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6539A -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6539A
KR20210086539A KR1020200186721A KR20200186721A KR20210086539A KR 20210086539 A KR20210086539 A KR 20210086539A KR 1020200186721 A KR1020200186721 A KR 1020200186721A KR 20200186721 A KR20200186721 A KR 20200186721A KR 20210086539 A KR20210086539 A KR 202100865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
fermentum
lactobacillus fermentum
lactobacillus
adipose tissu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6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보기
장명호
강창호
백남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아이바이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아이바이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아이바이옴
Publication of KR20210086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6539A/ko
Priority to KR1020230091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3240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23K10/18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of live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7Lactobacilli, e.g. L. acidophilus or L. brev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43Fermentum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abet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besit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균주(기탁번호: KCTC 14106BP) 및 이를 포함하는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퍼멘텀은 백색 지방조직에서 지방 축적을 억제하고 항염증성 세포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갈색 지방조직 및 간조직에서 지방 축적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균주는 우수한 혈당 개선 효과를 나타내며, 특히 공복 혈당 수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내당능을 개선시키고 인슐린 감수성을 증가시켜 인슐린 저항성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균주는 비만과 같은 대사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LACTOBACILLUS FERMENTUM STRAIN AN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METABOLIC DISORDE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비만은 심각한 질병으로 대두되고 있으며,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비만을 치료해야 할 질병으로 명시하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서구화된 식습관에 따라 비만의 빈도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그 치료와 예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비만은 음식물의 섭취와 에너지 소비 사이의 불균형으로 인해 체내에 지방이 과잉 축적된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비만은 인슐린 저항성, 글루코오스 내성, 고지혈증 등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심혈관계질환, 지방간질환, 암 및 당뇨병 등의 대사질환을 합병증으로 동반할 수 있다.
최근 비만환자의 지방조직에서 염증 반응이 증가해 있는 것이 알려지면서, 비만을 낮은 수준의 전신성 염증으로 보기도 한다. 특히, 지방조직의 크기에 비례하여 증가된 염증성 대식세포에 의해 염증 반응이 증가하고, 이러한 상태의 지방조직에서 생산ㆍ분비되는 염증성 아디포카인(adipokine)은 심혈관계질환, 당뇨병 등의 대사질환을 일으키는 발병 인자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분자를 증가시키는 비만은 거의 모든 성인병의 원인이라고 볼 수 있다.
현재 처방되고 있는 비만 치료제로는 제니칼(Xenical, 로슈제약회사, 스위스), 리덕틸(Reductil, 에보트사, 미국) 및 엑소리제(Exolise, 아토파마, 프랑스) 등이 있다. 상기 비만 치료제는 크게 식욕억제제, 에너지소비 촉진제 또는 지방흡수억제제로 분류되는데, 대부분의 비만 치료제들은 시상하부와 관련된 신경전달물질을 조절함으로써 식욕을 억제하는 식욕억제제이다. 그러나, 종래의 비만 치료제들은 심장질환, 호흡기질환 및 신경계질환 등의 부작용이 나타내며, 체내 지속성도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안전하고 효과적인 비만 치료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최근 안전한 미생물(예를 들어, 유산균)을 이용하여 비만을 예방 또는 치료하고자 하는 프로바이오틱스가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특히, 유산균은 장내 정상 균총의 유지, 장내 균총의 개선, 항당뇨 및 항지혈증 효과, 발암 억제, 대장암 억제 및 숙주의 면역체계의 비특이적 활성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
비만 예방 및 치료 효과와 관련된 유산균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94279호에는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Y1032 균주(기탁번호: KCCM-10430)가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96577호에는 비만 억제 효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커베터스 HY7601(기탁번호: KCTC 11456BP)가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94348호에는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DSR920 균주(기탁번호: KCCM 11210P)가 개시되어 있으나, 그 효과가 상업적으로 성공할 만큼의 수준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항비만 효과가 우수한 새로운 균주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9427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9657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94348호
이에 본 발명자들은 항비만 효과가 우수한 새로운 균주를 개발하기 위해 연구한 결과,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균주(기탁번호: KCTC 14106BP)가 우수한 항비만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균주(기탁번호: KCTC 14106BP)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균주(기탁번호: KCTC 14106BP)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균주(기탁번호: KCTC 14106BP)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억제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균주(기탁번호: KCTC 14106BP)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억제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균주(기탁번호: KCTC 14106BP) 및 이를 포함하는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퍼멘텀은 백색 지방조직에서 지방 축적을 억제하고 항염증성 세포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갈색 지방조직 및 간조직에서 지방 축적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균주는 우수한 혈당 개선 효과를 나타내며, 특히 공복 혈당 수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내당능을 개선시키고 인슐린 감수성을 증가시켜 인슐린 저항성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균주는 비만과 같은 대사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고지방식을 섭취시킨 마우스에 16종의 유산균을 각각 경구투여한 후, 고지방식만 섭취시킨 마우스의 체중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4는 일반식을 섭취시킨 마우스, 고지방식을 섭취시킨 마우스, 고지방식 섭취 및 일반 유산균을 경구투여한 마우스 및 고지방식 섭취 및 L.fermentum GB103 균주를 경구투여한 마우스의 백색 지방조직 내 지방세포의 크기를 비교한 그림이다.
