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6775A - 차량 및 세척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및 세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6775A
KR20210086775A KR1020190177855A KR20190177855A KR20210086775A KR 20210086775 A KR20210086775 A KR 20210086775A KR 1020190177855 A KR1020190177855 A KR 1020190177855A KR 20190177855 A KR20190177855 A KR 20190177855A KR 20210086775 A KR20210086775 A KR 20210086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unit
vehicle
camera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7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장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7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6775A/ko
Publication of KR20210086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67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8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 B60K35/81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for controlling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imminent contact with an obstacle, e.g. using rada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4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liquid; Windscreen washers
    • B60S1/48Liquid supply therefor
    • B60S1/52Arrangement of nozzles; Liquid spreading means
    • B60S1/522Arrangement of nozzles; Liquid spreading means moving liquid spreading means, e.g. arranged in wiper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5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other parts or devices than front windows or windscree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04N5/2257
    • H04N5/2320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21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using cameras
    • B60K2370/2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1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은 카메라; 카메라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세척 장치 및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세척 명령에 대응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를 세척 장치 및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차량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 장치는, 회전 및 상하좌우로 이동 가능한 암; 암에 마련된 세척부; 차량 및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통신부를 통해 차량에 마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암의 이동을 제어하고, 세척부의 세척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및 세척 장치 {Vehicle and Washing device for the vehicle}
본 발명은 외부에 마련된 카메라 및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는 차량 및 이 차량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기본적인 주행 기능 외에도 라디오 기능,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길 안내 기능(내비게이션 기능), 공조 기능, 시트 열선 기능, 외부 영상 획득 기능(블랙박스 기능), 장애물 충돌 방지 기능, 외부의 사용자용 단말기와의 통신 기능 등 사용자 편의를 위한 부가적인 기능을 더 수행한다.
여기서 외부 영상 획득 기능의 예로, 주차 중 후방 시야의 영상을 획득하는 기능과, 주행 중 전방 시야의 영상을 획득하는 기능과, 운전자의 시야가 확보되지 않는 사각지대의 시야의 영상을 획득하는 기능 둥이 있다.
이러한 외부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서, 차량에는 내부가 아닌 외부에 노출된 형태로 제1 영상 획득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영상 획득부는 렌즈에 먼지나 물방울 등의 이물질이 부착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차량의 외부 상황에 대한 영상 획득 시에 선명도가 저하된 영상을 제공할 수 있고, 운전자에게 주변 정보를 제공하는 본연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 경우, 운전자가 직접 하차하여 제1 영상 획득부의 렌즈에 부착된 오염원을 제거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일 측면은 외부에 마련된 제1 영상 획득부 및 제1거리 검출부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고 외부 디바이스에서 수신된 제1 영상 획득부 및 제1거리 검출부의 세척 전후의 영상을 표시하는 차량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은 차량의 외부에 마련된 제1 영상 획득부 및 제1거리 검출부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영상 획득부 및 제1거리 검출부를 세척하고, 제1 영상 획득부 및 제1거리 검출부의 세척 전후의 영상에 기초하여 추가 세척을 제어하는 세척 장치를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은, 카메라; 카메라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세척 장치 및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세척 명령에 대응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를 세척 장치 및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저장부는 카메라에 대한 오리지널 영상 정보를 저장하고, 제어부는 세척 명령에 대응하여 오리지널 영상 정보를 세척 장치 및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한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은 세척 명령을 수신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부는, 세척 장치 및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세척 명령을 수신한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은 장애물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를 더 포함하고, 저장부는 센서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제어부는 세척 명령에 대응하여 센서의 위치 정보를 세척 장치 및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한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저장부는 센서에 대한 오리지널 영상 정보를 더 저장하고, 제어부는 세척 명령에 대응하여 센서에 대한 오리지널 영상 정보를 세척 장치 및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한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은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수신하고 일정 시간 간격으로 수신된 영상들을 비교하여 카메라에 오염 물질이 부착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카메라에 오염 물질이 부착되었다고 판단되면 세척 요청 정보의 표시를 제어한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부는, 세척 명령에 대응하여 오염물질이 부착된 카메라의 영상 정보를 세척 장치 및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한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은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세척 장치 및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서 전송된 카메라의 세척 전의 영상 정보와 카메라의 세척 후의 영상 정보가 표시되도록 표시부를 제어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세척 장치는, 회전 및 상하좌우로 이동 가능한 암; 암에 마련된 세척부; 차량 및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통신부를 통해 차량에 마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암의 이동을 제어하고, 세척부의 세척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세척 장치의 제어부는, 통신부를 통해 차량에 마련된 센서의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센서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암의 이동을 제어하고, 세척부의 세척 동작을 제어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세척 장치의 제어부는, 통신부를 통해 차량에 마련된 카메라의 영상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카메라의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세척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세척 장치는 카메라의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카메라를 세척하기 전에 영상 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카메라의 영상에 대한 정보와, 카메라의 세척이 완료된 후 영상 획득부를 통해 획득된 카메라의 영상에 대한 정보를 서버 및 차량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세척 장치는 카메라의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카메라를 세척하기 전에 영상 획득부를 통해 획득된 영상과, 카메라의 세척이 완료된 후에 영상 획득부를 통해 획득된 영상을 비교하여 추가 세척 여부를 판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세척 장치의 제어부는, 추가 세척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추가 세척에 대한 정보를 차량 및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세척 장치는 영상 획득부를 통해 영상을 획득할 때, 제어부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광을 출력하는 램프부를 더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세척 장치는 차량과의 거리를 검출하는 거리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검출된 거리에 기초하여 암과 세척부의 위치를 조정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세척 장치의 세척부는, 공기와 물을 분사하는 노즐을 더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세척 장치는 차량의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차량의 영상과 카메라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카메라의 세척 여부를 판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세척 장치은 차량의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차량의 영상과 카메라의 위치 정보에 암의 이동 경로를 생성한다.
