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9459A - 객실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객실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9459A
KR20210089459A KR1020200002648A KR20200002648A KR20210089459A KR 20210089459 A KR20210089459 A KR 20210089459A KR 1020200002648 A KR1020200002648 A KR 1020200002648A KR 20200002648 A KR20200002648 A KR 20200002648A KR 20210089459 A KR20210089459 A KR 202100894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m
signal
guest
control unit
managemen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2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석
한종현
류복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2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9459A/ko
Priority to PCT/KR2020/008196 priority patent/WO2021141190A1/ko
Publication of KR20210089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94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실시예에 따른 객실 에너지 관리 시스템은, 투숙객의 출입 예정 정보가 입력되는 단말 장치와, 단말 장치로부터 출입 예정 정보를 수신하여 객실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객실 관리부와, 객실 관리부로부터 객실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객실을 관리하는 설비를 제어하는 객실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객실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OCCUPANCY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객실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의 투숙객이 투숙하는 숙박 시설의 에너지를 관리하는 객실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투숙객이 투숙하는 숙박 시설에서는 투숙객의 외출 시간에도 객실 내의 전자 장치가 작동하여 에너지가 불필요하게 사용될 수 있어, 외출 시간을 고려하여 에너지를 절감하는 객실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국내공개특허 제10-2010-0001474호에서와 같이 호텔 객실 등을 출입하기 위해서는 투숙객에게 카드 형태의 키를 제공하고 객실 내부에 설치된 보관함 형태의 카드 키 감지 장치에 카드 키를 꽂아야 객실 내부의 전자 장치의 조명을 사용할 수 있었다. 그리고 카드 키 감지 장치로부터 카드 키를 빼면 객실 내의 주요 전자 장치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하였다.
그런데 투숙객들은 외출했다가 돌아왔을 때에도 일정한 수준의 환경으로 객실이 유지되는 것을 바라는 경우가 많아서, 외출하면서도 조명, 난방 장치, 냉방 장치 등을 끄지 않고 켜 둔 채로 나가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따라 불필요한 전력이 소모되어 객실이 공실인 경우에도 에너지를 절감하기 어려웠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10-0001474호(발명의 명칭: 현관카드키를 이용한 전원 온/오프 시스템)
본 실시예는 투숙객의 만족도를 향상하면서도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객실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실시예는 투숙객의 출입 예정 정보를 이용하여 투숙객이 외출한 시간에는 에너지 절감을 최대화하면서도 복귀 시각 이전에 객실 환경을 원하는 상대 또는 외출 전 상태를 가지도록 하여 투숙개의 만족도를 최대화할 수 있는 객실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객실 에너지 관리 시스템은, 투숙객의 출입 예정 정보가 입력되는 단말 장치와, 단말 장치로부터 출입 예정 정보를 수신하여 객실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객실 관리부와, 객실 관리부로부터 객실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객실을 관리하는 설비를 제어하는 객실 제어부를 포함한다.
출입 예정 정보가 외출 예정 시간 및 복귀 예정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출 예정 시각이 되면 객실 관리부가 객실 제어 신호로 에너지 절감 신호를 생성하여 객실 제어부에 제공하고, 객실 제어부가 에너지 절감 신호에 따라 설비를 제어하여 에너지 절감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객실 제어부가 에너지 절감 신호에 따라 설비를 끄거나 설비의 운행 조건을 제어할 수 있다.
설비가 조명, 냉방 장치, 난방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객실 제어부가 에너지 절감 신호에 따라 조명을 끄거나, 냉방 장치를 끄거나 설정 냉방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구동하거나, 난방 장치를 끄거나 설정 난방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구동할 수 있다.
투숙객의 재실 여부를 감지하는 재실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객실 제어부가 에너지 절감 신호와 함께 재실 감지부에 의한 외출 신호를 수신하면 에너지 절감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투숙객의 재실 여부를 감지하는 재실 센서 또는 키 인식 장치를 포함하는 재실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객실 제어부가 외출 예정 시각과 무관하게 재실 감지부에 의한 외출 신호를 수신하면 에너지 절감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객실 관리부는 복귀 예정 시각보다 복원 기간만큼 빠른 복원 시각이 되면 객실 제어 신호로 복원 신호를 생성하여 객실 제어부에 제공하고, 객실 제어부가 복원 신호에 따라 설비를 제어하여 재실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객실 제어부가 복원 신호에 따라 설비를 켜거나 설비의 운행 조건을 제어할 수 있다.
설비가 조명, 냉방 장치, 난방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객실 제어부가 복원 신호에 따라 조명을 켜거나, 냉방 장치를 켜거나 설정 냉방 온도로 구동하거나, 난방 장치를 켜거나 설정 난방 온도로 구동할 수 있다.
투숙객의 재실 여부를 감지하는 재실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객실 제어부가 복원 예정 시각과 무관하게 재실 감지부에 의한 복귀 신호를 수신하면 복원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객실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단말 장치를 통하여 입력된 출입 예정 정보를 이용하여 객실 관리부에서 객실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객실 제어 신호에 따라 객실 제어부가 객실을 관리하는 설비를 제어하는 제어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출입 예정 정보가 외출 예정 시간 및 복귀 예정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객실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외출 예정 시각이 되면 객실 관리부가 에너지 절감 신호를 생성하여 객실 제어부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에서는, 객실 제어부가 에너지 절감 신호를 받은 후에 투숙객의 재실 여부를 판단하는 추가 외출 여부 판단에 따른 외출 신호를 받으면 에너지 절감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객실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외출 예정 시각이 되면 객실 관리부가 에너지 절감 신호를 생성하여 객실 제어부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에서는, 객실 제어부가 에너지 절감 신호를 받아서 에너지 절감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외출 예정 시각 이전에 재실 여부를 판단하는 기본 외출 여부 판단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외출로 판단되면 객실 제어부가 에너지 절감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에너지 절감 모드에서는 설비를 끄거나 설비의 운행 조건을 제어할 수 있다.
