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2961A - 마그마 챔버를 이용한 발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마그마 챔버를 이용한 발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2961A
KR20210082961A KR1020190175468A KR20190175468A KR20210082961A KR 20210082961 A KR20210082961 A KR 20210082961A KR 1020190175468 A KR1020190175468 A KR 1020190175468A KR 20190175468 A KR20190175468 A KR 20190175468A KR 20210082961 A KR20210082961 A KR 20210082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ma
power generation
chamber
pressure
volcan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5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삼
Original Assignee
최종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삼 filed Critical 최종삼
Priority to KR1020190175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2961A/ko
Publication of KR20210082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29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TGEOTHERMAL COLLECTORS; GEOTHERMAL SYSTEMS
    • F24T50/00Geothermal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TGEOTHERMAL COLLECTORS; GEOTHERMAL SYSTEMS
    • F24T10/00Geothermal collectors
    • F24T10/30Geothermal collectors using underground reservoirs for accumulating working fluids or intermediate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TGEOTHERMAL COLLECTORS; GEOTHERMAL SYSTEMS
    • F24T10/00Geothermal collectors
    • F24T10/40Geothermal collectors operated without external energy sources, e.g. using thermosiphonic circulation or heat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TGEOTHERMAL COLLECTORS; GEOTHERMAL SYSTEMS
    • F24T10/00Geothermal collectors
    • F24T2010/5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10Geothermal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그마방과 화도의 연결 지점에 배치되고 상부에 화도와 연결되는 개구를 구비하고 내부에 격실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개폐 가능한 마그마 유입구가 형성되어 내부에 마그마를 저장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텅스텐 마그마 챔버와, 화산 외부에서 물을 유입시킨 후 상기 텅스텐 마그마 챔버를 거쳐 증기화 시켜 전력을 생산하도록 생성되는 전력생산모듈과, 마그마방 내부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화산 외부로 연장된 압력제어 터널을 포함하는 마그마 챔버를 이용한 발전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화산을 이용한 전력 생산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으며 마그마방의 압력 제어를 통해 화산이 폭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등 종래의 기술과 차별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마그마 챔버를 이용한 발전 시스템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MAGMA CHAMBER}
본 발명은 마그마의 온도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마그마방의 상부에 마그마 챔버를 배치하여 마그마방의 압력을 제어하고 외부의 물을 유입시켜 마그마 온도를 이용하여 증기발전을 구현할 수 있는 마그마 챔버를 이용한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신재생 에너지는 기존의 화석 연료를 재활용하거나 재생 가능한 에너지를 변환시켜 이용하는 에너지를 일컫는다. 인구가 증가하고 산업이 발달하면서 화석 연료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어 자원의 고갈과 함께 국제 가격이 상승하는 등의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더불어 화석 연료가 지구 온난화를 일으키는 원인으로 인식되면서 그 사용량이 많은 국가에게는 불이익을 주는 등 화석 연료의 사용을 줄이려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신재생에너지는 화석 연료와 달리 재생이 가능하기 때문에 고갈되지 않으며 오염 물질이나 이산화탄소 배출이 적어 환경 친화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신재생에너지에는 풍력에너지, 해양에너지, 태양에너지, 지열에너지 등이 있다.
이 중 지열에너지를 이용한 발전시스템은 지하의 고온층에서 증기나 열수의 형태로 열을 받아들여 발전하는 방식으로 자연 상태에서 지열의 온도는 지하 100m 깊어질수록 평균 3℃ ~ 4℃ 가 높아지기 때문에 지표면으로부터 지하로 수 km를 굴착하여 고온의 물이나 암석 등이 가지고 있는 열에너지를 이용해 고온의 증기를 얻어 이것을 증기터빈에 유도하고 고속으로 터빈을 회전시켜서 이와 직결된 발전기에 의해 전력을 생산한다.
특히, 화산지대의 지하에는 마그마방 또는 마그마굉이 존재하기 때문에 고온의 마그마를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구현할 경우 막대한 에너지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미국 등록특허 US 7,284,931 B2 'Magma evacuation systems for the prevention of explosions from supervolcanoes'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 등에서는 화산 폭발 방지를 위한 마그마 진공 감압 시스템을 통해 화산 폭발을 제어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13355호 '인공저류층 지열방식을 통한 심부지열발전시스템'(이하, 특허문헌 2라 함)에서는 지각 내부의 지열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기술들을 개량하여 화산지대의 마그마방의 높은 열을 발전에 이용하기 위한 기술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미국 등록특허 US 7,284,931 B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13355호
본 발명에 따른 마그마 챔버를 이용한 발전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 과제를 제시한다.