도 5는 일반식을 섭취시킨 마우스, 고지방식을 섭취시킨 마우스, 고지방식 섭취 및 일반 유산균을 경구투여한 마우스 및 고지방식 섭취 및 L.fermentum GB103 균주를 경구투여한 마우스의 백색 지방조직 내 M1 대식세포, M2 대식세포 및 조절 T(Treg) 세포의 수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6은 일반식을 섭취시킨 마우스, 고지방식을 섭취시킨 마우스, 고지방식 섭취 및 일반 유산균을 경구투여한 마우스 및 고지방식 섭취 및 L.fermentum GB103 균주를 경구투여한 마우스의 갈색 지방조직 내 지방세포의 크기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7은 일반식을 섭취시킨 마우스, 고지방식을 섭취시킨 마우스, 고지방식 섭취 및 일반 유산균을 경구투여한 마우스 및 고지방식 섭취 및 L.fermentum GB103 균주를 경구투여한 마우스의 간 무게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8은 일반식을 섭취시킨 마우스, 고지방식을 섭취시킨 마우스, 고지방식 섭취 및 일반 유산균을 경구투여한 마우스 및 고지방식 섭취 및 L.fermentum GB103 균주를 경구투여한 마우스의 간조직 내 지방 축적 정도를 비교한 그림이다.
도 9는 혈당 강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일반식을 섭취시킨 마우스, 고지방식을 섭취시킨 마우스, 고지방식 섭취 및 일반 유산균을 경구투여한 마우스 및 고지방식 섭취 및 L.fermentum GB103 균주를 경구투여한 마우스의 공복혈당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내당능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일반식을 섭취시킨 마우스, 고지방식을 섭취시킨 마우스, 고지방식 섭취 및 일반 유산균을 경구투여한 마우스 및 고지방식 섭취 및 L.fermentum GB103 균주를 경구투여한 마우스의 포도당 투여 후 시간에 따른 혈당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1은 인슐린 저항성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일반식을 섭취시킨 마우스, 고지방식을 섭취시킨 마우스, 고지방식 섭취 및 일반 유산균을 경구투여한 마우스 및 고지방식 섭취 및 L.fermentum GB103 균주를 경구투여한 마우스에서 인슐린 투여 후 시간에 따른 혈당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균주(기탁번호: KCTC 14106BP)를 제공한다.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는 자연계에 널리 분포하는 호기성, 또는 통성 혐기성의 그람 양성 간균 속 미생물이다. 락토바실러스 속에 속하는 미생물에는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사케이 등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우수한 항비만 효과를 갖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균주를 선별하였으며, 이를 “Lactobacillus fermentum GB103”으로 명명하였다. 상기 균주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에 2019년 9월 6일자로 기탁번호 SD1342로 기탁되었다. 상기 동일한 균주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에 2020년 1월 14일자로 기탁번호 KCTC 14106BP로 기탁되었다. 또한, 상기 균주는 프로바이오틱스 균주에 해당하며, 인체에 무해하며, 부작용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Lactobacillus fermentum GB103”은 L.fermentum GB103 또는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균주(기탁번호: KCTC 14106BP)로 병용 기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균주(기탁번호: KCTC 14106BP)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균주(기탁번호: KCTC 14106BP)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균주는 생균 또는 사균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생균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균주의 배양물은 균주가 포함되거나 포함되지 않은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포함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유효성분인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균주(기탁번호: KCTC 14106BP) 또는 이의 배양물을 치료적 유효량 또는 영양적으로 유효한 농도로 포함하는데, 104 내지 1016 CFU/g, 바람직하게는 106 내지 1012 CFU/g의 함량으로 포함하거나, 동등한 수의 생균을 가진 배양물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성인 환자의 경우, 1x106 CFU/g 이상의 생균, 바람직하게는 1x108 내지 1x1012 CFU/g의 생균을 한 번 또는 여러 번에 걸쳐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대사질환”은 대사증후군으로도 일컬어지며, 인슐린 저항성이 원인인 것으로 추정되는 질환으로 콜레스테롤, 혈압, 혈당치 중 2개 이상의 수치에 이상이 생기는 증상이다. 각종 심혈관 질환과 제2형 당뇨병의 위험 요인들이 서로 군집을 이루는 현상을 한 가지 질환군으로 개념화시킨 것으로, 인슐린 저항성 및 이와 관련된 복잡하고 다양한 여러 대사이상과 임상 양상을 모두 포괄한다. 대사질환은 구체적으로 비만, 고혈압, 동맥경화증, 고지혈증, 지방간,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 고인슐린혈증, 당뇨병 및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비만”은 비만증(adipositas)으로 일컬어지며, 체내에 지방이 비정상적으로 많이 축적되는 질병이다. 불규칙한 식습관, 과다한 음식 섭취, 운동 부족, 내분비계통 질환, 유전적 요인, 정신적 요인 및 약물 등이 비만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비만은 이 밖에도 동맥경화, 심혈관질환(뇌졸증 및 허혈성 심혈관질환),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지방간, 담석증,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생리불순, 다낭성 난소 질환, 불임증, 성욕감퇴, 우울증, 퇴행성 관절염, 통풍 등의 발병률을 증가시킨다. 상기 비만은 단순 비만, 증후성 비만, 소아비만, 성인비만, 세포 증식형 비만, 세포 비대형 비만, 상체 비만, 하체 비만, 내장지방형 비만 또는 피하지방형 비만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고혈압”은 동맥을 지나는 혈류의 관류혈압이 높아지는 현상이다. 