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4875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4875A
KR20210084875A KR1020190177358A KR20190177358A KR20210084875A KR 20210084875 A KR20210084875 A KR 20210084875A KR 1020190177358 A KR1020190177358 A KR 1020190177358A KR 20190177358 A KR20190177358 A KR 20190177358A KR 20210084875 A KR20210084875 A KR 20210084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region
pixel
driv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7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문수
김수현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7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4875A/ko
Priority to CN202011527714.XA priority patent/CN113130572A/zh
Priority to US17/134,454 priority patent/US11925060B2/en
Publication of KR20210084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48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60OLEDs integrated with inorganic light-sensitive elements, e.g. with inorganic solar cells or inorganic photodiodes
    • H10K59/65OLEDs integrated with inorganic image sens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6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lective means
    • H01L51/5271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01L27/32
    • H01L51/0097
    • H01L51/525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10K59/353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ical arrangement of the RGB subpix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50OLEDs integrated with light modulating elements, e.g. with electrochromic elements, photochromic elements or liquid crysta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Abstract

본 출원의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갖는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본체,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보조부재, 및 보조부재와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배치된 반사부재를 포함하고, 반사부재는 제1 영역 또는 제2 영역에 중첩되도록 이동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본체의 내부를 향해 출사되는 광을 외부로 반사시켜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1 영역과 제2 영역 간에 영상의 휘도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서 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감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출원은 영상을 출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사회가 본격적인 정보화 실대로 접어듦에 따라 대량의 정보를 처리 및 표시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하여 여러가지 다양한 평판 표시장치가 개발되어 각광받고 있다.
평판 표시장치는 제조 공정 중 발생하는 높은 열을 견딜 수 있도록 유리기판을 사용하므로 경량 박형화 및 유연성을 부여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기존의 유연성이 없는 유리기판 대신에 플라스틱 등과 같이 유연성이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 종이처럼 휘어져도 표시성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제조된 플렉서블(Flexible) 표시장치가 차세대 평판 표시장치로 급부상중이다.
한편, 최근에는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이용하여 영상이 출사되는 전면부를 풀 스크린 디스플레이(Full Screen Display)로 구현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풀 스크린 디스플레이(Full Screen Display)는 전면부에 돌출되도록 배치된 카메라와 같은 부수장치를 본체의 내부(또는 디스플레이의 하부)에 배치시킴으로써 전면부에 돌출되는 구성 없이 스크린으로만 전면을 구현한 영상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풀 스크린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외부로 돌출되는 부수장치가 없으므로 디자인적인 측면에서 사용자에게 만족감을 줄 수 있고, 부수장치를 돌출시키기 위한 홀을 디스플레이 전면부에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조 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풀 스크린 디스플레이는 카메라와 같은 부수장치가 본체의 내부(또는 디스플레이의 하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부수장치와 중첩되는 디스플레이의 중첩영역이 투명하게 구비될 수 밖에 없고, 이렇게 되면 디스플레이의 중첩영역과 나머지 영역에서 출사되는 영상 간에 휘도 차이가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이질감을 줄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출원은 사용자에게 이질감을 주지 않으면서 풀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갖는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본체,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보조부재, 및 보조부재와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배치된 반사부재를 포함하고, 반사부재는 제1 영역 또는 제2 영역에 중첩되도록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보조부재 사이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1 영역 또는 제2 영역에 중첩되도록 반사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본체의 내부를 향해 출사되는 광을 외부로 반사시켜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1 영역과 제2 영역 간에 영상의 휘도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줄여서 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감을 높일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본 출원의 효과 외에도, 본 출원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선 Ⅰ-Ⅰ의 개략적인 일부 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F부분의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2c는 도 2a의 G부분의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a의 일부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a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반사부재와 이동부재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b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반사부재와 이동부재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5a는 본 출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반사부재와 이동부재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5b는 본 출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반사부재와 이동부재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6a는 본 출원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반사부재와 이동부재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6b는 본 출원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반사부재와 이동부재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드라이브IC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드라이브IC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드라이브IC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0a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드라이브IC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0b는 도 10a의 드라이브IC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본 출원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출원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예들은 본 출원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출원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출원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출원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출원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출원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출원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구성요소는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본 출원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의 여러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선 Ⅰ-Ⅰ의 개략적인 일부 단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F부분의 개략적인 확대도이고, 도 2c는 도 2a의 G부분의 개략적인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2a의 일부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패널(2), 본체(3), 보조부재(4), 및 반사부재(5)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은 제1 영역(21)과 제2 영역(22)을 포함한다. 상기 반사부재(5)는 상기 제1 영역(21) 또는 제2 영역(22)에 중첩되도록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반사부재(5)는 이동부재(6)에 의해 이동되어서 제1 영역(21) 또는 제2 영역(22)에 중첩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영역(22)에서 출사되는 제2 영상 광(L2, 도 2a에 도시됨)은 디스플레이 패널(2)의 외부에 위치된 사용자를 향해 출사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21)에서 출사되는 제1 영상 광(L1, 도 2a에 도시됨)은 제1 영역(21)에서 사용자를 향해 직접 출사되는 제1 서브 영상 광(L11), 및 본체(3)의 내부(또는 반사부재(5))를 향해 출사되어 반사부재(5)에 반사된 후 사용자 쪽으로 출사되는 제2 서브 영상 광(L12)이 합쳐진 광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영상 광(L1)은 최종적으로 사용자를 향해 출사될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22)은 디스플레이 패널(2)이 일면 발광이기 때문에 사용자를 향해 제2 영상 광(L2)을 직접 출사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제1 영역(21)은 디스플레이 패널(2)이 양면 발광이기 때문에 사용자를 향해 직접 출사되는 제1 서브 영상 광(L11)과 반사부재(5)를 통해 간접적으로 출사되는 제2 서브 영상 광(L12)이 합쳐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사용자(미도시)가 디스플레이 패널(2)로부터 Z축방향(도 2a에 도시됨)으로 외측에 위치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Z축방향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의 두께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X축방향(도 2a에 도시됨)은 상기 Z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의 가로 방향 길이(또는 폭)을 의미할 수 있다. Y축방향(도 2a에 도시됨)은 상기 Z축방향 및 상기 X축방향 각각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의 세로 방향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은 영상 광을 출사하는 표시장치일 수 있다. 상기 영상 광은 제1 영상 광(L1)과 제2 영상 광(L2)을 합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은 플라스틱 등과 같이 유연성이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 종이처럼 휘어져도 표시성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제조된 플렉서블(Flexible)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2)은 전체적으로 사각판형일 수 있으나, 다른 형태일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의 제1 영역(21)은 상기 보조 부재(4)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2)의 일부 영역으로, 양면 발광이기 때문에 투명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2)의 제1 영역(21)에서 본체(3)의 내부로 출사된 제2 서브 영상 광(L12)은 반사부재(5)에 반사되어 제1 영역(21)을 통해 외부로 출사될 수 있고, 외광(미도시)은 제1 영역(21)을 통해 보조부재(4)로 입사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의 제2 영역(22)은 디스플레이 패널(2)에서 상기 제1 영역(21)을 제외한 영역으로, 일면 발광이기 때문에 불투명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패널(2)의 제2 영역(22)은 상부 발광(Top emission) 방식으로 구비됨으로써, 출사하는 제2 영상 광(L2)이 사용자를 향해 출사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2)의 제1 영역(21)은 제2 영역(22)보다 크기가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보조부재(4)가 본체(3)에 비해 크기가 작기 때문이다.