객실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복귀 예정 시각보다 복원 기간만큼 앞선 복원 시각이 되면 객실 관리부가 복원 신호를 생성하여 객실 제어부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에서는, 객실 제어부는 복원 신호를 받아서 객실 환경을 복원하는 재실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객실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복귀 예정 시각 이전에 복귀 여부를 판단하는 복귀 여부 판단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복귀로 판단되면 객실 제어부가 객실 환경을 복원하는 재실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재실 모드에서는 설비를 켜거나 설비의 운행 조건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입력된 투숙객의 출입 예정 정보를 이용하여 객실에 투숙객이 외출한 시간 동안 에너지 절감 모드를 수행하여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투숙객의 외출 복귀 시간 이전에 복원 기간 동안 설비를 미리 켜거나 설비의 운행 조건을 제어하여 투숙객이 객실에 복귀할 때 원하는 객실 환경이 조성된 상태 또는 외출 전 상태를 가지도록 한다. 이에 의하여 객실의 에너지를 절감하여 숙박 시설의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투숙객의 편의를 도모하여 만족감을 향상할 수 있다. 그리고 에너지 절감량 등에 따라 마일리지, 보너스 등과 같은 혜택을 제공하여 투숙객의 에너지 절감에 대한 보상을 하여, 투숙객의 만족감을 높이면서 재방문을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실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객실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객실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단말 장치에서 에너지 절감 참여 화면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객실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단말 장치에서 출입 예정 시각을 입력하는 화면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객실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단말 장치에서 에너지 절감 결과를 표시한 화면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변형예에 따른 객실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객실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객실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객실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객실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실 에너지 관리 시스템(100)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객실 에너지 관리 시스템(100)은, 투숙객의 출입 예정 정보가 입력되는 단말 장치(10)와, 단말 장치(10)로부터 출입 예정 정보를 수신하여 객실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객실 관리부(20)와, 객실 관리부(20)로부터 객실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객실(300)을 관리하는 설비(310)를 제어하는 객실 제어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투숙객의 재실 여부를 감지하는 재실 감지부(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참조로, 도 1에서는 간략한 도시 및 명확한 이해를 위하여 하나의 객실(300)을 기준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에를 들어, 객실 관리부(20)에 복수의 객실(300)을 각기 제어하는 복수의 객실 제어부(30)가 연결되어 복수의 객실(300)을 각기 제어하거나, 하나의 객실 제어부(30)가 복수의 객실(300)에 연결되어 복수의 객실(300)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설비(310)는 객실(300)을 관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 또는 전력 소모 장치로서, 객실(3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는 전자 장치 또는 전력 소모 장치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설비(310)로 에어컨 등과 같은 냉방 장치(312), 히터, 보일러 등과 같은 난방 장치(314), 조명(316) 등을 예시하였다. 이와 같은 냉방 장치(312), 난방 장치(314), 조명(316) 등은 객실(300)의 온도, 밝기 등의 기본 객실 환경과 직접 관련되는 부분으로, 투숙객의 복귀 시에 가동되고 있으면 투숙객의 만족감을 크게 향상시켜줄 수 있는 전자 장치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객실 제어부(30)에 의하여 제어되어 투숙객의 만족감을 향상할 수 있는 설비(310)로 습도 조절 장치, 센서, 펌프, 환기 팬 등의 다양한 전자 장치 또는 전력 소모 장치가 객실(30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명확한 이해를 위하여 도 1에서는 난방 장치(314)와 냉방 장치(312)가 별개로 구비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제로는 난방 및 냉방을 할 수 있는 장치가 하나로 구비될 수도 있고, 건물 내에 설치된 공기 조화기 등으로 난방 또는 냉방이 일괄 또는 개별 제어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단말 장치(10)로는 투숙객의 출입 예정 정보가 입력되어 이를 객실 관리부(20)로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출입 예정 정보는 외출 예정 시각, 그리고 복귀 예정 시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장치(10)에 투숙객이 원하는 희망 제어 정보(투숙객이 원하는 객실(300)의 온도, 조명 온(on)/오프(off) 여부 등)가 입력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희망 제어 정보가 단말 장치(10)에 입력되면, 이를 출입 예정 정보와 함께 객실 관리부(20)에 전달되어, 객실 관리부(20)가 객실 제어부(30)를 전달되는 객실 제어 신호에 출입 예정 정보와 함께 희망 제어 정보를 함께 포함시켜 재실 모드 시에 투숙객이 원하는 객실(300)을 제어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는, 투숙객의 출입 예정 정보 및/또는 희망 제어 정보(이하, 출입 예정 정보 등)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12)와, 입력부(12)를 통하여 투숙객의 출입 예정 정보 등을 객실 관리부(20)로 송신할 수 있는 송신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는 버튼, 터치 등에 의하여 출입 예정 정보 등이 입력될 수 있는 다양한 구조 등을 가질 수 있다. 단말 장치(10)의 송신부(14)는 객실 관리부(2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어 객실 관리부(20)에 출입 예정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 장치(10)의 송신부(14)가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객실 관리부(20)가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단말 장치(10)와 객실 관리부(20)가 무선으로 통신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장치(10)가 객실 관리부(20)로부터 에너지 사용량, 에너지 절감량 등을 수신할 수 있는 수신부(16)와, 수신부(16)를 통하여 수신된 에너지 사용량, 에너지 절감량 등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18)를 포함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단말 장치(10)의 수신부(16)는 객실 관리부(2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어 객실 관리부(20)로부터 설비(310)의 제어 현황, 객실(300)의 에너지 사용량, 에너지 절감량, 이에 따른 혜택 등의 객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 장치(10)의 수신부(16)가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객실 관리부(20)가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단말 장치(10)와 객실 관리부(20)가 