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5167A - 배관용 방열 장치 - Google Patents

배관용 방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5167A
KR20210085167A KR1020190177930A KR20190177930A KR20210085167A KR 20210085167 A KR20210085167 A KR 20210085167A KR 1020190177930 A KR1020190177930 A KR 1020190177930A KR 20190177930 A KR20190177930 A KR 20190177930A KR 20210085167 A KR20210085167 A KR 202100851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art
heat sink
pipe
insertion groov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7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9132B1 (ko
Inventor
김한기
황인영
이완호
Original Assignee
한국가스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가스공사 filed Critical 한국가스공사
Priority to KR1020190177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9132B1/ko
Publication of KR20210085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5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9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9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3/0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Cool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3/70Cool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배관용 방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주변의 온도 환경이 가변적인 배관 설비의 배관에 사용되는 것이며, 온도 환경에 따라 방열량의 조절이 가능한 배관용 방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관용 방열 장치는 배관의 외주면의 일측에 일측 면이 밀착되도록 접촉되는 제1 고정부; 상기 배관의 외주면의 타측에 일측 면이 밀착되도록 접촉되는 제2 고정부; 상기 제1 고정부의 타측 면에 마련되는 제1 방열판; 상기 제2 고정부의 타측 면에 마련되는 제2 방열판; 및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가 상기 배관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를 서로 고정하는 고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Description

배관용 방열 장치{APPARATUS FOR RADIATING HEAT FOR PIPE}
본 발명의 배관용 방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주변의 온도 환경이 가변적인 배관 설비의 배관에 사용되는 것이며, 온도 환경에 따라 방열량의 조절이 가능한 배관용 방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외부모터식 고압 LNG 펌프와 같은 설비는 운전 중 발생되는 열로 인해 설비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어 설비 부품 과열에 의한 손상 및 설비 성능 저하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설비는 설비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LNG 기지에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는 외부모터식 고압 LNG(liquefied natural gas) 펌프의 운전중에는 메카니컬 실(mechanical seal)이 설치되어 있고, 메카니컬 실은 실 오일(seal oil)로 채워져 있다. 메카니컬 실의 원리는 펌프 상부에 흡입측 LNG가 존재하며 여기서 기화된 BOG(boil off gas)가 상부 챔버에 모여 내압을 형성해서 누설방지용 매체인 상층부의 실 오일이 BOG의 누설을 막아주게 된다. 이때, 메카니컬 씰의 섭동면에서 온도상승이 발생되고 배관을 통하여 타 부품측에 전도되어 부품의 과열 및 성능저하가 발생된다. 따라서, LNG 펌프의 메카니컬 실 섭동면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하여 LNG 펌프 설비에서의 배관라인에 방열기의 설치가 요구되나, 반대로 과도한 방열은 LNG 펌프 설비의 운전 효율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설비 주변의 온도 환경 등을 고려하여 방열 성능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또한, LNG 펌프 설비에 마련되는 배관라인 주위 공간은 주변 구조물에 의하여 협소하여 방열기의 설치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관용 방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주변의 온도 환경이 가변적인 배관 설비의 배관에 사용되는 것이며, 온도 환경에 따라 방열량의 조절이 가능한 배관용 방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배관용 방열 장치는 배관의 외주면의 일측에 일측 면이 밀착되도록 접촉되는 제1 고정부; 상기 배관의 외주면의 타측에 일측 면이 밀착되도록 접촉되는 제2 고정부; 상기 제1 고정부의 타측 면에 마련되는 제1 방열판; 상기 제2 고정부의 타측 면에 마련되는 제2 방열판; 및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가 상기 배관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를 서로 고정하는 고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관용 방열 장치에서 상기 배관의 길이 방향을 제1 방향이라 하고,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제2 방향이라 