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3701A - Tire and tire assembly - Google Patents

Tire and tire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3701A
KR20210083701A KR1020190176267A KR20190176267A KR20210083701A KR 20210083701 A KR20210083701 A KR 20210083701A KR 1020190176267 A KR1020190176267 A KR 1020190176267A KR 20190176267 A KR20190176267 A KR 20190176267A KR 20210083701 A KR20210083701 A KR 20210083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protector
disposed
bead
suppo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62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04424B1 (en
Inventor
이성준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6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4424B1/en
Publication of KR20210083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370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4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44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7/00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 B60C17/08Means facilitating folding of sidewalls, e.g. run-flat side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1Shape of the shoulders between tread and sidewall, e.g. rounded, stepped or cantilev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3/00Tyre sidewalls; Protecting, decorating, marking, or the like, thereof
    • B60C13/02Arrangement of grooves or ri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tire and a tire assembly.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read unit in contact with the ground; a sidewall unit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tread unit, and at least partial sections of which are concavely curved inwardly; a bead unit disposed at an end unit of the sidewall unit; a first protector disposed between the tread unit and the sidewall unit and protruding outward; and a second protector disposed adjacent to the bead unit and protruding outwa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the tire and the tire assembly, capable of stably run-flat running.

Description

타이어 및 타이어 조립체{Tire and tire assembly}Tire and tire assembly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타이어 및 타이어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tires and tire assemblies.

사용자들이 운행하는 차량은 많은 부품들로 이루어져 있고, 그 중 타이어는 실질적으로 차량의 구동에 큰 영향을 주고, 특히 사용자의 안전 확보를 위한 핵심 부품 중 하나라 할 수 있다.A vehicle driven by users is composed of many parts, and among them, a tire substantially affects the driving of the vehicle, and in particular, it can be said to be one of the key parts for securing the safety of the user.

타이어에 요구되는 성능은 다양하다. 예를 들어, 젖은 노면에서 타이어의 그립 성능, 주행 가능한 거리(마일리지)의 향상을 위한 마모 성능, 적은 연료로도 먼 거리를 주행할 수 있는 연비 성능이 대표적이다.The performance requirements for tires vary. For example, the grip performance of the tire on a wet road surface, the abrasion performance to improve the driving distance (mileage), and the fuel efficiency performance that can drive a long distance with less fuel are representative.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The above-mentioned background art is technical information possessed by the inventor for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in the process of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not necessarily be said to be a known technique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prior to f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안정적으로 런플랫 주행 가능한 타이어 및 타이어 조립체를 제공한다.SUMM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tire and a tire assembly capable of stably running run-fla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지면과 접촉하는 트레드부와, 상기 트레드부의 양단에서 연장되되, 적어도 일부 구간이 내측으로 오목하게 만곡되는 사이드월부와, 상기 사이드월부의 단부에 배치되는 비드부와, 상기 트레드부와 상기 사이드월부 사이에 배치되며, 외측으로 돌출된 제1 프로텍터, 및 상기 비드부에 인접게 배치되며, 외측으로 돌출된 제2 프로텍터를 포함하는 타이어를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ead portion in contact with the ground, a sidewall portion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tread portion,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concavely curved inward, a bead portion disposed at an end of the sidewall portion, and the There is provided a tire comprising: a first protector disposed between a tread portion and the sidewall portion and protruding outward; and a second protector disposed adjacent to the bead portion and protruding outward.

또한, 상기 제1 프로텍터의 제1 말단이 상기 제2 프로텍터의 제2 말단보다 상기 타이어의 폭 방향의 외측에 더 돌출될 수 있다.Also, a first end of the first protector may protrude more outward in a width direction of the tire than a second end of the second protector.

또한, 상기 제2 프로텍터는 단부에 배치된 제2 말단이 상기 비드부의 비드 필러의 정점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Also, the second end of the second protector may be disposed lower than the apex of the bead filler of the bead portion.

또한, 상기 사이드월부와 상기 비드부 사이에 배치되거나, 상기 비드부에 인접한 상기 사이드월부에 배치되되, 상기 타이어의 내측벽에 함몰된 함몰부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sidewall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sidewall portion and the bead portion or disposed on the sidewall portion adjacent to the bead portion may have a recessed portion recessed in the inner wall of the tire.

또한, 상기 함몰부는 가장 깊은 저점이 상기 제2 프로텍터의 제2 말단 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Also, the depression may be disposed so that the deepest low point is higher than the second end of the second protector.

또한, 상기 사이드월부는 상기 제1 프로텍터와 상기 제2 프로텍터의 사이 구간에서 내측으로 만곡되게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dewall portion may be disposed to be curved inwardly in a section between the first protector and the second protector.

또한, 상기 사이드월부는 상기 타이어의 내부 압력이 낮아지면, 상기 제1 프로텍터와 상기 제2 프로텍터 사이에서 폴딩될 수 있다.Also,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tire is lowered, the sidewall part may be folded between the first protector and the second protector.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림에 장착되는 타이어를 가지는 타이어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는 지면과 접촉하는 트레드부와, 상기 트레드부의 양단에서 연장되되, 적어도 일부 구간이 내측으로 오목하게 만곡되는 사이드월부와, 상기 사이드월부의 단부에 배치되는 비드부와, 상기 트레드부와 상기 사이드월부 사이에 배치되며, 외측으로 돌출된 제1 프로텍터, 및 상기 비드부의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된 제2 프로텍터를 포함하고, 상기 림은 상기 비드부의 단부가 장착되는 비드 장착부와, 상기 비드 장착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비드부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프로텍터의 아래 부분이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1 서포터, 및 상기 제1 서포터에서 연장되어, 상기 사이드월부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프로텍터의 아래 부분이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2 서포터를 포함하는 타이어 조립체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tire assembly having a tire mounted on a rim, the tire includes a tread portion in contact with the ground, and a sidewall portion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tread portion,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concavely curved inwardly. and a bead portion disposed at an end of the sidewall portion, a first protector disposed between the tread portion and the sidewall portion, and a first protector protruding outwardly, and a second protector protruding outwardly from an upper end of the bead portion, , The rim includes a bead mounting portion to which an end of the bead portion is mounted, a first supporter extending in a radial direction from the bead mounting portion, disposed outside the bead portion,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protector facing each other, and Provided is a tire assembly including a second supporter extending from the first supporter, disposed outside the sidewall portion, and disposed to face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protector.

