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8991A - 심리 상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심리 상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8991A
KR20210088991A KR1020200002156A KR20200002156A KR20210088991A KR 20210088991 A KR20210088991 A KR 20210088991A KR 1020200002156 A KR1020200002156 A KR 1020200002156A KR 20200002156 A KR20200002156 A KR 20200002156A KR 20210088991 A KR20210088991 A KR 20210088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sychological
user
counselor
counseling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2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5107B1 (ko
Inventor
박가을
Original Assignee
박가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가을 filed Critical 박가을
Priority to KR1020200002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5107B1/ko
Publication of KR20210088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8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5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5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5/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reports, e.g. generation or transmission thereof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심리적 안정과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심리 상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심리 상담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의 심리 유형, 심리 수준 및 상기 사용자의 취향 정보에 기초하여 심리 상담사를 매칭하는 상담사 매칭 모듈; 상기 심리 상담사가 지정된 맞춤 심리 안정 프로그램을 생성하고, 상기 심리 상담사에 의해 진행된 상기 맞춤 심리 안정 프로그램을 제공받을 그룹 및 인원을 결정하는 맞춤 프로그램 생성 모듈; 상기 맞춤 심리 안정 프로그램과 연관된 미션 및 주기적 심리 검사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미션 생성 모듈;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미션을 달성한 결과를 포함하는 레포트 및 심리 검사 결과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레포트 생성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심리 상담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SYCHOLOGICAL PROVIDING COUNSELING}
본 발명은 심리 상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정신적 질병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심리적, 정서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을 위한 다양한 심리 상담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대부분의 심리 상담 서비스가 오프라인 상에서 제공되고 있으며,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단편적인 정보 전달에 그치고 있어 심리 상담의 후 지속적인 개선 효과를 얻기 어렵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심리 상담에 있어서, 사용자(심리 상담자)가 실질적인 개선 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는 심리 상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심리 상담을 장기적으로 진행할 수 있고, 심리 상담에 있어 거리 및 시간에 대한 제약을 해결하고, 전문가에게 단순히 답을 듣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 스스로가 자신의 마음의 답을 찾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심리 상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심리 상담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의 심리 유형, 심리 수준 및 상기 사용자의 취향 정보에 기초하여 심리 상담사를 매칭하는 상담사 매칭 모듈; 상기 심리 상담사가 지정된 맞춤 심리 안정 프로그램을 생성하고, 상기 심리 상담사에 의해 진행된 상기 맞춤 심리 안정 프로그램을 제공받을 그룹 및 인원을 결정하는 맞춤 프로그램 생성 모듈; 상기 맞춤 심리 안정 프로그램과 연관된 미션 및 주기적 심리 검사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미션 생성 모듈;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미션을 달성한 결과를 포함하는 레포트 및 심리 검사 결과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레포트 생성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의 실시 예에서, 상기 상담사 매칭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상담 유형을 입력받고, 상기 상담 유형에 따른 테스트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테스트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상기 심리 유형 및 상기 심리 수준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의 실시 예에서, 상기 상담사 매칭 모듈은, 상기 심리 유형, 상기 심리 수준 및 상기 취향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심리 상담사 후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심리 상담사 후보 중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심리 상담사 후보를 상기 심리 상담사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의 실시 예에서, 상기 레포트 생성 모듈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감정 변화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감정 변화 데이터로부터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의 감정 평균값을 연산하고, 상기 감정 평균값을 상기 레포트에 추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의 실시 예에서, 상기 레포트 생성 모듈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인지 보고서를 제공받고, 상기 인지 보고서에 대해 키워드 추출을 수행하여 워드의 빈도수를 측정하고, 상기 워드의 빈도수에 기초하여, 워드 클라우딩, 키워드 차트, 감정 유리병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의 실시 예에서, 상기 심리 상담 제공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심리 상담사와 상담을 하기 위한 채팅 상담을 제공하는 채팅 상담 제공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의 실시 예에서, 상기 심리 상담 제공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스마트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링은,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고, 측정된 심박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심리 상담을 유도하거나,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미션을 알림하거나, 상기 사용자의 심리 상태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심리 상담과 