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6881A - System and apparatus for evaluation of speed-accuracy-tradeoff and training motor-cognitive dual-task - Google Patents

System and apparatus for evaluation of speed-accuracy-tradeoff and training motor-cognitive dual-tas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6881A
KR20210086881A KR1020190179396A KR20190179396A KR20210086881A KR 20210086881 A KR20210086881 A KR 20210086881A KR 1020190179396 A KR1020190179396 A KR 1020190179396A KR 20190179396 A KR20190179396 A KR 20190179396A KR 20210086881 A KR20210086881 A KR 20210086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sk
exercise
user
cognitive
d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93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82933B1 (en
Inventor
배재혁
김현기
김호진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Priority to KR1020190179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2933B1/en
Publication of KR20210086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688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2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29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An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ual task training apparatus for evaluating a user's exercise ability and cognitive abilit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ual task training apparatus comprises: an exercise task evaluation unit configured to present an exercise task to a user and analyze the user's exercise ability on the basis of exercise data when the user's exercise data according to the exercise task is input through an exercise input unit operated by the user; a cognitive task evaluation unit configured to present a cognitive task formed of questions to the user and analyze the user's cognitive ability on the basis of the user's response according to the cognitive task; and a dual task evaluation configured to evaluate a trade-off relationship for performance ability of the exercise task and the cognitive task on the basis of an analysis result of the cognitive task evaluation unit in the case of a dual task which gives the exercise task and the cognitive task to the user at the same time.

Description

운동·인지 이중 과제 훈련 및 속도-정확도 관계 평가 시스템 및 장치{SYSTEM AND APPARATUS FOR EVALUATION OF SPEED-ACCURACY-TRADEOFF AND TRAINING MOTOR-COGNITIVE DUAL-TASK}SYSTEM AND APPARATUS FOR EVALUATION OF SPEED-ACCURACY-TRADEOFF AND TRAINING MOTOR-COGNITIVE DUAL-TASK

본 발명은 운동·인지 이중 과제 훈련 및 속도-정확도 관계 평가 시스템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지 운동과 인지 과제가 결합된 이중과제를 훈련하고, 속도-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한 운동·인지 이중 과제 훈련 및 속도-정확도 관계 평가 시스템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vement/cognitive dual task training and speed-accuracy relationship evaluation system and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training a dual task in which upper extremity movement and a cognitive task are combined, and exercise/cognition for evaluating speed-accuracy It relates to a dual task training and speed-accuracy relationship evaluation system and apparatus.

인지 장애란 기억력, 주의력, 언어능력, 시공간능력과 판단력 등이 저하된 상태로서 그 정도는 다양하며, 인지기능장애가 심해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에 지장을 주는 경우를 치매라고 한다. 인지재활은 후천성 인지장애를 회복시키고 보상하기 위해 시행하는 체계적인 접근을 의미한다. 특히, 최근 노인 인구가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노령과 관련된 인지기능의 저하 또는 치매가 큰 문제가 되고 있고 치매에 대한 예방 및 치료의 일환으로 인지재활훈련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Cognitive impairment is a condition in which memory, attention, language ability, spatiotemporal ability, and judgment are reduced to varying degrees. Dementia is a condition in which cognitive dysfunction is severe and interferes with daily life or social life. Cognitive rehabilitation refers to a systematic approach implemented to recover and compensate for acquired cognitive impairment. In particular, as the elderly population rapidly increases in recent years, aging-related cognitive decline or dementia has become a major problem, and the need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is emerging as a part of prevention and treatment for dementia.

이와 관련하여, 특허문헌 1은 게임을 이용한 인지 장애 치료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입력되는 인적사항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여 등록하고 주의력 훈련 놀이, 시공간 지각력 훈련 놀이, 기억력 훈력 놀이 및 문제해결능력 훈련 놀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인지 장애 치료 게임 모듈로부터 게임 정보를 독출하여 게임을 실행하며 사용자가 게임 수행 시에 측정된 반응 시간의 평균과 분산을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평균과 분산을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에 사용자 별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In this regard, Patent Document 1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cognitive impairment using a game, and stores and registers user information including input personal information in a user database, and plays attention training, space-time perception training, and memory training. Play and problem-solving ability training The game information is read from the cognitive disorder treatment game module that stores information about play, the game is executed, and the average and variance of the reaction time measured when the user performs the game are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average Disclosed is a technique characterized by storing and distributing data for each user in a user database.

특허문헌 2는 대상의 인지능력에 적합한 인지능력 훈련 수단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대상의 인지능력을 분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인지게임으로서 실행되도록 제공하고 인지 게임에 대한 대상의 반응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반응 정보를 참조로 하여 복수 개의 부족한 인지능력의 타입 중 특정 타입에 대상이 속하는 것으로 판단하며 특정 타입에 대응되어 기록되어 있는 인지능력 강화 콘텐츠를 훈련 콘텐츠로서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Patent Document 2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cognitive ability training means suitable for the cognitive ability of a target, and provides at least one content for analyzing the cognitive ability of a target to be executed as a cognitive game, and Acquiring response information, determining that the target belongs to a specific type among a plurality of insufficient cognitive ability types by referring to the acquired response information, and recommending cognitive ability reinforcement contents recorded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type as training contents technology is disclosed.

그러나, 이러한 인지 능력 훈련 기술들은 일상 생활에서 대부분의 인지 과제가 상하지 운동 과제와 복합적으로 이루어진다는 현실을 반영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일상 생활의 동작을 구현한 운동 기구를 통한 운동과 함께, 인지 능력을 훈련시키는 이중 과제를 훈련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이러한 이중 과제에 대한 속도-정확도 관계를 평가하여, 개인의 수행능력 지표로서의 이용하고, 나아가 이에 대한 통계치를 통해 재활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However, these cognitive ability training techniques do not reflect the reality that most cognitive tasks in daily life are combined with upper and lower extremity motor task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rain a dual task that trains cognitive ability, along with exercise through an exercise device that embodies the motions of everyday life, and also evaluates the speed-accuracy relationship for this dual task to evaluate individual performance. It is necessary to use it as an index, and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rehabilitation study through statistics about it.

KRUS 10-080527410-0805274 BB KRUS 10-166728110-1667281 BB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일상 생활의 동작을 구현한 운동 기구를 통한 운동과 함께, 인지 능력을 훈련시키는 이중과제 훈련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ual task training apparatus and system for training cognitive abilities together with exercise through an exercise device embodying the motions of daily life, 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이중 과제의 훈련과 함께, 이중 과제 시 운동 및 인지 과제의 속도-정확도 트레이드 오프(trade off) 관계를 평가하는 이중과제 훈련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ual task training apparatus and system for evaluating the speed-accuracy trade-off relationship of a motor and a cognitive task during the dual task, along with the dual task training.

