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6336B1 - Test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cognitive function decline - Google Patents

Test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cognitive function decl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6336B1
KR102606336B1 KR1020220094657A KR20220094657A KR102606336B1 KR 102606336 B1 KR102606336 B1 KR 102606336B1 KR 1020220094657 A KR1020220094657 A KR 1020220094657A KR 20220094657 A KR20220094657 A KR 20220094657A KR 102606336 B1 KR102606336 B1 KR 102606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inspection
score
word
pre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46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154726A (en
Inventor
노유헌
김혜린
김주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모코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모코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모코그
Priority to US18/142,160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30346297A1/en
Priority to EP23170949.4A priority patent/EP4272642A1/en
Priority to JP2023076363A priority patent/JP2023165415A/en
Priority to CN202310486236.XA priority patent/CN116982929A/en
Publication of KR20230154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4726A/en
Priority to KR1020230162514A priority patent/KR202301633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6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63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76Diagnosing or monitoring particular conditions of the nervous system
    • A61B5/4088Diagnosing of monitoring cognitive diseases, e.g. Alzheimer, prion diseases or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03Speech analysis specially adapted for diagnostic purpos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08Elder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syc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Neurosurger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nd Detecting Electric Faul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방법은, 사용자를 대상으로 복수개의 검사항목 각각에 대하여 제시한 미션을 얼마만큼 수행하는지 검사하고, 복수개의 검사항목 각각에 대한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검사단계와, 복수개의 검사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검사항목을 복수개의 신경 인지 카테고리 중 어느 한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하는 카테고리 분류단계와,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된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점수를 기반으로 하여 신경 인지 카테고리에 인지기능 저하가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평가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st method and device for evaluating cognitive decline.
A test method for evaluating cognitive dec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sts the user to see how much he/she performs the presented mission for each of a plurality of test items, and calculates the test scor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test items. A test step for calculating, a category classification step for classifying at least one test item among a plurality of test items into one neurocognitive category among a plurality of neurocognitive categories, and a test score for the test item classified into the neurocognitive category. Based on this, an evaluation step may be included to evaluate whether there is cognitive decline in the neurocognitive category.

Figure 112022079742287-pat00001
Figure 112022079742287-pat00001

Description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방법 및 장치{TEST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COGNITIVE FUNCTION DECLINE}Test method and device for evaluating cognitive decline {TEST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COGNITIVE FUNCTION DECLINE}

본 발명은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st method and device for evaluating cognitive decline.

고령화 사회가 지속됨에 따라 치매 환자가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치매에 대한 치료약이 없는 상태이다. 따라서, 치매에 대한 가장 혁신적인 대안은 치매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은 경도인지장애를 조기에 발견하여 예방적인 치료를 하는 것이다. 경도인지장애는 치매 전단계의 고위험군 상태를 가리킨다.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약 10~15%가 치매로 보고되고 있다.As the aging society continues, the number of dementia patients is rapidly increasing. However, there is no cure for dementia. Therefore, the most innovative alternative to dementia is early detection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which is likely to develop into dementia, and provide preventive treatment. Mild cognitive impairment refers to a high-risk condition in the pre-dementia stage. Approximately 10-15% of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re reported to have dementia.

다만, 경도인지장애는 정형화된 진단 방법이 없고, 의사가 환자를 대면으로 진료하고 환자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살펴 판단하고 있다. 종래의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는 검사는 기억력을 평가하는 검사 위주로 구성되어 있어, 기억력 저하가 특징인 알츠하이머병 치매를 평가함에 있어서는 유효한 검사이지만, 기억력 이외의 다른 인지기능 저하가 특징인 다른 치매를 평가함에 있어서는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re is no standardized diagnosis method for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doctors treat patients face-to-face and make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patient's condition. Conventional tests to evaluate cognitive decline are mainly composed of tests to evaluate memory, so they are effective tests for evaluating Alzheimer's disease dementia, which is characterized by memory decline, but they are also effective for evaluating other dementias, which are characterized by cognitive decline other than memory. There is a problem in that accuracy is low.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The above-mentioned background technology is technical information that the inventor possessed for deriving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in the process of deriv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not necessarily be said to be known art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before filing the application for the present invention.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09529호(2018.10.08)Domestic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109529 (2018.10.08)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온라인으로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는 검사 시에 명시적이고 이해하기 쉬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ear and easy-to-understand user interface when performing an online test to evaluate cognitive decline.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온라인으로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는 검사 시에 사용자가 직접 개입하여 검사를 실행하고 검사자의 개입을 최소화하는데 있다.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user to directly intervene and perform the test when assessing cognitive decline online and to minimize the intervention of the examiner.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온라인으로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는 검사가 완료된 후에 검사 결과를 바로 확인하고, 저장된 과거 결과를 확인하여 추적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heck test results immediately after an online test to evaluate cognitive decline is completed and to enable tracking by checking stored past result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과제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are not mentioned can be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can be understood more clearly through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problems and advantage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patent claims.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방법은,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방법으로서, 사용자를 대상으로 복수개의 검사항목 각각에 대하여 제시한 미션을 얼마만큼 수행하는지 검사하고, 복수개의 검사항목 각각에 대한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검사단계와, 복수개의 검사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검사항목을 복수개의 신경 인지 카테고리 중 어느 한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하는 카테고리 분류단계와,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된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점수를 기반으로 하여 신경 인지 카테고리에 인지기능 저하가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평가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test method for evaluating cognitive dec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st method for evaluating cognitive decline performed by a processor of a testing device for evaluating cognitive decline, and is performed on multiple users. A test step of examining how much of the presented mission is performed for each test item and calculating a test scor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test items, and selecting at least one test item among the plurality of test items among the plurality of neurocognitive categories. It may include a category classification step to classify into one neurocognitive category, and an evaluation step to evaluate whether there is a decline in cognitive function in the neurocognitive category based on test scores for test items classified into the neurocognitive category.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장치는,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고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드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메모리는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가 사용자를 대상으로 복수개의 검사항목 각각에 대하여 제시한 미션을 얼마만큼 수행하는지 검사하고, 복수개의 검사항목 각각에 대한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복수개의 검사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검사항목을 복수개의 신경 인지 카테고리 중 어느 한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하는 카테고리 분류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된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점수를 기반으로 하여 신경 인지 카테고리에 인지기능 저하가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평가 프로세스를 실행하도록 야기하는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A testing device for evaluating cognitive dec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cessor and a memory operably connected to the processor and storing at least one code to be executed by the processor, and the memory is to be executed through the processor. At this time, the processor checks how much of the mission presented to the user is perform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inspection items, executes an inspection process that calculates the inspection scor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inspection items, and checks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inspection items. A category classification process is performed to classify one test item into one of a plurality of neurocognitive categories, and cognitive decline in the neurocognitive category is determined based on the test scores for the test items classified into the neurocognitive category. You can store code that causes an evaluation process to be run to evaluate whether something is present or not.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더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nother method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another system,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may be further provided.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in addition to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하면, 온라인으로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는 검사 시에 명시적이고 이해하기 쉬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고령의 사용자가 어려움 없이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는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lderly user can perform a test to evaluate cognitive decline without difficulty by providing an explicit and easy-to-understand user interface when performing an online test to evaluate cognitive decline.

또한, 온라인으로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는 검사 시에 사용자가 직접 개입하여 검사를 실행하고 검사자의 개입을 최소화함으로써 사용자에 대한 검사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performing an online test to evaluate cognitive decline, the user can directly intervene and perform the test, and the test accuracy for the user can be improved by minimizing the examiner's intervention.

또한, 온라인으로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는 검사가 완료된 후에 검사 결과를 바로 확인하고, 저장된 과거 결과를 확인하여 추적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환자에 대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진단 및 예방책을 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after the online test to evaluate cognitive decline is completed, the test results can be checked immediately and the saved past results can be checked and tracked, making it possible to provide a quick and accurate diagnosis and preventive measures to the patient.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실시 예에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환경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장치 중 검사 관리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 내지 도 15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를 실시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6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7 내지 도 20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Figure 1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testing environment for evaluating cognitive decline in this embodiment.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testing device for evaluating cognitive declin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IG.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est management unit of the test device for evaluating cognitive decline in FIG. 2.
4 to 15 are exemplary diagrams of screen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to conduct a test to evaluate cognitive declin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igure 16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testing device for evaluating cognitive decli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7 to 20 are flowcharts explaining a test method for evaluating cognitive declin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아래에서 제시되는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래에 제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onvers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embodiments presented below are provided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o ful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he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또한, 본 출원서에서, "부"는 프로세서 또는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hardware component), 및/또는 프로세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구성(software component)일 수 있다.Additionally, in this application, a “part” may be a hardware component, such as a processor or circuit, and/or a software component executed by the hardware component, such as a processor.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drawing numbers and duplicate descriptions thereof are omitted. I decided to do it.

도 1은 본 실시 예에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환경의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환경(1)은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장치(100, 이하 검사 장치라 표기함)와, 사용자 단말기(200) 및 네트워크(300)를 포함할 수 있다.Figure 1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testing environment for evaluating cognitive decline in this embodiment. Referring to FIG. 1, the testing environment 1 for evaluating cognitive decline includes a testing device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testing device) for evaluating cognitive decline, a user terminal 200, and a network 300. may include.

검사 장치(100)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복수개의 검사항목 각각에 대하여 제시한 미션을 얼마만큼 수행하는지 검사하고, 복수개의 검사항목 각각에 대한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검사 프로세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서 검사단계로 표현될 수 있다.The inspection device 100 may inspect the user to see how much of the presented mission is perform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inspection items and execute an inspection process that calculates an inspection scor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inspection items. In this embodiment, the inspection process may be expressed as an inspection step in the claims described later.

본 실시 예에서 검사 장치(100)는 제1 검사 프로세스 내지 제11 검사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inspection device 100 may execute inspection processes including the first through eleventh inspection processes.

제1 검사 프로세스는 제한시간(예를 들어, 30초) 내에 기설정된 제시 범주에 해당하는 단어의 발화 및 제한시간 내에 지시한 도안의 드로잉을 얼마만큼 수행하는지 평가하는 제1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1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검사항목은 유창성 검사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test process is a test of the first test item that evaluates how much the word corresponding to the preset presentation category is uttered within a time limit (for example, 30 seconds) and the drawing of the instructed design is performed within the time limit. It may include a process of executing and calculating a first inspection score. Here, the first test item may include a fluency test.

본 실시 예에서 제1 검사 프로세스는 제1-1 검사 프로세스 및 제1-2 검사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inspection process may include a 1-1 inspection process and a 1-2 inspection process.

제1-1 검사 프로세스는 제1 제한시간 내에 기설정된 제시 범주에 해당하는 단어의 발화를 얼마만큼 수행하는지 평가하는 제1-1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1-1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1 검사항목은 언어 유창성 검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부터 제1-1 검사 프로세스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언어 유창성 검사를 실행하고 제1-1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1-1 test process executes a test on the 1-1 test item to evaluate how many words corresponding to the preset presentation category are uttered within the first time limit and calculates the 1-1 test score. Can include processes. Here, test item 1-1 may include a language fluency test. From this, the 1-1 test process may include a process of executing a language fluency test on the user and calculating the 1-1 test score.

제1-2 검사 프로세스는 제2 제한시간 내에 지시한 도안의 드로잉을 얼마만큼 수행하는지 평가하는 제1-2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1-2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2 검사항목은 도안 유창성 검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부터 제1-2 검사 프로세스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도안 유창성 검사를 실행하고 제1-2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1-2 inspection process may include a process of executing inspection on the 1-2 inspection items to evaluate how much drawing of the instructed design is performed within the second time limit and calculating the 1-2 inspection score. there is. Here, the first-second test items may include a design fluency test. From this, the 1-2 inspection process may include a process of executing a design fluency test for the user and calculating the 1-2 inspection score.

본 실시 예에 따른 제1 검사 프로세스에 포함되는 유창성 검사 및 종래의 유창성 검사를 비교한 차이점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유창성 검사는 음성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발화하는 내용을 녹음하고, 실시간으로 텍스트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텍스트를 정답과 비교하여 검사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유창성 검사 중 도안 유창성 검사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한 화면 상에서 사용자가 스스로 도형을 드래그하여 연결한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The differences comparing the fluency test included in the first test proces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nd the conventional fluency test may be as follows. The fluency tes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an use voice recognition technology to record what the user says and convert it into text in real time. Additionally, the test score can be calculated by comparing the text with the correct answer. Among the fluency test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design fluency test can receive the results of the user dragging and connecting shapes on the screen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200.

제2 검사 프로세스는 제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한 후에 실행할 수 있다. 제2 검사 프로세스는 기설정된 범주 단서를 알려주면서 단어를 학습하고 학습한 단어를 기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20분)이 경과한 후에 얼마만큼 기억하는지 평가하는 제2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2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검사항목은 언어단서 기억 검사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inspection process may be executed after completion of execution of the first inspection process. The second test process learns words while providing preset category clues and performs a test on the second test item to evaluate how much of the learned words are remembered after a preset time (e.g., 20 minutes) has elapsed. and may include a process for calculating a second inspection score. Here, the second test item may include a verbal cue memory test.

본 실시 예에서 제2 검사 프로세스는 제2-1 검사 프로세스 및 제2-2 검사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inspection process may include a 2-1 inspection process and a 2-2 inspection process.

제2-1 검사 프로세스는 기설정된 범주 단서를 알려주면서 단어를 학습하는 능력이 얼마만큼 수행되는지 평가하는 제2-1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2-1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1 검사항목은 언어단서 기억 검사 중 학습 검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부터 제2-1 검사 프로세스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언어단서 기억 검사 중 학습 검사를 실행하고 제2-1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2-1 test process includes the process of executing a test on the 2-1 test items to evaluate the extent to which the ability to learn words is performed while providing preset category clues and calculating the 2-1 test score. can do. Here, the 2-1 test item may include a learning test among the verbal cue memory tests. From this, the 2-1 test process may include a process of executing a learning test among the language cue memory test for the user and calculating the 2-1 test score.

제2-2 검사 프로세스는 제2-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하고,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에 실행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이 완료된 시간부터 기설정된 시간까지 다른 검사 프로세스들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한 후, 제2-2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것이 아니라, 제2-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하고 제3 검사 프로세스 내지 제7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한 후 비로소 제2-2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The 2-2 inspection process may be executed after the execution of the 2-1 inspection process is completed and a preset time has elapsed. In this embodiment, other inspection processes may be executed from the time execution of the 2-1 inspection process is completed to a preset time. For example, after completing the execution of the 2-1 inspection process, rather than executing the 2-2 inspection process, complete the execution of the 2-1 inspection process and then run the 3rd to 7th inspection processes. Only after execution, the 2-2 inspection process can be executed.

제2-2 검사 프로세스는 제2-1 검사 프로세스에서 학습한 단어를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얼마만큼 기억하는지 평가하는 제2-2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2-2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2 검사항목은 언어단서 기억 검사 중 단서 회상 및 재인 검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부터 제2-2 검사 프로세스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언어단서 기억 검사 중 단서 회상 및 재인 검사를 실행하고 제2-2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2-2 test process runs a test on the 2-2 test item that evaluates how much of the words learned in the 2-1 test process is remembered after a preset time has elapsed, and calculates the 2-2 test score. It may include a calculation process. Here, the 2-2 test item may include cue recall and recognition tests among the verbal cue memory tests. From this, the 2-2 test process may include a process of executing a cue recall and recognition test among the verbal cue memory test for the user and calculating the 2-2 test score.

본 실시 예에 따른 제2 검사 프로세스에 포함되는 언어단서 기억 검사에서, 일회적 기억 및 장기 기억은 1) 등록 또는 부호화, 2) 저장 및 유지, 3)인출하는 과정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세 개의 과정에 대한 세부적이고 종합적인 평가를 토대로 하여, 일회적 기억의 손상 여부, 손상 정도 또는 특성 등을 포함하는 기억 평가가 실행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언어단서 기억 검사를 통하여, 기억 기능에 대하여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치매 유형을 평가하는데 진단적 가치를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기억 기능에 대하여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함은, 인출 실패 문제인지 또는 기억 책략의 문제 인지 여부 등을 파악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verbal cue memory test included in the second test proces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episodic memory and long-term memory can be formed through the processes of 1) registration or encoding, 2) storage and maintenance, and 3) retrieval. In addition, based on a detailed and comprehensive evaluation of the three processes described above, a memory evaluation can be performed including whether episodic memory is damaged, the degree or characteristics of the damage, etc. Through the verbal cue memory tes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emory function can be accurately identified and diagnostic value can be secured in evaluating the type of dementia. Here, being able to accurately understand memory function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it is a retrieval failure problem or a memory strategy problem.

본 실시 예에 따른 제2 검사 프로세스에 포함되는 언어단서 기억 검사 및 종래의 언어단서 기억 검사를 비교한 차이점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종래의 언어단서 기억 검사는 복수개의 단어를 불러주고 몇 개의 단어를 회상하는지 확인하는 검사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 예에 따른 언어단서 기억 검사는 단어가 속한 범주를 알려주는 단서를 제공 학습을 실시하고 자유 회상에서도 단어가 속한 범주를 알려주면서 질문할 수 있다.The differences comparing the verbal cue memory test included in the second test proces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nd the conventional verbal cue memory test may be as follows. The conventional verbal cue memory test can be said to be a test in which multiple words are called and it is checked how many words can be recalled. However, the verbal cue memory tes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provides learning by providing clues that indicate the category to which the word belongs, and even in free recall, questions can be asked while indicating the category to which the word belongs.

본 실시 예에 따른 제2 검사 프로세스에 포함되는 언어단서 기억 검사를 통하여 정상군과 경도인지장애, 정상군과 알츠하이머병 치매를 평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언어단서 기억 검사는 삽화 기억과 관련이 있는 뇌의 부위인 해마상 융기(parahippocampus)의 회백질 부피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언어단서 기억 검사는 짧은 시간에 정확하게 언어 기억력을 평가할 수 있다.The normal group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the normal group and Alzheimer's disease dementia can be evaluated through the verbal cue memory test included in the second test proces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verbal cue memory tes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show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gray matter volume of the parahippocampus, a brain region related to episodic memory. Therefore, the verbal cue memory tes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an accurately evaluate verbal memory in a short time.

제3 검사 프로세스는 제2-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한 후에 실행할 수 있다. 제3 검사 프로세스는 기설정된 제시 이미지를 학습하고 학습한 제시 이미지를 기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20분)이 경과한 후에 얼마만큼 기억하는지 평가하는 제3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3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검사항목은 시각 도식 기억 검사를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inspection process can be executed after completing execution of the 2-1 inspection process. The third test process runs a test on the third test item that learns a preset presentation image and evaluates how much the learned presentation image is remembered after a preset time (e.g. 20 minutes) has passed. A process for calculating scores may be included. Here, the third test item may include a visual schema memory test.

본 실시 예에서 제3 검사 프로세스는 제3-1 검사 프로세스 및 제3-2 검사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third inspection process may include a 3-1 inspection process and a 3-2 inspection process.

제3-1 검사 프로세스는 기설정된 제1 제시 이미지를 도시하고, 제1 제시 이미지 내부의 색상 개수를 파악하는 과정을 통해 시지각 자극을 입력하는 제3-1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3-1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3-1 검사항목은 시각도식 기억 검사 중 학습 검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부터 제3-1 검사 프로세스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시각도식 기억 검사 중 학습 검사를 실행하고 제3-1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3-1 test process shows a preset first presented image, executes a test on the 3-1 test item that inputs the visual perception stimulus through the process of identifying the number of colors inside the first presented image, and 3-1 May include a process for calculating inspection scores. Here, the 3-1 test item may include a learning test among the visual schema memory tests. From this, the 3-1 test process may include a process of executing a learning test among the visual schema memory test for the user and calculating the 3-1 test score.

제3-2 검사 프로세스는 제3-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하고,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에 실행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3-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이 완료된 시간부터 기설정된 시간까지 다른 검사 프로세스들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한 후, 제3-2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것이 아니라, 제3-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하고 제4 검사 프로세스 내지 제7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제2-2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한 후 비로소 제3-2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The 3-2 inspection process may be executed after the execution of the 3-1 inspection process is completed and a preset time has elapsed. In this embodiment, other inspection processes may be executed from the time execution of the 3-1 inspection process is completed to a preset time. For example, after completing the execution of the 3-1 inspection process, rather than executing the 3-2 inspection process, complete the execution of the 3-1 inspection process and then run the 4th to 7th inspection processes. Only after executing and executing the 2-2 inspection process can the 3-2 inspection process be executed.

본 실시 예에서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순서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먼저 제1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다음에 제2-1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그 다음에 제3-1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그 다음에 제4 검사 프로세스 내지 제7 검사 프로세스를 순차적으로 실행하고, 그 다음에 제2-2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그 다음에 제3-2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그 다음에 제8 검사 프로세스 내지 제11 검사 프로세스를 순차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execution order of the inspection process may be as follows. First, execute the first inspection process, then execute the 2-1 inspection process, then execute the 3-1 inspection process, and then sequentially execute the 4th to 7th inspection processes. And then the 2-2 test process can be executed, then the 3-2 test process can be executed, and then the 8th to 11th test processes can be sequentially executed.

본 실시 예에서 제2-2 검사 프로세스 및 제3-2 검사 프로세스가 반드시 제7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한 후에 실행하는 것으로 개시하고 있으나, 이에 국한하지 않는다. 즉, 제2-2 검사 프로세스 및 제3-2 검사 프로세스는 제4 프로세스 내지 제11 프로세스 중 어느 하나의 실행을 완료한 수에 실행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2-2 inspection process and the 3-2 inspection process are initiated as being executed after the execution of the 7th inspection process is completed, but the process is not limited to this. That is, the 2-2 inspection process and the 3-2 inspection process may be executed at the same time as the completion of execution of any one of the 4th to 11th processes.

제3-2 검사 프로세스는 제3-1 검사 프로세스에서 학습한 제시 이미지를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얼마만큼 기억하는지 평가하는 제3-2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3-2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3-2 검사항목은 시각도식 기억 검사 중 재인 검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부터 제3-2 검사 프로세스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시각도식 기억 검사 중 재인 검사를 실행하고 제3-2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3-2 test process executes a test on the 3-2 test item that evaluates how much of the presented image learned in the 3-1 test process is remembered after a preset time has elapsed, and the 3-2 test score is calculated. It may include a process for calculating . Here, the 3-2 test item may include a recognition test among the visual schema memory tests. From this, the 3-2 test process may include a process of executing a recognition test among the visual schema memory test for the user and calculating the 3-2 test score.

본 실시 예에 따른 제3 검사 프로세스에 포함되는 시각도식 기억 검사 및 종래의 시각도식 기억 검사를 비교한 차이점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시각도식 기억 검사는 언어화 할 수 없는 추상적인 이미지를 사용하여 의미 기억에 의한 간섭을 배제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는 색깔, 무늬, 중첩 정도에 변화를 주어 하나의 세트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시각도식 기억 검사 중 재인 검사를 실행할 때 학습한 이미지와 동일한 세트에 포함되어 있는 이미지를 간섭 이미지로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단서를 포함하고 있는 세트 내에서 임의로 이미지를 선택하여 제시함으로써 과거 검사 실행에 따라 익숙한 이미지를 선택하게 되는 학습의 효과를 배제할 수 있다.The differences between the visual schema memory test included in the third test proces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nd the conventional visual schema memory test may be as follows. The visual schema memory tes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uses abstract images that cannot be verbalized, so interference by semantic memory can be excluded. Additionally, images can be composed into a set by varying the color, pattern, and degree of overlap. Additionally, when performing a recognition test during a visual schema memory test, images included in the same set as the learned images can be presented as interference images. Additionally, by randomly selecting and presenting images from a set containing the same clues, the learning effect of selecting familiar images based on past test execution can be excluded.

제4 검사 프로세스는 제3-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한 후에 실행할 수 있다. 제4 검사 프로세스는 기설정된 제시 단어 및 기설정된 제시 단어의 색상을 정확하게 발화하는지 평가하는 제4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4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4 검사항목은 스트룹 검사를 포함할 수 있다.The fourth inspection process can be executed after completing execution of the 3-1 inspection process. The fourth test process may include a process of executing a test on a fourth test item to evaluate whether the preset suggested word and the color of the preset suggested word are correctly uttered and calculating a fourth test score. Here, the fourth test item may include the Stroop test.

본 실시 예에서 제4 검사 프로세스는 제4-1 검사 프로세스 및 제4-2 검사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ourth inspection process may include a 4-1 inspection process and a 4-2 inspection process.

제4-1 검사 프로세스는 기설정된 단어를 정확하게 발화하는지 평가하는 제4-1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4-1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4-1 검사항목은 제1 스트룹 검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부터 제4-1 프로세스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제1 스트룹 검사를 실행하고 제4-1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4-1 test process may include a process of executing a test on the 4-1 test item to evaluate whether a preset word is correctly uttered and calculating a 4-1 test score. Here, the 4-1 test item may include the first Stroop test. From this, the 4-1 process may include a process of executing the first Stroop test for the user and calculating the 4-1 test score.

제4-2 검사 프로세스는 기설정된 제시 단어의 색상을 정확하게 발화하는지 평가하는 제4-2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4-2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4-2 검사항목은 제2 스트룹 검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부터 제4-2 프로세스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제2 스트룹 검사를 실행하고 제4-2 검사 점수를 산출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4-2 test process may include a process of executing a test on the 4-2 test item to evaluate whether the color of the preset suggested word is correctly uttered and calculating a 4-2 test score. Here, the 4-2 test item may include the second Stroop test. From this, the 4-2 process may include a process of executing the second Stroop test on the user and calculating the 4-2 test score.

본 실시 예에 따른 제4 검사 프로세스에 포함되는 스트룹 검사 및 종래의 스트룹 검사를 비교한 차이점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종래의 스트룹 검사는 검사지로 감사를 수행하여 주어진 단어를 연속적으로 읽고, 정확하게 읽은 단어수를 카운트하여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본 실시 예에 따른 스트룹 검사는 색상의 이름이 쓰여진 단어와 동일한 단어를 선택하는 단어 읽기 과제와, 단어의 색상과 일치하는 단어를 선택하는 색상 읽기 과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스트룹 검사는 유의미한 검사 결과를 나타낼 수 있는 시간을 고려하여 수행 시간을 단축하고, 수행 시간 동안의 정반응 수를 평가할 수 있다.The differences comparing the Stroop test included in the fourth inspection proces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nd the conventional Stroop test may be as follows. The conventional Stroop test was a method of performing an audit using a test paper, reading given words consecutively, and calculating the test score by counting the number of words read correctly. However, the Stroop tes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word reading task in which a word is selected the same as a word in which the color name is written, and a color reading task in which a word matching the color of the word is selected. The Stroop tes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an shorten the performance time by considering the time for showing meaningful test results and evaluate the number of correct responses during the performance time.

제5 검사 프로세스는 제4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한 후에 실행할 수 있다. 제5 검사 프로세스는 기설정된 제시 선(line)과 유사한 각도를 갖는 선을 찾는지 평가하는 제5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5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5 검사항목은 선각도 지각 검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부터 제5 검사 프로세스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선각도 지각 검사를 실행하고 제5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fth inspection process can be executed after completing execution of the fourth inspection process. The fifth inspection process may include a process of executing a inspection on the fifth inspection item to evaluate whether a line having a similar angle to a preset presentation line is found and calculating a fifth inspection score. Here, the fifth test item may include a linear angle perception test. From this, the fifth inspection process may include a process of executing a linear angle perception test for the user and calculating a fifth inspection score.

본 실시 예에 따른 제5 검사 프로세스에 포함되는 선각도 지각 검사 및 종래의 선각도 지각 검사를 비교한 차이점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선각도 지각 검사는 한 쌍의 제시 선 및 미리 제시된 복수개의 선택 선을 비교하여 제시 선과 대응되는 선택 선을 찾아내는 검사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선각도 지각 검사는 한 쌍의 제시 선 및 복수개의 선택 선 사이의 각도(기울기) 차이를 줄여가면서 시공간 지각력의 저하 수준을 평가할 수 있다.The differences comparing the linear angle perception test included in the fifth inspection proces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nd the conventional linear angle perception test may be as follows. The line angle perception tes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be a test that compares a pair of presented lines and a plurality of previously presented selection lines to find a selection line corresponding to the presented line. The line angle perception tes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an evaluate the level of decline in spatiotemporal perception while reducing the angle (slope) difference between a pair of presented lines and a plurality of selected lines.