수축기 혈압이 140 mmHg, 이완기 혈압이 90 mmHg 이상일 경우 통상 고혈압으로 진단될 수 있다. 고혈압은 뚜렷한 증상이 없으며, 정확한 발생 원인을 알 수 없는 일차성(혹은 본태성) 고혈압과 신장질환, 내분비질환, 임신중독증 등으로 인해 발병되는 이차성 고혈압이 있다. 대부분의 고혈압(90~95%)은 일차성 고혈압으로 유전적 원인과 함께 비만, 스트레스, 음주, 흡연 등의 환경인자에 의해 발병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동맥경화증”은 동맥의 탄력성이 감소하고, 동맥벽 내면에 지방이 축적되고 이상조직이 증식하여 동맥벽의 폭이 좁아지는 현상으로 정의된다. 동맥경화증은 동맥의 병적 변화를 의미하는 용어이며, 동맥경화증에 의해 문제가 생긴 장기에 따라서 병명이 붙게 된다. 예를 들어, 동맥경화에 의한 뇌경색, 관상동맥경화에 의한 심근경색 등이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고지혈증”은 중성 지방과 콜레스테롤 등의 지방대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혈액 중에 지방량이 많아 유발되는 질환이다. 구체적으로 고지혈증이란 혈액내의 중성지방, LDL 콜레스테롤 및 유리 지방산 등의 지질 성분이 증가된 상태를 말한다. 고콜레스테롤혈증 또는 고중성지방혈증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지방간”은 간의 지방대사 장애로 인해 지방이 간세포에 과다한 양으로 축적된 상태이며, 간 내 지방 무게가 5% 이상으로 이루어진 경우로 정의된다. 이는 협심증, 심근경색, 뇌졸증, 동맥경화, 지방간 및 췌장염 등과 같은 다양한 질병의 원인이 된다. 지방간은 알코올에 의해 유발되는 알코올성 지방간(alcoholic fatty liver)과 알코올에 의하지 않는 비알코올성 지방간(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NAFLD))으로 나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은 지방간의 원인이 알코올에 기인되지 않은 경우를 말하며 간 내 단순 지방침착(simple steatosis)부터 지방간염(non-alcoholic steatohepatitis, NASH), 간경변(hepatic cirrhosis)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을 모두 포함한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의 원인으로는 항부정맥제, 항바이러스제, 스테로이드, 세포독성약물 등의 부작용이나 과다한 탄수화물 등의 칼로리 섭취, 비만, 당뇨, 그리고 일부 유전적인 원인 등이 존재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고인슐린혈증”은 혈액 중에 인슐린이 과하게 존재하는 질병이다. 인슐린은 췌장에서 분비되는 혈당 수치를 조절하는 호르몬으로 근육 및 기타 말초조직으로의 당 유입을 촉진한다. 따라서, 고인슐린혈증은 인슐린 분비기관인 췌장의 장애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발병에 있어 가장 큰 원인은 인슐린 저항성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당뇨병”은 포도당-비관용(intolerance)을 초래하는 인슐린의 상대적 또는 절대적 부족으로 특징되는 만성질환이다. 상기 당뇨병은 모든 종류의 당뇨병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제1형 당뇨병, 제2형 당뇨병 및 유전성 당뇨병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형 당뇨병은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으로서, 주로 β-세포의 파괴에 의해 초래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제2형 당뇨병”은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으로서, 인슐린 저항성에 의해 초래된다. 근육과 지방조직에서 인슐린의 증가를 감지하지 못하거나 감지하더라도 인슐린의 작용이 효과적으로 일어나지 않아 발병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인슐린 저항성”은 혈당을 낮추는 인슐린에 대해 반응하지 않아 세포가 포도당을 효과적으로 연소하지 못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인슐린 저항성이 높을 경우, 우리 몸이 인슐린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인지하고 더 많은 인슐린을 생산하게 된다. 이로 인해 고인슐린혈증, 고혈압 또는 이상지방혈증 등을 비롯하여 심장병, 당뇨병 등이 초래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인슐린 저항성 증후군”은 상기 인슐린 저항성에 의하여 유발된 질환을 총칭한다. 인슐린 작용에 대한 세포의 저항성, 고인슐린혈증 및 초저밀도지단백(very low density lipoprotein, VLDL)과 중성지방의 증가, 고밀도지단백(high density lipoprotein, HDL)의 감소 및 고혈압 등을 특징으로 하며, 심혈관계 질환과 제2형 당뇨병의 위험인자로 인식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균주는 백색 지방조직 내 지방 축적을 억제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고지방식을 섭취시킨 마우스 모델에 상기 균주를 경구투여한 결과, 상기 마우스 모델의 백색 지방조직 내 지방세포의 크기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반면, 고지방식을 섭취시킨 마우스 모델에 일반 유산균을 경구투여한 경우, 상기 마우스 모델의 백색 지방조직 내 지방세포의 크기가 감소하지 않았다. 이를 통해, 상기 균주가 백색 지방조직 내 지방 축적을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균주는 백색 지방조직 내 대사성 염증(meta-inflammation)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대사성 염증”은 낮은 수준의 만성적 염증 상태(chronic and low-grade inflammation)로, 영양소나 대사물질의 공급이 과잉됨에 따라 발생하는 염증 반응을 의미한다. 특히 비만에 의한 만성적 염증 반응은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하고 대사 이상이 발생하는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고지방식을 섭취시킨 마우스 모델에 상기 균주를 경구투여한 결과, 상기 마우스 모델의 백색 지방조직 내 M1 대식세포가 감소하고, M2 대식세포 및 Treg 세포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반면, 고지방식을 섭취시킨 마우스 모델에 일반 유산균을 경구투여한 경우, 상기 마우스 모델의 백색 지방조직 내 M1 대식세포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M2 및 Treg 세포는 변화가 없었다. 이를 통해, 상기 균주가 백색 지방조직 내 염증 반응을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5).