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3452A - 듀얼 에너지 단층촬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속 이미지 구분 방법 - Google Patents

듀얼 에너지 단층촬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속 이미지 구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3452A
KR20210083452A KR1020190175344A KR20190175344A KR20210083452A KR 20210083452 A KR20210083452 A KR 20210083452A KR 1020190175344 A KR1020190175344 A KR 1020190175344A KR 20190175344 A KR20190175344 A KR 20190175344A KR 20210083452 A KR20210083452 A KR 20210083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ion image
metal region
unit
metal
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5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4444B1 (ko
KR102394444B9 (ko
Inventor
정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디엑스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디엑스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디엑스윌
Priority to KR1020190175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4444B1/ko
Publication of KR20210083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3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4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4444B1/ko
Publication of KR102394444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4444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2Arrangements for diagnosis sequentially in different planes; Stereoscopic radiation diagnosis
    • A61B6/03Computed tomography [CT]
    • A61B6/032Transmission computed tomography [CT]
    • A61B6/1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0Arrangements for genera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007Arrangements for genera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characterised by using a plurality of source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29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 A61B6/4452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the source unit and the detector unit being able to move relative to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1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211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 A61B6/5217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extracting a diagnostic or physiological parameter from medical diagnostic da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211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 A61B6/5229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combining image data of a patient, e.g. combining a functional image with an anatomical image
    • A61B6/5235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combining image data of a patient, e.g. combining a functional image with an anatomical image combining images from the same or different ionising radiation imaging techniques, e.g. PET and 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258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detection or reduction of artifacts or noi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003Reconstruction from projections, e.g. tomography
    • G06T11/008Specific post-processing after tomographic reconstruction, e.g. voxelisation, metal artifact corr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12Biomedical image insp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72Tomographic images
    • G06T2207/10084Hybrid tomography; Concurrent acquisition with multiple different tomographic modal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084Artificial neural networks [AN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04Biomedical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36Dental; Tee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olog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ulmon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 에너지 단층촬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속 이미지 구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피사체를 향하여 서로 다른 크기의 엑스선을 방사할 수 있는 엑스선 방사부; 상기 피사체를 투과하는 복수의 엑스선 빔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을 생성하는 투영영상 집합 생성부; 상기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의 금속 영역을 검출하는 금속 영역 검출부; 상기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정합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호 대응 위치로 보정하여 정합하는 투영영상 집합 정합부; 상기 정합된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의 상기 금속 영역을 분리하는 금속 영역 분리부; 및 상기 정합된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의 금속 영역과 비금속 영역을 중첩하는 투영영상 집합 중첩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듀얼 에너지 단층촬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속 이미지 구분 방법{DUAL ENERGY TOMOGRAPHY APPARATUS, AND METAL IMAGE CLASSIF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듀얼 에너지 단층촬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속 이미지 구분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듀얼 에너지를 통해 획득한 엑스선 프로젝션 데이터를 이용하여 엑스선 영상을 재구성하여 금속 이미지를 정확히 구분하기 위한 듀얼 에너지 단층촬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속 이미지 구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료분야에서 엑스선 전산화 단층촬영 장치는 일정량의 엑스선을 촬영하고자 하는 신체부위에 투과시키고, 투과된 엑스선을 엑스선 센서로 감지하여, 감지된 전기적 신호를 바탕으로 엑스선 영상을 구성하는 장치를 말한다. 엑스선은 그 진행경로 상의 물질 및 그 두께에 따라 다른 감쇠율로 감쇠되며 투과되고, 엑스선 센서에 도달하면 광전효과에 의해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다. 엑스선 전산화 단층촬영 장치는 이와 같이 엑스선 진행경로에 따른 누적 감쇠량이 반영된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촬영대상의 내부에 관한 정보를 엑스선 영상으로 제공한다.
종래의 전산화 단층촬영 장치는 1차원 배열의 검출기를 사용하여 회전 스캔함으로써 2차원 단면상을 형성하고 있으며, 3차원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단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추가적으로 이동하면서 스캔하거나, 나선형으로 이동하면서 스캔하여 데이터를 얻는다.
이러한 종래의 촬영 방법은 엑스선 피폭량이 증가하며, 특히 인체의 경우 치명적인 결과가 초래될 수 있다.
콘빔형 전산화 단층촬영 장치는 종래의 1차원 배열의 검출기가 아닌 2차원 배열의 검출기를 사용하여 콘빔형의 투과 엑스선을 2차원적으로 검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3차원 체적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피사체에 대한 1회전 스캔만으로 3차원 영상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콘빔형 전산화 단층촬영 장치는 종래의 전산화 단층촬영 장치에 비해 엑스선 피폭이 적고 촬영 시간이 짧으며, 실시간으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콘빔형 엑스선 전산화 단층촬영장치는 영상을 한 번에 획득하기 위해서는 검출기로부터 수직하지 않은 방향의 엑스선까지 검출해야 하므로, 영상에서 인공물(artifact)이 만들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3차원 재구성 과정에서도 기하학적 제약으로 인해 영상이 왜곡되거나 노이즈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콘빔형 엑스선 전산화 단층촬영장치가 다수 활용되는 치과, 이비인후과, 성형외과 등의 영역에서는 촬영 영역에 뼈, 금속 보철물, 잇몸 등의 다양한 감쇠계수(attenuation coefficient)를 갖는 물질이 혼재되어 있으므로, 빔 경화(beam hardening)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금속으로 인해 발생하는 인공물은 영상 내 정상 조직 영역까지도 상당히 왜곡하므로, 인공물의 분리나, 영상의 복원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엑스선 전산화 단층 촬영에서 금속성 인공음영이 발생하는 문제는 실제 물리적인 엑스선 감쇄 현상과, 이를 상당부분 단순화한 종래의 모델링의 차이로부터 기인한다.