제6 검사 프로세스는 제5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한 후에 실행할 수 있다. 제6 검사 프로세스는 기설정된 제시 도형의 색상과 다른 색상의 도형을 찾는지 평가하는 제6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6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6 검사항목은 색상 지각 검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부터 제6 검사 프로세스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색상 지각 검사를 실행하고 제6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sixth inspection process can be executed after completing execution of the fifth inspection process. The sixth inspection process may include a process of executing an inspection on the sixth inspection item to evaluate whether a shape of a color different from the color of the preset presented shape is found and calculating a sixth inspection score. Here, the sixth test item may include a color perception test. From this, the sixth inspection process may include a process of executing a color perception inspection on the user and calculating a sixth inspection score.

본 실시 예에 따른 제6 검사 프로세스에 포함되는 색상 지각 검사 및 종래의 색상 지각 검사를 비교한 차이점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종래의 색상 지각 검사로서의 먼셀 100 휴 테스트(the Farnsworth Munsell 100 hue test)는 색상의 세 가지 속성인 색조, 채도 및 밝기를 기반으로 하여, 유사한 색상을 4개의 색상 영역으로 구분하여 나열되어 있다. 사용자는 양쪽 끝 색상을 기준으로 색상의 순서에 맞게 배열함으로써 색상의 차이를 구별하는지 확인한다. 반면에, 본 실시 예에 따른 색상 지각 검사는 파킨슨병 치매 환자가 청색 및 녹색의 구분에서 어려움을 보인다는 점을 고려하여, 녹색과 청색 계열의 색상계를 기준으로 색을 선별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색상 지각 검사는 종래 검사와 같이 전체 색상을 나열하는 방식이 아닌, 두 개의 색상을 뽑고, 색상의 차이가 적은 것은 난이도가 높게, 색상의 차이가 많은 것은 난이도를 낮게 구성할 수 있다.The differences comparing the color perception test included in the sixth test proces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nd the conventional color perception test may be as follows. The Farnsworth Munsell 100 hue test, a conventional color perception test, is based on the three properties of color: hue, saturation, and brightness, and lists similar colors into four color areas. The user checks whether the differences in colors are distinguishable by arranging the colors in order based on the colors at both ends. On the other hand, the color perception tes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an be configured by selecting colors based on the green and blue color system, considering that Parkinson's disease dementia patients have difficulty distinguishing between blue and green. . The color perception tes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not a method of listing all colors like a conventional test, but two colors can be selected, and those with a small color difference can be configured to have high difficulty and those with many color differences can have low difficulty. there is.

제7 검사 프로세스는 제6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한 후에 실행할 수 있다. 제7 검사 프로세스는 기설정된 제시 대상체들의 크기 및 무게를 내림차순으로 나열하는지 평가하는 제7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7 검사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7 검사항목은 크기 무게 검사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venth inspection process can be executed after completing execution of the sixth inspection process. The seventh test process may execute a test on the seventh test item to evaluate whether the sizes and weights of preset presented objects are listed in descending order and calculate the seventh test score. Here, the seventh inspection item may include size and weight inspection.

본 실시 예에서 제7 검사 프로세스는 제7-1 검사 프로세스 및 제7-2 검사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7th inspection process may include a 7-1 inspection process and a 7-2 inspection process.

제7-1 검사 프로세스는 기설정된 제시 대상체들의 크기를 내림차순으로 나열하는지 평가하는 제7-1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7-1 검사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7-1 검사항목은 크기 검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부터 제7-1 검사 프로세스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크기 검사를 실행하고 제7-1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7-1 inspection process may execute a check on the 7-1 inspection item to evaluate whether the sizes of the preset presented objects are arranged in descending order and calculate the 7-1 inspection score. Here, inspection item 7-1 may include size inspection. From this, the 7-1 inspection process may include a process of executing a size inspection for the user and calculating the 7-1 inspection score.

제7-2 검사 프로세스는 기설정된 제시 대상체들의 무게를 내림차순으로 나열하는지 평가하는 제7-2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7-2 검사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7-2 검사항목은 무게 검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부터 제7-2 검사 프로세스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무게 검사를 실행하고 제7-2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7-2 inspection process may execute a inspection on the 7-2 inspection item to evaluate whether the weights of the preset presented objects are listed in descending order and calculate the 7-2 inspection score. Here, inspection item 7-2 may include weight inspection. From this, the 7-2 inspection process may include a process of executing a weight inspection for the user and calculating the 7-2 inspection score.

본 실시 예에 따른 제7 검사 프로세스에 포함되는 크기 무게 검사 및 종래의 크기 무게 검사를 비교한 차이점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크기 무게 검사는 크기에 따른 대상체와 무게에 따른 대상체를 각각 복수개(예를 들어 5개)의 범주로 분류하고, 범주 간 수준별 묶음을 통해 난이도를 저/중/고로 구성할 수 있다. 무게의 차이 및 크기의 차이가 큰 범주 간의 조합은 난이도가 낮을 수 있다. 무게의 차이 및 크기의 차이가 작은 범주 감의 조합은 난이도가 높을 수 있다. 또한 초반에는 쉬운 문항으로 구성하고 후반에는 어려운 문항으로 구성할 수 있다. 대상체에 대한 이미지는 선으로 된 그림으로 대상체(예를 들어, 동물, 사물 등)의 특징이 잘 나타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한국의 고령자에게 익숙하지 않은 대상체는 배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differences comparing the size and weight inspection included in the seventh inspection proces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nd the conventional size and weight inspection may be as follows. The size and weight tes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lassifies objects according to size and objects according to weight into a plurality of categories (for example, 5), and the difficulty level can be configured as low/medium/high through grouping by level between categories. there is. Combinations between categories with large differences in weight and size may have low difficulty. Combination of categories with small differences in weight and size can be difficult. Also, you can consist of easy questions in the beginning and difficult questions in the second half. The image of the object is a line drawing and can be composed to clearly s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object (e.g., animals, objects, etc.). Additionally, it can be configured to exclude objects that are unfamiliar to Korean elderly people.

제8 검사 프로세스는 제3-2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한 후에 실행할 수 있다. 제8 검사 프로세스는 기설정된 얼굴 제시 이미지에 나타나는 감정의 세기를 알아차리는지 평가하는 제8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8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8 검사항목은 얼굴 감정 검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부터 제8 검사 프로세스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얼굴 감정 검사를 실행하고 제8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8th inspection process can be executed after completing the execution of the 3-2 inspection process. The eighth test process may include a process of executing a test on the eighth test item to evaluate whether the intensity of emotion appearing in a preset face presentation image is recognized and calculating an eighth test score. Here, the eighth test item may include a facial emotion test. From this, the eighth test process may include a process of executing a facial emotion test on the user and calculating the eighth test score.

본 실시 예에 따른 제8 검사 프로세스에 포함되는 얼굴 감정 검사 및 종래의 얼굴 감정 검사를 비교한 차이점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치매 환자는 인지 기능의 변화로 감정 인식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치매 환자는 정상인에 비해 타인과 감정을 교류하는데 어려움을 경험할 수 있고, 대인관계에서 공감 능력도 저하될 수 있다. 특히, 전측두엽 치매는 무감동, 사회적 처리 방식의 오류, 사회적 인식의 손상 등 대인관계 행동의 변화를 보일 수 있다. 또한 전측두엽 치매는 정상군과 비교하여 얼굴 감정 인식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 예에 따른 얼굴 감정 검사는 6 개의 기본 감정(기쁜, 두려운, 슬픈, 화난, 혐오스러운, 놀라운)을 포함하고 있는 제1 얼굴 제시 이미지와, 감정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 즉, 무감정의 제2 얼굴 제시 이미지를 복수개로 제공하고, 각 표정에 포함되어 있는 감정을 민감하게 알아차리는지 확인할 수 있다.The differences comparing the facial emotion test included in the eighth test proces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nd the conventional facial emotion test may be as follows. In general, dementia patients may experience emotion recognition difficulties due to changes in cognitive function. Additionally, dementia patients may experience difficulties in exchanging emotions with others compared to normal people, and their ability to empathize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may also decline. In particular, frontotemporal dementia can show changes in interpersonal behavior such as apathy, errors in social processing, and impaired social cognition. Additionally, frontotemporal dementia may result in decreased facial emotion recognition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Accordingly, the facial emotion tes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first face presentation image containing six basic emotions (happy, fearful, sad, angry, disgusted, and surprising), and an image containing no emotion, that is, no emotion. By providing a plurality of second face images,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emotions contained in each facial expression are sensitively recognized.

제9 검사 프로세스는 제8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한 후에 실행할 수 있다. 제9 검사 프로세스는 기설정된 제시 단락을 정확하게 발화하는지 평가하는 제9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9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9 검사항목은 단락 읽기 검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부터 제9 검사 프로세스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단락 읽기 검사를 실행하고 제9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ninth inspection process can be executed after completing execution of the eighth inspection process. The 9th inspection process may include a process of executing a check on the 9th inspection item to evaluate whether the preset presentation paragraph is correctly uttered and calculating a 9th inspection score. Here, the ninth test item may include a paragraph reading test. From this, the ninth inspection process may include a process of executing a paragraph reading test for the user and calculating the ninth inspection score.

본 실시 예에 따른 제9 검사 프로세스에 포함되는 단락 읽기 검사 및 종래의 단락 읽기 검사를 비교한 차이점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원발 진행 실어증(primary progressive aphasia, PPA)은 다른 인지 기능 장애 없이 언어 기능의 저하가 점차 진행되는 질환을 포함할 수 있다. PPA는 증상에 따라 진행 비유창성 실어증(Progressive non-fluent aphasia), 의미 치매(semantic dementia), 로고패닉 진행 실어증(logopenic variant primary progressive aphasia)로 분류할 수 있다. 진행 비유창성 실어증에 걸린 환자는 단어의 의미는 알고 있지만, 스스로 말하기가 어렵고, 문법적인 오류가 많이 관찰되고, 이름대기에서 음소 착어를 보이거나 말더듬을 보일 수 있다. 의미 치매에 걸린 환자는 말의 유창함은 비교적 유지되지만, 단어나 사물에 개념이 없어 초기부터 이름대기 장애가 심할 수 있다. 로고패닉 진행 실어증에 걸린 환자는 언어 이해력 및 유창성이 비교적 잘 유지되지만, 사물의 이름을 떠올리는데 어려움이 있고, 느린 발화속도가 나타나고, 긴 문장의 이해 및 따라 말하기 장애를 보일 수 있다.The differences comparing the paragraph reading test included in the ninth inspection proces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nd the conventional paragraph reading test may be as follows. In general, primary progressive aphasia (PPA) may include a disease in which language function declines gradually without other cognitive dysfunction. Depending on the symptoms, PPA can be classified into progressive non-fluent aphasia, semantic dementia, and logopenic variant primary progressive aphasia. Patients with progressive non-fluent aphasia know the meaning of words, but have difficulty speaking on their own, make many grammatical errors, and may exhibit phonemic aphasia or stuttering when naming. Patients with semantic dementia maintain relative fluency in speech, but may have severe naming difficulties from the beginning due to a lack of concepts for words or objects. Patients with logopanic progressive aphasia maintain relatively good language comprehension and fluency, but may have difficulty recalling the names of objects, have a slow speech rate, and may have difficulty understanding and repeating long sentences.

본 실시 예에 따른 단락 읽기 검사는 음성학적으로 균형 있는 문장이 되도록 자소별 빈도를 맞춘 표준화 단락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단락의 내용을 고령자에게 친숙한 내용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단락 읽기 검사는 발화 내용을 녹음하고 발화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단락 읽기 검사는 음성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음운 대치, 탈락, 첨가, 합성 등 음운 처리 능력을 확인하여 읽기 능력을 평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단락 읽기 검사는 발화 텍스트로부터 오류를 추출하여 검사점수를 산출할 수 있고, 녹음된 발화 음성을 분석하여 발화 속도, 쉼 길이, 음성 높낮이 등을 평가할 수 있다.The paragraph reading tes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an construct standardized paragraphs with the frequencies of each grapheme adjusted to create phonetically balanced sentences. Additionally, the content of the paragraph can be composed of content that is familiar to older people. The paragraph reading tes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an record speech content and measure speech speed. In addition, the paragraph reading tes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an evaluate reading ability by checking phonological processing abilities such as phonological substitution, omission, addition, and synthesis using speech recognition technology. The paragraph reading tes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an calculate a test score by extracting errors from the speech text, and can evaluate speech speed, pause length, voice pitch, etc. by analyzing the recorded speech voice.

제10 검사 프로세스는 제9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한 후에 실행할 수 있다. 제10 검사 프로세스는 기설정된 제시 도형의 위치 및 순서를 기억하는지 평가하는 제10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10 검사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0 검사항목은 시공간 주의력 검사를 포함할 수 있다.The tenth inspection process can be executed after completing execution of the ninth inspection process. The 10th test process may execute a test on the 10th test item to evaluate whether the position and order of the preset presented figures are remembered and calculate the 10th test score. Here, the tenth test item may include a spatiotemporal attention test.

본 실시 예에서 제10 검사 프로세스는 제10-1 검사 프로세스 및 제10-2 검사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10th inspection process may include a 10-1 inspection process and a 10-2 inspection process.

제10-1 검사 프로세스는 기설정된 영역 내에서 기설정된 제시 도형이 출현하는 위치와 순서를 순차적으로 기억하는지 평가하는 제10-1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10-1 검사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0-1 검사항목은 제1 시공간 주의력 검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부터 제10-1 검사 프로세스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제1 시공간 주의력 검사를 실행하고 제10-1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10-1 inspection process executes a test on the 10-1 inspection item to evaluate whether the position and order in which the preset presented figure appears within the preset area is sequentially remembered, and calculates the 10-1 inspection score. You can. Here, the 10-1 test item may include the first spatiotemporal attention test. From this, the 10-1 test process may include a process of executing the first spatiotemporal attention test for the user and calculating the 10-1 test score.

제10-2 검사 프로세스는 기설정된 영역 내에서 기설정된 제시 도형이 출현하는 위치와 순서를 거꾸로 기억하는지 평가하는 제10-2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10-2 검사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0-2 검사항목은 제2 시공간 주의력 검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부터 제10-2 검사 프로세스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제2 시공간 주의력 검사를 실행하고 제10-2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10-2 inspection process executes a test on the 10-2 inspection item that evaluates whether the position and order in which the preset presented figure appears within the preset area is remembered in reverse and calculates the 10-2 inspection score. there is. Here, the 10-2 test item may include the second spatiotemporal attention test. From this, the 10-2 test process may include a process of executing a second spatiotemporal attention test on the user and calculating the 10-2 test score.

본 실시 예에 따른 제10 검사 프로세스에 포함되는 시공간 주의력 검사 및 종래의 시공간 주의력 검사를 비교한 차이점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시공간 주의력 검사는 실행 기능(executive function) 영역 중에서 작업 기억 특히, 공간 작동 기억(spatial working memory)을 평가하기 위한 검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시공간 주의력 검사는 도형이 제시되는 위치와 순서를 기억하고, 도형의 위치를 순차적으로 반복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주의력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시공간 주의력 검사는 도형의 위치를 거꾸로 반복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작업 기억력을 측정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시공간 주의력 검사에서 제시되는 도형의 개수가 많아지며, 사용자가 위치와 순서를 정확하게 기억하는 성공한 횟수가 기억폭이 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시공간 주의력 검사는 자동으로 검사결과를 기록하고, 입력에 실패하는 경우 검사가 중지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시공간 주의력 검사는 도형을 선택하는 반응 시간을 측정하여 반응 속도를 평가할 수 있다. The differences comparing the visuospatial attention test included in the tenth test proces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nd the conventional visuospatial attention test may be as follows. The visuospatial attention tes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test to evaluate working memory, particularly spatial working memory, among the areas of executive function. The spatiotemporal attention tes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an measure attention by remembering the position and order in which shapes are presented and repeatedly inputting the positions of the shapes sequentially. Additionally, the visuospatial attention tes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an measure working memory by repeatedly entering the position of a figure in reverse. In the visuospatial attention tes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number of shapes presented increases, and the number of times the user succeeds in accurately remembering the location and order can be the memory span. The visuospatial attention tes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utomatically records test results, and if input fails, the test may be stopped. The spatiotemporal attention tes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an evaluate reaction speed by measuring the reaction time to select a shape.

제11 검사 프로세스는 제10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한 후에 실행할 수 있다. 제11 검사 프로세스는 기설정된 제시 미완성 문장이 완성 문장이 되도록 조건에 해당하는 단어를 정확하게 선택하는지 평가하는 제11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11 검사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1 검사항목은 헤일링 검사를 포함할 수 있다.The 11th inspection process can be executed after completing execution of the 10th inspection process. The 11th test process may execute a test on the 11th test item to evaluate whether words corresponding to the condition are correctly selected so that the preset presented incomplete sentence becomes a complete sentence, and calculate the 11th test score. Here, the 11th inspection item may include a hailing inspection.

본 실시 예에서 제11 검사 프로세스는 제11-1 검사 프로세스 및 제11-2 검사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11th inspection process may include an 11-1 inspection process and an 11-2 inspection process.

제11-1 검사 프로세스는 기설정된 제시 미완성 문장이 완성 문장이 되도록 정확한 단어를 선택하는지 평가하는 제11-1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11-1 검사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1-1 검사항목은 제1 헤일링 검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부터 제11-1 검사 프로세스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제1 헤일링 검사를 실행하고 제11-1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11-1 inspection process may execute a check on the 11-1 inspection item to evaluate whether the correct word is selected so that the preset presented incomplete sentence becomes a complete sentence and calculate the 11-1 inspection score. Here, the 11-1 test item may include the first hailing test. From this, the 11-1 inspection process may include a process of executing the first hailing inspection for the user and calculating the 11-1 inspection score.

제11-2 검사 프로세스는 기설정된 제시 미완성 문장이 완성 문장이 되도록 어색한 단어를 선택하는지 평가하는 제11-2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11-2 검사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1-2 검사항목은 제2 헤일링 검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부터 제11-2 검사 프로세스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제2 헤일링 검사를 실행하고 제11-2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11-2 inspection process may execute a check on the 11-2 inspection item to evaluate whether an awkward word is selected so that a preset presented incomplete sentence becomes a complete sentence and calculate the 11-2 inspection score. Here, the 11-2 inspection item may include a second hailing inspection. From this, the 11-2 inspection process may include a process of executing the second hailing inspection for the user and calculating the 11-2 inspection score.

본 실시 예에 따른 제11 검사 프로세스에 포함되는 헤일링 검사 및 종래의 헤일링 검사를 비교한 차이점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종래의 헤일링 검사는 자연스러운 문장 또는, 자연스럽지 않은 문장이 되도록 단어를 떠올려 말하는 검사였다. 그러나 본 실시 예에 따른 헤일링 검사는 조건에 적합한 단어와, 어색한 단어(오단어)를 제시하고, 둘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헤일링 검사는 단어를 인출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여 언어 억제력을 측정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헤일링 검사는 자동으로 검사점수가 산출되고, 자동 조건(자연스러운 단어 선택) 반응 및 억제 조건(어색한 단어 선택) 반응을 비교할 수 있다.The differences comparing the hailing test included in the 11th test proces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nd the conventional hailing test may be as follows. The conventional Hayling test was a test in which people came up with words to create natural or unnatural sentences. However, the Hayling tes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an present words that fit the conditions and awkward words (miswords) and allow the user to select one of the two. The Hayling tes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an measure language inhibition by shortening the time required to retrieve words. In the Hayling tes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est scores are automatically calculated, and automatic condition (natural word selection) responses and suppression condition (awkward word selection) responses can be compared.

검사 장치(100)는 제1 검사 프로세스 내지 제1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한 후에, 복수개의 검사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검사항목을 복수개의 신경 인지 카테고리 중 어느 한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하는 카테고리 분류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카테고리 분류 프로세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서 카테고리 분류단계로 표현될 수 있다.After completing execution of the first to eleventh test processes, the test apparatus 100 performs a category classification process to classify at least one test item among the plurality of test items into one neurocognitive category among the plurality of neurocognitive categories. You can run . In this embodiment, the category classification process may be expressed as a category classification step in the claims described later.

검사 장치(100)는 제2 검사항목(언어단서 기억 검사) 및 제3 검사항목(시각도식 기억 검사)을 기억력에 대한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할 수 있는 제1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다.The test device 100 may classify the second test item (verbal cue memory test) and the third test item (visual schema memory test) into a first neurocognitive category that can evaluate cognitive decline in memory.

검사 장치(100)는 제8 검사항목(얼굴 감정 검사)을 사회인지에 대한 신경 인지 장애를 감별할 수 있는 제2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신경 인지 카테고리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에 새롭게 추가한 것이다.The test device 100 may classify the eighth test item (facial emotion test) into a second neurocognitive category that can distinguish neurocognitive disorders related to social cognition. Here, the second neurocognitive category is a new addition to the test for evaluating cognitive declin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검사 장치(100)는 제7 검사항목(크기 무게 검사) 및 제9 검사항목(단락 읽기 검사)을 언어에 대한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할 수 있는 제3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다.The test device 100 may classify the 7th test item (size and weight test) and the 9th test item (paragraph reading test) into a third neurocognitive category that can evaluate cognitive decline in language.

검사 장치(100)는 제5 검사항목(선각도 지각 검사) 및 제6 검사항목(색상 지각 검사)을 지각에 대한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할 수 있는 제4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다.The test device 100 may classify the fifth test item (linear perception test) and the sixth test item (color perception test) into the fourth neurocognitive category that can evaluate the decline in cognitive function for perception.

검사 장치(100)는 제1 검사항목(유창성 검사)과, 제4 검사항목(스트룹 검사)과, 제10 검사항목(시공간 주의력 검사) 및 제11 검사항목(헤일링 검사)을 주의집행에 대한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할 수 있는 제5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다.The test device 100 uses the first test item (fluency test), the fourth test item (Stroop test), the tenth test item (visual-temporal attention test), and the eleventh test item (Hailing test) to execute attention. It can be classified into the fifth neurocognitive category, which can evaluate cognitive decline.

검사 장치(100)는 카테고리 분류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한 후에,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된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점수를 기반으로 하여 신경 인지 카테고리에 인지기능 저하가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평가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평가 프로세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서 평가단계로 표현될 수 있다.After completing the execution of the category classification process, the testing device 100 may execute an evaluation process to evaluate whether there is a decline in cognitive function in the neurocognitive category based on the test scores for the test items classified into the neurocognitive category. there is. In this embodiment, the evaluation process may be expressed as an evaluation step in the claims described later.

검사 장치(100)는 제2 검사점수(언어단서 기억 검사점수) 및 제3 검사점수(시각도식 기억 검사점수)를 기반으로 하여 기억력으로서의 제1 신경 인지 카테고리에 대한 인지기능 저하가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제1 평가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The testing device 100 evaluates whether there is a decline in cognitive function for the first neurocognitive category as memory based on the second test score (verbal cue memory test score) and the third test score (visual schema memory test score). A first evaluation process may be performed.

검사 장치(100)는 제8 검사점수(얼굴 감정 검사점수)를 기반으로 하여 사회인지로서의 제2 신경 인지 카테고리에 대한 인지기능 저하가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제2 평가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The test device 100 may execute a second evaluation process to evaluate whether there is a decline in cognitive function for the second neurocognitive category as social cognition based on the eighth test score (facial emotion test score).

검사 장치(100)는 제7 검사점수(크기 무게 검사점수) 및 제9 검사점수(단락 읽기 검사점수)를 기반으로 하여 언어로서의 제3 신경 인지 카테고리에 대한 인지기능 저하가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제3 평가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The test device 100 evaluates whether there is a decline in cognitive function for the third neurocognitive category as language based on the 7th test score (size and weight test score) and the 9th test score (paragraph reading test score). 3 The evaluation process can be implemented.

검사 장치(100)는 제5 검사점수(선각도 지각 검사점수) 및 제6 검사점수(색상 지각 검사점수)를 기반으로 하여 지각으로서의 제4 신경 인지 카테고리에 대한 인지기능 저하가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제4 평가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The test device 100 evaluates whether there is a decline in cognitive function for the fourth neurocognitive category as perception based on the fifth test score (line perception test score) and the sixth test score (color perception test score). A fourth evaluation process can be implemented.

검사 장치(100)는 제1 검사점수(유창성 검사점수)와, 제4 검사점수(스트룹 검사점수)와, 제10 검사점수(시공간 주의력 검사점수) 및 제11 검사점수(헤일링 검사점수)를 기반으로 하여 주의집행으로서의 제5 신경 인지 카테고리에 대한 인지기능 저하가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제5 평가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The test device 100 is configured to measure a first test score (fluency test score), a fourth test score (Stroop test score), a tenth test score (visual-temporal attention test score), and an eleventh test score (Hailing test score). Based on this, the fifth evaluation process can be implemented to evaluate whether there is a decline in cognitive function for the fifth neurocognitive category as attention execution.

본 실시 예에서 검사 장치(100)는 서버 형태로 독립적으로 존재하거나, 검사 장치(100)가 제공하는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기능을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에 탑재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testing device 100 can exist independently in the form of a server, or the testing function for evaluating cognitive function decline provided by the testing device 100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 and mounted on the user terminal 200. there is.

사용자 단말기(200)는 검사 장치(100)가 제공하는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사이트에 접속하여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200)는 검사를 받을 사용자 즉, 피검자가 구비한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200 can receive a test service for evaluating cognitive decline by accessing a test application for evaluating cognitive decline provided by the testing device 100 and/or a testing site for evaluating cognitive decline. there is. Here, the user terminal 200 may include a terminal provided by the user to be tested, that is, the subject.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200)는 컴퓨팅 장치(미도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조작하는 데스크 탑 컴퓨터(201), 스마트폰(202) 노트북(203) 이외에, 태블릿 PC, 스마트 TV,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미디어 플레이어, 마이크로 서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네비게이션, 키오스크,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가전기기 및 기타 모바일 또는 비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200)는 통신 기능 및 데이터 프로세싱 기능을 구비한 시계, 안경, 헤어 밴드 및 반지 등의 웨어러블 단말기 일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200)는 상술한 내용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웹 브라우징이 가능한 단말기는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This user terminal 2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performing the functions of a computing device (not shown), and in addition to the desktop computer 201, smartphone 202, and laptop 203 operated by the user, Tablet PCs, smart TVs, mobile phones, PDA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media players, micro servers,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devices, e-readers,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s, navigation, kiosks, MP3 players, digital cameras, home appliances, and It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any other mobile or non-mobile computing device. Additionally, the user terminal 200 may be a wearable terminal such as a watch, glasses, hair band, or ring equipped with communication functions and data processing functions. This user terminal 200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content, and any terminal capable of web browsing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네트워크(300)는 검사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기(200)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300)는 예컨대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ISDN(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WLAN(wireless LAN), CDMA(code-division multiple access),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네트워크(300)는 근거리 통신 및/또는 원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wideband), ZigBee, Wi-Fi 기술을 포함할 수 있고, 원거리 통신은 CDMA(code-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The network 300 may serve to connect the testing device 100 and the user terminal 200. This network 300 may be, for example, a wired network such as a local area network (LAN), a wide area network (WAN), a 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or an 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 (ISDN), a wireless LAN (WLAN), or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network. -division multiple access), and may encompass wireless networks such as satellite communication,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dditionally, the network 300 may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using short-range communication and/or long-distance communication. Here, short-range communication may include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wideband (UWB), ZigBee, and Wi-Fi technology, and long-distance communication may include code-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and single carrier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 technology.

네트워크(300)는 허브, 브리지, 라우터, 스위치와 같은 네트워크 요소들의 연결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300)는 인터넷과 같은 공용 네트워크 및 안전한 기업 사설 네트워크와 같은 사설 네트워크를 비롯한 하나 이상의 연결된 네트워크들, 예컨대 다중 네트워크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300)에의 액세스는 하나 이상의 유선 또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들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Network 300 may include connections of network elements such as hubs, bridges, routers, and switches. Network 300 may include one or more connected networks, including public networks such as the Internet and private networks such as secure enterprise private networks, such as a multi-network environment. Access to network 300 may be provided through one or more wired or wireless access networks.

더 나아가 네트워크(300)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 V2I(vehicle to infrastructure, 차량 대 도로 인프라) 통신, V2X(vehicle to everything) 통신, 웨이브(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 통신 기술과,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 및/또는 5G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network 300 includes CAN (controller area network) communication, V2I (vehicle to infrastructure) communication, V2X (vehicle to everything) communication, wave (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 communication technology, objects, etc. It can support IoT (Internet of Things) networks and/or 5G communications that exchange and process information between distributed components.

삭제delete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검사 장치(100)는 통신부(110), 저장 매체(120), 프로그램 저장부(130), 데이터베이스(140), 검사 관리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Figure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testing device for evaluating cognitive declin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parts that overlap with the description of FIG. 1 will be omitted. Referring to FIG. 2, the test device 1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110, a storage medium 120, a program storage unit 130, a database 140, a test management unit 150, and a control unit 160. .