본 발명은 차량에 마련된 카메라 및 센서에 부착된 오염 물질들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사용자에게 선명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으며, 장애물의 인식율을 높임으로써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충돌 방지 정보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카메라 및 센서에 오염 물질이 부착되었을 때 사용자가 차량에서 하차하지 않고 세척 장치를 이용하여 오염 물질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품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카메라 및 센서의 위치 정보를 세척 장치에 자동으로 제공하여 세척 장치에서 카메라 및 센서를 세척하도록 함으로써, 세척 장치를 통해 카메라 및 센서의 세척 시에 세척 위치 조정이 용이하고, 정확한 위치에서 세척을 수행하기 때문에 세척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리지널 영상과 세척 전의 영상을 비교함으로써 자동으로 오염도를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오염도에 적절한 세척을 수행함으로써 카메라 및 센서의 세척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척 전의 영상과 세척 후의 영상을 비교하여 카메라 및 센서의 추가 세척을 수행함으로써 세척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에 마련된 카메라 및 센서를 무인으로 세척하여 인건비 절감할 수 있다.
자율 주행 차량과 같이 센서가 많은 차량의 경우, 본 발명은 외부 오염물질을 깨끗이 제거하도록 함으로써 안전 운행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사고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세척 장치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품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외부 예시도이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외장의 전면 예시도이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외장의 후면 예시도이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순서도이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 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 장치의 제어 구성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 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 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장치'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 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장치'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장치'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 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외부 예시도이고,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외장의 전면 예시도이며,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외장의 후면 예시도이다.
차량의 구성부와 세척 장치의 구성부와의 구별을 위해, 차량에 마련된 구성부에 '제1'을 기재하고, 세척 장치의 구성부에 '제2'를 기재한다.
차량(1)은 내장과 외장을 갖는 차체(Body)와, 차체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으로 주행에 필요한 기계 장치가 설치되는 차대(Chassis)를 포함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외장은 프론트 패널(111), 본네트(112), 루프 패널(113), 리어 패널(114), 트렁크(115), 전후좌우 도어(116) 및 전후좌우 도어에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 윈도우 글라스 등을 포함한다.
차체의 외장은 운전자에게 차량(1)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117) 등을 더 포함한다.
차량(1)의 외장에는 장애물과의 거리를 검출하는 제1거리 검출부(120)와 주변의 환경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제1 영상 획득부(130)가 마련될 수 있다.
제1거리 검출부(120)는 차량의 프론트 패널(111) 및 리어 패널(114) 중 적어도 하나의 패널에 마련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거리 검출부(120)는 차량의 프론트 패널(111)에 마련되되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센서(121-12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패널(114)에 마련되되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센서(125-128)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 예의 차량은 자율적으로 주행이 가능한 자율 주행 차량일 수도 있다.
제1거리 검출부(120)는 도어(115) 하측의 사이드실 패널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거리 검출부(120)는 라이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이다(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센서는 레이저 레이다(Laser Radar) 원리를 이용한 비접촉식 거리 검출 센서이다.
제1거리 검출부(120)는 초음파 센서 또는 레이더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1거리 검출부(120)는 자 차량의 외부에 위치하는 장애물, 예를 들면 자 차량의 전방에서 주행하는 전방 차량과, 도로 주변에 설치된 구조물 등과 같은 정지물체와, 반대 차선에서 다가오는 타 차량 및 보행자 등과의 거리를 검출하고, 자 차량(1)의 전방, 후방, 좌우의 측방에 위치한 장애물의 검출 정보를 출력한다.
이러한 제1거리 검출부(120)에서 출력된 검출 정보에 의해, 차량은 전후좌우 방향의 장애물의 존재 여부 및 장애물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는 거리와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1)은 장애물과의 충돌에 대응하는 충돌 신호를 출력하는 충돌 검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충돌 검출부는, 압력 센서, 힘센서, 리미트 스위치, 근접 센서, 아두이노 충격센서, 진동센서, 터치 센서, 가속도 센서 및 요레이트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아울러 충돌 검출부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영상 획득부(130)는 차량 주변의 도로 영상을 실시간으로 획득한다.
