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4627A - 이중 브레이크 포인트 차단기의 가동접촉자 기구 - Google Patents

이중 브레이크 포인트 차단기의 가동접촉자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4627A
KR20210084627A KR1020217017655A KR20217017655A KR20210084627A KR 20210084627 A KR20210084627 A KR 20210084627A KR 1020217017655 A KR1020217017655 A KR 1020217017655A KR 20217017655 A KR20217017655 A KR 20217017655A KR 20210084627 A KR20210084627 A KR 202100846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movable
circuit breaker
contactor
movabl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7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8792B1 (ko
Inventor
지안핑 자오
Original Assignee
지안핑 자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안핑 자오 filed Critical 지안핑 자오
Publication of KR20210084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4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8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8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02Details
    • H01H73/04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04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42Driv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009Interconnected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1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 H01H1/20Bridging contacts
    • H01H1/2041Rotating brid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36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sliding
    • H01H1/365Bridging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36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sliding
    • H01H1/42Knife-and-clip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02Details
    • H01H73/04Contacts
    • H01H73/045Bridging contacts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이중 브레이크 포인트 차단기의 가동접촉자 기구는 전후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놓이는 전 고정접촉자(10), 후 접촉 세트 및 가동접촉자(20)를 포함하며, 전 고정접촉자(10)의 후단에 제1접점(11)이 설치하고 후 접촉 세트가 전 고정접촉자(10)의 후방에 설치하며 후 접촉 세트는 연결판(60)을 포함하고 연결판(60)의 전단에 후 고정접촉자(80)가 설치하고 후 고정접촉자(80)의 전단에 삽입홈(81)이 형성한다; 가동접촉자(20)는 전 고정접촉자(10)의 후방에 설치하며, 가동접촉자(20)의 중부에 링크 기구(50)와 레버 기구(40)로 연결되어 있고, 가동접촉자(20)는 하나의 전 접촉단과 하나의 후 삽입단이 있으며, 가동접촉자(20)의 전 접촉단에는 제1 접점(11)과 매칭한 제2 접점(21)이 형성하고 가동접촉자(20)의 후 삽입단이 삽입홈81에 삽입하거나 이탈할 수 있다; 제1 접점(11)과 제2 접점(21)이 분리하거나 닫는 행정이 가동접촉자(20)의 후 삽입단이 삽입홈(81)에 분리하거나 삽입하는 행정보다 크다. 상기 이중 브레이크 포인트 차단기의 가동접촉자 기구는 차단 용량이 뛰어난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원가가 낮고 수명이 긴 장점도 있다.

Description

이중 브레이크 포인트 차단기의 가동접촉자 기구
본 발명에서는 차단기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중 브레이크 포인트 차단기의 가동접촉자 기구에 관한 것이다.
차단기의 종류는 다양하고 기본적인 작업 원리는 같으며 모두 전기회로 시스템에서의 전기 사용 설비와 전기 공급 회로의 안전을 보장하도록 비정상적인 조건에서 전력 공급을 신속하게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가동접촉자는 차단기의 핵심 부품으로 전기 공급 회로를 연결하거나 차단하며, 전기 공급 회로나 전기 설비에 과부하 또는 단락이 발생할 경우 가동접촉자가 자동으로 켜지고, 고정접촉자와 분리되어 전기 공급 회로가 신속하게 차단되며, 가동접촉자와 고정접촉자 사이에 발생하는 아크가 빠르게 길어져서 소호실로 들어간다.
현재 시장에는 주로 두 종류의 이중 브레이크 포인트 차단기가 있는데, 첫 번째는 원래의 원 브레이크 포인트 차단기의 가동접촉자에 하나의 브레이크 포인트를 직렬연결하거나 병렬연결하고 하나의 회로에 두 개의 아크 구역을 형성하는 것인데, 이 구조는 단락의 분리 능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지만, 브레이크 포인트가 하나 추가되었기 때문에 가동접촉자와 고정접촉자가 분리될 때 둘 사이에 큰 아크가 발생하게 되며, 소호실에서 아크를 없애야 한다. 따라서 소호실도 1개에서 2개로 늘려야 하며, 제품의 조작기구의 구동력이 2배로 커지고 전체 제품의 외형도 커지기 때문에(2개의 아크 소호 구역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런 구조는 차단기의 생산 원가를 증가시켰다.