본 발명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운동 능력 및 인지 능력을 평가하는 이중 과제 훈련 장치는, 운동 과제를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조작되는 운동 입력부를 통해 상기 운동 과제에 따른 사용자의 운동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운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운동 능력을 분석하도록 구성된 운동과제 평가부, 질문으로 구성된 인지 과제를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상기 인지 과제에 따른 사용자의 응답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인지 능력을 분석하도록 구성된 인지과제 평가부, 상기 운동 과제 및 상기 인지 과제가 사용자에게 동시에 주어지는 이중 과제시, 상기 운동과제 평가부 및 상기 인지과제 평가부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운동 과제 및 상기 인지 과제의 수행 능력에 대한 트레이드 오프(trade off) 관계를 평가하도록 구성된 이중과제 평가부를 포함한다.A dual task training apparatus for evaluating a user's exercise ability and cognitive a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xercise task to a user, and allows the user to perform the exercise task through an operated exercise input unit When the user's exercise data is input, an exercise task evaluation unit configured to analyze the user's exercise ability based on the exercise data, a cognitive task composed of questions is presented to the user, and based on the user's response according to the cognitive task A cognitive task evaluation unit configured to analyze the user's cognitive ability, when the exercise task and the cognitive task are simultaneously given to the user,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exercise task evaluation unit and the cognitive task evaluation unit, the exercise task and and a dual task evaluation unit configured to evaluate a trade-off relationship with respect to performance of the cognitive task.

본 발명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운동 능력 및 인지 능력을 평가하는 이중 과제 훈련 시스템은, 운동 과제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운동 과제가 수행되는 운동 기구로 구성된 운동 입력부, 인지 과제가 출력되는 스피커,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운동 과제를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상기 운동 입력부를 통해 상기 운동 과제에 따른 사용자의 운동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운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운동 능력을 분석하도록 구성된 운동과제 평가부, 상기 스피커를 통해 질문으로 구성된 인지 과제를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상기 인지 과제에 따른 사용자의 응답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인지 능력을 분석하도록 구성된 인지과제 평가부, 및 상기 운동 과제 및 상기 인지 과제가 사용자에게 동시에 주어지는 이중 과제시, 상기 운동과제 평가부 및 상기 인지과제 평가부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운동 과제 및 상기 인지 과제의 수행 능력에 대한 트레이드 오프(trade off) 관계를 평가하도록 구성된 이중과제 평가부를 포함하는 이중 과제 훈련 장치를 포함한다.The dual task training system for evaluating the exercise ability and cognitive ability of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play on which the exercise task is output, the user exercise consisting of an exercise device on which the exercise task is performed When an exercise task is presented to the user through an input unit, a speaker through which a cognitive task is output, and the display, and exercise data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exercise task is input through the exercise input unit, the exercise ability of the user is based on the exercise data a motor task evaluation unit configured to analyze a cognitive task evaluation unit configured to present a cognitive task composed of a question to the user through the speaker, and a cognitive task evaluation unit configured to analyze the user's cognitive ability based on the user's response according to the cognitive task, and the When the exercise task and the cognitive task are given to the user at the same time as a dual task,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exercise task evaluation unit and the cognitive task evaluation unit, a trade-off is performed on the performance of the motor task and the cognitive task and a dual-task training device comprising a dual-task evaluation unit configur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과제의 훈련 장치 및 시스템은 이중 과제 훈련을 통해 노인성 장애 인구에게 뇌기능 손상과 운동 기능 저하를 예방할 수 있는 훈련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며, 뇌기능에 손상이 있는 뇌병변 장애인 등에게도 운동 기능과 인지 기능을 동시에 회복할 수 있는 재활 훈련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The dual task training apparatus an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training content that can prevent brain function impairment and motor function deterioration to the geriatric disabled population through dual task training, It is possible to provide rehabilitation training means to recover motor and cognitive functions at the same time even for people with brain lesions.

또한, 이중 과제 시 운동 및 인지 과제의 속도-정확도의 평가 결과는 측정자의 일상 생활 동작 활동 능력을 예측함에 있어 사용됨과 동시에, 측정자의 능력에 맞는 일상생활 활동 수준을 처방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나아가 이에 대한 통계치는 재활 연구에 있어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valuation result of speed-accuracy of the motor and cognitive task during the double task can be used to predict the measurer's ability to perform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at the same time to prescribe the level of daily living activity suitable for the ability of the measurer, and further Statistical data can be used in a variety of ways in rehabilitation research.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과제 훈련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이중과제 훈련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이중과제 훈련시스템에서의 이중 과제 수행 능력의 평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의 운동 과제의 평가에 있어 제시되는 운동 과제의 예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3의 운동 과제의 평가에 있어 제시되는 운동 과제의 다른 예시도들이다.
1 is a conceptual illustration for explaining a dual task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dual task training system of FIG. 1 .
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evaluation of dual task performance in the dual task training system of FIG. 1 .
4 is an exemplary diagram of an exercise task presented in the evaluation of the exercise task of FIG. 3 .
5A to 5C are other exemplary views of the exercise task presented in the evaluation of the exercise task of FIG. 3 .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With respect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text,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are only exemplifi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may b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the other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describ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exists, and includes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y are not to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

한편,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 블록 내에 명기된 기능 또는 동작이 순서도에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는 두 블록이 실제로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관련된 기능 또는 동작에 따라서는 상기 블록들이 거꾸로 수행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a certain embodiment can be implemented differently, functions or operations specified in a specific block may occur in a different order from that specified in the flowchart. For example, two consecutive blocks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the blocks may be performed in reverse according to a related function or operation.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repeated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과제 훈련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이중과제 훈련시스템의 이중과제 훈련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1 is a conceptual illustration for explaining a dual task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ual task training apparatus of the dual task training system of FIG. 1 .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과제 훈련시스템(1000)은 운동 입력부(10), 디스플레이(20), 스피커(30) 및 이중과제 훈련장치(100)를 포함한다. 1 and 2 , a dual task training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xercise input unit 10 , a display 20 , a speaker 30 , and a dual task training device 100 . do.

상기 운동 입력부(10)는 사용자로 하여금 운동 과제가 수행되는 운동 기구로서, 도 1에는 사용자의 손으로 잡고 조작 가능한 형태의 상지 운동 기구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운동 입력부(10)는 하지 운동 기구 또는 상하지 복합 운동 기구의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으며, 기타 운동 여하를 불문한다. 다만, 편의상 이하 상지 운동 기구를 예로 설명하도록 한다. The exercise input unit 10 is an exercise device that allows the user to perform an exercise task, and FIG. 1 shows an upper extremity exercise device that can be manipulated by holding the user's hand,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exercise input unit 10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lower extremity exercise device or a combined upper and lower extremity exercise device, regardless of any other exercise. However, for convenience, the upper extremity exercise device will be described below as an example.

상기 운동 입력부(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으로 잡고 조작가능하도록 구성된 핸들과 상기 핸들이 평면 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연결 구조체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 구조체에 의해 사용자는 상기 핸들을 쥔 상태에서 상기 핸들을 평면 상의 임의의 지점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일상 생활 동작에 대응되는 다양한 궤적의 뻗기(reaching) 등의 상지 운동이 가능하며, 추가로 이동 방향에 따른 부하를 적용할 경우, 근력 훈련도 수행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 the exercise input unit 10 includes a handle configured to be operable by a user's hand and a connection structure configured to allow the handle to move in a plane. The connection structure allows the user to move the handle to any point on a plane while holding the handle. Accordingly, the user can perform upper extremity exercises such as reaching various trajectories corresponding to daily life motions, and in addition, when a load according to the movement direction is applied, strength training can also be performed.

