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5881A - 터널 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방법 및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터널 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방법 및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5881A
KR20210085881A KR1020190179418A KR20190179418A KR20210085881A KR 20210085881 A KR20210085881 A KR 20210085881A KR 1020190179418 A KR1020190179418 A KR 1020190179418A KR 20190179418 A KR20190179418 A KR 20190179418A KR 20210085881 A KR20210085881 A KR 20210085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ffic
tunnel road
traffic safety
tunnel
abnor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9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6329B1 (ko
Inventor
남호진
김효진
이호준
박상준
Original Assignee
네이버시스템(주)
주식회사 대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시스템(주), 주식회사 대림 filed Critical 네이버시스템(주)
Priority to KR1020190179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6329B1/ko
Publication of KR20210085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5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6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6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08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based on the source of dat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방법 및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방법은, 주행 차량의 교통상황을 검지하는 시스템으로부터, 터널도로와 관련한 교통데이터로서, 차로 별 교통량 및 평균주행속도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되는 교통데이터를, 직전 주기에 획득한 교통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차로 별 교통량의 변화량 및 상기 평균주행속도의 변화량을 산출하는 단계와, 산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변화량이, 상기 직전 주기에 산출된 변화량의 일정비율로 정해지는 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터널도로의 교통상태에 관한 이상징후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이상징후의 감지에 연동하여, 상기 터널도로를 촬영한 CCTV영상을 운영자 단말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터널 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방법 및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TRAFFIC SAFETY IN TUNNEL ROAD}
본 발명은 터널도로에서의 이상징후 감시를 통한 교통 안전 정보 제공 방법에 연관되며, 보다 특정하게는 이상징후의 상황 전파 및 사고 예방을 위한 대응 조치 알림 처리의 자동화에 연관된다.
일반적으로 터널 내부의 도로(이하 '터널도로'라고 칭한다)는 일반 도로와 달리 터널 내부에 있기 때문에, 차량 운전자 뿐만 아니라 터널도로를 관리하는 관리자 측에서도 차량의 GPS 정보에 기초해 제공되는 평균주행속도와 교통량, 차량 정체, 교통사고 발생 등의 실시간 교통 상황 정보를 정확히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또한 터널 관리자는 강우, 강설, 풍속, 기온 등에 관한 기상실황 또는 기상예보를 기상청 홈페이지로부터 조회할 수는 있지만,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기상데이터를 일일이 조회하기 어렵고, 기상데이터로 인한 터널도로에서의 위험도와 그에 따라 사고 예방을 위해 어떠한 대응 조치를 취해야 할지에 대한 명확화된 처리 절차의 부재로 인해, 기상데이터가 급변하는 상황에서 사고 예방 활동을 실시하려는 터널 관리자 사이에 혼동이 있을 수 있다.
특히 터널도로는 밀폐되어 있어 사고 발생 시 구조 활동이 굉장히 어렵고, 한번 사고가 나면 연속적인 추돌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을 저해하는 이상징후를 항상 감시하고, 이상징후의 감지에 따른 후속 조치가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축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터널도로에서의 이상징후를 다양한 루트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실시간 감지하고, 이상징후의 감지에 따른 이상 발생 통보 과정에서 적절한 대응 조치를 터널 관리자에게 안내하여,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터널도로와 관련하여 수집되는 각종 데이터의 변화량을 분석해 이상징후를 감지하고, 이상징후의 감지에 따라 화면에 출력한 CCTV영상에 의해 이상 발생으로 확인되면, 해당 터널도로에 지정된 관리자 단말로 경보 메시지를 전파하여, 이상 발생을 통보하는 동시에 사고 예방을 위한 교통안전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이상징후에 적절한 대응 조치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터널도로에서의 이상징후 감지를 위한 데이터의 수집 과정과, 데이터의 변화량 분석을 통한 이상징후의 감지 과정과, CCTV영상 제공을 통한 이상징후의 알림 과정, 및 감지된 이상징후에 상응하는 교통안전정보의 터널 관리자 단말로의 제공을 통한 사고 예방 활동 과정에 이르는 터널도로의 교통 안전 관리 과정을 자동화, 신속화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방법은, 주행 차량의 교통상황을 검지하는 시스템으로부터, 터널도로와 관련한 교통데이터로서, 차로 별 교통량 및 평균주행속도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되는 교통데이터를, 직전 주기에 획득한 교통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차로 별 교통량의 변화량 및 상기 평균주행속도의 변화량을 산출하는 단계와, 산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변화량이, 상기 직전 주기에 산출된 변화량의 일정비율로 정해지는 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터널도로의 교통상태에 관한 이상징후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이상징후의 감지에 연동하여, 상기 터널도로를 촬영한 CCTV영상을 운영자 단말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은, 주행 차량의 교통상황을 검지하는 시스템으로부터, 터널도로와 관련한 교통데이터로서, 차로 별 교통량 및 평균주행속도를 획득하는 획득부와, 상기 획득되는 교통데이터를, 직전 주기에 획득한 교통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차로 별 교통량의 변화량 및 상기 평균주행속도의 변화량을 산출하고, 산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변화량이, 상기 직전 주기에 산출된 변화량의 일정비율로 정해지는 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터널도로에서의 교통상태에 관한 이상징후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이상징후의 감지에 연동하여, 상기 터널도로를 촬영한 CCTV영상을 운영자 단말에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터널도로에 관해 획득되는 교통량, 평균주행속도 등의 교통데이터와, 강우량, 적설량, 기온, 풍속 등의 기상데이터, 및 자체 센서 설비에서 측정한 터널 내부 온도, 습도, 조도 등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터널도로에서 발생 가능한 여러 형태의 이상징후를 동시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터널도로에서 이상징후가 감지되는 지점 또는 시점에 해당되는 CCTV영상을 화면에 출력하여, 중앙 운영자 측에서 현장 상황을 보고 터널 담당자에 의한 조치가 필요한지 판단하도록 할 수 있고, 터널 담당자에 의한 조치가 필요한 상황일 경우, 이상징후에 적절한 대응 조치를 터널 담당자에게 안내하여, 사고 예방을 위한 후속 조치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에서의 전체적인 흐름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에서, 이상징후 별 교통안전정보를 기록한 데이터베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에서, 교통량 또는 평균주행속도에 관한 이상징후 감지 시, 대응 조치를 알리는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에서, 강풍에 관한 이상징후 감지 시, 강풍 단계 별로 대응 조치를 알리는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에서, 터널도로의 결빙에 관한 이상징후를 예측 시, 대응 조치를 알리는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에서, 이상징후의 감지를 알림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에서, 이상 발생을 통보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은, 터널도로와 관련된 복합적인 환경 조건을 고려한 이상징후의 감시 및 사고 예방을 위한 적절한 대응 조치를 실시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터널도로는 터널 내부의 도로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은, 주행 차량의 교통상황을 검지하는 시스템으로부터, 터널도로와 관련한 교통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되는 교통데이터를, 직전 주기에 획득한 교통데이터와 비교하여, 차로 별 교통량의 변화량 및 평균주행속도의 변화량을 산출하고, 산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변화량이, 직전 주기에 산출된 변화량의 일정비율로 정해지는 기준치를 초과하면, 터널도로에서의 교통상태에 관한 이상징후를 감지하고, 터널도로를 촬영한 CCTV영상을 운영자 단말에 출력하여 상기 이상징후의 감지를 알림할 수 있다.