하며,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제3 방향이라 할 때, 상기 제2 방향 상에서 상기 배관의 일측 면에 상기 제1 고정부가 밀착되고, 상기 제2 방향 상에서 상기 배관의 타측 면에 상기 제2 고정부가 밀착되며,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제3 방향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3 방향으로 돌출된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관용 방열 장치에서 상기 제1 돌출부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돌출부를 관통하는 제1 결합홀이 마련되고, 상기 제2 돌출부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2 돌출부를 관통하는 제2 결합홀이 마련되며,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배관에 상기 제1 결합홀 및 상기 제2 결합홀이 대면하도록 밀착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관용 방열 장치에서 상기 고정수단은 나사산이 마련되는 볼트이고, 상기 제1 결합홀 및 상기 제2 결합홀 중 상기 제2 결합홀의 내주면에만 나사산이 마련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2 결합홀과 나사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관용 방열 장치에서 상기 제1 고정부의 상기 일측 단부에 상기 제1 돌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2 고정부의 상기 일측 단부에 상기 제2 돌출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1 고정부의 상기 일측 면과 상기 제2 고정부의 상기 일측 면은 상기 배관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면되고,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의 일면은 서로 일정 거리가 이격되어 대면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관용 방열 장치에서 상기 제1 방열판은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제2 방열판은 복수로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제1 방열판은 상기 제1 고정부의 상기 타측 면에 일정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고정되고, 상기 복수의 제2 방열판은 상기 제2 고정부의 상기 타측 면에 일정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고정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관용 방열 장치에서 상기 제1 방열판 및 상기 제2 방열판은 평면의 플레이트로 마련되고, 상기 제1 고정부의 상기 타측 면에는 상기 제1 방열판의 일측 단부가 삽입되는 직선의 제1 삽입홈이 마련되며, 상기 제2 고정부의 상기 타측 면에는 상기 제2 방열판의 일측 단부가 삽입되는 직선의 제2 삽입홈이 마련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관용 방열 장치에서 상기 제1 삽입홈은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제2 삽입홈은 복수로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제1 삽입홈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상기 제1 고정부의 상기 타측 면에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제2 삽입홈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상기 제2 고정부의 상기 타측 면에 마련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관용 방열 장치에서 상기 제1 방열판과 대면하는 상기 제1 삽입홈의 내측 벽 및 상기 제2 방열판과 대면하는 상기 제2 삽입홈의 내측 벽에는 서멀 컴파운드가 도포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관용 방열 장치에서 상기 제1 방열판의 타측 단부에는 상기 제1 방열판의 면에 평행한 평면의 플레이트인 보조 방열판이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관용 방열 장치에서 상기 보조 방열판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보조 방열판의 면과 평행한 제1 결합 플레이트 및 제2 결합 플레이트가 마련되고, 상기 제1 결합 플레이트와 상기 제2 결합 플레이트는 서로 대면하도록 상기 보조 방열판의 상기 일측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방열판은 상기 제1 결합 플레이트와 상기 제2 결합 플레이트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보조 방열판과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관용 방열 장치에서 상기 제1 방열판 및 상기 제2 방열판은 평면의 플레이트로 마련되고, 상기 제1 고정부의 상기 타측 면에는 직선의 제1 삽입홈이 마련되며, 상기 제2 고정부의 상기 타측 면에는 직선의 제2 삽입홈이 마련되고, 상기 제1 고정부의 상기 타측 면에는 상기 제1 삽입홈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제3 삽입홈이 마련되고, 상기 제2 고정부의 상기 타측 면에는 상기 제2 삽입홈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제4 삽입홈이 마련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관용 방열 장치는 방열판의 크기 조절 및 탈부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방열 성능을 조절하여 배관 계통의 온도를 일정 범위 내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배관용 방열 장치는 배관에 쉽게 설치 및 해제가 가능하며, 방열판의 크기 및 방향을 조절하여 좁고 복잡한 공간에도 설치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배관용 방열 장치는 방열판의 방향이 조절 가능하기 때문에 복잡한 배관 계통에서 배관의 길이 방향의 변화에도, 방열판들의 