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0219A - 화장품 용기에 끼우도록 의도된 와이퍼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에 끼우도록 의도된 와이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0219A
KR20210090219A KR1020217017361A KR20217017361A KR20210090219A KR 20210090219 A KR20210090219 A KR 20210090219A KR 1020217017361 A KR1020217017361 A KR 1020217017361A KR 20217017361 A KR20217017361 A KR 20217017361A KR 20210090219 A KR20210090219 A KR 20210090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container
longitudinal axis
elastically deformable
a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7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6088B1 (ko
Inventor
스테판 르루
Original Assignee
로레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레알 filed Critical 로레알
Publication of KR20210090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0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6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6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34/04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45D34/04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comprising a wip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40/26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45D40/267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comprising a wip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72Eyeliner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도포기에 의해 도포되는 제품, 특히 화장품이 담긴 용기(101)에 끼우도록 의도된 와이퍼(10)로서, 상기 와이퍼(10)는 길이 방향 축(X)을 따라 연장되는 원통형 몸체(11)를 포함하고, 몸체의 일부(21, 22)는 실제 와이핑 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11)는, 길이 방향 축(X)을 따라 내부에 개구(105)를 획정하는, 용기의 에지에 놓일 수 있는 림(12); 와이퍼(10)를 용기(101)에 결합하도록 의도된 결합 수단(14); 및 길이 방향 축(X)을 따라 탄성 변형 가능하고, 상기 림(12)과 상기 결합 수단(14) 사이에 제공되는 부분(23)을 포함하고, 탄성 변형 가능한 부분은 몸체(11)의 개방 구조 부분(23) 형태인, 와이퍼(1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장품 용기에 끼우도록 의도된 와이퍼
본 발명은 특히 화장품 분야에서 사용되는 포장 및 도포 조립체에 끼우도록 의도된 와이퍼(wiper)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포장 및 도포 조립체는, 특히 원통형인 몸체로 구성되고, 바닥과 반대쪽 몸체의 단부는 목부를 형성하고, 목부의 자유 에지(free edge)는 개구를 획정하는, 용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조립체는 도포기 부재, 특히 마스카라 브러시 또는 아이라이너(eyeliner)를 더 포함하고, 도포기 부재의 일 단부는 스템(stem)에 고정되고, 이 스템은 상기 개구를 제거 가능하게 폐쇄하도록 의도된 캡(cap)에 고정된다. 캡은 도포기 부재를 위한 파지 부재를 형성한다. 캡이 용기에 조여진 위치에서 도포기 부재는 용기에 담긴 제품에 잠겨진다.
용기의 목부에는 특히 환형 부재 형태의 와이퍼가 배치되고, 와이퍼는 도포기 부재를 상기 개구를 통해 용기 내로 도입하는 동안 및 도포기 부재를 인출하는 동안 도포기 부재에 의해 통과된다.
와이퍼는 특히 환형 립(annular lip) 형태로 구현되는 실제 와이핑 부분을 포함하고, 도포기 부재 및 선택적으로 도포기 부재를 캡에 연결하는 스템은 상기 와이핑 부분의 에지와 맞물린다. 따라서, 도포기 부재 상에 남아 있는 제품의 양은 본질적으로 도포기 부재 상에 과잉의 제품이 존재하지 않도록 상대적으로 정밀하게 계량될 수 있다. 더욱이, 사용자가 제품을 도포하는 동안 손가락을 더럽히지 않도록 용기로부터 도포기를 인출하는 움직임 동안 스템을 문자 그대로 깨끗하게 와이핑할 수 있다.
일부 응용의 경우, 특히 단면이 길이에 따라 크게 변하는 도포기의 경우, 또는 소량의 제품을 보유하도록 의도된 도포기의 경우, 또는 스템에 비해 작은 단면을 갖는 도포기의 경우, 실제 와이핑 부분이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 특히 천연 고무 또는 합성 고무로 만들어진 와이퍼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로 만들어진 와이퍼를 사용하는 것은 특허 US4617948에 기술되어 있다. 이 특허 문헌에 따르면, 와이퍼는 용기의 내부 에지에 놓이고, 나사산 형성된 목부를 형성하는 추가 부분에 의해 제자리에 고정된다. 용기를 두 부분으로 생산하도록 함으로써 이러한 배치는 장착 작업을 배가시키고 조립체의 제조 비용을 더욱 증가시킨다.
문헌 US4617948에 따른 와이퍼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출원인의 이름으로 문헌 FR2826246은 용기 내에 장착하기 쉬운 와이퍼를 제안한다. 이를 위해, 문헌 FR2826246에 따른 와이퍼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로 만들어지고,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연장되는 관형 몸체를 포함하고, 몸체의 일부는 실제 와이핑 부재를 형성하고, 이 축을 따라, 용기의 목부에 놓이기 위한 림(rim), 및 와이퍼가 장착된 위치에서 용기의 숄더(shoulder)에 접하도록 설계된 결합 수단을 갖는다.
문헌 FR2826246에 따르면, 와이퍼의 결합 수단은 몸체의 외부 표면 위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가요성 립 형태이고, 하중을 받지 않을 때, 와이퍼를 용기 내로 도입할 때의 저항이 용기로부터 와이퍼를 인출하는 동안 상기 립이 제공하는 저항보다 상당히 더 작도록 몸체와 예각을 형성하여, 와이퍼를 용기 내에 장착하는 것을 단순화한다.
문헌 FR2826246에 따른 와이퍼를 용기 내에 장착하기 위해, 와이퍼의 몸체는 용기의 목부에 형성된 개구에 부분적으로 삽입되고, 유연한 립(들)이 목부의 상부 에지에 놓인다. 그런 다음 세장형 형상의 도구가 와이퍼의 횡 방향 플랜지를 지지할 때까지 와이퍼 내에 도입된다. 그런 다음 도구를 용기의 바닥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은 와이퍼가 용기의 바닥의 방향으로 용기의 목부 내로 더 맞물리도록 계속된다. 이렇게 하면 유연한 립(들)이 와이퍼의 몸체 방향으로 접힌다. 와이퍼가 용기의 목부로 하방으로 이동하는 것은 립의 자유 단부가 더 이상 목부 옆에 있지 않을 때까지 계속된다. 이 위치에서 와이퍼는 늘어난 상태로 약간의 하중을 받고, 립(들)은 초기 형태로 복귀하기 위해 반경 방향으로 개방되어 와이퍼의 몸체와 약 45°의 예각을 형성한다. 이 위치에서 와이퍼의 림은 용기의 목부의 상부 에지에 놓인다. 그런 다음 도구는 용기의 바닥으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인출 움직임을 시작한다. 탄성적으로 복귀하는 것에 의해 립(들)은 용기의 숄더에 맞물리게 되고, 이에 따라 와이퍼가 빠져나가게 하는 경향이 있는 움직임을 강하게 방지하고, 와이퍼는 용기의 목부에 견고히 결합된다.
