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2346A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2346A
KR20210082346A KR1020200149467A KR20200149467A KR20210082346A KR 20210082346 A KR20210082346 A KR 20210082346A KR 1020200149467 A KR1020200149467 A KR 1020200149467A KR 20200149467 A KR20200149467 A KR 20200149467A KR 20210082346 A KR20210082346 A KR 20210082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disposed
discharge
tank
lou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9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카가와 스구루
모리 케이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7/126,542 priority Critical patent/US11739946B2/en
Priority to PCT/KR2020/018758 priority patent/WO2021133007A1/en
Publication of KR20210082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23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6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1Tops, e.g. hot plates; Rings provisions for circulation of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4Spillage trays or gro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28Removing cooking fumes using an air curtain

Abstract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조리기기는 본체와 본체의 상면에 배치되고 가열 대상물을 가열하는 가열부와 가열부의 양측에 배치되고 본체의 상방으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마련되는 토출부를 포함하고, 토출부는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와, 가열부에서 발생되는 기류와 토출부에서 토출되는 기류가 혼합되어 본체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향하는 상승 기류가 형성되도록 토출부에서 토출되는 기류를 가이드하고 토출구 상에 배치되는 루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리기기{COOKING APPARTUS}
본 발명은 빌트인식 가열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빌트인 방식의 가열 조리기에서 조리 중 발생하는 연기는 위쪽에 마련되어 있는 환기 장치로 유도되는데, 예를 들어 전자식 가열 조리기인 경우, 가스식 가열 조리기에 비해 연기를 포함하는 가열 공기의 상승류 속도가 낮고, 연기가 환기 장치의 포집 범위에 도달하지 못하고 확산될 수 있다. 물론, 환기 장치의 출력을 높이면 포집 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지만, 이 경우에는 환기 장치의 소음이나 진동이 증가하는 등 다른 문제가 발생한다.
일본 특개2019-007715호 공보에 기재된 것은 가열 조리기의 상면에 토출구를 마련해두고, 이 토출구로부터 분출되는 기류에 의해 연기를 환기 장치로 유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토출구가 상면의 앞쪽(조리사 측)에 설치되어 있으면 분출되는 기류가 조리자나 가열 대상물과 간섭하여 오히려 연기가 확산되어 버리기 때문에 상면의 뒤쪽에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상면의 뒤쪽에 토출구를 마련하더라도 상면의 앞쪽에서 발생하는 생기는 연기를 뒤쪽에서 발생시킨 기류로 유인하려면 예를 들어 대형 팬에 의한 큰 풍량 혹은 높은 풍속의 기류 형성이 필요하게 되어, 조리기의 비용 증가나 대형화를 초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된 것으로, 환기 장치의 소음과 진동을 증대시키지 않으면서 조리기의 고비용화와 대형화를 초래하지 않고 조리 중의 연기를 환기 장치에 유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주된 과제로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빌트인식 가열 조리기는 가열 대상물을 가열하는 것으로서, 상기 가열 대상물이 거치되는 가열부를 상면에 갖는 레인지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상면에서 상기 가열부의 좌우 양측에 각각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토출구로부터 분출되는 기류가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빌트인식 가열 조리기에 의하면, 가열 대상물이 적재되는 가열부의 좌우 양측에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게다가 그 토출구로부터 분출되는 기류가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기 때문에, 조리 중 연기를 효과적으로 환기 장치로 유인할 수 있다.
따라서, 환기 장치의 소음이나 진동을 증대시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조리기의 고비용화와 대형화를 초래하지 않으면서 조리 중 연기를 환기 장치로 유인할 수 있다.
토출구로부터 분출되는 기류를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도록 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 예로서는 상기 토출구로부터 분출되는 기류를 발생시키는 송풍 수단과, 상기 토출구에 마련되어 상기 토출구로부터 분출되는 기류의 방향을 전방에서 후방으로 제어하는 루버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토출구를 마련한 구성에서는 이 토출구로부터 예를 들어 조리물이 끓어 넘치는 등의 이물질이 낙하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토출구의 아래에 마련되어 상기 토출구에서 낙하된 이물질을 받아내는 이물질 탱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일 경우, 토출구로부터 낙하된 이물질을 이물질 탱크에 저류할 수 있어 예를 들어 토출구에 연결되는 유로 내부에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이물질 탱크의 측벽에 형성된 슬릿에 연통하는 동시에, 내부 공간이 상기 토출구를 향하는 기류의 유로 일부가 되는 노즐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일 경우, 노즐 부재를 이물질 탱크의 측벽에 형성된 슬릿에 연통시키고 있어서, 토출구에서 낙하된 물체는 중력에 의해 바로 밑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이물질이 노즐 부재에 침투하는 것을 어렵게 할 수 있다.
상기 슬릿과, 상기 노즐 부재의 하류측의 분출구는 대향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분출구의 하변부는 상기 슬릿의 하변부보다 아래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일 경우, 노즐 부재로부터 분출되는 공기를 원활하게 루버로 보낼 수 있다.