첫째, 마그마의 온도를 이용하여 증기를 발생시켜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발전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마그마 챔버의 압력과 온도를 제어하여 화산이 예측하지 못한 시점에 폭발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그마 챔버를 이용한 발전 시스템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그마 챔버를 이용한 발전 시스템은 마그마방과 화도의 연결 지점에 배치되고 상부에 화도와 연결되는 개구를 구비하고 내부에 격실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개폐 가능한 마그마 유입구가 형성되어 내부에 마그마를 저장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텅스텐 마그마 챔버와, 화산 외부에서 물을 유입시킨 후 상기 텅스텐 마그마 챔버를 거쳐 증기화 시켜 전력을 생산하도록 생성되는 전력생산모듈과, 마그마방 내부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화산 외부로 연장된 압력제어 터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텅스텐 마그마 챔버는 위쪽을 향한 압력을 받으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하부도어 및 상부도어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부 방향 또는 하부 방향으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하부 유출구를 구비하며,상기 하부 유출구의 상부 방향 개방 압력은 상기 하부도어의 개방 압력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하부도어가 개방되기 전 상기 하부 유출구가 먼저 개방되고, 상기 하부도어가 개방압력에 도달하면 상기 하부 유출구가 닫히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압력제어터널은 상기 하부 유출구가 상부 방향 개방 압력에 의하여 개방되는 경우 개방되어 마그마가 용출되기 전 마그마방의 압력을 낮추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력생산모듈은 화산 외부로부터 경사져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으로 연결되는 수로와, 상기 수로의 일단에 상기 텅스텐 마그마 챔버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로를 통해 유입된 물을 저장하여 상기 텅스텐 마그마 챔버의 열에 의해 물을 증기 상태로 변환시키는 증기생성수조와, 상기 증기생성수조의 일단에서 화산 외부로 연결되는 복수의 유로 및 상기 복수의 유로에 장착되는 증기터빈들을 포함하는 전력생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력생산모듈은 상기 복수의 유로들의 둘레를 감싸는 냉각수 관을 구비하여 고온 고압의 증기로 인해 폭발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마그마 챔버를 이용한 발전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마그마방의 상부에 마그마 챔버를 형성시키고 외부의 물을 상기 마그마 챔버 주위로 유입시킨 후 마그마 챔버의 온도를 이용하여 물을 증발시킴으로써 전력을 생산하여 화산을 이용한 전력 생산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둘째,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이용한 온도 제어 및 압력제어터널을 이용한 압력 조절을 통해 마그마방의 압력이 급격히 증가해 화산이 폭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셋째, 본 발명에서는 화산 외부의 거대한 호수의 담수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고 가열된 온수를 수십~수백 km 주변 평야 또는 개괄지에 온수를 공급하여 온실 재배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산 내부에 설치되는 마그마 챔버를 이용한 발전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마그마 챔버를 이용한 발전 시스템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력생산모듈의 위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4는 마그마 챔버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마그마 챔버의 자동문 개폐 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산 내부에 설치되는 마그마 챔버(110)를 이용한 발전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화산이나 휴화산의 하부에는 마그마굄 또는 마그마방(12)이 존재한다.
마그마는 대략 10 km 정도의 깊이에 존재하고 마그마굄 또는 마그마방(12)은 지하 5 km 정도의 깊이에는 존재한다.
마그마굄은 상당량의 마그마가 지하에 괴어있는 것을 말한다. 큰 화산의 지하 수 km에 마그마굄이 있어서 화산활동의 원인이 되나, 그 깊이, 크기, 모양 등은 불분명하다. 큰 마그마굄에서는 대류, 분화(分化)작용, 주위 암석에 대한 변성작용 등이 일어난다.
지구 내부의 멘틀 대류가 마그마굄과 마그마방의 에너지 원천이며, 본 발명에서는 이렇게 생성된 마그마굄, 마그마방의 열에너지를 이용해 전기 에너지를 생산한다.
마그마의 온도는 대략 섭씨 900도 내지 1200도 정도이며 최대 1650도까지 온도가 높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발전 시스템은 텅스텐을 이용하여 제조된다. 텅스텐은 녹는점이 섭씨 3400도 정도이며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라 현재는 텅스텐을 쉽게 가공하거나 용접할 수 있게 되었다.
최근에는 기술 발전에 따라 지하 수 km 까지 굴착을 하여 지열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졌으며, 필요에 따라 화산의 심부까지 굴착하거나 구조물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해졌다.
