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5649A - 다 단계 스위칭 방식의 서지 보호 장치 - Google Patents

다 단계 스위칭 방식의 서지 보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5649A
KR20210085649A KR1020190178937A KR20190178937A KR20210085649A KR 20210085649 A KR20210085649 A KR 20210085649A KR 1020190178937 A KR1020190178937 A KR 1020190178937A KR 20190178937 A KR20190178937 A KR 20190178937A KR 20210085649 A KR20210085649 A KR 202100856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pport plate
switch
plate
lead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8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6668B1 (ko
Inventor
박종순
박종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라임솔루션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라임솔루션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라임솔루션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90178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6668B1/ko
Publication of KR20210085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5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6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6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3/0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 H01H83/1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excess voltage, e.g. for lightning prot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7/00Non-adjustable resistors formed as one or more layers or coatings; Non-adjustable resistors made from powdered conducting material or powdered semi-conducting material with or without insulating material
    • H01C7/10Non-adjustable resistors formed as one or more layers or coatings; Non-adjustable resistors made from powdered conducting material or powdered semi-conducting material with or without insulating material voltage responsive, i.e. varistors
    • H01C7/12Overvoltage protection re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7/00Thermally-actuated switches
    • H01H37/002Thermally-actuated switches combined with protective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7/00Thermally-actuated switches
    • H01H37/02Details
    • H01H37/32Thermally-sensitive members
    • H01H37/52Thermally-sensitive members actuated due to deflection of bimetallic ele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지 보호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바리스터를 구비하는 탑 모듈과, 상기 탑 모듈이 구비되는 베이스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탑 모듈은 상기 바리스터가 내부에 구비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고 바리스터가 지지되는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당기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 일 측에 구비되는 구동부와, 상기 프레임을 파지하는 다단계 파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모듈은 상기 프레임의 이동에 따라 온 또는 오프 되는 복수 개의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다단계 파지 유닛은 바리스터의 열화에 따른 발열로 인해 파단되는 한편, 상기 다단계 파지 유닛은 상기 발열로 인한 파단 강도가 다른 복수 개로 구비되어, 서지 전원의 강도에 따라 상기 다단계 파지 유닛이 단계별로 파단되어 상기 프레임이 단계별로 이동하며 상기 복수 개의 스위치를 각각 온 또는 오프시켜 상기 바리스터의 열화 정도를 다 단계로 나타내어 바리스터의 교체 시기를 보다 정밀하게 나타낼 수 있는 다 단계 스위칭 방식의 서지 보호 장치이다.

Description

다 단계 스위칭 방식의 서지 보호 장치{SURGE PROTECT DEVICE OF MULTI STAGE SWITCHING}
본 발명은 서지 보호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바리스터를 구비하는 탑 모듈과, 상기 탑 모듈이 구비되는 베이스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탑 모듈은 상기 바리스터가 내부에 구비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고 바리스터가 지지되는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당기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 일 측에 구비되는 구동부와, 상기 프레임을 파지하는 다단계 파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모듈은 상기 프레임의 이동에 따라 온 또는 오프 되는 복수 개의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다단계 파지 유닛은 바리스터의 열화에 따른 발열로 인해 파단되는 한편, 상기 다단계 파지 유닛은 상기 발열로 인한 파단 강도가 다른 복수 개로 구비되어, 서지 전원의 강도에 따라 상기 다단계 파지 유닛이 단계별로 파단되어 상기 프레임이 단계별로 이동하며 상기 복수 개의 스위치를 각각 온 또는 오프시켜 상기 바리스터의 열화 정도를 다 단계로 나타내어 바리스터의 교체 시기를 보다 정밀하게 나타낼 수 있는 다 단계 스위칭 방식의 서지 보호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서지 보호 장치라고 하는 것은 외부로부터 서지 전원이 들어올 때, 그 전류가 부하를 통해 흐르지 않고 서지 보호 장치 자신을 통해 흐르도록하여 부하에서 발생하는 전압강하가 과다하게 상승하는 것을 막아서 부하를 보호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는 계통에 서지가 들어올 경우에, 임피던스가 낮은 통로 (즉 서지보호장치)를 통해 서지 전류를 흘려줌으로써 계통의 보호가 가능해지는 원리를 이용한다.
이러한 서지 보호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리스터(MOV)(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하는 탑 모듈(TM)과, 상기 탑 모듈(TM)이 구비되는 베이스 모듈(BM)을 포함한다. 상기 바리스터(MOV)는 정상상태에서 매우 큰 임피던스를 가지는 부품으로서 서지 전원이 인가되면 바리스터(MOV)의 임피던스가 급격히 낮아지면서 서지를 부하가 아닌 다른 통로로 흘려보내게 되어 부하를 보호한다.
이러한 서지 보호 장치에 서지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서지 보호 장치의 바리스터가 열화되어 교체를 해야 한다. 상기 바리스터의 교체 시점을 알리기 위해 종래에는 소정의 스위치를 구비하여, 서지 전원의 인가에 의해 스위치에서 신호를 발생하여 바리스터의 교체 시점을 알리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교체 여부만을 나타내는 2단계 신호 만을 발생하는 관계로 보다 정밀한 교체 시기를 나타내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술한 서지 보호 장치 자체는 널리 알려진 것으로서 특히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는 바, 이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한국 등록 특허 제10-1141915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2023873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2047951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2038110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2001159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1801798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1443850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리스터를 구비하는 탑 모듈과, 상기 탑 모듈이 구비되는 베이스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탑 모듈은 상기 바리스터가 내부에 구비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고 바리스터가 지지되는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당기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 일 측에 구비되는 구동부와, 상기 프레임을 파지하는 다단계 파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모듈은 상기 프레임의 이동에 따라 온 또는 오프 되는 복수 개의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다단계 파지 유닛은 바리스터의 열화에 따른 발열로 인해 파단되는 한편, 상기 다단계 파지 유닛은 상기 발열로 인한 파단 강도가 다른 복수 개로 구비되어, 서지 전원의 강도에 따라 상기 다단계 파지 유닛이 단계별로 파단되어 상기 프레임이 단계별로 이동하며 상기 복수 개의 스위치를 각각 온 또는 오프시켜 상기 바리스터의 열화 정도를 다 단계로 나타내어 바리스터의 교체 시기를 보다 정밀하게 나타낼 수 있는 다 단계 스위칭 방식의 서지 보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리스터(MOV)를 구비하는 탑 모듈(TM)과, 상기 탑 모듈(TM)이 구비되는 베이스 모듈(BM)을 포함하고, 상기 탑 모듈(TM)은 상기 바리스터(MOV)가 내부에 구비되는 케이스(TM1)와, 상기 케이스(TM1) 내부에 설치되고 바리스터(MOV)가 지지되는 지지 플레이트(SP)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SP)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프레임(N)과, 상기 프레임(N)을 당기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SP) 일 측에 구비되는 구동부(S)와, 상기 프레임(N)을 파지하는 다단계 파지 유닛(FU)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모듈(BM)은 상기 프레임(N)의 이동에 따라 온 또는 오프 되는 복수 개의 스위치(SW)를 포함하며, 상기 다단계 파지 유닛(FU)은 바리스터(MOV)의 열화에 따른 발열로 인해 파단되는 한편, 상기 다단계 파지 유닛(FU)은 상기 발열로 인한 파단 강도가 다른 복수 개로 구비되어, 서지 전원의 강도에 따라 상기 다단계 파지 유닛(FU)이 단계별로 파단되어 상기 프레임(N)이 단계별로 이동하며 상기 복수 개의 스위치(SW)를 각각 온 또는 오프시켜 상기 바리스터(MOV)의 열화 정도를 다 단계로 나타내는 다 단계 스위칭 방식의 서지 보호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기 스위치(SW)는 상기 베이스 모듈(BM) 내부에 특정 방향을 배열되고 특정 간격 이격된 제1스위치(SW1) 및 제2스위치(SW2)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TM1)는 상기 바리스터(MOV)가 내부에 구비되는 중공 형상의 제1 케이스(110)를 이용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SP)는 상기 바리스터(MOV)가 내부에 배치되어 지지되며 상기 바리스터(MOV)의 일 부분이 노출되는 제1 지지 플레이트(120)를 이용하며, 상기 프레임(N)는 상기 제1지지 플레이트(120) 일 측에 구비되고 일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 프레임(130)을 이용하며, 상기 구동부(S)는 스프링을 이용하되, 일 측은 상기 회전 프레임(130)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 프레임(130)을 당기며, 타 측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120)에 고정되고, 상기 다단계 파지 유닛(FU)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120) 일 측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 프레임(130)이 걸림되고 탄성 재질인 리드선(L)과,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120)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 프레임(130)이 걸림되는 탄성 재질의 스토퍼(150)와, 상기 바리스터(MOV) 일 측에 설치되고 제1지지 플레이트(120)의 빈 공간을 통해 노출되며 상기 리드선(L)을 파지하는 제1파지부(F1)와, 상기 바리스터(MOV)의 또 다른 일 측에 설치되고, 제1지지 플레이트(120)의 빈 공간을 통해 노출되며 상기 스토퍼(150)를 파지하는 제2파지부(F2)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상기 제1파지부(F1)의 파단 강도는 제2파지부(F2)의 파단 강도보다 낮게 설정되고, 서지 전원이 도입되지 않은 정상 상태의 경우 상기 회전 프레임(130)가 리드선(L)에 걸림되어 상기 회전 프레임(130)가 제1스위치(SW1)를 온하고 제2스위치(SW2)는 오프시키고, 서지 전원이 1차 도입되어 바리스터(MOV)의 열화에 따른 발열이 발생하여 제1파지부(F1)가 먼저 파단되어 상기 회전 프레임(130)이 1차 회전하다가 상기 스토퍼(150)에 접하여 회전이 중단되며, 상기 회전 프레임(130)은 제1스위치(SW1)와 제2스위치(SW2) 모두 오프 시키며, 추가적인 서지 전원이 도입되어 제2파지부(F2)가 파단되어 회전 프레임(130)이 추가적으로 회전되어 상기 회전 프레임(130)은 제1스위치(SW1)를 오프시키고, 제2스위치(SW2)는 온 시킨다.
