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0224A - 음향 조정 선반 - Google Patents

음향 조정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0224A
KR20210090224A KR1020217017537A KR20217017537A KR20210090224A KR 20210090224 A KR20210090224 A KR 20210090224A KR 1020217017537 A KR1020217017537 A KR 1020217017537A KR 20217017537 A KR20217017537 A KR 20217017537A KR 20210090224 A KR20210090224 A KR 20210090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acoustic
shelf
absorbing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7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메구미 코노
야스히로 사키야마
카즈히로 마키노
켄타 네기
마사유키 히라타
신지 오하시
히로시 오야마
코이치 야마시타
Original Assignee
니혼온쿄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온쿄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온쿄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90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02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2Selection of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99Room acoustics, i.e. forms of, or arrangements in, rooms for influencing or directing soun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rchitecture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음향 조절 선반은 음향 특성을 용이하게 조정 가능하게 하고, 음향 특성을 조정하려고 하는 공간의 미감을 향상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음향 조절 선반은 복수의 구획을 갖는 선반 부재와, 이들 복수의 구획 중 적어도 1개의 구획에 이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또한 입력되는 소리의 특성을 변경하도록 구성되는 음향 조정 부재를 갖고 있다.

Description

음향 조정 선반
본 발명은 음향 특성을 조정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음향 조정 선반에 관한 것이다.
스튜디오, 시청실, 홀 등의 음향 제실에 있어서는, 음향 특성을 조정하기 위해서, 음향 제실의 벽면, 예를 들면 측벽면, 천장면 등을 따라 흡음체, 음향 반사체, 음향 확산체 등의 음향 조정 부재가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흡음체는 입력되는 소리를 흡수 가능하게 하는 흡음 특성을 갖는 것이다. 이러한 흡음체로서는, 글라스 울, 록 울 등의 다공질 재료를 사용하여 구성된 흡음 쿠션 등을 들 수 있다. 음향 반사체는 입력되는 소리를 각각 반사하는 음향 반사 특성을 갖는 것이다. 음향 반사체로서는 음향 반사판 등을 들 수 있다. 음향 확산체는, 입력되는 소리를 확산하는 음향 확산 특성을 초래하기 위해, 이러한 소리를 반사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기둥형상부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음향 확산체는 또한 음향 반사 특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음향 조정 부재는 단체로, 음향 제실 내에서 노출됨과 아울러 벽면을 덮도록 설치된다. 음향 조정 부재는 또한 단체로, 음향 제실 내에서 노출되도록 벽면에 부착되는 경우도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을 참조.)
국제공개 제 2009/142267호
흡음체, 음향 반사체, 음향 확산체 등의 음향 조정 부재를 단체로, 음향 제실 내에서 노출함과 아울러 벽면을 덮도록 설치하는 작업, 음향 조정 부재를 단체로, 음향 제실 내에서 노출하도록 벽면에 부착하는 작업 등의 설치 작업은 대규모로 된다. 그 때문에, 일단 설치한 음향 조정 부재를, 흡음 특성, 음향 반사 특성, 음향 확산 특성 등의 음향 특성을 변경하기 위해서 재설치하는 작업은 번거로운 것이 된다.
또한, 흡음체, 음향 반사체, 음향 확산체 등의 음향 조정 부재는 무기질이므로, 음향 조정 부재의 외관은 우수하지 않은 것으로 되어 있고, 그 결과, 음향 조정 부재를 단체로 설치한 음향 제실 내부의 미감은 우수하지 않은 것이 된다. 특히, 일반 가정의 방 등에 있어서도, 음향 조정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음향 특성을 개선하고 싶다는 요망이 증가하는 경향을 감안하면 이 것은 문제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음향 특성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고, 음향 특성을 조정하려고 하는 공간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음향 조정 선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일형태에 따른 음향 조정 선반은, 복수의 구획을 갖는 선반 부재와, 상기 복수의 구획 중 적어도 1개의 구획에 이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또한 입력되는 소리의 특성을 변경하도록 구성되는 음향 조정 부재를 구비한다.
일형태에 따른 음향 조정 선반에 있어서는, 음향 특성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고, 음향 특성을 조정하려고 하는 공간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제 1 형태에 따른 음향 조정 선반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제 1 형태에 따른 음향 조정 선반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의 제 2 형태에 따른 음향 조정 선반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의 제 3 형태에 따른 음향 조정 선반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의 제 4 형태에 따른 음향 조정 선반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의 제 5 형태에 따른 음향 조정 선반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실시형태의 제 6 형태에 따른 음향 조정 선반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실시예 1~5에 따른 음향 조정 선반에 있어서의 음향 주파수 및 흡음률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음향 조정 선반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이러한 음향 조정 선반은, 음향 특성을 조정하려고 하는 공간(이하, 「음향 조정 공간」이라고 한다)에 설치 가능하게 구성되고, 또한 이러한 음향 조정 공간의 음향 특성을 조정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음향 조정 공간은 방 등의 바닥면, 벽면 등에 의해 획정되는 공간이면 좋다. 음향 조정 공간은 사람이 출입할 수 있는 공간이면 좋다. 이러한 음향 조정 공간은, 실질적으로 외부로부터 폐쇄된 공간이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외부에 개방됨과 아울러 부분적으로 외부로부터 폐쇄된 공간이면 좋다. 예를 들면, 음향 조정 공간을 갖는 방(이하, 「음향 조정실」이라고 한다)으로서는, 스튜디오, 시청실, 홀 등과 같은 음향 제실, 회의실, 오피스룸, 입구 홀, 대합실, 일반 가옥의 방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음향 조정실은 물론, 여기에서 예시한 것이외라도 좋다. 또한, 음향 조정 공간은 여기에서 말한 조건 이외의 조건에 근거하는 공간으로 할 수도 있다.
「음향 조정 선반의 기본적인 구성」
도 1~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음향 조정 선반의 기본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도 1~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음향 조정 선반은 복수의 구획(11, 12)을 갖는 선반 부재(10)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도 1~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치된 선반 부재(10)의 자세를 기본 자세로 정의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본 자세로부터 옆으로 눕도록 설치된 선반 부재(10)의 자세를 옆으로 누운 자세로 정의한다.