상기 분출구의 하변부는 상기 이물질 탱크의 측벽을 향해 불룩하게 돌출하여 상기 측벽에 접촉하는 돌출부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일 경우, 돌출부에 의해 이물질 탱크의 측벽과 노즐 부재 간의 틈새를 밀봉할 수 있기 때문에 이 틈새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노즐 부재의 내면 중 상기 슬릿에 대면하는 영역은, 위쪽을 향할수록 상기 슬릿에 가까워지도록 만곡되어 있으며, 이 만곡된 영역의 가장 하류 측의 변부를 접선 방향으로 연장한 가상연장선 상에 또는 이 가상연장선보다 위쪽에, 상기 루버의 하단부가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일 경우, 노즐 부재로부터 분출되는 공기를 원활하게 루버로 보내는 수 있어 조리 중 연기를 효과적으로 환기 장치에 유인할 수 있다.
상기 토출구는 상기 상면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긴 막대 형상을 이루고, 상기 이물질 탱크는 상기 토출구를 따라 긴 막대 형상을 이루며, 상기 이물질 탱크의 장방향 길이는 상기 토출구의 장방향 길이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일 경우, 이물질 탱크의 용적을 크게 확보할 수 있어 예를 들어 끓어 넘치는 양이 많더라도 이물질을 확실하게 이물질 탱크에 저류할 수 있다.
토출구가 상면보다 아래에 위치하고 있으면, 예를 들어 끓어 넘치는 등에 의한 이물질이 토출구로 흘러 들어가기 쉬워지며, 그렇다고 해서 토출구가 상면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있으면 조리 중에 방해가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물질이 토출구로 흘러 들어가기 쉽지 않도록, 나아가 조리 중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토출구가 상기 상면과 동일면 상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인 실시 예로서, 상기 토출구가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이물질 탱크를 덮는 뚜껑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뚜껑 부재의 상면이 상기 상면과 동일면 상에 마련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상기 뚜껑 부재는 비자성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뚜껑 부재는 IH 레인지의 열영향을 받지 않는다.
상기 이물질 탱크는 상기 상면에서 위쪽으로 분리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일 경우, 이물질 탱크의 분리 시 가열 조리기 자체를 이동시키거나 사용자가 무리한 자세를 취할 필요도 없어서 이물질 탱크에 쌓인 이물질을 간단하게 제거하거나 이물질 탱크를 세척할 수 있기 때문에 유지 보수성이 뛰어나다.
상기 이물질 탱크에 마련된 수위 센서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일 경우, 이물질 탱크에 흘러 들어간 이물질이 쏟아져 나오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상기 레인지 본체의 위쪽에 환기 장치의 흡입구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토출구는 상기 상면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긴 막대 형상을 이루고, 상기 토출구의 앞쪽 부분에 연통하는 전방 유로와, 상기 토출구의 뒤쪽 부분에 연통하는 후방 유로를 가지며, 연직 방향과 상기 전방 유로의 유로 방향이 이루는 각도를 θ1, 상기 토출구의 앞쪽 가장자리에서 상기 흡입구의 앞쪽 가장자리까지의 전후 방향을 따르는 거리를 X, 상기 토출구에서 상기 흡입구까지의 연직 방향을 따르는 높이를 Y로 하는 경우에, θ1≥ tan-1(X / Y)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일 경우, 레인지 본체의 전방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보다 확실하게 환기 장치로 유인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일 경우, 레인지 본체의 전방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보다 확실하게 환기 장치로 유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실시 예로서, 상기 전방 유로에서 분출되는 기류는 상기 후방 유로에서 분출되는 기류보다 전방에서 후방으로 더 기울어져 분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일 경우, 레인지 본체의 전방에서 생기는 연기를 보다 확실하게 환기 장치로 유인하는 동시에, 후방 유로에서 분출되는 기류는 전방 유로에서 분출되는 기류보다 더 연직 상향되기 때문에 연기를 필요 이상으로 후방으로 유인하지 않고 환기 장치를 향해 적절한 기류를 형성할 수 있어서 연기의 포집 효율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하지만, 예를 들어 북미 등에서 이용되는 빌트인식 가열 조리기는 레인지 본체의 하부에 오븐이 마련된 것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토출구로부터의 기류를 발생시키는 팬(송풍 수단)의 배치 공간이 제한된다.
따라서, 상기 레인지 본체의 하부에 마련된 오븐을 더 구비하는 구성에 있어서, 상기 오븐의 좌우 양측에 각각 상기 토출구에 대응하는 상기 송풍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일 경우, 송풍 수단을 토출구 각각에 대응시켜서 마련하기 때문에, 하나 하나의 송풍 수단으로는 소형 팬일 수 있어서 오븐 양측의 한정된 협소한 공간에 배치할 수 있다.
상류측 단부에 상기 송풍 수단이 마련되고, 하류측 단부가 해당 송풍 수단에 대응하는 상기 토출구에 연통하는 덕트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일 경우, 송풍 수단에 의해 생기는 기류를 효율적으로 토출구로부터 분출할 수 있으며, 송풍 수단이 소형이더라도 연기를 효과적으로 환기 장치로 유도할 수 있다.
