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2593B1 - Norm-based Cognitive Measuring and Evaluation System - Google Patents
Norm-based Cognitive Measuring and Evaluation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32593B1 KR101332593B1 KR1020110025438A KR20110025438A KR101332593B1 KR 101332593 B1 KR101332593 B1 KR 101332593B1 KR 1020110025438 A KR1020110025438 A KR 1020110025438A KR 20110025438 A KR20110025438 A KR 20110025438A KR 101332593 B1 KR101332593 B1 KR 10133259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gnitive
- cognitive ability
- user
- task
- measur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76—Diagnosing or monitoring particular conditions of the nervous system
- A61B5/4088—Diagnosing of monitoring cognitive diseases, e.g. Alzheimer, prion diseases or dementi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Biophys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규준 기반의 컴퓨터화된 인지능력 측정 및 평가 시스템 및 방벙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지능력 측정 및 평가 시스템은 검사 준비부와, 인지능력 측정부와, 인지능력 평가부와, 데이터베이스 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시스템은 규준 데이터를 제공하여 인지능력 측정 및 평가의 결과로 피검사자의 인지능력 수준을 판정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 표준화 모듈을 포함하는 검사 준비부를 이용하여 인지능력 측정시 환경의 영향을 없애 보다 더 정확하게 인지능력을 측정 및 평가할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rm-based computerized cognitive ability measurement and evaluation system and method. The cognitive ability measurement and evalu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st preparation unit, a cognitive ability measuring unit, a cognitive ability evaluation unit, and a database management unit. The system provides the normative data to determine the subject's cognitive ability level as a result of cognitive ability measurement and evaluation, and more accurately by eliminating the influence of the environment when measuring cognitive ability using the test preparation unit including the interface standardization module. Ensure cognitive abilities are measured and evaluat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인지능력 측정 및 평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규준 기반의 컴퓨터화된 인지능력 측정 도구 및 평가 도구를 이용하여 피검사자의 인지능력 수준을 정상 또는 비정상으로 판정하고 환경의 영향을 없앤 측정 결과를 제시하는 인지능력 측정 및 평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measuring and evaluating cognitive abilities, and in particular, to determine whether a subject's cognitive ability level is normal or abnormal by using a computer-based cognitive ability measuring tool and evaluation tool based on criteria, and to determine a measurement result that does not affect the environment. It relates to the cognitive ability measurement and evaluation system presented.
인지능력은 인간의 지적 능력의 핵심을 이루며 주로 추론, 기억, 판단, 지각, 주의 등으로 이루어진다. 인지능력은 뇌졸중 및 외상성 뇌손상 환자에서 문제되거나, 40-50 대의 장년층에서 문제가 된다. 이렇게 인지장애는 기억력, 지각력, 문제해결능력 등에 이상을 초래하므로, 재활치료 등의 중요성이 매우 크다.Cognitive ability is the core of human intellectual ability and consists mainly of reasoning, memory, judgment, perception, and attention. Cognitive ability is a problem in stroke and traumatic brain injury patients, or in older people in their 40s and 50s. Since cognitive impairment causes abnormalities in memory, perception, problem solving ability, etc., the importance of rehabilitation therapy is very important.
기존의 인지능력 측정 도구(예: SNSB, CERAD-K)의 경우 규준데이터를 제공하여 도구를 이용한 인지 측정 및 평가가 가능하지만, 1) 자필 기반으로 측정이 수행되어 컴퓨터화된 도구에서만 가능한 반응 속도와 같은 인지능력 측정이 불가능하며, 2) 반드시 전문가가 측정 및 평가를 수행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Conventional cognitive measuring tools (eg SNSB, CERAD-K) provide normative data for cognitive measurement and evaluation using the tool, but 1) response speeds that are available only in computerized tools because measurements are performed on a handwritten basis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it is impossible to measure cognitive ability such as
또한, 기존의 컴퓨터화된 인지능력 측정 도구는 규준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지 않아서 정확한 평가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즉, 이 방법은 미리 정의된 점수 혹은 기존에 도구를 사용한 피검사자들의 평균 점수와 비교를 통해서 새로운 피검사자들의 인지능력을 평가한다. 하지만, 이 방법은 인지능력에 영향을 준다고 알려진 성별, 나이, 학력 수준이 고려되지 않은 샘플 데이터와의 비교이므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없게 된다.In addition, the existing computerized cognitive ability measuring tools do not provide a normative database, which makes it difficult to accurately evaluate the data. In other words, this method evaluates the cognitive abilities of new subjects by comparing them with predefined scores or average scores of subjects using existing tools. However, this method is not reliable because it compares with sample data that does not take into account gender, age, and education levels known to affect cognitive abilities.
더욱이, 기존의 컴퓨터화된 인지능력 훈련 도구는 인지능력 훈련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 피검사자들에게 문제가 있는 인지 능력을 측정하고 평가하는 단계 이후에 진행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이다.Moreover, existing computerized cognitive training tools are focused on cognitive training and are limited to those that proceed after the steps of measuring and evaluating cognitive abilities that are problematic for the subject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규준 데이터를 제공하여 인지능력 측정 및 평가의 결과로 피검사자의 인지능력 수준을 정상 또는 비정상으로 판정할 수 있으며, 인지능력 측정 시 환경의 영향을 없앤 측정 결과를 제시하는 컴퓨터화된 인지능력 측정 및 평가 시스템을 제시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level of cognitive ability of the subject as normal or abnormal as a result of cognitive ability measurement and evaluation by providing the normative data, eliminating the influence of the environment when measuring cognitive ability We present a computerized cognitive ability measurement and evaluation system that presents measurement results.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지능력 측정 및 평가 시스템은 규준 데이터를 제공하여 인지능력 측정 및 평가의 결과로 피 검사자의 인지능력 수준을 정상 또는 비정상으로 판정할 수 있으며, 인지능력 측정시 환경의 영향을 없앤 측정 결과를 제시하기 위하여 인지능력 측정 시 서로 다른 환경(화면 크기, 소리의 강약, 입력 도구의 차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결과값의 차이를 제거하기 위해 인터페이스를 표준화하며, 피검사자에게 적응 단계를 거치도록 하며, 컴퓨터화된 측정 도구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인지능력을 측정 및 평가한다.To this end, the cognitive ability measurement and evalu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normative data to determine whether the subject's cognitive ability level is normal or abnormal as a result of the cognitive ability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order to present the measurement result without the influence of the environment, the interface is standardized to remove the difference in the result value that may occur in different environments (screen size, sound intensity, and input tool difference) when measuring cognitive ability. Adaptation steps are taken and cognitive abilities are effectively measured and evaluated using computerized measurement tools.