방향을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여, 송풍기와 같은 냉방 장치와 효율적인 연동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외부모터식 고압 LNG 펌프 설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배관용 방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배관용 방열 장치가 배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고정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고정부의 다른 실시 양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 고정부의 또 다른 실시 양태를 나타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제1 방열판 및 보조 방열판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제1 방열판 및 보조 방열판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는 제1 방열판 및 보조 방열판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제1 방열판 및 보조 방열판의 다른 실시 양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유의하여야 할 점은 용어 "중심", "상", "하" "좌", "우", "수직", "수평", "내측", "외측", “일면”, “타면” 등이 지시한 방위 또는 위치 관계는 도면에서 나타낸 방위 또는 위치 관계, 또는 평소에 본 발명 제품을 사용할 시 배치하는 방위 또는 위치관계에 기초한 것이고, 본 발명의 설명과 간략한 설명을 위한 것일 뿐, 표시된 장치 또는 소자가 반드시 특정된 방위를 가지고 특정된 방위로 구성되거나 조작되어야 하는 것을 제시 또는 암시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외부모터식 고압 LNG 펌프 설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배관용 방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배관용 방열 장치가 배관(11)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고정부(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고정부(100)의 다른 실시 양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 고정부(100)의 또 다른 실시 양태를 나타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제1 방열판(150) 및 보조 방열판(400)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제1 방열판(150) 및 보조 방열판(400)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는 제1 방열판(150) 및 보조 방열판(400)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제1 방열판(150) 및 보조 방열판(400)의 다른 실시 양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배관용 방열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배관용 방열 장치는 외부모터식 고압 LNG 펌프 설비 등과 같은 방열이 요구되는 설비의 배관에 장착되는 것일 수 있다.
외부모터식 고압 LNG 펌프 설비의 효율적 운전을 위해서는 일정 범위 내에서의 온도 유지가 필요하다. 따라서, 과도한 열을 설비 외부로 방출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설비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 유지하게 하는 것 또한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동절기와 같이 주변 환경온도가 낮을 경우, 설비의 배관에서의 방열 양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더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모터식 고압 LNG 펌프 설비에는 다수의 배관(11) 라인이 연결되기 때문에, 복수의 배관이 밀집되어 배관 주변 공간이 협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관용 방열 장치는 외부모터식 고압 LNG 펌프 설비와 같이 일정 범위의 온도 유지가 필요하고, 설치 공간이 제한적인 배관 계통에 최적화된 배관용 방열 장치일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관용 방열 장치는 배관(11)의 외주면의 일측에 일측 면이 밀착되도록 접촉되는 제1 고정부(100), 배관(11)의 외주면의 타측에 일측 면이 밀착되도록 접촉되는 제2 고정부(200), 제1 고정부(100)의 타측 면에 마련되는 제1 방열판(150), 제2 고정부(200)의 타측 면에 마련되는 제2 방열판(250), 및 제1 고정부(100) 및 제2 고정부(200)가 배관(11)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제1 고정부(100)와 제2 고정부(200)를 서로 고정하는 고정 수단(3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배관(11)의 길이 방향을 제1 방향이라 하고, 제1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제2 방향이라 하며,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제3 방향이라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11)과 밀착되는 제1 고정부(100)의 일측 면과 제2 고정부(200)의 일측 면에는 배관(11)이 일부 삽입될 수 있도록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고정부(100)의 일측 면과 제2 고정부(200)의 일측 면이 서로 대면한 상태에서 원통형의 배관(11)의 양 측면이 각각 제1 고정부(100)의 일측 면 및 제2 고정부(200)의 일측 면에 형성된 오목부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고정부(100)의 일측 면과 제2 고정부(200)의 일측 면이 대면함으로써, 제1 고정부(100)와 제2 고정부(200) 사이에 배관(11)이 들어갈 수 있는 원통형 중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방향 