상기 운동 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운동 과제의 수행 데이터는 상기 이중과제 훈련장치(100)로 전송되며, 상기 이중과제 훈련장치(100) 내에서 이를 기초로 사용자의 운동 수행 능력이 평가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중과제 훈련시스템(1000)은 상지 운동 과제로서, 상기 핸들을 현재의 위치에서 미리 정해진 경로를 따라 타겟 위치로 이동시키는 과제를 사용자에게 제시하도록 구성된다. 즉, 사용자는 미리 정해진 지정 시간 안에 제시된 경로를 따라 상기 핸들을 타켓 위치로 이동시켜야 하므로, 운동 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의 운동 속도 및 정확도를 분석 내지 평가할 수 있고, 이동 방향에 따른 부하를 적용할 경우, 사용자의 근력도 함께 평가할 수 있다. The performance data of the user's exercise task input through the exercise input unit 10 is transmitted to the dual task training apparatus 100, and the user's exercise performance is evaluated based on this in the dual task training apparatus 100 do. The dual task training system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to present a task of moving the handle from a current position to a target position along a predetermined path to the user as an upper extremity exercise task. That is, since the user must move the handle to the target position along the path presented within the predetermined time period, the user's exercise speed and accuracy can be analyzed or evaluated through the data input through the exercise input unit 10, and the movement direction In case of applying a load according to , the user's muscle strength can also be evaluated.

상기 디스플레이(20)는 사용자의 전방에 배치되어, 사용자에게 운동 과제를 제시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20)는 상기 이중과제 훈련장치(100)의 출력부로서 운동 과제의 평가 및 이중 과제의 평가 있어서의 운동 훈련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운동 훈련 컨텐츠는 사용자로 하여금 조작되는 상기 운동 입력부(10)의 핸들의 현재 위치, 타겟 위치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핸들의 현재 위치는 실시간으로 표시되며, 사용자가 핸들을 정해진 경로를 따라 타겟 위치로 이동시키면, 또 다른 타겟 위치가 표시되며, 이는 미리 정해진 지정 시간 동안 반복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5와 관련하여 후술한다. 한편, 도 1에는 일반적인 모니터로서의 디스플레이(20)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20)는 헤드업 디스플레이(HUD)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display 2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user and is configured to present an exercise task to the user. Specifically, the display 20 is configured to output the evaluation of the exercise task and the exercise training content in the evaluation of the dual task as an output unit of the dual task training apparatus 100 . The exercise training content may include a current position of the handle of the exercise input unit 10 manipulated by the user, a target position, and at least one or more path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handle is displayed in real time, and when the user moves the handle to the target position along a predetermined path, another target position is displayed, which is repeated for a predetermined predetermined time.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 Meanwhile, although the display 20 as a general monitor is illustrated in FIG. 1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display 20 may be configured as a head-up display (HUD).

상기 스피커(30)는 사용자에게 인지 과제를 제시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스피커(30)는 상기 디스플레이(20)와 마찬가지로 상기 이중과제 훈련장치(100)의 출력부로서 기능하고, 인지 과제의 평가 및 이중 과제의 평가 있어서의 인지 훈련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인지 훈련 컨텐츠는 지남력, 기억력, 주의 집중력, 시지각, 언어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speaker 30 is configured to present a cognitive task to the user. That is, the speaker 30 functions as an output unit of the dual task training apparatus 100 similarly to the display 20 , and is configured to output the evaluation of the cognitive task and the cognitive training content in the evaluation of the dual task. The cognitive training conten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orientation, memory, attention, visual perception, and language.

상기 스피커(30)를 통해 일정 영역에 대한 문제가 제시되면, 사용자는 제시된 문제에 대해 응답을 하며, 해당 영역의 문제에 대한 응답 여부, 응답 시간 및 정답 여부가 기록되어 인지 능력의 평가의 기초가 된다. 사용자는 상기 스피커(30)를 통해 전달되는 음성의 인지 과제에 대해 응답의 형태로 과제를 수행하며, 응답에 대한 정답 여부는 도시되진 않았으나, 별도의 입력부를 통해 운동 보조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동 보조자는 상기 이중과제 훈련장치(100)와 연결된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을 통해 사용자의 응답이 정답인 경우에만 클릭 등으로 입력함으로써, 정답 여부를 기록하는 동시에 응답 시간을 체크하고,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조작할 수 있다. 또는 이와 달리, 별도의 음성 인식부를 통해 인식되는 음성에 대한 진폭값(Amplitude)을 측정하여 응답 여부를 측정하는 동시에, 음성 인식을 통해 정답 여부를 판별하여 결과값을 기록할 수도 있다.When a problem for a certain area is presented through the speaker 30, the user responds to the presented problem, and the response to the problem in the corresponding area, response time, and correct answer are recorded, so that the basis of evaluation of cognitive ability is do. The user performs the task in the form of a response to the task of recognizing the voice transmitted through the speaker 30 , and the correct answer to the answer is not shown, but may be input by the exercise assistant through a separate input unit. For example, the exercise assistant records the correct answer and checks the response time while recording the correct answer by inputting the user's answer by clicking only when the user's answer is the correct answer through the keyboard or mouse connected to the dual task training device 100, and then It can be manipulated to jump to the problem. Alternatively, the response may be measured by measuring the amplitude value of the voice recognized through a separate voice recognition unit, and the result may be recorded by determining whether the answer is correct through voice recognition.

한편, 사용자에게 제시되는 문제는 일반적인 현재 시간(년, 월, 일, 요일, 시간), 일반 상식(나라, 대통령 등)과 같은 기본적인 사용자의 현재 인지 상태에 대한 체크를 위한 문제일 수 있으며, 또는 임계 연령별로 문제가 단계별대로 마련되어 있고, 사용자의 문제 정답률을 고려하여 점점 높은 수준의 문제가 단계별대로 제공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roblem presented to the user may be a problem for checking the current cognitive state of the basic user, such as general current time (year, month, day, day, time) and common sense (country, president, etc.), or Questions are provided step by step for each critical age, and progressively higher level questions may be provided step by step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to the questions.

상기 이중과제 훈련장치(100)는 인지 과제의 제시를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인지 훈련을 수행하도록 하고, 동시에 데이터를 획득하여 사용자의 인지 능력을 평가하도록 구성되며, 또한 운동 과제의 제시를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운동 훈련을 수행하도록 하고, 동시에 데이터를 획득하여 사용자의 운동 능력을 평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중과제 훈련장치(100)는 동시에 인지 과제 및 운동 과제가 주어지는 이중 과제의 제시를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인지 훈련 및 운동 훈련을 수행하도록 하고, 각 훈련들로부터 획득되는 데이터를 통해 이중 과제의 속도-정확도의 트레이드 오프(trade off) 관계를 분석하도록 구성된다. The dual task training apparatus 100 is configured to allow the user to perform cognitive training by presenting a cognitive task, and to acquire data at the same time to evaluate the user's cognitive ability, and also to allow the user to perform cognitive training by presenting an exercise task. and to perform exercise training, and at the same time acquire data to evaluate the exercise ability of the user. In addition, the dual task training apparatus 100 allows the user to perform cognitive training and exercise training by presenting a dual task in which a cognitive task and an exercise task are simultaneously given, and the dual task is performed through data obtained from each training. and to analyze the speed-accuracy trade-off relationship.

