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6674B1 - 주행완구로 놀이할 수 있는 학습교구 - Google Patents

주행완구로 놀이할 수 있는 학습교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6674B1
KR102166674B1 KR1020180129961A KR20180129961A KR102166674B1 KR 102166674 B1 KR102166674 B1 KR 102166674B1 KR 1020180129961 A KR1020180129961 A KR 1020180129961A KR 20180129961 A KR20180129961 A KR 20180129961A KR 102166674 B1 KR102166674 B1 KR 102166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rail
learning
rail plate
precin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9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8187A (ko
Inventor
박용선
Original Assignee
박용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선 filed Critical 박용선
Priority to KR1020180129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6674B1/ko
Publication of KR20200048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8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6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66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1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plurality of different symbols, signs, or combinations of symbols and signs, only one symbol, sign, or combination thereof, of each element to be used at a ti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002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made of parts to be assembled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모양의 블록을 동일한 모양의 홈에 끼워 맞추는 학습교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을 위한 손잡이를 구비하여 휴대가 용이토록 하면서 손잡이를 통하여 블록교구를 주행하는 놀이완구로 사용하여 학습기능과 동시에 재미기능을 부여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블록교구가 끼워 맞춰지도록 복수의 블록홈이 형성된 학습교구 본체를 자동차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블록교구의 저면에는 이동을 위한 바퀴를 구비하고, 자동차 형상으로 이루어진 본체의 상면에는 힌지결합되어 절첩된 상태로 락킹된 상태에서 이동을 위한 손잡이로 사용되고 락킹 해제에 의해 절첩된 상태에서 펼쳐지게 되면서 일단이 지면에 경사지게 놓여지는 미끄럼레일로 사용되는 레일판을 구비하여 블록교구를 수동으로 주행시키거나 레일판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먼 거리로 주행시키는 주행완구로 사용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블록교구가 내입되는 블록홈의 내측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탄성편 또는 고무패드로 이루어진 가압수단을 형성하여 블록홈의 끼임결합된 블록교구가 상기 가압수단에 의해 가압되어져 끼임된 상태에서 임의적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레일판의 힌지부에는 절첩된 상태에서 탄력을 갖도록 탄성체를 구비하여 락킹 해제시 탄성체의 반발력에 의해 레일판이 자동으로 펼쳐져 사용의 편의성와 재미를 갖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의 상면에는 상기 레일판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내입되는 내입레일을 형성하고 레일판이 펼쳐지게 되면 상기 내입레일이 레일판의 미끄럼레일과 길이가 연장되는 하나의 레일로 사용되고, 상기 내입레일은 경사면으로 형성하여 블록교구가 놓여지면 관성에 의해 자동으로 이동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주행완구로 놀이할 수 있는 학습교구{Educational paradigm that can play together as a driving toy}
본 발명은 다양한 모양의 블록을 동일한 모양의 홈에 끼워 맞추는 학습교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을 위한 손잡이를 구비하여 휴대가 용이토록 하면서 손잡이를 통하여 블록교구를 주행하는 놀이완구로 사용하여 학습기능과 동시에 재미기능을 부여토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린이를 위한 학습교구는 여러 가지 사물과 자연현상 및 낱말 학습과 색칠공부 등과 같이 기초적인 내용을 위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학습 내용을 가르치기 위한 학습 교구로는 종이에 그림을 그리거나 쓰는 형태의 평면형 학습교구와 조립하거나 끼워 맞추기 등의 입체형 학습교구로 구분되어 인지력과 창의력과 집중력 향상시키는데 사용되고 있다.
특히 블록을 이용한 학습교구는 다양한 모양을 선택하거나 끼워 맞추거나 조립하고 분해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사물의 형상이나 공간감 및 인지능력을 향상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고 있는 것이다.