무선으로 통신 연결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명확한 이해를 위하여 송신부(14)와 수신부(16)를 별도로 도시하였으나, 실제로 송신부(14) 및 수신부(16)가 하나의 송수신부로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18)가 화면 상에 문자, 이미지, 색상 등으로 객실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단말 장치(10)로는 컴퓨터, 스마트 텔레비전,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 전화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투숙객이 지속적으로 휴대하고 있으며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등에 의하여 출입 예정 정보 등의 입력, 에너지 사용량 등의 확인이 용이한 스마트폰이 단말 장치(10)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말 장치(10)가 스마트폰인 경우에는 네트워크 서버를 통하여 투숙객의 출입 예정 정보 등을 객실 관리부(20)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객실 관리부(20)부터 제공되는 객실 정보는 네트워크 서버를 통하여 단말 장치(10)에 제공되는데, 해당 객실 정보는 객실 관리부(20), 객실 관리 서버, 호텔 서버 시스템 등에 저장되었다가 단말 장치(10)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경우 표시 또는 제공될 수도 있고, 정해진 시간 또는 일정 주기로 팝업창 형태로 단말 장치(10)에 표시 또는 제공될 수 있다. 그 외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은 객실 에너지 관리 시스템(100) 또는 객실 관리부(20)와 연동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앱 스토어 등을 통하여 단말 장치(10)를 대상으로 배포될 수 있다.
객실 관리부(20)는 단말 장치(10)로부터 출입 예정 정보 등을 수신하여 객실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객실 관리부(20)가 투숙객의 희망 제어 정보를 함께 수신하여 희망 제어 정보에 해당하도록 객실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객실 제어 신호는, 투숙객이 외출하여 객실(300)이 공실일 경우에 에너지를 절감하기 위한 에너지 절감 모드를 구현하기 위한 에너지 절감 신호와, 투숙객이 외출하지 않거나 외출 후 복귀하여 객실(300)에 재실할 경우에 투숙객의 희망에 따라 제어될 수 있는 재실 모드를 구현하기 위한 복원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희망 제어 정보는 복원 신호를 생성할 때 함께 포함되어 객실 제어부(30)에 제공될 있다. 예를 들어, 객실(300)의 희망 온도가 20도씨로 입력된 경우에는, 객실 관리부(20)가 복원 신호 생성 시에 20도씨의 복원 온도를 포함시켜 객실 제어부(30)에 제공하면, 객실 제어부(30)가 냉방 장치(312) 또는 난방 장치(314)를 가동하여 객실(300)의 온도가 20도씨가 되도록 할 수 있다.
객실 관리부(20)는 객실 제어부(3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어 통신될 수 있다. 일 예로, 객실 제어부(30)가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객실 관리부(20)가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객실 제어부(30)와 객실 관리부(20)가 무선으로 통신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객실 관리부(20)는 서버로서,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 앱 스토어 서버와 같은 외부 서버로 접속하여 응답 정보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기초로 단말 장치(10)의 화면에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컨텐츠 포맷에 따라 단말 장치(10)의 화면에 표시되는 객실 정보를 생성하여 통신망을 통하여 단말 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객실 제어부(30)가 투숙객의 재실 여부를 감지하는 재실 감지부(32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재실 감지 장치에 연결되어 통신될 수 있다. 객실 감지 장치로는 키 인식 장치(322), 재실 센서(32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키 인식 장치(322)는 투숙객의 출입 시 사용하는 카드 키, 열쇠 등을 인식하는 장치일 수 있다. 재실 센서(324)는 투숙객의 재실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적외선 센서, 이산화탄소 센서 등의 다양한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재실 감지부(320)는 출입 신호를 생성하여 객실 제어부(3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드 키가 위치 또는 삽입되지 않았던 키 인식 장치(322)에 카드 키가 위치 또는 삽입되면, 객실 제어부(30)가 출입 신호로 복귀 신호(또는 재실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키 인식 장치(322)에 위치 또는 삽입되었던 카드 키가 키 인식 장치(322)로부터 제거되면, 객실 제어부(30)가 출입 신호로 외출 신호(또는 공실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그리고 투숙객이 부재하고 있던 객실(300)에서 재실 센서(324)가 투숙객의 재실을 확인하면, 객실 제어부(30)가 출입 신호로 복귀 신호(또는 재실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투숙객이 존재하던 객실(300)에서 재실 센서(324)가 투숙객의 부재를 확인하면, 객실 제어부(30)가 출입 신호로 외출 신호(또는 공실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재실 감지부(320)에 포함되는 장치로는 다양한 구조 및 방식의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재실 감지부(320)에 포함된 키 인식 장치(322) 및 재실 센서(324)가 모두 객실 제어부(30)에 연결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키 인식 장치(322) 및 재실 센서(324) 중 적어도 하나가 객실 제어부(30)가 아닌 객실 관리부(20)에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실 센서(324)가 객실 관리부(20)에 연결되어, 객실 관리부(20)가 출입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객실 제어부(30)에 제공하거나, 또는 객실 관리부(20)가 출입 신호를 수신하여 이에 따른 객실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객실 제어부(30)에 제공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재실 감지부(320)로 키 인식 장치(322) 및 재실 센서(324)를 포함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실 센서(324)를 구비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그 외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객실 제어부(30)가 객실 관리부(20) 및/또는 재실 감지부(320)에 의한 객실 제어 신호 및/또는 출입 신호에 따라 설비(3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실 제어부(30)는 객실(300)에 구비되는 제어 유닛(예를 들어, 룸 컨트롤 유닛(room control unit))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객실 제어부(30)가, 객실(300) 이외에 구비되거나, 객실 관리부(30), 객실 관리 서버, 호텔 서버 시스템 등의 내부에 구비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좀더 구체적으로, 외출 예정 시각이 되면 객실 관리부(20)가 객실 제어 신호로 에너지 절감 신호를 생성하여 객실 제어부(30)에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객실 제어부(30)가 에너지 절감 신호에 따라 설비(310)를 제어하여 에너지 절감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에너지 절감 모드에서 객실 제어부(30)는 설비(310)를 끄거나 설비(310)의 운행 조건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실 제어부(30)가 에너지 절감 신호에 따라 조명(316)을 끄거나, 냉방 장치(312)를 끄거나 설정 냉방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구동하거나, 난방 장치(314)를 끄거나 설정 난방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구동할 수 있다.