통신부(110)는 네트워크(300)와 연동하여 검사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기(200) 간의 송수신 신호를 패킷 데이터 형태로 제공하는 데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110)는 검사 관리부(150)의 요청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기(200)의 응답 정보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망이라 함은 검사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기(200)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매개체로써, 사용자 단말기(200)가 검사 장치(100)에 접속한 후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work with the network 300 to provide a communication interface necessary to provid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ignals between the testing device 100 and the user terminal 200 in the form of packet data. Furthermore,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transmit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test management unit 150 to the user terminal 200 and receive response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200. Here, the communication network refers to a medium that serves to connect the testing device 100 and the user terminal 200, and is a connection path that allows the user terminal 200 to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after connecting to the testing device 100. It may include a path that provides . Additionally,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be a device that includes hardware and software necessary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such as control signals or data signals through wired or wireless connections with other network devices.

저장 매체(120)는 제어부(16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저장 매체(120)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저장 매체(120)는 내장 메모리 및/또는 외장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DRAM, SRAM, 또는 SDRAM 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 EPROM, EEPROM, mask ROM, flash ROM, NAND 플래시 메모리, 또는 NOR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SSD. CF(compact flash) 카드, SD 카드, Micro-SD 카드, Mini-SD 카드, Xd 카드,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과 같은 플래시 드라이브, 또는 HDD와 같은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orage medium 120 functions to temporarily or permanently store data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60. Here, the storage medium 120 may include magnetic storage media or flash storage media,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is storage medium 120 may include internal memory and/or external memory, volatile memory such as DRAM, SRAM, or SDRAM, one time programmable ROM (OTPROM), PROM, EPROM, EEPROM, mask ROM, flash ROM, etc. , non-volatile memory such as NAND flash memory, or NOR flash memory, SSD. It may include a flash drive such as a compact flash (CF) card, SD card, Micro-SD card, Mini-SD card, Xd card, or memory stick, or a storage device such as an HDD.

프로그램 저장부(130)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복수개의 검사항목 각각에 대하여 제시한 미션을 얼마만큼 수행하는지 검사하고, 복수개의 검사항목 각각에 대한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작업, 복수개의 검사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검사항목을 복수개의 신경 인지 카테고리 중 어느 한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하는 카테고리 분류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작업,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된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점수를 기반으로 하여 신경 인지 카테고리에 인지기능 저하가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평가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작업 등을 수행하는 제어 소프트웨어를 탑재하고 있다.The program storage unit 130 tests the user to see how much of the mission present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inspection items is performed and executes an inspection process that calculates the inspection scor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inspection items. The task of executing a category classification process to classify at least one of the test items into one of a plurality of neurocognitive categories, a neurocognitive category based on the test score for the test items classified into the neurocognitive category. It is equipped with control software that performs tasks such as executing an evaluation process to evaluate whether there is cognitive decline.

데이터베이스(140)는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정보를 저장하는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데이터베이스에는 제1 검사 프로세스 내지 제11 검사 프로세스에 대한 정보와, 제1 신경 인지 카테고리 분류 프로세스 내지 제5 신경 인지 카테고리 분류 프로세스에 대한 정보와, 제1 평가 프로세스 내지 제5 평가 프로세스에 대한 정보와, 알츠하이머병 치매를 평가하는 프로세스에 대한 정보와, 전측두엽 치매를 평가하는 프로세스에 대한 정보와, 파킨슨병 치매 및 루이소체 치매를 평가하는 프로세스에 대한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The database 140 may include a management database that stores test information for evaluating cognitive decline. For example, the management database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first to eleventh test processes, information about the first to fifth neurocognitive category classification processes, and first to fifth evaluation processes. Information about, information about the process of evaluating Alzheimer's disease dementia, information about the process of evaluating frontotemporal dementia, information about the process of evaluating Parkinson's disease dementia and Lewy body dementia, etc. may be stored.

또한 관리 데이터베이스에는 후술하는 지시문에 대응하는 정답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데이터베이스에는 제1-1 지시문에 대응하는 정답 텍스트와, 제1-2 지시문에 대응하는 정답 순서와, 제2-1-1 지시문에 대응하는 정답 단어와, 제2-1-2 지시문에 대응하는 정답 텍스트와, 제2-2-1 지시문에 대응하는 정답 텍스트와, 제2-2-2 지시문에 대응하는 정답 단어와, 제3-1 지시문에 대응하는 정답과, 제3-2 지시문에 대응하는 정답과, 제4-1 지시문 및 제4-2 지시문에 대응하는 정답과, 제5 지시문에 대응하는 정답 선(line)과, 제6 지시문에 대응하는 정답과, 제7-1 지시문 및 제7-2 지시문에 대응하는 정답과, 제8 지시문에 대응하는 정답과, 제9 지시문에 대응하는 정답 어절수와, 제10-1 지시문 및 제10-2 지시문에 대응하는 정답과, 제11-1 지시문 및 제11-2 지시문에 대응하는 정답이 저장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rrect answer corresponding to the instruction described later may be stored in the management database. For example, the management database contains the correct answer text corresponding to the 1-1 instruction, the correct answer sequence corresponding to the 1-2 instruction, the correct answer word corresponding to the 2-1-1 instruction, and the 2-1- 2 The correct answer text corresponding to the instruction 2-2-1, the correct answer text corresponding to the instruction 2-2-2, the correct word corresponding to the instruction 2-2-2, the correct answer text corresponding to the instruction 3-1, and the third -2 The correct answer corresponding to the instruction, the correct answer corresponding to the 4-1 instruction and the 4-2 instruction, the correct answer line corresponding to the 5th instruction, the correct answer line corresponding to the 6th instruction, and the 7th instruction. -The correct answer corresponding to instruction 1 and instruction 7-2, the correct answer corresponding to instruction 8, the number of correct words corresponding to instruction 9, and the correct answer corresponding to instruction 10-1 and instruction 10-2. And, the correct answers corresponding to instructions 11-1 and 11-2 may be stored.

또한 관리 데이터베이스에는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방법이 저장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지시문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일련의 입력 및 정답을 비교하고, 전체 정답 대비 오답의 개수를 카운트하여 검사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오답의 개수가 많을수록 검사점수가 낮아지고, 오답의 개수가 적을수록 검사점수가 높아질 수 있다.Additionally, a method for calculating inspection scores may be stored in the management database. In this embodiment, the test score can be calculated by comparing a series of inputs and correct answer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in response to the instructions, and counting the number of incorrect answers compared to the total correct answers. Here, the greater the number of incorrect answers, the lower the test score, and the smaller the number of incorrect answers, the higher the test score.

본 실시 예에서 검사점수는, 후술하는 소요시간의 카운트 결과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요시간의 카운트 결과가 제한 시간을 초과한 경우 검사점수는 더 낮아질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inspection score may vary depending on the count result of the required tim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For example, if the count result of the time required exceeds the time limit, the inspection score may be lowered.

또한 관리 데이터베이스에는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기준점수가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기준점수 산출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을 수 있다. Additionally, standard scores for evaluating cognitive decline may be stored in the management database. Here, the standard score calculation process can be explained as follows.

제1 과정에서, 정상군에 대하여 제1 내지 제11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정상군은 인지기능 저하가 없는 정상인 그룹으로써, 성별/학력/나이에 따라 다르게 분류될 수 있다. 정상군에 대하여 제1 내지 제11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한 결과로 정상군의 제1 내지 제11 검사점수가 산출될 수 있다.In the first process, first to eleventh test processes may be performed on the normal group. Here, the normal group is a group of normal people without cognitive decline and can be classified differently depending on gender/education/age. As a result of executing the first to eleventh test processes for the normal group, the first to eleventh test scores of the normal group may be calculated.

제2 과정에서 정상군의 제1 검사점수 내지 제11 검사점수에 대하여, 제1 내지 제11 평균값과, 제1 내지 제11 표준편차를 산출할 수 있다.In the second process, the first to eleventh average values and the first to eleventh standard deviations can be calculated for the first to eleventh test scores of the normal group.

제3 과정에서, 정상군에 대한 제1 내지 제11 검사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신경 인지 카테고리 내지 제5 신경 인지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할 수 있다. 정상군에 대한 제2 검사항목 및 제3 검사항목을 제1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하고, 정상군에 대한 제8 검사항목을 제2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하고, 정상군에 대한 제7 검사항목 및 제9 검사항목을 제3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하고, 정상군에 대한 제5 검사항목 및 제6 검사항목을 제4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하고, 정상군에 대한 제1 검사항목과, 제4 검사항목과, 제10 검사항목 및 제11 검사항목을 제5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다.In the third process,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eleventh test items for the normal group may be classified into one of the first to fifth neurocognitive categories. The 2nd and 3rd test items for the normal group are classified into the 1st neurocognitive category, the 8th test item for the normal group is classified into the 2nd neurocognitive category, and the 7th test items and The 9th test item is classified into the 3rd neurocognitive category, the 5th and 6th test items for the normal group are classified into the 4th neurocognitive category, and the 1st and 4th test items for the normal group are classified into the 4th neurocognitive category. The items, the 10th test item, and the 11th test item can be classified into the 5th neurocognitive category.

제4 과정에서, 제1 내지 제11 검사점수에 대한 제1 내지 제11 평균값 및 제1 내지 제11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제1 내지 제11 Z-스코어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Z-스코어는 표준편차를 단위로 보았을 때 검사점수가 평균값에서 얼마만큼 떨어져 있는지 알 수 있는 스코어라 할 수 있다.In the fourth process, the first to eleventh Z-scores can be calculated using the first to eleventh average values and the first to eleventh standard deviations for the first to eleventh test scores. Here, the Z-score can be said to be a score that shows how far the test score is from the average value when looking at the standard deviation as a unit.

본 실시 예에서 Z-스코어가 제1 표준편차(예를 들어, -1.5 SD) 이하인 경우, 해당 검사항목이 포함되는 신경 인지 카테고리에 인지기능 저하가 있음을 평가할 수 있다. 이로부터 기준점수는 Z-스코어가 제1 표준편차(예를 들어, -1.5 SD)인 정상군의 검사점수라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기준점수는 제1 내지 제11 기준 점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Z-스코어 또한 제1 내지 제11 Z-스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if the Z-score is below the first standard deviation (eg, -1.5 SD), it can be assessed that there is cognitive decline in the neurocognitive category including the corresponding test item. From this, the reference score can be said to be the test score of the normal group whose Z-score is the first standard deviation (for example, -1.5 SD). In this embodiment, the standard score may include first to eleventh standard scores. In this embodiment, the Z-score may also include the first to eleventh Z-scores.

선택적 실시 예로 기준점수는 규준의 컷-오프 점수로 표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 규준의 컷-오프 점수는 상술한 Z-스코어가 제1 표준편차(예를 들어, -1.5 SD)인 정상군의 검사점수라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규준의 컷오프 점수는 제1 내지 제11 규준의 컷-오프 점수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standard score may be expressed as a normative cut-off score. Here, the standard cut-off score can be said to be the test score of the normal group whose Z-score is the first standard deviation (for example, -1.5 SD). In this embodiment, the cutoff score of the standard may include the cutoff scores of the first to eleventh standards.

본 실시 예에서 기준점수는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될 수 있다. 사용자가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하여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또는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사이트에 접속할 때마다, 실시간으로 기준점수가 업데이트 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standard score may be updated periodically. In order to perform a test to evaluate cognitive decline, the user executes a test application to evaluate cognitive decline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or accesses a test site to evaluate cognitive decline, in real time. The standard score can be updated.

또한 데이터베이스(140)는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서비스를 제공받을 사용자의 정보를 저장하는 유저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정보는 사용자의 이름, 소속, 인적 사항, 성별, 나이, 학력, 연락처, 이메일, 주소, 이미지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에 대한 고유 정보와, 아이디(ID) (또는 이메일) 및 패스워드(password) 등 사용자의 인증(로그인)에 대한 정보, 접속 국가, 접속 위치, 접속에 이용한 장치에 대한 정보, 접속된 네트워크 환경 등 접속과 관련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database 140 may include a user database that stores information on users who will be provided with testing services for evaluating cognitive decline. Here, the user's information includes unique information about the user, including the user's name, affiliation, personal information, gender, age, education, contact information, email, address, image, etc., and ID (or email) and password ( It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user's authentication (login) such as password, connection country, connection location, information about the device used for connection,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nection such as the connected network environment.

또한 유저 데이터베이스에는 사용자의 정보와,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어플리케이션 또는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사이트에 접속한 사용자가 제공받은 정보 및/또는 카테고리 이력, 사용자가 설정한 환경 설정 정보, 사용자가 이용한 자원 사용량 정보, 사용자의 자원 사용량에 대응한 과금 및 결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database includes user information, information and/or category history provided by users who access the test application to evaluate cognitive decline or a test site to evaluate cognitive decline, environmental setting information set by the user, Resource usage information used by the user and billing and paym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resource usage may be stored.

검사 관리부(150)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복수개의 검사항목 각각에 대하여 제시한 미션을 얼마만큼 수행하는지 검사하고, 복수개의 검사항목 각각에 대한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The test management unit 150 may inspect the user to see how much the presented mission is perform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test items and execute an test process that calculates an test scor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test items.

검사 관리부(150)는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한 후에 복수개의 검사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검사항목을 복수개의 신경 인지 카테고리 중 어느 한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하는 카테고리 분류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After completing the execution of the test process, the test management unit 150 may execute a category classification process to classify at least one test item among the plurality of test items into one neurocognitive category among the plurality of neurocognitive categories.

검사 관리부(150)는 카테고리 분류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한 후에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된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점수를 기반으로 하여 신경 인지 카테고리에 인지기능 저하가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평가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After completing the execution of the category classification process, the test management unit 150 may execute an evaluation process to evaluate whether there is a decline in cognitive function in the neurocognitive category based on the test scores for the test items classified into the neurocognitive category. .

검사 관리부(150)는 평가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한 후에 평가 결과를 사용자 단말기(200) 및/또는 진료자(예를 들어 의사)의 단말기(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After completing the execution of the evaluation process, the test management unit 150 may transmit the evaluation results to the user terminal 200 and/or the terminal (not shown) of the practitioner (eg, doctor).

제어부(160)는 일종의 중앙처리장치로서 프로그램 저장부(130)에 탑재된 제어 소프트웨어를 구동하여 검사 장치(100) 전체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어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control unit 160 is a type of central processing unit and can control the entire operation of the inspection device 100 by running control software mounted on the program storage unit 130. The control unit 160 may include all types of devices that can process data, such as a processor. Here, 'processor' may mean, for example, a data processing device built into hardware that has a physically structured circuit to perform a function expressed by code or instructions included in a program. Examples of data processing devices built into hardware include a microprocessor, central processing unit (CPU), processor core, multiprocessor, and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ASIC). circuit) and 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etc.,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3은 도 2의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장치 중 검사 관리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4 내지 도 15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를 실시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및 도 2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15를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검사 관리부(150)는 제공부(151) 제1 처리부(152), 제2 처리부(153), 제3 처리부(154) 및 전송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FIG.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est management unit of the test device for evaluating cognitive decline in FIG. 2, and FIGS. 4 to 15 are diagrams for evaluating cognitive dec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is is an example of a screen provided to a user terminal to perform a tes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parts that overlap with the description of FIGS. 1 and 2 will be omitted. Referring to FIGS. 3 to 15, the test management unit 15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provision unit 151, a first processing unit 152, a second processing unit 153, a third processing unit 154, and a transmission unit 155. ) may include.

제공부(151)는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사이트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200)에 검사를 위한 각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15에 제시된 도면은 제공부(151)의 처리에 의해 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에 출력되는 화면이라 할 수 있다.The provision unit 151 may provide various information for a test to the user terminal 200 connected to a test application for evaluating cognitive decline and/or a test site for evaluating cognitive decline. Hereinafter, the drawings shown in FIGS. 4 to 15 can be said to be screens output to the user terminal 200 through processing by the providing unit 151.

도 4는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를 수행하기 위해 제공부(151)가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하는 제1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화면은 검사를 표현하는 아이콘 및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제공부(151)는 제1 검사 프로세스에 대하여, 제1 검사를 표현하는 아이콘 및 텍스트(제1 검사)를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텍스트로 표현된 제1 검사는 제1 검사 프로세스의 줄임말로써, 고령자를 고려하여 간단 명료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공부(151)는 제2 검사 프로세스 내지 제11 검사 프로세스에 대하여, 제2 검사 내지 제11 검사를 표현하는 아이콘 및 텍스트를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FIG. 4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first screen provided by the providing unit 151 to the user terminal 200 to perform a test to evaluate cognitive decline. Referring to FIG. 4, the first screen may include an icon and text representing the inspection. In one embodiment, the provider 151 may provide the user terminal 200 with an icon and text (first test) representing the first test for the first test process. Here, the first test expressed in text is an abbreviation for the first test process, and can be provided simply and clearly considering the elderly. In this way, the provider 151 may provide icons and text representing the second to eleventh tests to the user terminal 200 for the second to eleventh test processes.

제1 처리부(152) 내지 제3 처리부(154)에서 처리된 데이터들은 제공부(151)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제1 처리부(152)가 제공하는 일련의 데이터는 본래 제공부(151)가 제공하는 것이나, 설명의 편의상 제1 처리부(152)가 제공한다고 가정하고 설명하기로 한다.Data processed in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to third processing unit 154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200 by the providing unit 151. In particular, the series of data provided by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is originally provided by the providing unit 151, bu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will be described assuming that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provides it.

제1 처리부(152)는 제1-1 검사 프로세스 및 제1-2 검사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제1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처리부(152)는 연습 검사를 제외한 제1 검사 프로세스를 복수 회 수행할 수 있다.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may perform a first inspection process including a 1-1 inspection process and a 1-2 inspection process.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may perform the first test process excluding the practice test multiple times.

제1 처리부(152)는 제1-1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 시에, 제1 제한시간 내에 기설정된 제시 범주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단어를 발화하라는 제1-1 지시문을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When performing the 1-1 inspection process,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provides the user terminal 200 with a 1-1 instruction to utter one or more words corresponding to a preset presentation category within a first time limit. You can.

제1 처리부(152)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제1-1 지시문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제시 범주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단어에 대한 발화 결과를 수신하여 발화 텍스트로 변환할 수 있다.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may receive speech results for one or more words corresponding to a preset presentation category corresponding to the 1-1 directive from the user terminal 200 and convert them into speech text.

제1 처리부(152)는 발화 텍스트를 정답 텍스트와 비교하여 제1-1 검사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1 검사점수는 제1-1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한 전체 횟수 대비 정답으로 판명된 발화 텍스트가 많을수록 높게 산출될 수 있다.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may calculate the 1-1 test score by comparing the utterance text with the correct answer text. In this embodiment, the 1-1 test score may be calculated higher as the number of utterance texts found to be correct is greater compared to the total number of times the 1-1 test process is executed.

본 실시 예에서 제1 처리부(152)는 제1-1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이전에,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1-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방법을 텍스트로 제공하고, 제1-1 검사 프로세스에 대한 연습 검사를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before performing the 1-1 inspection process,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provides the user terminal 200 with a text on how to execute the 1-1 inspection process, and executes the 1-1 inspection process. You can run a practice test for .

제1 처리부(152)는 제1-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한 후에 제1-2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may execute the 1-2 inspection process after completing execution of the 1-1 inspection process.

제1 처리부(152)는 제1-2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 시에, 제2 제한시간 내에 복수개의 도형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을 연결하여 하나 이상의 도안을 드로잉하라는 제1-2 지시문을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When executing the 1-2 inspection process,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sends a 1-2 instruction to the user terminal 200 to draw one or more designs by connecting at least two of the plurality of shapes within a second time limit. ) can be provided.

제1 처리부(152)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제1-2 지시문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도형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을 드로잉하여 연결한 순서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may receive and store the order of drawing and connecting at least two of the plurality of shapes in response to the 1-2 directive from the user terminal 200.

제1 처리부(152)는 드로잉하여 연결한 순서를 정답 순서와 비교하여 제1-2 검사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2 검사점수는 제1-2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한 전체 횟수 대비 정답으로 판명된 드로잉 연결 순서가 많을수록 높게 산출될 수 있다.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may calculate the 1-2 test score by comparing the order of drawing and connection with the order of correct answers. In this embodiment, the 1-2 inspection score may be calculated higher as the number of drawing connection sequences determined to be correct is higher compared to the total number of times the 1-2 inspection process is executed.

본 실시 예에서 제1 처리부(152)는 제1-2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이전에,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1-2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방법을 텍스트로 제공하고, 제1-2 검사 프로세스에 대한 연습 검사를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before performing the 1-2 inspection process,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provides the user terminal 200 with a text on how to execute the 1-2 inspection process, and executes the 1-2 inspection process. You can run a practice test for .

선택적 실시 예로 제1 처리부(152)는 제1-1 검사점수 및 제1-2 검사점수를 합산하여 제1 검사점수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1 처리부(152)는 제1-1 검사점수 및 제1-2 검사점수를 합산하지 않고, 제1-1 검사점수 및 제1-2 검사점수 각각을 인지기능 저하 평가 시에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검사점수가 제1 규준의 컷-오프 점수보다 높으면 유창성이 양호한 것으로 평가될 수 있고 제1 검사점수가 제1 규준의 컷-오프 점수보다 낮으면 유창성이 저하된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In an optional embodiment,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may calculate the first inspection score by adding the 1-1 inspection score and the 1-2 inspection score. In addition,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does not add up the 1-1 test score and the 1-2 test score, but can use each of the 1-1 test score and the 1-2 test score when evaluating cognitive decline. . In this example, if the first test score is higher than the cut-off score of the first standard, fluency can be evaluated as good, and if the first test score is lower than the cut-off score of the first standard, fluency can be evaluated as poor. You can.

도 5는 제1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a 내지 도 5h는 제1-1 검사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화면의 예시도이고, 제5i 내지 도 5s는 제1-2 검사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Figure 5 is an example view of a screen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200 to perform the first inspection process. Referring to FIG. 5, FIGS. 5A to 5H are exemplary diagrams of screens explaining the 1-1 inspection process, and FIGS. 5I to 5S are exemplary diagrams of screens explaining the 1-2 inspection process.

도 5a는 제1-1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시작 버튼(501)의 입력이 수신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Figure 5A shows the start screen of the 1-1 inspection process. When an input from the start button 501 is received, the screen may be switched to the next screen.

도 5b는 제1-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방법을 텍스트로 제공하고, 제1-1 검사 프로세스에 대한 연습 검사 프로세스(제1-1 연습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연습시작 버튼(502)이 입력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FIG. 5B provides a method of executing the 1-1 test process in text and shows a screen notifying the start of a practice test process (1-1 practice test process) for the 1-1 test process. When the practice start button 502 is input, the screen can be switched to the next screen.

도 5c는 제1-1 연습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제1-1 연습 지시문을 확인한 후, 마이크 버튼(503)을 입력하고, 프로그레스 바(504)를 보면서 단어를 발화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프로그래스 바(504)는 제한 시간을 카운트하는 기능 및 작업 진행 정도를 도시하는 기능 중 하나 이상을 실행할 수 있다.Figure 5c shows a screen for executing the 1-1 practice inspection process. After checking the 1-1 practice instruction, the user can input the microphone button 503 and utter a word while looking at the progress bar 504. In this embodiment, the progress bar 504 may execute one or more of a function that counts a time limit and a function that shows the progress of a task.

도 5d는 제1-1 연습 검사 프로세스의 재실행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가 마이크 버튼(503)을 입력하지 않았거나, 단어를 발화한 개수가 기설정된 개수(예를 들어, 3개) 미만이거나, 발화 성량이 작은 경우 제1-1 연습 검사 프로세스가 재실행 될 수 있다.Figure 5d shows a screen notifying the re-execution of the 1-1 practice test process. If the user does not input the microphone button 503, the number of words uttered is less than a preset number (e.g., 3), or the utterance volume is small, the 1-1 practice check process may be re-executed. .

도 5e는 제1-1 연습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하고 본 검사의 실행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FIG. 5E shows a screen notifying that execution of the 1-1 practice test process has been completed and execution of the main test has been completed.

도 5f는 제1-1 지시문 및 제1-1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시작 버튼(505)이 입력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Figure 5f shows a screen notifying the start of the 1-1 instruction and the 1-1 inspection process. When the start button 505 is input, the screen can be switched to the next screen.

도 5g는 제1-1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제1-1 지시문을 확인한 후, 마이크 버튼(506)을 입력하고, 프로그래스 바(507)를 보면서 제1-1 지시문에 대응하여 단어를 발화할 수 있다.Figure 5g shows a screen for executing the 1-1 inspection process. After checking the 1-1 instruction, the user can input the microphone button 506 and utter a word corresponding to the 1-1 instruction while looking at the progress bar 507.

도 5h는 제1-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하고 다음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Figure 5h shows a screen indicating completion of execution of the 1-1 test process and the start of the next test process.

도 5i는 제1-2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시작 버튼(508)의 입력이 수신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Figure 5i shows the start screen of the 1-2 inspection process. When an input from the start button 508 is received, the screen may be switched to the next screen.

도 5j는 제1-2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방법을 텍스트로 제공한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Figure 5j shows a screen that provides text on how to execute the 1-2 inspection process.

도 5k는 제1-2 검사 프로세스에 대한 연습 검사 프로세스(제1-2 연습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연습시작 버튼(509)이 입력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FIG. 5K shows a screen notifying the start of a practice test process (1-2 practice test process) for the 1-2 test process. When the practice start button 509 is input, the screen can be switched to the next screen.

도 5l, 도 5m 및 도 5n은 제1-2 연습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제1-2 연습 지시문을 확인한 후, 우측 영역 상에 좌측 영역과 동일한 도안을 드로잉 할 수 있다. 도안의 드로잉을 완료하고 확인 버튼(510,511,512)이 입력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도 5l, 도 5m 및 도 5n은 프로그래스 바(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Figures 5l, 5m, and 5n show screens for executing the 1-2 practice test process. After checking the 1-2 practice instructions, the user can draw the same design as the left area on the right area. When the drawing of the design is completed and the confirmation button (510, 511, 512) is pressed, the screen can be switched to the next screen. 5L, 5M, and 5N may further include a progress bar (not shown).

도 5o는 제1-2 연습 검사 프로세스의 재실행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제한 시간 내에 도안의 드로잉을 시작하지 못한 경우, 또는 제1-2 연습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결과가 오답인 경우에 제1-2 연습 검사 프로세스가 재실행 될 수 있다.Figure 5O shows a screen notifying the re-execution of the 1-2 practice test process. If the drawing of the design fails to start within the time limit, or if the execution result of the 1-2 practice check process is an incorrect answer, the 1-2 practice check process may be re-executed.

도 5p는 제1-2 연습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하고 본 검사의 실행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Figure 5p shows a screen notifying that the execution of the 1-2 practice test process is completed and the main test is executed.

도 5q는 제1-2 검사 프로세스 실행 시에 적용되는 제한 시간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Figure 5q shows a screen notifying the time limit applied when executing the 1-2 inspection process.

도 5r은 제1-2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제1-2 지시문을 확인한 후, 시작 버튼(513)을 누르고, 프로그래스 바(514)를 보면서 우측 영역 상에 좌측 영역과 동일한 도안을 드로잉 할 수 있다. 도안의 드로잉을 완료하고 확인 버튼(515)이 입력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Figure 5r shows a screen for executing the 1-2 inspection process. After checking the 1-2 instructions, the user can press the start button 513 and draw the same design as the left area on the right area while looking at the progress bar 514. When the drawing of the design is completed and the confirmation button 515 is input, the screen can be switched to the next screen.

도 5s는 제1-2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하고 다음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Figure 5s shows a screen indicating completion of execution of the first and second inspection processes and the start of the next inspection process.

도 3으로 돌아와서, 제1 처리부(152)는 제2-1 검사 프로세스 및 제2-2 검사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제2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처리부(152)는 제2 검사 프로세스를 복수 회 수행할 수 있다.Returning to FIG. 3,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may perform a second inspection process including a 2-1 inspection process and a 2-2 inspection process.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may perform the second inspection process multiple times.

제1 처리부(152)는 제2-1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 시에, 복수개의 제시 단어를 도시하고, 복수개의 제시 단어 중 기설정된 범주 단서에 해당하는 단어를 선택하라는 제2-1-1 지시문을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When performing the 2-1 inspection process,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displays a plurality of suggested words and issues a 2-1-1 instruction to select a word corresponding to a preset category clue among the plurality of suggested words. It can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200.