즉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은 터널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흐름에 있어 단시간에 나타나는 급격한 변동을 검출하여 터널도로에서의 교통상태에 관한 이상징후를 감지하게 되므로, 단지 설정된 정상값과 상이하거나 혹은 설정된 정상범위에서 벗어날 때 긴급상황으로 판단하는 종래에 비해 이상징후의 발생을 보다 정확히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은 터널도로에서 감지되는 이상징후 각각에 대해,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대응 조치에 관한 교통안전정보를 기록한 데이터베이스를 마련해 두고, CCTV영상을 확인한 운영자 단말에 의해 대응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유지되는 상기 교통상태에 관한 이상징후에 상응하는 교통안전정보를, 해당 터널도로에 지정된 관리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 단말에서는 상기 교통안전정보에서 지시하는 대로 대응 조치를 신속히 실시할 수 있게 되므로 해당 이상징후로 인한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에서의 전체적인 흐름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100)은 터널도로와 관련한 각종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한 데이터 분석을 통해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을 저해하는 이상징후를 감지하고, 이상징후의 감지에 따라 터널 관리자에게 교통안전정보를 제공해 사고 예방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도시된 것처럼,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100)은 VDS(Vehicle Detection System)와 기상청OpenAPI 및 터널 도로 내에 설치된 기상수집 센서와의 연계를 통해 취득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터널도로에 생길 수 있는 여러 이상징후를 동시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VDS(Vehicle Detection System)은, 터널도로를 주행하는 차량 및 교통상황을 검지하는 차량 교통상황 검지 시스템의 일례로서,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100)은 차로 별 교통량이나 평균주행속도와 같은 교통데이터를 차량 교통상황 검지 시스템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기상청OpenAPI는, 기상청 서버에 게시되는 현시점의 기상실황 및 근미래의 기상예보와 같은 기상데이터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오픈소스로서,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100)은 기상청OpenAPI를 이용해 기상청 서버로부터 기상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 획득할 수 있다.
기상수집 센서는, 터널도로에 설치되어 강우량, 적설량, 기온, 풍속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의 기상데이터를 자체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자체 센서 설비의 일례이다.
일반적으로 터널도로는 대부분 산간 지역에 위치하고 있어, 기상청 서버에서 게시하는 기상데이터와는 다른 기상 환경이 나타날 수 있고, 지형적인 요인으로 인해 터널도로의 입구와 출구, 내부에서 서로 다른 기상 환경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
이를 고려하여 본 발명의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100)은 기상청OpenAPI를 통해 기상청 서버로부터 획득한 기상데이터와, 터널도로에 설치된 기상수집 센서를 통해 자체적으로 측정한 기상데이터를 결합해서, 보다 정확한 기상데이터에 근거해 기상상태에 관련한 이상징후를 감지할 수 있다.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100)은 이상징후의 감지에 따라, 터널도로에서 촬영된 주변 CCTV영상을 자동 표출하고, 터널 관리자의 단말에 발송할 SMS 메시지를 자동 생성해 전파하고, VMS를 통해 제한속도나 통행금지 등을 알리는 위험 경보를 실시하는 등, 사고예방을 위한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사고예방 활동을 위해,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100)은 감지한 이상징후에 상응하는 교통안전정보를 관리자 단말에 전송하여, 상기 교통안전정보에 기초한 대응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교통안전정보는 차량 속도 제한(레벨 별로 제한 속도가 상이), 차로 제어, 터널도로 진입 금지, 우회로 권고, 차량 간격 확보, 타이어 체인 장착 및 라이트 점등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100)은 터널도로에서 발생될 수 있는 여러 이상징후에 대해 우선순위를 선정하여, 위험도가 높은 이상징후부터 대응 조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100)은 터널도로에서의 이상징후를,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15가지의 케이스(case)로 세분화하여 감지할 수 있고, 각 케이스에 정의된 우선순위에 따라 사고예방 활동을 위한 교통안전정보를 순차적으로 관리자 단말에 제공하여, 위험도가 높은 이상징후부터 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100)은 터널도로에 관해 획득되는 다양한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속도 저하, 교통량 급증, 강설, 폭우, 터널도로의 결빙, 화재 발생 등 여러 이상징후를 동시적으로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별 이상징후의 감지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즉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100)은 차로 별 교통량과 평균주행속도와 같은 교통데이터의 변화량을 주기 마다 산출하고, 이를 직전 주기에 산출한 변화량과 비교하여, 정상적인 수준의 교통량과 속도의 증감을 제외한 급격한 변동을 파악하여 교통데이터의 이상징후를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100)은 기상청 서버로부터 획득되는 기상데이터와 자체 센서 설비에 의해 획득되는 데이터와의 결합으로, 대부분 산간 지역에 위치하는 터널도로에서의 기상데이터와 관련한 이상징후를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100)은 이상징후가 감지되면, 이상징후가 감지된 지점 부근 또는 이상징후가 감지된 시점 전후에 촬영된 CCTV영상을 자동으로 운영자 단말에 출력해 이상징후의 감지를 알리고, 해당 이상징후에 대응한 조치를 지시하는 교통안전정보를 터널 관리자의 단말에 제공하여 교통사고 예방 활동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200)은, 획득부(210), 감지부(220), 출력부(230), 처리부(240) 및 데이터베이스(25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획득부(210)는 주행 차량의 교통상황을 검지하는 차량 교통상황 검지 시스템(261)으로부터, 터널도로와 관련한 교통데이터로서, 차로 별 교통량 및 평균주행속도를 획득한다.