한편, 제1 영역(21)은 디스플레이 패널(2)의 가장자리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21)을 기준으로 양측에는 제2 영역(22)이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1 영역(21)은 디스플레이 패널(2)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보조부재(4)도 디스플레이 패널(2)의 가장자리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의 제1 영역(21)과 제2 영역(22)은 본체(3)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영역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패널(2)의 제1 영역(21)과 제2 영역(22)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2)이 출력하는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도 1에서 상기 본체(3)의 일부는 베젤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22)은 일면 발광이기 때문에 출사하는 제2 영상 광(L2)이 모두 사용자 쪽으로 출사될 수 있지만, 제1 영역(21)은 양면 발광이기 때문에 제2 서브 영상 광(L12)의 일부가 반사부재(5) 쪽으로 출사될 수 있고, 반사부재(5)에 반사된 광 중 일부가 디스플레이 패널(2)의 제1 영역(21)을 투과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영상 광(L1)의 휘도는 제2 영상 광(L2)의 휘도보다 낮을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는 카메라와 같은 보조부재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내부에 배치되지 않고 외부로 돌출되기 때문에 본 출원의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제1 영역(21)과 같이 보조부재에 중첩되면서 영상을 출력하는 구성이 아예 없거나 보조부재에 중첩되는 영역이 있더라도 영상이 출력되지 않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제1 영상 광(L1)의 휘도가 제2 영상 광(L2)의 휘도보다 낮긴 하지만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해 제1 영역(21)에서도 영상 광이 출사되므로 사용자가 제1 영역(21)과 제2 영역(22)에서 출력되는 영상에 대한 이질감을 갖지 못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드라이브IC 및 박막트랜지스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제1 영역(21)과 제2 영역(22) 간의 휘도 차이를 줄일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영상에 대한 이질감을 갖지 못하도록 영상을 일체감있게 구현하여서 사용자의 만족감을 높일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제1 영역(21)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부재(4)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외광이 제1 영역(21)을 통해서 보조부재(4)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제1 영역(21)은 상기 보조부재(4)가 본체(3)의 내부에서 어디에 배치되는냐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2)에서 배치되는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21)은 복수개의 제1 픽셀(P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22)은 복수개의 제2 픽셀(P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제1 영역(21)과 제2 영역(22)에서 모두 영상 광을 출사하도록 구비되므로, 제1 픽셀(P1)과 제2 픽셀(P2)의 크기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픽셀(P1)의 폭(PW1, 도 2b에 도시됨)은 제2 픽셀(P2)의 폭(PW2, 도 2c에 도시됨)과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제1 영역(21)과 제2 영역(22) 각각에서 출사되는 영상 광에 대해 사용자가 이질감을 갖지 못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픽셀(P1)은 기판(P11), 제1 전극(P12), 뱅크(P13), 유기발광층(P14), 제2 전극(P15), 봉지층(P16), 및 제1 박막트랜지스터(P1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P11)은 플라스틱 필름(plastic film), 또는 실리콘과 같은 반도체 기판일 수 있다. 상기 기판(P11)은 외광을 투과시키고 반사부재(5)에 의해 반사된 제2 서브 영상 광(L12)을 투과시키기 위해 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기판(P11) 상에는 복수의 서브 화소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기판(P11)은 적색 광을 발광하는 제1 서브 화소(P11a, 도 2b에 도시됨), 녹색 광을 발광하는 제2 서브 화소(P11b, 도 2b에 도시됨), 및 청색 광을 발광하는 제3 서브 화소(P11c, 도 2b에 도시됨)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 화소(P11a), 제2 서브 화소(P11b), 및 제3 서브 화소(P11c)는 상기 기판(P11) 상에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 화소(P11a), 상기 제2 서브 화소(P11b), 및 제3 서브 화소(P11c) 각각은 제1 전극(P12), 유기발광층(P14), 및 제2 전극(P1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판(P11)은 복수개의 제1 박막 트랜지스터(P17), 각종 신호 배선들, 및 커패시터 등을 포함하는 회로 소자가 서브 화소 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신호 배선들은 게이트 라인, 데이터 라인, 전원 라인, 및 기준 라인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제1 박막 트랜지스터(P17)는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 및 센싱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서브 화소들은 게이트 라인들과 데이터 라인들의 교차 구조에 의해 정의된다.
상기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는 상기 게이트 라인에 공급되는 게이트 신호에 따라 스위칭되어 상기 데이터 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전압을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는 상기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전압에 따라 스위칭되어 상기 전원 라인에서 공급되는 전원으로부터 데이터 전류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전극(P12)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센싱 박막 트랜지스터는 화질 저하의 원인이 되는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 편차를 센싱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게이트 라인 또는 별도의 센싱 라인에서 공급되는 센싱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의 전류를 상기 기준 라인으로 공급한다.
상기 커패시터는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에 공급되는 데이터 전압을 한 프레임 동안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 및 소스 단자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제1 박막 트랜지스터(P17)는 제1 서브 박막 트랜지스터, 제2 서브 박막 트랜지스터, 및 제3 서브 박막 트랜지스터는 기판(P11)에서 개별 서브 화소(P11a, P11b, P11c) 별로 배치된다. 일 예에 따른 제1 서브 박막 트랜지스터는 제1 서브 화소(P11a) 상에 배치되는 제1 서브 전극에 연결되어서 제1 서브 화소(P11a)에 해당하는 색의 광을 발광시키기 위한 구동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2 서브 박막 트랜지스터는 제2 서브 화소(P11b) 상에 배치되는 제2 서브 전극에 연결되어서 제2 서브 화소(P11b)에 해당하는 색의 광을 발광시키기 위한 구동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3 서브 박막 트랜지스터는 제3 서브 화소(P11c) 상에 배치되는 제3 서브 전극에 연결되어서 제3 서브 화소(P11c)에 해당하는 색의 광을 발광시키기 위한 구동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1 서브 화소(P11a), 제2 서브 화소(P11b), 및 제3 서브 화소(P11c) 각각은 각각의 서브 박막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게이트 라인으로부터 게이트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데이터 라인의 데이터 전압에 따라 유기발광층에 소정의 전류를 공급한다. 이로 인해, 상기 제1 서브 화소(P11a), 상기 제2 서브 화소(P11b), 및 제3 서브 화소(P11c) 각각의 유기발광층은 소정의 전류에 따라 소정의 밝기로 발광할 수 있다.
제1 전극(P12)은 상기 기판(P11) 상에 형성되어 있다. 일 예에 따른 제1 전극(P12)은 외광을 투과시키거나 반사부재(5)에 반사된 제2 서브 영상 광(L12)을 외부로 투과시키기 위해 투명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전극(P12)은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ITO, IZO와 같은 투명한 금속물질(TCO,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P12)은 제1 서브 화소(P11a)에 구비되는 제1 서브 전극, 제2 서브 화소(P11b)에 구비되는 제2 서브 전극, 및 제3 서브 화소(P11c)에 구비되는 제3 서브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 전극은 기판(P11) 상에 형성되어서 기판(P11)의 일부를 관통하는 콘택홀을 통해 제1 서브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에 접속된다.
제2 서브 전극은 기판(P11) 상에 형성되어서 기판(P11)의 일부를 관통하는 콘택홀을 통해 제2 서브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에 접속된다.
제3 서브 전극은 기판(P11) 상에 형성되어서 기판(P11)의 일부를 관통하는 콘택홀을 통해 제3 서브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에 접속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내지 제3 트랜지스터는 N-type의 TFT일 수 있다.
만약, 상기 제1 내지 제3 서브 박막 트랜지스터가 P-type의 TFT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3 서브 전극 각각은 상기 제1 내지 제3 서브 박막 트랜지스터 각각의 드레인 전극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내지 제3 서브 전극 각각은 상기 제1 내지 제3 서브 박막 트랜지스터의 타입에 따라 소스 전극이나 드레인 전극에 연결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상기 제1 서브 화소(P11a), 제2 서브 화소(P11b), 제3 서브 화소(P11c)를 구분하기 위한 복수의 뱅크(P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뱅크(P13)는 제1 서브 전극, 제2 서브 전극, 제3 서브 전극 각각의 가장자리를 덮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제1 서브 화소(P11a)와 제2 서브 화소(P11b)와 제3 서브 화소(P11c)를 구분할 수 있다. 상기 뱅크(P13)는 서브 화소 즉, 발광부를 정의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뱅크(P13)가 형성된 영역은 광을 발광하지 않으므로 비발광부로 정의될 수 있다. 뱅크(P13)는 아크릴 수지(acryl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 수지(polyamise resin), 폴리이미드 수지(polyimide resin) 등의 유기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21)은 투명하게 구비되어야 하므로, 상기 제1 영역(21)에 배치되는 뱅크(P13)는 투명하게 구비될 수 있다.
유기발광층(P14)은 제1 전극(P12) 상에 배치된다. 일 예에 따른 유기발광층(P14)은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HTL), 발광층(light emitting layer, EML), 정공차단층(hole blocking layer, HBL), 및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 ETL)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발광층(P14)은 정공주입층(hole injecting layer, HIL), 전자차단층(electron blocking layer, EBL) 및 전자주입층(electron injecting layer, EIL)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유기발광층(P14)의 정공주입층(HIL), 정공수송층(HTL), 전자수송층(ETL) 및 전자주입층(EIL)은 발광층(EML)의 발광 효율을 향상하기 위한 것으로서, 정공수송층(HTL)과 전자수송층(ETL)은 전자와 정공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것이고, 정공주입층(HIL)과 전자주입층(EIL)은 전자와 정공의 주입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정공주입층(HIL)은 양극 재료로부터 주입되는 정공의 주입에너지 장벽을 낮추어 정공주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정공수송층(HTL)은 양극으로부터 주입된 정공이 손실되지 않고 발광층으로 수송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발광층(EML)은 양극으로부터 주입된 정공과 음극으로부터 주입된 전자의 재결합을 통해 빛을 방출하는 층으로, 발광층 내의 결합에너지에 따라 적색, 청색, 녹색의 빛을 방출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발광층을 구성하여 백색 발광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정공차단층(HBL)은 발광층(EML)과 전자수송층(ETL) 사이에 구비되어서 발광층(EML)에서 전자와 결합하지 못한 정공의 이동을 억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자차단층(EBL)은 발광층(EML)과 정공수송층(HTL) 사이에 구비되어서 전자가 발광층(EML)에서 정공수송층(HTL) 쪽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전자를 발광층(EML)에 가둬두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자수송층(ETL)은 음극으로부터 주입된 전자를 발광층으로 수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자주입층(EIL)은 전자 주입 시 전위 장벽을 낮추어 음극으로부터 전자의 주입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1 전극(P12)에 고전위 전압이 인가되고 제2 전극(P15)에 저전위 전압이 인가되면 정공과 전자가 각각 정공수송층과 전자수송층을 통해 유기발광층(P14)으로 이동되며, 유기발광층(P14)에서 서로 결합하여 발광하게 된다.