제1 영상 획득부(130)는 차량의 전후좌우 방향의 영상, 즉 서로 다른 방향의 영상을 획득하는 복수 개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카메라는 시야각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카메라는 CCD 또는 CMOS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KINECT(RGB-D 센서), TOF(Structured Light Sensor), 스테레오 카메라(Stereo Camera) 등과 같은 3차원 공간 인식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 영상 획득부(130)는 회전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영상 획득부(130)는 블랙박스에 마련된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고, 자율 주행을 위한 자율 주행 제어 장치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장애물 검출을 위한 카메라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영상 획득부(130)는 주변 모니터링 장치(SVM: Surround View Monitor, 또는 AVM)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도 있고, 사각 지대 감지 장치(BSD: Blind Spot Detection)의 카메라 또는 후방 감지 장치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상 획득부(130)의 각 카메라는 광각 카메라일 수 있다.
2개의 카메라가 마련된 차량의 경우,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상 획득부(130)는 전방 방향의 영상을 획득하는 제1카메라(131), 차량의 후방 방향의 영상을 획득하는 제2카메라(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카메라(131)는 번호판, 그릴, 엠블럼, 프런트 패널 또는 루프 패널의 마련되되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아울러 제1카메라(131)는 차량의 전면의 프런트 윈도우 글래스에 마련되되 차량 내부의 창문에 마련되어 차량의 외부를 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고, 차량 내부의 룸미러에 마련되되 차량의 외부를 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카메라(131)는 세척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다.
제2카메라(132)는 테일 게이트에 마련될 수도 있으며, 번호판, 루프 패널, 리어 패널 또는 엠블럼에 마련되되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아울러 제2카메라(132)는 차량의 후면의 리어 윈도우 글래스에 마련되되 차량 내부의 창문에 마련되어 차량의 외부를 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카메라(132)는 세척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다.
4개의 카메라가 마련된 차량의 경우, 제1 영상 획득부(130)는 차량의 전방 방향의 영상을 획득하는 제1카메라(131), 차량의 후방 방향의 영상을 획득하는 제2카메라(132), 차량의 좌측 방향의 영상을 획득하는 제3카메라(133), 차량의 우측 방향의 영상을 획득하는 제4카메라(1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카메라(133)는 좌측 사이드 미러(117), 좌측 도어 또는 좌측 펜더(Fender)에 마련될 수 있다.
제4 카메라(134)는 우측 사이드 미러(117), 우측 도어 또는 우측 펜더에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제4 카메라는 리어 패널 주변, 엠블럼 주변 또는 번호판 주변에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 영상 획득부(130)는 차량 주변의 물체에 대한 형상 정보를 전기적인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것으로, 자 차량의 현재 위치에서 자 차량 외부의 환경, 특히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 및 그 주변의 자 차량의 전방, 후방, 좌우의 측방의 물체의 형상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를 제1제어부(150, 도 4 참조)로 전송한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구성도이다.
차량(1)은 제1거리 검출부(120), 제1영상 획득부(130), 제1입력부(141), 제1표시부(142), 제1제어부(150), 제1저장부(151) 및 제1통신부(160)를 포함한다.
제1거리 검출부(120) 및 제1영상 획득부(130)는 도 2, 3에서 설명하여 도 4에서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입력부(141)는 차량에서 수행 가능한 각종 기능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다.
제1입력부(141)는 사용자의 세척 의도에 대응하는 세척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제1입력부(141)는 사용자로부터 세척 주기를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고, 세척 장소까지 길을 안내할 수 있도록 세척 장소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입력부(141)는 버튼, 키, 스위치 및 조작 레버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고, 제2표시부(142)에 표시된 커서의 이동 명령 및 선택 명령 등을 입력하기 위한 조그 다이얼(미도시) 또는 터치 패드(미도시)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표시부(142)는 차량에서 수행 가능한 각종 기능의 정보, 차량에서 수행 중인 각종 기능의 정보를 표시하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제1표시부(142)는 세척 장소까지의 길 안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제1표시부(142)는, 세척 장소에 도달하였을 때, 제1제어부(150)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세척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표시부(142)는 세척 주기 또는 오염물질 감지에 대응하는 세척 요청 정보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표시부(142)는 제1제어부(150)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세척 전후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제1표시부(142)는, 차량이 세척 장치가 마련된 장소에 도착하였을 때, 세척을 위한 주차 위치를 표시하고, 제1제어부(150)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세척 대상의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세척 대상에 대한 세척 전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제1표시부(142)는 세척 대상의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의 전송 정보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제어부(150)는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수신하고, 일정 시간의 간격을 가진 두 영상을 비교하여 카메라에 오염 물질이 부착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카메라에 오염 물질이 부착되었다고 판단되면 카메라의 세척 요청 정보의 표시를 제어하고, 오염 물질이 부착된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 정보를 저장하도록 하되, 카메라의 식별 정보를 함께 저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1제어부(150)는 복수 개의 카메라 각각에 대해 오염 물질의 부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제어부(150)는 센서에 의해 검출된 검출 정보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수신하고, 일정 시간의 간격을 두고 수신된 검출 신호를 비교하여 센서에 오염 물질이 부착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센서에 오염 물질이 부착되었다고 판단되면 센서의 세척 요청 정보의 표시를 제어하고, 오염 물질이 부착된 센서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1제어부(150)는 복수 개의 센서 각각에 대해 오염 물질의 부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제어부(150)는 제1입력부(141)에 의해 세척 명령이 수신되면 제1저장부(151)에 저장된 복수 개의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복수 개의 센서의 위치 정보를 세척 장치(2) 또는 서버(3)에 전송하도록 한다.