관련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심리 상담 제공 방법은, 사용자의 심리 유형, 심리 수준 및 상기 사용자의 취향 정보에 기초하여 심리 상담사를 매칭하는 단계; 상기 심리 상담사가 지정된 맞춤 심리 안정 프로그램을 생성하고, 상기 심리 상담사에 의해 진행된 상기 맞춤 심리 안정 프로그램을 제공받을 그룹 및 인원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맞춤 심리 안정 프로그램과 연관된 미션 및 주기적 심리 검사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미션을 달성한 결과를 포함하는 레포트 및 심리 검사 결과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의 실시 예에서, 상기 심리 상담사를 매칭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상담 유형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상담 유형에 따른 테스트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테스트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상기 심리 유형 및 상기 심리 수준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의 실시 예에서, 상기 심리 상담사를 매칭하는 단계는, 상기 심리 유형, 상기 심리 수준 및 상기 취향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심리 상담사 후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심리 상담사 후보 중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심리 상담사 후보를 상기 심리 상담사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의 실시 예에서, 상기 레포트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감정 변화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감정 변화 데이터로부터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의 감정 평균값을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감정 평균값을 상기 레포트에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의 실시 예에서, 상기 레포트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인지 보고서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인지 보고서에 대해 키워드 추출을 수행하여 워드의 빈도수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워드의 빈도수에 기초하여, 워드 클라우딩, 키워드 차트, 감정 유리병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의 실시 예에서, 상기 심리 상담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심리 상담사와 상담을 하기 위한 채팅 상담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심리 상담자)의 심리 유형, 심리 수준 및 취향에 부합하는 맞춤 심리 안정 프로그램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맞춤 심리 안정 프로그램의 진행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미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개인에게는 심리적 안정과 건강을 제공하고 상담사에게는 효과적인 상담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 심리 상담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개인 별 또는 그룹 별로, 자신의 심리 유형, 심리 수준 및 취향에 부합하는 심리 상담사를 배정받고, 심리 상담사와 용이하게 상담을 진행할 수 있어 심리 상담의 용이성 및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심리 상담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심리 상담 제공 시스템의 스마트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심리 상담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심리 상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심리 상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심리 상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심리 상담 제공 시스템의 일 구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심리 상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심리 상담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심리 상담 제공 시스템의 스마트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심리 상담 제공 시스템(1)은 심리 상담 서버(10), 사용자 단말(20) 및 상담사 단말(30)을 포함할 수 있다.
심리 상담 서버(10), 사용자 단말(20) 및 상담사 단말(30)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심리 상담 제공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를 컴퓨팅 장치로서, 예를 들어 스마트 폰, 스마트 워치, 스마트 밴드,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데스크탑 컴퓨터, 서버 등을 비롯한 컴퓨팅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컴퓨터 명령을 저장 및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구비한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네트워크(40)는 셀룰러 네트워크, Wi-Fi 네트워크, 블루투스 네트워크 등을 비롯한 무선 네트워크, LAN(Local Area Network), WLAN(Wide Local Area Network) 등을 비롯한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와 유선 네트워크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몇몇의 실시 예에서, 심리 상담 제공 시스템(1)은, 스마트링(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b를 함께 참조하면, 스마트링(60)은 예컨대 ARM Cortex MO 기반 프로세서, 메모리, HRV 측정기, 스마트 와이어리스 모듈, 진동 모듈, 캐릭터 표시 모듈 등을 구비하고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전자 디바이스일 수 있다.
스마트링(60)은,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고, 측정된 심박수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심리 상담을 유도하거나, 사용자에게 미션을 알림하거나, 사용자의 심리 상태에 따라 사용자에게 심리 상담과 관련된 알림을 제공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마트링(60)은 사용자의 심박수(HRV), 생체 리듬을 측정하여, 스트레스가 증가하였을 때 또는 우울증의 수치가 매우 높을 때에 실시간으로 알맞은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 맞춤 심리 안정 프로그램을 일정 시간(예를 들어, 아침, 점심, 저녁)에 알람 형식으로 알려주기 위해, 하루 동안 사용자의 심박수와 생체리듬을 측정하여 후술하는 인지 보고서에 사용될 수 있는 보다 객관적인 자료를 얻기 위해, 그리고 공황 장애, 불안 장애의 전초 증상을 잡고, 적절한 시간에 정확한(심신 안정, 호흡 명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심리 상담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심리 상담 제공 시스템은 심리 상담 서버(10), 사용자 단말(20) 및 심리 상담사 단말(30)을 포함할 수 있다.
심리 상담 서버(10)는 사용자(심리 상담자)에게 심리 상담 프로그램, 심리 상담 환경 및 심리 상담 결과 등 심리 상담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심리 상담 서버(10)는, 고객 정보 관리 모듈(110), 상담사 정보 관리 모듈(120), 맞춤 심리 안정 프로그램 생성 모듈(130), 미션 생성 모듈(140), 상담사 매칭 모듈(150), 채팅 상담 제공 모듈(160) 및 레포트 생성 모듈(170)을 포함할 수 있다.