그 중에서도 육면체 형상의 함체로 이루어져 일측의 절첩덮개에 의해 내부에 다양한 색채로 이루어진 원기둥과 육면기둥과, 삼각기둥 등의 다양한 모양의 입체블록을 수용하여 보관하면서 상기 입체블록을 꺼내어 그 형상과 색채를 인지능력을 학습하고, 상기 함체의 각 면에는 상기 입체블록의 모양과 부합되는 복수의 홈이나 홀이 형성되어 동일한 모양의 입체블록을 끼워 맞춤으로써 공간감과 대소근육의 발달을 교육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학습교구는 단순히 끼워 맞추는 기능으로 한정되어 학습효과가 단순하여 유아가 쉽게 싫증을 내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학습교구를 자동차와 같은 완구의 형태로 형성하면서 일측면에 버튼에 의한 멜로디 및 소리발생과 발광기능을 구비하고 타측면에 다양한 종류의 자동차블록을 끼워 맞추는 조립면이 형성하였으나, 누르거나 보는 형태의 2차원적인 학습교구로써 기능이 제한되어 쉽게 흥미를 잃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학습교구를 이동을 위해서는 직접 들어야 하기 때문에 불편함을 제공함은 물론 이동 중에 쉽게 떨어뜨려 그 충격에 의한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양한 자동차 모양의 교구 블록을 자동차에 끼워 넣기를 통하여 놀이활동을 통해 대소근육의 발달. 색감인식, 인지능력 증진 등의 다양한 발달교육은 물론, 이동을 위한 손잡이를 구비하여 휴대가 용이토록 하면서 손잡이를 미끄럼레일로 변형하여 자동차 블럭을 미끄럼레일에 의해 수동 또는 자동으로 주행하는 3차원적인 학습과 자동차 완구의 또 다른 재미를 부여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블록교구가 끼워 맞춰지도록 복수의 블록홈이 형성된 학습교구 본체를 자동차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블록교구의 저면에는 이동을 위한 바퀴를 구비하고, 자동차 형상으로 이루어진 본체의 상면에는 힌지결합되어 절첩된 상태로 락킹된 상태에서 이동을 위한 손잡이로 사용되고 락킹 해제에 의해 절첩된 상태에서 펼쳐지게 되면서 일단이 지면에 경사지게 놓여지는 미끄럼레일로 사용되는 레일판을 구비하여 블록교구를 수동으로 주행시키거나 레일판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먼 거리로 주행시키는 주행완구로 사용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블록교구가 내입되는 블록홈의 내측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탄성편 또는 고무패드로 이루어진 가압수단을 형성하여 블록홈의 끼임결합된 블록교구가 상기 가압수단에 의해 가압되어져 끼임된 상태에서 임의적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레일판의 힌지부에는 절첩된 상태에서 탄력을 갖도록 탄성체를 구비하여 락킹 해제시 탄성체의 반발력에 의해 레일판이 자동으로 펼쳐져 사용의 편의성와 재미를 갖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의 상면에는 상기 레일판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내입되는 내입레일을 형성하고 레일판이 펼쳐지게 되면 상기 내입레일이 레일판의 미끄럼레일과 길이가 연장되는 하나의 레일로 사용되고, 상기 내입레일은 경사면으로 형성하여 블록교구가 놓여지면 관성에 의해 자동으로 이동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자동차 블록교구를 끼워 맞추는 학습으로 사물의 인지능력과 색감과 공간감을 제공하는 동시에 학습교구를 아이가 쉽게 운반하여 다양한 장소에서 학습과 놀이를 즐길 수 있게 되고, 본체는 물론 블록교구를 수동이나 자동으로 직접 주행하여 놀이를 할 수 있는 주행완구로 사용하게 됨으로써 또 다른 재미를 부여하게 되어 실증내지 않고 지속적인 학습놀이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손잡이와 미끄럼레일로 변형되는 레일판이 구비된 학습교구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레일판이 절첩에 의해 손잡이에서 미끄럼레일로 변형되는 상태를 나타낸 학습교구의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미끄럼레일에서 블록교구가 주행되는 상태도.