제1 처리부(152)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제2-1-1 지시문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제시 단어 중 어느 한 단어를 선택한 단어 선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may receive a word selection result of selecting one of a plurality of suggested words in response to the 2-1-1 directive from the user terminal 200.

제1 처리부(152)는 단어 선택 결과와 정답 단어를 비교하여 제2-1-1 검사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1-1 검사점수는 제2-1-1 프로세스를 실행한 전체 횟수 대비 정답으로 판명된 단어 선택 결과가 많을수록 높게 산출될 수 있다.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can calculate the 2-1-1 test score by comparing the word selection result and the correct word. In this embodiment, the 2-1-1 test score can be calculated higher as the number of word selection results determined to be correct is greater compared to the total number of times the 2-1-1 process has been executed.

제1 처리부(152)는 복수개의 제시 단어에 대하여 보기를 제공하지 않고, 앞서 보여준 복수개의 제시 단어 중 기설정된 범주 단서에 속하는 단어를 회상하여 발화하라는 제2-1-2 지시문을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does not provide a view of the plurality of suggested words, but sends a 2-1-2 instruction to the user terminal (200) to recall and utter a word belonging to a preset category clue among the plurality of suggested words shown above. ) can be provided.

제1 처리부(152)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제2-1-2 지시문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범주 단서에 속하는 단어에 대한 발화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may receive a speech result for a word belonging to a preset category clue in response to the 2-1-2 directive from the user terminal 200.

제1 처리부(152)는 발화 결과를 발화 텍스트로 변환하고, 발화 텍스트와 정답 텍스트를 비교하여 제2-1-2 검사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1-2 검사점수는 제2-1-2 프로세스를 실행한 전체 횟수 대비 정답으로 판명된 발화 텍스트가 많을수록 높게 산출될 수 있다.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may convert the speech result into speech text and compare the speech text with the correct answer text to calculate the 2-1-2 test score. In this embodiment, the 2-1-2 inspection score can be calculated higher as the number of utterance texts that are determined to be correct is greater compared to the total number of times the 2-1-2 process has been executed.

본 실시 예에서 제1 처리부(152)는 제2-1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이전에,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2-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방법을 텍스트로 제공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may provide the user terminal 200 with a text on how to execute the 2-1 inspection process before performing the 2-1 inspection process.

제1 처리부(152)는 제2-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하고,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에 제2-2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may complete execution of the 2-1 inspection process and execute the 2-2 inspection process after a preset time has elapsed.

제1 처리부(152)는 제2-2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 시에, 제2-1 검사단계에서 도시된 복수개의 제시 단어 중 범주 단서에 해당하는 제시 단어를 회상하여 발화하라는 제2-2-1 지시문을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When executing the 2-2 test process,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is instructed to recall and utter the suggested word corresponding to the category clue among the plurality of suggested words shown in the 2-1 test step. Instructions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200.

제1 처리부(152)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제2-2-1 지시문에 대응하여 제2-1 검사단계의 실행 시에 봤던 복수개의 제시 단어 중 범주 단서에 해당하는 제시 단어에 대한 발화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receives the utterance result for the presented word corresponding to the category clue among the plurality of presented words seen when executing the 2-1 test step in response to the 2-2-1 instruction from the user terminal 200. can receive.

제1 처리부(152)는 발화 결과를 발화 텍스트로 변환하고, 발화 텍스트와 정답 텍스트를 비교하여 제2-2-1 검사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2-1 검사점수는 제2-2-1 프로세스를 실행한 전체 횟수 대비 정답으로 판명된 발화 텍스트가 많을수록 높게 산출될 수 있다.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may convert the speech result into speech text and compare the speech text with the correct answer text to calculate the 2-2-1 test score. In this embodiment, the 2-2-1 inspection score can be calculated higher as the number of utterance texts that are determined to be correct is greater than the total number of times the 2-2-1 process has been executed.

제1 처리부(152)는 기설정된 제시 단어와 함께, 기설정된 제시 단어가 이전 검사에서 본 단어인지 여부를 선택하라는 제2-2-2 지시문을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may provide the user terminal 200 with a 2-2-2 instruction to select whether the preset suggested word is a word seen in a previous test, along with the preset suggested word.

제1 처리부(152)는 제2-2-2 지시문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제시 단어가 이전 검사에서 본 단어인지 여부를 선택한 결과 및 정답 단어를 비교하여 제2-2-2 검사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2-2 검사점수는 제2-2-2 프로세스를 실행한 전체 횟수 대비 정답으로 판명된 선택 결과가 많을수록 높게 산출될 수 있다.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can calculate the 2-2-2 test score by comparing the selected result and the correct word to determine whether the preset presented word in response to the 2-2-2 instruction is a word seen in the previous test. there is. In this embodiment, the 2-2-2 inspection score can be calculated higher as the number of selection results determined to be correct is greater than the total number of times the 2-2-2 process has been executed.

본 실시 예에서 제1 처리부(152)는 제2-2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이전에,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2-2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방법을 텍스트로 제공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may provide the user terminal 200 with a text on how to execute the 2-2 inspection process before performing the 2-2 inspection process.

선택적 실시 예로 제1 처리부(152)는 제2-1-1 검사점수, 제2-1-2 검사점수, 제2-2-1 검사점수 및 제2-2-2 검사점수 중 하나 이상을 합산하여 제2 검사점수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1 처리부(152)는 제2-1-1 검사점수, 제2-1-2 검사점수, 제2-2-1 검사점수 및 제2-2-2 검사점수를 합산하지 않고, 제2-1-1 검사점수, 제2-1-2 검사점수, 제2-2-1 검사점수 및 제2-2-2 검사점수 각각을 인지기능 저하 평가 시에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검사점수가 제2 규준의 컷-오프 점수보다 높으면 언어 기억력이 양호한 것으로 평가될 수 있고 제2 검사점수가 제2 규준의 컷-오프 점수보다 낮으면 언어 기억력이 저하된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In an optional embodiment,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sums up one or more of the 2-1-1 inspection score, the 2-1-2 inspection score, the 2-2-1 inspection score, and the 2-2-2 inspection score. This can be calculated as the second inspection score. In addition,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does not add up the 2-1-1 inspection score, the 2-1-2 inspection score, the 2-2-1 inspection score, and the 2-2-2 inspection score, and -1-1 test score, 2-1-2 test score, 2-2-1 test score, and 2-2-2 test score can each be used when evaluating cognitive decline. In this example, if the second test score is higher than the cut-off score of the second standard, verbal memory can be evaluated as good, and if the second test score is lower than the cut-off score of the second standard, verbal memory can be evaluated as deteriorated. can be evaluated.

도 6은 제2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a 내지 도 6f는 제2-1 검사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화면의 예시도이고, 제6g 내지 도 6m은 제2-2 검사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Figure 6 is an example view of a screen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200 to perform the second inspection process. Referring to FIG. 6, FIGS. 6A to 6F are exemplary diagrams of screens explaining the 2-1 inspection process, and FIGS. 6G to 6M are exemplary diagrams of screens explaining the 2-2 inspection process.

도 6a는 제2-1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시작 버튼(601)의 입력이 수신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Figure 6a shows the start screen of the 2-1 inspection process. When an input from the start button 601 is received, the screen can be switched to the next screen.

도 6b는 제2-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방법을 텍스트로 제공하고, 제2-1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시작 버튼(602)이 입력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FIG. 6B provides a method of executing the 2-1 inspection process in text and shows a screen notifying the start of the 2-1 inspection process. When the start button 602 is input, the screen can be switched to the next screen.

도 6c는 제2-1 검사 프로세스 중 일부를 실행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제2-1-1 지시문을 확인한 후, 프로그래스 바(603)를 보면서 복수개의 제시 단어 중 어느 한 단어를 선택할 수 있다.Figure 6c shows a screen executing part of the 2-1 inspection process. After checking the 2-1-1 instruction, the user can select one wor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suggested words while looking at the progress bar 603.

도 6d는 도 6c에 도시된 복수개의 제시 단어에 대한 회상의 권유를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FIG. 6D shows a screen notifying an invitation to recall a plurality of suggested words shown in FIG. 6C.

도 6e는 제2-1 검사 프로세스 중 나머지를 실행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제2-1-2 지시문을 확인한 후, 마이크 버튼(604)을 입력하고, 프로그래스 바(605)를 보면서 앞서 보여준 복수개의 제시 단어 중 기설정된 범주 단서에 속하는 단어를 회상하여 발화할 수 있다.Figure 6e shows a screen for executing the remainder of the 2-1 inspection process. After checking the 2-1-2 instruction, the user inputs the microphone button 604, looks at the progress bar 605, and can recall and utter words belonging to a preset category clue among the plurality of suggested words shown above. there is.

도 6f는 제2-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하고 다음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Figure 6f shows a screen indicating completion of execution of the 2-1 test process and the start of the next test process.

도 6g는 제2-2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시작 버튼(606)의 입력이 수신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2 검사 프로세서의 시작 화면은, 제7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이 완료된 후에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될 수 있다.Figure 6g shows the start screen of the 2-2 inspection process. When an input from the start button 606 is received, the screen may be switched to the next screen. Here, the start screen of the 2-2 test processor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200 after execution of the 7th test process is completed.

도 6h는 제2-2 검사 프로세스 중 일부의 실행 방법을 텍스트로 제공하고, 제2-2 검사 프로세스 중 일부의 시작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시작 버튼(607)이 입력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FIG. 6H provides a method of executing part of the 2-2 test process in text and shows a screen notifying the start of part of the 2-2 test process. When the start button 607 is input, the screen can be switched to the next screen.

도 6i는 제2-2 검사 프로세스 중 일부를 실행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제2-2-1 지시문을 확인한 후, 마이크 버튼(608)을 입력하고, 프로그래스 바(609)를 보면서 앞서 보여준 복수개의 제시 단어 중 기설정된 범주 단서에 속하는 단어를 회상하여 발화할 수 있다.Figure 6i shows a screen executing part of the 2-2 inspection process. After checking the 2-2-1 instruction, the user can input the microphone button 608 and, while looking at the progress bar 609, recall and utter words belonging to a preset category clue among the plurality of suggested words shown above. there is.

도 6j는 제2-2 검사 프로세스 중 일부의 실행이 완료되고 제2-2 검사 프로세스 중 나머지의 실행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시작 버튼(610)이 입력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FIG. 6J shows a screen notifying that execution of part of the 2-2 test process is completed and execution of the remaining part of the 2-2 test process. When the start button 610 is input, the screen can be switched to the next screen.

도 6k는 제2-2 검사 프로세스 중 나머지의 실행 방법을 텍스트로 제공하고, 제2-2 검사 프로세스 중 나머지의 시작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시작 버튼(611)이 입력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FIG. 6K provides text on how to execute the remainder of the 2-2 inspection process and shows a screen notifying the start of the remainder of the 2-2 inspection process. When the start button 611 is input, the screen can be switched to the next screen.

도 6l은 제2-2 검사 프로세스 중 나머지를 실행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제2-2-2 지시문을 확인한 후, 프로그래스 바(612)를 보면서 예 버튼(613) 및 아니오 버튼(614)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Figure 6l shows a screen for executing the remainder of the 2-2 inspection process. After checking the 2-2-2 instruction, the user can select one of the Yes button 613 and the No button 614 while looking at the progress bar 612.

도 6m는 제2-2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하고 다음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Figure 6m shows a screen indicating completion of execution of the 2-2 inspection process and the start of the next inspection process.

도 3으로 돌아와서, 제1 처리부(152)는 제3-1 검사 프로세스 및 제3-2 검사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제3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처리부(152)는 제3 검사 프로세스를 복수 회 수행할 수 있다.Returning to FIG. 3,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may perform a third inspection process including a 3-1 inspection process and a 3-2 inspection process.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may perform the third inspection process multiple times.

제1 처리부(152)는 제3-1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 시에, 기설정된 제1 제시 이미지를 도시하고, 기설정된 제1 제시 이미지 내부의 색상 개수가 기설정된 개수 이상인지 여부를 선택하라는 제3-1 지시문을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When performing the 3-1 inspection process,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displays a preset first presented image and instructs the third processor 152 to select whether the number of colors inside the preset first presented imag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set number. A -1 instruction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200.

제1 처리부(152)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제3-1 지시문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제1 제시 이미지 내부의 색상 개수가 기설정된 개수 이상인지 여부를 선택한 결과를 수신하고, 선택한 결과를 정답과 비교하여 제3-1 검사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3-1 검사점수는 제3-1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한 전체 횟수 대비 정답으로 판명된 선택 결과가 많을수록 높게 산출될 수 있다.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receives a result of selecting whether the number of colors inside the first presented image preset in response to the 3-1 instruction is more than the preset number from the user terminal 200, and converts the selected result into the correct answer and By comparing, the 3-1 inspection score can be calculated. In this embodiment, the 3-1 test score may be calculated higher as the number of selection results determined to be correct is greater than the total number of times the 3-1 test process is executed.

본 실시 예에서 제1 처리부(152)는 제3-1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이전에,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3-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방법을 텍스트로 제공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may provide the user terminal 200 with a text on how to execute the 3-1 inspection process before performing the 3-1 inspection process.

제1 처리부(152)는 제3-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하고,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에 제3-2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may complete execution of the 3-1 inspection process and execute the 3-2 inspection process after a preset time has elapsed.

제1 처리부(152)는 제3-2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 시에, 기설정된 제2 제시 이미지를 도시하고, 기설정된 제2 제시 이미지가 이전에 도시한 기설정된 제1 제시 이미지와 동일한지 여부를 선택하라는 제3-2 지시문을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When executing the 3-2 inspection process,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displays a preset second presented image and determines whether the preset second presented image is the same as the previously shown first preset image. A 3-2 instruction to make a selection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200.

제1 처리부(152)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제3-2 지시문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제2 이미지가 이전에 도시한 기설정된 제1 제시 이미지와 동일한지 여부를 선택한 결과를 수신하고, 선택한 결과를 정답과 비교할 수 있다.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receives a result of selecting whether the preset second image corresponding to the 3-2 instruction is the same as the previously shown first presented image from the user terminal 200, and receives the selection result. can be compared with the correct answer.

제1 처리부(152)는 제3-2 지시문이 제공된 시간으로부터 기설정된 제2 이미지가 이전에 도시한 기설정된 제1 제시 이미지와 동일한지 여부를 선택한 시간까지의 제1 소요시간을 카운트할 수 있다.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may count the first time required from the time the 3-2 instruction is provided to the time of selecting whether the preset second image is the same as the previously shown first preset image. .

제1 처리부(152)는 비교의 결과 및 제1 소요시간을 카운트한 결과를 반영하여 제3-2 검사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3-2 검사점수는 제3-2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한 전체 횟수 대비 정답으로 판명된 선택 결과와, 제1 소요시간을 카운트한 결과에 따라 다르게 산출될 수 있다. 제3-2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한 전체 횟수 대비 정답으로 판명된 선택 결과가 많다 하더라도, 제1 소요시간을 카운트한 결과가 크면 제3-2 검사점수는 낮아질 수 있다. 또한, 제3-2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한 전체 횟수 대비 정답으로 판명된 선택 결과가 적다 하더라도, 제1 소요시간을 카운트한 결과가 작으면 제3-2 검사점수는 높아질 수 있다.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may calculate the 3-2 inspection score by reflecting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and the result of counting the first time required. In this embodiment, the 3-2 inspection score may be calcula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election result determined to be correct relative to the total number of times the 3-2 inspection process is executed and the result of counting the first time required. Even if there are many selection results that turn out to be correct compared to the total number of times the 3-2 inspection process has been executed, if the result of counting the first time required is large, the 3-2 inspection score may be lowered. In addition, even if the number of selection results determined to be correct is small compared to the total number of times the 3-2 inspection process is executed, the 3-2 inspection score may increase if the result of counting the first time required is small.

본 실시 예에서 제1 처리부(152)는 제3-2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이전에,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3-2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방법을 텍스트로 제공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may provide the user terminal 200 with a text on how to execute the 3-2 inspection process before performing the 3-2 inspection process.

선택적 실시 예로 제1 처리부(152)는 제3-1 검사점수 및 제3-2 검사점수를 합산하여 제3 검사점수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1 처리부(152)는 제3-1 검사점수 및 제3-2 검사점수를 합산하지 않고, 제3-1 검사점수 및 제3-2 검사점수 각각을 인지기능 저하 평가 시에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3 검사점수가 제3 규준의 컷-오프 점수보다 높으면 시지각 기억력이 양호한 것으로 평가될 수 있고 제3 검사점수가 제3 규준의 컷-오프 점수보다 낮으면 시지각 기억력이 저하된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In an optional embodiment,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may calculate the third inspection score by adding the 3-1 inspection score and the 3-2 inspection score. In addition,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does not add up the 3-1 test score and the 3-2 test score, but can use each of the 3-1 test score and the 3-2 test score when evaluating cognitive decline. . In this embodiment, if the third test score is higher than the cut-off score of the third standard, visual perceptual memory can be evaluated as good, and if the third test score is lower than the cut-off score of the third standard, visual perceptual memory is deteriorated. It can be evaluated as having been done.

도 7은 제3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7a 내지 도 7d는 제3-1 검사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화면의 예시도이고, 제7e 내지 도 7h는 제3-2 검사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Figure 7 is an example view of a screen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200 to perform the third inspection process. Referring to FIG. 7, FIGS. 7A to 7D are exemplary diagrams of screens explaining the 3-1 inspection process, and FIGS. 7E to 7H are exemplary diagrams of screens explaining the 3-2 inspection process.

도 7a는 제3-1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시작 버튼(701)의 입력이 수신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Figure 7a shows the start screen of the 3-1 inspection process. When an input from the start button 701 is received, the screen may be switched to the next screen.

도 7b는 제3-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방법을 텍스트로 제공하고, 제3-1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시작 버튼(702)이 입력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FIG. 7B provides a method of executing the 3-1 inspection process in text and shows a screen notifying the start of the 3-1 inspection process. When the start button 702 is input, the screen can be switched to the next screen.

도 7c는 제3-1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제3-1 지시문을 확인한 후, 제1 제시 이미지 내부의 색상 개수가 기설정된 개수 이상인지 여부에 대응하여 예 버튼(703) 및 아니오 버튼(704)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제한 시간을 카운트하는 기능 및 작업 진행 정도를 도시하는 기능 중 하나 이상을 실행하는 프로그래스 바(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Figure 7c shows a screen for executing the 3-1 inspection process. After checking the 3-1 instruction, the user can select one of the yes button 703 and the no button 704 in response to whether the number of colors inside the first presented image is more than a preset number. Here, a progress bar (not shown) that executes one or more of a function for counting the time limit and a function for showing the progress of a task may be further included.

도 7d는 제3-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하고 다음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Figure 7d shows a screen indicating completion of execution of the 3-1 inspection process and the start of the next inspection process.

도 7e는 제3-2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시작 버튼(705)의 입력이 수신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여기서 제3-2 검사 프로세서의 시작 화면은, 제2-2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이 완료된 후에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될 수 있다.Figure 7e shows the start screen of the 3-2 inspection process. When an input from the start button 705 is received, the screen may be switched to the next screen. Here, the start screen of the 3-2 test processor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200 after execution of the 2-2 test process is completed.

도 7f는 제3-1 검사 프로세스 실행시에 제공한 제1 제시 이미지에 대한 회상의 권유를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FIG. 7F shows a screen notifying a recommendation to recall the first presented image provided when executing the 3-1 inspection process.

도 7g는 제3-2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제3-2 지시문을 확인한 후, 제2 제시 이미지가 제1 제시 이미지와 동일한지 여부에 대응하여 예 버튼(706) 및 아니오 버튼(707)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제한 시간을 카운트하는 기능 및 작업 진행 정도를 도시하는 기능 중 하나 이상을 실행하는 프로그래스 바(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Figure 7g shows a screen for executing the 3-2 inspection process. After checking the 3-2 instruction, the user can select one of the yes button 706 and the no button 707 in response to whether the second presented image is the same as the first presented image. Here, a progress bar (not shown) that executes one or more of a function for counting the time limit and a function for showing the progress of a task may be further included.

도 7h는 제3-2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하고 다음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Figure 7h shows a screen indicating completion of execution of the 3-2 inspection process and the start of the next inspection process.

도 3으로 돌아와서, 제1 처리부(152)는 제4-1 검사 프로세스 및 제4-2 검사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제4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처리부(152)는 연습 검사를 제외한 제4 검사 프로세스를 복수 회 수행할 수 있다.Returning to FIG. 3,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may perform a fourth inspection process including a 4-1 inspection process and a 4-2 inspection process.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may perform the fourth test process excluding the practice test multiple times.

제1 처리부(152)는 제4-1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 시에, 기설정된 제시 단어와, 2개의 선택 단어를 도시하고, 기설정된 제시 단어와 동일한 단어를 2개의 선택 단어 중에서 선택하라는 제4-1 지시문을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When performing the 4-1 inspection process,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displays a preset suggested word and two selection words, and selects the same word as the preset suggested word from the two selection words. 1 Instructions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200.

제1 처리부(152)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제4-1 지시문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제시 단어와 동일한 단어를 2개의 선택 단어 중에서 선택한 결과를 수신하고, 선택한 결과를 정답과 비교하여 제4-1 검사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4-1 검사점수는 제4-1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한 전체 횟수 대비 정답으로 판명된 선택 결과가 많을수록 높게 산출될 수 있다.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receives the result of selecting the same word as the preset suggested word in response to the 4-1 instruction from the user terminal 200 among the two selected words, compares the selected result with the correct answer, and selects the 4-1 directive. 1 The inspection score can be calculated. In this embodiment, the 4-1 inspection score may be calculated higher as the number of selection results determined to be correct is greater than the total number of times the 4-1 inspection process is executed.

본 실시 예에서 제1 처리부(152)는 제4-1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이전에,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4-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방법을 텍스트로 제공하고, 제4-1 검사 프로세스에 대한 연습 검사를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before performing the 4-1 inspection process,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provides the user terminal 200 with a method of executing the 4-1 inspection process in text, and executes the 4-1 inspection process. You can run a practice test for .

제1 처리부(152)는 제4-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하고, 제4-2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may complete execution of the 4-1 inspection process and execute the 4-2 inspection process.

제1 처리부(152)는 제4-2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 시에, 기설정된 제시 단어와, 2개의 색상 선택 단어를 도시하고, 기설정된 제시 단어와 동일한 색상을 갖는 단어를 2개의 색상 선택 단어 중에서 선택하라는 제4-2 지시문을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When performing the 4-2 inspection process,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displays a preset suggested word and two color selection words, and selects a word having the same color as the preset suggested word from among the two color selection words. A 4-2 instruction to make a selection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200.

제1 처리부(152)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제4-2 지시문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제시 단어와 동일한 색상을 갖는 단어를 2개의 색상 선택 단어 중에서 선택한 결과를 수신하고, 선택한 결과를 정답과 비교하여 제4-2 검사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4-2 검사점수는 제4-2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한 전체 횟수 대비 정답으로 판명된 선택 결과가 많을수록 높게 산출될 수 있다.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receives the result of selecting a word having the same color as the preset suggested word in response to the 4-2 instruction from the user terminal 200 among the two color selection words, and compares the selected result with the correct answer. Thus, the 4-2 inspection score can be calculated. In this embodiment, the 4-2 inspection score may be calculated higher as the number of selection results determined to be correct is greater than the total number of times the 4-2 inspection process is executed.

본 실시 예에서 제1 처리부(152)는 제4-2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이전에,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4-2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방법을 텍스트로 제공하고, 제4-2 검사 프로세스에 대한 연습 검사를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before performing the 4-2 inspection process,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provides the user terminal 200 with a text on how to execute the 4-2 inspection process, and executes the 4-2 inspection process. You can run a practice test for .

선택적 실시 예로 제1 처리부(152)는 제4-1 검사점수 및 제4-2 검사점수를 합산하여 제4 검사점수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1 처리부(152)는 제4-1 검사점수 및 제4-2 검사점수를 합산하지 않고, 제4-1 검사점수 및 제4-2 검사점수 각각을 인지기능 저하 평가 시에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4 검사점수가 제4 규준의 컷-오프 점수보다 높으면 억제 기능이 양호한 것으로 평가될 수 있고 제4 검사점수가 제4 규준의 컷-오프 점수보다 낮으면 억제 기능이 저하된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In an optional embodiment,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may calculate the fourth inspection score by adding the 4-1 inspection score and the 4-2 inspection score. In addition,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does not add up the 4-1 test score and the 4-2 test score, but can use each of the 4-1 test score and the 4-2 test score when evaluating cognitive decline. . In this example, if the fourth test score is higher than the cut-off score of the fourth standard, the inhibitory function can be evaluated as good, and if the fourth test score is lower than the cut-off score of the fourth standard, the inhibitory function can be evaluated as poor. can be evaluated.

도 8은 제4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8를 참조하면, 도 8a 내지 도 8i는 제4-1 검사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화면의 예시도이고, 제8j 내지 도 8n은 제4-2 검사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Figure 8 is an example view of a screen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200 to perform the fourth inspection process. Referring to FIG. 8, FIGS. 8A to 8I are exemplary diagrams of screens explaining the 4-1 inspection process, and FIGS. 8J to 8N are exemplary diagrams of screens explaining the 4-2 inspection process.

도 8a는 제4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시작 버튼(801)의 입력이 수신되면 제4-1 검사 프로세스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Figure 8A shows the start screen of the fourth inspection process. When an input from the start button 801 is received, the screen may be switched to the 4-1 inspection process screen.

도 8b는 제4-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방법을 텍스트로 제공하고, 제4-1 검사 프로세스에 대한 연습 검사 프로세스(제4-1 연습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연습시작 버튼(802)이 입력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FIG. 8B provides a method of executing the 4-1 inspection process in text and shows a screen notifying the start of a practice inspection process (4-1 practice inspection process) for the 4-1 inspection process. When the practice start button 802 is input, the screen can be switched to the next screen.

도 8c는 제4-1 연습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제4-1 연습 지시문을 확인한 후, 제1 선택 단어(803) 및 제2 선택 단어(804) 중에서 제시 단어와 동일한 단어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제한 시간을 카운트하는 기능 및 작업 진행 정도를 도시하는 기능 중 하나 이상을 실행하는 프로그래스 바(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Figure 8c shows a screen for executing the 4-1 practice inspection process. After checking the 4-1 practice instruction, the user can select the same word as the suggested word from among the first selection word 803 and the second selection word 804. Here, a progress bar (not shown) that executes one or more of a function for counting the time limit and a function for showing the progress of a task may be further included.

도 8d는 도 8c로부터 제1 선택 단어(805)를 선택한 결과에 대하여, 정답임을 표시한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제1 선택 단어(805)는 도 8c의 제1 선택 단어(803)와 동일하다.FIG. 8D shows a screen indicating that the result of selecting the first selected word 805 from FIG. 8C is the correct answer. Here, the first selection word 805 is the same as the first selection word 803 in FIG. 8C.

도 8e는 제4-1 연습 검사 프로세스의 재실행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제4-1 연습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결과가 오답인 경우 제4-1 연습 검사 프로세스가 재실행 될 수 있다.Figure 8e shows a screen notifying the re-execution of the 4-1 practice inspection process. If the execution result of the 4-1 practice test process is an incorrect answer, the 4-1 practice test process may be re-executed.

도 8f는 제4-1 연습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하고 본 검사의 실행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FIG. 8F shows a screen notifying that execution of the 4-1 practice test process has been completed and execution of the main test has been completed.

도 8g는 제4-1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제4-1 지시문을 확인한 후, 프로그래스 바(806)를 보면서 제1 선택 단어(807) 및 제2 선택 단어(808) 중에서 제시 단어와 동일한 단어를 선택할 수 있다.Figure 8g shows a screen for executing the 4-1 inspection process. After checking the 4-1 instruction, the user can select the same word as the suggested word among the first selection word 807 and the second selection word 808 while looking at the progress bar 806.

도 8h는 도 8g로부터 제1 선택 단어(809)를 선택한 결과에 대하여, 정답임을 표시한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제1 선택 단어(809)는 도 8g의 제1 선택 단어(807)와 동일하다.FIG. 8h shows a screen indicating that the result of selecting the first selected word 809 from FIG. 8g is the correct answer. Here, the first selection word 809 is the same as the first selection word 807 in FIG. 8G.

도 8i는 제4-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하고 다음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Figure 8i shows a screen indicating completion of execution of the 4-1 inspection process and the start of the next inspection process.

도 8j는 제4-2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방법을 텍스트로 제공하고, 제4-2 검사 프로세스에 대한 연습 검사 프로세스(제4-2 연습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연습시작 버튼(810)이 입력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FIG. 8J provides a method of executing the 4-2 inspection process in text and shows a screen notifying the start of a practice inspection process for the 4-2 inspection process (4-2 practice inspection process). When the practice start button 810 is input, the screen can be switched to the next screen.