두 번째는 가동접촉자, 고정접촉자, 연성 컨닥터 저항과 전기전도판을 포함하고 있는데, 가동접촉자의 머리 아래에는 제1 은접점이 있고, 고정접촉자의 머리 위에는 제2 은접점이 있고, 고정접촉자의 미부 아래에는 제3 은접점이 있고, 전기전도판의 미부 위에는 제4 은접점이 있으며, 제1 은접점과 제2 은접점 사이에 접촉하여 회로를 끊을 수 있는 제1 브레이크 포인트가 형성하고 제3 은접점과 제4 은접점 사이에 접촉하여 회로를 끊을 수 있는 제2 브레이크 포인트가 형성한다. 이러한 구조의 차단기는 비록 고정접촉자와 전기전도판 사이에 하나의 저항이 직렬연결하지만 고저항 흡수 회로를 형성할 수 있어 다른 이중 브레이크 포인트 구조에 비해 하나의 아크 소호 시스템이 감소하였다. 단, 용접방식으로 연성 컨닥터 저항(구리 편직선)과 전기전도판을 연결하기 때문에 용접부위의 용접점이 쉽게 벗겨지고 차단기가 장시간 사용되어 연성 컨닥터 저항이 부분적으로 절단되기 쉬우며, 연성 컨닥터 저항의 단면을 작게 하여 연성 컨닥터 저항 온도가 너무 높아지게 되어 차단기기의 소손을 초래하여 차단기의 수명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소호실의 개수를 줄이고 차단기의 차단 용량도 향상시키며 원가를 절감하고 차단기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현재의 차단기 가동접촉자의 구조 개선이 시급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기술적인 문제는 기존의 차단기 가동접촉자의 생산 원가가 높고, 사용 수명이 짧은 문제이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이중 브레이크 포인트 차단기의 가동접촉자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중 브레이크 포인트 차단기의 케이스 안에 설치되어 있으며 전후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놓이는 후단에 제1접점을 설치한 전 고정접촉자를 포함한 이중 브레이크 포인트 차단기의 가동접촉자 기구에 있어서,
전면에 삽입홈이 형성한 후 고정접촉자가 연결판의 전단에 설치하고, 상기 연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전 고정접촉자 후방에 설치하는 후 접촉 세트;
제1 접점과 연결한 제2 접점이 형성하는 전 접촉단과 상기 삽입홈에 분리하거나 삽입될 수 있는 후 삽입단이 갖고 중부에 링크 기구와 레버 기구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고정접촉자의 후방에 설치하는 가동접촉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동접촉자의 배치는,
상기 레버 기구는 스위치를 올리게 할 때 상기 제2 접점은 제1 접점과 접촉하며, 상기 가동접촉자의 후 삽입단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전기가 통하게 되고;
상기 레버 기구는 스위치를 분리할 때 상기 제2 접점은 제1 접점과 분리하며, 상기 가동접촉자의 후 삽입단이 상기 삽입홈에 분리되어 전기가 끊기게 되고;
상기 제1 접점과 제2 접점이 분리하거나 닫는 행정이 상기 가동접촉자의 후 삽입단이 상기 삽입홈에 분리하거나 삽입하는 행정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브레이크 포인트 차단기의 가동접촉자 기구.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후 고정접촉자의 후단에는 대칭으로 된 두 개의 클램프판이 설치되어 있으며, 두개의 상기 클램프판의 전단에는 각각 호형판이 설치되어 있고 두개의 상기 호형판의 전단부 사이에 상기 삽입홈이 형성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두 개의 상기 클램프판에 각각 위치관통공이 있으며, 개구 고리형의 스프링은 두 개의 상기 위치관통공을 관통하고 상기 스프링의 두 자유단은 각각 호형판의 외측에 붙어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스프링의 두 자유단은 각각 앞으로 연장하여 반원형 또는 호형인 클램핑부를 가진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판은 차례로 연결한 제1 연결판과 제2 연결판을 포함하며, 상기 후 고정접촉자는 상기 제2 연결판과 착탈가능 연결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가동접촉자가 상기 제2접점에서 멀리 떨어진 한쪽에는 뒤로 연장하는 돌기부가 형성하고, 상기 후 고정접촉자의 윗면에는 상기 돌기부에 맞는 리밋홈이 설치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링크 기구는 상링크와 하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 기구는 점프핀과 상기 점프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점프핀은 차단기의 케이스에 핀롤을 통해 고정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상링크는 상기 점프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하링크는 상기 상링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동접촉자는 상기 하링크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접점은 수평면과 1°~20°의 각도로 경사설치한다.