상기에서, 상기 회전 프레임(130)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 일 측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판체 형상의 베이스(131)와, 상기 베이스(131)에서 상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호 이격된 제1연장부(132) 및 제2연장부(133)와, 상기 제1연장부(132)와 제2연장부(133)를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부(134)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131) 중 일 지점에 형성되고, 제1지지 프레임(120)에서 돌출된 회동 핀(SO)이 삽입되는 삽입공(1311)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131) 중 상기 삽입공(1311)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하향 연장되어 스위치(SW)에 접하는 제1돌출부(1312) 및 제2돌출부(1313)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134) 일 측에는 걸림홈(134-2)이 형성되어 리드선(L)이 걸림된다.
상기에서, 상기 스토퍼(150)는 제1지지 플레이트(120) 일 측에 고정되는 고정판(151)과, 상기 고정판(151)의 끝단에서 절곡되어 제2파지부(F2)를 덮는 절곡부(152)와 상기 절곡부(152)의 끝단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바리스터(MOV)로부터 이격되도록 절곡되는 걸림부(153)를 포함하고, 상기 제2파지부(F2)는 상기 절곡부(152)를 파지하며, 상기 회전 프레임(130)의 회전 시 제1연장부(132)는 절곡부(152) 및 걸림부(153)로부터 이격되어 통과하고, 제2연장부(133)는 제1연장부(132) 보다 바리스터(MOV)에 근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연장부(133)는 상기 걸림부(153)에 걸림되어 회전이 중단하고, 상기 제2파지부(F2) 파단 시 상기 절곡부(152)가 바리스터(MOV)로부터 이탈되면서 제2연장부(133)가 걸림부(153)를 지나 회전한다.
상기에서, 상기 리드선(L)은 제1지지 플레이트(120) 일 측에 형성된 홀더(160)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홀더(160)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 상에 형성되고 일정 거리 상호 이격된 제1홀더(161)와 제2홀더(162)를 포함하고, 상기 제1홀더(161)와 제2홀더(162) 사이에는 수평 방향의 제1공간부(O1)와 수직 방향의 제2공간부(O2)가 형성되며, 상기 리드선(L)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공간부(O1)에 삽입되는 수평 베이스(L1)와, 상기 수평 베이스(L1) 일 측에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공간부(O2)에 삽입되는 수직 베이스(L2)와, 상기 수직 베이스(L2)의 끝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 되는 수평 연장부(L3)와, 상기 수평 연장부(L3)의 끝단에서 경사진 방향으로 상향 절곡되는 걸림부(L4)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L4)가 상기 회전 프레임(130)의 걸림홈(134-2)에 걸림되며, 상기 제1파지부(F1)는 상기 수평 연장부(L3) 또는 걸림부(L4)를 파지한다.
상기에서, 상기 스위치(SW)는 상기 베이스 모듈(M) 내부에 특정 방향을 배열되고 특정 간격 이격된 제1스위치(SW1) 및 제2스위치(SW2)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TM1)는 상기 바리스터(MOV)가 내부에 구비되는 중공 형상의 제2 케이스(410)를 이용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SP)는 상기 바리스터(MOV)가 일 측면에 배치되는 제2 지지 플레이트(420)를 이용하며, 상기 프레임(N)는 상기 제2지지 플레이트(140) 일 측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 프레임(430)을 이용하며, 상기 구동부(S)는 스프링을 이용하되, 일 측은 상기 이동 프레임(430)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 프레임(430)을 당기며, 타 측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420)에 고정되고, 상기 다단계 파지 유닛(FU)은 제2지지 플레이트(420) 일 측에 구비되는 제1리드선(L1)과 제2리드선(L2)과, 상기 제1리드선(L1)을 파지하는 제3파지부(F3) 및 제2리드선(L2)을 파지하는 제4파지부(F4)를 포함하되, 상기 제1리드선(L1)과 제2리드선(L2)은 상기 이동 프레임(430)의 이동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며, 상기 제3파지부(F3)는 상기 바리스터(MOV) 일 측에 형성되고 제2지지 플레이트(420)를 관통한 후 상기 제1리드선(L1)에 부착되고, 제4파지부(F4)는 상기 바리스터(MOV)의 또 다른 일측에 형성되고, 제2지지 플레이트(140)를 관통한 후 제2리드선(L2)에 부착된다.
상기에서, 상기 제3파지부(F3)의 파단 강도는 제4파지부(F4)의 파단 강도보다 낮게 설정되고, 서지 전원이 도입되지 않은 정상 상태의 경우 상기 이동 프레임(430)이 제1리드선(L1)에 걸림되어 상기 이동 프레임(430)이 제1스위치(SW1)를 온하고 제2스위치(SW2)는 오프시키고, 서지 전원이 1차 도입되어 바리스터(MOV)의 열화에 따른 발열이 발생하여 제1파지부(F1)가 먼저 파단되어 상기 이동 프레임(430)이 1차 이동하다가 상기 제2리드선(L2)에 접하여 이동이 중단되며, 상기 이동 프레임(430)은 제1스위치(SW1)와 제2스위치(SW2) 모두 오프 시키며, 추가적인 서지 전원이 도입되어 제4파지부(F4)가 파단되어 이동 프레임(430)이 추가적으로 이동하여 상기 이동 프레임(430)은 제1스위치(SW1)를 오프시키고, 제2스위치(SW2)는 온 시킨다.
상기에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420)는 판체 형상이고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지판(422)과, 상기 지지판(422)의 상측에 구비되고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판(421)과, 상기 지지판(422)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측판(423)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S)는 스프링을 이용하되, 일 측은 상기 이동 프레임(430)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 프레임(430)을 당기며, 타 측은 상기 지지 프레임(420)에 고정되는 제1구동부(S1)와, 상기 제1구동부(S1)의 하측에 배치되고 일 측은 상기 이동 프레임(430)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 프레임(430)을 당기며, 타 측은 제2리드선(L2)에 고정되는 제2구동부(S2)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프레임(430)은 상기 제2구동부(S2)가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스위치(SW)에 접하는 하단판(435)과, 상기 하단판(435)의 일 측에서 상향 연장되는 연장부(437)와, 상기 연장부(437)의 상방향 끝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고 일 부분은 돌출되어 제1리드선(L1)이 걸림되는 걸림턱(434)과, 상기 걸림턱(434) 일 측에서 상향 연장되어 제1구동부(S1)가 연결되는 연장판(431)과, 상기 하단판(435)의 일 측에서 제2리드선(L2) 방향으로 돌출하는 접촉부(436)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420)는 양 측판(423)의 내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내측판(424) 및 제2내측판(426)과, 상기 제1내측판(424)과 제2내측판(426)의 하측을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하판(425)을 포함하고, 상기 제1내측판(424)은 양 측판(423) 중 하나의 측판인 제1측판(4231)의 하측단에서 내부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제2내측판(426)은 측판(423) 중 다른 측판인 제2측판(4232)의 상측단에서 내부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리드선(L2)는 상기 제2내측판(424)과 제1측판(4231)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되는 베이스(L21)와, 상기 베이스(L21)의 상단에서 이동 프레임(430)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사부(L22)와, 상기 경사부(L22)의 끝단에서 이동 프레임(430) 방향으로 연장되며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수평부(L23)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부(L23)에 제4파지부(F4)가 구비되며, 상기 제1리드선(L1)은 상기 제1내측판(426)과 제2측판(4232)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되는 베이스(L11)와, 상기 베이스(L11)의 하단에서 이동 프레임(430)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사부(L12)와, 상기 경사부(L12)의 하단에서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수직부(L13)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부(L13)에 제3파지부(F3)가 구비되며, 상기 이동 프레임(430)의 걸림턱(434)는 상기 제1리드선(L1)의 수직부(L13)에 걸림되며, 상기 이동 프레임(430)의 접촉부(436)는 상기 제2리드선(L2)의 경사부(L22)와 일정 간격 이격된다.
