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2758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2758A
KR20210082758A KR1020190175019A KR20190175019A KR20210082758A KR 20210082758 A KR20210082758 A KR 20210082758A KR 1020190175019 A KR1020190175019 A KR 1020190175019A KR 20190175019 A KR20190175019 A KR 20190175019A KR 20210082758 A KR20210082758 A KR 20210082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mobile device
split
communication unit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5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혜
고창석
유승민
이재경
최유진
김정아
어소윤
주소연
진상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5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2758A/ko
Priority to PCT/KR2020/015203 priority patent/WO2021132868A1/ko
Publication of KR20210082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27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외부 모바일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복수의 분할 화면을 표시하는 멀티뷰 모드의 실행 명령이 상기 외부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분할 화면이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외부 모바일 장치로 멀티뷰 UI(User Interface)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외부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분할 화면에 관한 설정을 변경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개시된 발명은 분할된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전자 장치가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특히,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고화질의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을 정도로 개발되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대형화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을 분할하고, 분할된 각 화면에 다양한 컨텐츠가 동시에 출력될 수 있는 기술도 개발되고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복수의 분할 화면이 출력될 때, 각 화면들을 제어하는 기술도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경우 복수의 분할 화면을 제어하는데 있어서 사용자의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출력되는 복수의 분할 화면의 조작을 더욱 편리하게 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다.
개시된 발명은 복수의 분할 화면에 관한 제어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다양한 인터랙션 방식을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외부 모바일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복수의 분할 화면을 표시하는 멀티뷰 모드의 실행 명령이 상기 외부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분할 화면이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외부 모바일 장치로 멀티뷰 UI(User Interface)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외부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분할 화면에 관한 설정을 변경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멀티뷰 모드의 실행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분할 화면 데이터 및 상기 멀티뷰 UI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분할 화면에 관한 설정 항목들을 포함하는 설정 메뉴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외부 모바일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설정 항목들에 관련된 상기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분할 화면에 관한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설정 항목들로서 소스 선택 항목, 장치 연결 항목, 화면 크기 조절 항목, 화면 위치 조절 항목, 스피커 선택 항목 또는 사운드 분배 항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설정 메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모바일 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분할 화면 중 제1 분할 화면에 관련된 리모트 컨트롤 UI(User Interface)의 팝업(Pop-up)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 분할 화면에서 출력되는 제1 컨텐츠에 대응하는 제1 리모트 컨트롤 UI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분할 화면에서 출력되는 컨텐츠가 제2 컨텐츠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제2 컨텐츠에 대응하는 제2 리모트 컨트롤 UI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외부 모바일 장치와 구별되는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원격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멀티뷰 UI(User Interface) 또는 리모트 컨트롤 UI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음성 신호을 획득하는 마이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마이크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분할 화면에 관한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분할 화면 중, 상기 음성 신호에 포함된 동작 명령이 실행 가능한 분할 화면을 결정하고, 결정된 분할 화면에서 상기 동작 명령에 대응하는 상기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외부 모바일 장치와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외부 모바일 장치로부터 복수의 분할 화면을 표시하는 멀티뷰 모드의 실행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분할 화면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외부 모바일 장치로 멀티뷰 UI(User Interface)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고; 및 상기 외부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분할 화면에 관한 설정을 변경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멀티뷰 모드의 실행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분할 화면 데이터 및 상기 멀티뷰 UI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복수의 분할 화면에 관한 설정 항목들을 포함하는 설정 메뉴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분할 화면에 관한 설정을 변경하는 것은, 상기 외부 모바일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설정 항목들에 관련된 상기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설정 메뉴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설정 항목들로서 소스 선택 항목, 장치 연결 항목, 화면 크기 조절 항목, 화면 위치 조절 항목, 스피커 선택 항목 또는 사운드 분배 항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설정 메뉴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외부 모바일 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분할 화면 중 제1 분할 화면에 관련된 리모트 컨트롤 UI(User Interface)의 팝업(Pop-up)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 분할 화면에서 출력되는 제1 컨텐츠에 대응하는 제1 리모트 컨트롤 UI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제1 분할 화면에서 출력되는 컨텐츠가 제2 컨텐츠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제2 컨텐츠에 대응하는 제2 리모트 컨트롤 UI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외부 모바일 장치와 구별되는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및 상기 원격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멀티뷰 UI(User Interface) 또는 리모트 컨트롤 UI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마이크를 통해 음성 신호를 획득하고; 및 상기 음성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분할 화면에 관한 설정을 변경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분할 화면에 관한 설정을 변경하는 것은, 상기 복수의 분할 화면 중, 상기 음성 신호에 포함된 동작 명령이 실행 가능한 분할 화면을 결정하고; 및 결정된 분할 화면에서 상기 동작 명령에 대응하는 상기 설정을 변경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복수의 분할 화면에 관한 제어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다양한 인터랙션 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강화될 수 있다.
특히, 개시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복수의 분할 화면에서 출력되는 컨텐츠들에 대응하는 UI(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분할 화면의 조작이 쉽고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 가능한 외부 장치들을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 도 4 및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8 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분할 화면들과 멀티뷰 UI를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7은 디스플레이 장치와 외부 모바일 장치의 연결 시 외부 모바일 장치에 표시되는 멀티뷰 UI를 설명한다.
도 18 내지 도 22는 외부 모바일 장치에 표시되는 리모트 컨트롤 UI를 설명한다.
도 23 및 도 24는 음성 명령에 의해 분할 화면의 설정이 변경되는 예시를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 뿐만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 가능한 외부 장치들을 도시한다.
