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3646A - Electric Monorail System - Google Patents

Electric Monorail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3646A
KR20210083646A KR1020190176137A KR20190176137A KR20210083646A KR 20210083646 A KR20210083646 A KR 20210083646A KR 1020190176137 A KR1020190176137 A KR 1020190176137A KR 20190176137 A KR20190176137 A KR 20190176137A KR 20210083646 A KR20210083646 A KR 20210083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terminal
cage
rechargeable battery
transfer body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61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95047B1 (en
Inventor
장기홍
Original Assignee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6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5047B1/en
Publication of KR20210083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36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5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50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5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suspended load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verhead running type article transport system.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verhead running type article transport system, which is not necessary to connect a separate power cable from a transfer body to a lifting cage by attaching a separate rechargeable battery to the lifting cage to supply power and allowing the rechargeable battery to be charged when the lifting cage is combined with the transfer body, simplifying the structure of the transfer body and the lifting cage, providing easy manufacture and maintenance, and in particular, automatically charging the rechargeable battery in a basic driving process without a special control process for charging the rechargeable battery, enabling more convenient and stable operation.

Description

천장 주행형 물품 이송 시스템{Electric Monorail System}Over-the-ceiling article transport system {Electric Monorail System}

본 발명은 천장 주행형 물품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충전 배터리를 승강 케이지에 장착하여 전원을 공급하고 승강 케이지가 이송 본체와 결합시 충전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전원 케이블을 이송 본체로부터 승강 케이지 측으로 연결할 필요가 없어 이송 본체 및 승강 케이지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제작 및 유지 관리가 용이하며, 특히, 충전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특별한 제어 과정없이 기본적인 운행 과정에서 충전 배터리가 자동 충전될 수 있어 더욱 편리하고 안정적인 운행이 가능한 천장 주행형 물품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verhead running article transport system. More specifically, by attaching a separate rechargeable battery to the elevating cage to supply power and charging the rechargeable battery when the elevating cage is combined with the transfer body, there is no need to connect a separate power cable from the transfer body to the elevating cage side. And the structure of the elevating cage can be simplified, manufacturing and maintenance are easy, and in particular, the rechargeable battery can be automatically charged in the basic operation process without a special control process for charging the rechargeable battery, so more convenient and stable operation is possible. It relates to a overhead traveling type article transport system.

물류라는 용어는 물적 유통(physical distribution)의 줄임말로서, 생산자로부터 소비자에게 제품, 재화를 효과적으로 옮겨주는 기능 또는 활동의 총칭이다. 일반적으로 포장, 하역, 수송, 보관 및 정보와 같은 여러 활동을 말한다.The term logistics is an abbreviation for physical distribution, and is a generic term for functions or activities that effectively move products and goods from producers to consumers. Generally refers to several activities such as packaging, unloading, transport, storage and information.

통상적으로 제품, 재화를 수송하는 데는 포장, 보관, 집하/적재, 수송, 하역/배달, 보관 등의 여러 과정을 거친다. 어떠한 수송수단을 이용하든 이러한 과정을 거치지 않고는 제품, 재화의 이동은 불가능하다. 이러한 이동의 전체를 종합적으로 보는 것이 물적 유통(물류)인 것이다.In general, to transport products and goods, various processes such as packaging, storage, collection/loading, transportation, unloading/delivery, and storage are performed. It is impossible to move goods and goods without going through this process no matter which means of transport is used. Comprehensively looking at the whole of these movements is physical distribution (logistics).

근래에 들어서는 대량생산, 대량판매, 대량소비가 시대의 추세가 되었으며, 그 사이를 잇는 물자의 흐름을 효율화할 필요성이 커졌기 때문에 물류의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In recent years, mass production, mass sales, and mass consumption have become the trend of the times, and the importance of logistics is gradually increasing because the need to streamline the flow of goods between them has increased.

물류 창고는 일반적으로 공장 또는 생산지에서 대량으로 생산된 각종 식료품, 음료, 의류, 가전, 잡화 및 산업용품 등의 일상에서 사용되는 모든 물품들을 일시 또는 장기간 적재 보관하기 위한 저장창고를 말한다. 이러한 물류 창고는 최근 물류산업의 급속한 발달로 인하여 단순한 물류의 관리차원에서 벗어나 물류 창고 내 보관재고의 물품배치에서부터 효율적인 입출고는 물론 재고관리 등의 새로운 비즈니스의 창출을 도모할 수 있도록 설계 및 시공되고 있다.Logistics warehouse refers to a storage warehouse for temporarily or long-term loading and storage of all items used in daily life, such as various foodstuffs, beverages, clothing, home appliances, miscellaneous goods, and industrial goods, which are generally mass-produced in factories or production sites.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logistics industry in recent years, these warehouses are designed and constructed so that they can create new businesses such as inventory management, as well as efficient warehousing, from arranging items in storage stock in the logistics warehouse beyond the simple logistics management dimension. .

이러한 물류 창고는 신속한 화물의 입고와 출고가 생명이기 때문에 대부분 기계화 또는 자동화된 화물의 적재 및 하역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스태커 크레인, 셔틀, 리프트 등의 자동화 설비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외에도 공장이나 창고 바닥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반송 대차이 이동하며 물품을 이송하는 RTV(Robotic Transfer Vehicle), 천장에 설치된 모노레일을 따라 이송 대차가 이동하며 물품을 이송하는 천장 주행형 물품 이송 시스템, 다양한 화물을 사용자가 설정한 특정 분류 기준에 따라 자동으로 분류 이송하는 소터(sorter) 장치 등이 사용되고 있다.These warehouses are equipped with mechanized or automated means for loading and unloading cargo, because the rapid warehousing and delivery of cargo is vital. Typically, automated facilities such as stacker cranes, shuttles, and lifts are used. In addition, RTV (Robotic Transfer Vehicle), which transports goods by moving the transport cart along rails installed on the floor of a factory or warehouse, a ceiling-running goods transport system that transports goods by moving the transport cart along a monorail installed on the ceiling, various A sorter device that automatically sorts and transports cargo according to a specific classification standard set by a user is being used.