엑스선 발생장치에서 조사된 엑스선이 물체를 거쳐 검출기에 도달하는 엑스선의 강도(intensity)는 다음의 [수식 1]을 통하여 계산될 수 있다.
[수식 1]
Figure pat00001
여기에서, s는 엑스선 경로 길이이며, μ는 에너지에 따라 다른 값을 갖는 엑스선 감쇠계수(attenuation coefficient)로서 물질마다 해당 물질의 특성에 따라 다른 값을 가지고 복원(reconstruction)시 복원할 값에 해당하며, I(a, b)는 해당 촬영 위치에서 검출물의 에너지의 엑스선 강도를 의미하며, I(s)는 해당 촬영 위치에서의 검출기가 측정하는 엑스선 강도를 의미한다.
엑스선 소스는 하나의 에너지만을 방출하지 않고, 넓은 에너지 대역의 엑스선을 방사하며, 모든 물질은 고유의 엑스선 질량감쇠계수(mass attenuation coefficient)를 갖는다.
이때, 엑스선의 감쇠량은 각 에너지의 엑스선이 투과하는 길이와 엑스선 질량감쇠계수의 곱과 같게 되고, 엑스선 질량감쇠계수의 값은 엑스선의 에너지 값에 따라 달라진다.
또한, 현재 보편화되어 있는 엑스선 검출기는 모든 엑스선 에너지 대역의 강도를 합쳐서 감지하게 되어 있으며, 에너지별 구분을 위한 검출기는 값이 고가이기 때문에 치과용 CBCT 장비에 도입하기에는 현실적인 문제가 있다.
이러한 현실적인 문제로 인하여, 영상복원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엑스선 감쇠 모델은 다음과 같다.
[수식 2]
Figure pat00002
이 모델은 엑스선 에너지 스펙트럼을 무시하고, ① 엑스선 소스가 단일 에너지만을 방출한다고 가정했을 때, 또는 ② 물질의 에너지에 따른 감쇠계수 값이 큰 편차가 없을 때 비교적 정확하며, 인체의 연조직과 뼈와 같은 경우 상기 ②의 조건에 해당하여 상기 수식 2를 적용하여 영상을 복원하여도 큰 문제가 발생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금속과 같이 물질의 밀도가 높아질수록 상기 ②의 조건으로부터 크게 벗어나게 되는 경향을 가지며, 영상을 재구성할 경우 금속성 음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방법들의 근본적인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금속성 인공음역의 제거방법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01887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98531호
본 발명의 목적은 단층촬영 장치의 영상에서 금속 인공물을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듀얼 에너지 단층촬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속 이미지 구분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듀얼 에너지 단층촬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속 이미지 구분 방법으로서, 본 발명의 장치는, 피사체를 향하여 서로 다른 크기의 엑스선을 방사할 수 있는 엑스선 방사부; 상기 피사체를 투과하는 복수의 엑스선 빔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을 생성하는 투영영상 집합 생성부; 상기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의 금속 영역을 검출하는 금속 영역 검출부; 상기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정합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호 대응 위치로 보정하여 정합하는 투영영상 집합 정합부; 상기 정합된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의 상기 금속 영역을 분리하는 금속 영역 분리부; 및 상기 정합된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의 금속 영역과 비금속 영역을 중첩하는 투영영상 집합 중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피사체와 상기 엑스선 방사부의 상대 각도를 조절하는 회전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엑스선 방사부는 상기 회전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며, 저에너지 엑스선 또는 고에너지 엑스선을 교대로 방사하여 상기 투영영상 집합 생성부가 상기 제1 및 제2 투영영상을 각각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엑스선 방사부가 저에너지 엑스선을 방사할 때,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엑스선 방사부를 정회전시켜 상기 투영영상 집합 생성부가 상기 제1 투영영상 집합을 생성하며, 상기 엑스선 방사부가 고에너지 엑스선을 방사할 때,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엑스선 방사부를 역회전시켜 상기 투영영상 집합 생성부가 상기 제2 투영영상 집합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엑스선 방사부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각도는 190° 또는 360°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투영영상 집합 정합부는 강체 정합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 중, 각각의 금속 영역을 정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투영영상 집합 정합부는 상기 강체 정합 전후에 전방 투사를 수행하여 획득된 투사 영상 데이터로부터 모션 벡터를 구하여, 상기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을 정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투영영상 집합 정합부는 상기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 중 어느 하나의 집합에서의 상기 금속 영역의 각 지점의 픽셀값과, 다른 하나의 집합에서의 상기 금속 영역의 상기 강체 정합에서 대응하는 각 지점의 픽셀값 각각을 곱하여 얻어진 가중평균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 중, 각각의 금속 영역을 정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금속 영역 분리부는 상기 정합된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의 부분별 감쇠 계수 차이를 이용하여 금속 영역을 추출하여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금속 영역 분리부는 심층 신경망(deep neural network)를 활용하여 금속 영역을 추출하여 분리하며, 상기 심층 신경망에는 상기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의 데이터가 입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a) 엑스선 방사부가 피사체를 향하여 서로 다른 크기의 엑스선을 방사하는 단계; (b) 투영영상 집합 생성부가 상기 피사체를 투과하는 복수의 엑스선 빔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을 생성하는 단계; (c) 금속 영역 검출부가 상기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의 금속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d) 투영영상 집합 정합부가 상기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정합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호 대응 위치로 보정하여 정합하는 단계; (e) 금속 영역 분리부가 상기 정합된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의 상기 금속 영역을 분리하는 단계; 및 (f) 투영영상 집합 중첩부가 상기 정합된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의 