도4는 본 발명의 탄성에 의해 자동으로 절첩되는 레일판의 또 다를 실시 예.
도5는 본 발명의 학습교구가 조립구조를 나타낸 분해도.
도6은 본 발명의 주행을 위한 블록교구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분해도.
도7은 본 발명의 블록교구의 임의적인 분리가 방지되는 일 실시 예.
도8은 본 발명의 블록교구의 임의적인 분리가 방지되는 또 다른 실시 예.
도9는 본 발명의 전면부가 교체되는 상태도.
도10은 본 발명의 교통 학습을 위한 학습면의 작동구조를 나타낸 타측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학습교구는 본체(10)가 주행놀이가 가능하도록 바퀴(11)가 구비된 자동차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10)의 일측면 또는 양 측면에는 블록홈(12)이 형성되어 상기 블록홈(12)에 다양한 형상과 모양으로 이루어진 블록교구(20)를 탈착하여 끼워 맞춤으로써 형상과 모양의 학습을 교육하고, 상기 블록교구(20)의 저면에는 이동을 위한 바퀴(21)를 구비하여 블록교구(20)를 별도의 주행완구로 놀이가 가능토록 하고, 상기 본체(10)의 상면에는 힌지부(31)에 의해 절첩되고 락킹에 의해 절첩이 단속되는 레일판(30)을 구비하여 상기 레일판(30)의 일측면에 락킹에 의해 절첩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상향으로 돌출되는 손잡이(32)를 구비하여 휴대하여 이동 가능토록 하고, 타측면에 락킹 해제에 의해 펼쳐진 상태에서 블록교구(20)를 먼 거리로 주행시킬 수 있는 미끄럼레일(33)로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레일판(30)은 본체(10)의 길이와 대응하는 길이로 이루어져 본체(10)의 상면에 위치되고 레일판(30)의 힌지부(31)는 본체(10)의 후방에 상향으로 돌출되어지게 형성된 결합부(18)에 힌지결합되어 본체(10)의 후방에서 회동되어 지면에 경사지게 놓여지게 되어 블록교구(20)를 미끄럼에 의해 일정거리로 주행시키게 되는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레일판(30)은 본체(10)에 절첩된 상태에서의 상면에는 상향으로 돌출된 손잡이(32)가 형성되어 유아나 어린이가 본체(10)를 손잡이(31)를 통해 쉽게 휴대하여 이동할 수 있게 되고, 상기 레일판(30)이 본체(10)에서 펼쳐진 상태에서의 하면에는 양 측벽과 바닥면으로 이루어진 미끄럼레일(33)이 형성되어 블록교구(20)가 미끄럼레일(33)에 놓여지면 가속력에 의해 먼 거리로 주행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레일판(30)은 락킹에 의해 절첩되거나 펼쳐짐이 단속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락킹을 위하여 본체(10)의 상면 전방에는 락요소(17a)가 형성되고 상기 락요소(17a)는 탄성체로 누름작동되는 락버튼(17)에 의해 작동되어 레일판(30)의 선단부분으로 락버튼(17)의 락요소(17a)의 락킹에 의하여 절첩이 단속되어 손잡이(32)로 사용되거나 미끄럼레일(33)로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레일판(30)의 힌지부(31)에는 탄성체(34)에 의하여 레일판(30)이 절첩된 상태에서 탄성체(34)에 의해 탄지된 상태로 락킹되어지고, 락킹이 해제되면 탄성체(34)의 탄력에 의해 레일판(30)이 자동으로 회동되어 펼쳐지게 작동되어 미끄럼레일(33)의 사용을 유아나 어린이가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본체(10)의 상면에는 레일판(30)이 노출되지 않고 절첩된 상태에서 상면의 내측으로 내입되게 장착하는 내입레일(19)을 형성하여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고, 상기 내입레일(19)의 후방에는 내입되어지는 레일판(30)의 힌지부(31)가 결합되는 결합부(18)가 형성되어 회동이 가능토록 하면서 상기 내입레일(19)에 의하여 레일판(30)이 펼쳐진 상태에서 미끄럼레일(33)과 연결되어 길이가 연장되는 레일로 사용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내입면(19)의 바닥면은 블록교구(20)가 놓여진 상태에서 자동으로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주행완구의 재미를 부여토록 한 것이다.