그러나, 이 문헌 FR2826246에 따른 와이퍼는 이전의 와이퍼에 의해 제기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하지만 많은 단점이 있어서 개선이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문헌 FR2826246에 따른 와이퍼를 장착하는 것은 가요성 립(들)이 숄더 뒤에서 자유롭게 개방되어 와이퍼를 용기의 목부 내에 유지할 수 있기 위해 용기의 목부 내에서 와이퍼의 몸체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 탄성적으로 축 방향으로 늘어나 신장되는 능력이 필요하다. 용기의 목부에 와이퍼를 장착하는 동안 길이 방향 축을 따라 늘어나 신장되는, 와이퍼의 몸체 부분은 관형 부분의 형태이다. 따라서, 이 문헌에서, 와이퍼를 용기의 목부 내에 장착하는 동안 와이퍼가 축 방향으로 늘어나는 경로와, 유연한 립(들)이 용기의 목부의 숄더 뒤를 지지할 수 있도록 와이퍼가 탄성적으로 복귀하는 것은 와이퍼의 몸체의 신장 가능한 관형 부분의 치수 및 구성 재료에 직접 의존한다.
따라서 이 문헌 FR2826246에 따른 와이퍼 설계는, 신장 가능한 관형 부분이 신장될 때 유연한 립(들)이 용기의 숄더 뒤에서 자유롭게 개방될 수 있는 것과, 신장 가능한 관형 부분에 가해지는 하중이 해제될 때 가요성 립(들)이 용기의 숄더를 지지하게 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와이퍼의 몸체의 신장 가능한 관형 부분의 특히 정확한 치수를 필요로 한다. 이것은 와이퍼의 몸체의 신장 가능한 관형 부분의 치수가 지나치게 작으면 신장 가능한 관형 부분이 신장될 때 유연한 립(들)이 용기의 숄더 뒤에서 개방되지 않고 용기의 목부의 내부 벽 옆에 남아 있어서, 와이퍼를 고정시키지 못하고, 가요성 립(들)이 용기의 목부의 내벽과 마찰에 의해서만 와이퍼가 용기에 고정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반면에, 와이퍼의 몸체의 신장 가능한 관형 부분의 치수가 지나치게 크면 신장 가능한 관형 부분에 가해지는 하중이 해제될 때 가요성 립(들)이 용기의 숄더를 지지하지 않고, 와이퍼가 용기의 목부 내로 어느 정도 이동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용기가 폐쇄 요소에 의해 폐쇄될 때 용기의 기밀성을 손상시켜 사용자가 인식하는 품질을 훼손시킬 수 있을 위험이 있다.
더욱이, 이러한 설계에서는, 와이퍼의 신장 가능한 관형 부분이 축 방향으로 신장되는 경로는 와이퍼의 몸체의 신장 가능한 관형 부분의 고유한 변형 능력에 의해 제한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제한되고, 주어진 치수를 갖는 이 문헌 FR2826246에 따른 와이퍼는 제한된 범위의 용기 목부 높이에 대해서만 적합하다.
본 출원은 이러한 단점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해 도포기에 의해 도포되는 제품, 특히 화장품이 담긴 용기에 끼우도록 의도된 와이퍼로서, 상기 와이퍼는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연장되는 원통형 몸체를 포함하고, 몸체의 일부는 실제 와이핑 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는, 길이 방향 축을 따라 내부에 개구를 획정하는, 용기의 에지에 놓일 수 있는 림(rim); 와이퍼를 용기에 결합하도록 의도된 결합 수단; 및 길이 방향 축을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고, 상기 림과 상기 결합 수단 사이에 제공되는 부분을 포함하고, 탄성 변형 가능한 부분은 몸체의 개방 구조 부분(openwork portion) 형태인, 와이퍼를 제안한다.
와이퍼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부분을 형성하도록 몸체의 개방 구조 부분을 사용하면 변형 가능한 부분이 탄성적으로 축 방향으로 신장되는 경로가 문헌 FR2826246에 따른 와이퍼에서보다 더 커져서, 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가 더 큰 범위의 용기 목부 높이에 적응될 수 있고, 용기의 제조 공차로 인한 길이 방향 축을 따른 치수 변화를 쉽게 보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의 개방 구조 부분의 치수는 탄성 변형 부분이 신장될 때 와이퍼의 결합 수단이 용기의 숄더 뒤에서 자유롭게 개방될 수 있는 것과, 탄성 변형 가능한 부분에 가해지는 하중이 해제될 때 와이퍼의 결합 수단이 용기의 숄더를 지지하게 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문헌 FR2826246에 따른 와이퍼의 신장 가능한 관형 부분의 치수보다 정밀성을 덜 요구한다. 따라서 용기의 목부 내에 와이퍼를 장착하는 신뢰성이 더 향상된다.
또한 문헌 FR2826246에 따른 와이퍼의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에서는, 제1 방향으로 결합 수단에 가해지는 축 방향 하중은 결합 수단이 몸체에 대해 탄성적으로 구부러지는 움직임을 유발하고, 이 움직임은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가해지는 동일한 축 방향 하중에 기인하는 탄성 굽힘 움직임과는 다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리한 구성에 따르면, 제1 방향으로 결합 수단에 가해지는 축 방향 하중은 결합 수단이 탄성적으로 구부러지게 하여 자유 부분을 상기 몸체 쪽으로 이동시키는 경향이 있다. 이와 달리,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가해지는 동일한 축 방향 하중은 결합 수단이 탄성적으로 구부러지도록 하여 적어도 먼저 자유 부분을 상기 몸체로부터 멀리 이동시키는 경향이 있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굽힘 움직임은 결합 수단을 와이퍼의 몸체에 연결하는 결합 구역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선회 또는 회동하는 움직임을 의미한다.