천장 주행형 물품 이송 시스템은 창고 내에 물품을 입출고 및 이송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거나 공장에서 제조 공정의 순서에 따라 작업물을 이송하는 목적으로 설치되는 등 다양한 목적으로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고 있다.The overhead traveling type transport system is being installed in various places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being installed for the purpose of loading and unloading and transporting goods in a warehouse or for the purpose of transporting a work according to the order of a manufacturing process in a factory.

천장 주행형 물품 이송 시스템은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소음과 진동이 적고 간단한 구성요소로 구현될 수 있는 전기 모노레일 시스템(EMS: Electric Monorail System)의 형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The overhead moving article transport system is being developed in various forms, and is generally used widely in the form of an Electric Monorail System (EMS) that has low noise and vibration and can be implemented with simple components.

도 1은 일반적인 천장 주행형 물품 이송 시스템의 이송 캐리어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transport carrier of a general overhead traveling type article transport system.

천장 주행형 물품 이송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에 주행 레일(101)이 설치되고, 주행 레일(101)을 따라 측면에 전원 공급을 위한 트롤리 전극(102)이 형성된다. 이러한 주행 레일(101)은 설치 환경에 따라 다양한 경로를 갖도록 형성되며, 일반적으로 하나의 폐루프 경로를 이루도록 형성된다.As shown in FIG. 1 , in the overhead traveling type article transport system, the traveling rail 101 is installed on the ceiling, and the trolley electrode 102 for supplying power is formed on the side along the traveling rail 101 . The traveling rail 101 is formed to have various paths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and is generally formed to form one closed loop path.

주행 레일(101)을 따라 이송 캐리어가 이동하는데, 이송 캐리어는 주행 레일(101)을 따라 주행하는 이송 본체(100)와, 물품을 탑재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이송 본체(100)로부터 승강 이동하는 승강 케이지(200)와, 승강 케이지(200)를 승강 구동하는 승강 구동 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transport carrier moves along the traveling rail 101 , and the transport carrier is formed to mount the transport body 100 traveling along the traveling rail 101 , and an article, and elevating and moving from the transport body 100 .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age 200 and a lift driving means 300 for driving the lift cage 200 up and down.

이송 본체(100)에는 주행 레일(101)의 트롤리 전극(102)에 접촉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트롤리 바(120)가 장착되고, 트롤리 바(120)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전달받아 이송 캐리어의 각 부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미도시)가 장착된다. 또한, 이송 본체(100)에는 이송 본체(100)가 주행 레일(101)을 따라 이동하도록 이송 본체(100)를 이동시키는 메인 구동부(110)가 장착된다.The transport body 100 is equipped with a trolley bar 120 that is supplied with power by contacting the trolley electrode 102 of the traveling rail 101, and receives power supplied through the trolley bar 120 to each of the transport carriers. A power supply (not shown)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mponent is mounted. In addition, the main driving unit 110 for moving the transfer body 100 so that the transfer body 100 moves along the traveling rail 101 is mounted on the transfer body 100 .

승강 구동 수단(3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본체(100)로부터 하향 인출되거나 상향 견인되는 승강 벨트(31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승강 케이지(200)는 승강 벨트(310)의 끝단에 결합되어 승강 벨트(310)와 함께 상하 이동한다. 승강 케이지(200)는 물품을 탑재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데, 승강 케이지(200)의 일측에는 탑재된 물품이 이탈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물품 이탈 감지 센서(201)가 장착되고, 다른 일측에는 승강 케이지(200)에 물품이 탑재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물품 감지 센서(202)가 장착된다. 또한, 승강 케이지(200)에는 물품을 파지하여 탑재할 수 있는 별도의 로딩 아암(미도시) 등이 장착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1 , the elevating driving means 300 is configured to include a elevating belt 310 that is drawn down or pulled upwards from the transfer body 100 , and the elevating cage 200 is the end of the elevating belt 310 . It is coupled to and moves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elevating belt 310 . The elevating cage 200 is formed so as to be able to mount an article, and an article departure detection sensor 201 capable of detecting whether the mounted article is detached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elevating cage 200, and the lifting and lowering on the other side. An article detection sensor 202 capable of detecting whether an article is mounted in the cage 200 is mounted. In addition, a separate loading arm (not shown) capable of gripping and mounting an article may be mounted on the elevating cage 200 .

이와 같이 승강 케이지(200)에는 물품 이탈 감지 센서(201) 및 물품 감지 센서(202) 등이 장착되므로, 이들의 작동을 위해서는 승강 케이지(200) 측으로 전원이 공급되어야 한다.As such, the lifting cage 200 is equipped with an article departure detection sensor 201 and an article detection sensor 202 , and power must be supplied to the lifting cage 200 for their operation.

이러한 전원 공급을 위해 이송 본체(100)로부터 별도의 전원 케이블 등이 승강 케이지(200) 측으로 연장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케이블 연장으로 인해 장치가 복잡해지는 것은 물론이고, 승강 케이지(200)의 승강 이동시 케이블이 꼬이거나 손상되며, 다른 부품과의 간섭에 의한 안전 사고의 위험이 존재한다는 문제가 있다.In order to supply such power, a separate power cable from the transfer body 100 must be extended toward the elevating cage 200. Due to this cable extension, the device is complicated as well as the elevating and moving cables of the elevating cage 200. It is twisted or damag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a risk of a safety accident due to interference with other parts.

따라서, 승강 케이지(200)의 승강 이동시에도 케이블의 꼬임을 방지함과 동시에 케이블의 외부 늘어짐 등을 방지하기 위해 이송 본체(100)에는 케이블이 권취되는 릴 형태의 케이블 공급 장치가 별도로 구비되기도 한다. 이 경우, 케이블 공급 장치를 승강 케이지(200)의 승강 이동 동작과 동기화하여 작동시킬 수 있는 별도의 구동 장치가 추가로 필요하여 전체 장치의 구성 및 제어가 더욱 복잡해진다는 문제가 있다.Accordingly, in order to prevent twisting of the cable and at the same time to prevent external sagging of the cable even during the lifting and lowering movement of the lifting cage 200 , a reel-type cable supply device in which the cable is wound is separately provided in the transfer body 100 .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separate driving device that can operate the cable supply device in synchronization with the lifting movement operation of the lifting cage 200 is additionally required, thereby further complicating the configuration and control of the entire device.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이 연구되고 있으나 복잡한 접점 구조 또는 마찰 구조 등에 따라 분진 발생이 초래되는 등 아직까지 그 연구 성과가 미미한 실정이다.Various methods have been studied to solve this problem, but the research results are still insignificant, such as dust generation due to a complex contact structure or friction structure.

