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5331A - 다단계 회전 방식의 서지 보호 장치 - Google Patents

다단계 회전 방식의 서지 보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5331A
KR20210075331A KR1020190166266A KR20190166266A KR20210075331A KR 20210075331 A KR20210075331 A KR 20210075331A KR 1020190166266 A KR1020190166266 A KR 1020190166266A KR 20190166266 A KR20190166266 A KR 20190166266A KR 20210075331 A KR20210075331 A KR 20210075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varistor
rotation
extension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6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순
박종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라임솔루션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라임솔루션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라임솔루션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90166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5331A/ko
Publication of KR20210075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53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 H02H9/044Physical layout, 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01R31/1227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 G01R31/1236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of surge arres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istors And Varis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지 보호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바리스터를 구비하는 탑 모듈과, 상기 탑 모듈이 구비되는 베이스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탑 모듈은 상기 바리스터가 내부에 구비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상기 바리스터의 열화 정도를 다단계 색채로 나타내는 지시부를 포함하여 교체 시기를 보다 정밀하게 나타낼 수 있는 다단계 회전 방식의 서지 보호 장치이다.

Description

다단계 회전 방식의 서지 보호 장치{SURGE PROTECT DEVICE OF MULTI STAGE TYPE}
본 발명은 서지 보호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바리스터를 구비하는 탑 모듈과, 상기 탑 모듈이 구비되는 베이스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탑 모듈은 상기 바리스터가 내부에 구비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상기 바리스터의 열화 정도를 다단계 색채로 나타내는 지시부를 포함하여 교체 시기를 보다 정밀하게 나타낼 수 있는 다단계 회전 방식의 서지 보호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서지 보호 장치라고 하는 것은 외부로부터 서지 전원이 들어올 때, 그 전류가 부하를 통해 흐르지 않고 서지 보호 장치 자신을 통해 흐르도록하여 부하에서 발생하는 전압강하가 과다하게 상승하는 것을 막아서 부하를 보호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는 계통에 서지가 들어올 경우에, 임피던스가 낮은 통로 (즉 서지보호장치)를 통해 서지 전류를 흘려줌으로써 계통의 보호가 가능해지는 원리를 이용한다.
이러한 서지 보호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리스터(MOV)(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하는 탑 모듈(T)과, 상기 탑 모듈(T)이 구비되는 베이스 모듈(B)을 포함한다. 상기 바리스터(MOV)는 정상상태에서 매우 큰 임피던스를 가지는 부품으로서 서지 전원이 인가되면 바리스터(MOV)의 임피던스가 급격히 낮아지면서 서지를 부하가 아닌 다른 통로로 흘려보내게 되어 부하를 보호한다.
이러한 서지 보호 장치에 서지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서지 보호 장치의 바리스터가 열화되어 교체를 해야 한다. 상기 바리스터의 교체 시점을 알리기 위해 종래에는 서지보호기를 통과하는 전압을 측정하는 체크전압검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체크전압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압을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검출된 전압이 기준전압보다 낮으면 전류유입부와 전류배출부 사이에 연결된 서지보호기의 교체신호를 발생시키는 구성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교체 여부만을 나타내는 2단계 신호 만을 발생하는 관계로 보다 정밀한 교체 시기를 나타내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술한 서지 보호 장치 자체는 널리 알려진 것으로서 특히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는 바, 이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한편, 상술한 제빙기와 만빙 여부를 판단하는 기술 자체는 널리 알려진 것으로서 특히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는 바, 이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한국 등록 특허 제10-2038110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2001159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1801798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1443850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리스터를 구비하는 탑 모듈과, 상기 탑 모듈이 구비되는 베이스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탑 모듈은 상기 바리스터가 내부에 구비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상기 바리스터의 열화 정도를 다단계 색채로 나타내는 지시부를 포함하여 교체 시기를 보다 정밀하게 나타낼 수 있는 다단계 회전 방식의 서지 보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리스터(MOV)를 구비하는 탑 모듈(100)과, 상기 탑 모듈(100)이 구비되는 베이스 모듈(200)을 포함하고, 상기 탑 모듈(100)은 상기 바리스터(MOV)가 내부에 구비되는 케이스(110)와, 상기 케이스(110) 내부에 설치되고 바리스터(MOV)가 지지되며 상기 바리스터(MOV)의 일 부분이 노출되는 지지 플레이트(120)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에 구비되어 상기 바리스터의 열화 정도를 다단계 색채로 나타내는 지시부(I)를 포함하고, 상기 지시부(I)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 일 측에 구비되는 구동부(S)와, 상기 구동부(S)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 일 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 프레임(130)과, 상기 회전 프레임(130)에 연동되며 열화 정도를 색채로 나타내는 색채 지시부(140)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 일 측에 구비되고 서지 전원이 전달되며 상기 회전 프레임(130)이 걸림되고 탄성 재질인 리드선(L)과,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 프레임(130)이 걸림되는 탄성 재질의 스토퍼(150)와, 상기 바리스터(MOV) 일 측에 구비되고 상기 리드선(L) 및 스토퍼(150)를 파지하는 복수 개의 파지부(F)를 포함하며, 상기 파지부(F)는 바리스터(MOV)의 열화에 따른 발열에 의해 다 단계의 파단 강도를 가지는 복수 개로 구비되며, 상기 서지 전원의 강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파단되어 회전 프레임(130)을 단계별로 회전시켜 상기 바리스터(MOV)의 열화정도를 나타내는 다단계 회전 방식의 서지 보호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기 파지부(F)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 일 측에 설치되고 상기 리드선(L)을 파지하는 제1파지부(F1)와, 상기 스토퍼(150)를 파지하는 제2파지부(F2)를 포함하며, 상기 제1파지부(F1)의 파단 강도는 제2파지부(F2)의 파단 강도보다 낮게 설정되어 서지 전원이 도입될 때 상기 제1파지부(F1)가 먼저 파단되어 회전 프레임(130)이 1차 회전하다가 상기 스토퍼(150)에 접하여 회전이 중단되고, 추가적인 서지 전원이 도입되어 제2파지부(F2)가 파단되어 회전 프레임(130)이 추가적으로 회전된다.
