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8075A - 챗봇 기반의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시스템, 서버 및 방법 - Google Patents

챗봇 기반의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시스템, 서버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8075A
KR20210088075A KR1020200001141A KR20200001141A KR20210088075A KR 20210088075 A KR20210088075 A KR 20210088075A KR 1020200001141 A KR1020200001141 A KR 1020200001141A KR 20200001141 A KR20200001141 A KR 20200001141A KR 20210088075 A KR20210088075 A KR 202100880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eople
people counting
counting
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1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0821B1 (ko
Inventor
김성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알정보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알정보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알정보기술
Priority to KR1020200001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0821B1/ko
Publication of KR20210088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8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0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0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챗봇(chatbot)을 활용하여 SNS(social network services/sites) 플랫폼(platform)(예를 들어,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등)을 기반으로 하여 각 장치 설치 지점별 피플 카운팅(people counting)을 취합하여 통합 모니터링(monitoring)할 수 있도록 구현한 챗봇 기반의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시스템,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피플 카운터가 피플 카운팅 지점을 출입하거나 통행하는 피플을 카운팅하여 피플카운팅정보를 지점식별정보와 함께 전송하며;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가 피플 카운터에서 전송한 피플카운팅정보와 지점식별정보를 수신받아 피플카운팅정보를 지점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등록하며, 등록된 피플카운팅정보를 통계화하여 통계정보를 전송하며; 데이터베이스가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로부터 피플카운팅정보를 전달받아 지점식별정보 또는 담당자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해 두며; 담당자 단말기가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에서 전송한 통계정보를 수신받아 담당자에게 통보한다.

Description

챗봇 기반의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시스템, 서버 및 방법{People counting monitoring system, server and method based on chatbot}
본 발명의 기술 분야는 챗봇 기반의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시스템,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챗봇(chatbot)을 활용하여 SNS(social network services/sites) 플랫폼(platform)(예를 들어,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등)을 기반으로 하여 각 장치 설치 지점별 피플 카운팅(people counting)을 취합하여 통합 모니터링(monitoring)할 수 있도록 구현한 챗봇 기반의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시스템,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플 카운팅(people counting; 인원 계수기)은, 건물, 패스 게이트(pass-gate) 등의 출입구 또는 통행로와 같이 출입이나 통행의 인원수를 통제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인원 계수기로는, 기계식 인원 계수 장치가 있는데, 흔히 출입구에 설치되기 때문에, 드나드는 사람에게 통로가 비좁은 불편함을 주게 되고, 장치 설치를 위해서 출입구를 설계 변경해야만 한다.
다른 방식의 인원 계수기로는, 마그네틱(magnetic) 방식이 사용되고 있는데, 마그네틱 방식의 경우 티켓(ticket) 또는 아이디카드(ID card) 등이 사용되므로, 추가 관리의 번거로움 및 경제적 비용 부담 문제에 있어서 효율적이지 못하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3-0018487호(2003.03.06. 공개)는 출입 게이트를 통과하는 사람의 수를 영상 처리 기술로써 인식하여 출입 인원을 실시간(real time)으로 모니터(monitor)하고 분석하는 영상을 이용한 출입 이동 물체 계수 방법 및 장치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출입구를 통과하여 출입하는 인원을 계수하는 장치에 있어서, 출입구를 위에서 아래로 촬영함으로써 출입구 영상을 획득하여 영상 데이터로 전송하는 카메라; 및 카메라가 전송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레퍼런스 영상과 비교함으로써 출입 객체의 출현을 감지하고, 출입 객체의 이동을 추적함으로써 출입 인원을 계수하는 출입 인원 계수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한 컴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일반적인 출입 환경에서 출입 통로에 불편함을 야기하지 아니하면서 편리하고 정확하게 출입 인원을 계수할 수 있으며, 일반적 출입 환경에서 환경 제약적 요인을 보완하고 다수 개의 출입 인원 계수기를 연동하여 복수 개의 출입구의 전체 출입을 통제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45807호(2010.05.04. 공개)는 인원정보 제공 시스템 및 인원정보 제공 방법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제1 구역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입구 및 출구 각각에 설치되고, 입구 및 출구로 사람이 통과하는 경우 제1 신호를 발생하는 하나 이상의 적외선 센서; 하나 이상의 입구 각각에 설치된 입구 적외선 센서로부터 제1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양의 카운팅을 수행하고, 하나 이상의 출구 각각에 설치된 출구 적외선 센서로부터 제1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음의 카운팅을 수행하는 카운터기; 및 양의 카운팅 값 및 음의 카운팅 값을 통해 제1 구역의 인원정보를 생성하는 인원정보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제1 구역의 각 출입구에 설치되는 적외선 센서가 각 출입구를 통과하는 인원을 감지하면 카운터기가 인원수의 증감을 카운팅하고, 인원정보 서버가 카운팅되는 인원수의 증감을 통해 제1 구역의 현재 인원수를 포함하는 인원정보를 생성하여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놀이공원이나 스키장 등 현재 인원수에 대한 정보가 중요한 장소에 대하여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실시간으로 장소에 대한 현재 인원수나 인원증감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정확한 방문객 수의 조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계수의 정확도가 낮을 뿐만 아니라, 담당 직원이 직접 계수를 수행하는 등의 어려움이 있었으며, 주관적인 통계에 의존하는 방식과 통행량 자료 수집 부족으로 자원 및 시설 관리 계획 수립의 한계, 체계적인 관광 자원 관리 체계 구축과 맞춤형 관광 정책 수립 및 활성화의 한계가 있는 단점을 여전히 가지고 있으며, 또한 장치 설치 지점별로 웹에 접근해야 하는 등으로 통계 데이터에 대한 모니터링 접근성이 나빠서, 담당자가 현장 및 업무 중 상시 확인이 불가능하였고, 장치 설치 지점별 데이터를 한 번에 