상에서 배관(11)의 일측 면에 제1 고정부(100)가 밀착되고, 제2 방향 상에서 배관(11)의 타측 면에 제2 고정부(200)가 밀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방향 상에서 배관(11)의 일측 면에 제1 고정부(100)가 밀착되고, 제2 방향 상에서 배관(11)의 타측 면에 제2 고정부(200)가 밀착된 상태에서, 제1 고정부(100)는 제3 방향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110)를 포함하고, 제2 고정부(200)는 제3 방향으로 돌출된 제2 돌출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돌출부(110) 및 제2 돌출부(210)는 제3 방향으로로 돌출되고, 제2 방향에 수직한 평면이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돌출부(110)에는 제2 방향으로 제1 돌출부(110)를 관통하는 제1 결합홀(111)이 마련될 수 있다. 제2 돌출부(210)에도 제1 돌출부(110)와 마찬가지로 제2 방향으로 제2 돌출부(210)를 관통하는 제2 결합홀(211)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고정부(100) 및 제2 고정부(200)는 배관(11)에 제1 결합홀(111) 및 제2 결합홀(211)이 대면하도록 밀착될 수 있다. 즉, 제1 고정부(100) 및 제2 고정부(200)는 제1 결합홀(111) 및 제2 결합홀(211)의 위치를 고려하여 배관(11) 상에 정렬될 수 있다. 고정 수단(310)은 제1 결합홀(111)과 제2 결합홀(211)을 동시에 관통하여 제1 고정부(100) 및 제2 고정부(200)를 배관(11)에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 수단(310)은 나사산이 마련되는 볼트일 수 있으며, 나사 결합을 통해 제1 고정부(100) 및 제2 고정부(200)를 서로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 수단(310)이 일측에서 제1 결합홀(111)과 제2 결합홀(211)을 동시에 관통한 상태에서 타측에 마련된 너트와 나사 결합하여 제1 고정부(100)와 제2 고정부(200)를 고정할 수 있다.
또는, 제1 결합홀(111) 및 제2 결합홀(211) 중 제2 결합홀(211)의 내주면에만 나사산이 마련되고, 고정수단은 제2 결합홀(211)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 결합홀(111) 측에서 고정 수단(310)이 제1 결합홀(111)을 관통한뒤 제2 결합홀(211)에 마련된 나사산과 나사 결합할 수 있다. 배관(11)의 주변 구조물 때문에 장치를 설치하는 공간이 협소할 경우, 고정 수단(310)의 결합 시에 너트를 잡아주는 장치를 고정 수단(310)의 삽입 위치의 반대 측에 거치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제2 결합홀(211)에는 나사산이 마련되며, 고정 수단(310)을 제2 결합홀(211)과 나사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결합홀(111) 및 제2 결합홀(211)에는 둘 다 나사산이 없거나, 중 하나에만 나사산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결합홀(111) 및 제2 결합홀(211)은 복수로 마련되며, 이에 대응하여 고정 수단(310) 또한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돌출부(110)는 제2 방향 상에서 제2 고정부(200)와 인접한 제1 고정부(100)의 가장 끝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돌출부(210) 또한 제2 방향 상에서 제1 고정부(100)와 인접한 제2 고정부(200)의 가장 끝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 고정부(100)의 일측 단부에 제1 돌출부(110)가 마련되고, 제2 고정부(200)의 상기 일측 단부에 제2 돌출부(210)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고정부(100)의 일측 면과 제2 고정부(200)의 일측 면은 배관(11)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면되고, 제1 돌출부(110)와 제2 돌출부(210)의 일면은 일정 거리가 이격되어 대면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부(100)와 제2 고정부(200)가 배관(11)에 밀착된 상태에서 제1 돌출부(110) 및 제2 돌출부(210)는 서로 접촉하지 않고 일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돌출부(110)가 제2 돌출부(210)가 서로를 지지하여 제1 고정부(100)의 일측 면과 제2 고정부(200)의 일측 면에 배관(11) 외주면으로부터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1 방열판(150)은 복수로 마련되고, 제2 방열판(250)은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방열판(150)은 제1 고정부(100)의 타측 면에 일정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고정되고, 복수의 제2 방열판(250) 또한 제2 고정부(200)의 타측 면에 일정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1 방열판(150) 및 제2 방열판(250)은 평면의 플레이트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방열판(150) 및 제2 방열판(250)은 제2 방향 또는 제3 방향과 평행한 평면의 플레이트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부(100)의 타측 면에는 제1 방열판(150)의 일측 단부가 삽입되는 직선의 제1 삽입홈(120)이 마련될 수 있다. 제2 고정부(200)의 타측 면에도 제2 방열판(250)의 일측 단부가 삽입되는 직선의 제2 삽입홈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관용 방열 장치는 배관(11)에서 요구되는 방열 양을 고려하여, 방열 양에 대응하는 개수 또는 크기의 방열판을 제1 고정부(100) 또는 제2 고정부(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절기에는 많은 개수의 방열판을 제1 고정부(100)의 제1 삽입홈(120) 또는 제2 고정부(200)의 제2 삽입홈에 결합시키고, 동절기에는 적정 수의 방열판을 남기고 제1 고정부(100) 및 제2 고정부(200)에서 방열판을 제거할 수 있다.