이때, 단말 장치(10)를 통하여 입력된 외출 예정 시각이 된 경우에도, 투숙객이 외출하지 않고 객실(300)에 있을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출 예정 시각이 되어 에너지 절감 신호가 객실 제어부(30)에 제공된 경우에도 객실 제어부(30)가 재실 감지부(320)를 통하여 재실 여부를 확인하여 외출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에너지 절감 모드를 실현할 수 있다. 그러면, 투숙객의 일정 변경, 또는 투숙객의 입력 오류 등에 의하여 외출 예정 시각 이후에 투숙객이 객실(300)에 있는 경우에 원하지 않게 에너지 절감 모드가 실행되어 투숙객에 불편을 끼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재실 감지부(320)의 외출 신호가 없더라도,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 장치(10)를 통하여 입력된 외출 예정 시각만을 고려하여 에너지 절감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9를 참조하여 추후에 설명한다.
그리고 객실 제어부(30)는 외출 예정 시각과 무관하게 재실 감지부(320)에 의한 외출 신호를 수신하면 에너지 절감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투숙객의 일정 변경, 또는 투숙객의 입력 오류 등에 의하여 외출 예정 시각이 되지 않았음에도 투숙객이 객실(300)을 비운 경우에 재실 감지부(320)에 의한 감지에 따라 에너지 절감 모드가 실행되어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단말 장치(10)를 통하여 복귀 예정 시각이 입력되면, 객실 관리부(20)가 복귀 예정 시간보다 복원 기간만큼 빠른 복원 시각이 되면 객실 제어 신호로 복원 신호를 생성하여 객실 제어부(30)에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객실 제어부(30)가 복원 신호에 따라 설비(310)를 제어하여 재실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재실 모드에서 객실 제어부(30)는 설비(310)를 켜거나 설비(310)의 운행 조건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실 제어부(30)가 복원 신호에 따라 조명(316)을 켜거나, 냉방 장치(312)를 켜거나 설정 냉방 온도로 복원하여 구동하거나, 난방 장치(314)를 끄거나 설정 난방 온도로 복원하여 구동할 수 있다. 재실 모드에서 객실(300)은 투숙객이 설정한 희망 제어 정보로 제어되거나, 투숙객의 외출 전 상태를 복원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복원 기간은 객실(300)의 환경을 투숙객이 원하는 환경으로 복원하기 위하여 필요한 최소 시간을 고려하여 설정된 것이다. 즉, 냉방 장치(312), 난방 장치(314) 등의 전원을 키거나 설정 온도를 조절하여도 즉시 객실(300)의 온도를 원하는 온도로 변화시키기 어려우므로, 일정한 복원 기간 동안 냉방 장치(312), 난방 장치(314) 등을 미리 운행하여 투숙객이 객실(300)에 복귀하였을 때 객실(300)이 원하는 온도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복원 기간은 1시간 이내(예를 들어, 20분 내지 40분)일 수 있다. 복원 기간이 1시간을 넘으면 복원 기간 동안의 설비(310)의 운행을 위하여 많은 에너지가 소비될 수 있다. 복원 기간이 20분보다 짧으면, 복귀 예정 시각에 객실(300)이 원하는 상태로 유지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복귀 예정 시간 이전의 일정한 복원 기간 동안 객실(300)을 관리하는 설비(310)를 원하는 상태로 제어하여 투숙객이 객실(300)에 복귀하였을 때 쾌적한 환경(예를 들어, 원하는 온도, 습도 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설비(310)의 운행 조건을 일정 복원 기간 동안 천천히 변화시켜 설비(310)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여 설비(310)의 사용 기한을 최대화할 수 있다. 반면, 카드 키가 인식되면 전원을 재공급하는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객실(300)이 원하는 상태로 복원되기 위하여 투숙객이 복귀한 뒤로 일정 기간이 지나야 하므로 그 동안 투숙객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기 어렵다. 그리고 카드 키가 제거되면 전원을 끄고 카드 기가 인식되면 전원을 재공급하는 종래의 기술에서는 투숙객이 객실(300)을 원하는 조건으로 만들기 위하여 설비(310)를 가혹한 운전 조건으로 가동하여 설비(310) 내에 포함되는 압축기(compressor), 팬 등에 충격을 줄 수 있고 이에 따라 설비(310)의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
이때, 단말 장치(10)를 통하여 입력된 복귀 예정 시각 이후에 투숙객이 객실(300)에 복귀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투숙객이 따로 복귀 예정 시각을 수정하거나 입력을 취소하지 않는 경우라면 복귀 예정 시각을 고려한 복원 시간에 재실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투숙객이 복귀 예정 시각보다 늦게 복귀한 경우라도 복원 시간 이전까지는 에너지 절감 모드를 수행하여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객실 제어부(30)가 입력된 복귀 예정 시각과 무관하게 투숙객이 객실(300)에 복귀 또는 재실하여 재실 감지부(320)에 의한 복귀 신호(또는 재실 신호)를 수신하면 객실 제어부(30)가 재실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투숙객의 일정 변경, 또는 투숙객의 입력 오류 등에 의하여 투숙객이 외출하지 않거나 미리 복귀한 경우에도 재실 감지부(320)에 의한 감지에 따라 재실 모드가 실행되어 투숙객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객실 관리부(20)는 각 객실(300)의 설비(310)의 제어 현황, 객실(300)의 에너지 사용량, 에너지 절감량, 이에 따른 혜택 등의 객실 정보를 단말 장치(10)의 수신부(16)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에너지 절감량은 평균 에너지 사용량을 고려하여 산출될 수 있으며, 에너지 절감량에 따른 혜택은 에너지 절감량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된 정보에 기반하여 산출될 수 있다. 