또한, 상기 제1 서포터는 내측면의 일부 구간에서 상기 비드부의 외측면과 접촉하고, 다른 구간에서 상기 비드부의 외측면과 분리되되, 분리지점이 상기 제2 프로텍터의 제2 말단보다 낮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upporter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ead portion in some sections of the inner surface, and is separat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ead portion in other sections, the separation point may be lower than the second end of the second protector.

또한, 상기 제2 서포터는 상기 사이드월부의 외면에서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프로텍터의 제2 말단보다 반경 방향으로 높게 배치되는 내측단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supporter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wall portion, and may have an inner end disposed higher in a radial direction than the second end of the second protector.

또한, 상기 타이어는 상기 사이드월부와 상기 비드부 사이에 배치되거나, 상기 비드부에 인접한 상기 사이드월부에 배치되되, 상기 타이어의 내측벽에 함몰되며, 저점이 상기 내측단보다 반경 방향으로 낮게 배치되는 함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ire is disposed between the sidewall part and the bead part, or is disposed on the sidewall part adjacent to the bead part, is recessed in the inner wall of the tire, and the bottom is disposed radially lower than the inner end. It may further include a depression.

또한, 상기 내측단은 상기 제1 프로텍터의 말단보다 폭 방향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ner end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width direction than the end of the first protector.

또한, 상기 타이어는 내부 압력이 낮아지면, 상기 제1 프로텍터와 상기 제2 프로텍터 사이에서 상기 사이드월부가 폴딩되며, 상기 제1 프로텍터가 상기 제2 서포터에 지지되고, 상기 제2 프로텍터가 상기 제1 서포터에 지지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tire is lowered, the sidewall portion is folded between the first protector and the second protector, the first protector is supported by the second supporter, and the second protector is connected to the first Can be supported by supporters.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및 타이어 조립체는 안정적으로 런플랫 주행 가능하다. 타이어의 내부 압력이 낮아지더라도, 타이어의 프로텍터 유닛이 림에 지지되고, 트레드부는 지면과의 접지면을 유지할 수 있다. 타이어의 트레드부의 양단에 배치된 제1 프로텍터와 비드부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2 프로텍터가 림에 지지되므로, 타이어의 전체적인 형상을 어느정도 유지하면서 런플랫 주행할 수 있어, 주행 가능 거리를 늘릴 수 있다.A tire and a tir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bly run run-flat. Even if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tire is lowered, the protector unit of the tire is supported on the rim, and the tread portion can maintain a contact surface with the ground. Since the first protector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tread portion of the tire and the second protector disposed adjacent to the bead portion are supported by the rim, run-flat driving is possible while maintaining the overall shape of the tire to some extent, thereby increasing the drivable distance.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및 타이어 조립체는 런플랫시에 사이드월부가 폴딩되어, 주행 가능 거리가 확장될 수 있다. 사이드월부가 내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되므로, 내부 공기압이 줄어들면 쉽게 폴딩되고, 트레드부의 접지면을 유지하면서 타이어 조립체가 주행되는바, 런플랫 마일리지를 늘릴 수 있다.In the tire and tir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wall portion is folded during run-flat, so that the drivable distance may be extended. Since the sidewall portion is formed to be curved inward, it is easily folded when the internal air pressure is reduced, and the tire assembly is driven while maintaining the tread surface, so that the run-flat mileage can be increas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조립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타이어가 런플랫 주행 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tir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n enlarged area A of FIG. 1 .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the tire of FIG. 2 running in a run-flat state.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Eff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wh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not in a limiting sense.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In the following examples,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means that the features or compon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re present, and the possibility of adding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components is not excluded in advance.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when it is said that a part such as a film, region, or component is on or on another part, it is not only when it is directly on the other part, but also another film, region, component, etc. is interposed therebetween. Including cases where there is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e drawings, the size of th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For example, sinc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indica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ba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조립체(1)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3은 도 2의 타이어(100)가 런플랫 주행 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ire assembly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rea A of FIG. 1 , and FIG. 3 is a tire 100 of FIG.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time of run-flat driving.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타이어 조립체(1)는 타이어(100) 및 림(200)을 포함할 수 있다. 타이어 조립체(1)는 타이어(100)가 펑크 상황에서도 타이어(100)의 프로텍터 유닛(180)이 림(200)에 지지되어, 타이어 조립체(1)가 소정의 마일리지를 주행할 수 있다.1 to 3 , the tire assembly 1 may include a tire 100 and a rim 200 . In the tire assembly 1 , the protector unit 180 of the tire 100 is supported by the rim 200 even when the tire 100 is punctured, so that the tire assembly 1 can travel a predetermined mileage.

타이어(100)는 트레드부(110), 사이드월부(120), 비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tire 100 may include a tread part 110 , a sidewall part 120 , and a bead part 130 .

트레드부(110)는 지면과 접지면을 가지며, 복수개의 그루브에 의해서 구획되는 트레드 블록(TB)을 가질 수 있다. 트레드 블록(TB)은 차량의 주행시에 지면과 접촉하는 부분으로, 타이어(100)의 반경방향으로 일주하는 제1 그루브(G)와, 타이어(100)의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그루브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The tread 110 may have a ground and a ground plane, and may have a tread block TB partitioned by a plurality of grooves. The tread block TB is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ground during driving of the vehicle, and is formed by a first groove G circumferentially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tire 100 and a second groove form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tire 100 . can be partitioned.

트레드부(110)의 아래에는 바디플라이(140), 벨트층(150), 캡 플라이(160) 및 이너라이너(170)을 내부에 포함할 수 있다. 트레드부(110)의 양단에는 제1 프로텍터(181)가 배치될 수 있다.A body ply 140 , a belt layer 150 , a cap ply 160 , and an inner liner 170 may be included under the tread 110 . The first protectors 181 may be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tread unit 110 .

사이드월부(120)는 트레드부(110)와 비드부(130) 사이를 연결한다. 사이드월부(120)는 트레드부(110)의 양단에서 연장되되, 적어도 일부 구간이 내측으로 오목하게 만곡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사이드월부(120)는 제1 프로텍터(181)와 제2 프로텍터(182) 사이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만곡될 수 있다.The sidewall part 120 connects between the tread part 110 and the bead part 130 . The sidewall part 120 may extend from both ends of the tread part 110 , and at least some sections may be concavely curved inwardly. In an embodiment, the sidewall part 120 may be concavely curved inwardly between the first protector 181 and the second protector 182 .

