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0474B1 - 카메라 셔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 Google Patents

카메라 셔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0474B1
KR102170474B1 KR1020140010593A KR20140010593A KR102170474B1 KR 102170474 B1 KR102170474 B1 KR 102170474B1 KR 1020140010593 A KR1020140010593 A KR 1020140010593A KR 20140010593 A KR20140010593 A KR 20140010593A KR 102170474 B1 KR102170474 B1 KR 102170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ors
shutter
layer
camera
color sh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0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9681A (ko
Inventor
박상준
안명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0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0474B1/ko
Publication of KR20150089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96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0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0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8Shutters
    • G03B9/10Blade or disc rotating or pivoting about axis normal to its plane
    • G03B9/14Two separate members moving in opposite dir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3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exposure time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셔터는, 복수의 제1섹터로 구분되는 제1전기변색층을 포함하는 제1셔터층, 그리고 상기 제1셔터층 상에 배치되며, 복수의 제2섹터로 구분되는 제2전기변색층을 포함하는 제2셔터층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1섹터는 셔터 동작 시 불투명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투명 상태로 색변이가 진행되며, 상기 복수의 제2섹터는 셔터 동작 시 투명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불투명 상태로 색변이가 진행된다.

Description

카메라 셔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CAMERA SHUTTER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카메라 셔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바일 기기에 적용되는 카메라 셔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셔터(shutter)는 렌즈를 통과한 빛이 센서에 의해 수광되는 양을 조절하는 장치이다.
카메라 셔터는 셔터 속도를 기계적으로 조절하는 기계식 셔터와 셔터 속도를 전기적으로 조절하는 전자식 셔터로 구분될 수 있다.
전자식 셔터는, 신호를 센서 내에서 차단한다. 이에 따라, 잡음의 발생 빈도가 높고, 사진의 선명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반해, 기계식 셔터는 센서에 수광되는 빛을 전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잡음이 적고, 사진의 선명도를 높일 수 있다.
최근 카메라가 탑재된 모바일 기기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모바일 카메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모바일 카메라는 모바일 기기에 탑재되는 특성 상 사이즈가 제약된다. 이에 따라, 모바일 카메라에는 상대적으로 사이즈가 큰 기계식 셔터 대신 사이즈가 작은 전자식 셔터가 주로 사용된다.
따라서, 모바일 카메라의 화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전자식 셔터의 문제를 해결하여 잡음 발생을 줄이고 사진 선명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카메라 셔터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화질 개선을 위한 카메라 셔터 및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셔터는, 복수의 제1섹터로 구분되는 제1전기변색층을 포함하는 제1셔터층, 그리고 상기 제1셔터층 상에 배치되며, 복수의 제2섹터로 구분되는 제2전기변색층을 포함하는 제2셔터층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1섹터는 셔터 동작 시 불투명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투명 상태로 색변이가 진행되며, 상기 복수의 제2섹터는 셔터 동작 시 투명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불투명 상태로 색변이가 진행된다.
상기 카메라 셔터에서, 상기 복수의 제1섹터 및 상기 복수의 제2섹터는 셔터 동작 시 동일한 방향으로 색변이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셔터에서, 상기 복수의 제1섹터 및 상기 복수의 제2섹터는 가장자리에서 중심 방향으로 색변이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셔터에서, 상기 복수의 제1섹터 및 상기 복수의 제2섹터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색변이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셔터에서, 상기 복수의 제1섹터 및 상기 복수의 제2섹터는 시간차를 두고 색변이가 진행되는 카메라 셔터.