평균 에너지 사용량, 에너지 절감량 및 이에 따른 혜택을 단말 장치(10)로 제공하여 투숙객이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에너지 절감에 동참하도록 하는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
상술한 객실 에너지 관리 시스템(100)의 제어 방법(이하, 제어 방법)을 도 1과 함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객실 에너지 관리 시스템(100)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객실 에너지 관리 시스템(100)의 단말 장치(10)에서 에너지 절감 참여 화면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객실 에너지 관리 시스템(100)의 단말 장치(10)에서 출입 예정 시각을 입력하는 화면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객실 에너지 관리 시스템(100)의 단말 장치(10)에서 에너지 절감 결과를 표시한 화면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에서는, 단말 장치(10)를 통하여 입력된 출입 예정 정보를 이용하여 객실 관리부(20)에서 객실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S30, S60), 객실 제어 신호에 따라 객실 제어부(30)가 객실(300)을 관리하는 설비(310)를 제어하는 제어 모드를 실행한다(S40, S70).
좀더 구체적으로, 외출 예정 시각이 되면 객실 관리부(20)에서 에너지 절감 신호를 생성(S30)하여 객실 제어부(30)가 에너지 절감 모드를 실행하고(S40), 복귀 예정 시각을 이용한 복원 시각이 되면 객실 관리부(20)에서 복원 신호를 생성(S60)하여 객실 제어부(30)가 재실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S70). 이때, 재실 감지부(320)를 이용하여 외출 예정 시각 이전에라도 투숙객의 외출을 감지하면 외출 객실 제어부(30)가 에너지 절감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S40). 그리고 복귀 예정 시각 이전이라도 재실 감지부(320)가 투숙객의 복귀를 감지하면 객실 제어부(30)가 재실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S70). 이를 투숙객의 재실, 외출, 복귀의 순서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단말 장치(10)를 통하여 출입 예정 정보가 입력되어 출입 예정 정보가 제어 관리부(S20)에 수신된다(S10). 예를 들어, 투숙객의 단말 장치(10)에 본 실시예에 따른 객실 에너지 관리 시스템(100)에 필요한 출입 예정 정보 등을 입력할 수 있는 고객 사용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거나, 이를 다운받을 수 있는 인터넷 주소(uniform resource locator)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후에 투숙객에 의하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단말 장치(10)의 에너지 절감 참여 화면에서 참여 의사가 입력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 장치(10)에 외출 예정 시각 및 복귀 예정 시각을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이 나타난다. 이 화면에서 단말 장치(10)를 통하여 외출 예정 시각 및 복귀 예정 시각이 입력될 수 있다. 외출 예정 시각 및 복귀 예정 시각은 전체 일정에 동일하게 적용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고, 각 날짜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투숙객이 에너지 절감을 참여한 이후에 이를 취소하고자 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화면에서 취소 의사를 입력하여 에너지 절감 참여를 취소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4에서는 단말 장치(10)를 통하여 에너지 절감 참여 또는 취소, 그리고 출입 예정 정보가 입력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출입 예정 정보와 함께 희망 제어 정보가 입력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출입 예정 정보 및 희망 제어 정보가 함께 제어 관리부(S20)에 수신될 수 있다(S10).
본 실시예에서는 외출 예정 시각 이전이라도 재실 감지부(320)에 의하여 기본 외출 감지(S20)가 수행되고, 이에 따른 기본 외출 여부 판단(S22)이 이루어진다. 기본 외출 여부 판단(S22)에 의하여 외출로 판단되면, 외출 예정 시각 이전이더라도 외출 예정 시각과 무관하게 객실 제어부(30)가 제어 모드로 에너지 절감 모드를 실행한다(S40). 기본 외출 감지(S20)에 의한 기본 외출 여부 판단(S22)에서 외출하지 않은 것(재실)로 판단되면, 외출 예정 시각 여부 판단(S24)를 수행한다.
외출 예정 시각 여부 판단(S24)에서 외출 예정 시각에 해당되지 않으면, 외출 예정 시각까지 기본 외출 감지(S20) 및 이에 따른 기본 외출 여부 판단(S22)을 다시 수행한 후에 외출 예정 시각 여부 판단(S24)을 다시 수행한다.