상기 덕트 부재 내의 하나 또는 복수 개소에 기류의 편향을 줄이는 가이드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일 경우, 노즐 부재 내에서 기류 박리 등의 억제나 기류 분포의 균등화를 도모할 수 있어서 연기를 환기 장치로 유인하는데 보다 효과적인 기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환기 장치의 소음이나 진동을 증대시키지 않고, 나아가 조리기의 고비용화 및 대형화를 초래하지 않으면서 조리 중 연기를 환기 장치로 유인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빌트인식 가열 조리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빌트인식 가열 조리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빌트인식 가열 조리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예에 있어서 전방 유로와 환기 장치의 흡입구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 예에 있어서 전방 유로 및 후 후방 유로의 기울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빌트인식 가열 조리기와 종래 구성의 성능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7은 제1 실시 예의 변형 예에 따른 빌트인식 가열 조리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빌트인식 가열 조리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빌트인식 가열 조리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 예에 있어서 이물질 탱크 등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2 실시 예에 있어서 이물질 탱크 등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2 실시 예에 있어서 이물질 탱크나 노즐 부재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2 실시 예에 있어서 이물질 탱크나 노즐 부재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4는 제2 실시 예의 변형 예에 따른 이물질 탱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 또는 변형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설명 중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뜻하지 않은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의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칭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동일(identical)'의 의미는 서로 속성이 유사하거나 일정 범위(range)안에서 유사한 것으로 포함한다. 또한 동일은 '실질적 동일'을 의미한다. 실질적으로 동일하다는 의미는 제조 상에서의 오차 범위 내에 해당되는 수치 또는 기준 수치에 대해 의미를 가지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차이에 해당되는 수치는 '동일하다'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빌트인식 가열 조리기의 제1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빌트인식 가열 조리기(이하, 간단히 가열 조리기 라고도 함)는 주방에 빌트인 되어 가열 대상물을 가열하는 가열기구로서, 전기, 기체 연료, 액체 연료 또는 고정 연료를 열원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열원 중 다른 열원과 비교할 때 가열 시 가열 공기의 상승류 속도가 낮은 전기를 열원으로 한 소위 전기 조리기를 일례로 들어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이 가열 조리기(1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재료 등을 수용하는 냄비나 프라이팬 등의 가열 대상물이 거치되는 레인지 본체(10)를 갖추고 있으며, 이 레인지 본체(10)의 위쪽에는 조리 시 연기를 흡입하는 환기 장치(V)가 마련되어 있다.
레인지 본체(10)는 거치된 가열 대상물을 가열하는 것으로, 상면(11) 가열 대상물이 거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가열부(12)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가열부(12)는 유도 가열 히터를 이용한 것이지만, 라디언트 히터(radiant heater)를 이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의 가열 조리기(10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인지 본체(10)의 하부에 마련된 레인지(20)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레인지(20)는 상술한 레인지 본체(10)와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이때, 이 레인지(20)의 내부 공간의 폭 치수는 레인지 본체(10)의 폭 치수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다.
상술한 레인지 본체(10)의 상면(11)에는 가열부(12)의 좌우 양측에 각각 토출구(13)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토출구(13)로부터 분출되는 기류에 의해 조리 중 발생하는 연기나 수증기를 상술한 환기 장치(V)의 흡입구(V1)로 유도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좌우 방향은 본 가열 조리기(100)의 사용자 측에서 볼 때 좌우 방향으로, 바꿔 말하면 레인지 본체(10)의 폭 방향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레인지 본체(10)의 상면(11)은 위에서 볼 때 대략 장방형 형상을 이루며, 그 좌우 양 변(좌면 및 우변)을 따라 토출구(13)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레인지 본체(10)의 상면(11)에 있어서 한 쌍의 토출구(13) 사이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가열부(12)가 위치하게 된다.
또한, 여기에서 상면(11)의 전방 측에서 발생한 연기를 환기 장치(V)로 유인하기 위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출구(13)의 앞쪽 단부를 각각 적어도 하나의 가열부(12)의 중심(12a)보다 전방, 보다 바람직하게는 가장 앞쪽에 위치하는 가열부(12)의 중심(12a) 보다 전방에 위치시키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의 가열 조리기(100)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출구(13)로부터 분출되는 기류가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전방은 가열 조리기(100) 측(사용자에 대면하는 벽면)에서 사용자 측을 향하는 방향이고, 후방은 사용자 측에서 가열 조리기(100) 측(사용자에 대면하는 벽면)이다. 다시 말해 여기에서 전후 방향은 레인지 본체(10)의 깊이 방향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 예의 가열 조리기(10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토출구(13)에 각각 대응하는 송풍 수단인 팬(30)과, 팬(30)에서 기류를 해당 팬(30)에 대응하는 토출구(13)로 유도하는 덕트 부재(40)를 더 구비하고 있다.
팬(30)은 토출구(13)로부터 분출되는 기류를 발생시키는 시로코 팬, 터보 팬, 프로펠러 팬, 또는 크로스 플로우 팬 등의 송풍 수단이다. 여기서, 팬(30)은 상술한 오븐의 좌우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오븐의 내부 공간보다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덕트 부재(4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상류측 단부(40a)가 팬(30)의 토출구에 연결되는 동시에, 그 하류측 단부(40b)가 해당 팬(30)에 대응하는 토출구(13)에 연통하는 것으로, 그 내부는 팬(30)에서 발생하는 기류의 유로가 된다.
본 실시 예의 덕트 부재(4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L 자 형상을 이루며, 상류측 단부(40a)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서브 유로 부재(41)와, 서브 유로 부재(41)가 연결되어 위쪽의 하류측 단부(40b)를 향해 연장되는 메인 유로 부재(42)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팬(30)에서 발생하는 기류는 후방을 향해 분출된 후 토출구(13)를 향해 상승한다.
이 덕트 부재(40)의 하류측 단부(40b)에 있어서, 그 내부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 방향을 따라 복수의 루버(43)이 병설되어 있으며, 이러한 루버(43)에 의해 덕트 부재(40)의 하류측 단부(40b)는 복수의 분할 유로(L)로 분할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분할 유로(L)의 유로 방향은 루버(43)을 따르는 방향이 된다.