상기 유기발광층(P14)은 제1 서브 전극 상에 구비되는 제1 유기발광층(P14a), 제2 서브 전극 상에 구비되는 제2 유기발광층(P14b), 및 제3 서브 전극 상에 구비되는 제3 유기발광층(P14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기발광층(P14a), 상기 제2 유기발광층(P14b), 및 상기 제3 유기발광층(P14c)은 하나의 픽셀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픽셀은 적색 광, 녹색 광, 청색 광이 조합되어 백색 광을 구현할 수 있는 하나의 픽셀을 의미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1 내지 제3 유기발광층(P14a, P14b, P14c) 각각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전자차단층, 발광층, 정공차단층, 전자수송층, 및 전자주입층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유기발광층(P14a), 상기 제2 유기발광층(P14b), 및 상기 제3 유기발광층(P14c) 각각이 적색(R) 광, 녹색(G) 광, 및 청색(B) 광을 발광하도록 구비될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3 서브 전극들에 대한 상기 제1 내지 제3 유기발광층들(P14a, P14b, P14c)의 배치 순서를 다양하게 조합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기발광층(P14a), 상기 제2 유기발광층(P14b), 및 상기 제3 유기발광층(P14c) 각각이 적색(R) 광, 녹색(G) 광, 및 청색(B) 광을 발광함에 따라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컬러 필터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컬러 필터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컬러 필터를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외광의 투과도 및 제2 서브 영상 광(L12)의 투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P15)은 유기발광층(P14) 상에 배치된다. 일 예에 따른 제2 전극(P15)은 제1 서브 화소(P11a), 제2 서브 화소(P11b), 및 제3 서브 화소(P11c)에 공통적으로 형성되는 공통층이다. 제2 전극(P15)은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ITO, IZO와 같은 투명한 금속물질(TCO,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2b를 참조하면, 제2 전극(P15) 상에는 봉지층(P16)이 형성될 수 있다. 봉지층(P16)은 유기발광층(P14), 및 제2 전극(P15)에 산소 또는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봉지층(P16)은 적어도 하나의 무기막과 적어도 하나의 유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봉지층(P16)은 제1 무기막, 유기막, 및 제2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무기막은 제2 전극(P15)를 덮도록 형성된다. 유기막은 제1 무기막을 덮도록 형성된다. 유기막은 이물들(particles)이 제1 무기막을 뚫고 유기발광층(P14), 및 제2 전극(P15)에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충분한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무기막은 유기막을 덮도록 형성된다.
한편,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커버 글래스(CG)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글래스(CG)는 수분,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 및 외부 충격으로부터 봉지층(P16), 제2 전극(P15), 유기발광층(P14), 제1 전극(P12), 및 기판(P11)이 손상되지 않도록 상기 구성들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커버 글래스(CG)는 봉지층(P16)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글래스(CG)는 제2 영역(22)에도 배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외광이 보조부재(4) 쪽으로 투과되거나 반사부재(5)에 의해 반사된 제2 서브 영상 광(L12)이 외부로 출사되도록 제1 영역(21)이 투명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영역(21)에 배치되는 기판(P11), 제1 전극(P12), 뱅크(P13), 및 제2 전극(P15)은 투명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영역(21)에 배치되는 봉지층(P16)과 제1 박막트랜지스터(P17)도 투명하게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 박막트랜지스터(P17)가 제1 영역(21)이 아닌 제2 영역(22)에 배치될 수 있으면, 상기 제1 박막트랜지스터(P17)는 투명하게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제2 픽셀(P2)은 기판(P21), 제1 전극(P22), 뱅크(P23), 유기발광층(P24), 제2 전극(P25), 봉지층(P26), 및 제2 박막트랜지스터(P2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픽셀(P2)은 일면 발광이므로, 상기 제2 픽셀(P2)이 포함하는 구성들 중 일부가 불투명하게 구비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제1 픽셀(P1)이 포함하는 기판(P11), 제1 전극(P12), 뱅크(P13), 유기발광층(P14), 제2 전극(P15), 봉지층(P16), 및 제1 박막트랜지스터(P17)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불투명하게 구비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c를 참조하면, 제2 영역(22)은 보조부재(4)와 중첩되는 제1 영역(21)과 달리, 일면 발광이고, 사용자에 대한 영상 광의 휘도를 높이기 위해 불투명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픽셀(P2)은 유기발광층(P24)에서 발광하는 광이 모두 사용자 쪽으로 출사될 수 있도록 유기발광층(P24)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반사물질로 구비되거나 불투명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픽셀(P2)이 갖는 제1 전극(P22)은 반사전극으로 구비될 수 있고, 기판(P21), 뱅크(P23), 및 제2 박막 트랜지스터(P27)는 불투명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유기발광층(P24)의 위쪽에 배치되는 구성들 예컨대, 제2 픽셀(P2)의 제2 전극(P25)과 봉지층(P26)은 유기발광층(P24)에서 발광하여 상부 쪽으로 출사되는 광의 투과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제1 픽셀(P1)의 제2 전극(P15) 및 봉지층(P16)과 같이 투명하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2 픽셀(P2)의 유기발광층(P24)이 갖는 제1 유기발광층(P24a), 제2 유기발광층(P24b), 및 제3 유기발광층(P24c)은 제1 픽셀(P1)이 갖는 제1 유기발광층(P14a), 제2 유기발광층(P14b), 및 제3 유기발광층(P14c)과 같이 적색 광, 녹색 광, 및 청색 광을 발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제1 영역(21)이 투명하게 구비되고, 제2 영역(22)이 불투명하게 구비되어야 하므로, 제1 영역(21)에 배치되는 구성들과 제2 영역(22)에 배치되는 구성들 간에 공정 상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제1 영역(21)에 배치되는 기판(P11)은 투명해야 하고, 제2 영역(22)에 배치되는 기판(P21)은 불투명해야 하므로, 투명한 기판을 제1 영역(21)과 제2 영역(22)에 전면적으로 배치시킨 후 제2 영역(22)에 배치된 기판 위에만 불투명한 물질을 더 형성하여서 제1 영역(21)에 배치되는 기판(P11)은 투명하고, 제2 영역(22)에 배치되는 기판(P21)은 불투명하게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영역(21)에는 투명한 물질을 증착하여 투명한 기판(P11)을 형성하고, 제2 영역(22)에는 불투명한 물질을 증착하여 불투명한 기판(P21)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공정 방식과 유사하게, 제1 영역(21)에 배치되는 제1 전극(P12)과 뱅크(P13)는 투명하게 구비하고, 제2 영역(22)에 배치되는 제1 전극(P22)과 뱅크(P23)는 불투명하게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21)에 배치되는 제2 전극(P15)과 제2 영역(22)에 배치되는 제2 전극(P25)은 모두 투명하게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하나의 공정을 이용하여 제1 영역(21)과 제2 영역(22)에 투명하게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3)는 디스플레이 패널(2)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본체(3)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내부가 비어 있는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은 상기 본체(3)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본체(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은 레진, 양면 테이프 등과 같은 접착부재를 통해 상기 본체(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본체(3)는 수납 공간(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납 공간은 디스플레이 패널(2)을 구동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 배터리 등과 같은 구동장치, 및 보조부재(4)를 수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수납 공간은 디스플레이 패널(2)과 본체(3)에 의해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구동장치와 보조부재(4)를 수납할 수 있으면 본체(3)에 의해서만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본체(3)는 강성을 위해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경량화를 위해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본체(3)는 디스플레이 패널(2)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을 감싸도록 구비됨으로써, 외부 충격으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2)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본체(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의 최외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부재(4)는 본체(3)의 내부에 배치되는 장치들로, 예컨대, 카메라, 근접센서, 조도센서, 스피커 등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풀 스크린 디스플레이(Full Screen Display)로 구현되므로, 보조부재(4)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보조부재(4)를 본체(3)의 수납 공간에 배치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보조부재(4)가 카메라일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보조부재(4)가 본체(3)의 내부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3)의 아래에 배치되므로, 외광이 보조부재(4)에 입사될 수 있도록 제1 영역(21)이 투명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21)은 상기 보조부재(4)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보조부재(4)에 외광이 잘 입사될 수 있도록 보조부재(4)보다 더 큰 크기로 구비될 수도 있다. 반면, 제1 영역(21)이 보조부재(4)보다 작게 구비되면, 보조부재(4)에 입사되는 외광의 양이 감소되어 보조부재(4)가 센싱하는 외광의 양이 감소되므로 카메라 영상이 흐릿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부재(4)는 제1 영역(21)에 배치되는 기판(P11)으로부터 본체(3)의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상기 제1 영역(21)에서도 제1 영상 광(L1)이 출사되도록 제1 픽셀(P1)이 배치될 수 있는데, 상기 보조부재(4)가 기판(P11)에 접촉하게 배치되면 보조부재(4)와 기판(P11) 사이에 반사부재(5)가 배치될 수 없기 때문에 제1 영역(21)에서 본체(3)의 내부를 향해 출사되는 제2 서브 영상 광(L12)을 외부로 반사시킬 수 없다. 