확인할 수도 없었고, 권한 부여 방식으로 담당자를 매번 인증해야 하므로 잦은 담당자 변경 시에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3-0018487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45807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챗봇(chatbot)을 활용하여 SNS(social network services/sites) 플랫폼(platform)(예를 들어,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등)을 기반으로 하여 각 장치 설치 지점별 피플 카운팅(people counting)을 취합하여 통합 모니터링(monitoring)할 수 있도록 구현한 챗봇 기반의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시스템, 서버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피플 카운팅 지점을 출입하거나 통행하는 피플을 카운팅하여 피플카운팅정보를 지점식별정보와 함께 전송하기 위한 피플 카운터; 상기 피플 카운터에서 전송한 피플카운팅정보와 지점식별정보를 수신받아 피플카운팅정보를 지점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등록하며, 등록된 피플카운팅정보를 통계화하여 통계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 상기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로부터 피플카운팅정보를 전달받아 지점식별정보 또는 담당자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해 두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에서 전송한 통계정보를 수신받아 담당자에게 통보하기 위한 담당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챗봇 기반의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피플 카운터는, 피플 카운팅 지점을 출입하거나 통행하는 피플을 게이트 방식과 영상 분석 방식의 두 가지로 카운팅하여 게이트형 계수와 분석형 계수를 동시에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피플 카운터는, 게이트 방식의 경우에 게이트형 계수를 M2M 방식으로 전송하며, 영상 분석 방식의 경우에 분석형 계수를 TCP/IP 방식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피플 카운터는, 게이트 방식의 경우에 접근 감지 센서를 이용하며, 영상 분석 방식의 경우에 지능형 CCTV나 IP 카메라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는, 상기 피플 카운터로부터 게이트형 계수를 M2M 방식으로 수신받고, 상기 피플 카운터로부터 분석형 계수를 TCP/IP 방식으로 수신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는, 게이트형 계수와 분석형 계수의 조합을 통하여 피플카운팅정보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는, 게이트형 계수와 분석형 계수의 조합 시에, 게이트형 계수와 분석형 계수 중 더 큰 값을 피플카운팅정보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는, 게이트형 계수와 분석형 계수의 상호 보정을 통하여 피플카운팅정보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는, 게이트형 계수와 분석형 계수의 상호 보정 시에, 그 값이 서로 다른 경우에 그 차이 값에 해당하는 오차율을 판독하여 보정률을 100-오차율(%)로 계산하고, 그 차이 값에 보정률을 곱한 보정 값을 구한 후에, 보정 값을 게이트형 계수와 분석형 계수 중 작은 값에 더한 값을 피플카운팅정보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는, 오차율의 경우 기 설정하여 저장해 두며, 계속적인 학습에 의해 차이 값에 해당하는 오차율을 보정 업그레이드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는, 상기 담당자 단말기로부터 인증코드 및 담당자식별정보를 수신받아 담당자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인증코드를 판독하며, 수신받은 인증코드와 판독한 인증코드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여 상기 담당자 단말기의 자동 로그인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는, 상기 담당자 단말기의 자동 로그인 수행 후, 메인화면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담당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는, 상기 담당자 단말기로부터 실시간 계수 요청을 수신받아 실시간계수화면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담당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는, 상기 담당자 단말기로부터 지도 확인 요청을 수신받아, 지도화면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담당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는, 상기 담당자 단말기로부터 통계 확인 요청을 수신받아 통계화면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담당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는, 통계 정보를 담당자가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도식화 또는 도표화, 그래프화하여 상기 담당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구축 사이트별로 부여된 인증코드를 담당자식별정보별로 기 설정하여 저장해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입장객/퇴장객 실시간 현황을 제공하기 위한 실시간계수, 장치 설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지도확인, 일별/주별/월별/요일별/시간대로 통계를 확인하기 위한 통계확인, 실시간으로 장애를 접수하기 위한 장애접수의 아이콘정보를 포함한 메인화면정보를 기 설정하여 저장해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장치 설치 지점별 입장객 수, 퇴장객 수, 오차의 정보와, 상세보기의 아이콘정보를 포함한 실시간계수화면정보를 저장해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장치 설치 지점별 지도 정보와, 뒤로 가기의 아이콘정보를 포함한 지도화면정보를 저장해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일별, 주별, 요일별, 월별, 시간대별, 뒤로 가기의 아이콘정보와, 장치 설치 지점별 일별, 주별, 요일별, 월별, 시간대별의 통계 정보를 포함한 통계화면정보를 저장해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담당자 단말기는, 챗봇 접속 시에, 구축 사이트별로 부여된 인증코드를 담당자식별정보와 함께 자동으로 상기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여 자동 로그인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담당자 단말기는, 상기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로부터 메인화면정보를 수신받아 메인화면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담당자 단말기는, 입력수단을 통한 실시간계수 아이콘의 클릭 확인 시에, 실시간 계수를 상기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에 요청한 후에, 상기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로부터 실시간계수화면정보를 수신받아 실시간계수화면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담당자 단말기는, 입력수단을 통한 지도확인 아이콘의 클릭 확인 시에, 지도 확인을 상기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에 요청한 후에, 상기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로부터 지도화면정보를 수신받아 지도화면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담당자 단말기는, 입력수단을 통한 통계확인 아이콘의 클릭 확인 시에, 통계 확인을 상기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에 요청한 후에, 상기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로부터 통계화면정보를 수신받아 통계화면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다른 한 특징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접속된 