본 발명에 따른 인지능력 측정 및 평가 시스템은 컴퓨터화된 측정 도구 및 규준데이터를 이용하여 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고 피검사자의 인지능력 수준을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게 한다. The cognitive ability measurement and evalu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accurately determine the cognitive ability level of the examinee without being influenced by the environment by using computerized measurement tools and normative data.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지능력 측정 및 평가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지능력 측정 및 평가 시스템을 이용한 인지능력 측정 및 평가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gnitive ability measurement and evalu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gnitive ability measurement and evaluation method using a cognitive ability measurement and evalu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도면 및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에 따른 인지능력 측정 및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지능력 측정 및 평가 방법의 가능한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위 내용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only possible embodiments of the cognitive ability measurement and evaluation system and the cognitive ability measurement and evaluation method using the sam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본 발명에 따른 규준기반 인지능력 측정 및 평가 시스템은 피검사자가 스스로 인지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전산화된 검사를 수행하면, 그 결과를 시스템상에서 규준(인지능력에 문제가 없는 정상 피검사자들의 측정 결과)와 비교하여 피검사자의 인지능력 수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In the criterion-based cognitive ability measuring and evalu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ubject performs a computerized test for measuring his / her cognitive ability, the result is compared with the norm (measurement results of normal subjects having no cognitive problems) on the system. It is configured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subject's level of cognition.
구체적으로 시스템은 (1) 피검사자들의 인지능력을 짧은 시간 동안 7개 인지 영역별로 나누어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2) 피검사자의 전반적인 인지능력 수준에 대한 정보를 피검사자에게 제공하며, (3) 피검사자의 인지능력이 정상치를 벗어난 경우 인지능력 훈련 프로그램을 수행하도록 하거나, 의료기관에 방문하여 인지상태(치매나 MCI 여부)에 관한 전문가의 진단을 받을 수 있도록 인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pecifically, the system comprehensively evaluates (1) subjects' cognitive abilities by dividing them into seven cognitive domains for a short time, (2) provides the subjects with information on the overall cognitive level of the subjects, and (3) examines the subject's cognitive abilities. It is aimed at conducting a cognitive skills training program if the capacity is out of normal or for visiting a medical institution for the diagnosis of an expert on cognitive status (dementia or MCI).
본 시스템은 규준 기반의 컴퓨터화된 인지능력 측정 도구 및 평가 도구로 구성되어 있다. 앞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과 대비하여 본 시스템은 다름과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로 규준 데이터를 제공하므로, 인지능력 측정 및 평가의 결과로 피 검사자의 인지능력 수준을 정상 또는 비정상으로 판정할 수 있다. 둘째로, 환경의 영향을 없앤 측정 결과를 제시한다. 즉, 인지능력 측정 시 서로 다른 환경(화면 크기, 소리의 강약, 입력 도구의 차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결과값의 차이를 제거하기 위해 인터페이스를 표준화하며, 피검사자에게 측정환경 적응 단계를 거치게 함으로써 환경의 영향을 없애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컴퓨터화된 환경을 이용하여 기존에 사용되지 않던 새로운 인지능력 측정 및 평가 시스템을 제공한다.
The system consists of criteria-based computerized cognitive literacy measurement tools and evaluation tools. In contrast to the prior art mentioned above, the system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Firstly, by providing the normative data,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examinee's cognitive level is normal or abnormal as a result of cognitive ability measurement and evaluation. Second, we present the measurement results that eliminated the environmental impact. In other words, the interface is standardized to remove the difference in the result value that can occur in different environments (screen size, sound intensity, input tool difference) when measuring the cognitive ability, and the examinee undergoes the adaptation of the measurement environment. Try to eliminate the impact. Finally, it uses a computerized environment to provide a new cognitive measuring and evaluation system that has not been used previously.
먼저, 다음 표 1을 참조하며 규준 데이터베이스에 대하여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First, referring to Table 1 below, the normative database will be described first.
규준 데이터베이스는 본 시스템에서 인지능력을 측정한 피검사자의 검사 결과를 해석하기 위한 지표로 사용되며, 다음과 같은 순서로 만들어진다.The normative database is used as an index for interpreting the test results of the subjects who measured the cognitive ability in this system, and is made in the following order.
먼저, 인지능력 측정 및 평가 시스템의 대상이 되는 연령대를 나이, 학력 및 성별에 따라 구간으로 나눈다. 상기 표 1에서는 5년 단위로 나누었다.First, the age groups that are the subjects of the cognitive ability measurement and evaluation system are divided into sections according to age, education, and gender. In Table 1, it is divided into 5 year units.