제1제어부(150)는 제1입력부(141)에 의해 세척 명령이 수신되면 오염 물질이 부착된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 정보 및 카메라의 위치 정보를 세척 장치(2) 또는 서버(3)에 전송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제어부(150)는 제1입력부(141)에 의해 세척 명령이 수신되면 오염 물질이 부착된 센서의 위치 정보를 세척 장치(2) 또는 서버(3)에 전송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제어부(150)는 위치 수신부에 수신된 현재 위치 정보와 제1저장부에 저장된 세척 장소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위치가 세척 장소인지를 판단하고 현재 위치가 세척 장소라고 판단되면 제1저장부(151)에 저장된 복수 개의 카메라의 위치 정보 및 복수 개의 센서의 위치 정보를 세척 장치(2) 또는 서버(3)에 전송하도록 한다.
제1제어부(150)는 카메라의 렌즈의 끝점 또는 중심점에 대한 단위 벡터를 전송하고, 센서의 면의 중심점에 대한 단위 법선 벡터를 전송하며, 그 외 센서의 면의 중심점에 대한 단위 법선 벡터를 전송할 수 있다.
제1제어부(150)는 차량의 전후좌우의 높이 정보를 전송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제어부(150)는 현재 위치가 세척 장소라고 판단되면 오염 물질이 부착된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 정보 및 카메라의 위치 정보를 세척 장치(2) 또는 서버(3)에 전송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제어부(150)는 현재 위치가 세척 장소라고 판단되면 오염 물질이 부착된 센서의 위치 정보를 세척 장치(2) 또는 서버(3)에 전송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제어부(150)는 세척을 수행할 때 차량의 식별 정보를 세척 장치(2) 또는 서버(3)에 전송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고, 복수 개의 카메라와 센서의 오리지널 영상 정보를 세척 장치(2) 또는 서버(3)에 전송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제어부(150)는 오염 물질이 부착된 카메라나 센서의 오리지널 영상 정보를 세척 장치(2) 또는 서버(3)에 전송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고, 오염 물질이 부착된 카메라나 센서의 위치 정보를 함께 전송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제어부(150)는 제1저장부(151)에 저장된 세척 주기와 세척 히스토리에 기초하여 다음 세척 시기를 판단하고 판단된 다음 세척 시기에 대한 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제어부(150)는 제1저장부(151)에 저장된 복수 개의 카메라와 복수 개의 센서의 외관 영상 정보를 세척 장치(2) 또는 서버(3)에 전송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외관 영상 정보는 차량 제조 시에 획득된 영상의 정보일 수 있다.
제1제어부(150)는 세척 장치(2) 또는 서버(3)로부터 세척 대상에 대한 영상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영상 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제어부(150)는 수신된 영상 정보의 표시를 제어할 때, 오리지널 영상이나 세척 전의 영상을 함께 표시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제어부(150)는 차량 내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 및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1저장부(151)는 복수 개의 카메라와 복수 개의 센서의 외관 영상 정보를 저장한다.
제1저장부(151)는 제1거리 검출부(120)에 마련된 복수 개의 센서의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제1영상 획득부(130)에 마련된 복수 개의 카메라의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
제1저장부(151)는 차량(1)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고, 세척 주기를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며, 세척 히스토리를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거리 검출부(120)에 마련된 복수 개의 센서의 위치 정보는, 복수 개의 차륜 중 어느 하나의 차륜을 중심으로 하는 3축의 값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제1영상 획득부(130)에 마련된 복수 개의 카메라의 위치 정보 역시 복수 개의 차륜 중 어느 하나의 차륜을 중심으로 하는 3축의 값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도 1, 2참조).
제1저장부(151)는 각 카메라의 렌즈의 끝점 또는 중심점에 대한 단위 벡터, 각 센서의 면의 중심점에 대한 단위 법선 벡터를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저장부(151)는 오염 물질이 부착된 센서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저장부(151)는 오염 물질이 부착된 카메라의 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저장부(151)는 세척 장치가 마련된 세척 장소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저장부(151)는 제1제어부(15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차량(10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1저장부(151)는 제1제어부(150)와 관련하여 전술한 프로세서와 별개의 칩으로 구현된 메모리일 수 있고, 프로세서와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1저장부(151)는 캐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1통신부(160)는 제1제어부(150)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제1저장부(151)에 저장된 복수 개의 카메라 및 복수 개의 센서의 위치 정보를 외부 디바이스에 전송한다.
제1통신부(160)는 제1제어부(150)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제1저장부(151)에 저장된 영상 정보를 외부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고, 오염 물질이 부착된 카메라나 센서의 위치 정보를 외부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저장부(151)에 저장된 영상 정보는, 오염 물질이 부착된 상태에서 획득된 영상 정보일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는, 세척 장치(2)일 수 있고, 세척 장치(2)와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3)일 수도 있다.
서버(3)는, 차량 제조사의 텔레매틱스 서버, 차량 서비스 센터의 서버, 클라우드 서버, 웹하드 서버 및 세차장의 서버일 수 있다.