본 발명에서는 화산의 화도(11) 또는 마그마방(12)의 상부에 텅스텐 구조물을 설치하여 마그마방(12)의 압력을 조절하고 마그마의 온도 또는 마그마 주변의 지열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한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발전 시스템이 대략 지하 5 km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전 시스템은 지표면 근처의 화도 입구 부분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종형 화산의 경우 휘발성이 강하고 짧은 시간에 거대한 기체 폭발력을 갖고 있으며, 기체가 빠져나간 진공의 공간에 자연압에 의해 마그마가 치솟아 오르는 것이므로 압력에 의해 챔버와 시설물이 훼손되거나 파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발전 시스템(하우징, 챔버 등)이 압력제어 터널보다 위쪽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00) 또는 마그마 챔버(110)는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화산 폭발의 원인인 마그마방(12)의 압력 상승을 제어하여 예측치 못한 화산 폭발로 발생하는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 시스템은 화산 화도(11)의 상부, 중부, 하부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추후 기술발전에 따라 마그마방(12)에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 시스템은 내부에 격실(103)을 형성하는 하우징(100)과, 화산 외부에서 물을 유입시킨 후 증기화 시켜 전력을 생산하는 전력생산모듈(300)과, 화산 외부로 연장되는 압력제어 터널(2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제어 터널(200)은 화산의 중턱부분에서 물이 유입되어 흘러내릴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화산의 중턱 부분에서 압력제어 유도구를 따라 흙탕물이 매끄럽게 흘러내리며 온도를 낮춰 발전 시스템 내부의 압력을 제어하고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증기는 다시 압력제어 터널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화산 외부의 거대한 호수의 담수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고 가열된 온수를 수십~수백 km 주변 평야 또는 개괄지에 온수를 공급하여 온실 재배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발전 시스템의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마그마 챔버(110)를 이용한 발전 시스템의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력생산모듈(300)의 위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마그마 챔버(110)를 이용한 발전 시스템은 하우징(100)과, 텅스텐 마그마 챔버(110)와, 전력생산모듈(300)과, 압력제어 터널(200)을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마그마방(12)의 상부에 배치되고 화도(11)와 연결되는 개구를 구비하며 내부에 격실(103)을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상부 방향 또는 하부 방향으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하부 유출구(10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에는 수로(310)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차단하는 수문(311)과, 압력제어 터널(200)을 열고 닫는 격벽(212, 222)이 형성될 수 있다.
유출구(102), 수문(311), 격벽(212, 222)은 텅스텐 마그마 챔버(110)의 도어들(111,112)과 서로 연계되어 열리거나 닫히도록 형성된다.
텅스텐 마그마 챔버(110)는 상기 하우징(100) 내부의 격실(103)에 배치되고 개폐 가능한 마그마 유입구가 형성되어 내부에 마그마를 저장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텅스텐 마그마 챔버(110)는 상부도어(111)와 하부도어(112)를 구비할 수 있다. 상부도어(111)와 하부도어(112)는 압력을 감지하여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개방 압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상부도어(111)와 하부도어(112)는 상부를 향해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서만 개방되고 하부를 향해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서는 개방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마그마방(12)의 압력이 높아질 때 상기 도어들이 개방되어 마그마방(12)의 압력을 조절하거나 마그마가 화도(11)를 따라 상승할 때 챔버(110) 내부로 마그마가 유입시킬 수 있다.
마그마방(12)의 압력이 다시 낮아지면 상기 도어들이 닫혀 마그마를 챔버(110) 내부에 보유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유출구(102)의 상부 방향 개방 압력은 상기 하부도어(112)의 개방 압력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하부도어(112)가 개방되기 전 상기 하부 유출구(102)가 먼저 개방되고, 상기 하부도어(112)가 개방압력에 도달하면 상기 하부 유출구(102)가 닫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발전 시스템은 화산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기 시작하면 하부 유출구(102) 및 압력제어 터널(200)이 개방되어 압력을 낮춘다.
마그마가 상승하는 경우 하부도어(112)가 개방되며 유출구(102)는 닫히게 된다. 하부도어(112)가 개방되어 마그마는 텅스텐 마그마 챔버(110) 내부로 유입되고 마그마가 챔버(110)를 채우고 나면 상부도어(111)가 개방되어 챔버(110) 내부 압력이 지나치게 높아지는 것을 방지한다.
화산 내부 압력이 다시 낮아지면 상부도어(111) 및 하부도어(112)가 닫혀 챔버(110) 내부에 마그마를 보유하게 된다.