금속 영역과 비금속 영역을 중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 단계는 회전구동부가 상기 피사체와 상기 엑스선 방사부의 상대 각도를 조절하며, 상기 엑스선 방사부는 상기 회전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며, 저에너지 엑스선 또는 고에너지 엑스선을 교대로 방사하여 상기 투영영상 집합 생성부가 상기 제1 및 제2 투영영상을 각각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b) 단계는 상기 엑스선 방사부가 저에너지 엑스선을 방사할 때, 상기 회전구동부가 상기 엑스선 방사부를 정회전시켜 상기 투영영상 집합 생성부가 상기 제1 투영영상 집합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엑스선 방사부가 고에너지 엑스선을 방사할 때, 상기 회전구동부가 상기 엑스선 방사부를 역회전시켜 상기 투영영상 집합 생성부가 상기 제2 투영영상 집합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 단계는 상기 엑스선 방사부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각도는 190° 또는 36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d) 단계는 상기 투영영상 집합 정합부가 강체 정합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 중, 각각의 금속 영역을 정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d) 단계는 상기 투영영상 집합 정합부가 상기 강체 정합 전후에 전방 투사를 수행하여 획득된 투사 영상 데이터로부터 모션 벡터를 구하여, 상기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을 정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d) 단계는 상기 투영영상 집합 정합부가 상기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 중 어느 하나의 집합에서의 상기 금속 영역의 각 지점의 픽셀값과, 다른 하나의 집합에서의 상기 금속 영역의 상기 강체 정합에서 대응하는 각 지점의 픽셀값 각각을 곱하여 얻어진 가중평균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 중, 각각의 금속 영역을 정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e) 단계는 상기 금속 영역 분리부가 상기 정합된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의 부분별 감쇠 계수 차이를 이용하여 금속 영역을 추출하여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e) 단계는 상기 금속 영역 분리부가 심층 신경망(deep neural network)를 활용하여 금속 영역을 추출하여 분리하며, 상기 심층 신경망에는 상기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의 데이터가 입력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금속 이미지 구분 방법을 통해 단층 촬영 영상에서 금속 인공물을 분리함에 있어서, 단일 엑스선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두 개의 에너지 대역의 영상을 각각 획득하고 움직임을 보정한 후 영상처리를 통해 금속 인공물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듀얼 에너지 단층촬영법에 기반함을 전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2개 이상의 엑스선 에너지 대역을 활용하여 금속성 인공음영을 제거하므로 종래의 단일 엑스선 에너지 대역을 사용하는 방법에 비해 더욱 정확하고 정밀하게 금속성 인공음영이 제거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금속성 인공음영을 최소화하므로, 실제 감염 잇몸의 구분, 및 임플란트 시술 환자의 실제 잇몸 병변의 구분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진단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에너지 단층촬영 장치의 기능을 수행하는 각 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속 이미지 구분 방법의 각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속 이미지 구분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듀얼 에너지 단층촬영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촬영하여 얻어진 제1 및 제2 피사체의 데이터의 집합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제1 투영영상 집합에서 금속 영역이 검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제2 투영영상 집합에서 금속 영역이 검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강체 정합 전후에 전방 투사를 수행하여 획득한 투사 영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촬영하여 얻어진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을 정합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접합된 제1 및 제2 투영영상에서 금속 영역을 추출하여 분리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에너지 단층촬영 장치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며, 분산되어 실시되는 구성요소들은 특별한 제한이 있지 않는 한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듀얼 에너지 단층촬영 장치는 콘빔형 전산화 단층 촬영장치일 수 있다. 다만, 이해의 편의를 위해 아래에서는 평행빔형 전산화 단층 촬영장치를 일 예로 하여 작동 원리를 설명한다. 이는, 콘빔형 전산화 단층 촬영장치뿐만 아니라, 팬빔형 전산화 단층 촬영장치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에너지 단층촬영 장치의 기능을 수행하는 각 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속 이미지 구분 방법의 각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에너지 단층촬영 장치는 엑스선 방사부(10), 투영영상 집합 생성부(20), 금속 영역 검출부(30), 투영영상 집합 정합부(40), 금속 영역 분리부(50), 및 투영영상 집합 중첩부(60)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에너지 단층촬영 장치를 이용한 금속 이미지 구분 방법은 엑스선 방사부(10)가 피사체를 향하여 서로 다른 크기의 엑스선을 방사하는 단계(s10), 투영영상 집합 생성부(20)가 피사체를 투과하는 복수의 엑스선 빔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을 생성하는 단계(s20), 금속 영역 검출부(30)가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의 금속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s30), 투영영상 집합 정합부(40)가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정합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호 대응 위치로 보정하여 정합하는 단계(s40), 금속 영역 분리부(50)가 정합된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의 금속 영역을 분리하는 단계(s50), 및 투영영상 집합 중첩부(60)가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을 중첩하는 단계(s60)를 포함한다.