즉, 상기 이중과제 훈련장치(100)는 사용자의 모드 선택을 통해 인지 과제 또는 운동 과제의 단일 과제를 훈련하고 평가하는 방식으로 동작하거나, 또는 인지 과제와 운동 과제가 동시에 주어지는 이중 과제를 훈련하고 평가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상기 이중과제 훈련장치(100)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That is, the dual task training apparatus 100 operates in a manner that trains and evaluates a single task of a cognitive task or an exercise task through the user's mode selection, or trains and evaluates a dual task in which a cognitive task and an exercise task are given at the same time works in a way that The dual task training apparatus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

도 3은 도 1의 이중과제 훈련시스템에서의 이중 과제 수행 능력의 평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evaluation of dual task performance in the dual task training system of FIG. 1 .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상기 이중과제 훈련장치(100)는 상기 운동 입력부(10), 상기 디스플레이(20) 및 상기 스피커(30)와 연결되어 데이터의 송수신 및 데이터 처리를 행할 수 있는 일련의 단말,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C, 이동 전화기, 데스크탑 PC, 랩탑 PC, 넷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서버,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카메라, 또는 웨어러블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이중과제 훈련장치(100)는 통신부(110), 운동과제 평가부(120), 인지과제 평가부(130), 이중과제 평가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1 to 3 , the dual task training apparatus 100 is connected to the exercise input unit 10 , the display 20 and the speaker 30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and perform data processing. At least one of a terminal, for example, a smartphone, a tablet PC, a mobile phone, a desktop PC, a laptop PC, a netbook computer, a workstation, a server, a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n MP3 player, a camera, or a wearable device can The dual task training apparatus 1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0 , an exercise task evaluation unit 120 , a cognitive task evaluation unit 130 , a dual task evaluation unit 140 , and a control unit 150 .

상기 통신부(110)는 상기 운동 입력부(10), 상기 디스플레이(20) 및 상기 스피커(30)가 데이터베이스(40)를 포함하는 상기 이중과제 훈련장치(100)로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상기 이중과제 훈련장치(1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게 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부는, 80211x 프로토콜 기반 무선(WiFi) 카드, 이더넷 디바이스, 모뎀, 블루투스 모듈, IR 링크 등일 수 있지만, 이러한 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이중과제 훈련장치(100)는 하나보다 많은 통신 디바이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WiFi 카드와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통신부는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유선 접속 또는 무선 접속을 이용하여, 상기 운동 입력부(10), 상기 디스플레이(20) 및 상기 스피커(30)와 상기 이중과제 훈련장치(100)를 연결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10 transmits data to the dual task training apparatus 100 in which the exercise input unit 10 , the display 20 and the speaker 30 include a database 40 , or the dual task training apparatus It may be any suitable device capable of receiving data from 100 .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an 80211x protocol-based wireless (WiFi) card, an Ethernet device, a modem, a Bluetooth module, an IR link, and the like. The dual task training apparatus 100 may use more than one communication device,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WiFi card and a Bluetooth module. The communication unit connects the exercise input unit 10, the display 20 and the speaker 30 with the dual task training device 100 in any suitable manner, for example, using a wired connection or a wireless connection. can connect

상기 운동과제 평가부(120)는 사용자의 운동 능력을 평가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운동 과제 또는 이중 과제가 선택되면, 후술하는 제어부(150)에 의해 상기 운동과제 평가부(120)가 활성화된다. 상기 운동과제 평가부(120)는, 상기 디스플레이(20)를 통해 사용자에게 운동 과제를 제시하고(S210), 사용자가 운동 과제를 수행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평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운동 과제는 사용자로 하여금 운동 입력부(10)의 핸들을 현재의 위치에서 정해진 경로를 따라 타겟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구성되며, 당해 과정은 미리 정해진 지정 시간동안 반복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4 및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The exercise task evaluation unit 120 is configured to evaluate the exercise ability of the user. Specifically, when an exercise task or a double task is selected by the user's selection, the exercise task evaluation unit 120 is activated by the controller 150 to be described later. The exercise task evaluation unit 120 is configured to present an exercise task to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20 ( S210 ), and to analyze and evaluate data obtained by the user performing the exercise task. The exercise task consists of allowing the user to move the handle of the exercise input unit 10 from the current position to the target position along a predetermined path, and the process is repeated for a predetermined predetermined time.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

도 4는 도 3의 운동 과제의 평가에 있어 제시되는 운동 과제의 예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3의 운동 과제의 평가에 있어 제시되는 운동 과제의 다른 예시도들이다. 4 is an exemplary diagram of an exercise task presented in the evaluation of the exercise task of FIG. 3 . 5A to 5C are other exemplary views of the exercise task presented in the evaluation of the exercise task of FIG. 3 .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20)에 표시되는 운동 과제의 예시가 도시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20)에는 사용자가 조작 가능한 운동 입력부(10)의 핸들의 현재 위치(201)가 실시간으로 표시되고, 동시에 타겟 위치(205)와 수직 방향의 제1 경로(203-1), 수평 방향의 제2 경로(203-2), 및 대각선 방향의 경로(203-3)가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의 구조로 구성된 복수의 경로(203)가 표시된다. 즉, 사용자는 상기 핸들을 현재 위치(201)에서 제1 경로(203-1)를 따라 타겟 위치(205)로 이동시킬 것이 요구되며, 상기 타겟 위치(205)에 도달한 경우, 상기 운동과제 평가부(120)는 새로운 타겟 위치를 해당 복수의 경로(203) 상의 임의의 지점에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동작은 미리 정해진 지정 시간동안 반복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상기 운동과제 평가부(120)는 상기 지정 시간 내에 사용자의 정확도를 고려하여 점점 높은 난이도의 운동 과제를 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로의 폭을 점점 좁히거나, 또는 도 5(a) 및 5(b)와 같이, 특정 방향으로 굴곡을 가하거나, 특정 방향으로 경사지게 함으로써 난이도를 조절하거나, 또는 도 5(c)와 같이 이전 운동 과제의 경로와는 다른 새로운 경로로 구성된 운동 과제를 순차적으로 제시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4A , an example of an exercise task displayed on the display 20 is illustrated. Specifically, the display 20 displays the current position 201 of the handle of the exercise input unit 10 operable by the user in real time, and at the same time, the target position 205 and the first path 203 - 1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second path 203 - 2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path 203 - 3 in the diagonal direction are shown as a plurality of paths 203 configured in a radial structure from the center. That is, the user is requested to move the handle from the current position 201 to the target position 205 along the first path 203 - 1 , and when the target position 205 is reached, the exercise task evaluation The unit 120 is configured to create a new target location at any point on the plurality of paths 203 . Such an operation is repeated for a predetermined predetermined tim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for example, the exercise task evaluation unit 120 may present an exercise task of increasing difficulty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accuracy within the specified time period. For example, the difficulty level by gradually narrowing the width of the path as shown in Fig. 4(b), or bending in a specific direction or making it inclined in a specific direction as shown in Figs. 5(a) and 5(b). or, as shown in Fig. 5(c), it is also possible to sequentially present an exercise task composed of a new path different from that of the previous exercise task.