다음, 각 구간(cell) 별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규준 및 분산(혹은 표준편차)을 구할 수 있는 숫자의 인원을 할당하고, 각 구간의 특성(나이, 성별, 학력)에 맞는 대상들 중 건강선별설문을 실시하고 인지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진 정신과나 신경과적인 질환을 앓은 병력이 없는 사람들만을 선별한다.Next, assign a number of people to obtain statistically significant norms and variances (or standard deviations) for each cell, and select a health screening questionnaire among the subjects that fit the characteristics (age, gender, and educational background) of each cell. Only those with no history of psychiatric or neurological disorders found to affect cognitive function should be selected.
선별된 각 구간별 피검사자들을 대상으로, 본 시스템의 인지측정 도구를 수행하여 그 결과값을 얻고, 각 결과값의 평균과 분산(혹은 표준편차) 값을 규준 데이터베이스에 적용한다. For the selected subjects in each section, the cognitive measurement tool of this system is performed to obtain the results, and the mean and variance (or standard deviation) of each result are applied to the normative database.
본 시스템에 포함되는 후술할 “계산하기” 검사를 예로 들면, “평균적인 인지능력을 지진 65-70세/12년 학력의 남자는 계산하기 12문제 중 평균 8문제를 맞추어야 하고, 문제 당 평균 반응 시간은 7.5±1.7초여야 한다” 와 같은 수치를 얻어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규준이 완성된다면 이 시스템을 사용하는 상기 그룹의 피검사자를 대상으로, 정오답 여부 및 반응 시간을 위 규준과 비교하여 계산 능력 장애 여부를 시스템이 판단할 수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상술한다.
For example, the “Calculate” tes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included in the system. For example, “Average Cognitive Ability Men aged 65-70 years / 12 years of education must fit an average of 8 out of 12 questions and average response per problem. The time should be 7.5 ± 1.7 seconds ”. Therefore, if such a criterion is completed, the system can determine whether the computational ability is impaired by comparing the noon answer and the response time with the above criterion for the test subjects of the group using the system.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system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지능력 측정 및 평가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gnitive ability measurement and evalu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지능력 측정 및 평가 시스템은 검사 준비부(10)와, 인지능력 측정부(20)와, 인지능력 평가부(30)와, 데이터베이스 관리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the cognitive ability measurement and evalu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검사 준비부(10)는 실제 인지능력 측정 검사 도구 실행 전, 시스템 환경을 구성하는 역할을 하며, 인터페이스 표준화 모듈(12)과, 측정환경 적용 모듈(14)과, 피검사자 정보 관리 모듈(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인터페이스 표준화 모듈(12)은 피검사자가 사용하는 하드웨어를 감지하여, 모니터를 통한 시각 자극 및 스피커를 통한 청각 자극의 크기가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표준화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측정환경 적응 모듈(14)는 피검사자에게 시청각 자극에 적응하고, 클릭 연습을 통해 입력 환경에 적응하도록 도와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measurement
피검사자 정보 관리 모듈(16)은 피검사자의 나이, 성별, 학력 등에 관련된 개인 정보를 입력 받고, 이를 피검사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examinee
인지능력 측정부(20)는 실제로 피검사자가 인지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실행하는 도구로 구성된다. 즉, 인지 측정 도구 모듈(22)을 포함하여, 100원 클릭하기(24), 단어 위치 기억(26), 동그라미 클릭하기(28) 등의 인지 측정 방법을 실행시킨다.Cognitive
인지능력 평가부(30)는 측정 도구를 통해 얻어진 피검사자의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피검사자의 각 인지 영역별 능력을 평가하며, 종합 점수를 산출하여 피검사자의 전체적인 인지능력을 평가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검사 결과 스코어링(scoring) 모듈(32)과, 인지 영역별 결과 해석 모듈(34)과, 종합 점수 모듈(3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ognitive
검사 결과 스코어링 모듈(32)는 각 검사도구마다 다른 형태의 결과값(예: 반응 속도, 반응 횟수, 정오답 여부 등)을 정리하는 역할을 한다. 정리된 결과는 피검사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The test
인지영역별 결과 해설 모듈(34)는 피검사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각의 측정도구 수행 결과를 규준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고 결과를 해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각 도구마다 정오답률, 반응속도 평균값 등을 비교해야 하는 대상이 다르고, 규준 데이터베이스와 비교 시 해석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이 모듈에서 이러한 역할을 따로 수행하게 된다 이 모듈에서 얻어진 결과값은 피검사자가 직접 보고 이해할 수 있는 수준까지 정리되어 최종적으로 피검사자엑 전달되며, 피검사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The
종합 점수 모듈(36)는 인지 영역별 결과 해석 모듈(34)에서 얻어진 각각의 측정도구 결과 해석 값을 이용하여, 종합적인 인지능력 점수를 산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종합 점수는 각 영역별 결과와 함께 피검사자에게 제공되며, 피검사자가 최종적으로 스스로의 인지 능력에 문제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근거가 된다.The
데이터베이스 관리부(40)는 피검사자의 인적 사항과 관련된 피검사자의 측정도구 실행 결과, 영역별 인지 능력 평가 결과를 저장하는 피검사자 데이터베이스(42), 각 도구의 인지능력 평가 근거가 되는 규준 데이터베이스(40)로 구성된다. The
이와 같은 구성의 인지능력 측정 및 평가 시스템을 이용한 인지능력 측정 및 평가 방법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다.
A cognitive ability measurement and evaluation method using the cognitive ability measurement and evaluation system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지능력 측정 및 평가 시스템을 이용한 인지능력 측정 및 평가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gnitive ability measurement and evaluation method using a cognitive ability measurement and evalu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시스템을 이용하여 최초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인터페이스 표준화 단계가 수행된다(100). 즉, 사용자의 화면 해상도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피검사자에게서 화면 크기 등 시스템의 간단한 정보를 입력 받아, 사용자에게 적합한 시청각 자극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First, when the first program is executed using the system, the interface standardization step is performed (100). That is, the screen resolution of the user is automatically recognized and simple information of the system such as the screen size is input from the examinee, so that an audiovisual stimulus suitable for the user can be provided.
