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0000A - 전장품 - Google Patents

전장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0000A
KR20210090000A KR1020200003269A KR20200003269A KR20210090000A KR 20210090000 A KR20210090000 A KR 20210090000A KR 1020200003269 A KR1020200003269 A KR 1020200003269A KR 20200003269 A KR20200003269 A KR 20200003269A KR 20210090000 A KR20210090000 A KR 202100900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bushing
protrusion
disposed
bus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3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준
한수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3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0000A/ko
Publication of KR20210090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00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04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 H05K5/0008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assembled by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6Insulating bo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전장품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전장품은, 제1홀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1홀과 마주하는 제2홀을 포함하는 버스바; 상면에 제3홀이 형성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홀 및 상기 제2홀 내 배치되는 부싱; 및 상기 제3홀에 나사 결합되는 스크류를 포함하며, 상기 부싱의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홀의 내주면에 접촉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장품{Automotive electronics}
본 실시예는 전장품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전기장치로는 엔진전기장치(시동장치, 점화장치, 충전장치)와 등화장치가 일반적이나, 최근에는 차량이 보다 전자제어화 됨으로써 샤시 전기장치를 포함한 대부분의 시스템들이 전기전자화 되고 있는 추세이다.
자동차에 설치되는 램프, 오디오, 히터, 에어컨 등의 각종 전장품들은 자동차 정지시에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주행시에는 발전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되어 있는데, 이때 통상의 전원 전압으로 14V계 전원 시스템의 발전용량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 정보기술 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자동차의 편의성 증대를 목적으로 하는 다양한 신기술(모터식 파워 스티어링, 인터넷 등)들이 차량에 접목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현 자동차 시스템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는 신기술의 개발이 계속될 전망이다.
소프트 또는 하드 타입의 구분없이 하이브리드 전기 차량(HEV)은 전장부하(12V) 공급을 위한 DC-DC 컨버터(Low Voltage DC-DC Converter)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일반 가솔린 차량의 발전기(알터네이터) 역할을 하는 디씨디씨 컨버터는 메인 배터리(보통 144V 이상의 고전압 배터리)의 고전압을 다운시켜 전장부하용 전압 12V를 공급하고 있다.
전장품 내에는 다수의 전자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자부품들은 버스바를 통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버스바 체결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버스바 체결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전장품은 하우징(11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 내에는 구동을 위한 다수의 전자부품(120)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하우징(110) 내에는 인덕턴스를 얻기 위한 인덕터 또는 전압 변환을 위한 변압기(transformer)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자부품(120)은 제1버스바(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버스바(150)는 타 영역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스크류(130)가 관통하는 제1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부품(120)은 다른 전자부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자부품(120)은 제1버스바(150)를 통해 다른 전자부품의 제2버스바(140)와 접촉되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버스바(140)에는 상기 제1홀과 대향하도록 제2홀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크류(130)가 상기 제1홀과 상기 제2홀을 관통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1버스바(150) 및 상기 제2버스바(140)의 결합 상태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의 내면에는 상기 스크류(130)가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홀(1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사홀(112)이 배치된 상기 하우징(110)의 영역은, 타 영역보다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버스바(150) 및 상기 제2버스바(140)가 상기 스크류(130) 또는 상기 하우징(110)과 절연되도록, 상기 제2버스바(140)와 상기 하우징(110)의 내면 사이에는 절연 플레이트(170)가 배치되고, 상기 스크류(130)의 외면에는 절연용 부싱(16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부싱(160)은 고무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제1홀의 내주면과 상기 스크류(130)의 외주면 사이, 상기 제2홀의 내주면과 상기 스크류(130)의 외주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130)와 상기 부싱(160) 사이에는 너트(132)가 배치되어, 결합 영역에서 상기 스크류(130)의 결합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부품들 사이 절연을 위한 부싱이 고무 재질로 형성되므로, 금속 재질인 스크류와의 결합에 따라 부싱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부품 내 홀을 포함한 결합 영역에서의 공차 발생 시, 부품 체결이 불편하여 생산 효율이 저해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구조를 개선하여 체결이 용이하고, 체결 과정에서 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장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전장품은, 제1홀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1홀과 마주하는 제2홀을 포함하는 버스바; 상면에 제3홀이 형성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홀 및 상기 제2홀 내 배치되는 부싱; 및 상기 제3홀에 나사 결합되는 스크류를 포함하며, 상기 부싱의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홀의 내주면에 접촉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를 통해 하우징과 버스바의 결합을 위한 스크류를 부싱과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절연 구조가 간단해지고, 체결 공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부싱의 경우 하우징 내 체결 전 스크류에 먼저 결합되므로, 절연 재질의 부싱이 하우징과의 결합에 따라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버스바 체결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버스바 체결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싱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체결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B,C 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 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 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장품은 차량 내 구비되는 것으로서, 컨버터, 펌프 및 전자제어유닛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본 명세서에 따른 전장품은 하우징 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부품이 배치되는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에 따른 부싱은 서로 다른 버스바의 결합 영역을 포함하는 다양한 전장품 내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싱의 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체결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이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싱(200)은, 전장품 내 배치되어, 버스바(140, 150)와 스크류(130) 사이, 버스바(140, 150)와 하우징(110) 사이를 절연시킬 수 있다.