상기 운동과제 평가부(120)는 운동 과제를 제시하는 동시에, 운동 과제를 수행하는 사용자의 운동 데이터를 분석 내지 평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운동과제 평가부(120)는 상기 지정 시간 동안 핸들이 실제로 이동한 실제 이동좌표를 기록하고(S220), 상기 핸들이 실제로 이동한 실제 이동 좌표에 기초로 하여, 경로의 지정 범위 내 이동 좌표값이 있는 여부에 따라 참값과 오차값을 추출하도록 구성된다(S240). 이 후, 상기 지정 시간이 도달하면(S250), 상기 운동과제 평가부(120)는 과제를 종료하고, 참값과 오차값의 총합으로 응답수를 산출하고, 참값을 응답수로 나눈 값으로 정확도를 산출하며, 운동 과제로 제시된 경로 상의 좌표간 거리의 총합으로부터 이동거리를 산출한다. 또한 상기 이동거리를 상기 지정시간으로 나눈 값으로부터 운동 속도를 산출한다(S260). 즉, 이에 기초하여, 상기 운동과제 평가부(120)는 사용자의 운동 능력에 대한 속도-정확도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The exercise task evaluation unit 120 analyzes or evaluates exercise data of the user performing the exercise task while presenting the exercise task. Specifically, the exercise task evaluation unit 120 records the actual movement coordinates of the handle actually moved during the specified time (S220), and based on the actual movement coordinates the handle actually moved, within the designated range of the path. It is configured to extract a true value and an error value according to whether there is a movement coordinate value (S240). After that, when the specified time is reached (S250), the exercise task evaluation unit 120 ends the task, calculates the number of responses by the sum of the true value and the error value, and calculates the accuracy by dividing the true value by the number of responses. and calculate the movement distance from the sum of the distances between coordinates on the path presented as an exercise task. In addition, the movement speed is calculated from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movement distance by the specified time (S260). That is, based on this, the exercise task evaluation unit 120 may perform speed-accuracy analysis on the exercise ability of the user.

상기 인지과제 평가부(130)는 사용자의 인지 능력을 평가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인지 과제 또는 이중 과제가 선택되면, 후술하는 제어부(150)에 의해 상기 인지과제 평가부(130)가 활성화된다. 상기 인지과제 평가부(130)는, 상기 스피커(30)를 통해 사용자에게 인지 과제를 제시하고(S110), 사용자가 인지 과제를 수행한 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평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인지 과제는 지남력, 기억력, 주의 집중력, 시지각, 언어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역의 문제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스피커(30)를 통해 문제들이 제시되면, 사용자는 제시된 문제들에 대해 응답을 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상기의 문제들의 제시는 미리 정해진 지정 시간동안 반복된다. The cognitive task evaluation unit 130 is configured to evaluate the user's cognitive ability. Specifically, when a cognitive task or a double task is selected by the user's selection, the cognitive task evaluation unit 130 is activated by the controller 150 to be described later. The cognitive task evaluation unit 130 is configured to present a cognitive task to the user through the speaker 30 (S110), and to analyze and evaluate cognitive data obtained by the user performing the cognitive task. The cognitive task may consist of problems in at least one of orientation, memory, attention, concentration, visual perception, and language. When problems are presented through the speaker 30, the user responds to the presented problems. proceeds in such a way that The presentation of the above problems is repeated for a predetermined predetermined time period.

한편, 사용자에게 제시되는 문제들은 일반적인 현재 시간(년, 월, 일, 요일, 시간), 일반 상식(나라, 대통령 등)과 같은 기본적인 사용자의 현재 인지 상태에 대한 체크를 위한 문제들일 수 있으며, 또는 임계 연령별로 문제가 단계별대로 마련되어 있고, 사용자의 문제 정답률을 고려하여 점점 높은 수준의 문제가 단계별대로 제시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roblems presented to the user may be problems for checking the current cognitive state of the basic user, such as general current time (year, month, day, day, time), general common sense (country, president, etc.), or Questions are provided step by step for each critical age, and higher-level questions may be presented step by step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상기 인지과제 평가부(130)는 인지 과제를 제시하는 동시에, 인지 과제를 수행하는 사용자의 인지 데이터를 분석 내지 평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지과제 평가부(130)는 문제를 제시한 후, 사용자의 응답여부를 판단한다(S120). 일정 시간 내에 제시된 문제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이 있는 경우, 상기 인지과제 평가부(130)는 응답시간을 기록하고(S130), 일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사용자의 응답이 없는 경우는, 해당 문제를 오답 처리하고 다음 문제를 제시하도록 구성된다. The cognitive task evaluation unit 130 analyzes or evaluates cognitive data of a user performing a cognitive task while presenting a cognitive task. Specifically, the cognitive task evaluation unit 13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responds after presenting the problem (S120). If there is a user's response to the problem present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 cognitive task evaluation unit 130 records the response time (S130), and if there is no response from the user until the predetermined time elapses, the problem is resolved It is structured to deal with incorrect answers and present the next question.

사용자의 응답 여부는 예를 들어, 운동 보조자에 의해 별도의 입력부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즉, 운동 보조자는 사용자의 응답이 있는 경우 상기 이중과제 훈련장치(100)와 연결된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을 통해 응답 여부를 입력할 수 있다. 또는 이와 달리, 상기 이중과제 훈련장치(100)와 연결된 별도의 음성 인식부를 통해 인식되는 음성에 대한 진폭값(Amplitude)을 측정하여 사용자의 응답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Whether or not the user responds may be input by, for example, an exercise assistant through a separate input unit. That is, when there is a user's response, the exercise assistant may input whether the response is through a keyboard or mouse connected to the dual task training apparatus 100 . Alternatively,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responds by measuring an amplitude value for a voice recognized through a separate voice recognition unit connected to the dual task training apparatus 100 .

사용자의 응답이 있는 경우, 상기 인지과제 평가부(130)는 사용자 응답의 정답 여부를 판단한다(S140). 상기 정답 여부는 응답 여부의 판단과 마찬가지로, 운동 보조자에 의해 입력되거나, 또는 음성 인식을 통해 사용자 응답의 음성을 판독함으로써 판단될 수 있다. 해당 응답이 정답인 경우는 당해 문제를 정답 처리함과 함께, 정답수를 1만큼 카운트하며, 해당 응답이 오답인 경우는 당해 문제를 오답 처리함과 함께, 오답수를 1만큼 카운트한다. When there is a user's response, the cognitive task evaluation unit 130 determines whether the user's response is correct (S140). Whether the answer is correct may be determined by input by an exercise assistant or by reading the voice of the user's response through voice recognition similarly to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or not the answer is correct. If the corresponding answer is a correct answer, the problem is treated as correct and the number of correct answers is counted by 1. If the corresponding answer is an incorrect answer, the corresponding question is treated as an incorrect answer and the number of incorrect answers is counted by 1.