다음으로, 측정환경 적응 연습 수행 단계가 제공된다(120). 이 단계에서는 피검사자가 시스템에 구현된 컴퓨터 입력 장치에 익숙하지 못한 경우를 대비하여, 시청각 자극 적응 연습 및 마우스 클릭과 같은 인터페이스 적응 연습을 수행하도록 한다. Next, a measurement environment adaptation practice performing step is provided (120). In this step, the examinee should perform interface adaptation exercises such as audiovisual stimulation adaptation exercises and mouse clicks in case the subject is unfamiliar with the computer input device implemented in the system.
다음으로, 피검사자의 나이, 학력, 성별과 같은 정보를 등록하는 피검사자 정보 등록 단계가 수행된다(140)Next, an examinee information registration step of registering information such as age, education, and gender of the examinee is performed (140).
이렇게 피검사자 정보가 등록되면, 각 인지영역별 인지측정도구가 수행된다.(160). 모든 측정 도구는 수행 전에 애니메이션과 소리를 통한 설명을 제공하고, 피검사자는 도구에 익숙해질 때까지 1회 이상 설명을 듣고 측정을 시작하게 된다. 만일, 피검사자가 지시를 충분히 이해하지 못한 경우 스스로 지시를 반복하여 들을 수 있다. When the subject information is registered as described above, a cognitive measuring tool for each cognitive area is performed (160). All measurement tools provide animations and sound descriptions before performing, and the examinee will listen to the description one or more times and begin measuring until they are familiar with the tool. If the examinee does not fully understand the instructions, the instructions can be heard repeatedly.
본 시스템이 채택하는 각 인지영역별 인지측정도구를 각각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following describes the cognitive measuring tools for each cognitive area adopted by this system.
정신운동속도 측정Psychomotor speed measurement
피검사자의 클릭 능력에 따른 차이를 배제하기 위한 검사로서, 30초간 마우스를 빨리 클릭하여 클릭한 횟수를 측정하는 “빨리 클릭하기” 과제를 첫 번째로 수행할 수 있다. As a test to exclude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examinee's click ability, the "fast click" task of measuring the number of clicks by quickly clicking the mouse for 30 seconds can be performed first.
두 번째 검사로는, 자극이 한 가지이고, 그에 대한 반응도 한 가지인 “100원 클릭하기” 과제를 사용하여 단순반응속도를 측정한다. 피검사자는 화면의 중앙에 제시된 응시점에 시선을 집중하고 있다가 자극(100원짜리 동전 그림)이 나타나면 즉시 클릭해야 한다. 2초, 3초 또는 4초 동안 십자 모양의 응시 점이 랜덤하게 제시되고, 음시 점이 사라지면 즉시 목표 자극인 100원짜리 동전이 제시된다. 피검사자는 언제 자극이 나타나는지 알 수 없으므로 반응을 할 준비를 한 상태에서 계속해서 응시점에 시선을 고정하고 있어야 한다. 검사 전반부 7회는 자극이 응시 점과 동일한 화면의 중앙에서 제시되지만, 후반부 7회는 자극이 시각장 사분 면의 다양한 위치에서 제시되도록 할 수 있다. In the second test, a simple response rate is measured using the “100-click” task, which has one stimulus and one response. The examinee should focus on his gaze at the center of the screen and immediately click when a stimulus (picture of 100 won coin) appears. For 2, 3, or 4 seconds, a cross-shaped gaze is presented randomly, and when the gaze disappears, a
다음으로 정신운동속도와 집행능력(전두엽기능)을 함께 측정하는 검사이며, 정보처리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억제적 통제기능을 평가하기 위한 go/no~go 과제인 “500원 클릭하기” 과제를 수행한다. 피검사자는 화면의 중앙에 제시된 응시점에 시선을 고정하고 있다가 바로 앞의 과제(100원 클릭하기)에서는 반응을 해야 했던 자극인 100원짜리 동전이 나타나면 클릭하지 않고, 새로운 자극인 500원짜리 동전이 나타날 때에만 빨리 클릭해야 한다.
Next is a test that measures both mental exercise speed and executive capacity (frontal lobe function), and performs a “500 won click” task, a go / no ~ go task to evaluate the inhibitory control function that affects information processing speed. do. The examinee fixed his gaze at the gaze presented at the center of the screen, but did not click when a 100 won coin, which was a stimulus that had to react in the previous task (clicked 100 won), did not click. Should only be clicked quickly when appears.
기억력 측정Memory measurement
언어적 기억력과 시각적 기억력을 함께 평가하는 “단어위치기억 1” 과제를 수행한다. 9개의 단어를 한 번에 한 단어씩 3×3 칸으로 구성된 9 개의 칸에 제시하고, 단어와 그 단어가 제시된 위치를 함께 피검사자가 기억하도록 한다. 이후, 제시단어와 비 제시단어(foil)을 한 단어씩 제시하고 각 단어가 기존에 제시되었는지의 여부와 그 위치에 대해 답하도록 한다. 단어위치기억 검사의 특이점은 과제를 수행한 후, 10분의 시간이 소요된 이후에 지연회상능력을 평가(단어위치기억 2)함으로써 피검사자의 장기 기억력을 측정한다는 점이다.