상기에서, 상기 회전 플레이트(130)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 일 측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판체 형상의 베이스(131)와, 상기 베이스(131) 일 측에서 색채 지시부(140) 방향으로 연장되고 끝단에 요홈부(135-1)가 형성되는 연동부(135)를 포함하고, 상기 색채 지시부(140)는 상기 바리스터(MOV)와 케이스(110) 사이 공간에 배치되고 판체 형상인 이동판(141)과 상기 이동판(141)에 연동되어 이동하며 복수 개의 색채를 가지는 색채 필름(142)과 상기 이동판(141)의 일 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요홈부(135-1)에 삽입되는 연동 바아(143)를 포함하고, 상기 색채 필름(142)은 제1색채를 구비하는 제1색채부(1421)와 상기 제1색채부(1421)에 연장되며 다른 색채를 가지는 제2색채부(1422)와, 상기 제2색채부(1422)에 연장되며 또 다른 색채를 가지는 제3색채부(1423)를 가지며, 상기 케이스(110)의 상면에는 인디케이터 홀(111)이 형성되어, 상기 제1색채부(1421) 또는 제2색채부(1422) 또는 제3색채부(1423)가 인디케이터 홀(111)을 통해 노출되어 바리스터(MOV)의 열화 정도를 지시한다.
상기에서, 상기 이동판(141)은 판체 형상을 가지고 바리스터(MOV)와 케이스(110) 사이 공간을 이동하는 판체 형상의 이동판 본체(1411)와 상기 이동판 본체(1411) 일 부분이 요홈되어 상기 제1색채부(1421)가 안착되는 안착홈(1412)과, 상기 안착홈(1412)의 일 부분에서 돌출되는 걸림턱(1413)을 포함하고, 상기 제1색채부(1421)의 끝단에는 일정 폭을 가지도록 절개되며 일 부분이 개방되어 상기 걸림턱(1413)이 삽입되어 걸림되는 걸림부(1421)가 형성된다.
상기에서, 상기 구동부(S)는 스프링을 이용하되, 일 측은 상기 회전 프레임(130)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 프레임(130)을 당기며, 타 측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 프레임(130)은 베이스(131)에서 연동부(135)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호 이격된 제1연장부(132) 및 제2연장부(133)와, 상기 제1연장부(132)와 제2연장부(133)를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부(134)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134)에서 색채 지시부(140) 방향으로 상기 연동부(135)가 형성되되, 상기 연동부(135)의 폭 방향 일 측에는 걸림홈(135-2)이 형성되어 리드선(L)이 걸림된다.
상기에서, 상기 스토퍼(150)는 지지 플레이트(120) 일 측에 고정되는 고정판(151)과, 상기 고정판(151)의 끝단에서 절곡되어 제2파지부(F2)를 덮는 절곡부(152)와 상기 절곡부(152)의 끝단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바리스터(MOV)로부터 이격되도록 절곡되는 걸림부(153)를 포함하고, 상기 제2파지부(F2)는 상기 절곡부(152)를 파지하며, 상기 회전 플레이트(130)의 회전 시 제1연장부(131)는 절곡부(152)로부터 이격되어 통과하고, 제2연장부(133)는 제1연장부(132) 보다 바리스터(MOV)에 근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연장부(133)는 상기 걸림부(153)에 걸림되어 회전이 중단하고, 상기 제2파지부(F2) 파단 시 상기 절곡부(152)가 바리스터(MOV)로부터 이탈되면서 제2연장부(133)가 걸림부(153)를 지나 회전한다.
상기에서, 상기 리드선(L)은 지지 플레이트(120) 일 측에 형성된 홀더(160)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홀더(160)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 상에 형성되고 일정 거리 상호 이격된 제1홀더(161)와 제2홀더(162)를 포함하고, 상기 제1홀더(161)와 제2홀더(162) 사이에는 수평 방향의 제1공간부(O1)와 수직 방향의 제2공간부(O2)가 형성되며, 상기 리드선(L)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공간부(O1)에 삽입되는 수평 베이스(L1)와, 상기 수평 베이스(L1) 일 측에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공간부(O2)에 삽입되는 수직 베이스(L2)와, 상기 수직 베이스(L2)의 끝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 되는 수평 연장부(L3)와, 상기 수평 연장부(L3)의 끝단에서 경사진 방향으로 상향 절곡되는 걸림부(L4)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L4)가 상기 회전 프레임(130)의 걸림홈(135-2)에 걸림되며, 상기 제1파지부(F1)는 상기 수평 연장부(L3) 또는 걸림부(L4)를 파지한다.