도 2를 보면, 사이드월부(120)는 내부에 바디플라이(140) 및 이너라이너(170)가 배치될 수 있다. 사이드월부(120)는 바디플라이(140), 이너라이너(170)가 트레드부(110)의 말단에서 절곡되면서 타이어(100)의 양측으로 연장된다. 사이드월부(120)의 내면(120i)은 타이어(100)의 내부 공간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사이드월부(120)의 외면(120o)도 타이어(100)의 내부 공간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2 , the sidewall part 120 may have a body ply 140 and an inner liner 170 disposed therein. The sidewall part 120 extends to both sides of the tire 100 while the body ply 140 and the inner liner 170 are bent at the end of the tread part 110 . The inner surface 120i of the sidewall part 120 is concave into the inner space of the tire 100 , and the outer surface 120o of the sidewall part 120 is also concave into the inner space of the tire 100 .

사이드월부(120)가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므로, 타이어(100)의 내부 압력이 낮아지면, 사이드월부(120)은 폴딩될 수 있다. 타이어(100)는 내부 압력이 낮아지면, 제1 프로텍터(181)와 제2 프로텍터(182) 사이의 일 지점에서 사이드월부(120)가 폴딩될 수 있다.Since the sidewall part 120 is concave inwardly,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tire 100 is lowered, the sidewall part 120 may be folded.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tire 100 is lowered, the sidewall part 120 may be folded at a point between the first protector 181 and the second protector 182 .

비드부(130)는 사이드월부(120)의 단부에 구비되며, 타이어(100)를 차량의 림에 장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비드부(130)는 비드 코어(131)와 비드 필러(132)를 구비할 수 있다.The bead part 130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sidewall part 120 and serves to mount the tire 100 to the rim of the vehicle. The bead part 130 may include a bead core 131 and a bead filler 132 .

비드 코어(131)는 비드 필러(132)의 아래에 배치되며, 고무가 코팅된 강철 비드 코드(와이어)를 복수개 꼬아 형성될 수 있다. The bead core 131 is disposed under the bead filler 132 and may be formed by twisting a plurality of rubber-coated steel bead cords (wires).

비드부(130)는 비드 필러(132)를 포함하고, 비드 필러(132)는 비드 코어(131)로부터 사이드월부(120)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비드 필러(132)는 비드 코어(131)의 일측에 부착된 고무 충전재로서, 비드 코어(131)를 보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른 실시예로 비드 필러(132)는 복수개가 서로 다른 물성을 가질 수 있다.The bead part 130 may include a bead filler 132 , and the bead filler 132 may be disposed to extend from the bead core 131 in the sidewall part 120 direction. The bead filler 132 is a rubber filler attached to one side of the bead core 131 , and serves to reinforce the bead core 131 . In another embodiment, a plurality of bead fillers 132 may have different physical properties.

비드 필러(132)는 타이어(100)의 반경 방향으로 가장 높은 위치인 정점(132P)을 가질 수 있다. 비드 필러(132)의 정점(132P)은 타이어(100)의 함몰부(DE)의 가장 깊은 저점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비드 필러(132)의 정점(132P)은 제2 프로텍터(182)의 제2 말단(182E)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The bead filler 132 may have an apex 132P that is the highest position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tire 100 . The apex 132P of the bead filler 132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deepest trough of the depression DE of the tire 100 . In addition, the apex 132P of the bead filler 132 may be disposed higher than the second end 182E of the second protector 182 .

비드부(130)는 림(200)의 비드 장착부(220)에 장착되며, 비드 장착부(220)와 제1 서포터(230) 사이에서 제1 접촉면(200A)을 형성한다. 비드부(130)는 비드 장착부(220)에 밀착되어, 반경 방향으로 림(200)에 안정적으로 장착되며, 제1 서포터(230)의 일부 구간에 밀착되어, 폭 방향으로 림(200)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The bead part 130 is mounted on the bead mounting part 220 of the rim 200 , and forms a first contact surface 200A between the bead mounting part 220 and the first supporter 230 . The bead part 1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ead mounting part 220, is stably mounted on the rim 200 in the radial direc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a portion of the first supporter 230, and is stable on the rim 200 in the width direction. can be installed with

비드부(130)는 비드 필러(132)의 중심라인이 반경방향의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비드 필러(132)의 정점(132P)은 비드 코어(131)에서 폭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어, 비드부(130)와 사이드월부(120)의 경계 지점에는 함몰부(DE)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비드 필러(132)의 정점(132P)은 사이드월부(120)의 내면(120i)보다 폭 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bead part 130 may be disposed so that the center line of the bead pillar 132 is inclined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The apex 132P of the bead pillar 132 is disposed outside the bead core 131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depression DE may be formed at a boundary point between the bead part 130 and the sidewall part 120 . . In addition, the apex 132P of the bead pillar 132 may be disposed outside the inner surface 120i of the sidewall part 120 in the width direction.

바디플라이(140)는 트레드부(110), 사이드월부(120) 및 비드부(130)를 따라 연장되어, 타이어(100)의 골격을 형성한다. 바디플라이(140)는 일정한 고무 성분 내부에 바디플라이 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바디플라이(140)는 벨트층(150)의 아래에 배치되고, 사이드월부(120)로 연장되어 비드부(130)에서 턴업되되, 내부에 바디플라이 코드를 가질 수 있다. The body ply 140 extends along the tread part 110 , the sidewall part 120 , and the bead part 130 to form a skeleton of the tire 100 . The body ply 14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body ply cord is included in a certain rubber component. The body ply 140 is disposed under the belt layer 150 , is extended to the side wall part 120 and turned up in the bead part 130 , and may have a body ply cord therein.

바디플라이(140)는 사이드월부(120)를 따라 타이어(100)의 내부 공간으로 만곡되게 연장되며, 함몰부(DE)에서 비드부(130)를 감싸기 위해서 절곡될 수 있다. 바디플라이(140)는 비드 코어(131)와 비드 필러(132)를 감싸고, 비드 코어(131)에서 턴업되어 사이드월부(120)를 향하여 연장된다. 이때, 바디플라이(140)는 함몰부(DE)에서 다시 한번 절곡되며, 단부(140E)는 사이드월부(120)로 연장되어, 바디플라이(140)에 부착된다.The body ply 140 extends curvedly into the inner space of the tire 100 along the sidewall part 120 , and may be bent to surround the bead part 130 in the recessed part DE. The body ply 140 surrounds the bead core 131 and the bead filler 132 , and is turned up from the bead core 131 and extends toward the sidewall part 120 . At this time, the body ply 140 is bent once again in the depression portion DE, and the end portion 140E extends to the side wall portion 120 and is attached to the body ply 140 .