국내등록특허 제10-1158483호Domestic Registered Patent No. 10-1158483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충전 배터리를 승강 케이지에 장착하여 전원을 공급하고 승강 케이지가 이송 본체와 결합시 충전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전원 케이블을 이송 본체로부터 승강 케이지 측으로 연결할 필요가 없어 이송 본체 및 승강 케이지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제작 및 유지 관리가 용이하며, 특히, 충전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특별한 제어 과정없이 기본적인 운행 과정에서 충전 배터리가 자동 충전될 수 있어 더욱 편리하고 안정적인 운행이 가능한 천장 주행형 물품 이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pply power by mounting a separate rechargeable battery to the elevating cage and to charge the rechargeable battery when the elevating cage is combined with the transfer body, thereby separately There is no need to connect the power cable from the transfer body to the elevating cage side, so the structure of the transfer body and elevating cage can be simplified, and manufacturing and maintenance are easy. In particular, the basic operation process without a special control process for charging the rechargeable battery The goal is to provide a ceiling-running article transport system that enables more convenient and stable operation as the rechargeable battery can be automatically recharged in th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충전 배터리의 충전량을 표시하거나 충전 단자의 접촉 불량을 감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고장이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고, 관리자 또는 작업자에 의해 해당 상황이 용이하게 인식되도록 하여 신속한 복구 처리가 가능한 천장 주행형 물품 이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splay the charge amount of the rechargeable battery or detect a contact defect of the charging terminal, thereby preventing a failure or malfunction, and allowing the manager or operator to easily recognize the situation so that the recovery process is quick. It is to provide a possible overhead traveling type article transport system.

본 발명은, 천장에 설치된 주행 레일을 따라 주행하며 일측에 전원 공급부가 장착되는 이송 본체; 물품을 탑재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이송 본체에 장착된 승강 구동 수단에 의해 상기 이송 본체로부터 상하 이동하는 승강 케이지; 및 상기 승강 케이지 측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승강 케이지에 장착되는 충전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 본체에는 상기 전원 공급부에 연결되는 제 1 충전 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승강 케이지에는 상기 충전 배터리에 연결되는 제 2 충전 단자가 형성되며, 상기 승강 케이지가 상승 이동하여 상기 이송 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충전 단자와 제 2 충전 단자가 서로 접촉 연결되어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상기 충전 배터리에 충전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주행형 물품 이송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 transport body that travels along a traveling rail installed on the ceiling and is equipped with a power supply on one side; an elevating cage formed so as to mount an article and moving up and down from the transfer body by an elevating driving means mounted on the transfer body; and a rechargeable battery mounted on the elevating cage to supply power to the elevating cage, wherein a first charging terminal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is formed on the transfer body, and the elevating cage is connected to the rechargeable battery A second charging terminal is formed, and the first charging terminal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state in which the lifting cage moves upward and is coupled to the transfer body, so that charging power is supplied to the rechargeable battery from the power supply unit It provides an overhead traveling type article transpor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becomes.

이때, 상기 제 1 충전 단자 및 제 2 충전 단자는 상기 이송 본체와 상기 승강 케이지의 상호 대향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charging terminal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may be respectively formed on opposite surfaces of the transfer body and the elevating cage.

또한, 상기 승강 구동 수단은 상기 이송 본체에 하향 인출되거나 상향 견인되도록 장착되며, 하단에 상기 승강 케이지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승강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충전 단자 및 제 2 충전 단자는 상기 승강 벨트와 인접한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vating driving means is mounted to be drawn downward or pulled upwards on the transfer body, and includes a plurality of elevating belts to which the elevating cage is coupled to the lower end, and the first charging terminal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are the elevating belt and may be respectively formed at adjacent positions.

한편, 상기 천장 주행형 물품 이송 시스템은, 상기 충전 배터리의 충전량을 감지할 수 있는 충전 감지부; 및 상기 충전 감지부로부터 상기 충전 배터리의 충전량을 인가받고, 인가받은 상기 충전 배터리의 충전량에 따라 상기 승강 구동 수단을 동작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verhead traveling type article transport system, a charge detection unit capable of detecting a charge amount of the rechargeable battery; and a control unit receiving the charge amount of the rechargeable battery from the charge sensing unit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ift driving means according to the received charge amount of the rechargeable battery.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 배터리의 충전량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승강 케이지가 상기 이송 본체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승강 구동 수단을 동작 제어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charge amount of the rechargeable battery is less than a reference value,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levating driving means so that the elevating cage is maintained in a state coupled to the transfer body.

또한, 상기 천장 주행형 물품 이송 시스템은, 상기 제 1 충전 단자와 제 2 충전 단자의 접촉 상태 여부를 감지하는 접촉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강 케이지가 상기 이송 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접촉 감지부에 의해 상기 제 1 충전 단자와 제 2 충전 단자가 접촉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된 경우, 별도의 알람 출력부를 통해 경고 상태가 출력되도록 동작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verhead traveling type article transport system, further comprising a contact sensing unit for detecting whether the contact state between the first charging terminal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the control unit in a state in which the elevating cage is coupled to the transfer body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first charging terminal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are not in contact by the contact sensing unit, an operation may be controlled to output a warning state through a separate alarm output unit.