기존 기술에 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브레이크 포인트 차단기의 가동접촉자 기구에서, 제1접점과 제2접점 분리한 행정은 가동접촉자의 후 삽입단이 삽입홈에서 분리한 행정보다 크며, 레버 기구는 스위치를 분리하게 할 때 먼저 제2접점이 제1접점에서 분리하면서 전 브레이크 포인트가 차단되고, 가동접촉자가 삽입홈에서 분리되면서 후 브레이크 포인트가 차단되며, 이런 후 브레이크 포인트가 후에 차단되는 기구는 본 발명으로 하여금 차단 용량이 뛰어난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원가가 낮고 수명이 긴 장점도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후 브레이크 포인트 주변에는 아크가 생기지 않기 때문에 전 차단기는 소호실 하나만 설치하면 되고 구조도 간단하고, 차단기의 생산 원가를 낮출 수 있다.
(2) 제2접점 21과 제1접점 11이 분리되었을 때 가동접촉자가 삽입홈81에서 벗어나지 않아 전류 회로를 차단하고 제2접점 21과 제1접점 11 분리시에 발생하는 아크 연소 시간을 단축시켜 차단기의 사용 수명을 연장한다.
도1은 본 발명 스위치를 분리한 상태의 구조도이다;
도2는 도1의 A방향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 스위치를 연결한 상태의 구조도이다;
도4는 도3의 B방향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이중 브레이크 포인트 차단기의 가동접촉자 기구를 제공하는데 차단 용량이 뛰어나고 구조가 간단하고 생산원가가 낮고 수명이 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조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덧붙여, 본 설명서와 청구범위 및 도면 중 용어 ‘제1’, ‘제2’ 등은 유사한 대상을 구별할 때 쓰이며, 특정 순서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다. 이렇게 사용하는 용어는 적절한 경우에 호환이 가능하여 본 발면의 실시 예를 여기에 설명할 수 있도록 이해해야 한다.
본 신청에서 '전', '후', '상', '하', '세로', '수평' 등이 지시하는 방위나 위치관계는 도면에 도시한 기초방위나 위치관계이다. 도면1과 도면3에서 좌측은 전이고, 우측은 호로 정의하며 상, 하는 도면을 기준으로 한다. 이러한 용어는 주로 본 발명과 그 실시 예를 더 잘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시된 장치, 부품 또는 구성 부분에 특정한 방위를 가지거나 특정 방위로 구조와 조작을 하는 데 사용되기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용어 '설치'는 고정 연결, 착탈연결, 또는 전체적 구조일 수 있고, 또 기계적 연결, 전기적 연결, 또는 직접 연결, 중간 매체를 통해 간접 연결, 또는 두 장치, 부품 또는 구성 부분 사이의 내부 연결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가진 자라면, 본 발명에서의 용어의 구체적인 의미를 상황에 따라 이해할 수 있다.
도면 1과 도면 3이 도시된 이중 브레이크 포인트 차단기의 가동접촉자 기구는 전력 공급 회로를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데 사용되는 이중 브레이크 포인트 차단기의 케이스에 설치되어 있다. 이 가동접촉자는 전후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놓이는 전 고정접촉자10, 전 고정접촉자10와 맞게 연결하는 가동접촉자20 및 후 접촉 세트를 포함하며, 가동접촉자20와 후 접촉 세트는 전 고정접촉자10의 후방에 설치한다.
후 접촉 세트는 연결판60을 포함하고, 연결판60의 전단에 후 고정접촉자80가 설치하고 후단에 열전 소자 70가 설치하며 도면2와 도면4가 도시된대로 후 고정접촉자80의 전단에 삽입홈81이 형성한다.
