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7693A - 반응형 조립식 블럭 완구 - Google Patents

반응형 조립식 블럭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7693A
KR20210087693A KR1020200000724A KR20200000724A KR20210087693A KR 20210087693 A KR20210087693 A KR 20210087693A KR 1020200000724 A KR1020200000724 A KR 1020200000724A KR 20200000724 A KR20200000724 A KR 20200000724A KR 20210087693 A KR20210087693 A KR 20210087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upling part
responsive
assembling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0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2841B1 (ko
Inventor
이호주
Original Assignee
이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주 filed Critical 이호주
Priority to KR1020200000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2841B1/ko
Publication of KR20210087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7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2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2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42Mechanical, electrical, optical, pneumatic or hydraulic arrangements;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4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comprising magnetic interaction means, e.g. holding together by magnetic at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6Magnetic or electric to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5/00Musical or noise- producing devices for additional toy effects other than acoustic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블럭완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이들이 블럭완구를 조립할 때에 빛 또는 소리로 반응하는 블럭완구에 의해 흥미를 느끼면서 좀더 재미있게 블럭을 조립하는 즐거움을 가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반응형 조립식 블럭 완구 {Responsive prefabricated Block Toys}
본 발명은 조립식 블럭완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이들이 블럭완구를 조립할 때에 반응하는 블럭완구에 의해 흥미를 느끼면서 좀더 재미있게 조립하는 즐거움을 가질 수 있도록 한 조립식 블럭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럭완구는 플라스틱으로 성형된 복수의 조립블럭(이하 블럭이라고 함)을 서로 결합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만들면서 사용자들이 조립하는 재미를 느끼는 완구이며, 특히 아이들이 EQ 및 IQ 개발에 도움이 되는 완구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블럭은 단순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이들의 유기적인 결합에 의해 다양한 형상으로 조립 가능하고, 특히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예를 들면 집이나 성곽 또는 배나 말 혹은 로보트 등과 같은 형상)으로 조립하기까지 많은 경험과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대다수의 아이들의 경우 처음에는 단순히 블럭을 쌓거나 조립하는데 재미를 느끼지만,
일정시간이 지나면, 상기 블럭의 단순한 구조로 인해 쉽게 흥미를 잃게 되고, 특히 보호자의 도움없이는 자신이 원하는 형상이나 모양(예, 성곽, 집, 배, 말, 등등)으로 만들 수가 없기 때문에,
대부분의 아이들이 흥미를 잃어버려 집안 한 구석에 방치되어 버리는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KR 10-2005-0047312 A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이들이 블럭완구를 조립할 때에 반응하는 블럭완구에 의해 흥미를 느끼면서 좀 더 재미있게 조립하는 즐거움을 가지도록 하여 오랜동안 사용할 수 있게 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아이들이 조립블럭을 들고 조립하려고 할 때에 진동센서를 통해 빛 또는 소리로 액션(반응)을 취하면서 아이들이 마치 조립블럭이 살아있는 것과 같은 느낌을 가지게 하여 좀 더 재미있게 조립하는 즐거움을 가질 수 있게 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바디 내측에 위치한 자성체와 자력센서를 통해 조립되었을 때 혹은 연결방식에 따라 출력되는 빛의 색상을 서로 달리함으로써(예를 들어 이웃한 조립블럭을 가로 방향으로 연결할 때에는 노란색을 표출하고 세로 방향으로 연결할 때에는 빨간색을 출력함), 이에 맞춰(출력되는 빛의 색상에 맞춰) 이웃한 블럭을 조립하는 즐거움을 가지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웃한 조립블럭을 조립할 때에 심장박동소리나 진동을 느끼면서 편안한 감정으로 오랬동안 조립하는 즐거움을 가지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아이들이 조립블럭을 조립하려고 들고 있을 때에 빛 또는 소리로 대응하는 액션을 취하거나, 혹은 출력되는 빛의 색상에 맞춰 이웃한 블럭을 연결함으로써, 아이들이 조립하는 즐거움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심장박동수단을 통해 가해진 진동 혹은 심장박동음을 통해 편안한 자세로 안정감 있게 블럭을 조립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다양한 조립으로 지능개발 및 끈기를 함양시킬 수 있게 되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블럭의 단면도와 사용상태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블럭의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블럭의 단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블럭완구 테이블의 사시도와 사용상태도
도 9와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심장박동수단의 단면도.