고객 정보 관리 모듈(110)은 사용자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객 정보 관리 모듈(110)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의 고객 정보 관리 모듈(210)을 통해 입력한 사용자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를 심리 상담 서버(10)의 데이터베이스 또는 저장 장치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고객 정보 관리 모듈(110)은 사용자 단말(20)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인증, 예컨대 로그인 또는 로그아웃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정보는, 사용자의 아이디, 닉네임, 성명, 나이, 성별, 주소, 이메일 주소, 휴대폰 번호, 취미 또는 취향 등의 정보(이하 "취향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취향 정보의 경우에는, 고객 정보 관리 모듈(110)이 미리 정해진 몇몇의 항목을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이 중 사용자가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입력받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 정보 관리 모듈(110)은 사용자 단말(20)의 고객 정보 관리 모듈(210)과 통신하여, 사용자에게 "음악 감상", "영화 감상", "그리기/만들기", "운동", "독서" 등의 항목들을 제시하고, 이 중 사용자가 "음악 감상"및 "독서"를 선택하면, 음악 감상" 및 "독서"를 해당 사용자의 취향 정보로서 저장해 둘 수 있다.
상담사 정보 관리 모듈(120)은 상담사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객 정보 관리 모듈(110)은 상담사가 상담사 단말(30)의 상담사 정보 관리 모듈(310)을 통해 입력한 상담사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를 심리 상담 서버(10)의 데이터베이스 또는 저장 장치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고객 정보 관리 모듈(110)은 상담사 단말(30)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인증, 예컨대 로그인 또는 로그아웃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담사의 정보는, 상담사의 아이디, 닉네임, 성명, 나이, 성별, 주소, 이메일 주소, 휴대폰 번호, 상담 전문 분야, 보유 자격증 등의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맞춤 심리 안정 프로그램 생성 모듈(130)은, 상담사 매칭 모듈(150)을 통해 사용자와 심리 상담사가 매칭된 후, 해당 심리 상담사가 지정된 맞춤 심리 안정 프로그램을 생성하고, 해당 심리 상담사에 의해 진행된 맞춤 심리 안정 프로그램을 제공받을 그룹 및 인원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인원은 하나의 그룹 당 최소 3면에서 최대 10명으로 결정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맞춤 심리 안정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심리 유형, 심리 수준 및 사용자의 취향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먼저, 사용자의 심리 유형, 심리 수준 은 사용자의 테스트 결과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사용자가 수행하는 테스트의 내용은 사용자가 원하는 상담 유형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심리 수준은 심리 유형의 정도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심리 유형이 우울증인 경우, 우울증의 정도를 나타내는 중도 우울증, 경도 우울증 등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정서적 어려움, 성격 및 자아, 가족 관계, 스트레스, 커플 및 부부, 섭취 문제 및 다이어트, 대인 관계, 트라우마, 청소년 상담 등의 항목 중에서 원하는 상담 유형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해당 항목들은 그 하위 항목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서적 어려움 항목의 경우, 분노 조절 어려움, 우울증, 불안증 등의 하위 항목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상담 유형 항목은 구체적인 구현 목적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이어서,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정서적 어려움 항목을 상담 유형으로 선택하고, 그 하위 항목으로 분노 조절 어려움을 선택한 경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테스트는 분노 유형 테스트일 수 있고, 이와 다르게 사용자가 정서적 어려움 항목을 상담 유형으로 선택하고, 그 하위 항목으로 우울증을 선택한 경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테스트는 BDI-II 테스트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테스트의 내용의 구체적인 구현 목적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취향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고객 정보 관리 모듈(110)이 사용자 단말(20)의 고객 정보 관리 모듈(210)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화 감상이라는 사용자의 취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맞춤 심리 안정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정서적 어려움 항목을 상담 유형으로 선택하고, 그 하위 항목으로 분노 조절 어려움을 선택하였고, 취향이 영화 감상인 경우, 정서적 어려움 전문 심리 상담사가 지정되고, 영화 또는 영상 심리 안정 프로그램을 그 내용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맞춤 심리 안정 프로그램이 제공받을 인원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개인 상담(1 명)일 수도 있고, 여러 명(최소 3 명 내지 최대 10 명으로 구성된 그룹)일 수도 있다. 여러 명인 경우, 즉, 그룹 상담의 경우, 심리 유형 및 심리 수준이 유사하거나, 취향이 동일 또는 유사하거나, 성별이 동일하거나, 나이대가 동일 또는 유사한 복수의 사용자들이 하나의 그룹을 형성하여 동일한 해당 맞춤 심리 안정 프로그램을 제공받을 수 있다.