또한, 상기 이송 본체 및 상기 승강 케이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충전 배터리의 충전량을 표시할 수 있는 충전 표시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transfer body and the elevating cage may be provided with a charging display unit capable of displaying the charge amount of the rechargeable battery.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충전 배터리를 승강 케이지에 장착하여 전원을 공급하고 승강 케이지가 이송 본체와 결합시 충전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전원 케이블을 이송 본체로부터 승강 케이지 측으로 연결할 필요가 없어 이송 본체 및 승강 케이지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제작 및 유지 관리가 용이하며, 특히, 충전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특별한 제어 과정없이 기본적인 운행 과정에서 충전 배터리가 자동 충전될 수 있어 더욱 편리하고 안정적인 운행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ttaching a separate rechargeable battery to the elevating cage to supply power and charging the rechargeable battery when the elevating cage is combined with the transfer body, there is no need to connect a separate power cable from the transfer body to the elevating cage side. The structure of the body and elevating cage can be simplified, manufacturing and maintenance are easy, and in particular, the rechargeable battery can be automatically charged in the basic operation process without a special control process for charging the rechargeable battery, so more convenient and stable operation is possible. possible effect.

또한, 충전 배터리의 충전량을 표시하거나 충전 단자의 접촉 불량을 감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고장이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고, 관리자 또는 작업자에 의해 해당 상황이 용이하게 인식되도록 하여 신속한 복구 처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displaying the charge amount of the rechargeable battery or detecting a contact defect of the charging terminal, failure or malfunction can be prevented, and the situation can be easily recognized by the manager or operator, thereby enabling rapid recovery processing. .

도 1은 일반적인 천장 주행형 물품 이송 시스템의 이송 캐리어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주행형 물품 이송 시스템의 충전 단자 배치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주행형 물품 이송 시스템의 충전 단자 접촉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주행형 물품 이송 시스템의 제어 관련 구성을 기능적으로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ransport carrier of a general overhead traveling type article transport system;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harging terminal arrangement position of the overhead traveling type article trans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harging terminal contact structure of the overhead traveling type article trans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functionally illustrating a control-related configuration of the overhead traveling type article trans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주행형 물품 이송 시스템의 충전 단자 배치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주행형 물품 이송 시스템의 충전 단자 접촉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주행형 물품 이송 시스템의 제어 관련 구성을 기능적으로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Figure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overhead trans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harging terminal of the overhead trans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tact structure, and FIG. 4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functionally showing a control-related configuration of the overhead traveling type article trans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주행형 물품 이송 시스템은, 배경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천장에 주행 레일(101)이 설치되고, 주행 레일(101)을 따라 측면에 전원 공급을 위한 트롤리 전극(102)이 형성되며, 주행 레일(101)을 따라 이송 캐리어가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송 캐리어는 주행 레일(101)을 따라 주행하는 이송 본체(100)와, 물품을 탑재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이송 본체(100)로부터 승강 이동하는 승강 케이지(200)와, 승강 케이지(200)를 승강 구동하는 승강 구동 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First, in the overhead traveling article trans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the background art, the traveling rail 101 is installed on the ceiling, and the trolley electrode for supplying power to the side along the traveling rail 101 . 102 is formed and is configured to move the transport carrier along the running rail 101 . The transport carrier includes a transport body 100 running along the traveling rail 101 , a lifting cage 200 that is formed to mount an article and moves up and down from the transport body 100 , and the lifting cage 200 .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lift driving means 300 for driving.

이송 본체(100)에는 주행 레일(101)의 트롤리 전극(102)에 접촉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트롤리 바(120)가 장착되고, 트롤리 바(120)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전달받아 이송 캐리어의 각 부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미도시)가 장착되며, 이송 본체(100)가 주행 레일(101)을 따라 이동하도록 이송 본체(100)를 이동시키는 메인 구동부(110)가 장착된다.The transport body 100 is equipped with a trolley bar 120 that is supplied with power by contacting the trolley electrode 102 of the traveling rail 101, and receives power supplied through the trolley bar 120 to each of the transport carriers. A power supply unit (not shown) for supplying power to the parts is mounted, and a main driving unit 110 for moving the transport body 100 so that the transport body 100 moves along the traveling rail 101 is mounted.

승강 구동 수단(300)은 이송 본체(100)로부터 하향 인출되거나 상향 견인되도록 장착되는 승강 벨트(310)와, 승강 벨트(310)를 상하 이동시키는 승강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하며, 승강 케이지(200)는 승강 벨트(31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승강 벨트(310)와 함께 상하 이동한다. 승강 구동 수단(300)은 승강 벨트 이외에 단순 가이드 바, 랙 피니언 등 다양한 기계 요소들에 의해 구성될 수 있으며, 승강 케이지(200)는 이러한 승강 구동 수단(300)에 의해 상하 이동하도록 구성된다.The lifting driving means 300 includes a lifting belt 310 mounted to be drawn downward or pulled upward from the transfer body 100, and a lifting driving unit (not shown) for moving the lifting belt 310 up and down, and a lifting cage ( 200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elevating belt 310 and moves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elevating belt 310 . The elevating driving means 300 may be configured by various mechanical elements such as a simple guide bar, a rack and pinion in addition to the elevating belt, and the elevating cage 200 is configured to move up and down by the elevating driving means 300 .

승강 케이지(200)는 물품을 탑재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데, 승강 케이지(200)의 일측에는 탑재된 물품이 이탈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물품 이탈 감지 센서(201)가 장착되고, 다른 일측에는 승강 케이지(200)에 물품이 탑재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물품 감지 센서(202)가 장착될 수 있다. The elevating cage 200 is formed so as to be able to mount an article, and an article departure detection sensor 201 capable of detecting whether the mounted article is detached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elevating cage 200, and the lifting and lowering on the other side. An article detection sensor 202 capable of detecting whether an article is mounted on the cage 200 may be mounted.

이송 본체(100)에는 제어부(600)가 구비되며, 제어부(600)는 메인 구동부(110) 및 승강 구동 수단(300)를 동작 제어하여 이송 본체(100)의 이동 및 승강 케이지(200)의 상하 이동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600)가 메인 구동부(110)를 동작 제어함으로써, 이송 본체(100)가 주행 레일(101)을 따라 이동하며, 제어부(600)가 승강 구동 수단(300)를 동작 제어함으로써, 승강 케이지(200)가 상하 이동한다.The transfer body 100 is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600 , and the control unit 60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main driving unit 110 and the lifting driving means 300 to move the transfer main body 100 and to move the lifting cage 200 up and down. control movement. That is,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ain driving unit 110 by the control unit 600 , the transfer body 100 moves along the traveling rail 101 , and the control unit 600 operates and controls the lifting driving means 300 , thereby elevating and lowering. The cage 200 moves up and down.