피플 카운터와 담당자 단말기를 각각 식별하며, 상기 피플 카운터로부터 전송되는 피플카운팅정보와 지점식별정보를 수신받아 전달하며, 통계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담당자 단말기에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피플카운팅정보와 지점식별정보를 전달받아 피플카운팅정보를 지점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기 위한 정보관리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피플카운팅정보를 통계화하여 통계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하기 위한 정보제공부를 포함하는 챗봇 기반의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를 제공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특징에 따르면, 피플 카운터가 피플 카운팅 지점을 출입하거나 통행하는 피플을 카운팅하여 피플카운팅정보를 지점식별정보와 함께 전송하는 단계;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가 상기 피플 카운터에서 전송한 피플카운팅정보와 지점식별정보를 수신받아 피플카운팅정보를 지점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등록하는 단계; 데이터베이스가 상기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로부터 피플카운팅정보를 전달받아 지점식별정보 또는 담당자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해 두는 단계; 상기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피플카운팅정보를 통계화하여 통계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담당자 단말기가 상기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에서 전송한 통계정보를 수신받아 담당자에게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챗봇 기반의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로는, 챗봇(chatbot)을 활용하여 SNS(social network services/sites) 플랫폼(platform)(예를 들어,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등)을 기반으로 하여 각 장치 설치 지점(즉, 피플 카운팅 지점)별 피플 카운팅(people counting)을 취합하여 통합 모니터링(monitoring)할 수 있도록 구현한 챗봇 기반의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시스템, 서버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방문객 통계 빅데이터를 확보하여 자원 및 시설 관리 계획 수립을 할 수 있으며,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집계를 통한 실질적인 방문객 통계 지수를 얻어 체계적인 관광 자원 관리 체계 구축과 맞춤형 관광 정책 수립 및 활성화를 할 수 있으며, 또한 스마트 모바일 기기의 챗봇을 이용하여 통계 데이터에 대한 모니터링 접근성이 매우 좋아, 담당자가 현장 및 업무 중 상시 확인이 가능하고, 장치 설치 지점(즉, 피플 카운팅 지점)별 데이터를 한 번에 확인할 수 있고, 잦은 담당자 변경 시에도 스마트 모바일 기기의 챗봇을 통한 간편한 인증으로 편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챗봇 기반의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피플 카운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담당자 단말기에서 출력하는 메인화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담당자 단말기에서 출력하는 실시간계수화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담당자 단말기에서 출력하는 지도화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있는 담당자 단말기에서 출력하는 통계화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있는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챗봇 기반의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챗봇 기반의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시스템, 서버 및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챗봇 기반의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있는 피플 카운터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있는 담당자 단말기에서 출력하는 메인화면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4는 도 1에 있는 담당자 단말기에서 출력하는 실시간계수화면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1에 있는 담당자 단말기에서 출력하는 지도화면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6은 도 1에 있는 담당자 단말기에서 출력하는 통계화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6을 참조하면, 챗봇 기반의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복수 개의 피플 카운터(110),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120), 데이터베이스(130), 복수 개의 담당자 단말기(140), 네트워크(150)를 포함한다.
피플 카운터(110)는, 피플 카운팅을 수행하고자 하는 장소(예를 들어, 출입구나 통행로 등)(이하, '장치 설치 지점' 또는 '피플 카운팅 지점'이라 함)에 각각 설치되어, 각 피플 카운팅 지점(또는, 장치 설치 지점)을 출입하거나 통행하는 피플을 카운팅하여 해당 카운팅한 피플카운팅정보를 지점식별정보와 함께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120)로 전송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피플 카운터(110)는, 장치 설치 지점을 출입하거나 통행하는 피플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게이트 방식과 영상 분석 방식의 두 가지로 카운팅하여 게이트형 계수와 분석형 계수를 동시에 획득하며, 게이트 방식의 경우에 해당 획득한 게이트형 계수를 M2M 방식으로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120)로 전송해 줄 수 있으며, 또한 영상 분석 방식의 경우에 해당 획득한 분석형 계수를 TCP/IP 방식으로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12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피플 카운터(110)는, 게이트 방식의 경우에, 적외선 센서 등과 같은 접근 감지 센서를 탑재하여, 출입구나 통행로 설치 시에 방문객의 방문을 유도함과 동시에 24시간 통과 인원을 보다 정확하고 자동적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또한 영상 분석 방식의 경우에, 실내, 실외 모두 설치가 가능하고 실내는 천장 매립형으로 설치가 간편한 지능형 CCTV나 IP 카메라를 탑재하여, 통과 인원을 촬영하고 객체 인식을 통하여 24시간 통과 인원을 보다 정확하고 자동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120)는, 피플 카운터(110)로부터 전송되는 피플카운팅정보와 지점식별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피플카운팅정보를 해당 수신받은 지점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데이터베이스(130)에 등록해 주며, 데이터베이스(130)에 등록된 피플카운팅정보를 통계화하여 해당 통계화한 통계정보를 담당자 단말기(140)에 전송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120)는, 피플 카운터(110)로부터 전송되는 게이트형 계수를 M2M 방식으로 수신받고, 또한 피플 카운터(110)로부터 전송되는 분석형 계수를 TCP/IP 방식으로 수신받을 수 있으며, 이에 해당 수신받은 게이트형 계수와 분석형 계수의 조합을 통하여 피플카운팅정보를 얻음으로써, 보다 더 정확한 방문객 계수를 통해서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방문객 통계 빅데이터를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게이트 방식 시에 통과 인원이 겹쳐 지나가거나, 영상 분석 방식 시에 통과 인원의 영상이 겹치거나 하는 등으로 어느 하나의 방식이 잘못된 카운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게이트형 계수와 분석형 계수의 조합 시에는, 그 값이 서로 다른 경우에 더 큰 값을 피플카운팅정보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120)는, 피플 카운터(110)의 게이트 방식과 영상 분석 방식에 의해 획득한 게이트형 계수와 분석형 계수에 대해서 상호 보정을 통하여 피플카운팅정보를 얻을 수도 있다. 