Perform the “Word Location Memory 1” task of evaluating verbal and visual memory. Present nine words in nine columns of 3x3 columns, one word at a time, and have the examinee remember the words and their locations. After that, the presenting word and the non-presenting word (foil) are presented one word at a time, and each word is answered whether or not it is present and its position. The peculiarity of the word position memory test is that the long-term memory of the subject is measured by evaluating the delayed recall ability (word position memory 2) after 10 minutes.
주의력 측정Attention measurement
첫 번째로, 선택적 주의력과 지속적인 주의력을 동시에 측정하기 위해 피검사자의 시선이 고정되어 있고, 자극이 움직이는 과제인 “동그라미 클릭하기” 과제를 수행한다. 피검사자는 다양한 도형들이 일렬로 화면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움직이는 것을 주목하고 있다가 동그라미가 화면의 중앙의 화살표 사이를 통과할 때 즉시 클릭해야 한다. 즉, 비 목표 자극들 사이에서 목표 자극을 찾고, 자극이 순차적으로 목표 지점을 향해 움직일 때 목표 자극에 대해서 선택적으로 주의를 계속 유지하고 반응하여야 한다.First, in order to measure selective attention and continuous attention at the same time, the subject's gaze is fixed and the stimulus is moved. The examinee notices the various shapes moving in a line from left to right on the screen and must click immediately when the circle passes between the arrows in the center of the screen. That is, the target stimulus must be found among the non-target stimuli, and the attention must be selectively maintained and responded to the target stimulus as the stimulus sequentially moves toward the target point.
두 번째로는, 선택적 주의력과 지속적인 주의력 및 억제적 통제 기능을 측정하기 위해 움직이는 자극을 따라서 피검사자가 시선을 움직여야 하는 과제인 “변하면 클릭하기” 과제를 수행한다. 피검사자는 이전 검사(동그라미 클릭하기)에서 주의를 기울였던 동그라미가 불규칙적인 궤적으로 화면상에서 움직이는 것을 계속 눈으로 추적하고 있다가 동그라미가 도넛 모양(속이 빈 동그라미)으로 변화하는 순간에 빨리 클릭해야 한다. 단, 반드시 도넛 모양으로 바뀔 때에만 클릭을 해야 하고 그 반대 모양(속이 차고 가장자리가 빈 동그라미)으로 바뀌면 클릭하지 말아야 한다.
Second, they perform the “click to change” task, which requires the subject to move their eyes along the moving stimulus to measure selective and sustained attention and suppressive control. The examinee must keep track of the eye moving on the screen in an irregular trajectory that was noticed in the previous test (clicking the circle) and then click quickly as soon as the circle changes to a donut shape (a hollow circle). You should only click when it turns into a donut, and not when it turns into the opposite shape (a hollow, hollow edge).
언어능력 측정Language Proficiency Measurement
컬러로 된 그림자극과 함께 목표글자와 방해글자로 구성된 7개 글자 열을 제시하고 이 7개 글자 중에서 그림의 이름에 해당하는 글자를 찾아서 차례로 클릭함으로써 답을 입력하도록 하는 “그림이름 찾기” 검사를 수행한다. 각 문항은 두 음절 또는 세 음절로 이루어진 단어로 구성될 수 있고, 생물과 무생물을 모두 포함하였으나, 외래어는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클릭을 잘 못 했을 경우나 답을 바꾸고 싶은 경우에는 정답 창의 하단에 위치한 수정 버튼을 클릭하여 수정할 수 있고, 그림 이름에 해당되는 글자를 모두 클릭한 후 “수정” 버튼 옆에 위치한 “다음” 버튼을 클릭하면 다음 문항으로 넘어가게 된다. 각 문항은 15초의 제한시간이 있으며 제한시간이 지나면 “다음”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자동으로 다음 문항으로 넘어가게 된다.
Presents a 7-character string consisting of the target letter and the disturbing letter with colored shadow play, finds the letter corresponding to the name of the picture, and clicks it in order to enter an answer. To perform. Each question may consist of two syllables or three syllables, and may include both living and nonliving things, but may not include foreign words. If you've clicked incorrectly or want to change your answer, you can edit it by clicking the Edit button at the bottom of the correct answer window. After clicking all the letters in the picture name, click the “Next” button next to the “Edit” button. Click to go to the next question. Each question has a 15-second timeout period, and after that time, you will automatically move on to the next question without pressing the “Next” button.
계산능력 측정Computing power measurement
계산능력은 기본적인 사칙연산의 수식으로 구성된 기본 계산과 일상생활과 관련된 이야기 형태로 제시되는 논리적 계산으로 평가한다. 첫 번째로 “계산하기”는 각 사칙연상(+, -, ×, ÷)에서 올림이나 내림의 연산과정이 포함되지 않는 한 자릿수 문제(예: 7+2)와 두 자릿수 문제(예: 23+14), 그리고 올림이나 내림의 연산과정을 필요로 하는 두 자릿수 문제(예: 15+38)로 구성될 수 있다. 총 12문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문제의 제한시간은 15초로 할 수 있으며, 제한시간이 넘어가면 자동으로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할 수 있다. Computational ability is evaluated by basic calculation composed of formulas of basic arithmetic operations and logical calculation presented in the form of stories related to daily life. First, “calculate” refers to digit problems (e.g. 7 + 2) and two-digit problems (e.g. 23+), unless each arithmetic association (+,-, ×, ÷) involves rounding up or down. 14) and a two-digit problem (e.g. 15 + 38) that requires rounding up or down. It can be composed of a total of 12 questions, each time limit can be 15 seconds, and when the time limit is exceeded, it can automatically move to the next problem.