도 8k는 제4-2 연습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제4-2 연습 지시문을 확인한 후, 제1 선택 단어(811) 및 제2 선택 단어(812) 중에서 제시 단어와 동일한 색상을 가진 단어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제한 시간을 카운트하는 기능 및 작업 진행 정도를 도시하는 기능 중 하나 이상을 실행하는 프로그래스 바(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8k에서는 사용자가 제2 선택 단어(812)를 선택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Figure 8k shows a screen for executing the 4-2 practice inspection process. After checking the 4-2 practice instruction, the user can select a word with the same color as the suggested word from among the first selection word 811 and the second selection word 812. Here, a progress bar (not shown) that executes one or more of a function for counting the time limit and a function for showing the progress of a task may be further included. FIG. 8K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user selects the second selection word 812.

도 8l은 제4-2 연습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하고 본 검사의 실행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Figure 8l shows a screen indicating completion of execution of the 4-2 practice inspection process and execution of the main inspection.

도 8m은 제4-2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제4-2 지시문을 확인한 후, 프로그래스 바(813)를 보면서 제1 선택 단어(814) 및 제2 선택 단어(815) 중에서 제시 단어와 동일한 색상을 가진 단어를 선택할 수 있다. 도 8m에서는 사용자가 제2 선택 단어(815)를 선택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Figure 8m shows a screen for executing the 4-2 inspection process. After checking the 4-2 instruction, the user can select a word with the same color as the presented word from among the first selection word 814 and the second selection word 815 while looking at the progress bar 813. Figure 8m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user selects the second selection word 815.

도 8n은 제4-2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하고 다음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Figure 8n shows a screen indicating completion of execution of the 4-2 inspection process and the start of the next inspection process.

도 3으로 돌아와서, 제1 처리부(152)는 제5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처리부(152)는 연습 검사를 제외한 제5 검사 프로세스를 복수 회 수행할 수 있다.Returning to FIG. 3,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may perform a fifth inspection process.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may perform the fifth inspection process multiple times excluding the practice inspection.

제1 처리부(152)는 제5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 시에, 기설정된 제시 선과, 각도가 서로 다른 복수개의 선택 선을 도시하고, 복수개의 선택 선으로부터 제시 선과 각도가 가장 비슷한 선을 선택하라는 제5 지시문을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When performing the fifth inspection process,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displays a plurality of selection lines having different angles from a preset presentation line and instructs the fifth selection line to select the line with the most similar angle to the presentation line from the plurality of selection lines. Instructions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200.

제1 처리부(152)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제5 지시문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선택 선으로부터 제시 선과 각도가 가장 비슷한 선을 선택한 결과를 수신하고, 선택한 결과를 정답 선과 비교하여 제5 검사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5 검사점수는 제5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한 전체 횟수 대비 정답으로 판명된 선택 결과가 많을수록 높게 산출될 수 있다.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receives the result of selecting the line with the most similar angle to the presented line from a plurality of selection lines in response to the fifth instruction from the user terminal 200, and compares the selected result with the correct answer line to determine the fifth inspection score. It can be calculated. In this embodiment, the fifth test score may be calculated higher as the number of selection results determined to be correct is greater compared to the total number of times the fifth test process is executed.

본 실시 예에서 제1 처리부(152)는 제5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이전에,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5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방법을 텍스트로 제공하고, 제5 검사 프로세스에 대한 연습 검사를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before performing the fifth inspection process,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provides the user terminal 200 with a text on how to execute the fifth inspection process and executes a practice inspection for the fifth inspection process. You can do it.

본 실시 예에서 제5 검사점수가 제5 규준의 컷-오프 점수보다 높으면 시공간 지각력이 양호한 것으로 평가될 수 있고 제5 검사점수가 제5 규준의 컷-오프 점수보다 낮으면 시공간 지각력이 저하된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또한, 하기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시 선 및 복수개의 선택 선의 위치를 서로 바꾸어 검사함으로써, 검사 결과로부터 편측 이상을 해석할 수 있다.In this example, if the 5th test score is higher than the cut-off score of the 5th standard, the spatiotemporal perception can be evaluated as good, and if the 5th test score is lower than the cut-off score of the 5th standard, the spatiotemporal perception can be evaluated as poor. can be evaluated. In addition, as shown in FIG. 9 below, by changing the positions of the presentation line and a plurality of selection lines, it is possible to interpret unilateral abnormality from the test results.

도 9는 제5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Figure 9 is an example view of a screen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200 to perform the fifth inspection process.

도 9를 참조하면, 도 9a는 제5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시작 버튼(901)의 입력이 수신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FIG. 9A shows the start screen of the fifth inspection process. When an input from the start button 901 is received, the screen may be switched to the next screen.

도 9b는 제5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방법을 텍스트로 제공하고, 제5 검사 프로세스에 대한 연습 검사 프로세스(제5 연습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연습시작 버튼(902)이 입력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FIG. 9B provides a method of executing the fifth inspection process in text and shows a screen notifying the start of a practice inspection process (fifth practice inspection process) for the fifth inspection process. When the practice start button 902 is input, the screen can be switched to the next screen.

도 9c는 제5 연습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제5 연습 지시문을 확인한 후, 우측에 도시된 복수개의 선택 선으로부터 좌측에 도시된 제시 선과 각도가 가장 비슷한 선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제한 시간을 카운트하는 기능 및 작업 진행 정도를 도시하는 기능 중 하나 이상을 실행하는 프로그래스 바(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가 선을 선택한 후 확인 버튼(903)을 입력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Figure 9C shows a screen for executing the fifth practice inspection process. After checking the fifth practice instruction, the user can select the line whose angle is most similar to the suggested line shown on the left from the plurality of selection lines shown on the right. Here, a progress bar (not shown) that executes one or more of a function for counting the time limit and a function for showing the progress of a task may be further included. If the user selects a line and presses the OK button 903, the screen can be switched to the next screen.

도 9d는 제5 연습 검사 프로세스의 재실행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제5 연습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결과가 오답인 경우 제5 연습 검사 프로세스가 재실행 될 수 있다.Figure 9d shows a screen notifying the re-execution of the fifth practice inspection process. If the execution result of the fifth practice test process is an incorrect answer, the fifth practice test process may be re-executed.

도 9e는 제5 연습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하고 본 검사의 실행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FIG. 9E shows a screen indicating completion of execution of the fifth practice inspection process and execution of the main inspection.

도 9f는 제5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화면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제5 지시문을 확인한 후, 프로그래스 바(904)를 보면서 우측에 도시된 복수개의 선택 선으로부터 좌측에 도시된 제시 선과 각도가 가장 비슷한 선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선을 선택한 후 확인 버튼(905)을 입력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Figure 9f shows an example of a screen executing the fifth inspection process. After checking the fifth instruction, the user can view the progress bar 904 and select the line whose angle is most similar to the presented line shown on the left from the plurality of selection lines shown on the right. If the user selects a line and then presses the OK button 905, the screen can be switched to the next screen.

도 9g는 제5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화면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제5 지시문을 확인한 후, 프로그래스 바(906)를 보면서 좌측에 도시된 복수개의 선택 선으로부터 우측에 도시된 제시 선과 각도가 가장 비슷한 선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선을 선택한 후 확인 버튼(907)을 입력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Figure 9g shows another example of a screen executing the fifth inspection process. After checking the fifth instruction, the user can view the progress bar 906 and select the line whose angle is most similar to the presented line shown on the right from the plurality of selection lines shown on the left. If the user selects a line and presses the OK button 907, the screen can be switched to the next screen.

도 9h는 제5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하고 다음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Figure 9h shows a screen indicating completion of execution of the fifth inspection process and the start of the next inspection process.

도 3으로 돌아와서, 제1 처리부(152)는 제6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처리부(152)는 연습 검사를 제외한 제6 검사 프로세스를 복수 회 수행할 수 있다.Returning to FIG. 3,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may perform a sixth inspection process.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may perform the sixth test process multiple times excluding the practice test.

제1 처리부(152)는 제6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 시에, 복수개의 기설정된 제시 도형을 도시하고, 복수개의 기설정된 제시 도형으로부터 색상이 다른 도형을 선택하라는 제6 지시문을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When performing the sixth inspection process,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displays a plurality of preset presented figures and sends a sixth instruction to the user terminal 200 to select a figure with a different color from the plurality of preset presented figures. can be provided.

제1 처리부(152)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제6 지시문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기설정된 제시 도형으로부터 색상이 다른 도형을 선택한 결과를 수신하고, 선택한 결과를 정답과 비교하여 제6 검사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6 검사점수는 제6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한 전체 횟수 대비 정답으로 판명된 선택 결과가 많을수록 높게 산출될 수 있다.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receives the result of selecting a shape with a different color from a plurality of preset presented shapes in response to the sixth instruction from the user terminal 200, and compares the selected result with the correct answer to calculate the sixth test score. can do. In this embodiment, the sixth test score may be calculated higher as the number of selection results determined to be correct is greater than the total number of times the sixth test process has been executed.

본 실시 예에서 제1 처리부(152)는 제6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이전에,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6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방법을 텍스트로 제공하고, 제6 검사 프로세스에 대한 연습 검사를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before performing the sixth inspection process,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provides the user terminal 200 with a text on how to execute the sixth inspection process and executes a practice inspection for the sixth inspection process. You can do it.

본 실시 예에서 제6 검사점수가 제6 규준의 컷-오프 점수보다 높으면 색상 구분 능력이 양호한 것으로 평가될 수 있고 제6 검사점수가 제6 규준의 컷-오프 점수보다 낮으면 색상 구분 능력이 저하된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if the 6th test score is higher than the cut-off score of the 6th standard, the color discrimination ability can be evaluated as good, and if the 6th test score is lower than the cut-off score of the 6th standard, the color discrimination ability is deteriorated. It can be evaluated as having been done.

도 10은 제6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Figure 10 is an example view of a screen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200 to perform the sixth inspection process.

도 10을 참조하면, 도 10a는 제6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시작 버튼(1001)의 입력이 수신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FIG. 10A shows the start screen of the sixth inspection process. When an input from the start button 1001 is received, the screen may be switched to the next screen.

도 10b는 제6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방법을 텍스트로 제공하고, 제6 검사 프로세스에 대한 연습 검사 프로세스(제6 연습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연습시작 버튼(1002)이 입력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FIG. 10B provides a method of executing the sixth inspection process in text and shows a screen notifying the start of a practice inspection process (sixth practice inspection process) for the sixth inspection process. When the practice start button 1002 is input, the screen can be switched to the next screen.

도 10c는 제6 연습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제6 연습 지시문을 확인한 후, 프로그래스 바(1003)를 보면서, 복수개의 기설정된 제시 도형으로부터 색상이 다른 도형을 선택할 수 있다. 도형의 선택이 완료되거나 또는 제한 시간의 카운트가 완료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Figure 10C shows a screen for executing the sixth practice inspection process. After checking the sixth practice instruction, the user can select a shape with a different color from a plurality of preset presented shapes while looking at the progress bar 1003. When the selection of the shape is completed or the time limit is counted, the screen can be switched to the next screen.

도 10d는 도 10c에 도시된 제6 연습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결과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선택한 도형이 정답인 경우 정답 기호 및/또는 정답 효과음을 이용하여 정답임을 출력하고, 선택한 도형이 오답인 경우 오답 기호 및/또는 오답 효과음을 이용하여 오답임을 출력할 수 있다.FIG. 10D shows an execution result screen of the sixth practice inspection process shown in FIG. 10C. If the selected shape is the correct answer, the correct answer can be output using the correct answer symbol and/or the correct answer sound effect. If the selected shape is the wrong answer, the incorrect answer can be output using the incorrect answer symbol and/or the incorrect answer sound effect.

도 10e는 제6 연습 검사 프로세스의 재실행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제6 연습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결과가 오답인 경우 제6 연습 검사 프로세스가 재실행 될 수 있다.Figure 10e shows a screen notifying the re-execution of the sixth practice inspection process. If the execution result of the sixth practice test process is an incorrect answer, the sixth practice test process may be re-executed.

도 10f는 제6 연습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하고 본 검사의 실행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FIG. 10F shows a screen indicating completion of execution of the sixth practice inspection process and execution of the main inspection.

도 10g는 제6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방법을 텍스트로 제공하고, 제6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시작 버튼(1004)이 입력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FIG. 10G provides a method of executing the sixth inspection process in text and shows a screen notifying the start of the sixth inspection process. When the start button 1004 is input, the screen can be switched to the next screen.

도 10h는 제6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제6 지시문을 확인한 후, 프로그래스 바(1005)를 보면서, 복수개의 기설정된 제시 도형으로부터 색상이 다른 도형을 선택할 수 있다. 도형의 선택이 완료되거나 또는 제한 시간의 카운트가 완료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Figure 10h shows a screen for executing the sixth inspection process. After checking the sixth instruction, the user can select a shape with a different color from a plurality of preset presented shapes while looking at the progress bar 1005. When the selection of the shape is completed or the time limit is counted, the screen can be switched to the next screen.

도 10i는 도 10h에 도시된 제6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결과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선택한 도형이 정답인 경우 정답 기호 및/또는 정답 효과음을 이용하여 정답임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선택한 도형이 오답인 경우 오답 기호 및/또는 오답 효과음을 이용하여 오답임을 출력할 수 있다.FIG. 10I shows an execution result screen of the sixth inspection process shown in FIG. 10H. If the selected shape is the correct answer, the correct answer can be output using the correct answer symbol and/or the correct answer sound effect. Additionally, if the selected shape is an incorrect answer, the incorrect answer can be output using an incorrect answer symbol and/or an incorrect answer sound effect.

도 10j는 제6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하고 다음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Figure 10j shows a screen indicating completion of execution of the sixth inspection process and the start of the next inspection process.

도 3으로 돌아와서, 제1 처리부(152)는 제7-1 검사 프로세스 및 제7-2 검사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제7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처리부(152)는 제7 검사 프로세스를 복수 회 수행할 수 있다.Returning to FIG. 3,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may perform a seventh inspection process including a 7-1 inspection process and a 7-2 inspection process.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may perform the seventh inspection process multiple times.

제1 처리부(152)는 제7-1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 시에, 제1 대상체에 대한 이름 및 제1 대상체에 대한 모양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제1 대상체 제시 이미지를 도시하고, 제1 대상체의 각각에 대한 크기를 판단하여 복수개의 제1 대상체 제시 이미지를 내림차순으로 선택하라는 제7-1 지시문을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When performing the 7-1 inspection process,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displays a plurality of first object presentation images including a name for the first object and a shape for the first object, and each of the first object A 7-1 instruction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200 to determine the size and select a plurality of first object presented images in descending order.

제1 처리부(152)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제7-1 지시문에 대응하여 제1 대상체 제시 이미지를 내림차순으로 선택한 결과를 수신하고, 선택한 결과를 정답과 비교하여 제7-1 검사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7-1 검사점수는 제7-1 프로세스를 실행한 전체 횟수 대비 정답으로 판명된 선택 결과가 많을수록 높게 산출될 수 있다.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receives the results of selecting the first object presentation image in descending order in response to the 7-1 instruction from the user terminal 200, and compares the selected result with the correct answer to calculate the 7-1 test score. can do. In this embodiment, the 7-1 inspection score can be calculated higher as the number of selection results determined to be correct is greater than the total number of times the 7-1 process has been executed.

본 실시 예에서 제1 처리부(152)는 제7-1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이전에,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7-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방법을 텍스트로 제공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may provide the user terminal 200 with a text on how to execute the 7-1 inspection process before performing the 7-1 inspection process.

제1 처리부(152)는 제7-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하고, 제7-2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may complete execution of the 7-1 inspection process and execute the 7-2 inspection process.

제1 처리부(152)는 제7-2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 시에, 제2 대상체에 대한 모양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제2 대상체 제시 이미지를 도시하고, 제2 대상체의 각각에 대한 무게를 판단하여 복수개의 제2 대상체 제시 이미지를 내림차순으로 선택하라는 제7-2 지시문을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When performing the 7-2 inspection process,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displays a plurality of images presented with the second object including the shape of the second object, determines the weight of each of the second objects, and determines the plurality of images presented. A 7-2 instruction to select the presented images of the second objects in descending order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200.

제1 처리부(152)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제7-2 지시문에 대응하여 제2 대상체 제시 이미지를 내림차순으로 선택한 결과를 수신하고, 선택된 결과를 정답과 비교하여 제7-2 검사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receives the results of selecting the presented images of the second object in descending order in response to the 7-2 instruction from the user terminal 200, and compares the selected results with the correct answer to calculate the 7-2 test score. can do.

본 실시 예에서 제1 처리부(152)는 제7-2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이전에,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7-2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방법을 텍스트로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7-2 검사점수는 제7-2 프로세스를 실행한 전체 횟수 대비 정답으로 판명된 선택 결과가 많을수록 높게 산출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may provide the user terminal 200 with a text on how to execute the 7-2 inspection process before performing the 7-2 inspection process. In this embodiment, the 7-2 inspection score can be calculated higher as the number of selection results determined to be correct is greater than the total number of times the 7-2 process has been executed.

선택적 실시 예로 제1 처리부(152)는 제7-1 검사점수 및 제7-2 검사점수를 합산하여 제7 검사점수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1 처리부(152)는 제7-1 검사점수 및 제7-2 검사점수를 합산하지 않고, 제7-1 검사점수 및 제7-2 검사점수 각각을 인지기능 저하 평가 시에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7 검사점수가 제7 규준의 컷-오프 점수보다 높으면 의미 기억력이 양호한 것으로 평가될 수 있고 제7 검사점수가 제7 규준의 컷-오프 점수보다 낮으면 의미 기억력이 저하된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In an optional embodiment,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may calculate the 7th inspection score by adding the 7-1 inspection score and the 7-2 inspection score. In addition,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does not add up the 7-1 test score and the 7-2 test score, but can use each of the 7-1 test score and the 7-2 test score when evaluating cognitive decline. . In this example, if the 7th test score is higher than the cut-off score of the 7th standard, semantic memory can be evaluated as good, and if the 7th test score is lower than the cut-off score of the 7th standard, semantic memory can be evaluated as deteriorated. can be evaluated.

도 11은 제7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1를 참조하면, 도 11a 내지 도 11e는 제7-1 검사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화면의 예시도이고, 제11f 내지 도 11h는 제7-2 검사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Figure 11 is an example of a screen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200 to perform the seventh inspection process. Referring to FIG. 11, FIGS. 11A to 11E are exemplary diagrams of screens explaining the 7-1 inspection process, and FIGS. 11F to 11H are exemplary diagrams of screens explaining the 7-2 inspection process.

도 11a는 제7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시작 버튼(1101)의 입력이 수신되면 제7-1 검사 프로세스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Figure 11A shows the start screen of the seventh inspection process. When the input of the start button 1101 is received, the screen may be switched to the 7-1 inspection process screen.

도 11b는 제7-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방법을 텍스트로 제공하고, 제7-1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시작 버튼(1102)이 입력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FIG. 11B provides a method of executing the 7-1 inspection process in text and shows a screen notifying the start of the 7-1 inspection process. When the start button 1102 is input, the screen can be switched to the next screen.

도 11c는 제7-1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제7-1 지시문을 확인한 후, 프로그래스 바(1103)를 보면서 복수개의 제1 대상체 제시 이미지를 크기 순으로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선택의 수정이 필요한 경우에 입력수정 버튼(1104)을 입력하여 재 선택을 수행하고 있다. 사용자가 선택을 완료하고 확인 버튼(1105)을 입력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Figure 11c shows a screen for executing the 7-1 inspection process. After checking the 7-1 instruction, the user can select a plurality of first object presented images in order of size while looking at the progress bar 1103. When the user needs to modify the selection, he/she inputs the input correction button 1104 to re-select. When the user completes the selection and presses the confirmation button 1105, the screen can be switched to the next screen.

도 11d는 제7-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결과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제1 대상체 제시 이미지에 사용자가 선택한 순서를 나타내는 숫자가 출력될 수 있다. Figure 11d shows the execution result screen of the 7-1 inspection process. A number indicating the order selected by the user may be output on the first object presented image.

도 11e는 제7-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하고 다음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Figure 11e shows a screen indicating completion of execution of the 7-1 inspection process and the start of the next inspection process.

도 11f는 제7-2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방법을 텍스트로 제공하고, 제7-2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시작 버튼(1106)이 입력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FIG. 11F provides a method of executing the 7-2 inspection process in text and shows a screen notifying the start of the 7-2 inspection process. When the start button 1106 is input, the screen can be switched to the next screen.

도 11g는 제7-2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제7-2 지시문을 확인한 후, 프로그래스 바(1107)를 보면서 복수개의 제2 대상체 제시 이미지를 무게 순으로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선택의 수정이 필요한 경우에 입력수정 버튼(1108)을 입력하여 재 선택을 수행하고 있다. 사용자가 선택을 완료하고 확인 버튼(1109)을 입력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Figure 11g shows a screen for executing the 7-2 inspection process. After checking the 7-2 instruction, the user can select a plurality of presented images of the second object in order of weight while looking at the progress bar 1107. When the user needs to modify the selection, he or she inputs the input correction button 1108 to re-select. When the user completes the selection and presses the confirmation button 1109, the screen can be switched to the next screen.

도 11h는 제7-2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하고 다음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Figure 11h shows a screen indicating completion of execution of the 7-2 inspection process and the start of the next inspection process.

도 3으로 돌아와서, 제1 처리부(152)는 제8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처리부(152)는 연습 검사를 제외한 제8 검사 프로세스를 복수 회 수행할 수 있다.Returning to FIG. 3,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may perform an eighth inspection process.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may perform the eighth test process multiple times excluding the practice test.

제1 처리부(152)는 제8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 시에, 감정이 표현되어 있는 기설정된 얼굴 제시 이미지와, 감정의 세기를 선택할 수 있는 복수개의 버튼은 도시하고, 기설정된 얼굴 제시 이미지에 나타난 감정의 세기를 복수개의 버튼 중 어느 하나로 선택하라는 제8 지시문을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When performing the eighth inspection process,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shows a preset face presentation image expressing emotions, a plurality of buttons for selecting the intensity of the emotion, and the emotions shown in the preset face presentation image. An eighth instruction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200 to select the intensity with one of a plurality of buttons.

제1 처리부(152)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제8 지시문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얼굴 제시 이미지에 나타난 감정의 세기를 복수개의 버튼 중 어느 하나로 선택한 결과를 수신하고, 선택한 결과를 정답과 비교하여 제8 검사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8 검사점수는 제8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한 전체 횟수 대비 정답으로 판명된 선택한 결과가 많을수록 높게 산출될 수 있다.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receives the result of selecting the intensity of emotion shown in the preset face presentation image with one of a plurality of buttons in response to the eighth instruction from the user terminal 200, compares the selected result with the correct answer, and 8 Inspection scores can be calculated. In this embodiment, the 8th inspection score can be calculated higher as the number of selected results that turn out to be correct is greater compared to the total number of times the 8th inspection process is executed.

본 실시 예에서 제1 처리부(152)는 제8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이전에,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8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방법을 텍스트로 제공하고, 제8 검사 프로세스에 대한 연습 검사를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before performing the eighth inspection process,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provides the user terminal 200 with a text on how to execute the eighth inspection process and executes a practice inspection for the eighth inspection process. You can do it.

본 실시 예에서 제8 검사점수가 제8 규준의 컷-오프 점수보다 높으면 감정의 세기 인식력이 양호한 것으로 평가될 수 있고 제8 검사점수가 제8 규준의 컷-오프 점수보다 낮으면 감정의 세기 인식력이 저하된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if the 8th test score is higher than the cut-off score of the 8th standard, the emotional intensity recognition ability can be evaluated as good, and if the 8th test score is lower than the cut-off score of the 8th standard, the emotional intensity recognition ability can be evaluated as good. This can be evaluated as degraded.

도 12는 제8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Figure 12 is an example view of a screen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200 to perform the eighth inspection process.

도 12를 참조하면, 도 12a는 제8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시작 버튼(1201)의 입력이 수신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FIG. 12A shows the start screen of the eighth inspection process. When an input from the start button 1201 is received, the screen may be switched to the next screen.

도 12b는 제8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방법을 텍스트로 제공하고, 제8 검사 프로세스에 대한 연습 검사 프로세스(제8 연습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연습시작 버튼(1202)이 입력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FIG. 12B provides a method of executing the 8th inspection process in text and shows a screen notifying the start of a practice inspection process (8th practice inspection process) for the 8th inspection process. When the practice start button 1202 is input, the screen can be switched to the next screen.

도 12c는 제8 연습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제8 연습 지시문을 확인한 후, 얼굴 제시 이미지에 나타난 감정의 세기를 복수개의 버튼(1203) 중 어느 하나로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제한 시간을 카운트하는 기능 및 작업 진행 정도를 도시하는 기능 중 하나 이상을 실행하는 프로그래스 바(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개의 버튼(1203)은 크기가 클수록 강한 감정의 세기를 나타낼 수 있다.Figure 12C shows a screen for executing the eighth practice inspection process. After checking the eighth practice instruction, the user can select the intensity of emotion shown in the presented face image with one of the plurality of buttons 1203. Here, a progress bar (not shown) that executes one or more of a function for counting the time limit and a function for showing the progress of a task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is embodiment, the larger the size of the plurality of buttons 1203, the stronger the intensity of emotion.

도 12d는 제8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결과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복수개의 버튼(1204) 중 어느 하나에 사용자가 선택한 감정의 세기가 출력될 수 있다. Figure 12d shows an execution result screen of the eighth inspection process. The intensity of the emotion selected by the user may be output to one of the plurality of buttons 1204.

도 12e는 제8 연습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하고 본 검사의 실행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Figure 12e shows a screen indicating completion of execution of the eighth practice inspection process and execution of the main inspection.

도 12f는 제8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화면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제8 지시문을 확인한 후, 프로그래스 바(1205)를 보면서 얼굴 제시 이미지에 나타난 감정의 세기를 복수개의 버튼(1206) 중 어느 하나로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복수개의 버튼(1206) 중 어느 하나의 선택을 완료하거나 제한 시간의 카운트가 완료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Figure 12f shows an example of a screen executing the eighth inspection process. After checking the eighth instruction, the user can view the progress bar 1205 and select the intensity of emotion shown in the face image using one of the plurality of buttons 1206. When the user completes selection of one of the plurality of buttons 1206 or the count of the time limit is completed, the screen may be switched to the next screen.

도 12g는 제8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하고 다음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Figure 12g shows a screen indicating completion of execution of the eighth inspection process and the start of the next inspection process.

도 3으로 돌아와서, 제1 처리부(152)는 제9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처리부(152)는 제9 검사 프로세스를 복수 회 수행할 수 있다.Returning to FIG. 3,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may perform a ninth inspection process.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may perform the ninth inspection process multiple times.

제1 처리부(152)는 제9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 시에, 기설정된 제시 단락과, 녹음 시작 버튼 및 녹음 종료 버튼은 도시하고, 녹음 시작 버튼을 입력하고, 기설정된 제시 단락을 발화한 후, 단락의 발화가 완료되면 녹음 종료 버튼을 입력하라는 제9 지시문을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When performing the ninth inspection process,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displays a preset presented paragraph, a recording start button, and a recording end button, inputs the recording start button, utters the preset presented paragraph, and then When the utterance is completed, a ninth instruction to input the recording end button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200.

제1 처리부(152)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제9 지시문에 대응하여 녹음 시작 버튼의 입력이 수신된 후, 기설정된 제시 단락에 대한 발화 결과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녹음 종료 버튼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After receiving the input of the recording start button in response to the ninth instruction from the user terminal 200,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receives and stores the speech result for the preset presented paragraph, and receives the input of the recording end button. can do.

제1 처리부(152)는 녹음 시작 버튼의 입력이 수신된 시간부터 녹음 종료 버튼의 입력이 수신된 시간까지의 제2 소요시간을 카운트할 수 있다.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may count the second time taken from the time the recording start button input is received to the time the recording end button input is received.

제1 처리부(152)는 기설정된 제시 단락에 대한 발화 결과를 단락 발화 텍스트로 변환하고, 단락 발화 텍스트에 포함되는 어절수를 정답 어절수와 비교할 수 있다.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may convert the speech result for the preset presented paragraph into a paragraph speech text, and compare the number of words included in the paragraph speech text with the number of correct word words.