상기 카메라 셔터에서, 상기 복수의 제1섹터가 상기 복수의 제2섹터보다 색변이가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셔터에서, 상기 제1셔터층은 상기 제1전기변색층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제1도전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셔터층은 상기 제2전기변색층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제2도전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1섹터 및 상기 복수의 제2섹터는, 상기 복수의 제1도전층 및 상기 복수의 제2도전층의 전극패턴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셔터에서, 상기 제1셔터층은 상기 복수의 제1도전층 사이에 배치되는 제1전해질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셔터층은 상기 복수의 제2도전층 사이에 배치되는 제2전해질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센서기판, 상기 센서기판 상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이미지 센서 상에 배치되는 렌즈모듈, 그리고 상기 이미지 센서와 상기 렌즈모듈 사이에 배치되며, 복수의 제1섹터로 구분되는 제1전기변색층을 포함하는 제1셔터층, 그리고 상기 제1셔터층 상에 배치되며, 복수의 제2섹터로 구분되는 제2전기변색층을 포함하는 제2셔터층을 포함하는 카메라 셔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섹터는 셔터 동작 시 불투명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투명 상태로 색변이가 진행되며, 상기 복수의 제2섹터는 셔터 동작 시 투명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불투명 상태로 색변이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상기 복수의 제1섹터 및 상기 복수의 제2섹터는 셔터 동작 시 동일한 방향으로 색변이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상기 복수의 제1섹터 및 상기 복수의 제2섹터는 시간차를 두고 색변이가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기변색소자를 이용하여 선막과 후막으로 구성되는 카메라 셔터를 구현함으로써, 이미지 센서로 수광되는 빛을 전적으로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며, 셔터 속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중심과 주변의 센서가 빛에 노출되는 시간이 동일하여 잡음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셔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셔터를 구성하는 전기변색소자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극패턴의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셔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셔터가 적용되는 카메라 모듈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셔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셔터를 구성하는 전기변색소자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극패턴의 예들을 도시한 것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셔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셔터(100)는 복수의셔터층(110, 120)을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의하여 복수의 셔터층(110, 120)을 각각 선막 셔터층(110)과 후막 셔터층(120)으로 명명하여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로서 한정되지 않는다.
각 셔터층(110, 120)은 전기변색소자(Electro Chromatic Device)로 마련될 수 있다.
전기변색소자는 전기 화학적 산화 및 환원 반응에 의해 재료의 광 특성이 가역적(reversibly)으로 변화할 수 있다. 전기변색소자는 전압이 인가되면, 전압에 의해 유도된 전하의 주입(injection)과 추출(extraction)을 통하여 그 광학적 특성(optical property)을 가역적으로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즉, 전기변색소자는 전기장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 색을 표시하지 않다가 전기장이 인가되면 색을 표시 할 수 있으며, 또는 이와 반대로 전기장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 색을 표시하다가 전기장이 인가되면 색이 소멸되는 특성을 가질 수도 있다.
도 2는 셔터층을 구성하는 전기변색소자의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선막셔터층(110)을 예로 들어 도시한 것이다. 한편, 후막 셔터층(120)은 선막 셔터층(110)과 동일한 구조의 전기변색소자로 형성되므로, 아래에서는 후막 셔터층(120)을 구성하는 전기변색소자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선막 셔터층(110)은 두 개의 도전층(10, 20)과, 두 개의 도전층(10, 20) 사이에 배치되는 전해질층(30) 및 전기변색층(40)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도전층(10, 20)은 기재(11, 21)의 일면에 전극층(12, 22)이 배치된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각 도전층(10, 20)을 구성하는 기재(11, 21)는 서로 이격되며, 마주보는 일면에 전극층(12, 22)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기재(11, 21)는 빛이 투과되는 투명 기재로서, 유리 또는 투명수지로 마련될수 있다. 투명 수지로는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phone, PES),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PAR),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PEI),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elenen naphthalate, PEN),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olyethyeleneterepthalate, PET),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폴리아릴레이트(polyall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C), 셀룰로오스 트리 아세테이트(TAC),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AP) 또는 이들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기재(11, 21)가 유리로 형성되는 경우, 유리 기재 내의 나트륨이 전극층(12, 22)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기재(11, 21)에서 전극층(12, 22)이 배치되는 면에는 실리콘 산화물(SiO2)이 코팅될 수도 있다.
각 전극층(12, 22)은 투명한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투명전극층으로 마련될 수 있다.