그리고, 복수의 루버(43)은 각각 하단부보다 상단부가 후방에 위치하도록 기울어져 있으며, 이로 인해 복수의 분할 유로(L)의 유로 방향은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도록 기울어진다. 그 결과, 이러한 분할 유로(L)를 통해 토출구(13)로부터 발생하는 기류는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분출된다.
여기서, 본 실시 예의 토출구(13)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면(11)의 전후 방향(깊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긴 막대 형상을 가지며, 상술한 분할 유로(L)는 토출구(13)의 앞쪽 부분에 연통하는 전방 유로(La)와, 토출구(13)의 뒤쪽 부분에 연통하는 후방 유로(Lb)로 크게 구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직 방향과 전방 유로(La)의 유로 방향이 이루는 각도(θ1)와, 토출구(13)의 앞쪽 가장자리에서 상술한 환기 장치(V)의 흡입구(V1)의 앞쪽 가장자리까지의 전후 방향을 따르는 거리(X)와, 토출구(13)로부터 흡입구(V1)까지의 연직 방향을 따르는 높이(Y)의 관계는 θ1 ≥ tan-1(X / Y)을 충족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 예의 가열 조리기(100)는 전방 유로(La)로부터 분출되는 기류가 후방 유로(Lb)로부터 분출되는 기류보다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좀 더 기울어져 분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직 방향과 전방 유로(La)의 유로 방향이 이루는 각도(θ1)와, 연직 방향과 후방 유로(Lb)의 유로 방향이 이루는 각도(θ2)의 관계가 θ1 > θ2를 충족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후방 유로(Lb)의 유로 방향은 연직 방향(즉, 각도 θ2 = 0 °)일 수 있으며,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는 방향일 수도 있다.
여기서, 덕트 부재(40) 내부의 하나 또는 복수 개소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류의 편차를 줄이는 가이드부(44)가 마련되어 있다.
이 가이드부(44)는 덕트 부재(40)의 내부를 흐르는 기류의 편향 부분에 마련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덕트 부재(40)에서, 팬(30)으로부터 후방을 향하는 기류가 위쪽을 향해 구부려지는 굴곡부(Z)와, 기류가 토출구(13)의 길이 방향으로 확대되면서 복수의 분할 유로(L)로 분기하는 하류측 단부(40b)에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굴곡부(Z)는 상술한 서브 유로 부재(41)를 흐르는 기류가 메인 유로 부재(42) 내로 유입되는 합류부이다.
굴곡부(Z) 및 하류측 단부(40b)에는 각각 적어도 2개의 가이드부(44)가 마련되어 있고, 각각에는 3개 또는 4개의 가이드부(44)를 마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굴곡부(Z)에 마련되어 있는 가이드부(44)는 예를 들어, 수평 방향(전후 방향)으로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동시에, 높이 방향으로는 가이드부(44) 사이의 풍량이 등분되도록 기류 분포에 맞춘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44)의 구체적인 형상으로는, 예를 들어 부분 원호 형상(원형을 4 ~ 8 분할한 형상) 등의 만곡 형상의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한편, 하류측 단부(40b)에 마련되어 있는 가이드부(44)는 복수의 분할 유로(L)에서 기류 분포가 균등해지도록, 즉 각 분할 유로(L)를 흐르는 기류가 동등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44)의 구체적인 형상으로는, 예를 들어 전체가 편평한 평판이나 중간을 굴곡시킨 평판 등의 평판 형상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44)의 부압면(負壓面) 측에서의 박리를 억제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44)보다 짧은 길이의 박리 억제부(미도시)를 가이드부(44)와 높이 방향으로 엇갈리게 배치할 수도 있다.
여기서, 굴곡부(Z)와 하류측 단부(40b)에서 가이드부(44)의 배치, 모양, 개수 등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절히 변경하여도 상관 없다. 또한, 각 가이드부(44)는 덕트 부재(40)와 일체이거나 별도로 마련할 수도 있다.
복수의 가열부(12)에 있어서, 각각의 부하량이 다를 경우, 복수의 가열부(12) 중 부하량이 많은 가열부(12)에 가까운 토출구(13)로부터 분출되는 유량을 복수의 가열부(12) 중 부하량이 작은 혹은 가동하지 않은 가열부(12)에 가까운 토출구(13)로부터 분출되는 유량보다 크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사용자로부터 볼 때 좌측의 가열부(12)만 가동하고 있는 경우, 좌측 토출구(13)로부터 분출되는 유량을 우측 토출구(13)로부터 분출되는 유량보다 크게 한다. 이러게 함으로싸, 연기가 많이 발생하는 위치에서 충분한 유속을 얻을 수 있으므로 연기를 환기장치(V)로 유인할 수 있다. 동시에, 송풍 수단인 팬(30)의 회전수를 필요 이상으로 높일 필요가 없어서 소음 및 소비 전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가열부(12)의 부하량이 많아질 수록 토출구(13)로부터 분출되는 유량을 크게 한다. 이러게 함으로써, 더 많은 연기가 발생하는 상황에서도 충분한 유속에 의해 환기 장치(V)까지 연기를 유인할 수 있다. 여기서, 이러한 송풍 제어는 각각의 팬(30)의 회전수를 변화시키거나 덕트 부재(40) 내에 마련된 댐퍼의 개도로 조정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의 가열 조리기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덕트 부재(40)의 아래쪽에 마련된 이물질 탱크(50)를 더 구비하고 있다.