미션 생성 모듈(140)은 맞춤 심리 안정 프로그램과 연관된 미션 및 주기적 심리 검사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미션 생성 모듈(140)은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심리 치료를 위해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미션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20)의 미션 제공 모듈(23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션 생성 모듈(140)은, 심리 유형이 분노 조절 어려움인 것을 기초로 생성된 맞춤 심리 안정 프로그램과 연관된 미션으로, 매일 명상하기, 걷기 명상하기, 바디 스캔하기 등의 미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담사 매칭 모듈(150)은 사용자의 심리 유형, 심리 수준 및 사용자의 취향 정보에 기초하여 심리 상담사를 매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담사 매칭 모듈(150)은 전술한 바와 같은 테스트 및 고객 정보로부터 획득한 사용자의 심리 유형, 심리 수준 및 취향 정보와, 전술한 상담사 정보로부터 획득한 상담사의 상담 전문 분야와 같은 정보에 기초하여 심리 상담사를 매칭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담사 매칭 모듈(150)은, 사용자의 상담 유형을 입력받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담 유형에 따른 테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테스트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심리 유형 및 심리 수준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상담사 매칭 모듈(150)은, 심리 유형, 심리 수준 및 취향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심리 상담사 후보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복수의 심리 상담사 후보 중 선택하면, 복수의 심리 상담사 후보 중 사용자가 선택한 심리 상담사 후보를 심리 상담사로 결정할 수 있다.
채팅 상담 제공 모듈(160)은 사용자에게 지정된 심리 상담사와 상담을 하기 위한 채팅 상담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채팅 상담은 텍스트 채팅뿐 아니라, 영상 채팅, 음성 채팅 등 다양한 방식의 채팅을 지원할 수 있고, 채팅 상담 중 다양한 포맷의 파일 또는 데이터를 상호 전송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1 명의 심리 상담사에 여러 명(최소 3 명 내지 최대 10 명)이 매칭된 경우, 즉, 동일한 맞춤 심리 안정 프로그램을 제공받는 여러 명의 그룹의 경우, 일대일 채팅이 아닌 여러 명이 채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레포트 생성 모듈(170)은 사용자가 미션을 달성한 결과를 포함하는 레포트 및 심리 결과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구체적인 구현 목적에 따라, 레포트는 상담사에게도 제공될 수 있고, 상담사는 레포트를 검토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의 실시 예에서, 레포트 생성 모듈(170)은, 사용자로부터 감정 변화 데이터를 입력받고, 감정 변화 데이터로부터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의 감정 평균값을 연산하고, 감정 평균값을 레포트에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미션을 수행하거나, 또는 그 외에 자발적으로, 현재 기분 상태를 기록할 수 있다. 레포트 생성 모듈(170)은 이와 같은 기록, 즉, 감정 변화 데이터로부터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의 감정 평균값을 연산할 수 있다. 현재 기분 상태를 기록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기분 상태를 표현한 복수의 아이콘으로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입력받은 사용자의 기분 상태는, 예를 들어, BDI를 통해 수치화된 값으로 변환될 수 있다. 한편, 감정 평균값에 관한 내용은 상담사에도 제공되어, 상담사는 사용자가 기록한 기분 상태, 사용자가 가장 최근에 기분 상태를 기록한 시점, 상담이 진행되었던 가장 최근 시점 등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연락을 취하거나, 연락을 취할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몇몇의 실시 예에서, 레포트 생성 모듈(170)은, 사용자로부터 인지 보고서를 제공받고, 인지 보고서에 대해 키워드 추출을 수행하여 워드의 빈도수를 측정하고, 워드의 빈도수에 기초하여, 워드 클라우딩, 키워드 차트, 감정 유리병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인지 보고서는, 사용자의 심리 또는 마음을 엿볼 수 있는 몇 가지의 질문이 제공된 후 사용자가 이에 대한 답을 한 결과물을 의미한다. 여기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질문은 객관식형 또는 선택형 질문 외에도 주관식형 질문을 포함할 수 있다. 레포트 생성 모듈(170)은, 특히 주관식형 질문에 대한 사용자의 답으로부터 키워드 추출을 수행할 수 있고, 나아가 워드의 빈도수를 측정할 수 있다.
이에 기초하여, 레포트 생성 모듈(170)은 워드 클라우딩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워드 클라우딩은, 출현한 워드들을 한 번에 확인할 수 있도록 그래픽으로 도안화되어 제공될 수 있다. 나아가, 워드 클라우딩에 표시된 워드들은 빈도수에 따라 크기가 다르게 표시되거나, 빈도수가 높은 경우 더욱 강조되어 표시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레포트 생성 모듈(170)은 심리의 시각화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레포트 생성 모듈(170)은 예를 들어 행과 열을 갖는 표 형태를 갖는 키워드 차트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키워드 차트는, 빈도수와 해당 빈도수에 해당하는 워드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레포트 생성 모듈(170)은 추출된 키워드를, 예를 들어 감정의 카테고리(Atlas of Emotions)와 같은 감정을 분류하는 소정의 기준에 따라 분석하여, 감정을 하나의 구슬로 표현하고, 이런 구슬이 담겨 있는 감정 유리병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은 심리 상담 서버(10)로부터 제공되는 심리 상담 프로그램을 받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이다. 본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20)은 고객 정보 관리 모듈(210), 테스트 모듈(220), 미션 제공 모듈(230), 상담사 선택 모듈(240), 채팅 상담 모듈(250), 레포트 제공 모듈(260) 및 생체 리듬/HRV 관리 모듈(270)을 포함할 수 있다.