전 고정접촉자10의 후단에 제1접점11이 설치한다. 가동접촉자20는 하나의 전 접촉단과 하나의 후 삽입단이 있으며 전 접촉단에는 제1 접점11과 연결한 제2 접점21이 형성하고 후 삽입단은 후 고정접촉자80 전단의 삽입홈81과 매칭하고 삽입홈81에 삽입하거나 이탈할 수 있다.
가동접촉자20의 중부에 링크 기구50와 레버 기구40로 연결되어 있으며 레버 기구40를 조작하면 가동접촉자20를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전기회로를 연결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구체적인 배치는
도면3과 도면4 도시된대로 레버 기구40를 조작하여 스위치를 올리게 할 때 링크 기구50가 가동접촉자2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 접점21은 제1 접점11과 접촉하며, 동시에 가동접촉자20의 후 삽입단이 삽입홈81에 삽입되어 전기가 통하게 된다;
도면1과 도면2 도시된대로 레버 기구40를 조작하여 스위치를 차단할 때 링크 기구50가 가동접촉자2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 접점21은 제1 접점11과 분리되며, 가동접촉자20의 후 삽입단이 삽입홈81에 이탈되어 전기가 끊기게 된다;
본 발명에서 제1 접점11과 제2 접점21이 분리하거나 닫는 행정A1은 가동접촉자20의 후 삽입단이 삽입홈81에 분리하거나 삽입하는 행정A2보다 크기 때문에 전기가 통하는 과정에서 먼저 가동접촉자20의 후 삽입단이 삽입홈81에 삽입되고 제2접점21이 제1접점11에서 분리하며 전기가 통하지 않는 과정에서 먼저 제2접점21이 제1접점11에서 분리하고 즉 전 브레이크 포인트가 차단되고, 가동접촉자20의 후 삽입단이 삽입홈81에 이탈하고 즉 후 브레이크 포인트가 차단되며, 이런 후 브레이크 포인트가 후에 차단되는 기구는 아래와 같이 장점이 있다.
(1) 후 브레이크 포인트 주변에는 아크가 생기지 않기 때문에 전 차단기는 소호실 하나만 설치하면 되고 구조도 간단하고, 차단기의 생산 원가를 낮출 수 있다.
(2) 제2접점 21과 제1접점 11이 분리되었을 때 가동접촉자가 삽입홈81에서 벗어나지 않아 전류 회로를 차단하고 제2접점 21과 제1접점 11 분리시에 발생하는 아크 연소 시간을 단축시켜 차단기의 사용 수명을 연장한다.
전 브레이크 포인트의 차단은 A1 행정이고 후 브레이크 포인트의 차단은 A2 행정으로 기존 기술보다 하나의 A2 행정을 더 늘리고, 이를 통해 차단기의 차단 용량을 높이며, 또한 현재의 차단기 조작 기구와 케이스를 변화시키지 않는 한 효과적으로 차단기의 차단 능력을 향상시켰으며, 이러한 연결 방식은 각종 소형 차단기, 플라스틱 차단기, 프레임 차단기 및 지능 차단기에 사용될 수 있다.
도면2와 도면4 도시된대로 후 고정접촉자80의 후단에는 대칭으로 된 두 개의 클램프판84이 설치되어 있으며, 두개의 클램프판84의 전단 사이에는 각각 호형판82이 설치되어 있고 두개의 호형판82의 전단부 사이에 삽입홈81이 형성되며, 삽입홈 81의 최소 폭은 가동접촉자 20의 폭보다 작고 이런 두개의 호형판82으로 형성된 삽입홈81의 구조가 간단하고 생산 원가가 적다.
두 개의 클램프판84에 각각 위치관통공이 형성되고 스프링83의 두 자유단은 각각 호형판82의 외측에 붙어 있으며, 가동접촉자 20가 삽입홈81에 삽입될 때 스프링 83의 작용 하에 삽입홈 81의 내벽이 가동접촉자 20와 밀착되어 있으며 스프링 83은 내고온 강화형으로서 후 고정접촉자 80가 전기가 연결하고 열이 난 상태에서 일정한 수치를 유지하여 차단기가 지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단기의 단시내전류를 향상시킨다.
스프링83의 두 자유단은 각각 앞으로 연장하여 반원형 또는 호형인 클램핑부831를 형성하며 클램핑부 831는 스프링 83이 호형판82에 꽉 끼게 하고, 가동접촉자20가 삽입홈81에 삽입할 때 삽입홈81이 가동접촉자20와 밀착되도록 한다.
