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5810A - 기밀 부재를 통해 단열 성능이 향상된 미서기 - Google Patents

기밀 부재를 통해 단열 성능이 향상된 미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5810A
KR20210085810A KR1020190179281A KR20190179281A KR20210085810A KR 20210085810 A KR20210085810 A KR 20210085810A KR 1020190179281 A KR1020190179281 A KR 1020190179281A KR 20190179281 A KR20190179281 A KR 20190179281A KR 20210085810 A KR20210085810 A KR 20210085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tight member
window frame
frame
window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9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동한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원진알미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원진알미늄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원진알미늄
Priority to KR1020190179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5810A/ko
Publication of KR20210085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58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34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specially adapted for sliding doors 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06B3/2605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with frames permanently mounted behind or within each other, each provided with a pane or scree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06B7/2301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out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2003/26349Details of insulating strips
    • E06B2003/2635Specific form characteri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기밀 부재를 통해 단열 성능이 향상된 미서기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는 상하측 창틀 프레임 및 상기 상하측 창틀 프레임의 좌우 측단에 이격된 상태로 수직으로 형성되는 좌우측 창틀 프레임을 포함하는 창틀 프레임(10); 상기 창틀 프레임 상에서 좌우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창문 프레임(20); 상기 창문 프레임의 상하부에 형성된 단열홈부 상에 삽입 설치되는 기밀 부재(300); 상기 단열홈부 내에서 상기 기밀 부재로 둘러싸인 형태로 수용되는 롤러부(400); 상기 창문 프레임에서 상기 기밀 부재의 내측 상으로 배치되는 열차단부재(500);를 포함하고, 상기 기밀 부재는 상기 롤러부를 감싸는 방식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창문 프레임과 창틀 프레임 간의 이격 공간을 통해 유동하는 공기 유로를 따라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밀 부재를 통해 단열 성능이 향상된 미서기{horizontal sliding door with improved insulation through airtight members}
본 발명은 창틀 프레임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창문 프레임 상에서 기밀 부재를 롤러 부위를 감싸는 방식으로 설치하여 단열 성능을 강화함으로써 실내의 열손실을 차단할 수 있는 구조의 미서기 창틀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문은 주택 등을 포함한 건축물의 벽체에 고정설치되어 외부의 풍경이 보이도록 함과 동시에 채광 및 환기를 목적으로 설치된다. 창문은 통상적으로 건축물의 벽체에 고정설치되는 고정 프레임 상에 좌우이동 가능하게 미닫이식으로 구비되거나 좌우이동되지 않도록 위치 고정된 상태로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아파트나 건물과 같은 각종 건축물에 있어서 실외와의 열전달이 가장 많이 일어나는 곳이 창문을 포함하는 창호 부분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창호 부분에서의 열전달을 최소화하기 위한 단열 구조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 오고 있다. 근래에는 알루미늄 창호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알루미늄은 폴리염화비닐 대비 높은 열전달율을 가지며, 상기한 알루미늄의 특성상 알루미늄 창호는 단열에 취약한 특성을 갖고 있다.
즉, 알루미늄 창호는 소재의 강도와 내구성은 물론 인테리어 효과가 뛰어나다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단열 성능이 다소 떨어져 외면을 받는다는 현실적인 문제점이 있고, PVC 창호 대비 가격이 1.5~2배로 비싸지만 고급스럽고 인테리어 효과도 우수해 고급 주택, 아파트, 리조트, 병원 등에 주로 시공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42241호("단열 창문틀")는 벽면에 장착되는 창틀 프레임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창문 프레임의 내부에 단열재를 설치하여 실내의 열손실을 차단할 수 있는 단열 창문틀에 관한 내용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1) KR10-1842241 B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벽체 상에 내외측으로 관통된 개구부에 고정된 창틀 프레임 상에 좌우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창문 프레임의 기밀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창틀 프레임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창문 프레임 상에서 상기 창문 프레임에 구비된 롤러부를 감싸는 방식으로 기밀 부재를 일체적으로 구성함으로써 단열 성능을 강화하여 실내의 열손실을 차단할 수 있는 구조의 미서기 창틀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기밀 부재는 상기 창문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된 롤러부의 상단과 양측단을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밀 부재를 통해 단열 성능이 향상된 미서기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는 상하측 창틀 프레임 및 상기 상하측 창틀 프레임의 좌우 측단에 이격된 상태로 수직으로 형성되는 좌우측 창틀 프레임을 포함하는 창틀 프레임(10); 상기 창틀 프레임 상에서 좌우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창문 프레임(20); 상기 창문 프레임의 상하부에 형성된 단열홈부 상에 삽입 설치되는 기밀 부재(300); 상기 단열홈부 내에서 상기 기밀 부재로 둘러싸인 형태로 수용되는 롤러부(400); 상기 창문 프레임에서 상기 기밀 부재의 내측 상으로 배치되는 열차단부재(500);를 포함하고, 상기 기밀 부재는 상기 롤러부를 감싸는 방식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창문 프레임과 창틀 프레임 간의 이격 공간을 통해 유동하는 공기 유로를 따라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밀 부재는 상기 단열홈부에 끼워지는 형태인 플레이트 구조를 갖는 내측 기밀 부재(310), 상기 내측 기밀 부재 상에서 상기 단열홈부의 개방구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측부 기밀 부재(320), 상기 측부 기밀 부재의 끝단부 상에 형성되는 브러시 수용부(330)를 포함한다.