따라서, 보조부재(4)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P11)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고, 보조부재(4)와 기판(P11) 사이에는 반사부재(5)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반사부재(5)는 보조부재(4)와 디스플레이 패널(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반사부재(5)는 제2 서브 영상 광(L12)을 반사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반사부재(5)는 미러(mirror)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광을 반사시킬 수 있으면 금속물질로 구비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반사부재(5)는 제1 영역(21)에서 본체(3)의 내부 쪽으로 향하는 광을 반사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반사부재(5)에서 제1 영역(21)에 가장 가깝게 배치된 상면만이 반사물질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반사부재(5)는 반사물질과 다른 물질이 혼합된 구조로 구비될 수도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보조부재(4)와 중첩되게 배치되는 제1 영역(21)과 제2 영역(22) 간에 휘도 차이에 따른 이질감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제1 영역(21)에도 제1 픽셀(P1)이 배치되고, 제1 영역(21)의 아래에 배치되는 보조부재(4)가 외광을 흡수할 수 있도록 제1 영역(21)이 투명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영역(21)에서 출사되는 광 중 일부는 제1 서브 영상 광(L11)과 같이 외부로 직접 출사되고, 나머지는 제2 서브 영상 광(L12)과 같이 본체(3)의 내부(또는 보조부재(4))를 향해 출사될 수 있으므로, 제1 영역(21)에서 출사되는 제1 영상 광(L1)은 제2 영역(22)에서 출사되는 제2 영상 광(L2)에 비해 휘도가 낮을 수 밖에 없다. 예컨대, 반사부재(5)가 없다고 가정할 경우, 제2 영상 광(L2)의 휘도가 100이라 가정하면, 제1 영상 광(L1)의 휘도는 약 34.7 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영상 광(L1)의 휘도는 제1 서브 영상 광(L11)만의 휘도일 수 있고 이는, 제1 영상 광(L1)에서 본체(3)의 내부로 출사되는 제2 서브 영상 광(L12)을 외부로 출사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상기 제1 영상 광(L1)에서 본체(3)의 내부로 출사되는 제2 서브 영상 광(L12)의 휘도는 약 65.3 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휘도 값은 반사부재(5)가 없는 경우를 가정하여 시뮬레이션을 통해 산출된 값이다.
따라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제1 영역(21)과 보조부재(4) 사이에 반사부재(5)를 배치해서 본체(3)의 내부를 향하는 제2 서브 영상 광(L12)을 외부 쪽으로 반사시킴으로써, 제1 영역(21)의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2 영상 광(L2)의 휘도가 100이라 가정하면, 제1 영상 광(L1)의 휘도는 제1 서브 영상 광(L11)과 반사부재(5)에 의해 반사된 제2 서브 영상 광(L12)이 합산된 휘도이므로, 약 69.4 일 수 있다. 이는, 제1 영역(21)에 배치된 유기발광층(P14)에서 외부로 직접 출사되는 제1 서브 영상 광(L11)의 휘도가 약 34.7이고, 유기발광층(P14)에서 본체(3)의 내부(또는 보조부재(4))를 향해 출사되는 제2 서브 영상 광(L12)의 휘도가 약 65.3인데, 이러한 제2 서브 영상 광(L12)은 반사부재(5)에 반사되어 반사부재(5)보다 상측에 배치된 기판(P11), 제1 전극(P12), 유기발광층(P14), 제2 전극(P15), 봉지층(P16), 및 커버 글래스(CG)를 투과하면서 휘도가 약 34.7로 감소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제1 영상 광(L1)은 제1 서브 영상 광(L11)의 휘도인 34.7과 반사부재(5)에 반사되어 출사되는 제2 서브 영상 광(L12)의 휘도인 34.7이 합산되어 약 69.4가 될 수 있다. 즉, 제2 영상 광(L2)의 휘도가 100일 경우에 제1 영상 광(L1)의 휘도는 100미만인 69.4일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반사부재(5)에 반사된 제2 서브 영상 광(L12)은 투명하게 구비된 뱅크(P13)를 통해서도 외부로 출사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뱅크가 복수개의 서브 화소를 구분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뱅크 대신 트렌치(Trench)가 서브 화소들 사이에 구비됨으로써 서브화소들을 구분할 수도 있다. 트렌치는 제1 전극(P12, P22)들 사이에 배치된 기판(P11, P21)을 소정 깊이로 패터닝하여 제거함으로써, 서브화소와 서브화소를 구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전극(P15, P25)은 트렌치까지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반사부재(5)의 크기는 제1 영역(21)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부재(5)의 폭(W1)은 제1 영역(21)의 폭(W2)과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반사부재(5)는 유기발광층(P14)에서 본체(3)의 내부를 향해 출사되는 제2 서브 영상 광(L12)의 대부분을 외부로 반사시킬 수 있다. 만약, 반사부재(5)의 크기가 제1 영역(21)의 크기보다 작으면, 본체(3)의 내부를 향해 출사되는 제2 서브 영상 광(L12)이 반사부재(5)에 의해 전부 반사되지 못하고, 일부가 보조부재(4)로 입사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반사부재(5)에 반사되어 외부로 출사되는 제2 서브 영상 광(L12)의 양의 감소되기 때문에 제1 영상 광(L1)의 전체적인 휘도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반사부재(5)를 제1 영역(21)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더 크게 구비함으로써, 반사부재(5)에 반사되어 외부로 출사되는 제2 서브 영상 광(L12)의 양을 증가시켜서 제1 영상 광(L1)의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반사부재(5)는 제1 영역(21)과 중첩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보조부재(4)가 구동 시에는 보조부재(4)가 외광을 흡수할 수 있도록 반사부재(5)가 제1 영역(21)에 중첩되지 않게 다른 위치로 이동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이동부재(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a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반사부재와 이동부재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4b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반사부재와 이동부재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5a는 본 출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반사부재와 이동부재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5b는 본 출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반사부재와 이동부재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6a는 본 출원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반사부재와 이동부재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6b는 본 출원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반사부재와 이동부재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 도 4a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이동부재(6)는 반사부재(5)를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이동부재(6)는 제1 영역(21) 또는 제2 영역(22)에 중첩되도록 반사부재(5)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6)는 제1 영역(21)에 배치되는 기판(P11)과 제2 영역(22)에 배치되는 기판(P21)에 형성된 홈(H, 도 2a에 도시됨)에 배치되어서 상기 반사부재(5)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21)에 배치되는 기판(P11)과 제2 영역(22)에 배치되는 기판(P21) 중 적어도 일부는 다른 두께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영역(21)에 배치되는 기판(P11)과 제2 영역(22)에 배치되는 기판(P21)은 동일한 두께로 구비되고, 상기 기판들(P11, P12)과 지지부재(SP) 사이에 도 2a와 같이 홈(H)이 구비된 삽입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부재(6)는 삽입부재에 구비된 홈(H)에 삽입되어 반사부재(5)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홈(H)의 크기는 상기 반사부재(5)의 회전 반경과 같거나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홈(H)의 크기가 반사부재(5)의 회전 반경보다 작으면 반사부재(5)가 기판(P11, P21)에 걸려서 제2 영역(22)에 배치될 수 없기 때문이다. 상기 홈(H)은 이동부재(6)의 형태, 반사부재(5)를 이동시키는 방법, 및 반사부재(5)의 형태에 따라 크기와 형성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6)가 반사부재(5)를 이동시키는 방법과 반사부재(5)의 형태에 따라 본 디스플레이 장치(1)의 실시예가 구분될 수 있다. 예컨대, 이동부재(6)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이동부재(61), 제2 실시예에 따른 제2 이동부재(62),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제3 이동부재(63)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반사부재(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반사부재(51), 제2 실시예에 따른 제2 반사부재(52),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제3 반사부재(53)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이동부재(61)는 회전샤프트(611)와 구동부(6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샤프트(611)는 원기둥 형태로, Z축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면서 일측이 제2 영역(22)에 배치된 기판(P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제2 영역(22)에 배치된 지지부재(SP, 도 2a에 도시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SP)는 본체(3)의 내부에 설치되는 플레이트로, 제2 영역(22)에 배치되는 기판(P21)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SP)는 본체(3)에 결합되어 기판(P21)과 회전샤프트(611)를 지지할 수 있다. 반면, 제1 영역(21)에 배치되는 기판(P11)은 보조부재(4)와 반사부재(5)로 인해 지지부재(SP)에 결합될 수 없다. 상기 회전샤프트(611)는 상기 지지부재(SP)와 제2 기판(P21)에 지지된 상태에서 구동부(612)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612)는 회전샤프트(611)가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한다. 일 예에 따른 구동부(612)는 회전샤프트(611)와 나란하게 배치되어서 회전샤프트(611)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구동부(612)는 몸체부와 머리부를 포함하고, 몸체부는 지지부재(SP)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머리부는 톱니 형태의 기어로 형성되어 회전샤프트(611)에 형성된 홈에 치합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에서 제공하는 구동력에 의해 머리부가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샤프트(611)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부(612)는 모터일 수 있으나,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으면 다른 장치일 수도 있다.