이때 도5는 학습교구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일 실시 예로써, 상기 본체(10)는 양측으로 분할된 몸체(10a,10b)와 하단으로 바퀴(11)가 조립되는 바닥면(10c)이 조립되는 하나의 본체(10) 형상으로 조립되고, 상기 본체(10)의 전면부(10d)는 아이들이 좋아하는 애니메이션의 캐릭터로 구현토록 한 것이다.
또한 도6은 블록교구(20)가 일반적인 주행완구는 물론이고 미끄럼레일(32)에서 주행이 가능하도록 한 조립구조를 나타낸 일 실시 예로써, 상기 블록교구(20)는 두 개로 분할되어 조립되는 몸체(20a,20b)와 상기 몸체(20a,20b)가 조립되면서 바닥면에 이동을 위한 바퀴(21)가 조립되어 이동을 위한 주행완구로 사용토록 하고, 상기 블록교구(20)의 양 측면에는 그림이 인쇄된 스티커가 부착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본체(10)는 블록교구(20)를 끼워 맞추어 사물의 형상과 모양과 색채를 교육할 수 있는 학습교구로 사용함은 물론이고, 본체(10)와 블록교구(20)를 바퀴에 의해 이동이 가능한 주행완구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본체(10)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는 블록홈(11)에 의하여 블록교구(20)를 동일한 형상과 모양으로 끼워 맞춰 사물의 형상과 모양과 조립블록(20)의 색채에 따라 색채를 학습할 수 있는 조립면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10)의 양측면으로 조립면(13)이 형성되지 않을 경우, 즉, 본체(10)의 일측면에 블록교구(20)가 조립되는 조립면(13)이 형성되고 타측면에 숫자학습이나 교통신호학습 등의 또 다른 학습을 위한 학습면(14)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본체(1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조립면(13)에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블록교구(20)가 각각 끼워지는 동일한 모양과 크기로 형성된 내측으로 내입되어진 블록홈(12)이 형성되고, 블록교구(20)는 내입되어진 블록홈(12)의 보다 폭이 크게 형성되어 끼워 맞춰진 상태에서 일부분이 외측으로 노출되게 끼워져 유아나 어린이가 블록홈(12)에 블록교구(20)를 반복적으로 끼워 맞추기가 가능토록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블록홈(12)에 끼워진 블록교구(20)는 블록홈(12)의 내측 어느 일측에 끼워진 블록교구(20)를 가압시키는 가압수단을 형성하여 끼워진 상태에서 임의적인 분리가 방지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도7은 가압수단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가압수단은 복수 개로 이루어진 각각의 블록홈(12)에 개구홀(12a)이 형성되어 상기 개구홀(12a)을 통해 블록홈(12)의 내측공간으로 돌출되는 가압부(15a)가 형성된 탄성편(15)이 장착되고, 상기 탄성편(15)은 복수 개가 연결면(15b)에 의해 하나의 몸체로 연결되어 복수 개로 배열된 블록홈(12)에 한번에 조립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탄성편(15)이 블록홈(12)의 공간으로 가압부(15a)가 돌출되어진 상태에서 블록교구(20)를 블록홈(12)에 끼워 맞추면 탄성편(15)의 가압부(15a) 가압된 상태로 눌려지면서 끼워진 블록교구(20)를 가압고정하여 끼임된 블록교구(20)의 임의적인 분리가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도8은 상기 가압수단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써, 블록홈(12)의 내측 공간에 완충력을 갖는 고무패드(16)를 장착하여 끼워지는 블록교구(20)가 삽입되면서 고무패드가 완충되어 블록교구(20)를 가압지지하여 임의적인 분리를 방지토록 하고, 상기 고무패드(16)는 접착에 의해 부착되거나 블록홈(12)에 형성된 개구홀(12a)을 통해 끼임조립에 의해 장착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가압수단의 탄성편(15)에 형성된 가압부(15a)나 고무패드(16)에는 블록홈(11)으로 끼워지는 블록교구(20)의 끼임이 용이하도록 일측이 경사면(15b ,16a)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본체(10)는 외관형상에 따라서 블록교구(20)의 형상을 본체(10)와 연관되는 형상으로 형성하여 학습과 동시에 다양한 장난감 놀이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예를들면, 본체(10)의 외관형상이 자동차 형상,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형상일 경우에 블록교구(20)는 소방차, 경찰차, 구급차 등의 다양한 종류의 