이하에 있어서는, 선반 부재(1)의 깊이 방향, 폭방향 및 높이 방향은, 기본 자세를 기준으로 해서 정의한다. 즉, 선반 부재(10)가, 기본 자세 이외의 자세, 예를 들면 옆으로 누운 자세로 설치되었을 경우여도, 기본 자세로 정의된 깊이 방향, 폭방향 및 높이 방향을 그대로 사용한다.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반 부재(10)가 옆으로 누운 자세로 설치되었을 경우에 있어서의 실제의 깊이 방향, 폭방향 및 높이 방향은, 기본 자세의 기준에 따라, 각각 깊이 방향, 높이 방향 및 폭방향이라고 불린다. 또한, 음향 조정 선반의 깊이 방향, 폭방향 및 높이 방향은, 각각, 선반 부재(10)의 깊이 방향, 폭방향 및 높이 방향과 동일하다.
도 1~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본 자세에 있어서는, 선반 부재(10)의 높이 방향의 저부(10a)는 음향 조정실(R)의 바닥면(F)을 향하고, 또한 선반 부재(10)의 높이 방향의 정부(頂部)(10b)는 음향 조정실(R)의 천장면(도시하지 않음)을 향한다. 선반 부재(10)는 기본 자세에 있어서, 그 저부(10a)를 음향 조정실(R)의 바닥면(F)에 접촉시키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선반 부재(10)는 기본 자세에 있어서 음향 조정실(R)의 바닥면(F) 상에 적재되어 있다. 또한, 선반 부재(10)는 기본 자세에 있어서 측벽면(W)을 따라 배치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선반 부재는, 그 저부가 음향 조정실의 바닥면에 대하여 높이 방향으로 간격을 띄움과 아울러 그 배면이 음향 조정실의 측벽면에 부착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도 1~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음향 조정 선반은 입력되는 소리의 특성을 변경하도록 구성되는 음향 조정 부재(20, 30)를 구비한다. 음향 조정 부재(20, 30)는 복수의 구획(11, 12) 중 적어도 1개에 이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1~도 7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음향 조정 부재(20)는, 입력되는 소리를 각각 반사 가능하게 구성되는 복수의 기둥형상부(21)를 갖는 음향 확산체(20)로 할 수 있다. 도 1~도 6,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음향 조정 부재(30)는 또한 흡음 가능하게 구성되는 흡음 쿠션(30)으로 할 수도 있다. 이하에 있어서, 음향 확산체(20)를 설치한 구획(11)을 확산 구획(11)이라 부르고, 또한 흡음 쿠션(30)을 설치한 구획(12)을 흡음 구획(12)이라고 부른다. 그러나, 음향 조정 부재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음향 조정 부재는 흡음 쿠션이외의 흡음체, 음향 반사판 등의 음향 반사체 등으로 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음향 조정 선반은, 입력되는 소리의 특성을 변경하도록 구성되는 추가 음향 조정 부재(40)를 구비할 수 있다. 추가 음향 조정 부재(40)는, 확산 구획(11)에서, 음향 확산체(20)에 대하여 선반 부재(1)의 배면측에 이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추가 음향 조정 부재(40)는, 흡음 가능하게 구성되는 흡음 쿠션(이하, 필요에 따라 「추가 흡음 쿠션」이라고 한다)(4)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추가 음향 조정 부재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추가 음향 조정 부재는, 음향 확산체, 흡음 쿠션 이외의 흡음체, 음향 반사판 등의 음향 반사체 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확산 구획에 추가 음향 조정 부재를 설치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즉, 음향 조정 선반은 상기 음향 조정 부재만을 설치한 확산 구획을 가질 수도 있다.
도 1, 도 2 및 도 5~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음향 조정 선반은 확산 및 흡음 구획(11, 12) 중 적어도 일방을 갖는다. 이러한 음향 조정 선반은 확산 및 흡음 구획(11, 12)의 양방을 가질 수 있다. 음향 조정 선반은 확산 구획(11)만을 가질 수 있다. 음향 조정 선반은 흡음 구획(12)만을 가질 수도 있다. 특별히 명확하게 도시는 하지 않지만, 음향 조정 선반은, 확산 및 흡음 구획 중 적어도 일방에 추가해서, 조금도 부재를 배치하지 않는 구획을 가질 수도 있다.
「선반 부재의 구체적인 구성」
도 1~도 9를 참조하면, 선반 부재(10)의 구체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이 되어 있으면 좋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반 부재(10)의 각 구획(11, 12)은 깊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구획(11, 12)은, 선반 부재(10)의 정면에 위치하는 정면 개구(11a, 12a)와, 이 정면 개구(11a, 12a)에 대하여 깊이 방향에 대향하도록 선반 부재(10)의 배면에 위치하는 배면 개구(11b, 12b)를 갖는다. 각 구획(11, 12)의 정면 개구(11a, 12a)는, 음향 조정 선반 또는 선반 부재(10)의 외부의 공간, 특히, 음향 조정되는 음향 조정 선반 또는 선반 부재(10)의 외부의 공간을 향해서 개방된다. 그러나, 복수의 구획 중 적어도 1개의 구획이, 선반 부재의 배면에서 폐쇄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선반 부재의 배면측에 배판을 배치할 수 있다.
도 2~도 4를 참조하면, 각 구획(11, 12)은 선반 부재(10)의 정면 및 배면 사이에서 깊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납 공간(11c, 12c)을 갖는다. 바꿔 말하면, 수납 공간(11c, 12c)은 정면 개구(11a, 12a) 및 배면 개구(11b, 12b) 사이에서 깊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각 구획(11, 12)은, 그 구획(11, 12)의 수납 공간(11c, 12c)을 둘러싸도록 깊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둘레면(11d, 12d)을 갖는다. 또한, 각 둘레면 (11d, 12d)은, 선반 부재(10)의 저부(10a) 근처에 위치하는 저면(11e, 12e)과, 선반 부재(10)의 정부(10b) 근처에 위치하는 탑면(11f, 12f)을 갖는다. 각 둘레면 (11d, 12d)은 또한, 각각 선반 부재(10)의 폭방향의 양측부(10c) 근처에 위치하는 2개의 측면(11g, 12g)을 갖는다.