이 이물질 탱크(50)는 상술한 메인 유로 부재(42)의 아래쪽에 마련되어 있으며, 토출구(13)로부터 침입한 이물질 등이 서브 유로 부재(41)에 역류하지 않고 이물질 탱크(50)에 낙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메인 유로 부재(42)는 서브 유로 부재(41)보다 더 아래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이 메인 유로 부재(42)의 하단부가 이물질 탱크(50)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서브 유로 부재(41)와 메인 유로 부재(42)의 연결 부분에서 서브 유로 부재(41)를 형성하는 내주면 중 하단부(41a)는 같은 내주면 중의 상단부(41b)보다 팬(30) 측 또는 이 상단부의 바로 아래에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토출구(13)로부터 수분이나 이물질 등이 내부에 침입했더라도, 팬(30)까지 도달시키지 않고 이물질 탱크(50)에 모을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이물질 탱크(50)는 덕트 부재(40)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물질 탱크(50) 내에 수집된 이물질을 쉽게 꺼낼 수 있어 유지 보수성이 우수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가열 조리기(100)에 의하면, 가열부(12)의 좌우 양측에 토출구(13)가 형성되어 있으며, 나아가 이러한 토출구(13)로부터 분출되는 기류가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조리 중 연기를 효과적으로 환기 장치(V)로 유인할 수 있다.
따라서, 환기 장치(V)의 소음이나 진동을 증대시키지 않으며, 나아가 조리기의 고비용화나 대형화를 초래하지 않으면서 조리 중 발생하는 연기를 환기 장치(V)로 유인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그래프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 조리기(100)와 종래 구성 간의 성능을 비교한 것이다.
이 그래프에서 알 수 있듯이, 토출구로부터 기류가 없는 경우의 (A), 레인지 정면에서 볼 때 외측에서 중앙 측으로 각도를 형성하여 기류를 토출한 경우의 (B), 토출구로부터 각도를 형성하지 않고 연직 상향으로 기류를 토출하는 경우의 (C) 중 어떤 것과 비교하더라도, 본 발명의 구성, 즉 레인지 정면에서 볼 때 전방에서 후방으로 각도를 형성하여 기류를 토출하는 경우인 (D) 측이 우수한 배기 포집 성능을 발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오븐의 좌우 양측에 각각 토출구(13)에 대응하는 팬(30)을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하나 하나의 팬(30)은 소형일 수 있어서 오븐 양측의 한정된 협소 공간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덕트 부재(40) 내의 하나 또는 복수 개소에 기류의 편향을 줄이기 위해 가이드부(44)를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덕트 부재(40) 내에서 기류 박리 등의 억제나 기류 분포의 균등화를 도모할 수 있어서 연기를 환기 장치(V)로 유도하기 위한 기류를 보다 효과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게다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직 방향과 전방 유로(La)의 유로 방향이 이루는 각도(θ1)와, 토출구(13)의 앞쪽 가장자리에서 상술한 환기 장치(V)의 흡입구(V1)의 앞쪽 가장자리까지의 전후 방향을 따르는 거리(X)와, 토출구(13)로부터 흡입구(V1)까지의 연직 방향을 따르는 높이(Y)의 관계가 θ1 ≥ tan-1(X / Y)을 충족하므로, 레인지 본체(10)의 앞쪽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확실하게 환기 장치(V)로 유인할 수 있다.
또한, 전방 유로(La)로부터 분출되는 기류는 후방 유로(Lb)로부터 분출되는 기류보다 전방에서 후방으로 더 기울어져 분출되므로, 레인지 본체(10)의 앞쪽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보다 확실하게 환기 장치(V)로 유인할 수 있다. 또한, 후방 유로(Lb)로부터 분출되는 기류는 전방 유로(La)로부터 분출되는 기류보다 더 연직 상향되기 때문에 연기를 필요 이상으로 후방으로 유인하지 않고 환기 장치(V)를 향해 적절한 기류를 형성할 수 있어서 연기의 포집 효율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나아가, 팬(30)을 오븐의 내부 공간보다 아래에 마련하고 있으므로, 토출구(13)에서 팬(30)까지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팬(30)에서 발생되는 기류의 분류화(分流化)나 정류화(整流化)가 가능해지며, 심지어 쇼트 서킷(재흡입)을 방지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예에서는, 레인지 본체(10)의 상면(11)에서 좌우 양측에 토출구(13)를 마련하고 있지만,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면(11)의 뒤쪽에도 토출구(13)를 마련해도 상관 없다.
또한, 팬(30)은 반드시 토출구(13)에 각각 대응시켜 설치하지 않아도 되며,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통의 팬(30)으로부터의 기류가 좌우 양쪽의 토출구(13)로 유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서는 복수의 분할 유로(L)가 전방 유로(La)와 후방 유로(Lb)로 구분되어 있는 예를 설명했지만, 전방 유로(La), 중앙 유로 및 후 방 유로(Lb) 등 서로 토출 방향이 다른 3종 이상의 유로로 구분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분할 유로(L)의 유로 방향은 좌우 외측에서 중앙을 향하도록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특히, 후방 유로(Lb)의 유로 방향이 좌우 외측에서 중앙을 향하도록 설정해 둠으로써, 후방에 형성되는 기류의 분포가 중앙으로 쏠리기 때문에 좌우 방향의 폭이 좁은 흡입구(V1)를 갖는 환기 장치(V)에 대해 효과적인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빌트인식 가열 조리기의 제2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빌트인식 가열 조리기(100)는 도 8 내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출구(13)의 아래쪽에 마련되어 토출구(13)로부터 낙하된 이물질을 수집하는 이물질 탱크(50)를 더 구비한다. 여기서, 본 실시 예는 좌우 토출구(13) 각각의 아래쪽에 이물질 탱크(50)를 마련하고 있다.