도입하는 동안 및 인출하는 동안 저항의 차이는, 와이퍼에 가해지는 축 방향 미는 힘에 응답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용기의 목부에 와이퍼를 도입하는 동안 결합 수단이 옆으로 이동하도록 결합 수단을 구성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따라서 와이퍼를 도입하는 것이 쉬워진다. 이와 달리, 일단 결합 수단이 용기의 목부를 통과하면, 결합 수단은 축 방향으로 당기는 힘이 위로부터 가해질 때 와이퍼를 제거하는 것에 저항하도록 반경 방향으로 개방된다. 따라서, "장착하기 용이한" 기능과 "견고히 결합하는" 기능은 하나의 기능이 다른 기능을 희생하는 것으로 불리해지는 일 없이 매우 만족스러운 방식으로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의 하나의 유리한 배치에 따르면, 몸체의 개방 구조 부분은, 길이 방향 축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되고, 원주 방향으로 2개의 구멍에 의해 구획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rib)를 포함하고, 상기 구멍은 바람직하게는 길이 방향 축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개방 구조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길이 방향 축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4개의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리브는 바람직하게는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규칙적으로 분포되고, 각각의 리브는 특히 약 90°의 각도 범위에 걸쳐 연장되고, 상기 리브는 구멍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서로 분리된다.
제1 실시형태 변형예에 따르면, 개방 구조 부분은 길이 방향 축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2개의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리브는 바람직하게는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서로 정반대쪽에 있고, 각각의 리브는 특히 90° 미만의 각도 범위, 예를 들어, 약 45°에 걸쳐 연장되고, 상기 리브는 구멍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서로 분리된다. 유리하게는, 개방 구조 부분은 적어도 2개의 리브, 특히 3개의 리브로 이루어진 2개의 그룹을 포함하고, 각 그룹의 리브 각각은 길이 방향 축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되고, 리브의 상기 그룹은 바람직하게는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서로 정반대쪽에 있고, 각각의 리브는 특히 90° 미만의 각도 범위, 특히 약 45°에 걸쳐 연장되고, 각 그룹의 상기 리브는 구멍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서로 분리되고, 리브의 그룹은 구멍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서로 분리된다.
제2 실시형태 변형예에 따르면, 개방 구조 부분은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리브는, 슬롯에 의해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서로 분리되고, 길이 방향 축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부분에 의해 와이퍼의 몸체에 그리고 함께 연결되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들을 포함하고, 상기 리브는 원주 방향으로 2개의 구멍에 의해 구획된다.
유리하게는, 몸체는 탄성 변형 가능한 부분과 결합 수단 사이에서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위치된 숄더를 갖는다. 이 숄더는 유리하게는 특히 탄성 변형 가능한 부분을 형성하는 개방 구조 부분에 탄성적으로 축 방향으로 변형이 일어나도록 용기의 목부에 와이퍼를 장착하기 위한 도구와 협력하도록 의도된다.
하나의 유리한 배치에 따르면, 와이퍼의 몸체는,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와이퍼가 용기에 장착된 위치에서 용기의 바닥을 향하도록 의도된 제1 단부, 및 제1 단부와 반대쪽 단부에 제2 단부를 갖고, 결합 수단은 몸체의 외부 표면 위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립(flexible lip)을 포함하고, 립의 제1 단부는 결합 구역에서 몸체에 부착되고, 립의 제2 단부는 자유롭고, 상기 립은, 하중을 받지 않을 때, 와이퍼가 용기 내로 도입될 때의 저항이 와이퍼가 용기로부터 인출될 때 상기 립이 제공하는 저항보다 상당히 더 작도록 몸체의 길이 방향 축과 예각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도는 30°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55°, 특히 약 45°이다. 이러한 각도는 특히 결합 수단을 형성하는 재료 및 원하는 결합 견고성에 따라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가요성 립은 몸체의 외부 표면 위로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불연속적으로 연장된다.
일 변형예에서, 가요성 립은 몸체의 외부 표면 위로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와이퍼의 가요성 립과 원통형 몸체 사이의 결합 구역은 몸체의 제1 단부 부근에 배치된다. 이것은 길이 방향 축을 따라 감소된 크기를 갖는 와이퍼를 초래한다.
일 변형예에서, 와이퍼의 가요성 립과 원통형 몸체 사이의 결합 구역은 몸체의 상기 제1 단부로부터 0이 아닌 거리에 배치된다. 따라서, 와이퍼의 몸체는 결합 구역 아래에서 스커트(skirt) 부분을 형성하고, 스커트 부분은 와이퍼를 용기의 목부 내로 완전히 삽입하도록 겨냥된 축 방향 미는 힘이 가해지기 전에 와이퍼를 용기의 목부에 의해 획정된 개구에 위치시킬 수 있게 한다.
목부에 있도록 의도된 부분에서, 즉 상부 림과 결합 수단 사이에서, 와이퍼의 몸체는 목부 내로 가볍게 파지될 수 있는 외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실제 와이핑 부재는 원통형 몸체의 축소된 단면(reduced section)의 내부 에지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내부 에지는 와이퍼의 몸체의 제1 단부 부근에 위치되거나 또는 와이퍼의 몸체의 제1 단부로부터 0이 아닌 거리에 위치될 수 있다. 축소된 단면의 에지의 직경은, 특히 상기 스템이 와이퍼를 통과할 때 와이핑될 필요가 있다고 가정하면, 도포기 부재를 파지 부재에 연결하는 스템의 직경 및 도포기 부재에 요구되는 와이핑에 따라 선택된다.
원통형 몸체의 축소된 단면의 내부 에지가 와이퍼의 몸체의 제1 단부로부터 0이 아닌 거리에 위치되면, 상기 제1 단부의 에지는 자체적으로 도포기 부재가 인출될 때 도포기 부재의 전부 또는 일부와 맞물릴 수 있는 요소를 형성할 수 있어서, 말 그대로, 축소된 단면의 에지와 함께 도포기 부재의 두 개의 와이핑 단계를 생성한다.
축소된 단면의 내부 에지는 몸체의 제1 단부와 상기 결합 구역 사이에서 축 방향으로 결합 구역으로부터 0이 아닌 거리에 위치될 수 있다. 이것은 결합 구역 부근에서 와이퍼에 과도한 강성이 생성되는 것을 회피하고, 이러한 과도한 강성은 와이퍼를 용기 내로 도입하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
축소된 단면의 내부 에지는 와이퍼의 몸체의 제1 단부 방향으로 경사진 벽에 의해 원통형 몸체에 연결될 수 있다. 길이 방향 축에 대해 경사진 벽의 경사각은 약 45°일 수 있다.
일 변형예에서, 축소된 단면의 에지는 제1 단부 방향으로 경사진 환형 립의 자유 에지로 구성된다. 립의 경사각은 약 45°일 수 있다.