제1통신부(160)는 차량 내부의 각종 전자 장치들 사이의 통신과, 외부 디바이스와의 통신과, 사용자용 단말기와의 통신 및 저장 매체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제1통신부(160)는 제1 제어부(150)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모듈, WLAN(Wireless Local Access Network) 통신 모듈, NFC 통신 모듈, 직비(Zigbee) 통신 모듈 등 근거리에서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다양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은 캔(Controller Area Network; CAN) 통신 모듈, 지역 통신(Local Area Network; LAN) 모듈, 광역 통신(Wide Area Network; WAN) 모듈 또는 부가가치 통신(Value Added Network; VAN) 모듈 등 다양한 유선 통신 모듈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Digital Visual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다양한 케이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은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와이파이(Wifi) 모듈,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모듈 외에도,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통신부(160)는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수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위치 수신부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 수신부와, GPS 신호 수신부에서 획득한 GPS 신호를 신호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 수신부는 복수의 GPS 위성의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를 포함한다. 이 안테나는 차량의 외장에 마련될 수 있다.
위치 수신부의 신호 처리부는 복수의GPS위성의 위치 신호에 대응하는 거리 및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의 위치를 획득하는 소프트웨어와, 획득된 차량의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위치 수신부는 현재의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제1제어부(150)에 전송한다.
차량은 세척 시작, 세척 완료에 대응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운드 출력부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증폭된 저주파의 음성 신호를 오리지널의 음파로 변환시키고 공기에 소밀파를 발생시켜 음파를 복사함으로써 오디오 데이터들을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사운드로 출력한다.
도 4에 도시된 차량의 구성 요소들의 성능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의 상호 위치는 시스템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 장치의 예시도이고,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 장치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 장치(2)는 세척장에 설치되고 지지대(a1), 암(a2) 및 세척부(a3)를 가지는 몸체(2a)와, 몸체(2a)를 제어하는 제2제어부(260, 도 6참조)을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의 지지대(a1)는 암과 세척부 등을 지지하고, 세척장에 마련되되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지지대(a1)는 세척장에 마련된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도 있고, 구동 바퀴를 이용하여 자유롭게 이동할 수도 있다.
암(a2)은 지지대(a1)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암(a2)은 복수의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링크 중 서로 인접한 링크는 관절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각 관절에는 모터가 마련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링크 중 적어도 하나는 Y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다른 하나는 X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또 하나의 링크는 Z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암(a2)은 제2제어부의 제어 명령에 따라 각 모터를 회전시켜 다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세척부(a3)는 차량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제2영상획득부(210)를 포함하고, 차량과의 거리를 검출하기 위한 제2거리 검출부(22)를 포함하며, 제2영상획득부(210)에 조명을 제공하기 위한 램프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부(a3)는 물, 세척액 및 공기 중 적어도 하나를 분사하는 노즐(2b)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세척 대상의 물기를 제거하기 위한 제습 부재(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습 부재(240)는, 천일 수도 있고,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일 수도 있다.
세척부(a3)는 제2제어부의 제어 명령에 따라 각 모터를 회전시켜 다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세척부(a3)는 제2제어부의 제어 명령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노즐(2b)이나, 제습 부재(240)를 구동시킬 수 있고,
세척 장치는 세척액이나 물을 공급하는 펌프와, 세정액, 물 및 공기의 이동 경로인 도관, 세정액, 물 및 공기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 장치는 제2영상 획득부(210), 제2 거리 검출부(220), 램프부(230), 제2입력부(251), 제2표시부(252), 제2제어부(260), 제2저장부(261), 구동부(270) 및 제2통신부(280)를 포함한다.
제2영상획득부(210)는 세척 대상의 차량을 전체적으로 스캔하여 차량 전체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차량 전체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것은, 차량의 형상을 인식하기 위한 것이다.
제2영상획득부(210)는 차량에 마련된 카메라나 센서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제2거리 검출부(220)는 차량과의 거리를 검출하고 검출된 거리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
제2거리 검출부(220)는 차량 중 세척하고자 하는 세척 대상과의 거리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검출 대상은 복수 개의 카메라 및 복수 개의 센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램프부(230)는 차량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때 광을 출력한다. 즉 램프부는 제2영상 획득부의 동작에 대응하여 광을 출력할 수 있다.
램프부(230)는 조도 검출부(미도시)에 의해 검출된 조도와 기준 조도를 비교하고 검출된 조도가 기준 조도 이하일 때 제어부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광을 출력할 수 있다.
램프부(230)는 현재 시각이 미리 설정된 시간 범위 내의 시간일 때 제어부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광을 출력할 수 있다.
제2입력부(251)는 세척 시작 명령, 세척 종료 명령 및 일시 정지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제2입력부(251)는 차량 스캔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제2입력부(251)는 복수 개의 카메라 및 복수 개의 센서를 모두 세척하기 위한 전체 세척 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오염된 카메라 및 센서만을 세척하기 위한 부분 세척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제2표시부(252)는 세척 시작 및 세척 종료에 대한 알림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제2표시부(252)는 세척 위치 및 세척 진행 상황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표시부(252)는 세척 시작 시간, 세척 종료 시간, 남은 시간 및 경과 시간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제어부(260)는 제2입력부를 통해 세척 명령이 수신되면 제2통신부를 활성화시켜 차량 또는 서버와의 통신을 수행하고, 차량 또는 서버로부터 차량에 마련된 복수 개의 카메라 및 복수 개의 센서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수신되면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암의 이동을 제어하고 세척부의 세척 동작을 제어한다.