상기에서, 상기 베이스 모듈(BM)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탑 모듈(TM)이 안착되는 베이스 케이스(BM1)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케이스(BM1) 내부에는 상기 프레임(N)의 회전에 따라 각각 접촉하는 다수 개의 스위치(SW)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 케이스(BM1)의 상부 일 부분은 개방부(BM2)가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SW)가 노출되며, 상기 서지 전원에 의해 다 단계 파지 유닛(FU)이 순차적으로 파단되어 프레임(N)이 단계별로 이동하며 상기 다수 개의 스위치(SW)를 각각 온 또는 오프하여 열화 정도를 상기 스위치(SW)에 의해 전기적 신호로 발신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해 종래보다 정밀한 교체 시기를 나타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서지 보호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지 보호 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지 보호 장치의 단면 사시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지 보호 장치의 중 케이스만을 단면 처리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프레임 만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지 보호 장치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지 보호 장치의 작동 단계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지 보호 장치의 분리 사시도 및 단면 사시도,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지 보호 장치의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지 보호 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17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지 보호 장치의 지지 플레이트 만을 도시한 사시도,
도 21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지 보호 장치의 작동 단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지 보호 장치(10)는 도 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리스터(MOV)를 구비하는 탑 모듈(TM)과, 상기 탑 모듈(TM)이 구비되는 베이스 모듈(BM)을 포함한다.
상기 탑 모듈(TM)은 상기 바리스터(MOV)가 내부에 구비되는 케이스(TM1)와, 상기 케이스(TM1) 내부에 설치되고 바리스터(MOV)가 지지되는 지지 플레이트(SP)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SP)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프레임(N)과, 상기 프레임(N)을 당기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SP) 일 측에 구비되는 구동부(S)와, 상기 프레임(N)을 파지하는 다단계 파지 유닛(FU)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모듈(BM)은 상기 프레임(N)의 이동에 따라 온 또는 오프 되는 복수 개의 스위치(SW)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다 단계 파지 유닛(FU)은 바리스터(MOV)의 열화에 따른 발열로 인해 파단되는 한편, 상기 다단계 파지 유닛(FU)은 상기 발열로 인한 파단 강도가 다른 복수 개로 구비된다. 즉, 서지 전원의 강도에 따라 상기 다단계 파지 유닛(FU)이 단계별로 파단되어 상기 프레임(N)이 단계별로 이동하며 상기 복수 개의 스위치(SW)를 각각 온 또는 오프시켜 상기 바리스터(MOV)의 열화 정도를 다 단계로 나타낸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에서 서지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정상 상태의 경우 다 단계 파지 유닛(FU)이 파단되지 않아 프레임(N)이 특정 위치에 계속 유지되어 복수 개의 스위치(SW)를 각각 ON 또는 OFF 시켜 소정의 신호를 발생한다. 이러한 신호를 제어부(후술됨)가 수신하고, 상기 신호의 종류에 따라 정상 상태임을 알릴 수 있다.
만일 외부로부터 1차적인 서지 전원이 인가되어 바리스터(MOV)가 열화되고 이에 의해 발열이 발생하면 상기 다 단계 파지 유닛(FU) 중 특정 다 단계 파지 유닛(FU)이 파단된다. 이에 의해 상기 프레임(N)이 1차 이동하여 상기 복수 개의 스위치(SW)의 ON, OFF 상태가 변경되고 이에 의해 교체 예고 상태임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 추가적인 서지 전원이나 보다 높은 서지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모든 다 단계 파지 유닛(FU)이 파단되어 프레임(N)이 2차 이동하여 상기 복수 개의 스위치(SW)의 ON, OFF 상태가 변경되고 이에 의해 교체 상태임을 나타낼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스위치 신호에 의해 정상 상태 또는 교체 예고 상태 또는 교체 상태 등 다 단계로 나타낼 수 있어 종래 보다 교체 시점에 대해 보다 정밀하게 나타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1
도 2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스위치(SW)는 상기 베이스 모듈(BM) 내부에 특정 방향을 배열되고 특정 간격 이격된 제1스위치(SW1) 및 제2스위치(SW2)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TM1)는 상기 바리스터(MOV)가 내부에 구비되는 중공 형상의 제1 케이스(110)를 이용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SP)는 상기 바리스터(MOV)가 내부에 배치되어 지지되며 상기 바리스터(MOV)의 일 부분이 노출되는 제1 지지 플레이트(120)를 이용한다. 상기 제1지지 플레이트(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육면체 형상이고 외측면 각 부분이 일정 크기 개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프레임(N)는 상기 제1지지 플레이트(120) 일 측에 구비되고 일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 프레임(130)을 이용한다. 이러한 회전 프레임(130)은 구동부(S)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구동부(S)는 스프링을 이용하되, 일 측은 상기 회전 프레임(130)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 프레임(130)을 당기며, 타 측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120)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의 다 단계 파지 유닛(FU)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120) 일 측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 프레임(130)이 걸림되고 탄성 재질인 리드선(L)과,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120)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 프레임(130)이 걸림되는 탄성 재질의 스토퍼(150)를 포함한다. 상기 리드선(L)은 제1파지부(F1)에 의해 파지된다. 상기 제1파지부(F1)는 상기 바리스터(MOV) 일 측에 설치되고 제1지지 플레이트(120)의 빈 공간을 통해 노출되며 상기 리드선(L)을 파지한다. 상기 스토퍼(150)는 제2파지부(F2)에 의해 파지된다. 상기 제2파지부(F2)는 상기 바리스터(MOV)의 또 다른 일 측에 설치되고, 제1지지 플레이트(120)의 빈 공간을 통해 노출되며 상기 스토퍼(150)를 파지한다.
이때, 상기 제1파지부(F1)의 파단 강도는 제2파지부(F2)의 파단 강도보다 낮게 설정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파지부(F1)는 저온에 녹는 저온 납땜에 의해 형성되고, 제2파지부(F2)는 고온에 녹는 고온 납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서지 전원이 인가될 제1파지부(F1)가 먼저 녹아 파단되고, 추가적인 서지 전원 또는 보다 높은 서지 전원이 인가될 때 제2파지부(F2)가 나중에 녹아 파단되어 파지부(F)가 단계별로 파단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파지부(F)를 동일한 재질의 납땜을 이용하되 제1파지부(F1)의 크기를 제2파지부(F2)보다 작게 형성하여 제1파지부(F1)가 먼저 녹아 파단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는 이하 설명하는 실시예2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어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서지 전원이 도입되지 않은 정상 상태의 경우 상기 회전 프레임(130)가 리드선(L)에 걸림되어 상기 회전 프레임(130)이 제1스위치(SW1)를 가압하여 ON하고 제2스위치(SW2)는 가압하지 않아 OFF시킨다. 상기 제1스위치(SW1)와 제2스위치(SW2)는 제어부(CON)에 각각 연결된다. 이러한 스위치의 신호에 따라 제어부(CON)는 정상 상태로 파악하여 소정의 디스플레이부(DP)에서 이러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서지 전원이 1차 도입되어 바리스터(MOV)의 열화에 따른 발열이 발생하여 제1파지부(F1)가 먼저 파단되면 리드선(L)은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회전 프레임(130)은 구동부(S)에 의해 당겨지므로 상기 회전 프레임(130)은 일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상기 회전 프레임(130)이 1차 회전하다가 상기 스토퍼(150)에 접하여 회전이 중단된다. 이때, 상기 회전 프레임(130)은 제1스위치(SW1)와 제2스위치(SW2)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1스위치(SW1) 및 제2스위치(SW2) 모두 오프 시키게 된다. 이러한 스위치의 신호에 따라 제어부(CON)는 교체 예고 상태로 파악하여 소정의 디스플레이부(DP)에서 이러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추가적인 서지 전원이 도입되어 제2파지부(F2)가 파단되면 스토퍼(150)가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회전 프레임(130)이 추가적으로 회전된다. 이에 의해 상기 회전 프레임(130)은 제1스위치(SW1)를 OFF시키고, 제2스위치(SW2)는 ON 시키게 된다. 이러한 스위치의 신호에 따라 제어부(CON)는 교체 상태로 파악하여 소정의 디스플레이부(DP)에서 이러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는 회전 프레임(130)의 회전에 의해 on되거나 off된다. 이러한 회전 프레임(130)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 일 측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판체 형상의 베이스(131)와, 상기 베이스(131)에서 상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호 이격된 제1연장부(132) 및 제2연장부(133)와, 상기 제1연장부(132)와 제2연장부(133)를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부(134)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131) 중 일 지점에는 삽입공(1311)이 형성되어, 제1지지 프레임(120)에서 돌출된 회동 핀(SO)이 삽입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베이스(131)가 상기 회동 핀(SO)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131) 중 상기 삽입공(1311)의 양 측면에는 제1돌출부(1312)와 제2돌출부(1313)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1돌출부(1312)와 제2돌출부(1313)는 상기 베이스(131)의 하측단에서 하향 연장되어 스위치(SW)에 각각 접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회전 프레임(130)가 회전하면 상기 제1돌출부(1312)와 제2돌출부(1313)의 승하강하여 스위치를 ON 또는 OFF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연결부(134) 일 측에는 걸림홈(134-2)이 형성되어 리드선(L)이 걸림된다. 상기 걸림홈(134-2)은 상기 연결부(134) 중 도면상 좌측에 요홈되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걸림홈(134-2)에 리드선(L) 일 부분이 삽입되어 회전 프레임(130)가 리드선(L)에 의해 걸림되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프레임(130)는 리드선(L)에 의해 1차 걸림되고 스토퍼(150)에 의해 2차 걸림된다. 이러한 스토퍼(150)는 제1지지 플레이트(120) 일 측에 고정되는 고정판(151)과, 상기 고정판(151)의 끝단에서 절곡되어 제2파지부(F2)를 덮는 절곡부(152)와 상기 절곡부(152)의 끝단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바리스터(MOV)로부터 이격되도록 절곡되는 걸림부(153)를 포함한다.