이후, 상기 인지과제 평가부(130)는 미리 정해진 지정 시간이 도달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지정 시간이 도달하기 전이라면, 다음 문제를 제시하고, 지정시간이 도달하면, 문제를 종료한다(S150). 또한, 상기 인지과제 평가부(130)는 사용자의 응답 여부에 따라 별도로 기록한 응답수 또는 정답수와 오답수를 합산한 응답수를 산출하고, 상기 정답수를 상기 응답수로 나눈 값으로 정확도를 산출하며, 상기 지정 시간 동안의 응답수로부터 응답 속도와 상기 지정 시간 동안의 정답수로부터 정답속도를 산출한다(S160). 즉, 이에 기초하여, 상기 인지과제 평가부(130)는 사용자의 인지 능력에 대한 속도-정확도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cognitive task evaluation unit 130,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predetermined time has arrived, if before the specified time has arrived, it presents the next problem, and when the specified time arrives, the problem ends (S150) . In addition, the cognitive task evaluation unit 130 calculates the number of responses separately recorded or the number of correct answers and the number of incorrect answers according to the user's response, and calculates the accuracy by dividing the number of correct answers by the number of responses. and calculates the correct answer speed from the response speed from the number of responses during the specified time and the number of correct answers during the specified time (S160). That is, based on this, the cognitive task evaluation unit 130 may perform speed-accuracy analysis on the user's cognitive ability.

상기 이중과제 평가부(140)는 사용자의 운동 능력과 인지 능력에 대한 속도-정확도 트레이드 오프(trade off) 관계를 평가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이중 과제가 선택되면, 후술하는 제어부(150)에 의해 상기 이중과제 평가부(140)가 활성화된다. 구체적으로, 이중 과제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50)에 의해 상기 운동과제 평가부(110) 및 상기 인지과제 평가부(120)가 활성화되고, 미리 정해진 지정 시간동안 인지 과제 및 운동 과제의 평가가 동시에 수행된다. 이후, 지정 시간이 도달하여, 상기 인지 과제 및 운동 과제의 평가가 종료되면, 상기 이중과제 평가부(140)는 사용자의 인지 능력 및 운동 능력에 대한 속도-정확도 분석값에 기초하여, 인지 능력과 운동 능력에 대한 속도-정확도의 트레이드 오프 관계를 분석하도록 구성된다. The dual task evaluation unit 140 is configured to evaluate the speed-accuracy trade-off relationship between the user's motor ability and cognitive ability. Specifically, when a dual task is selected by the user's selection, the dual task evaluation unit 140 is activated by the controller 150 to be described later. Specifically, when a double task is selected, the exercise task evaluation unit 110 and the cognitive task evaluation unit 120 are activated by the controller 150, and the evaluation of the cognitive task and the exercise task is performed for a predetermined time. performed simultaneously. Thereafter, when the specified time arrives and the evaluation of the cognitive task and the exercise task is finished, the dual task evaluation unit 140 determines the cognitive ability and the motor task based on the speed-accuracy analysis value of the user's cognitive ability and exercise ability. and to analyze the speed-accuracy trade-off relationship for athletic ability.

이중 과제 시 운동 및 인지 과제의 속도-정확도의 트레이드 오프 관계는 측정자의 일상 생활 동작 활동 능력을 예측함에 있어 사용됨과 동시에, 측정자의 능력에 맞는 일상생활 활동 수준을 처방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나아가 이에 대한 통계치는 재활 연구에 있어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이중 과제 훈련을 통해 노인성 장애 인구에게 뇌기능 손상과 운동 기능 저하를 예방할 수 있는 훈련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며, 뇌기능에 손상이 있는 뇌병변 장애인 등에게도 운동 기능과 인지 기능을 동시에 회복할 수 있는 재활 훈련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The trade-off relationship between speed-accuracy of motor and cognitive tasks during the double task can be used to predict the measurer's ability to perform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at the same time, it can be used to prescribe the level of daily living activity that fits the measurer's ability, and further Statistics can be used in various ways in rehabilitation research.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provide training contents that can prevent damage to brain function and decline in motor function to the geriatric disabled population through this double task training, and exercise and cognitive functions can be provided simultaneously to people with brain lesions who have impaired brain function. It can provide a means of rehabilitation training to recover.

상기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모드 선택에 따라 상기 이중과제 훈련장치(100)의 구성요소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운동 과제 선택 시, 상기 제어부(150)는 데이터베이스(DB)(40)에 등록된 운동 훈련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부(20)로 출력하고, 운동 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20)로 출력하는 동시에, 상기 운동과제 평가부(120)로 상기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운동 과제의 평가가 종료되면, 분석 결과를 출력하고, 사용자에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한다. The control unit 150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components of the dual task train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user's mode selection. Specifically, when selecting an exercise task, the control unit 150 outputs the exercise training content registered in the database (DB) 40 to the display unit 20, and outputs the data input through the exercise input unit 10 to the It is configured to output the data to the display unit 20 and to transmit the data to the exercise task evaluation unit 120 . In addition, when the evaluation of the exercise task is finished, the control unit 150 outputs an analysis result, matches the user with the user, and stores the result in the database 40 .

또한, 인지 과제 선택 시, 상기 제어부(150)는 데이터베이스(DB)(40)에 등록된 인지 훈련 컨텐츠를 상기 스피커(30)로 출력하고, 입력되는 응답 데이터를 상기 인지과제 평가부(130)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인지 과제의 평가가 종료되면, 분석 결과를 출력하고, 사용자에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한다.In addition, when selecting a cognitive task, the control unit 150 outputs the cognitive training content registered in the database (DB) 40 to the speaker 30 , and sends the input response data to the cognitive task evaluation unit 130 . configured to deliver. In addition, when the evaluation of the cognitive task is finished, the analysis result is output, matched with the user, and stored in the database 40 .

또한, 이중 과제 선택 시, 상기 제어부(150)는 데이터베이스(DB)(40)에 등록된 운동 훈련 컨텐츠 및 인지 훈련 컨텐츠를 출력하고, 입력되는 데이터를 대응되는 상기 운동과제 평가부(120) 및 인지과제 평가부(130)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중 과제의 평가가 종료되면, 사용자의 인지 능력과 운동 능력에 대한 속도-정확도의 트레이드 오프 결과를 출력하고, 사용자에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한다. In addition, when a dual task is selected, the controller 150 outputs the exercise training content and the cognitive training content registered in the database (DB) 40, and applies the input data to the corresponding exercise task evaluation unit 120 and recognition It is configured to be delivered to the task evaluation unit 130 . Also, when the evaluation of the double task is finished, the speed-accuracy trade-off result for the user's cognitive ability and exercise ability is output, matched with the user, and stored in the database 40 .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에서 언급한 기능 외에도 이중과제 훈련시스템의 동작 전반에 있어서,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50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omponents in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ual task training system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functions.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or those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do not depart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within the scope thereof.