한편,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예에 따른 제1 반사부재(51)는 하나의 육각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영역(21)보다 크게 구비되어 제2 서브 영상 광(L12)을 반사시킬 수 있으면 원형 등 다른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부재(4) 구동 시 제1 반사부재(51)가 제2 영역(22)에 중첩되기 위해서는 제1 반사부재(51)가 약 180도 각도로 회전되어야 한다. 따라서, 구동부(612)는 제1 반사부재(51)보다 Z축방향으로 더 아래에 배치되거나 더 위에 배치됨으로써, 제1 반사부재(51)의 회전 시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도 4b에서는 구동부(612)가 제1 반사부재(51)보다 아래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구동부(612)는 제1 반사부재(51)보다 위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4b와 같이 구동부(612)가 제1 반사부재(51)보다 아래에 배치될 경우, 제1 반사부재(51)와 지지부재(SP) 사이에는 구동부(612)가 배치되기 위한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도 4b에서는 구동부(612)가 회전샤프트(611)에 직접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상기 구동부(612)는 기어 또는 벨트 등과 같은 연결부재를 통해 회전샤프트(611)에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상기 구동부(612)는 보조부재(4)로 입사되는 외광에 간섭되지 않도록 제2 영역(22)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이동부재(61)는 1개의 구동부(612)와 1개의 반사부재(51)로 디스플레이 패널(2)의 제1 영역(21)과 보조부재(4) 사이를 개방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다음,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제2 이동부재(62)는 복수개의 피스톤(62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실시예에 따른 제2 반사부재(52)는 복수개의 서브 반사부재(5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서브 반사부재(521)가 합쳐진 형태는 전체적으로 육각 형태일 수 있고, 서브 반사부재(521)들 각각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반사부재(521)들은 복수개의 피스톤(621)에 의해 제2 영역(22)에 중첩되도록 이동될 수 있고, 반대로 제1 영역(21)에 중첩되도록 이동될 수도 있다. 상기 서브 반사부재(521)들은 보조부재(4)가 구동 시 제2 영역(22)에 중첩되도록 이동될 수 있고, 보조부재(4)가 구동하지 않을 경우 제1 영역(21)에 중첩되도록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피스톤(621)은 각각 서브 반사부재(521)에 결합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피스톤(621)은 서로 이격되며 제1 영역(21)을 둘러싸도록 제2 영역(22)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피스톤(621) 각각은 몸체부와 바(Ba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제1 영역(21)을 둘러싸도록 제2 영역(22)에서 지지부재(SP)에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바는 일측이 상기 몸체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서브 반사부재(521)에 결합될 수 있다. 보조부재(4) 구동 시 몸체부는 바를 제1 영역(21)에서 제2 영역(22) 쪽으로 당김으로써, 서브 반사부재(521)를 제2 영역(22)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서브 반사부재(521)들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서로 간의 간격이 더 멀어질 수 있다. 반대로, 보조부재(4)가 구동하지 않을 경우 몸체부는 바를 제2 영역(22)에서 제1 영역(21) 쪽으로 밀음으로써, 서브 반사부재(521)를 제1 영역(21)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서브 반사부재(521)들은 제1 영역(21)의 중심을 향해 이동됨으로써 피스톤(621)에 결합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들이 서로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a와 같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 서브 반사부재(521)들 사이에는 틈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유기발광층(P14)에서 본체(3)의 내부 쪽으로 향하는 제2 서브 영상 광(L12)을 외부 쪽으로 대부분 반사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피스톤(621)은 전기피스톤일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지지부재(SP)는 제1 지지부재(SP1)와 제2 지지부재(SP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부재(SP1)는 일 예에 따른 지지부재(SP)와 같이 본체(3)에 결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부재(SP2)는 피스톤(621)들과 서브 반사부재(521)들의 높이를 맞추기 위한 것으로, 피스톤(621)들과 제1 지지부재(SP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지지부재(SP2)는 보조부재(4)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더 두껍게 형성됨으로서, 피스톤(621)들과 서브 반사부재(521)들을 Y축방향과 거의 나란하게 배치시킬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제2 이동부재(62)는 제2 반사부재(52)의 아래에 배치되지 않기 때문에 제1 실시예에 비해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전체적인 두께를 줄일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제2 이동부재(62)가 피스톤인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유압 실린더 또는 공압 실린더를 이용한 실린더 방식, 모터와 볼 스크류(Ball Screw) 등을 이용한 볼 스크류 방식, 모터와 랙 기어(Rack Gear)와 피니언 기어(Pinion Gear) 등을 이용한 기어 방식, 모터와 풀리와 벨트 등을 이용한 벨트 방식, 코일과 영구자석 등을 이용한 리니어 모터(Linear Motor) 등으로 구비되어 복수개의 서브 반사부재(521)를 제1 영역(21)과 제2 영역(22)에 중첩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5a에서는 상기 복수개의 서브 반사부재(521)가 6개로 구비되어서 육각 형태로 구비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복수개의 서브 반사부재(521)는 2개 이상으로 구비되고, 형태도 유기발광층(P14)에서 본체(3)의 내부 쪽으로 향하는 제2 서브 영상 광(L12)을 외부 쪽으로 반사시킬 수 있으면 다른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예컨대, 2개의 서브 반사부재(521)가 사각 형태로 구비되어서 본체(3)의 내부 쪽으로 향하는 제2 서브 영상 광(L12)을 외부 쪽으로 반사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음,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제3 이동부재(63)는 제1 회전샤프트(631), 제2 회전샤프트(632), 제1 구동부(633), 및 제2 구동부(63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실시예에 따른 제3 반사부재(53)는 제1 서브 반사부재(531)와 제2 서브 반사부재(5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 반사부재(531)와 제2 서브 반사부재(532) 각각은 사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 반사부재(531)와 제2 서브 반사부재(532)가 서로 접촉되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21)보다 큰 사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서브 반사부재(531)와 제2 서브 반사부재(532)는 본체(3)의 내부로 향하는 제2 서브 영상 광(L12)의 대부분을 제1 영역(21) 쪽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샤프트(631)는 원기둥 형태로, Y축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면서 일측이 제2 영역(22)에 배치된 기판(P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제2 영역(22)에 배치된 제1 구동부(63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샤프트(631)는 제1 영역(21)을 기준으로 양쪽에 배치된 기판(P21)과 제1 구동부(633)에 연결되기 위해 제1 영역(21)보다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샤프트(631)에는 상기 제1 서브 반사부재(531)의 일변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샤프트(631)가 제1 구동부(633)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제1 서브 반사부재(531)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1 서브 반사부재(531)가 시계방향으로 90도 이상 회전될 경우, 제1 서브 반사부재(531)의 일변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 서브 반사부재(531)의 타변은 제1 회전샤프트(631)와 Z축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서브 반사부재(531)가 반시계 방향으로 상기 회전 각도만큼 회전될 경우, 제1 서브 반사부재(531)의 타변은 제1 회전샤프트(631)와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서브 반사부재(531)는 제2 서브 반사부재(532)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샤프트(632)는 원기둥 형태로, Y축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면서 일측이 제2 영역(22)에 배치된 기판(P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제2 영역(22)에 배치된 제2 구동부(63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샤프트(632)는 제1 회전샤프트(631)와 같이 제1 영역(21)보다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회전샤프트(632)는 제1 회전샤프트(631)로부터 X축방향으로 제1 영역(21)과 동일한 길이로 이격되거나 제1 영역(21)보다 긴 길이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제1 서브 반사부재(531)와 제2 서브 반사부재(532)가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게 함으로써, 본체(2)의 내부로 향하는 제2 서브 영상 광(L12)을 제1 영역(21) 쪽으로 정확하게 반사시키기 위함이다.