각 전극층(12, 22)은 각 기재(11, 21) 상에 투명한 도전성 물질을 스퍼터링, 전자빔 증착, 화학기상 증착, 졸-겔 코팅법 등의 방법으로 코팅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전극층(12, 22)을 구성하는 도전성 물질로는 ITO(indium doped tin oxide), ATO(antimony doped tin oxide), FTO(fluorine doped tin oxide), IZO(Indium doped zinc oxide), ZO(Zinc Oxide), ZnO, IO(Indium Tin), TiO(Titanium Oxide) 등과 같은 산화물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전극층(12, 22)을 구성하는 도전성 물질로는 CNT(Carbon Nanotube), 금속 나노와이어(metal nanowire), 전도성 고분자(Conductive Polymer) 등의 물질이 사용될 수도 있다.
전극층(12, 22) 사이에는 전해질층(30)과 전기변색층(40)이 배치될 수 있다.
전해질층(30)은 하부의 도전층(10)과 전기변색층(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전해질층(30)은 이온 전도를 위한 전해질(31)과 전해질(31)을 봉합하기 위한밀폐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전해질(31)은 전해질염을 용해시킨 액상전해질, 젤상전해질, 고상전해질 및 고분자전해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해질(31)은 실리카(silica, SiO), 플루오르화리튬(lithium fluoride, LiF) 등의 유전체형, 프로필렌카보네이트(Propylene Carbonate, PC)와 프로필렌에틸렌글리콜(Propylene Ethyelen Glycol, PEG)에 과염소산리튬(Lithium perchlorate, LiClO4)를 용해시킨 유기계 전해질 및 옥화리튬(lithium iodide, LiI), 리튬나이트라이드(lithium nitride, Li3N) 등의 무기계 전해질이 사용될 수 있다. 고체형 전해질로는 폴리머(polymer)가 사용될 수 있다.
전기변색층(40)은 전기변색물질을 포함하며, 전극층(12, 22)에 의해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색상이 가변하는 가변하여 광 투과성이 변한다.
전기변색층(40)을 구성하는 전기변색물질은 산화(또는 환원) 반응시 무색으로 변해 전기변색층(40)을 투명하게 하고, 환원(또는 산화) 반응 시 특정 색상 예를 들어, 검은색으로 변해 전기변색층(40)을 불투명하게 할 수 있다.
전기변색층(40)을 구성하는 전기변색물질로는 유기 전기변색물질(Organic EC material), 무기 전기변색물질(Inorganic EC material) 또는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전기변색물질이 사용되며, 전극(12, 22)에 의해 형성되는 전계에 의해 무색 또는 검은색으로 변색되는 물질이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전기변색층(40)을 형성하는 유기 전기변색물질은 폴리아닐린(Polyaniline), 폴리티오펜(polythiophene) 유도체, 비올로겐(viologen) 유도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변색층(40)을 형성하는 무기 전기변색물질은, 텅스텐(W), 니켈(Ni), 니오브(Nb), 바나듐(V), 티타늄(Ti), 알루미늄(Al), 규소(Si), 지르코늄(Zr), 세륨(Ce), 아연(Zn), 이트륨(Y) 등의 금속의 산화물을 적어도 1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전기변색층(40)이 무기 전기변색물질로 마련되는 경우, 산화-이온반응, 즉, 이온의 이동으로 인해 색이 변하기 때문에 전해질층(40)에 있는 이온이 전기변색층(40) 쪽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상대전극에서 이온을 보관할 수 있는 상대전극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대전극층은 전해질층(30)과 하부 전극층(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셔터(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기변색소자로 동작하는 선막 셔터층(110)과 후막 셔터층(120)을 구비하여, 선막 셔터층(110)과 후막 셔터층(120)의 열리고 닫히는 동작에 의해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센서(후술하는 도 7의 도면부호 200 참조)에서 수광하는 빛을 조절하는 포컬 플레인 셔터(Focal Plane Shutter)로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셔터층(110, 120)의 열리고 닫히는 동작은, 각 셔터층(110, 120)을 구성하는 전기변색층(40)의 변색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셔터층(110, 120)이 열리는 동작은, 전기변색층(40)이 투명으로 변하여 수행되고, 각 셔터층(110, 120)이 닫히는 동작은 전기변색층(40)이 불투명으로 변하여 수행될 수 있다.