이 이물질 탱크(50)는 상면(11)에 형성된 홈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 9 내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면이 개구된 박스 형상을 갖는다. 여기에서는, 상술한 토출구(13)가 상면(11)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긴 막대 형상을 이루며, 이물질 탱크(50)는 토출구(13)를 따라 전방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긴 막대 형상을 이룬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이물질 탱크(50)의 장방향 길이는 토출구(13)의 장방향 길이보다 길게 설정되어 있다. 이때, 이 이물질 탱크(50)에는 이물질 탱크(50)에 저류(貯留)된 액상 이물질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센서(미도시)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빌트인식 가열 조리기(100)는 도 8 내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물질 탱크(50)의 개구를 덮는 뚜껑 부재(60)를 더 구비하고 있다.
이 뚜껑 부재(60)는 상술한 토출구(13)가 형성된 평판 형상의 것으로, 예를 들면 비자성체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뚜껑 부재(60)는 상면(11)의 홈에 결합된 이물질 탱크(50)의 개구를 덮은 상태에서 뚜껑 부재(60)의 윗면이 상면(11)과 동일한 면을 형성하도록 마련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토출구(13)도 상면(11)과 동일한 면을 형성한다.
여기에서 토출구(1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면(11)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긴 막대 형상을 이루며, 그 내부에는 상기 제1 실시 예에서 설명한 루버(43)가 배치되어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토출구(13)에는 복수의 루버(43)가 일체로 마련되어 구성된 송풍 구조체(70)가 결합되어 있으며, 이 송풍 구조체(70)에 의해 토출구(13)로부터 분출되는 기류는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송풍 구조체(70)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출구(13)의 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71)과, 이들 측벽(71)의 사이에서 측벽(71)에 양단이 지지되어 장방향을 따라 간헐적으로 마련된 복수 개의 루버(43)를 갖는다. 여기서, 각 루버(43)의 경사각도 등의 형태는 상기 제1 실시 예의 루버(43) 형태와 동일하여 상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송풍 구조체(70), 뚜껑 부재(60), 이물질 탱크(50)는 모두 착탈 가능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상면(11)에서 위쪽으로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술한 이물질 탱크(50)의 측벽에 슬릿(5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슬릿(51)에 연통되는 동시에 내부 공간이 토출구(13)를 향하는 기류의 유로 일부가 되는 노즐 부재(80)가 마련되어 있다.
이 노즐 부재(80)는 상기 제1 실시 예에서 설명한 덕트 부재(40)의 하류측 단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덕트 부재(40)의 상류측 단부에 마련된 팬에 의한 기류가 유도되어, 그 기류를 하류측 개구인 분출구(81)로부터 토출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노즐 부재(80)의 분출구(81)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그 길이 방향을 따른 길이는 덕트 부재(40)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길이보다 길게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팬은 상기 제1 실시 예와 달리 가열 조리기(100)의 하부 배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팬을 하부 전방 측에 배치하는 경우에 비해 회전음을 사용자에게 전달하기가 어려워져 소음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팬의 흡입구(O)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열 조리기(100)의 외면(구체적으로는, 배면)에 마련되어 외부를 향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오븐 본체 내부의 데워진 공기나 배열(排熱)된 공기가 아니라 거실 내의 공기를 흡입하기 때문에, 팬 모터에 자냉(自冷) 작용이 작동하여, 온도의 상승이 억제되므로 적절한 온도 범위 내에서 팬을 구동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물질 탱크(50)의 내측을 향하는 측벽에 슬릿(5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슬릿(51)과 노즐 부재(80)의 분출구(81)가 대향 배치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노즐 부재(80)를 통과한 공기는 분출구(81)로부터 이물질 탱크(50)의 슬릿(51)을 통해 이물질 탱크(50) 내에 유입되고, 이 후 이물질 탱크(50)를 상승하여 루버(43)를 통과하고, 토출구(13)로부터 분출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물질 탱크(50)의 슬릿(51) 및 노즐 부재(80)의 분출구(81)가 모두 전후 방향으로 길이 방향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분출구(81)의 하변부(811)가 슬릿(51)의 하변부(511)보다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분출구(81)의 하변부(811)에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물질 탱크(50)의 측벽을 향해 불룩하게 마련되어 해당 측벽에 접촉하는 돌출부(812)가 마련되어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이물질 탱크(50)의 측벽에 형성된 슬릿(51)과 노즐 부재(80)의 분출구(81)를 대향 배치시키면, 덕트 부재(40)의 내부를 아래에서 위를 향해 흐르는 기류가 노즐 부재(80)의 내부에서 측방을 향하게 되므로, 이 기류의 편향에 의한 압력 손실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 부재(80)의 내면 중 이물질 탱크(50)의 슬릿(51)에 대면하는 영역(82)을, 위쪽을 향할수록 슬릿(51)에 가까워지도록 만곡시키고 있으므로, 노즐 부재(80)의 분출구(81)로부터 분출되는 공기 흐름을 원활하게 루버(43)로 향하도록 가이드면(82)으로서 기능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이 가이드면(82)의 최하류 측의 변부(821)는, 여기에서는 분출구(81)의 상변부가 되며, 이 변부(821)를 접선 방향으로 연장한 가상연장선(Lx) 상에서 송풍 구조체(70)의 측벽(71)의 하단부가 위치하는 동시에, 루버(43)의 하단부가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빌트인식 가열 조리기(100)에 따르면, 예를 들어 조리물이나 끓어 넘침 등의 이물질이 토출구(13)로부터 낙하하더라도 그 이물질을 이물질 탱크(50)에서 수집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노즐 부재(80)의 내부로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노즐 부재(80)의 분출구(81)를 이물질 탱크(50)의 측벽에 형성된 슬릿(51)에 대향 배치시키고 있어서, 토출구(13)로부터 낙하된 이물질은 중력에 의해 바로 밑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이물질이 노즐 부재(80)에 침입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나아가, 분출구(81)의 하변부(811)가 슬릿(51)의 하변부(511)보다 아래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노즐 부재(80)로부터 분출되는 공기를 원활하게 루버(43)로 보낼 수 있다.