여기서, 게이트형 계수와 분석형 계수의 상호 보정 시에는, 그 값이 동일한 경우에 해당 값을 피플카운팅정보로 사용하도록 해 줄 수 있으며, 반면에 그 값이 서로 다른 경우에 그 차이 값에 해당하는 오차율을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판독하여 보정률을 100-오차율(%)로 계산하고, 그 차이 값에 보정률을 곱한 보정 값을 구한 후에, 해당 구한 보정 값을 게이트형 계수와 분석형 계수 중 작은 값에 더한 값을 피플카운팅정보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형 계수가 500명이고 분석형 계수가 510이고 그 차이 값 10에 해당하는 오차율이 10(%)(또는, 50(%))인 경우에, 보정률은 100-10(또는, 50) = 90(%)(또는, 50(%))이며, 보정 값은 10*90(또는, 50)(%) = 9(또는, 5)이며, 이에 피플카운팅정보는 500+9(또는, 5) = 509(또는, 505)명이다. 또한, 오차율의 경우에는, 기 설정하여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해 두는데, 계속적인 학습에 의해 차이 값에 해당하는 오차율을 보정 업그레이드해 줄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120)는, 담당자 단말기(140)로부터 전송되는 인증코드 및 담당자식별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담당자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인증코드를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판독할 수 있으며, 해당 수신받은 인증코드와 해당 판독한 인증코드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여 담당자 단말기(140)의 자동 로그인을 수행해 준 후에,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메인화면정보를 판독하여 담당자 단말기(14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120)는, 담당자 단말기(140)로부터 전송되는 실시간 계수 요청(담당자식별정보를 포함함)을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실시간 계수 요청에 따라 실시간계수화면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판독하여 담당자 단말기(14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120)는, 담당자 단말기(140)로부터 전송되는 지도 확인 요청(담당자식별정보를 포함함)을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지도 확인 요청에 따라 지도화면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판독하여 담당자 단말기(14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120)는, 담당자 단말기(140)로부터 전송되는 통계 확인 요청(담당자식별정보를 포함함)을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통계 확인 요청에 따라 통계화면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판독하여 담당자 단말기(14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이때,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120)는, 다양한 UI를 통하여 담당자가 통계 정보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도식화(또는, 도표화)하거나 그래프화하여 담당자 단말기(14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30)는,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120)로부터 전달되는 피플카운팅정보를 지점식별정보(또는, 담당자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해 둔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베이스(130)는, 구축 사이트별로 부여된 인증코드를 담당자식별정보별로 기 설정하여 저장해 둘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베이스(130)는, 메인화면정보(입장객/퇴장객 실시간 현황을 제공하기 위한 실시간계수, 장치 설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지도확인, 일별/주별/월별/요일별/시간대로 통계를 확인하기 위한 통계확인, 실시간으로 장애를 접수하기 위한 장애접수 등의 아이콘정보를 포함함)를 기 설정하여 저장해 둘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베이스(130)는, 실시간계수화면정보(장치 설치 지점별 입장객 수, 퇴장객 수, 오차 등의 정보와, 상세보기 등의 아이콘정보를 포함함)를 저장해 둘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베이스(130)는, 지도화면정보(장치 설치 지점별 지도 정보와, 뒤로 가기 등의 아이콘정보를 포함함)를 저장해 둘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베이스(130)는, 통계화면정보(일별, 주별, 요일별, 월별, 시간대별, 뒤로 가기 등의 아이콘정보와, 장치 설치 지점별 일별, 주별, 요일별, 월별, 시간대별 등의 통계 정보를 포함함)를 저장해 둘 수 있다.
담당자 단말기(140)는,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120)로부터 전송되는 통계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통계정보를 담당자에게 통보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담당자 단말기(140)는, 별도의 앱 설치 없이 챗봇(chatbot)을 활용하여 SNS(social network services/sites) 플랫폼(platform)(예를 들어,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등)에 접속하는 경우에, 가입 절차 없이 구축 사이트별로 부여된 인증코드를 담당자식별정보와 함께 자동으로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120)로 전송하여 자동 로그인을 수행한 후에,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120)로부터 전송되는 메인화면정보를 수신받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인화면을 LCD, 터치스크린, 스피커 등과 같은 출력수단을 통해 출력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담당자 단말기(140)는, 키보드, 키패드, 터치스크린 등과 같은 입력수단을 통해 메인화면에서 실시간계수 아이콘을 클릭하는 경우에, 해당 입력수단을 통한 실시간계수 아이콘의 클릭을 확인하여 실시간 계수를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120)로 요청(담당자식별정보를 포함함)한 후에,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120)로부터 전송되는 실시간계수화면정보를 수신받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간계수화면을 출력수단을 통해 출력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담당자 단말기(140)는, 메인화면에서 입력수단을 통해 지도확인 아이콘을 클릭하는 경우에, 해당 입력수단을 통한 지도확인 아이콘의 클릭을 확인하여 지도 확인을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120)로 요청(담당자식별정보를 포함함)한 후에,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120)로부터 전송되는 지도화면정보를 수신받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지도화면을 출력수단을 통해 출력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담당자 단말기(140)는, 메인화면에서 입력수단을 통해 통계확인 아이콘을 클릭하는 경우에, 해당 입력수단을 통한 통계확인 아이콘의 클릭을 확인하여 통계 확인을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120)로 요청(담당자식별정보를 포함함)한 후에,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120)로부터 전송되는 통계화면정보를 수신받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통계화면을 출력수단을 통해 출력해 줄 수 있다.