여기서 차량 교통상황 검지 시스템(261)의 일례로 VDS(Vehicle Detection System)을 예시할 수 있다.
획득부(210)는 차량 교통상황 검지 시스템(261)에 의해 검지된 터널도로의 차로 별 교통량 및 평균주행속도를 정해진 주기로(예컨대, 10분 간격) 차량 교통상황 검지 시스템(261)으로부터 수신하여 획득할 수도 있고, 차량 교통상황 검지 시스템(261)에 의해 검지한 차량의 주행 차선을 이용하여 차로 별 교통량 및 평균주행속도를 정해진 주기로 산출하여 획득할 수도 있다.
일례로 획득부(210)는 차량 교통상황 검지 시스템(261)에 의해 검지한 차량의 주행 차선이 식별되면, 주기 마다 동일 차선을 주행하는 차량의 수를 카운트하여, 차로 별 교통량을 산출할 수 있고, 상기 차로 별 교통량과 차로의 길이에 기초하여, 상기 차로에서의 차량의 평균주행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감지부(220)는 주기 마다 산출되는 상기 교통데이터의 변화량이 기준치를 초과함에 따라, 상기 터널도로에서의 교통상태에 관한 이상징후를 감지한다.
즉 감지부(220)는 상기 획득되는 교통데이터를, 직전 주기에 획득한 교통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차로 별 교통량의 변화량 및 상기 평균주행속도의 변화량을 산출하고, 산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변화량이, 상기 직전 주기에 산출된 변화량의 일정비율로 정해지는 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터널도로에서의 교통상태에 관한 이상징후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감지부(220)는 상기 교통데이터로서, 터널도로에서의 차로 별 교통량이 획득되는 경우, 상기 교통량이, 직전 주기(예, 10분 전)에 획득한 교통량 보다 80% 이상 감소한 경우 '교통량 급감'에 관한 이상징후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220)는 상기 교통데이터로서, 터널도로에서의 차로 별 평균주행속도가 획득되는 경우, 상기 평균주행속도가, 직전 주기(예, 10분 전)에 획득한 평균주행속도 보다 80% 이상 감소한 경우, '차량 속도 저하1에 관한 이상징후를 감지할 수 있다.
출력부(230)는 상기 터널도로를 촬영한 CCTV영상을 운영자 단말의 화면(도 7a 참조)에 출력하여, 이상징후의 감지를 알림한다.
일례로 CCTV 시스템(270)은 터널 내부의 카메라에 의해 터널도로를 촬영한 CCTV영상을, 각 카메라의 설치지점과 연관시켜 유지할 수 있으며, 출력부(230)는 이상징후가 감지된 지점 부근에서 촬영되거나, 이상징후가 감지된 시점 전후에 촬영된 CCTV영상을, CCTV 시스템으로부터 로딩하여, 상기 화면에 재생하여 출력함으로써, 이상징후의 감지를 시스템 운영자(운영자 단말)측에 알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스템 운영자는 이상징후의 확인을 위해 관련된 CCTV영상을 찾거나 조회할 필요 없이 관련된 CCTV영상을 화면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고, 관리자 단말(280)의 현장 출동이 필요한 상황인지 빠르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출력부(230)는 도 7a에 도시된 것처럼, CCTV영상을 화면에 출력하는 동시에, 이상징후가 감지된 지점의 위치 및 이상징후의 종류를 알리는 알림 메시지와, 획득한 교통데이터의 변화량에 관한 그래프를 함께 화면(710)에 출력함으로써, 시스템 운영자 측에서 터널도로의 교통 안전을 위한 대응 조치가 필요한 상황인지 판단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여기서 알림 메시지는 예를 들면 "A터널 서울방향의 300 m 지점에서 속도저하가 감지되었습니다.", "서울 방향 2차선에서 과속 차량이 감지되었습니다.", "교통량이 80% 이상 급증하였습니다" 등의 문구로 작성될 수 있다.
처리부(240)는 상기 CCTV영상을 확인한 운영자 단말에 의해, 대응명령이 입력되면, 데이터베이스(250)로부터 검색되는 상기 이상징후에 상응하는 교통안전정보를, 상기 터널도로에 지정된 관리자 단말(280)에 전송한다.
상기 교통안전정보는 터널도로에서 감지되는 이상징후의 각각에 대해,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대응 조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처리부(240)는 상기 이상징후가 '차량 속도 저하' 또는 '교통량 급증'에 관련될 경우(또는, 상기 이상징후가 '차량 속도 증가' 또는 '교통량 급감'에 관련될 경우), 상기 이상징후가 감지된 터널도로 내 지점으로의 현장 출동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상기 CCTV영상과 함께 관리자 단말(280)로 전송하고, 상기 제1 이상징후에 대하여 데이터베이스(250)로부터 검색되는 차량 속도 제한 또는 차로 제어에 관한 교통안전정보를, 상기 터널도로에서의 차로 별 교통량을 고려하여 산출한 차로 별 제한 속도를 포함하여, 관리자 단말(28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널도로의 1차선 서울 방향으로 200m 지점에서 차량 속도 저하에 관한 이상징후가 감지될 경우, 출력부(230)는 해당 지점을 촬영한 CCTV영상을 운영자 단말의 화면에 출력하여 속도 이상을 알림할 수 있다. 처리부(240)는 CCTV영상을 확인한 운영자 단말에 의해 대응명령이 입력되면, 관리자 단말(280)로 현장 출동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상기 CCTV영상과 함께 전송하면서, 현시점의 차로 별 교통량(교통데이터 이용)에 따라 산출한 터널도로의 차로 별 제한 속도와, 차로 제어를 위해 차량을 이동시킬 차선을 알리는 교통안전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 단말(280)에서는 상기 교통안전정보에 따라 대응 조치하여, 차량 속도를 정상으로 회복시킬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처리부(240)는 화면(710)에서 이상징후가 감지된 지점의 CCTV영상을 확인한 시스템 운영자에 의해, 다음단계("3. SMS 전파")가 입력되면, 현장 출동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화면(720)의 우측과 같이 자동 생성할 수 있고, 시스템 운영자에 의해 지정되는 관리자 단말(280)로 상기 메시지를 CCTV영상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처리부(240)는 해당 이상징후(예, '속도 이상')에 상응하는 교통안전정보를 데이터베이스(250)로부터 검색해 관리자 단말(280)에 제공함으로써, 터널도로에 출동한 관리자 단말(280)에서 상기 교통안전정보에 따라 적절한 대응 조치를 신속하게 실시하도록 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50)는 상기 터널도로에서 이상 발생 시의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대응 조치로서, 차량 속도 제한, 차로 제어, 터널도로 진입 금지, 우회로 권고, 차량 간격 확보, 타이어 체인 장착 및 라이트 점등 중 적어도 하나의 교통안전정보를, 상기 이상징후의 각각에 대해 기록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250)는 각각의 이상징후에 대해 위험도에 기초하여 정해진 우선순위를 더 기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처리부(240)에서는 이상징후가 복수로 감지될 경우, 위험도에 기초하여 정해진 우선순위에 따라 순서대로 상황 알림 및 대응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데이터베이스(250)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에서, 이상징후 별 교통안전정보를 기록한 데이터베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데이터베이스(250, 310)에는 데이터 분석을 통해 15가지로 세분화된 이상징후('EVENT_NAME')가 기록되어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250, 310)에는 각각의 이상징후에 상응하여, 사고예방을 위한 대응 조치에 관한 교통안전정보('Action', '감속기준')가 기록되어 있다.