외출 예정 시각 여부 판단(S24)에서 외출 예정 시각이 된 것으로 판단되면, 객실 관리부(20)가 객실 제어 신호로 에너지 절감 신호를 생성한다(S30). 이어서, 추가 외출 감지가 수행되고(S32), 이에 따른 외출 여부 판단(S34)이 수행된다. 추가 외출 여부 판단(S34)에서 외출하지 않은 것(재실)로 판단되면, 외출 여부 판단(S34)에서 외출로 판단될 때까지 추가 외출 감지(S32) 및 이에 따른 추가 외출 여부 판단(S34)을 다시 수행한다. 추가 외출 감지(S32) 및 이에 의한 추가 외출 여부 판단(S34)에서 외출로 판단되면, 에너지 절감 모드를 실행한다(S40).
이와 같이 외출 예정 시각 이전에는 기본 외출 감지(S22)를 수행하여 이에 따라 외출로 판단되면 객실 제어부(30)가 에너지 절감 모드를 수행한다. 이에 따라 외출 예정 시각 이전에 외출한 경우에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외출 예정 시각이 되면 제어 관리부(20)가 제어 신호로 에너지 절감 신호를 생성하되(S30), 추가 외출 감지(S32) 및 이에 따른 외출 여부 판단(S34)을 수행하여 외출로 판단되면, 그때 객실 제어부(30)가 에너지 절감 모드가 실행할 수 있다(S40). 이에 의하여 투숙객의 일정 변경, 또는 투숙객의 입력 오류 등에 의하여 외출 예정 시각 이후에 투숙객이 객실(300)에 있는 경우에 원하지 않게 에너지 절감 모드가 실행되어 투숙객에 불편을 끼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복귀 예정 시각 또는 복원 시각 이전이라도 재실 감지부(320)에 의하여 복귀 감지(S52)가 수행되고, 이에 따른 복귀 여부 판단(S54)이 이루어진다. 복귀 여부 판단(S54)에 의하여 복귀로 판단되면, 복귀 예정 시각 또는 복원 시각 이전이더라도 복귀 예정 시각 또는 복원 시각과 무관하게 객실 제어부(30)가 제어 모드로 재실 모드를 실행한다(S70). 복귀 감지(S52)에 의한 복귀 여부 판단(S54)에서 복귀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연속하여 또는 일정 주기로 복원 시각 여부 판단(S56)를 수행한다. 여기서, 복원 시각이라 함은 복귀 예정 시각에서 복원 기간만큼 앞선 시각을 의미할 수 있다.
복원 시각 여부 판단(S56)에서 복원 시간에 해당되지 않으면, 복원 시간까지 복귀 감지(S52) 및 이에 따른 복귀 여부 판단(S54)을 다시 수행한다.
복원 시각 여부 판단(S56)에서 복원 시각이 된 것으로 판단되면, 객실 관리부(20)가 객실 제어 신호로 복원 신호를 생성한다(S60). 객실 관리부(20)로부터 수신된 복원 신호에 따라 객실 제어부(30)가 설비(310)를 제어하여 객실(300)의 환경을 복원하는 재실 모드를 실행한다(S70).
이와 같이 복귀 예정 시각 또는 복원 시간 이전에는 복귀 감지(S52)를 수행하여 이에 따라 복귀로 판단되면 객실 제어부(30)가 재실 모드를 수행한다. 이에 따라 외출 예정 시각 이전에 외출한 경우에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객실 관리부(20)가 설비(310)의 제어 현황, 객실(300)의 에너지 사용량, 에너지 절감량, 이에 따른 혜택 등을 검출, 판단, 또는 계산하여 이에 따른 객실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단말 장치(10)의 수신부(16)로 제공하고, 단말 장치(10)의 표시부(18)를 통하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에너지 절감 결과의 표시(S80)가 마지막 단계로 구비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이해를 위하여 예시로 제시한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모든 단계에서 투숙객이 단말 장치(10)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에 표시 또는 제공될 수도 있고, 정해진 시간 또는 일정 주기로 팝업창 형태로 단말 장치(10)에 표시 또는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입력된 투숙객의 출입 예정 정보를 이용하여 객실(300)에 투숙객이 외출한 시간 동안 에너지 절감 모드를 수행하여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투숙객의 외출 복귀 시간 이전에 복원 기간 동안 설비(310)를 미리 켜거나 설비(310)의 운행 조건을 제어하여 투숙객이 객실(300)에 복귀할 때 원하는 객실(300) 환경이 조성된 상태 또는 외출 전 상태를 가지도록 한다. 이에 의하여 객실(300)의 에너지를 절감하여 숙박 시설의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투숙객의 편의를 도모하여 만족감을 향상할 수 있다. 그리고 에너지 절감량 등에 따라 마일리지, 보너스 등과 같은 혜택을 제공하여 투숙객의 에너지 절감에 대한 보상을 하여, 투숙객의 만족감을 높이면서 재방문을 유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객실 에너지 관리 시스템(100)의 제어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술한 설명과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서로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예 또는 이를 변형한 예와 아래의 실시예 또는 이를 변형한 예들을 서로 결합한 것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객실 에너지 관리 시스템(100)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에서는, 출입 예정 정보를 수신하고(S10), 재실 감지부(320)에 의하여 기본 외출 감지(S20)가 수행되고, 이에 따른 기본 외출 여부 판단(S22)이 이루어질 수 있다. 기본 외출 여부 판단(S22)에서 외출한 것으로 판단되면 외출 예정 시각 이전이더라도 외출 예정 시각과 무관하게 객실 제어부(30)가 제어 모드로 에너지 절감 모드를 실행한다(S40).