도면1과 도면3 도시된대로 연결판60은 차례로 연결한 제1 연결판61과 제2 연결판62을 포함하고, 후 고정접촉자80는 제2 연결판62과 착탈가능 연결하며, 이런 연결 방식은 구조가 간단하고 탈착이 간편해 모듈화 연결과 스마트 조립이 가능한다.
가동접촉자20가 제2접점21에서 멀리 떨어진 한쪽에는 뒤로 연장하는 돌기부23가 형성하고, 후 고정접촉자80의 윗면에는 돌기부23에 맞는 리밋홈85이 설치되며 돌기부23의 배치는 아래와 같다.
도면1 도시된대로 레버 기구40를 조작하여 스위치를 차단할 때 돌기부23가 리밋홈85에 들어가 가동접촉자20에 대해 위치 제한 역할을 한다;
도면3 도시된대로 레버 기구40를 조작하여 스위치를 올릴 때 돌기부23가 리밋홈85에 멀이 떨어진다.
링크 기구50는 상링크51와 하링크52를 포함하며, 레버 기구40는 점프핀41과 점프핀4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42를 포함하고 점프핀41은 차단기의 케이스에 핀롤30을 통해 고정된다. 상링크51는 점프핀4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링크52는 상링크51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가동접촉자20는 하링크52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링크51와 하링크52의 배치는 가동접촉자20를 레버42에 의해 잘 돌아가도록 설치된다.
레버 기구40를 조작하여 가동접촉자20를 구동시켜 전기회로를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구체적인 배치는 아래와 같다.
도면3과 도면4 도시된대로 레버 기구40를 조작하여 스위치를 올리게 할 때 상링크51가 상회전축511에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하링크52가 가동접촉자20를 하회전축521에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 접점21은 제1 접점11과 접촉하고, 동시에 가동접촉자20의 후 삽입단이 삽입홈81에 삽입되어 전기가 통하게 된다;
도면1과 도면2 도시된대로 레버 기구40를 조작하여 스위치를 분리할 때 상링크51가 상회전축511에 따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하링크52가 가동접촉자20를 하회전축521에 따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 접점21은 제1 접점11과 분리하고, 동시에 가동접촉자20의 후 삽입단이 삽입홈81에 이탈되어 전기가 끊기게 된다.
제1 접점11은 수평면과 1°~20°의 각도로 경사설치하며 이런 구조 설계는 스위치를 올릴 때 제2 접점 21이 제1 접점 11과 밀착되도록 된다.
본 발명의 작업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도면 3과 도면4 도시된 대로 일반 동작 상태에서 제1접점 11과 제2 접점 21이 부착되고, 가동접촉자 20가 삽입홈81에 삽입되어 차단기가 전기가 통하는 상태이며, 전류의 흐름 방향은 다음과 같다. 외부 연결단자90----전 고정접촉자10---- 가동접촉자20----후 고정접촉자80----제2 연결판62----열전 소자70 ----제1 연결판61;
(2)도면1과 도면2 도시된대로 전기 사용 설비에 과부하 또는 단락 고장이 발생했을 때 상링크51가 상회전축511에 따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하링크52가 가동접촉자20를 하회전축521에 따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 접점21은 제1 접점11과 분리하고, 동시에 가동접촉자20가 삽입홈81에 이탈되어 전기가 자동으로 끊기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실시예들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이중 브레이크 포인트 차단기의 케이스 안에 설치되어 있으며 전후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놓이는 후단에 제1접점을 설치한 전 고정접촉자를 포함한 이중 브레이크 포인트 차단기의 가동접촉자 기구에 있어서,
    전면에 삽입홈이 형성한 후 고정접촉자가 연결판의 전단에 설치하고, 상기 연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전 고정접촉자 후방에 설치하는 후 접촉 세트;
    제1 접점과 연결한 제2 접점이 형성하는 전 접촉단과 상기 삽입홈에 분리하거나 삽입될 수 있는 후 삽입단이 갖고 중부에 링크 기구와 레버 기구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고정접촉자의 후방에 설치하는 가동접촉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동접촉자의 배치는,
    상기 레버 기구는 스위치를 올리게 할 때 상기 제2 접점은 제1 접점과 접촉하며, 상기 가동접촉자의 후 삽입단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전기가 통하게 되고;
    상기 레버 기구는 스위치를 분리할 때 상기 제2 접점은 제1 접점과 분리하며, 상기 가동접촉자의 후 삽입단이 상기 삽입홈에 분리되어 전기가 끊기게 되고;
    상기 제1 접점과 제2 접점이 분리하거나 닫는 행정이 상기 가동접촉자의 후 삽입단이 상기 삽입홈에 분리하거나 삽입하는 행정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브레이크 포인트 차단기의 가동접촉자 기구.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후 고정접촉자의 후단에는 대칭으로 된 두 개의 클램프판이 설치되어 있으며, 두개의 상기 클램프판의 전단에는 각각 호형판이 설치되어 있고 두개의 상기 호형판의 전단부 사이에 상기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브레이크 포인트 차단기의 가동접촉자 기구.