바디플라이(140)는 스틸 또는 폴리에스터, 레이온 등과 같은 고강도 섬유 유기재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코드지를 겹친 후, 고무로 피복하여 압연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The body ply 140 may be formed by overlapping a plurality of cord papers made of a high-strength fiber organic material such as steel, polyester, rayon, or the like, and then coating it with rubber and rolling it.

구체적으로,바디플라이(140)는 합성 고무 및 천연 고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고무 성분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이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이어 코드로는 다양한 천연 섬유 또는 레이온,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및 케블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복수개의 가느다란 철사를 꼬아서 형성한 스틸 코드(steel cord)도 사용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body fly 140 includes one or more rubber compon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ynthetic rubber and natural rubber,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tire cords. As the tire cord, various natural fibers or rayon, nylon, polyester, and Kevlar may be used, and a steel cord formed by twisting a plurality of thin wires may also be used.

벨트층(150)은 제1 벨트층(151)과 제2 벨트층(152)을 구비하고, 이들 중 적어도 하나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며, 복수개가 타이어(100)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스틸 코드를 구비할 수 있다.The belt layer 150 includes a first belt layer 151 and a second belt layer 152 , at least one of which extend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them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ire 100 . A steel cord may be provided.

제1 벨트층(151)은 트레드부(110)의 아래에 배치되며, 차량의 주행시 노면 충격을 감소시키고 바디플라이(140)를 보호한다. 제1 벨트층(151)은 바디플라이(140)의 상부에 배치되며, 기 설정된 폭을 가질 수 있다. 제2 벨트층(152)은 제1 벨트층(151)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1 벨트층(151)보다 폭 방향의 길이가 짧은 기 설정된 폭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belt layer 151 is disposed under the tread unit 110 , reduces road impact when the vehicle is driving, and protects the body fly 140 . The first belt layer 151 is disposed on the body ply 140 and may have a preset width. The second belt layer 152 is disposed on the first belt layer 151 , and may have a predetermined width shorter than tha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belt layer 151 .

캡 플라이(160)는 벨트층(150)의 단부를 커버할 수 있다. 캡 플라이(160)는 제1 벨트층(151)의 단부와, 제2 벨트층(152)의 단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된다. 캡 플라이(160)는 부착되는 특수코드지로 주행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캡 플라이(160)는 일 예로 폴리에스테르 합성섬유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cap ply 160 may cover an end of the belt layer 150 . The cap ply 160 is disposed to cover an end of the first belt layer 151 and an end of the second belt layer 152 . The cap ply 160 is a special cord paper to be attached, which can improve performance during driving. The cap ply 160 may include, for example, polyester synthetic fibers.

이너라이너(170)는 타이어(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공기의 누출을 방지하고, 타이어(100) 내의 공기압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이너라이너(170)는 타이어(100)의 외부의 수분을 포함하는 공기가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이너라이너(170)는 공기가 벨트층(150)로 침투되어, 벨트층(150)의 세퍼레이션을 방지할 수 있다. 이너라이너(170)는 밀폐성이 우수한 고무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이너라이너(170)는 부틸고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inner liner 170 may be disposed inside the tire 100 to prevent air leakage and maintain air pressure in the tire 100 . In addition, the inner liner 170 may prevent the air containing moisture from the outside of the tire 100 from penetrating into the inside. In particular, in the inner liner 170 , air permeates into the belt layer 150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belt layer 150 . The inner liner 170 may be formed of a rubber layer having excellent sealing properties. For example, the inner liner 170 may be made of butyl rubber or the like.

이너라이너(170)는 사이드월부(120)을 따라 연장되며, 타이어(100)의 내부 공간으로 오목하게 만곡될 수 있다. 이너라이너(170)는 비드부(130)을 따라 연장되며, 사이드월부(120)와 비드부(130)의 경계 영역에서 함몰부(DE)가 형성될 수 있다.The inner liner 170 extends along the sidewall portion 120 and may be concavely curv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tire 100 . The inner liner 170 extends along the bead part 130 , and a recessed part DE may be formed in a boundary region between the sidewall part 120 and the bead part 130 .

함몰부(DE)는 사이드월부(120)와 비드부(130)의 사이에 배치되거나, 비드부(130)에 인접한 사이드월부(120)에 배치될 수 있다. 함몰부(DE)는 타이어(100)의 내측벽에서 외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함몰부(DE)는 사이드월부(120)와 비드부(130)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서, 연결되는 부분의 곡률이 급격하게 변경되어, 타이어(100)의 내측벽에서 오목하게 패여지게 형성된다. The recessed part DE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idewall part 120 and the bead part 130 , or may be disposed in the sidewall part 120 adjacent to the bead part 130 . The depression DE may be defined as a region concavely concave outwardly from the inner wall of the tire 100 . The recessed portion DE is formed so that the sidewall portion 120 and the bead portion 130 extend in different directions, the curvature of the connected portion is abruptly changed, and thus the sidewall portion 120 and the bead portion 130 are concavely recessed in the inner wall of the tire 100 . .

함몰부(DE)는 폭 방향으로 가장 깊은 저점을 가지며, 상기 저점은 제2 프로텍터(182)의 제2 말단(182E)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함몰부(DE)의 상기 저점은 비드 필러(132)의 정점(132P)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The depression DE has the deepest trough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trough may be disposed higher than the second end 182E of the second protector 182 . In addition, the lower point of the recessed portion DE may be formed to be higher than the apex 132P of the bead pillar 132 .

제2 프로텍터(182)가 함몰부(DE)보다 원주 방향으로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비드부(130)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도 3을 보면, 타이어(100)의 펑크시에, 제2 프로텍터(182)는 제1 서포터(230)에 지지되며, 함몰부(DE)는 상기 저점을 따라 정상 주행일 때 보다 더 접히게 된다. 함몰부(DE)의 저점이 비드 필러(132)의 정점(132P)보다 높고, 제2 프로텍터(182)의 제2 말단(182E)보다 높게 배치되므로, 비드부(130)는 접히지 않으며, 특히 비드 필러(132)의 변형이나 분리없이 제1 서포터(230)로 더 틸팅된다. 따라서, 타이어(100)가 런플랫으로 주행되더라고, 비드부(130)의 형샹 변화 없이, 타이어(100)의 주행을 유지할 수 있다.The second protector 182 is disposed at a lower posi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an the recessed portion DE, thereby preventing the bead portion 130 from being separated. Referring to FIG. 3 , when the tire 100 is punctured, the second protector 182 is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er 230 , and the depression DE is folded further along the low point than during normal driving. . Since the bottom of the recessed portion DE is higher than the apex 132P of the bead pillar 132 and is higher than the second end 182E of the second protector 182, the bead portion 130 is not folded, especially the bead. It is further tilted to the first supporter 230 without deformation or separation of the pillar 132 . Accordingly, even when the tire 100 is driven on a run flat, the running of the tire 100 can be maintained without a change in the shape of the bead portion 130 .

