2 결합 돌기; 및
    상기 제2 결합 돌기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결합 모서리의 상기 일측에 치우치게 위치되는 제3 결합 돌기를 포함하는,
    절연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는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플레이트부의 두께보다 작은 폭을 갖게 형성되는,
    절연 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플레이트부의 두께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체결부의 일측의 단부는,
    상기 플레이트부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플레이트부의 일측의 면보다 더 외측에 위치되는,
    절연 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플레이트부의 두께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삽입부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장되는,
    절연 부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연장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그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연장부와 상기 삽입부가 연속되는 지점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절연 부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결합 돌기는 상기 결합 모서리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절연 부재.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돌기의 제1 체결부는, 상기 결합 모서리의 상기 일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 결합 돌기의 제2 체결부는, 상기 결합 모서리의 상기 타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3 결합 돌기의 제3 체결부는, 상기 결합 모서리의 상기 일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절연 부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는,
    상기 결합 모서리에 반대되는 타측의 모서리의 각 단부가 모따기(taper) 가공되는,
    절연 부재.
  10. 고정 접점;
    상기 고정 접점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고정 접점과 접촉되거나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가동 접점;
    상기 고정 접점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절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절연 부재는,
    판 형으로 형성되는 플레이트부;
    상기 플레이트부의 일측 모서리를 형성하는 결합 모서리; 및
    상기 결합 모서리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결합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플레이트부의 상기 일측에서 상기 지지 프레임을 향해 연장되며, 소정의 폭을 갖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위치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을 향해 연장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의 일측에서 돌출되며, 상기 연장부보다 큰 폭을 갖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돌기는 복수 개 구비되며,
    복수 개의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결합 모서리의 일측에 치우치게 위치되는 제1 결합 돌기;
    상기 제1 결합 돌기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결합 모서리의 상기 일측에 반대되는 타측에 치우치게 위치되는 제2 결합 돌기; 및
    상기 제2 결합 돌기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결합 모서리의 상기 일측에 치우치게 위치되는 제3 결합 돌기를 포함하는,
    전자 접촉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절연 부재를 향하는 일측 면에서 함몰 형성되는 제1 홈; 및
    상기 제1 홈을 양측에서 감싸는 면에서 돌출되며, 서로 마주하는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전자 접촉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기 일측 면에서, 상기 절연 부재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홈이 함몰 형성되는 깊이는,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가 연장되는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전자 접촉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인 제2 홈; 및
    상기 제2 홈과 각각 연통되며, 상기 절연 부재에 반대되는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공간인 수용 홈을 포함하며,
    상기 절연 부재의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2 홈에 삽입되고,
    상기 절연 부재의 상기 삽입부 및 상기 체결부는 상기 수용 홈에 삽입되는,
    전자 접촉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절연 부재가 상기 지지 프레임에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와 겹쳐지게 배치되는,
    전자 접촉기.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접점 및 상기 절연 부재는 각각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상기 절연 부재는,
    복수 개의 상기 고정 접점 사이에 각각 위치되는,
    전자 접촉기.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결합 모서리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전자 접촉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돌기의 제1 체결부는, 상기 결합 모서리의 상기 일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 결합 돌기의 제2 체결부는, 상기 결합 모서리의 상기 타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3 결합 돌기의 제3 체결부는, 상기 결합 모서리의 상기 일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전자 접촉기.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부재와 상기 지지 프레임은 후크(hook) 결합되는,
    전자 접촉기.
KR1020200003859A 2020-01-10 2020-01-10 절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접촉기 KR102303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3859A KR102303549B1 (ko) 2020-01-10 2020-01-10 절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접촉기
PCT/KR2020/019406 WO2021141320A1 (ko) 2020-01-10 2020-12-30 전자 접촉기
CN202080092556.1A CN114946005A (zh) 2020-01-10 2020-12-30 电磁接触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3859A KR102303549B1 (ko) 2020-01-10 2020-01-10 절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접촉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0497A KR20210090497A (ko) 2021-07-20
KR102303549B1 true KR102303549B1 (ko) 2021-09-17

Family

ID=77127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3859A KR102303549B1 (ko) 2020-01-10 2020-01-10 절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접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354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1836A (ja) * 1998-06-22 2000-01-14 Fuji Electric Co Ltd 電気機器
KR200200492Y1 (ko) * 2000-05-10 2000-10-16 엘지산전주식회사 단독 취부장치와 안전 덮개를 구비한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04996B2 (ja) 2003-01-22 2008-06-18 三菱電機株式会社 遮断器
CN102064059B (zh) 2009-11-13 2013-12-11 三菱电机株式会社 漏电断路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1836A (ja) * 1998-06-22 2000-01-14 Fuji Electric Co Ltd 電気機器
KR200200492Y1 (ko) * 2000-05-10 2000-10-16 엘지산전주식회사 단독 취부장치와 안전 덮개를 구비한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0497A (ko) 2021-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19248B1 (en) Electromagnetic relay
JP2023518699A (ja) 気中遮断器
CN106971882B (zh) 电路中断设备、灭弧装置及相关方法
KR102303549B1 (ko) 절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접촉기
JP2023518697A (ja) アーク消弧部、及びこれを含む気中遮断器
KR102303548B1 (ko) 커버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접촉기
KR102349754B1 (ko) 아크 박스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접촉기
KR102556749B1 (ko) 기중 차단기
KR102275001B1 (ko) 아크를 효과적으로 소호할 수 있는 전자 접촉기
JP5288083B1 (ja) 開閉器
CN114946005A (zh) 电磁接触器
EP4339981A1 (en) Arc extinguishing unit, interruption unit, and air circuit breaker comprising same
EP4339980A1 (en) Interrupter and air circuit breaker comprising same
CN216719778U (zh) 防电弧短路的电磁继电器
EP4339982A1 (en) Circuit breaking unit and air circuit breaker including same
EP4336533A1 (en) Breaker unit and air circuit breaker comprising same
KR102558812B1 (ko) 아크 소호부 및 이를 포함하는 기중 차단기
US20240186084A1 (en) Circuit breaking unit and air circuit breaker including same
JP2022553289A (ja) トリップ装置
KR20220155092A (ko) 차단부 및 이를 포함하는 기중 차단기
KR20230087979A (ko) 직류 릴레이
CN114496616A (zh) 一种防电弧短路的电磁继电器
CN116918022A (zh) 断路部及包括其的空气断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