네트워크(15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포함하여, 복수 개의 피플 카운터(110)와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120) 간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120)와 복수 개의 담당자 단말기(140) 간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복수 개의 피플 카운터(110)와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120) 사이의 데이터,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120)와 복수 개의 담당자 단말기(140) 사이의 데이터를 송수신해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챗봇 기반의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챗봇을 활용하여 SNS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여 각 장치 설치 지점(즉, 피플 카운팅 지점)별 피플 카운팅(people counting)을 취합하여 통합 모니터링(monitoring)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방문객 통계 빅데이터를 확보하여 자원 및 시설 관리 계획 수립을 할 수 있으며,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집계를 통한 실질적인 방문객 통계 지수를 얻어 체계적인 관광 자원 관리 체계 구축과 맞춤형 관광 정책 수립 및 활성화를 할 수 있으며, 또한 스마트 모바일 기기의 챗봇을 이용하여 통계 데이터에 대한 모니터링 접근성이 매우 좋아, 담당자가 현장 및 업무 중 상시 확인이 가능하고, 장치 설치 지점(즉, 피플 카운팅 지점)별 데이터를 한 번에 확인할 수 있고, 잦은 담당자 변경 시에도 스마트 모바일 기기의 챗봇을 통한 간편한 인증으로 편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챗봇 기반의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챗봇뿐만 아니라 웹 페이지를 통해서도 현재의 객관적 통계 자료를 실시간으로 표출해 줄 수 있으며, 또한 입장객 기초 자료를 동시에 수집 및 통계화하여 시설 관리 및 브랜드별 고객 방문 수치 빅데이터로 활용함으로써, 옥외 시설 관리 외 매장(예를 들어, 쇼핑몰, 프랜차이즈 등) 관리 사업과 연계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챗봇 기반의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효율적인 시스템 관리로 장애 및 유지 보수 접수 방식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실시간 장애 처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물리적인 방식이 아닌 솔루션(SNS 플랫폼의 챗봇 기반)으로 시스템 확장성이 자유로우며 각 지역별 정보 취합 및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별도의 앱 설치 없이 SNS 플랫폼의 챗봇에서 바로 확인 가능하며, 필요 시 외부 API 및 DB 연동 서비스 구현에 대한 확장성으로 챗봇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를 위한 웹/모바일 웹 패키지 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있는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120)는, 인터페이스부(121), 정보관리부(122), 정보제공부(123)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121)는, 네트워크(150)를 통해 복수 개의 피플 카운터(110) 및 복수 개의 담당자 단말기(140)와 통신 접속하며, 각기 자기 자신이 가지고 있는 고유 식별정보(예를 들어, 지점식별정보 및 담당자식별정보)를 통해 해당 통신 접속된 피플 카운터(110) 및 담당자 단말기(140) 각각을 식별하며, 그런 후에 피플 카운터(110)로부터 전송되는 피플카운팅정보와 지점식별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피플카운팅정보를 정보관리부(122)로 전달해 주며, 또한 정보제공부(123)로부터 전달되는 통계정보를 담당자 단말기(140)에 전송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인터페이스부(121)는, 피플 카운터(110)로부터 전송되는 게이트형 계수를 M2M 방식으로 수신받고, 또한 피플 카운터(110)로부터 전송되는 분석형 계수를 TCP/IP 방식으로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게이트형 계수와 분석형 계수를 정보관리부(122)로 전달해 줄 수 있다.
정보관리부(122)는, 인터페이스부(121)로부터 피플카운팅정보와 지점식별정보를 전달받아, 해당 전달받은 피플카운팅정보를 해당 전달받은 지점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데이터베이스(130)에 등록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정보관리부(122)는, 인터페이스부(121)로부터 전달받은 게이트형 계수와 분석형 계수의 조합을 통하여 피플카운팅정보를 얻음으로써, 보다 더 정확한 방문객 계수를 통해서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방문객 통계 빅데이터를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정보관리부(122)는, 게이트 방식 시에 통과 인원이 겹쳐 지나가거나, 영상 분석 방식 시에 통과 인원의 영상이 겹치거나 하는 등으로 어느 하나의 방식이 잘못된 카운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게이트형 계수와 분석형 계수의 조합 시에, 그 값이 서로 다른 경우에 더 큰 값을 피플카운팅정보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정보관리부(122)는, 인터페이스부(121)로부터 전달받은 게이트형 계수와 분석형 계수에 대해서 상호 보정을 통하여 피플카운팅정보를 얻을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정보관리부(122)는, 게이트형 계수와 분석형 계수의 상호 보정 시에, 그 값이 동일한 경우에 해당 값을 피플카운팅정보로 사용하도록 해 줄 수 있으며, 반면에 그 값이 서로 다른 경우에 그 차이 값에 해당하는 오차율을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판독하여 보정률을 100-오차율(%)로 계산하고, 그 차이 값에 보정률을 곱한 보정 값을 구한 후에, 해당 구한 보정 값을 게이트형 계수와 분석형 계수 중 작은 값에 더한 값을 피플카운팅정보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형 계수가 500명이고 분석형 계수가 510이고 그 차이 값 10에 해당하는 오차율이 10(%)(또는, 50(%))인 경우에, 보정률은 100-10(또는, 50) = 90(%)(또는, 50(%))이며, 보정 값은 10*90(또는, 50)(%) = 9(또는, 5)이며, 이에 피플카운팅정보는 500+9(또는, 5) = 509(또는, 505)명이다. 또한, 오차율의 경우에는, 기 설정하여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해 두는데, 계속적인 학습에 의해 차이 값에 해당하는 오차율을 보정 업그레이드해 줄 수도 있다.