두 번째로, “돈 계산하기”는 일상생활에서 흔하게 접할 수 있는 상황(예, 자동판매기에서 물건 구입)을 설정하고 이야기 속의 물건의 수와 물건의 가격을 포함하여 문제를 제시한다. 문제는 사칙연산 중에서 한 가지만(예, 곱셈)을 사용하여 풀 수 있는 문제와, 두 가지 이상(예, 곱셈과 덧셈)이 필요한 혼합 셈 문제로 구성될 수 있다. 총 4가지의 상황(10개의 문제)가 제시될 수 있으며, 각 문제의 제한 시간은 25초일 수 있다.
Second, "Calculate money" sets out common situations in everyday life (eg, buying things from vending machines) and presents the problem, including the number of things in the story and the price of the goods. Problems can consist of problems that can be solved using only one of the four arithmetic operations (e.g., multiplication) and mixed-sum problems that require two or more (e.g., multiplication and addition). A total of four situations (10 problems) can be presented, and each problem can have a 25 second timeout.
시공간능력 측정Spatio-temporal capacity measurement
첫 번째로, 복측경로는 평가하기 위한 “같은지 판단하기” 과제를 수행한다. 피검사자는 두 개의 자극을 비교하여 색깔이나 크기에 관계없이 그 모양이 일치하는지에 관한 판단을 하계 된다.First, the ventral pathway performs a “determine equality” task to assess. The examinee compares the two stimuli and makes a judgment about whether the shape matches, regardless of color or size.
두 번째로, 배측경로를 평가하기 위해서 2차원 정신 회전 과제인 “다른 그림 찾기” 과제를 수행한다. 피검사자는 제시된 4개의 도형 중 평면적으로 회전된 다른 3개의 도형과는 달리 좌우대칭인 상태로 회전된 1개의 도형을 찾아내어 응답해야 한다.Secondly, to evaluate the dorsal route, we perform the “find another picture” task, a two-dimensional mental rotation task. The examinee must find and respond to one figure rotated in a symmetrical state unlike the other three figures rotated in a plane among the four figures presented.
세 번째로, 복측과 배측경로를 동시에 평가하는 “연속선 따라가기” 과제를 수행한다. 피검사자는 두 개의 빨간 공과 하나의 파란 공이 다양한 곡선 위에 놓여진 그림을 보고, 두 개의 빨간 공이 같은 선상에 있는지를 판단하여 응답하여야 한다.
Third, perform the “Follow Line” task to evaluate the ventral and ventral paths simultaneously. The examinee sees a picture of two red balls and one blue ball on various curves, and responds by judging whether the two red balls are on the same line.
집행 능력 측정Execution ability measurement
관련 자극에 대해서는 주의를 증진시키고, 비 관련 자극에 대해서는 주의를 억제하는 집행적 통제기능을 평가하기 위해서 “카드 고르기” 과제를 실시한다. 카드 고르기 과제는 다음과 같은 3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첫 단계에서는 각각 숫자가 쓰여져 있는 파란색 카드를 2장씩 제시하고 그 중에서 숫자의 개수에 상관없이 큰 숫자가 쓰여져 있는 카드를 클릭하도록 한다.Implement a “choose card” task to evaluate executive control functions that promote attention for relevant stimuli and suppress attention for unrelated stimuli. The card selection task consists of three steps: In the first step, present two blue cards each with a number, and click on the card with the larger number regardless of the number.
두 번째 단계에서는 각각 숫자가 쓰여져 있는 빨간색 카드를 2장씩 제시하고 파란색 카드 단계와는 달리 그 중에서 숫자의 크기에는 상관 없이 더 많은 수의 숫자가 쓰여져 있는 카드를 클릭하도록 한다. In the second step, present two red cards each with a number, and unlike the blue card step, click on the card with the larger number,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number.
마지막으로 세 번째 단계에서는 앞의 두 과제에서 보았던 숫자가 쓰여져 있는 파란색 카드 쌍과 빨간색 카드 쌍을 뒤섞어서 제시하고 피검사자가 카드 색깔에 따라서 규칙을 기억하여 그에 맞는 카드를 선택하도록 한다.
Finally, in the third step, present a mixture of blue and red card pairs with the numbers from the previous two tasks, and ask the examinee to remember the rules according to the color of the card and select the correct card.
이와 같은 모든 검사가 끝나면 피검사자에게 영역별 점수, 종합 점수가 제시되는 단계가 수행된다(180). 이때, 검사 결과는 전문가의 해석이 필요하지 않는 형태로, 종합적인 점수 및 각 7 가지 영역에 대한 점수로 표현되며, 규준과 비교하여 인지능력의 높낮이 정도가 표시된다. After all of these tests, the step of presenting the scores for each area and the comprehensive score to the examinee is performed (180). In this case, the test results are expressed in a comprehensive score and scores for each of seven areas in a form that does not require an expert's interpretation, and the level of cognitive ability is displayed in comparison with the norm.
이 결과를 토대로 피검사자는 추후 자신이 인지능력 훈련이 필요한지의 여부와 훈련이 필요한 인지영역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Based on this result, the examinee can obtain information on whether he / she needs cognitive training and what cognitive area needs training.
상기 검사는 피검사자의 과제 숙지 정도나 반응 시간에 따라 검사 소요시간이 달라질 수 있지만, 과제 설명 듣기 시간을 포함하여 최고 30분을 넘지 않도록 설계될 수 있다.Although the test time may vary depending on the degree of acquaintance or reaction time of the subject, the test may be designed not to exceed 30 minutes including the task description listening time.