1000: 이중과제 훈련시스템
10: 운동 입력부
20: 디스플레이
30: 스피커
40: DB
100: 이중과제 훈련장치
110: 통신부
120: 운동과제 평가부
130: 인지과제 평가부
140: 이중과제 평가부
150: 제어부
1000: dual task training system
10: exercise input unit
20: display
30: speaker
40: DB
100: dual task training device
110: communication department
120: exercise task evaluation unit
130: cognitive task evaluation unit
140: Dual task evaluation unit
150: control unit

Claims (12)

사용자의 운동 능력 및 인지 능력을 평가하는 이중 과제 훈련 장치로서,
운동 과제를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조작되는 운동 입력부를 통해 상기 운동 과제에 따른 사용자의 운동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운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운동 능력을 분석하도록 구성된 운동과제 평가부;
질문으로 구성된 인지 과제를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상기 인지 과제에 따른 사용자의 응답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인지 능력을 분석하도록 구성된 인지과제 평가부;
상기 운동 과제 및 상기 인지 과제가 사용자에게 동시에 주어지는 이중 과제시, 상기 운동과제 평가부 및 상기 인지과제 평가부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운동 과제 및 상기 인지 과제의 수행 능력에 대한 트레이드 오프(trade off) 관계를 평가하도록 구성된 이중과제 평가부를 포함하는 이중 과제 훈련 장치.
A dual task training device for evaluating motor and cognitive abilities of a user, comprising:
an exercise task evaluation unit configured to present an exercise task to the user, and to analyze the exercise ability of the user based on the exercise data when the user's exercise data according to the exercise task is input through the exercise input unit operated by the user;
a cognitive task evaluation unit configured to present a cognitive task composed of a question to the user, and to analyze the user's cognitive ability based on the user's response according to the cognitive task;
When the exercise task and the cognitive task are given to the user at the same time as a dual task,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exercise task evaluation unit and the cognitive task evaluation unit, a trade-off between the exercise task and the cognitive task performance ability ) a dual-task training device comprising a dual-task evaluator configur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입력부는 사용자가 조작가능한 핸들과, 상기 핸들과 연결되어 상기 핸들을 평면 상의 임의의 지점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연결 구조체를 포함하는 상지 운동 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과제 훈련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exercise input unit is an upper extremity exercise device including a handle that a user can operate and a connecting structure connected to the handle to move the handle to any point on a plan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과제 평가부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운동 과제를 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는 상기 운동 입력부의 핸들의 현재 위치, 타겟 위치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로가 표시되어, 사용자는 운동 과제로서 상기 핸들을 현재 위치에서 주어진 경로를 따라 타겟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과제 훈련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exercise task evaluation unit presents an exercise task to the user through a display,
Dual task train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current position, target position, and at least one or more paths of the handle of the exercise input unit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and the user moves the handle from the current position to the target position along a given path as an exercise task. Device.
제3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핸들을 상기 타겟 위치로 이동시키면, 새로운 타겟 위치가 생성되며, 이는 미리 정해진 지정 시간동안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과제 훈련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When the user moves the handle to the target position, a new target position is created, which is repe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로는 수직 방향의 제1 경로, 수평 방향의 제2 경로, 및 대각선 방향의 제3 경로가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의 구조를 갖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과제 훈련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At least one path displayed on the display is a dual task trai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path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econd pa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third path in the diagonal direction are arranged to have a radial structure from the center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로의 폭을 조절함으로써 운동 과제의 난이도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과제 훈련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Dual task trai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difficulty of the exercise task by adjusting the width of at least one path displayed on the display.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로가 특정 방향으로 굴곡이 가해지거나 또는 특정 방향으로 경사지게 변형됨으로써 운동 과제의 난이도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과제 훈련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Dual task trai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fficulty of the exercise task can be adjusted by bending at least one path displayed on the display in a specific direction or being inclined in a specific direction.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과제 평가부는, 상기 지정 시간 동안 핸들이 실제로 이동한 실제 이동좌표를 기록하고, 상기 핸들이 실제로 이동한 실제 이동 좌표에 기초로 하여, 경로의 폭 범위 내 이동 좌표값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참값과 오차값을 추출하며,
상기 지정 시간 동안의 상기 참값와 오차값을 합산한 값으로부터 응답수를 산출하고, 상기 참값을 응답수로 나눈값으로 정확도를 산출하며, 상기 운동 과제로 제시된 경로 상의 좌표간 거리의 총합으로부터 이동거리를 산출하고, 또한, 상기 이동거리를 상기 지정 시간으로 나눈 값으로부터 운동 속도를 산출하여, 사용자의 운동 능력에 대한 속도-정확도 분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과제 훈련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exercise task evaluation unit records the actual movement coordinates that the handle actually moves for the specified time, and based on the actual movement coordinates the handle actually moves, a true value according to whether there is a movement coordinate value within the width range of the path and the error values are extracted,
The number of responses is calculated from the sum of the true value and the error value for the specified time, the accuracy is calculated by dividing the true value by the number of responses, and the movement distance from the sum of the distances between the coordinates on the path presented as the exercise task , and also, by calculating an exercise speed from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moving distance by the specified time, a speed-accuracy analysis of the user's exercise ability is performe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과제 평가부는 문제를 제시한 후, 일정 시간 내에 제시된 문제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이 있는 경우, 응답시간을 기록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사용자의 응답이 없는 경우는, 해당 문제를 오답 처리하고 다음 문제를 제시하며, 이는 미리 정해진 지정 시간동안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과제 훈련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fter presenting the problem, the cognitive task evaluation unit records the response time if there is a user's response to the presented problem within a certain time, and if there is no user's response until the predetermined time elapses, the problem is answered incorrectly A dual task trai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cessed and presented the next problem, which is repe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period.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과제 평가부는 상기 지정 시간동안 제시된 문제들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이 정답인 경우, 정답수를 1만큼 카운트하며, 오답인 경우는 오답수를 1만큼 카운트하고,
상기 지정 시간 동안의 상기 정답수와 오답수를 합산한 값으로부터 응답수를 산출하고, 상기 정답수를 상기 응답수로 나눈 값으로 정확도를 산출하며, 상기 지정 시간 동안의 응답수로부터 응답 속도와 상기 지정 시간 동안의 정답수로부터 정답속도를 산출하여, 사용자의 인지 능력에 대한 속도-정확도 분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과제 훈련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cognitive task evaluation unit counts the number of correct answers by 1 if the user's response to the questions presented for the specified time is correct, and counts the number of incorrect answers by 1 if it is an incorrect answer,
The number of responses is calculated from the sum of the number of correct answers and the number of incorrect answers during the specified time, and the accuracy is calculated by dividing the number of correct answers by the number of responses, and the response speed and the A dual task trai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speed-accuracy analysis of the user's cognitive ability is performed by calculating the correct answer speed from the number of correct answers for a specified time.
제1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모드 선택을 통해 인지 과제 또는 운동 과제의 단일 과제를 훈련하고 평가하는 방식으로 동작하거나, 또는 상기 인지 과제와 상기 운동 과제가 동시에 주어지는 이중 과제를 훈련하고 평가하는 방식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과제 훈련 장치.
According to claim 1,
Operating in a manner that trains and evaluates a single task of a cognitive task or a motor task through the user's mode selection, or operates in a manner that trains and evaluates a dual task in which the cognitive task and the motor task are given simultaneously Dual task training device.
사용자의 운동 능력 및 인지 능력을 평가하는 이중 과제 훈련 시스템으로서,
운동 과제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운동 과제가 수행되는 운동 기구로 구성된 운동 입력부;
인지 과제가 출력되는 스피커;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운동 과제를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상기 운동 입력부를 통해 상기 운동 과제에 따른 사용자의 운동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운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운동 능력을 분석하도록 구성된 운동과제 평가부, 상기 스피커를 통해 질문으로 구성된 인지 과제를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상기 인지 과제에 따른 사용자의 응답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인지 능력을 분석하도록 구성된 인지과제 평가부, 및 상기 운동 과제 및 상기 인지 과제가 사용자에게 동시에 주어지는 이중 과제시, 상기 운동과제 평가부 및 상기 인지과제 평가부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운동 과제 및 상기 인지 과제의 수행 능력에 대한 트레이드 오프(trade off) 관계를 평가하도록 구성된 이중과제 평가부를 포함하는 이중 과제 훈련 장치를 포함하는 이중 과제 훈련 시스템.