상기에서, 상기 베이스(200)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탑 모듈(100)이 안착되는 베이스 케이스(2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케이스(230) 내부에는 상기 회전 프레임(130)의 회전에 따라 각각 접촉하는 다수 개의 스위치(SW)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케이스(230)의 상부 일 부분은 개방부(231)가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SW)가 노출되며, 상기 서지 전원에 의해 파지부(F)가 순차적으로 파단되어 회전 프레임(130)이 단계별로 회전하며 상기 다수 개의 스위치(SW)를 각각 온 또는 오프하여 열화 정도를 상기 스위치(SW)에 의해 전기적 신호로 발신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해 종래보다 정밀한 교체 시기를 나타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서지 보호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지 보호 장치의 단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지 보호 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지 보호 장치의 중 케이스만을 단면 처리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 모듈을 분리하여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지 보호 장치의 작동 단계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지 보호 장치의 분리 사시도 및 단면 사시도,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지 보호 장치의 작동 단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지 보호 장치(10)는 도 2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리스터(MOV)를 구비하는 탑 모듈(100)과, 상기 탑 모듈(100)이 구비되는 베이스 모듈(200)을 포함한다.
상기 탑 모듈(100)은 상기 바리스터(MOV)가 내부에 구비되는 케이스(110)와, 상기 케이스(110) 내부에 설치되고 바리스터(MOV)가 지지되며 상기 바리스터(MOV)의 일 부분이 노출되는 지지 플레이트(120)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에 구비되어 상기 바리스터의 열화 정도를 다단계 색채로 나타내는 지시부(I)를 포함한다. 즉, 상기 바리스터(MOV)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플레이트(120) 내부에 고정된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육면체 형상이고 중앙 일부가 개방되어 바리스터(MOV) 일부가 노출된다.
상기 베이스(200)와 바리스터 자체는 상술된 종래 기술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해서는 따로이 설명하지 않는다.
상기 지시부(I)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 일 측에 구비되는 구동부(S)와, 상기 구동부(S)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 일 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 프레임(130)과, 상기 회전 프레임(130)에 연동되며 열화 정도를 색채로 나타내는 색채 지시부(14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회전 프레임(130)은 리드선(L)과 스토퍼(150)에 의해 회전이 중단된다.
상기 리드선(L)은 탄성 재질로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 일 측에 구비되고 서지 전원이 전달되며 상기 회전 프레임(130)이 걸림된다.
상기 스토퍼(150)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 프레임(130)이 걸림된다.
이러한 리드선(L)과 스토퍼(150)는 파지부(F)에 의해 파지된다. 상기 파지부(F)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기 바리스터(MOV) 일 측에 구비되고 상기 리드선(L) 및 스토퍼(150)를 각각 파지한다.
이러한 파지부(F)는 바리스터(MOV)의 열화에 따라 발생하는 발열에 의해 파단된다. 이때, 상기 파지부(F)가 발열에 의해 파단되는 파단 강도는 다 단계를 가진다. 즉, 상기 파지부(F)는 다 단계의 파단 강도를 가지는 복수 개로 구비되며, 상기 서지 전원의 강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파단되어 회전 프레임(130)을 단계별로 회전시켜 상기 바리스터(MOV)의 열화정도를 나타낸다.
즉, 외부로부터 서지 전원이 도입되면 바리스터(MOV)의 열화에 따른 발열에 의해 상기 파지부(F)는 순차적으로 판단된다. 즉, 상기 리드선(L)을 파지하는 파지부가 먼저 파단되어 회전 프레임(130)이 1차 회전한 후 2차 파지부가 파단되어 회전 프레임(130)이 추가로 회전하게 된다.
이를 위한 파지부(F)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 일 측에 설치되고 상기 리드선(L)을 파지하는 제1파지부(F1)와, 상기 스토퍼(150)를 파지하는 제2파지부(F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파지부(F1)의 파단 강도는 제2파지부(F2)의 파단 강도보다 낮게 설정되어 서지 전원이 도입될 때 상기 제1파지부(F1)가 먼저 파단되어 회전 프레임(130)이 1차 회전하다가 상기 스토퍼(150)에 접하여 회전이 중단되고, 추가적인 서지 전원이 도입되어 제2파지부(F2)가 파단되어 회전 프레임(130)이 추가적으로 회전된다. 이러한 회전 프레임(130)에 상기 색채 지시부(140)가 연동되어 이동하면서 색채를 외부로 노출되게 하여 교체 시기를 나타낸다.
상기 회전 플레이트(130)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 일 측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판체 형상의 베이스(131)와, 상기 베이스(131) 일 측에서 색채 지시부(140) 방향으로 연장되고 끝단에 요홈부(135-1)가 형성되는 연동부(135)를 포함한다.
상기 색채 지시부(140)는 상기 바리스터(MOV)와 케이스(110) 사이 공간에 배치되고 판체 형상인 이동판(141)과 상기 이동판(141)에 연동되어 이동하며 복수 개의 색채를 가지는 색채 필름(142)과 상기 이동판(141)의 일 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요홈부(135-1)에 삽입되는 연동 바아(143)를 포함한다. 즉, 상기 연동 바아(143)가 요홈부(135-1)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 플레이트(130)가 회전하면 상기 연동 바아(143)는 상기 요홈부(135-1)에 일정 간격 이격을 두고 삽입되어 있는 관계로 상기 연동 바아(143)은 직선 운동 한다.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회전 플레이트(13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연동 바아(143)는 도면상 우측 방향으로 직선 운동한다. 상기 연동 바아(143)의 이동에 의해 이동판(141)이 이동하고, 상기 이동판(141)의 이동에 의해 색채 필름(142)이 이동한다.