정보제공부(123)는, 데이터베이스(130)에 등록된 피플카운팅정보를 통계화하여 해당 통계화한 통계정보를 인터페이스부(121)로 전달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정보제공부(123)는, 담당자 단말기(140)로부터 전송되는 인증코드 및 담당자식별정보를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담당자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인증코드를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판독할 수 있으며, 해당 수신받은 인증코드와 해당 판독한 인증코드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여 담당자 단말기(140)의 자동 로그인을 수행해 준 후에,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메인화면정보를 판독하여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담당자 단말기(14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정보제공부(123)는, 담당자 단말기(140)로부터 전송되는 실시간 계수 요청(담당자식별정보를 포함함)을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실시간 계수 요청에 따라 실시간계수화면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판독하여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담당자 단말기(14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정보제공부(123)는, 담당자 단말기(140)로부터 전송되는 지도 확인 요청(담당자식별정보를 포함함)을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지도 확인 요청에 따라 지도화면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판독하여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담당자 단말기(14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정보제공부(123)는, 담당자 단말기(140)로부터 전송되는 통계 확인 요청(담당자식별정보를 포함함)을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통계 확인 요청에 따라 통계화면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판독하여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담당자 단말기(14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정보제공부(123)는, 다양한 UI를 통하여 담당자가 통계 정보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도식화(또는, 도표화)하거나 그래프화하여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담당자 단말기(14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챗봇 기반의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피플 카운팅을 수행하고자 하는 장소(예를 들어, 출입구나 통행로 등)(이하, '장치 설치 지점' 또는 '피플 카운팅 지점'이라 함)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피플 카운터(110)에서는, 각 피플 카운팅 지점(또는, 장치 설치 지점)을 출입하거나 통행하는 피플을 카운팅하여 해당 카운팅한 피플카운팅정보를 지점식별정보와 함께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120)로 전송해 주게 된다(S801).
상술한 단계 S801에서 피플카운팅정보 및 지점식별정보를 전송함에 있어서, 피플 카운터(110)에서는, 장치 설치 지점을 출입하거나 통행하는 피플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게이트 방식과 영상 분석 방식의 두 가지로 카운팅하여 게이트형 계수와 분석형 계수를 동시에 획득하며, 게이트 방식의 경우에 해당 획득한 게이트형 계수를 M2M 방식으로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120)로 전송해 줄 수 있으며, 또한 영상 분석 방식의 경우에 해당 획득한 분석형 계수를 TCP/IP 방식으로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12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801에서 피플카운팅정보 및 지점식별정보를 전송함에 있어서, 피플 카운터(110)에서는, 게이트 방식의 경우에, 적외선 센서 등과 같은 접근 감지 센서를 탑재하여, 출입구나 통행로 설치 시에 방문객의 방문을 유도함과 동시에 24시간 통과 인원을 보다 정확하고 자동적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또한 영상 분석 방식의 경우에, 실내, 실외 모두 설치가 가능하고 실내는 천장 매립형으로 설치가 간편한 지능형 CCTV나 IP 카메라를 탑재하여, 통과 인원을 촬영하고 객체 인식을 통하여 24시간 통과 인원을 보다 정확하고 자동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801에서 피플카운팅정보 및 지점식별정보를 전송하게 되면,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120)에서는, 피플 카운터(110)로부터 전송되는 피플카운팅정보와 지점식별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피플카운팅정보를 해당 수신받은 지점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데이터베이스(130)에 등록해 주게 된다(S802).
상술한 단계 S802에서 피플카운팅정보를 등록함에 있어서,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120)에서는, 피플 카운터(110)로부터 전송되는 게이트형 계수를 M2M 방식으로 수신받고, 또한 피플 카운터(110)로부터 전송되는 분석형 계수를 TCP/IP 방식으로 수신받을 수 있으며, 이에 해당 수신받은 게이트형 계수와 분석형 계수의 조합을 통하여 피플카운팅정보를 얻음으로써, 보다 더 정확한 방문객 계수를 통해서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방문객 통계 빅데이터를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802에서 피플카운팅정보를 등록함에 있어서,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120)에서는, 게이트 방식 시에 통과 인원이 겹쳐 지나가거나, 영상 분석 방식 시에 통과 인원의 영상이 겹치거나 하는 등으로 어느 하나의 방식이 잘못된 카운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게이트형 계수와 분석형 계수의 조합 시에, 그 값이 서로 다른 경우에 더 큰 값을 피플카운팅정보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802에서 피플카운팅정보를 등록함에 있어서,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120)에서는, 피플 카운터(110)의 게이트 방식과 영상 분석 방식에 의해 획득한 게이트형 계수와 분석형 계수에 대해서 상호 보정을 통하여 피플카운팅정보를 얻을 수도 있다.
상술한 단계 S802에서 피플카운팅정보를 등록함에 있어서,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120)에서는, 게이트형 계수와 분석형 계수의 상호 보정 시에, 그 값이 동일한 경우에 해당 값을 피플카운팅정보로 사용하도록 해 줄 수 있으며, 반면에 그 값이 서로 다른 경우에 그 차이 값에 해당하는 오차율을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판독하여 보정률을 100-오차율(%)로 계산하고, 그 차이 값에 보정률을 곱한 보정 값을 구한 후에, 해당 구한 보정 값을 게이트형 계수와 분석형 계수 중 작은 값에 더한 값을 피플카운팅정보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802에서 피플카운팅정보를 등록함에 있어서, 게이트형 계수가 500명이고 분석형 계수가 510이고 그 차이 값 10에 해당하는 오차율이 10(%)(또는, 50(%))인 경우에,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120)에서는, 보정률은 100-10(또는, 50) = 90(%)(또는, 50(%))이며, 보정 값은 10*90(또는, 50)(%) = 9(또는, 5)이며, 이에 피플카운팅정보를 500+9(또는, 5) = 509(또는, 505)명으로 계산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802에서 피플카운팅정보를 등록함에 있어서,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120)에서는, 오차율의 경우에, 기 설정하여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해 두는데, 계속적인 학습에 의해 차이 값에 해당하는 오차율을 보정 업그레이드해 줄 수도 있다.