A dual task training system for evaluating a user's motor and cognitive abilities, comprising:
a display on which an exercise task is output;
an exercise input unit configured to allow the user to perform the exercise task;
a speaker to which a cognitive task is output; and
An exercise task evaluation unit configured to present an exercise task to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and to analyze the exercise ability of the user based on the exercise data when the exercise data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exercise task is input through the exercise input unit; A cognitive task evaluation unit configured to present a cognitive task consisting of a question to the user through a speaker, and to analyze the user's cognitive ability based on the user's response to the cognitive task, and the exercise task and the cognitive task to the user at the same time A dual task evaluation unit configured to evaluate a trade-off relationship with respect to the performance of the motor task and the cognitive task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motor task evaluation unit and the cognitive task evaluation unit when a given double task is given A dual task training system comprising a dual task training device.

KR1020190179396A 2019-12-31 2019-12-31 System and apparatus for evaluation of speed-accuracy-tradeoff and training motor-cognitive dual-task KR1024829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9396A KR102482933B1 (en) 2019-12-31 2019-12-31 System and apparatus for evaluation of speed-accuracy-tradeoff and training motor-cognitive dual-tas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9396A KR102482933B1 (en) 2019-12-31 2019-12-31 System and apparatus for evaluation of speed-accuracy-tradeoff and training motor-cognitive dual-tas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6881A true KR20210086881A (en) 2021-07-09
KR102482933B1 KR102482933B1 (en) 2023-01-03

Family

ID=76865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9396A KR102482933B1 (en) 2019-12-31 2019-12-31 System and apparatus for evaluation of speed-accuracy-tradeoff and training motor-cognitive dual-tas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293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68765A1 (en) * 2021-10-19 2023-04-27 (주)엘앤에이치랩스 Cognicise content provision device
WO2023074829A1 (en) * 2021-10-29 2023-05-04 国立大学法人大阪大学 Cognitive function assessment system and training method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4596A (en) * 2004-02-05 2007-05-29 모토리카 리미티드 Methods and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and training related applications
KR100805274B1 (en) 2007-01-16 2008-02-20 성신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using games, recording medium thereof and apparatus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using games
KR101667281B1 (en) 2014-06-13 2016-10-19 (주) 미디어인터랙티브 Apparatus and method for training recognition ability,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in which the method is recorded
JP6407405B2 (en) * 2015-03-16 2018-10-17 国立大学法人大阪大学 Dual task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and dual task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JP2018171523A (en) * 2014-07-03 2018-11-08 帝人ファーマ株式会社 Rehabilitation support device and control program for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4596A (en) * 2004-02-05 2007-05-29 모토리카 리미티드 Methods and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and training related applications
KR100805274B1 (en) 2007-01-16 2008-02-20 성신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using games, recording medium thereof and apparatus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using games
KR101667281B1 (en) 2014-06-13 2016-10-19 (주) 미디어인터랙티브 Apparatus and method for training recognition ability,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in which the method is recorded
JP2018171523A (en) * 2014-07-03 2018-11-08 帝人ファーマ株式会社 Rehabilitation support device and control program for the same
JP6407405B2 (en) * 2015-03-16 2018-10-17 国立大学法人大阪大学 Dual task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and dual task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68765A1 (en) * 2021-10-19 2023-04-27 (주)엘앤에이치랩스 Cognicise content provision device
WO2023074829A1 (en) * 2021-10-29 2023-05-04 国立大学法人大阪大学 Cognitive function assessment system and train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2933B1 (en) 2023-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44824A1 (en) Systems and methods to assess cognitive function
JP6666938B2 (en) Enhanced cognition in the presence of attentional diversion and / or obstruction
US7926943B1 (en) Peripheral vision training and/or testing during central vision fixation
Brand et al. Affective evaluations of exercising: the role of automatic–reflective evaluation discrepancy
US10390696B2 (en) Dynamic computer images for improving visual perception
KR101332593B1 (en) Norm-based Cognitive Measuring and Evaluation System
KR102482933B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evaluation of speed-accuracy-tradeoff and training motor-cognitive dual-task
Howard et al. A meta-analysis and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mixed reality rehabilitation programs: Investigating design characteristics of augmented reality and augmented virtuality
Towlson et al. The effect of bio-banding on technical and tactical indicators of talent identification in academy soccer players
Czyż et al. Especial skill effect across age and performance level: the nature and degree of generalization
Cavalcanti et al. Usability and effects of text, image and audio feedback on exercise correction during augmented reality based motor rehabilitation
Thompson et al. “Is it a slow day or a go day?”: The perceptions and applications of velocity-based training within elite strength and conditioning
US20220160227A1 (en) Autism treatment assistant system, autism treatment assistant device, and program
JP2019033907A (en) Server system, and method and program executed by server system
Ward et al. Protocols for the investigation of information processing in human assessment of fundamental movement skills
US20230360548A1 (en) Assist system, assist method, and assist program
Huang et al. Body in motion, attention in focus: A virtual reality study on teachers' movement patterns and noticing
WO2015118556A1 (en) Fully automated dermatoglyphics based multiple intelligence testing process leading to create an emotional social network and better online security and productivity application based integrated life management system
KR100833168B1 (en) Method of education using internet in accordance with developmental stage of learning
KR102359061B1 (en) cognitive rehabilitation system based on judgment of user’s attention
Amat et al. Design of a Desktop Virtual Reality-based Collaborative Activities Simulator (ViRCAS) to support teamwork in workplace settings for autistic adults
KR20240042990A (en) Customized learn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US20230210364A1 (en) Eye tracking system, eye tracking method, and eye tracking program
Gieser et al. Using Humanoid Robot to Instruct and Evaluate Performance of a Physical Task
Suchomel Current Issue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in Sport Science: A Roundtable Discus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