10 : 검사 준비부 20: 인지능력 측정부
30 : 인지능력 평가부 40 :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0: test preparation unit 20: cognitive ability measurement unit
30: cognitive ability evaluation unit 40: database management unit
Claims (9)
상기 사용자의 인지능력을 인지영역별로 측정하기 위한 수행과제로 이루어지는 전산화된 인지능력 측정부;
인지능력 측정 영역 및 수행과제에 대해 측정대상의 성별, 학력별, 그리고 나이별로 표준화된 인지능력 측정 결과를 저장하는 규준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규준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통계분석을 통한 인지장애 측정 기준인 규준을 생성하고, 상기 규준을 바탕으로 상기 인지능력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사용자의 인지능력을 평가하고 검사결과표를 출력하는 인지능력 평가부를 포함하되,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에 의해 표준화된 자극과 입력방식에 적응할 수 있도록 인지능력 측정에 관련된 적응훈련 자극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측정환경 적응 모듈; 및
상기 제공된 자극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 모듈을 더 포함하는 규준 기반 인지능력 측정 및 평가 시스템.
An interface module for detecting hardware used by a user and standardizing a stimulus and an input method to be provided to the user;
A computerized cognitive ability measuring unit comprising a task for measuring the cognitive ability of the user for each cognitive area;
A normative database for storing cognitive ability measurement results standardized by gender, education level, and age of the subject for cognitive ability measurement area and task; And
A cognitive ability evaluation unit for generating a criterion that is a measure of cognitive disability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based on the normative database, evaluating the cognitive ability of the user measured by the cognitive ability measuring unit based on the norm and outputting a test result table Including,
A measurement environment adaptation module for providing the user with an adaptive training stimulus related to cognitive ability measurement so as to adapt to a stimulus and an input method standardized by the interface module; And
And an input module for receiving a user input signal for the provided stimulus.
상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 및 인지능력 측정 결과를 저장하는 피검사자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규준 기반 인지능력 측정 및 평가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nd a test subject database for storing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and cognitive ability measurement results.
상기 인지능력 측정부는,
정신운동속도 측정을 위한 빨리 클릭하기 과제와, 주의력 측정을 위한 특정 그림 클릭하기 과제와, 기억력 측정을 위한 특정 단어 위치 기억하기 과제 및 특정 그림 이름 찾기 과제와, 계산력 측정을 위한 계산하기 과제와, 시공간능력 측정을 위한 그림 같은지 판단하기 과제, 다른 그림 찾기 과제, 연속선 따라가기 과제와, 집행력 측정을 위한 카드 고르기 과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인지영역별 인지능력 측정을 위한 수행과제를 채택하는 규준 기반 인지능력 측정 및 평가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The cognitive ability measuring unit,
The quick-click task to measure psychomotor speed, the task of clicking a specific picture to measure attention, the task of remembering specific word positions to measure memory, the task of finding a specific picture name, the task of calculating to measure computation, Adopt a task for measuring cognitive abilities by cognitive domain that includes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tasks: determining whether the picture is the same for measuring spatiotemporal ability, finding another picture, following the continuous line, and selecting a card for measuring executive power. Norm-based Cognitive Measurement and Assessment System.
상기 인지능력 평가부는,
각 인지영역별로 상기 사용자의 인지능력을 점수화하는 스코어링 모듈;
상기 스코어링 모듈에서 점수화된 결과와 상기 규준화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인지 능력 결과를 해석하는 인지 영역별 결과 해석 모듈; 및
상기 인지 영역별 결과 해석 모듈에서 해석된 결과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종합적인 인지능력 점수를 산출하는 종합 점수 출력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준 기반 인지능력 측정 및 평가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The cognitive ability evaluation unit,
A scoring module that scores the cognitive ability of the user for each cognitive region;
A result analysis module for each cognitive region that compares the score scored by the scoring module with data stored in the normalized database and interprets a result of the cognitive ability of the user; And
A criterion-based cognitive ability measurement and evaluation system comprising a comprehensive score output module for calculating a comprehensive cognitive ability score of the user based on the results analyzed in the result analysis module for each cognitive region.
상기 감지된 하드웨어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자극과 입력 방식을 표준화시키는 단계;
상기 표준화된 자극과 입력방식에 적응할 수 있도록 인지능력 측정에 관련된 적응훈련 자극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표준화된 자극과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의 인지능력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상기 사용자의 인지능력을 미리 마련된 규준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규준 기반 인지능력 측정 및 평가 방법.
Detecting hardware used by a user;
Standardizing a stimulus and input scheme to be provided to a user based on the sensed hardware;
Providing the user with an adaptive training stimulus related to the cognitive ability measurement to adapt the standardized stimulus and the input method;
Measuring the cognitive ability of the user by providing the user with the standardized stimulus and input interface; And
And evaluating the measured cognitive ability of the user based on a prepared normative database.
상기 규준 데이터베이스는 인지능력 측정 영역별로 성별, 학력별, 나이별 표준 인지능력 측정 결과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준 기반 인지능력 측정 및 평가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normative database stores the results of standard cognitive ability measurement based on gender, education, and age for each cognitive ability measurement area.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개인 정보를 피검사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준 기반 인지능력 측정 및 평가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nd storing the persona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in an examinee database.