먼저,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은 내용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럭완구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블럭이 조립시 동작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공간(10)을 구비하고 있는 조립블럭(이하, 블럭이라고 함)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맞물림 가능하게 제1결합부(11)와 제2결합부(12)를 형성하여 이웃한 블럭(1,1a)끼리 조립할 수 있게 구성된 블럭완구로써,
특히 내공간(10)에는 배터리(13)를 구비하고 있는 기판(14)에, 상방향으로 다양한 색상으로 발광하는 하나 이상의 엘이디(15)를 설치하고, 동시에 아이들이 블럭을 잡고 조립할 때에 접점 연결되는 진동센서(16)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이때 블럭(1,1a)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엘이디(15) 빛이 일부만 투과되어 마치 면발광하는 것과 같이 은은하게 발광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실시 예에 따라서는 제1결합부(11)나 제2결합부(12) 혹은 별도의 홀을 통해 엘이디 빛이 밖으로 노출되면서 아이들의 시각을 자극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진동센서(16)는 기판(14) 위에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접점핀(17)을 형성하고, 상기 접점핀(17)을 중심으로 테두리에 상하방향으로 흔들림 가능하게 코일스프링(18)을 설치하여, 아이들이 블럭(1,1a)을 잡고 조립할 때에 발생하는 흔들림에 의해 코일스프링(18)이 접점핀(17)에 순간적으로 닿게 되면서 전류가 도통하고, 이에 의해 일정시간동안 엘이디(15) 불이 밝혀지게 구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이들이 블럭(1,1a)을 잡고 조립할 때에 해당 블럭이 흔들림을 감지한 진동센서(16)를 통해 접점연결되면서 엘이디(15)가 일정시간동안 빛을 발하는 액션(반응)을 취하는 것을 확인한 아이들이 호기심을 가지고 재미있게 블럭(1,1a)을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기판(14)에는 실시 예에 따라 부저나 멜로디칩이 실장되어 상기 진동센서(16)에 의해 접점연결되면 일정시간동안 멜로디 등이 출력되면서 아이들의 호기심을 자극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도 3은 조립블럭이 조립될 때에 작동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연결방향에 따라 연결블럭이 작동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5는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블럭(1,1a)은 제2결합부(12) 주변에 자성체(19)를 설치하고, 동시에 제1결합부(11)에는 이웃한 블럭(1a)의 자력을 감지할 수 있는 자력센서(20)를 설치하여,
이웃한 한 쌍의 블럭(1,1a)을 제1결합부(11)와 제2결합부(12)를 통해 맞물림 결합시킬 경우, 자성체(19)와 자력센서(20)가 서로 인접하게 되면서, 상기 자성체(19)의 자력에 의해 자력센서(20)가 접점연결되어, 일정시간 동안 엘이디(15) 불이 들어오게 구성함으로써,
아이들이 블럭(1,1a)을 조립을 완료하였을 때에 해당 블럭이 특정색상으로 빛을 표출하면서 발생하는 호기심에 의해 계속해서 블럭을 조립해 나가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블럭(2)은 실시 예에 따라 테두리에 하나 이상의 또 다른 제1결합부(11a)를 테두리에 형성하여, 세로방향 뿐만 아니라 가로방향으로도 블럭을 조립할 수 있는 연결블럭(2)일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의 연결블럭(2)은 제2결합부(12) 주변에 자성체(19)를 설치하는 동시에 제1결합부(11)와 또 다른 제1결합부(11a)에 각각 자력센서(20,20a)를 설치하고, 각각의 자력센서(20,20a)가 동작할 때에 구동되는 엘이디(15)의 색상을 서로 다르게 표출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즉, 연결블럭(2)의 제1결합부(11)에 세로방향으로 블럭(1)을 조립할 경우에는 특정색상(예 노란색)으로 엘이디(15) 불이 들어오고, 또 다른 제1결합부(11a)에 가로방향으로 블럭(1)을 조립할 경우에는 또 다른 색상(예 빨간색)으로 엘이디(15) 불이 들어오면서,
아이들이 연결방식에 따라 출력되는 빛의 색상에 맞춰 이웃한 블럭을 서로 조립해 나아가는 즐거움을 느끼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도 6 내지 도 8은 조립블럭 또는 연결블럭이 조립되는 테이블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상부가 오픈되어 있고 내측으로는 다수의 조립블럭(1,1a)과 연결블럭(2)을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수용공간(31)을 구비하고 있는 케이스(30) 상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제1결합부(11) 또는 제2결합부(12)가 형성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조립판(32)을 장착하여, 아이들이 조립판(32) 위로 다수의 블럭이 지지되면서 조립해 나갈 수 있는 테이블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케이스(30)의 하부에는 수용홈(33)을 형성하여 복수의 다리(34)를 장착하여 테이블 형상으로 만들어 줄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케이스(30)의 안쪽 수용공간(31)에는 격벽(35)이 형성되어, 블럭(1,1a)의 종류나 색상에 따라 분류하여 보관할 수 있게 