챔버(110) 외부로 유출된 마그마의 중량에 의하여 유출구(102)는 하부를 향한 압력을 받아 개방된다.
전력생산모듈(300)은 화산 외부에서 물을 유입시킨 후 상기 텅스텐 마그마 챔버(110)를 거쳐 증기화 시켜 전력을 생산한다.
상기 전력생산모듈(300)은 화산 외부로부터 경사져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100)으로 연결되는 수로(310)와, 상기 수로(310)의 일단에 상기 텅스텐 마그마 챔버(110)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로(310)를 통해 유입된 물을 저장하여 상기 텅스텐 마그마 챔버(110)의 열에 의해 물을 증기 상태로 변환시키는 증기생성수조와, 상기 증기생성수조의 일단에서 화산 외부로 연결되어 증기화 된 물이 빠져나갈 수 있게 하는 복수의 유로(320) 및 상기 복수의 유로(320)에 장착되는 증기터빈들을 포함하는 전력생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력생산모듈(300)은 상기 복수의 유로(320)들의 둘레를 감싸는 냉각수 관을 구비하여 고온 고압의 증기로 인해 폭발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압력제어 터널(200)은 마그마방(12) 내부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화산 외부로 연장된다.
압력제어 터널(200)은 효율적인 제어를 위해 압력에 의하여 자동으로 제어되는 복수의 격벽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압력제어 터널(200)은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터널(210)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터널(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터널(210) 및 제2 터널(220)은 압력에 의하여 자동으로 제어되는 복수의 격벽들(211, 221)을 포함할 수 있다.
압력제어 터널(200)은 천연 담수호의 하부를 지나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천연 담수호의 물은 수로(310)를 통해 전력생산모듈(300)로 유입되고 챔버(110)의 열에 의하여 가열되어 전력을 생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압력제어 터널(200)을 통해 배출되는 고온의 공기는 천연 담수호의 하부를 지나며 1차적으로 물을 가열시킬 수 있다.
상기 압력제어터널은 상기 하부 유출구(102)가 상부 방향 개방 압력에 의하여 개방되는 경우 개방되어 마그마가 용출되기 전 마그마방(12)의 압력을 낮추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마그마 챔버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화산의 측면부로부터 터널 보링 머신으로 터널을 형성시킨 후 텅스텐 도관을 터널에 삽입한다.
화도에 근접하게 되면 온도가 높기 때문에 터널 보링 머신이 접근하기 어려워 지므로 텅스텐 도관을 이용하여 회전 굴착 방식으로 도관이 화도의 맞은편까지 도달하게 한다.
텅스텐 도관을 밀어넣을 때는 도관의 입구로 냉각수를 주입하여 도관의 출구로 방출시켜 도관이 지나치게 과열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5는 마그마 챔버의 격벽 자동문 개폐 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격벽 자동문은 압력제어 터널에 설치될 수 있다. 격벽 자동문은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열리거나 닫히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마그마방(12)의 상부에 마그마 챔버(110)를 형성시키고 외부의 물을 상기 마그마 챔버(110) 주위로 유입시킨 후 마그마 챔버(110)의 온도를 이용하여 물을 증발시킴으로써 전력을 생산하여 화산을 이용한 전력 생산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이용한 온도 제어 및 압력제어터널을 이용한 압력 조절을 통해 마그마방(12)의 압력이 급격히 증가해 화산이 폭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등 종래의 기술과 차별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1 : 화도 12 : 마그마방
100 : 하우징 111 : 하우징 격벽
102 : 유출구 103 : 격실
110 : 챔버 111 : 상부도어
112 : 하부도어 200 : 압력제어 터널
210 : 제1 터널 211 : 제1 터널 격벽
220 : 제2 터널 221 : 제2 터널 격벽
300 : 전력생산모듈 301 : 수조
302 : 터빈 310 : 수로
311 : 수문 320 : 복수의 유로
321 : 제1 유로 322 : 제2 유로
323 : 제3 유로 324 : 제4 유로

Claims (5)

  1. 상부에 화도와 연결되는 개구를 구비하며 내부에 격실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의 격실에 배치되고 개폐 가능한 마그마 유입구가 형성되어 내부에 마그마를 저장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텅스텐 마그마 챔버;
    화산 외부에서 물을 유입시킨 후 상기 텅스텐 마그마 챔버를 거쳐 증기화 시켜 전력을 생산하도록 생성되는 전력생산모듈; 및
    마그마방 내부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화산 외부로 연장된 압력제어 터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마 챔버를 이용한 발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텅스텐 마그마 챔버는 위쪽을 향한 압력을 받으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하부도어 및 상부도어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부 방향 또는 하부 방향으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하부 유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 유출구의 상부 방향 개방 압력은 상기 하부도어의 개방 압력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하부도어가 개방되기 전 상기 하부 유출구가 먼저 개방되고, 상기 하부도어가 개방압력에 도달하면 상기 하부 유출구가 닫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마 챔버를 이용한 발전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제어터널은,