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균주는 갈색 지방조직 내 지방 축적을 억제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고지방식을 섭취시킨 마우스 모델에 상기 균주를 경구투여한 결과, 상기 마우스 모델의 갈색 지방조직 내 지방세포의 크기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반면, 고지방식을 섭취시킨 마우스 모델에 일반 유산균을 경구투여한 경우, 상기 마우스 모델의 갈색 지방조직 내 지방세포의 크기가 감소하지 않았다. 이를 통해, 상기 균주가 갈색 지방조직 내 지방 축적을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6).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균주는 간 무게를 감소시키고, 간조직 내 지방 축적을 억제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고지방식을 섭취시킨 마우스 모델에 상기 균주를 경구투여한 결과, 상기 마우스 모델의 간 무게와 조직 내 지방 축적이 감소하였다. 반면, 고지방식을 섭취시킨 마우스 모델에 일반 유산균을 경구투여한 경우, 상기 마우스 모델의 간조직 내 지방이 많이 축적되었으며 무게 변화도 없었다. 이를 통해, 상기 균주가 간 무게를 감소시키고, 조직 내 지방 축적을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7 및 도 8).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균주는 혈당 수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공복 혈당 수치를 감소시키고, 내당능을 개선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고지방식을 섭취시킨 마우스 모델에 상기 균주를 경구투여한 결과, 상기 마우스 모델의 공복 혈당 및 포도당 투여 후 혈당 수치가 감소되었다. 반면, 고지방식을 섭취시킨 마우스 모델에 일반 유산균을 경구투여한 경우, 상기 마우스 모델의 공복 혈당 및 포도당 투여 후 혈당 수치가 감소하지 않았다. 이를 통해, 상기 균주가 공복 혈당 수치를 감소시키고, 내당능을 개선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9 및 도 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균주는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고지방식을 섭취시킨 마우스 모델에 상기 균주를 경구투여한 결과, 상기 마우스 모델의 인슐린 투여 후 혈당 수치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반면, 고지방식을 섭취시킨 마우스 모델에 일반 유산균을 경구투여한 경우, 상기 마우스 모델의 인슐린 투여 후 혈당 수치가 감소하지 않았다. 이를 통해, 상기 균주가 인슐린 감수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1).
상기 조성물은 동결보호제 또는 부형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동결보호제는 글리세롤, 트레할로스, 말토덱스트린, 탈지분유 및 전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형제는 포도당, 덱스트린 및 탈지분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동결보호제는 상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중량% 내지 20 중량%, 0.01 중량% 내지 10 중량%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글리세롤은 5 중량% 내지 20 중량%, 상기 트레할로스는 2 중량% 내지 10 중량%, 상기 말토덱스트린은 2 중량% 내지 10 중량%, 상기 탈지분유는 0.5 중량% 내지 2 중량%, 상기 전분은 0.1 중량% 내지 1 중량%로 상기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형제는 상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75 중량% 내지 95 중량% 또는 85 중량% 내지 9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균주(기탁번호: KCTC 14106BP)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억제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균주(기탁번호: KCTC 14106BP)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이때, 대사질환은 상술한 바와 같으며, 특히 상기 균주는 비만 예방 또는 억제용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 영양 보조제(nutritional supplement), 건강 식품(health food) 및 식품 첨가제(food additives) 등의 모든 형태를 포함하여, 상기 유형의 식품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균주를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균주를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 시에 상기 균주를 포함하는 원료 조성물 중 0.0001 중량% 내지 1 중량%, 구체적으로는 0.001 중량% 내지 0.1 중량%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균주(기탁번호: KCTC 14106BP)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억제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균주(기탁번호: KCTC 14106BP)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상기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사료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사료 제조방법에 따라 적절한 유효 농도범위에서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균주(기탁번호: KCTC 14106BP)를 첨가하여 제조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균주(기탁번호: KCTC 14106BP) 또는 이의 배양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사질환을 예방 및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개체는 대사질환을 가지고 있는 개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개체는 포유동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인간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균주(기탁번호: KCTC 14106BP)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또한,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의 투여경로, 투여량 및 투여횟수는 환자의 상태 및 부작용의 유무에 따라 다양한 방법 및 양으로 대상에게 투여될 수 있고, 최적의 투여방법, 투여량 및 투여횟수는 통상의 기술자가 적절한 범위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대사질환의 종류는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균주(기탁번호: KCTC 14106BP) 또는 이의 배양물의 대사질환 치료 용도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균주(기탁번호: KCTC 14106BP)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또한, 대사질환의 종류는 상술한 바와 같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항비만 효과를 갖는 균주 스크리닝