제2제어부(260)는 제2통신부(280)를 통해 세척 명령과 차량(1)에 마련된 복수 개의 카메라 및 복수 개의 센서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수신되면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암의 이동을 제어하고 세척부의 세척 동작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제어부(260)는 세척 장소에 마련된 차량 감지부(미도시)에 의해 차량이 감지되면 차량(1) 또는 서버(3)와의 통신을 수행하고, 차량 또는 서버로부터 차량에 마련된 복수 개의 카메라 및 복수 개의 센서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수신되면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암의 이동을 제어하고 세척부의 세척 동작을 제어한다.
세척 장소에 마련된 차량 감지부(미도시)는 차량이 주정차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차륜 중 기준이 되는 차륜이 접촉하는 위치일 수 있다.
제2제어부(260)는 차량이 존재하면 제2영상 획득부(210)를 제어하여 차량을 스캔하도록 하고 제2영상획득부(210)에 의해 획득된 차량의 영상 정보에서 차량의 외관에 대한 형상 정보 및 사이즈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형상 정보 및 사이즈 정보에 기초하여 암의 이동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암의 이동 경로는 세척장의 기준 위치부터 생성될 수 있다.
세척장의 기준 위치는 차량에 마련된 복수 개의 차륜 중 기준이 되는 차륜이 접촉하는 위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제어부(260)는 복수 개의 카메라와 복수 개의 센서의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차량을 제2영상획득부로 스캔하여 어느 하나의 타이어가 접촉된 외측 점을 중심(0, 0, 0)으로 복수 개의 카메라와 복수 개의 센서까지의 x, y, Z축 값을 생성하되, 차량의 형상과 차량의 사이즈에 기초하여 X, Y, Z축 값을 생성한다(도 1참조).
제2제어부(260)는 생성된 X, Y, Z축 값에 기초하여 암이 이동할 최적의 이동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제2제어부(260)는 생성된 이동 경로에 기초하여 암의 이동을 제어하면서 제2거리 검출부(220)에 의해 검출된 거리에 기초하여 차량과의 충돌을 방지하도록 암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2제어부(260)는 생성된 이동 경로에 기초하여 암의 이동을 제어하면서 제2거리 검출부(220)에 의해 검출된 거리에 기초하여 세척부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2제어부(260)는 암의 이동 제어를 통해 세척부가 세척 대상과 인접하게 위치하면 제2거리 검출부(220)에 의해 검출된 거리(즉, 세척 대상과의 거리)가 일정 거리로 유지되도록 세척부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2제어부(260)는, 생성된 경로와 제2거리 검출부에서 검출된 거리에 기초하여 암의 위치를 조정하고 세척부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제어부(260)는 제2영상획득부(210)에 의해 획득된 차량의 영상 정보에서 세척 대상에 대한 세척 전 영상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세척 전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세척부(a3)의 세척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세척부(a3)의 세척 동작을 제어할 때, 제2제어부(260)는 제습 부재의 회전, 상하좌우 이동을 제어할 수 있고,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공기, 물 및 세척액의 압력을 제어할 수도 있다.
세척부(a3)의 세척 동작을 제어할 때, 제2제어부(260)는 미리 설정된 제1시간 동안 세척액의 분사를 제어하고, 미리 설정된 제2시간 동안 물의 분사를 제어하며, 미리 설정된 제3시간 동안 공기의 분사를 제어할 수 있다.
세척부(a3)의 세척 동작을 제어할 때, 제2제어부(260)는 미리 설정된 제4시간 동안 제습 부재의 회전 및 이동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세척부(a3)의 세척 동작을 제어할 때, 제2제어부(260)는 미리 설정된 제1횟수만큼 제습 부재의 회전을 제어하고, 미리 설정된 제2횟수만큼 제습부재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제어부(260)는 세척 동작을 제어할 때, 암의 이동도 함께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제어부(260)는 차량(1) 또는 서버(3)로부터 세척 대상에 대한 오리지널 영상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오리지널 영상 정보와 제2영상 획득부(210)에 의해 획득된 영상 정보를 비교하여 세척부(a3)의 세척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2제어부(260)는 차량(1) 또는 서버(3)로부터 세척 대상에 대한 오리지널 영상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오리지널 영상 정보와 제2영상 획득부(210)에 의해 획득된 영상 정보를 비교하여 세척이 필요한 세척 대상을 선정하고 선정된 세척 대상을 세척하도록 세척부의 세척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2제어부(260)는 세척이 완료되면 세척 대상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도록 제2영상 획득부(210)를 제어하고, 제2영상 획득부(210)에 의해 획득된 영상 정보(즉 세척 후 영상 정보)와 세척 전 영상 정보를 비교하여 추가 세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2제어부(260)는 세척 전 영상 정보와 세척 후 영상 정보를 차량 또는 서버에 전송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제어부(260)는 추가 세척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세척부의 세척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2제어부(260)는 복수 개의 카메라와 복수 개의 센서 각각에 대한 세척 전 영상 정보와 세척 후 영상 정보를 비교하여 추가 세척이 필요한 세척 대상을 선정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때 선정된 세척 대상만을 추가 세척하도록 세척부의 세척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2제어부(260)는 오리지널 영상 정보와 세척 후 영상 정보를 비교하여 추가 세척 여부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제어부(260)는 오리지널 영상 정보, 세척 후 영상 정보를 딥러닝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에 기초하여 추가 세척 여부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제어부(260)는 세척 전 영상 정보, 세척 후 영상 정보를 딥러닝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에 기초하여 추가 세척 여부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세척 전 영상 정보는, 차량에서 전송된 영상 정보일 수도 있고, 제2영상 획득부를 이용하여 획득한 영상 정보일 수도 있다.