프로텍터 유닛(180)은 타이어(100)의 폭방향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로텍터 유닛(180)은 타이어(100)의 런플랫시에 림(200)의 서포터에 지지되므로, 타이어 조립체(1)가 소정의 마일리지를 주행할 수 있다.The protector unit 180 may be disposed outside the tire 100 in the width direction. Since the protector unit 180 is supported by the supporter of the rim 200 during the run flat of the tire 100 , the tire assembly 1 may travel a predetermined mileage.

일 실시예로, 프로텍터 유닛(180)은 트레드부(110)의 양단에 배치된 제1 프로텍터(181)와, 비드부(130)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2 프로텍터(182)를 구비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protector unit 180 may include a first protector 181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tread unit 110 and a second protector 182 disposed adjacent to the bead unit 130 . .

제1 프로텍터(181)는 트레드부(110)와 사이드월부(120) 사이에 배치되며, 외측으로 돌출된다. 제1 프로텍터(181)은 폭 방향의 최외곽 지점인 제1 말단(181E)을 가지며, 제1 말단(181E)이 타이어(100)에서 가장 외측(L1)에 배치된다. 제1 프로텍터(181)는 제2 서포터(250)의 일부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런플랫시에는 제1 프로텍터(181)의 하면이 제2 서포터(250)에 지지된다.The first protector 181 is disposed between the tread part 110 and the sidewall part 120 and protrudes outward. The first protector 181 has a first end 181E that is an outermost point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first end 181E is disposed at the outermost L1 of the tire 100 . The first protector 181 is disposed to face a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er 250 , and a lower surface of the first protector 181 is supported by the second supporter 250 during run flat.

제2 프로텍터(182)는 비드부(130)에 인접한 영역에서, 비드부(13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제2 프로텍터(182)는 폭 방향의 최외곽 지점인 L2에서 제2 말단(182E)을 가질 수 있다. 제2 말단(182E)은 비드 필러(132)의 정점(132P)보다 낮게 배치되며, 함몰부(DE)의 저점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도 3과 같이 타이어(100)가 런플랫 주행중에, 제2 프로텍터(182)는 제1 서포터(230)에 지지되고, 제2 말단(182E)의 반경방향 외측에서 함몰부(DE)가 더 벤딩되므로, 비드부(130)가 원형을 유지하고, 비드 필러(132)의 분리나 꺽임을 방지할 수 있다.The second protector 182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bead part 130 in a region adjacent to the bead part 130 . The second protector 182 may have a second end 182E at L2, which is the outermost point in the width direction. The second end 182E may be disposed lower than the apex 132P of the bead pillar 132 and may be disposed lower than the bottom point of the depression DE. As shown in FIG. 3 , while the tire 100 is running on the run flat, the second protector 182 is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er 230 , and the recessed portion DE is further bent at the radially outer side of the second end 182E. Therefore, the bead portion 130 maintains a circular shape,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separation or bending of the bead filler 132 .

제1 프로텍터(181)의 L1까지 연장된 제1 말단(181E)이 제2 프로텍터(182)의 L2까지 연장된 제2 말단(182E)보다 타이어(100)의 폭 방향의 외측에 더 돌출될 수 있다. 제1 프로텍터(181)는 트레드부(110)의 양측에 배치되므로, 폭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말단(181E)이 런플랫 주행시에 트레드부(110)와 지면의 접지면적을 넓혀서, 타이어(100)가 받는 하중을 분산할 수 있다. 동시에, 제2 프로텍터(182)는 제2 말단(182E)이 제1 서포터(230)에 지지되어, 비드부(130)에 가해지는 하중을 안정적으로 분산할 수 있다. The first end 181E extending to L1 of the first protector 181 may protrude more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ire 100 than the second end 182E extending to L2 of the second protector 182 . have. Since the first protectors 181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tread unit 110, the first end 181E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increases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tread unit 110 and the ground during run-flat driving, so that the tire 100 ) can distribute the load received. At the same time, the second end 182E of the second protector 182 is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er 230 , so that the load applied to the bead part 130 may be stably distributed.

림(200)은 허브(210), 비드 장착부(220), 제1 서포터(230), 연결부(240), 제2 서포터(250)를 구비할 수 있다.The rim 200 may include a hub 210 , a bead mounting part 220 , a first supporter 230 , a connection part 240 , and a second supporter 250 .

허브(210)는 타이어(10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며, 차량의 구동축(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허브(210)의 양단에는 비드 장착부(220)가 연결되며, 허브(210)와 타이어(100)에 의해서, 타이어(100)의 내부공간이 형성된다.The hub 210 ext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ire 100 and may be connected to a driving shaft (not shown) of the vehicle. Bead mounting units 220 ar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hub 210 , and an inner space of the tire 100 is formed by the hub 210 and the tire 100 .

비드 장착부(220)는 비드부(130)의 단부가 장착될 수 있다. 비드부(130)는 비드 장착부(220)의 제1 접촉면(200A)과 접촉을 유지할 수 있다.The bead mounting unit 220 may be mounted at an end of the bead unit 130 . The bead unit 130 may maintain contact with the first contact surface 200A of the bead mounting unit 220 .

제1 서포터(230)는 비드 장착부(220)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며, 비드부(130)의 외측에 배치된다. 도 2를 보면, 제1 서포터(230)는 내측면의 일부 구간이 비드부(130)의 외측면과 접촉하고, 다른 구간에서 비드부(130)의 외측면과 분리되며, 상기 분리 지점이 제2 프로텍터(182)의 제2 말단(182E)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supporter 230 extends radially from the bead mounting part 220 and is disposed outside the bead part 130 . 2,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er 230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ead unit 130, and is separat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ead unit 130 in another section, and the separation point is the first supporter 230. 2 It may be disposed lower than the second end 182E of the protector 182 .