먼저,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고, 처리된 영상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가 텔레비전(Television, TV)인 것으로 예시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모니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통신 장치, 휴대용 연산 장치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영상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장치라면 그 형태가 한정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다양한 컨텐츠 소스들로부터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비디오와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방송 수신 안테나 또는 케이블을 통하여 텔레비전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거나, 컨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거나, 컨텐츠 제공자의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부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10)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110)는 스크린(S1)을 형성할 수 있다. 스크린(S1)에는 시각 정보인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린(S1)에는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이 표시될 수 있으며, 2차원 평면 영상 또는 3차원 입체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다양한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외부 모바일 장치(20)와 통신할 수 있고, 리모트 컨트롤러(30)와 통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외부 모바일 장치(20) 및/또는 리모트 컨트롤러(30)로부터 사용자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외부 모바일 장치(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와 통신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모바일 장치(20)는 휴대 전화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 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음악 파일 재생기(예컨대, MP3 플레이어), 휴대 게임 단말기,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폰(Smart Phone)일 수 있다. 모바일 장치(20)는 화면(S2)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외부 모바일 장치(20)가 스마트폰인 것으로 한다.
리모트 컨트롤러(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로 원격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후술할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통신부(170)는 리모트 컨트롤러(30)의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기를 포함한다. 리모트 컨트롤러(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와 분리되어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 명령을 획득하고,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는 무선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170)는 리모트 컨트롤러(30)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전압 또는 전류)를 제어부(18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디스플레이(110),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마이크(120),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입력부(130), 디스플레이 장치(10)의 구성들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어셈블리(150),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160),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170), 및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하고, 통신부(170)를 통해 수신되는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및/또는 사용자 명령을 처리하는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와 전원 어셈블리(150)는 인쇄 회로 기판과 인쇄 회로 기판에 실장된 각종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들이 실장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어셈블리(150)는 콘덴서, 코일, 저항 소자들이 실장된 전원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는 다양한 타입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LCD Panel) 또는 발광 다이오드 패널(Light Emitting Diode Panel, LED Panel),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Panel, OLED Panel), 또는 마이크로 LED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여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를 다양한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110)는 아이콘(Icon)과 같은 UI 엘리먼트(User Interface Element)를 표시할 수 있다.
마이크(120)는 음성 신호 및/또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80)에 전송할 수 있다. 마이크(120)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입력 받아 제어부(180)로 전송하고, 제어부(600)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를 제어할 수 있다.
입력부(13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전압 또는 전류)를 제어부(180)로 출력할 수 있으며, 푸시 스위치, 터치 스위치, 다이얼, 슬라이드 스위치, 토글 스위치, 터치 패드 등 다양한 입력 수단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130)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물리적인 입력 버튼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를 켜거나 끄기 위한 전원 버튼, 디스플레이 장치(10)가 출력하는 음향의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음향 조절 버튼, 컨텐츠 소스를 선택하기 위한 소스 선택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30)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110)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입력부(130)는 터치 제스처와 같은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고 동시에 사용자의 입력에 대한 처리 결과를 이미지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10)와 동일하게 정의될 수도 있다.
전원 어셈블리(150)는 디스플레이(110)가 광을 출력하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어셈블리(150)는 마이크(120), 입력부(130), 스피커(160) 및 통신부(170)의 작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전원 어셈블리(150)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10)의 각 구성에 인가되는 전류 및/또는 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
스피커(160)는 음향을 증폭하는 음향 앰프를 포함할 수 있고, 증폭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60)는 아날로그 음향 신호를 음향(음파)으로 변환할 수 있다. 스피커(160)는 전기적 음향 신호에 따라 진동하는 박막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박막의 진동에 의하여 음파가 생성될 수 있다.
통신부(170)는 네트워크 또는 통신 채널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를 외부 장치와 연결한다. 통신부(170)는 외부 장치와 유선으로 통신하는 유선 통신 모듈 및/또는 외부 장치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은 디스플레이 장치(10)로부터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의 게이트웨이까지 연결된 케이블을 통하여 게이트웨이에 접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선 통신 모듈은 이더넷을 통하여 게이트웨이와 통신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은 게이트웨이를 거쳐 통신망과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외부 장치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모듈은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그비, 무선 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홈 RF(Home Radio Frequency), 와이파이 다이렉트 및/또는 UWB(Ultra-wide band)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접속 중계기(Access Point, AP)와 게이트웨이를 거쳐 통신망과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통신부(17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 외부 모바일 장치(20)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모바일 장치(20)와 스크린 미러링 또는 미라캐스트(Miracast)를 실행할 수 있다. 통신부(170)는 모바일 장치(2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8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70)는 리모트 컨트롤러(30)의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기를 포함한다. 통신부(170)는 리모트 컨트롤러(30)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전압 또는 전류)를 제어부(18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70)는 컨텐츠 소스들로부터 영상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영상 신호 및/또는 오디오 신호를 제어부(180)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신호를 처리하고 영상 데이터 및 음향 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세서(181) 및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기억 및/또는 저장하는 메모리(182)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통신부(170)를 통해 모바일 장치(20)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3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명령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81)는 하드 웨어로서, 논리 회로와 연산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81)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작동을 위해 메모리(182)에 저장된 프로그램, 인스트럭션 및/또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10)의 각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81)와 메모리(182)는 별도의 칩으로 구현되거나, 단일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복수의 프로세서와 복수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81)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여 음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와 음향 데이터는 각각 디스플레이(110)와 스피커(160)로 출력될 수 있다. 프로세서(181)는 영상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메모리(182)에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82)는 버퍼(buffer)일 수도 있다.
메모리(182)는 컨텐츠에 포함된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데이터를 저장하고, 프로세서(181)가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중에 발생하는 임시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다. 메모리(182)는 데이터를 장기간 저장하기 위한 롬(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와,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기 위한 S-램(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D-램(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의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상술한 구성 이외에도 다양한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구성들이 분리되거나 생략될 수도 있다.