깊이 방향으로 직교하는 복수의 구획(11, 12)에 있어서의 횡단면의 면적은, 서로 실질적으로 동등하게 할 수 있다. 복수의 구획(11, 12)에 있어서의 정면에서 볼 때의 형상은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복수의 구획 중 적어도 1개의 구획에 있어서의 횡단면의 면적을, 다른 구획에 있어서의 횡단면의 면적과 다르게 할 수도 있다. 복수의 구획 중 적어도 1개의 구획에 있어서의 정면에서 볼 때의 형상을, 다른 구획에 있어서의 정면에서 볼 때의 형상과 다르게 할 수도 있다.
각 구획(11, 12)의 최소폭은 이 구획(11, 12)의 최대 깊이 또는 평균 깊이 이상으로 할 수 있다. 각 구획(11, 12)의 최소폭은 선반 부재(10)의 최대폭보다 작다. 각 구획(11, 12)의 최소 높이는 이 구획(11, 12)의 최대 깊이 또는 평균 깊이 이상으로 할 수 있다. 각 구획(11, 12)의 최소 높이는 선반 부재(10)의 최대 높이보다 작다. 그러나, 복수의 구획 중 적어도 1개의 구획의 최소폭을, 상기 구획의 최대 깊이 또는 평균 깊이보다 크게 할 수도 있다. 복수의 구획 중 적어도 1개의 구획의 최소 높이를, 상기 구획의 최대 깊이 또는 평균 깊이보다 크게 할 수도 있다.
도 1~도 9에 있어서, 각 구획(11, 12)은 정면에서 보아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각 구획(11, 12)은 또한 정면에서 보아 대략 정방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각 구획(11, 12)은 대략 사각형상의 횡단면을 갖도록 선반 부재(10)의 정면 및 배면 사이로 연장될 수 있다. 각 구획(11, 12)은, 또한, 대략 정방형상의 횡단면을 갖도록 선반 부재(10)의 정면 및 배면 사이로 연장될 수 있다. 그러나, 각 구획의 정면에서 볼 때의 형상은, 대략 사각형상 또는 대략 정방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복수의 구획 중 적어도 1개의 구획에 있어서의 정면으로 볼 때 형상을, 대략 다각형상, 대략 원형상, 대략 반원형상, 대략 부채형상, 그 밖의 기하학적 형상 등을 갖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 도 2 및 도 5~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반 부재(10)는 1개의 구획(11, 12)을 갖거나, 또는 폭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구획(11, 12)을 갖는 복수의 유닛(13, 14, 1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유닛(13~15)은 높이 방향으로 배열할 수 있다. 그러나, 선반 부재는 1개의 구획을 갖거나, 또는 폭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구획을 갖는 1개의 유닛만을 가질 수도 있다.
복수의 유닛(13~15) 중 적어도 1개는 적어도 1개의 확산 구획(11)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유닛(13~15) 중 적어도 1개는 적어도 1개의 흡음 구획(12)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유닛(13~15) 중 적어도 1개는 적어도 1개의 확산 구획(11) 및 적어도 1개의 흡음 구획(12)을 가질 수 있다.
높이 방향으로 이웃하는 유닛(13~15)의 일방에 있어서의 구획(11, 12)의 폭방향의 중심은, 그 타방에 있어서의 구획(11, 12)의 폭방향의 중심에 대하여, 폭방향으로 비켜서 배치할 수 있다. 그러나, 높이 방향으로 이웃하는 유닛의 일방에 있어서의 구획의 폭방향의 중심은, 그 타방에 있어서의 구획의 폭방향의 중심에 대하여, 폭방향에 대략 일치하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일례로서, 도 1, 도 2 및 도 5~도 9에 있어서는, 폭방향으로 배열되는 3개의 구획(11, 12)을 갖는 제 1 유닛(13)과, 폭방향으로 배열되는 2개의 구획(11, 12)을 갖고, 또한 제 1 유닛(13)에 대하여 선반 부재(10)의 높이 방향의 정부(10b) 근처에 인접하는 제 2 유닛(14)과, 폭방향으로 배열되는 3개의 구획(11, 12)을 갖고, 또한 제 2 유닛(14)에 대하여 선반 부재(10)의 높이 방향의 정부(10b) 근처에 인접하는 제 3 유닛(15)을 포함하는 선반 부재(10)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러한 제 1 유닛(13)은 2개의 확산 구획(11)과 1개의 흡음 구획(12)을 갖는다. 이러한 제 2 유닛(14)은 1개의 확산 구획(11)과 1개의 흡음 구획(12)을 갖는다. 이러한 제 3 유닛(15)은 1개의 확산 구획(11)과 2개의 흡음 구획(12)을 갖는다. 그러나, 선반 부재는, 이와 같이 도 1, 도 2 및 도 5~도 9에서 일례로서 나타내어진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각 유닛(13, 14, 15)은, 선반 부재(10)의 저부(10a) 근처에 위치하는 저판(13a, 14a, 15a)과, 이 저판(13a, 14a, 15a)에 대하여 높이 방향으로 간격을 띄우도록 선반 부재(10)의 정부(10b) 근처에 위치하는 천판(13b, 14b, 15b)을 갖는다. 각 유닛(13~15)의 저판(13a~15a) 및 천판(13b~15b) 사이의 간격은, 이들 사이에 구획(11, 12)을 형성 가능하게 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각 유닛(13~15)의 복수의 구획(11, 12)은, 높이 방향으로 그 유닛(13~15)의 저판(13a~15a) 및 천판(13b~15b)에 의해 획정되어 있다.