상기 이상징후는 교통상태, 기상상태, 터널상태와 관련한 이상징후로 구분될 수 있고, 상기 교통상태와 관련한 이상징후로는 속도 저하 또는 과속 등의 '속도 이상', 교통량 급감 또는 급증과 같은 '교통량 이상'을 예시할 수 있고, 기상상태와 관련한 이상징후로는 강우 또는 강설로 인한 '도로의 결빙'이나 '미끄럼', 적설량에 따른 '강설 3단계', 풍속에 따른 '강풍 3단계', '결빙 예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일례로 처리부(240)는 터널도로에서 '속도 이상'이나 '교통량 이상'이 감지되면, 데이터베이스(250, 310) 내의 'Action'을 참조하여, '주변 CCTV 안내'와 '필요시 SMS 전파'와 같은 사고예방활동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처리부(240)는 데이터베이스(250, 310) 내의 '감속기준'을 더 참조하여, 터널도로에서 '강풍 2단계'가 감지되면 제한 속도(최고속도 60%)를 안내하고, '강풍 3단계'가 감지되면 교통 통제를 실시하고, '강우 결빙' 또는 '강설 결빙'이 감지되면 제한 속도(최고속도 50%)를 안내하는 등의 대응 조치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250, 310)에는 각각의 이상징후에 정해진 우선순위('1'부터 '15')를 기록되어 있고, 처리부(240)는 복수의 이상징후가 감지될 경우, 우선순위가 높은 이상징후부터 상황 알림 및 대응 조치를 실시할 수 있다.
참고로, 본 예의 데이터베이스(250, 310)는 C-ITS 서비스 규격에 기초하여,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제19조 2항 및 인천대교 자문회의 결과를 참조하여 구축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교통상태에 관한 이상징후가 감지해 사고예방을 위한 대응 조치를 실시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에서, 교통량 또는 평균주행속도에 관한 이상징후 감지 시, 대응 조치를 알리는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401)에서 감지부(220)는 주기 마다 획득되는 교통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급격한 교통량의 저하가 감지되는지 판단하고, 단계(404)에서 감지부(220)는 주기 마다 획득되는 교통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급격한 속도 저하가 감지되는지 판단한다.
단계(401)에서 교통량의 급격한 저하가 감지되거나, 단계(404)에서 급격한 속도 저하가 감지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출력부(230)는 단계(402, 405)에서 교통상태에 관련한 이상징후의 감지를 운영자 단말에 알림하고, 단계(402, 405)에서 이상징후의 발생 지점 전후에 촬영된 주변 CCTV영상을 자동 표출한다.
단계(406 내지 408)에서 처리부(240)는 CCTV영상을 확인한 운영자 단말에 현장 출동이 필요한지 여부를 문의하고, 현장 출동이 필요한 것으로 입력되면, 터널 관계자의 단말(280)로 현장 출동을 요청하는 SMS 메시지를 발송하고, 이상징후에 상응하는 교통안전정보를 전송해 대응 조치를 실시한다.
처리부(240)는 상기 대응 조치로서, 교통량 급감이나 또는 속도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차로 제어와 관련된 VMS 알림(410)을 실시할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200)은 차량 교통상황 검지 시스템(261)으로부터 획득한 교통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터널도로에서의 교통상태(예, 평균주행속도의 저하, 교통량 급증 등)에 관련한 이상징후를 감지 및 대응 처리할 수 있다.
이외에도,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200)은 기상청 서버(262)로부터 획득한 기상데이터 및 터널도로에 설치된 각종의 자체 센서 설비(263)로부터 획득한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을 저해하는 기상상태(예, 강풍, 결빙 등)나 터널상태(예, 화재, 가로등 고장 등)에 관련한 이상징후를 감지하고, 그에 상응하는 교통안전정보를 관리자 단말로 제공하여,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대응 조치가 실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일례로, 획득부(210)는 기상청 서버(262) 및 상기 터널도로 내의 자체 센서 설비(263)로부터, 강우량, 적설량, 기온, 풍속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의 기상데이터를 획득하고, 감지부(220)는 획득되는 기상데이터에 기초하여, 폭우, 폭설, 강풍 및 결빙 중 적어도 하나의 기상상태에 관한 이상징후('제2 이상징후')를 감지하고, 상기 기상데이터 내 강우량 또는 적설량이 일정량 이상이면서, 기온이 결빙 발생 온도 이하일 경우, 상기 터널도로의 결빙을 예측하여 감지할 수 있다.
