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7795A - 라돈 차단 기능성을 갖는 도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라돈 차단 기능성을 갖는 도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7795A
KR20210087795A KR1020200000956A KR20200000956A KR20210087795A KR 20210087795 A KR20210087795 A KR 20210087795A KR 1020200000956 A KR1020200000956 A KR 1020200000956A KR 20200000956 A KR20200000956 A KR 20200000956A KR 20210087795 A KR20210087795 A KR 20210087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on
present
water
attapulgite
pain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0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4929B1 (ko
Inventor
이승곤
허강회
Original Assignee
이승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곤 filed Critical 이승곤
Priority to KR1020200000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4929B1/ko
Publication of KR20210087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7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4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4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0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0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2003/3045Sulf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돈 차단 기능성을 갖는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폴리아크릴아마이드 및 아타풀자이트의 가교 복합체, 삼산화비스무트, 황산바륨 및 수지 바인더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로 건축자재 또는 건축물의 표면에 도막을 형성하면 라돈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은 방사선을 차폐할 수 있는 성분들이 수지 바인더 상에서 잘 분산된 형태를 이룰 수 있어 라돈의 붕괴로 인한 방사선의 차단 또한 가능하고, 이러한 방사선 차폐가 납을 사용하지 않고도 가능하므로 생활 속 라돈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라돈 차단 기능성을 갖는 도료 조성물{Paint composition with radon blocking functionality}
본 발명은 라돈 차단 기능성을 갖는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폴리아크릴아마이드 및 아타풀자이트의 가교 복합체, 삼산화비스무트, 황산바륨 및 수지 바인더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라돈은 무색, 무미, 무취의 성질을 가진 기체로써 사람의 어떠한 감각 기관으로도 감지가 불가능하다. 표준 온도 압력에서 라돈은 비활성기체의 성질을 지니며, 밀도는 9.73㎏/㎥로 지구 대기(해수면에서 밀도 1.217㎏/㎥)의 약 8배에 해당한다. 이로 인해 라돈은 상온에서 제일 밀도 높은 비활성기체이다. 라돈의 끓는점은 -61.8℃이며, 녹는점은 -71℃이고 녹는점에서 노란색 방사성 발광을 시작하며, 액화 공기의 온도인 -195℃에서는 홍색 빛을 내게 된다.
라돈은 지구상에 흔한 우라늄, 토륨에 의해서 발생되므로, 건물의 미세한 균열이나 노출된 지표를 통해서 지표면의 건물 안이나 지하의 건물 안에서도 발견될 수 있다. 라돈의 물리적 특성상 공기보다 무겁기 때문에 공기순환이 잘 이뤄지지 않은 곳에서는 라돈이 쌓여서 축적될 수 있다. 이렇게 축적된 고농도의 라돈이 실내 생활을 하는 사람들의 폐에 들어가게 되어 폐암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현재 비흡연자의 폐암 발생 제1원인으로 라돈이 추정되고 있다. 북미 서구권에서는 라돈이 비흡연자의 제1의 폐암 원인 물질로 판단하여, 실내의 라돈 환경 기준치를 설정하여 규제하고 있다. 이에 대한 산업도 활발하여 검출키트, 지표에서 올라오는 라돈 회수장치 등이 개발되어 있다.