고객 정보 관리 모듈(210)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받고, 사용자 인증, 예컨대 로그인 또는 로그아웃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정보는 사용자의 아이디, 닉네임, 성명, 나이, 성별, 주소, 이메일 주소, 휴대폰 번호, 취향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테스트 모듈(220)은 심리 상담 서버(10)로부터 제공되는 테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그 테스트 결과를 심리 상담 서버(10)에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수행하는 테스트의 내용은 사용자가 원하는 상담 유형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미션 제공 모듈(230)은 심리 상담 서버(10)로부터 제공되는 미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미션 수행 결과(예를 들어, 미션 수행 완료 여부)를 심리 상담 서버(10)에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미션은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심리 치료를 위해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미션 제공 모듈(230)은 미리 정해진 조건이 만족되거나 미리 정해진 시점이 되면 사용자 단말(20)에 알림(notification)을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담사 선택 모듈(240)은 심리 상담 서버(10)로부터 복수의 심리 상담사 후보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복수의 심리 상담사 후보 중 사용자가 선택한 심리 상담사 후보 정보를 심리 상담 서버(10)에 제공할 수 있다.
채팅 상담 모듈(250)은 심리 상담 서버(10)를 통해 지정된 심리 상담사와 상담을 하기 위한 채팅 상담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채팅 상담은 텍스트 채팅뿐 아니라, 영상 채팅, 음성 채팅 등 다양한 방식의 채팅을 지원할 수 있고, 채팅 상담 중 다양한 포맷의 파일 또는 데이터를 상호 전송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레포트 제공 모듈(260)은 심리 상담 서버(10)로부터 생성된 레포트를 수신하여 이를 사용자 단말(20)에 디스플레이하는 등의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생체 리듬/HRV 관리 모듈(270)은 스마트링(60)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심박수(HRV), 생체 리듬을 측정하여, 스트레스가 증가하였을 때 또는 우울증의 수치가 매우 높을 때에 실시간으로 알맞은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생체 리듬/HRV 관리 모듈(270)은 스마트링(60)을 이용하여, 맞춤 심리 안정 프로그램을 일정 시간(예를 들어, 아침, 점심, 저녁)에 알람 형식으로 알려주거나, 하루 동안 사용자의 심박수와 생체리듬을 측정하여 후술하는 인지 보고서에 사용될 수 있는 보다 객관적인 자료를 얻거나, 공황 장애, 불안 장애의 전초 증상을 잡고, 적절한 시간에 정확한(심신 안정, 호흡 명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담사 단말(30)은 심리 상담 서버(10)로부터 제공되는 심리 상담 프로그램에 지정되는 상담사가 사용하는 단말이다. 본 실시 예에서, 상담사 단말(30)은 상담사 정보 관리 모듈(310), 상담 관리 모듈(320), 채팅 상담 모듈(330) 및 레포트 제공 모듈(3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담사 정보 관리 모듈(310)는 상담사로부터 상담사의 정보를 입력받고, 사용자 인증, 예컨대 로그인 또는 로그아웃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담사의 정보는 상담사의 아이디, 닉네임, 성명, 나이, 성별, 주소, 이메일 주소, 휴대폰 번호, 상담 전문 분야, 보유 자격증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담 관리 모듈(320)은 상담사가 자신이 상담 가능한 시간을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자신이 매칭된 맞춤 심리 안정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 또는 해당 맞춤 심리 안정 프로그램을 제공받는 그룹 및 인원에 대한 정보 등을 조회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채팅 상담 모듈(330)은 심리 상담 서버(10)를 통해 지정된 사용자와 상담을 하기 위한 채팅 상담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채팅 상담은 텍스트 채팅뿐 아니라, 영상 채팅, 음성 채팅 등 다양한 방식의 채팅을 지원할 수 있고, 채팅 상담 중 다양한 포맷의 파일 또는 데이터를 상호 전송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레포트 제공 모듈(340)은 심리 상담 서버(10)로부터 생성된 레포트를 수신하여 이를 상담사 단말(30)에 디스플레이하는 등의 방식으로 상담사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담사는 자신과 상담을 진행하는 사용자의 레포트를 검토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심리 상담자)의 심리 유형, 심리 수준 및 취향에 부합하는 맞춤 심리 안정 프로그램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맞춤 심리 안정 프로그램의 진행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미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개인에게는 심리적 안정과 건강을 제공하고 상담사에게는 효과적인 상담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 심리 상담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개인 별 또는 그룹 별로, 자신의 심리 유형, 심리 수준 및 취향에 부합하는 심리 상담사를 배정받고, 심리 상담사와 용이하게 상담을 진행할 수 있어 심리 상담의 용이성 및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심리 상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화면(61)은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심리 상담 제공 시스템 또는 방법에 따라 상담 프로그램을 시작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20)에 제공되는 화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화면(62)은 사용자가 상담 유형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20)에 제공되는 화면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정서적 어려움, 정서 및 자아, 가족 관계, 스트레스, 커플 및 부부, 섭취 문제 및 다이어트, 대인 관계, 트라우마, 청소년 상담 등의 항목 중에서 원하는 상담 유형을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담 유형 항목은 구체적인 구현 목적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것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화면(63)은 사용자가 테스트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20)에 제공되는 화면이다. 테스트 내용, 답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은 구체적인 구현 목적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것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화면(64)은 사용자의 테스트 수행 결과로부터 결정된 사용자의 심리 유형을 안내하는 화면이다. 