각 셔터층(110, 120)은 복수의 섹터(sector)로 구분되며, 각 섹터 별로 독립적으로 변색을 제어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각 셔터층(110, 120)을 구성하는 복수의 섹터를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각 섹터 별로 변색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전극층(12, 22)의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각 셔터층(110, 120)의 전극층(12, 13)을 형성하는 예들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3은 셔터층(110, 120)이 원형으로 마련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셔터층(110, 120)이 사각형으로 마련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각 셔터층(110, 120)을 구성하는 전극층(12, 22)은 원형의 전극패턴(111 ~ 114, 121 ~ 124)에 의해, 가장자리부터 중심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섹터(115 ~ 119, 125 ~ 129)로 구분될 수 있다.
반면에, 도 4를 참조하면, 각 셔터층(110, 120)을 구성하는 전극층(12, 22)은 직선형상의 전극패턴(111 ~ 114, 121 ~ 124)에 의해, 좌측부터 우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섹터(115 ~ 119, 125 ~ 129)로 구분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에서는 전극패턴(111 ~ 114, 121 ~ 124)별로 전압을 인가 또는 차단하여 대응하는 각 섹터(115 ~ 119, 125 ~ 129)를 불투명 또는 투명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각 셔터층(110, 120)을 구성하는 전극층(12, 22)을 구동하여 카메라 셔터를 동작시키는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촬영이 시작되고 카메라 셔터의 초기 상태에서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막 셔터층(110)의 모든 섹터가 검은색이고, 후막 셔터층(120)의 모든 섹터가 투명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 카메라 셔터(100)는 전체적으로 불투명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카메라 셔터(100)가 동작하면, 선막 셔터층(110)은 도 5의 (b)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자리의 섹터부터 중심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투명해져 최종적으로는 모든 섹터가 투명해진다. 반면에, 후막 셔터층(120)은 도 5의 (c) 내지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자리 섹터부터 중심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불투명해져 최종적으로는 모든 섹터가 불투명해진다.
도 6을 참조하면, 촬영이 시작되고 카메라 셔터의 초기 상태에서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막 셔터층(110)의 모든 섹터가 검은색이고, 후막 셔터층(120)의 모든 섹터가 투명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 카메라 셔터(100)는 전체적으로 불투명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카메라 셔터(100)가 동작하면, 선막 셔터층(110)은 도 6의 (b)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왼쪽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투명해져 최종적으로는 모든 섹터가 투명해진다. 반면에, 후막 셔터층(120)은 도 6의 (c) 내지 (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왼쪽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불투명해져 최종적으로는 모든 섹터가 불투명해진다.
도 6에서는 선막 셔터층(110) 및 후막 셔터층(120)의 색변이 방향이 오른쪽으로 진행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카메라 셔터(100)가 사각형으로 구현되는 경우, 선막 셔터층(110) 및 후막 셔터층(120)의 색변이가 진행되는 방향은 왼쪽 방향과 같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진행되는 모든 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다.
한편, 카메라 셔터(100)는 선막 셔터층(110)과 후막 셔터층(120) 간의 변색되는 시간 차를 두어 셔터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를 예로 들면, 선막 셔터층(110)과 후막 셔터층(120)의 가장자리 섹터(도 3의 도면부호 115, 125 참조)가 색변이를 일으키는 시간을 다르게 함으로써, 이후 순차적으로 색변이를 일으키는 섹터들에도 자동적으로 색변이 시간차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도 6을 예로 들면, 선막 셔터층(110)과 후막 셔터층(120)의 가장 오른쪽 섹터(도 4의 도면부호 115, 125 참조)가 색변이를 일으키는 시간을 다르게 함으로써, 이후 순차적으로 색변이를 일으키는 섹터들에도 자동적으로 색변이 시간차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선막 셔터층(110)과 후막 셔터층(120)에서 대응하는 섹터 간의 색변이 시간차를 어떻게 두느냐에 따라서 셔터 속도가 느리게 또는 빠르게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막 셔터층(110)과 후막 셔터층(120)이 하나의 섹터만큼 시간차를 두고 색변이를 하는 경우에 비해, 두 개의 섹터만큼 시간차를 두고 색변이를 하는 경우 셔터 속도가 느리게 동작할 수 있다.