만약, 제1 회전샤프트(631)와 제2 회전샤프트(632)가 제1 영역(21)의 길이보다 짧게 이격되어 있으면, 제1 서브 반사부재(531)와 제2 서브 반사부재(532)가 X축방향으로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되지 못하므로, 본체(2)의 내부로 향하는 제2 서브 영상 광(L12)이 제1 영역(21) 쪽으로 반사되지 못하고, 다른 쪽으로 반사되어 제1 영역(21)의 휘도 향상 효과가 저감될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샤프트(632)에는 상기 제2 서브 반사부재(532)의 일변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샤프트(632)가 제2 구동부(634)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제2 서브 반사부재(532)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2 서브 반사부재(532)가 반시계방향으로 90도 이상 회전될 경우, 제2 서브 반사부재(532)의 일변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 서브 반사부재(532)의 타변은 도 6b와 같이 제2 회전샤프트(632)와 Z축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서브 반사부재(532)가 시계 방향으로 상기 회전 각도 만큼 회전될 경우, 제2 서브 반사부재(532)의 타변은 제2 회전샤프트(632)와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서브 반사부재(532)의 타변은 제1 서브 반사부재(531)의 타변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부(633)는 제1 회전샤프트(631)가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한다. 일 예에 따른 제1 구동부(633)는 제1 회전샤프트(631)와 Y축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서 제1 회전샤프트(631)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구동부(633)는 몸체부와 머리부를 포함하고, 몸체부는 제2 지지부재(SP2)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머리부는 제1 회전샤프트(631)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에서 제공하는 구동력에 의해 머리부가 회전하면서 상기 제1 회전샤프트(631)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부(633)는 모터일 수 있으나,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으면 다른 장치일 수도 있다.
상기 제2 구동부(634)는 제2 회전샤프트(632)가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한다. 일 예에 따른 제2 구동부(634)는 제2 회전샤프트(632)와 Y축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서 제2 회전샤프트(632)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구동부(634)는 제1 구동부(633)와 동일한 구조로 구비되어서 제2 회전샤프트(632)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구동부(634)는 모터일 수 있으나,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으면 다른 장치일 수도 있다.
한편, 도 6b를 참조하면, 지지부재(SP)는 제1 지지부재(SP1)와 제2 지지부재(SP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부재(SP1)는 일 예에 따른 지지부재(SP)와 같이 본체(3)에 결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부재(SP2)는 제1 회전샤프트(631)와 제1 구동부(633)의 높이를 맞추기 위한 것으로, 제1 구동부(633)와 제1 지지부재(SP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지지부재(SP2)는 제2 회전샤프트(632)와 제2 구동부(634)의 높이를 맞추기 위한 것으로, 제2 구동부(634)와 제1 지지부재(SP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지지부재(SP2)는 보조부재(4)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더 두껍게 형성됨으로서, 제1 및 제2 구동부(633, 634)와, 제1 및 제2 회전샤프트(631, 632)를 Y축방향과 거의 나란하게 배치시킬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제3 이동부재(63)는 제3 반사부재(53)의 아래에 배치되지 않으나, 제1 서브 반사부재(531)와 제2 서브 반사부재(532)가 Z축방향으로 열리기 때문에 제1 실시예에 비해 제1 및 제2 회전샤프트(631, 632)와 기판(P11)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더 필요할 수 있다.
또한, 도 6b에서는, 상기 제1 서브 반사부재(531)와 제2 서브 반사부재(532)가 상측 방향으로 개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상기 제1 서브 반사부재(531)와 제2 서브 반사부재(532)는 하측 방향으로 개방되게 구비될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 상기 제1 서브 반사부재(531)와 보조부재(4)가 충돌하지 않도록 제1 서브 반사부재(531)와 보조부재(4)는 충돌하지 않는 거리만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제2 서브 반사부재(532)와 보조부재(4)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출원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제1 영역(21)과 반사부재(5)와 보조부재(4)가 Z축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보조부재(4)는 본체(3)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 보조부재(4)가 외광을 감지할 수 있도록 반사부재(5)와 보조부재(4) 사이에는 복수개의 반사판(또는 미러)이 배치되거나 다양한 형태의 반사판(또는 미러)이 배치될 수 있다.
도 7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드라이브IC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드라이브IC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드라이브IC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10a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드라이브IC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10b는 도 10a의 드라이브IC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b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드라이브IC(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라이브IC(7)는 복수개의 박막트랜지스터에 구동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드라이브IC(7)는 디스플레이 패널(2)에 연결됨으로서, 복수개의 박막트랜지스터에 구동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드라이브IC(7)는 본체(3)의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반사부재(5)가 본체(3)의 내부를 향해 출사되는 제2 서브 영상 광(L12)을 제1 영역(21) 쪽으로 출사시키더라도 제2 영역(22)에서 출사되는 제2 영상 광(L2)과 제1 영역(21)에서 출사되는 제1 영상 광(L1)은 약 30 정도의 휘도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제1 영역(21)에서 출사되는 제1 영상 광(L1)과 제2 영역(22)에서 출사되는 제2 영상 광(L2) 간의 휘도 차이를 줄여서 사용자가 영상에 대한 이질감을 갖지 않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드라이브IC(7)의 종류와 개수 또는 박막트랜지스터의 크기에 따라 제1 영역(21)에서 출사되는 제1 영상 광(L1)과 제2 영역(22)에서 출사되는 제2 영상 광(L2) 간의 휘도 차이를 줄이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드라이브IC(7)의 종류와 개수 또는 박막트랜지스터의 크기를 이용하여 제1 영상 광(L1)과 제2 영상 광(L2)과의 휘도 차이를 보상하는 실시예가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드라이브IC(7)는 휘도 보상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드라이브IC(71), 휘도 보상 제2 실시예에 따른 제2 드라이브IC(72), 휘도 보상 제3 실시예에 따른 제3 드라이브IC(73), 및 휘도 보상 제4 실시예에 따른 제4 드라이브IC(71)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휘도 보상의 제1 실시예는 제1 영역(21)과 제2 영역(22)에 배치되는 박막트랜지스터의 크기를 달리하여서 제1 영역(21)의 휘도를 보상하는 실시예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휘도 보상의 제1 실시예는 제1 영역(21)에 배치되는 제1 박막트랜지스터(P17)와 제2 영역(22)에 배치되는 제2 박막트랜지스터(P27)가 1개의 제1 드라이브IC(7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박막트랜지스터(P17)의 크기가 제2 박막트랜지스터(P27)의 크기보다 더 크게 구비됨으로써, 제1 영상 광(L1)과 제2 영상 광(L2) 간의 휘도 차이를 보상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박막트랜지스터(P17)의 Y축방향 길이인 제1 길이(H1)를 제2 박막트랜지스터(P27)의 Y축방향 길이인 제2 길이(H2)보다 길게 구비하여 제1 박막트랜지스터(P17)의 크기를 제2 박막트랜지스터(P27)의 크기보다 크게 구비할 수 있다. 박막트랜지스터의 크기는 전류에 비례하므로, 1개의 제1 드라이브IC(71)에서 제1 박막트랜지스터(P17)와 제2 박막트랜지스터(P27)로 동일한 전압을 공급하여도 제2 박막트랜지스터(P27)보다 크기가 더 큰 제1 박막트랜지스터(P17)에 더 많은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제1 영역(21)에 배치된 유기발광층(P14)에서 발광하는 제1 휘도가 제2 영역(22)에 배치된 유기발광층(P24)에서 발광하는 제2 휘도보다 더 높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박막트랜지스터(P17)에 흐르는 제1 구동전류가 140이라면 제2 박막트랜지스터(P27)에 흐르는 제2 구동전류는 100일 수 있다. 이 경우, 제2 영역(22)에서 출사되는 제2 영상 광(L2)의 휘도를 100이라고 하면, 제1 영역(21)에서 출사되는 제1 영상 광(L1)은 유기발광층(P14)에서 외부로 직접 출사되는 제1 서브 영상 광(L11)의 휘도인 48.5와 반사부재(5)에 반사되어 제1 영역(21)으로 출사되는 제2 서브 영상 광(L12)의 휘도인 48.5가 합산되어 약 97 정도의 휘도가 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 제1 실시예의 휘도 보상 구조에 따르면 제1 영상 광(L1)과 제2 영상 광(L2) 간의 휘도 차이가 거의 없게 되므로, 사용자가 제1 영역(21)과 제2 영역(22) 각각에서 출사되는 영상에 대한 이질감을 갖지 못하므로 영상에 대한 만족감을 높일 수 있다.
한편, 휘도 보상 제1 실시예에 구비되는 제1 드라이브IC(71)는 256계조를 표현할 수 있는 8 bit 단일 드라이브IC일 수 있다.