상기 내측 기밀 부재는 상기 열차단부재에 직접적인 접촉을 갖도록 배치된다.
상기 측부 기밀 부재는 전체적으로 중공 형상의 기둥 구조를 가지며, 상부 측으로는 상기 내측 기밀 부재가 배치되어 밀폐된 상태이고 하부 방향으로는 상기 롤러부의 구동을 위해 개방된 상태를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기밀 부재를 통해 단열 성능이 향상된 미서기는 벽체 상에 내외측으로 관통된 개구부에 고정된 창틀 프레임 상에 좌우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창문 프레임의 기밀성을 향상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창틀 프레임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창문 프레임 상에서 창문 프레임에 구비된 롤러부를 감싸는 방식으로 기밀 부재를 일체적으로 구성함으로써 단열 성능을 강화하여 실내의 열손실을 차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밀 부재를 통해 단열 성능이 향상된 미서기 창틀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창문 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는 기밀 부재, 롤러부 및 하부 창틀 프레임과의 관계를 보이는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의 B-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C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밀 부재를 통해 단열 성능이 향상된 미서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서기 창틀을 외부에서 바라본 상태로서 복수의 창문 프레임이 닫힌 상태를 보인다.
본 발명에 따른 기밀 부재를 통해 단열 성능이 향상된 미서기는 상하측 창틀 프레임(11,12)과 좌우측 창틀 프레임(13,14)을 구비하는 창틀 프레임(10), 창틀 프레임(10) 상에 좌우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창문 프레임(20), 창문 프레임(20)의 상하부에 형성된 단열홈부 상에 삽입 설치되는 기밀 부재(300), 상기 기밀 부재(300)로 둘러싸인 형태로 단열홈부 상에 수용되는 롤러부(400) 및 창문 프레임(20)에서 상기 기밀 부재(300)의 내측 상으로 배치되는 열차단부재(500)를 포함한다.
상기 창틀 프레임(10), 복수의 창문 프레임(20)은 알루미늄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다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창틀 프레임(10)은 건축물의 벽체에 일정간격으로 상하로 이격된 상태에서 수평한 상태로 고정되는 상하측 창틀 프레임(11,12) 및 상하측 창틀 프레임(11,12)의 좌우측단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수직한 상태로 형성되어 건축물 벽체에 고정되는 좌우측 창틀 프레임(13,14), 상하측 창틀 프레임(11,12)의 내측을 따라 형성되는 것과 동시에 복수의 창문 프레임(20)의 개수에 비례하여 배치되는 레일 프레임(15)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하측 창틀 프레임(11,12)의 길이 방향은 좌우측 창틀 프레임(13,14)을 상호 연결하도록 설정되는 방향이고, 좌우측 창틀 프레임(13,14)의 상하 방향은 상하측 창틀 프레임(11,12)을 상호 연결하도록 설정되는 방향으로 한다.
레일 프레임(15)은 상하측 창틀 프레임(11,12) 사이에 배치되는 메인 레일부(151), 상하측 창틀 프레임(11,12) 상에서 메인 레일부(151)의 외측으로 배치되는 레일 지지부(156) 및 메인 레일부(151)의 끝단 상에 결합되어져 롤러부(400)를 이루는 롤러(410) 상에 직접적으로 접촉한 상태를 갖는 레일 커버부(158)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레일부(151)와 레일 지지부(156)는 단열 소재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레일 프레임(15) 상에서 창문 프레임을 구동시키는 과정에서 레일 프레임(15)과 창문 프레임 간에 발생 가능한 온도 편차의 발생을 방지한다.
메인 레일부(151)는 상하측 창틀 프레임(11,12) 사이를 연결하는 레일 결속부(152), 레일 결속부(152)의 내측 상에서 창문 프레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창문 프레임 안착부(153)를 갖는다.
한편, 레일 프레임(15)은 좌우측 창틀 프레임(13,14)에서도 연장된다. 구체적으로는, 좌우측 창틀 프레임(13,14) 상에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복수의 창문 프레임(20)은 상하측 창틀 프레임(11,12)과 좌우측 창틀 프레임(13,14) 사이에 사용자에 의해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복수의 창문 프레임(20) 각각은 창문 프레임 바디(21), 창문 프레임 바디(21) 상에 고정 결합되는 창문(22) 및 창문 프레임 바디(21)의 상하단 상에 형성되는 단열홈부(23)를 포함한다.