상기 색채 필름(142)은 제1색채를 구비하는 제1색채부(1421)와 상기 제1색채부(1421)에 연장되며 다른 색채를 가지는 제2색채부(1422)와, 상기 제2색채부(1422)에 연장되며 또 다른 색채를 가지는 제3색채부(1423)를 가진다. 또한, 상기 케이스(110)의 상면에는 인디케이터 홀(111)이 형성되어, 상기 제1색채부(1421) 또는 제2색채부(1422) 또는 제3색채부(1423)가 인디케이터 홀(111)을 통해 노출되어 바리스터(MOV)의 열화 정도를 지시한다. 즉, 상기 연동 바아(143)와 이동판(141)의 이동에 의해 색채 필름(142)이 연동되어 이동한다. 상기 이동되는 변위에 따라 제1색채부(1421)이 인디케이터 홀(111)을 통해 노출된다.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색채부(1421)가 녹색을 가지는 경우 상기 인디케이터 홀(111)을 통해 녹색이 노출된다. 이러한 경우 정상적인 경우로 나타낼 수 있다.
만일 외부로부터 서지 전원이 인가되어 제1파지부(F1)가 파단되면 상기 리드선(L)의 파지 상태가 해제되어 리드선(L)이 자유롭게 변형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 프레임(130)은 구동부(S)에 의해 당겨지므로 상기 인장력에 의해 회전 프레임(130)은 리드선(L)의 걸림 상태를 극복하고 회전한다. 상기 회전 프레임(130)의 회전에 의해 연동 바아(143)와 이동판(141)이 이동하여 색채 필름(142)이 이동하고 이에 의해 제2색채부(1422)가 인디케이터 홀(111)을 통해 노출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색채부(1422)가 황색을 가지는 경우 상기 인디케이터 홀(111)을 통해 황색이 노출되며 이러한 상태는 서지 전원이 인가되었음을 나타낸다.
한편, 상기 회전 프레임(130)은 스토퍼(150)에 의해 회전이 중단된다. 이는 상기 스토퍼(150)를 파지하는 제2파지부(F2)의 파단 강도가 제1파지부(F1)의 파단 강도보다 높은 관계로 상기 스토퍼(150)의 파지 상태는 유지되는 것에 기인한다.
만일 추가적인 서지 전원이 인입되어 제2파지부(F2)가 파단되면 회전 프레임(130)이 추가로 회전되어 색채 필름(142)이 추가적으로 이동하고 이에 의해 제3색채부(1423)가 인디케이터 홀(111)을 통해 노출된다. 예를 들어 제3색채부(1423)이 적색인 경우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디케이터 홀(111)을 통해 적색이 노출되며 이러한 상태는 바리스터(MOV)의 교체 시기가 되었음을 나타낸다.
상기 스토퍼(150)는 상술된 바와 같이 고정판(151)과 절곡부(152)를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150)가 지지 플레이트(120)에 지지되도록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의 측면에 제1개방부(121)가 형성되고, 상기 제1개방부(121)에 인접하고 회전 플레임(130)이 구비되는 측면에 제2개방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개방부(121)에 상기 고정판(151)이 설치된 후 널리 알려진 고정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깆 제2개방부(122)에 상기 절곡부(152)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색채 필름(142)이 연동되는 이동판(141)은 판체 형상을 가지고 바리스터(MOV)와 케이스(110) 사이 공간을 이동하는 판체 형상의 이동판 본체(1411)와 상기 이동판 본체(1411) 일 부분이 요홈되어 상기 제1색채부(1421)가 안착되는 안착홈(1412)과, 상기 안착홈(1412)의 일 부분에서 돌출되는 걸림턱(141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색채부(1421)의 끝단에는 일정 폭을 가지도록 절개되며 일 부분이 개방되어 상기 걸림턱(1413)이 삽입되어 걸림되는 걸림부(1421)이 형성된다.
즉, 상기 이동판(141)은 바리스터(MOV) 상에 배치되며 케이스(110)의 내측면과의 사이 공간에서 이동한다. 이러한 이동판(141)의 이동판 본체(1411)에는 걸림턱(12413)이 형성되어 색채 필름(142)의 개방부(142-1)에 삽입되어 상기 색채 필름(142)과 이동판(141)이 연동된다.
한편, 상기 구동부(S)는 스프링을 이용하되, 일 측은 상기 회전 프레임(130)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 프레임(130)을 당기며, 타 측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에 고정된다.
이러한 회전 프레임(130)은 베이스(131)에서 연동부(135)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호 이격된 제1연장부(132) 및 제2연장부(133)와, 상기 제1연장부(132)와 제2연장부(133)를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부(134)를 포함한다. 즉, 상기 회전 프레임(130)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 일 측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를 위해 상기 베이스(131)에는 관통공(1311)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에는 회동 핀(RO)이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회동 핀(RO)이 상기 관통공(1311)에 삽입되어 베이스(131)가 자유롭게 회전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131)에는 제1연장부(132)와 제2연장부(133)가 연결부(134)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1연장부(132)와 제2연장부(133)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고, 제1연장부(132)가 제2연장부(133)에 비해 상대적으로 바리스타(MOV)에 근접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134)에서 색채 지시부(140) 방향으로 상기 연동부(135)가 형성되되, 상기 연동부(135)의 폭 방향 일 측에는 걸림홈(135-2)이 형성되어 리드선(L)이 걸림된다. 상기 리드선(L)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걸림부(L4)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걸림부(L4)가 상기 걸림홈(135-2)에 삽입되어 회전 프레임(130)이 리드선(L)에 걸림될 수 있다.