이하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동작이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도 3, 도 4 및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81)는 외부 모바일 장치(20)와 통신 경로를 생성하도록 통신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외부 모바일 장치(20)와 연결될 수 있다(301, 401).
멀티뷰 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 즉, 멀티뷰 모드의 실행 명령은 외부 모바일 장치(20), 리모트 컨트롤러(30) 및/또는 입력부(13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멀티뷰 모드를 실행한 상태에서 외부 모바일 장치(20)와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가 외부 모바일 장치(20)와 연결되기 전에, 리모트 컨트롤러(30) 또는 입력부(13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멀티뷰 모드가 실행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외부 모바일 장치(20)와 연결된 후, 외부 모바일 장치(20)로부터 멀티뷰 모드의 실행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402).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외부 모바일 장치(20)로부터 수신되는 멀티뷰 모드의 실행 명령에 따라 멀티뷰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프로세서(181)는 멀티뷰 모드에서 복수의 분할 화면(M1, M2)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302, 403). 기본적으로, 디스플레이(110)는 하나의 전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뷰 모드가 실행되는 경우, 디스플레이(110)는 복수의 분할 화면(M1, M2)을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프로세서(181)는 멀티뷰 모드의 실행에 응답하여 복수의 분할 화면(M1, M2)을 생성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81)는 복수의 분할 화면(M1, M2)에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복수의 분할 화면(M1, M2) 각각에는 서로 다른 영상이 표시될 수 있고, 동일한 영상이 표시될 수도 있다. 복수의 분할 화면(M1, M2)에 표시되는 영상은 다양한 컨텐츠 소스들로부터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컨텐츠 소스는 컨텐츠 데이터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컨텐츠 소스는 IPTV 서버, 방송 서버, 컴퓨터, 웹 서버, 휴대폰, 카메라 또는 IoT 캠일 수 있다. 컨텐츠 소스는 예시된 것으로 제한되지 않고,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컨텐츠 소스는 외부 모바일 장치(20)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10) 또는 모바일 장치(20)에서 스크린 미러링 또는 캐스팅이 실행되는 경우, 모바일 장치(20)의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복수의 분할 화면 중 어느 하나에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가 외부 모바일 장치(20)로부터 수신되는 멀티뷰 모드의 실행 명령에 따라 멀티뷰 모드로 진입할 경우, 모바일 장치(20)의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복수의 분할 화면 중 어느 하나에서 표시될 수 있다.
프로세서(181)는 외부 모바일 장치(20)로 멀티뷰 UI(User Interface)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통신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303, 404). 멀티뷰 UI는 멀티뷰 모드에서 복수의 분할 화면을 조작하기 위한 UI 엘리먼트(User Interface Element)를 포함한다. 멀티뷰 UI 데이터는 프로세서(181)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메모리(182)는 멀티뷰 UI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81)는 멀티뷰 UI 데이터와 함께 복수의 분할 화면 데이터를 외부 모바일 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복수의 분할 화면 데이터는 각 분할 화면에서 표시되는 컨텐츠의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컨텐츠 정보는 소스 정보와 컨텐츠 유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20)는 멀티뷰 UI 데이터를 수신하고 멀티뷰 UI를 화면(S2)에 표시할 수 있다. 멀티뷰 UI는 사용자의 입력과 인터랙션 가능한 것으로서, 사용자는 모바일 장치(20)를 통해 멀티뷰 UI의 엘리먼트를 선택, 이동 및/또는 변경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20)는 멀티뷰 UI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을 디스플레이 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20)에 멀티뷰 UI가 표시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멀티뷰 UI를 표시하지 않고 복수의 분할 화면만 표시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멀티뷰 UI는 디스플레이 장치(10)와 모바일 장치(20) 모두에서 표시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프로세서(181)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멀티뷰 UI를 표시하거나 숨기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81)는 통신부(170)와 외부 모바일 장치(20)의 통신이 개시되는 경우, 멀티뷰 아이콘(22)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모바일 장치(20)를 제어할 수 있다. 멀티뷰 아이콘(22)은 멀티뷰 모드의 실행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UI 엘리먼트로 정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가 멀티뷰 모드를 실행 중인 상태에서, 사용자가 모바일 장치(20)의 화면에 표시된 멀티뷰 아이콘(22)을 터치 및/또는 클릭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모바일 장치(20)가 복수의 분할 화면과 멀티뷰 UI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디스플레이 장치(10)가 멀티뷰 모드를 실행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모바일 장치(20)의 화면에 표시된 멀티뷰 아이콘(22)을 터치 및/또는 클릭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멀티뷰 모드로 진입하고, 복수의 분할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동시에,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복수의 분할 화면과 멀티뷰 UI를 표시하도록 모바일 장치(2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81)는 외부 모바일 장치(20)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복수의 분할 화면(M1, M2)에 관한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304, 405). 멀티뷰 UI 데이터는 복수의 분할 화면(M1, M2)에 관한 설정 항목들을 포함하는 설정 메뉴 데이터를 포함한다. 설정 항목들은 소스 선택 항목, 장치 연결 항목, 화면 크기 조절 항목, 화면 위치 조절 항목, 사운드 모드 항목 또는 사운드 분배 항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설정 항목들은 멀티뷰 UI의 엘리먼트를 구성할 수 있다. 설정 항목들은 예시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설계에 따라 다른 설정 항목들도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서(181)는 외무 모바일 장치(2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복수의 분할 화면(M1, M2) 각각에 관한 설정 변경(즉, 소스 선택, 장치 연결, 화면 크기 조절, 화면 위치 조절, 사운드 모드 선택 및/또는 사운드 분배)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연결되는 외부 모바일 장치(20)에 멀티뷰 UI 데이터를 전송하고, 모바일 장치(20)가 멀티뷰 UI를 표시하게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가 멀티뷰 UI 데이터를 전송하므로, 모바일 장치(20)에 멀티뷰 제어를 위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필요가 없다. 사용자는 멀티뷰 모드에서 모바일 장치(20)에 표시된 멀티뷰 UI를 이용하여 복수의 분할 화면에 관한 조작 및/또는 설정 변경에 관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외부 모바일 장치(20)와 연결되고(501), 멀티뷰 모드에서 복수의 분할 화면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하고(502), 외부 모바일 장치(20)로 멀티뷰 UI(User Interface)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503). 모바일 장치(20)는 복수의 분할 화면에 관한 설정 항목을 포함하는 멀티뷰 UI를 표시하게 된다.