자동차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10)의 외관형상이 동물원 버스형상일 경우에는 블록교구(20)는 동물형상으로 형성되어 학습효과는 물론 더욱 효과적인 놀이의 재미를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면부(10d)는 끼임요소에 의해 또 다른 캐릭터로 교체할 수 있도록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쉽게 캐릭터의 변형이 가능토록 하면서도 유아나 어린이의 흥미를 더욱 유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학습면(14)에는 버튼조작에 의해 발광과 동시에 멜로디나 소리를 동시에 발생시켜 유아나 어린이가 청력에 의해서도 학습할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학습면(14)을 교통신호를 학습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한 것임을 밝혀둔다.
10: 본체 11: 바퀴
12: 블록홈 13: 조립면
14: 학습면 15: 탄성편
16: 고무패드 17: 락버튼
18: 결합부 19: 내입레일
20: 블록교구 21: 바퀴
30: 레일판 31: 힌지부
32: 손잡이 33: 미끄럼레일

Claims (8)

  1. 복수 개의 블록교구를 통하여 동일한 형상과 모양으로 끼워 맞춰 교육 시킬 수 있는 학습교구에 있어서,
    외관이 자동차 형상으로 이루어져 주행을 위한 바퀴(11)가 구비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측면에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저면에 이동을 위한 바퀴(21)가 구비된 복수 개의 블록교구(20)가 탈착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본체(10)의 상면에는 락킹에 의해 절첩된 상태로 고정되어 이동을 위한 손잡이(32)로 사용되고 락킹 해제에 의해 절첩된 상태에서 펼쳐지면서 블록교구(20)을 먼 거리로 이동시킬 수 있는 미끄럼레일(33)로 사용되도록 힌지부(31)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후방으로 절첩되는 레일판(3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완구로 놀이할 수 있는 학습교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판(30)의 힌지부(31)에는 탄성체(34)가 구비되어 상기 레일판(30)이 탄성체(34)에 의해 탄지된 상태로 절첩되어 락킹이 유지된 상태에서 락킹 해제시 탄성체(34)의 반발력에 의해 자동으로 펼쳐지게 작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완구로 놀이할 수 있는 학습교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상면에는 레일판(30)이 절첩된 상태에서 돌출되지 않고 내입되게 장착하고 펼쳐진 상태에서 레일판(30)의 미끄럼레일(33)과 연결되어 레일의 길이를 연장하는 내입레일(19)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완구로 놀이할 수 있는 학습교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입레일(19)의 바닥면은 놓여진 상태에서 자동으로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완구로 놀이할 수 있는 학습교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측면에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블록교구(20)가 각각 끼워지는 동일한 모양과 크기로 형성된 블록홈(11)이 형성되고, 상기 블록홈(11)에는 외측으로 노출되어 끼워진 블록교구(20)의 임의적인 분리가 방지되도록 끼워진 상태에서 가압이 이루어지는 가압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완구로 놀이할 수 있는 학습교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블록홈(11)의 공간의 어느 일측으로 노출되어 끼워진 블록교구(20)를 가압시키는 가압부(15a)가 형성된 탄성편(15)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완구로 놀이할 수 있는 학습교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블록홈(11)의 공간에 끼워지는 블록교구(20)를 완충력에 의해 가압시켜 분리를 방지하는 고무패드(16)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완구로 놀이할 수 있는 학습교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의 탄성편(15)의 가압부(15a) 일측에는 블록홈(11)으로 끼워지는 블록교구(20)의 끼임을 위한 진입이 용이하도록 경사면(15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완구로 놀이할 수 있는 학습교구.