더하여, 배관(11) 주변 공간이 협소 또는 복잡하여 본 발명의 배관용 방열 장치의 설치를 위한 작업 자세가 제한될 경우, 제1 고정부(100) 및 제2 고정부(200)에서 제1 방열판(150) 및 제2 방열판(250)을 분리한 다음, 배관(11)에 제1 고정부(100)와 제2 고정부(200)를 고정한 뒤에 제1 방열판(150) 및 제2 방열판(250)을 제1 삽입홈(120) 및 제2 삽입홉에 삽입할 수 있다.
제1 삽입홈(120)은 복수로 마련되고, 제2 삽입홈 또한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삽입홈(120)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제1 고정부(100)의 타측 면에 마련되고, 복수의 제2 삽입홈 또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제2 고정부(200)의 타측 면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삽입홈(120) 및 제2 삽입홉은 제1 방향 및 제3 방향을 동시에 포함하는 가상의 평면에 평행한 직선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삽입홈(120)은 및 제2 삽입홈은 배관(11)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제1 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고, 제1 방향과 수직한 제3 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으며, 제1 방향 및 제3 방향도 아닌 대각선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부(100)의 타측 면에는 제1 삽입홈(12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제3 삽입홈(130)이 마련되고, 제2 고정부(200)의 타측 면에는 제2 삽입홈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제4 삽입홈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관용 방열 장치는 제1 방열판(150)을 제1 삽입홈(120) 및 제3 삽입홈(130) 중 선택되어 삽입시킬 수 있고, 제2 방열판(250)이 제2 방열판(250)을 제2 삽이홈 및 제4 삽입홈 중 선택되어 삽입시킬 수 있어, 제1 방열판(150) 및 제2 방열판(250)의 방향을 조절하여 제1 고정부(100) 및 제2 고정부(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방열이 심한 설비의 경우 설비 주변에 공기를 강제를 유동시킬 수 있는 송풍기를 마련하여, 강제로 바람을 일으켜 방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때, 송풍 장치에 의한 바람은 일정한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배관용 방열 장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고려하여 방열판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제1 방열판(150)과 대면하는 제1 삽입홈(120)의 내측 벽 및 제2 방열판(250)과 대면하는 제2 삽입홈의 내측 벽에는 서멀 컴파운드(thermal compound)가 도포될 수 있다. 서멀 컴파운드는 방열판과 삽입홈 사이의 공기층을 제거하여 열전도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서멀 컴파운드는 서멀 그리스, 서멀 페이스트로도 명칭되는 것으로, 열원과 방열체 사이에 마련되어 공기층을 제거하거나 빈틈을 채움으로써 열이 잘 전도되도록 돕는 것일 수 있다. 서멀 컴파운드는 세라믹 기반의 서멀 컴파운드, 금속 기반의 서멀 컴파운드, 탄소 기반의 서멀 컴파운드, 가융 합금 기반의 서멀 컴파운드가 있을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열판(150)의 타측 단부에는 제1 방열판(150)의 면에 평행한 평면의 플레이트인 보조 방열판(400)이 결합될 수 있다. 보조 방열판(400)의 일측 단부에는 보조 방열판(400)의 면과 평행한 제1 결합 플레이트(410) 및 제2 결합 플레이트(420)가 마련되고, 제1 결합 플레이트(410)와 제2 결합 플레이트(420)는 서로 대면하도록 보조 방열판(40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며, 제1 방열판(150)은 제1 결합 플레이트(410)와 제2 결합 플레이트(420) 사이로 삽입되어 보조 방열판(400)과 결합될 수 있다.