제1 처리부(152)는 비교의 결과 및 제2 소요시간을 카운트한 결과를 반영하여 제9 검사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9 검사점수는 제9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한 전체 횟수 대비 정답으로 판명된 어절수와, 제2 소요시간을 카운트한 결과에 따라 다르게 산출될 수 있다. 제9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한 전체 횟수 대비 정답으로 판명된 어절수가 많다 하더라도, 제2 소요시간을 카운트한 결과가 크면 제9 검사점수는 낮아질 수 있다. 또한, 제9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한 전체 횟수 대비 정답으로 판명된 어절수가 적다 하더라도, 제2 소요시간을 카운트한 결과가 작으면 제9 검사점수는 높아질 수 있다.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may calculate the ninth inspection score by reflecting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and the result of counting the second required time. In this embodiment, the 9th test score may be calcula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result of counting the number of words determined to be correct and the second time required compared to the total number of times the 9th test process was executed. Even if the number of words determined to be correct is greater than the total number of times the ninth inspection process has been executed, if the result of counting the second required time is large, the ninth inspection score may be lowered. In addition, even if the number of words found to be correct is small compared to the total number of times the ninth inspection process has been executed, the ninth inspection score can be increased if the result of counting the second required time is small.

본 실시 예에서 제1 처리부(152)는 제9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이전에,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9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방법을 텍스트로 제공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may provide the user terminal 200 with text on how to execute the ninth inspection process before performing the ninth inspection process.

본 실시 예에서 제9 검사점수가 제9 규준의 컷-오프 점수보다 높으면 읽기 능력이 양호한 것으로 평가될 수 있고 제9 검사점수가 제9 규준의 컷-오프 점수보다 낮으면 읽기 능력이 저하된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if the 9th test score is higher than the cut-off score of the 9th standard, reading ability can be evaluated as good, and if the 9th test score is lower than the cut-off score of the 9th standard, reading ability can be evaluated as poor. can be evaluated.

도 13는 제9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Figure 13 is an example of a screen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200 to perform the ninth inspection process.

도 13을 참조하면, 도 13a는 제9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시작 버튼(1301)의 입력이 수신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FIG. 13A shows the start screen of the ninth inspection process. When an input from the start button 1301 is received, the screen can be switched to the next screen.

도 13b는 제9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방법을 텍스트로 제공하고, 제9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시작 버튼(1302)이 입력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FIG. 13B provides a method of executing the ninth inspection process in text and shows a screen notifying the start of the ninth inspection process. When the start button 1302 is input, the screen can be switched to the next screen.

도 13c는 제9 연습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제9 연습 지시문을 확인하고, 시작 버튼(1303)을 입력한 후, 제시 단락을 발화하고, 제시 단락의 발화를 완료한 후 종료 버튼(1304)을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한 시간을 카운트하는 기능 및 작업 진행 정도를 도시하는 기능 중 하나 이상을 실행하는 프로그래스 바(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Figure 13C shows a screen for executing the ninth practice inspection process. The user can check the ninth practice instruction, input the start button 1303, utter the suggested paragraph, and input the end button 1304 after completing utterance of the suggested paragraph. Here, a progress bar (not shown) that executes one or more of a function for counting the time limit and a function for showing the progress of a task may be further included.

도 13d는 제9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하고 다음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Figure 13D shows a screen indicating completion of execution of the ninth inspection process and the start of the next inspection process.

도 3으로 돌아와서, 제1 처리부(152)는 제10-1 검사 프로세스 및 제10-2 검사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제10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처리부(152)는 연습 검사를 제외한 제10 검사 프로세스를 복수 회 수행할 수 있다.Returning to FIG. 3,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may perform a tenth inspection process including a 10-1 inspection process and a 10-2 inspection process.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may perform the tenth test process multiple times excluding the practice test.

제1 처리부(152)는 제10-1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 시에, 기설정된 영역을 도시하고, 기설정된 영역 내에서 기설정된 제시 도형이 출현하는 위치와 순서를 회상하여 순차적으로 입력하라는 제10-1 지시문을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When performing the 10-1 inspection process,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shows a preset area, recalls the position and order in which the preset presented figure appears in the preset area, and sequentially inputs the 10-10-1. 1 Instructions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200.

제1 처리부(152)는 제10-1 지시문을 제공하면서 기설정된 영역 내에서 기설정된 제시 도형을 순차적으로 출현시키는 제1 시연 동영상을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may provide the user terminal 200 with a first demonstration video in which preset presentation shapes sequentially appear within a preset area while providing the 10-1 instruction.

제1 처리부(152)는 제1 시연 동영상이 종료된 후,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제1 시연 동영상을 회상하여 기설정된 영역 내에서 기설정된 제시 도형이 출현하는 위치와 순서를 순차적으로 입력한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제1 시연 동영상을 회상하여 제시 도형이 출현하는 위치와 순서를 순차적으로 입력할 수 있다.After the first demonstration video ends,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recalls the first demonstration video from the user terminal 200 and sequentially inputs the position and order in which the preset presented figure appears within the preset area. can receive. Here, the user can recall the first demonstration video and sequentially input the positions and orders in which the presented shapes appear.

제1 처리부(152)는 기설정된 영역 내에서 기설정된 제시 도형이 출현하는 위치와 순서를 순차적으로 입력한 결과를 정답과 비교하여 제10-1 검사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0-1 검사점수는 제10-1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한 전체 횟수 대비 정답으로 판명된 입력 결과가 많을수록 높게 산출될 수 있다.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may calculate the 10-1 test score by comparing the result of sequentially inputting the position and order in which the preset presented figure appears within the preset area with the correct answer. In this embodiment, the 10-1 inspection score can be calculated higher as the number of input results determined to be correct is greater compared to the total number of times the 10-1 inspection process is executed.

본 실시 예에서 제1 처리부(152)는 제10-1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이전에,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10-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방법을 텍스트로 제공하고, 제10-1 검사 프로세스에 대한 연습 검사를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before performing the 10-1 inspection process,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provides the user terminal 200 with a text on how to execute the 10-1 inspection process, and executes the 10-1 inspection process. You can run a practice test for .

제1 처리부(152)는 제10-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한 후에 제10-2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may execute the 10-2 test process after completing execution of the 10-1 test process.

제1 처리부(152)는 제10-2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 시에, 기설정된 영역을 도시하고, 기설정된 영역 내에서 기설정된 제시 도형이 출현하는 위치와 순서를 회상하여 거꾸로 입력하라는 제10-2 지시문을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When executing the 10-2 inspection process,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displays a preset area, recalls the position and order in which the preset presented figure appears within the preset area, and inputs the 10-2 in reverse order. Instructions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200.

제1 처리부(152)는 제10-2 지시문을 제공하면서 기설정된 영역 내에서 기설정된 제시 도형을 순차적으로 출현시키는 제2 시연 동영상을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may provide the user terminal 200 with a second demonstration video in which a preset presentation figure sequentially appears within a preset area while providing the 10-2 instruction.

제1 처리부(152)는 제2 시연 동영상이 종료된 후,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제2 시연 동영상을 회상하여 기설정된 영역 내에서 기설정된 제시 도형이 출현하는 위치와 순서를 거꾸로 입력한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제2 시연 동영상을 회상하여 제시 도형이 출현하는 위치와 순서를 거꾸로 입력할 수 있다.After the second demonstration video ends,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recalls the second demonstration video from the user terminal 200 and inputs the result of reversing the position and order in which the preset presented figure appears within the preset area. You can receive it. Here, the user can recall the second demonstration video and input the position and order in which the presented shapes appear in reverse.

제1 처리부(152)는 기설정된 영역 내에서 기설정된 제시 도형이 출현하는 위치와 순서를 거꾸로 입력한 결과를 정답과 비교하여 제10-2 검사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0-2 검사점수는 제10-2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한 전체 횟수 대비 정답으로 판명된 입력 결과가 많을수록 높게 산출될 수 있다.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may calculate the 10-2 test score by comparing the result of inputting the position and order in which the preset presented figure appears within the preset area in reverse with the correct answer. In this embodiment, the 10-2 inspection score may be calculated higher as the number of input results determined to be correct is greater compared to the total number of times the 10-2 inspection process is executed.

본 실시 예에서 제1 처리부(152)는 제10-2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이전에,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10-2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방법을 텍스트로 제공하고, 제10-2 검사 프로세스에 대한 연습 검사를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before performing the 10-2 inspection process,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provides the user terminal 200 with a text on how to execute the 10-2 inspection process, and executes the 10-2 inspection process. You can run a practice test for .

선택적 실시 예로 제1 처리부(152)는 제10-1 검사점수 및 제10-2 검사점수를 합산하여 제10 검사점수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1 처리부(152)는 제10-1 검사점수 및 제10-2 검사점수를 합산하지 않고, 제10-1 검사점수 및 제10-2 검사점수 각각을 인지기능 저하 평가 시에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0 검사점수가 제10 규준의 컷-오프 점수보다 높으면 주의력 및 작업 기억력이 양호한 것으로 평가될 수 있고 제10 검사점수가 제10 규준의 컷-오프 점수보다 낮으면 주의력 및 작업 기억력이 저하된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In an optional embodiment,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may calculate the 10th inspection score by adding the 10-1 inspection score and the 10-2 inspection score. In addition,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does not add up the 10-1 test score and the 10-2 test score, but can use each of the 10-1 test score and the 10-2 test score when evaluating cognitive decline. . In this embodiment, if the 10th test score is higher than the cut-off score of the 10th standard, attention and working memory can be evaluated as good, and if the 10th test score is lower than the cut-off score of the 10th standard, attention and working memory can be evaluated as good. This can be evaluated as degraded.

도 14는 제10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도 14a 내지 도 14h는 제10-1 검사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화면의 예시도이고, 제14i 내지 도 14o는 제10-2 검사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Figure 14 is an example of a screen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200 to perform the tenth inspection process. Referring to FIG. 14, FIGS. 14A to 14H are exemplary diagrams of screens explaining the 10-1 inspection process, and FIGS. 14I to 14O are exemplary diagrams of screens explaining the 10-2 inspection process.

도 14a는 제10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시작 버튼(1401)의 입력이 수신되면 제10-1 검사 프로세스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Figure 14A shows the start screen of the tenth inspection process. When the input of the start button 1401 is received, the screen may be switched to the 10-1 inspection process screen.

도 14b는 제10-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방법을 텍스트로 제공하고, 제10-1 검사 프로세스에 대한 연습 검사 프로세스(제10-1 연습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연습시작 버튼(1402)이 입력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FIG. 14B provides a method of executing the 10-1 test process in text and shows a screen notifying the start of a practice test process for the 10-1 test process (10-1 practice test process). When the practice start button 1402 is input, the screen can be switched to the next screen.

도 14c는 제10-1 연습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화면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4c는 제10-1 연습 지시문과 함께 제1 연습 시연 동영상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입력의 수정을 위한 입력수정 버튼(1403) 및 입력의 완료를 위한 확인 버튼(1404)을 포함할 수 있다.Figure 14c shows an example of a screen executing the 10-1 practice inspection process. Figure 14c shows the first practice demonstration video along with the 10-1 practice instructions. It may also include an input modification button 1403 for modifying the input and a confirmation button 1404 for completing the input.

도 14d는 제10-1 연습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화면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도 14c의 제1 연습 시연 동영상을 회상하여 기설정된 영역에 제시 도형이 출현하는 위치와 순서를 순차적으로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의 수정이 필요한 경우 입력수정 버튼(1405)을 입력하여 입력의 수정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이 완료된 경우 확인 버튼(1406)을 입력할 수 있다.Figure 14D shows another example of a screen for executing the 10-1 practice inspection process. The user can recall the first practice demonstration video of FIG. 14C and sequentially input the positions and orders in which the presented shapes appear in the preset area. If the user needs to modify the input, he or she can modify the input by pressing the input modification button 1405. The user can press the confirmation button 1406 when the input is completed.

도 14e는 제10-1 연습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하고 본 검사의 실행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Figure 14e shows a screen indicating completion of execution of the 10-1 practice inspection process and execution of the main inspection.

도 14f는 제10-1 지시문 및 제10-1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시작 버튼(1407)이 입력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Figure 14f shows a screen notifying the start of the 10-1 instruction and the 10-1 inspection process. When the start button 1407 is input, the screen can be switched to the next screen.

도 14g는 제10-1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4g는 제1 시연 동영상의 재생 후에 나타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제1 시연 동영상을 회상하여 기설정된 영역에 제시 도형이 출현하는 위치와 순서를 순차적으로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의 수정이 필요한 경우 입력수정 버튼(1408)을 입력하여 입력의 수정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이 완료된 경우 확인 버튼(1409)을 입력할 수 있다.Figure 14g shows a screen for executing the 10-1 inspection process. Figure 14g shows a screen that appears after playback of the first demonstration video. The user can recall the first demonstration video and sequentially input the positions and orders in which the presented shapes appear in the preset area. If the user needs to modify the input, he or she can modify the input by pressing the input modification button 1408. When the input is completed, the user can press the confirmation button 1409.

도 14h는 제10-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하고 다음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Figure 14h shows a screen indicating completion of execution of the 10-1 test process and the start of the next test process.

도 14i는 제10-2 검사 프로세스에 대한 연습 검사 프로세스(제10-2 연습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연습시작 버튼(1410)이 입력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Figure 14i shows a screen notifying the start of a practice test process (10-2 practice test process) for the 10-2 test process. When the practice start button 1410 is input, the screen can be switched to the next screen.

도 14j는 제10-2 연습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화면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4j는 제10-2 연습 지시문과 함께 제2 연습 시연 동영상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입력의 수정을 위한 입력수정 버튼(1411) 및 입력의 완료를 위한 확인 버튼(1412)을 포함할 수 있다.Figure 14j shows an example of a screen for executing the 10-2 practice inspection process. Figure 14j shows the second exercise demonstration video along with the 10-2 exercise instructions. It may also include an input modification button 1411 for modifying the input and a confirmation button 1412 for completing the input.

도 14k는 제10-2 연습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화면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도 14j의 제2 연습 시연 동영상을 회상하여 기설정된 영역에 제시 도형이 출현하는 위치와 순서를 거꾸로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의 수정이 필요한 경우 입력수정 버튼(1413)을 입력하여 입력의 수정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이 완료된 경우 확인 버튼(1414)을 입력할 수 있다.Figure 14k shows another example of a screen for executing the 10-2 practice inspection process. The user can recall the second practice demonstration video of FIG. 14J and reversely input the position and order in which the suggested shapes appear in the preset area. If the user needs to modify the input, he or she can modify the input by pressing the input modification button 1413. When the input is completed, the user can press the confirmation button 1414.

도 14l은 제10-2 연습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하고 본 검사의 실행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FIG. 14L shows a screen indicating completion of execution of the 10-2 practice inspection process and notification of execution of the main inspection.

도 14m은 제10-2 지시문 및 제10-2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시작 버튼(1415)이 입력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Figure 14m shows a screen notifying the start of the 10-2 instruction and the 10-2 inspection process. When the start button 1415 is input, the screen can be switched to the next screen.

도 14n은 제10-2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4n은 제2 시연 동영상의 재생 후에 나타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제2 시연 동영상을 회상하여 기설정된 영역에 제시 도형이 출현하는 위치와 순서를 거꾸로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의 수정이 필요한 경우 입력수정 버튼(1416)을 입력하여 입력의 수정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이 완료된 경우 확인 버튼(1417)을 입력할 수 있다.Figure 14n shows a screen for executing the 10-2 inspection process. Figure 14n shows a screen that appears after playing the second demonstration video. The user can recall the second demonstration video and input the position and order in which the presented shapes appear in the preset area in reverse order. If the user needs to modify the input, he or she can modify the input by pressing the input modification button 1416. When the input is completed, the user can press the confirmation button 1417.

도 14o는 제10-2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하고 다음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Figure 14o shows a screen indicating completion of execution of the 10-2 test process and the start of the next test process.

도 3으로 돌아와서, 제1 처리부(152)는 제11-1 검사 프로세스 및 제11-2 검사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제11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처리부(152)는 연습 검사를 제외한 제11 검사 프로세스를 복수 회 수행할 수 있다.Returning to FIG. 3,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may perform an 11th inspection process including an 11-1 inspection process and an 11-2 inspection process.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may perform the 11th inspection process multiple times excluding the practice inspection.

제1 처리부(152)는 제11-1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 시에, 단어가 누락되어 있는 제1 제시 미완성 문장과 2개의 제1 선택 단어를 도시하고, 제1 제시 미완성 문장을 완성할 수 있는 정확한 단어를 2개의 제1 선택 단어 중에서 선택하라는 제11-1 지시문을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When performing the 11-1 inspection process,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displays the first presented incomplete sentence with a missing word and the two first selected words, and provides an accurate method to complete the first presented incomplete sentence. An 11-1 instruction to select a word from among the two first selection words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200.

제1 처리부(152)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제11-1 지시문에 대응하여 제1 제시 미완성 문장을 완성할 수 있는 정확한 단어를 2개의 제1 선택 단어 중에서 선택한 결과를 수신하고, 선택한 결과를 정답과 비교하여 제11-1 검사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1-1 검사점수는 제11-1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한 전체 횟수 대비 정답으로 판명된 선택 결과가 많을수록 높게 산출될 수 있다.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receives the result of selecting the correct word that can complete the first presented incomplete sentence in response to the 11-1 instruction from the user terminal 200 among the two first selection words, and selects the result of the selection. The 11-1 test score can be calculated by comparing it with the correct answer. In this embodiment, the 11-1 inspection score may be calculated higher as the number of selection results determined to be correct is greater compared to the total number of times the 11-1 inspection process is executed.

본 실시 예에서 제1 처리부(152)는 제11-1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이전에,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11-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방법을 텍스트로 제공하고, 제11-1 검사 프로세스에 대한 연습 검사를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before performing the 11-1 inspection process,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provides the user terminal 200 with a text on how to execute the 11-1 inspection process, and executes the 11-1 inspection process. You can run a practice test for .

제1 처리부(152)는 제11-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한 후에 제11-2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may execute the 11-2 test process after completing execution of the 11-1 test process.

제1 처리부(152)는 제11-2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 시에, 단어가 누락되어 있는 제2 제시 미완성 문장과 2개의 제2 선택 단어를 도시하고, 제2 제시 미완성 문장을 완성할 수 있는 어색한 단어를 2개의 제2 선택 단어 중에서 선택하라는 제11-2 지시문을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When executing the 11-2 inspection process,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displays a second presented incomplete sentence with a missing word and two second selected words, and displays an awkward word that can complete the second presented incomplete sentence. An 11-2 instruction to select a word from among two second selection words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200.

제1 처리부(152)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제11-2 지시문에 대응하여 제2 제시 미완성 문장을 완성할 수 있는 어색한 단어를 2개의 제2 선택 단어 중에서 선택한 결과를 수신하고, 선택한 결과를 정답과 비교하여 제11-2 검사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1-2 검사점수는 제11-2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한 전체 횟수 대비 정답으로 판명된 선택 결과가 많을수록 높게 산출될 수 있다.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receives the result of selecting an awkward word that can complete the second presented incomplete sentence from the two second selection words in response to the 11-2 instruction from the user terminal 200, and selects the selected result. You can calculate the 11-2 test score by comparing it with the correct answer. In this embodiment, the 11-2 test score may be calculated higher as the number of selection results determined to be correct is greater compared to the total number of times the 11-2 test process is executed.

본 실시 예에서 제1 처리부(152)는 제11-2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이전에,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11-2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방법을 텍스트로 제공하고, 제11-2 검사 프로세스에 대한 연습 검사를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before performing the 11-2 inspection process,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provides the user terminal 200 with a text on how to execute the 11-2 inspection process, and executes the 11-2 inspection process. You can run a practice test for .

선택적 실시 예로 제1 처리부(152)는 제11-1 검사점수 및 제11-2 검사점수를 합산하여 제11 검사점수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1 처리부(152)는 제11-1 검사점수 및 제11-2 검사점수를 합산하지 않고, 제11-1 검사점수 및 제11-2 검사점수 각각을 인지기능 저하 평가 시에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1 검사점수가 제11 규준의 컷-오프 점수보다 높으면 언어적 억제력이 양호한 것으로 평가될 수 있고 제11 검사점수가 제11 규준의 컷-오프 점수보다 낮으면 언어적 억제력이 저하된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In an optional embodiment,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may calculate the 11th inspection score by adding the 11-1 inspection score and the 11-2 inspection score. In addition,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does not add up the 11-1 test score and the 11-2 test score, but can use each of the 11-1 test score and the 11-2 test score when evaluating cognitive decline. . In this example, if the 11th test score is higher than the cut-off score of the 11th standard, verbal inhibition can be evaluated as good, and if the 11th test score is lower than the cut-off score of the 11th standard, verbal inhibition can be evaluated as poor. It can be evaluated as having been done.

도 15는 제11 검사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Figure 15 is an example of a screen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200 to perform the 11th inspection process.

도 15를 참조하면, 도 15a는 제11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시작 버튼(1501)의 입력이 수신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 FIG. 15A shows the start screen of the 11th inspection process. When an input from the start button 1501 is received, the screen can be switched to the next screen.

도 15b는 제11-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 방법을 텍스트로 제공하고, 제11 검사 프로세스에 대한 연습 검사 프로세스(제11 연습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연습시작 버튼(1502)이 입력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FIG. 15B provides a method of executing the 11-1 test process in text and shows a screen notifying the start of a practice test process for the 11th test process (the 11th practice test process). When the practice start button 1502 is input, the screen can be switched to the next screen.

도 15c는 제11 연습 검사 프로세스 중 제11-2 연습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화면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5c는 제11-2 연습 지시문과, 제2 연습 제시 미완성 문장과, 제2 제시 미완성 문장을 완성할 수 있는 제1 단어 버튼(1503) 및 제2 단어 버튼(1504)을 도시하고 있다.FIG. 15C shows an example of a screen executing the 11-2 practice test process among the 11th practice test processes. Figure 15c shows the 11-2 practice instruction, the incomplete sentence presented in the second practice, and the first word button 1503 and the second word button 1504 that can complete the incomplete sentence presented in the second practice.

도 15d는 도 15c 화면으로부터 제11-2 연습 지시문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제2 단어 버튼(1505)을 도시하고 있다. 선택한 단어가 정답인 경우 정답 기호 및/또는 정답 효과음을 이용하여 정답임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선택한 단어가 오답인 경우 오답 기호 및/또는 오답 효과음을 이용하여 오답임을 출력할 수 있다.FIG. 15D shows the second word button 1505 selected by the user in response to the 11-2 exercise instruction from the screen of FIG. 15C. If the selected word is the correct answer, the correct answer can be output using the correct answer symbol and/or the correct answer sound effect. Additionally, if the selected word is an incorrect answer, the incorrect answer can be output using an incorrect answer symbol and/or an incorrect answer sound effect.

도 15e는 제11 연습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하고 본 검사의 실행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Figure 15e shows a screen indicating completion of execution of the 11th practice inspection process and execution of the main inspection.

도 15f는 제11 검사 프로세스의 시작을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시작 버튼(1506)이 입력되면 다음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Figure 15f shows a screen notifying the start of the 11th inspection process. When the start button 1506 is input, the screen can be switched to the next screen.

도 15g는 제11-1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화면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5g는 제11-1 지시문과, 제1 제시 미완성 문장과, 제1 제시 미완성 문장을 완성할 수 있는 제1 단어 버튼(1507) 및 제2 단어 버튼(1508)을 도시하고 있다.Figure 15g shows an example of a screen for executing the 11-1 inspection process. Figure 15g shows the 11-1 instruction, the first presented incomplete sentence, and the first word button 1507 and the second word button 1508 that can complete the first presented incomplete sentence.

도 15h는 도 15g 화면으로부터 제11-1 지시문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제1 단어 버튼(1509)을 도시하고 있다.FIG. 15h shows the first word button 1509 selected by the user in response to the 11-1 instruction from the screen of FIG. 15g.

도 15i는 제11-2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화면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5i는 제11-2 지시문과, 제2 제시 미완성 문장과, 제2 제시 미완성 문장을 완성할 수 있는 제1 단어 버튼(1510) 및 제2 단어 버튼(1511)을 도시하고 있다.Figure 15i shows an example of a screen for executing the 11-2 inspection process. Figure 15i shows the 11-2 instruction, the second presented incomplete sentence, and the first word button 1510 and the second word button 1511 that can complete the second presented incomplete sentence.

도 15j는 도 15i 화면으로부터 제11-2 지시문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제2 단어 버튼(1512)을 도시하고 있다.FIG. 15J shows the second word button 1512 selected by the user in response to the 11-2 instruction from the screen of FIG. 15I.

도 15k는 제1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하고 검사 결과 출력을 위해 대기를 알리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FIG. 15K shows a screen indicating completion of execution of the 11th inspection process and waiting for inspection result output.

도 3으로 돌아와서, 제1 처리부(152)의 제1 검사 프로세스 내지 제1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이 완료되면, 제2 처리부(153)는 복수개의 검사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검사항목을 복수개의 신경 인지 카테고리 중 어느 한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하는 카테고리 분류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Returning to FIG. 3, when execution of the first to eleventh test processes of the first processing unit 152 is completed, the second processing unit 153 divides at least one test item among the plurality of test items into a plurality of neurocognitive categories. A categorization process can be performed to classify into one of the neurocognitive categories.

제2 처리부(153)는 제2 검사항목 및 제3 검사항목을 제1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다. 제2 처리부(153)는 제8 검사항목을 제2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다. 제2 처리부(153)는 제7 검사항목 및 제9 검사항목을 제3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다. 제2 처리부(153)는 제5 검사항목 및 제6 검사항목을 제4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다. 제2 처리부(153)는 제1 검사항목과, 제4 검사항목과, 제10 검사항목 및 제11 검사항목을 제5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다.The second processing unit 153 may classify the second and third test items into the first neurocognitive category. The second processing unit 153 may classify the eighth test item into the second neurocognitive category. The second processing unit 153 may classify the seventh and ninth test items into the third neurocognitive category. The second processing unit 153 may classify the fifth and sixth test items into the fourth neurocognitive category. The second processing unit 153 may classify the first test item, the fourth test item, the tenth test item, and the eleventh test item into the fifth neurocognitive category.

제2 처리부(153)의 카테고리 분류 프로세스 실행이 완료되면, 제3 처리부(154)는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된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점수를 기반으로 하여 신경 인지 카테고리에 인지기능 저하가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평가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When the category classification process of the second processing unit 153 is completed, the third processing unit 154 evaluates whether there is a decline in cognitive function in the neurocognitive category based on the test scores for the test items classified into the neurocognitive category. An evaluation process can be implemented.

본 실시 예에서 제3 처리부(154)는 제1 신경 인지 카테고리 내지 제5 신경 인지 카테고리 중 하나 이상에서 인지기능 저하가 있음이 평가되면, 사용자에게 경도 인지 장애 가능성이 있음을 출력하는 평가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third processing unit 154 generates an evaluation result that outputs to the user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when it is assessed that there is a decline in cognitive function in one or more of the first to fifth neurocognitive categories. can do.

본 실시 예에서 평가 프로세스는 제1 평가 프로세스 내지 제5 평가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evaluation process may include a first to a fifth evaluation process.

제3 처리부(154)는 제2 검사점수 및 제3 검사점수를 기반으로 하여 제1 신경 인지 카테고리에 인지기능 저하가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제1 평가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The third processing unit 154 may execute a first evaluation process to evaluate whether there is a decline in cognitive function in the first neurocognitive category based on the second test score and the third test score.

제3 처리부(154)는 제1 평가 프로세스를 실행 시에, 제2 검사항목에 대한 제2 검사점수를 제2 기준점수와 비교하고, 제2 검사점수가 제2 기준점수 미만임에 따라 제1 비교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검사점수는 언어단서 기억 검사점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기준점수는 제2 Z-스코어가 제1 표준편차(예를 들어, -1.5 SD)인 정상군의 제2 검사점수를 포함할 수 있다.When executing the first evaluation process, the third processing unit 154 compares the second inspection score for the second inspection item with the second reference score, and, if the second inspection score is less than the second reference score, Comparison results can be generated.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test score may include a verbal cue memory test score.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reference score may include the second test score of the normal group whose second Z-score is the first standard deviation (eg, -1.5 SD).

본 실시 예에서 제1 비교결과는 제1-1 비교결과 및 제1-2 비교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비교결과는 제2 검사점수가 제2 기준점수 미만인 경우에 생성될 수 있다. 제1-1 비교 결과로부터 사용자의 언어 기억력이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제1-2 비교결과는 제2 검사점수가 제2 기준점수 이상인 경우에 생성될 수 있다. 제1-2 비교결과로부터 사용자의 언어 기억력이 양호함을 알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비교결과는 제1-1 비교결과로 대체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comparison result may include a 1-1 comparison result and a 1-2 comparison result. The 1-1 comparison result may be generated when the second test score is less than the second standard score. From the 1-1 comparison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 user's verbal memory has deteriorated. The 1-2 comparison result may be generated when the second test scor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cond standard score. From comparison results 1-2, it can be seen that the user's verbal memory is good.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comparison result may be replaced with the 1-1 comparison result.