상기 회전 프레임(130)은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리드선(L)에 의해 1차 걸림되고 스토퍼(150)에 의해 2차 걸림된다. 이러한 스토퍼(150)는 지지 플레이트(120) 일 측에 고정되는 고정판(151)과, 상기 고정판(151)의 끝단에서 절곡되어 제2파지부(F2)를 덮는 절곡부(152)와 상기 절곡부(152)의 끝단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바리스터(MOV)로부터 이격되도록 절곡되는 걸림부(15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파지부(F2)는 상기 절곡부(152)를 파지하여 상기 스토퍼(150)가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회전 프레임(130)의 제1연장부(132)가 바리스터(MOV)로부터 이격된 거리는 상기 절곡부(152)와 걸림부(153)가 바리스터(MOV)로부터 이격된 거리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 프레임(130)의 회전 시 상기 제1연장부(132)는 상기 절곡부(152)와 걸림부(153)를 통과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제2연장부(132)는 상기 제1연장부(131)보다 바리스터(MOV)에 가깝게 형성되므로 상기 제2연장부(132)는 상기 걸림부(153)에 걸림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1차 파지부(F1)의 파단 시 회전 플레임(130)은 1차 회전 후 스토퍼(150)에 의해 회전이 중단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회전 플레이트(130)의 회전 시 제1연장부(131)는 절곡부(152)로부터 이격되어 통과하고, 제2연장부(133)는 제1연장부(132) 보다 바리스터(MOV)에 근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연장부(133)는 상기 걸림부(153)에 걸림되어 회전이 중단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추가적인 서지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제2파지부(F2)가 파단되면, 상기 절곡부(152)가 바리스터(MOV)로부터 이탈되어 자유롭게 변경 가능하게 된다. 이때, 회전 프레임(130)은 구동부(S)에 의해 당겨지므로 상기 제2연장부(133)는 상기 걸림부(153)를 바리스터(MOV)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형시키면서 구속 상태를 해제하여 추가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회전 프레임(130)을 1차 걸림되게 하는 리드선(L)은 지지 플레이트(120) 일 측에 형성된 홀더(16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홀더(160)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 상에 형성되고 일정 거리 상호 이격된 제1홀더(161)와 제2홀더(16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홀더(161)와 제2홀더(162) 사이에는 수평 방향의 제1공간부(O1)와 수직 방향의 제2공간부(O2)가 형성된다.
상기 홀더(160)에 고정되는 리드선(L)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공간부(O1)에 삽입되는 수평 베이스(L1)와, 상기 수평 베이스(L1) 일 측에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공간부(O2)에 삽입되는 수직 베이스(L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 베이스(L1)와 수직 베이스(L2)가 제1공간부(O1) 및 제2공간부(O2)에 각각 삽입되어 리드선(L)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리드선(L)은 상기 수직 베이스(L2)의 끝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 되는 수평 연장부(L3)와, 상기 수평 연장부(L3)의 끝단에서 경사진 방향으로 상향 절곡는 걸림부(L4)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걸림부(L4)가 상기 회전 프레임(130)의 걸림홈(135-2)에 걸림되어 회전 프레임(130)이 회전 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파지부(F1)는 상기 수평 연장부(L3) 또는 걸림부(L4)를 파지하여 상기 리드선(L)이 고정되도록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파지부(F1)의 파단 강도는 제2파지부(F2)의 파단 강도보다 낮게 설정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파지부(F1)는 저온에 녹는 저온 납땜에 의해 형성되고, 제2파지부(F2)는 고온에 녹는 고온 납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서지 전원이 인가될 제1파지부(F1)가 먼저 녹아 파단되고, 추가적인 서지 전원 또는 보다 높은 서지 전원이 인가될 때 제2파지부(F2)가 나중에 녹아 파단되어 파지부(F)가 단계별로 파단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파지부(F)를 동일한 재질의 납땜을 이용하되 제1파지부(F1)의 크기를 제2파지부(F2)보다 작게 형성하여 제1파지부(F1)가 먼저 녹아 파단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 유닛(100)과 베이스 유닛(200) 사이에는 연결 유닛(3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유닛(300)는 판체 형상의 연결 유닛 본체(3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 유닛 본체(310)의 양 측에는 개방부(3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150)의 고정판(151) 하측에는 특정 길이 만큼 접힌 상태의 접힘부(151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플레이트(120) 중 스토퍼(150)가 형성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 측면에 판체 형상의 지지판(180)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지지판(160)의 하측단에도 특정 길이 만큼 접힌 형상의 접힘부(18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각 접힘부(1511,1811)가 상기 개방부(320)를 통과하여 베이스 유닛(200) 측으로 진입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유닛(200)에는 판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접힘부(1811)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판(21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 유닛(200)에는 상기 접힘부(1511,1811)와 삽입판(210)이 관통한 후 고정되는 고정판(22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탑 유닛(100)과 연결 유닛(300)이 베이스 유닛(2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리스터의 열화에 따른 발열에 의해 다 단계의 파단 강도를 가지는 복수 개의 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서지 전원의 강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파지부가 순차적으로 파단되어 회전 프레임을 단계별로 회전시키며 이에 의해 소정의 색채를 나타내게 하여 상기 바리스터의 열화정도를 나타낸다.
이때, 상기 바리스터의 열화정도를 색채로 나타낼 수 있고, 이하 설명하는 전기적 신호로 나타낼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200)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탑 모듈(100)이 안착되는 베이스 케이스(23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베이스 케이스(230) 내부에는 상기 회전 프레임(130)의 회전에 따라 각각 접촉하는 다수 개의 스위치(SW)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서지 전원에 의해 파지부(F, 도 6참조)가 순차적으로 파단되어 회전 프레임(130)이 단계별로 회전한다. 상기 단계별로 회전하는 회전 프레임(130)은 회전 단계에 따라 상기 다수 개의 스위치(SW)를 각각 온 또는 오프하여 열화 정도를 상기 스위치(SW)에 의해 전기적 신호로 발신할 수 있다. 이러한 전기적 신호에 의해 바리스터의 열화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 케이스(230)의 상부 일 부분에는 개방부(231)가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SW)가 노출되며, 상기 노출된 스위치(SW)에 상기 회전 프레임(130)의 하단이 접하게 된다.