우리나라는 지질학적 특성상 화강암 지역이 주류를 이루기 때문에 라돈 위험이 매우 큰 국가로 분류되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각종 건축자재에서 라돈이 발견되고 있으며, 그로인한 비흡연자의 폐암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다. 지면으로부터 높이 떨어진 고층건물에서도 라돈이 다량 검출되었다. 이러한 이유는 라돈이 함유된 자재로 건축되었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건축물의 구성요소 중 가장 기본이 되는 콘크리트에서 라돈이 다량 검출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렇게 건축자재에서 발생되어 실내에 축적되는 라돈을 줄이기 위해서는 외부 환기를 자주하여 공기 중으로 비산시켜야 하지만 최근 미세먼지로 인해 환기가 어려워 짐에 따라 이 또한 여의치 않은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라돈에 의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건축자재나 건축물로부터 발생되는 라돈을 차단하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라돈 문제의 해결수단으로 도료에 주목하였으며, 건축자재나 건축물의 표면 등에 칠하여 라돈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도료를 개발한다면 상기와 같은 라돈 문제를 해소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 판단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28165호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건축자재로부터 발생하는 라돈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도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폴리아크릴아마이드 및 아타풀자이트의 가교 복합체, 삼산화비스무트, 황산바륨 및 수지 바인더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폴리아크릴아마이드 및 아타풀자이트의 가교 복합체 1 내지 5중량%, 삼산화비스무트 1 내지 20중량%, 황산바륨 1 내지 5중량% 및 수지 바인더 50 내지 90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콘크리트 면의 하도용 도료 조성물이며, 상기 수지 바인더는 아크릴 바인더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로 건축자재 또는 건축물의 표면에 도막을 형성하면 라돈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은 방사선을 차폐할 수 있는 성분들이 수지 바인더 상에서 잘 분산된 형태를 이룰 수 있어 라돈의 붕괴로 인한 방사선의 차단 또한 가능하고, 이러한 방사선 차폐가 납을 사용하지 않고도 가능하므로 생활 속 라돈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 내지 3은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에 따른 라돈 차단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을 칠하지 않은 대리석과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을 칠한 대리석의 라돈 및 라돈 붕괴 생성 측정 결과이다.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은 폴리아크릴아마이드(polyacrylamide) 및 아타풀자이트(attapulgite)의 가교 복합체(이하, 'PA-ATG'로 약기함), 삼산화비스무트, 황산바륨 및 수지 바인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의 성분 중 상기 PA-ATG는 아타풀자이트 분말과 아크릴아마이드 단량체를 혼합하고 중합개시제 및 경화제를 첨가하여 아크릴아마이드를 중합하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57670호 또는 제10-1299161호에 개시된 '아크릴 아마이드 합성 아타풀자이트'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입도 D50 10㎛ 이하의 아타풀자이트 분말과 아크릴아마이드 단량체를 5 : 1 ~ 2 : 1의 중량비로 수계 혼합하고 중합개시제 및 경화제를 첨가하여 중합하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이때 중합개시제로는 수용성 개시제인 N,N′-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N,N′-methylenebis(acrylamide), MBA]를 사용할 수 있고, 경화제로는 과황산암모늄(ammonium persulfate, APS)를 사용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타풀자이트 분말을 염화알루미늄 처리하여 PA-ATG 제조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염화알루미늄 처리는 아타풀자이트 분말을 물에 첨가하고 염화알루미늄을 첨가하여 교반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염화알루미늄 처리 후 건조시키면 염화알루미늄 처리된 아타풀자이트를 수득할 수 있다. 이때 염화알루미늄은 염화알루미늄 6수화물(AlCl3·6H2O)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염화알루미늄을 처리한 아타풀자이트를 사용하여 PA-ATG를 제조하고 이를 도료 조성물에 이용할 경우, 보다 우수한 라돈 차단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PA-ATG는 조성물 중의 분산성을 고려하여 평균입경 D50 20㎛ 이하로 분말화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산성을 위해서라면 입경이 작을수록 좋지만, PA-ATG의 구조가 붕괴될 정도의 작은 크기로 분쇄하는 것은 피할 필요가 있다. PA-ATG를 0.3㎛까지 미분쇄하는 것이 가능하였으며 이때 기능적인 문제점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므로, 작게는 0.3㎛ 까지 분말화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분산성 및 기능성을 모두 고려하였을 때 평균입경 0.5 ~ 10㎛로 분말화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의 성분 중 상기 삼산화비스무트 및 황산바륨 또한 분산성을 고려하여 평균입경 D50 20㎛ 이하로 분말화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의 경우 PA-ATG에 비하여 더 작은 크기로도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의 성분 중 수지 바인더는 도료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수지 바인더 중에서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콘크리트 면의 하도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수지 바인더는 아크릴 바인더인 것이 바람직하고, 수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 바인더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아크릴 