또한, 제어부(600)는 승강 케이지(200)의 물품 이탈 감지 센서(201) 및 물품 감지 센서(202)와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며, 감지 센서들의 감지 신호에 따라 이송 본체(100)의 정지 또는 승강 케이지(200)의 정지 동작이 수행되도록 메인 구동부(110) 및 승강 구동 수단(300)을 동작 제어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600 transmits and receives a control signal to and from the article departure detection sensor 201 and the article detection sensor 202 of the elevating cage 200 , and stops or elevates the transfer body 100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s of the detection sensors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main driving unit 110 and the lifting driving means 300 so that the stop operation of the cage 200 is performed.

이와 같이 승강 케이지(200)에는 물품 이탈 감지 센서(201) 및 물품 감지 센서(202) 등이 장착되므로, 이들의 작동을 위해서는 승강 케이지(200) 측으로 전원이 공급되어야 한다.As such, the lifting cage 200 is equipped with an article departure detection sensor 201 and an article detection sensor 202 , and power must be supplied to the lifting cage 200 for their operation.

이와 같이 승강 케이지(200)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천장 주행형 물품 이송 시스템에서는 이송 본체(100)의 전원 공급부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승강 케이지(200) 측으로 연장하여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케이블의 꼬임이나 손상, 복잡한 구조 등에 의해 제작 및 유지 관리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In order to supply power to the elevating cage 200 as described above, in a conventional overhead traveling type article transfer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power cable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of the transfer body 100 is extended toward the elevating cage 200 to supply power. configured to do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manufacturing and maintenance are difficult due to twisting or damage of cables, complicated structures, and the lik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전원 케이블에 의한 전원 공급 방식이 아니라 별도의 충전 배터리(800)를 승강 케이지(200)에 장착하고, 충전 배터리(800)의 전원을 승강 케이지(200) 측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충전 배터리(800)는 충전이 가능한 2차 전지가 적용되며, 니켈이온전지, 폴리머전지 등 다양한 2차 전지 형태가 모두 적용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e rechargeable battery 800 is mounted in the elevating cage 200 rather than the power supply method by such a power cable, and the power of the rechargeable battery 800 is supplied to the elevating cage 200 side. configured to do In this case, the rechargeable battery 800 is a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y, and various secondary battery types such as a nickel ion battery and a polymer battery may all be applied.

이와 같이 충전 배터리(800)를 승강 케이지(200)에 장착함으로써, 별도의 전원 케이블을 이송 본체(100)로부터 연결할 필요가 없어 이송 본체(100) 및 승강 케이지(200)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제작 및 유지 관리가 용이하다.By mounting the rechargeable battery 800 in the elevating cage 200 in this way, there is no need to connect a separate power cable from the transfer body 100, thereby simplifying the structure of the transfer body 100 and the elevating cage 200 and , easy to manufacture and maintai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충전 배터리(800)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 구조가 필요한데, 충전 배터리(800)의 충전용 전원은 이송 본체(100)의 전원 공급부로부터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harging structure capable of charging the rechargeable battery 800 is required, and the charging power of the rechargeable battery 800 may be configured to be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of the transfer body 100 .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본체(100)에는 전원 공급부에 연결되는 제 1 충전 단자(710)가 형성되고, 승강 케이지(200)에는 충전 배터리(800)에 연결되는 제 2 충전 단자(720)가 형성되며, 승강 케이지(200)가 상승 이동하여 이송 본체(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 1 충전 단자(710)와 제 2 충전 단자(720)가 서로 접촉 연결되어 전원 공급부로부터 충전 배터리(800)에 충전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원 공급부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송 본체(100) 내부에 배치되어 트롤리 바(120)와 연결되는 별도의 파워 서플라이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트롤리 바(1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다시 외부로 공급하는 다양한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 a first charging terminal 710 connected to a power supply is formed on the transfer body 100 , and a second charging terminal 710 connected to the rechargeable battery 800 is connected to the lifting cage 200 . The terminal 720 is formed, and the first charging terminal 710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720 are contacte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state where the lifting cage 200 moves upward and is coupled to the transfer body 100 from the power supply. It may be configured to supply charging power to the rechargeable battery 800 . Here, although not shown, the power supply unit may be configured as a separate power supply that is disposed inside the transfer body 100 and connected to the trolley bar 120 , and in addition, receives power from the trolley bar 120 and re- A variety of externally supplied devices may be applied.

제 1 충전 단자(710)와 제 2 충전 단자(720)는 승강 케이지(200)가 이송 본체(100)에 결합하도록 상향 이동한 상태에서 상호 접촉하도록 이송 본체(100)와 승강 케이지(200)의 상호 대향면에 각각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승강 케이지(200)가 이송 본체(100)에 결합하도록 상향 이동한 상태에서 승강 케이지(200)의 상승 상태 변화에 따른 제 1 충전 단자(710)와 제 2 충전 단자(720)의 접촉 오류가 최소화되도록 제 1 충전 단자(710)와 제 2 충전 단자(720)는 승강 벨트(310)와 인접한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The first charging terminal 710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720 are the transfer body 100 and the lifting cage 200 so as to contact each other in a state in which the lifting cage 200 moves upward to couple to the transfer body 100 . They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on the mutually opposite surfaces. In addition, a contact error between the first charging terminal 710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720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lifting state of the lifting cage 200 in a state in which the lifting cage 200 moves upward to be coupled to the transfer body 100 . The first charging terminal 710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720 are respectively formed at positions adjacent to the lifting belt 310 so that .