유리하게는, 몸체의 외부 표면은 결합 수단 옆에 리세스(recess)를 갖는다. 이러한 배치로 인해, 결합 수단에 의해 용기 내로 와이퍼를 도입할 때 제공되는 저항이 더욱 감소된다. 구체적으로, 결합 수단에 리세스가 존재하면 와이퍼가 용기의 목부 내로 도입되는 동안 결합 수단이 와이퍼의 몸체 방향으로 구부러질 때 결합 수단이 리세스 내부에 끼워질 수 있다.
유리하게는, 와이퍼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로 만들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와이핑 부재, 결합 수단 및 탄성 변형 가능한 부분은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로 만들어진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와이퍼는 전체적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로 만들어진다. "탄성 변형 가능한"이라는 표현은 재료가 가역적으로 가요성이 있고/있거나 신장 가능한 것을 의미하고, 바람직하게는 가요성이 있으면서 신장 가능한 것을 의미한다.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는 열가소성 또는 가교된 엘라스토머, 특히 EPDM, 천연 고무, 니트릴, 부틸 또는 실리콘 엘라스토머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가교된 엘라스토머의 경우, 와이퍼는 적절한 온도로 가열된 압축 몰드에서 제조된다. 일 변형예에서,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는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PE)과 같은 폴리올레핀, 또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또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과 같은 열가소성 중합체 중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개방 구조 부분 형태의 탄성 변형 가능한 부분을 사용하면 와이퍼가 비교적 단단한 재료, 예를 들어, 200 ㎫ 이상의 영률을 갖는 재료로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만들어질 때 특히 유리하다. 구체적으로, 이 경우 와이퍼의 구성 재료는 제한된 고유 변형 능력, 특히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제한된 축 방향 확장 능력을 가지며, 개방 구조 부분 형태의 탄성 변형 가능한 부분을 사용하면 와이퍼 내에 증가된 변형 능력, 특히 증가된 축 방향 확장 능력을 갖는 부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이한 용기 목부 높이에 적응할 수 있고 용기 목부 내에 신뢰성 있고 강인한 고정을 보장할 수 있는 비교적 강성 재료로 만들어진 와이퍼를 생산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와이퍼의 제1 부분은 탄성 변형 가능한 제1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고, 실제 와이핑 부재, 결합 수단 및 탄성 변형 가능한 부분은 이 제1 부분 상에 배치되고, 제2 부분은 제1 재료와는 다른 제2 재료로 만들어지고, 상기 와이퍼는 특히 이들 두 재료를 동시 사출 몰딩하거나 또는 오버몰딩하고/하거나 제1 와이퍼 부분과 제2 와이퍼 부분을 기계적으로 조립함으로써 만들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특히 동시 사출 몰딩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2가지 물리 화학적 상용 가능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제2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 특히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제품, 특히 화장품을 포장 및 도포하기 위한 포장 및 도포 조립체로서, 상기 조립체는 제품을 수용하도록 설계된 용기, 및 상기 제품을 도포하기 위한 도포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조립체는 앞서 설명된 와이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와이퍼는 도포기 부재 상에 남아 있는 제품의 양을 계량할 수 있도록 도포기 부재가 용기로부터 인출될 때 상기 도포기 부재에 의해 통과될 수 있는, 포장 및 도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용기는 숄더에 의해 목부와 분리된 몸체로 형성되고, 목부의 자유 에지는 개구를 획정하고, 개구 부근에는 와이퍼가 장착된다.
이러한 용기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재료를 몰딩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일 변형예에서, 용기는 유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를 사용하면, 이러한 유리 용기에서 와이퍼의 몸체의 외부 표면에 제공된 돌출부와 협력하도록 설계된 홈을 용기의 목부에 제공하여 용기의 목부 내에 와이퍼를 고정하는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것은 불가능하지는 않지만 특히 어렵기 때문에 특히 유리하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경우에, 와이퍼는 와이퍼를 용기 내로 도입하는 방향에서는 림에 의해서만 용기의 목부 내 위치에 고정되고, 용기로부터 와이퍼를 인출하는 방향에서는 결합 수단에 의해서만 용기의 목부 내 위치에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의 개방 구조 부분 형태의 탄성 변형 가능한 부분을 사용하면 와이퍼의 결합 수단이 용기의 숄더와 최적으로 협력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어서, 용기의 목부에 와이퍼를 고정하는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유리하게는, 와이퍼가 용기에 장착된 위치에서 결합 수단은 실질적으로 숄더에 접해 있다. 이 위치에서, 결합 수단은 숄더 아래에 배치되고, 숄더에 접하거나 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와이퍼가 용기에 장착된 위치에서 결합 수단 및/또는 탄성 변형 가능한 부분은 탄성 하중을 받는다. 이는 용기의 목부의 높이와 관련하여 와이퍼 및 용기의 제조 공차와 연관된 문제를 극복한다.
도포기 부재는 연결 요소를 통해 파지 부재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파지 부재는 상기 개구를 제거 가능하게 폐쇄할 수 있는 요소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캡을 형성하는 파지 부재는 용기의 목부에 조여진다.
도포기 부재는 특히 꼬인 코어 파지 섬유를 갖는 브러시 또는 몰딩된 브러시, 아이라이너 도포기, 미세 브러시, 발포 블록, 프릿(frit), 펜 또는 펠트 팁(felt tip) 형태의 속눈썹 및/또는 눈썹용 도포기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비-제한적인 구현예를 수반하는 다음 설명을 읽음으로써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의 전체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와이퍼의 길이 방향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를 구비하는 포장 및 도포 조립체의 길이 방향 단면도이고, 와이퍼는 전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를 포장 및 도포 조립체의 용기에 장착하는 제1 단계를 도시하며, 여기서 용기는 길이 방향 단면으로 도시되고 와이퍼는 전체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를 포장 및 도포 조립체의 용기에 장착하는 제2 단계를 도시하며, 여기서 용기는 길이 방향 단면으로 도시되고 와이퍼는 전체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를 포장 및 도포 조립체의 용기에 장착하는 제3 단계를 도시하며, 여기서 용기는 길이 방향 단면으로 도시되고 와이퍼는 전체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를 포장 및 도포 조립체의 용기에 장착하는 제4 단계를 도시하며, 여기서 용기는 길이 방향 단면으로 도시되고 와이퍼는 전체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를 포장 및 도포 조립체의 용기에 장착하는 제5 단계를 도시하며, 여기서 용기는 길이 방향 단면으로 도시되고 와이퍼는 전체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 변형예에 따른 와이퍼의 전체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 변형예에 따른 와이퍼의 전체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와이퍼(10)는 길이 방향 축(X)을 따라 연장되는 일반적으로 관형 원통형 몸체(11)를 포함한다.