마우스 모델을 이용하여 메디오젠으로부터 구입한 16종의 유산균들 중 항비만 효능을 갖는 유산균을 선별하였다. 구체적으로, C57BL/6 마우스들을 60% 고지방식(High Fat Diet, HFD)을 섭취시킨 후, 각각의 유산균을 경구투여하였으며, 이를 실험군으로 설정하였다. 60% 고지방식만 섭취한 마우스를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이때, 각각의 유산균을 마우스 한 마리당 5x109 CFU로 매일 경구투여하였다. 대조군의 몸무게에 비해 실험군의 몸무게 차이를 통해 항비만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Lactobacillus fermentum GB103 균주가 가장 효과적으로 몸무게 증가를 억제시켰다. 이때, L.fermentum 유산균 중 항비만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 균주도 있었다(도 1 내지 도 3). 이를 통해, L.fermentum 유산균 중 Lactobacillus fermentum GB103 균주가 항비만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L.fermentum GB103 균주의 백색 지방조직에서의 지방 축적 억제 효과 확인
마우스 모델을 이용하여 L.fermentum GB103(기탁번호: KCTC 14106BP) 균주의 백색 지방조직에서의 지방 축적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C57BL/6 마우스들을 60% 고지방식(High Fat Diet, HFD)을 섭취시킨 후, L.fermentum GB103 균주를 경구투여하였으며, 이를 실험군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60% 고지방식만 섭취시킨 마우스를 음성 대조군으로 설정하였으며, 60% 고지방식을 섭취시키고, 일반 유산균(L.plantarum MG5120)을 경구투여한 마우스를 양성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나아가, 일반식(normal chow diet, NCD)을 섭취시킨 마우스를 정상군으로 설정하였다. 이때, 메디오젠으로부터 구입한 일반 유산균 또는 L.fermentum GB103 균주는 마우스 한 마리당 5x109 CFU로 매일 경구투여하였다.
각 시험 물질 투여 종료 후, 부검하여 백색 지방조직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백색 지방조직을 10% 완충 포르말린(Neutral buffered Formalin)으로 고정하였다. 그 후, 파라핀 절편(paraffin sections)을 만들어 H&E(Hematoxylin & Eosin) 염색한 후 세포의 크기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정상군에 비해 고지방식을 섭취시킨 음성 대조군 및 양성 대조군의 지방세포의 크기가 증가한 반면, L.fermentum GB103 균주를 경구투여한 실험군의 지방세포의 크기는 유의미하게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도 4). 이를 통해, L.fermentum GB103 균주가 백색 지방조직 내 지방 축적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L.fermentum GB103 균주의 백색 지방조직에서의 면역세포 조절 효과 확인
마우스 모델을 이용하여 L.fermentum GB103 균주 투여에 의한 백색 지방조직에서의 면역세포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C57BL/6 마우스들을 60% 고지방식(HFD)을 섭취시킨 후, L.fermentum GB103 균주를 경구투여하였으며, 이를 실험군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60% 고지방식만 섭취시킨 마우스를 음성 대조군으로 설정하였으며, 60% 고지방식을 섭취시키고, 일반 유산균(L.plantarum MG5120)을 경구투여한 마우스를 양성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나아가, 일반식(NCD)을 섭취시킨 마우스를 정상군으로 설정하였다. 이때, 메디오젠으로부터 구입한 일반 유산균 또는 L.fermentum GB103 균주는 마우스 한 마리당 5x109 CFU로 매일 경구투여하였다.
각 시험 물질 투여 종료 후, 부검하여 각 군의 마우스의 부고환 백색 지방조직으로부터 면역세포를 분리하여 특정 항체로 세포를 염색한 후 유세포 분석기를 통해 분석하였다. 지방조직을 곡선 가위로 잘게 자르고 2 mg/mL collagen Type Ⅱ(Worthington)와 함께 45분간 37℃에서 배양한 후 원심분리기로 SVF(stromal vascular fraction)를 분리하였다. FACS 버퍼로 세척한 후, 비특이성 결합을 억제하기 위해 4℃에서 10분간 블로킹 시킨 다음, M1/M2 대식세포는 항-MHCⅡ(Biolegend, CA, USA), 항-F4/80(Biolegend, CA, USA), 항-CD206(Biolegend, CA, USA), 항-CD11c(Biolegend, CA, USA), 항-CD11b(Biolegend, CA, USA) 항체를 넣고 4℃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FACS 버퍼로 세척하였다. Treg 세포는 항-TCRβ(Biolegend, CA, USA), 항-CD4(Biolegend, CA, USA) 항체를 사용하여 위와 동일하게 진행한 후, eBioscience™ Foxp3/Transcription Factor Staining Buffer로 고정 및 침투성 증가를 시켜 항-Foxp3(eBioscience, CA, USA) 항체로 염색하였다. MHCⅡ+F4/80+ 대식세포 중 CD11b+CD206+를 M2 대식세포로, CD11b+CD11c+를 M1 대식세포로 분석하였다. Treg 세포는 TCRβ+CD4+Foxp3+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상군에 비해 고지방식을 섭취시킨 음성 대조군 및 양성 대조군 마우스의 염증성 M1 대식세포가 높은 반면, L.fermentum GB103 균주를 경구투여한 실험군 마우스의 M1 대식세포는 음성 대조군 대비 유의미하게 낮았다. 또한 정상군에 비해 고지방식을 섭취시킨 음성 대조군 및 양성 대조군 마우스의 항염증성 M2 대식세포 및 Treg 세포가 낮은 반면, L.fermentum GB103 균주를 경구투여한 실험군 마우스의 경우 음성 대조군 대비 M2 대식세포 및 Treg 세포가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L.fermentum GB103 균주가 백색 지방조직의 면역세포를 조절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도 5).