이때, 서로 다른 크기의 엑스선을 방사하는 단계(s10)는 엑스선 방사부(10)가 저에너지 엑스선을 방사할 때, 엑스선 방사부(10)를 정회전시켜 제1 투영영상 집합을 생성하는 단계(s11), 및 엑스선 방사부(10)가 고에너지 엑스선을 방사할 때, 엑스선 방사부(10)를 역회전시켜 제2 투영영상 집합을 생성하는 단계(s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속 이미지 구분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속 이미지 구분 방법은 먼저, 엑스선 방사부(10)를 회전시켜 피사체를 정방향 촬영 및 역방향 촬영한다. 그 다음, 정방향, 투영영상 집합 생성부(20)가 역방향 재구성 영상을 생성한다. 이는 스캔 재구성(scan reconstruction)이라고도 한다.
그 다음, 금속 영역 검출부(30)에서 검출된 금속 영역을 토대로, 투영영상 집합 정합부(40)에서는 강체 정합을 수행한다. 강제 정합에는 강체 등록, 강체 변환이 순서대로 수행될 수 있다. 그 다음, 투영영상 집합 정합부(40)에서는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 중 어느 하나를 다른 하나에 대하여 투사한다. 그 다음, 투영영상 집합 정합부(40)에서는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 중 어느 하나를 정합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호 대응 위치로 보정하여 정합하는 움직임 보정 및 투사 변환 과정을 수행한다.
그 다음, 금속 영역 분리부(50)에서는 상기 정합된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에서 금속 영역과 비금속 영역을 분리한다. 그 다음, 투영영상 집합 중첩부(60)에서는 상기 정합된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의 금속 영역과 비금속 영역을 중첩하여 금속 이미지가 명확하게 구분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듀얼 에너지 단층촬영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에너지 단층촬영 장치는 피사체를 향하여 엑스선을 방사하는 엑스선 발생기(1), 상기 엑스선 발생기(1)에서 방사되는 엑스선의 조사범위를 조절하는 시준기(2), 상기 시준기(2)를 통해 조사된 엑스선을 검출하는 검출기(3), 피사체를 회전시키거나 피사체를 중심으로 엑스선 발생기(1), 시준기(2), 또는 검출기(3)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4), 및 제어부(5)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는 엑스선 발생기(1)에서 방사되는 엑스선의 종류를 결정하는 엑스선 결정부, 엑스선 회전구동부(4)가 사전에 설정된 회전각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회전 제어부, 및 투사 영상 데이터를 수신받고 수신된 영상 데이터로부터 3차원 영상을 재구성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영상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엑스선 방사부(10)는 피사체를 향하여 서로 다른 크기의 엑스선을 방사할 수 있다(s10). 또한, 투영영상 집합 생성부(20)는 피사체를 투과하는 복수의 엑스선 빔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을 생성할 수 있다(s20).
회전구동부(4)는 피사체와 엑스선 방사부의 상대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엑스선 방사부(10)는 회전구동부(4)에 의해 회전되며, 저에너지 엑스선 또는 고에너지 엑스선을 교대로 방사하여 투영영상 집합 생성부(20)가 제1 및 제2 투영영상을 각각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엑스선 방사부(10)가 저에너지 엑스선을 방사할 때, 회전 구동부(4)는 엑스선 방사부(10)를 정회전시켜 투영영상 집합 생성부(2)가 제1 투영영상 집합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엑스선 방사부(10)가 고에너지 엑스선을 방사할 때, 회전 구동부(40)는 엑스선 발생기(1)를 역회전시켜 투영영상 집합 생성부(20)가 제2 투영영상 집합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전구동부(4)는 엑스선 발생기(1), 시준기(2), 또는 검출기(3)를 360도 내의 임의의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영상처리부는 등간격으로 투사 영상을 얻을 수 있다.
제어부는 엑스선 발생기(1)가 저에너지 엑스선 또는 고에너지 엑스선을 방사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엑스선 결정부가 엑스선 발생기(1)에서 방사되는 엑스선을 저에너지 엑스선으로 설정하면, 회전 제어부가 엑스선 발생기(1)를 피사체에 대하여 190도 회전시킬 수 있고, 검출기(3)에 의해 제1 투영영상 집합을 생성하는 투사 영상 데이터가 획득된다.
그 다음, 엑스선 결정부가 엑스선 발생기(1)에서 방사되는 엑스선을 고에너지 엑스선으로 설정하면, 회전 제어부가 엑스선 발생기(1)를 피사체에 대하여 추가로 190도 역회전시킬 수 있고, 검출기(3)에 의해 제2 투영영상 집합을 생성하는 투사 영상 데이터가 획득된다.
상기와 같이 획득된 투사 영상 데이터는 영상처리부로 전송되고, 영상처리부에서는 각각의 에너지 대역에서 획득된 투사 영상을 임의의 3차원 재구성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각각 재구성한다.
상기의 투사 영상 데이터 획득 과정에서의 촬영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예를 들어 인체를 대상으로 촬영할 경우 피험자의 자발적 및 생리적 움직임으로 인해, 상기 각각의 에너지 대역에서 촬영 후 재구성된 3차원 영상에 오차가 생기므로 보정을 위해 다음 과정을 거친다.