상술한 단계 S802에서 피플카운팅정보를 등록한 후에,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120)에서는, 데이터베이스(130)에 등록된 피플카운팅정보를 통계화하여 해당 통계화한 통계정보를 담당자 단말기(140)에 전송해 주게 된다(S803).
상술한 단계 S803에서 통계정보를 전송함에 있어서, 별도의 앱 설치 없이 챗봇(chatbot)을 활용하여 SNS(social network services/sites) 플랫폼(platform)(예를 들어,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등)에 접속하는 경우에, 담당자 단말기(140)에서는, 가입 절차 없이 구축 사이트별로 부여된 인증코드를 담당자식별정보와 함께 자동으로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120)로 전송하여 자동 로그인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120)에서는, 담당자 단말기(140)로부터 전송되는 인증코드 및 담당자식별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담당자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인증코드를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판독할 수 있으며, 해당 수신받은 인증코드와 해당 판독한 인증코드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여 담당자 단말기(140)의 자동 로그인을 수행해 준 후에, 입장객/퇴장객 실시간 현황을 제공하기 위한 실시간계수, 장치 설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지도확인, 일별/주별/월별/요일별/시간대로 통계를 확인하기 위한 통계확인, 실시간으로 장애를 접수하기 위한 장애접수 등의 아이콘정보를 포함한 메인화면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판독하여 담당자 단말기(14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803에서 통계정보를 전송함에 있어서, 키보드, 키패드, 터치스크린 등과 같은 입력수단을 통해 메인화면에서 실시간계수 아이콘을 클릭하는 경우에, 담당자 단말기(140)에서는, 해당 입력수단을 통한 실시간계수 아이콘의 클릭을 확인하여 실시간 계수를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120)로 요청(담당자식별정보를 포함함)할 수 있다. 이에,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120)에서는, 담당자 단말기(140)로부터 전송되는 실시간 계수 요청(담당자식별정보를 포함함)을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실시간 계수 요청에 따라 장치 설치 지점별 입장객 수, 퇴장객 수, 오차 등의 정보와, 상세보기 등의 아이콘정보를 포함한 실시간계수화면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판독하여 담당자 단말기(14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803에서 통계정보를 전송함에 있어서, 메인화면에서 입력수단을 통해 지도확인 아이콘을 클릭하는 경우에, 담당자 단말기(140)에서는, 해당 입력수단을 통한 지도확인 아이콘의 클릭을 확인하여 지도 확인을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120)로 요청(담당자식별정보를 포함함)할 수 있다. 이에,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120)에서는, 담당자 단말기(140)로부터 전송되는 지도 확인 요청(담당자식별정보를 포함함)을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지도 확인 요청에 따라 장치 설치 지점별 지도 정보와, 뒤로 가기 등의 아이콘정보를 포함한 지도화면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판독하여 담당자 단말기(14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803에서 통계정보를 전송함에 있어서, 메인화면에서 입력수단을 통해 통계확인 아이콘을 클릭하는 경우에, 담당자 단말기(140)에서는, 해당 입력수단을 통한 통계확인 아이콘의 클릭을 확인하여 통계 확인을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120)로 요청(담당자식별정보를 포함함)할 수 있다. 이에,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120)에서는, 담당자 단말기(140)로부터 전송되는 통계 확인 요청(담당자식별정보를 포함함)을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통계 확인 요청에 따라 일별, 주별, 요일별, 월별, 시간대별, 뒤로 가기 등의 아이콘정보와, 장치 설치 지점별 일별, 주별, 요일별, 월별, 시간대별 등의 통계 정보를 포함한 통계화면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판독하여 담당자 단말기(14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803에서 통계정보를 전송함에 있어서,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120)에서는, 다양한 UI를 통하여 담당자가 통계 정보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도식화(또는, 도표화)하거나 그래프화하여 담당자 단말기(140)로 전송해 줄 수도 있다.
상술한 단계 S803에서 통계정보를 전송하게 되면, 담당자 단말기(140)에서는,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120)로부터 전송되는 통계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통계정보를 담당자에게 통보해 주게 된다(S804).
상술한 단계 S804에서 통계정보를 통보함에 있어서, 담당자 단말기(140)에서는,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120)로부터 전송되는 메인화면정보를 수신받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인화면을 LCD, 터치스크린, 스피커 등과 같은 출력수단을 통해 출력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804에서 통계정보를 통보함에 있어서, 담당자 단말기(140)에서는,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120)로부터 전송되는 실시간계수화면정보를 수신받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간계수화면을 출력수단을 통해 출력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804에서 통계정보를 통보함에 있어서, 담당자 단말기(140)에서는,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120)로부터 전송되는 지도화면정보를 수신받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지도화면을 출력수단을 통해 출력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804에서 통계정보를 통보함에 있어서, 담당자 단말기(140)에서는,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120)로부터 전송되는 통계화면정보를 수신받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통계화면을 출력수단을 통해 출력해 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챗봇 기반의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시스템
110: 피플 카운터
120: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
121: 인터페이스부
122: 정보관리부
123: 정보제공부
130: 데이터베이스
140: 담당자 단말기
150: 네트워크

Claims (5)

  1. 피플 카운팅 지점을 출입하거나 통행하는 피플을 카운팅하여 피플카운팅정보를 지점식별정보와 함께 전송하기 위한 피플 카운터;
    상기 피플 카운터에서 전송한 피플카운팅정보와 지점식별정보를 수신받아 피플카운팅정보를 지점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등록하며, 등록된 피플카운팅정보를 통계화하여 통계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
    상기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로부터 피플카운팅정보를 전달받아 지점식별정보 또는 담당자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해 두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에서 전송한 통계정보를 수신받아 담당자에게 통보하기 위한 담당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챗봇 기반의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플 카운터는,
    피플 카운팅 지점을 출입하거나 통행하는 피플을 게이트 방식과 영상 분석 방식의 두 가지로 카운팅하여 게이트형 계수와 분석형 계수를 동시에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챗봇 기반의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플 카운터는,
    게이트 방식의 경우에 접근 감지 센서를 이용하며, 영상 분석 방식의 경우에 지능형 CCTV나 IP 카메라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챗봇 기반의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시스템.