몸체(11)는 와이퍼가 용기에 장착된 위치에서 용기의 바닥을 향하도록 의도된 제1 단부(19)와, 제1 단부(19)와는 반대쪽 단부에 있는 제2 단부(18) 사이에서 길이 방향 축(X)을 따라 연장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와이퍼는 일체형이다. 와이퍼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로 일체로 만들어질 수 있다. 특히, 와이퍼는 엘라스토머, 예를 들어, EPDM(에틸렌-프로필렌-디엔 단량체)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일 변형예에서, 와이퍼는 열가소성 또는 가교된 엘라스토머, 천연 고무, 니트릴, 부틸 또는 실리콘 엘라스토머 중에서 선택된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로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와이퍼는 또한 앞서 언급된 것보다 더 단단한 재료, 예를 들어, 200 ㎫ 이상의 영률(Young's modulus)을 갖는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특히, 와이퍼는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PE)과 같은 폴리올레핀, 또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또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과 같은 열가소성 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몸체(11)의 제2 단부(18)는,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제2 단부(18)에서 몸체(11)의 관형 부분으로부터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고, 용기의 개구를 획정하는, 용기의 에지를 지지하도록 설계된 환형 플랜지로 형성된 림(12)을 가진다.
림(12) 아래 길이 방향 축(X)을 따라 그리고 와이퍼의 몸체(11)의 제1 단부(19)의 방향으로 몸체(11)의 관형 부분은 길이 방향 축(X)을 따라 3개의 연속적인 환형 융기부(13)를 그 외부 표면에 반경 방향으로 갖는다. 이러한 환형 융기부(13)는 와이퍼(10)와 용기의 목부 사이의 기밀성을 보장하기 위해 와이퍼(10)가 용기에 장착될 때 용기의 목부의 내부 표면과 접촉하도록, 바람직하게는, 매우 밀착해서 끼워지도록 의도된다.
와이퍼(10)의 몸체(11)는 와이퍼(10)를 용기에 결합하도록 의도된 결합 수단(14)을 제1 단부(19) 부근에 갖는다.
따라서,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와이퍼(10)의 몸체(11)는, 그 외부 표면에, 제1 단부(19) 부근에, 복수의 가요성 립 또는 결합 러그(coupling lug)(14), 본 경우에는 6개의 결합 러그(14)를 형성하도록 원주 방향으로 불연속적인 환형 가요성 립을 갖는다. 일 변형예에서, 환형 립은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일 수 있다.
결합 러그(14) 각각은 결합 구역(16)에서 몸체(11)에 부착된 제1 단부, 및 몸체(11)의 제2 단부(18)의 방향으로 배향된 제2 자유 단부(15)를 갖는다.
결합 러그에 하중이 가해지지 않을 때, 결합 러그(14)는 몸체(11)의 길이 방향 축(X)과 예각(α)을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각도(α)는 약 45°이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결합 러그(14)는 와이퍼가 용기 내로 도입될 때의 저항이 용기로부터 와이퍼를 인출하는 동안 제공되는 저항보다 상당히 더 작도록 설계된다.
각각의 결합 러그(14)는 몸체(11)의 길이 방향 축(X)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평면에서 연장되는 결합 구역(16)을 통해 몸체(11)에 연결된다.
결합 러그(14)의 옆에 그리고 결합 러그의 높이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높이에 걸쳐, 몸체(11)의 외부 표면은 리세스(17)를 형성하며, 이 리세스의 깊이는 결합 러그(14)와 몸체(11) 사이의 결합 구역(16)으로부터 점차적으로 감소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이 리세스(17)는 절두 원추형 외부 표면 부분 형태이고, 이 외부 표면 부분의 작은 베이스는 몸체(11)의 제1 단부(19) 부근에 위치되고, 반경 방향 단차는 리세스(17)를 몸체(11)의 외부 표면에 연결한다.
몸체(11)는, 제1 단부(19) 부근에, 실제 와이핑 부재를 형성하는 부분(21, 22)을 더 갖는다.
몸체(11)의 내벽은 이 제1 단부(19) 부근에 절두 원추형 경사 벽(21)을 가지며, 이 경사 벽의 모체는 몸체의 길이 방향 축(X)과 예를 들어 약 45°의 각도를 형성하고, 상기 벽(21)은 몸체(11)의 제1 단부(19)를 향해 폐쇄된다. 이 절두 원추형 벽(21)은 축소된 단면의 오리피스(22)를 통해 몸체(11)의 제1 단부(19)에서 와이퍼(10)의 외부로 개방된다. 이 오리피스(22)는 와이퍼(10)의 와이핑 직경을 결정한다. 하중이 없을 때, 오리피스(22)는 와이퍼에 의도된 도포기 부재의 최대 직경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10)의 몸체(11)는, 길이 방향 축(X)을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고 지지 림(12)과 결합 수단(14) 사이에서 축 방향으로 제공되는 부분(23)을 포함하고, 이 탄성 변형 가능한 부분은 몸체(11)의 개방 구조 부분 형태이다.
특히 도 1 및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몸체(11)의 개방 구조 부분(23)은, 길이 방향 축(X)을 중심으로 규칙적으로 분포되고 약 90°의 각도 범위에 걸쳐 길이 방향 축(X)을 따라 나선형으로 각각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본 경우에, 4개의 리브(24)를 포함하고, 4개의 리브(24)는 길이 방향 축(X)을 따라 마찬가지로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구멍(25)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서로 분리된다. 구멍(25)은 관통 구멍이고, 몸체(11)의 벽에 형성되며, 리브는 몸체(11)의 벽의 나머지 부분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는 긴 축 방향 확장 경로를 갖는 축 방향 확장 가능한 내부 부분을 가지며, 나선형 리브(24)는 축 방향 단부들 중 다른 축 방향 단부는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면서 하나의 축 방향 단부에 가해지는 하중의 영향 하에서 길이 방향 축(X) 방향으로 상당히 탄성적으로 확장될 수 있다.
특히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몸체(11), 보다 구체적으로 몸체(11)의 내부 표면은, 반경 방향 안쪽으로 연장되고, 탄성 변형 가능한 개방 구조 부분(23)과 결합 러그(14) 사이에서 길이 방향 축(X)을 따라 위치되는 숄더(20)를 갖는다.
따라서,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와이퍼(10)의 림(12)이 용기의 목부의 에지에 놓일 때, 숄더(20)에 가해지는 축 방향 힘은 탄성 변형 가능한 개방 구조 부분(23)을 축 방향으로 신장시킨다.