구성하거나, 실시 예에 따라서는 수용홈에 장착되는 복수의 다리(34)를 보관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케이스(30) 또는 조립판(32)에는, 아이들이 편안한 느낌으로 블럭을 조립할 수 있게 심장박동음이나 진동을 부여하는 심장박동수단(40)이 구비되고, 상기 심장박도수단(40)은 실시 예에 따라 특정 블럭(1,2)의 내공간(10) 안쪽에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장박동수단(40)은 바이브레이터(41)가 블럭(1,2)의 내공간(10) 또는 캐이스(30)의 수용공간(31) 안쪽에 장착되고, 상기 바이브레이터(41)의 전자석(42)에 타격봉(43)이 장착되어, 솔레노이드 방식으로 타격봉(43)이 반복적으로 울림공간을 구비하고 있는 포트(47)을 타격하면서 발생하는 진동이나 소리로 심장박동음나 진동을 구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심장박동수단(40)은 도 9a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 예에 따라 구동모터(44)의 축(45)에 편심된 진동자(46)가 장착되어, 편심된 진동자가 울림공간을 구비하고 있는 포트(47)을 타격하면서 발생하는 진동이나 소리를 아이들에 인가하여,
아이들이 모태에 있는 것처럼 익숙한 심장박동음과 진동을 느끼면서 편안한 감정으로 블럭을 조립해 나아가도록 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 및 균등이론에 의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조립블럭 2:연결블럭
3:테이블 10:내공간
11:제1결합부 11a:또 다른 제1결합부
12:제2결합부 13:배터리
14:기판 15:엘이디
16:진동센서 17:접점핀
18:코일스프링 19:자성체
20.20a:자력센서 30:케이스
31:수용공간 32:조립판
33:수용홈 34:다리
35:격벽 40:심장박동수단
41:바이브레이터 42:전자석
43:타격봉 44:구동모터
45:축 46:진동자
47:포트

Claims (8)

  1. 내공간을 구비하고 있는 바디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맞물림 가능하게 제1결합부와 제2결합를 형성하여 이웃한 블럭끼리 조립할 수 있게 구성된 블럭완구에 있어서,
    상기 블럭의 내공간에는 배터리를 구비하고 있는 기판에 상방향으로 다양한 색상으로 발광하는 하나 이상의 엘이디를 설치하고, 동시에 상기 기판에는 아이들이 블럭완구를 잡고 조립할 때에 발생하는 흔들림에 의해 접점 연결되는 진동센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형 조립식 블럭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센서는 기판 위에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접점핀을 형성하고, 상기 접점핀을 중심으로 테두리에는 상하방향으로 흔들림 가능하게 코일스프링을 설치하여, 아이들이 블럭을 잡고 조립할 때에 발생하는 흔들림에 의해 코일스프링이 접점핀에 접촉하게 되면서 전류가 도통하여 일정시간동안 엘이디 불이 들어오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형 조립식 블럭완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는 진동센서에 의해 구동되어지는 부저나 멜로디칩이 실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형 조립식 블럭완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은 제2결합부 주변에 자성체를 설치하고, 동시에 제1결합부에는 자력을 감지할 수 있는 자력센서를 설치하여, 이웃한 한 쌍의 블럭을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를 통해 맞물림 결합시키면 자성체와 자력센서가 서로 인접하게 되면서 상기 자성체의 자력에 의해 자력센서가 접점연결되어 일정시간 동안 엘이디 불이 들어오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형 조립식 블럭완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은 테두리에 하나 이상의 또 다른 제1결합부를 형성하여, 세로방향 뿐만 아니라 가로방향으로도 블럭을 조립할 수 있는 연결블럭이고,
    상기 연결블럭의 내부에는 제2결합부 주변에 자성체를 설치하는 동시에 제1결합부와 또 다른 제1결합부에 각각 자력센서를 설치하고, 각각의 자력센서가 동작할 때에 구동되는 엘이디의 색상을 서로 다르게 구성하여,
    제1결합부에 세로방향으로 블럭을 조립할 경우에는 특정색상으로 엘이디 불이 들어오게 구성하고, 또 다른 제1결합부에 가로방향으로 블럭을 조립할 경우에는 또 다른 색상으로 엘이디 불이 들어오게 구성하여,
    아이들이 연결방식에 따라 출력되는 빛의 색상에 맞춰 이웃한 블럭을 조립해 나가는 즐거움을 느끼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형 조립식 블럭완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부가 오픈되어 있고 내측으로는 다수의 블럭을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있는 케이스 상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제1결합부 또는 제2결합부를 형성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조립판을 장착하여,
    조립판 위로 고정되게 다수의 블럭을 조립하는 조립식 블럭완구 테이블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형 조립식 블럭완구.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의 내공간 또는 케이스의 수용공간에는 바이브레이터의 전자석에 타격봉이 장착되어 상기 타격봉이 울림공간을 구비하고 있는 포트를 반복적으로 타격하면서 발생하는 진동이나 소리로 심장박동음 또는 진동을 아이에게 부여하는 심장박동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형 조립식 블럭완구.