상기 부싱(200)은 절연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싱(200)의 재질은 수지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장품은 하우징(11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의 내면에는 상기 부싱(200) 또는 상기 스크류(130)가 결합되도록 제1홀(1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홀(111)은 상기 하우징(110)의 내면으로부터 외측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홀(111)의 형성 영역과 대향하는 상기 하우징(110)의 외면에는 타 영역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방열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열핀은 상기 하우징(110)의 외면 단면적을 증가시켜, 상기 하우징(110) 내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킬 수 있다.
상기 버스바(140, 150)는 상기 전장품 내 배치되는 전자부품과 다른 전자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전자부품의 일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부품은 전압 조절을 위한 변압기(Transformer)(108), 인덕턴스를 위한 인덕터, 하나 이상의 FET 소자(105)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스바(140, 15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스바(140, 150)에는 일면으로부터 타면을 관통하는 제2홀(14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홀(147)은 상기 제1홀(111)과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홀(147)의 단면적은 상기 제1홀(111)의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2홀(147)의 내주면 단면적은 상기 제1홀(111)의 내주면 단면적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버스바(140, 15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버스바(140, 150)는 제1버스바(140)와 제2버스바(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버스바(140)와 상기 제2버스바(150)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홀(147)은 상기 제1버스바(140)와 상기 제2버스바(150)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의 내면과 상기 버스바(140, 150)의 사이에는 절연 플레이트(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절연 플레이트는 절연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버스바(140, 150)와 상기 하우징(110)을 상호 절연시킬 수 있다.
상기 부싱(200)은 상기 스크류(130)와 함께 상기 제1홀(147) 및 상기 제2홀(11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부싱(200)은 상면으로부터 하면을 관통하도록 제3홀(20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홀(201)에는 상기 스크류(13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130)는 머리부(131)와, 상기 머리부(131)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결합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홀(201) 내에는 상기 결합부(132)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부싱(200)은, 제1영역(210)과, 제2영역(2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210)은 상기 제2영역(23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210)은 상기 제2홀(147) 내 배치되고, 상기 제2영역(230)은 상기 제1홀(111) 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210)의 단면적은 상기 제2영역(230)의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210)은 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홀(147) 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210)의 외주면과 상기 제2홀(147)의 내주면 사이는 이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로, 상기 제1영역(210)의 외주면과 상기 제2홀(147)의 내주면은 상호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210)의 상단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버스바(140, 150)의 내면(상면)에 접촉되는 상단부(2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단부(212)의 단면적은 상기 부싱(200) 내 타영역의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단부(212)의 단면적은 상기 머리부(131)의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머리부(130)의 하면은 상기 상단부(212)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2영역(230)은 상기 제1영역(210)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영역(230)은 상기 제1영역(210)의 단면적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영역(230)은 상기 제1홀(111) 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영역(210)은 상기 버스바(140, 150)와 수평 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2영역(230)은 상기 하우징(110)과 수평 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영역(230)의 외주면에는 단면적이 하방으로 갈수록 작아지게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크류(130)가 결합되는 상기 부싱(200) 내 제3홀(201)의 내주면에는 나사산 또는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132)의 외주면 상에 형성된 나사홈 또는 나사산을 통해, 상기 스크류(130)는 상기 부싱(200) 내 제3홀(201)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홀(201)은 상기 제1영역(210)이 내측에 배치되는 제3-1홀과, 상기 제2영역(230)이 내측에 배치되는 제3-2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결합부(132)가 나사 결합되는 영역은, 상기 제3-2홀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싱(200)은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40, 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영역(230)의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홀(111)의 내주면에 단부가 접촉되는 돌출부(240, 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240, 250)는 링(ring) 형상으로 형성되어, 돌출된 면이 상기 제1홀(111)의 내주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홀(111) 내 상기 부싱(200)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240, 250)는 상면(246)과, 하면(249)과 측면(24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247)은 상기 상면(246)과 상기 하면(249)을 연결할 수 있고, 상기 제1홀(111)의 내주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240, 250)의 하면(249)은 하방으로 갈수록 상기 돌출부(240, 250)의 단면적이 작아지게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부싱(200)이 상기 제1홀(111)의 결합 시, 용이하게 하방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240, 250)는 타 영역보다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홈(242, 2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홈(242, 252)은 