게다가, 분출구(81)의 하변부(811)에 돌출부(812)를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돌출부(812)에 의해 이물질 탱크(50)의 측벽과 노즐 부재(80) 사이의 틈새를 밀봉할 수 있어 이 틈새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더욱이, 가이드면(82) 하류 측의 변부(821)를 연장한 가상연장선(Lx) 상에 송풍 구조체(70)의 하단부가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노즐 부재(80)로부터 흘러 나오는 공기를 원활하게 루버(43)로 보낼 수 있어 조리 중 연기를 효과적으로 환기 장치에 유인할 수 있다.
또한, 이물질 탱크(50)의 길이 방향으로의 길이가 토출구(13)의 길이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길기 때문에, 이물질 탱크(50)의 용적을 크게 확보할 수 있어 예를 들어, 끓어 넘치는 양이 많더라도 이물질을 확실하게 이물질 탱크(50)에 저류할 수 있다.
또한, 토출구(13)가 상면(11)과 동일면 상에 있기 때문에, 이물질이 토출구(13)로 흘러 들어오기 쉽도록 할 필요가 없으며, 나아가 토출구(13)가 조리에 방해되지 않는다.
게다가, 뚜껑 부재(60)가 비자성체이기 때문에, IH 레인지의 열 영향을 받지 않는다.
더욱이, 이물질 탱크(50)는 상면(11)에서 위쪽으로 분리 가능하기 때문에, 이물질 탱크(50)의 분리 시 가열 조리기(100) 자체를 이동시키거나 사용자가 무리한 자세를 취할 필요가 없어서 이물질 탱크(50)에 수집된 이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물질 탱크(50)를 세척할 수 있어 유지 보수성이 우수하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제2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실시 예에서는 가이드면(82)의 최하류 측의 변부(821)를 접선 방향으로 연장한 가상연장선(Lx) 상에 송풍 구조체(70)의 하단부가 위치하고 있지만, 이 가상연장선(Lx)의 위쪽에 송풍 구조체(70)의 하단부가 위치하고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 실시 예에서는 노즐 부재(80)를 덕트 부재(40)의 일부로 설명했지만, 노즐 부재(80)와 덕트 부재(40)는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서는 복수 개의 루버(43)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지만, 이러한 루버(43)는 서로 독립된 별개의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이물질 탱크(50)에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벽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영역이 노즐 부재(80)의 연결 영역(A)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이 연결 영역(A)에서 내부 공간의 폭 치수(L1)가 그 이외 영역에서의 내부 공간의 폭 치수(L2)보다 좁아져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연결 영역(A) 이외의 영역에서 내부 공간을 넓힐 수 있어 이물질 탱크(50)의 내부 용적을 가급적 크게 형성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의하여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형 가능한 다양한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 빌트인식 가열 조리기
V ... 환기 장치
V1 ··· 흡입구
10 ... 레인지 본체
11 ... 상면
12 ... 가열부
13 ... 토출구
20 ... 레인지
30 ... 팬
40 ... 덕트 부재
40a ... 상류측 단부
40b ... 하류측 단부
43 ... 루버
44 ... 가이드부
L ... 분할 유로
La ... 전방 유로
Lb ... 후방 유로
50 ... 이물질 탱크
51 ··· 슬릿
511 ··· 슬릿의 하변부
60 ... 뚜껑 부재
70 ... 송풍 구조체
80 ... 노즐 부재
81 ... 분출구
811 ... 하변부
812 ... 돌출부
82 ... 가이드면
821 ... 변부
L ... 가상연장선
X ... 흡기구
Z ... 연결 영역

Claims (20)

  1. 본체;
    상기 본체의 상면에 배치되고 가열 대상물을 가열하는 가열부; 및
    상기 가열부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의 상방으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마련되는 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부는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와, 상기 가열부에서 발생되는 기류와 상기 토출부에서 토출되는 기류가 혼합되어 상기 본체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향하는 상승 기류가 형성되도록 상기 토출부에서 토출되는 기류를 가이드하고 상기 토출구 상에 배치되는 루버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버는 상기 토출구 상에서 상기 토출구의 전부에 배치되는 제 1루버와 상기 토출구 상에서 상기 제 1루버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제 2루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루버의 경사 각도와 상기 제 2루버의 경사 각도는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조리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후 방향에 대한 상기 제 1루버의 경사 각도는 상기 제 2루버의 경사 각도보다 크게 마련되는 조리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제 1루버의 경사 각도를 θ1, 상기 가열부에서 발생된 기류를 흡수하고 상기 본체의 상측에 배치되는 환기 장치의 흡입구의 전단과 상기 토출구의 전단의 상기 본체의 전후 방향으로의 거리를 X, 상기 환기 장치의 흡입구와 상기 토출구의 상기 본체의 상하 방향으로의 거리를 Y라고 정의할 시,
    제 1루버의 경사 각도는 θ1 ≥ tan-1(X / Y)로 형성되도록 마련되는 조리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로 토출되는 기류를 발생시키는 팬과, 상기 팬과 상기 토출부를 연결하는 덕트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상기 본체의 전후 방향으로 상기 본체의 후부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기 토출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구를 통해 유입된 이물질을 포집하도록 상기 토출구와 연통되는 탱크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는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는 조리기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의 상기 본체에 대한 전후 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토출구의 상기 본체에 대한 전후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길게 마련되는 조리기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는 