상기 제2파지부(F2)는 바리스터(MOV) 일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바리스터(MOV)의 열화에 따른 발열로 인해 파단된다. 이러한 제2파지부(F2)는 상기 절곡부(152)를 파지하여 외부 서지 전원 인가시 상술된 발열로 인해 파단되어 상기 절곡부(152)의 파지 상태가 해제된다. 이러한 파지 상태의 해제에 의해 상기 회전 프레임(130)가 회전되고 이때, 제1연장부(132)는 절곡부(152)와 걸림부(153)로부터 이격되어 통과하고, 제2연장부(133)는 제1연장부(132) 보다 바리스터(MOV)에 근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연장부(133)는 상기 걸림부(153)에 걸림되어 회전이 중단된다. 즉, 상기 제1연장부(132)는 바리스터(MOV)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2연장부(133)는 바리스터(MOV)에 상대적으로 밀착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 프레임(130)의 회전 시 상기 제1연장부(132)는 상기 절곡부(152)와 걸림부(153) 상을 통과한다. 그러나, 상기 제2연장부(133)는 바리스터(MOV)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절곡부(152) 통과 후, 걸림부(153)에 걸림되어 회전 프레임(130)의 회전이 중단된다.
만일, 상기 제2파지부(F2) 파단 시 상기 절곡부(152)가 바리스터(MOV)로부터 이탈되면서 제2연장부(133)가 절곡부(152)와 걸림부(153)를 들어올려서 상기 회전 프레임(130)의 회전이 가능해진다.
상기 리드선(L)은 회전 프레임(130)이 1차 걸림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제1지지 플레이트(120) 일 측에 형성된 홀더(160)에 의해 고정된다. 이러한 홀더(160)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 상에 형성되고 일정 거리 상호 이격된 제1홀더(161)와 제2홀더(162)를 포함한다. 상기 제1홀더(161)와 제2홀더(162) 사이에는 수평 방향의 제1공간부(O1)와 수직 방향의 제2공간부(O2)가 형성된다. 이러한 홀더(160)에 의해 리드선(L)이 고정되어 회전 프레임(130)이 걸림된다.
한편, 상기 리드선(L)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공간부(O1)에 삽입되는 수평 베이스(L1)와, 상기 수평 베이스(L1) 일 측에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공간부(O2)에 삽입되는 수직 베이스(L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수직 베이스(L2)의 끝단에서 수평 연장부(L3)가 수평 방향으로 연장 된다. 상기 수평 연장부(L3)의 끝단에서 걸림부(L4)가 경사진 방향으로 상향 절곡된다. 이러한 걸림부(L4)가 상기 회전 프레임(130)의 걸림홈(134-2)에 걸림된다.
상기 리드선(L)을 파지하는 제1파지부(F1)는 상기 수평 연장부(L3) 또는 걸림부(L4)를 파지한다. 따라서, 상기 제1파지부(F1)가 바리스터(MOV)의 열화에 따른 발열로 인해 파단되면 상기 수평 연장부(L3) 또는 걸림부(L4)가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고 이에 의해 회전 프레임(130) 역시 회전 가능하게 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 유닛(TU)과 베이스 유닛(BM) 사이에는 연결 유닛(3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유닛(300)는 판체 형상의 연결 유닛 본체(3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 유닛 본체(310)의 양 측에는 개방부(3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150)의 고정판(151) 하측에는 특정 길이 만큼 접힌 상태의 접힘부(151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플레이트(120) 중 스토퍼(150)가 형성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 측면에 판체 형상의 지지판(180)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지지판(160)의 하측단에도 특정 길이 만큼 접힌 형상의 접힘부(18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각 접힘부(1511,1811)가 상기 개방부(320)를 통과하여 베이스 유닛(BM) 측으로 진입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모듈(BM)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탑 모듈(TM)이 안착되는 베이스 케이스(BM1)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베이스 케이스(BM1) 내부에는 상기 프레임(N)의 회전에 따라 각각 접촉하는 다수 개의 스위치(SW)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 케이스(BM1)의 상부 일 부분은 개방부(BM2)가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SW)가 노출된다. 상기 노출된 스위치(SW)는 상기 회전 프레임(130)의 제1돌출부(1312)와 제2돌출부(1313)에 의해 가압되어 ON된다.
즉, 상술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서지 전원에 의해 다 단계 파지 유닛(FU)이 순차적으로 파단되어 프레임(N)- 본 실시예의 경우 회전 프레임(130)이 단계별로 이동-회전하며 상기 다수 개의 스위치(SW)를 각각 온 또는 오프하여 열화 정도를 상기 스위치(SW)에 의해 전기적 신호로 발신한다.
상기 베이스 유닛(BM)에는 판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접힘부(1811)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판(BM3)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 유닛(BM)에는 상기 접힘부(1511,1811)와 삽입판(BM3)이 관통한 후 고정되는 고정판(BM4)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탑 유닛(TM)과 연결 유닛(300)이 베이스 유닛(BM)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하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단계별로 설명한다.
우선, 도 8에서 서지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정상 상태가 나타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회전 프레임(130)은 리드선(L)에 걸림되어있는 상태이므로 구동부(S)가 당겨도 초기 위치에서 고정되어 있다. 이때,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프레임(130)이 제1스위치(SW1)만을 가압하여 ON 되게 하고 제2스위치(SW2)를 가압하지 않아 OFF되게 하여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CON)로 보내어 소정의 디스플레이부(DP)를 통해 정상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일 서지 전원이 인가되면 바리스터에서 열화에 따른 발열이 발생한다. 이러한 발열에 의해 제1파지부가 파단되면 리드선(L) 중 수평 베이스(L1)와 수직 베이스(L2)를 제외한 부분은 자유롭게 변형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리드선(L)에 걸림되어 있는 회전 프레임(130)은 구동부에 의해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는 상기 리드선(L)의 제1파지부가 파단된 상태에서 회전 프레임(130)이 회전 가능하게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제2파지부(F2)는 현재 유지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스토퍼(150)는 변형이 불가한 상태이다. 따라서, 회전 프레임(130)이 이동하다가 걸림부(153)에 걸림되어 상기 회전 프레임(130)의 회전이 중단된다. 이때, 상기 회전 프레임(130)의 제1돌출부(1312)와 제2돌출부(1313)는 스위치(SW)로부터 모두 이격되어 있어 상기 회전 프레임(130)이 제1스위치(SW1) 및 제2스위치(SW2) 모두 가압하지 않아 모두 OFF 되게 하여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CON)로 보내어 소정의 디스플레이부(DP)를 통해 교체 예고 상태를 나타내도록 한다.