도 3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와이퍼(10)를 구비하는, 마스카라를 포장하고 도포하기 위한 조립체(100)의 길이 방향 단면도를 도시하며, 여기서 와이퍼는 전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조립체(100)는 원통형 몸체(102)를 포함하는 용기(101)를 포함하고, 몸체의 일단부는 바닥(103)에 의해 폐쇄된다. 바닥(103)의 반대쪽 단부에서 몸체(102) 위에는 나사산 형성된 목부(104)가 놓이고, 목부의 자유 에지는 개구(105)를 획정한다. 목부(104)는 숄더(106)에 의해 원통형 몸체(102)에 연결된다.
목부(104)에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논의된 와이퍼(10)가 장착된다. 도 3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이 장착된 위치에서 결합 러그(14)는 숄더(106) 아래에 배치되고, 숄더(106)로 약간 탄성 하중을 받는다. 이 위치에서, 결합 러그(14)의 반경 방향 폭은 최대이다. 이러한 장착된 위치에서 와이퍼의 림(12)은 개구(105)를 획정하는, 용기의 에지에 놓인다. 환형 융기부(13)는 와이퍼(10)와 목부(104)의 내부 표면 사이에 효과적인 기밀성을 보장한다.
나사산 형성된 목부(104)에는 뚜껑(107)이 조여진다. 뚜껑(107)은 스템(108)에 고정되고, 스템의 일단부는 뚜껑(107)과 반대쪽 단부에서 마스카라 브러시(109)에 고정되고, 이 브러시는 나선형 섬유 배열을 가두는 꼬인 철 와이어로 몰딩되거나 형성된다.
뚜껑(107)이 목부(104)에 조여진 위치에서, 도포기(109)는 실질적으로 용기(101)의 바닥에 있고, 용기 안에 담긴 제품과 접촉한다. 스템(108)은 와이퍼를 통과하고, 와이핑 오리피스(22)의 에지와 맞물리는 부분을 갖는다.
사용 시마다, 사용자는 뚜껑(107)을 풀어 바닥(10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축 방향 움직임을 사용하여 마스카라 브러시(109)를 용기(101)로부터 인출한다.
이 인출 움직임 동안, 스템(108)은 립(21)의 와이핑 오리피스(22)의 에지에 의해 와이핑된다. 브러시(109)에 존재하는 과잉 제품은 브러시가 상기 와이핑 오리피스(22)를 통과할 때 제거된다.
도포 후, 사용자는 도포기(109)를 인출하기 위해 설명된 동작과 반대 동작을 사용하여 조립체를 다시 폐쇄한다.
이제 참조할 도 4 내지 도 8은 도 1 및 도 2에 설명된 와이퍼를 도 3에 도시된 포장 및 도포 조립체에 장착하는 단계를 도시한다.
도 4에서, 와이퍼의 몸체(11)의 제1 단부(19)는 용기(101)의 목부(104)의 상부 에지와 접촉하여 놓이고, 결합 러그(14)는 이 상부 에지에 놓인다. 결합 러그(14)는 이 위치에서 와이퍼를 유지하기 위한 정지부를 형성한다.
도 5에서, 세장형 형상의 도구(150)가 와이퍼의 숄더(20)에 접할 때까지 와이퍼 내로 도입된다.
이때, 도 5 및 도 6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의 바닥 방향으로 도구(150)를 계속 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와이퍼(10)는 와이퍼의 목부(104) 내로 더 맞물린다. 이렇게 하면, 와이퍼(10)의 연결 러그(14)가 몸체(11) 방향으로 접혀진다. 결합 러그(14)가 안에 끼워지는 리세스(17)가 존재하는 것으로 인해, 결합 러그는 관형 몸체(11)의 외부 표면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초과 두께를 형성하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리세스(17)에 끼워진 결합 러그(14)는 와이퍼가 용기의 목부(104)에서 하방으로 이동하는 데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도 6에 도시된 위치에서, 와이퍼의 림(12)은 용기(101)의 목부(104)의 상부 에지에 놓인다.
도구(150)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와이퍼(10)가 목부(104)에서 하방으로 이동하는 것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러그(14)의 자유 단부(15)가 더 이상 목부(104) 옆에 있지 않을 때까지 계속된다. 이 위치에서, 와이퍼(10)의 탄성 변형 가능한 개방 구조 부분(23)은 결합 러그(14)가 용기(101)의 숄더(106) 뒤에서 탄성적으로 복귀하는 것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자유롭게 개방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축 방향 길이만큼 길이 방향 축을 따라 늘어나 신장된 상태로 하중을 받는다. 결합 러그(14)는 길이 방향 축(X)에 대해 45°로 초기 형상으로 복귀하도록 반경 방향으로 개방된다.
개방 구조 부분(23)이 이렇게 축 방향으로 신장되는 동안, 나선형 리브(24)는 변형되어 길이 방향 축(X)에 대해 곧게 펴지게 되는데, 즉, 나선형 스프링이 인장력을 받아 회전 거동하는 것과 같이 원주 방향으로보다 길이 방향 축(X) 방향으로 보다 연장되도록 변형되게 된다.
도 8에서, 도구(150)는 도 8에 나타낸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1)의 바닥(103)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개방 구조 부분(23)이 탄성적으로 복귀하는 것에 의해, 결합 러그(14)는 숄더(106)에 맞물리게 되고, 이에 따라 와이퍼(10)가 용기(101)로부터 빠져나가게 하는 경향이 있는 움직임에 강하게 저항한다. 따라서, 와이퍼(10)는 이제 용기(101)의 목부(104)에 견고히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8에 도시된 이 위치에서, 개방 구조 부분(23)은 길이 방향 축(X)을 따라 늘어난 상태로 여전히 약간 하중을 받는다. 이것은 결합 러그(14)가 선택적으로 약간 구부러진 상태로 용기(101)의 숄더(106) 뒤를 지지하는 것을 보장한다. 따라서 와이퍼(10)를 용기(101)의 목부(104)에 고정하는 신뢰성이 더욱 향상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 변형예에 따른 와이퍼를 도시한다.
이 제1 실시형태 변형예에서,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와이퍼에 비해 개방 구조 부분(23')만이 수정된다.