실시예 4. L.fermentum GB103 균주의 갈색 지방조직에서의 지방 축적 억제 효과 확인
마우스 모델을 이용하여 L.fermentum GB103 균주의 갈색 지방조직에서의 지방 축적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C57BL/6 마우스들을 60% 고지방식(HFD)을 섭취시킨 후, L.fermentum GB103 균주를 경구투여하였으며, 이를 실험군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60% 고지방식만 섭취시킨 마우스를 음성 대조군으로 설정하였으며, 60% 고지방식을 섭취시키고, 일반 유산균(L.plantarum MG5120)을 경구투여한 마우스를 양성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나아가, 일반식(NCD)을 섭취시킨 마우스를 정상군으로 설정하였다. 이때, 메디오젠으로부터 구입한 일반 유산균 또는 L.fermentum GB103 균주는 마우스 한 마리당 5x109 CFU로 매일 경구투여하였다.
각 시험 물질 투여 종료 후, 부검하여 각 군의 마우스로부터 갈색 지방조직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갈색 지방조직을 10% 완충 포르말린으로 고정하였다. 그 후, 파라핀 절편을 만들어 H&E 염색한 후 세포의 크기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정상군에 비해 고지방식을 섭취시킨 음성 대조군 및 양성 대조군의 지방세포의 크기가 증가한 반면, L.fermentum GB103 균주를 경구투여한 실험군의 지방세포의 크기는 유의미하게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도 6). 이를 통해, L.fermentum GB103 균주가 갈색 지방조직 내 지방 축적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L.fermentum GB103 균주의 간조직에서의 지방 축적 억제 효과 확인
마우스 모델을 이용하여 L.fermentum GB103 균주의 간조직에서의 지방 축적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C57BL/6 마우스들을 60% 고지방식(HFD)을 섭취시킨 후, L.fermentum GB103 균주를 경구투여하였으며, 이를 실험군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60% 고지방식만 섭취시킨 마우스를 음성 대조군으로 설정하였으며, 60% 고지방식을 섭취시키고, 일반 유산균(L.plantarum MG5120)을 경구투여한 마우스를 양성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나아가, 일반식(NCD)을 섭취시킨 마우스를 정상군으로 설정하였다. 이때, 메디오젠으로부터 구입한 일반 유산균 또는 L.fermentum GB103 균주는 마우스 한 마리당 5x109 CFU로 매일 경구투여하였다.
각 시험 물질 투여 종료 후, 부검하여 간을 적출하고 무게를 측정하여 그룹간 무게를 비교 평가하였다. 적출한 간은 10% 완충 포르말린으로 고정한 후, 파라핀 절편을 만들어 H&E 염색한 후 세포의 크기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정상군에 비해 고지방식을 섭취시킨 음성 대조군 및 양성 대조군 마우스의 간 무게는 증가한 반면, L.fermentum GB103 균주를 경구투여한 실험군 마우스의 간 무게는 음성 대조군 대비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도 7). 게다가, 정상군에 비해 고지방식을 섭취시킨 음성 대조군 및 양성 대조군의 간조직의 지방 축적이 증가된 반면, L.fermentum GB103 균주를 경구투여한 실험군의 간조직은 정상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지방이 거의 축적되지 않았다(도 8). 이를 통해, L.fermentum GB103 균주가 간 무게 및 간조직 내 지방 축적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 L.fermentum GB103 균주의 공복 혈당 강하 및 내당능 개선 효과 확인
L.fermentum GB103 균주의 내당능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포도당 부하 검사(glucose tolerance test, GTT)를 하였다. 먼저, C57BL/6 마우스들을 60% 고지방식(HFD)을 섭취시킨 후, L.fermentum GB103 균주를 경구투여하였으며, 이를 실험군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60% 고지방식만 섭취시킨 마우스를 음성 대조군으로 설정하였으며, 60% 고지방식을 섭취시키고, 일반 유산균(L.plantarum MG5120)을 경구투여한 마우스를 양성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나아가, 일반식(NCD)을 섭취시킨 마우스를 정상군으로 설정하였다. 이때, 메디오젠으로부터 구입한 일반 유산균 또는 L.fermentum GB103 균주는 마우스 한 마리당 5x109 CFU로 매일 경구투여하였다.
포도당 부하 검사를 진행하기 위해, 마우스들을 16시간 이상 금식 시킨 후, 포도당 용액을 1 g/㎏ 용량으로 복강내 주사하였다. 그 후, 0분, 30분, 60분, 90분 및 120분 후에 마우스의 꼬리 정맥에서 채혈하여 혈당 측정계를 이용하여 혈당을 측정하였다. 이때, 0분의 혈당은 공복 혈당을 의미한다.