먼저, 복원된 3차원 영상에서 직접 정합을 수행하여 움직임의 차이를 보정하며, 상세하게는 두 에너지 스펙트럼에서 얻은 각각의 투사 영상을 재구성하고 강체 등록(rigid registration)을 적용하여 두 영상의 위치를 맞출 때 한 영상이 다른 영상과 동일한 강체가 움직인 것으로 가정하고, 회전과 3차원 상의 평행 이동을 통해 픽셀값을 이동시킨다.
금속 영역 검출부(30)는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의 금속 영역을 검출한다(s30). 또한, 투영영상 집합 정합부(40)는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정합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호 대응 위치로 보정하여 정합한다(s40).
이때, 투영영상 집합 정합부(40)는 강체 정합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 중, 각각의 금속 영역을 정합할 수 있다.
도 5는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촬영하여 얻어진 제1 및 제2 피사체의 데이터의 집합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6은 도 5의 제1 투영영상 집합에서 금속 영역이 검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7은 도 5의 제2 투영영상 집합에서 금속 영역이 검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는 엑스선 방사부(10)가 정회전 및 역회전하여 촬영하여 생성된 제1 및 제2 피사체 데이터의 집합이 각각 불투명한 타원과 반투명한 타원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1 및 제2 피사체 데이터의 집합에는 금속 부분의 제1 및 제2 강체 데이터의 집합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두 번의 촬영 중에 환자의 움직임이 발생하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방향 촬영으로 얻은 데이터를 복원했을 때 강체 변환에 의한 위치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삼차원에서의 x, y, z 방향 각각에서의 변환 정보, 및 각 축의 회전 정보를 포함한 총 6개의 파라미터를 구함으로써 강체 변환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세하게는, 도 6 및 도 7에는 엑스선을 평행빔이라 가정할 때, 정방향으로 얻은 데이터 중 하나인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이 도시되어 있다. 좌측에는 피사체 데이터의 집합이 표시되어 있으며, 우측에는 엑스선 방향으로 검출기(3)에서 검출되는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이 표시되어 있다.
금속 영역 검출부(30)에서는 검출기(3)에서 검출된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 중, 금속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각각의 금속 영역은 피사체 데이터의 집합 중 강체 데이터의 집합으로부터 엑스선 방향으로 검출기에 투사되는 지점에 형성된다.
이때, 금속 영역은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의 부분별 감쇠 계수 차이를 이용하여 검출될 수 있다.
도 8은 강체 정합 전후에 전방 투사를 수행하여 획득한 투사 영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9는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촬영하여 얻어진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을 정합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투영영상 집합 정합부(40)는 강체 정합 전후에 전방 투사를 수행하여 투사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모션 벡터를 구하여,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을 정합할 수 있다. 도 9의 (a)는 좌측으로부터 역방향 데이터, 및 강체 변환 전의 역방향으로 촬영하여 얻어진 데이터를 나타내며, 도 9의 (b)는 좌측으로부터 역방향 데이터, 및 강체 변환 후의 정방향으로 촬영하여 얻어진 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정방향 재구성 결과를 계산적으로 투사하여 제1 투영영상 집합을 얻는다. 여기서 계산적으로 투사한다는 의미는, 복원된 이미지에서 엑스선이 통과하는 길을 따라서 얻어진 각각의 픽셀 값을 더한다는 의미이다. 그 다음, 제1 피사체 데이터의 집합 중 제1 강체 데이터와, 제2 피사체 데이터의 집합 중 제2 강체 데이터 간의 강체 변환을 수행한다.
그 다음, 역방향 재구성 결과를 계산적으로 투사하여 제2 투영영상 집합을 얻는다. 이때, 금속 영역 검출부(30)는 정방향 재구성 및 역방향 재구성 결과가 투사된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에서 금속 영역을 검출한다.
그 다음, 제1 및 제2 투영영상에서의 같은 경로 상의 모든 금속 영역의 지점들에 대하여 역방향 재구성된 제2 투영영상 집합의 각 지점의 픽셀값의 가중합을 하여, 제1 투영영상 집합의 각 지점에 상기 제2 투영영상의 대응하는 각 지점을 정합한다.
상세하게는, 투영영상 집합 정합부(40)는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 중 어느 하나의 집합에서의 금속 영역의 각 지점의 픽셀값과, 다른 하나의 집합에서의 금속 영역의 강체 정합에서 대응하는 각 지점의 픽셀값 각각을 곱하여 얻어진 가중평균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 중, 각각의 금속 영역을 정합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의 정합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정방향 재구성 결과를 계산적으로 투사하여 제1 투영영상 집합을 생성한다. 이때, 엑스선의 현재 위치에서 정방향 재구성된 제1 투영영상 집합의 일부 지점의 값이 금속 감쇠계수의 임계값보다 높은 경우, 강체 변환을 사용하여 제1 투영영상 집합의 각각의 지점을 역방향 재구성한 제2 투영영상 집합에서의 대응 위치로 변환한다.
이는 다음과 같은 수식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Figure pat00003
여기에서, X정방향은 정방향 재구성된 데이터로부터 복원된 제1 투영영상 집합의 픽셀 위치를 의미하며, Y는 강체 변환에 의해 전이된 픽셀의 위치를 의미한다.
Figure pat00004
강체 변환을 수행하기 위한 좌측의 3개의 회전각(rotation angle)과 3개의 전이값은 아래의 수식을 통하여 얻을 수 있다. 이 과정을 강체 등록(rigid registration)이라 한다.