  3. 청구항2에 있어서,
    두 개의 상기 클램프판에 각각 위치관통공이 있으며, 개구 고리형의 스프링은 두 개의 상기 위치관통공을 관통하고 상기 스프링의 두 자유단은 각각 호형판의 외측에 붙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브레이크 포인트 차단기의 가동접촉자 기구.
  4.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의 두 자유단은 각각 앞으로 연장하여 반원형 또는 호형인 클램핑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브레이크 포인트 차단기의 가동접촉자 기구.
  5.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은 차례로 연결한 제1 연결판과 제2 연결판을 포함하며, 상기 후 고정접촉자는 상기 제2 연결판과 착탈가능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브레이크 포인트 차단기의 가동접촉자 기구.
  6.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촉자가 상기 제2접점에서 멀리 떨어진 한쪽에는 뒤로 연장하는 돌기부가 형성하고, 상기 후 고정접촉자의 윗면에는 상기 돌기부에 맞는 리밋홈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브레이크 포인트 차단기의 가동접촉자 기구.
  7.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링크 기구는 상링크와 하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 기구는 점프핀과 상기 점프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점프핀은 차단기의 케이스에 핀롤을 통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브레이크 포인트 차단기의 가동접촉자 기구.
  8. 청구항7에 있어서,
    상기 상링크는 상기 점프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하링크는 상기 상링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동접촉자는 상기 하링크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브레이크 포인트 차단기의 가동접촉자 기구.
  9.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점은 수평면과 1°~20°의 각도로 경사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브레이크 포인트 차단기의 가동접촉자 기구.
KR1020217017655A 2019-01-15 2019-01-15 이중 브레이크 포인트 차단기의 가동접촉자 기구 KR1026187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9/071702 WO2020146996A1 (zh) 2019-01-15 2019-01-15 一种双断点断路器的动触头机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4627A true KR20210084627A (ko) 2021-07-07
KR102618792B1 KR102618792B1 (ko) 2023-12-27

Family

ID=71613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7655A KR102618792B1 (ko) 2019-01-15 2019-01-15 이중 브레이크 포인트 차단기의 가동접촉자 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562867B2 (ko)
KR (1) KR102618792B1 (ko)
CN (1) CN113056805B (ko)
GB (1) GB2593085B (ko)
WO (1) WO20201469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07734U1 (ru) * 2021-08-05 2021-11-12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ЭЛЕКТРОРЕШЕНИЯ" Коммутирующая контактная группа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выключателя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1134A (ko) * 1987-06-10 1989-03-18 나가오다게시 회로 차단기의 접촉자장치
JPH11144598A (ja) * 1997-07-02 1999-05-28 Aeg Niederspannungstechnik Gmbh 遮断器
KR20130000312U (ko) * 2011-07-05 2013-01-15 태성전기(주) 배선용 차단기의 고정접촉자 조립체
KR20130066053A (ko) * 2011-12-12 2013-06-2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동 접촉자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
KR20170018643A (ko) * 2015-08-10 2017-02-20 이관희 회로차단기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20374A (en) * 1959-07-02 1962-02-06 Ite Circuit Breaker Ltd Circuit breaker arcing contact construction
US3585329A (en) * 1968-01-24 1971-06-15 Westinghouse Electric Corp Circuit interrupter with improved contact structure and arc-runner
FR2038325A1 (ko) * 1969-04-09 1971-01-08 Bassani Spa
US3662134A (en) * 1969-06-11 1972-05-09 Westinghouse Electric Corp Circuit breaker with improved current path and contact means
US3792216A (en) * 1972-07-27 1974-02-12 Ite Imperial Corp Anti blow-off means for circuit breaker contacts
JPS60175335A (ja) * 1984-02-20 1985-09-09 富士電機株式会社 回路遮断器
US4713504A (en) * 1986-03-03 1987-12-15 Westinghouse Electric Corp. Circuit breaker with hinged arcing contact
DE59008339D1 (de) * 1989-07-26 1995-03-09 Siemens Ag Elektromechanischer Schnellschalter.