각각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중앙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홈(242, 252) 형성 영역에 의해, 상기 돌출부(240, 250)의 측면(247)과 상기 제1홀(111)의 내주면 사이 접촉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아져, 보다 용이하게 상기 제2영역(230)이 상기 제1홀(111) 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부싱(200)은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절개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개부(232)는 상기 제2영역(232)의 외주면 중 일부가 상하 방향으로 절개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절개부(232)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제3홀(201)을 중심으로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232)는 상기 제2영역(230)을 서로 다른 2이상의 영역으로 구획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3홀(201) 내 상기 스크류(130)에 결합 시 상기 절개부(232)를 기준으로 구획된 복수의 영역이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240, 250)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돌출부(240, 250)는 제1돌출부(240)와, 상기 제1돌출부(24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돌출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돌출부(240, 250) 중 하부에 배치된 돌출부는 단면적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영역(230)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제2돌출부(250)의 반경 방향 돌출 길이는, 상기 제2영역(230)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제1돌출부(240)의 반경 방향 돌출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영역(230)의 외주면에는 하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형상의 경사면이 형성되므로, 상기 복수의 돌출부(240, 250)들의 돌출 높이를 달리하여, 상기 복수의 돌출부(240, 250) 모두 상기 제1홀(111)의 내주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하우징과 버스바의 결합을 위한 스크류를 부싱과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절연 구조가 간단해지고, 체결 공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부싱의 경우 하우징 내 체결 전 스크류에 먼저 결합되므로, 절연 재질의 부싱이 하우징과의 결합에 따라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제1홀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1홀과 마주하는 제2홀을 포함하는 버스바;
    상면에 제3홀이 형성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홀 및 상기 제2홀 내 배치되는 부싱; 및
    상기 제3홀에 나사 결합되는 스크류를 포함하며,
    상기 부싱의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홀의 내주면에 접촉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전장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은,
    상기 제2홀 내 배치되는 제1영역; 및
    상기 제1홀 내 배치되는 제2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영역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전장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홀의 단면적은 상기 제2홀의 단면적 보다 작게 형성되는 전장품.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의 상단에는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하면이 상기 버스바의 상면에 접촉되는 상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단부의 상면은 상기 스크류의 머리부와 접촉되는 전장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제1돌출부와, 상기 제1돌출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싱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제2돌출부의 반경 방향 돌출 길이는, 상기 부싱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제1돌출부의 반경 방향 돌출 길이 보다 긴 전장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면과, 하면과,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을 연결하며 상기 제1홀의 내주면에 접촉되는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면에는 하방으로 갈수록 상기 돌출부의 단면적이 작아지게 경사면이 형성되는 전장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타 영역보다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홈을 포함하는 전장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은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절개부를 포함하는 전장품.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는 절연 플레이트가 배치되는 전장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의 재질은 수지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전장품.

KR1020200003269A 2020-01-09 2020-01-09 전장품 KR202100900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3269A KR20210090000A (ko) 2020-01-09 2020-01-09 전장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3269A KR20210090000A (ko) 2020-01-09 2020-01-09 전장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0000A true KR20210090000A (ko) 2021-07-19

Family

ID=77126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3269A KR20210090000A (ko) 2020-01-09 2020-01-09 전장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9000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54633B2 (en) Power converter
KR102458346B1 (ko) 컨버터
KR20210006804A (ko) 컨버터
KR102590523B1 (ko) 컨버터
US20080032570A1 (en) Output 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for vehicle generator capable of generating high and low voltages
KR20210090000A (ko) 전장품
KR102426767B1 (ko) 전력제어장치
KR102619705B1 (ko) 커넥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버터
US11812591B2 (en) Electronic component assembly
KR20210075685A (ko) 컨버터
KR20210012275A (ko) 컨버터
KR102634417B1 (ko) 컨버터
KR102653882B1 (ko) 컨버터
KR102641305B1 (ko) 컨버터
KR20210077378A (ko) 실링 스크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장품
KR102592168B1 (ko) 컨버터
KR102630246B1 (ko) 컨버터
EP4277444A1 (en) Converter
KR102515174B1 (ko) 전원 단자 모듈
US20220377931A1 (en) Converter
US20240324153A1 (en) Converter
KR102694820B1 (ko) 컨버터
KR20210044651A (ko) 컨버터
KR20240045891A (ko) 인쇄회로기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버터
EP4436022A1 (en) Conver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