만일 추가적인 서지 전원이 인가되거나 혹은 보다 높은 서지 전원이 인가되면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바리스터에서 보다 높은 온도의 발열이 발생한다. 이러한 발열에 의해 제2파지부가 파단되어 스토퍼(150)가 변형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150)의 걸림부(153)에 접한 상태인 회전 프레임(130)이 구동부에 의해 추가적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걸림부(153)는 들려올려지게 되어 상기 회전 프레임(130)이 회전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 프레임(130)의 회전에 제1돌출부(1312)는 제1스위치(SW1)로부터 이격되어 제1스위치(SW1)를 OFF시키고, 제2돌출부(1313)는 제2스위치(SW2)를 가압하여 제2스위치(SW2)를 ON시키게 된다. 이러한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CON)로 보내어 소정의 디스플레이부(DP)를 통해 교체 상태를 나타내도록 한다.
한편,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110은 본 실시예에서의 케이스를 나타내고, 도면부호 140은 색채 지시부로서 상기 회전 프레임(130)의 회전에 연동되어 소정의 색채를 나타내도록 하는 것이다.
실시예2
도 13 내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스위치(SW)는 상기 베이스 모듈(BM) 내부에 특정 방향을 배열되고 특정 간격 이격된 제1스위치(SW1) 및 제2스위치(SW2)를 포함하는 점은 실시예1과 동일하다.
그러나, 상기 케이스(TM1)는 상기 바리스터(MOV)가 내부에 구비되는 중공 형상의 제2 케이스(410)를 이용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SP)는 상기 바리스터(MOV)가 일 측면에 배치되는 제2 지지 플레이트(420)를 이용하며, 상기 프레임(N)는 상기 제2지지 플레이트(140) 일 측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 프레임(430)을 이용하는 점이 상이하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바리스터(MOV)는 제2지지 플레이트(420)의 일 측면으로서 상기 이동 프레임(430)이 설치되는 측면의 반대 측면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이동 프레임(430)은 실시예1과 달리 직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점이 상이하다.
상기 구동부(S)는 스프링을 이용한다. 이러한 구동부(S)의 일 측은 상기 이동 프레임(430)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 프레임(430)을 당기며, 타 측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420)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의 다 단계 파지 유닛(FU)은 제2지지 플레이트(420) 일 측에 구비되는 제1리드선(L1)과 제2리드선(L2)과, 상기 제1리드선(L1)을 파지하는 제3파지부(F3) 및 제2리드선(L2)을 파지하는 제4파지부(F4)를 포함한다. 상기 제1리드선(L1)과 제2리드선(L2)은 상기 이동 프레임(430)의 이동 방향(도면상 수평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된다.
상기 제3파지부(F3)는 상기 바리스터(MOV) 일 측에 형성되고 제2지지 플레이트(420)를 관통한 후 상기 제1리드선(L1)에 부착되고, 제4파지부(F4)는 상기 바리스터(MOV)의 또 다른 일 측에 형성되고, 제2지지 플레이트(140)를 관통한 후 제2리드선(L2)에 부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바리스터(MOV)의 열화에 따른 발열이 발생할 때, 상기 발열에 의해 제3파지부(F3) 또는 제4파지부(F4)가 녹아 파단된다. 이때, 상기 제3파지부(F3)와 제4파지부(F4)는 납?? 등을 이용할 수 있음은 상술된 바와 같다.
상기 제3파지부(F3)의 파단 강도는 제4파지부(F4)의 파단 강도보다 낮게 설정된다. 즉, 서지 전원이 도입되지 않은 정상 상태의 경우 상기 이동 프레임(430)이 제1리드선(L1)에 걸림되어 상기 이동 프레임(430)이 제1스위치(SW1)를 온하고 제2스위치(SW2)는 오프시킨다. 상기 제1스위치(SW1)와 제2스위치(SW2)는 제어부(CON)에 각각 연결된다. 이러한 스위치의 신호에 따라 제어부(CON)는 정상 상태로 파악하여 소정의 디스플레이부(DP)에서 이러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서지 전원이 1차 도입되어 바리스터(MOV)의 열화에 따른 발열이 발생하여 제3파지부(F3)가 먼저 파단된다. 상기 제3파지부(F3)의 파단에 의해 제1리드선(L1)이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된다(도 22참조) 이때, 상기 이동 프레임(430)은 구동부(S)에 의해 당겨지므로 상기 이동 프레임(430)은 제1리드선(L1)을 변형시키면서 1차 이동한다. 상기 이동 프레임(430)의 이동 중 상기 제2리드선(L2)에 접하여 이동이 중단된다. 이때, 상기 이동 프레임(430)은 제1스위치(SW1)와 제2스위치(SW2) 모두 오프 시킨다. 이러한 스위치의 신호에 따라 제어부(CON)는 교체 예고 상태로 파악하여 소정의 디스플레이부(DP)에서 이러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만일, 추가적인 서지 전원이 도입되어 제4파지부(F4)가 파단되면 제2리드선(L2)이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된다. 이때 이동 프레임(430)은 구동부(S)에 의해 당겨지므로 상기 이동 프레임(430)은 제2리드선(L2)을 변형시키면서 추가적으로 이동하여 상기 이동 프레임(430)은 제1스위치(SW1)를 오프시키고, 제2스위치(SW2)는 온 시킨다. 이러한 스위치의 신호에 따라 제어부(CON)는 교체 상태로 파악하여 소정의 디스플레이부(DP)에서 이러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 플레이트(420)는 판체 형상이고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지판(422)과, 상기 지지판(422)의 상측에 구비되고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판(421)과, 상기 지지판(422)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측판(423)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S)는 스프링을 이용하며 제1구동부(S1)와 제2구동부(S2)를 포함한다. 상기 제1구동부(S1)의 일 측은 상기 이동 프레임(430)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 프레임(430)을 당기며, 타 측은 상기 지지 프레임(420)에 고정된다. 상기 제2구동부(S2)는 상기 제1구동부(S1)의 하측에 배치되고 일 측은 상기 이동 프레임(430)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 프레임(430)을 당기며, 타 측은 제2리드선(L2)에 고정된다. 이러한 구동부(S)에 의해 이동 프레임(430)을 당길 수 있게 된다.
상기 이동 프레임(430)은 상기 제2구동부(S2)가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스위치(SW)에 접하는 하단판(435)과, 상기 하단판(435)의 일 측에서 상향 연장되는 연장부(437)와, 상기 연장부(437)의 상방향 끝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고 일 부분은 돌출되어 제1리드선(L1)이 걸림되는 걸림턱(434)을 포함한다. 이러한 걸림턱(434) 일 측에는 연장판(431)이 상향 연장되어 제1구동부(S1)가 연결된다. 상기 하단판(435)의 일 측에는 제2리드선(L2) 방향으로 돌출하는 접촉부(436)가 형성된다.
이러한 이동 프레임(430)이 상기 구동부(S)에 의해 당겨지면서 이동하고, 상기 이동 프레임(430)의 하단판(435)이 상기 스위치(SW)에 접하게 된다.
한편, 상기 지지 플레이트(420)는 양 측판(423)의 내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내측판(424) 및 제2내측판(426)과, 상기 제1내측판(424)과 제2내측판(426)의 하측을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하판(425)을 포함한다.
상기 제1내측판(424)은 양 측판(423) 중 하나의 측판인 제1측판(4231)의 하측단에서 내부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제2내측판(426)은 측판(423) 중 다른 측판인 제2측판(4232)의 상측단에서 내부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내측판(426)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중앙 일부가 개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리드선(L2)는 상기 제2내측판(424)과 제1측판(4231)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되는 베이스(L21)와, 상기 베이스(L21)의 상단에서 이동 프레임(430)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사부(L22)와, 상기 경사부(L22)의 끝단에서 이동 프레임(430) 방향으로 연장되며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수평부(L23)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부(L23)에 제4파지부(F4)가 구비된다. 즉, 상기 제2리드선(L2)의 베이스(L21)가 상기 제2내측판(424)과 제1측판(4231)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되고, 상기 수평부(L23)는 제4파지부(F4)에 의해 고정되어 전체적으로 고정된 형상을 유지한다. 만일 서지 전원의 인가에 의해 상기 제4파지부(F4)가 파단되면 상기 수평부(L23)의 파지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수평부(L23)와 경사부(L22)는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1리드선(L1)은 상기 제1내측판(426)과 제2측판(4232)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되는 베이스(L11)와, 상기 베이스(L11)의 하단에서 이동 프레임(430)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사부(L12)와, 상기 경사부(L12)의 하단에서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수직부(L13)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부(L13)에 제3파지부(F3)가 구비된다. 즉, 상기 제1리드선(L1)의 베이스(L11)가 제1내측판(426)과 제2측판(4232)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되고, 수직부(L13)가 제3파지부(F3)에 의해 파지되어 전체적으로 고정된다. 이때, 외부로부터 서지 전원이 인가되어 제3파지부(F3)가 파단되면 상기 경사부(L12)와 수직부(L13)가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된다.