    상기 하부 유출구가 상부 방향 개방 압력에 의하여 개방되는 경우 개방되어 마그마가 용출되기 전 마그마방의 압력을 낮추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마 챔버를 이용한 발전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생산모듈은,
    화산 외부로부터 경사져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으로 연결되는 수로;
    상기 수로의 일단에 상기 텅스텐 마그마 챔버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로를 통해 유입된 물을 저장하여 상기 텅스텐 마그마 챔버의 열에 의해 물을 증기 상태로 변환시키는 증기생성수조; 및
    상기 증기생성수조의 일단에서 화산 외부로 연결되는 복수의 유로 및 상기 복수의 유로에 장착되는 증기터빈들을 포함하는 전력생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마 챔버를 이용한 발전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생산모듈은,
    상기 복수의 유로들의 둘레를 감싸는 냉각수 관을 구비하여 고온 고압의 증기로 인해 폭발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마 챔버를 이용한 발전 시스템.
KR1020190175468A 2019-12-26 2019-12-26 마그마 챔버를 이용한 발전 시스템 KR202100829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5468A KR20210082961A (ko) 2019-12-26 2019-12-26 마그마 챔버를 이용한 발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5468A KR20210082961A (ko) 2019-12-26 2019-12-26 마그마 챔버를 이용한 발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2961A true KR20210082961A (ko) 2021-07-06

Family

ID=76860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5468A KR20210082961A (ko) 2019-12-26 2019-12-26 마그마 챔버를 이용한 발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8296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84931B2 (en) 2002-02-04 2007-10-23 Brian Stapleton Stratford Magma evacuation systems for the prevention of explosions from supervolcanoes
KR20180013355A (ko) 2016-07-29 2018-02-07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인공저류층 지열방식을 통한 심부지열발전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84931B2 (en) 2002-02-04 2007-10-23 Brian Stapleton Stratford Magma evacuation systems for the prevention of explosions from supervolcanoes
KR20180013355A (ko) 2016-07-29 2018-02-07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인공저류층 지열방식을 통한 심부지열발전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652899A3 (ru) Способ подземной газификации угл и устройство дл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
ES2899700T3 (es) Dispositivo de energía geotérmica
JP2015517054A (ja) 水力および地熱エネルギーシステム並びに方法
KR101462251B1 (ko) 지중 열교환 시스템
NO343606B1 (en) Underground energy generating method and system
JP2010101144A (ja) 既設地下空洞を再利用したエネルギー供給システム
KR20210082961A (ko) 마그마 챔버를 이용한 발전 시스템
KR101418884B1 (ko) 수직개방형 지중 열교환기
KR20110133334A (ko) 공기 대류를 이용한 풍력발전 방법
CN104064229A (zh) 反应堆及带放射性的辅助厂房置于地下的大型核电站
RU2444645C2 (ru) Горная воздушно-тяговая электростанция
CN203966573U (zh) 反应堆及带放射性的辅助厂房置于地下的大型核电站
EP2102490B1 (en) Geothermal energy system
JP6231723B2 (ja) 地熱蒸気を利用して循環を行う重力発電装置
RU2716534C1 (ru) Способ использования геотермального тепла и тепла отвалов вскрышных пород глубоких карьеров угледобычи
KR101501658B1 (ko) 지열발전 시스템
WO2013115656A1 (en) Energy stave
KR102457328B1 (ko) 잔류 전력 활용 방식을 가지는 발전장치
RU2371638C1 (ru) Скважинная система теплоснабжения с подземным теплогидроаккумулированием
KR102407239B1 (ko) 터널을 이용한 양수발전시스템
WO2002004809A1 (en) Geothermal power generating system
WO2019211786A1 (en) Thermal energy storage facility
RU2329435C2 (ru) Скважинный теплоисточник
JP2024026022A (ja) 地球上が必要とする、全てのエネルギーを、極く安価なコストと、二酸炭素の発生は、全くない、0にて、地球上が必要とする、全てのエネルギーを賄う方法。
EP3957820B1 (en) Arrangement for storing ener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