Figure pat00005
여기서 I'(Y)는 역방향 재구성된 데이터로부터 복원된 제2 투영영상 집합의 Y 위치에서의 픽셀 값이며, I(X)는 정방향 재구성된 데이터로부터 복원된 제1 투영영상 집합의 X 위치에서의 픽셀 값이다.
그 다음, 상기 제2 투영영상 집합에서의 대응 위치에서 투사했을 때의 검출기에서의 위치를 찾은 후, 제2 투영영상 집합을 생성한다. 이때, 제2 투영영상 집합의 일부 지점의 값이 금속 감쇠계수의 임계값보다 높은 경우, 제2 투영영상 집합의 각 지점의 픽셀값의 가중합을 하여, 제1 투영영상 집합의 각 지점에 상기 제2 투영영상의 대응하는 각 지점을 정합한다.
이때, 상기 제2 투영영상 집합의 각 지점의 픽셀값의 가중합에서 가중값은 대응하는 제1 투영영상 집합에서의 각 위치의 복셀(voxel) 값일 수 있다.
상세하게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을 통과하는 화살표가 향하는 정방향 재구성 결과인 제1 투영영상 집합에서의 금속 영역의 픽셀 위치들의 집합을 {x1, x2, …, xn}이라 하고, 이를 상술한 강체 등록을 수행하여 얻은 회전과 전이값으로 강체 변환한 위치를 {y1, y2, …, yn}이라고 한다. 이 경우, {x1, x2, …, xn}를 투사했을 때 검출기에 맺히는 위치는 모두 dx의 위치를 가리키게 되고, {y1, y2, …, yn}을 투사했을 때 검출기에 맺히는 위치는 {dy1, dy2, …, dyn}이라고 한다.
이때, 상기 정합 과정은 다음과 같은 수식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Figure pat00006
여기에서, M'(dx)는 역방향 재구성된 제2 투영영상 집합의 dx 위치로 정합된 픽셀값을 의미한다. 또한, M'(dyi)는 역방향 재구성된 제2 투영영상 집합의 dyi 위치에서의 픽셀값이며, I(xi)는 정방향 재구성된 제1 투영영상 집합의 xi 위치에서의 픽셀값을 의미한다.
상기 방법을 이용하여, 정방향 및 역방향 재구성시 피사체의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을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이 없는 것처럼 보정하여, 제1 및 제2 투영영상을 상호 대응 위치에 정확하게 정합할 수 있다.
도 10은 접합된 제1 및 제2 투영영상에서 금속 영역을 추출하여 분리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금속 영역 분리부(50)는 정합된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의 부분별 감쇠 계수 차이를 이용하여 금속 영역을 추출하여 분리할 수 있다(s50). 도 10에서는 좌측부터 실제 위치 측정 영상, 출력 영상, 및 금속 영역만 분리된 영상이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금속은 엑스선의 에너지에 따라 투과율이 연조직(soft tissue)이나 뼈(bone) 부분에 비해 크게 다르기 때문에, 영상을 복원했을 때 인공물(artifact)이 나타나게 된다. 반면, 연조직과 뼈는 엑스선의 에너지가 다르더라도 비슷한 투과율을 갖는다.
이때, 본 발명에서와 같이 두 개의 서로 다른 에너지 대역에서 얻은 엑스선 투과값을 비교하면 금속이 투과된 위치에서만 그 차이가 크게 나타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원리를 통하여 금속 영역을 정확하게 추출할 수 있게 된다.
두 개의 서로 다른 에너지 대역에서 얻은 제1 투영영상 집합과 제2 투영영상 집합이 같은 엑스선 경로를 지나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으므로, 물질에 따른 감쇠계수가 서로 다른 것을 이용하여 금속 영역을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통하여 분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투사 영상 데이터에서 픽셀별로 금속-비금속 영역을 분해한다. 각 투사영상의 픽셀 값은 금속 부분에 대한 기여도와 금속이 아닌 부분에 대한 기여도로 표현할 수 있다. 이때, 엑스선의 에너지가 달라지면 픽셀값과 평균 감쇠계수의 값이 달라지게 되지만, 엑스선의 경로 길이는 상수로 유지되므로 금속과 비금속 부분을 구분할 수 있으며, 구분된 상태에서 3차원 영상 재구성을 통해 금속 부분을 분리해 낼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금속 영역 분리부(50)는 심층 신경망(deep neutral network)를 활용하여 금속 영역을 추출하여 분리하며, 상기 심층 신경망에는 상기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의 데이터가 입력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심층 신경망은 학습 과정과 테스트 과정으로 구분되는데, 예를 들어, 학습 과정에서 각각 에너지 대역의 3차원 영상 데이터를 모두 입력하여 훈련시킨 후, 실제 전산화 단층 촬영 영상 처리에 적용하여 금속 인공물을 분리해 낼 수 있다.