각 유닛(13, 14, 15)은, 그 유닛(13, 14, 15)의 저판(13a, 14a, 15a) 및 천판(13b, 14b, 15b) 사이로 연장됨과 아울러 서로 폭방향으로 간격을 띄우고 위치하는 복수의 측판(13c, 14c, 15c)을 갖는다. 각 유닛(13~15)의 복수의 구획(11, 12)은 폭방향으로 그 유닛(13~15)의 복수의 측판(13c~15c)에 의해 획정되어 있다. 높이 방향으로 이웃하는 유닛(13~15)은, 이들 유닛(13~15)의 일방에 있어서의 저판(13a~15a)을 그 타방에 있어서의 천판(13b~15b)과 접촉시키도록 조합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유닛(13~15)에 있어서의 저판(13a~15a) 및 천판(13b~15b)의 폭방향의 일방단은, 폭방향으로 서로 대략 일치하면 좋다. 이 경우,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반 부재(10)는, 옆으로 누운 자세에 있어서, 그것들의 폭방향의 일방단을 음향 조정실(R)의 바닥면(F)에 접촉시키도록 설치할 수 있다. 즉, 선반 부재(10)는, 옆으로 누운 자세에 있어서, 음향 조정실(R)의 바닥면(F) 상에 적재할 수 있다. 또한, 선반 부재(10)는, 옆으로 누운 자세에 있어서 측벽면(W)을 따라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각 유닛(13~15)에 있어서의 저판(13a~15a) 및 천판(13b~15b)이, 폭방향으로 반전 가능하게 구성되면 좋다. 이 경우, 선반 부재(1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유닛(13~15)에 있어서의 저판(13a~15a) 및 천판(13b~15b)의 폭방향의 일방단을 폭방향으로 서로 대략 일치시킨 상태와, 도 5~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유닛(13~15)에 있어서의 저판(13a~15a) 및 천판(13b~15b)의 폭방향의 일방단 중 일부의 일방단을 이들 중 별도의 일부의 일방단에 대하여 폭방향으로 비켜선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특별히 명확하게 도시는 하지 않지만, 선반 부재(10)의 복수의 구획(11, 12) 중 적어도 1개에 있어서의 둘레면(11d, 12d)에는, 그 구획(11, 12)의 외부와 연통하는 적어도 1개의 관통공을 형성할 수 있다. 음향 조정 선반은, 이러한 관통공의 수, 크기, 배치 위치, 형상 등을 적당히 조절함으로써, 음향 특성을 조정할 수도 있다.
「음향 조정 부재의 구체적인 구성」
도 1~도 9를 참조하면, 음향 조정 부재(20, 30)의 구체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이 되어 있으면 좋다. 도 1~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음향 조정 부재(20, 30)는, 이 음향 조정 부재(20, 30)를 설치한 구획(11, 12)에 있어서의 수납 공간(11c, 12c)의 깊이 방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점유하도록 배치된다.
도 1~도 7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음향 조정 부재(20)가 음향 확산체(20)일 경우에 있어서, 이러한 음향 확산체(20)의 각 기둥형상부(21)는 세장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기둥형상부(21)는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면 좋다. 여기에서, 음향 확산체(20)에 있어서는, 선반 부재(10)의 깊이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 방향을 두께 방향으로 정의하고, 기둥형상부(21)의 연장방향을 종방향으로 정의하고, 또한 두께 방향 및 종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을 횡방향으로 정의한다. 특히 도 1~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치된 음향 확산체(20)의 상태를 종치(縱置) 상태로 정의한다. 음향 확산체(20)가 종치 상태에 있을 경우, 음향 확산체(20)의 두께 방향, 종방향 및 횡방향은, 각각, 선반 부재(10)의 깊이 방향, 높이 방향 및 폭방향과 대략 일치한다.
그리고, 도 1~도 4 및 도 9에 있어서는, 음향 확산체(20)의 전부가 종치 상태에 있고, 도 5~도 8에 있어서는, 복수의 음향 확산체(20) 중 일부의 음향 확산체(20)가 종치 상태에 있고, 또한 복수의 음향 확산체(20) 중 나머지의 음향 확산체(20)는 다음에 말하는 횡치(橫置) 상태에 있다. 즉, 도 5~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치된 상기 나머지의 음향 확산체(20)의 상태를 횡치 상태로 정의한다. 음향 확산체(20)가 횡치 상태에 있을 경우, 음향 확산체(20)의 두께 방향, 종방향 및 횡방향은, 각각, 선반 부재(10)의 깊이 방향, 폭방향 및 높이 방향과 대략 일치한다.
음향 확산체(20)는, 그 종방향의 양단부에 각각 위치하는 2개의 지지부(22, 23), 즉, 제 1 지지부(22) 및 제 2 지지부(23)를 갖는다. 각 기둥형상부(21)의 연장 방향의 양단은 각각 2개의 지지부(22)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복수의 기둥형상부(21)는 서로 간격을 띄워서 배치된다. 2개의 지지부(22, 23)에 있어서의 횡방향의 일방단은 횡방향으로 대략 일치한다. 2개의 지지부(22, 23)에 있어서의 횡방향의 타방단도 또한 횡방향으로 대략 일치할 수 있다.
음향 확산체(20)가 종치 상태에 있을 경우, 제 1 지지부(22)가 확산 구획(11)의 저면(11e)에 접촉한다. 또한, 제 2 지지부(23)가 확산 구획(11)의 탑면 (11f)을 따라 배치되면 좋다. 음향 확산체(20)가 횡치 상태에 있을 경우, 제 1 및 제 2 지지부(22, 23)의 횡방향의 일방단이 확산 구획(11)의 저면(11e)에 접촉한다. 또한, 제 1 및 제 2 지지부(22, 23)가 각각 확산 구획(11)의 양측면(11g)을 따라 배치되면 좋다.
이러한 음향 확산체(20)는 Acoustic Grove(등록상표) System(AGS)의 기둥형상 확산체로 할 수 있다. 또한, 음향 확산체는 복수의 기둥형상부에 대하여 두께 방향의 배면측에 위치하는 배면부를 갖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어서,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음향 조정 부재(30)가 흡음 쿠션(30)일 경우에 있어서, 흡음 쿠션(30)은 그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흡음 쿠션(30)의 외표면에 배치되는 커버부(31)를 갖는다. 또한, 흡음 쿠션(30)의 내부 공간은 커버부(31)에 의해 둘러싸인 폐공간으로 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흡음 쿠션(30)은 그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흡음부(32)를 갖는다. 그러나, 흡음 쿠션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흡음 쿠션은 커버부를 갖지 않고, 흡음부만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흡음 쿠션(30)에 있어서는, 선반 부재(10)의 깊이 방향, 높이 방향 및 폭방향과 각각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을 깊이 방향, 높이 방향 및 폭방향으로 정의한다. 이러한 흡음 쿠션(30)의 높이 방향의 저부(30a)가 흡음 구획(12)의 저면 (12e)에 접촉한다. 이러한 흡음 쿠션(30)은, 높이 방향으로 흡음 구획(12)의 저면(12e) 및 탑면(12f)에 의해 끼워지거나, 또는 폭방향으로 흡음 구획(12)의 양측면(12g)에 의해 끼워진 상태에서 지지할 수 있다. 흡음 쿠션의 높이 방향의 정부(30b)는 흡음 구획(12)의 탑면을 따라 배치되면 좋다. 흡음 쿠션의 폭방향의 양측부(30c)는 각각 흡음 구획(12)의 양측면(12g)을 따라 배치되면 좋다.