다음, 도 8을 참조하면, 휘도 보상의 제2 실시예는 복수개의 드라이브IC를 구비하여 제1 영역(21)과 제2 영역(22) 각각에 인가하는 구동전압을 달리하여서 제1 영역(21)과 제2 영역(22) 간의 휘도 차이를 줄이는 실시예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휘도 보상의 제2 실시예는 제1 영역(21)이 발광하도록 제1 구동전압을 인가하는 제1 서브 드라이브IC(721)와 제2 영역(22)이 발광하도록 제2 구동전압을 인가하는 제2 서브 드라이브IC(7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 드라이브IC(721)와 제2 서브 드라이브IC(722)는 제2 드라이브IC(72)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 드라이브IC(721)는 제1 영역(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제1 구동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제1 영역(21)을 발광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서브 드라이브IC(722)는 제2 영역(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제2 구동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제2 영역(22)을 발광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구동전압은 제1 구동전압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영역(21)에 배치된 유기발광층(P14)에서 발광하는 제1 휘도가 제2 영역(22)에 배치된 유기발광층(P24)에서 발광하는 제2 휘도보다 더 높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제1 영역(21)에서 출사되는 제1 영상 광(21)과 제2 영역(22)에서 출사되는 제2 영상 광(22) 간의 휘도 차이를 줄여서 사용자가 영상에 대한 이질감을 갖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휘도 보상의 제2 실시예는 제2 영역(22)의 휘도를 낮춤으로써 제1 영역(21)과의 휘도 차이를 줄이는 것이다.
예컨대, 제2 서브 드라이브IC(722)는 제2 영역(22)에 약 69.4의 제2 구동전류가 흐르도록 구동전압을 인가하고, 제1 서브 드라이브IC(721)는 제1 영역(21)에 약 100의 제1 구동전류가 흐르도록 구동전압을 인가하면, 제2 영역(22)에서 출사하는 제2 영상 광(L2)의 휘도는 약 69.4가 되고, 제1 영역(21)에서 출사되는 제1 영상 광(L1)의 휘도는 제1 영역(21)에서 외부로 직접 출사되는 제1 서브 영상 광(L11)의 휘도인 34.7과 제1 영역(21)에서 반사부재(5)에 반사되어 출사되는 제2 서브 영상 광(L12)의 휘도인 34.7이 합산되어 약 69.4가 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 제2 실시예에 따른 휘도 보상 구조에 따르면 제1 영상 광(L1)과 제2 영상 광(L2) 간의 휘도 차이가 거의 없게 되므로, 사용자가 제1 영역(21)과 제2 영역(22) 각각에서 출사되는 영상에 대한 이질감을 갖지 못하므로 영상에 대한 만족감을 높일 수 있다. 다만, 제2 실시예에 따른 휘도 보상 구조는 제2 영역(22)과 제1 영역(21)의 휘도가 약 69.4로 전체 휘도가 100보다 낮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휘도 보상 제2 실시예에 구비되는 제1 서브 드라이브IC(721)와 제2 서브 드라이브IC(722)는 모두 256계조를 표현할 수 있는 8 bit 단일 드라이브IC일 수 있다. 즉, 휘도 보상 제2 실시예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 서브 드라이브IC(721, 722)는 동일한 드라이브IC일 수 있다.
다음, 도 9를 참조하면, 휘도 보상의 제3 실시예는 복수개의 드라이브IC를 구비하여 제1 영역(21)과 제2 영역(22) 각각에 인가하는 구동전압을 달리하여서 제1 영역(21)과 제2 영역(22) 간의 휘도 차이를 줄이는 실시예이다. 따라서, 휘도 보상의 제3 실시예는 복수개의 드라이브IC를 이용하여 제1 영역(21)과 제2 영역(22) 간의 휘도 차이를 줄이는 점에서 휘도 보상의 제2 실시예와 유사하다. 그러나, 휘도 보상의 제3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제1 서브 드라이브IC(731)는 제2 서브 드라이브IC(732)보다 더 높은 전압을 인가하는 고출력 드라이브IC일 수 있다. 즉, 휘도 보상의 제3 실시예와 제2 실시예가 다른 점은 최대 출력이 서로 다른 제1 서브 드라이브IC(731)와 제2 서브 드라이브IC(732)를 사용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휘도 보상의 제3 실시예는 제1 영역(21)이 발광하도록 제1 구동전압을 인가하는 제1 서브 드라이브IC(731)와 제2 영역(22)이 발광하도록 제2 구동전압을 인가하는 제2 서브 드라이브IC(7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 드라이브IC(731)와 제2 서브 드라이브IC(732)는 제3 드라이브IC(73)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 드라이브IC(731)는 제1 영역(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제1 구동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제1 영역(21)을 발광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서브 드라이브IC(732)는 제2 영역(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제2 구동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제2 영역(22)을 발광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구동전압은 제1 구동전압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영역(21)에 배치된 유기발광층(P14)에서 발광하는 제1 휘도가 제2 영역(22)에 배치된 유기발광층(P24)에서 발광하는 제2 휘도보다 더 높도록 구비될 수 있다.
휘도 보상의 제3 실시예가 휘도 보상의 제2 실시예와 다른 점은, 제2 실시예의 제1 서브 드라이브IC(721)와 제2 서브 드라이브IC(722)가 인가하는 제1 구동전압과 제2 구동전압보다 제3 실시예의 제1 서브 드라이브IC(731)와 제2 서브 드라이브IC(732)가 인가하는 제1 구동전압과 제2 구동전압이 더 큰 것이다. 즉, 휘도 보상의 제2 실시예는 제2 영역(22)의 휘도를 낮추어서 제1 영역(21)과의 휘도 차이를 줄이는 반면, 휘도 보상의 제3 실시예는 제1 영역(21)의 휘도를 높임으로써 제2 영역(22)과의 휘도 차이를 줄이는 것이다.
예컨대, 제2 실시예의 제1 서브 드라이브IC(721)는 100의 구동전류가 발생하도록 제1 박막트랜지스터(P17)에 구동전압을 인가하고, 제2 서브 드라이브IC(722)는 69.4의 구동전류가 발생하도록 제2 박막트랜지스터(P27)에 구동전압을 인가하는 반면, 제3 실시예의 제1 서브 드라이브IC(731)는 140의 구동전류가 발생하도록 제1 박막트랜지스터(P17)에 구동전압을 인가하고, 제2 서브 드라이브IC(732)는 100의 구동전류가 발생하도록 제2 박막트랜지스터(P27)에 구동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즉, 제2 실시예의 제2 드라이브IC(72)는 100 이하의 구동전류를 발생시키도록 구비되는 반면, 제3 실시예의 제3 드라이브IC(73)는 100 이상의 구동전류를 발생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실시예에 따른 휘도 보상에 따르면, 제2 영역(22)에서 출사하는 제2 영상 광(L2)의 휘도는 약 100이 되고, 제1 영역(21)에서 출사되는 제1 영상 광(L1)의 휘도는 제1 영역(21)에서 외부로 직접 출사되는 제1 서브 영상 광(L11)의 휘도인 48.5와 제1 영역(21)에서 반사부재(5)에 반사되어 출사되는 제2 서브 영상 광(L12)의 휘도인 48.5가 합산되어 약 97이 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 제3 실시예에 따른 휘도 보상 구조에 따르면 제1 영상 광(L1)과 제2 영상 광(L2) 간의 휘도 차이가 거의 없게 되므로, 사용자가 제1 영역(21)과 제2 영역(22) 각각에서 출사되는 영상에 대한 이질감을 갖지 못하므로 영상에 대한 만족감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제3 실시예에 따른 휘도 보상 구조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휘도보다 전체적으로 더 높은 휘도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감을 더 높일 수 있다.
다음,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휘도 보상의 제4 실시예는 1개의 드라이브IC를 이용하여 제1 영역(21)과 제2 영역(22) 각각에 인가하는 구동전압을 달리하여서 제1 영역(21)과 제2 영역(22) 간의 휘도 차이를 줄이는 실시예이다. 따라서, 휘도 보상의 제4 실시예는 1개의 드라이브IC를 이용하여 제1 영역(21)과 제2 영역(22) 간의 휘도 차이를 줄이는 점에서 휘도 보상의 제1 실시예와 유사하다. 그러나, 휘도 보상의 제4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제4 드라이브IC(74)는 제1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제1 드라이브IC(71)보다 더 높은 전압을 인가하는 드라이브IC를 이용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리고, 휘도 보상의 제1 실시예에서는 제1 박막트랜지스터(P17)와 제2 박막트랜지스터(P27)의 크기가 서로 다르게 구비되었으나, 휘도 보상의 제4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크기의 박막트랜지스터가 제1 영역(21)과 제2 영역(22)에 구비된 점에서도 차이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휘도 보상의 제4 실시예는 고전압을 인가할 수 있는 제4 드라이브IC(74)를 이용하여 제2 영역(22)에 제2 구동전압을 인가하고, 제1 영역(21)에는 제2 구동전압보다 높은 제1 구동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4 드라이브IC(74)는 10 bit 단일 드라이브IC일 수 있다.