제3 처리부(154)는 제3 검사항목에 대한 제3 검사점수를 제3 기준점수와 비교하고, 제3 검사점수가 제3 기준점수 미만임에 따라 제2 비교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3 검사점수는 시각도식 기억 검사점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3 기준점수는 제3 Z-스코어가 제1 표준편차(예를 들어, -1.5 SD)인 정상군의 제3 검사점수를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processing unit 154 may compare the third inspection score for the third inspection item with the third standard score, and generate a second comparison result according to the third inspection score being less than the third standard score. In this embodiment, the third test score may include a visual schema memory test score. In this embodiment, the third reference score may include the third test score of the normal group whose third Z-score is the first standard deviation (eg, -1.5 SD).

본 실시 예에서 제2 비교결과는 제2-1 비교결과 및 제2-2 비교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제2-1 비교결과는 제3 검사점수가 제3 기준점수 미만인 경우에 생성될 수 있다. 제2-1 비교 결과로부터 사용자의 시지각 기억력이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제2-2 비교결과는 제3 검사점수가 제3 기준점수 이상인 경우에 생성될 수 있다. 제2-2 비교결과로부터 사용자의 시지각 기억력이 양호함을 알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비교결과는 제2-1 비교결과로 대체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comparison result may include the 2-1 comparison result and the 2-2 comparison result. The 2-1 comparison result may be generated when the third test score is less than the third standard score. From the results of comparison 2-1, it can be seen that the user's visual and perceptual memory has deteriorated. The 2-2 comparison result can be generated when the third test scor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ird standard score. From the 2-2 comparison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 user's visual perception memory is good.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comparison result may be replaced with the 2-1 comparison result.

제3 처리부(154)는 제1 비교결과 및 제2 비교결과 중 하나 이상이 생성됨에 따라 제1 신경 인지 카테고리 즉, 기억력에 인지기능 저하가 있음을 평가할 수 있다.The third processing unit 154 may evaluate whether there is a decline in cognitive function in the first neurocognitive category, that is, memory, as one or more of the first comparison result and the second comparison result are generated.

제3 처리부(154)는 제8 검사점수를 기반으로 하여 제2 신경 인지 카테고리에 인지기능 저하가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제2 평가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The third processing unit 154 may execute a second evaluation process to evaluate whether there is a decline in cognitive function in the second neurocognitive category based on the eighth test score.

제3 처리부(154)는 제2 평가 프로세스를 실행 시에, 제8 검사항목에 대한 제8 검사점수를 제8 기준점수와 비교하고, 제8 검사점수가 제8 기준점수 미만임에 따라 제3 비교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8 검사점수는 얼굴 감정 검사점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8 기준점수는 제8 Z-스코어가 제1 표준편차(예를 들어, -1.5 SD)인 정상군의 제8 검사점수를 포함할 수 있다.When executing the second evaluation process, the third processing unit 154 compares the 8th inspection score for the 8th inspection item with the 8th standard score, and if the 8th inspection score is less than the 8th standard score, the 3rd processing unit 154 Comparison results can be generated. In this embodiment, the eighth test score may include a facial emotion test score. In this embodiment, the 8th reference score may include the 8th test score of the normal group whose 8th Z-score is the first standard deviation (eg, -1.5 SD).

본 실시 예에서 제3 비교결과는 제3-1 비교결과 및 제3-2 비교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제3-1 비교결과는 제8 검사점수가 제8 기준점수 미만인 경우에 생성될 수 있다. 제3-1 비교 결과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감정의 세기 인식력이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제3-2 비교결과는 제8 검사점수가 제8 기준점수 이상인 경우에 생성될 수 있다. 제3-2 비교결과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감정의 세기 인식력이 양호함을 알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3 비교결과는 제3-1 비교결과로 대체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third comparison result may include the 3-1 comparison result and the 3-2 comparison result. The 3-1 comparison result can be generated when the 8th inspection score is less than the 8th standard score. From the comparison results of 3-1, it can be seen that the ability to recognize the intensity of emotions toward the user has decreased. The 3-2 comparison result can be generated when the 8th inspection score is higher than the 8th standard score. From the comparison results of 3-2, it can be seen that the recognition ability of the intensity of emotion for the user is good. In this embodiment, the third comparison result may be replaced with the 3-1 comparison result.

제3 처리부(154)는 제3 비교결과가 생성됨에 따라 제2 신경 인지 카테고리 즉, 사회인지에 인지기능 저하가 있음을 평가할 수 있다.As the third comparison result is generated, the third processing unit 154 may evaluate whether there is a decline in cognitive function in the second neurocognitive category, that is, social cognition.

제3 처리부(154)는 제7 검사점수 및 제9 검사점수를 기반으로 하여 제3 신경 인지 카테고리에 인지기능 저하가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제3 평가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The third processing unit 154 may execute a third evaluation process to evaluate whether there is a decline in cognitive function in the third neurocognitive category based on the seventh and ninth test scores.

제3 처리부(154)는 제3 평가 프로세스를 실행 시에, 제7 검사항목에 대한 제7 검사점수를 제7 기준점수와 비교하고, 제7 검사점수가 제7 기준점수 미만임에 따라 제4 비교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7 검사점수는 크기 무게 검사점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7 기준점수는 제7 Z-스코어가 제1 표준편차(예를 들어, -1.5 SD)인 정상군의 제7 검사점수를 포함할 수 있다.When executing the third evaluation process, the third processing unit 154 compares the 7th inspection score for the 7th inspection item with the 7th standard score, and if the 7th inspection score is less than the 7th standard score, the 4th inspection score is Comparison results can be generated. In this embodiment, the seventh inspection score may include size and weight inspection scores. In this embodiment, the 7th reference score may include the 7th test score of the normal group whose 7th Z-score is the first standard deviation (eg, -1.5 SD).

본 실시 예에서 제4 비교결과는 제4-1 비교결과 및 제4-2 비교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제4-1 비교결과는 제7 검사점수가 제7 기준점수 미만인 경우에 생성될 수 있다. 제4-1 비교 결과로부터 사용자의 의미 기억력이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제4-2 비교결과는 제7 검사점수가 제7 기준점수 이상인 경우에 생성될 수 있다. 제4-2 비교결과로부터 사용자의 의미 기억력이 양호함을 알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4 비교결과는 제4-1 비교결과로 대체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ourth comparison result may include the 4-1 comparison result and the 4-2 comparison result. The 4-1 comparison result can be generated when the 7th inspection score is less than the 7th standard score. From the results of comparison 4-1, it can be seen that the user's semantic memory has deteriorated. The 4-2 comparison result can be generated when the 7th inspection score is higher than the 7th standard score. From the comparison results of 4-2, it can be seen that the user's semantic memory is good. In this embodiment, the fourth comparison result may be replaced with the 4-1 comparison result.

제3 처리부(154)는 제9 검사항목에 대한 제9 검사점수를 제9 기준점수와 비교하고, 제9 검사점수가 제9 기준점수 미만임에 따라 제5 비교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9 검사점수는 단락 읽기 검사점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9 기준점수는 제9 Z-스코어가 제1 표준편차(예를 들어, -1.5 SD)인 정상군의 제9 검사점수를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processing unit 154 may compare the 9th inspection score for the 9th inspection item with the 9th standard score, and generate a 5th comparison result according to the 9th inspection score being less than the 9th standard score. In this embodiment, the ninth test score may include a paragraph reading test score. In this embodiment, the 9th reference score may include the 9th test score of the normal group whose 9th Z-score is the first standard deviation (eg, -1.5 SD).

본 실시 예에서 제5 비교결과는 제5-1 비교결과 및 제5-2 비교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제5-1 비교결과는 제9 검사점수가 제9 기준점수 미만인 경우에 생성될 수 있다. 제5-1 비교 결과로부터 사용자의 읽기 능력이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제5-2 비교결과는 제9 검사점수가 제9 기준점수 이상인 경우에 생성될 수 있다. 제5-2 비교결과로부터 사용자의 읽기 능력이 양호함을 알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5 비교결과는 제5-1 비교결과로 대체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ifth comparison result may include the 5-1 comparison result and the 5-2 comparison result. The 5-1 comparison result can be generated when the 9th inspection score is less than the 9th standard score. From the results of comparison 5-1, it can be seen that the user's reading ability has decreased. The 5-2 comparison result can be generated when the 9th inspection score is higher than the 9th standard score. From the comparison results of 5-2, it can be seen that the user's reading ability is good. In this embodiment, the 5th comparison result can be replaced with the 5-1 comparison result.

제3 처리부(154)는 제4 비교결과 및 제5 비교결과 중 하나 이상이 생성됨에 따라 제3 신경 인지 카테고리 즉, 언어에 인지기능 저하가 있음을 평가할 수 있다.The third processing unit 154 may evaluate whether there is a decline in cognitive function in the third neurocognitive category, that is, language, as one or more of the fourth and fifth comparison results are generated.

제3 처리부(154)는 제5 검사점수 및 제6 검사점수를 기반으로 하여 제4 신경 인지 카테고리에 인지기능 저하가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제4 평가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The third processing unit 154 may execute a fourth evaluation process to evaluate whether there is a decline in cognitive function in the fourth neurocognitive category based on the fifth test score and the sixth test score.

제3 처리부(154)는 제4 평가 프로세스를 실행 시에, 제5 검사항목에 대한 제5 검사점수를 제5 기준점수와 비교하고, 제5 검사점수가 제5 기준점수 미만임에 따라 제6 비교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5 검사점수는 선각도 지각 검사점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5 기준점수는 제5 Z-스코어가 제1 표준편차(예를 들어, -1.5 SD)인 정상군의 제5 검사점수를 포함할 수 있다.When executing the fourth evaluation process, the third processing unit 154 compares the fifth inspection score for the fifth inspection item with the fifth standard score, and if the fifth inspection score is less than the fifth standard score, the third processing unit 154 compares the fifth inspection score for the fifth inspection item with the fifth standard score. Comparison results can be generated. In this embodiment, the fifth test score may include a linear angle perception test score. In this embodiment, the fifth reference score may include the fifth test score of the normal group whose fifth Z-score is the first standard deviation (eg, -1.5 SD).

본 실시 예에서 제6 비교결과는 제6-1 비교결과 및 제6-2 비교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제6-1 비교결과는 제5 검사점수가 제5 기준점수 미만인 경우에 생성될 수 있다. 제6-1 비교 결과로부터 사용자의 시공간 지각력이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제6-2 비교결과는 제5 검사점수가 제5 기준점수 이상인 경우에 생성될 수 있다. 제6-2 비교결과로부터 사용자의 시공간 지각력이 양호함을 알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6 비교결과는 제6-1 비교결과로 대체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ixth comparison result may include the 6-1 comparison result and the 6-2 comparison result. The 6-1 comparison result can be generated when the 5th inspection score is less than the 5th standard score. From the results of comparison 6-1, it can be seen that the user's spatiotemporal perception has deteriorated. The 6-2 comparison result can be generated when the 5th inspection score is higher than the 5th standard score. From the comparison results of No. 6-2, it can be seen that the user's spatiotemporal perception is good. In this embodiment, the 6th comparison result can be replaced with the 6-1 comparison result.

제3 처리부(154)는 제6 검사항목에 대한 제6 검사점수를 제6 기준점수와 비교하고, 제6 검사점수가 제6 기준점수 미만임에 따라 제7 비교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6 검사점수는 색상 지각 검사점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6 기준점수는 제6 Z-스코어가 제1 표준편차(예를 들어, -1.5 SD)인 정상군의 제6 검사점수를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processing unit 154 may compare the sixth inspection score for the sixth inspection item with the sixth standard score, and generate a seventh comparison result according to the sixth inspection score being less than the sixth standard score. In this embodiment, the sixth test score may include a color perception test score. In this embodiment, the sixth reference score may include the sixth test score of the normal group whose sixth Z-score is the first standard deviation (eg, -1.5 SD).

본 실시 예에서 제7 비교결과는 제7-1 비교결과 및 제7-2 비교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제7-1 비교결과는 제6 검사점수가 제6 기준점수 미만인 경우에 생성될 수 있다. 제7-1 비교 결과로부터 사용자의 색상 구분 능력이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제7-2 비교결과는 제6 검사점수가 제6 기준점수 이상인 경우에 생성될 수 있다. 제7-2 비교결과로부터 사용자의 색상 구분 능력이 양호함을 알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7 비교결과는 제7-1 비교결과로 대체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7th comparison result may include the 7-1 comparison result and the 7-2 comparison result. The 7-1 comparison result can be generated when the 6th inspection score is less than the 6th standard score. From the comparison results of Chapter 7-1, it can be seen that the user's color discrimination ability has deteriorated. The 7-2 comparison result can be generated when the 6th inspection score is higher than the 6th standard score. From the comparison results of Chapter 7-2, it can be seen that the user's color discrimination ability is good. In this embodiment, the 7th comparison result can be replaced with the 7-1 comparison result.

제3 처리부(154)는 제6 비교결과 및 제7 비교결과 중 하나 이상이 생성됨에 따라 제4 신경 인지 카테고리 즉, 지각에 인지기능 저하가 있음을 평가할 수 있다.The third processing unit 154 may evaluate whether there is a decline in cognitive function in the fourth neurocognitive category, that is, perception, as one or more of the sixth and seventh comparison results are generated.

제3 처리부(154)는 제1 검사점수와, 제4 검사점수와, 제10 검사점수 및 제11 검사점수를 기반으로 하여 제5 신경 인지 카테고리에 인지기능 저하가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제5 평가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The third processing unit 154 performs a fifth evaluation to evaluate whether there is a decline in cognitive function in the fifth neurocognitive category based on the first test score, the fourth test score, the tenth test score, and the eleventh test score. The process can be run.

제3 처리부(154)는 제5 평가 프로세스를 실행 시에, 제1 검사항목에 대한 제1 검사점수를 제1 기준점수와 비교하고, 제1 검사점수가 제1 기준점수 미만임에 따라 제8 비교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검사점수는 유창성 검사점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기준점수는 제1 Z-스코어가 제1 표준편차(예를 들어, -1.5 SD)인 정상군의 제1 검사점수를 포함할 수 있다.When executing the fifth evaluation process, the third processing unit 154 compares the first inspection score for the first inspection item with the first reference score, and if the first inspection score is less than the first reference score, Comparison results can be generated.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test score may include a fluency test score.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reference score may include the first test score of the normal group whose first Z-score is the first standard deviation (eg, -1.5 SD).

본 실시 예에서 제8 비교결과는 제8-1 비교결과 및 제8-2 비교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제8-1 비교결과는 제1 검사점수가 제1 기준점수 미만인 경우에 생성될 수 있다. 제8-1 비교 결과로부터 사용자의 유창성이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제8-2 비교결과는 제1 검사점수가 제1 기준점수 이상인 경우에 생성될 수 있다. 제8-2 비교결과로부터 사용자의 유창성이 양호함을 알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8 비교결과는 제8-1 비교결과로 대체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8th comparison result may include the 8-1 comparison result and the 8-2 comparison result. The 8-1 comparison result can be generated when the first inspection score is less than the first standard score. From the comparison results of Chapter 8-1, it can be seen that the user's fluency has decreased. The 8-2 comparison result can be generated when the first inspection scor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standard score. From the comparison results of Chapter 8-2, it can be seen that the user's fluency is good. In this embodiment, the 8th comparison result can be replaced with the 8-1 comparison result.

제3 처리부(154)는 제4 검사항목에 대한 제4 검사점수를 제4 기준점수와 비교하고, 제4 검사점수가 제4 기준점수 미만임에 따라 제9 비교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4 검사점수는 스트룹 검사점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4 기준점수는 제4 Z-스코어가 제4 표준편차(예를 들어, -1.5 SD)인 정상군의 제4 검사점수를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processing unit 154 may compare the fourth inspection score for the fourth inspection item with the fourth standard score, and generate a ninth comparison result as the fourth inspection score is less than the fourth standard score. In this embodiment, the fourth test score may include a Stroop test score. In this embodiment, the fourth reference score may include the fourth test score of the normal group whose fourth Z-score is the fourth standard deviation (eg, -1.5 SD).

본 실시 예에서 제9 비교결과는 제9-1 비교결과 및 제9-2 비교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제9-1 비교결과는 제4 검사점수가 제4 기준점수 미만인 경우에 생성될 수 있다. 제9-1 비교 결과로부터 사용자의 억제 기능이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제9-2 비교결과는 제4 검사점수가 제4 기준점수 이상인 경우에 생성될 수 있다. 제9-2 비교결과로부터 사용자의 억제 기능이 양호함을 알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9 비교결과는 제9-1 비교결과로 대체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9th comparison result may include the 9-1 comparison result and the 9-2 comparison result. 9-1 Comparison results can be generated when the fourth inspection score is less than the fourth standard score. From the comparison results of Chapter 9-1, it can be seen that the user's inhibition function has decreased. 9-2 Comparison results can be generated when the fourth inspection score is higher than the fourth standard score. From the comparison results of Chapter 9-2, it can be seen that the user's suppression function is good. In this embodiment, the 9th comparison result can be replaced with the 9-1 comparison result.

제3 처리부(154)는 제10 검사항목에 대한 제10 검사점수를 제10 기준점수와 비교하고, 제10 검사점수가 제10 기준점수 미만임에 따라 제10 비교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0 검사점수는 시공간 주의력 검사점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0 기준점수는 제10 Z-스코어가 제10 표준편차(예를 들어, -1.5 SD)인 정상군의 제10 검사점수를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processing unit 154 may compare the 10th inspection score for the 10th inspection item with the 10th standard score, and generate a 10th comparison result according to the 10th inspection score being less than the 10th standard score. In this embodiment, the 10th test score may include a spatiotemporal attention test score. In this embodiment, the 10th reference score may include the 10th test score of the normal group whose 10th Z-score is the 10th standard deviation (eg, -1.5 SD).

본 실시 예에서 제10 비교결과는 제10-1 비교결과 및 제10-2 비교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제10-1 비교결과는 제10 검사점수가 제10 기준점수 미만인 경우에 생성될 수 있다. 제10-1 비교 결과로부터 사용자의 주의력 및 작업 기억력이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제10-2 비교결과는 제10 검사점수가 제10 기준점수 이상인 경우에 생성될 수 있다. 제10-2 비교결과로부터 사용자의 주의력 및 작업 기억력이 양호함을 알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0 비교결과는 제10-1 비교결과로 대체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10th comparison result may include the 10-1 comparison result and the 10-2 comparison result. The 10-1 comparison result can be generated when the 10th inspection score is less than the 10th standard score. From the comparison results of No. 10-1, it can be seen that the user's attention and working memory have decreased. The 10-2 comparison result can be generated when the 10th test score is higher than the 10th standard score. From the comparison results of No. 10-2, it can be seen that the user's attention and working memory are good. In this embodiment, the 10th comparison result can be replaced with the 10-1 comparison result.

제3 처리부(154)는 제11 검사항목에 대한 제11 검사점수를 제11 기준점수와 비교하고, 제11 검사점수가 제11 기준점수 미만임에 따라 제11 비교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1 검사점수는 헤일링 검사점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1 기준점수는 제11 Z-스코어가 제11 표준편차(예를 들어, -1.5 SD)인 정상군의 제11 검사점수를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processing unit 154 may compare the 11th inspection score for the 11th inspection item with the 11th standard score, and generate an 11th comparison result according to the 11th inspection score being less than the 11th standard score. In this embodiment, the 11th inspection score may include a hailing inspection score. In this embodiment, the 11th reference score may include the 11th test score of the normal group whose 11th Z-score is the 11th standard deviation (eg, -1.5 SD).

본 실시 예에서 제11 비교결과는 제11-1 비교결과 및 제11-2 비교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1 비교결과는 제11 검사점수가 제11 기준점수 미만인 경우에 생성될 수 있다. 제11-1 비교 결과로부터 사용자의 언어적 억제력이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제11-2 비교결과는 제11 검사점수가 제11 기준점수 이상인 경우에 생성될 수 있다. 제11-2 비교결과로부터 사용자의 언어적 억제력이 양호함을 알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1 비교결과는 제11-1 비교결과로 대체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11th comparison result may include the 11-1 comparison result and the 11-2 comparison result. The 11-1 comparison result can be generated when the 11th inspection score is less than the 11th standard score. From the comparison results of No. 11-1, it can be seen that the user's verbal inhibition power has decreased. The 11-2 comparison result can be generated when the 11th test score is higher than the 11th standard score. From the comparison results of No. 11-2, it can be seen that the user's verbal inhibition ability is good. In this embodiment, the 11th comparison result can be replaced with the 11-1 comparison result.

제3 처리부(154)는 제8 비교결과와, 제9 비교결과와, 제10 비교결과 및 제11 비교결과 중 하나 이상이 생성됨에 따라 제5 신경 인지 카테고리 즉, 주의집행에 인지기능 저하가 있음을 평가할 수 있다.As one or more of the 8th comparison result, the 9th comparison result, the 10th comparison result, and the 11th comparison result are generated, the third processing unit 154 determines that there is a decline in cognitive function in the fifth neurocognitive category, that is, attention execution. can be evaluated.

전송부(155)는 감별 프로세스의 실행을 완료한 후에 감별 결과를 사용자 단말기(200) 및/또는 진료자(예를 들어 의사)의 단말기(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After completing the execution of the discrimination process, the transmission unit 155 may transmit the discrimination result to the user terminal 200 and/or the terminal (not shown) of the practitioner (eg, doctor).

도 16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도 15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검사 장치(100)는 프로세서(170)와 메모리(180)를 포함할 수 있다.Figure 16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testing device for evaluating cognitive decli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parts that overlap with the description of FIGS. 1 to 15 will be omitted. Referring to FIG. 16, a test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include a processor 170 and a memory 180.

본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70)는 도 2 및 도 3에 개시된 통신부(110), 저장 매체(120), 프로그램 저장부(130), 데이터베이스(140), 검사 관리부(150) 및 제어부(160)가 수행하는 기능을 처리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processor 170 includes the communication unit 110, storage medium 120, program storage unit 130, database 140, test management unit 150, and control unit 160 disclosed in FIGS. 2 and 3. The function it performs can be processed.

이러한 프로세서(170)는 검사 장치(100) 전체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어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 중앙처리장치, 프로세서 코어, 멀티프로세서, ASIC, FPGA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is processor 170 can control the entire operation of the inspection device 100. Here, 'processor' may mean, for example, a data processing device built into hardware that has a physically structured circuit to perform a function expressed by code or instructions included in a program. Examples of data processing devices built into hardware include processing devices such as microprocessors, central processing units, processor cores, multiprocessors, ASICs, and FPGAs,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메모리(180)는 프로세서(170)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고, 프로세서(170)에서 수행되는 동작과 연관하여 적어도 하나의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180 is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processor 170 and can store at least one code in association with an operation performed by the processor 170.

또한, 메모리(180)는 프로세서(17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140)로 구축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180)는 자기 저장 매체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메모리(180)는 내장 메모리 및/또는 외장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DRAM, SRAM, 또는 SDRAM 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OTPROM, PROM, EPROM, EEPROM, mask ROM, flash ROM, NAND 플래시 메모리, 또는 NOR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SSD, CF 카드, SD 카드, Micro-SD 카드, Mini-SD 카드, xD 카드, 또는 메모리 스틱 등과 같은 플래시 드라이브, 또는 HDD와 같은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memory 180 may perform a function of temporarily or permanently storing data processed by the processor 170 and may include data established as the database 140. Here, the memory 180 may include a magnetic storage medium or a flash storage medium,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Such memory 180 may include internal memory and/or external memory, such as volatile memory such as DRAM, SRAM, or SDRAM, OTPROM, PROM, EPROM, EEPROM, mask ROM, flash ROM, NAND flash memory, or NOR. It may include non-volatile memory such as flash memory, flash drives such as SSD, CF card, SD card, Micro-SD card, Mini-SD card, xD card, or memory stick, or storage devices such as HDD.

도 17 내지 도 20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도 16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방법은 검사 장치(100)가 주변 구성 요소들의 도움을 받아 프로세서(170)에서 수행한다고 가정하고 설명하기로 한다.17 to 20 are flowcharts explaining a test method for evaluating cognitive declin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parts that overlap with the description of FIGS. 1 to 16 will be omitted. The test method for evaluating cognitive declin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ssuming that the test device 100 is performed by the processor 170 with the help of peripheral components.

도 17을 참조하면, S1710단계에서, 프로세서(170)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복수개의 검사항목 각각에 대하여 제시한 미션을 얼마만큼 수행하는지 검사하고, 복수개의 검사항목 각각에 대한 검사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S1710단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서 검사단계로 표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7, in step S1710, the processor 170 can check how much the user performs the mission present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inspection items and calculate the inspection scor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inspection items. there is. In this embodiment, step S1710 may be expressed as an inspection step in the claims described later.

도 18에는 검사단계의 상세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S1710-1단계에서, 프로세서(170)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제한시간 내에 기설정된 제시 범주에 해당하는 단어의 발화 및 제한시간 내에 지시한 도안의 드로잉을 얼마만큼 수행하는지 평가하는 제1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1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제1 검사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Figure 18 shows a detailed flow chart of the inspection step. Referring to FIG. 18, in step S1710-1, the processor 170 determines how much the user utters the word corresponding to the preset presentation category within the time limit and draws the indicated design within the time limit. A first inspection step of executing an inspection on the first inspection item to be evaluated and calculating a first inspection score may be performed.

S1710-2단계에서, 프로세서(170)는 제1 검사단계의 실행을 완료한 후에, 기설정된 범주 단서를 알려주면서 단어를 학습하고 학습한 단어를 기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에 얼마만큼 기억하는지 평가하는 제2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2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제2 검사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 In step S1710-2, after completing the execution of the first test step, the processor 170 learns the word while providing a preset category clue and evaluates how much of the learned word is remembered after a preset time. 2 The second inspection step can be performed by executing the inspection of the inspection items and calculating the second inspection score.

S1710-3단계에서, 프로세서(170)는 제2 검사단계의 실행을 완료한 후에, 기설정된 제시 이미지를 학습하고 학습한 제시 이미지를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얼마만큼 기억하는지 평가하는 제3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3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제3 검사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In step S1710-3, after completing execution of the second test step, the processor 170 performs a third test to learn a preset presented image and evaluate how much of the learned presented image is remembered after a preset time has elapsed. A third inspection step can be performed in which inspection of items is performed and a third inspection score is calculated.

S1710-4단계에서, 프로세서(170)는 제3 검사단계의 실행을 완료한 후에, 기설정된 제시 단어 및 기설정된 제시 단어의 색상을 정확하게 발화하는지 평가하는 제4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4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제4 검사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In step S1710-4, after completing execution of the third test step, the processor 170 executes a test on the fourth test item to evaluate whether the preset suggested word and the color of the preset suggested word are correctly uttered, and 4 The fourth inspection step to calculate the inspection score can be performed.

S1710-5단계에서, 프로세서(170)는 제4 검사단계의 실행을 완료한 후에, 기설정된 제시 선과 유사한 각도를 갖는 선을 찾는지 평가하는 제5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5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제5 검사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In step S1710-5, after completing the execution of the fourth inspection step, the processor 170 executes a inspection on the fifth inspection item to evaluate whether a line having a similar angle to the preset presented line is found and calculates the fifth inspection score. The fifth inspection step can be performed to calculate .

S1710-6단계에서, 프로세서(170)는 제5 검사단계의 실행을 완료한 후에, 기설정된 제시 도형의 색상과 다른 색상의 도형을 찾는지 평가하는 제6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6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제6 검사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In step S1710-6, after completing the execution of the fifth inspection step, the processor 170 executes a check on the sixth inspection item to evaluate whether a shape with a color different from the color of the preset presented shape is found, and The sixth inspection step of calculating the inspection score can be performed.

S1710-7단계에서, 프로세서(170)는 제6 검사단계의 실행을 완료한 후에, 기설정된 제시 대상체들의 크기 및 무게를 내림차순으로 나열하는지 평가하는 제7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7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제7 검사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In step S1710-7, after completing execution of the sixth test step, the processor 170 executes a test on the seventh test item to evaluate whether the sizes and weights of the preset presented objects are listed in descending order, and performs the seventh test. The seventh inspection step to calculate the score can be performed.

S1710-8단계에서, 프로세서(170)는 제7 검사단계의 실행을 완료한 후에, 기설정된 얼굴 제시 이미지에 나타나는 감정의 세기를 알아차리는지 평가하는 제8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8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제8 검사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In step S1710-8, after completing execution of the seventh test step, the processor 170 executes a test on the eighth test item to evaluate whether the intensity of emotion appearing in the preset face presentation image is recognized, and performs the eighth test item. The eighth inspection step, which calculates the inspection score, can be performed.