또한, 흡음 쿠션(30)의 커버부(31)는 가요성을 가지면 좋다. 커버부(31)는 음향 투과성을 가지면 좋다. 커버부(31)는 통기성을 가지면 좋다. 특히, 커버부(31)는 천연 피혁, 합성 피혁, 직포, 또는 부직포를 사용하여 구성되면 좋다. 그러나, 커버부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흡음 쿠션(30)의 흡음부(32)는 흡음 성능을 갖는 재료를 사용하여 구성된다. 예를 들면, 흡음부(32)의 재료는 글라스 울로 할 수 있다. 그러나, 흡음부의 재료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흡음부의 재료는 록 울로 할 수도 있다. 흡음부의 재료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섬유, 아크릴(Polymethyl methacrylate, PMMA) 섬유, 폴리이미드(PI) 섬유 등의 수지 섬유로 이루어지는 재료로 할 수도 있다. 흡음부의 재료는 글라스 울, 록 울, 상기 수지 섬유 등을 포함하는 재료로 할 수도 있다. 흡음부의 재료는,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스펀지 재료로 할 수도 있다. 또한, 흡음 쿠션은 커버부와 흡음부 사이에 추가의 부재를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추가의 부재는 흡음부의 일부 또는 전체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면, 추가의 부재는, 골판지판, 고무판, 알루미늄박, 폴리에스테르 등을 사용하여 구성되는 필름 등으로 할 수 있다.
「추가 조정 부재의 구체적인 구성」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추가 음향 조정 부재(40)의 구체적인 구성은 다음 과 같이 되어 있으면 좋다. 추가 음향 조정 부재(40)는, 음향 조정 부재(20)를 설치한 구획(11)에 있어서의 수납 공간(11c)의 깊이 방향의 일부를 점유하도록 배치된다. 추가 음향 조정 부재(40)가 추가 흡음 쿠션(40)일 경우에 있어서, 추가 흡음 쿠션(40)은, 그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추가 흡음 쿠션(40)의 외표면에 배치되는 커버부(41)를 갖는다. 또한, 추가 흡음 쿠션(40)의 내부 공간은, 커버부(41)에 의해 둘러싸인 폐공간으로 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추가 흡음 쿠션(40)은 그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흡음부(42)를 갖는다. 그러나, 추가 흡음 쿠션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추가 흡음 쿠션은 커버부를 갖지 않고, 흡음부만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추가 흡음 쿠션(40)에 있어서는, 음향 확산체(20)의 두께 방향, 종방향 및 횡방향과 각각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을 두께 방향,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정의한다. 이러한 추가 흡음 쿠션(40)은 두께 방향으로 음향 확산체(20)에 접촉하면 좋다. 또한, 추가 흡음 쿠션(40)은 음향 확산체(20)에 이탈 가능하게 부착되면 좋다. 그러나, 추가 흡음 쿠션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추가 흡음 쿠션은 음향 확산체에 접합할 수 있다. 또한, 추가 흡음 쿠션은 흡음 구획의 둘레면에 의해 지지될 수도 있다.
음향 확산체(20)가 종치 상태에 있을 경우, 이러한 추가 흡음 쿠션(40)의 두께 방향, 종방향 및 횡방향은, 음향 확산체(20)에 대응해서, 각각 선반 부재(10)의 깊이 방향, 높이 방향 및 폭방향과 대략 일치한다. 음향 확산체(20)가 횡치 상태에 있을 경우, 추가 흡음 쿠션(40)의 두께 방향, 종방향 및 횡방향은 음향 확산체(20)에 대응해서, 각각 선반 부재(10)의 깊이 방향, 폭방향 및 높이 방향과 대략 일치한다.
또한, 추가 흡음 쿠션(40)의 커버부(41)는 가요성을 가지면 좋다. 커버부(41)는 음향 투과성을 가지면 좋다. 커버부(41)는 통기성을 가지면 좋다. 특히, 커버부(41)는 천연 피혁, 합성 피혁, 직포, 또는 부직포를 사용하여 구성되면 좋다. 추가 흡음 쿠션(40)의 커버부(41)의 재료는, 흡음 쿠션(30)의 커버부(31)의 재료와 동일해도 좋고, 달라도 좋다. 그러나, 커버부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추가 흡음 쿠션(40)의 흡음부(42)는 흡음 성능을 갖는 재료를 사용하여 구성된다. 추가 흡음 쿠션(40)의 흡음부(42)의 재료는, 흡음 쿠션(30)의 흡음부(32)의 재료와 동일해도 좋고, 달라도 좋다. 예를 들면, 흡음부(42)의 재료는 글라스 울로 할 수 있다. 그러나, 흡음부의 재료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흡음부의 재료는 록 울로 할 수도 있다. 흡음부의 재료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PET 섬유, 아크릴 섬유, 폴리이미드 섬유 등의 수지 섬유 등으로 이루어지는 재료로 할 수도 있다. 흡음부의 재료는 글라스 울, 록 울, 상기 수지 섬유 등을 포함하는 재료로 할 수도 있다. 흡음부의 재료는, 글라스 울, 록 울, 상기 수지 섬유 등을 포함하는 재료로 할 수도 있다. 흡음부의 재료는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스펀지 재료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추가 흡음 쿠션은 커버부와 흡음부 사이에 추가의 부재를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추가의 부재는 흡음부의 일부 또는 전체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면, 추가의 부재는, 골판지판, 고무판, 알루미늄박, 폴리에스테르 등을 사용하여 구성되는 필름 등으로 할 수 있다.