스티렌 공중합체 수지 바인더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은 상기 PA-ATG, 삼산화비스무트, 황산바륨 및 수지 바인더를 각각 1 ~ 5중량%, 1 ~ 20중량%, 1 ~ 5중량%, 50 ~ 97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PA-ATG 2 ~ 4중량%, 삼산화비스무트 2 ~ 4중량%, 황산바륨 2 ~ 4중량%, 수지 바인더 80 ~ 94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에 따르면 도료 조성물의 물성 요건을 충족시키면서 라돈 차단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은 상기 PA-ATG, 삼산화비스무트, 황산바륨 및 수지 바인더 이외에 도료에 사용되는 안료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첨가제는 상기 PA-ATG, 삼산화비스무트, 황산바륨 및 수지 바인더의 함량을 충족하는 범위 내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은 건축자재 또는 건축물의 표면에 칠하고 고형화시키는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도막의 두께가 0.3 ~ 0.75㎜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0.6㎜가 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고형화는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을 칠한 다음 건조시키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온에서 건조시키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PA-ATG는 라돈을 흡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PA-ATG를 이루는 폴리아크릴아마이드는 본 발명에서는 도료 조성물의 액화를 방지하며, 아타풀자이트와 수지 바인더와의 혼화성을 높여 아타풀자이트의 도료 조성물 중의 분산성을 높이는 역할을 할 수 있고, 라돈이 붕괴하면서 발생하는 중성자를 차폐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PA-ATG를 이루는 다른 성분인 아타풀자이트는 알루미늄 또는 마그네슘 이온을 중심으로 하여 실리콘이 망상으로 연결되어 있는 물질로 산성백토라고 불리는 규산염물질이다. 주로 위장관의 유해물질을 흡착하여 제거하는 정장제의 원료로 쓰이는데,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는 라돈을 흡착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폴리아크릴아마이드의 고분자 구조와 아타풀자이트의 침상구조가 서로 얽히면서 생성되는 PA-ATG의 망상구조는 내부에 물리적인 공간을 제공하고 그 공간 안에 라돈을 가두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방출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늘리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삼산화비스무트는 라돈의 붕괴로 발생하는 방사선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비스무트는 방사선 차단 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방사선 차단을 위해 기존에 사용되었던 납과 달리 중독성 및 환경적인 부담이 없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비스무트를 산화물의 형태로 이용하는데, 산화비스무트를 사용하면 바인더로 주로 사용되는 극성 고분자 수지와의 혼화 분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산업적 이용률이 현저히 낮은 물질을 사용한다는 점에서도 이점을 갖는다. 그러나 비스무트는 비교적 비중이 높기 때문에 도료 조성물 중 분산성이 좋지 않은데, 본 발명에서는 PA-ATG를 사용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PA-ATG를 이루는 폴리아크릴아마이드의 망상구조가 이러한 산화비스무트를 붙잡아둘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황산바륨 또한 라돈의 붕괴로 발생하는 방사선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바륨 또한 납을 대체할 수 있는 방사선 차단물질이므로, 납 사용에 따른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 도료 조성물의 상기와 같은 성분 조합으로 인해 본 발명 도료 조성물로 생성되는 도막은 시멘트 등 각종 건축자재나 건축물에서 발생하는 라돈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은 라돈의 차단 뿐만 아니라, 방사선을 차폐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방사선 중 알파선, 베타선 등은 물질과 상호작용할 때 에너지를 급격히 잃기 때문에 비록 높은 에너지를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차폐에 별 어려움이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 중 수지 바인더 만으로도 알파선 및 베타선이 차폐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감마선과 중성자는 상기 알파선과 베타선과는 달리 투과성이 높기 때문에 별도의 차폐를 위한 구성이 필요한데,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 중 산화비스무트와 황산바륨에 의해 감마선이 흡수되고, PA-ATG의 폴리아크릴아마이드와 아타풀자이트에 의해 중성자가 흡수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은 라돈의 붕괴로 인한 알파선, 베타선, 감마선 및 중성자와 같은 방사선을 차폐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폴리아크릴아마이드 및 아타풀자이트의 가교 복합체(PA-ATG)의 제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57670호에 개시된 아크릴 아마이드 합성 아타풀자이트(ATPGAA, Attapulgite synthesized Acrylic amide)의 제조방법에 따라 PA-ATG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0.25M 염화알루미늄(AlCl3) 용액에 아타풀자이트 분말(입경 약 0.1㎛)을 첨가하고, 20℃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원심분리 또는 필터링을 통해 액상부위를 제거하고, 100 ~ 115℃에서 건조하여 약산처리된 아타풀자이트를 수득하였다. 이후 수득된 약산처리 아타풀자이트와 아크릴아마이드 단량체(acrylamide monomer, 98.5%, CH2:CHCONH2)를 4 : 1 ~ 3 : 1 중량비로 수계혼합한 후 N,N′-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N,N′-methylenebis(acrylamide), MBA](중합개시제) 및 과황산암모늄(ammonium persulfate, APS)(경화제)을 첨가하여 중합하였다. 중합으로 수득된 복합체를 핀크러셔 및 ACM, 에어제트밀 등으로 D50 3 ~ 10㎛까지 분쇄하여 사용하였다.