  4.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접속된 피플 카운터와 담당자 단말기를 각각 식별하며, 상기 피플 카운터로부터 전송되는 피플카운팅정보와 지점식별정보를 수신받아 전달하며, 통계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담당자 단말기에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피플카운팅정보와 지점식별정보를 전달받아 피플카운팅정보를 지점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기 위한 정보관리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피플카운팅정보를 통계화하여 통계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하기 위한 정보제공부를 포함하는 챗봇 기반의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
  5. 피플 카운터가 피플 카운팅 지점을 출입하거나 통행하는 피플을 카운팅하여 피플카운팅정보를 지점식별정보와 함께 전송하는 단계;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가 상기 피플 카운터에서 전송한 피플카운팅정보와 지점식별정보를 수신받아 피플카운팅정보를 지점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등록하는 단계;
    데이터베이스가 상기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로부터 피플카운팅정보를 전달받아 지점식별정보 또는 담당자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해 두는 단계;
    상기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피플카운팅정보를 통계화하여 통계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담당자 단말기가 상기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서버에서 전송한 통계정보를 수신받아 담당자에게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챗봇 기반의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방법.
KR1020200001141A 2020-01-06 2020-01-06 챗봇 기반의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2370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141A KR102370821B1 (ko) 2020-01-06 2020-01-06 챗봇 기반의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시스템, 서버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141A KR102370821B1 (ko) 2020-01-06 2020-01-06 챗봇 기반의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시스템, 서버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8075A true KR20210088075A (ko) 2021-07-14
KR102370821B1 KR102370821B1 (ko) 2022-03-07

Family

ID=76862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1141A KR102370821B1 (ko) 2020-01-06 2020-01-06 챗봇 기반의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시스템, 서버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08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1380A1 (en) * 2022-01-20 2023-07-27 Sensormatic Electronic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object detection in an environm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8487A (ko) 2001-08-29 2003-03-06 주식회사 하나엘 영상을 이용한 출입 이동 물체 계수 방법 및 장치
KR20100045807A (ko) 2008-10-24 2010-05-04 이학민 인원정보제공 시스템 및 인원정보 제공방법
KR101566022B1 (ko) * 2013-08-09 2015-11-05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센서 맵과 정합된 3d gis 기반 축제방문객 통계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13596A (ko) * 2015-07-28 2017-02-07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안전 강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8487A (ko) 2001-08-29 2003-03-06 주식회사 하나엘 영상을 이용한 출입 이동 물체 계수 방법 및 장치
KR20100045807A (ko) 2008-10-24 2010-05-04 이학민 인원정보제공 시스템 및 인원정보 제공방법
KR101566022B1 (ko) * 2013-08-09 2015-11-05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센서 맵과 정합된 3d gis 기반 축제방문객 통계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13596A (ko) * 2015-07-28 2017-02-07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안전 강화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1380A1 (en) * 2022-01-20 2023-07-27 Sensormatic Electronic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object detection in an environ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0821B1 (ko) 2022-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74272A1 (en) Mobile service platform
KR101233689B1 (ko) 웹 기반 통합건물관리 시스템
US8884785B2 (en) Enhancements to meterless remote parking monitoring systems
US20180122153A1 (en) Parking lot management method, portable terminal, and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US20140214726A1 (en)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network system, information management program, and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CN103606198A (zh) 酒店停车场车辆停车费收取控制方法及装置
EP1497799A1 (en) Integrated visualization of security information for an individual
KR101888922B1 (ko) 매장용 고객 관리 및 고객 행동 분석 시스템
CN1439146A (zh) 大厦管理
KR20170111054A (ko) IoT 기반의 센서 데이터 분석 및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10942529A (zh) 一种智慧考勤系统
KR101249301B1 (ko) 주차정보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
KR101305371B1 (ko) 영상 전송이 가능한 실시간 위치 추적 서비스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70821B1 (ko) 챗봇 기반의 피플 카운팅 모니터링 시스템, 서버 및 방법
JP6836249B2 (ja) 表示値認識部、計量精算システム、計量精算サービスの提供方法、および計量精算プログラム
CN110728778A (zh) 一种基于人脸识别的智能访客预约管理系统和方法
KR20070032526A (ko) 공동주택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07286911A (ja) 勤怠管理システムおよび勤怠管理プログラム
US10885499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resentation, and recording medium
US20210192531A1 (en) Method for automatically associating a user of an application with an order made at a retail location
KR102299691B1 (ko) 시급 종업원 관리 방법
KR20140094816A (ko) Did장치를 이용한 광고관리시스템
KR20220022490A (ko) K(korea)방역 인증관리 시스템
KR101020699B1 (ko) 고객에게 절차별 다음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안내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83551B1 (ko) 출입자 체온 및 인적 정보 동시 수집 장치를 이용한 개인정보 보호형 전자출입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