이 도 9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제1 실시형태 변형예에서, 개방 구조 부분(23')은 적어도 2개의, 특히 3개의 리브(24')로 이루어진 2개의 그룹을 포함하고, 각 그룹에서 리브(24') 각각은 길이 방향 축(X)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된다. 리브(24')의 2개의 그룹은 길이 방향 축(X)을 중심으로 서로 정반대쪽에 있다. 각각의 리브는 길이 방향 축(X)을 중심으로 90° 미만, 특히 약 45°의 각도 범위에 걸쳐 연장된다. 각 그룹의 리브(24')는 슬롯(26')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서로 분리된다. 리브(24')의 그룹은 구멍(25')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서로 분리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 변형예에 따른 와이퍼를 도시한다.
이 제2 실시형태 변형예에서,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와이퍼에 비해 개방 구조 부분(23")만이 수정된다.
이 도 10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제2 실시형태 변형예에서, 개방 구조 부분(23")은 길이 방향 축(X)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24"), 본 경우에, 정반대쪽에 있는 2개의 리브(24")를 포함한다. 리브(24")는, 슬롯(26")에 의해 길이 방향 축(X)을 따라 서로 분리되고, 길이 방향 축(X)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부분에 의해 와이퍼의 몸체(11)에 그리고 함께 연결되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들을 포함한다. 리브(24")는 구멍(25")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서로 분리된다. 이 실시형태 변형예에서, 각각의 리브(24")는 약 90°의 각도 범위에 걸쳐 길이 방향 축(X)을 중심으로 연장된다.
설명되고 도시된 와이퍼의 모든 실시형태 변형예에서, 개방 구조 부분(23, 23', 23")은 와이퍼에 증가된 변형 능력, 특히 증가된 축 방향 확장 능력을 갖는 부분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와이퍼의 개방 구조 부분의 다른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고려될 수 있다.

Claims (15)

  1. 도포기에 의해 도포되는 제품, 특히 화장품이 담긴 용기(101)에 끼우도록 의도된 와이퍼(10)로서, 상기 와이퍼(10)는 길이 방향 축(X)을 따라 연장되는 원통형 몸체(11)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일부(21, 22)는 실제 와이핑 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11)는, 상기 길이 방향 축(X)을 따라 내부에 개구(105)를 획정하는, 상기 용기의 에지에 놓일 수 있는 림(rim)(12); 상기 와이퍼(10)를 상기 용기(101)에 결합하도록 의도된 결합 수단(14); 및 상기 길이 방향 축(X)을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고, 상기 림(12)과 상기 결합 수단(14) 사이에 제공되는 부분(23, 23', 23")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변형 가능한 부분은 상기 몸체(11)의 개방 구조 부분(openwork portion)(23, 23', 23")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의 개방 구조 부분(23)은, 상기 길이 방향 축(X)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되고, 원주 방향으로 2개의 구멍(25)에 의해 구획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rib)(24)를 포함하고, 상기 구멍(25)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길이 방향 축(X)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와이퍼(1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구조 부분(23)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길이 방향 축(X)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4개의 리브(24)를 포함하고, 상기 리브(24)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길이 방향 축(X)을 중심으로 규칙적으로 분포되고, 각각의 상기 리브(24)는 특히 약 90°의 각도 범위에 걸쳐 연장되고, 상기 리브(24)는 구멍(25)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서로 분리된, 와이퍼(10).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는 상기 탄성 변형 가능한 부분(23, 23', 23")과 상기 결합 수단(14) 사이에서 상기 길이 방향 축(X)을 따라 위치된 숄더(shoulder)(20)를 갖는, 와이퍼(10).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는, 상기 길이 방향 축(X)을 따라, 상기 와이퍼(10)가 상기 용기(101)에 장착된 위치에서 상기 용기(101)의 바닥(103)을 향하도록 의도된 제1 단부(19), 및 상기 제1 단부와 반대쪽 단부에 제2 단부(18)를 갖고, 상기 결합 수단(14)은 상기 몸체(11)의 외부 표면 위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립(flexible lip)(14)을 포함하고, 상기 립의 제1 단부는 결합 구역(16)에서 상기 몸체(11)에 부착되고, 상기 립의 제2 단부(15)는 자유롭고, 상기 립(14)은, 하중을 받지 않을 때, 상기 와이퍼(10)가 상기 용기(101) 내로 도입될 때의 저항이 상기 와이퍼가 상기 용기(101)로부터 인출될 때 상기 립(14)이 제공하는 저항보다 상당히 더 작도록 상기 몸체(11)의 길이 방향 축(X)과 예각(α)을 형성하는, 와이퍼(10).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α)는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55°, 특히 약 45°인, 와이퍼(10).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10)가 상기 결합 수단(14)에 의해 상기 용기(101) 내로 도입될 때 제공되는 저항을 더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몸체(11)의 외부 표면은 상기 결합 수단(14) 옆에 리세스(recess)(17)를 갖는, 와이퍼(10).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와이핑 부재(21, 22), 상기 결합 수단(14) 및 상기 탄성 변형 가능한 부분(23, 23', 23")은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로 만들어지는, 와이퍼(10).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는 열가소성 또는 가교된 엘라스토머, 특히 EPDM, 천연 고무, 니트릴, 부틸 또는 실리콘 엘라스토머,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PE)과 같은 폴리올레핀, 또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또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과 같은 열가소성 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와이퍼(10).
  10. 제품, 특히 화장품을 포장 및 도포하기 위한 포장 및 도포 조립체(100)로서, 상기 조립체는 상기 제품을 수용하도록 설계된 용기(101), 및 상기 제품을 도포하기 위한 도포기 부재(109)를 포함하고, 상기 조립체는 제1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와이퍼(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와이퍼(10)는 상기 도포기 부재(109) 상에 남아 있는 제품의 양을 계량할 수 있도록 상기 도포기 부재가 상기 용기(101)로부터 인출될 때 상기 도포기 부재(109)에 의해 통과될 수 있는, 포장 및 도포 조립체(100).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101)는 숄더(106)에 의해 목부(104)와 분리된 몸체(102)를 포함하고, 상기 목부(104)의 자유 에지는 개구(105)를 획정하고, 상기 개구 부근에는 상기 와이퍼(10)가 장착되는, 포장 및 도포 조립체(100).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10)가 상기 용기(101)에 장착된 위치에서 상기 결합 수단(14)은 실질적으로 상기 숄더(106)에 접해 있는, 포장 및 도포 조립체(100).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10)가 상기 용기(101)에 장착된 위치에서 상기 결합 수단(14) 및/또는 상기 탄성 변형 가능한 부분(23, 23', 23")은 상기 길이 방향 축(X)을 따라 탄성 하중을 받는, 포장 및 도포 조립체(100).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기 부재(109)는 연결 요소(108)를 통해 파지 부재(107)에 고정되고, 상기 파지 부재(107)는 상기 용기(101)의 개구(105)를 제거 가능하게 폐쇄할 수 있는 요소를 형성하는, 포장 및 도포 조립체(100).