즉,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서지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정상 상태의 경우 상기 회전 프레임(130)의 제1돌출부(1312)는 특정 스위치(SW), 예를 들어 도면상 좌측에 배치된 제1스위치(SW1)를 가압하여 ON 상태로 하고 제2돌출부(1313)는 도면상 우측에 배치된 제2스위치(SW2)는 가압하지 않아 OFF 상태로 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치의 신호에 따라 제어부(CON)는 정상 상태로 파악하여 소정의 디스플레이부(DP)에서 이러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1차 서지 전원이 인가된 경우 상기 회전 프레임(130)은 1차 회전하여 1차 돌출부(1312)와 2차 돌출부(1313) 모두 제1스위치(SW1) 및 제2스위치(SW2)를 가압하지 않아 모든 스위치가 OFF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치의 신호에 따라 제어부(CON)는 교체 예고 상태로 파악하여 소정의 디스플레이부(DP)에서 이러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적인 서지 전원이 인가된 경우 회전 프레임(130)은 추가로 회전하여 1차 돌출부(1312)는 제1스위치(SW1)를 가압하지 않고 제2스위치(SW2)만을 가압하여 제1스위치(SW1)는 OFF 상태로 하고 제2스위치(SW2)는 ON상태로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치의 신호에 따라 제어부(CON)는 교체 상태로 파악하여 소정의 디스플레이부(DP)에서 이러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이하 도 9 내지 도 11과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단계별로 설명한다.
우선, 도 9 및 도 11에서 서지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정상 상태가 나타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회전 프레임(130)은 리드선(L)에 걸림되어있는 상태이므로 구동부(S)가 당겨도 초기 위치에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초기 위치에서는 제1색채부(1421)이 케이스(110)의 인디케이트 홀(111)을 통해 노출되어 있으므로 제1색채(예를 들어 녹색)가 인디케이트 홀(111)을 통해 나타난다. 물론,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프레임(130)이 제1스위치(SW1)만을 가압하여 ON 되게 하고 제2스위치(SW2)를 가압하지 않아 OFF되게 하여 소정의 전기적 신호로 정상 상태를 나타내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일 서지 전원이 인가되면 바리스터에서 열화에 따른 발열이 발생한다. 이러한 발열에 의해 제1파지부가 파단되면 리드선(L) 중 수평 베이스(L1)와 수직 베이스(L2)를 제외한 부분은 자유롭게 변형 가능하다.(도 6참조) 따라서, 상기 리드선(L)에 걸림되어 있는 회전 프레임(130)은 구동부에 의해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는 상기 리드선(L)의 제1파지부가 파단된 상태에서 회전 프레임(130)이 회전 가능하게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제2파지부(F2)는 현재 유지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스토퍼(150)는 변형이 불가한 상태이다. 따라서, 회전 프레임(130)이 이동하다가 걸림부(153)에 걸림되어 상기 회전 프레임(130)의 회전이 중단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색채 지시부(140)도 회전 프레임(130)의 회전에 연동되어 이동한다. 상기 이동 거리에 따라 색채 지시부(140)의 제2색채부(1422)가 케이스(110)의 인디케이트 홀(111)에 노출되어 제2색채부(1422)의 제2색채(예를 들어 황색)이 나타난다. 이러한 제2색채의 노출로 인해 사용자는 서지 전원이 인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어 교체 예고 상태임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프레임(130)이 제1스위치(SW1) 및 제2스위치(SW2) 모두 가압하지 않아 모두 OFF 되게 하여 전기적 신호로 교체 예고 상태를 나타내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만일 추가적인 서지 전원이 인가되거나 혹은 보다 높은 서지 전원이 인가되면 도 11 및 도 1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바리스터에서 보다 높은 온도의 발열이 발생한다. 이러한 발열에 의해 제2파지부가 파단되어 스토퍼(150)가 변형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150)의 걸림부(153)에 접한 상태인 회전 프레임(130)이 구동부에 의해 추가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 프레임(130)의 회전에 의해 색채 지시부(140)의 제3색채부(1423)가 인디케이트 홀(111)에 노출되어 제3색채부(1423)의 제3색채(예를 들어 적색)이 나타난다. 이러한 제3색채의 노출로 인해 사용자는 서지 전원이 인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교체를 해야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프레임(130)이 제2스위치(SW2)만을 가압하여 ON 되게 하고 제1스위치(SW1)를 가압하지 않아 OFF되게 하여 소정의 전기적 신호로 정상 상태를 나타내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색채 지시부(140)는 필름 형상의 색채 필름(14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색채 지시부(140)가 이동하면서 자유롭게 변형할 수 있는 것인 한, 다른 구성을 이용하더라도 모두 본 발명이 범주에 속함은 당연하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탑 모듈 110 : 케이스
111 : 인디케이트 홀 120 : 지지 플레이트
121 : 제1개방부 122 : 제2개방부
130 : 회전 프레임 131 : 베이스
132 : 제1연장부 133 : 제2연장부
134 : 연결부 135 : 연동부
140 : 색채 지시부 141 : 이동판
142 : 색채 필름 200 : 베이스 모듈
200 : 수평 감지 유닛

Claims (8)

  1. 바리스터(MOV)를 구비하는 탑 모듈(100)과, 상기 탑 모듈(100)이 구비되는 베이스 모듈(200)을 포함하고,
    상기 탑 모듈(100)은 상기 바리스터(MOV)가 내부에 구비되는 케이스(110)와, 상기 케이스(110) 내부에 설치되고 바리스터(MOV)가 지지되며 상기 바리스터(MOV)의 일 부분이 노출되는 지지 플레이트(120)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에 구비되어 상기 바리스터의 열화 정도를 다단계 색채로 나타내는 지시부(I)를 포함하고,