외출 예정 시각 여부 판단(S24)에서 외출 예정 시각이 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 관리부(20)가 제어 신호로 에너지 절감 신호를 생성하고(S30), 이에 따라 객실 제어부(30)가 에너지 절감 모드가 실행할 수 있다(S40). 즉, 본 실시예에서는 외출 예정 시각이 된 경우에는 추가 외출 감지(S32) 및 이에 따른 외출 여부 판단(S34)을 수행하지 않고 외출 예정 시각 여부 판단(S24)만을 고려하여 에너지 절감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S40). 이와 같이 투숙객이 객실(300)에 있는 경우에 에너지 절감 모드가 수행되어도, 투숙객이 원하는 설비(310)를 켜거나 외출 예정 시각을 취소하여 재실 모드가 구현되도록 하면, 설비(310)를 원하는 대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의하면 추가 외출 감지(S32) 및 이에 따른 외출 여부 판단(S34)을 수행하지 않아 제어를 단순화할 수 있다.
그 이후의 단계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한 제어 방법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객실 에너지 관리 시스템(100)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에서는, 출입 예정 정보를 수신하고(S10), 외출 예정 시각 여부 판단(S24)을 수행한다.
외출 예정 시각 여부 판단(S24)에서 외출 예정 시각이 된 것으로 판단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일정 주기로 또는 연속하여 외출 예정 시각 여부 판단(S24)을 수행한다.
외출 예정 시각 여부 판단(S24)에서 외출 예정 시각이 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 관리부(20)가 제어 신호로 에너지 절감 신호를 생성하고(S30), 객실 제어부(30)가 에너지 절감 신호를 받으면 에너지 절감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S40).
즉, 본 실시예에서는 외출 예정 시각 이전에 기본 외출 감지(S20) 및 이에 따른 기본 외출 여부 판단(S22)을 수행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외출 예정 시각이 지나면 에너지 절감 모드가 실행(S40)되어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의하면 기본 외출 감지(S20) 및 이에 따른 기본 외출 여부 판단(S22)을 수행하지 않아 제어를 단순화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외출 예정 시각이 된 경우에 추가 외출 감지(S32) 및 이에 따른 외출 여부 판단(S34)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예시하였다. 이 경우에는 외출 예정 시각 여부 판단(S24)만을 고려하여 에너지 절감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S40).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도 2를 참조한 제어 방법에서와 같이 외출 예정 시각이 된 경우에 추가 외출 감지(S32) 및 이에 따른 외출 여부 판단(S34)을 수행하여 외출 신호가 있는 경우에만 에너지 절감 모드가 실행될 수 있다(S40).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복원 시각 여부 판단(S56)를 수행한다.
복원 시각 여부 판단(S56)에서 복원 시간에 해당되지 않으면, 일정 주기로 또는 연속하여 복원 시각 여부 판단(S56)을 수행한다.
복원 시각 여부 판단(S56)에서 복원 시각이 된 것으로 판단되면, 객실 관리부(20)가 객실 제어 신호로 복원 신호를 생성한다(S60). 객실 관리부(20)로부터 수신된 복원 신호에 따라 객실 제어부(30)가 설비(310)를 제어하여 객실(300)의 환경을 복원하는 재실 모드를 실행한다(S70). 이에 의하면 복귀 감지(S52) 및 이에 따른 복귀 여부 판단(S54)을 수행하지 않아 제어를 단순화할 수 있다.
그 이후의 단계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한 제어 방법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복원 시각 여부 판단(S56), 복원 신호 생성(S60), 재실 모드 실행(S70)은 도 2 또는 도 8을 참조한 실시예에서 복귀 감지(S52), 복귀 여부 판단(S54), 복원 시각 여부 판단(S56), 복원 신호 생성(S60), 재실 모드 실행(S70) 대신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른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객실 에너지 관리 시스템
10: 단말 장치
20: 객실 관리부
30: 객실 제어부
300: 객실
310: 설비
312: 냉방 장치
314: 난방 장치
316: 조명
320: 재실 감지부
322: 키 인식 장치
324: 재실 센서

Claims (20)

  1. 투숙객의 출입 예정 정보가 입력되는 단말 장치;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출입 예정 정보를 수신하여 객실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객실 관리부; 및
    상기 객실 관리부로부터 상기 객실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객실을 관리하는 설비를 제어하는 객실 제어부
    를 포함하는 객실 에너지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예정 정보가 외출 예정 시간 및 복귀 예정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객실 에너지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출 예정 시각이 되면 상기 객실 관리부가 상기 객실 제어 신호로 에너지 절감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객실 제어부에 제공하고, 상기 객실 제어부가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에 따라 상기 설비를 제어하여 에너지 절감 모드를 실행하는 객실 에너지 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객실 제어부가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에 따라 상기 설비를 끄거나 상기 설비의 운행 조건을 제어하는 객실 에너지 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가 조명, 냉방 장치, 난방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객실 제어부가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에 따라 상기 조명을 끄거나, 상기 냉방 장치를 끄거나 설정 냉방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구동하거나, 상기 난방 장치를 끄거나 설정 난방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구동하는 객실 에너지 관리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투숙객의 재실 여부를 감지하는 재실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객실 제어부가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와 함께 상기 재실 감지부에 의한 외출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에너지 절감 모드를 실행하는 객실 관리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숙객의 재실 여부를 감지하는 재실 센서 또는 키 인식 장치를 포함하는 재실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객실 제어부가 상기 외출 예정 시각과 무관하게 상기 재실 감지부에 의한 외출 신호를 수신하면 에너지 절감 모드를 수행하는 객실 관리 시스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객실 관리부는 상기 복귀 예정 시각보다 복원 기간만큼 빠른 복원 시각이 되면 상기 객실 제어 신호로 복원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객실 제어부에 제공하고, 상기 객실 제어부가 상기 복원 신호에 따라 상기 설비를 제어하여 재실 모드를 실행하는 객실 에너지 관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객실 제어부가 상기 복원 신호에 따라 상기 설비를 켜거나 상기 설비의 운행 조건을 제어하는 객실 에너지 관리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가 조명, 냉방 장치, 난방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객실 제어부가 상기 복원 신호에 따라 상기 조명을 켜거나, 상기 냉방 장치를 켜거나 설정 냉방 온도로 구동하거나, 상기 난방 장치를 켜거나 설정 난방 온도로 구동하는 객실 에너지 관리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투숙객의 재실 여부를 감지하는 재실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객실 제어부가 상기 복원 예정 시각과 무관하게 상기 재실 감지부에 의한 복귀 신호를 수신하면 복원 모드를 수행하는 객실 관리 시스템.