KR1020180129961A 2018-10-29 2018-10-29 주행완구로 놀이할 수 있는 학습교구 KR102166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961A KR102166674B1 (ko) 2018-10-29 2018-10-29 주행완구로 놀이할 수 있는 학습교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961A KR102166674B1 (ko) 2018-10-29 2018-10-29 주행완구로 놀이할 수 있는 학습교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187A KR20200048187A (ko) 2020-05-08
KR102166674B1 true KR102166674B1 (ko) 2020-10-16

Family

ID=70677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9961A KR102166674B1 (ko) 2018-10-29 2018-10-29 주행완구로 놀이할 수 있는 학습교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667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60118A1 (en) 2000-03-10 2003-03-27 Romyn Michael Petrus Toy
US20060079150A1 (en) 2004-10-08 2006-04-13 Miva Filoseta Toy for collecting and dispersing toy vehicles
JP2012011029A (ja) 2010-07-01 2012-01-19 Bandai Co Ltd 模型玩具収納装置
JP2013126500A (ja) 2011-12-19 2013-06-27 Aidesu Kk 乗用玩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60118A1 (en) 2000-03-10 2003-03-27 Romyn Michael Petrus Toy
US20060079150A1 (en) 2004-10-08 2006-04-13 Miva Filoseta Toy for collecting and dispersing toy vehicles
JP2012011029A (ja) 2010-07-01 2012-01-19 Bandai Co Ltd 模型玩具収納装置
JP2013126500A (ja) 2011-12-19 2013-06-27 Aidesu Kk 乗用玩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187A (ko) 2020-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70309A (zh) 收纳设备、包层设备和收纳组合件
US4264080A (en) Toy vehicle for children
JPS606833B2 (ja) 子供用乗物
KR100879263B1 (ko) 조립식 교육·완구용 블록 세트
KR102166674B1 (ko) 주행완구로 놀이할 수 있는 학습교구
US6524156B1 (en) Talking stick horse
JP3119330U (ja) 簡易組み立てハウス
KR102032565B1 (ko) 교육용 차량완구.
CN202478586U (zh) 一种趣味性强的玩具车
KR100846916B1 (ko) 조립식 교육·완구용 놀이 집
KR200424883Y1 (ko) 그림자 인형극용 시연세트
KR200449758Y1 (ko) 교육완구
KR102159881B1 (ko) 조립식 놀이용 교구
KR200420471Y1 (ko) 케이크 상자
KR101824381B1 (ko) 길 찾기 학습도구
KR100782165B1 (ko) 쿠키상자
KR200418966Y1 (ko) 유아용 블록 학습교구
RU188435U1 (ru) Блок игрового конструктора
CN217489730U (zh) 一种可视车体内部结构的玩具车
KR200423613Y1 (ko) 쿠키상자
KR200242264Y1 (ko) 블록으로된 퍼즐완구
KR102378961B1 (ko) 탈착식 슬라이딩 퍼즐
JP3116131U (ja) 電車玩具
JP3114843U (ja) 絵本
KR20060101073A (ko) 교습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