    상기 지시부(I)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 일 측에 구비되는 구동부(S)와, 상기 구동부(S)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 일 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 프레임(130)과, 상기 회전 프레임(130)에 연동되며 열화 정도를 색채로 나타내는 색채 지시부(140)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 일 측에 구비되고 서지 전원이 전달되며 상기 회전 프레임(130)이 걸림되고 탄성 재질인 리드선(L)과,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 프레임(130)이 걸림되는 탄성 재질의 스토퍼(150)와, 상기 바리스터(MOV) 일 측에 구비되고 상기 리드선(L) 및 스토퍼(150)를 파지하는 복수 개의 파지부(F)를 포함하며,
    상기 파지부(F)는 바리스터(MOV)의 열화에 따른 발열에 의해 다 단계의 파단 강도를 가지는 복수 개로 구비되며, 상기 서지 전원의 강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파단되어 회전 프레임(130)을 단계별로 회전시켜 상기 바리스터(MOV)의 열화정도를 나타내는 다단계 회전 방식의 서지 보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F)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 일 측에 설치되고 상기 리드선(L)을 파지하는 제1파지부(F1)와, 상기 스토퍼(150)를 파지하는 제2파지부(F2)를 포함하며,
    상기 제1파지부(F1)의 파단 강도는 제2파지부(F2)의 파단 강도보다 낮게 설정되어 서지 전원이 도입될 때 상기 제1파지부(F1)가 먼저 파단되어 회전 프레임(130)이 1차 회전하다가 상기 스토퍼(150)에 접하여 회전이 중단되고,
    추가적인 서지 전원이 도입되어 제2파지부(F2)가 파단되어 회전 프레임(130)이 추가적으로 회전되는 다단계 회전 방식의 서지 보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플레이트(130)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 일 측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판체 형상의 베이스(131)와, 상기 베이스(131) 일 측에서 색채 지시부(140) 방향으로 연장되고 끝단에 요홈부(135-1)가 형성되는 연동부(135)를 포함하고,
    상기 색채 지시부(140)는 상기 바리스터(MOV)와 케이스(110) 사이 공간에 배치되고 판체 형상인 이동판(141)과 상기 이동판(141)에 연동되어 이동하며 복수 개의 색채를 가지는 색채 필름(142)과 상기 이동판(141)의 일 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요홈부(135-1)에 삽입되는 연동 바아(143)를 포함하고,
    상기 색채 필름(142)은 제1색채를 구비하는 제1색채부(1421)와 상기 제1색채부(1421)에 연장되며 다른 색채를 가지는 제2색채부(1422)와, 상기 제2색채부(1422)에 연장되며 또 다른 색채를 가지는 제3색채부(1423)를 가지며,
    상기 케이스(110)의 상면에는 인디케이터 홀(111)이 형성되어, 상기 제1색채부(1421) 또는 제2색채부(1422) 또는 제3색채부(1423)가 인디케이터 홀(111)을 통해 노출되어 바리스터(MOV)의 열화 정도를 지시하는 다단계 회전 방식의 서지 보호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141)은 판체 형상을 가지고 바리스터(MOV)와 케이스(110) 사이 공간을 이동하는 판체 형상의 이동판 본체(1411)와, 상기 이동판 본체(1411) 일 부분이 요홈되어 상기 제1색채부(1421)가 안착되는 안착홈(1412)과, 상기 안착홈(1412)의 일 부분에서 돌출되는 걸림턱(1413)을 포함하고,
    상기 제1색채부(1421)의 끝단에는 일정 폭을 가지도록 절개되며 일 부분이 개방되어 상기 걸림턱(1413)이 삽입되어 걸림되는 걸림부(1421)가 형성되는 다단계 회전 방식의 서지 보호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S)는 스프링을 이용하되, 일 측은 상기 회전 프레임(130)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 프레임(130)을 당기며, 타 측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 프레임(130)은 베이스(131)에서 연동부(135)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호 이격된 제1연장부(132) 및 제2연장부(133)와, 상기 제1연장부(132)와 제2연장부(133)를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부(134)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134)에서 색채 지시부(140) 방향으로 상기 연동부(135)가 형성되되, 상기 연동부(135)의 폭 방향 일 측에는 걸림홈(135-2)이 형성되어 리드선(L)이 걸림되는 다단계 회전 방식의 서지 보호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150)는 지지 플레이트(120) 일 측에 고정되는 고정판(151)과, 상기 고정판(151)의 끝단에서 절곡되어 제2파지부(F2)를 덮는 절곡부(152)와 상기 절곡부(152)의 끝단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바리스터(MOV)로부터 이격되도록 절곡되는 걸림부(153)를 포함하고,
    상기 제2파지부(F2)는 상기 절곡부(152)를 파지하며,
    상기 회전 플레이트(130)의 회전 시 제1연장부(131)는 절곡부(152)로부터 이격되어 통과하고, 제2연장부(133)는 제1연장부(132) 보다 바리스터(MOV)에 근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연장부(133)는 상기 걸림부(153)에 걸림되어 회전이 중단하고,
    상기 제2파지부(F2) 파단 시 상기 절곡부(152)가 바리스터(MOV)로부터 이탈되면서 제2연장부(133)가 걸림부(153)를 지나 회전하는 다단계 회전 방식의 서지 보호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선(L)은 지지 플레이트(120) 일 측에 형성된 홀더(160)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홀더(160)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 상에 형성되고 일정 거리 상호 이격된 제1홀더(161)와 제2홀더(162)를 포함하고, 상기 제1홀더(161)와 제2홀더(162) 사이에는 수평 방향의 제1공간부(O1)와 수직 방향의 제2공간부(O2)가 형성되며,