비드 장착부(220)에 인접한 제1 서포터(230)는 비드부(130)의 하단 외측면을 지지한다. 또한, 제1 서포터(230)는 비드부(130)의 외측면과 분리지점을 형성하고, 분리지점에서 반경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제1 서포터(230)가 연장된다. 타이어(100)의 주행 중에 비드부(130)의 하단이 제1 서포터(230)에 지지되므로, 타이어(100)가 폭 방향으로 자유도가 확보될 수 있다. 타이어(100)의 내부 압력의 변화나, 노면에 따라서 타이어(100)의 내부 공간은 변화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분리 지점은 제1 서포터(230)의 제1 지지면(200B)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The first supporter 230 adjacent to the bead mounting unit 220 supports the lower outer surface of the bead unit 130 . In addition, the first supporter 230 forms a separation poin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ead part 130 , and the first supporter 230 extends in the radial and width directions from the separation point. Since the lower end of the bead part 130 is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er 230 while the tire 100 is running, the tire 100 may secure a degree of freedom in the width direction. The internal space of the tire 100 may change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tire 100 or the road surface, and accordingly, the separation point moves along the first support surface 200B of the first supporter 230 . can

제1 서포터(230)는 제2 프로텍터(182)의 아래부분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타이어(100)의 런플래시에, 제1 서포터(230)의 제1 지지면(200B)은 제2 프로텍터(182)의 하면과 접촉된다. 타이어(100)가 펑크가 발생되면, 제2 프로텍터(182)는 폭 방향의 외측으로 더 틸팅되고, 상기 분리 지점이 사라지고, 제2 프로텍터(182)의 제2 말단(182E)까지 제1 지지면(200B)에 지지된다.The first supporter 230 may be disposed such that lower portions of the second protector 182 face each other. In the run flash of the tire 100 , the first support surface 200B of the first supporter 230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protector 182 . When the tire 100 is punctured, the second protector 182 is further tilted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the separation point disappears, and the first support surface up to the second end 182E of the second protector 182 . (200B) is supported.

연결부(240)는 타이어(100)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 서포터(230)와 제2 서포터(250)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240)는 제2 프로텍터(182)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도 3과 같이 제2 프로텍터(182)가 제1 서포터(230)에 지지되도록 틸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240 extends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tire 100 , and may connect the first supporter 230 and the second supporter 250 . The connection part 240 is disposed to face the second protector 182 , and may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second protector 182 can be tilted to be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er 230 as shown in FIG. 3 .

제2 서포터(250)는 제1 서포터(230)에서 연장되어, 사이드월부(120)의 외측에 배치된다. 제2 서포터(250)는 연결부(240)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1 프로텍터(181)의 아래부분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er 250 extends from the first supporter 230 and is disposed outside the sidewall part 120 . The second supporter 25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on unit 240 , and may be disposed to face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protector 181 .

제2 서포터(250)는 사이드월부(120)의 외면(120o)에서 인접하게 배치되는 내측단(200C)과, 런플래시에 제1 프로텍터(181)를 지지하는 제2 지지면(200D)을 가질 수 있다.The second supporter 250 has an inner end 200C disposed adjacent to the outer surface 120o of the sidewall part 120 and a second support surface 200D for supporting the first protector 181 in the run flash. can

내측단(200C)은 사이드월부(120)를 향하여 돌출되며, 연결부(240)의 내측면보다 사이드월부(120)의 외면에 더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2 서포터(250)는 내측단(200C)이 사이드월부(120)로 돌출되므로, 런플랫시에 제1 프로텍터(181)의 지지면적을 확대할 수 있으며, 타이어(100)의 런플랫 주행 거리를 늘릴 수 있다.The inner end 200C protrudes toward the sidewall portion 120 and is disposed closer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wall portion 120 tha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ortion 240 . Since the inner end 200C of the second supporter 250 protrudes to the sidewall portion 120 of the second supporter 250 , the support area of the first protector 181 can be enlarged during run-flat, and the running distance of the tire 100 is run-flat. can be increased

내측단(200C)은 타이어(100)의 함몰부(DE) 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도 3과 같이, 함몰부(DE)는 정상 주행일 때 보다 런플랫 주행 시에 더 접히게 된다. 함몰부(DE)는 내측단(200C)보다 아래에 배치되므로, 제1 프로텍터(181)가 제2 서포터(250)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The inner end 200C may be disposed higher than the depression portion DE of the tire 100 . As shown in FIG. 3 , the recessed portion DE is folded more during run-flat driving than during normal driving. Since the recessed portion DE is disposed below the inner end 200C, the first protector 181 may be stably supported by the second supporter 250 .

제2 지지면(200D)은 내측단(200C)에서 폭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지지면(200D)에는 제1 프로텍터(181)의 하부가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런플랫시에는 제1 프로텍터(181)의 하부가 지지된다. The second support surface 200D extends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inner end 200C.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protector 181 is disposed to face the second support surface 200D,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protector 181 is supported during run flat.

일 실시예로, 제2 지지면(200D)은 타이어(10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곡률 반경이 변화할 수 있다. 도 2를 보면, 제2 지지면(200D)은 내측단에 인접한 영역에서 R1의 곡률반경을 가지며, 외측에는 R1보다 큰 R2의 곡률반경을 가진다. 또한, 제2 지지면(200D)의 외곽에는 R2 보다 작은 R3의 곡률반경을 가진다.In an embodiment,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second support surface 200D may vary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tire 100 . Referring to FIG. 2 , the second support surface 200D has a radius of curvature of R1 in an area adjacent to the inner end, and a radius of curvature of R2 greater than R1 on the outside. In addition, the outer edge of the second support surface 200D has a radius of curvature of R3 smaller than R2.

제2 지지면(200D)에서 제1 프로텍터(181)와 마주보는 영역은 곡률이 완만하게 형성되어, 타이어(100)의 런플랫시에 제1 프로텍터(181)가 안정적으로 제2 서포터(250)에 지지될 수 있다. 즉, 제1 프로텍터(181)와 마주보는 구간에서는 제2 지지면(200D)의 곡률 반경이 증가하게 배치되어, 런플랫시에 제1 프로텍터(181)의 하부가 제2 지지면(200D)에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The area facing the first protector 181 on the second support surface 200D has a gentle curvature, so that the first protector 181 is s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er 250 when the tire 100 is run flat. can be supported on That is, in the section facing the first protector 181 ,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second support surface 200D is increased to increase,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protector 181 is located on the second support surface 200D during run flat. It can be stably attached.