2. 도료 조성물 제조 및 라돈 감소율 측정
다음 표 1의 원료를 표 2와 같은 조성으로 혼합하여 각각의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고, 각 도료 조성물을 화강암(판형으로 자른 것)에 약 0.3㎜의 두께로 칠하여 건조한 다음 도료 조성물을 칠하지 않은 화강암(대조군)의 라돈 발생량과 비교하여 라돈 감소율을 측정하였다.
번호 원료명
1 수용성아크릴 (음이온계)
2 모스파우더
3 황산바륨
4 산화비스무트 (3산화비스무트)
5 질산비스무트
6 규조토
7 시멘트
8 아타풀자이트
9 모스1차 합성건조물
10 벤토나이트
* 모스파우더 : 폴리아크릴아마이드 및 아타풀자이트의 가교 복합체(PA-ATG)
* 모스1차 합성건조물 : 아타풀자이트를 염화알루미늄으로 약산 처리하고 건조한 것(상기 실시예 1에서 아크릴아마이드 중합을 적용하지 않은 것)
* 원료들의 입자 크기를 준나노크기(10㎛ 이하)로 미립화하여 사용
도료번호 원료 중량% 라돈감소률% 특이사항
1 1.수용성아크릴 100 20
2 1.수용성아크릴 90 31~34 알갱이 있는 흰색 막
2.모스파우더 5
3.황산바륨 5
3 1.수용성아크릴 90 20~30 알갱이 있는 노란색 막
2.모스파우더 5
4.산화비스무트 5
4 1.수용성아크릴 90 도포불가 혼합과정에서 굳음
2.모스파우더 5
5.질산비스무트 5
5 1.수용성아크릴 90 46
2.모스파우더 3.3
3.황산바륨 3.3
4.산화비스무트 3.3
6 1.수용성아크릴 90 31
3.황산바륨 10
7 1.수용성아크릴 90 -5 열풍건조/효과없음
4.산화비스무트 10
8 1.수용성아크릴 85 29 열풍건조
4.산화비스무트 15
9 1.수용성아크릴 80 7 열풍건조
4.산화비스무트 20
10 1.수용성아크릴 80 -43 1회도포
열풍건조/효과없음/기포
4.산화비스무트 20
11 1.수용성아크릴 80 19.5 2회도포
열풍건조/기포생성
4.산화비스무트 20
12 1.수용성아크릴 80 2.9 3회도포
열풍건조/기포생성
4.산화비스무트 20
13 1.수용성아크릴 80 6.25 1회도포
상온건조
4.산화비스무트 20
14 1.수용성아크릴 80 32.5 2회도포
상온건조
4.산화비스무트 20
15 1.수용성아크릴 80 17 3회도포
상온건조/크랙
4.산화비스무트 20
16 1.수용성아크릴 90 -32% 효과 없음
8.아타풀자이트 10
17 1.수용성아크릴 90 도포불가 혼합과정에서 굳음
9.모스1차합성건조물 10
18 1.수용성아크릴 80 44
6.규조토 20
19 1.수용성아크릴 70 도포불가 뭉침,유동성없음
6.규조토 30
20 1.수용성아크릴 60 도포불가 뭉침,유동성없음
6.규조토 40
21 1.수용성아크릴 70 -4 효과 없음
6.규조토 25
7.시멘트 15
22 1.수용성아크릴 65 19
6.규조토 30
7.시멘트 15
23 1.수용성아크릴 50 도포불가 뭉침 유동성 없음
6.규조토 35
7.시멘트 15
24 1.수용성아크릴 60 -37 효과없음
건조 중 표면에 금이 감
4.산화비스무트 20
6.규조토 20
25 1.수용성아크릴 70 -56 효과없음
건조 중 표면에 금이 감
4.산화비스무트 10
6.규조토 20
26 1.수용성아크릴 70 -3 효과없음
건조 중 표면에 금이 감
4.산화비스무트 20
6.규조토 10
27 1.수용성아크릴 90 -6 효과없음
흰색착물알갱이
1시간이내건조
2.모스파우더 5
4.산화비스무트 2.5
6.규조토 2.5
28 1.수용성아크릴 90 -54 효과없음
흰색착물알갱이
1시간이내건조
2.모스파우더 2.5
4.산화비스무트 5