「음향 조정 선반의 베리에이션」
도 2 및 도 5~도 9를 참조하면, 음향 조정 선반은 다음과 같은 형태로 나타내는 베리에이션으로 설치할 수 있다. 즉,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 1 형태에 따른 음향 조정 선반에 있어서는, 선반 부재(10)는 복수의 확산 구획(11) 및 복수의 흡음 구획(12)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확산 구획(11)의 전부 에 있어서는, 음향 확산체(20)를 종치 상태로 할 수 있다. 복수의 유닛(13~15)에 있어서의 저판(13a~15a) 및 천판(13b~15b)의 폭방향의 일방단을 폭방향으로 서로 대략 일치시킬 수 있다. 선반 부재(10)를, 그 저부(10a)를 음향 조정실(R)의 바닥면(F)에 접촉시키도록 기본 자세로 설치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 2 형태에 따른 음향 조정 선반에 있어서는, 선반 부재(10)는 복수의 확산 구획(11) 및 복수의 흡음 구획(12)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확산 구획(11)의 전부에 있어서는, 음향 확산체(20)를 종치 상태로 할 수 있다. 복수의 유닛(13~15)에 있어서의 저판(13a~15a) 및 천판(13b~15b)의 폭방향의 일방단 중 일부의 일방단을 이들 중 별도의 일부의 일방단에 대하여 폭방향으로 비켜 놓을 수 있다. 선반 부재(10)를, 그 저부(10a)를 음향 조정실(R)의 바닥면(F)에 접촉시키도록 기본 자세로 설치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 3 형태에 따른 음향 조정 선반에 있어서는, 선반 부재(10)는 복수의 확산 구획(11) 및 복수의 흡음 구획(12)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확산 구획(11) 중 일부의 확산 구획(11)에 있어서는, 음향 확산체(20)를 종치 상태로 할 수 있고, 또한 이들 중 나머지의 확산 구획(11)에 있어서는, 음향 확산체(20)를 횡치 상태로 할 수 있다. 복수의 유닛(13~15)에 있어서의 저판(13a~15a) 및 천판(13b~15b)의 폭방향의 일방단 중 일부의 일방단을 이들 중 별도의 일부의 일방단에 대하여 폭방향으로 비켜 놓을 수 있다. 선반 부재(10)를, 그 저부(10a)를 음향 조정실(R)의 바닥면(F)에 접촉시키도록 기본 자세로 설치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 4 형태에 따른 음향 조정 선반에 있어서는, 선반 부재(10)는 복수의 확산 구획(11)만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확산 구획(11) 중 일부의 확산 구획(11)에 있어서는, 음향 확산체(20)를 종치 상태로 할 수 있고, 또한 이들 중 나머지의 확산 구획(11)에 있어서는, 음향 확산체(20)를 횡치 상태로 할 수 있다. 복수의 유닛(13~15)에 있어서의 저판(13a~15a) 및 천판(13b~15b)의 폭방향의 일방단 중 일부의 일방단을 이들 중 별도의 일부의 일방단에 대하여 폭방향으로 비켜 놓을 수 있다. 선반 부재(10)를, 그 저부(10a)를 음향 조정실(R)의 바닥면(F)에 접촉시키도록 기본 자세로 설치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 5 형태에 따른 음향 조정 선반에 있어서는, 선반 부재(10)는 복수의 흡음 구획(12)만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유닛(13~15)에 있어서의 저판(13a~15a) 및 천판(13b~15b)의 폭방향의 일방단 중 일부의 일방단을 이들 중 별도의 일부의 일방단에 대하여 폭방향으로 비켜 놓을 수 있다. 선반 부재(10)를, 그 저부(10a)를 음향 조정실(R)의 바닥면(F)에 접촉시키도록 기본 자세로 설치할 수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 6 형태에 따른 음향 조정 선반에 있어서는, 선반 부재(10)는 복수의 확산 구획(11) 및 복수의 흡음 구획(12)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확산 구획(11)의 전부에 있어서는, 음향 확산체(20)를 종치 상태로 할 수 있다. 복수의 유닛(13~15)에 있어서의 저판(13a~15a) 및 천판(13b~15b)의 폭방향의 일방단을 폭방향으로 서로 대략 일치시킬 수 있다. 선반 부재(10)를, 그 측부(10c)를 음향 조정실(R)의 바닥면(F)에 접촉시키도록 옆으로 누운 자세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제 6 형태에 따른 음향 조정 선반의 각각은, 어디까지나 일례로서 나타내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음향 조정 선반은, 상기 제 1~제 6 형태 이외에도, 지금까지 설명한 본 실시형태의 구성을 포함하는 모든 형태로 설치할 수 있다.
이상,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음향 조정 선반은, 복수의 구획(11, 12)을 갖는 선반 부재(10)와, 복수의 구획(11, 12) 중 적어도 1개의 구획(11, 12)에 이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또한 입력되는 소리의 특성을 변경하도록 구성되는 음향 조정 부재(20, 30)를 구비한다. 그 때문에, 선반 부재(10)의 구획(11, 12)에 설치되는 음향 조정 부재(20, 30)의 종류를 변경함으로써, 음향 특성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무기질인 음향 조정 부재(20, 30)가 선반 부재(10) 내에 수용되므로, 음향 조정 선반은 우수한 미감을 갖는다. 그 결과, 음향 조정 선반을 설치한 음향 조정실(R), 즉, 음향 조정 공간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음향 조정 선반에 있어서는, 음향 조정 부재(20)를, 입력되는 소리를 각각 반사 가능하게 구성되는 복수의 기둥형상부(21)를 갖는 음향 확산체(20)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음향 확산체(20)는 음향 특성, 특히, 음향 확산 특성, 음향 반사 특성 등에 크게 영향을 준다. 그 때문에, 선반 부재(10)의 확산 구획(11)에 설치되는 음향 확산체(20)의 종류를 변경함으로써, 음향 특성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특히, 음향 확산체(20)의 외관은 무기질이지만, 이러한 음향 확산체(20)가 선반 부재(10) 내에 수용되므로, 음향 조정 선반의 미감이 저하될 일은 없다. 그 결과, 음향 조정 선반을 설치한 음향 조정실(R), 즉, 음향 조정 공간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음향 조정 선반은, 확산 구획(11)에서, 음향 조정 부재(20)에 대하여 선반 부재(10)의 배면측에서 이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또한 입력되는 소리의 특성을 변경하도록 구성되는 추가 음향 조정 부재(40)를 구비하고, 추가 음향 조정 부재(40)를, 흡음 가능하게 구성되는 추가 흡음 쿠션(40)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음향 확산체(20) 및 추가 음향 조정 부재(40)의 조합은, 음향 특성, 특히, 음향 반사 특성 및 흡음 특성에 크게 영향을 준다. 그 때문에, 선반 부재(10)의 확산 구획(11)에 설치되는 음향 확산체(20)의 종류 및 추가 음향 조정 부재(40)의 종류의 적어도 일방을 변경함으로써, 음향 특성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음향 조정 선반을 설치한 음향 조정실(R), 즉, 음향 조정 공간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음향 조정 선반에 있어서는, 음향 조정 부재(30)를 흡음 가능하게 구성되는 흡음 쿠션(30)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흡음 쿠션(30)은, 음향 특성, 특히, 흡음 특성에 크게 영향을 준다. 그 때문에, 선반 부재(10)의 흡음 구획(12)에 설치되는 흡음 쿠션(30)의 종류를 변경함으로써, 음향 특성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흡음 쿠션(30)은 선반 부재(10)에 수용되므로, 음향 조정 선반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음향 조정 선반을 설치한 음향 조정실(R), 즉, 음향 조정 공간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까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술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에 의거하여 변형 및 변경가능하다.