출력부(230)는 상기 이상징후의 감지를 상기 운영자 단말에 알림하고, 처리부(240)는 상기 운영자 단말에 의해, 대응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기상상태에 관한 이상징후에 상응하는 교통안전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교통안전정보에는 상기 터널도로의 결빙에 상응하는 차량 간격 또는 타이어 체인 장착 권고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감지부(220)는 기상청 서버(262)로부터 획득되는 근미래(예, 내일, 모레, 일주일간 등)에 해당하는 기상데이터(기상예보)와, 터널도로의 입구와 출구에 설치된 자체 센서 설비(263)로부터 획득되는 현시점의 기상데이터(강우, 강설, 기온, 풍속 등의 기상실황)을 결합하여, 기상상태에 관한 이상징후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220)에서 상기 터널도로에 대해, 폭우, 폭설 및 강풍 중 적어도 하나의 기상상태에 관한 이상징후를 감지할 경우 처리부(240)는 상기 이상징후에 상응하여, 차량의 속도 제한, 터널도로로의 진입 금지, 우회로 권고 및 라이트 점등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상기 교통안전정보를, 관리자 단말(28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기상상태에 관한 이상징후를 감지해 사고예방을 위한 대응 조치를 실시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에서, 강풍에 관한 이상징후 감지 시, 강풍 단계 별로 대응 조치를 알리는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501, 502, 504)에서 감지부(220)는 기상청 서버(262)로부터 기상데이터가 획득되면, 현시점의 풍속이, 강풍 제한 3단계(510)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이상징후를 감지한다.
즉, 단계(501, 502)에서 감지부(220)는 현시점의 풍속이 14 m/s 미만이면, 강풍 제한 3단계(510)에 속하는 이상징후를 감지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단계(501, 502)에서 감지부(220)는 현시점의 풍속이 14 m/s 이상이면서, 21 m/s 미만이면, 강풍 제한 1단계에 관한 이상징후를 감지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 경우 단계(503)에서 출력부(230)는 이상징후의 감지를 운영자 단말에 알림하고, 단계(504)에서 처리부(240)는 해당 이상징후에 상응하는 교통안전정보의 제공을 통해 사고예방을 위한 대응 조치를 실시한다. 일례로 처리부(240)는 VMS를 통해 위험 경보(강풍 주의, 최고 속도 30% 감속, 제한속도 50 km/h)를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단계(501, 502, 504)에서 감지부(220)는 현시점의 풍속이 14 m/s 이상이면서, 25 m/s 미만이면, 강풍 제한 2단계에 관한 이상징후를 감지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 경우 단계(505, 506)에서 출력부(230)는 이상징후의 감지를 알림하고, 처리부(240)는 운영자 단말에 의한 대응명령에 따라 해당 이상징후에 상응하는 교통안전정보의 제공을 통해 사고예방을 위한 대응 조치를 실시한다. 일례로 처리부(240)는 VMS를 통해 "강풍 주의, 최고 속도 60% 감속, 제한속도 40 km/h"에 관한 위험 경보를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단계(501, 502, 504)에서 감지부(220)는 현시점의 풍속이 14 m/s 이상이면서, 25 m/s 이상이면, 강풍 제한 3단계에 관한 이상징후를 감지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 경우 단계(507)에서 처리부(240)는 터널 관계자의 단말(280)로 현장 출동해 통행제한을 지시하는 SMS 메시지를 전파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도로 결빙 또는 미끄럼에 관한 이상징후를 감지해 사고예방을 위한 대응 조치를 실시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6은 터널도로의 결빙에 관한 이상징후를 예측 시, 대응 조치를 알리는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감지부(220)는 상기 기상데이터 내 강우량 또는 적설량이 일정량 이상이고, 상기 기상데이터 내 기온이 결빙 발생 온도 이하일 경우, 상기 터널도로에서의 결빙을 예측하여, 상기 기상상태에 관한 이상징후를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처리부(240)는 이상징후에 상응하여, 차량 간격 확보 또는 타이어 체인 장착을 지시하는 상기 교통안전정보를, 관리자 단말(28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601)에서 획득부(210)는 기상청 서버(262)로부터 3시간 후의 기상예보를 수집한다.
단계(602, 603, 608)에서 감지부(220)는 3시간 후의 기상예보에 근거하여, 터널도로의 결빙 또는 미끄럼 예보에 관한 이상징후(610)가 감지되는지 판단한다.
즉 단계(602, 608)에서 감지부(220)는 상기 3시간 후의 기상예보에, 강우 예보 또는 강설 예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기상상태와 관련한 이상징후가 감지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단계(602, 608)에서 감지부(220)는 상기 3시간 후의 기상예보에, 강우 예보는 포함되지 않지만, 강설 예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강설 예보'에 관한 이상징후를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단계(609)에서 처리부(240)는 '강설 예보'에 상응하는 처리, 예를 들면 타이어 체인의 장착을 권고하는 교통안전정보를 터널 관계자의 단말(280)로 전송하는 등의 대응 조치를 실시할 수 있다.
한편, 단계(602, 603)에서 감지부(220)는 상기 3시간 후의 기상예보에, 강우 예보 및 결빙 발생 온도 이하의 기온(예, 섭씨 영하 10도)이 포함되어 있으면, '터널도로의 결빙'에 관한 이상징후를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단계(604)에서 출력부(230)는 이상징후의 감지를 운영자 단말에 알림하고, 단계(605)에서 처리부(240)는 해당 이상징후('도로 결빙')에 상응하는 교통안전정보의 제공을 통해 사고예방을 위한 대응 조치를 실시한다.
일례로 처리부(240)는 VMS를 통해 "강우 예보, 노면 결빙 주의, 차량 간격 확보"에 관한 위험 경보를 발생하고, 터널 관계자의 단말(280)로 SMS 메시지를 발송해 상황 전파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단계(602, 603)에서 감지부(220)는 상기 3시간 후의 기상예보에, 강우 예보는 포함되지만, 결빙 발생 온도 이하의 기온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예, 섭씨 영상 20도), '터널도로의 미끄럼'에 관한 이상징후를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단계(606)에서 출력부(230)는 이상징후의 감지를 운영자 단말에 알림하고, 단계(607)에서 처리부(240)는 운영자 단말에 의한 대응명령에 따라 해당 이상징후('도로 미끄럼')에 상응하는 교통안전정보를 제공하여, 사고예방을 위한 대응 조치를 실시한다.
이 밖에도, 획득부(210)는 상기 터널도로의 입구와 출구, 내부에 설치된 자체 센서 설비(263)로부터 현시점의 기상데이터(기상실황)를 획득하고, 이를 감지부(220)에서 기상청 서버(261)로부터 획득한 기상데이터(기상예보)와 비교, 분석하여, 기상상태에 관한 이상징후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획득부(210)는 터널도로의 입구와 출구, 내부에 설치된 자체 센서 설비(263)로부터 기온, 습도 및 조도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감지부(220)는 가로등 고장, 도로 침수 및 화재 중 적어도 하나의 터널상태에 관한 이상징후('제3 이상징후')를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출력부(230)는 상기 이상징후의 감지를 운영자 단말에 알림하고, 운영자 단말에 의해 대응명령이 입력되면, 처리부(240)는 상기 터널상태에 관한 이상징후에 상응하는 교통안전정보를, 데이터베이스(250)로부터 검색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28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교통안전정보에는 상기 이상징후에 따른 터널도로 진입 금지, 우회로 권고, 차량 간격 확보, 및 라이트 점등 중 적어도 하나의 대응 조치가 포함될 수 있다.