    상기 리드선(L)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공간부(O1)에 삽입되는 수평 베이스(L1)와, 상기 수평 베이스(L1) 일 측에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공간부(O2)에 삽입되는 수직 베이스(L2)와, 상기 수직 베이스(L2)의 끝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 되는 수평 연장부(L3)와, 상기 수평 연장부(L3)의 끝단에서 경사진 방향으로 상향 절곡되는 걸림부(L4)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L4)가 상기 회전 프레임(130)의 걸림홈(135-2)에 걸림되며,
    상기 제1파지부(F1)는 상기 수평 연장부(L3) 또는 걸림부(L4)를 파지하는 다단계 회전 방식의 서지 보호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200)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탑 모듈(100)이 안착되는 베이스 케이스(2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케이스(230) 내부에는 상기 회전 프레임(130)의 회전에 따라 각각 접촉하는 다수 개의 스위치(SW)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케이스(230)의 상부 일 부분은 개방부(231)가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SW)가 노출되며,
    상기 서지 전원에 의해 파지부(F)가 순차적으로 파단되어 회전 프레임(130)이 단계별로 회전하며 상기 다수 개의 스위치(SW)를 각각 온 또는 오프하여 열화 정도를 상기 스위치(SW)에 의해 전기적 신호로 발신하는 다단계 회전 방식의 서지 보호 장치.
KR1020190166266A 2019-12-13 2019-12-13 다단계 회전 방식의 서지 보호 장치 KR202100753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6266A KR20210075331A (ko) 2019-12-13 2019-12-13 다단계 회전 방식의 서지 보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6266A KR20210075331A (ko) 2019-12-13 2019-12-13 다단계 회전 방식의 서지 보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5331A true KR20210075331A (ko) 2021-06-23

Family

ID=76599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6266A KR20210075331A (ko) 2019-12-13 2019-12-13 다단계 회전 방식의 서지 보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7533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5641B1 (ko) 2023-02-07 2023-09-07 박미연 서지보호용 배리스터 자동 제조장치
KR20230144748A (ko) 2022-04-08 2023-10-17 주식회사 프라임솔루션코퍼레이션 순차적 분리 동작 구조의 서지 보호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850B1 (ko) 2014-03-13 2014-09-25 선광엘티아이(주) 서지보호기 손상확인 및 자동전환 장치
KR101801798B1 (ko) 2017-03-22 2017-11-27 진화전기통신(주) 교체 권고 기능을 구비한 서지 보호기
KR102001159B1 (ko) 2019-03-25 2019-07-18 케이앤제이계전(주) 서지보호소자 원터치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누전차단기
KR102038110B1 (ko) 2015-10-26 2019-10-29 가부시키가이샤 산코샤 서지 보호 장치 및 서지 보호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850B1 (ko) 2014-03-13 2014-09-25 선광엘티아이(주) 서지보호기 손상확인 및 자동전환 장치
KR102038110B1 (ko) 2015-10-26 2019-10-29 가부시키가이샤 산코샤 서지 보호 장치 및 서지 보호 시스템
KR101801798B1 (ko) 2017-03-22 2017-11-27 진화전기통신(주) 교체 권고 기능을 구비한 서지 보호기
KR102001159B1 (ko) 2019-03-25 2019-07-18 케이앤제이계전(주) 서지보호소자 원터치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누전차단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4748A (ko) 2022-04-08 2023-10-17 주식회사 프라임솔루션코퍼레이션 순차적 분리 동작 구조의 서지 보호 장치 및 방법
KR102575641B1 (ko) 2023-02-07 2023-09-07 박미연 서지보호용 배리스터 자동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48336B2 (en) Mold cased circuit breaker
KR20210075331A (ko) 다단계 회전 방식의 서지 보호 장치
US7839257B2 (en) Overvoltage protection with status signalling
US8705221B2 (en) Surge arrester having an optical fault indicator
US2310466A (en) Fuse construction
TWI420559B (zh) 可熔式切換斷開模組及裝置
US9048054B2 (en) Circuit breaker with plug on neutral connection lock-out mechanism
US6583708B1 (en) Fuse cutout with integrated link break lever and fuse link ejector
CZ287833B6 (en) Fuse carrier
US20060072275A1 (en) Double-protection circuit protector
JPS6222343A (ja) 回路遮断器
CN101978458A (zh) 断路器
KR102276668B1 (ko) 다 단계 스위칭 방식의 서지 보호 장치
US2179749A (en) Electrical switch
US20100245023A1 (en) Safety fusible connector
US2716681A (en) Circuit interrupting device
EP2985776B1 (en) Automotive circuit breaker including circuit breaker with integrated secondary current protection
CN101937808B (zh) 跌落式熔断器
KR100480008B1 (ko) 회로 차단기
US2441692A (en) Fuse
US2331839A (en) Fuse device
US2313364A (en) Fuse construction
US2524101A (en) Circuit interrupting device
US2126216A (en) Fuse link expelling means
CN101937807B (zh) 用于跌落式熔断器的载熔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