(실시예)
실시예 1~5에 따른 음향 조정 선반에 있어서의 음향 주파수 및 흡음률의 관계를, JIS A 1409 「잔향실법 흡음률의 측정 방법」에 의거하여 측정하고, 또한 이들 음향 주파수 및 흡음률의 관계를 대비했다. 그리고, 각 측정에 있어서, 음향 조정 선반은 그 선반 부재의 배면을 잔향실의 벽면에 접촉시키도록 설치되었다. 이하에 있어서는, 이들 실시예 1~5에 따른 음향 조정 선반과, 이들 음향 조정 선반에 있어서의 음향 주파수 및 흡음률의 관계와, 이들 음향 주파수 및 흡음률의 관계의 대비 결과에 대해서 상세히 말한다.
[실시예 1]
실시예 1에 따른 음향 조정 선반은 본 실시형태의 제 1 형태에 따른 음향 조정 선반과 마찬가지로 했다. 또한, 실시예 1에 따른 음향 조정 선반에 있어서는, 선반 부재가 8개의 구획을 갖고, 선반 부재의 8개의 구획 중 4개가 확산 구획으로 되어 있고, 나머지 4개가 흡음 구획으로 되어 있고, 선반 부재의 저부 근처에 위치하는 제 1 유닛에 있어서는, 정면에서 보아 좌측으로부터 순서대로 흡음 구획, 확산 구획, 흡음 구획이 설치되고, 제 1 유닛에 대하여 선반 부재의 정부 근처에 인접하는 제 2 유닛에 있어서는, 정면에서 보아 좌측으로부터 순서대로 흡음 구획, 확산 구획이 설치되고, 제 2 유닛에 대하여 선반 부재의 정부 근처에 인접하는 제 3 유닛에 있어서는, 정면에서 보아 좌측으로부터 순서대로 확산 구획, 흡음 구획, 확산 구획이 설치되었다. 각 확산 구획에 있어서는, 종치 상태의 음향 확산체와 추가 흡음 쿠션이 설치되고, 각 흡음 구획에 있어서는 흡음 쿠션이 설치되었다.
[실시예 2]
실시예 2에 따른 음향 조정 선반은, 본 실시형태의 제 4 형태에 따른 음향 조정 선반과, 모든 음향 확산체를 종치 상태로 한 점을 제외하고 마찬가지로 했다. 또한, 실시예 2에 따른 음향 조정 선반에 있어서는, 선반 부재가 8개의 구획을 갖고, 선반 부재의 8개의 구획 전부가 확산 구획으로 되어 있고, 각 확산 구획에 있어서는, 종치 상태의 음향 확산체와 추가 흡음 쿠션이 설치되었다.
[실시예 3]
실시예 3에 따른 음향 조정 선반은, 본 실시형태의 제 5 형태에 따른 음향 조정 선반과 마찬가지로 했다. 또한, 실시예 3에 따른 음향 조정 선반에 있어서는, 선반 부재가 8개의 구획을 갖고, 선반 부재의 8개의 구획 전부가 흡음 구획으로 되어 있고, 각 흡음 구획에 있어서는 흡음 쿠션이 설치되었다.
[실시예 4]
실시예 4에 따른 음향 조정 선반은, 실시예 1에 따른 음향 조정 선반과, 각확산 구획에 있어서 음향 확산체만을 설치한 점을 제외하고 마찬가지로 했다.
[실시예 5]
실시예 5에 따른 음향 조정 선반은, 실시예 2에 따른 음향 조정 선반과, 각확산 구획에 있어서 음향 확산체만을 설치한 점을 제외하고 마찬가지로 했다.
이들 실시예 1~5에 따른 음향 조정 선반에 있어서의 음향 주파수 및 흡음률의 관계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결과로 되었다. 이러한 도 10에 있어서, 종축 Y는 흡음률을 나타내고, 종축 X는 주파수(Hz)를 나타내고, 실선(L1)은 실시예 1의 결과를 나타내고, 파선(L2)은 실시예 2의 결과를 나타내고, 일점쇄선(L3)은 실시예 3의 결과를 나타내고, 2점쇄선(L4)은 실시예 4의 결과를 나타내고, 또한 점선(L5)은 실시예 5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잔향실에 음향 조정 선반 등의 요소가 조금도 설치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각 주파수에 있어서 흡음률이 0(제로)으로 된다.