기밀 부재(300)는 창문 프레임 바디(21)에 형성된 공간인 단열홈부(23)에 수용된 롤러부(400)를 감싸는 구조로 배치되어진 상태에서, 상기 롤러부(400)를 통한 구동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열적인 손실을 저감하는 기능을 한다.
기밀 부재(300)는 단열홈부(23)에 끼워지는 형태인 플레이트 구조를 갖는 내측 기밀 부재(310), 내측 기밀 부재(310) 상에서 단열홈부(23)의 개방구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측부 기밀 부재(320), 측부 기밀 부재(320)의 끝단부 상에 형성되는 브러시 수용부(330)를 갖는다.
내측 기밀 부재(310)는 열차단부재(500)에 직접적인 접촉을 갖도록 배치된다. 즉, 기밀 부재(300)와 열차단부재(500)는 단열홈부(23) 상에서 밀착된 구성을 가짐으로써 단열홈부(23) 내부를 통해 유동하는 유체로 인한 열적인 손실을 방지하게 한다.
측부 기밀 부재(320)는 전체적으로 속이 빈 중공 형상의 기둥 구조를 갖는다. 즉, 상부 측으로는 내측 기밀 부재(310)가 배치되어 밀폐된 상태이지만, 하부 방향으로는 롤러부(400)의 구동을 위해 개방된 상태를 갖는다. 측부 기밀 부재(320)는 연장형성되는 과정에서 단차진 형태를 갖게 되는데, 구체적으로는 내측 기밀 부재(310)에서 소정거리 연장된 후 바깥 측으로 단차지게 이루어짐으로써 내부 공간이 더 넓어지게 되는 형태일 수 있다.
한편, 기밀 부재(300)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단열홈부(23) 에 상호 끼움결함이 가능한 형상의 것이면 무방하다.
열차단부재(500)는 단열홈부(23)에 상하부 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된 복수의 차단부재 설치홈에 끼워져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어짐으로써 창문 프레임(20)을 이루는 창문 프레임 바디(21)의 양측을 상호 연결하며 단열기능을 한다.
열차단부재(500)는 단열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내측에 배치되는 제1열차단부재(510)와 외측에 배치되는 제2열차단부재(520)로 구성할 수 있다. 분리된 제1열차단부재(510)와 제2열차단부재(520)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단열공간부(530)를 형성함으로써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열차단부재(500)의 재질은 단열성을 위해 종래의 단열바의 재질로 사용되고 있는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우레탄을 사용할 수 있다.
복수의 창문 프레임(20) 각각은 하측 창틀 프레임(12)에 형성된 레일 프레임(15) 상에 롤러부(400)를 이루는 롤러(410)가 안착된 상태에서, 측부 기밀 부재(320)의 끝단부 상에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한쌍의 브러시 수용부(330)가 롤러(410)와 레일 프레임(15)의 양측 상에 마주보는 상태로 배치되는 구조를 통해 좌우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창문 프레임(20)이 창틀 프레임(10) 상에서 개방되는 경우에 좌우측 창틀 프레임(13,14)에 배치된 레일 프레임(15)과의 직접적인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레일 프레임(15) 상에는 플라스틱 재질의 스토퍼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창틀 프레임(10)과 복수의 창문 프레임(20)은 공지된 기술임과 동시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하여 실시할 수 있는 사항임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서기를 설치하는 과정을 보면,
먼저, 벽체 상에 내외측으로 관통된 개구부에 창틀 프레임(10)을 4면에 걸쳐 설치한다. 즉, 상하측 창틀 프레임(11,12)과 좌우측 창틀 프레임(13,14)을 개구부의 내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한다. 다음은, 창틀 프레임(10) 상에 복수의 창문 프레임(20) 중 외측 창문에 해당하는 외부 창문 프레임 한 쌍을 우선적으로 설치한다.
외부 창문 프레임 한 쌍을 설치한 다음에는, 창틀 프레임(10) 상에 복수의 창문 프레임(20) 중 내측 창문에 해당하는 내부 창문 프레임 한 쌍을 설치한다.