그 다음, 투영영상 중첩부(60)에서는 상기 정합된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의 금속 영역과 비금속 영역을 중첩하여 금속 이미지가 명확하게 구분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에너지 단층촬영 장치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듀얼 에너지 단층촬영 장치에서는 2개 이상의 엑스선 에너지 대역을 활용하여 금속성 인공음영을 제거하므로 종래의 단일 엑스선 에너지 대역을 사용하는 방법에 비해 더욱 정확하고 정밀하게 금속성 인공음영이 제거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금속성 인공음영을 최소화하므로, 실제 감염 잇몸의 구분, 및 임플란트 시술 환자의 실제 잇몸 병변의 구분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진단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이 분야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Claims (18)

  1. 피사체를 향하여 서로 다른 크기의 엑스선을 방사할 수 있는 엑스선 방사부;
    상기 피사체를 투과하는 복수의 엑스선 빔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을 생성하는 투영영상 집합 생성부;
    상기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의 금속 영역을 검출하는 금속 영역 검출부;
    상기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정합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호 대응 위치로 보정하여 정합하는 투영영상 집합 정합부;
    상기 정합된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의 상기 금속 영역을 분리하는 금속 영역 분리부; 및
    상기 정합된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의 금속 영역과 비금속 영역을 중첩하는 투영영상 집합 중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에너지 단층촬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와 상기 엑스선 방사부의 상대 각도를 조절하는 회전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엑스선 방사부는 상기 회전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며, 저에너지 엑스선 또는 고에너지 엑스선을 교대로 방사하여 상기 투영영상 집합 생성부가 상기 제1 및 제2 투영영상을 각각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에너지 단층촬영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 방사부가 저에너지 엑스선을 방사할 때,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엑스선 방사부를 정회전시켜 상기 투영영상 집합 생성부가 상기 제1 투영영상 집합을 생성하며,
    상기 엑스선 방사부가 고에너지 엑스선을 방사할 때,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엑스선 방사부를 역회전시켜 상기 투영영상 집합 생성부가 상기 제2 투영영상 집합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에너지 단층촬영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 방사부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각도는 190° 또는 3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에너지 단층촬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영영상 집합 정합부는 강체 정합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 중, 각각의 금속 영역을 정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에너지 단층촬영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투영영상 집합 정합부는 상기 강체 정합 전후에 전방 투사를 수행하여 획득된 투사 영상 데이터로부터 모션 벡터를 구하여, 상기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을 정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에너지 단층촬영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투영영상 집합 정합부는 상기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 중 어느 하나의 집합에서의 상기 금속 영역의 각 지점의 픽셀값과, 다른 하나의 집합에서의 상기 금속 영역의 상기 강체 정합에서 대응하는 각 지점의 픽셀값 각각을 곱하여 얻어진 가중평균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 중, 각각의 금속 영역을 정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에너지 단층촬영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영역 분리부는 상기 정합된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의 부분별 감쇠 계수 차이를 이용하여 금속 영역을 추출하여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에너지 단층촬영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영역 분리부는 심층 신경망(deep neural network)를 활용하여 금속 영역을 추출하여 분리하며, 상기 심층 신경망에는 상기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의 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에너지 단층촬영 장치.
  10. (a) 엑스선 방사부가 피사체를 향하여 서로 다른 크기의 엑스선을 방사하는 단계;
    (b) 투영영상 집합 생성부가 상기 피사체를 투과하는 복수의 엑스선 빔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을 생성하는 단계;
    (c) 금속 영역 검출부가 상기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의 금속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d) 투영영상 집합 정합부가 상기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정합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호 대응 위치로 보정하여 정합하는 단계;
    (e) 금속 영역 분리부가 상기 정합된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의 상기 금속 영역을 분리하는 단계; 및
    (f) 투영영상 집합 중첩부가 상기 정합된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의 금속 영역과 비금속 영역을 중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이미지 구분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회전구동부가 상기 피사체와 상기 엑스선 방사부의 상대 각도를 조절하며,
    상기 엑스선 방사부는 상기 회전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며, 저에너지 엑스선 또는 고에너지 엑스선을 교대로 방사하여 상기 투영영상 집합 생성부가 상기 제1 및 제2 투영영상을 각각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이미지 구분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엑스선 방사부가 저에너지 엑스선을 방사할 때, 상기 회전구동부가 상기 엑스선 방사부를 정회전시켜 상기 투영영상 집합 생성부가 상기 제1 투영영상 집합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엑스선 방사부가 고에너지 엑스선을 방사할 때, 상기 회전구동부가 상기 엑스선 방사부를 역회전시켜 상기 투영영상 집합 생성부가 상기 제2 투영영상 집합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이미지 구분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엑스선 방사부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각도는 190° 또는 3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이미지 구분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투영영상 집합 정합부가 강체 정합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 중, 각각의 금속 영역을 정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이미지 구분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투영영상 집합 정합부가 상기 강체 정합 전후에 전방 투사를 수행하여 획득된 투사 영상 데이터로부터 모션 벡터를 구하여, 상기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을 정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이미지 구분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투영영상 집합 정합부가 상기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 중 어느 하나의 집합에서의 상기 금속 영역의 각 지점의 픽셀값과, 다른 하나의 집합에서의 상기 금속 영역의 상기 강체 정합에서 대응하는 각 지점의 픽셀값 각각을 곱하여 얻어진 가중평균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 중, 각각의 금속 영역을 정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이미지 구분 방법.
  17. 제16항에 잇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금속 영역 분리부가 상기 정합된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의 부분별 감쇠 계수 차이를 이용하여 금속 영역을 추출하여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이미지 구분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금속 영역 분리부가 심층 신경망(deep neural network)를 활용하여 금속 영역을 추출하여 분리하며, 상기 심층 신경망에는 상기 제1 및 제2 투영영상 집합의 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이미지 구분 방법.