즉,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충전 단자(710)는 이송 본체(100)의 하면에서 승강 벨트(310)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며,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충전 단자(720)는 승강 케이지(200)의 상면에서 승강 벨트(310)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다.That is, as shown in (a) of FIG. 2, the first charging terminal 710 is form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elevating belt 310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ransfer body 100, and shown in (b) of FIG. As shown,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720 is form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lifting belt 31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fting cage 200 .

이와 같이 제 1 충전 단자(710)와 제 2 충전 단자(720)가 승강 벨트(310)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승강 케이지(200)의 상승시 위치 및 각도 등 상승 이동 상태에 변화가 발생하더라도 승강 벨트(310)에 대한 상승 거리 및 위치는 상대적으로 변화가 작으므로, 다른 위치에 비해 제 1 충전 단자(710)와 제 2 충전 단자(720)의 접촉 오류가 상대적으로 감소하여 더욱 안정적인 충전 배터리(800)의 충전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irst charging terminal 710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720 are form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lifting belt 310, even if a change occurs in the upward movement state such as the position and angle when the lifting cage 200 is ascended. Since the lifting distance and the position of the lifting belt 310 have relatively small changes, the contact error between the first charging terminal 710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720 is relatively reduced compared to other positions, and thus a more stable rechargeable battery A charge of 800 is possible.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주행형 물품 이송 시스템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케이지(200)가 하강 이동한 상태에서는 제 1 충전 단자(710)와 제 2 충전 단자(720)가 서로 접촉하지 않고, 이 상태에서는 승강 케이지(200)에 장착된 충전 배터리(800)의 전원을 통해 각종 센서들이 작동하게 된다. 또한,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케이지(200)가 상승 이동한 상태에서는 제 1 충전 단자(710)와 제 2 충전 단자(720)가 서로 접촉하고, 이 상태에서는 이송 본체(100)의 전원 공급부로부터 제 1 충전 단자(710) 및 제 2 충전 단자(720)를 통해 승강 케이지(200)의 충전 배터리(800)에 충전 전원이 공급되어 충전 배터리(800)가 충전된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in the overhead traveling type article trans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harging terminal 710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710 in the state in which the elevating cage 200 moves down as shown in FIG. 3 (a). The two charging terminals 720 do not contact each other, and in this state, various sensors are operated through the power of the rechargeable battery 800 mounted on the elevating cage 200 . In addition, as shown in (b) of FIG. 3, in the state in which the lifting cage 200 is moved upward, the first charging terminal 710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72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in this state, the transfer body ( Charging power is supplied to the rechargeable battery 800 of the elevating cage 200 through the first charging terminal 710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720 from the power supply unit of the 100 , and the rechargeable battery 800 is charged.

천장 주행형 물품 이송 시스템의 운행 특성상 승강 케이지(200)는 주행 레일(101)을 주행하는 동안 승강 케이지(200)가 상승 이동하여 이송 본체(100)에 결합한 상태를 유지하고, 특정 영역에서 승강 케이지(200)에 물품을 탑재하거나 배출시키는 동안에만 승강 케이지(200)가 하강 이동하여 이송 본체(100)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Due to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the overhead traveling type article transfer system, the elevating cage 200 moves upward while driving the traveling rail 101 and maintains a state coupled to the transfer body 100, and the elevating cage 200 in a specific area. Only while load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 to the 200, the lifting cage 200 moves down and separates from the transfer body 100 .

따라서, 승강 케이지(200)는 전체 주행 레일(101)을 주행하는 과정에서 물품의 이송을 위해 대부분의 시간 동안 승강 케이지(200)가 이송 본체(100)에 결합되고, 이에 따라 대부분의 시간 동안 제 1 충전 단자(710)와 제 2 충전 단자(720)가 접촉되어 충전 배터리(800)의 충전 과정이 진행되고, 물품의 탑재 및 배출을 위한 국소 시간 동안에만 승강 케이지(200)가 하강하여 이송 본체(100)로부터 이탈되므로, 국소 시간 동안에만 제 1 충전 단자(710)와 제 2 충전 단자(720)가 접촉하지 않고 충전 배터리(800)의 전원이 사용된다.Accordingly, the elevating cage 200 is coupled to the transfer body 100 for most of the time for the transfer of articles in the process of traveling the entire traveling rail 101, and accordingly, for most of the time, the elevating cage 200 is coupled to the transfer body 100. The first charging terminal 710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720 are brought into contact so that the charging process of the rechargeable battery 800 proceeds, and the lifting cage 200 is lowered only during the local time for load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 to move the main body. Since it is separated from 100 , the power of the rechargeable battery 800 is used without the first charging terminal 710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720 contacting only during a local time.

즉, 천장 주행형 물품 이송 시스템의 운행 특성상 대부분의 시간 동안 제 1 충전 단자(710)와 제 2 충전 단자(720)가 접촉하여 충전 배터리(800)가 충전되고, 국소 시간 동안에만 충전 배터리(800)의 전원이 사용되므로,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충전 전원량은 항상 충분하게 유지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charging terminal 710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720 are in contact with the first charging terminal 710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720 for most of the time due to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the overhead traveling type transport system, and the rechargeable battery 800 is charged, and the rechargeable battery 800 is charged only during a local time ) is used, so unless there are special circumstances, the amount of charging power can always be sufficiently maintained.

이와 같이 충전 전원량이 충분하게 유지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충전 배터리(800)의 충전량을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충전 배터리(800)의 충전량을 감지할 수 있는 충전 감지부(810)가 구비될 수 있다.Even though the amount of charge power can be sufficiently maintained 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o detect the amount of charge of the rechargeable battery 800 , so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harge detection unit capable of detecting the amount of charge of the rechargeable battery 800 . 810 may be provided.

이때, 제어부(600)는 충전 감지부(810)로부터 충전 배터리(800)의 충전량을 인가받고, 인가받은 충전 배터리(800)의 충전량에 따라 승강 구동 수단(300)을 동작 제어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600 may receive the charge amount of the rechargeable battery 800 from the charge detection unit 810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driving means 300 according to the received charge amount of the rechargeable battery 800 .