  15.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기 부재(109)는 특히 꼬인 코어 파지 섬유를 갖는 브러시 또는 몰딩된 브러시, 아이라이너 도포기, 미세 브러시, 발포 블록, 프릿(frit), 펜 또는 펠트 팁(felt tip) 형태의 속눈썹 및/또는 눈썹용 도포기를 형성하는, 포장 및 도포 조립체(100).
KR1020217017361A 2018-12-19 2019-12-12 화장품 용기에 끼우도록 의도된 와이퍼 KR1025960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873284A FR3090292B1 (fr) 2018-12-19 2018-12-19 Essoreur destiné à équiper un récipient de produit cosmétique
FR1873284 2018-12-19
PCT/EP2019/084973 WO2020126856A1 (en) 2018-12-19 2019-12-12 Wiper intended to be fitted on a cosmetic product contai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0219A true KR20210090219A (ko) 2021-07-19
KR102596088B1 KR102596088B1 (ko) 2023-11-01

Family

ID=67185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7361A KR102596088B1 (ko) 2018-12-19 2019-12-12 화장품 용기에 끼우도록 의도된 와이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007814A1 (ko)
EP (1) EP3897281B1 (ko)
JP (1) JP7210738B2 (ko)
KR (1) KR102596088B1 (ko)
CN (1) CN113163920A (ko)
FR (1) FR3090292B1 (ko)
WO (1) WO202012685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6106B1 (ko) * 2022-11-29 2023-06-21 주식회사 파우코 스포이드가 구비된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29815B1 (fr) 2021-12-03 2023-11-10 Oreal Ensemble de conditionnement de produit cosmétique comprenant un flacon en verre étiré et un organe d’essorage encliqueté dans le col du flac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7524A (ja) * 2001-06-26 2003-02-18 L'oreal Sa 取り付けの簡単な拭い取り装置
FR2897761A1 (fr) * 2006-02-24 2007-08-31 Alcan Packaging Beauty Serv Distributeur applicateur d'un produit cosmetique
JP2012030822A (ja) * 2010-07-29 2012-02-16 Tokiwa Corp 化粧料容器
FR3005835A1 (fr) * 2013-05-22 2014-11-28 Montaigu Dev Dispositif d'essuyage pour produit pateux, procede de montage associ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635771A (en) * 1947-02-13 1950-04-19 Norman Fraser Brow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resilient sealing members for pistons, plungers or the like
GB957761A (en) * 1962-03-06 1964-05-13 Bryans Ltd Improvements in pressure or force measuring apparatus
DE3373616D1 (en) 1982-07-07 1987-10-22 Oreal Make-up set, especially for eyelashes
JP4733020B2 (ja) * 2004-03-18 2011-07-27 株式会社コーセー 塗布体付き容器
US7914220B2 (en) * 2005-03-01 2011-03-29 Elc Management Llc Vented mascara wiper
DE202011051673U1 (de) * 2011-10-19 2013-01-21 Geka Gmbh Mehrfachabstreifer
DE202011051674U1 (de) * 2011-10-19 2013-01-21 Geka Gmbh Abstreifer mit federnden Abstreiferlamellen
US9004075B2 (en) * 2013-04-02 2015-04-14 Zen Design Solutions Limited Wiper for a cosmetic container
FR3015198B1 (fr) * 2013-12-20 2016-01-01 Oreal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et d'application
FR3042918B1 (fr) * 2015-10-21 2017-12-22 Legrand France Boite electrique encastrable dans des cloisons d'epaisseurs differentes
JP6906364B2 (ja) * 2017-05-16 2021-07-21 ロレアル 人のケラチン物質に化粧品を塗布するための器具
ES2811516T3 (es) * 2017-11-07 2021-03-12 Lumson Spa Dispositivo limpiad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7524A (ja) * 2001-06-26 2003-02-18 L'oreal Sa 取り付けの簡単な拭い取り装置
FR2897761A1 (fr) * 2006-02-24 2007-08-31 Alcan Packaging Beauty Serv Distributeur applicateur d'un produit cosmetique
JP2012030822A (ja) * 2010-07-29 2012-02-16 Tokiwa Corp 化粧料容器
FR3005835A1 (fr) * 2013-05-22 2014-11-28 Montaigu Dev Dispositif d'essuyage pour produit pateux, procede de montage associ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6106B1 (ko) * 2022-11-29 2023-06-21 주식회사 파우코 스포이드가 구비된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3090292B1 (fr) 2021-10-01
JP7210738B2 (ja) 2023-01-23
CN113163920A (zh) 2021-07-23
JP2022512171A (ja) 2022-02-02
KR102596088B1 (ko) 2023-11-01
EP3897281B1 (en) 2024-05-22
EP3897281A1 (en) 2021-10-27
FR3090292A1 (fr) 2020-06-26
US20220007814A1 (en) 2022-01-13
WO2020126856A1 (en) 2020-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86044B2 (en) Easy-fit wiping device
US6345626B1 (en) Mascara applicator having compressible array of discs
KR100854049B1 (ko) 화장품과 같은 조성물의 포장 및 도포 장치
RU2356484C2 (ru) Аппликатор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несения косметического средства
US10045604B2 (en) Cosmetic multi-layered wiper
US20140290681A1 (en) Wiper for a cosmetic container
US20090052969A1 (en) Packaging and applicator device including a wiper member provided with at least one non-radial slot
KR102596088B1 (ko) 화장품 용기에 끼우도록 의도된 와이퍼
CN115251563A (zh) 将美容、化妆或护理产品涂抹至睫毛和/或眉毛的涂抹器
JP2017531528A (ja) パッケージングおよび塗布デバイス
CN110602965A (zh) 用于化妆品制品容器的擦拭件
JP2017500941A (ja) 包装および塗布デバイス
EP3525614A1 (en) Two-part wiping device
CN110267565B (zh) 容器
CN114126449B (zh) 用于化妆品涂敷器的擦拭器、相关装置和涂敷方法
US11903478B1 (en) Cosmetic product container
US20220022625A1 (en) Wiper device for a receptacle containing a product, notably a cosmetic product
CN111526756A (zh) 用于化妆品施用器的擦拭装置
WO2023016825A1 (en) Applicator for applying a product to human keratin materials
CN116268751A (zh) 用于涂抹化妆品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