이와 같은 실시예 1~5에 따른 음향 조정 선반에 있어서의 음향 주파수 및 흡음률의 관계를 대비하면, 음향 조정 선반에 있어서는, 확산 구획의 수와, 흡음 구획의 수와, 확산 구획에 있어서의 추가 흡음 쿠션의 유무에 따라, 음향 조정 선반의 음향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는 취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음향 조정 선반에 있어서, 음향 특성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0…선반 부재, 11…확산 구획(구획), 12…흡음 구획(구획)
20…음향 확산체(음향 조정 부재), 21…기둥형상부
30…흡음 쿠션(음향 조정 부재)
40…추가 흡음 쿠션(흡음 쿠션, 추가 음향 조정 부재)

Claims (4)

  1. 복수의 구획을 갖는 선반 부재와,
    상기 복수의 구획 중 적어도 1개의 구획에 이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또한 입력되는 소리의 특성을 변경하도록 구성되는 음향 조정 부재를 구비하는 음향 조정 선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조정 부재가, 입력되는 소리를 각각 반사 가능하게 구성되는 복수의 기둥형상부를 갖는 음향 확산체로 되어 있는 음향 조정 선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구획에서, 상기 음향 조정 부재에 대하여 상기 선반 부재의 배면측에서 이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또한 입력되는 소리의 특성을 변경하도록 구성되는 추가 음향 조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추가 음향 조정 부재가 흡음 가능하게 구성되는 흡음 쿠션으로 되어 있는 음향 조정 선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조정 부재가 흡음 가능하게 구성되는 흡음 쿠션으로 되어 있는 음향 조정 선반.
KR1020217017537A 2019-03-14 2019-03-14 음향 조정 선반 KR202100902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9/010485 WO2020183689A1 (ja) 2019-03-14 2019-03-14 音響調整棚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0224A true KR20210090224A (ko) 2021-07-19

Family

ID=72426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7537A KR20210090224A (ko) 2019-03-14 2019-03-14 음향 조정 선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034085A1 (ko)
EP (1) EP3940691A4 (ko)
JP (1) JP6814884B1 (ko)
KR (1) KR20210090224A (ko)
CN (1) CN113168825A (ko)
WO (1) WO20201836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68845B1 (en) * 2018-08-20 2023-01-31 Board of Regents for the Oklahoma Agricultural & Mechanical Colleges Method of designing an acoustic liner
USD1009143S1 (en) * 2019-03-14 2023-12-26 Nihon Onkyo Engineering Co., Ltd. Acoustic adjustment shel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42267A1 (ja) 2008-05-21 2009-11-26 日東紡音響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反射体構造物、音場調整方法、柱状反射体構造物、部屋、プログラム、音響諸室設計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1839A (en) * 1987-04-10 1989-04-18 Rpg Diffusor Systems, Inc. Sound absorbing diffusor
US5168129A (en) * 1991-02-19 1992-12-01 Rpg Diffusor Systems, Inc. Variable acoustics modular performance shell
JPH05197383A (ja) * 1992-01-22 1993-08-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吸音体
US6371240B1 (en) * 2000-03-18 2002-04-16 Austin Acoustic Systems, Inc. Anechoic chamber
JP3475917B2 (ja) * 2000-07-13 2003-12-10 ヤマハ株式会社 音響放射構造体および音響室
US6431312B1 (en) * 2000-08-15 2002-08-13 Rpg Diffusor Systems, Inc. Motorized and computer operated variable acoustics treatment
US7428948B2 (en) * 2005-08-11 2008-09-30 Rpg Diffusor Systems, Inc. Hybrid amplitude-phase grating diffusers
EP1768100A1 (de) * 2005-09-22 2007-03-28 USM Holding AG Einrichtungssystem zur Beeinflussung der Raumakustik
JP5065423B2 (ja) * 2010-01-06 2012-10-31 住友林業株式会社 音響を考慮した居室構造
US8573356B1 (en) * 2013-03-07 2013-11-05 Joab Jay Perdue Adjustable device for acoustic modification
DE102014202477A1 (de) * 2014-02-11 2015-08-13 Leena Rose Wilson Akustischer Absorber und Verwendung eines derartigen akustischen Absorbers
DE202014101267U1 (de) * 2014-03-19 2015-07-01 Rehau Ag + Co Vorrichtung zur Beeinflussung von Schall bzw. Schallenergie
DE202015100228U1 (de) * 2015-01-20 2015-03-10 Viasit Bürositzmöbel Gmbh Einrichtung zur Schallabsorption
KR101721437B1 (ko) * 2016-05-11 2017-03-30 주식회사 울타리 조립식 책꽂이 및 그 시공 방법
US10961700B2 (en) * 2017-02-27 2021-03-30 Knoll, Inc. Noise reduction 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42267A1 (ja) 2008-05-21 2009-11-26 日東紡音響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反射体構造物、音場調整方法、柱状反射体構造物、部屋、プログラム、音響諸室設計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814884B1 (ja) 2021-01-20
JPWO2020183689A1 (ja) 2021-03-18
EP3940691A4 (en) 2022-03-09
WO2020183689A1 (ja) 2020-09-17
CN113168825A (zh) 2021-07-23
US20220034085A1 (en) 2022-02-03
EP3940691A1 (en) 2022-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98554A1 (en) Enhanced Inflatable Sound Attenuation System
RU2222673C2 (ru) Акустическая строитель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US5896710A (en) Acoustic panel system
JPS6334263B2 (ko)
US20090159363A1 (en) Dividing Wall Element
WO2000034595A1 (en) Dual sonic character acoustic panel and systems for use thereof
AU2015225964B2 (en) High and low frequency sound absorption assembly
US20190257079A1 (en) Special lightweight, durable mounting system for sound foam panel and quick installation process
KR20210090224A (ko) 음향 조정 선반
CN103180530A (zh) 镶板
JP5606535B2 (ja) パーティションシステム
WO2004106663A1 (en) Flexible covering system and corresponding modules for walls, ceilings and other boundaries
JP5396683B2 (ja) 音響面材配置システム
KR200398588Y1 (ko) 다층건축물의 층간차음판
US20160060864A1 (en) Panel for walls, ceilings, false ceilings, floor surfaces, furnishing elements and the like
US4365688A (en) Speaker cabinet
JP7373360B2 (ja) 音響調整構造体
JP5395377B2 (ja) 間仕切り壁
KR101456821B1 (ko) 조립식 방음 파티션
JP5335204B2 (ja) 壁材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壁面構造
JP2009030430A (ja) 吸音パネルおよび音響室並びに室内音響特性調整方法
JP3301680B2 (ja) 吸音構造体
JP3243362U (ja) パーティション
JP2007254961A (ja) 居室の天井構造
KR20090116162A (ko) 차음성이 우수한 가변형 수납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