이어서, 프로세서(181)는 외부 모바일 장치(20)로부터 복수의 분할 화면중 제1 분할 화면에 관련된 리모트 컨트롤 UI(User Interface)의 팝업(Pop-up)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504). 프로세서(181)는 디스플레이(110)의 제1 분할 화면에서 출력되는 제1 컨텐츠에 대응하는 제1 리모트 컨트롤 UI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통신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505).
리모트 컨트롤 UI의 팝업 명령은 멀티뷰 UI의 엘리먼트인 리모트 컨트롤 아이콘(50)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멀티뷰 모드에서 복수의 분할 화면 중 어느 하나(예를 들면, 제1 분할 화면)이 선택될 경우, 제1 분할 화면의 일부 영역에서 리모트 컨트롤 아이콘(50)이 오버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 아이콘(50)을 터치 및/또는 클릭할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리모트 컨트롤 UI 데이터를 모바일 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20)는 수신한 리모트 컨트롤 UI 데이터에 기초하여 리모트 컨트롤 UI를 표시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2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멀티뷰 UI의 표시와 리모트 컨트롤 UI의 표시를 전환할 수 있다.
리모트 컨트롤 UI는 사용자의 입력과 인터랙션 가능한 것으로서, 사용자는 모바일 장치(20)를 통해 리모트 컨트롤 UI의 엘리먼트를 선택, 이동 및/또는 변경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20)는 리모트 컨트롤 UI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을 디스플레이 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20)에 리모트 컨트롤 UI 가 표시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리모트 컨트롤 UI 를 표시하지 않고 복수의 분할 화면만 표시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리모트 컨트롤 UI는 디스플레이 장치(10)와 모바일 장치(20) 모두에서 표시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프로세서(181)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리모트 컨트롤 UI를 표시하거나 숨기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20)는 리모트 컨트롤 UI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을 디스플레이 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리모트 컨트롤 UI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선택된 분할 화면에 관한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선택된 분할 화면의 채널 변경, 볼륨 조절 등이 수행될 수 있다.
프로세서(181)는 복수의 분할 화면 각각에서 출력되는 컨텐츠를 식별할 수 있고, 식별한 컨텐츠에 적합한 리모트 컨트롤 UI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82)는 리모트 컨트롤 UI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리모트 컨트롤 UI는 컨텐츠의 유형 및/또는 소스의 유형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선택된 분할 화면에서 표시되는 컨텐츠가 방송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영상일 경우, 리모트 컨트롤 UI는 썸네일 이미지, 컨텐츠 정보의 표시 박스, 볼륨 컨트롤바, 나가기 버튼, 번호 박스, 터치 패드 박스, 채널 버튼,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버튼, 복귀 버튼, 재생 버튼 박스 및 단축키 박스에 해당하는 UI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81)는 제1 분할 화면에서 출력되는 컨텐츠가 제2 컨텐츠로 변경되는 경우, 제2 컨텐츠에 대응하는 제2 리모트 컨트롤 UI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통신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506).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분할 화면에서 출력되는 컨텐츠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 UI를 표시하도록 모바일 장치(2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컨텐츠의 유형에 대응하는 리모트 컨트롤 UI 데이터를 생성하고, 모바일 장치(20)가 리모트 컨트롤 UI 를 표시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분할 화면에 관한 제어를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멀티뷰 모드에서 복수의 분할 화면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601).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리모트 컨트롤러(30)로부터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602). 다시 말해, 통신부(170)는 외부 모바일 장치(20)와 구별되는 리모트 컨트롤러(30)로부터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81)는 리모트 컨트롤러(30)로부터 수신한 원격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멀티뷰 UI 또는 리모트 컨트롤 UI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603).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3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된 멀티뷰 UI 또는 리모트 컨트롤 UI와 인터랙션 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바일 장치(20)에 멀티뷰 UI와 리모트 컨트롤 UI가 표시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멀티뷰 UI와 리모트 컨트롤 UI를 표시하지 않고 복수의 분할 화면만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모바일 장치(20)에 표시되는 UI를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리모트 컨트롤러(30)와 같이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지 않는 장치는 고정된 물리 버튼의 변경이 불가하다. 또한,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30)의 각 버튼이 실행하는 기능을 직관적으로 확인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30)를 이용하여 복수의 분할 화면을 조작할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에 멀티뷰 UI 또는 리모트 컨트롤 UI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멀티뷰 모드에서 복수의 분할 화면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701).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마이크(120)를 통해 음성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702). 프로세서(181)는 마이크(120)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분할 화면에 관한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81)는 복수의 분할 화면 중, 음성 신호에 포함된 동작 명령이 실행 가능한 분할 화면을 결정할 수 있고(703), 결정된 분할 화면에서 동작 명령에 대응하는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704).