6.규조토 2.5
29 1.수용성아크릴 90 32 흰색착물알갱이
1시간이내건조
2.모스파우더 2.5
4.산화비스무트 2.5
6.규조토 5
30 1.수용성아크릴 95 15
4.산화비스무트 5
31 1.수용성아크릴 98 -5 효과없음
4.산화비스무트 2
32 1.수용성아크릴 90 -4 효과없음
4.산화비스무트 5
10.벤토나이트 5
33 1.수용성아크릴 90 39 흐름성이 작음
두껍게 발릴 수 있음
4.산화비스무트 5
8.아타풀자이트 5
34 1.수용성아크릴 90 25 흐름성이 작음
두껍게 발릴 수 있음
미세 기포 많음
4.산화비스무트 5
6.규조토 5
35 1.수용성아크릴 75 12 두껍게 바를 수 있으나, 얇게 2번 바름
4.산화비스무트 5
6.규조토 25
* 별다른 특이사항이 없는 한 1회 도포(약 0.3 ~ 0.75㎜ 두께로)하고, 상온에서 건조함
각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들을 적용함에 따른 라돈 감소율을 측정한 결과, 상기 표 2와 같이 5번 도료 조성물, 즉 모스파우더(PA-ATG), 삼산화비스무트, 황산바륨 및 수용성아크릴을 혼합하여 제조한 도료 조성물의 라돈 감소율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료로서 필요한 특성 또한 매우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모스파우더를 첨가한 도료 조성물(3번)에 비해 모스파우더를 첨가하지 않은 도료 조성물(30 ~ 35번)의 효과가 없거나 떨어지는 등 모스파우더, 즉 본 발명의 PA-ATG를 배제하거나 함유율을 낮출 경우 라돈 차단효과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스파우더 대신 규조토 등의 다른 규산계 첨가제를 사용하는 것(27, 28, 35번)은 오히려 좋지 않은 영향(착물형성, 갈라짐 또는 라돈 차단효과 하락)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스파우더, 즉 본 발명 PA-ATG의 원료로 사용되는 아타풀자이트 만을 첨가한 경우(16번)에도 모스파우더를 사용한 경우 만큼의 효과를 발휘할 수는 없었다.
또한, 아타풀자이트의 약산처리만을 수행한 결과물(모스1차합성건조물)을 첨가제로 사용한 결과 극성이 상이하여 착물을 형성하고 전체적으로 바로 굳어져버리는 결과가 나타났다(17번 참조). 방사선 차단효과가 일부 있다고 알려져 있는 시멘트를 혼합한 경우에도 22% 정도의 라돈 차단효과만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표 2의 결과는 간이 측정기를 사용하여 얻은 결과로 외부 방사선의 영향을 일부 받을 가능성이 있다. 이에 상기 5번 도료 조성물의 라돈 감소효과를 정확히 확인하기 위하여, 한일원자력(주) 시험분석센터에 시험을 의뢰한 결과, 도 1 내지 3과 같이 대리석에서 발생하는 라돈을 거의 대부분 차단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대조군인 대리석 시료에서 방출되는 라돈이 1116.8Bq로 측정되었으나, 5번 도료 조성물을 도포한 후에 측정된 값은 8.5Bq 미만으로 감소율을 계산한다면 약 99.23%에 달한다. 이때 '대리석' 시료는 대리석에 별도의 도료 조성물을 칠하지 않은 것이며, 'RADON STOP' 시료는 같은 대리석 모체에 상기 5번 도료 조성물을 약 0.3㎜ 두께로 1회 바르고, 상온에서 건조한 것이다.