상기 이동 프레임(430)의 걸림턱(434)는 상기 제1리드선(L1)의 수직부(L13)에 걸림되며, 상기 이동 프레임(430)의 접촉부(436)는 상기 제2리드선(L2)의 경사부(L22)와 일정 간격 이격된다. 이때, 상기 이동 프레임(430)의 이동 시 상기 접촉부(436)가 상기 경사부(L22)에 접하게 된다.
상기 이동 프레임(430)은 제1구동부(S1)와 제2구동부(S2)의 당기는 힘에 의해 이동된다.
상기 제2구동부(S2)를 안정적으로 설치하기 위해, 상기 제2리드선(L2)의 베이스(L21) 일 측면에 요홈부(L211)가 형성되고, 상기 요홈부(L211) 일 측에 관통공(L21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내측판(424)의 일 측면에 요홈부(4241)가 형성되고, 상기 요홈부(4241) 일 측에 관통부(4242)가 형성된다. 이때, 제2구동부(S2)의 일 측단(실시예의 경우 도면상 우측)이 상기 제2리드선(L2)의 요홈부(L211)와 제2내측판(424)의 요홈부(4241)를 통과한 후 절곡되어 상기 제2리드선(L2)의 관통공(L212)과 제2내측판(424)의 관통공(4242)에 삽입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2구동부(S2) 일 측(실시예의 경우 도면상 우측)이 고정된다.
상기 제2구동부(S2)의 타 측(실시예의 경우 도면상 좌측)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이동 프레임(430)의 제2요홈부(438)에 제2고정턱(437)이 형성된다. 상기 제2요홈부(438)은 하단판(435) 중 제2고정부(S2) 방향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턱(437)은 하단판(435)에서 돌출되는 판체 형상의 돌출판(4371)과, 상기 돌출판(4371)의 하측에 형성되는 하측 개방부(4373)와 상기 돌출부(4371)의 상측에 형성되는 상측 개방부(437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구동부(S2)의 타 측은 상기 하측 개방부(4373)를 통과한 후 절곡되고 나서 상측 개방부(4372)를 통과하여 걸림될 수 있다.
또한, 제1고정구(S1)의 일 측(실시예의 경우 도면상 우측)을 고정하기 위해 지지 플레이트(420)의 상기 제1측판(4231)의 일 측에 요홈부(4231-1)가 형성되고, 상기 요홈부(4231-1) 일 측에 관통공(4231-2)이 형성되어 제1구동부(S1)의 끝단이 상기 요홈부(4231-1)를 관통한 후 절곡되어 상기 관통공(4231-2)에 삽입되어 제1구동부(S1) 일 측(도면상 우측)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구(S1)의 타 측(도면상 좌측)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연결판(431)의 일 측에 제1고정턱(432)이 형성된다. 상기 제1고정턱(431)은 제2고정턱(437)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고정구(S1)의 타 측을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 플레이트(420)의 상기 하판(425)에는 개방부(425-1)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동 프레임(430)의 하단판(435) 하측단이 삽입되어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개방부(4251)에 의해 이동 프레임(430)이 정확하게 이동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리스터의 열화에 따른 발열에 의해 다 단계의 파단 강도를 가지는 복수 개의 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서지 전원의 강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파지부가 순차적으로 파단되어 이동 프레임을 단계별로 이동시키며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베이스 모듈(BM)은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탑 모듈(TM)이 안착되는 베이스 케이스(BM1)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베이스 케이스(BM1) 내부에는 상기 이동 프레임(430)의 이동에 따라 각각 접촉하는 다수 개의 스위치(SW)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 케이스(BM1)의 상부 일 부분은 개방부(BM2)가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SW)가 노출된다. 상기 노출된 스위치(SW)는 상기 이동 프레임(430)의 하단판(435)에 의해 가압되어 ON된다.
즉, 도 2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서지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정상 상태의 경우 상기 이동 프레임(430)의 하단판(435)는 특정 스위치(SW), 예를 들어 도면상 좌측에 배치된 제1스위치(SW1)를 가압하여 ON 상태로 하고 도면상 우측에 배치된 제2스위치(SW2)는 가압하지 않아 OFF 상태로 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치의 신호에 따라 제어부(CON)는 정상 상태로 파악하여 소정의 디스플레이부(DP)에서 이러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도 22에 나타난 바와 같이 1차 서지 전원이 인가된 경우 상기 이동 프레임(430)은 1차 이동하여 상기 하단판(435)은 제1스위치(SW1) 및 제2스위치(SW2)를 가압하지 않아 모든 스위치가 OFF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치의 신호에 따라 제어부(CON)는 교체 예고 상태로 파악하여 소정의 디스플레이부(DP)에서 이러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적인 서지 전원이 인가된 경우 이동 프레임(430)은 추가로 이동하여 하단판(435)은 제1스위치(SW1)를 가압하지 않고 제2스위치(SW2)만을 가압하여 제1스위치(SW1)는 OFF 상태로 하고 제2스위치(SW2)는 ON상태로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치의 신호에 따라 제어부(CON)는 교체 상태로 파악하여 소정의 디스플레이부(DP)에서 이러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이하 도 21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단계별로 설명한다.
우선, 도 21에서 서지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정상 상태가 나타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이동 프레임(430)은 제1리드선(L1)에 걸림되어있는 상태이므로 제1구동부(S1)와 제2구동부(S2)가 당겨도 초기 위치에서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술된 바와 같이 제1스위치(SW1)는 가압되어 ON 상태로 되고 도면상 우측에 배치된 제2스위치(SW2)는 가압하지 않아 OFF 상태가 되어 정상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일 서지 전원이 인가되어 제1파지부가 파단되면 제1리드선(L1) 중 베이스(L11)를 제외한 부분은 자유롭게 변형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제1리드선(L1)에 걸림되어 있는 이동 프레임(430)은 제1구동부(S1, 도 21참조)와 제2구동부(S2,도 21참조)에 의해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한다. 이는 상기 제1리드선(L1)의 제1파지부가 파단된 상태에서 이동 프레임(430)이 이동하면 제1리드선(L1)의 베이스(L11)를 제외한 부분이 변형되면서 상기 이동 프레임(430)의 이동을 허용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제2파지부(F2)는 현재 유지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제2리드선(L2)은 변형이 불가한 상태이다. 따라서, 이동 프레임(430)이 이동하다가 접촉부(436)가 제2리드선(L2)의 경사부(L22)에 접한 상태에서 상기 이동 프레임(430)의 이동이 중단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스위치(SW1)는 하단판(435)에서 이격되어 OFF 상태가 되고, 제2스위치(SW2)에는 하단판(435)이 도달하지 않아 역시 OFF 상태가 되어 교체 예고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만일 추가적인 서지 전원이 인가되거나 혹은 보다 높은 서지 전원이 인가되면 도 2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2파지부가 파단되어 제2리드선(L2) 중 베이스(L21)를 제외한 경사부(L22)와 수평부(L23)가 변형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리드선(L2)에 접한 상태인 이동 프레임(430)이 제1구동부 및 제2구동부에 의해 추가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이동 프레임(430)의 이동에 의해 제1스위치(SW1)는 OFF 상태가 되고, 제2스위치(SW2)는 하단판의 가압에 의해 ON되어 교체 상태임을 나타내개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탑 모듈 110 : 케이스
111 : 인디케이트 홀 120 : 지지 플레이트
121 : 상판 122 : 지지판
123 : 측판 130 : 이동 프레임
134 : 걸림턱 ` 136 : 접촉부
411 : 인디케이트 홀 420 : 지지 플레이트
421 : 제1개방부 422 : 제2개방부
430 : 이동 프레임 431 : 베이스
432 : 제1연장부 433 : 제2연장부
434 : 연결부 435 : 연동부

Claims (11)

  1. 바리스터(MOV)를 구비하는 탑 모듈(TM)과, 상기 탑 모듈(TM)이 구비되는 베이스 모듈(BM)을 포함하고,
    상기 탑 모듈(TM)은 상기 바리스터(MOV)가 내부에 구비되는 케이스(TM1)와, 상기 케이스(TM1) 내부에 설치되고 바리스터(MOV)가 지지되는 지지 플레이트(SP)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SP)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프레임(N)과, 상기 프레임(N)을 당기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SP) 일 측에 구비되는 구동부(S)와, 상기 프레임(N)을 파지하는 다단계 파지 유닛(FU)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모듈(BM)은 상기 프레임(N)의 이동에 따라 온 또는 오프 되는 복수 개의 스위치(SW)를 포함하며,
    상기 다단계 파지 유닛(FU)은 바리스터(MOV)의 열화에 따른 발열로 인해 파단되는 한편, 상기 다단계 파지 유닛(FU)은 상기 발열로 인한 파단 강도가 다른 복수 개로 구비되어,