예를 들면, 충전 배터리(800)의 충전량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 승강 케이지(200) 측으로의 전원 공급이 안정적이지 못하여 각종 센서들이 오작동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제어부(600)는 승강 케이지(200)가 이송 본체(100)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승강 구동 수단(300)을 동작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승강 케이지(200)가 이송 본체(100)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면, 충전 배터리(800)의 충전량이 증가하게 되므로, 이후, 충전 배터리(800)의 충전량이 기준치 이상으로 회복되면, 승강 케이지(200)가 하강하도록 동작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amount of charge of the rechargeable battery 800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power supply to the lifting cage 200 is not stable and various sensors malfunction, etc., so that problems such as malfunction may occur.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600 is The lifting and lowering driving means 300 may be controlled so that the lifting cage 200 is maintained in a state coupled to the transfer body 100 . When the lifting cage 200 is maintained in a state coupled to the transfer body 100 as described above, the charge amount of the rechargeable battery 800 increases, and then, when the charge amount of the rechargeable battery 800 is recovered to more than the reference value, lift The cage 200 may be controlled to descend.

이와 더불어, 이송 본체(100) 및 승강 케이지(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충전 배터리(800)의 충전량을 표시할 수 있는 충전 표시부(830)가 구비될 수 있고, 이를 통해 관리자 및 작업자들이 승강 케이지(200)의 충전 배터리(800)에 대한 충전량을 쉽게 인식할 수 있어 더욱 안전한 운행이 가능하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transfer body 100 and the elevating cage 200 may be provided with a charging display unit 830 capable of displaying the charge amount of the rechargeable battery 800 , through which the manager and the workers can use the elevating cage Since it is possible to easily recognize the amount of charge for the rechargeable battery 800 of 200 , it is possible to drive more safely.

한편, 승강 케이지(200)가 상승 이동하여 이송 본체(100)에 결합될 때, 제 1 충전 단자(710)와 제 2 충전 단자(720)의 접촉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 제 1 충전 단자(710)와 제 2 충전 단자(720)는 승강 벨트(310)에 근접하게 위치하는데, 이외에도 도 3의 (b)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충전 단자(710)는 제 2 충전 단자(720)와의 안정적인 접촉 상태 유지를 위해 탄성판 형태로 하향 탄성 지지되게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이와 달리 제 2 충전 단자(720)가 탄성판 형태로 상향 탄성 지지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lifting cage 200 moves upward and is coupled to the transfer body 100 , the first charging terminal 710 to minimize the contact error between the first charging terminal 710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720 .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720 is located close to the lifting belt 310, in addition, 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of FIG. 3 (b), the first charging terminal 710 is connected to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720 It may be formed to be elastically supported downward in the form of an elastic plate to maintain a stable contact state. Of course, unlike this,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720 may be formed to be elastically supported upward in the form of an elastic plate.

또한, 이러한 제 1 충전 단자(710)와 제 2 충전 단자(720)의 접촉 오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 1 충전 단자(710)와 제 2 충전 단자(720)의 접촉 상태 여부를 감지하는 접촉 감지부(840)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detect a contact error between the first charging terminal 710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720 , the first charging terminal 710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720 are in contact A touch sensing unit 840 for detecting a state may be provided.

이때, 제어부(600)는 승강 케이지(200)가 이송 본체(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접촉 감지부(840)에 의해 제 1 충전 단자(710)와 제 2 충전 단자(720)가 접촉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된 경우, 별도의 알람 출력부(820)를 통해 경고 상태가 출력되도록 동작 제어할 수 있다. 알람 출력부(820)는 이송 본체(100) 또는 승강 케이지(200)에 형성될 수 있으며, 경고등과 같은 시각 정보 또는 경고음과 같은 청각 정보를 출력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600 is not in contact with the first charging terminal 710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720 by the contact sensing unit 840 in a state in which the lifting cage 200 is coupled to the transfer body 100 . When it is detected as being, the operation may be controlled so that a warning state is output through a separate alarm output unit 820 . The alarm output unit 820 may be formed in the transfer body 100 or the elevating cage 200 , and may be formed to output visual information such as a warning light or auditory information such as a warning sound.

이러한 알람 출력부(820)에 의해 경고 상태가 출력되면, 관리자 또는 작업자가 해당 승강 케이지(200)의 위치를 조정하는 등의 방식으로 제 1 충전 단자(710)와 제 2 충전 단자(720)의 접촉 상태를 정상 상태로 신속하게 수정함으로써, 고장이나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When a warning state is output by the alarm output unit 820 , the first charging terminal 710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720 in such a way that the manager or operator adjusts the position of the corresponding lifting cage 200 . By quickly correcting the contact state to a normal state, a failure or malfunction can be prevented in advanc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이송 본체
101: 주행 레일
200: 승강 케이지
300: 승강 구동 수단
310: 승강 벨트
600: 제어부
710: 제 1 충전 단자
720: 제 2 충전 단자
800: 충전 배터리
810: 충전 감지부
820: 알람 출력부
830: 충전 표시부
840: 접촉 감지부
100: transfer body
101: running rail
200: elevating cage
300: elevating drive means
310: elevating belt
600: control unit
710: first charging terminal
720: second charging terminal
800: rechargeable battery
810: charge detection unit
820: alarm output unit
830: charging display unit
840: touch sensing unit

Claims (7)