제1 결합 플레이트(410), 제2 결합 플레이트(420), 제1 방열판(150)에는 고정홀(430)이 마련되고, 볼트가 제1 결합 플레이트(410), 제2 결합 플레이트(420), 제1 방열판(150)의 고정홀(430)들을 동시에 관통하여 제1 방열판(150)과 보조 방열판(400)의 결합을 공고히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홀(430)에 마련된 나사산에 볼트가 결합할 수도 있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 너트와 볼트가 결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배관
100...제1 고정부 110...제1 돌출부
111...제1 결합홀 120...제1 삽입홈
130...제3 삽입홈 150...제1 방열판
200...제2 고정부 210...제2 돌출부
211...제2 결합홀 250...제2 방열판
310...고정 수단 400...보조 방열판
410...제1 결합 플레이트 420...제2 결합 플레이트
430...고정홀

Claims (12)

  1. 배관의 외주면의 일측에 일측 면이 밀착되도록 접촉되는 제1 고정부;
    상기 배관의 외주면의 타측에 일측 면이 밀착되도록 접촉되는 제2 고정부;
    상기 제1 고정부의 타측 면에 마련되는 제1 방열판;
    상기 제2 고정부의 타측 면에 마련되는 제2 방열판; 및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가 상기 배관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를 서로 고정하는 고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인 배관용 방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의 길이 방향을 제1 방향이라 하고,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제2 방향이라 하며,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제3 방향이라 할 때,
    상기 제2 방향 상에서 상기 배관의 일측 면에 상기 제1 고정부가 밀착되고,
    상기 제2 방향 상에서 상기 배관의 타측 면에 상기 제2 고정부가 밀착되며,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제3 방향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3 방향으로 돌출된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인 배관용 방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돌출부를 관통하는 제1 결합홀이 마련되고,
    상기 제2 돌출부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2 돌출부를 관통하는 제2 결합홀이 마련되며,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배관에 상기 제1 결합홀 및 상기 제2 결합홀이 대면하도록 밀착되는 것인 배관용 방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나사산이 마련되는 볼트이고,
    상기 제1 결합홀 및 상기 제2 결합홀 중 상기 제2 결합홀의 내주면에만 나사산이 마련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2 결합홀과 나사결합되는 것인 배관용 방열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의 상기 일측 단부에 상기 제1 돌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2 고정부의 상기 일측 단부에 상기 제2 돌출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1 고정부의 상기 일측 면과 상기 제2 고정부의 상기 일측 면은 상기 배관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면되고,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의 일면은 서로 일정 거리가 이격되어 대면하는 것인 배관용 방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열판은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제2 방열판은 복수로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제1 방열판은 상기 제1 고정부의 상기 타측 면에 일정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고정되고,
    상기 복수의 제2 방열판은 상기 제2 고정부의 상기 타측 면에 일정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고정되는 것인 배관용 방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열판 및 상기 제2 방열판은 평면의 플레이트로 마련되고,
    상기 제1 고정부의 상기 타측 면에는 상기 제1 방열판의 일측 단부가 삽입되는 직선의 제1 삽입홈이 마련되며,
    상기 제2 고정부의 상기 타측 면에는 상기 제2 방열판의 일측 단부가 삽입되는 직선의 제2 삽입홈이 마련되는 것인 배관용 방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홈은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제2 삽입홈은 복수로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제1 삽입홈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상기 제1 고정부의 상기 타측 면에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제2 삽입홈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상기 제2 고정부의 상기 타측 면에 마련되는 것인 배관용 방열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열판과 대면하는 상기 제1 삽입홈의 내측 벽 및 상기 제2 방열판과 대면하는 상기 제2 삽입홈의 내측 벽에는 서멀 컴파운드가 도포되는 것인 배관용 방열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열판의 타측 단부에는 상기 제1 방열판의 면에 평행한 평면의 플레이트인 보조 방열판이 결합되는 것인 배관용 방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방열판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보조 방열판의 면과 평행한 제1 결합 플레이트 및 제2 결합 플레이트가 마련되고,
    상기 제1 결합 플레이트와 상기 제2 결합 플레이트는 서로 대면하도록 상기 보조 방열판의 상기 일측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방열판은 상기 제1 결합 플레이트와 상기 제2 결합 플레이트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보조 방열판과 결합되는 것인 배관용 방열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열판 및 상기 제2 방열판은 평면의 플레이트로 마련되고,
    상기 제1 고정부의 상기 타측 면에는 직선의 제1 삽입홈이 마련되며,
    상기 제2 고정부의 상기 타측 면에는 직선의 제2 삽입홈이 마련되고,
    상기 제1 고정부의 상기 타측 면에는 상기 제1 삽입홈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제3 삽입홈이 마련되고,
    상기 제2 고정부의 상기 타측 면에는 상기 제2 삽입홈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제4 삽입홈이 마련되는 것인 배관용 방열 장치.