예를 들면, 제1 분할 화면에는 방송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영상이 표시되고, 제2 분할 화면에는 스크린 미러링에 의해 모바일 장치(20)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의 음성 신호에 포함된 동작 명령이 "채널 변경"일 경우, 동작 명령을 실행 가능한 분할 화면은 제1 분할 화면으로 결정된다. 제2 분할 화면에서는 채널 변경의 실행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한편, 사용자의 음성 신호에 복수의 분할 화면 중 특정 분할 화면을 선택하는 동작 명령이 포함된 경우, 프로세서(181)는 선택된 분할 화면에 관한 제어 및/또는 설정 변경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멀티뷰 모드에서 사용자의 음성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분할 화면에 관한 조작을 쉽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8 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분할 화면들과 멀티뷰 UI를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프로세서(181)는, 멀티뷰 모드에서 복수의 분할 화면(M1, M2)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81)는 복수의 분할 화면(M1, M2)에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제어할 수 있다. 복수의 분할 화면(M1, M2) 각각에는 서로 다른 영상이 표시될 수 있고, 동일한 영상이 표시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1 분할 화면(M1)에는 스크린 미러링에 의해 모바일 장치(20)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가 표시되고, 제2 분할 화면(M2)에는 방송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81)는 멀티뷰 모드에서 멀티뷰 UI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81)는 메모리(182)에 저장된 멀티뷰 UI 데이터에 기초하여 멀티뷰 UI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81)는 멀티뷰 UI의 엘리먼트 중 하나인 멀티뷰 설정 아이콘(30)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멀티뷰 설정 아이콘(30)은 후술할 설정 메뉴 바(70)의 열림과 닫힘을 전환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프로세서(181)는 멀티뷰 설정 아이콘(30)을 클릭 및/또는 터치하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설정 메뉴 바(70)를 표시하거나 숨기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81)는 전체 화면 아이콘(40)과 리모트 컨트롤 아이콘(50)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멀티뷰 모드에서 복수의 분할 화면(M1, M2) 중 어느 하나(예를 들면, 제2 분할 화면(M2))이 선택될 경우, 제2 분할 화면(M2)의 일부 영역에서 전체 화면 아이콘(40)과 리모트 컨트롤 아이콘(50)이 오버레이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81)는 복수의 분할 화면(M1, M2) 중 특정 분할 화면(예를 들면, 제2 분할 화면(M2))을 선택하는 화면 선택 신호가 모바일 장치(20)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선택된 제2 분할 화면(M2)과 관련된 음향의 크기 정보를 포함하는 볼륨 아이콘(V0) 및 채널 정보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7은 디스플레이 장치와 외부 모바일 장치의 연결 시 외부 모바일 장치에 표시되는 멀티뷰 UI를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외부 모바일 장치(20)와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와 외부 모바일 장치(20)의 연결은 와이파이, 블루투스, 미러링 등 다양한 통신 연결 방식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프로세서(181)는 멀티뷰 UI 데이터와 함께 복수의 분할 화면 데이터를 외부 모바일 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프로세서(181)는 외부 모바일 장치(20)와의 통신이 개시되는 경우, 멀티뷰 아이콘(22)이 화면(S2)에 표시되도록 모바일 장치(20)를 제어할 수 있다. 멀티뷰 아이콘(22)은 멀티뷰 모드의 실행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UI 엘리먼트로 정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가 멀티뷰 모드를 실행 중인 상태에서, 사용자가 모바일 장치(20)의 화면에 표시된 멀티뷰 아이콘(22)을 터치 및/또는 클릭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모바일 장치(20)가 복수의 분할 화면과 멀티뷰 UI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디스플레이 장치(10)가 멀티뷰 모드를 실행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모바일 장치(20)의 화면에 표시된 멀티뷰 아이콘(22)을 터치 및/또는 클릭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멀티뷰 모드로 진입하고, 복수의 분할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동시에,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복수의 분할 화면과 멀티뷰 UI를 표시하도록 모바일 장치(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멀티뷰 UI가 외부 모바일 장치(20)에 표시되는 것을 설명하지만, 디스플레이 장치(10)도 동일한 멀티뷰 UI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모바일 장치(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로부터 수신한 멀티뷰 UI 데이터에 기초하여 멀티뷰 UI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20)가 표시하는 멀티뷰 UI는 디스플레이 장치(10)에 표시되는 것과 동일할 수 있다. 즉, 모바일 장치(20)는 복수의 분할 화면(M1, M2)과 멀티뷰 설정 아이콘(30)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분할 화면(M1, M2) 중 특정 분할 화면(예를 들면, 제2 분할 화면(M2))을 선택하는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모바일 장치(20)의 화면에는 전체 화면 아이콘(40), 리모트 컨트롤 아이콘(50), 선택된 제2 분할 화면(M2)과 관련된 음향의 크기 정보를 포함하는 볼륨 아이콘(V0) 및 채널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제2 분할 화면(M2)에 표시된 볼륨 아이콘(V0)을 터치하는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륨 아이콘(V0)은 볼륨 컨트롤바(V1)로 변환되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볼륨 컨트롤바(V1)를 조작하여 볼륨 조절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모바일 장치(20)로부터 볼륨 조절 명령을 수신하고, 선택된 제2 분할 화면(M2)과 관련된 음향의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프로세서(181)는 외부 모바일 장치(20)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복수의 분할 화면(M1, M2)에 관한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10)와 연결된 외부 모바일 장치(20)에는 복수의 분할 화면(M1, M2)에 관한 설정 항목들을 포함하는 설정 메뉴 바(70)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설정 메뉴 바(70)는 소스 선택 항목(71), 장치 연결 항목(72), 화면 크기 조절 항목(73), 화면 위치 조절 항목(74), 사운드 모드 항목(75) 및 사운드 분배 항목(76)을 포함할 수 있다. 설정 항목들은 예시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설계에 따라 다른 설정 항목들도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프로세서(181)는, 외무 모바일 장치(2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복수의 분할 화면(M1, M2) 각각에 관한 설정 변경(즉, 소스 선택, 장치 연결, 화면 크기 조절, 화면 위치 조절, 사운드 모드 선택 및/또는 사운드 분배)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2에서, 제2 분할 화면(M2)이 선택된 상태에서, 설정 메뉴 바(70)의 소스 선택 항목(71)을 터치 및/또는 클릭하는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경우, 모바일 장치(20)의 화면에는 선택 가능한 복수의 컨텐츠 소스(71a, 71b, 71c)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컨텐츠 소스는 IPTV 서버, 방송 서버, 컴퓨터, 웹 서버, 휴대폰, 카메라 또는 IoT 캠일 수 있다. 컨텐츠 소스는 예시된 것으로 제한되지 않고,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복수의 컨텐츠 소스(71a, 71b, 71c) 중 어느 하나(예를 들면, 제1 컨텐츠 소스(71a))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프로세서(181)는 제1 컨텐츠 소스(71a)로부터 전송되는 제1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2 분할 화면(M2)이 선택된 상태에서, 설정 메뉴 바(70)의 장치 연결 항목(72)을 터치 및/또는 클릭하는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경우, 모바일 장치(20)의 화면에는 선택 가능한 복수의 외부 장치(72a, 72b, 72c)가 표시될 수 있다.