천장에 설치된 주행 레일을 따라 주행하며 일측에 전원 공급부가 장착되는 이송 본체;
물품을 탑재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이송 본체에 장착된 승강 구동 수단에 의해 상기 이송 본체로부터 상하 이동하는 승강 케이지; 및
상기 승강 케이지 측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승강 케이지에 장착되는 충전 배터리
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 본체에는 상기 전원 공급부에 연결되는 제 1 충전 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승강 케이지에는 상기 충전 배터리에 연결되는 제 2 충전 단자가 형성되며, 상기 승강 케이지가 상승 이동하여 상기 이송 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충전 단자와 제 2 충전 단자가 서로 접촉 연결되어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상기 충전 배터리에 충전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주행형 물품 이송 시스템.
a transport body that travels along a running rail installed on the ceiling and is equipped with a power supply on one side;
an elevating cage formed so as to mount an article and moving up and down from the transfer body by an elevating driving means mounted on the transfer body; and
Rechargeable battery mounted on the elevating cage to supply power to the elevating cage side
A first charging terminal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is formed in the transfer body, and a second charging terminal connected to the charging battery is formed in the lifting cage, and the lifting cage moves upward to move the transfer body. In the coupled state, the first charging terminal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charging power is supplied to the rechargeable battery from the power supply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충전 단자 및 제 2 충전 단자는 상기 이송 본체와 상기 승강 케이지의 상호 대향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주행형 물품 이송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charging terminal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are respectively formed on opposite surfaces of the transfer body and the elevating cag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구동 수단은
상기 이송 본체에 하향 인출되거나 상향 견인되도록 장착되며, 하단에 상기 승강 케이지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승강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충전 단자 및 제 2 충전 단자는 상기 승강 벨트와 인접한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주행형 물품 이송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elevating driving means is
It is mounted to be drawn downward or towed upward to the transfer body, and includes a plurality of lifting belts to which the lifting cage is coupled to the lower end,
The first charging terminal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are respectively formed at positions adjacent to the lifting bel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배터리의 충전량을 감지할 수 있는 충전 감지부; 및
상기 충전 감지부로부터 상기 충전 배터리의 충전량을 인가받고, 인가받은 상기 충전 배터리의 충전량에 따라 상기 승강 구동 수단을 동작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주행형 물품 이송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 charge detection unit capable of detecting a charge amount of the rechargeable battery; and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the charge amount of the rechargeable battery from the charge sensing unit,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driving means according to the received charge amount of the rechargeable battery
The overhead running-type article transpor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 배터리의 충전량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승강 케이지가 상기 이송 본체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승강 구동 수단을 동작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주행형 물품 이송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trol unit
When the charge amount of the rechargeable battery is less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value, the overhead traveling type article transfer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fting and lowering driving means is operated and controlled so that the lifting cage is maintained in a state coupled to the transfer body.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충전 단자와 제 2 충전 단자의 접촉 상태 여부를 감지하는 접촉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강 케이지가 상기 이송 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접촉 감지부에 의해 상기 제 1 충전 단자와 제 2 충전 단자가 접촉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된 경우, 별도의 알람 출력부를 통해 경고 상태가 출력되도록 동작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주행형 물품 이송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contact sensing unit for detecting whether the first charging terminal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is in contact,
the control unit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first charging terminal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do not contact each other by the contact sensing unit in a state in which the lifting cage is coupled to the transfer body, an operation control is performed so that a warning state is output through a separate alarm output unit A ceiling traveling type article transpor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본체 및 상기 승강 케이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충전 배터리의 충전량을 표시할 수 있는 충전 표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주행형 물품 이송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overhead traveling type article transpor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transport body and the elevating cage is provided with a charging display unit capable of displaying the charge amount of the rechargeable battery.

KR1020190176137A 2019-12-27 2019-12-27 Electric Monorail System KR1023950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137A KR102395047B1 (en) 2019-12-27 2019-12-27 Electric Monorail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137A KR102395047B1 (en) 2019-12-27 2019-12-27 Electric Monorail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3646A true KR20210083646A (en) 2021-07-07
KR102395047B1 KR102395047B1 (en) 2022-05-09

Family

ID=76861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6137A KR102395047B1 (en) 2019-12-27 2019-12-27 Electric Monorail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5047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2285A (en) * 1991-10-04 1993-04-23 Nec Yamagata Ltd Unmanned transfer device
JP2007166775A (en) * 2005-12-13 2007-06-28 Ogawa Seisakusho:Kk System for controlling electrically driven tower crane for construction and its control method
JP2009242088A (en) * 2008-03-31 2009-10-22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Crane device
KR101158483B1 (en) 2010-10-28 2012-06-21 현대로템 주식회사 Transferring apparatus for overhead traveling conveyor system
KR20180048266A (en) * 2016-10-31 2018-05-10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Transfer machin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2285A (en) * 1991-10-04 1993-04-23 Nec Yamagata Ltd Unmanned transfer device
JP2007166775A (en) * 2005-12-13 2007-06-28 Ogawa Seisakusho:Kk System for controlling electrically driven tower crane for construction and its control method
JP2009242088A (en) * 2008-03-31 2009-10-22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Crane device
KR101158483B1 (en) 2010-10-28 2012-06-21 현대로템 주식회사 Transferring apparatus for overhead traveling conveyor system
KR20180048266A (en) * 2016-10-31 2018-05-10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Transfer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5047B1 (en) 202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65749B (en) Flexible automatic verif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watt-hour meter
JP7408708B2 (en) Safety systems and methods of operation for automated storage and picking systems
CN107537781B (en) A kind of logistics goods automatic sorting device
CN109704237B (en) AGV pulls fork truck with intelligence is judged discernment perception function
KR20200016790A (en) Transport device
KR102390558B1 (en) Automatic Warehouse System
KR102395047B1 (en) Electric Monorail System
JP4478875B2 (en) Transport device
CN202421490U (en) Flexible and automatic detection system for electric energy meter
KR102124818B1 (en) Fork Assembly for Goods Transfer Carriage
KR102606306B1 (en) Article transport facility
KR102322328B1 (en) Electric Monorail System
JP7342434B2 (en) Track guided trolley system
CN209988030U (en) Lifting mechanism and ultra-thin one-way hidden type automatic guide transport vehicle
CN115009087A (en) Battery positioning method and system for battery transportation
EP4097655A1 (en) Logistics arrangement for automatic loading and unloading operations
KR102546680B1 (en) Method for detecting abnormal state of transport module of sorter
US11767176B1 (en) Monitoring system to detect objects on conveyor system
KR101720199B1 (en) Lift synchronizing apparatus of goods destin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665049B1 (en) Carrier Control System
RU2814123C1 (en) Automated high-density pallet storage system
KR102512036B1 (en) Fork lift
CN214454550U (en) Switch combination application structure for split type skid conveying
CN108996155B (en) Full-automatic production line of airing machine
KR200308838Y1 (en) Transfer vehicle for use in dangerous are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