    서지 전원의 강도에 따라 상기 다단계 파지 유닛(FU)이 단계별로 파단되어 상기 프레임(N)이 단계별로 이동하며 상기 복수 개의 스위치(SW)를 각각 온 또는 오프시켜 상기 바리스터(MOV)의 열화 정도를 다 단계로 나타내는 다 단계 스위칭 방식의 서지 보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SW)는 상기 베이스 모듈(BM) 내부에 특정 방향을 배열되고 특정 간격 이격된 제1스위치(SW1) 및 제2스위치(SW2)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TM1)는 상기 바리스터(MOV)가 내부에 구비되는 중공 형상의 제1 케이스(110)를 이용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SP)는 상기 바리스터(MOV)가 내부에 배치되어 지지되며 상기 바리스터(MOV)의 일 부분이 노출되는 제1 지지 플레이트(120)를 이용하며,
    상기 프레임(N)는 상기 제1지지 플레이트(120) 일 측에 구비되고 일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 프레임(130)을 이용하며,
    상기 구동부(S)는 스프링을 이용하되, 일 측은 상기 회전 프레임(130)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 프레임(130)을 당기며, 타 측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120)에 고정되고,
    상기 다단계 파지 유닛(FU)은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120) 일 측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 프레임(130)이 걸림되고 탄성 재질인 리드선(L)과,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120)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 프레임(130)이 걸림되는 탄성 재질의 스토퍼(150)와, 상기 바리스터(MOV) 일 측에 설치되고 제1지지 플레이트(120)의 빈 공간을 통해 노출되며 상기 리드선(L)을 파지하는 제1파지부(F1)와, 상기 바리스터(MOV)의 또 다른 일 측에 설치되고, 제1지지 플레이트(120)의 빈 공간을 통해 노출되며 상기 스토퍼(150)를 파지하는 제2파지부(F2)를 포함하는 다 단계 스위칭 방식의 서지 보호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파지부(F1)의 파단 강도는 제2파지부(F2)의 파단 강도보다 낮게 설정되고,
    서지 전원이 도입되지 않은 정상 상태의 경우 상기 회전 프레임(130)가 리드선(L)에 걸림되어 상기 회전 프레임(130)가 제1스위치(SW1)를 온하고 제2스위치(SW2)는 오프시키고,
    서지 전원이 1차 도입되어 바리스터(MOV)의 열화에 따른 발열이 발생하여 제1파지부(F1)가 먼저 파단되어 상기 회전 프레임(130)이 1차 회전하다가 상기 스토퍼(150)에 접하여 회전이 중단되며, 상기 회전 프레임(130)은 제1스위치(SW1)와 제2스위치(SW2) 모두 오프 시키며,
    추가적인 서지 전원이 도입되어 제2파지부(F2)가 파단되어 회전 프레임(130)이 추가적으로 회전되어 상기 회전 프레임(130)은 제1스위치(SW1)를 오프시키고, 제2스위치(SW2)는 온 시키는 다 단계 스위칭 방식의 서지 보호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프레임(130)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 일 측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판체 형상의 베이스(131)와, 상기 베이스(131)에서 상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호 이격된 제1연장부(132) 및 제2연장부(133)와, 상기 제1연장부(132)와 제2연장부(133)를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부(134)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131) 중 일 지점에 형성되고, 제1지지 프레임(120)에서 돌출된 회동 핀(SO)이 삽입되는 삽입공(1311)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131) 중 상기 삽입공(1311)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하향 연장되어 스위치(SW)에 접하는 제1돌출부(1312) 및 제2돌출부(1313)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134) 일 측에는 걸림홈(134-2)이 형성되어 리드선(L)이 걸림되는 다 단계 스위칭 방식의 서지 보호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150)는 제1지지 플레이트(120) 일 측에 고정되는 고정판(151)과, 상기 고정판(151)의 끝단에서 절곡되어 제2파지부(F2)를 덮는 절곡부(152)와 상기 절곡부(152)의 끝단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바리스터(MOV)로부터 이격되도록 절곡되는 걸림부(153)를 포함하고,
    상기 제2파지부(F2)는 상기 절곡부(152)를 파지하며,
    상기 회전 프레임(130)의 회전 시 제1연장부(132)는 절곡부(152) 및 걸림부(153)로부터 이격되어 통과하고, 제2연장부(133)는 제1연장부(132) 보다 바리스터(MOV)에 근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연장부(133)는 상기 걸림부(153)에 걸림되어 회전이 중단하고,
    상기 제2파지부(F2) 파단 시 상기 절곡부(152)가 바리스터(MOV)로부터 이탈되면서 제2연장부(133)가 걸림부(153)를 지나 회전하는 다단계 스위칭 방식의 서지 보호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선(L)은 제1지지 플레이트(120) 일 측에 형성된 홀더(160)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홀더(160)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 상에 형성되고 일정 거리 상호 이격된 제1홀더(161)와 제2홀더(162)를 포함하고, 상기 제1홀더(161)와 제2홀더(162) 사이에는 수평 방향의 제1공간부(O1)와 수직 방향의 제2공간부(O2)가 형성되며,
    상기 리드선(L)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공간부(O1)에 삽입되는 수평 베이스(L1)와, 상기 수평 베이스(L1) 일 측에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공간부(O2)에 삽입되는 수직 베이스(L2)와, 상기 수직 베이스(L2)의 끝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 되는 수평 연장부(L3)와, 상기 수평 연장부(L3)의 끝단에서 경사진 방향으로 상향 절곡되는 걸림부(L4)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L4)가 상기 회전 프레임(130)의 걸림홈(134-2)에 걸림되며,
    상기 제1파지부(F1)는 상기 수평 연장부(L3) 또는 걸림부(L4)를 파지하는 다단계 스위칭 방식의 서지 보호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SW)는 상기 베이스 모듈(M) 내부에 특정 방향을 배열되고 특정 간격 이격된 제1스위치(SW1) 및 제2스위치(SW2)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TM1)는 상기 바리스터(MOV)가 내부에 구비되는 중공 형상의 제2 케이스(410)를 이용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SP)는 상기 바리스터(MOV)가 일 측면에 배치되는 제2 지지 플레이트(420)를 이용하며,
    상기 프레임(N)는 상기 제2지지 플레이트(140) 일 측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 프레임(430)을 이용하며,
    상기 구동부(S)는 스프링을 이용하되, 일 측은 상기 이동 프레임(430)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 프레임(430)을 당기며, 타 측은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420)에 고정되고,
    상기 다단계 파지 유닛(FU)은 제2지지 플레이트(420) 일 측에 구비되는 제1리드선(L1)과 제2리드선(L2)과, 상기 제1리드선(L1)을 파지하는 제3파지부(F3) 및 제2리드선(L2)을 파지하는 제4파지부(F4)를 포함하되, 상기 제1리드선(L1)과 제2리드선(L2)은 상기 이동 프레임(430)의 이동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며, 상기 제3파지부(F3)는 상기 바리스터(MOV) 일 측에 형성되고 제2지지 플레이트(420)를 관통한 후 상기 제1리드선(L1)에 부착되고, 제4파지부(F4)는 상기 바리스터(MOV)의 또 다른 일측에 형성되고, 제2지지 플레이트(140)를 관통한 후 제2리드선(L2)에 부착되는 다 단계 스위칭 방식의 서지 보호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파지부(F3)의 파단 강도는 제4파지부(F4)의 파단 강도보다 낮게 설정되고,
    서지 전원이 도입되지 않은 정상 상태의 경우 상기 이동 프레임(430)이 제1리드선(L1)에 걸림되어 상기 이동 프레임(430)이 제1스위치(SW1)를 온하고 제2스위치(SW2)는 오프시키고,
    서지 전원이 1차 도입되어 바리스터(MOV)의 열화에 따른 발열이 발생하여 제1파지부(F1)가 먼저 파단되어 상기 이동 프레임(430)이 1차 이동하다가 상기 제2리드선(L2)에 접하여 이동이 중단되며, 상기 이동 프레임(430)은 제1스위치(SW1)와 제2스위치(SW2) 모두 오프 시키며,