도 6에서는 사용자의 심리 유형이 억압형 분노 유형임을 안내하고 있다. 사용자의 심리 유형을 안내하는 구체적인 표현 방식은 도 6에 도시된 것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화면(65)은 사용자의 취향 정보를 입력받기 위해 사용자 단말(20)에 제공되는 화면이다. 도 7에서는 미리 정해진 몇몇의 항목을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구현되나, 취향 정보를 입력받는 구체적인 방식은 도 7에 도시된 것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화면(66)은 사용자에게 심리 유형, 심리 수준 및 취향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복수의 심리 상담사 후보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단말(20)에 제공되는 화면이다. 복수의 심리 상담사 후보 정보를 제공하는 구체적인 방식은 도 8에 도시된 것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화면(67)은 생성된 맞춤 심리 안정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20)에 제공되는 화면이다. 맞춤 심리 안정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구체적인 방식은 도 9에 도시된 것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심리 상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화면(71)은 미리 정해진 조건이 만족되거나 미리 정해진 시점이 되었을 때 미션을 사용자에게 알림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20)에 제공되는 화면이다. 미션을 사용자에게 알림하는 구체적인 방식은 도 10에 도시된 것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화면(72, 73)은 사용자가 수행할 미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20)에 제공되는 화면들이다. 미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구체적인 방식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것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심리 상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화면(81)은 사용자가 미션을 달성한 결과를 포함하는 레포트에 관한 화면이다. 미션을 달성한 결과를 제공하는 구체적인 방식은 도 13에 도시된 것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화면(82)은 워드 클라우딩 및 키워드 차트를 포함하는 레포트에 관한 화면이다. 워드 클라우딩 및 키워드 차트를 제공하는 구체적인 방식은 도 14에 도시된 것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화면(83)은 감정 유리병 정보를 포함하는 레포트에 관한 화면이다. 감정 유리병 정보를 제공하는 구체적인 방식은 도 15에 도시된 것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심리 상담 제공 시스템의 일 구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심리 상담 제공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2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20)의 잠금 화면을 통해 바로 수행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의 잠금 화면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그래픽 요소를 표시한 후, 사용자가 해당 그래픽 요소를 슬라이드하는 것과 같은 소정의 제스처를 입력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바로 실행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는 공황 장애 또는 불안 장애를 가진 사용자의 상태가 스마트 링을 통해 실시간으로 측정된 후, 적절한 시간에 즉각적인 해결책(호흡 안정)으로 연결되어 심신 안정을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심리 상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심리 상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컴퓨팅 장치(50)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50)는 버스(520)를 통해 통신하는 프로세서(510), 메모리(53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54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550) 및 저장 장치(56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50)는 또한 네트워크(40), 예컨대 무선 네트워크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7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70)는 네트워크(40)를 통해 다른 개체와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AP(Application Processor),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이거나, 또는 메모리(530) 또는 저장 장치(560)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는 임의의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도 1a 내지 도 16에서 설명한 기능 및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530) 및 저장 장치(560)는 다양한 형태의 휘발성 또는 비 휘발성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는 ROM(read-only memory)(531) 및 RAM(random access memory)(53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메모리(530)는 프로세서(5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고, 메모리(530)는 이미 알려진 다양한 수단을 통해 프로세서(51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심리 상담 제공 시스템의 기능 중 적어도 일부는 컴퓨팅 장치(50)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고,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심리 상담 제공 시스템의 기능 중 적어도 일부는 컴퓨팅 장치(50)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제까지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심리 상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심리 상담자)의 심리 유형, 심리 수준 및 취향에 부합하는 맞춤 심리 안정 프로그램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맞춤 심리 안정 프로그램의 진행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미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개인에게는 심리적 안정과 건강을 제공하고 상담사에게는 효과적인 상담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 심리 상담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개인 별 또는 그룹 별로, 자신의 심리 유형, 심리 수준 및 취향에 부합하는 심리 상담사를 배정받고, 심리 상담사와 용이하게 상담을 진행할 수 있어 심리 상담의 용이성 및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한다.