전술한 구조의 카메라 셔터(100)는 선막 셔터층(110)과 후막 셔터층(120)을 각각 구비하고, 두 셔터층(110, 120) 간의 변색 시간차를 이용하여 셔터를 구동함으로써, 선형의 포컬 플레인 셔터를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카메라 셔터(100)는 불투명 상태에서 이미지 센서(후술하는 도 7의 도면부호 200 참조)로 수광되는 빛을 전적으로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며, 리프셔터(leaf shutter)에 비해 상대적으로 빠른 셔터 속도를 낼 수 있고, 중심과 주변의 센서가 빛에 노출되는 시간이 동일하다.
또한, 전술한 구조의 카메라 셔터(100)는 두 셔터층(110, 120) 간의 색 변이 시간차를 조절하여 셔터 속도를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셔터가 적용되는 카메라 모듈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카메라 셔터(100), 이미지 센서(200), 센서기판(300) 및 렌즈모듈(4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센서(200)와 랜즈모듈(400) 사이에 카메라 셔터(10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카메라 모듈은 그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센서기판(300)은 이미지 센서(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패턴을 포함한다.
센서기판(300) 상에는 이미지 센서(2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200)는 렌즈모듈(400)을 통해 물체(object)의 영상 정보에 대응하는 광을 수광하고, 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미지 센서(200)는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금속산화물반도체(Metal-Oxide Semiconductor,MOS), 전하결합소자(Charge Coupled Device, CC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200) 상에는 렌즈모듈(400)이 배치될 수 있다.
렌즈모듈(400)은 물체의 영상 정보에 해당하는 광을 수광하고, 이를 이미지 센서(200)의 센서면으로 전달한다.
렌즈모듈(400)은 광축(Optic Axis)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모듈(400)에서 단일렌즈 양면의 곡률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은 각 단일렌즈의 광축이고, 각 렌즈의 광축을 연결하는 직선은 렌즈모듈(400)의 광축에 대응한다.
이미지 센서(200)와 렌즈모듈(400) 사이에는 카메라 셔터(100)가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셔터(100)는 선막 셔터층(110)과 후막 셔터층(120)을 각각 구비하고, 두 셔터층(110, 120) 간의 변색 시간차를 이용하여 셔터를 구동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카메라 셔터(100)의 위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카메라 셔터(100)의 위치는 가변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1)

  1. 복수의 제1섹터로 구분되는 제1전기변색층을 포함하는 제1셔터층, 그리고
    상기 제1셔터층 상에 배치되며, 복수의 제2섹터로 구분되는 제2전기변색층을 포함하는 제2셔터층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1섹터 및 상기 복수의 제2섹터는 각각 독립적으로 변색이 제어되며,
    상기 복수의 제1섹터 및 상기 복수의 제2섹터는 셔터 동작 시 동일한 방향으로 색변이가 진행되며,
    상기 복수의 제1섹터는 셔터 동작 시 불투명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투명 상태로 색변이가 진행되며,
    상기 복수의 제2섹터는 셔터 동작 시 투명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불투명 상태로 색변이가 진행되며,
    상기 복수의 제1섹터 및 상기 복수의 제2섹터는 시간차를 두고 색변이가 진행되는 카메라 셔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섹터 및 상기 복수의 제2섹터는 가장자리에서 중심 방향으로 색변이가 진행되는 카메라 셔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섹터 및 상기 복수의 제2섹터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색변이가 진행되는 카메라 셔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섹터가 상기 복수의 제2섹터보다 색변이가 빠르게 진행되는 카메라 셔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셔터층은 상기 제1전기변색층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제1도전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셔터층은 상기 제2전기변색층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제2도전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1섹터 및 상기 복수의 제2섹터는, 상기 복수의 제1도전층 및 상기 복수의 제2도전층의 전극패턴에 의해 구분되는 카메라 셔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셔터층은 상기 복수의 제1도전층 사이에 배치되는 제1전해질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셔터층은 상기 복수의 제2도전층 사이에 배치되는 제2전해질층을 더 포함하는 카메라 셔터.