펑크 등으로 타이어(100)의 내부 압력이 낮아지면, 타이어 조립체(1)는 런플랫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이때, 사이드월부(120)는 일 지점에서 폴딩 될 수 있다. 제1 프로텍터(181)와 제2 프로텍터(182) 사이의 일 지점에서 사이드월부(120)가 폴딩되어 벤딩부(BE)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트레드부(110)의 양단에 배치된 제1 프로텍터(181)는 제2 서포터(250)에 지지되며, 비드부(130)에 인접한 제2 프로텍터(182)는 제1 서포터(230)에 지지된다.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tire 100 is lowered due to a puncture or the like, the tire assembly 1 may be driven in a run flat manner. In this case, the sidewall part 120 may be folded at one point. The sidewall part 120 may be folded at a point between the first protector 181 and the second protector 182 to form the bending part BE. At this time, the first protectors 181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tread part 110 are supported by the second supporters 250 , and the second protectors 182 adjacent to the bead part 130 are attached to the first supporters 230 . is supported

타이어(100)의 내부 압력이 낮아지더라도, 프로텍터 유닛(180)이 림(200)에 지지되므로, 타이어(100)는 소정의 마일리지 동안 런플랫 주행이 가능하다. 특히, 제1 프로텍터(181)는 트레드부(110)의 양단에 배치되어, 런플랫시에 트레드부(110)의 접지면적을 유지하여, 런플랫 가능한 주행 거리를 늘릴 수 있다. Even if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tire 100 is lowered, since the protector unit 180 is supported by the rim 200 , the tire 100 can run flat for a predetermined mileage. In particular, the first protector 181 may be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tread unit 110 to maintain the ground area of the tread unit 110 during run-flat, thereby increasing the run-flat possible running distance.

또한, 제2 프로텍터(182)는 비드부(130)의 형상 변형없이, 제1 서포터(230)에 지지되므로, 비드부(13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제2 프로텍터(182)의 제2 말단(182E)은 타이어(100)의 함몰부(DE)나 비드 필러(132)의 정점(132P)보다 낮게 배치되므로, 비드부(130)의 변형없이, 비드부(130)가 제1 서포터(230)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econd protector 182 is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er 230 without deforming the shape of the bead part 130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ead part 130 from being separated. In particular, since the second end 182E of the second protector 182 is disposed lower than the depression portion DE of the tire 100 or the apex 132P of the bead filler 132 , the bead portion 130 is not deformed. , the bead part 130 may be stably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er 23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100) 및 타이어 조립체(1)는 안정적으로 런플랫 주행 가능하다. 타이어(100)의 내부 압력이 낮아지더라도, 타이어(100)의 프로텍터 유닛(180)이 림(200)에 지지되고, 트레드부(110)는 지면과의 접지면을 유지할 수 있다. 타이어(100)의 트레드부(110)의 양단에 배치된 제1 프로텍터(181)와 비드부(130)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2 프로텍터(182)가 림(200)에 지지되므로, 타이어(100)의 전체적인 형상을 어느정도 유지하면서 런플랫 주행할 수 있어, 주행 가능 거리를 늘릴 수 있다.The tire 100 and the tire assembly 1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bly run run-flat. Even if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tire 100 is lowered, the protector unit 180 of the tire 100 is supported by the rim 200 , and the tread unit 110 may maintain a contact surface with the ground. Since the first protector 181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tread portion 110 of the tire 100 and the second protector 182 disposed adjacent to the bead portion 130 are supported by the rim 200 , the tire 100 ), while maintaining the overall shape to some extent, run-flat driving is possible, increasing the drivable distan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100) 및 타이어 조립체(1)는 런플랫시에 사이드월부(120)가 폴딩되어, 주행 가능 거리가 확장될 수 있다. 사이드월부(120)는 내측으로 만곡된 형상을 가지므로, 타이어(100)가 런플랫시에 제1 프로텍터(181)와 제2 프로텍터(182)가 림(200)에 지지되면서, 사이드월부(120)가 폴딩될 수 있다. 즉, 사이드월부(120)가 내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되므로, 내부 공기압이 줄어들면 쉽게 폴딩되고, 트레드부(110)의 접지면을 유지하면서 타이어 조립체(1)가 주행되는바, 런플랫 마일리지를 늘릴 수 있다.In the tire 100 and the tire assembly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wall part 120 is folded during run flat, so that the drivable distance may be extended. Since the sidewall part 120 has an inwardly curved shape, the first protector 181 and the second protector 182 are supported by the rim 200 when the tire 100 is run flat, and the sidewall part 120 ) can be folded. That is, since the sidewall part 120 is formed to be curved inward, it is easily folded when the internal air pressure is reduced, and the tire assembly 1 is driven while maintaining the tread surface of the tread part 110, thereby increasing the run-flat mileage. can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 타이어 조립체
100: 타이어
110: 트레드부
120: 사이드월부
130: 비드부
140: 바디플라이
180: 프로텍터 유닛
181: 제1 프로텍터
182: 제2 프로텍터
200: 림
210: 허브
220: 비드 장착부
230: 제1 서포터
240: 연결부
250: 제2 서포터
1: tire assembly
100: tire
110: tread part
120: side wall portion
130: bead unit
140: body fly
180: protector unit
181: first protector
182: second protector
200: rim
210: hub
220: bead mounting portion
230: first supporter
240: connection
250: second supporter

Claims (13)