본 발명은 창틀 프레임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창문 프레임 상에서 창문 프레임에 구비된 롤러부를 감싸는 방식으로 기밀 부재를 일체적으로 구성함으로써 단열 성능을 강화하여 실내의 열손실을 차단할 수 있는 구조의 미서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창문 프레임의 단열홈부(23) 내에 수용된 롤러부(400)의 상부와 측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기밀 부재(300) 및 단열홈부(23) 내에서 기밀 부재(300)의 내측으로 밀착 배치된 열차단부재(500)를 복합적으로 설치하는 방식을 통해서, 미서기 단열에 가장 취약한 부분에 해당하는 영역인 롤러부와 레일 프레임 간의 연동 구간의 단열성 및 기밀성을 보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미서기를 이루는 창틀 프레임 및 창문 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바람 내기 공기의 이동 구간을 따라 단열재를 적용함으로써 미서기의 작동 과정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열적인 손실을 최대한 방지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는 상하측 창틀 프레임 및 상기 상하측 창틀 프레임의 좌우 측단에 이격된 상태로 수직으로 형성되는 좌우측 창틀 프레임을 포함하는 창틀 프레임(10);
    상기 창틀 프레임 상에서 좌우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창문 프레임(20);
    상기 창문 프레임의 상하부에 형성된 단열홈부 상에 삽입 설치되는 기밀 부재(300);
    상기 단열홈부 내에서 상기 기밀 부재로 둘러싸인 형태로 수용되는 롤러부(400);
    상기 창문 프레임에서 상기 기밀 부재의 내측 상으로 배치되는 열차단부재(500);를 포함하고,
    상기 기밀 부재는 상기 롤러부를 감싸는 방식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창문 프레임과 창틀 프레임 간의 이격 공간을 통해 유동하는 공기 유로를 따라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성을 강화한 미서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 부재는 상기 단열홈부에 끼워지는 형태인 플레이트 구조를 갖는 내측 기밀 부재(310), 상기 내측 기밀 부재 상에서 상기 단열홈부의 개방구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측부 기밀 부재(320), 상기 측부 기밀 부재의 끝단부 상에 형성되는 브러시 수용부(330)를 포함하는,
    기밀성을 강화한 미서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기밀 부재는 상기 열차단부재에 직접적인 접촉을 갖도록 배치되는
    기밀성을 강화한 미서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 기밀 부재는 전체적으로 중공 형상의 기둥 구조를 가지며, 상부 측으로는 상기 내측 기밀 부재가 배치되어 밀폐된 상태이고 하부 방향으로는 상기 롤러부의 구동을 위해 개방된 상태를 갖는,
    기밀성을 강화한 미서기.
KR1020190179281A 2019-12-31 2019-12-31 기밀 부재를 통해 단열 성능이 향상된 미서기 KR202100858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9281A KR20210085810A (ko) 2019-12-31 2019-12-31 기밀 부재를 통해 단열 성능이 향상된 미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9281A KR20210085810A (ko) 2019-12-31 2019-12-31 기밀 부재를 통해 단열 성능이 향상된 미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810A true KR20210085810A (ko) 2021-07-08

Family

ID=76893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9281A KR20210085810A (ko) 2019-12-31 2019-12-31 기밀 부재를 통해 단열 성능이 향상된 미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8581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5604B1 (ko) 단열성능이 개선된 알루미늄 프로젝트 및 풀다운 창호 샤시구조체
KR101331743B1 (ko) 단열성이 우수한 복합창호
KR101339951B1 (ko) 고단열의 알루미늄 창호 프레임을 구비한 리프트 앤드 슬라이딩 시스템 창호
KR101348488B1 (ko) 수평밀착창호
KR102063537B1 (ko) 이종재질을 이용한 창문프레임과 창틀프레임의 단열구조를 갖는 시스템 창호
KR20100081841A (ko) 시스템 창호
KR101072873B1 (ko) 고기밀성 하이단열바
JP2015031150A (ja) 窓扉用防風部材及びこれを備える窓扉
KR200406648Y1 (ko) 내풍압용 이중 단열창
US4516356A (en) Insulated plastic frame for doors, windows and the like
KR20090078623A (ko) 시스템 창호
KR101793476B1 (ko) 단열성과 기밀성이 우수한 창호
KR20210085810A (ko) 기밀 부재를 통해 단열 성능이 향상된 미서기
KR101471244B1 (ko) 이중 개폐구조를 갖는 슬라이딩 창호
KR102383663B1 (ko) 기밀과 수밀기능을 가진 창호의 하변 실외측 구조
KR102402693B1 (ko) 창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시스템
KR101694490B1 (ko) 단열 및 방풍성이 향상된 창호
KR101732853B1 (ko) 단열 창호
KR101365692B1 (ko) 투트랙 창호 레일과 삼중 유리가 구성된 이중 아존타입 단열구조
KR101499623B1 (ko) 단열 창호 시스템
KR101897149B1 (ko) 창호 조립체
KR101293191B1 (ko) 입면 분할 창호에 구비되는 고 기밀성 단열 중간바
KR101949136B1 (ko) 단열 창호
KR102115838B1 (ko) 고단열성 창호
KR102106597B1 (ko) 슬림 슬라이딩 창호의 프로파일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