  8.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의 내공간 또는 케이스의 수용공간에는 구동모터의 축에 편심된 진동자가 장착되어 상기 진동자가 울림공간을 구비하고 있는 포트를 반복적으로 타격하면서 발생하는 심장박동음이나 진동을 아이들에게 인가하는 심장박동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형 조립식 블럭완구.
KR1020200000724A 2020-01-03 2020-01-03 반응형 조립식 블럭 완구 KR102332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724A KR102332841B1 (ko) 2020-01-03 2020-01-03 반응형 조립식 블럭 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724A KR102332841B1 (ko) 2020-01-03 2020-01-03 반응형 조립식 블럭 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7693A true KR20210087693A (ko) 2021-07-13
KR102332841B1 KR102332841B1 (ko) 2021-11-30

Family

ID=76858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0724A KR102332841B1 (ko) 2020-01-03 2020-01-03 반응형 조립식 블럭 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284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9381Y1 (ko) * 1987-02-20 1989-12-23 주식회사도신산업 완구의 맥동 및 호흡장치
WO2004058371A1 (en) * 2002-12-30 2004-07-15 Lego A/S A toy building set with a vibraton sensor
KR20050047312A (ko) 2003-11-17 2005-05-20 이호주 진동이나 발음수단을 갖는 블럭완구
JP2007029316A (ja) * 2005-07-26 2007-02-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発光式形態構成玩具
KR20090009393U (ko) * 2008-03-14 2009-09-17 김영만 유아용 테이블
KR100946794B1 (ko) * 2009-11-30 2010-03-11 광주광역시 남구 자력 조립형 발광 블록장치
KR20170054774A (ko) * 2015-11-10 2017-05-18 주식회사 라이온시큐리티 학습용 블록모듈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9381Y1 (ko) * 1987-02-20 1989-12-23 주식회사도신산업 완구의 맥동 및 호흡장치
WO2004058371A1 (en) * 2002-12-30 2004-07-15 Lego A/S A toy building set with a vibraton sensor
KR20050047312A (ko) 2003-11-17 2005-05-20 이호주 진동이나 발음수단을 갖는 블럭완구
JP2007029316A (ja) * 2005-07-26 2007-02-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発光式形態構成玩具
KR20090009393U (ko) * 2008-03-14 2009-09-17 김영만 유아용 테이블
KR100946794B1 (ko) * 2009-11-30 2010-03-11 광주광역시 남구 자력 조립형 발광 블록장치
KR20170054774A (ko) * 2015-11-10 2017-05-18 주식회사 라이온시큐리티 학습용 블록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2841B1 (ko) 202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10493C2 (ru) Игрушка типа конструктора
JPH0639754Y2 (ja) 走行玩具のサイレン音吹鳴機構
US20120100777A1 (en) Vibrating crawl toy
WO2015054365A1 (en) Interactive educational system
KR102332841B1 (ko) 반응형 조립식 블럭 완구
KR102048628B1 (ko) 연출 출력 완구
CN112135517B (zh) 发声宠物玩具
CN110536729A (zh) 交互式模块化构造元件及具有交互式模块化构造元件的模块化构造系统
CN201482169U (zh) 一种趣味动物玩具
CN211044574U (zh) 一种积木式早教装置
KR100995722B1 (ko) 유아용 자석블록
CN213313336U (zh) 用于玩具的驱动装置和用于玩具的驱动系统
CN212220897U (zh) 一种模块化玩具盒
JP3110298U (ja) 太鼓玩具
KR102316628B1 (ko) 표준맞춤방법을 제공하는 학습교구 시스템
KR102166674B1 (ko) 주행완구로 놀이할 수 있는 학습교구
CN115038503B (zh) 两部分式玩具小雕像和玩具系统
CN217430808U (zh) 一种组合式玩具乐器车
CN209885232U (zh) 一种跳舞玩具
CN215422256U (zh) 趣味摇摆球
JPH1071278A (ja) 空力作動型の水中沈設が可能な娯楽装置
CN208582981U (zh) 一种带动玩具鼻子上下运动的传动机芯
KR102203529B1 (ko) 성냥 모형을 이용한 유아용 학습용 교구
JPH0429663Y2 (ko)
JP3173091U (ja) 積み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