그 결과, 정상군에 비해 고지방식을 섭취시킨 음성 대조군 및 양성 대조군 마우스의 공복 혈당 수치가 크게 증가하였다. 반면, L.fermentum GB103 균주를 경구투여한 실험군 마우스의 공복 혈당 수치가 음성 대조군에 비해 유의미하게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도 9).
또한, 정상군에 비해 고지방식을 섭취시킨 음성 대조군 및 양성 대조군 마우스의 포도당 투여 후 혈당 수치가 높은 반면, L.fermentum GB103 균주를 경구투여한 실험군 마우스의 혈당 수치가 음성 대조군에 비해 유의미하게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도 10). 이를 통해, L.fermentum GB103 균주가 공복 혈당 강하 및 내당능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7. L.fermentum GB103 균주의 인슐린 저항성 개선 효과 확인
L.fermentum GB103 균주의 인슐린 저항성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인슐린 내성 검사(insulin tolerance test, ITT)를 진행하였다. 먼저, C57BL/6 마우스들을 60% 고지방식(HFD)을 섭취시킨 후, L.fermentum GB103 균주를 경구투여하였으며, 이를 실험군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60% 고지방식만 섭취시킨 마우스를 음성 대조군으로 설정하였으며, 60% 고지방식을 섭취시키고, 일반 유산균(L.plantarum MG5120)을 경구투여한 마우스를 양성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나아가, 일반식(NCD)을 섭취시킨 마우스를 정상군으로 설정하였다. 이때, 메디오젠으로부터 구입한 일반 유산균 또는 L.fermentum GB103 균주는 마우스 한 마리당 5x109 CFU로 매일 경구투여하였다.
인슐린 내성 검사를 진행하기 위해, 마우스들을 4.5시간 동안 금식 시킨 후, 인슐린 용액을 1 U/㎏ 용량으로 복강 투여하여 0분, 30분, 60분, 90분 및 120분 후에 마우스 꼬리 정맥에서 채혈하여 혈당 측정계로 혈당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정상군에 비해 고지방식을 섭취시킨 음성 대조군 및 양성 대조군 마우스의 인슐린 투여 후 혈당 수치가 높은 반면, L.fermentum GB103 균주를 경구투여한 실험군 마우스의 혈당 수치가 음성 대조군에 비해 유의미하게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도 11). 이를 통해, L.fermentum GB103 균주가 인슐린 감수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인슐린 저항성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4106BP 20200114

Claims (11)

  1.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균주(기탁번호: KCTC 14106BP).
  2.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균주(기탁번호: KCTC 14106BP)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사질환은 비만, 고혈압, 동맥경화증, 고지혈증, 지방간, 비알콜성 지방간질환, 고인슐린혈증, 당뇨병 및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사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가 백색 지방조직 내 지방 축적을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가 백색 지방조직 내 대사성 염증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가 갈색 지방조직 내 지방 축적을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가 간조직 내 지방 축적을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가 혈당 수치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가 인슐린 저항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0.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균주(기탁번호: KCTC 14106BP)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억제용 식품 조성물.
  11.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균주(기탁번호: KCTC 14106BP)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억제용 사료 조성물.
KR1020200186721A 2019-12-31 2020-12-29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eased KR202100865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1520A KR20230113240A (ko) 2019-12-31 2023-07-14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대사질환의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78950 2019-12-31
KR1020190178950 2019-12-31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1520A Division KR20230113240A (ko) 2019-12-31 2023-07-14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대사질환의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6539A true KR20210086539A (ko) 2021-07-08

Family

ID=7668669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6721A Ceased KR20210086539A (ko) 2019-12-31 2020-12-29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230091520A Pending KR20230113240A (ko) 2019-12-31 2023-07-14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대사질환의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1520A Pending KR20230113240A (ko) 2019-12-31 2023-07-14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대사질환의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30038910A1 (ko)
EP (1) EP4086335A4 (ko)
JP (1) JP7671286B2 (ko)
KR (2) KR20210086539A (ko)
CN (1) CN115135751B (ko)
AU (1) AU2020416346B2 (ko)
CA (1) CA3164464A1 (ko)
TW (1) TWI770746B (ko)
WO (1) WO202113760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65431A1 (ko) 2021-06-16 2022-12-22 주식회사 지아이셀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균주 및 조절 t 세포의 병용 투여 용도
WO2023277638A1 (ko) * 2021-06-30 2023-01-05 주식회사 지아이바이옴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 3종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685510B2 (ja) * 2020-02-26 2025-05-29 ジーアイ バイオーム ラクトバチルス・ヘルベティカス株及びそれを含む炎症性疾患を予防又は処置するための組成物
CN114437989B (zh) * 2022-03-07 2022-10-28 天津小薇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降血糖作用的发酵乳杆菌lf028及其应用
CN115948273B (zh) * 2022-06-21 2023-07-18 合肥瀚微生物科技有限公司 治疗糖尿病及相关病症的两歧双歧杆菌
CN116121107B (zh) * 2022-10-21 2024-11-01 海南大学 发酵乳杆菌hnu312及其在制备降脂药品中的应用
CN117899125A (zh) * 2024-01-19 2024-04-19 吉林省农业科学院(中国农业科技东北创新中心) 一种用于预防和/或治疗高血糖的制剂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6577B1 (ko) 2009-04-01 2010-11-24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혈중 콜레스테롤 강하와 비만 억제 효능을 갖는 신규의 락토바실러스 커베터스 에이취와이7601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KR101394348B1 (ko) 2011-10-28 2014-05-13 대상에프앤에프 주식회사 대사질환 또는 염증질환 치료 및 예방 효과가 있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dsr920 및 이의 용도