Claims (3)

  1. 폴리아크릴아마이드 및 아타풀자이트의 가교 복합체, 삼산화비스무트, 황산바륨 및 수지 바인더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폴리아크릴아마이드 및 아타풀자이트의 가교 복합체 1 내지 5중량%, 삼산화비스무트 1 내지 20중량%, 황산바륨 1 내지 5중량% 및 수지 바인더 50 내지 9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 조성물은 콘크리트 면의 하도용 도료 조성물이며, 상기 수지 바인더는 아크릴 바인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200000956A 2020-01-03 2020-01-03 라돈 차단 기능성을 갖는 도료 조성물 KR102284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956A KR102284929B1 (ko) 2020-01-03 2020-01-03 라돈 차단 기능성을 갖는 도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956A KR102284929B1 (ko) 2020-01-03 2020-01-03 라돈 차단 기능성을 갖는 도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7795A true KR20210087795A (ko) 2021-07-13
KR102284929B1 KR102284929B1 (ko) 2021-08-02

Family

ID=76858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0956A KR102284929B1 (ko) 2020-01-03 2020-01-03 라돈 차단 기능성을 갖는 도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49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3828A (ko) * 2022-04-06 2023-10-13 주식회사 이에이치에스기술연구소 라돈 차폐를 위한 기능성 도료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670B1 (ko) * 2011-02-01 2013-05-06 주식회사 보스팩 포장용 수분 흡착 필름
CN107129553A (zh) * 2017-04-25 2017-09-05 安徽博硕科技有限公司 一种聚丙烯酰胺/凹凸棒土负载钨酸钙复合增稠剂的制备方法
KR101828165B1 (ko) 2016-08-09 2018-03-22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라돈 차폐용 도막방수재
KR20190073067A (ko) * 2017-12-18 2019-06-26 최경식 방사선 차폐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40964B1 (ko) * 2019-06-04 2019-11-06 성화파인세라믹주식회사 라돈 저감을 위한 실리카 에어로겔 코팅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670B1 (ko) * 2011-02-01 2013-05-06 주식회사 보스팩 포장용 수분 흡착 필름
KR101828165B1 (ko) 2016-08-09 2018-03-22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라돈 차폐용 도막방수재
CN107129553A (zh) * 2017-04-25 2017-09-05 安徽博硕科技有限公司 一种聚丙烯酰胺/凹凸棒土负载钨酸钙复合增稠剂的制备方法
KR20190073067A (ko) * 2017-12-18 2019-06-26 최경식 방사선 차폐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40964B1 (ko) * 2019-06-04 2019-11-06 성화파인세라믹주식회사 라돈 저감을 위한 실리카 에어로겔 코팅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3828A (ko) * 2022-04-06 2023-10-13 주식회사 이에이치에스기술연구소 라돈 차폐를 위한 기능성 도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4929B1 (ko) 2021-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4929B1 (ko) 라돈 차단 기능성을 갖는 도료 조성물
CN105820604B (zh) 环保型防辐射涂料
KR100920138B1 (ko) 라돈 방출 방지를 위한 페인트
CN101659826B (zh) 纳米防氡抗菌乳胶漆
El-Sharkawy et al. Synergistic effects on gamma-ray shielding by novel light-weight nanocomposite materials of bentonite containing nano Bi2O3 additive
CN111057425B (zh) 一种除甲醛水性涂料
EP3630697B1 (de) Einkomponentiger epoxidharz-zement-mörtel
JPS61158851A (ja) セメント組成物
US8450707B1 (en) Thermal neutron shield and method of manufacture
KR20080104770A (ko) 라돈 방사선 차단 도장방법과 그 도장층
CN108773999A (zh) 一种可诱生负离子面釉、瓷砖及瓷砖的制备工艺
Han et al.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and compatibility of nanolime for the consolidation of earthen-based murals at Mogao Grottoes
RU2540747C1 (ru) Сухая композиция на основе шунгита для получения материалов с уникальным сочетанием свойств (шунгилит)
CN102664050B (zh) 一种辐射防护材料
CN116023812A (zh) 一种高性能无机粉末涂料的制备方法
KR102332552B1 (ko) 라돈 저감용 친환경 무기질 도료 조성물
KR102630270B1 (ko) 라돈 차폐를 위한 기능성 도료
KR20080104768A (ko) 라돈 방사선 차단 도장방법과 그 도장층
KR102470511B1 (ko) 포졸란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가교형 비산먼지 경화제 및 그 제조방법
JPS5848513B2 (ja) 建築材
RU2388715C1 (ru) Сухая строительная смесь
KR102123873B1 (ko) 유해물질 차단용 퍼티 및 그 제조방법
CN112194924A (zh) 一种墙体防钋材料及其施工方法
KR102111125B1 (ko) 결로방지, 단열, 열반사, 차열 및 습도조절 효과를 제공하는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N109320114B (zh) 一种防辐射高强集料及其制备方法和混凝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