  12. 단말 장치를 통하여 입력된 출입 예정 정보를 이용하여 객실 관리부에서 객실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객실 제어 신호에 따라 객실 제어부가 객실을 관리하는 설비를 제어하는 제어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객실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예정 정보가 외출 예정 시간 및 복귀 예정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객실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객실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외출 예정 시각이 되면 상기 객실 관리부가 에너지 절감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객실 제어부에 제공하고,
    상기 제어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객실 제어부가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를 받은 후에 투숙객의 재실 여부를 판단하는 추가 외출 여부 판단에 따른 외출 신호를 받으면 에너지 절감 모드를 실행하는 객실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객실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외출 예정 시각이 되면 상기 객실 관리부가 에너지 절감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객실 제어부에 제공하고,
    상기 제어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객실 제어부가 상기 에너지 절감 신호를 받아서 에너지 절감 모드를 실행하는 객실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외출 예정 시각 이전에 재실 여부를 판단하는 기본 외출 여부 판단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외출로 판단되면 상기 객실 제어부가 에너지 절감 모드를 실행하는 객실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절감 모드에서는 상기 설비를 끄거나 상기 설비의 운행 조건을 제어하는 객실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객실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복귀 예정 시각보다 복원 기간만큼 앞선 복원 시각이 되면 상기 객실 관리부가 복원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객실 제어부에 제공하고,
    상기 제어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객실 제어부가 상기 복원 신호를 받으면 객실 환경을 복원하는 재실 모드를 실행하는 객실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예정 시각 이전에 복귀 여부를 판단하는 복귀 여부 판단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복귀로 판단되면 상기 객실 제어부가 객실 환경을 복원하는 재실 모드를 실행하는 객실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재실 모드에서는 상기 설비를 켜거나 상기 설비의 운행 조건을 객실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200002648A 2020-01-08 2020-01-08 객실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1008945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648A KR20210089459A (ko) 2020-01-08 2020-01-08 객실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PCT/KR2020/008196 WO2021141190A1 (ko) 2020-01-08 2020-06-23 객실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648A KR20210089459A (ko) 2020-01-08 2020-01-08 객실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9459A true KR20210089459A (ko) 2021-07-16

Family

ID=76788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2648A KR20210089459A (ko) 2020-01-08 2020-01-08 객실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089459A (ko)
WO (1) WO2021141190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1474A (ko) 2008-06-27 2010-01-06 박세영 현관카드키를 이용한 전원 온/오프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5019A (ko) * 2002-03-15 2003-09-22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제어 장치 및 방법
JP5968196B2 (ja) * 2012-11-08 2016-08-10 三菱電機株式会社 家庭用電力制御装置及び家庭用電力制御システム
JP5747954B2 (ja) * 2013-06-28 2015-07-15 三菱電機株式会社 照明システムとそ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6125039B2 (ja) * 2013-11-26 2017-05-10 三菱電機株式会社 空調制御装置
KR102252263B1 (ko) * 2014-04-04 2021-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Hvac 시스템의 에너지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1474A (ko) 2008-06-27 2010-01-06 박세영 현관카드키를 이용한 전원 온/오프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41190A1 (ko) 2021-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90081B1 (en) Security system with integrated HVAC control
EP2846105B1 (en) Home appliance, home applianc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70051937A1 (en) Air-conditioning ventilation system
EP2800223A2 (en) Power control system
CN110291795B (zh) 管理装置、显示切换系统以及空调系统
US20150184881A1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controller
EP4023953A1 (en) Battery life extender for indoor air quality sensor
WO2019102630A1 (ja) 空気調和システム
US9863658B2 (en) Room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assigning rooms based on air conditioner state and room temperature
KR20120111977A (ko) 시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EP3406984B1 (en) Devic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EP2701116A1 (en) Energy management device and energy management system
JP2006129098A (ja) 遠隔操作装置および遠隔制御システム
JP2010050664A (ja) 家電機器制御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5171885B2 (ja) 環境制御システム、システムコントローラ及び環境制御方法
KR20130107838A (ko) 냉난방용 유닛 및 그의 냉난방 관리 방법
JP5523359B2 (ja) 空調制御システム及び空調コントローラ
JP2011158117A (ja) 空調機システム
WO2015136679A1 (ja) 空気調和システム及び中央管理装置
KR20210089459A (ko) 객실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EP2784611A2 (en) Electrical equipment control apparatus and electrical equipment control system
JP2008209035A (ja) ホテル客室空調管理装置
JP2010268185A (ja) 電力管理システム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1166519A (ja) 無線タグ、管理装置及び省エネシステム
KR20210089045A (ko) 재실 판별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객실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