터널도로에서 여러 가지의 이상징후가 복합적으로 감지될 경우, 위험도가 높은 이상징후부터 신속하게 대응 조치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200)은 각각의 이상징후에 대해 사전에 우선순위를 정해두고, 정해진 우선순위에 따른 순으로, 위험도가 높은 이상징후부터 운영자 단말에 이상징후를 알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출력부(230)는 터널도로에 대해, 복수의 이상징후가 동시에 감지될 경우, 감지된 복수의 이상징후에 정해진 우선순위에 따라, 각각의 이상징후가 감지된 지점에서 촬영된 CCTV영상을 순서대로 상기 화면에 출력하고, 처리부(240)는 상기 화면을 통해 대응명령이 입력되는 이상징후에 상응하는 교통안전정보를, 관리자 단말(280)에 순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널도로의 관리자 단말(280)에서는 위험도가 높은 이상징후부터 신속하게 대응 조치를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터널도로에 관해 획득되는 교통량, 평균주행속도 등의 교통데이터와, 기상청 서버에서 획득한 강우량, 적설량, 기온, 풍속 등의 기상예보 데이터 및 자체 센서 설비로 측정한 기상실황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터널도로에서 발생 가능한 여러 형태의 이상징후를 동시적으로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별 이상징후의 감지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은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을 통합 관리하는 프로그램을 통해, 터널도로에 관한 정보 조회 기능 외에, 터널도로에서의 이상징후 감지 따른 처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하기의 도 7a 및 도 7b에는 터널도로의 교통 안전 통합 관리 프로그램의 화면(710, 720)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에서, 이상징후의 감지를 알림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의 화면(7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은 시스템 운영자에 의해 터널도로의 주요 설비 버튼이 온(ON)되면, 해당 설비의 현상태에 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터널도로를 촬영한 CCTV영상의 조회 기능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은 이상징후 감지 시 단계 별로 처리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의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은 화면(710)에 도시된 것처럼 "이상징후 안내→상황전파→처리 완료→상황 종료"의 단계 별로 처리 화면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황전파"와 "처리 완료"의 단계 사이에, 세부적인 대응 조치 "VMS표출/비상방송→전체조명제어→LCS 차로 제어→차단막 하강→제트팬 제어"에 관한 단계 별 처리 화면을 추가 제공할 수도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의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은 속도 이상(E051)에 관한 이상징후가 감지되면, 이상징후가 감지된 지점 부근의 CCTV영상을 화면(710)에 출력하면서, 이상징후의 발생 지점과 이상징후의 종류를 안내하는 문구 "서울방향 이정 900 지점, 40% 이하의 속도 저하 발생"을 출력해 이상징후의 감지를 알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은 이상징후를 확인한 시스템 운영자에 의해 상기 화면(710)에서 '다음 단계'가 선택되거나, "상황 전파" 버튼이 클릭되면, 도 7b에 도시된 화면(720)으로 전환하여, 터널 관계자의 단말로 SMS 메시지를 발송해 이상징후의 감지 알림 및 대응 조치를 전달할 수 있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에서, 이상 발생을 통보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b의 화면(720)을 참조하면,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은, 도 7a에서 감지한 이상징후('속도 이상')에 상응하는 문구의 SMS 메시지를 자동 생성하고, 지정되는 터널 관계자의 단말로 발송할 수 있다.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은 SMS 메시지를 발송하여, 이상징후가 감지된 CCTV영상을 조회할 수 있게 하고, 터널 관계자의 현장 출동을 요구할 수 있다.
또한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은 이상징후('속도 이상')에 상응하는 교통안전정보를 터널 관계자의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터널도로에 출동한 관계자에 의해 상기 교통안전정보에 따라 적절한 대응 조치가 신속하게 실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8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200)의 작업 흐름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방법은 상술한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단계(810)에서,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200)은, 터널도로와 관련한 데이터를 주기 마다 획득한다.
본 단계(810)는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을 저해하는 이상징후를 감지하기 위해 터널도로와 관련한 교통데이터(교통량, 평균주행속도 등)와 기상데이터(강우량, 적설량, 풍속, 기온 등) 및 터널도로 내부의 감지데이터(기온, 습도, 조도 등)를 수집하는 단계일 수 있다.
단계(820)에서,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200)은, 획득한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터널도로의 교통 안전을 저해하는 이상징후가 감지되는지 판단한다.
일례로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200)은 주기 마다 획득되는 교통량 또는 평균주행속도의 변화량이 기준치를 초과하는지에 따라, 속도 저하 또는 교통량 급증과 같은 이상징후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200)은 기상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강풍, 강설, 도로 결빙이나 미끄럼 등의 이상징후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200)은 감지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터널도로 내에서의 화재 발생, 교통사고 발생, 가로등 고장과 같은 이상징후를 감지할 수도 있다.
단계(830)에서,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200)은, 이상징후가 감지되는 경우 터널도로를 촬영한 CCTV영상을 화면에 출력한다.
본 단계(830)는 CCTV영상의 화면 출력을 통해 시스템의 운영자에게 터널도로에서의 이상징후의 감지를 알림하고, 대응 조치를 실시할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일 수 있다.
단계(840)에서,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200)은, 상기 화면에서 이상징후에 대해 대응명령이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상기 대응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단계(850, 860)에서,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200)은, 해당 이상징후에 상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교통안전정보를 검색해 터널 관리자의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교통안전정보에 기초한 사고예방 활동을 실시하도록 한다.