외부 장치(72a, 72b, 72c)는 컨텐츠 소스 이외의 디스플레이 장치(10)와 연결될 수 있는 주변 기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 장치(72a, 72b, 72c)는 프린터,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외부 장치(72a, 72b, 72c) 중 제1 디바이스(72a)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프로세서(181)는 제1 디바이스(72a)가 연결되도록 통신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분할 화면(M2)에 웹 페이지가 표시되는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와 무선 마우스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분할 화면(M2) 내에 마우스 커서가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는 무선 마우스를 이용하여 웹 서핑을 쉽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설정 메뉴 바(70)의 화면 크기 조절 항목(72)을 터치 및/또는 클릭하는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경우, 모바일 장치(20)의 화면에는 선택 가능한 크기 레이아웃들(73a, 73b, 73c)이 표시될 수 있다.
복수의 크기 레이아웃들(73a, 73b, 73c) 중 어느 하나(예를 들면, 제2 크기 레이아웃(73b))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프로세서(181)는 복수의 분할 화면(M1, M2)이 제2 크기 레이아웃(73b)으로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2 분할 화면(M2)이 선택된 상태에서, 설정 메뉴 바(70)의 화면 위치 조절 항목(74)을 터치 및/또는 클릭하는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경우, 모바일 장치(20)의 화면에는 선택 가능한 위치 레이아웃들(74a, 74b, 74c, 74d)이 표시될 수 있다.
위치 레이아웃들(74a, 74b, 74c, 74d) 중 어느 하나(예를 들면, 제1 위치 레이아웃(74a))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프로세서(181)는 제2 분할 화면(M2)이 제1 위치 레이아웃(74a)과 같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설정 메뉴 바(70)의 사운드 모드 항목(75)을 터치 및/또는 클릭하는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경우, 모바일 장치(20)의 화면에는 선택 가능한 사운드 모드들(75a, 75b)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운드 모드에는 싱글 스피커(75a)와 듀얼 스피커(75b)가 있을 수 있다. 싱글 스피커(75a)가 선택될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복수의 분할 화면(M1, M2)과 관련된 음향을 하나의 스피커로 출력할 수 있다. 듀얼 스피커(75b)가 선택될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복수의 분할 화면(M1, M2) 각각과 관련된 음향을 서로 다른 스피커로 출력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2 분할 화면(M2)이 선택된 상태에서, 설정 메뉴 바(70)의 사운드 분배 항목(76)을 터치 및/또는 클릭하는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경우, 모바일 장치(20)의 화면에는 분배 컨트롤 박스(76a)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운드 분배는 사운드 모드가 싱글 스피커(75a)일 때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분배 컨트롤 박스(76a)는 사운드 모드가 싱글 스피커(75a)일 때 표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두 개의 분할 화면(M1, M2)과 관련된 음향이 하나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경우, 음향 크기의 비율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110)의 좌측에 위치하는 제1 분할 화면(M1)과 관련된 음향의 크기는 10%로 조절되고, 디스플레이(110)의 우측에 위치하는 제2 분할 화면(M2)과 관련된 음향의 크기는 90%로 조절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프로세서(181)는 사운드 분배를 조절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에 기초하여 복수의 분할 화면(M1, M2)과 관련된 음향의 크기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멀티뷰 모드에서 모바일 장치(20)에 표시된 멀티뷰 UI를 이용하여 복수의 분할 화면에 관한 조작 및/또는 설정 변경에 관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2는 외부 모바일 장치에 표시되는 리모트 컨트롤 UI를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와 연결된 외부 모바일 장치(20)에는 복수의 분할 화면(M1, M2)과 관련된 리모트 컨트롤 UI(60)가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프로세서(181)는 리모트 컨트롤 UI(60)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에 기초하여 복수의 분할 화면(M1, M2)에 관한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도 18은 제1 분할 화면(M1)이 선택되어 전체 화면으로 표시된 모바일 장치(20)의 화면이다. 복수의 분할 화면(M1, M2) 중 어느 하나를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는 사용자 명령은 전체 화면 아이콘(40)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는 사용자 명령은 복수의 분할 화면(M1, M2) 중 어느 하나를 길게 누르는 제스처에 의해 입력될 수도 있다.