    추가적인 서지 전원이 도입되어 제4파지부(F4)가 파단되어 이동 프레임(430)이 추가적으로 이동하여 상기 이동 프레임(430)은 제1스위치(SW1)를 오프시키고, 제2스위치(SW2)는 온 시키는 다 단계 스위칭 방식의 서지 보호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420)는 판체 형상이고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지판(422)과, 상기 지지판(422)의 상측에 구비되고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판(421)과, 상기 지지판(422)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측판(423)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S)는 스프링을 이용하되, 일 측은 상기 이동 프레임(430)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 프레임(430)을 당기며, 타 측은 상기 지지 프레임(420)에 고정되는 제1구동부(S1)와, 상기 제1구동부(S1)의 하측에 배치되고 일 측은 상기 이동 프레임(430)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 프레임(430)을 당기며, 타 측은 제2리드선(L2)에 고정되는 제2구동부(S2)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프레임(430)은 상기 제2구동부(S2)가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스위치(SW)에 접하는 하단판(435)과, 상기 하단판(435)의 일 측에서 상향 연장되는 연장부(437)와, 상기 연장부(437)의 상방향 끝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고 일 부분은 돌출되어 제1리드선(L1)이 걸림되는 걸림턱(434)과, 상기 걸림턱(434) 일 측에서 상향 연장되어 제1구동부(S1)가 연결되는 연장판(431)과, 상기 하단판(435)의 일 측에서 제2리드선(L2) 방향으로 돌출하는 접촉부(436)를 포함하는 다 단계 스위칭 방식의 서지 보호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420)는 양 측판(423)의 내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내측판(424) 및 제2내측판(426)과, 상기 제1내측판(424)과 제2내측판(426)의 하측을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하판(425)을 포함하고,
    상기 제1내측판(424)은 양 측판(423) 중 하나의 측판인 제1측판(4231)의 하측단에서 내부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제2내측판(426)은 측판(423) 중 다른 측판인 제2측판(4232)의 상측단에서 내부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리드선(L2)는 상기 제2내측판(424)과 제1측판(4231)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되는 베이스(L21)와, 상기 베이스(L21)의 상단에서 이동 프레임(430)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사부(L22)와, 상기 경사부(L22)의 끝단에서 이동 프레임(430) 방향으로 연장되며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수평부(L23)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부(L23)에 제4파지부(F4)가 구비되며,
    상기 제1리드선(L1)은 상기 제1내측판(426)과 제2측판(4232)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되는 베이스(L11)와, 상기 베이스(L11)의 하단에서 이동 프레임(430)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사부(L12)와, 상기 경사부(L12)의 하단에서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수직부(L13)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부(L13)에 제3파지부(F3)가 구비되며,
    상기 이동 프레임(430)의 걸림턱(434)는 상기 제1리드선(L1)의 수직부(L13)에 걸림되며, 상기 이동 프레임(430)의 접촉부(436)는 상기 제2리드선(L2)의 경사부(L22)와 일정 간격 이격되는 다단계 스위칭 방식의 서지 보호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모듈(BM)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탑 모듈(TM)이 안착되는 베이스 케이스(BM1)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케이스(BM1) 내부에는 상기 프레임(N)의 회전에 따라 각각 접촉하는 다수 개의 스위치(SW)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 케이스(BM1)의 상부 일 부분은 개방부(BM2)가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SW)가 노출되며,
    상기 서지 전원에 의해 다 단계 파지 유닛(FU)이 순차적으로 파단되어 프레임(N)이 단계별로 이동하며 상기 다수 개의 스위치(SW)를 각각 온 또는 오프하여 열화 정도를 상기 스위치(SW)에 의해 전기적 신호로 발신하는 다 단계 스위칭 방식의 서지 보호 장치.
KR1020190178937A 2019-12-31 2019-12-31 다 단계 스위칭 방식의 서지 보호 장치 KR102276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937A KR102276668B1 (ko) 2019-12-31 2019-12-31 다 단계 스위칭 방식의 서지 보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937A KR102276668B1 (ko) 2019-12-31 2019-12-31 다 단계 스위칭 방식의 서지 보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649A true KR20210085649A (ko) 2021-07-08
KR102276668B1 KR102276668B1 (ko) 2021-07-13

Family

ID=76858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8937A KR102276668B1 (ko) 2019-12-31 2019-12-31 다 단계 스위칭 방식의 서지 보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66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4748A (ko) 2022-04-08 2023-10-17 주식회사 프라임솔루션코퍼레이션 순차적 분리 동작 구조의 서지 보호 장치 및 방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1915B1 (ko) 2010-12-31 2012-05-03 서인석 서지억제소자를 기반으로 한 과열 방지기능을 갖는 서지보호장치
KR101443850B1 (ko) 2014-03-13 2014-09-25 선광엘티아이(주) 서지보호기 손상확인 및 자동전환 장치
KR20160051565A (ko) * 2014-10-31 2016-05-11 가부시키가이샤 산코샤 서지 보호 시스템
CN106910663A (zh) * 2017-04-28 2017-06-30 湖南中普技术股份有限公司 具有预脱扣功能的电涌保护器及其保护方法
KR101801798B1 (ko) 2017-03-22 2017-11-27 진화전기통신(주) 교체 권고 기능을 구비한 서지 보호기
KR102001159B1 (ko) 2019-03-25 2019-07-18 케이앤제이계전(주) 서지보호소자 원터치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누전차단기
KR102023873B1 (ko) 2019-06-11 2019-09-20 주식회사 피닉스엔지니어링 Led 발광부에서의 미세 점등 방지용 발전소 경보장치
KR102038110B1 (ko) 2015-10-26 2019-10-29 가부시키가이샤 산코샤 서지 보호 장치 및 서지 보호 시스템
KR102047951B1 (ko) 2017-09-14 2019-11-22 삼현씨앤에스 주식회사 3상 4선식 전력선통신용 서지보호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1915B1 (ko) 2010-12-31 2012-05-03 서인석 서지억제소자를 기반으로 한 과열 방지기능을 갖는 서지보호장치
KR101443850B1 (ko) 2014-03-13 2014-09-25 선광엘티아이(주) 서지보호기 손상확인 및 자동전환 장치
KR20160051565A (ko) * 2014-10-31 2016-05-11 가부시키가이샤 산코샤 서지 보호 시스템
KR102038110B1 (ko) 2015-10-26 2019-10-29 가부시키가이샤 산코샤 서지 보호 장치 및 서지 보호 시스템
KR101801798B1 (ko) 2017-03-22 2017-11-27 진화전기통신(주) 교체 권고 기능을 구비한 서지 보호기
CN106910663A (zh) * 2017-04-28 2017-06-30 湖南中普技术股份有限公司 具有预脱扣功能的电涌保护器及其保护方法
KR102047951B1 (ko) 2017-09-14 2019-11-22 삼현씨앤에스 주식회사 3상 4선식 전력선통신용 서지보호장치
KR102001159B1 (ko) 2019-03-25 2019-07-18 케이앤제이계전(주) 서지보호소자 원터치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누전차단기
KR102023873B1 (ko) 2019-06-11 2019-09-20 주식회사 피닉스엔지니어링 Led 발광부에서의 미세 점등 방지용 발전소 경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6668B1 (ko) 2021-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39157B2 (en) Light-emitting means, in particular for operation in lampholders for fluorescent lamps
US4987314A (en) Actuator apparatus utilizing a shape-memory alloy
JP5647869B2 (ja) 電気接触子及び電気部品用ソケット
KR102276668B1 (ko) 다 단계 스위칭 방식의 서지 보호 장치
CN101647082B (zh) 热熔断器的触发装置
US10962735B2 (en) Insert molded lens driving apparatus
TWI292600B (en) Test device for electrical testing of a unit under test
JP5269197B2 (ja) 温度ヒューズ
DE4445343A1 (de) Elektrische Schaltvorrichtung
CN1979955A (zh) 电连接端子和包含一个这种端子的电开关装置
JP5134085B2 (ja) 回路遮断器の可動接触子装置
RU2412502C1 (ru) Опор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разрядной трубки, опорный элемент, разрядная трубка, манжета, освет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и телевизионный приемник
JPS61290611A (ja) 高電流ダブルブレ−ク電気接触器
KR20210075331A (ko) 다단계 회전 방식의 서지 보호 장치
CN107004527A (zh) 低剖面可熔性分离开关装置
JPWO2017130911A1 (ja) Tig溶接装置
US2154688A (en) Fuse
EP3742464A1 (en) High-current contact system
JP2023054112A (ja) 操作棒
AU762695B2 (en) Fuse switch
KR960001297Y1 (ko) 인쇄회로기판용 전구 소켓
CN106369369A (zh) 一种led日光管灯
US1976634A (en) Circuit interrupter
ES2744305T3 (es) Unidad de contacto
SE430280B (sv) Propphuv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