상기 제4 드라이브IC(74)는 제1 영역(21) 및 제2 영역(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각각에 서로 다른 제1 구동전압과 제2 구동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예컨대, 제4 드라이브IC((74)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영역(22)에 하위 8 bit의 제2 구동전압을 인가하여서 제2 박막트랜지스터(P27)에 100 정도의 제2 구동전류가 흐르도록 할 수 있고, 제1 영역(21)에 상위 8 bit의 제1 구동전압을 인가하여서 제1 박막트랜지스터(P17)에 140 정도의 제1 구동전류가 흐르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제4 실시예에 따른 휘도 보상에 따르면, 제2 영역(22)에서 출사하는 제2 영상 광(L2)의 휘도는 약 100이 되고, 제1 영역(21)에서 출사되는 제1 영상 광(L1)의 휘도는 제1 영역(21)에서 외부로 직접 출사되는 제1 서브 영상 광(L11)의 휘도인 48.5와 제1 영역(21)에서 반사부재(5)에 반사되어 출사되는 제2 서브 영상 광(L12)의 휘도인 48.5가 합산되어 약 97이 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 제4 실시예에 따른 휘도 보상 구조에 따르면 제1 영상 광(L1)과 제2 영상 광(L2) 간의 휘도 차이가 거의 없게 되므로, 사용자가 제1 영역(21)과 제2 영역(22) 각각에서 출사되는 영상에 대한 이질감을 갖지 못하므로 영상에 대한 만족감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제4 실시예에 따른 휘도 보상 구조는 1개의 제4 드라이브IC(74)를 이용하므로 복수개의 드라이브IC를 이용하는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보다 제조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고, 서로 다른 크기의 박막트랜지스터를 이용하는 제1 실시예보다 제조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보조부재(4)가 구동되는 경우에도 디스플레이 패널(2)에서 영상 광이 출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반사부재(5)는 이동부재(6)에 의해 제2 영역(22)에 배치될 수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은 제1 내지 제4 휘도 보상 실시예를 이용하여 제1 영역(21)과 제2 영역(22) 간의 휘도 차이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보조부재(4) 쪽으로 입사되는 광은 외광뿐만 아니라 제1 영역(21)에서 출사되는 제2 서브 영상 광(L12)도 포함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보정 알고리즘을 통해 보조부재(4) 쪽으로 입사되는 제2 서브 영상 광(L12)만을 제거하여 보조부재(4)가 감지하는 외광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출원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출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디스플레이 장치
2: 디스플레이 패널 3: 본체
4: 보조부재 5: 반사부재
6: 이동부재 7: 드라이브IC
21: 제1 영역 22: 제2 영역

Claims (15)

  1.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갖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보조부재; 및
    상기 보조부재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배치된 반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부재는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에 중첩되도록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양면 발광이고, 상기 제2 영역은 일면 발광인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재의 크기는 상기 제1 영역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더 큰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제1 픽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제2 픽셀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픽셀과 상기 제2 픽셀의 크기는 동일한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픽셀 및 상기 제2 픽셀 각각은,
    제1 서브 화소, 제2 서브 화소, 및 제3 서브 화소를 구비한 기판;
    상기 기판 상에 구비된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의 가장자리를 덮도록 구비된 뱅크;
    상기 제1 전극 상에 배치된 유기발광층;
    상기 유기발광층과 상기 뱅크 상에 배치된 제2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상에 배치된 봉지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픽셀의 제1 전극은 반사전극이고,
    상기 제1 픽셀의 제1 전극은 투명전극인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발광층은,
    상기 제1 서브 화소에 배치된 제1 유기발광층;
    상기 제2 서브 화소에 배치된 제2 유기발광층;
    상기 제3 서브 화소에 배치된 제3 유기발광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유기발광층은 적색 광을 방출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 유기발광층은 녹색 광을 방출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3 유기발광층은 청색 광을 방출하도록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에 중첩되도록 상기 반사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반사부재에 결합되는 회전샤프트; 및
    상기 회전샤프트가 회전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재는 복수개의 서브 반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서브 반사부재들 각각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피스톤은 서로 이격되며 상기 제1 영역을 둘러싸도록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재는 제1 서브 반사부재와 제2 서브 반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제1 서브 반사부재의 일변에 결합되는 제1 회전샤프트;
    상기 제2 서브 반사부재의 일변에 결합되는 제2 회전샤프트;
    상기 제1 회전샤프트가 회전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구동부; 및
    상기 제2 회전샤프트가 회전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는 제1 박막트랜지스터;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는 제2 박막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1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 박막트랜지스터에 구동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드라이브IC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박막트랜지스터의 크기는 상기 제2 박막트랜지스터의 크기보다 큰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이 발광하도록 제1 구동전압을 인가하는 제1 서브 드라이브IC; 및
    상기 제2 영역이 발광하도록 제2 구동전압을 인가하는 제2 서브 드라이브IC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브 드라이브IC와 상기 제2 서브 드라이브IC는 동일한 드라이브IC이며,
    상기 제2 구동전압은 상기 제1 구동전압보다 작은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이 발광하도록 제1 구동전압을 인가하는 제1 서브 드라이브IC; 및
    상기 제2 영역이 발광하도록 제2 구동전압을 인가하는 제2 서브 드라이브IC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브 드라이브IC는 상기 제2 서브 드라이브IC보다 더 높은 전압을 인가하는 고출력 드라이브IC인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이 발광하도록 구동전압을 인가하는 드라이브IC를 포함하고,
    상기 드라이브IC는 상기 제2 영역에 제2 구동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제2 구동전압보다 높은 제1 구동전압을 인가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90177358A 2019-12-30 2019-12-30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8487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358A KR20210084875A (ko) 2019-12-30 2019-12-30 디스플레이 장치
CN202011527714.XA CN113130572A (zh) 2019-12-30 2020-12-22 显示设备
US17/134,454 US11925060B2 (en) 2019-12-30 2020-12-27 Display with movable reflective memb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358A KR20210084875A (ko) 2019-12-30 2019-12-30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4875A true KR20210084875A (ko) 2021-07-08

Family

ID=76547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7358A KR20210084875A (ko) 2019-12-30 2019-12-30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925060B2 (ko)
KR (1) KR20210084875A (ko)
CN (1) CN113130572A (ko)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3516B1 (ko) 2004-05-28 2006-05-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광차단막을 구비한 양면 표시 유기 전계발광 디스플레이장치 및 정보 기기
US7570882B2 (en) * 2005-02-28 2009-08-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hutter for miniature camera
US7697053B2 (en) * 2006-11-02 2010-04-13 Eastman Kodak Company Integrated display having multiple capture devices
DE102011089443B4 (de) * 2011-02-14 2016-12-01 Lg Display Co., Ltd. Anzeigevorrichtung
US9240162B2 (en) 2012-12-31 2016-01-19 Lg Display Co., Ltd.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170474B1 (ko) 2014-01-28 2020-10-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셔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CN109597268B (zh) * 2017-09-30 2020-09-22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显示装置
CN109979979B (zh) * 2019-03-28 2020-09-08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Oled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CN110365819A (zh) * 2019-06-18 2019-10-2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屏及显示装置
CN110379350B (zh) * 2019-07-25 2022-09-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色偏校正信息设定方法及装置、图像处理方法及装置、显示设备
CN110687710A (zh) * 2019-09-24 2020-01-14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3628550A (zh) * 2020-05-07 2021-11-09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3871428B (zh) * 2021-09-15 2023-04-0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130572A (zh) 2021-07-16
US20210202914A1 (en) 2021-07-01
US11925060B2 (en) 2024-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3455B1 (ko)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CN101257746B (zh) 带输入功能的有机场致发光装置及电子设备
EP2950349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973760B1 (ko)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JP2012058639A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とその駆動方法
KR102449131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CN103311267B (zh) 显示面板、显示装置和电子设备
US20190035872A1 (en) Display device
US11818934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230038926A1 (en) Display apparatus including semi-transmissive mirror
KR101830613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210202627A1 (en) Display apparatus
WO2019188416A1 (ja)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
US11653545B2 (en) Transparent display device
KR20210084875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077673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0787441B1 (ko) 유기 발광 장치
CN113130577B (zh) 显示设备
WO2019203027A1 (ja)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TWI234410B (en) Dual-display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KR20190085480A (ko) 표시장치 및 촬상장치
US20230231084A1 (en)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KR102102354B1 (ko)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71019A (ko) 유기발광표시패널
WO2020071026A1 (ja)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