Claims (13)

  1. 사용자의 심리 유형, 심리 수준 및 상기 사용자의 취향 정보에 기초하여 심리 상담사를 매칭하는 상담사 매칭 모듈;
    상기 심리 상담사가 지정된 맞춤 심리 안정 프로그램을 생성하고, 상기 심리 상담사에 의해 진행된 상기 맞춤 심리 안정 프로그램을 제공받을 그룹 및 인원을 결정하는 맞춤 프로그램 생성 모듈;
    상기 맞춤 심리 안정 프로그램과 연관된 미션 및 주기적 심리 검사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미션 생성 모듈;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미션을 달성한 결과를 포함하는 레포트 및 심리 검사 결과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레포트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심리 상담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담사 매칭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상담 유형을 입력받고,
    상기 상담 유형에 따른 테스트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테스트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상기 심리 유형 및 상기 심리 수준을 결정하는, 심리 상담 제공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담사 매칭 모듈은,
    상기 심리 유형, 상기 심리 수준 및 상기 취향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심리 상담사 후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심리 상담사 후보 중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심리 상담사 후보를 상기 심리 상담사로 결정하는, 심리 상담 제공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포트 생성 모듈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감정 변화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감정 변화 데이터로부터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의 감정 평균값을 연산하고,
    상기 감정 평균값을 상기 레포트에 추가하는, 심리 상담 제공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포트 생성 모듈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인지 보고서를 제공받고,
    상기 인지 보고서에 대해 키워드 추출을 수행하여 워드의 빈도수를 측정하고,
    상기 워드의 빈도수에 기초하여, 워드 클라우딩, 키워드 차트, 감정 유리병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심리 상담 제공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심리 상담사와 상담을 하기 위한 채팅 상담을 제공하는 채팅 상담 제공 모듈을 더 포함하는 심리 상담 제공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스마트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링은,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고, 측정된 심박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심리 상담을 유도하거나,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미션을 알림하거나,
    상기 사용자의 심리 상태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심리 상담과 관련된 알림을 제공하는, 심리 상담 제공 시스템.
  8. 사용자의 심리 유형, 심리 수준 및 상기 사용자의 취향 정보에 기초하여 심리 상담사를 매칭하는 단계;
    상기 심리 상담사가 지정된 맞춤 심리 안정 프로그램을 생성하고, 상기 심리 상담사에 의해 진행된 상기 맞춤 심리 안정 프로그램을 제공받을 그룹 및 인원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맞춤 심리 안정 프로그램과 연관된 미션 및 주기적 심리 검사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미션을 달성한 결과를 포함하는 레포트 및 심리 검사 결과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심리 상담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심리 상담사를 매칭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상담 유형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상담 유형에 따른 테스트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테스트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상기 심리 유형 및 상기 심리 수준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심리 상담 제공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심리 상담사를 매칭하는 단계는,
    상기 심리 유형, 상기 심리 수준 및 상기 취향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심리 상담사 후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심리 상담사 후보 중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심리 상담사 후보를 상기 심리 상담사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심리 상담 제공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레포트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감정 변화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감정 변화 데이터로부터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의 감정 평균값을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감정 평균값을 상기 레포트에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심리 상담 제공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레포트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인지 보고서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인지 보고서에 대해 키워드 추출을 수행하여 워드의 빈도수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워드의 빈도수에 기초하여, 워드 클라우딩, 키워드 차트, 감정 유리병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심리 상담 제공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심리 상담사와 상담을 하기 위한 채팅 상담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심리 상담 제공 방법.