KR1020190175344A 2019-12-26 2019-12-26 듀얼 에너지 단층촬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속 이미지 구분 방법 KR102394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5344A KR102394444B1 (ko) 2019-12-26 2019-12-26 듀얼 에너지 단층촬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속 이미지 구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5344A KR102394444B1 (ko) 2019-12-26 2019-12-26 듀얼 에너지 단층촬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속 이미지 구분 방법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3452A true KR20210083452A (ko) 2021-07-07
KR102394444B1 KR102394444B1 (ko) 2022-05-09
KR102394444B9 KR102394444B9 (ko) 2022-12-27

Family

ID=76861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5344A KR102394444B1 (ko) 2019-12-26 2019-12-26 듀얼 에너지 단층촬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속 이미지 구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44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4166B1 (ko) * 2021-07-20 2022-06-02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스타일 전이를 활용한 엑스레이 영상의 유체 탐지 방법 및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1887B1 (ko) 2009-08-19 2012-01-05 한국과학기술원 압축 센싱 이론을 이용한 x-선 전산 단층 촬영 영상의 금속성 음영 제거 방법
KR20130098531A (ko) 2012-02-28 2013-09-05 (주)제노레이 씨티의 메탈 아티팩트 감소 방법
KR20170025063A (ko) * 2015-08-27 2017-03-08 (주)바텍이우홀딩스 금속성 인공음영 감소 방법 및 장치
JP2017060842A (ja) * 2010-04-20 2017-03-30 イメージング・サイエンシィズ・インターナショナル・エルエルシー 表面走査情報を用いることによる歯科用3次元x線データセットからのアーチファクトの低減及び除去
KR101821046B1 (ko) * 2016-07-13 2018-01-2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Ct 영상의 금속 인공물 측정 방법 및 장치, 금속 인공물 보정 결정 방법
KR20190010249A (ko) * 2017-07-21 2019-01-30 주식회사바텍 듀얼 에너지 엑스선 프로젝션을 이용한 금속 이미지 구분 방법, 금속 인공음영 제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엑스선 영상 획득 장치
KR20190115638A (ko) * 2018-04-03 2019-10-1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메탈 아티팩트를 저감하는 엑스선 단층촬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1887B1 (ko) 2009-08-19 2012-01-05 한국과학기술원 압축 센싱 이론을 이용한 x-선 전산 단층 촬영 영상의 금속성 음영 제거 방법
JP2017060842A (ja) * 2010-04-20 2017-03-30 イメージング・サイエンシィズ・インターナショナル・エルエルシー 表面走査情報を用いることによる歯科用3次元x線データセットからのアーチファクトの低減及び除去
KR20130098531A (ko) 2012-02-28 2013-09-05 (주)제노레이 씨티의 메탈 아티팩트 감소 방법
KR20170025063A (ko) * 2015-08-27 2017-03-08 (주)바텍이우홀딩스 금속성 인공음영 감소 방법 및 장치
KR101821046B1 (ko) * 2016-07-13 2018-01-2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Ct 영상의 금속 인공물 측정 방법 및 장치, 금속 인공물 보정 결정 방법
KR20190010249A (ko) * 2017-07-21 2019-01-30 주식회사바텍 듀얼 에너지 엑스선 프로젝션을 이용한 금속 이미지 구분 방법, 금속 인공음영 제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엑스선 영상 획득 장치
KR20190115638A (ko) * 2018-04-03 2019-10-1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메탈 아티팩트를 저감하는 엑스선 단층촬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4166B1 (ko) * 2021-07-20 2022-06-02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스타일 전이를 활용한 엑스레이 영상의 유체 탐지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4444B1 (ko) 2022-05-09
KR102394444B9 (ko) 202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39255B2 (ja) 医療用x線撮影方法及び装置
RU259671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етектирования
JP5336364B2 (ja) 散乱放射線の割合に応じたx線検出器の利得校正
US10244999B2 (en) Three-dimensional image generating method and system using multi-energy X-ray image and optical image
US11380025B2 (en) Scatter corre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ntal cone-beam CT
EP3247275B1 (en) Tomography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JP5031095B2 (ja) 放射線断層撮影方法および放射線治療装置制御装置
JP2004181243A (ja) 横方向のフィルタリング処理を用いたトモシンセシス画像を強調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US11331059B2 (en) Method for local x-ray bone density tomography
US10098603B2 (en) Method for estimation and correction of grid pattern due to scatter
JP2006187608A (ja) 医療用x線画像用の多重解像度再構成のための方法及び配置
US9177397B2 (en) Imaging apparatus
JP7345653B2 (ja) 放射線医学的撮像方法
JP2022545086A (ja) スペクトルトモシンセシスシステムにおける幾何学的キャリブレーションマーカの検出
KR101425530B1 (ko) X-선 단층 촬영을 이용한 물질 분별 알고리즘 교정 장치
US9173624B2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energy X-ray imaging using a polychromatic source
KR102394444B1 (ko) 듀얼 에너지 단층촬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속 이미지 구분 방법
JP6853376B2 (ja) 複数のx線画像から2d画像を再構築する方法
US7068752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medical X-ray imaging
WO2021153592A1 (ja) 画像処理装置、放射線撮影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387403B1 (ko) 잘림 아티팩트 저감 프로젝션 데이터 보정방법
JP2022024975A (ja)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撮像プログラム
TWI645836B (zh) 粒子線治療裝置及數位重組放射線攝影影像作成方法
US20100303381A1 (en) Imaging system and imaging method for imaging a region of interest
US11864942B2 (en) Methods for calibrating a spectral X-ray imaging system to perform material de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