제1 분할 화면(M1)이 전체 화면으로 표시된 상태에서, 모바일 장치(20)의 화면에는 분할 화면으로 되돌아가기 위한 분할 화면 아이콘(42)과, 리모트 컨트롤 UI를 표시하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 아이콘(50)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 아이콘(50)을 터치 및/또는 클릭함으로써 리모트 컨트롤 UI(60)의 팝업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하 리모트 컨트롤 UI(60)가 외부 모바일 장치(20)에 표시되는 것을 설명하지만, 디스플레이 장치(10)도 동일한 리모트 컨트롤 UI(60)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리모트 컨트롤 UI(60)의 팝업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외부 모바일 장치(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로부터 수신한 리모트 컨트롤 UI 데이터에 기초하여 리모트 컨트롤 UI(60)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리모트 컨트롤 UI(6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선택된 분할 화면에 관한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선택된 제1 분할 화면(M1)의 채널 변경, 볼륨 조절 등이 수행될 수 있다.
리모트 컨트롤 UI(60)는 컨텐츠의 유형 및/또는 소스의 유형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프로세서(181)는 복수의 분할 화면(M1, M2) 각각에서 출력되는 컨텐츠를 식별할 수 있고, 식별한 컨텐츠에 적합한 리모트 컨트롤 UI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제1 분할 화면에서 출력되는 제1 컨텐츠에 대응하는 제1 리모트 컨트롤 UI 데이터를 외부 모바일 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분할 화면(M1)에서 표시되는 컨텐츠가 방송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영상일 수 있다. 이 경우, 리모트 컨트롤 UI(60)는 썸네일 이미지(TH), 컨텐츠 정보의 표시 박스(C1), 볼륨 컨트롤바(V2), 나가기 버튼(61), 번호 박스(63), 터치 패드 박스(64), 채널 버튼(65),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버튼(68), 복귀 버튼(69), 재생 버튼 박스(66) 및 단축키 박스(67)에 해당하는 UI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도록 생성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제1 분할 화면에서 출력되는 컨텐츠가 제2 컨텐츠로 변경되는 경우, 제2 컨텐츠에 대응하는 제2 리모트 컨트롤 UI 데이터를 외부 모바일 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컨텐츠는 웹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웹 페이지일 수 있다. 이 경우, 리모트 컨트롤 UI(60)는 썸네일 이미지(TH), 컨텐츠 정보의 표시 박스(C1), 볼륨 컨트롤바(V2), 나가기 버튼(61), 터치 패드 박스(64), 복귀 버튼(69) 및 재생 버튼 박스(66)에 해당하는 UI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도록 생성될 수 있다.
리모트 컨트롤 UI(60)를 구성하는 엘리먼트들은 예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설계에 따라 다양한 엘리먼트들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리모트 컨트롤 UI(60)는 전체 화면의 일부 영역에서 표시될 수도 있다. 모바일 장치(20)의 화면이 가로보기로 전환된 경우, 리모트 컨트롤 UI(60)가 전체 화면의 일부 영역에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 UI(60)가 디스플레이 장치(10)에 표시되는 경우 디스플레이(110)의 일부 영역에서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분할 화면에서 출력되는 컨텐츠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 UI를 표시하도록 모바일 장치(2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컨텐츠의 유형에 대응하는 리모트 컨트롤 UI 데이터를 생성하고, 모바일 장치(20)가 리모트 컨트롤 UI 를 표시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분할 화면에 관한 제어를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도 23 및 도 24는 음성 명령에 의해 분할 화면의 설정이 변경되는 예시를 설명한다.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마이크(120)를 통해 음성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프로세서(181)는 마이크(120)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분할 화면(M1, M2)에 관한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제1 분할 화면(M1)에는 방송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영상(예를 들면, CH 11 - MBC)이 표시되고, 제2 분할 화면(M2)에는 스크린 미러링에 의해 모바일 장치(20)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프로세서(181)는 복수의 분할 화면(M1, M2) 중, 음성 신호에 포함된 동작 명령이 실행 가능한 분할 화면을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분할 화면에서 동작 명령에 대응하는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의 음성 신호에 포함된 동작 명령이 "SBS 틀어줘"일 경우, 동작 명령을 실행 가능한 분할 화면은 제1 분할 화면(M1)으로 결정된다. 제2 분할 화면(M2)에서는 채널 변경의 실행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한편, 사용자의 음성 신호에 복수의 분할 화면(M1, M2) 중 특정 분할 화면을 선택하는 동작 명령이 포함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프로세서(181)는 선택된 분할 화면에 관한 제어 및/또는 설정 변경을 수행한다. 사용자가 외부 모바일 장치(20)나 리모트 컨트롤러(30)를 이용하여 제2 분할 화면(M2)을 선택한 경우라도, 이후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에 제1 분할 화면(M1)을 지정하는 동작 명령이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81)는 음성 신호에 의해 지정된 제1 분할 화면(M1)에 관한 제어 및/또는 설정 변경을 수행한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음성 신호가 "왼쪽 화면에 SBS 틀어줘"일 경우, 제1 분할 화면(M1)에 표시되는 채널이 CH 5 - SBS로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멀티뷰 모드에서 사용자의 음성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분할 화면에 관한 조작을 쉽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복수의 분할 화면에 관한 제어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다양한 인터랙션 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강화될 수 있다.