제2제어부(260)는 오리지널 영상 정보와 세척 전 영상 정보를 딥러닝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에 기초하여 세척 알고리즘을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제어부(260)는 세척 동작 시 세척 알고리즘에 대응하여 물의 분사, 공기의 분사, 세척액의 분사를 제어하고, 물기 제거 동작을 수행하도록 세척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2제어부(260)는 차량(1) 또는 서버(3)로부터 차량(1) 내 세척 대상에 대한 영상 정보 및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암의 이동을 제어하고 수신된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세척 알고리즘을 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제어부(260)는, 추가 세척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추가 세척에 대한 정보를 차량(1) 및 서버(3)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도록 제2통신부(280)를 제어할 수 있다.
제2제어부(260)는 제2영상 획득부(210)를 통해 영상을 획득할 때, 램프부(230)의 턴온을 제어할 수 있다.
제2제어부(260)는 조도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조도가 기준 조도 이하이면 램프부의 턴온을 제어할 수 있다.
제2제어부(260)는 현재 시각이 미리 설정된 시간 범위 이내이면 램프부(230)의 턴온을 제어할 수 있다.
제2제어부(260)는 세척 장치 내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 및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2저장부(261)는 차량(1) 또는 서버(3)에서 전송된 차량(1)의 제1거리 검출부(120)에 마련된 복수 개의 센서의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제1영상 획득부(130)에 마련된 복수 개의 카메라의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
제2저장부(261)는 세척 전의 영상과 세척 후의 영상을 저장하고, 차량의 식별 정보 및 세척 히스토리를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저장부(261)는 제2제어부(26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차량(1)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2저장부(261)는 세척 대상을 세척하기 위한 복수 개의 세척 알고리즘을 저장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세척 알고리즘은, 물, 세척액 및 공기의 분사 압력, 분사 시간 및 제습 부재를 이용한 제습 횟수 및 시간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제2저장부(261)는 제2제어부(260)와 관련하여 전술한 프로세서와 별개의 칩으로 구현된 메모리일 수 있고, 프로세서와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2저장부(261)는 캐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구동부(270)는 제2제어부(260)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노즐(2b)을 구동시키고, 제2영상획득부(210), 제2거리검출부(220) 및 램프부(230)를 구동시키며 암을 구동시킨다.
구동부(270)는 제2제어부(260)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밸브나 펌프를 구동시킬 수 있다.
제2통신부(280)는 차량(1) 및 서버(3)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을 수행한다.
제2통신부(180)는 제2 제어부(260)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모듈, WLAN(Wireless Local Access Network) 통신 모듈, NFC 통신 모듈, 직비(Zigbee) 통신 모듈 등 근거리에서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다양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은 캔(Controller Area Network; CAN) 통신 모듈, 지역 통신(Local Area Network; LAN) 모듈, 광역 통신(Wide Area Network; WAN) 모듈 또는 부가가치 통신(Value Added Network; VAN) 모듈 등 다양한 유선 통신 모듈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Digital Visual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다양한 케이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은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와이파이(Wifi) 모듈,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모듈 외에도,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3)는 차량과 세척 장치 사이에서 통신을 수행하고 각종 정보를 송수신한다.
서버(3)는 차량의 식별 정보, 복수 개의 카메라 및 복수 개의 센서의 위치 정보를 세척 장치에 전송할 수 있고, 차량의 외관에 대한 영상 정보를 세척 장치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며, 차량에 마련된 복수 개의 카메라 및 복수 개의 센서의 외관 영상 정보를 세척 장치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서버(3)는 차량에서 전송된 오염 물질이 부착된 세척 대상에 대한 영상 정보를 세척 장치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고, 차량에서 전송된 오염 물질이 부착된 세척 대상에 대한 위치 정보를 세척 장치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서버(3)는 세척 장치에서 전송된 세척 전의 영상 정보와 세척 후의 영상 정보를 차량에 전송할 수 있고, 세척 장치에서 전송된 추가 세척 정보를 차량에 전송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세척 장치의 구성 요소들의 성능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의 상호 위치는 시스템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1: 차량 2: 세척 장치
3: 서버

Claims (20)

  1. 카메라;
    상기 카메라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세척 장치 및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세척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를 상기 세척 장치 및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카메라에 대한 오리지널 영상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척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오리지널 영상 정보를 상기 세척 장치 및 상기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차량.