KR1020200002156A 2020-01-07 2020-01-07 심리 상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485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156A KR102485107B1 (ko) 2020-01-07 2020-01-07 심리 상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156A KR102485107B1 (ko) 2020-01-07 2020-01-07 심리 상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8991A true KR20210088991A (ko) 2021-07-15
KR102485107B1 KR102485107B1 (ko) 2023-01-11

Family

ID=76889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2156A KR102485107B1 (ko) 2020-01-07 2020-01-07 심리 상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51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3654B1 (ko) 2022-04-25 2022-08-18 이채언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버가 색상 이미지에 기반한 심리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단말에게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40014154A (ko) 2022-07-25 2024-02-01 테바소프트 주식회사 음성인식을 활용한 온라인 심리상담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0389A (ko) * 2012-06-22 2014-01-03 주식회사 케이티 정신건강 관리 시스템을 위한 정신건강 측정 장치 및 정신건강 관리 장치
KR20160011720A (ko) 2014-07-22 2016-02-02 (주)문명과사람 상대적 소외계층을 위한 모바일 심리치료 시스템
KR20160136054A (ko) * 2015-05-19 2016-11-29 트윈워드 주식회사 글에 반영된 사용자의 심리 상태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180099403A (ko) 2017-02-28 2018-09-05 주식회사 에임메드 온라인 심리상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심리상담 방법
KR20190051453A (ko) 2017-11-07 2019-05-15 주식회사 제네시스랩 온라인 익명 상담매칭서비스제공시스템, 상담매칭서비스제공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매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0389A (ko) * 2012-06-22 2014-01-03 주식회사 케이티 정신건강 관리 시스템을 위한 정신건강 측정 장치 및 정신건강 관리 장치
KR20160011720A (ko) 2014-07-22 2016-02-02 (주)문명과사람 상대적 소외계층을 위한 모바일 심리치료 시스템
KR20160136054A (ko) * 2015-05-19 2016-11-29 트윈워드 주식회사 글에 반영된 사용자의 심리 상태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180099403A (ko) 2017-02-28 2018-09-05 주식회사 에임메드 온라인 심리상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심리상담 방법
KR20190051453A (ko) 2017-11-07 2019-05-15 주식회사 제네시스랩 온라인 익명 상담매칭서비스제공시스템, 상담매칭서비스제공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매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3654B1 (ko) 2022-04-25 2022-08-18 이채언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서버가 색상 이미지에 기반한 심리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단말에게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30151425A (ko) 2022-04-25 2023-11-01 이채언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색상 이미지 및 색상 이미지를 선택한 순서에 기반한 심리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40014154A (ko) 2022-07-25 2024-02-01 테바소프트 주식회사 음성인식을 활용한 온라인 심리상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5107B1 (ko) 2023-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roes et al. Social attraction in video-mediated communication: The role of nonverbal affiliative behavior
Vaterlaus et al. The perceived influence of media and technology on adolescent romantic relationships
Lindhiem et al. Mobile technology boosts the effectiveness of psychotherapy and behavioral interventions: a meta-analysis
Lyubomirsky et al. Effects of ruminative and distracting responses to depressed mood on retrieval of autobiographical memories.
Peräkylä et al. Sharing the emotional load: Recipient affiliation calms down the storyteller
Silvia et al. Missed beeps and missing data: Dispositional and situational predictors of nonresponse in experience sampling research
Weber et al. Culture and judgment and decision making: The constructivist turn
US20040210661A1 (en) Systems and methods of profiling, matching and optimizing performance of large networks of individuals
US10909216B2 (en) Virtual mental health platform
US11574714B2 (en) Remote health assertion verification and mortality prediction system
US20210391083A1 (en) Method for providing health therapeutic interventions to a user
Burgin et al. Palm or cell? Comparin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nd cell phones for experience sampling research
Feijt et al. Sharing biosignals: An analysis of the experiential and communication properties of interpersonal psychophysiology
US20180350259A1 (en) Systems, Computer Readable Program Products, and Computer Implemented Methods to Facilitate On-Demand, User-Driven, Virtual Sponsoring Sessions for One or More User-Selected Topics Through User-Designed Virtual Sponsors
KR102485107B1 (ko) 심리 상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im Facebook use for profile maintenance and social grooming and young Korean women’s appearance comparison with peers and body image concerns
US8010662B2 (en) Soliciting data indicating at least one subjective user state in response to acquisition of data indicating at least one objective occurrence
Brewster et al. Feasibility and psychometric integrity of mobile phone-based intensive measurement of cognition in older adults
Fujiwara et al. Affect as an antecedent of synchrony: A spectrum analysis with wavelet transform
Sprott Reimagining “kink”: Transformation, growth, and healing through BDSM
Davidson et al. Providers’ perspectives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a web-based depression intervention for Latina/o youth.
JP6342095B1 (ja) 健康管理システム、健康管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Baker Jr et al. Mating and memory: Can mating cues enhance cognitive performance?
Prichard et al. Brides and young couples: Partners’ weight, weight change, and perceptions of attractiveness
Pilcher et al. Auditory attention and comprehension during a simulated night shift: Effects of task characterist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