상기 덕트와 상기 토출부가 연통되도록 상기 덕트와 연결되는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덕트는 상기 슬릿과 대향 배치되고, 상기 팬을 통에 발생된 기류를 분출시키는 분출구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기 탱크의 측벽에 배치되도록 마련되는 조리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하 방향에 대한 상기 상기 분출구의 하변부는 상기 슬릿 하변부보다 하측에 위치되도록 마련되는 조리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분출구의 하변부는 상기 탱크의 측벽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상기 덕트의 내부에서 상기 분출구의 상변부와 연결되는 만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루버의 하단부는 상기 만곡부와 상기 상변부의 접점에서의 접선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 연장선 상에 배치되거나 상기 가상 연장선보다 위에 배치도록 마련되는 조리기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의 상단과 상기 토출부의 상단은 동일면 상에 배치되도록 마련되는 조리기기.
  16. 본체;
    상기 본체의 상면에 배치되고 가열 대상물을 가열하는 가열부;
    상기 가열부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의 상방으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마련되는 토출부; 및
    상기 토출부를 통해 유입된 이물질을 포집하도록 마련되는 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탱크는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기 토출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는 조리기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는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와, 상기 가열부에서 발생되는 기류와 상기 토출부에서 토출되는 기류가 혼합되어 상기 본체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향하는 상승 기류가 형성되도록 상기 토출부에서 토출되는 기류를 가이드하고 상기 토출구 상에 배치되는 루버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는 상기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탱크를 상기 본체의 상하 방향으로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탱크는 상기 본체의 상방으로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조리기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상면은 상기 가열부와 동일면 상에 배치되도록 마련되는 조리기기.
  20. 본체;
    상기 본체의 상면에 배치되고 가열 대상물을 가열하는 가열부;
    상기 가열부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의 상방으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마련되는 토출구를 포함하는 토출부;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기 토출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구를 통해 유입된 이물질을 포집하도록 상기 토출구를 향하는 개구를 가지는 탱크;
    상기 토출부로 토출되는 기류를 발생시키는 팬; 및
    상기 탱크를 통해 상기 팬과 상기 토출부를 연결하도록 상기 탱크와 연통되는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탱크는 상기 덕트와 상기 토출부가 연통되도록 상기 덕트와 연결되는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슬릿은 상기 개구를 형성하는 상기 탱크의 측벽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KR1020200149467A 2019-12-25 2020-11-10 조리기기 KR2021008234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126,542 US11739946B2 (en) 2019-12-25 2020-12-18 Cooking apparatus
PCT/KR2020/018758 WO2021133007A1 (en) 2019-12-25 2020-12-21 Cook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234823 2019-12-25
JP2019234823 2019-12-25
JP2020121658A JP2021103073A (ja) 2019-12-25 2020-07-15 組み込み式加熱調理器
JPJP-P-2020-121658 2020-07-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2346A true KR20210082346A (ko) 2021-07-05

Family

ID=76755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9467A KR20210082346A (ko) 2019-12-25 2020-11-10 조리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21103073A (ko)
KR (1) KR20210082346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103073A (ja) 2021-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18589A (en) Low moisture/closed door broil oven ventilation system
KR100739156B1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US10154548B2 (en) Heating cooker
KR101890433B1 (ko)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KR20210082346A (ko) 조리기기
JP6382153B2 (ja) 加熱調理器
JP2013026167A (ja) 誘導加熱調理器
CN102056357B (zh) 加热烹调器
US11739946B2 (en) Cooking apparatus
JP4981111B2 (ja) 加熱調理器
US11452181B2 (en) Induction cooktop with an exhaust air guide
CN112741500A (zh) 风道组件和烹饪器具
JP6298653B2 (ja) 加熱調理器
EP2126475B1 (en) A cooking appliance
KR101645038B1 (ko)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
JP6298652B2 (ja) 加熱調理器
JP5420012B2 (ja) 加熱調理器
CN115769027A (zh) 抽油烟设备以及具有烹调区和抽油烟设备的厨房组件
JP5035260B2 (ja) 組込み式加熱調理器
JP5045563B2 (ja) 加熱調理器
JP6423479B2 (ja) 調理用電気加熱器
JPH0779034B2 (ja) 加熱装置
JP2006003030A (ja) 加熱調理器
JP5029478B2 (ja) 組込み式加熱調理器
CN111824600A (zh) 用于在高温下存储食品的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