KR1020190177930A 2019-12-30 2019-12-30 배관용 방열 장치 KR102329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930A KR102329132B1 (ko) 2019-12-30 2019-12-30 배관용 방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930A KR102329132B1 (ko) 2019-12-30 2019-12-30 배관용 방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167A true KR20210085167A (ko) 2021-07-08
KR102329132B1 KR102329132B1 (ko) 2021-11-19

Family

ID=76893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7930A KR102329132B1 (ko) 2019-12-30 2019-12-30 배관용 방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913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43247A1 (en) * 1993-09-14 1995-03-15 RACCORDERIE METALLICHE S.p.A. Releasable pipe-clamping collar
JP2010153443A (ja) * 2008-12-24 2010-07-08 Fujitsu Ltd 冷却装置、冷却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KR20130111035A (ko) * 2012-03-30 2013-10-1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동세관형 히트파이프 방열핀을 접착한 히트싱크
KR20140050227A (ko) * 2012-10-19 2014-04-29 문영록 열교환관
KR20140003964U (ko) * 2012-12-18 2014-06-26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방열기 구조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43247A1 (en) * 1993-09-14 1995-03-15 RACCORDERIE METALLICHE S.p.A. Releasable pipe-clamping collar
JP2010153443A (ja) * 2008-12-24 2010-07-08 Fujitsu Ltd 冷却装置、冷却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KR20130111035A (ko) * 2012-03-30 2013-10-1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동세관형 히트파이프 방열핀을 접착한 히트싱크
KR20140050227A (ko) * 2012-10-19 2014-04-29 문영록 열교환관
KR20140003964U (ko) * 2012-12-18 2014-06-26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방열기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9132B1 (ko) 2021-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04842B2 (en) Heat dissipation device for communication chassis
US20210341137A1 (en) Lamp
JP2008070016A (ja) 電装品ケース体の取付け構造およびその取付け構造を備えた空気調和機
JP3136311U (ja) 圧力に対する緩衝作用を備えた電子部品の水冷循環路の管体
CN101415313B (zh) 散热装置
CN211878562U (zh) 液冷散热系统及具有液冷散热系统的虚拟货币挖矿机
KR102329132B1 (ko) 배관용 방열 장치
US20210289667A1 (en) Electronic assembly and heat dissipation assembly thereof
CN219494027U (zh) 一种散热器及灯具
US20240052999A1 (en) Tire inflator for vehicles
US20180017245A1 (en) Lighting fixture
US20180288901A1 (en) Heat dissipation device having compact vapor chamber
CN216054989U (zh) 一种新能源汽车的动力电池包结构
CN215011217U (zh) 一种具有散热保护功能的机电设备
CN112388913B (zh) 热流道油缸冷却结构及其安装方法
CN217543778U (zh) 一种热管散热器
CN219550462U (zh) 一种led顶灯
CN220963101U (zh) 一种真空断路器散热器
CN219609581U (zh) 一种网络服务器的液冷式散热系统
CN212746728U (zh) 一种壁挂式防爆空调
CN210835956U (zh) 一种用于cpu的水冷机构
CN213185237U (zh) 用于箱式变电站的多重散热设备
CN218735405U (zh) 一体化综合智能电源管理终端
CN214676158U (zh) 一种基于冰蓄冷控制装置
CN218277665U (zh) 散热装置以及户外箱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