즉,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200)은, 사전에 이상징후 각각으로 적절한 대응 조치를 마련해 두고, 이상징후의 감지에 따라 터널 관리자의 단말로 현장 출동을 지령 시, 이상징후에 상응하는 교통안전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이상징후의 감지에 따른 이상 발생의 통보와 사고예방을 위한 교통안전정보의 제공 과정이 신속하고 자동화되어 실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터널도로와 관련하여 수집되는 각종 데이터의 변화량을 분석해 이상징후를 감지하고, 이상징후의 감지에 따라 화면에 출력한 CCTV영상에 의해 이상 발생으로 확인되면, 해당 터널도로에 지정된 관리자 단말로 경보 메시지를 전파하여, 이상 발생을 통보하는 동시에 사고 예방을 위한 교통안전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이상징후에 적절한 대응 조치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200: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
210: 획득부
220: 감지부
230: 출력부
240: 처리부
250: 데이터베이스
261: 차량 교통상황 검지 시스템
262: 기상청 서버
263: 자체 센서 설비
270: CCTV 시스템
280: 관리자 단말

Claims (19)

  1. 주행 차량의 교통상황을 검지하는 시스템으로부터, 터널도로와 관련한 교통데이터로서, 차로 별 교통량 및 평균주행속도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되는 교통데이터를, 직전 주기에 획득한 교통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차로 별 교통량의 변화량 및 상기 평균주행속도의 변화량을 산출하는 단계;
    산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변화량이, 상기 직전 주기에 산출된 변화량의 일정비율로 정해지는 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터널도로의 교통상태에 관한 이상징후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이상징후의 감지에 연동하여, 상기 터널도로를 촬영한 CCTV영상을 운영자 단말에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도로에서 감지되는 이상징후 각각에 대해,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대응 조치에 관한 교통안전정보를 기록한 데이터베이스를 마련하는 단계; 및
    상기 CCTV영상을 확인한 운영자 단말에 의해, 대응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교통상태에 관한 이상징후에 상응하는 교통안전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터널도로에 지정된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이상징후의 각각에 대하여, 차량 속도 제한, 차로 제어, 터널도로 진입 금지, 우회로 권고, 차량 간격 확보, 타이어 체인 장착 및 라이트 점등 중 적어도 하나의 교통안전정보를 기록하는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상태에 관한 이상징후로서, '차량 속도 저하' 또는 '교통량 급증'이 감지될 경우,
    상기 이상징후가 감지된 지점으로의 현장 출동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상기 CCTV영상과 함께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이상징후에 대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되는 차량 속도 제한 또는 차로 제어에 관한 교통안전정보를, 상기 차로 별 교통량에 따라 산출되는 차로 별 제한 속도와 함께,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주행 차량의 교통상황을 검지하는 시스템으로부터, 터널도로에서 차량이 주행하는 차선이 식별되면, 주기 마다 동일 차선을 주행하는 차량의 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차로 별 교통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차로 별 교통량과 차로의 길이에 기초하여, 상기 차로에서의 차량의 평균주행속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를 포함하는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기상청 서버 및 상기 터널도로 내의 자체 센서 설비로부터, 강우량, 적설량, 기온, 풍속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의 기상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되는 기상데이터에 기초하여, 폭우, 폭설, 강풍 및 결빙 중 적어도 하나의 기상상태에 관한 이상징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기상데이터 내 강우량 또는 적설량이 일정량 이상이면서, 기온이 결빙 발생 온도 이하일 경우, 상기 터널도로의 결빙을 예측하여 감지하는 단계;
    상기 이상징후의 감지를 상기 운영자 단말에 알림하는 단계; 및
    상기 운영자 단말에 의해, 대응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기상상태에 관한 이상징후에 상응하는 교통안전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교통안정정보에는 상기 터널도로의 결빙에 상응하는 차량 간격 또는 타이어 체인 장착 권고가 포함됨-
    를 더 포함하는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도로 내의 자체 센서 설비로부터 획득되는 기온, 습도 및 조도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가로등 고장, 도로 침수 및 화재 중 적어도 하나의 터널상태에 관한 이상징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이상징후의 감지를, 상기 운영자 단말에 알림하는 단계; 및
    상기 운영자 단말에 의해, 대응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터널상태에 관한 이상징후에 상응하는 교통안전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교통안전정보에는 터널도로 진입 금지, 우회로 권고, 차량 간격 확보, 및 라이트 점등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됨-
    를 더 포함하는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도로에 대해, 복수의 이상징후가 동시에 감지되는 경우,
    각각의 이상징후가 감지된 지점에서 촬영된 CCTV영상을, 상기 복수의 이상징후에 정해진 우선순위에 따른 순으로 상기 운영자 단말에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운영자 단말에 의해 대응명령이 입력되는 이상징후에 상응하는 교통안전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이상징후가 감지된 지점 부근에서 촬영된 CCTV 영상 또는 상기 이상징후가 감지된 시점 전후에 촬영된 CCTV영상을, CCTV 시스템으로부터 로딩하여, 상기 운영자 단말에 재생하여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1. 주행 차량의 교통상황을 검지하는 시스템으로부터, 터널도로와 관련한 교통데이터로서, 차로 별 교통량 및 평균주행속도를 획득하는 획득부;
    상기 획득되는 교통데이터를, 직전 주기에 획득한 교통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차로 별 교통량의 변화량 및 상기 평균주행속도의 변화량을 산출하고, 산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변화량이, 상기 직전 주기에 산출된 변화량의 일정비율로 정해지는 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터널도로에서의 교통상태에 관한 이상징후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이상징후의 감지에 연동하여, 상기 터널도로를 촬영한 CCTV영상을 운영자 단말에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도로에서 감지되는 이상징후 각각에 대해,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대응 조치에 관한 교통안전정보를 기록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CCTV영상을 확인한 운영자 단말에 의해, 대응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교통상태에 관한 이상징후에 상응하는 교통안전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터널도로에 지정된 관리자 단말에 전송하는 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이상징후의 각각에 대하여, 차량 속도 제한, 차로 제어, 터널도로 진입 금지, 우회로 권고, 차량 간격 확보, 타이어 체인 장착 및 라이트 점등 중 적어도 하나의 교통안전정보를 기록하는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상태에 관한 이상징후로서, '차량 속도 저하' 또는 '교통량 급증'이 감지될 경우,
    상기 처리부는,
    상기 이상징후가 감지된 지점으로의 현장 출동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상기 CCTV영상과 함께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이상징후에 대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되는 차량 속도 제한 또는 차로 제어에 관한 교통안전정보를, 상기 차로 별 교통량에 따라 산출되는 차로 별 제한 속도와 함께,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부는,
    상기 주행 차량의 교통상황을 검지하는 시스템으로부터, 터널도로에서 차량이 주행하는 차선이 식별되면, 주기 마다 동일 차선을 주행하는 차량의 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차로 별 교통량을 산출하고,
    상기 차로 별 교통량과 차로의 길이에 기초하여, 상기 차로에서의 차량의 평균주행속도를 산출하는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부는,
    기상청 서버 및 상기 터널도로 내의 자체 센서 설비로부터 강우량, 적설량, 기온, 풍속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의 기상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감지부는,