지면과 접촉하는 트레드부;
상기 트레드부의 양단에서 연장되되, 적어도 일부 구간이 내측으로 오목하게 만곡되는 사이드월부;
상기 사이드월부의 단부에 배치되는 비드부;
상기 트레드부와 상기 사이드월부 사이에 배치되며, 외측으로 돌출된 제1 프로텍터; 및
상기 비드부에 인접게 배치되며, 외측으로 돌출된 제2 프로텍터;를 포함하는, 타이어.
a tread in contact with the ground;
a sidewall portion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tread portion,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concavely curved inwardly;
a bead portion disposed at an end of the sidewall portion;
a first protector disposed between the tread portion and the sidewall portion and protruding outward; and
A tire including; a second protector disposed adjacent to the bead and protruding outwar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텍터의 제1 말단이 상기 제2 프로텍터의 제2 말단보다 상기 타이어의 폭 방향의 외측에 더 돌출되는, 타이어.
According to claim 1,
A tire, wherein a first end of the first protector protrudes more outwardly in a width direction of the tire than a second end of the second protecto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로텍터는
단부에 배치된 제2 말단이 상기 비드부의 비드 필러의 정점보다 낮게 배치되는, 타이어.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protector
and a second end disposed at the end is disposed lower than the apex of the bead pillar of the bead por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월부와 상기 비드부 사이에 배치되거나, 상기 비드부에 인접한 상기 사이드월부에 배치되되, 상기 타이어의 내측벽에 함몰된 함몰부;를 가지는, 타이어.
According to claim 1,
A tire having a; a depression disposed between the sidewall portion and the bead portion, or disposed on the sidewall portion adjacent to the bead portion, and recessed in the inner wall of the tire.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가장 깊은 저점이 상기 제2 프로텍터의 제2 말단 보다 높게 배치되는, 타이어.
5. The method of claim 4,
the depression
wherein the deepest trough is disposed higher than the second end of the second protecto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월부는
상기 제1 프로텍터와 상기 제2 프로텍터의 사이 구간에서 내측으로 만곡되게 배치되는, 타이어.
According to claim 1,
The side wall part
The tire is disposed to be curved inwardly in a section between the first protector and the second protecto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월부는
상기 타이어의 내부 압력이 낮아지면, 상기 제1 프로텍터와 상기 제2 프로텍터 사이에서 폴딩되는, 타이어.
According to claim 1,
The side wall part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tire is lowered, the tire is folded between the first protector and the second protector.
림에 장착되는 타이어를 가지는 타이어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는
지면과 접촉하는 트레드부;
상기 트레드부의 양단에서 연장되되, 적어도 일부 구간이 내측으로 오목하게 만곡되는 사이드월부;
상기 사이드월부의 단부에 배치되는 비드부;
상기 트레드부와 상기 사이드월부 사이에 배치되며, 외측으로 돌출된 제1 프로텍터; 및
상기 비드부의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된 제2 프로텍터;를 포함하고,
상기 림은
상기 비드부의 단부가 장착되는 비드 장착부;
상기 비드 장착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비드부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프로텍터의 아래 부분이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1 서포터; 및
상기 제1 서포터에서 연장되어, 상기 사이드월부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프로텍터의 아래 부분이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2 서포터;를 포함하는, 타이어 조립체.
A tire assembly having a tire mounted on a rim, the tire assembly comprising:
the tire
a tread in contact with the ground;
a sidewall portion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tread portion,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concavely curved inwardly;
a bead portion disposed at an end of the sidewall portion;
a first protector disposed between the tread portion and the sidewall portion and protruding outward; and
Including; a second protector protruding outward from the top of the bead portion,
the rim is
a bead mounting part to which an end of the bead part is mounted;
a first supporter extending in a radial direction from the bead mounting part, disposed outside the bead part, and having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protector facing each other; and
and a second supporter extending from the first supporter, disposed outside the sidewall portion, and disposed to face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protector.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포터는
내측면의 일부 구간에서 상기 비드부의 외측면과 접촉하고, 다른 구간에서 상기 비드부의 외측면과 분리되되, 분리지점이 상기 제2 프로텍터의 제2 말단보다 낮은, 타이어 조립체.
9.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supporter
The tire assembly, wherein the inner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ead portion in some sections and is separat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ead portion in another section, wherein the separation point is lower than the second end of the second protector.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포터는
상기 사이드월부의 외면에서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프로텍터의 제2 말단보다 반경 방향으로 높게 배치되는 내측단;을 가지는, 타이어 조립체.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econd supporter
and an inner end disposed adjacent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wall portion and disposed radially higher than the second end of the second protector.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는
상기 사이드월부와 상기 비드부 사이에 배치되거나, 상기 비드부에 인접한 상기 사이드월부에 배치되되, 상기 타이어의 내측벽에 함몰되며, 저점이 상기 내측단보다 반경 방향으로 낮게 배치되는 함몰부;를 더 포함하는, 타이어 조립체.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tire
a recessed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sidewall portion and the bead portion, or disposed on the sidewall portion adjacent to the bead portion, recessed in the inner wall of the tire, and disposed at a lower point in a radial direction than the inner end of the tire. comprising, a tire assembly.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단은 상기 제1 프로텍터의 말단보다 폭 방향의 내측에 배치되는, 타이어 조립체.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inner end is disposed on the inn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than the end of the first protector.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는
내부 압력이 낮아지면, 상기 제1 프로텍터와 상기 제2 프로텍터 사이에서 상기 사이드월부가 폴딩되며,
상기 제1 프로텍터가 상기 제2 서포터에 지지되고, 상기 제2 프로텍터가 상기 제1 서포터에 지지되는, 타이어 조립체.
9. The method of claim 8,
the tire
When the internal pressure is lowered, the sidewall portion is folded between the first protector and the second protector,
wherein the first protector is supported by the second supporter and the second protector is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er.
KR1020190176267A 2019-12-27 2019-12-27 Tire and tire assembly KR1023044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267A KR102304424B1 (en) 2019-12-27 2019-12-27 Tire and tire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267A KR102304424B1 (en) 2019-12-27 2019-12-27 Tire and tire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3701A true KR20210083701A (en) 2021-07-07
KR102304424B1 KR102304424B1 (en) 2021-09-24

Family

ID=76862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6267A KR102304424B1 (en) 2019-12-27 2019-12-27 Tire and tire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4424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8780A (en) * 1989-10-27 1991-05-31 아오이 죠이찌 Collar water pipe device
KR20190058446A (en) * 2016-09-25 2019-05-29 갈릴레오 휠 리미티드 Pneumatic tire with annular side wall reces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8780A (en) * 1989-10-27 1991-05-31 아오이 죠이찌 Collar water pipe device
KR20190058446A (en) * 2016-09-25 2019-05-29 갈릴레오 휠 리미티드 Pneumatic tire with annular side wall rec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4424B1 (en) 2021-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84358A1 (en) Pneumatic tire
EP1363788B1 (en) A tyre for vehicle wheels with self-support functions, and a rim for said tyre
EP3599111B1 (en) Pneumatic tire
KR102304424B1 (en) Tire and tire assembly
KR102082950B1 (en) Pneumatic tire
KR102126000B1 (en) Pneumatic tire
KR102149457B1 (en) Pneumatic tire
JP7159676B2 (en) pneumatic tire
KR102030013B1 (en) Pneumatic tire
KR102304425B1 (en) Tire
KR102291034B1 (en) Tire
KR20210035559A (en) Pneumatic ti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13226788A (en) Run flat tire
KR102425078B1 (en) Tire
KR102182620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bead core of pneumatic tire
KR102605834B1 (en) Tire
KR102318398B1 (en) Tire
KR102205465B1 (en) Pneumatic tire
KR102099916B1 (en) Attachable weight body and tire comprising the same
KR102185303B1 (en) Wheel assembly
KR102278587B1 (en) Tire
JP2020015422A (en) Pneumatic tire
KR102553338B1 (en) Tire
CN220923714U (en) Tyre with stab-proof and explosion-proof performance
CN111542441B (en) Runflat t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