  9. 센서기판,
    상기 센서기판 상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이미지 센서 상에 배치되는 렌즈모듈, 그리고
    상기 이미지 센서와 상기 렌즈모듈 사이에 배치되며, 복수의 제1섹터로 구분되는 제1전기변색층을 포함하는 제1셔터층, 그리고 상기 제1셔터층 상에 배치되며, 복수의 제2섹터로 구분되는 제2전기변색층을 포함하는 제2셔터층을 포함하는 카메라 셔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섹터 및 상기 복수의 제2섹터는 각각 독립적으로 변색이 제어되며,
    상기 복수의 제1섹터 및 상기 복수의 제2섹터는 셔터 동작 시 동일한 방향으로 색변이가 진행되며,
    상기 복수의 제1섹터는 셔터 동작 시 불투명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투명 상태로 색변이가 진행되며,
    상기 복수의 제2섹터는 셔터 동작 시 투명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불투명 상태로 색변이가 진행되며,
    상기 복수의 제1섹터 및 상기 복수의 제2섹터는 시간차를 두고 색변이가 진행되는 카메라 모듈.
  10. 삭제
  11. 삭제
KR1020140010593A 2014-01-28 2014-01-28 카메라 셔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KR102170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593A KR102170474B1 (ko) 2014-01-28 2014-01-28 카메라 셔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593A KR102170474B1 (ko) 2014-01-28 2014-01-28 카메라 셔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9681A KR20150089681A (ko) 2015-08-05
KR102170474B1 true KR102170474B1 (ko) 2020-10-28

Family

ID=53886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0593A KR102170474B1 (ko) 2014-01-28 2014-01-28 카메라 셔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04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7736B1 (ko) * 2016-09-02 2023-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카메라 모듈이 적용된 전자 장치 및 이의 운용 방법
CN111290187A (zh) * 2018-12-10 2020-06-1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背板和电子设备
WO2021057624A1 (zh) * 2019-09-27 2021-04-0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摄像头模组、电致变色元件及其制备方法
KR20210084875A (ko) 2019-12-30 2021-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92997A (ja) 2006-04-25 2007-11-08 Fujinon Corp 光学鏡胴、結像光学システム、および撮影装置
JP2009116258A (ja) 2007-11-09 2009-05-28 Olympus Corp 絞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62340A (ja) * 1985-09-13 1987-03-19 Canon Inc カメラのフアインダ
KR20090031045A (ko) * 2007-09-21 2009-03-25 주식회사 단석산업 다중 패턴을 가진 카메라용 전기변색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US8223217B2 (en) * 2009-07-30 2012-07-17 Motorola Mobility, Inc. Solid state shutter devices and method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92997A (ja) 2006-04-25 2007-11-08 Fujinon Corp 光学鏡胴、結像光学システム、および撮影装置
JP2009116258A (ja) 2007-11-09 2009-05-28 Olympus Corp 絞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9681A (ko) 2015-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95019B1 (en) Electrochromic device
KR102170474B1 (ko) 카메라 셔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US10871696B2 (en) Electrochromic device
US20170219901A1 (en) Optical element and imaging device
US11099450B2 (en) Electrochromic device
US10935863B2 (en) Electrochromic device
WO2018092621A1 (ja)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装置、レンズユニット、撮像装置、窓材及び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素子の駆動方法
KR101598025B1 (ko) 장파장 적외선의 투과도를 조절하는 전기변색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CN102385210B (zh) 光圈及采用该光圈的相机模组
US10539852B2 (en) Electrochromic element, optical filter, lens unit, imaging device, and window component
TWI688818B (zh) 攝像鏡頭模組及其電致變色光圈調整器
KR102034444B1 (ko) 전기변색소자
KR20150117475A (ko) 전기변색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CN212675329U (zh) 一种电致变色器件以及显示装置
KR102397828B1 (ko) 변색성능이 향상된 전기 변색소자 및 이의 구동방법
WO2019172133A1 (ja)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素子およびスマートウィンドウ
KR102126683B1 (ko) 전기변색소자의 구동방법
KR102353276B1 (ko) 투과도 가변 패널 및 이를 이용한 투명표시장치
KR102070631B1 (ko) 전기변색소자
JP2021144103A (ja)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素子、レンズユニット、撮像装置
JP2019040008A (ja) 調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