상기 인지능력 측정 단계는,
정신운동속도 측정을 위한 빨리 클릭하기 과제와, 주의력 측정을 위한 특정 그림 클릭하기 과제와, 기억력 측정을 위한 특정 단어 위치 기억하기 과제 및 특정 그림 이름 찾기 과제와, 계산력 측정을 위한 계산하기 과제와, 시공간능력 측정을 위한 그림 같은지 판단하기 과제, 다른 그림 찾기 과제, 연속선 따라가기 과제와, 집행력 측정을 위한 카드 고르기 과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인지영역별 인지능력 측정을 위한 수행과제를 채택하는 규준 기반 인지능력 측정 및 평가 방법.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gnitive ability measuring step,
The quick-click task to measure psychomotor speed, the task of clicking a specific picture to measure attention, the task of remembering specific word positions to measure memory, the task of finding a specific picture name, the task of calculating to measure computation, Adopt a task for measuring cognitive abilities by cognitive domain that includes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tasks: determining whether the picture is the same for measuring spatiotemporal ability, finding another picture, following the continuous line, and selecting a card for measuring executive power. A method of measuring and evaluating norm-based cognitive abilitie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25438A KR101332593B1 (en) | 2011-03-22 | 2011-03-22 | Norm-based Cognitive Measuring and Evaluation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25438A KR101332593B1 (en) | 2011-03-22 | 2011-03-22 | Norm-based Cognitive Measuring and Evaluation Syste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07736A KR20120107736A (en) | 2012-10-04 |
KR101332593B1 true KR101332593B1 (en) | 2013-11-25 |
Family
ID=47279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25438A KR101332593B1 (en) | 2011-03-22 | 2011-03-22 | Norm-based Cognitive Measuring and Evaluation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32593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47563B1 (en) * | 2013-04-05 | 2014-10-08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Evaluation system of cognitive ability based on physical object and method thereof |
WO2014181982A1 (en) * | 2013-05-09 | 2014-11-13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Memory power testing system and method |
KR20170019815A (en) * | 2015-08-12 | 2017-02-22 | (의료)길의료재단 | Method for display of UI/UX for senior citizens based on their physical and cognitive characteristics |
KR101634619B1 (en) * | 2016-03-14 | 2016-06-29 | 주식회사 그린메디넷 | Dementia cognition evaluating device and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
KR102166010B1 (en) * | 2018-07-09 | 2020-10-15 | 주식회사 두브레인 |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cognitive impairment using face recognization |
KR102375580B1 (en) * | 2019-10-17 | 2022-03-17 | 주식회사 카이언스 | smart clothing type system for self-determination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prevention training |
KR102606336B1 (en) * | 2022-05-02 | 2023-11-29 | 주식회사 이모코그 | Test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cognitive function decline |
CN116746930B (en) * | 2023-08-21 | 2023-11-03 | 杭州汇听科技有限公司 | Deep learning-based old people cognitive function assessment and early warning method and system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17950A (en) * | 1999-12-30 | 2000-04-06 | 이영란 | Multi-modal system for testing, assessing and retraining the damage of a brain |
KR20020058145A (en) * | 2000-12-29 | 2002-07-12 | 신성웅 | Medical examination and treatment system based on a internet |
JP2005508211A (en) * | 2001-08-10 | 2005-03-31 | コッグステイト リミテッド | Cognitive test system and method |
JP2010273969A (en) * | 2009-05-29 | 2010-12-09 | Susumu Shintani | Cognitive ability determining method, and device thereof |
-
2011
- 2011-03-22 KR KR1020110025438A patent/KR101332593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17950A (en) * | 1999-12-30 | 2000-04-06 | 이영란 | Multi-modal system for testing, assessing and retraining the damage of a brain |
KR20020058145A (en) * | 2000-12-29 | 2002-07-12 | 신성웅 | Medical examination and treatment system based on a internet |
JP2005508211A (en) * | 2001-08-10 | 2005-03-31 | コッグステイト リミテッド | Cognitive test system and method |
JP2010273969A (en) * | 2009-05-29 | 2010-12-09 | Susumu Shintani | Cognitive ability determining method, and device thereof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07736A (en) | 2012-10-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32593B1 (en) | Norm-based Cognitive Measuring and Evaluation System | |
US7347818B2 (en) | Standardized medical cognitive assessment tool | |
CN103561651B (en) | Systems and methods to assess cognitive function | |
KR101834003B1 (en) | Cognitive learning and estimation system | |
KR102477327B1 (en) | Processor-implemented systems and methods for measuring cognitive ability | |
Montenegro et al. | Cognitive evaluation for the diagnosis of Alzheimer's disease based on turing test and virtual environments | |
JP2024045380A (en) | Enhancing cognition in presence of distraction and/or interruption | |
de Brito Brandao et al. | Functional impact of constraint therapy and bimanual training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
US20050216243A1 (en) | Computer-simulated virtual reality environments for evaluation of neurobehavioral performance | |
CN108065942B (en) | Method for compiling stimulation information aiming at oriental personality characteristics | |
Veilleux et al. | Differentiating amongst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problems of professional competence: Perceptions of graduate student peers. | |
US20080312513A1 (en) | Neurosurgical Candidate Selection Tool | |
Cooke et al. | Development of a standardized occupational therapy screening tool for visual perception in adults | |
Ellison et al. | Determining eye–hand coordination using the sport vision trainer: An evaluation of test–retest reliability | |
Sridhar et al. | Going beyond performance scores: Understanding cognitive–affective states in Kindergarteners and application of framework in classrooms | |
RU2529482C2 (en) | Method for assessing information perception | |
Crocetta et al. | Concurren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lternative computer game for the coincidence-anticipation timing task | |
Lach et al. | Rehabilitation of cognitive functions of the elderly with the use of depth sensors-the preliminary results | |
Pratviel et al. | Avatar embodiment in VR: Are there individual susceptibilities to visuo-tactile or cardio-visual stimulations? | |
Cinaz et al. |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wearable reaction time tests | |
Butkevičiūtė et al. | Cognitive Checkup and Mental Training Platform for Elite Athletes. | |
Tomon et al. | Effects of team climate on substance use behaviors,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student-athletes at a large, public university | |
Bain et al. | Projective assessment of adults and children in South Africa | |
Ramezanzade | Adding acoustical to visual movement patterns to retest whether imitation is goal-or pattern-directed | |
Harvey et al. | Assessment as it relates to functional goal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