KR101494279B1 (ko) 2010-10-01 2015-04-29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지방세포 분화 유도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케이와이1032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702B1 (ko) * 2003-07-21 2008-01-14 (주)바이오니아 비만증 또는 당뇨병 예방 및/또는 치료용 미생물
US20120183504A1 (en) 2011-01-14 2012-07-19 Ying-Chen Lu Composition and use of probiotic strain gm-263 (adr-1) in treating renal fibrosis in diabetes
GB201223370D0 (en) * 2012-12-24 2013-02-06 Univ Tartu Method of treatment using lactobacillus fermentum ME-3
CN104415062A (zh) * 2013-08-27 2015-03-18 弘光科技大学 使用包含有4株乳酸菌菌株的混合物来预防和/或缓解酒精性肝病变
JP6280398B2 (ja) 2014-03-04 2018-02-14 株式会社ナガセビューティケァ Glp−1分泌促進剤
KR20180011490A (ko) * 2016-07-25 2018-02-02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프로바이오틱 활성을 갖는 신규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및 이의 용도
KR101980527B1 (ko) * 2018-03-26 2019-05-21 주식회사 지놈앤컴퍼니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lm1016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심혈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21883B1 (ko) * 2018-09-07 2019-09-17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lm1016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염증 질환 또는 대사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81333B1 (ko) 2018-10-31 2019-05-23 주식회사 메디오젠 항비만 활성을 갖는 인체 유래 락토바실러스 퍼멘툼 mg4231 또는 락토바실러스 퍼멘툼 mg4244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CN110218681B (zh) * 2019-06-25 2021-09-28 吉林农业大学 一株发酵乳杆菌kp101及其应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6577B1 (ko) 2009-04-01 2010-11-24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혈중 콜레스테롤 강하와 비만 억제 효능을 갖는 신규의 락토바실러스 커베터스 에이취와이7601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KR101494279B1 (ko) 2010-10-01 2015-04-29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지방세포 분화 유도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케이와이1032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KR101394348B1 (ko) 2011-10-28 2014-05-13 대상에프앤에프 주식회사 대사질환 또는 염증질환 치료 및 예방 효과가 있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dsr920 및 이의 용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65431A1 (ko) 2021-06-16 2022-12-22 주식회사 지아이셀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균주 및 조절 t 세포의 병용 투여 용도
WO2023277638A1 (ko) * 2021-06-30 2023-01-05 주식회사 지아이바이옴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 3종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US12350301B2 (en) 2021-06-30 2025-07-08 Gi Biome Inc. Composition comprising three Lactobacillus sp. strains, and us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86335A4 (en) 2023-10-11
AU2020416346A1 (en) 2022-06-23
KR20230113240A (ko) 2023-07-28
TW202136496A (zh) 2021-10-01
CN115135751B (zh) 2025-02-18
JP7671286B2 (ja) 2025-05-01
WO2021137602A1 (ko) 2021-07-08
JP2023507894A (ja) 2023-02-28
TWI770746B (zh) 2022-07-11
US20230038910A1 (en) 2023-02-09
AU2020416346B2 (en) 2024-05-02
CA3164464A1 (en) 2021-07-08
EP4086335A1 (en) 2022-11-09
CN115135751A (zh) 2022-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70745B (zh) 胚芽乳酸桿菌菌株及包括其之用於預防或治療代謝疾病的組成物
TWI770746B (zh) 發酵乳酸桿菌菌株及包括其之用於預防或治療代謝疾病的組成物
TWI770747B (zh) 發酵乳酸桿菌菌株及包括其之用於預防或治療代謝疾病的組成物
Manaer et al. Anti-diabetic effects of shubat in type 2 diabetic rats induced by combination of high-glucose-fat diet and low-dose streptozotocin
TW202310862A (zh) 發酵乳酸桿菌菌株與調節型t細胞用於組合療法以抑制體重增加以及預防或治療代謝疾病的用途
KR101238836B1 (ko) 혼합 유산균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 관련 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
CN113262265B (zh) 用于预防ii型糖尿病的益生菌组合物及其制法与应用
EP4534094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treating, or improving metabolic diseases comprising lactobacillus plantarum nchbl-004 strain or culture medium thereof
KR102264188B1 (ko) 당귀 김치에서 분리한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mbel1397 (kctc14037bp)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
AU2020204029A1 (en) Lactobacillus paracasei AO356 strain having anti-obesity activity and composition when used for preventing, alleviating or treating obesity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9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303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09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230714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303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ppeal identifier: 2023101001520

Request date: 20230714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0100152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30714

Effective date: 20231220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231220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230714

Decision date: 20231220

Appeal identifier: 2023101001520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PJ1201 Withdrawal of trial

Patent event code: PJ12011R01D

Patent event date: 20231228

Comment text: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Appeal identifier: 2023101001520

Request date: 20230714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231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