  3. 제 1 항에 있어서,
    세척 명령을 수신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척 장치 및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세척 명령을 수신하는 차량.
  5. 제 1 항에 있어서,
    장애물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센서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척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센서의 위치 정보를 상기 세척 장치 및 상기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차량.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센서에 대한 오리지널 영상 정보를 더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척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센서에 대한 오리지널 영상 정보를 상기 세척 장치 및 상기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차량.
  7. 제 1 항에 있어서,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수신하고 상기 일정 시간 간격으로 수신된 영상들을 비교하여 상기 카메라에 오염 물질이 부착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카메라에 오염 물질이 부착되었다고 판단되면 세척 요청 정보의 표시를 제어하는 차량.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척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오염물질이 부착된 카메라의 영상 정보를 상기 세척 장치 및 상기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차량.
  9. 제 1 항에 있어서,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척 장치 및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서 전송된 상기 카메라의 세척 전의 영상 정보와 상기 카메라의 세척 후의 영상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차량.
  10. 회전 및 상하좌우로 이동 가능한 암;
    상기 암에 마련된 세척부;
    차량 및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차량에 마련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카메라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암의 이동을 제어하고, 상기 세척부의 세척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세척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차량에 마련된 센서의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센서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암의 이동을 제어하고, 상기 세척부의 세척 동작을 제어하는 세척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차량에 마련된 카메라의 영상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카메라의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세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세척 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를 세척하기 전에 상기 영상 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상기 카메라의 영상에 대한 정보와, 상기 카메라의 세척이 완료된 후 상기 영상 획득부를 통해 획득된 상기 카메라의 영상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 및 상기 차량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세척 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를 세척하기 전에 상기 영상 획득부를 통해 획득된 영상과, 상기 카메라의 세척이 완료된 후에 상기 영상 획득부를 통해 획득된 영상을 비교하여 추가 세척 여부를 판단하는 세척 장.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가 세척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추가 세척에 대한 정보를 상기 차량 및 상기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세척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획득부를 통해 영상을 획득할 때, 상기 제어부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광을 출력하는 램프부를 더 포함하는 세척 장치.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과의 거리를 검출하는 거리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암과 상기 세척부의 위치를 조정하는 세척 장치.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공기와 물을 분사하는 노즐을 더 포함하는 세척 장치.
  19.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영상과 상기 카메라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의 세척 여부를 판단하는 세척 장치.
  20.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영상과 상기 카메라의 위치 정보에 상기 암의 이동 경로를 생성하는 세척 장치.
KR1020190177855A 2019-12-30 2019-12-30 차량 및 세척 장치 KR202100867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855A KR20210086775A (ko) 2019-12-30 2019-12-30 차량 및 세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855A KR20210086775A (ko) 2019-12-30 2019-12-30 차량 및 세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6775A true KR20210086775A (ko) 2021-07-09

Family

ID=76865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7855A KR20210086775A (ko) 2019-12-30 2019-12-30 차량 및 세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8677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7530B1 (ko) * 2022-10-04 2023-11-03 주식회사 온유산업 타이어 점검 시스템을 포함하는 세차장 관리 시스템 및 세차장 운용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7530B1 (ko) * 2022-10-04 2023-11-03 주식회사 온유산업 타이어 점검 시스템을 포함하는 세차장 관리 시스템 및 세차장 운용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82974A1 (en) Vehicle vision system with autonomous parking function
CN108128245B (zh) 车辆环境成像系统及方法
US10852741B2 (en) Using cameras for detecting objects near a vehicle
JP6776058B2 (ja) 自律走行車両制御装置、自律走行車両制御システム及び自律走行車両制御方法
EP3243194B1 (en) Trainable transceiver with single camera park assist
CN101327763B (zh) 显示系统和程序
EP3424756A1 (en) Integrated vehicle monitoring system
CA3067960C (en) Parking control method and device
JP6828825B2 (ja) 駐車制御方法及び駐車制御装置
CN108749813B (zh) 一种自动泊车系统及泊车方法
US20210179025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sensor protection system
EP3666598B1 (en) Parking control method and parking control device
JP6801786B2 (ja) 駐車支援方法及び駐車支援装置
US20210101539A1 (en) Vehicle sensor assembly
CN109254580B (zh) 用于自动行走式的服务设备的运行方法
US11267394B2 (en) Projection apparatus for indicating a recommended position to observe a movable body, portable device, and recording medium
CN110418978B (zh) 用于可倾斜卡车驾驶室的防碰撞系统以及相关的装置、部件和方法
CN108737778A (zh) 利用反射器从车辆下侧对车轮进行监测的遮挡摄像机
JP2022013838A (ja) トレーラーの後続車両およびトレーラーの状態を検知するためのトラック搭載型センサーを提供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11284406A (zh) 车辆下方检查
CN112071119A (zh) 基于车联网的智能辅助出入库方法及系统
CN111058717A (zh) 用于控制机动车辆中的自动举升门的系统和方法
KR20210086775A (ko) 차량 및 세척 장치
US20190286118A1 (en) Remote vehicle control device and remote vehicle control method
KR20200054909A (ko) 이동 로봇의 도난 방지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