    획득되는 기상데이터에 기초하여, 폭우, 폭설, 강풍 및 결빙 중 적어도 하나의 기상상태에 관한 이상징후를 감지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이상징후의 감지를 상기 운영자 단말에 알림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운영자 단말에 의해 대응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터널도로의 결빙에 상응하는 차량 간격 또는 타이어 체인 장착 권고를 포함한, 상기 기상상태에 관한 이상징후에 상응하는 교통안전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터널도로 내의 자체 센서 설비로부터 획득되는 기온, 습도 및 조도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가로등 고장, 도로 침수 및 화재 중 적어도 하나의 터널상태에 관한 이상징후를 감지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이상징후의 감지를, 상기 운영자 단말에 알림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운영자 단말에 의해 대응명령이 입력되면,
    터널도로 진입 금지, 우회로 권고, 차량 간격 확보, 및 라이트 점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상기 터널상태에 관한 이상징후에 상응하는 교통안전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도로에 대해, 복수의 이상징후가 동시에 감지되는 경우,
    상기 출력부는,
    각각의 이상징후가 감지된 지점에서 촬영된 CCTV영상을, 상기 복수의 이상징후에 정해진 우선순위에 따른 순으로 상기 운영자 단말에 출력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운영자 단말에 의해 상기 대응명령이 입력되는 이상징후에 상응하는 교통안전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에 전송하는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이상징후가 감지된 지점 부근에서 촬영된 CCTV 영상 또는 상기 이상징후가 감지된 시점 전후에 촬영된 CCTV영상을, CCTV 시스템으로부터 로딩하여, 상기 운영자 단말에 재생하여 출력하는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0190179418A 2019-12-31 2019-12-31 터널 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방법 및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286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9418A KR102286329B1 (ko) 2019-12-31 2019-12-31 터널 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방법 및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9418A KR102286329B1 (ko) 2019-12-31 2019-12-31 터널 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방법 및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881A true KR20210085881A (ko) 2021-07-08
KR102286329B1 KR102286329B1 (ko) 2021-08-06

Family

ID=76893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9418A KR102286329B1 (ko) 2019-12-31 2019-12-31 터널 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방법 및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63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8585A (ko) 2021-11-11 2023-05-18 재단법인 지능형자동차부품진흥원 센서 융합 기반의 터널 내부 관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전 운행 지원 방법
KR20230164945A (ko) 2022-05-26 2023-12-0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도로 결빙에 따른 블랙아이스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18530B1 (ko) 2022-08-29 2023-04-05 주식회사 나우시스템 도로 상황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0090A (ja) * 2000-10-13 2002-07-05 Sumitomo Electric Ind Ltd 交通流の異常検知装置及び方法(スペクトル)
KR20040051778A (ko) * 2002-12-13 2004-06-19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유고 감지 방법
KR100695348B1 (ko) * 2005-02-25 2007-03-15 건아정보기술 주식회사 비매설형 레이저 센서 차량번호 자동인식장치 및 레이저 센서와 cctv를 이용한 터널 방재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1045863B1 (ko) * 2011-02-16 2011-07-01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반복 정체를 해소하기 위한 고속도로 램프미터링 시스템
KR101123621B1 (ko) * 2011-01-20 2012-03-21 신도산업 주식회사 도로 안전시설의 차량 충돌 감시시스템 및 감시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0090A (ja) * 2000-10-13 2002-07-05 Sumitomo Electric Ind Ltd 交通流の異常検知装置及び方法(スペクトル)
KR20040051778A (ko) * 2002-12-13 2004-06-19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유고 감지 방법
KR100695348B1 (ko) * 2005-02-25 2007-03-15 건아정보기술 주식회사 비매설형 레이저 센서 차량번호 자동인식장치 및 레이저 센서와 cctv를 이용한 터널 방재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1123621B1 (ko) * 2011-01-20 2012-03-21 신도산업 주식회사 도로 안전시설의 차량 충돌 감시시스템 및 감시방법
KR101045863B1 (ko) * 2011-02-16 2011-07-01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반복 정체를 해소하기 위한 고속도로 램프미터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6329B1 (ko) 2021-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6329B1 (ko) 터널 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방법 및 터널도로에서의 교통 안전 관리 시스템
CN110164130B (zh) 交通事件检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1703001B1 (ko) 지능형 도로 안전 펜스 시스템
Kitali et al. Likelihood estimation of secondary crashes using Bayesian complementary log-log model
Theofilatos et al. Predicting road accidents: a rare-events modeling approach
US9111442B2 (en) Estimating incident duration
US11361556B2 (en) Deterioration diagnosis device, deterioration diagnosis system, deterioration diagnosis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storing program
TW201924989A (zh) 偵測具威脅性車輛之系統及方法
US20210043076A1 (en) Traffic monitoring apparatus, traffic monitoring system, traffic monitor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JP6036421B2 (ja) 道路管理支援方法、道路管理支援装置、及び道路管理支援プログラム
US20190236477A1 (en) Fiber sensing on roadside applications
CN113366545A (zh) 道路监视系统、道路监视设备、道路监视方法和非暂时性计算机可读介质
GB2485971A (en) Transmitting recorded data in the event of a road vehicle accident
Tomas et al. Forecasting adverse weather situations in the road network
CN115512546A (zh) 一种智慧高速交通流主动管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5547084A (zh) 道路通行状况预测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程序产品
CN116564079A (zh) 路段交通拥堵识别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20220137607A (ko) Ads-b 데이터 기반의 항로 기상 예측 엔진 업데이트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1386126B1 (ko) 역주행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
US20240078611A1 (en) Insurance-premium calculation method, recording medium, and insurance-premium calculation system
KR102212991B1 (ko) 블랙 아이스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Oskarbski et al. Information system for drivers within the integrated traffic management system-TRISTAR
Nathanail et al. Traffic volume responsive incident detection
KR102420854B1 (ko) 이동형 재난예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13516848B (zh) 一种应用于高速公路的定向高音喇叭控制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