S1710-9단계에서, 프로세서(170)는 제8 검사단계의 실행을 완료한 후에, 기설정된 제시 문장을 정확하게 발화하는지 평가하는 제9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9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제9 검사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In step S1710-9, after completing the execution of the 8th test step, the processor 170 executes a test on the 9th test item to evaluate whether the preset presented sentence is uttered correctly and calculates the 9th test score. 9 inspection steps can be performed.

S1710-10단계에서, 프로세서(170)는 제9 검사단계의 실행을 완료한 후에, 기설정된 제시 도형의 위치 및 순서를 기억하는지 평가하는 제10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10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제10 검사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In step S1710-10, after completing the execution of the 9th test step, the processor 170 executes a test on the 10th test item to evaluate whether the position and order of the preset presented figure is remembered and calculates the 10th test score. The 10th inspection step to calculate can be performed.

S1710-11단계에서, 프로세서(170)는 제10 검사단계의 실행을 완료한 후에, 기설정된 제시 미완성 문장이 완성 문장이 되도록 조건에 해당하는 단어를 정확하게 선택하는지 평가하는 제11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11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제11 검사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In step S1710-11, after completing the execution of the 10th check step, the processor 170 performs a check on the 11th check item to evaluate whether the word corresponding to the condition is correctly selected so that the preset presented incomplete sentence becomes a complete sentence. You can execute the 11th inspection step to calculate the 11th inspection score.

도 17로 돌아와서, S1720단계에서, 프로세서(170)는 검사단계의 실행을 완료한 후에, 복수개의 검사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검사항목을 복수개의 신경 인지 카테고리 중 어느 한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S1720단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서 카테고리 분류단계로 표현될 수 있다.Returning to FIG. 17, in step S1720, after completing execution of the test step, the processor 170 may classify at least one test item among the plurality of test items into one neurocognitive category among the plurality of neurocognitive categories. . In this embodiment, step S1720 may be expressed as a category classification step in the claims described later.

도 19에는 카테고리 분류단계의 상세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S1720-1단계에서, 프로세서(170)는 제2 검사항목 및 제3 검사항목을 기억력에 대한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할 수 있는 제1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다.Figure 19 shows a detailed flow chart of the category classification step. Referring to FIG. 19, in step S1720-1, the processor 170 may classify the second and third test items into a first neurocognitive category that can evaluate the decline in cognitive function regarding memory.

S1720-2단계에서, 프로세서(170)는 제8 검사항목을 사회인지에 대한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할 수 있는 제2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다.In step S1720-2, the processor 170 may classify the eighth test item into a second neurocognitive category that can evaluate cognitive decline in social cognition.

S1720-3단계에서, 프로세서(170)는 제7 검사항목 및 제9 검사항목을 언어에 대한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할 수 있는 제3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다.In step S1720-3, the processor 170 may classify the seventh and ninth test items into a third neurocognitive category that can evaluate the decline in cognitive function for language.

S1720-4단계에서, 프로세서(170)는 제5 검사항목 및 제6 검사항목을 지각에 대한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할 수 있는 제4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다.In step S1720-4, the processor 170 may classify the fifth and sixth test items into the fourth neurocognitive category that can evaluate the decline in cognitive function for perception.

S1720-5단계에서, 프로세서(170)는 제1 검사항목과, 제4 검사항목과, 제10 검사항목 및 제11 검사항목을 주의집행에 대한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할 수 있는 제5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다.In step S1720-5, the processor 170 divides the first test item, the fourth test item, the tenth test item, and the eleventh test item into a fifth neurocognitive category that can evaluate cognitive function decline in attention execution. Can be classified.

도 17로 돌아와서, S1730단계에서, 프로세서(170)는 카테고리 분류단계의 실행을 완료한 후에,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된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점수를 기반으로 하여 신경 인지 카테고리에 인지기능 저하가 있는지 여부를 평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S1730단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서 평가단계로 표현될 수 있다.Returning to Figure 17, in step S1730, after completing the execution of the category classification step, the processor 170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decline in cognitive function in the neurocognitive category based on the test scores for the test items classified into the neurocognitive category. can be evaluated. In this embodiment, step S1730 may be expressed as an evaluation step in the claims described later.

도 20에는 평가단계의 상세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S1730-1단계에서, 프로세서(170)는 제1 평가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제2 검사항목에 대한 제2 검사점수를 제2 기준점수와 비교하고, 제2 검사점수가 제2 기준점수 미만임에 따라 제1 비교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제3 검사항목에 대한 제3 검사점수를 제3 기준점수와 비교하고, 제3 검사점수가 제3 기준점수 미만임에 따라 제2 비교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제1 비교결과 및 제2 비교결과 중 하나 이상이 생성됨에 따라 제1 신경 인지 카테고리 즉, 기억력에 인지기능 저하가 있음을 평가할 수 있다.Figure 20 shows a detailed flow chart of the evaluation step. Referring to FIG. 20, in step S1730-1, the processor 170 may execute a first evaluation process. The processor 170 may compare the second inspection score for the second inspection item with the second reference score, and generate a first comparison result according to the second inspection score being less than the second reference score. The processor 170 may compare the third test score for the third test item with the third standard score, and generate a second comparison result according to the third test score being less than the third standard score. The processor 170 may evaluate whether there is a decline in cognitive function in the first neurocognitive category, that is, memory, as one or more of the first comparison result and the second comparison result are generated.

S1730-2단계에서, 프로세서(170)는 제1 평가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제2 평가 프로세스를 실행 시에, 제8 검사항목에 대한 제8 검사점수를 제8 기준점수와 비교하고, 제8 검사점수가 제8 기준점수 미만임에 따라 제3 비교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제3 비교결과가 생성됨에 따라 제2 신경 인지 카테고리 즉, 사회인지에 인지기능 저하가 있음을 평가할 수 있다.In step S1730-2, the processor 170 may execute a first evaluation process. When executing the second evaluation process, the processor 170 compares the 8th inspection score for the 8th inspection item with the 8th standard score, and if the 8th inspection score is less than the 8th standard score, the third comparison result can be created. As the third comparison result is generated, the processor 170 may evaluate whether there is a decline in cognitive function in the second neurocognitive category, that is, social cognition.

S1730-3단계에서, 프로세서(170)는 제3 평가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제3 평가 프로세스를 실행 시에, 제7 검사항목에 대한 제7 검사점수를 제7 기준점수와 비교하고, 제7 검사점수가 제7 기준점수 미만임에 따라 제4 비교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제9 검사항목에 대한 제9 검사점수를 제9 기준점수와 비교하고, 제9 검사점수가 제9 기준점수 미만임에 따라 제5 비교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제4 비교결과 및 제5 비교결과 중 하나 이상이 생성됨에 따라 제3 신경 인지 카테고리 즉, 언어에 인지기능 저하가 있음을 평가할 수 있다.In step S1730-3, the processor 170 may execute a third evaluation process. When executing the third evaluation process, the processor 170 compares the 7th inspection score for the 7th inspection item with the 7th standard score, and if the 7th inspection score is less than the 7th standard score, the fourth comparison result can be created. The processor 170 may compare the 9th inspection score for the 9th inspection item with the 9th standard score, and generate a 5th comparison result according to the 9th inspection score being less than the 9th standard score. As one or more of the fourth and fifth comparison results are generated, the processor 170 may evaluate whether there is a decline in cognitive function in the third neurocognitive category, that is, language.

S1730-4단계에서, 프로세서(170)는 제4 평가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제4 평가 프로세스를 실행 시에, 제5 검사항목에 대한 제5 검사점수를 제5 기준점수와 비교하고, 제5 검사점수가 제5 기준점수 미만임에 따라 제6 비교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제6 검사항목에 대한 제6 검사점수를 제6 기준점수와 비교하고, 제6 검사점수가 제6 기준점수 미만임에 따라 제7 비교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제6 비교결과 및 제7 비교결과 중 하나 이상이 생성됨에 따라 제4 신경 인지 카테고리 즉, 지각에 인지기능 저하가 있음을 평가할 수 있다In step S1730-4, the processor 170 may execute a fourth evaluation process. When executing the fourth evaluation process, the processor 170 compares the fifth inspection score for the fifth inspection item with the fifth standard score, and if the fifth inspection score is less than the fifth standard score, the sixth comparison result can be created. The processor 170 may compare the sixth inspection score for the sixth inspection item with the sixth standard score, and generate a seventh comparison result according to the sixth inspection score being less than the sixth standard score. The processor 170 may evaluate whether there is a decline in cognitive function in the fourth neurocognitive category, that is, perception, as one or more of the sixth and seventh comparison results are generated.

S1730-5단계에서, 프로세서(170)는 제5 평가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제3 평가 프로세스를 실행 시에, 제1 검사항목에 대한 제1 검사점수를 제1 기준점수와 비교하고, 제1 검사점수가 제1 기준점수 미만임에 따라 제8 비교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제4 검사항목에 대한 제4 검사점수를 제4 기준점수와 비교하고, 제4 검사점수가 제4 기준점수 미만임에 따라 제9 비교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제10 검사항목에 대한 제10 검사점수를 제10 기준점수와 비교하고, 제10 검사점수가 제10 기준점수 미만임에 따라 제10 비교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제11 검사항목에 대한 제11 검사점수를 제11 기준점수와 비교하고, 제11 검사점수가 제11 기준점수 미만임에 따라 제11 비교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제8 비교결과와, 제9 비교결과와, 제10 비교결과 및 제11 비교결과 중 하나 이상이 생성됨에 따라 제5 신경 인지 카테고리 즉, 주의집행에 인지기능 저하가 있음을 평가할 수 있다.In step S1730-5, the processor 170 may execute a fifth evaluation process. When executing the third evaluation process, the processor 170 compares the first inspection score for the first inspection item with the first reference score, and if the first inspection score is less than the first reference score, the eighth comparison result can be created. The processor 170 may compare the fourth inspection score for the fourth inspection item with the fourth standard score, and generate a ninth comparison result as the fourth inspection score is less than the fourth standard score. The processor 170 may compare the 10th inspection score for the 10th inspection item with the 10th standard score, and generate a 10th comparison result according to the 10th inspection score being less than the 10th standard score. The processor 170 may compare the 11th inspection score for the 11th inspection item with the 11th standard score, and generate an 11th comparison result according to the 11th inspection score being less than the 11th standard score. The processor 170 evaluates whether there is a decline in cognitive function in the fifth neurocognitive category, that is, attention execution, as one or more of the eighth comparison result, the ninth comparison result, the tenth comparison result, and the eleventh comparison result are generated. You can.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컴퓨터 상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mputer program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onents on a computer, and such a computer program may be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At this time, the media includes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and ROM. , RAM, flash memory, etc., may include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한편,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mputer program may be designed and configured specifically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 programs may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at cre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In the specification (particularly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 of the term “above” and similar referential terms may refer to both the singular and the plural. In addition, when a range i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vention includes the application of individual values within the range (unless there is a statement to the contrary), and each individual value constituting the range i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It's the same.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Unless there is an explicit order or statement to the contrary regarding the steps constit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steps may be performed in any suitable ord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by the order of description of the above steps. The use of any examples or illustrative terms (e.g., etc.) in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d unless limited by the claim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by the examples or illustrative terms. It doesn't work. Additionall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various modifications, combin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depending on design conditions and factor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or their equivalent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described below as well as all scopes equivalent to or equivalently changed from the scope of the claim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said to belong to

100: 검사 장치
200: 사용자 단말기
300: 네트워크
100: inspection device
200: user terminal
300: Network

Claims (11)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방법으로서,
사용자를 대상으로 복수개의 검사항목 각각에 대하여 제시한 미션을 얼마만큼 수행하는지 검사하고, 상기 복수개의 검사항목 각각에 대한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검사단계;
상기 복수개의 검사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검사항목을 복수개의 신경 인지 카테고리 중 어느 한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하는 카테고리 분류단계; 및
상기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된 상기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점수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신경 인지 카테고리에 인지기능 저하가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평가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검사단계는,
기설정된 범주 단서를 알려주면서 단어를 학습하고 학습한 상기 단어를 기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에 얼마만큼 기억하는지 평가하는 제2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2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제2 검사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검사단계는,
제2-1 검사단계; 및
상기 제2-1 검사단계의 실행이 완료되고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에 실행되는 제2-2 검사단계를 포함며,
상기 제2-1 검사단계는,
복수개의 제시 단어를 도시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시 단어 중 상기 기설정된 범주 단서에 해당하는 단어를 선택하라는 제2-1-1 지시문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2-1-1 지시문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개의 제시 단어 중 어느 한 단어를 선택한 단어 선택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어 선택 결과와 정답 단어를 비교하여 제2-1-1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제시 단어에 대하여 보기를 제공하지 않고, 앞서 보여준 상기 복수개의 제시 단어 중 상기 기설정된 범주 단서에 속하는 단어를 회상하여 발화하라는 제2-1-2 지시문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2-1-2 지시문에 대응하여 상기 기설정된 범주 단서에 속하는 단어에 대한 발화 결과를 수신하여 발화 텍스트로 변환하고, 상기 발화 텍스트와 정답 텍스트를 비교하여 제2-1-2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1-1 검사점수 및 상기 제2-1-2 검사점수를 합산하여 제2-1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방법.
A test method for evaluating cognitive decline that is executed by a processor of a testing device for evaluating cognitive decline, comprising:
An inspection step of examining how well the user performs the mission presented for each of a plurality of inspection items and calculating an inspection scor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inspection items;
A category classification step of classifying at least one test item among the plurality of test items into one neurocognitive category among the plurality of neurocognitive categories; and
An evaluation step of evaluating whether there is a decline in cognitive function in the neurocognitive category based on the test scores for the test items classified into the neurocognitive category,
The inspection step is,
A second test step is to learn a word while providing preset category clues, run a test on the second test item to evaluate how much the learned word is remembered after a preset time, and calculate a second test score. Contains,
The second inspection step is,
2-1 inspection step; and
It includes a 2-2 test step that is executed after the execution of the 2-1 test step is completed and a preset time has elapsed,
The 2-1 inspection step is,
Showing a plurality of suggested words and providing a 2-1-1 instruction to select a word corresponding to the preset category clue among the plurality of suggested words;
Receiving a word selection result of selecting one of the plurality of suggested words in response to the 2-1-1 instruction;
Comparing the word selection result and the correct word to calculate a 2-1-1 test score;
providing a 2-1-2 instruction to recall and utter a word belonging to the preset category clue among the plurality of suggested words shown previously, without providing an example of the plurality of suggested words;
In response to the 2-1-2 instruction, the speech result for the word belonging to the preset category clue is received and converted into speech text, and the speech text is compared with the correct answer text to obtain the 2-1-2 test score. calculating step; and
Comprising the step of calculating the 2-1 inspection score by adding the 2-1-1 inspection score and the 2-1-2 inspection score,
Test method to evaluate cognitive declin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2 검사단계는,
상기 제2-1 검사단계의 실행 시에 도시된 상기 복수개의 제시 단어 중 상기 범주 단서에 해당하는 제시 단어를 회상하여 발화하라는 제2-2-1 지시문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2-2-1 지시문에 대응하여 상기 제2-1 검사단계의 실행 시에 봤던 상기 복수개의 제시 단어 중 상기 범주 단서에 해당하는 제시 단어에 대한 발화 결과를 수신하여 발화 텍스트로 변환하고, 상기 발화 텍스트와 정답 텍스트를 비교하여 제2-2-1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기설정된 제시 단어와 함께, 상기 기설정된 제시 단어가 이전 검사에서 본 단어인지 여부를 선택하라는 제2-2-2 지시문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2-2-2 지시문에 대응하여 상기 기설정된 제시 단어가 이전 검사에서 본 단어인지 여부를 선택한 결과 및 정답 단어를 비교하여 제2-2-2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2-1 검사점수 및 상기 제2-2-2 검사점수를 합산하여 제2-2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2-2 inspection step is,
Providing a 2-2-1 instruction to recall and utter a suggested word corresponding to the category clue among the plurality of suggested words shown when executing the 2-1 test step;
In response to the 2-2-1 instruction, receive a speech result for a suggested word corresponding to the category clue among the plurality of suggested words seen when executing the 2-1 inspection step and convert it into a speech text, Comparing the utterance text and the correct answer text to calculate a 2-2-1 test score;
Providing a 2-2-2 instruction to select, together with a preset suggested word, whether the preset suggested word is a word seen in a previous test;
Calculating a 2-2-2 test score by comparing the selection result and the correct word to determine whether the preset suggested word is a word seen in a previous test in response to the 2-2-2 instruction; and
Comprising the step of calculating the 2-2 inspection score by adding the 2-2-1 inspection score and the 2-2-2 inspection score.
Test method to evaluate cognitive declin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1 검사단계의 이전에,
상기 제2-1 검사단계의 실행 방법을 텍스트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2 검사단계의 이전에,
상기 제2-2 검사단계의 실행 방법을 텍스트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방법.
According to claim 1,
Before the 2-1 inspection step,
Further comprising providing a method of executing the 2-1 inspection step in text,
Before the 2-2 inspection step,
Further comprising providing a method of executing the 2-2 inspection step in text,
Test method to evaluate cognitive declin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단계는,
기설정된 제시 단어 및 상기 기설정된 제시 단어의 색상을 정확하게 발화하는지 평가하는 제4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4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제4 검사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4 검사단계는,
제4-1 검사단계; 및
상기 제4-1 검사단계의 실행이 완료되고 실행되는 42-2 검사단계를 포함하는,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inspection step is,
Comprising a fourth test step of executing a test on a fourth test item to evaluate whether a preset suggested word and the color of the preset suggested word are correctly uttered and calculating a fourth test score;
The fourth inspection step is,
4-1 inspection step; and
Including a 42-2 inspection step that is executed after the execution of the 4-1 inspection step is completed,
Test method to evaluate cognitive declin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4-1 검사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제시 단어와, 2개의 선택 단어를 도시하고, 상기 기설정된 제시 단어와 동일한 단어를 상기 2개의 선택 단어 중에서 선택하라는 제4-1 지시문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4-1 지시문에 대응하여 상기 기설정된 제시 단어와 동일한 단어를 상기 2개의 선택 단어 중에서 선택한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선택한 결과를 정답과 비교하여 제4-1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방법.
According to claim 6,
The 4-1 inspection step is,
Providing a 4-1 instruction showing the preset suggested word and two choice words, and instructing to select a word identical to the preset suggested word from the two choice words; and
In response to the 4-1 instruction, receiving a result of selecting the same word as the preset suggested word among the two selected words, and calculating a 4-1 test score by comparing the selected result with the correct answer. doing,
Test method to evaluate cognitive declin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4-2 검사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제시 단어와, 2개의 색상 선택 단어를 도시하고, 상기 기설정된 제시 단어와 동일한 색상을 갖는 단어를 상기 2개의 색상 선택 단어 중에서 선택하라는 제4-2 지시문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4-2 지시문에 대응하여 상기 기설정된 제시 단어와 동일한 색상을 갖는 단어를 상기 2개의 색상 선택 단어 중에서 선택한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선택한 결과를 정답과 비교하여 제4-2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방법.
According to claim 7,
The 4-2 inspection step is,
A step of providing a 4-2 instruction showing the preset suggested word and two color selected words and selecting a word having the same color as the preset suggested word from the two color selected words; and
In response to the 4-2 instruction, the result of selecting a word having the same color as the preset suggested word among the two color selection words is received, and the selected result is compared with the correct answer to calculate the 4-2 test score. Including the steps of:
Test method to evaluate cognitive declin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4-1 검사단계의 이전에,
상기 제4-1 검사단계의 실행 방법을 텍스트로 제공하고, 상기 제4-1 검사단계에 대한 연습 검사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4-2 검사단계의 이전에,
상기 제4-2 검사단계의 실행 방법을 텍스트로 제공하고, 상기 제4-2 검사단계에 대한 연습 검사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방법.
According to claim 6,
Before the 4-1 inspection step,
Providing a method of executing the 4-1 inspection step in text, and further comprising performing a practice inspection for the 4-1 inspection step,
Before the 4-2 inspection step,
Providing a method of executing the 4-2 inspection step in text, and further comprising performing a practice inspection for the 4-2 inspection step,
Test method to evaluate cognitive decline.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 1 항 및 제 4 항 내지 제 9 항의 방법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and 4 to 9 using a computer.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장치로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드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가 사용자를 대상으로 복수개의 검사항목 각각에 대하여 제시한 미션을 얼마만큼 수행하는지 검사하고, 상기 복수개의 검사항목 각각에 대한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상기 복수개의 검사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검사항목을 복수개의 신경 인지 카테고리 중 어느 한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하는 카테고리 분류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상기 신경 인지 카테고리로 분류된 상기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점수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신경 인지 카테고리에 인지기능 저하가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평가 프로세스를 실행하도록 야기하는 코드를 저장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 시에, 기설정된 범주 단서를 알려주면서 단어를 학습하고 학습한 상기 단어를 기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에 얼마만큼 기억하는지 평가하는 제2 검사항목에 대한 검사를 실행하고 제2 검사점수를 산출하는 제2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하도록 야기하는 코드를 저장하고,
상기 제2 검사 프로세스는, 제2-1 검사 프로세스와, 상기 제2-1 검사 프로세스의 실행이 완료되고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에 실행되는 제2-2 검사 프로세스를 포함하도록 야기하는 코드를 저장하며,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제2-1 검사 프로세스를 실행 시에, 복수개의 제시 단어를 도시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시 단어 중 상기 기설정된 범주 단서에 해당하는 단어를 선택하라는 제2-1-1 지시문을 제공하고,
상기 제2-1-1 지시문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개의 제시 단어 중 어느 한 단어를 선택한 단어 선택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단어 선택 결과와 정답 단어를 비교하여 제2-1-1 검사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시 단어에 대하여 보기를 제공하지 않고, 앞서 보여준 상기 복수개의 제시 단어 중 상기 기설정된 범주 단서에 속하는 단어를 회상하여 발화하라는 제2-1-2 지시문을 제공하고,
상기 제2-1-2 지시문에 대응하여 상기 기설정된 범주 단서에 속하는 단어에 대한 발화 결과를 수신하여 발화 텍스트로 변환하고, 상기 발화 텍스트와 정답 텍스트를 비교하여 제2-1-2 검사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제2-1-1 검사점수 및 상기 제2-1-2 검사점수를 합산하여 제2-1 검사점수를 산출하도록 야기하는 코드를 저장하는,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 장치.
As a testing device for evaluating cognitive decline,
processor; and
a memory operably connected to the processor and storing at least one code to be executed by the processor;
When the memory is executed through the processor, the processor checks to what extent the processor performs the mission presented to the user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inspection items, and calculates an inspection scor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inspection items. Run ,
Executing a category classification process to classify at least one test item among the plurality of test items into one neurocognitive category among the plurality of neurocognitive categories,
storing code that causes execution of an evaluation process to evaluate whether there is cognitive decline in the neurocognitive category based on test scores for the test items categorized in the neurocognitive category;
The memory allows the processor to:
When executing the test process, a test is performed on a second test item that learns a word while providing preset category clues and evaluates how much the learned word is remembered after a preset time, and a second test score is calculated. storing code that causes a second inspection process to be executed,
The second inspection process stores code that causes the second inspection process to include a 2-1 inspection process and a 2-2 inspection process that is executed after execution of the 2-1 inspection process is completed and a preset time has elapsed. And
The memory allows the processor to:
When executing the 2-1 inspection process, providing a 2-1-1 instruction to show a plurality of suggested words and select a word corresponding to the preset category clue among the plurality of suggested words,
Receiving a word selection result of selecting one of the plurality of suggested words in response to the 2-1-1 instruction,
Compare the word selection results with the correct word to calculate the 2-1-1 test score,
Provides a 2-1-2 instruction to recall and utter a word belonging to the preset category clue among the plurality of suggested words shown previously, without providing an example of the plurality of suggested words,
In response to the 2-1-2 instruction, the speech result for the word belonging to the preset category clue is received and converted into speech text, and the speech text is compared with the correct answer text to obtain the 2-1-2 test score. Calculate,
Storing a code that causes the 2-1 inspection score to be calculated by adding the 2-1-1 inspection score and the 2-1-2 inspection score,
A testing device to evaluate cognitive decline.
KR1020220094657A 2022-05-02 2022-07-29 Test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cognitive function decline KR1026063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142,160 US20230346297A1 (en) 2022-05-02 2023-05-02 Test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cognitive function decline
EP23170949.4A EP4272642A1 (en) 2022-05-02 2023-05-02 Test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cognitive function decline
JP2023076363A JP2023165415A (en) 2022-05-02 2023-05-02 Test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cognitive decline
CN202310486236.XA CN116982929A (en) 2022-05-02 2023-05-04 Test method and device for evaluating cognitive decline
KR1020230162514A KR20230163333A (en) 2022-05-02 2023-11-21 Test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cognitive function decl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54152 2022-05-02
KR1020220054152 2022-05-02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62514A Division KR20230163333A (en) 2022-05-02 2023-11-21 Test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cognitive function decl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4726A KR20230154726A (en) 2023-11-09
KR102606336B1 true KR102606336B1 (en) 2023-11-29

Family

ID=8874804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4657A KR102606336B1 (en) 2022-05-02 2022-07-29 Test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cognitive function decline
KR1020230054778A KR102619699B1 (en) 2022-05-02 2023-04-26 Test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cognitive function decline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4778A KR102619699B1 (en) 2022-05-02 2023-04-26 Test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cognitive function decl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06336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4003B1 (en) * 2017-09-21 2018-03-02 주식회사 엠쓰리솔루션 Cognitive learning and estim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593B1 (en) * 2011-03-22 2013-11-2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Norm-based Cognitive Measuring and Evaluation System
KR20180109529A (en) 2017-03-28 2018-10-08 (주)지아이시그널 Apparatus, Method and Application for Diagnosis of Dementia
KR101914736B1 (en) * 2017-10-13 2018-11-06 대한민국 Online evaluation method for language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brain disorders
KR102225320B1 (en) * 2018-11-30 2021-03-09 주식회사 아리아케어코리아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cognitive ability
KR102301143B1 (en) * 2019-11-21 2021-10-14 주식회사 에임메드 Method for examination and training evaluation for cognitive skil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4003B1 (en) * 2017-09-21 2018-03-02 주식회사 엠쓰리솔루션 Cognitive learning and estim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4752A (en) 2023-11-09
KR20230154726A (en) 2023-11-09
KR102619699B1 (en) 2024-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16870A1 (en) Automatic test personalization
Li et al. An automated assessment framework for atypical prosody and stereotyped idiosyncratic phrases related to autism spectrum disorder
Jin et al. Distinguishing features in scoring L2 Chinese speaking performance: How do they work?
WO2021056837A1 (en) Customization platform and method for service quality evaluation product
CN110020059A (en) System and method for inclusiveness CAPTCHA
CN110009480A (en) The recommended method in judicial collection path, device, medium, electronic equipment
JP2016126384A (en) Method, program, and system for making remote evaluation of patient's decision making ability in his/her economic activities
Xu Career indecision profile–short: reliability and validity among employees and measurement invariance across students and employees
Whisman et al. Assessment of positive and negative relationship adjustment in marriage
Jung et al. OCCUPATIONAL/CAREER INDECISION FOR ECONOMICALLY DISADVANTAGED HIGH SCHOOL STUDENTS OF HIGH INTELLECTUAL ABILITY: A MIXED‐METHODS COGNITIVE PROCESS MODEL
Mitchell Documenting L2 input and interaction during study abroad: Approaches, instruments and challenges
US20180018630A1 (en) Online Assessment Systems And Methods
Reckase et al. The evidence for a subscore structure in a test of english language competency for english language learners
CN104424955A (en) Audio graphical expression generation method and equipment, and audio searching method and equipment
US11547345B2 (en) Dynamic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tool
US20210065574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mptly connecting a knowledge seeker to a subject matter expert
KR102606336B1 (en) Test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cognitive function decline
KR20230163333A (en) Test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cognitive function decline
Wong et al. An examination of the measurement equivalence of the brief fear of negative evaluation scale across individuals who identify with an Asian ethnicity and individuals who identify with a European ethnicity
KR101914736B1 (en) Online evaluation method for language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brain disorders
Yamamoto et al. From high school to postsecondary education, training, and employment: Predicting outcomes for young adul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CN116982929A (en) Test method and device for evaluating cognitive decline
US2016007877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ty analysis
KR20240007634A (en) Test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cognitive function decline
Kramer et al. Investigating people’s metacognitive insight into their own face abil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