CN101630612B (zh) * 2008-07-15 2011-06-29 浙江正泰电器股份有限公司 选择性保护断路器的主触头装置
CN101656179B (zh) * 2008-08-21 2011-12-14 浙江正泰电器股份有限公司 同向式串联双断点小型断路器
CN201408718Y (zh) * 2009-05-07 2010-02-17 上海良信电器股份有限公司 用于小型断路器的双断点触头机构
CN101958211B (zh) * 2009-12-09 2012-12-19 上海诺雅克电气有限公司 具有高分断能力的断路器自动闭合触头装置
CN101986411B (zh) * 2010-11-16 2013-02-20 浙江电器开关有限公司 双断点万能式断路器
CN209266341U (zh) * 2019-01-16 2019-08-16 赵建平 一种双断点断路器的动触头机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1134A (ko) * 1987-06-10 1989-03-18 나가오다게시 회로 차단기의 접촉자장치
JPH11144598A (ja) * 1997-07-02 1999-05-28 Aeg Niederspannungstechnik Gmbh 遮断器
KR20130000312U (ko) * 2011-07-05 2013-01-15 태성전기(주) 배선용 차단기의 고정접촉자 조립체
KR20130066053A (ko) * 2011-12-12 2013-06-2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동 접촉자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
KR20170018643A (ko) * 2015-08-10 2017-02-20 이관희 회로차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05658A1 (en) 2022-01-06
KR102618792B1 (ko) 2023-12-27
GB2593085A (en) 2021-09-15
CN113056805A (zh) 2021-06-29
WO2020146996A1 (zh) 2020-07-23
GB2593085B (en) 2023-01-04
US11562867B2 (en) 2023-01-24
GB202106219D0 (en) 2021-06-16
CN113056805B (zh) 202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143809B (zh) 直流电流切换设备、电子装置和切换关联直流电路的方法
EP2180487B1 (en) Micro switch
US9312081B2 (en) Arcless fusible switch disconnect device for DC circuits
US10438762B1 (en) Heat destructive disconnecting switch
KR20210084627A (ko) 이중 브레이크 포인트 차단기의 가동접촉자 기구
CN213184182U (zh) 开关电器
EP2290667B1 (en) Slide type movable contactor assembly for circuit breaker
US11024478B2 (en) Overheating destructive disconnecting method for switch
WO2022134743A1 (zh) 一种开关
JP2019096602A (ja) ダブルブレーク接点を備える高電圧dc回路ブレーカ
CN209266341U (zh) 一种双断点断路器的动触头机构
RU2777445C1 (ru) Механизм подвижного контакта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выключателя с двойным разрывом
CN205406416U (zh) 一种具有高分断能力控制与保护开关限流模块装置
CN216389232U (zh) 一种断路器
CN217485324U (zh) 一种开关
CN217933686U (zh) 一种快速灭弧高分断微型断路器的消弧模块
CN213816026U (zh) 一种塑壳断路器的限流装置
CN220963194U (zh) 高低压配电保护装置
CN216389231U (zh) 一种断路器
EP1346385B1 (en) Automatic current limiting circuit breaker
CN218274498U (zh) 一种快速分闸高分断微型断路器的消弧模块
CN213816013U (zh) 一种限流塑壳断路器
CN213816014U (zh) 一种带限流装置的塑壳断路器
CN217386916U (zh) 一种用于自动转换开关的触头结构
CN220065602U (zh) 一种断路器的触头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