특히, 개시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복수의 분할 화면에서 출력되는 컨텐츠들에 대응하는 UI(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분할 화면의 조작이 쉽고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저장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예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데이터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예: 다운로더블 앱(downloadable app))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 디스플레이 장치
20: 모바일 장치
30: 리모트 컨트롤러
110: 디스플레이
120: 마이크
130: 입력부
150: 전원 어셈블리
160: 스피커
170: 통신부
180: 제어부

Claims (18)

  1. 디스플레이;
    외부 모바일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복수의 분할 화면을 표시하는 멀티뷰 모드의 실행 명령이 상기 외부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분할 화면이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외부 모바일 장치로 멀티뷰 UI(User Interface)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외부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분할 화면에 관한 설정을 변경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멀티뷰 모드의 실행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분할 화면의 데이터 및 상기 멀티뷰 UI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분할 화면에 관한 설정 항목들을 포함하는 설정 메뉴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외부 모바일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설정 항목들에 관련된 상기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분할 화면에 관한 설정을 변경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설정 항목들로서 소스 선택 항목, 장치 연결 항목, 화면 크기 조절 항목, 화면 위치 조절 항목, 스피커 선택 항목 또는 사운드 분배 항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설정 메뉴 데이터를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모바일 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분할 화면 중 제1 분할 화면에 관련된 리모트 컨트롤 UI(User Interface)의 팝업(Pop-up)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 분할 화면에서 출력되는 제1 컨텐츠에 대응하는 제1 리모트 컨트롤 UI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분할 화면에서 출력되는 컨텐츠가 제2 컨텐츠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제2 컨텐츠에 대응하는 제2 리모트 컨트롤 UI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외부 모바일 장치와 구별되는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원격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멀티뷰 UI(User Interface) 또는 리모트 컨트롤 UI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음성 신호을 획득하는 마이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마이크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분할 화면에 관한 설정을 변경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분할 화면 중, 상기 음성 신호에 포함된 동작 명령이 실행 가능한 분할 화면을 결정하고, 결정된 분할 화면에서 상기 동작 명령에 대응하는 상기 설정을 변경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외부 모바일 장치와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외부 모바일 장치로부터 복수의 분할 화면을 표시하는 멀티뷰 모드의 실행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분할 화면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외부 모바일 장치로 멀티뷰 UI(User Interface)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고; 및
    상기 외부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분할 화면에 관한 설정을 변경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멀티뷰 모드의 실행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분할 화면의 데이터 및 상기 멀티뷰 UI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복수의 분할 화면에 관한 설정 항목들을 포함하는 설정 메뉴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분할 화면에 관한 설정을 변경하는 것은,
    상기 외부 모바일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설정 항목들에 관련된 상기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메뉴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설정 항목들로서 소스 선택 항목, 장치 연결 항목, 화면 크기 조절 항목, 화면 위치 조절 항목, 스피커 선택 항목 또는 사운드 분배 항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설정 메뉴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외부 모바일 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분할 화면 중 제1 분할 화면에 관련된 리모트 컨트롤 UI(User Interface)의 팝업(Pop-up)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 분할 화면에서 출력되는 제1 컨텐츠에 대응하는 제1 리모트 컨트롤 UI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제1 분할 화면에서 출력되는 컨텐츠가 제2 컨텐츠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제2 컨텐츠에 대응하는 제2 리모트 컨트롤 UI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모바일 장치와 구별되는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및
    상기 원격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멀티뷰 UI(User Interface) 또는 리모트 컨트롤 UI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마이크를 통해 음성 신호를 획득하고; 및
    상기 음성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분할 화면에 관한 설정을 변경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할 화면에 관한 설정을 변경하는 것은,
    상기 복수의 분할 화면 중, 상기 음성 신호에 포함된 동작 명령이 실행 가능한 분할 화면을 결정하고; 및
    결정된 분할 화면에서 상기 동작 명령에 대응하는 상기 설정을 변경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90175019A 2019-12-26 2019-12-26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08275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5019A KR20210082758A (ko) 2019-12-26 2019-12-26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CT/KR2020/015203 WO2021132868A1 (ko) 2019-12-26 2020-11-03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5019A KR20210082758A (ko) 2019-12-26 2019-12-26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2758A true KR20210082758A (ko) 2021-07-06

Family

ID=76574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5019A KR20210082758A (ko) 2019-12-26 2019-12-26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082758A (ko)
WO (1) WO202113286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06942A1 (ko) * 2022-11-18 2024-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58018B2 (en) * 2010-12-22 2015-02-17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Remote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a media display system
US9164649B2 (en) * 2011-12-07 2015-10-20 Blackberry Limited Presenting context information in a computing device
KR20160009415A (ko) * 2014-07-16 2016-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외부 입력장치와 컨텐츠 연동이 가능한 영상표시장치
KR20160031724A (ko) * 2014-09-15 2016-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린 미러링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KR20170052353A (ko) * 2015-11-04 2017-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06942A1 (ko) * 2022-11-18 2024-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32868A1 (ko) 2021-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1663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US20170322713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20150256957A1 (en) User terminal device, audio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peaker thereof
CN109756406B (zh) 用于提供ui的设备和方法以及用于进行控制的设备和方法
KR20140144104A (ko) 전자기기 및 이의 서비스 제공 방법
US9313451B2 (en) Video communica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method thereof
CN105872683A (zh) 图像显示设备和方法
KR20170124933A (ko) 디스플레이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US20140173516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thereof
US20160092152A1 (en) Extended screen experience
US20160006971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60328149A1 (en) Display screen-based physical button simula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9600984B2 (en)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vibration by using adjective space on a timeline
US20170188087A1 (en) User terminal, method for controlling same, and multimedia system
EP3038374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US20140189590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thereof
US20140181724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enu thereof
KR2021007487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351634B1 (ko) 사용자 단말장치, 음향 시스템 및 외부 스피커의 음량 제어 방법
KR2021008275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TW201631464A (zh) 顯示控制系統及方法
KR2014007273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사용자 메뉴 제공 방법
KR2021000918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097831A (ko) 스마트 프리젠테이션 시스템
CN108141697B (zh) 电子设备、配套设备和操作电子设备的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